[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5637B1 - 이륜차 및 이륜차의 리어암 - Google Patents

이륜차 및 이륜차의 리어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637B1
KR100555637B1 KR1020030055602A KR20030055602A KR100555637B1 KR 100555637 B1 KR100555637 B1 KR 100555637B1 KR 1020030055602 A KR1020030055602 A KR 1020030055602A KR 20030055602 A KR20030055602 A KR 20030055602A KR 100555637 B1 KR100555637 B1 KR 100555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arm
wheeled vehicle
electric machine
end side
rotary electr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5686A (ko
Inventor
후쿠다히로미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63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25/00Actuators for gearing speed-change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M25/08Actuators for gearing speed-change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with electrical or fluid transmit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2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 B62K25/283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for cycles without a pedal crank, e.g.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62J11/1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mechanical cables, hoses, pipes or electric wires, e.g. cable guides
    • B62J11/19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mechanical cables, hoses, pipes or electric wires, e.g. cable guid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1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the engine beside or within the driven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이륜차의 리어암에 있어서, 이 리어암의 외부에 설치된 배터리로부터, 상기 리어암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컨트롤유닛까지 배선할 경우, 커플러의 외경보다 큰 내경의 관통구멍을 상기 리어암에 형성하지 않고, 배터리로부터 상기 컨트롤유닛까지의 배선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리어암을 제공한다.
후륜이 회전전기기계(7)로 구동되는 이륜차(1)의 메인프레임에 전단부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이륜차(1)의 리어암(3)의 후단부측에, 회전전기기계(7)를 부착한 구성의 리어암(3)에 있어서, 리어암(3)의 상기 전단부측을 복수의 구성부재로 분할하고, 이 분할부에서 상기 구성부재에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측에 구비한 전원과 회전전기기계(7)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했다.

Description

이륜차 및 이륜차의 리어암{TWO-WHEELER AND REAR ARM FOR THE TWO-WHEEL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륜차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이륜차의 전체도,
도 2는 리어암의 주변에 있어서의 이륜차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메인스탠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서의 ⅣA-ⅣB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에서의 VA-VB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와는 반대측에서 리어암의 길이방향의 중간부를 바라본 도면,
도 7은 리어암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륜차 3 : 리어암
3A, 3B, 3C : 구성부재 7 : 회전전기기계
9 : 배선 11 : 컨트롤유닛
15 : 노치 17 : 관통구멍
19 : 그로밋 BR1 : 배터리
MF1 : 메인프레임 RW1 : 후륜
본 발명은, 이륜차의 메인프레임에 전단부측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후단부측이 후륜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후륜의 근방에 상기 후륜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회전전기기계를 구비한 이륜차의 리어암 및 이 리어암을 구비한 이륜차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엔진)에 의해 후륜을 구동하는 종래의 이륜차는, 이 이륜차의 메인프레임에 상기 내연기관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종래의 이륜차는 리어암을 구비하고, 이 리어암은 상기 이륜차의 메인프레임에 전단부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후단부측에서 후륜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상기 리어암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은, 예를 들면 상기 이륜차의 주행시에 노면의 요철에 후륜을 추종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다.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에는 변속기구가 연결되어서 설치되고, 이 변속기구의 출력축으로부터 상기 후륜의 회전축으로, 동력전달부재(예를 들면 롤러체인)를 통해서 상기 후륜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이 전달된다.
그런데, 내연기관 대신에, 상기 후륜의 근방(리어암의 후단부측)에서, 상기 리어암의 내부에 설치한 회전전기기계를 사용하여 상기 후륜을 구동하는 이륜차에서는, 상기 회전전기기계와 상기 이륜차의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배터리를 서로 전 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배선이, 상기 롤러체인 대신에 필요하게 된다.
또, 상기 회전전기기계는, 상기 이륜차가 달리기 시작할 때나 상기 이륜차가 속도를 증대시킬 때(가속할 때)에는 전동모터로서 기능하고, 상기 이륜차가 감속할 때에는 상기 이륜차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발전기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전기기계가 발전기로서 기능하고 있을 때는, 상기 회전전기기계에 의해 발전된 전기 에너지는 상기 이륜차의 배터리에 축적된다.
또, 상기 배터리를 메인프레임에 설치하는 이유는, 배터리는 질량이 크고, 이와 같이 질량이 큰 것은 상기 이륜차의 중심둘레의 관성모멘트를 작게 해서 안정된 주행을 확보하기 때문에, 이륜차의 중앙부 부근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회전전기기계를 상기 리어암 내에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회전전기기계를 상기 리어암으로 덮어서 보호하고, 예를 들면, 상기 이륜차의 주행중에 자갈이 상기 회전전기기계에 부딪혀서 상기 회전전기기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상기 이륜차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의 예를 들면 새들(saddle)의 하부측이고 상기 리어암의 외부에 설치된 상기 배터리와, 상기 리어암의 내부이고 이 리어암의 후단부측에 설치된 상기 컨트롤유닛 사이, 즉 상기 배터리와 상기 회전전기기계를 연결시키기 위한 배선을, 상기 리어암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통과시킬 필요가 있다.
또, 상기 컨트롤유닛은 상기 회전전기기계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리어암의 내부이며, 상기 회전전기기계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전기 기계의 근방에 상기 컨트롤유닛을 설치한 이유는, 상기 회전전기기계의 경우와 거의 마찬가지로, 상기 컨트롤유닛으로부터 상기 회전전기기계까지의 배선을 최대한 짧게 해서, 상기 컨트롤유닛에 의해 상기 회전전기기계를 구동제어할 때의 에너지의 손실을 최대한 적게 하기 위해서다. 상기 컨트롤유닛을 상기 리어암의 내부에 설치한 이유는, 상기 컨트롤유닛을 상기 리어암으로 덮어서 보호하여, 예를 들면, 상기 이륜차의 주행중에 자갈이 상기 컨트롤유닛에 부딪혀서 상기 컨트롤유닛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그런데, 상기 이륜차에서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컨트롤유닛 사이의 배선을 상기 배터리에 착탈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커플러가 상기 배선의 일단부(상기 배터리측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플러의 외경은 상기 배선의 외경에 비해서 크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유닛을 상기 리어암 내에 설치한 후, 이 컨트롤유닛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상기 배선을 상기 배터리에 접속하기 위해서 상기 관통구멍에 통과시킬 경우, 상기 커플러도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관통구멍의 내경을 상기 커플러의 외경보다 크게 구성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와 상기 컨트롤유닛 사이의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리어암이 큰 관통구멍을 형성하면, 리어암의 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배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전기기계가 전동모터로서 기능할 때에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컨트롤유닛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회전전 기기계가 발전기로서 기능할 때에는 상기 컨트롤유닛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이며, 어느쪽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회전전기기계로 상기 이륜차의 운동량을 변화시킬 때에 큰 전류를 흐르게 하는 일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선의 도선(예를 들면 구리선)부분의 외경을 크게 구성할 필요가 있고, 이와 같이 도선부분의 외경을 크게 하면, 상기 배선의 굴곡 내구성은 저하한다.
또, 상기 리어암의 내부 후단부측에 설치한 상기 컨트롤유닛에 상기 배선이 접속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컨트롤유닛의 근방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배선이 상기 리어암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있으면, 상기 리어암의 전단부측(상기 컨트롤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이, 상기 이륜차의 메인프레임에 회동(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동부와 상기 관통구멍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서, 상기 리어암이 회동했을 때에 상기 관통구멍의 요동량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고 있는 상기 배선은,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고 있는 부분이 요동함에 따라서, 상기 배선의 거의 전체가 크게 요동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배선은 굴곡 내구성이 낮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리어암의 요동에 따라 크게 요동하면, 상기 배선이 손상되기 쉬워진다.
또, 상기 리어암의 내부이며 상기 회전전기기계의 근방에는, 상기 회전전기기계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컨트롤유닛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컨트롤유닛이 설치 되어 있는 상기 리어암의 내부에는, 상기 리어암을 보강하기 위한 리브를 설치할 수 없어, 상기 컨트롤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리어암의 강성이 부족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리어암의 상기 강성부족을 보충하기 위해서, 상기 리어암의 외부에 리브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외부에 리브를 설치하면 이 리브가 이륜차의 외부로 돌출해서 방해됨과 아울러, 상기 이륜차 외관의 양호한 형상이 손상될 우려, 즉 완성품으로서의 상기 이륜차의 돋보임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각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이륜차의 메인프레임에 전단부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후단부측에서 후륜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후륜의 근방에 상기 후륜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회전전기기계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회전전기기계의 근방에서 상기 회전전기기계를 구동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을 내부에 구비한 이륜차의 리어암에 있어서, 이 리어암의 외부에 설치된 배터리로부터 상기 리어암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컨트롤유닛까지 배선할 경우, 상기 배선을 상기 배터리에 착탈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배선의 일단부에 설치된 커플러의 외경보다 큰 내경의 관통구멍을 상기 리어암에 형성하지 않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컨트롤유닛까지의 배선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리어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륜차의 후륜을 구동하는 회전전기기계를 구동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리어암 부분의 강성을, 이 리어암의 외부에 별도 보강을 위한 리브 등을 설치하지 않고 보강할 수 있는 리어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리어암을 갖는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리어암의 요동에 의한 상기 배선의 요동량을 최대한 적게 할 수 있는 이륜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은, 후륜이 회전전기기계로 구동되는 이륜차의 메인프레임에 전단부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이륜차의 리어암의 후단부측에, 상기 회전전기기계를 부착한 구성의 상기 이륜차의 리어암에 있어서, 상기 리어암의 상기 전단부측을 복수의 구성부재로 분할하고, 이 분할부에서 상기 구성부재에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측에 구비한 전원과 상기 회전전기기계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을 형성한 이륜차의 리어암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이륜차의 리어암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전단부측의 상기 회동중심의 근방에서, 상기 이륜차의 리어암을 상기 이륜차에 설치했을 때에 위쪽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에는 상기 배선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배선과 상기 관통구멍 사이에 발생한 간극을 충전하기 위한 그로밋이 설치되어 있는 이륜차의 리어암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이륜차의 리어암에 있어서, 상기 리어암의 상기 후단부측을, 상기 전단부측에서 상기 후단부측으로 길게 연장하여 상기 리어암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부재와, 상기 후단부측에서 상기 리어암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부재로 분할하고 있고, 상기 각 구성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상기 리어암의 상기 후단부측의 보강을 행하는 구성인 이륜차의 리어암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은, 후륜의 근방에 설치된 회전전기기계로 상기 후륜을 회전구동할 수 있는 이륜차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구성을 가지고, 상기 이륜차의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후륜측으로 연장되고, 전단부측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후단부측에서 상기 회전전기기계를 지지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후륜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리어암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회전전기기계의 전원인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회전전기기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상기 배선은, 상기 리어암이 회동했을 때에, 신축량이 적어지는 위치에서 상기 리어암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들어가 있는 이륜차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배선이 상기 리어암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들어가 있는 위치는, 상기 리어암의 상기 전단부측의 상기 회동중심의 근방이며, 상기 리어암의 상방측인 이륜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륜차(1)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이륜차(1)의 전체도이다.
이륜차(1)는, 회전전기기계(7)로 후륜(RW1)을 구동함으로써 주행하는 것이며, 상기 이륜차(1)의 본체부를 구성하는 메인프레임(MF1)을 구비하고, 이 메인프 레임(MF1) 전단부측에는, 핸들(HD1)이 상기 메인프레임(MF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핸들(HD1)의 하부측에는, 전륜(FW1)이 상기 핸들(HD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MF1)의 후단 상부측에는, 이륜차(1)의 탑승자가 앉기 위한 새들(SD1)이 설치되고, 이 새들(SD1)의 하부측에는, 상기 회전전기기계(7)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인 배터리(BR1)가 상기 메인프레임(MF1)에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MF1)의 후단 하부측에는, 리어암(3)이 회동(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리어암(3)의 후단부측은, 후륜(RW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상기 리어암(3)의 길이방향(이륜차의 전후방향)의 중간부이며 상기 리어암(3)의 위쪽에는, 리어쿠션(RC1)의 일단부측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리어쿠션(RC1)의 타단부측은, 상기 새들(SD1)의 하부측에서 상기 메인프레임(MF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이륜차(1)의 하부측이며 이륜차(1)의 전후방향의 중간부에는, 이륜차(1)가 정지하고 있을 때에 상기 이륜차(1)를 좌우방향에서 거의 수평한 상태로 기립시켜 두기 위해서 사용하는 메인스탠드(5)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리어암(3)의 주변에서의 이륜차(1)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메인스탠드(5)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ⅣA-ⅣB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VA-VB선 단면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리어암(3)의 길이방향의 중간부를 바라본 도면이며, 도 7은 리어암(3)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1과, 도 5에 나타내는 메인스탠드(5)는 상승한 상태, 다시 말해, 이륜차(1)가 주행하기 위해서 메인스탠드(5)의 접지부가 노면(GL1)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도 4의 메인스탠드(5)는 하강한 상태, 다시 말해, 메인스탠드(5)의 접지부가 노면(GL1)에 접하여, 이륜차(1)를 정지상태에서 기립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메인스탠드(5)는, 후륜(RW1)의 회전축(AX1)의, 예를 들면 왼쪽(이륜차(1)의 진행방향을 향해서 왼쪽)방향의 일단부측에 설치된 회전전기기계(7)(도 5참조)에 의해 상기 후륜(RW1)을 회전구동 가능한 이륜차(1)의 리어암(3)에 설치되어, 접지부(5A)와 접지부(5B)를 좌우 양측에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양 접지부(5A, 5B)의 각 선단부측은, 상기 회전전기기계(7)가 위치하는 측방으로 만곡해서 구성되어 있다(도 4 및 도 5참조).
여기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두갈래형으로 형성된 메인스탠드(5)의 선단부측은, 상기 이륜차(1)의 좌우방향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좌우방향으로 나뉘어진 각 선단부측의 각각이 각 접지부(5A, 5B)를 형성하고 있다. 메인스탠드(5)는 이 메인스탠드(5)의 상기 각 접지부측(두갈래로 나뉘어져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기단부측에 있어서, 상기 후륜(RW1)의 회전중심과 거의 평행한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리어암(3)에 대하여 회동(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회동 중심은, 리어암(3)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이며, 리어암(3)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메인스탠드(5)가 메인프레임(MF1)에 설치되어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접지부(5A)는, 후륜(RW1)에 대하여 회전전기기계(7)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도 5에서는, 이륜차의 진행방향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접지부(5B)는, 후륜(RW1)에 대하여 회전전기기계(7)가 설치되어 있는 측(도 5에서는, 이륜차의 진행방향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5A)의 선단부측은, 상기 이륜차(1)의 내측(상기 이륜차(1)의 진행방향의 좌측)방향으로 만곡하고, 상기 접지부(5B)의 선단부측은, 상기 이륜차(1)의 외측(상기 이륜차(1)의 진행 방향의 좌측)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상기 메인스탠드(5)에 따르면, 회전전기기계(7)가 후륜(RW1)의 근방에서 상기 후륜(RW1)의 좌측에 설치되고, 또한, 후단측에서 후륜(RW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리어암(3)이, 상기 회전전기기계(7)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서 상기 메인프레임(MF1)으로부터 상기 후륜(RW1)을 지지하고 있는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이륜차(1)의 좌우방향의 무게중심의 위치가, 상기 회전전기기계(7)나 리어암(3)이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 이동되어 있어도, 메인스탠드(5)의 각 접지부(5A, 5B)의 선단부측이, 상기 회전전기기계(7)의 방향으로 만곡해서 각 접지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이륜차의 좌우방향의 무게중심에 대하여 거의 대칭의 위치에 메인스탠드(5)의 각 접지부(5A, 5B)를 위치시킬 수 있다.
메인스탠드(5)의 상기 각 접지부(5A, 5B)가, 상기 이륜차(1)의 좌우방향의 상기 무게중심에 대하여 거의 대칭의 위치에 존재하면, 상기 메인스탠드(5)를 사용해서 상기 이륜차(1)를 기립시켰을 때에, 상기 이륜차(1)의 좌우방향의 안정성이 좋아진다.
또, 약한 지면(노면)에 상기 메인스탠드(5)를 사용해서 상기 이륜차(1)를 기립시켜도, 상기 각 접지부(5A, 5B)에 작용하는 하중이 거의 같아지므로, 상기 각 접지부(5A, 5B)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약한 지면에 파고들 우려가 적어져서, 상기 이륜차(1)가 기울어질 우려가 적어진다.
또, 상기 메인스탠드(5)에 따르면, 이 메인스탠드(5)를 기립시켜서 상기 이륜차(1)를 주행시켰을 경우, 상기 회전전기기계(7)나 상기 리어암(3)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접지부(5A)의 선단부측이, 상기 이륜차(1)의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회전전기기계(7)로 후륜(RW1)을 구동하기 위한 머플러가 존재하지 않는 이륜차(1)이여도, 상기 회전전기기계(7)나 상기 리어암(3)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접지부(5A)만이, 상기 이륜차(1)의 하부측에서 상기 이륜차(1)의 측방향(오른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일이 없어지고, 상기 접지부(5A)가 풀이나 나무 등의 장해물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또, 회전전기기계(7)가 후륜(RW1)의 회전축(AX1)의 오른쪽 방향(이륜차(1)의 진행방향의 오른쪽 방향)의 일단부측에 설치되고, 이것에 따라, 리어암(3)도 후륜(RW1)의 회전축(AX1)의 우방향의 일단부측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메인스탠드(5)의 각 접지부(5A, 5B)를 상기 회전전기기계(7)가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 만곡시키면 된다. 즉, 접지부(5A)를 이륜차(1)의 진행방향의 우측방향으로 만곡시켜, 접지부(5B)를 이륜차(1)의 진행방향의 좌측방향으로 만곡시키면 된다.
또, 메인스탠드(5)에서는,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양 접지부(5A, 5B) 중에서, 상기 회전전기기계(7)가 위치하는 측방으로 만곡한 것에 의해, 상기 이륜차(1)의 외측으로 만곡한 선단부측을 구비하는 접지부(예를 들면, 이륜차(1)에 있어서는, 접지부(5B))보다 메인스탠드(5)의 기단부측으로 이반한 위치에, 승무원이 상기 이륜차(1)를 기립할 때에 발을 걸기 위한 풋바(foot bar;5C)를 설치하고 있다.
즉, 상기 풋바(5C)는, 기단부측이 접지부(5B)측의 상기 메인스탠드(5)의 중간부(메인스탠드(5)의 기단부와 접지부의 중간부)에 고정되고, 선단부측이 상기 접지부(5B)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 같은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상기 이륜차(1)의 외측으로 만곡된 상기 접지부(5B)의 선단부측과 상기 풋바(5C) 사이에는, 상기 승무원의 발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예를 들면 원기둥형의 장해부재(5D)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스탠드(5)에 따르면, 풋바(5C)를 설치함으로써 이륜차(1)를 용이하게 기립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접지부(5B) 선단부측과 상기 풋바(5C) 사이에는, 상기 승무원의 발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해부재(5D)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륜차(1)를 기립시킬 때에 상기 승무원의 발이 풋바(5C)와 지면(GL1) 사이에 잘못해서 끼일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메인스탠드(5)를, 회전전기기계(7)로 구동되는 이륜차(1)뿐만 아니라, 내연기관 등의 액츄에이터로 구동되는 다른 이륜차에도 채용할 수 있다.
그런데, 후륜(RW1)이 회전전기기계(7)로 구동되는 이륜차(1)의 메인프레임(MF1)에, 전단부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이륜차(1)의 리어암(3)은, 후단부측에 상기 회전전기기계(7)를 부착한 구성이며, 상기 리어암(3)의 상기 전단부측은, 예를 들면 이륜차(1)의 좌우방향에 있어서 2개의 구성부재(3A, 3B)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부에서 상기 각 구성부재(3A, 3B) 중 적어도 한쪽에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MF1)측에 구비한 전원인 배터리(BR1)와 상기 회전전기기계(7)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9)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17)가, 상기 리어암(3)에 형성되어 있다(도 2, 도 5 참조).
즉, 상기 리어암(3) 전단부측은, 이륜차(1)의 메인프레임(MF1)의 후단 하부측에서 메인프레임(MF1)과 결합하고, 상기 리어암(3)은, 후륜(RW1)의 회전축(AX1)의 회전중심과 거의 평행한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메인프레임(MF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리어암(3)은, 후단부측에서 후륜(RW1)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후륜(RW1)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회전전기기계(7)를, 상기 후단부측이며 상기 리어암(3)의 내부에 구비한 구성이며, 또한, 상기 회전전기기계(7)의 근방이며 리어암(3)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전기기계(7)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컨트롤유닛(11)이 설치되어 있다.
또, 리어암(3)은, 예를 들면, 이 리어암(3)의 상기 전단부측에서 상기 후단부측으로 길게 연신해서 상기 리어암(3)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부재(3A)와, 상기 전 단부측에서 상기 리어암(3)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부재(3B)와 같이, 전단부측에서 별개의 부재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구성부재(3B)가 상기 구성부재(3A)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구성부재(3A)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구성부재(3B)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성부재(3B)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구성부재(3A)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부재(3A)에 상기 구성부재(3B)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각 구성부재(3A, 3B)의 상기 각 개구부는 서로 막혀져서, 상기 구성부재(3A)와 상기 구성부재(3B)에 의해, 리어암(3) 전단부측에 있어서 리어암(3)의 내부의 공간이 외부로부터 거의 칸막이되게 되어 있다.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성부재(3A)와 상기 구성부재(3B)의 분할부에 있어서, 상기 구성부재(3B)에는 노치(15)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노치(15)는 상기 구성부재(3A)에 접합되는 상기 구성부재(3B)의 외곽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부재(3A)에 상기 구성부재(3B)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노치(15)가 리어암(3) 전단부측에 있어서 리어암(3)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리어암(3)의 외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개구부)(17)을 형성하고 있다.
또, 노치(15)를 구성부재(3B)에 형성하는 대신에 구성부재(3A)에 형성해도 좋고, 구성부재(3A, 3B)의 양쪽에 형성해도 좋다. 즉, 구성부재(3A) 또는 구성부재(3B) 중 적어도 한쪽에 노치를 형성하면 된다. 또한, 리어암(3) 전단부측에서, 3개 이상의 복수의 구성부재로 리어암(3)을 분할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이륜차(1)의 상기 메인프레임(MF1)측에 설치된 전원인 배터리(BR1)와 상기 회전전기기계(7)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9)이, 상기 관통구멍(17)을 통과하고 있다(도 5참조). 또, 이륜차(1)에서는, 상기 배선(9)은 배터리(BR1)와 회전전기기계(7)를 구동제어하는 컨트롤유닛(11)을 접속하고 있다.
다음에, 컨트롤유닛(11)과 배터리(BR1) 사이를 상기 배선(9)으로 서로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구성부재(3A)와 상기 구성부재(3B)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컨트롤유닛(11)을 상기 리어암(3)의 구성부재(3A) 내에 설치한 후, 상기 배선(9)을 상기 구성부재(3A)의 내부에서 상기 리어암(3)(구성부재(3A))의 상기 전단부측까지 연신시켜, 상기 전단부측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구성부재(3A)의 외부로 연신시키고, 그 후, 상기 구성부재(3B)에 형성되어 있는 노치(15)와, 상기 배선(9)이 구성부재(3A)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위치를 서로 일치시켜서, 상기 구성부재(3B)를 상기 구성부재(3A)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배선함으로써, 상기 배선(9)을 상기 배터리(BR1)에 착탈 가능하게 하기 위한 커플러의 외경이 상기 배선(9)의 외경에 비해서 크게 구성되어 있어도, 노치(15)로 형성되는 관통구멍(17)에 상기 커플러를 통과시킬 필요가 없어, 상기 관통구멍(17)(노치(15))의 내경을 상기 커플러의 외경보다 작게 구성해도, 상기 컨트롤유닛(11)으로부터 상기 배터리(BR1)까지의 배선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단, 상기 관통구멍(17)(노치(15))의 내경을 상기 배선(9)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구성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리어암(3)에 배선(9)을 통과시키기 위한 큰 관통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리어암(3)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 리어암(3)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17)은 상기 리어암(3)의 상기 전단부측의 상기 회동중심의 근방에 형성되고, 또한, 리어암(3)을 상기 이륜차(1)에 설치했을 때에 위쪽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17)에는, 도 2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선(9)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배선(9)과 상기 관통구멍(17) 사이에 발생한 간극을 충전하기 위한 그로밋(19)이 설치되어 있다. 또, 그로밋(19)은,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소정의 두께를 구비하고, 외형이 상기 관통구멍(17)의 형상과 거의 같은 형상을 하고 있는 판상의 부재이며, 중앙부에 상기 배선(9)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관통구멍(17)에 그로밋(19)을 설치하면, 배선(9)이 상기 관통구멍(17)의 내주와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어지므로, 리어암(3)의 요동에 의해 배선(9)이 관통구멍(17)의 내주에서 마찰되어, 배선(9)이 손상될 우려가 없어진다.
또, 그로밋(19)에 의해, 상기 배선(9)과 상기 관통구멍(17) 사이에 생긴 간극이 충전되므로, 관통구멍(17)으로부터 리어암(3)의 내부에 수분이나 분진이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배선(9)은, 컨트롤유닛(11)으로부터 관통구멍(17)까지의 사이는 리어암(3)의 내부를 통과하고, 리어암(3)의 위쪽에 형성된 관통구멍(17)을 통과하여 리어암(3)의 외부로 연신하여 배터리(BR1)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즉, 리어암(3)의 외 부에서 연장되어 있는 배선(9)의 길이가 짧아져 있으므로, 이륜차(1)의 주행중에 예를 들면 자갈 등이 노면상에서 튀어올라 와도, 배선(9)에 상기 자갈 등이 접촉하기 어렵게 되어 있어 상기 배선(9)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 그로밋(19)을 설치할 경우에는, 그로밋(19)의 관통구멍에 커플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배선(9)을 통과시키고, 이 후에 상기 커플러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리어암(3)의 후단부측(후륜(RW1)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측)은, 상기 구성부재(3A)와 구성부재(3C)에, 예를 들면, 이륜차의 좌우방향에 있어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구성부재(3A, 3C)를 서로 접합함으로써, 상기 리어암(3)의 상기 후단부측의 보강을 행하고 있다(도 5참조).
여기서, 상기 구성부재(3A)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구성부재(3C)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성부재(3C)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구성부재(3A)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부재(3A)에 상기 구성부재(3C)가,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해서 일체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각 구성부재(3A, 3C)의 상기 각 개구부는 서로 막혀져서, 상기 구성부재(3A)와 상기 구성부재(3C)에 의해, 리어암(3)의 후단부측에 있어서 리어암(3)의 내부의 공간이 외부로부터 대략 칸막이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리어암(3)의 후단부측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내에는, 후륜(RW1)을 구동하는 회전전기기계(7)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회전전기기계(7)의 출력축 축심과 후륜(RW1)의 회전축(AX1) 축심은 서로가 대략 동축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전기기계(7)의 출력축과 후륜(RW1)의 회전축(AX1)은, 예를 들면, 유성기어 감속기로 구성된 감속기구(21)를 통해서 연동연결되어 있다.
또, 리어암(3)의 구성부재(3A)의 내부이며 상기 회전전기기계(7)가 설치되어 있는 근방에는, 컨트롤유닛(11)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컨트롤유닛(11)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부재(3A)의 상기 내부에는, 상기 리어암(3)의 구성부재(3A)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브를 설치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다.
그래서, 리어암(3)에서는, 상기 컨트롤유닛(11)이 설치되어 있는 상기 구성부재(3A)의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서, 상기 구성부재(3C)를 상기 구성부재(3A)의 상기 컨트롤유닛(11)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구성부재(3A)의 후단부측에서 상기 구성부재(3A)에 일체적으로 고정하여, 상기 구성부재(3A)의 상기 컨트롤유닛(11)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보강하고 있다.
따라서, 구성부재(3C)를 고정하는 것만으로 구성부재(3A)를 보강할 수 있고, 구성부재(3A)의 외부에 별도 보강을 위한 리브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리어암(3)의 외관이 산뜻하고, 이륜차(1)의 외관상의 돋보임이 양호해진다.
또, 이륜차(1)에서는, 배터리(BR1)로부터 상기 회전전기기계(7)(컨트롤유닛(1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9)은, 상기 리어암(3)이 회동했을 때에 배선(9)의 신축량이 최대한 적어지는 위치에서, 상기 리어암(3)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들어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선(9)이 상기 리어암(3)의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가 있는 위치는, 상기 리어암(3)의 상기 전단부측의 상기 회동중심의 근방이며, 상기 리어 암(3)의 상방측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륜차(1)의 주행중에 있어서, 상기 리어암(3)이 상기 메인프레임(MF1)에 대하여 회동해도, 리어암(3)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관통구멍(17)의 요동량은 적고, 상기 관통구멍(17)을 통과하고 있는 배선(9)의 요동량도 적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배선(9)의 요동량이 적으면, 상기 배선(9)의 외경이 크게 구성되어 상기 배선(9)의 굴곡 내구성이 저하되어 있어도, 상기 리어암(3)의 상기 요동에 의해 상기 배선(9)이 손상을 받을 우려를 최대한 회피할 수 있다.
또, 리어암(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륜차(1)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성부재(3A)와, 리어암(3) 전단부측에서 상기 구성부재(3A)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구성부재(3B)와, 리어암(3)의 후단부측에서 상기 구성부재(3A)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구성부재(3C)를 구비한다.
그리고, 리어암(3)은 구성부재(3A)에 구성부재(3B)와 구성부재(3C)를 부착할 때, 상기 구성부재(3B)와 상기 구성부재(3C) 사이에 위치하는 커버부재(23)의 일단부측(이륜차(1) 앞측에 위치하고 있는 단부측)을 상기 구성부재(3A)와 상기 구성부재(3B)의 일단부측으로 끼우고, 상기 커버부재(23)의 타단부측(이륜차(1)의 뒷측에 위치하고 있는 단부측)을 상기 구성부재(3A)와 상기 구성부재(3C)의 일단부측으로 끼운 구성이다(도 5∼도 7참조).
구성부재(3A)의 일측면측에는, 상기 구성부재(3A)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 전단부측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부재(3B)로 막 혀지고, 후단부측은 구성부재(3C)로 막혀져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부재(3A)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개구부는 상기 각 구성부재(3B, 3C)로는 막혀져 있지 않아, 그 상태로 하여 두면, 리어암(3)의 보강을 위해 구성부재(3A)의 내부에 설치한 리브(3D)가 리어암(3)의 외부에서 보여 이륜차(1)의 외관의 돋보임을 손상할 우려가 있고, 또한, 구성부재(3A)의 내부를 통과하고 있는 상기 배선(9)이 노출되어 이륜차의 주행중에 튀어오른 자갈 등으로 배선(9)을 손상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 구성부재(3A)의 상기 중간부의 상기 개구부를 막는 커버부재(23)가 리어암(3)에 설치되어 있다. 단, 상기 커버부재(23)는 상기 각 구성부재(3A, 3B, 3C)에 의해 끼워져 고정되어 있으므로, 커버부재(23)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예를 들면 볼트)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커버부재(23)를 고정하는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이륜차(1)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사용되는 메인스탠드(5)가, 이륜차(1)에서는 상기 컨트롤유닛(11)보다 앞측 근방에서, 상기 이륜차(1)의 메인프레임(MF1)의 아래쪽(예를 들면, 리어암(3)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있다(도 1참조).
즉, 메인스탠드(5)의 기단부측이 리어암(3)의 하부측에서 리어암(3)에 결합하고, 상기 메인스탠드(5)가 상기 리어암(3)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스탠드(5)와 상기 리어암(3)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컨트롤유닛(11)이나 회전전기기계(7)보다 앞측에 설치되어 있다.
메인스탠드(5)에는, 이 메인스탠드(5)를 상승 유지해 두기 위한 인장스프링(25)이 설치되어 있다(도 3, 도 4 참조). 그리고, 상기 메인스탠드(5)가 회동해서 상승했을 경우, 각 접지부(5A, 5B)를 형성하고 있는 메인스탠드(5)의 선단부측이, 상기 이륜차(1)의 후방으로 상승하게 되어 있다(도 1, 도 5 참조).
또, 메인스탠드(5)의 기단부와 선단부의 중간부에는, 상기 메인스탠드(5)가 상승했을 경우 상기 리어암(3)의 하부측에 설치된 피접촉부(29)(도 2 참조)와 접촉하는 접촉부(27)가, 상기 메인스탠드(5)의 상승시의 쇼크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27)와 상기 피접촉부(29)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양쪽 부분이 접촉했을 때의 쇼크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경질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스탠드(5)를 상승시킨 상태로 이륜차(1)가 단차(DL1)를 타고 넘을 경우, 이 단차(DL1)가 도 1의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면, 후륜(RW1)이 리어암(3)보다 먼저 단차(DL1)에 부딪히므로, 리어암(3)이나 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전기기계(7)나 컨트롤유닛(11)이 손상을 받는 일은 거의 없다.
그러나, 단차(DL1)가 도 1의 지면에 거의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지는 않고, 예를 들면, 메인스탠드(5)를 상승시킨 상태로 이륜차(1)가 전진할 경우, 후륜(RW1)에는 상기 단차(DL1)가 접촉하지 않고, 상기 단차(DL1)가 후륜(RW1)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는 리어암(3)에만 접촉하게 되어 있으면, 상기 단차(DL1)가 컨트롤유닛(11)이 설치되어 있는 리어암(3)에 직접 접촉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에 의해 이륜차(1)를 구성하고 있는 다른 부품에 비해서 비교적 고가인 회전전기기계(7)나 컨트롤유닛(11)을 손상할 우려가 있지만, 이륜차(1)에서는, 컨트롤유닛(11)의 앞측 근방에 메인스탠드(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리어암(3)보다 먼저, 메인스탠드(5)가 상기 단차(DL1)에 접촉한다.
따라서, 이륜차(1)가 상기 단차(DL1)를 타고 넘을 경우, 회전전기기계(7)나 컨트롤유닛(11)이 손상될 우려를 최대한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메인스탠드(5)의 접촉부(27)나, 상기 메인프레임(3)의 피접촉부(29)가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으면, 메인스탠드(5)가 상기 단차(DL1)에 접촉했을 때에 발생하는 충격 에너지를 상기 접촉부(27)나 피접촉부(29)가 흡수하므로, 회전전기기계(7)나 컨트롤유닛(11)이 손상될 우려를 한층 회피할 수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각 단차(DL2, DL3)를 이륜차(1)가 타고 넘을 경우에도, 단차(DL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전전기기계(7)나 컨트롤유닛(11)이 손상될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이륜차(1)에서는, 새들(SD1)을 구비한 메인프레임(MF1)과 상기 리어암(3) 사이에 리어쿠션(RC1)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리어암(3)과 상기 리어쿠션(RC1)의 연결부를, 상기 컨트롤유닛(11)의 장착위치를 회피한 위치(예를 들면, 컨트롤유닛(11)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보다 약간 앞측의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도 2참조).
즉, 컨트롤유닛(11)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내부에 보강을 위한 리브를 설치할 수 없는 리어암(3)의 부위를 피한 부위에서, 상기 리어쿠션(RC1)의 일단부 측은 리어암(3)에 결합되어 있다. 또, 리어쿠션(RC1)이 결합되어 있는 리어암(3)의 상기 부위는, 도 2나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을 위한 리브(3D)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컨트롤유닛(11)이 설치되어 있는 부위에 있어서, 리어암(3)의 외측에 별도 보강을 위한 리브를 설치하지 않고, 리어암(3)에 리어쿠션(RC1)을 지지할 수 있다.
또, 리어암(3)의 외측에 리브를 설치하지 않고 있으므로, 이륜차(1)의 주행중에 리어암(3)의 외측(특히, 컨트롤유닛(11)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외측)을 공기가 원활하게 흘러, 발열하기 쉬운 컨트롤유닛(11)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또한, 리어암(3)의 외측에 리브를 설치하지 않고 있으므로, 디자인상 산뜻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리어암(3)과 리어쿠션(RC1)의 상기 결합부가, 컨트롤유닛(11)과는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컨트롤유닛(11)이 발열해도 이 열이 리어암(3)과 리어쿠션(RC1)의 상기 결합부에까지 닿기 어렵고, 상기 결합부에,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열에 약한 탄성부재가 사용되어 있어도 이 탄성부재의 열에 의한 열화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륜차의 메인프레임에 전단부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후방으로 연장된 후단부측에서 후륜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후륜의 근방에 상기 후륜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회전전기 기계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회전전기기계의 근방에서 상기 회전전기기계를 구동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을 내부에 구비한 이륜차의 리어암에 있어서, 이 리어암의 외부에 설치된 배터리로부터 상기 리어암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컨트롤유닛까지 배선할 경우, 상기 배선의 일단부를 상기 배터리에 착탈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배선의 상기 일단부에 설치된 커플러의 외경보다 큰 내경의 관통구멍을 상기 리어암에 형성하지 않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컨트롤유닛까지의 배선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다시 말해, 상기 배선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상기 리어암에 형성한 관통구멍의 내경을 최대한 작게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륜차의 후륜을 구동하는 회전전기기계를 구동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리어암의 부분을, 이 리어암의 외부에 별도 보강을 위한 리브 등을 설치하지 않고 보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리어암을 갖는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리어암의 요동에 의한 배선의 요동량을 최대한 적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후륜(RW1)이 회전전기기계(7)로 구동되는 이륜차(1)의 메인프레임(MF1)에 전단부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이륜차(1)의 리어암(3)의 후단부측에, 상기 회전전기기계(7)를 부착한 구성의 상기 이륜차(1)의 리어암(3)에 있어서,
    상기 리어암(3)의 상기 전단부측을 복수의 구성부재(3A,3B)로 분할하고, 이 분할부에서 상기 구성부재(3A,3B) 중 적어도 하나에 노치(1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측에 구비한 전원과 상기 회전전기기계(7)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9)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1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의 리어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17)은 상기 전단부측의 상기 회동중심의 근방에서, 상기 이륜차(1)의 리어암(3)을 상기 이륜차(1)에 설치했을 때에 위쪽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17)에는 상기 배선(9)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배선(9)과 상기 관통구멍(17) 사이에 발생한 간극을 충전하기 위한 그로밋(19)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의 리어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암(3)의 상기 후단부측을, 상기 전단부측에서 상기 후단부측으로 길게 연장하여 상기 리어암(3)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부재(3A)와, 상기 후단부측에서 상기 리어암(3)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부재(3C)로 분할하고 있고,
    상기 각 구성부재(3A,3C)를 접합함으로써, 상기 리어암(3)의 상기 후단부측의 보강을 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의 리어암.
  4. 후륜(RW1)의 근방에 설치된 회전전기기계(7)로 상기 후륜(RW1)을 회전구동할 수 있는 이륜차(1)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구성을 가지고, 상기 이륜차(1)의 메인프레임(MF1)으로부터 상기 후륜(RW1)측으로 연장되고, 전단부측에서 상기 메인프레임(MF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후단부측에서 상기 회전전기기계(7)를 지지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후륜(RW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리어암(3);
    상기 메인프레임(MF1)에 설치된 상기 회전전기기계(7)의 전원인 배터리(BR1); 및
    상기 배터리(BR1)로부터 상기 회전전기기계(7)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9)을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BR1)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상기 배선(9)은, 상기 리어암(3)이 회동했을 때에 신축량이 적어지는 위치에서 상기 리어암(3)의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9)이 상기 리어암(3)의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가 있는 위치는, 상기 리어암(3)의 상기 전단부측의 상기 회동중심의 근방이며 상기 리어암(3)의 상방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KR1020030055602A 2002-08-13 2003-08-12 이륜차 및 이륜차의 리어암 Expired - Fee Related KR100555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35750A JP4188641B2 (ja) 2002-08-13 2002-08-13 二輪車及び二輪車のリヤアーム
JPJP-P-2002-00235750 2002-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686A KR20040015686A (ko) 2004-02-19
KR100555637B1 true KR100555637B1 (ko) 2006-03-03

Family

ID=30768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6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5637B1 (ko) 2002-08-13 2003-08-12 이륜차 및 이륜차의 리어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389579B1 (ko)
JP (1) JP4188641B2 (ko)
KR (1) KR100555637B1 (ko)
CN (1) CN1302959C (ko)
DE (1) DE60327137D1 (ko)
ES (1) ES2324098T3 (ko)
TW (1) TWI2387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8641B2 (ja) * 2002-08-13 2008-11-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二輪車及び二輪車のリヤアーム
JP2006056354A (ja) * 2004-08-19 2006-03-02 Honda Motor Co Ltd 電動車両における高圧配線保護構造
JP2008260501A (ja) 2006-06-09 2008-10-30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5220927B2 (ja) * 2009-09-15 2013-06-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二・三輪車における配線構造
JP5588825B2 (ja) * 2010-10-27 2014-09-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二輪車
TWI492876B (zh) 2010-11-18 2015-07-21 Honda Motor Co Ltd 電動車輛的驅動裝置
JP5695471B2 (ja) * 2011-03-31 2015-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JP5904808B2 (ja) * 2012-01-31 2016-04-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JP6561770B2 (ja) * 2015-10-27 2019-08-21 スズキ株式会社 電動車両の構造
US10787219B2 (en) 2016-03-31 2020-09-29 Honda Motor Co., Ltd. Electric vehicle drive device
CN106064658A (zh) * 2016-07-05 2016-11-02 台州市全顺电机有限公司 一种中间支撑结构及动力总成
JP6864108B2 (ja) * 2017-09-29 2021-04-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電動車両
JP7064608B2 (ja) * 2018-09-27 2022-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JP2020192952A (ja) 2019-05-30 2020-12-0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ユニット及び電動車両
JP2020192951A (ja) 2019-05-30 2020-12-0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ユニット及び電動車両
DE102020115400B4 (de) * 2020-06-10 2025-01-30 Lang Technik Gmbh Fahrzeug mit zweiarmiger Hinterradschwing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965A (ja) * 1997-07-15 1999-02-09 Honda Motor Co Ltd 電動パワーユニット
WO1999026837A1 (de) * 1997-11-19 1999-06-03 Marko Manthey Fahrrad mit einrichtung zur energieversorgung eines elektromotors
US6199651B1 (en) * 1997-12-11 2001-03-13 Vectrix Corporation Vehicle drive wheel assembly
EP1270395A2 (en) * 2001-06-27 2003-01-02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Electric driving unit and electric vehicle
EP1389579A1 (en) * 2002-08-13 2004-02-18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Rear arm for two-wheelers and two-wheel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8788B2 (ja) * 2000-09-05 2006-04-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JP3980819B2 (ja) * 2000-09-06 2007-09-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後輪懸架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965A (ja) * 1997-07-15 1999-02-09 Honda Motor Co Ltd 電動パワーユニット
WO1999026837A1 (de) * 1997-11-19 1999-06-03 Marko Manthey Fahrrad mit einrichtung zur energieversorgung eines elektromotors
US6199651B1 (en) * 1997-12-11 2001-03-13 Vectrix Corporation Vehicle drive wheel assembly
EP1270395A2 (en) * 2001-06-27 2003-01-02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Electric driving unit and electric vehicle
EP1389579A1 (en) * 2002-08-13 2004-02-18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Rear arm for two-wheelers and two-wheeler
JP2004074881A (ja) * 2002-08-13 2004-03-11 Yamaha Motor Co Ltd 二輪車及び二輪車のリヤア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08567A (en) 2004-06-01
JP2004074881A (ja) 2004-03-11
DE60327137D1 (de) 2009-05-28
KR20040015686A (ko) 2004-02-19
CN1302959C (zh) 2007-03-07
EP1389579B1 (en) 2009-04-15
EP1389579A1 (en) 2004-02-18
TWI238790B (en) 2005-09-01
CN1483629A (zh) 2004-03-24
JP4188641B2 (ja) 2008-11-26
ES2324098T3 (es) 200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637B1 (ko) 이륜차 및 이륜차의 리어암
US11161567B2 (en) Electric bicycle
US8919482B2 (en) Electric motorcycle
US20040079574A1 (en) Motor-operated vehicle
JP2013071547A (ja) 電動車両
CA2723577C (en) Vehicle
JP2012076522A (ja) 電動二輪車の車両接近告知装置
TWI581997B (zh) Straddle type electric vehicle
JP7699999B2 (ja) 電動バランスバイク
JPWO2019186947A1 (ja) 鞍乗型電動車両
JP2011207304A (ja) 自動二輪車
CN100528683C (zh) 电动自行车
JPH08108875A (ja) ペダル付二,三輪車の補機類配置構造
JP4757757B2 (ja) フロントバンパー
CN104627294B (zh) 电动摩托车
JP5333266B2 (ja) 電動式自動二輪車の制動装置
JP2016068828A (ja) 自動二輪車の前部構造
JP2021066219A (ja) 鞍乗型電動三輪車
JP4129905B2 (ja) 鞍乗型車両における車両構成部品の収納構造
JP5470107B2 (ja) 車両
WO2022107550A1 (ja) 鞍乗型車両
JP2023103889A (ja) 鞍乗型車両
CN115140222A (zh) 车辆
JP5514589B2 (ja) 車両
KR20100000284A (ko) 자전거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