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044B1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3044B1 KR100553044B1 KR1020040113375A KR20040113375A KR100553044B1 KR 100553044 B1 KR100553044 B1 KR 100553044B1 KR 1020040113375 A KR1020040113375 A KR 1020040113375A KR 20040113375 A KR20040113375 A KR 20040113375A KR 100553044 B1 KR100553044 B1 KR 1005530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collecting
- foreign matter
- vacuum cleaner
- collecting unit
- exhau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내부에 다수개의 이물분리챔버와 이물저장챔버가 형성되는 집진바디; 상기 집진바디의 토출측에 제공되어 상기 이물분리챔버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배기부; 및 상기 배기부의 내면과 접하도록, 상기 집진바디의 외면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가 포함된다.A dust collecting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foreign matter separating chambers a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s are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haust unit provided at the discharg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to guide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chamber; And guide ribs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part.
본 발명에 의해서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을 보다 편리하게 조립하고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기부를 향하여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하여질 때에는, 배기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가이드 리브에 의해서 충격이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배기부의 변형 또는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dvantageous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assembled and manufactured more conveniently. In addition, when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oward the exhaust portion, the impact can be supported by the guide rib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portion, and thus an effect of preventing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exhaust portion can be expected.
집진바디, 충격, 가이드 리브Dust collection body, impact, guide rib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의 정면 사시도.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유닛의 분리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유닛의 분해 사시도.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3의 Ⅰ-Ⅰ'의 단면도.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3.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세로 단면도.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0 : 집진바디 407 : 배기부 459 : 가이드 리브400: dust collecting body 407: exhaust 459: guide rib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이물이 집진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집진유닛의 조립작업이 편리하게 수행되고, 집진유닛의 강도가 개선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unit of a vacuum cleaner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vacuum cleaner body and the foreign matter is collecte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unit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an assembly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unit is conveniently performed and the strength of the dust collecting unit is improved.
진공 청소기는 기기 내부의 진공압에 의해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이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실내환경에 대한 청소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한편, 흡입된 공기 중에서 이물이 걸러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집진유닛이 요구되고, 상기 집진유닛의 내부에는 이물이 걸러지는 소정의 필터가 더 설치된다. The vacuum cleaner is a device for cleaning the indoor environment by filter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sucked by the vacuum pressure inside the device. On the other hand, a dust collecting unit is required in order to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sucked air, and a predetermined filter is further install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unit.
상기 필터의 종류로서 종래부터 있어 온 수단으로서는, 공기가 통과되는 다공성의 재질이 이용되어 공기가 상기 다공성 재질의 물품을 통과되는 중에 이물이 걸러지는 필터가 널리 이용되어 왔다. As a kind of said filter, the filter which filters the foreign material while the air is passing through the article of the porous material is used widely as the means which has conventionally been used.
상기 다공성 재질은 재활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필터를 청소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근래들어서는 싸이클론 장치가 주된 필터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싸이클론 장치는 미세한 이물까지는 걸려지지 못하기 때문에, 싸이클론 장치와 함께 별도의 다공성 재질의 필터가 요구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Since the porous material is not only inconvenient to recycle, but also difficult to clean the filter, recently, a cyclone device is used as the main filter. However, since the cyclone device is not caught up to the fine foreign matter, it was common to require a separate porous material filter together with the cyclone device.
그러나, 싸이클론 장치와 함께 다공성 재질의 필터가 함께 적용되는 경우에는, 결국 다공성 재질의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되는 문제가 계속해서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 재질의 필터에 이물이 침착되는 경우에는, 공기의 유속이 저하되어 진공 청소기의 동작 효율이 급감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porous filter is applied together with the cyclone devic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oblem of periodically cleaning the filter of the porous material continues to occur. In addition, when foreign matter is deposited on the filter of the porous materi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ow rate of air is lowered and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vacuum cleaner is sharply reduced.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공기가 싸이클론 유동되는 다수개의 분리챔버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dust collecting unit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a plurality of separation chambers in which air is cyclone-flowed are formed.
특히,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분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의 결합 작업이 편리하게 수행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dust collecting unit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vacuum cleaner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is conveniently performed.
또한, 조립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의 강도가 개선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이 증진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dust collecting unit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strength of 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vacuum cleaner to be assembled is improved,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은 내부에 다수개의 이물분리챔버와 이물저장챔버가 형성되는 집진바디; 상기 집진바디의 토출측에 제공되어 상기 이물분리챔버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배기부; 및 상기 배기부의 내면과 접하도록, 상기 집진바디의 외면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가 포함된다.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ust collecting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a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is formed therein; An exhaust unit provided at the discharg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to guide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chamber; And guide ribs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part.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집진유닛의 조립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고, 집진유닛의 강도가 개선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내구연한이 증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ing work of the dust collecting unit can be performed more conveniently, and the strength of the dust collecting unit can be improved,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and durability can be increas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에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흡입측에 연결되는 흡입관로가 포함된다.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흡입팬 및 집진유닛이 놓여서, 흡입된 공기 중에서 이물이 걸려져 깨끗해진 뒤에, 외부로 배출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흡입관로는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흡인력에 의해서 공기와 함 께 이물이 흡입되는 관로이다. 상세하게, 상기 흡입관로는 강한 공기 유동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공기와 함께 이물 및 먼지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노즐체(1)와, 상기 흡입 노즐체(1)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따라서 길이가 신축적으로 늘어나는 연장관(2)과, 상기 연장관(2)의 단부에 제공되는 동작 핸들(3)과, 상기 동작 핸들(3)의 전방에 사용자의 손이 닿는 부분에 제공되는 조작부(4)와, 상기 동작 핸들(3)에서 후방으로 더 연장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 구부러지는 플렉시블 관(5)과, 상기 플렉시블 관(5)의 단부에서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와 연결되는 커넥터(6)와, 상기 연장관(2) 또는 흡입 노즐체(1)의 소정 위치에 놓여 진공 청소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 연장관(2)이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연장관 걸이(7)가 포함된다. The suction pipe is a pipe in which foreign material is sucked together with air by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상기 커넥터(6)는 상기 조작부(4)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 신호가 진공 청소기 본체(100)로 인가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단자의 기능과, 흡입된 공기가 진공 청소기 본체(6)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이 동시에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넥터(6)의 단부에는 복수개의 전기 연결단이 더 제공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6)는 흡입관로의 어느 부분에 상기 조작부(4)가 놓일 경우에만 필요한 것으로서, 본원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상기 조작부(4)가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어느 곳에 형성되는 경우에, 커넥터(6)는 상기 신호 연결단이 없이 공기의 유입통로로서의 기능만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또한, 상기 흡입관로를 통하여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이물이 걸러지고 깨끗해진 뒤에,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vacuum cleaner
도 2는 진공 청소기 본체의 정면 사시도이다.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body.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진공 청소기 본체의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 제공되는 제 1 베이스(110)와, 상기 제 1 베이스(110)의 직근 상측에 놓이는 제 2 베이스(150)와, 상기 본체(100)의 후부의 양측에 제공되어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바퀴(111)와,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상측부에 제공되는 커버(200)와, 본체(100)의 전방부에서 상기 커버(200)와 상기 베이스(110)(150)가 연결되어 양자간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전방 서포터(170)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body will be described. In the
상기 전방 서포터(170)에는 상기 커넥터(6)가 연결되어 외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 서포터(170)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부의 형상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Of course, the
상기 제 2 베이스(150)는 상기 제 1 베이스(110)의 직근 상방에 제공되어 제품의 형상이 미려하게 유지되고,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하측부의 강도가 증가되도록 한다. The
상기 커버(200)의 후방에는 본체 배기구(302)가 형성되는 배기커버(301)가 제공되어, 진공 청소기 본체(100)에 의해서 깨끗해진 공기가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00)의 상면에는 소정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이동핸들(201)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핸들(201)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움직임으로써, 진공 청소기 본체(100)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직립되고 보관시에는 뉘어져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An
상기 전방 서포터(170)의 후방에는 집진유닛(400)이 안착되어 외기가 유입되고, 상기 집진유닛(400)의 내부에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이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싸이클론 부재가 수용된다. At the rear of the
도 3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집진유닛(400)은 진공 청소기 본체(100) 내부의 집진 유닛 수용부(151)에 상하 방향으로 안착된다. 그러므로, 장착시에는 하방으로 누르고, 탈거시에는 상측으로 당기면 된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전방 서포터(170)에는 본체 흡입구(17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흡입구(171)과 정렬되는 상기 집진유닛(400) 상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집진유닛 흡입구(401)가 위치한다. 그리고, 집진유닛(400)에서 상기 집진유닛 흡입구(401)와 반대되는 방향에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는 모터측 흡입구(172)와 정렬되어 집진유닛(400)을 통과하며 깨끗해진 공기가 모터측으로 흡입된다.The
특히, 상기 배출구와 상기 모터측 흡입구(172)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크기를 줄이고 공기가 원활히 유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납작한 직 사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된다. In particular, the outlet and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베이스(110)의 상측부에서 앞쪽에는 상기 제 2 베이스(150)가 놓이고, 뒷쪽에는 상기 모터 하우징(300)이 놓인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상기 커버(200)가 덮혀져서 진공 청소기의 본체(100)가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4, the
여기서, 상기 커버(200)는 상기 전방 서포터(170)가 별도의 부분으로서 상기 커버(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10)(15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하우징(300)에서는 상기 모터측 흡입구(17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동 방향이 수직으로 꺾여서 하방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된 공기는 모터 하우징(300)에서 유동 방향이 수평으로 꺾여서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Here,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진 유닛(400)은 스펀지등과 같은 다공성의 필터가 사용되지 아니하고, 싸이클론 유동에서 이물이 걸러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 유동은 서로 분리되는 두개소 이상의 분리챔버에서 각각 수행되도록 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까지 완전하게 필터링되도록 하는 것에 일 특징이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dust collecting
상세하게 설명하면, 복수 개의 이물분리챔버(도 6의 423, 424참조)와 복수개의 이물저장챔버(도 6의 417, 416참조)가 형성되는 집진바디(406)와, 상기 집진바디(406)의 하측부에 밀폐로 제공되어, 상기 이물저장챔버(416)(417)에 저장되는 이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챔버 실링부(415)(402)와, 상기 집진바디(406)의 상방에 놓여서 집진바디(406)에서 배기되는 공기의 토출측에 제공되는 배기부(407)와, 상기 배기부(407)의 상방에 소정의 간격으로 제공되어 배기부(407)를 통과한 공기가 일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간격부(408)와, 상기 간격부(408)의 상방에 놓이는 커버구조(409)(410)(411)(412)가 포함된다. In detail, a dust collecting
상세하게, 상기 커버구조는 모체를 이루는 제 1 커버(410)와, 상기 제 1 커버(4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놓이는 제 3 커버(412) 및 제 2 커버(409)와, 상기 제 1 커버(410)와 제 2 커버(409)가 같이 고정되도록 하는 커버 삽지구(411)가 포함된다. 상기 커버 삽지구(411)는 상기 제 1 커버(410) 상면부의 일부분을 덮어서 외관이 아름답게 구현되고, 상기 제 1 커버(410) 및 제 2 커버(409)가 동시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이 수행된다.In detail, the cover structure includes a
상기 집진바디(406)의 내부에는, 싸이클론 유동에서 오물 분리가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는 원추형 필터(405)와, 상기 원추형 필터(405)의 하방에 놓여서 포집된 이물의 재비산을 방지하는 차단부(404), 상기 차단부(404)의 하방에 형성되어 회전운동되는 공기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이물이 오물저장챔버의 내부에 가라앉도록 하는 유동방지판(403)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404)와 상기 유동방지판(403)은 한 몸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추형 필터(405)는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Inside the
또한, 상기 제 1 커버(410)의 일측부에는 개폐버튼(413)이 놓이고, 상기 개폐버튼(413)과 일단이 닿아서 상기 개폐버튼(413)의 푸쉬 동작에 의해서 회동운동이 수행되는 개폐레버(414)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개폐레버(414)의 타단은 상기 제 1 챔버 실링부(415)와 닿는다. 그러므로, 상기 개폐버튼(413)의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 상기 개폐레버(414)는 소정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레버(414)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 1 챔버 실링부(415)와 상기 개폐레버(414)와의 접촉부가 떨어지면, 상기 제 1 챔버 실링부(415)는 자중에 의해서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이물저장챔버(416)(417)의 내부에 포집되어 있던 이물은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폐기된다.
In addition, an opening and
또한, 상기 챔버 실링부(415)(402)는 각각의 실링부에 의해서 이물저장챔버(415)(416)의 하측면 각각이 별도로 밀폐 실링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챔버 실링부(415)는 상기 집진바디(406)에 힌지결합되고, 이물의 폐기시에 제 1 챔버 실링부(415)가 힌지운동에 의해서 열려서 이물이 손쉽게 버려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바디(406)의 상면에는 제 1 이물분리챔버(423)와 제 2 이물분리챔버(424)를 구획하고 유로를 형성하는 분리판(437)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집진바디(406)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기부(407)가 집진바디(406)의 바깥쪽으로 안착될 때 위치가 용이하게 찾아지고, 삽입 동작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리브(45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459)의 상측 모서리 부위는 부드럽게 만곡되도록 하여, 배기부(407)의 삽입동작이 손쉽게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리브(459)의 외측면에 상기 배기부(407)의 내측면이 접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배기부(407)로 외부의 충격이 가하여지더라도 가이드 리브(459)에 의해서 충격이 흡수되고 충격이 지지되기 때문에, 배기부(407)의 몸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도 6은 도 3의 Ⅰ-Ⅰ'의 단면도로서, 도 6을 참조하여, 집진 유닛(400)의 내부 구성 및 집진유닛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3 and with reference to FIG. 6,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먼저, 상기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진유닛(400)에는, 집진바디(406)와, 상기 집진바디(406)의 하측을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실링부(402)(415)와, 상기 집진바디(406)의 내부에 수용되어 집진효율을 증대시키는 원추형 필터(405)와, 포집된 이물의 재비산을 막는 차단부(404)와, 싸 이클론 유동의 유속이 저하되어 이물이 낙하되도록 하고, 먼지의 들뜸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판(403)과, 상기 집진바디(406)의 상측에 놓여서 상기 집진바디(406)로부터 배기되는 공기가 원활히 유동되도록 하는 배기부(407)와, 배기부(407)를 경유한 공기가 일방향으로 모이도록 하는 간격부(408)와, 상기 배기부(407)의 상측부에 놓이는 커버(409)(410)(411)(412)가 도시된다. First, a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in the
상기 집진바디(406)의 구성을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집진바디(406)는 상하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벽이 제공되는데, 최외각에 형성되는 외벽(418)과, 상기 외벽(418)의 안쪽에 형성되는 중간벽(419)과, 상기 중간벽(419)의 안쪽에 형성되는 내벽(42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벽(419) 및 내벽(420)은, 상기 집진유닛측 흡입구(401)가 통과되는 간격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원활하게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The
상기 외벽(418) 및 중간벽(419)의 사이 공간은 제 1 이물저장챔버(416)가 되고, 상기 중간벽(419)과 상기 내벽(420)의 사이 공간은 제 2 이물저장챔버(417)가 되고, 상기 내벽(420)의 내부 공간은 제 1 이물분리챔버(423)가 된다. 다만, 구체적으로 집진유닛(400)의 형태에 따라서, 공간의 사용상의 목적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The space between the
상기되는 구성에 의한 작용 내지 동작을 공기의 유동순서를 기준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집진유닛측 흡입구(401)를 통하여 집진유닛(4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집진유닛측 흡입구(401)는 외측으로는 상기 전방 서포터(170)와 접하고, 내측으로는 상기 제 1 이물분리챔버(423)와 연통되어 외기가 유 입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유닛측 흡입구(401)의 내측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상기 제 1 이물분리챔버(423)의 내주면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제 1 유입 가이드(421)가 상기 내벽(420)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The operation or operation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flow order of air. First, th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상기 제 1 이물분리챔버(423)의 내부에서 공기가 싸이클론 유동하는 중에, 이물은 하방으로 낙하되고 깨끗한 공기는 원추형 필터(405)의 개공을 통과하여 상측방향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원추형 필터(405)가 적용되는 것은, 집진유닛측 흡입구(401)가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원추형 필터(405)의 상측부에는 비교적 고속회전의 싸이클론 유동이 일어나고, 하측부에는 비교적 저속의 싸이클론 유동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즉, 고속의 싸이클론 유동에서는 이물이 외측으로 좀더 많이 치우쳐서 회전되지만, 저속의 싸이클론 유동에서는 이물질이 내측으로 좀더 많이 퍼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물이 걸러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터 부재가 원추형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uring the cyclone flow of air in the first foreign
상기 원추형 필터(405)는 제 1 이물분리챔버(423)의 상면벽을 이루는 분리판(437)의 중심부에 안착되고, 상기 분리판(437)에서 선택적으로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원추형 필터(405)에는 다수의 개공이 형성되어 공기가 외부에서 안쪽으로 통과하여 유입되는 것은 물론이다.The
여기서, 낙하된 이물의 재비산이 방지되기 위하여 상기 원추형 필터(405)의 하측에는 차단부(404)가 놓이고,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404)는 하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확장됨으로써, 이물의 상승이 차단되어 들뜨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404)의 하방에는 유동방지판(40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일단 포 집된 이물에 대해서는 싸이클론 공기 유동이 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물이 들뜨는 현상이 원천적으로 없어지도록 한다. Here, the blocking
또한, 상기 제 1 이물분리챔버(423)의 내부에서 걸러진 이물은 하방의 제 1 이물저장챔버(416)에 저장된다. 여기서, 저장된 이물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이물저장챔버(416)의 하단부에는 제 1 챔버실링부(415)가 놓인다. In addition, the foreign material filtered in the first foreign
한편, 상기 원추형 필터(405)를 통과하여 분리판(437)의 상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대략적으로 큰 이물은 걸러진 상태이다. 그러므로, 이차적으로 미세한 이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싸이클론 유동이 더 필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더 수행되는 싸이클론 유동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상기 원추형 필터(405)를 통과한 공기는 제 2 유입가이드(422)를 통하여 복수개의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제 2 유입가이드(422)는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주면을 접선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기 때문에,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챔버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일어난다. Air passing through the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분리되는 이물은 하방으로 낙하되어 제 2 이물저장챔버(417)에 저장된다. 그리고, 낙하된 이물이 다시금 비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하측부는 수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이물저장챔버(417)의 내부에 포집되는 이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이물저장챔버(417)의 하측부는 제 2 챔버실링부(402)에 의해서 밀폐된다.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by the cyclone flow in the second foreign
여기서, 상기 제 2 챔버실링부(402)는 바 형태의 연결구조에 의해서 상기 제 1 챔버실링부(415)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챔버실링부(415)와 제 2 챔버실링부(402)가 바 형태의 연결구조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은, 상기 제 1 이물저장챔버(416)의 내부용적을 크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 챔버실링부(402)의 하단에서 제 1 챔버실링부(415) 상단까지의 이격되는 공간에는 이물이 저장되기 때문에, 이물이 보다 많이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바 형태와 같은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부재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Here, the second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부에서 이물이 걸러진 뒤에는 배기부측 흡입구(425)를 경유하여 배기부(407)로 유입되어, 상기 배기부(407)와 간격부(408)의 사이간격의 공간에 모인다. 여기서, 상기 배기부측 흡입구(425)의 직경은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경보다 축소되는데, 이와 같은 직경의 관계로 인하여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이물이 상기 배기부(407)로 함께 유동하는 가능성은 더욱 줄어드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주면에 모여있는 이물은 상기 배기부측 흡입구(425)를 통하여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fter the foreign material is filtered in the second foreign
설명된 바와 같이, 두 군데의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이물이 걸러진 공기는, 상기 모터측 흡입구(172)로 유입되어 모터로 유입된다. 그리고, 모터를 통과한 뒤에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후면으로 배기된다. As described, the air filtered by foreign matter by two cyclone flows is introduced into the
한편, 상기 간격부(408)의 상측부에는 소정의 커버구조가 더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전체적인 커버구조를 이루는 제 1 커버(410)과, 상기 제 1 커버(410)의 전 방 및 후방을 보호하는 제 3 커버(412) 및 제 2 커버(409)와, 상기 제 1 커버(410)에 상기 제 2 커버(409)가 고정되도록 하는 커버 삽지구(411)가 제공된다.Meanwhile, a predetermined cover structure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한편, 상기 배기부(407) 하단의 내측면은 상기 가이드 리브(459)에 접하여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배기부(407)가 상기 가이드 리브(459)에 의해서 지지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대한 배기부(407)의 강도가 증진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459)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상기 집진바디(406)의 외주면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가이드 리브(459)와, 상기 가이드 리브(459)의 외측면에 내측면이 접하는 배기부(407)가 형성된다.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가이드 리브(459)는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분리챔버(424)의 외벽에서 일체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 리브(459)의 강도가 더욱 증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459)의 상단면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만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기부(407)가 상측에서 하방으로 삽입될 때 상기 배기부(407)의 내측면이 가이드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상기 배기부(407)를 설치하는 작업이 보다 수월해 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가이드 리브(459)는 대응되는 배기부(407)의 각 내측면에 대해서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배기부(407)의 어느 면에 충격이 가하여지더라도 배기부(407)의 파손이 억제되고, 내구성이 증진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리브(459)가 여러방향에서 다수개가 형성됨으로써, 배기부(407)의 설치 작업이 편리해지는 것도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상기되는 집진유닛(400)의 동작과 함께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전체적인 동작 내지 작용을 도 7에 제시되는 진공 청소기의 세로 단면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overall oper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도 7을 참조하면, 외기는 커넥터(6)와 연결되는 본체측 흡입구(171)를 통하여 진공 청소기 본체(100)로 유입되고, 집진유닛측 흡입구(401)를 통하여 집진유닛(40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집진유닛(400)의 내부에서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동작 및 작용에 의해서 이물이 걸러진 뒤에, 모터측 흡입구(172)를 통하여 모터 하우징(300)의 내부로 유입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vacuum cleaner
이때, 상기 모터 하우징(300)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유입구는 상방을 향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집진유닛(400)을 통과하여 수평으로 유입된 공기는 진행방향이 꺾여서 하방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하우징(300)을 통과한 뒤에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배면에 제공되는 본체 배기구(30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At this time, the inlet is directed upward in the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은 상술되는 바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이러한 실시예도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propose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uch embodiment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을 보다 편리하게 조립하고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propo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assembled and manufactured more conveniently.
또한, 배기부를 향하여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하여질 때에는, 배기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가이드 리브에 의해서 충격이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배기부의 변형 또는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oward the exhaust portion, the impact can be supported by the guide rib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portion, and thus an effect of preventing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exhaust portion can be expected.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3375A KR100553044B1 (en) | 2004-12-27 | 2004-12-27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US11/232,875 US7485164B2 (en) | 2004-12-27 | 2005-09-23 |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
EP05109174A EP1674017B1 (en) | 2004-12-27 | 2005-10-04 |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
RU2005140674/12A RU2314011C2 (en) | 2004-12-27 | 2005-12-26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varia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3375A KR100553044B1 (en) | 2004-12-27 | 2004-12-27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53044B1 true KR100553044B1 (en) | 2006-02-15 |
Family
ID=3717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1337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3044B1 (en) | 2004-12-27 | 2004-12-27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53044B1 (en) |
-
2004
- 2004-12-27 KR KR1020040113375A patent/KR10055304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33605B1 (en)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
KR100697429B1 (en) | Vacuum cleaner | |
KR100569330B1 (en)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
KR100553042B1 (en)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
KR100709417B1 (en) | Vacuum cleaner | |
US7501002B2 (en) | Cyclone dust separator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KR100709418B1 (en) | Vacuum cleaner | |
KR100677982B1 (en) | Motor filter seating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
KR100713272B1 (en) | Vacuum cleaner | |
KR20060118795A (en) | Vacuum cleaner | |
KR100575319B1 (en)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
KR20060086088A (en)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
KR100553044B1 (en)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
KR100697428B1 (en) | Damper mounting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
KR100548933B1 (en) | Suction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
KR100676528B1 (en) | Dust collection unit mounting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
KR100676533B1 (en) | Euro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
KR100553043B1 (en)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
KR100709403B1 (en) | Handle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
KR100676532B1 (en) | Cover structure of dust collection unit | |
KR100676531B1 (en) | Dust collection unit switchgear of vacuum cleaner | |
KR100569351B1 (en) | Nozzle Parking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
KR100596250B1 (en) | Foreign body discharge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
KR100596252B1 (en)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
KR100596251B1 (en)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7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504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