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2334B1 -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 - Google Patents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334B1
KR100552334B1 KR1020050106863A KR20050106863A KR100552334B1 KR 100552334 B1 KR100552334 B1 KR 100552334B1 KR 1020050106863 A KR1020050106863 A KR 1020050106863A KR 20050106863 A KR20050106863 A KR 20050106863A KR 100552334 B1 KR100552334 B1 KR 100552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unloading equipment
present
stopper
unloa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옥
Original Assignee
(주)그린포닉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포닉스시스템 filed Critical (주)그린포닉스시스템
Priority to KR1020050106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33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7/00Railway stops fixed to permanent way; Track brakes or retarding apparatus fixed to permanent way; Sand tracks or the like
    • B61K7/02Track brakes or retar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7/00Railway stops fixed to permanent way; Track brakes or retarding apparatus fixed to permanent way; Sand tracks or the like
    • B61K7/16Positive railway stops
    • B61K7/20Positive wheel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8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with 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e.g.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C)을 따라서 이동하는 하역장비(A)의 주행차륜(B)과 레일(C)의 사이에 형성되어 하역장비(A)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공지의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에 있어서, 상기 레일(C)의 상부에 안착되며 양측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112)을 형성하되 전방에는 상기 주행차륜(B)의 외주연과 밀착되도록 대응되는 만곡형상을 갖는 밀착부(111)가 구비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하부방향으로 자력을 발생 및 차단시켜 상기 레일(C)과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지의 수동자력발생기(120)로 구성되는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하역장비의 주행차륜과 레일 사이에 삽입시킨 후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자력을 발생시켜 레일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하역장비의 유동 및 이동으로 인한 충돌 및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손쉽게 조작하여 자력을 발생 및 차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의 증대는 물론 하역장비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의 활용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전혀 필요치 않으며, 하역장비를 개조 및 변경하지 않고도 적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은 물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 및 유압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설치위치 및 작업환경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주변 작업자들에게 하역장비가 현재 유지보수 및 정지중임을 알리기 위한 안전깃발을 형성하여 작업자들에게 안전의식을 고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하역장비, 레일, 고정, 점검, 안전, 이동, 방지, 스톱퍼

Description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Rail stopper for cargo equipment}
도 1 - 본 발명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 - 본 발명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 -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 - 본 발명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 - 본 발명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7 - 본 발명을 적용하여 하역장비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 측면도.
도 8 - 본 발명을 레일에 안착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이하 레일 스톱퍼라 한다)
110: 몸체 111: 밀착부
112: 이탈방지턱 113: 손잡이
114: 통공(通孔) 115: 결합핀
120: 수동자력발생기 121: 결합공
130: 안전깃발 삽입구 131: 삽입공
140: 안전깃발
A: 하역장비
B: 주행차륜 C: 레일
본 발명은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하역장비의 주행차륜과 레일 사이에 삽입하고 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레일과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므로 하역장비의 이동 및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역장비는 제철소 및 조선소 등과 같은 대부분의 중공업분야에서 공장 또는 부두에 쌓여 있는 중량물(코일) 및 원료(광석, 석탄)를 운반 및 하역시키기 위한 장비로써, 본 발명에서 하역장비라 함은 레일(C)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중량물을 이송 및 원료를 하역하기 위한 공지의 천장크레인(Overhead crane), 갠트리크레인(Gantry crane), 브릿지크레인(Bridge crane), 리크레이머(Reclaimer), 디 스트리뷰터(Distributor), 언로더(Unloader) 등을 통칭한다.
이때 상기의 하역장비들은 공통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중량물 및 원료를 운반 및 하역시키기 위해서 레일(C)이 형성되므로, 상기 레일(C)을 따라서 하역장비(A)가 원활한 이동을 하면서 중량물 및 원료를 효율적으로 하역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하역장비(A)는 레일(C)을 따라서 이동됨은 용이하나, 일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하역장비(A)의 유지보수를 하거나 작업이 완료되어 정지상태에서 외부충격이나 자연현상(강풍)으로 상기 하역장비(A)가 쉽게 유동(遊動)하게 되므로, 결국 주변장비와의 충돌로 인한 손상 및 파손되는 경제적인 손실을 발생함은 물론 작업자가 협착(狹窄)되는 인재사고가 발생하게 되었으며, 심한 경우에는 레일(C)을 탈선하여 하역장비(A)가 전도(顚倒)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역장비 하측에 장착되는 클램프하우징(105) 내측에 제1실린더(115A)가 고정되어 그 하측에 링크(120A)로서 클램프로드(130A)가 연결되며, 상기 클램프로드(130A)의 하측에 내측으로 향한 경사면을 갖는 죠(125A)가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하우징(105)에 고정되는 클램프 고정판(135)에 스프링(140A)을 개재하여 제1실린더(115A)가 설치되며, 상기 제1실린더(115A)의 하단부 역시 링크(120A)의 하측에 스프링(140A)이 삽입토록 되는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1고정부(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대향설치되어 클램프하우징(105)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로드(130A)에 고정되는 가이드바(210)가 스프링(170A)(170B)을 개재하여 클램프로드(130B)에 이동가능토록 삽입되고, 상기 클램프로드(130B)의 하단에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면을 갖는 죠(125B)가 결합되는 제2고정부(200)로 구성되는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가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1999-0026740호로 안출된 바가 있다.
즉, 상기의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는 하역기(하역장치)의 유동현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고정된 죠(125A)의 내측면으로 상기 죠(125B)가 이동되면서 상기 레일(110)을 압착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 는 레일(110)을 고정하기 위해서 순차적으로 작동되는 구조가 복잡하므로, 결국 잦은 고장 및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하역장비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본질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상기 레일(110)과의 마찰이 집중되어 쉽게 마모되므로 일정시간이 지나면 주기적으로 상기 죠(125A, 125B)를 교체해야 하므로 작업의 번거로움은 물론 레일(110)과의 밀착력이 저하되어 하역장비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빈도를 증가시키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마모 및 파손된 상기 죠(125A, 125B)의 교체작업을 위해서 하역장비를 정지시켜야 하므로 하역작업의 지연으로 작업효율의 저하는 물론 중량물 및 원료의 하역지연으로 막대한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더구나 종래의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는 하역장비의 일측에 아무런 보호장치 없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운행차량 및 하역장비 등과 충돌사고로 인해 쉽게 파 손 및 손상되어 내구성 및 안전성이 결여되는 매우 치명적인 폐단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의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는 각각의 하역장비마다 설치해야 하므로, 이로 인해 제작 및 설치비용의 증가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원(電源) 또는 유압시스템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므로 정전이 되거나 유압시스템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가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하역장비와 레일과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더욱 견고하게 하역장비를 고정할 수 있는 장치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역장비의 주행차륜과 레일 사이에 삽입시켜 작업자의 조작으로 자력을 발생함으로써 밀착력을 향상시켜 하역장비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작업자가 손쉽게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여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일측 또는 양측에 작업자들의 시각적 주의력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깃발을 형성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100)는 레일(C)의 상부에 안착되며 양측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112)을 형성하되 전방에는 상기 주행차륜(B)의 외주연과 밀착되도록 대응되는 만곡(彎曲)형상을 갖는 밀착부(111)가 구비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하부방향으로 자력을 발생 및 차단시켜 상기 레일(C)과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지의 수동자력발생기(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탈방지턱(112)은 작업자가 더욱 편리하게 본 발명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100)를 상기 레일(C)의 상부에 안착시킴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흔들림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밀착부(111)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행차륜(B)의 외주연과 긴밀한 밀착을 유지하여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 기 밀착부(111)의 형상은 상기 주행차륜(B)의 외주연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몸체(110)가 상기 주행차륜(B)과 레일(C)의 사이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반대로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손쉽게 상기 주행차륜(B)과 레일(C)의 사이에서 이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는 본 발명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100)의 이동성 및 운반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손잡이(11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113)는 상기 몸체(110)와 회동이 가능토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안전깃발 삽입구(13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안전깃발 삽입구(130)의 일측에 천공된 삽입공(131)에 삽입되는 안전깃발(140)을 형성함으로써, 주위 작업자들에게 현재상태(유지보수 및 정지)를 알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안전깃발(140)에는 경고문구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작업자들의 시각적 주의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때 상기 안전깃발(140)의 색상은 붉은색으로 제작되고, 표면에 형성되는 경고문구는 "위험", "작업중", "주의" 등의 다양한 문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경고문구가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특히 상기 안전깃발(140)은 야간 및 우천시 작업자들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야광재질을 갖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수동자력발생기(120)는 상기 레일(C)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상기 하역장비(A)의 유동 및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 대략적인 구성은 하부에 비자성체가 부설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회전축과,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는 작동 레버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작동 레버를 회전함으로써 하부방향으로 흡입 자력 또는 반발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레일(C)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결국 하역장비(A)의 유동 및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동자력발생기(120)는 상기 몸체(120)의 내부에 삽입되며, 이탈방지 및 고정을 위해서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천공된 통공(114)과, 상기 수동자력발생기(12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121)과 관통 결합하는 결합핀(115)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동자력발생기(120)의 더욱 상세한 내부구조(도면) 및 작동원리는 당업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자력흡착기(리프팅 마그네트)이므로 본 발명에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보수 또는 정지중인 하역장비(A)의 주행차륜(B)과 레일(C)의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수동자력발생기(120)의 작동 레버를 조작하여 자력을 하부방향을 발생시킴으로, 상기 레일(C)과 견고하게 결합하므로, 이로 인해 상기 하역장비(A)의 유동 및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하역장비(A)의 유지보수 완료 및 재가동시킬 경우에는 작업자가 다시 상기 수동자력발생기(120)를 조작하여 자력을 차단한 후 본 발명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100)를 작업자가 들어서 상기 레일(C)에서 이탈시킴으로써 하역장비(A)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하역장비의 주행차륜과 레일 사이에 삽입시킨 후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자력을 발생시켜 레일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하역장비의 유동 및 이동으로 인한 충돌 및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손쉽게 조작하여 자력을 발생 및 차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의 증대는 물론 하역장비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의 활용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전혀 필요치 않으며, 하역장비를 개조 및 변경하지 않고도 적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은 물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 및 유압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설치위치 및 작 업환경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주변 작업자들에게 하역장비가 현재 유지보수 및 정지중임을 알리기 위한 안전깃발을 형성하여 작업자들에게 안전의식을 고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레일(C)을 따라서 이동하는 하역장비(A)의 주행차륜(B)과 레일(C)의 사이에 형성되어 하역장비(A)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공지의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에 있어서,
    상기 레일(C)의 상부에 안착되며 양측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112)을 형성하되 전방에는 상기 주행차륜(B)의 외주연과 밀착되도록 대응되는 만곡형상을 갖는 밀착부(111)가 구비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상기 레일(C)방향으로 자력을 발생 및 차단시켜 상기 레일(C)과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지의 수동자력발생기(12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안전깃발 삽입구(130)가 형성하되, 상기 안전깃발 삽입구(130)의 일측에 천공된 삽입공(131)에는 작업자들의 시각적 주의력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깃발(140)이 끼워지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손쉽게 이동 및 운반할 수 있도록 손잡이(113)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자력발생기(120)는 공지의 리프팅 마그네트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
KR1020050106863A 2005-11-09 2005-11-09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 Expired - Fee Related KR100552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863A KR100552334B1 (ko) 2005-11-09 2005-11-09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863A KR100552334B1 (ko) 2005-11-09 2005-11-09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807U Division KR200400813Y1 (ko) 2005-08-18 2005-08-18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2334B1 true KR100552334B1 (ko) 2006-02-21

Family

ID=3717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8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2334B1 (ko) 2005-11-09 2005-11-09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33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750B1 (ko) 2010-12-28 2012-09-11 한국철도공사 열차의 구름막이용 클램프
CN103287457A (zh) * 2012-12-20 2013-09-11 李孝杰 一种磁力制动式矿用斜井防跑车装置
KR101344315B1 (ko) 2012-08-30 2013-12-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KR20160047873A (ko) * 2014-10-23 2016-05-03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용 차륜 고정장치
WO2018211473A1 (en) * 2017-05-18 2018-11-22 Kopman Tyron Earl Scotch block apparatus
KR101931517B1 (ko) * 2017-03-30 2018-12-24 대한민국 자력식 레일 스토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4145A (ja) * 2000-10-11 2002-04-16 Daito Koki Kk 車止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4145A (ja) * 2000-10-11 2002-04-16 Daito Koki Kk 車止め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4114145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750B1 (ko) 2010-12-28 2012-09-11 한국철도공사 열차의 구름막이용 클램프
KR101344315B1 (ko) 2012-08-30 2013-12-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CN103287457A (zh) * 2012-12-20 2013-09-11 李孝杰 一种磁力制动式矿用斜井防跑车装置
KR20160047873A (ko) * 2014-10-23 2016-05-03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용 차륜 고정장치
KR101645097B1 (ko) 2014-10-23 2016-08-02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용 차륜 고정장치
KR101931517B1 (ko) * 2017-03-30 2018-12-24 대한민국 자력식 레일 스토퍼
WO2018211473A1 (en) * 2017-05-18 2018-11-22 Kopman Tyron Earl Scotch block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334B1 (ko)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
CN204265288U (zh) 断绳保护装置和工程机械
KR200400813Y1 (ko) 하역장비용 레일 스톱퍼
CN205257829U (zh) 一种汽车零部件吊装运输装置
CN103612988A (zh) 半自动输送系统气控回路
CN216620636U (zh) 隧道窑用窑车自动牵引机构
CN102328808A (zh) 线摩擦制动带式输送机
US6286696B1 (en) Hoist system anti-drift device
KR200465955Y1 (ko) 트롤리 록킹장치
CN118458597A (zh) 吊装行车装置
CN202243521U (zh) 铁路车辆用提钩杆及铁路车辆
CN202089543U (zh) 线摩擦制动带式输送机
CN111392588A (zh) 一种用于桥式起重机快速更换车轮的设备
CN214001668U (zh) 一种单轨吊系统自动挡车装置
CN106629450A (zh) 用于电动葫芦防坠落安全装置
KR100561521B1 (ko) 하역장비용 자동 레일 스톱퍼
CN201102866Y (zh) 具有通行指示装置的轮胎式集装箱起重机
CN205575394U (zh) 一种用于防止桥式起重机运行时脱离轨道的保护装置
CN205044732U (zh) 架空乘人装置及用于其的保护装置
CN210973451U (zh) 一种矿井提升机防过卷保护装置
CN204528723U (zh) 一种铁路货运装车专用的可计数提升机装置
CN220243213U (zh) 一种便携式铁路自翻车防扣斗安全装置
CN204488807U (zh) 用于铁路轨道车辆的车体连挂装置
CN201901509U (zh) 卧式变压器整体吊运装置
CN2468980Y (zh) 单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8 Dual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51109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