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2196B1 -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196B1
KR100552196B1 KR1020040046875A KR20040046875A KR100552196B1 KR 100552196 B1 KR100552196 B1 KR 100552196B1 KR 1020040046875 A KR1020040046875 A KR 1020040046875A KR 20040046875 A KR20040046875 A KR 20040046875A KR 100552196 B1 KR100552196 B1 KR 100552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is
frt
pillar
acu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1800A (ko
Inventor
장윤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196B1/ko
Publication of KR20050121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19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4Communication circuits for data transmission
    • B60R2021/01047Architecture
    • B60R2021/01054Bus
    • B60R2021/01068Bus between different sensors and airbag control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 후방 충돌시 측면 에어백 및 측면 커튼 에어백 전개 성능을 향상시킨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에어백을 전개시키기 위한 전개 신호를 제어하고 에어백의 오전개를 방지하기 위한 Y-방향 안전 센서(SAFING SENSOR)가 장착된 에어백 콘트롤 유니트(ACU; 20)와; DAB(21)와; PAB(22)와; SAB(23)와; CAB(24)와; 전석의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B-PILLAR 하단 또는 B-PILLAR 하단 SILL-SIDE 부에 장착되어 Y-방향 가속도를 센싱하여 측면 에어백(SIDE AIRBAG, SAB; 23)과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 CAB; 24)을 전개시키기 위한 측면 전방 충돌센서(FRONT SIDE IMPACT SENSOR, FRT-SIS; 25)와; 후석 탑승자의 측면 후방 충돌시 보호를 위하여 C-PILLAR 하단 또는 C-PILLAR 하단의 SILL-SIDE부에 장착되어 측면 후방 Y-방향의 가속도를 센싱하는 측면 후방 충돌 센서(REAR SIDE IMPACT SENSOR, REAR-SIS; 26)로 구성된다.
에어백, 측면, 충돌

Description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of Side Air Back}
도 1은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시스템 가속도 값의 명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ACU 21 : DAB
22 : PAB 23 : SAB
24 : CAB 25 : FRT-SIS
26 : REAR-SIS
본 발명은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면 후방 충돌시 측면 에어백 및 측면 커튼 에어백 전개 성능을 향상시킨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 중 또는 정차 중에 차량의 측면에 충돌 발생시 탑승자 보호를 위하여 측면 에어백을 전개한다.
에어백의 전개 원리는 차량의 측면 차체에 측면 충돌 가속도를 센싱하는 측면 충돌 감지 센서와 에어백 시스템을 제어하면서 오전개를 방지하기 위한 에어백 콘트롤 유니트에서 일정한 가속도값 이상을 인식하면 에어백을 전개시킨다.
에어백 전개 시간은 차량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실제 차량으로 충돌속도 및 모드별로 충돌실험을 하여 각 충돌 시험시 충돌 데이터를 활용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에어백 전개 THRESHOLD 및 전개 시간 결정)을 통하여 차량의 에어백 전개 조건을 결정한다.
현재 측면 에어백 장착 차량에서는 측면 충돌 가속도를 감지하는 측면 충돌 감지 센서를 차량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1개씩 두어서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B-PILLAR의 INNER PANEL이나 SIDE SILL 상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은 도 1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ACU(AIRBAG CONTROL UNIT; 10)는 에어백 시스템을 제어하고 오전개를 방지하기 위하여 SAFING SENSOR가 내장된 유니트이다.
DAB(DRIVER AIRBAG; 11)는 운전석 에어백(운전석 핸들에 장착된 에어백)이고, PAB(PASSENGER AIRBAG; 12)는 조수석 에어백(조수석 정면에 장착된 에어백)이며, SAB(SIDE AIRBAG; 13)는 측면 에어백으로 운전석, 조수석 쪽에 장착되어, 전석승객의 측면을 보호한다(후석은 후석 승객만 보호함).
그리고, CAB(SIDE AIRBAG; 14)는 커튼 에어백으로 운전석, 조수석 쪽에 A- PILLAR에서 C-PILLAR까지 장착되어 전석 후석의 승객 모두를 보호하며, SIS(SIDE IMPACT SENSOR; 15)는 차량 측면 충돌시 충돌 가속도를 측정하여 ACU로 전송하는 센서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측면 충돌 센서(SIS; 15)에서 센싱한 가속도값과 에어백 콘트롤 유니트(ACU; 10)의 SAFING SENSOR에서 센싱한 방향(Y 값)의 가속도 값에 따라 에어백의 전개 유무가 결정된다.
차량 충돌시 차량의 B-PILLAR 부분에 장착된 SIS(15)의 가속도값이 일정한 임계값(THRESHOLD)을 넘어서고, 또한 ACU(10)의 SAFING SENSOR에서 SAFING THRESHOLD를 넘어서야만 에어백이 전개된다.
종래에는 상기 SIS(15)을 B-PILLAR 부분에만 장착을 하여 차량의 전석 부분의 측면 충돌시(CASE 1; 도 2의 CASE 1 참조) 전석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측면 커튼 에어백 장착된 차량에서 SIS(15)을 B-PILLAR 부분에 LH/RH에 각 1개만을 장착하여 후방 측면 충돌시(CASE 2; 도 2의 CASE 2 참조) B-PILLAR의 SIS(15)의 충돌파형이 약하게 되어 측면 에어백 및 측면 커튼 에어백이 전개되지 못하여 탑승자를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현재 일반적으로 측면 충돌 전에 SIS(15)가 고장나면 측면 충돌이 발생하여도 에어백은 전개되지 않는다. 따라서 SIS(15) 관련 고장이 발생하면 충돌시에 탑승자를 보호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후방 측면 충돌 센서(REAR SIDE IMPACT SENSOR)를 적용하여 측면 후방 충돌시 측면 에어백 및 측면 커튼 에어백 전개 성능을 향상시키고 FRT-SIS의 고장시에도 REAR-SIS로 에어백을 전개시킬 수 있는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어백을 전개시키기 위한 전개 신호를 제어하고 에어백의 오전개를 방지하기 위한 Y-방향 안전 센서(SAFING SENSOR)가 장착된 에어백 콘트롤 유니트(ACU; 20)와; 운전석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에어백(DAB, DRIVER AIRBAG; 21)과; 조수석 정면에 장착된 에어백(PAB, PASSENGER AIRBAG; 22)과; 운전석 조수석 쪽의 측면에 장착된 측면 에어백(SAB, SIDE AIRBAG; 23)과; 운전석, 조수석 쪽에 A-PILLAR에서 C-PILLAR까지 장착되어 전석 후석의 승객 모두를 보호하는 커튼 에어백(CAB, CURTAIN AIRBAG; 24)과; 전석의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B-PILLAR 하단 또는 B-PILLAR 하단 SILL-SIDE 부에 장착되어 Y-방향 가속도를 센싱하여 측면 에어백(SIDE AIRBAG, SAB; 23)과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 CAB; 24)을 전개시키기 위한 측면 전방 충돌센서(FRONT SIDE IMPACT SENSOR, FRT-SIS; 25)와; 후석 탑승자의 측면 후방 충돌시 보호를 위하여 C-PILLAR 하단 또는 C-PILLAR 하단의 SILL-SIDE부에 장착되어 측면 후방 Y-방향의 가속도를 센싱하는 측면 후방 충돌 센서(REAR SIDE IMPACT SENSOR, REAR-SIS; 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ACU는 상기 FRT-SIS(25)와 REAR-SIS(26)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고장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ACU는 상기 FRT-SIS(25) 또는 REAR-SIS(26)가 비정상인 경우에 에어백 경고등을 점등시키고, 상기 REAR-SIS(26) 또는 상기 FRT-SIS(25)를 계속적으로 통신 진단을 하여 충돌시 REAR-SIS Y방향 가속도값 또는 FRT Y방향 가속도값을 센싱한다.
상기 ACU(20)는 상기 FRT-SIS(25) 및 REAR-SIS(26)간 통신 중 측면 충돌이 발생하면 상기 ACU(20) 내부에 장착된 안전 센서(SAFING SENSOR)의 Y 방향 가속도값과 상기 FRT-SIS(25)의 Y방향 가속도값 및 REAR-SIS(26)의 Y방향 가속도값을 서로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에어백 전개 가속도값보다 같거나 크면 상기 측면 에어백(SIDE AIRBAG; 23)과 측면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 24)을 전개시킨다.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측면 에어백(SIDE AIRBAG)과 측면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 장착 차량에 측면 후방 충돌시 측면 후방의 Y-방향 가속도를 센싱하기 위하여 측면 후방 충돌센서(REAR SIDE IMPACT SENSOR)를 장착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시스템 구성도이다.
에어백을 전개시키기 위한 전개 신호를 제어하고 일반 험로(ROUGH ROAD)나 가혹한 운전 환경에서 에어백의 오전개를 방지하기 위한 Y-방향 SAFING SENSOR가 장착된 에어백 콘트롤 유니트(ACU; 20), DAB(21) 및 PAB(22)와, 전석의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B-PILLAR 하단 또는 B-PILLAR 하단 SILL-SIDE 부에 장착되어 Y-방향 가속도를 센싱하여 측면 에어백(SIDE AIRBAG, SAB; 23)과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 CAB; 24)을 전개시키기 위한 측면 전방 충돌센서(FRONT SIDE IMPACT SENSOR, FRT-SIS; 25), 그리고 후석 탑승자의 측면 후방 충돌시 보호를 위하여 C-PILLAR 하단 또는 C-PILLAR 하단의 SILL-SIDE부에 장착되어 측면 후방 Y-방향의 가속도를 센싱하는 측면 후방 충돌 센서(REAR SIDE IMPACT SENSOR, REAR-SIS; 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각 단계별 동작은 평상시 동작 상태와 측면 충돌시 상태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A. 평상시 동작
차량에 IGNITION ON하면 에어백 콘트롤 유니트(ACU; 20)는 각 FRT-SIS(25)와 REAR-SIS(26)의 통신 상태를 확인한다. 고장 진단을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계속적으로 반복한다(예를 들어, 0.001초 주기로 통신 고장 진단을 함).
만일 상기 FRT-SIS(25)가 통신 고장이 발생하면 에어백 경고등을 점등시킨다. 그러나 REAR-SIS(26)는 계속적으로 통신 진단을 하여 충돌시 REAR-SIS Y방향 가속도값(도 4의 C 및 D 참조)을 센싱할 수 있다. 반대로 REAR-SIS(26)가 고장이어도 FRT-SIS Y방향 가속도값(도 4의 A 및 B 참조)을 센싱할 수 있다.
B. 측면 충돌 발생시 동작
ACU(20)와 FRT-SIS(25), REAR-SIS(26)간 통신 중 측면 충돌이 발생하면 ACU(20) 내부에 장착된 SAFING SENSOR의 Y 방향 가속도값과 FRT-SIS의 Y방향 가속도값(도 4의 A 및 B 참조), REAR-SIS의 Y방향 가속도값(도 4의 C 및 D 참조)에 따라 측면 에어백(SIDE AIRBAG; 23)과 측면 커튼에어백(CURTAIN AIRBAG; 24)이 전개 된다.
(1) ACU(20)와 FRT-SIS(25)간 통신 에러 없이 정상 통신 중이면 FRT-SIS(25)는 FRT-SIS(25) 속에 내장된 Y방향 가속도 센서로 측면 충돌시 발생하는 Y 방향의 가속도값(FRT-SIS Y ACC, 도 4의 A 및 B)을 센싱하여 ACU(20)로 송부한다. 만일 FRT-SIS(25)가 고장이면 가속도 값 센싱 중단을 하여 측면 충돌이 발생하여도 FRT-SIS(25)에 의한 에어백 전개는 발생하지 않는다.
ACU(20)에서는 FRT-SIS(25)로부터 받은 가속도값(FRT-SIS ACC, 도 4의 A 및 B)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계산한다. 참고로 어느 차종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카운터(COUNTER) 개념으로 하지만, 다른 차종은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알고리즘별로 가속도값을 산술적인 크기로 변환하여 계산할 수도 있다.
(2) ACU(20)는 FRT-SIS(25)로부터 받은 Y방향의 가속도 값(FRT-SIS Y ACC, 도 4의 A 및 B)을 측면 충돌 가속도값이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에어백을 전개시키기 위한 가속도 값(FRT-SIS THRESHOLD, 여기서는 FRT-SIS 에어백 전개 THRESHOLD 값이 된다)과 비교하여 크거나 같으면 에어백 전개를 위하여 ACU Y ACC 값을 비교하여 다음 순서를 수행하고 FRT-SIS THRESHOLD보다 적으면 계속적으로 가속도 값을 센싱한다.
여기서 FRT-SIS TRRESHOLD의 결정은 차량 개발 단계에서 실차 충돌을 통한 충돌 데이터로 승객 상해치를 고려한 에어백 전개 시간(TTF, TIME TO FIRE)을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진다. 어느 차종에서는 FRT-SIS(25)와 REAR-SIS(26)의 THRESHOLD 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3) ACU-Y SAFING 센서가 정상이면 Y방향의 가속도값(ACU-Y ACC)이 일정한 ACU-Y SAFING THRESHOLD보다 크게 되면 FRT-SIS 가속도 값이 THRESHOLD를 넘어서서, 즉 두가지 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ACU(20)는 에어백 전개 신호를 발생하여 에어백을 전개시킨다.
(4) REAR SIS(26)에서도 측면 충돌이 발생하면 상기 (1), (2)단계를 수행하여 (3) 단계의 ACU-Y SAFING THRESHOLD보다 크게 되면 ACU(20)는 에어백 전개 신호를 발생하여 에어백을 전개시킨다.
(5) 측면 충돌이 발생하면 FRT-SIS(25) 가속도 값이 FRT-SIS THRESHOLD 값을 넘고 ACU-Y SAFING THRESHOLD을 넘거나, 또는 REAR-SIS(26) 가속도 값이 REAR-SIS THRESHOLD 값을 넘고 ACU-Y SAFING THRESHOLD을 넘든지, 두 쪽 중 한쪽만 만족하여도 에어백을 전개시킨다. 즉 빠른 시간에 만족하는 쪽에 따라 에어백이 전개된다.
상기와 같이, 추가된 REAR-SIS(26)을 사용함으로써 FRT-SIS(25) 고장시에도 에어백을 전개시킬 수 있고, 또한 REAR-SIS(26)에 의하여 29KPH NA REAR SIDE POLE(29KPH 측면 후방 POLE 시험 모드)에도 에어백이 전개된다. 만일 FRT-SIS(25)만 있는 시스템이면 가속도값 EVENT가 FRT-SIS THRESHOLD와 ACU-Y SAFING THRESHOLD를 모두 넘어서지 못하여 에어백이 미전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후방 측면 충돌 센서(REAR SIDE IMPACT SENSOR)를 적용하여 측면 후방 충돌시 측면 에어백 및 측면 커튼 에어백 전 개 성능을 향상시키고 FRT-SIS의 고장시에도 REAR-SIS로 에어백을 전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에어백을 전개시키기 위한 전개 신호를 제어하고 에어백의 오전개를 방지하기 위한 Y-방향 안전 센서(SAFING SENSOR)가 장착된 에어백 콘트롤 유니트(ACU; 20)와;
    운전석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에어백(DAB, DRIVER AIRBAG; 21)과;
    조수석 정면에 장착된 에어백(PAB, PASSENGER AIRBAG; 22)과;
    운전석 조수석 쪽의 측면에 장착된 측면 에어백(SAB, SIDE AIRBAG; 23)과;
    운전석, 조수석 쪽에 A-PILLAR에서 C-PILLAR까지 장착되어 전석 후석의 승객 모두를 보호하는 커튼 에어백(CAB, CURTAIN AIRBAG; 24)과;
    전석의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B-PILLAR 하단 또는 B-PILLAR 하단 SILL-SIDE 부에 장착되어 Y-방향 가속도를 센싱하여 측면 에어백(SIDE AIRBAG, SAB; 23)과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 CAB; 24)을 전개시키기 위한 측면 전방 충돌센서(FRONT SIDE IMPACT SENSOR, FRT-SIS; 25)와;
    후석 탑승자의 측면 후방 충돌시 보호를 위하여 C-PILLAR 하단 또는 C-PILLAR 하단의 SILL-SIDE부에 장착되어 측면 후방 Y-방향의 가속도를 센싱하는 측면 후방 충돌 센서(REAR SIDE IMPACT SENSOR, REAR-SIS; 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CU는 상기 FRT-SIS(25)와 REAR-SIS(26)의 통신 상태 를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CU는 상기 FRT-SIS(25) 또는 REAR-SIS(26)가 비정상인 경우에 에어백 경고등을 점등시키고, 상기 REAR-SIS(26) 또는 상기 FRT-SIS(25)를 계속적으로 통신 진단을 하여 충돌시 REAR-SIS Y방향 가속도값 또는 FRT Y방향 가속도값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CU(20)는 상기 FRT-SIS(25) 및 REAR-SIS(26)간 통신 중 측면 충돌이 발생하면 상기 ACU(20) 내부에 장착된 안전 센서(SAFING SENSOR)의 Y 방향 가속도값과 상기 FRT-SIS(25)의 Y방향 가속도값 및 REAR-SIS(26)의 Y방향 가속도값을 서로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에어백 전개 가속도값보다 같거나 크면 상기 측면 에어백(SIDE AIRBAG; 23)과 측면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 24)을 전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
KR1020040046875A 2004-06-23 2004-06-23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552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875A KR100552196B1 (ko) 2004-06-23 2004-06-23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875A KR100552196B1 (ko) 2004-06-23 2004-06-23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800A KR20050121800A (ko) 2005-12-28
KR100552196B1 true KR100552196B1 (ko) 2006-02-13

Family

ID=3729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87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2196B1 (ko) 2004-06-23 2004-06-23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9075B2 (ja) * 2011-12-29 2015-03-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エアバッグ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800A (ko) 200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16670B (zh) 用于自主车辆的膝部气囊装置及控制其操作的方法
US7416042B2 (en) Method for triggering a two-stage belt tensioner
US20080172158A1 (en) Air-bag deployment system
JP4424183B2 (ja) エアバッグ展開制御装置、エアバッグ展開制御方法
KR102272076B1 (ko) 스몰 오버랩 충돌에 따른 에어백 전개 방법
JP4465767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展開制御装置
KR20090007103A (ko) 차량용 루프 에어백
KR100552196B1 (ko)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
JP2009073207A (ja) エアバッグ制御装置及び乗員保護システム
KR100747399B1 (ko) 사이드 에어백모듈의 제어방법
JP7362200B2 (ja) 乗員保護装置
JP7654605B2 (ja) 衝突判定装置
KR100496338B1 (ko) 자동차 에어백 제어방법
KR101627502B1 (ko)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KR20220054036A (ko) 운전석 에어백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62535A (ko)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92817B1 (ko) Tpms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방법
KR100190457B1 (ko) 파열 각도에 따른 에어 백 제어 방법
KR100496337B1 (ko) 자동차 에어백 제어방법
KR101697927B1 (ko)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KR20080008107A (ko) 에어백 장치와 그 제어방법
JP2003040077A (ja) エアバッグ作動装置
KR20050075599A (ko) 자동차의 에어백이 장착된 콘솔박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04098A (ko) 자동차
KR100227908B1 (ko) 상하 충격에 의한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