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626B1 - Toothbrush with a replaceable brush part - Google Patents
Toothbrush with a replaceable brush par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1626B1 KR100551626B1 KR1019980710345A KR19980710345A KR100551626B1 KR 100551626 B1 KR100551626 B1 KR 100551626B1 KR 1019980710345 A KR1019980710345 A KR 1019980710345A KR 19980710345 A KR19980710345 A KR 19980710345A KR 100551626 B1 KR100551626 B1 KR 1005516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toothbrush
- casing
- head
- det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2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claims 1
- 239000012858 resili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4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06 tooth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40034610 toothpaste Drug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887 fac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877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40 industri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46B7/042—Clip or snap connection for bristle carrier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칫솔은 손잡이와, 적어도 한쪽면이 개방된 케이싱으로된 헤드와, 그 개방된 측면에 삽입가능하며 지지대와 털 페이싱을 가진 브러시 부분 및, 브러시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지지대위와 케이싱 내부에 각각 위치된 서로 결합하는 돌출부와 함몰부형태의 잠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그의 전체 주변면위에 지지대를 지지하기 위한 치크를 가지며 치크위에는 브러시 부분을 바깥으로 도구없이 밀어내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실링" 과 "잠금" 기능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케이싱 치크의 안쪽과 지지대의 주변은 완전히 평탄한 벽으로된 실링면으로 되어 있으며, 실링 표면의 바깥에는, 잠금 장치로서 탄력성있는 멈춤쇠가 안쪽으로 향해있다.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andle, a head of casing with at least one open side, a brush portion insertable on the open side and having a support and a hair facing, and on the support and inside the casing for fixing the brush portion, respectively. A locking device in the form of a protrusion and a recess in engagement with each other, wherein the casing has a cheek for supporting the support on its entire peripheral surface, and on the cheek there is provided a means for toollessly pushing the brush portion outward. In order to separate the "sealing" and "locking" functions, the inside of the casing cheeks and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have a completely flat walled sealing surface. ha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손잡이와, 적어도 한쪽 면이 개방되어 있는 케이싱(casing) 구조로 되어있는 헤드와, 상기 개방 부분 내에 삽입가능하며 지지대와 강모면(bristle facing)을 가진 브러시 부분 및, 브러시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지지대위와 케이싱내부에 잠금 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케이싱은 헤드의 후면으로부터 브러시 부분을 바깥으로 도구 없이 밀어내기 위하여 헤드 장치 위에 주변부 부근에서 지지대를 지지하는 측면판 또는 치크(cheek)를 가지고 있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le, a head having a casing structure with at least one side open, a brush portion insertable in the opening portion and having a support and bristle facing, and a brush portion fixed thereto. And a locking device on the support and inside the casing, the casing having a side plate or a cheek that supports the support in the vicinity of the periphery above the head device for toollessly pushing the brush portion out from the rear of the head. It is about.
US 403 350 호와, US 1 148 566 호, US 1 711 621호, 및 US 2 326 632 호에 공지된 브러시에 있어서는, 강모면을 가진 브러시 부분이 실제 브러시 몸체 내에 계속해서 삽입된다. 이는 특히, 예를 들면, 용접, 성형 등과 같은 열 처리에 의하여, 강모 묶음을 브러시 몸체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 제조상의 이유로 자주 발생한다. 브러시 부분을 브러시 몸체로부터 분리하여 다른 브러시 부분으로 교체할 수 있는 구조는 공지되어 있다(GB 1932/1910). 이러한 공지된 구조는 칫솔에 적용되기에 알맞지 않거나 또는 단지 불충분하게만 적합할 수 있을 뿐이다.In the brushes known from US 403 350, US 1 148 566, US 1 711 621, and US 2 326 632, brush portions with bristle faces are continuously inserted into the actual brush body. This often occurs for manufacturing reasons, in particular when it is not possible to connect the bristle bundle directly to the brush body, for example by heat treatment such as welding, forming or the like. There is known a structure that can separate the brush part from the brush body and replace it with another brush part (GB 1932/1910). Such known structures may not be suitable or only insufficiently suitable for application to a toothbrush.
칫솔은 다른 형태의 브러시보다 훨씬 자주 필요하다. 그 이유는, 바른 구강 위생을 위해서는 자주 사용되어야 하며(하루 3번), 이로 인해 빨리 마모되기 때문이다. 또한, 비록 다른 브러시에서는 아직 사용가능할 수 있을 정도인 비교적 작은 마모가 일어났다 하더라도, 언제나 최적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이러한 칫솔은 교체되어야 한다. Toothbrushes are needed much more often than other types of brushes. The reason is that for proper oral hygiene, it must be used frequently (three times a day), which causes it to wear out quickly. In addition, even if relatively small wear has occurred, which may still be available in other brushes, these toothbrushes should always be replaced to obtain the optimum effect.
높은 칫솔 소비에 기인하여, 독일에서는 한해 약 150만개가 소비되며, 자원의 처리와 보호에 관한 문제가 증가되고 있는데, 이는 마모로 인해 사용할 수 없게되는 재료 부분은 전체 재료에 비해 극히 일부분이나, 이에 따라 처리되어야 할 재료는, 심지어 100%의 재활용의 경우에도, 재활용된 재료는 칫솔의 강모 재료에 반드시 필요한 고품질의 요구를 만족하지 못하게 되므로 동일한 제품으로 가공될 수 없기 때문이다. 교체가능한 브러시 부분을 구비하는 공지된 브러시는 기본적으로 마모된 이후에 브러시 부분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나, 이러한 문제는 이제껏 표면에 부각되지 않았으며, 세척용 브러시, 신체용 브러시, 및 미용용 브러시 등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기간이 훨씬 길고 사용할 수 없는 재료와 아직 사용할 수 있는 재료의 비율이 칫솔의 경우에서처럼 불균등하지 않으므로 비교적 중요하지 않다. Due to high toothbrush consumption, about 1.5 million are consumed per year in Germany, and there is an increasing problem regarding the treatment and protection of resources. The material to be treated accordingly, even in the case of 100% recycling, cannot be processed into the same product because the recycled material does not meet the high quality requirements essential to the bristle material of the toothbrush. Known brushes with replaceable brush parts are basically capable of replacing only the brush parts after they have been worn out, but this problem has never been highlighted on the surface, such as cleaning brushes, body brushes, and cosmetic brushes. In the same case, it is relatively insignificant because the service life is much longer and the ratio of the unusable material to the still unusable material is not uneven as in the case of the toothbrush.
결국, 브러시 부분의 교체가 매우 간단한 방식과 적은 힘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충분히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칫솔에 있어서는 모든 연령의 사람들 및 모든 교육계층의 사람들이 바르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특별한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After all, the special feature of toothbrushes is that they can be used by people of all ages and all levels of education, so that brush parts can be replaced in a very simple manner and with little force,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able to be sufficiently tightly combined. Should be considered.
현재 시장에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시스템이 있다. 소위 교체 헤드 브러시 (EP 0 199 849 B1, DE 94 20 405 U1)의 경우에, 강모를 구비하는 전체 헤드가 손잡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잠금 고정 수단은 실질적으로 손잡이의 길이방향 축을 횡단하도록 손잡이와 헤드의 어깨부분에 위치하며, 헤드와 손잡이를 길이방향으로 조립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진다. 역으로, 이 두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떨어지도록 잡아당김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교체 헤드 브러시는 사용이나 위생적인 측면에서 만족스럽다. 그러나, 강모가 마모되면 버려지는 헤드의 플라스틱 부분은 여전히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또 다른 결점은 고정수단이, 헤드와 손잡이 사이의 전이부분, 즉, 사용시 굽힘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부분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칫솔은, 정확히 이러한 부분에서, 고정장치의 구조적인 면때문에 약해지게된다. 사용상의 이유로, 손잡이와 헤드사이에는, 교체 헤드 브러시가 장착되어서는않되는, 가느다랗고 선택에 따라서는 탄력적인 목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측면에서 이러한 문제는 특히 심각하다. 따라서, 헤드가 두꺼운 손잡이 상의 가느다란 목부분에 잠금결합되는 교체 헤드 브러시가 이미 제안되었었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상의 이점은 실질적으로 유지되었지만, 다량의 플라스틱이 낭비된다는 비용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모든 교체 헤드 브러시는, 사용 중에 잠금 시스템이 잘못 잠기거나 고장나는 경우에는 구강에 심각한 부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위험성도 갖고 있다.There are basically two systems on the market today. In the case of the so-called replacement head brush (EP 0 199 849 B1, DE 94 20 405 U1), the entire head with bristles is detachably fixed to the handle. The locking fastening means is located on the shoulder of the handle and the head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andle, and is engaged by assembling the head and the hand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versely, these two parts can be separated by pulling them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replacement head brush is satisfactory in terms of use or hygiene. However, the plastic part of the head that is discarded when the bristles wear out is still a part that cannot be ignored. Another drawback is that the fastening means is located at the transition between the head and the handle, i.e. at the point where the bending force in use is greatest. The toothbrush is, in exactly this part, weakened due to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fixing device. For use reasons, this problem is particularly acute in that it is desirable to have a narrow, optionally elastic neck between the handle and the head, which should not be equipped with a replacement head brush. Thus, a replacement head brush has already been proposed in which the head is locked to a thin neck on a thick handle. In this way, the advantages of use have been substantially maintained, but there is a cost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plastic is wasted. All replacement head brushes also carry the risk of serious injury to the oral cavity if the locking system is improperly locked or broken during use.
청구항1의 전문에 따른 칫솔이 속하는 다른 공지된 시스템에서는, 강모가 얇은 판 형태의 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브러시 부분은 프레임 또는 케이싱과 같은 헤드에 교체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DE 30 38 895, 37 24 640). 지지대는 그 주위를 둘러싸는 표면 상에 렛지(ledge)와 같은 고리부가 제공되고, 케이싱에는 이에 상응하는 채널 형태의 요부가 구비된다. 지지대의 후면에는 케이싱의 밑면의 구멍에 결합하여 헤드의 후면 상에 노출된 누름표면을 형성하는 핀이 구비되어 있다. 지지대는 헤드에 고정되며, 핀을 누름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강모가 마모된 경우에 교체되어야 하는 플라스틱 부분이 최소로 감소되고, 교체가능한 브러시 부분은 소량의 재료만을 사용하므로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교체 헤드 브러시와 비교할 때, 위생상 및 구조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지지대와 케이싱의 치크(cheek) 사이에 반드시 존재하는 간극은 단지 불충분하게만 건조되어 먼지가 쌓이고 박테리아가 모이게 된다. 이는 헤드와 지지대 사이에 있는 전체 간극에 어느 정도 적용된다.In another known system to which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amble of claim 1 belongs, the bristles are fixed to a support in the form of a thin plate, the brush part being replaceably fixed to a head such as a frame or a casing (DE 30 38 895, 37 24 640).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ledge, such as a ledge, on the surface surrounding it, and the casing is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channel-shaped recess. The back of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pin that engages a hole in the bottom of the casing to form a pressing surface exposed on the back of the head. The support is fixed to the head and can be detached by pressing a pin. When the bristles are worn, the plastic parts to be replaced are reduced to a minimum, and the replaceable brush parts can be manufactured inexpensively because only a small amount of material is used. However, when compared with replacement head brushes, hygiene and structural problems arise. The gaps necessarily present between the supports and the cheek of the casing are only insufficiently dried, causing dust to accumulate and bacteria to collect. This applies somewhat to the total gap between the head and the support.
따라서, 지지대의 강모측 상에는, 그 후면부가 케이싱 치크의 정면과 밀봉되게 결합하는 탄성의 주변 테두리부가 제공되었다(DE 37 24 640 C2). 이는 지지대를 케이싱으로 끌어당기는데 상응하는 장력 및 이에 따른 상응하는 높은 잠금력(locking force)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이는 브러시 부분의 삽입과 분리를 더욱 어렵게 한다. 잠금이 자동 폐쇄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잠금수단은 이에 상응하여 체적이 큰 특성을 가져야 하며, 이는 헤드 상에 상당한 벽 두께를 필요로 한다, 더 복잡한 구조(DE 296 00 398 U1)에서는, 지지대와 케이싱 사이에 있는 모든 밀봉면(sealing face) 상에, 상응하는 높은 프리텐션(pretension)에 의해 브러시 부분을 동시에 유지하는 탄성의 평평한 실이 제공된다. 단기간 내에 필연적으로 넓어져서 더이상 브러시 부분을 확실히 고정하지 못하게 되는 케이싱 치크에 의해 이러한 프리텐션은 완전히 흡수되어야 한다.Thus, on the bristle side of the support, an elastic peripheral rim was provided, the rear portion of which was sealingly engaged with the front of the casing cheek (DE 37 24 640 C2). This presupposes a corresponding tension and thus a corresponding high locking force to pull the support into the casing. This makes it more difficult to insert and detach the brush part. Since the locking is self-closing, the locking means must have a correspondingly large volume characteristic, which requires a significant wall thickness on the head. In more complex structures (DE 296 00 398 U1), the support and the casing On all sealing faces in between, elastic flat yarns are provided which simultaneously hold the brush portion by corresponding high pretension. This pretension must be completely absorbed by the casing cheeks which inevitably widen in a short time and no longer securely secure the brush part.
지지대 주변 상에 분할방식으로 잠금 렛지(ledge)를 제공하는 다른 제안(DE 91 09 625 U1, DE 44 34 617 Al)은 잠금 렛지와 요부가 밀봉 표면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틈의 밀봉을 감소시키며, 밀봉 표면을 꼭 맞게 결합시키고 잠금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매우 정밀한 설계를 하여야 한다. 헤드와 손잡이에 사용되는 사출 성형된 부분과 저렴한 플라스틱으로 이와 같이 정밀하게 설계하기는 거의 힘들다. 또한, 케이싱 치크는 잠금력에 기인하여 항상 탄성 프리텐션의 영향을 받게 된다. 플라스틱은 장력하에서 크립(creep)에 대한 저항이 없기 때문에(콜드 플로우; cold flow), 케이싱 치크의 장력에 매우 빠르게 감소하여, 그 결과 치크와 지지대 사이의 간극은 확대되어 먼지와 박테리아의 침입이 용이해진다. 플라스틱의 피로(fatigue)와 이에 따른 공차의 증가는 사용자가 거의 알아챌 수 없기 때문에, 이를 닦을 때 잠금수단이 파손되어야만 알 수 있다. 브러시 부분이 사용 중에 분리 된다면, 마찬가지로 구강과 잇몸을 손상시킬 수 있다.Another proposal to provide a locking ledge in a divided manner on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DE 91 09 625 U1, DE 44 34 617 Al) reduces the sealing of the gap, since the locking ledge and the recess are located in the sealing surface, Very precise design should be used to ensure that the sealing surfaces are fitted snugly and securely locked. The injection molded parts used for the heads and handles and the inexpensive plastic make it nearly impossible to design precisely like this. In addition, the casing cheeks are always subject to elastic pretension due to the locking force. Since plastic has no resistance to creep under tension (cold flow), the tension in casing cheeks decreases very quickly, resulting in a widening of the gap between the cheek and the support, which facilitates the ingress of dust and bacteria. Become. Since the fatigue of the plastic and thus the increase in tolerance are hardly noticeable to the user, the locking means must be broken when wiping the teeth. If the brush part is separated during use, it can damage the mouth and gums as well.
브러시 부분과 헤드 사이의 매우 안정적이고 내구적인 결합이 공지의 칫솔(DE 41 04 314 A1)에 나타나 있는데, 여기에서는, 지지대의 후면 상에, 전체 지지대 길이를 가로지르는 두 개의 상호 V-모양의 렛지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헤드상에서 V-모양으로 외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고 그 길이방향 축의 전체 길이를 지나는 슬롯에 맞물린다. 렛지는 삽입하는 동안에 V-모양 슬롯의 가장 좁은 단면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서로를 향하여 내부로 변형되어야 하며, 이후 상기 슬롯 안에서 팽창된다. 이렇게 하여, 잠금 결합부의 탄성적으로 변형된 부분이, 재료의 피로가 덜 중요한, 교체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잠금 결합을 생성하거나 분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렛지 상의 변형력은 브러시 부분이 특별히 개조된 도구에 의해 눌려지거나 비집어 열려질 수 있을 만큼 크다. 이러한 특별한 도구에 대한 필요성으로 인해 소비자에게는 이에 상응하는 높은 시스템 비용이 부과될 뿐만 아니라, 시장에서 실제로 시스템을 판매할 때에도 선입견을 주게 된다. 이는 또한 상해 방지에 대한 요구, 즉 브러시 후면의 부드러운 형태를 충족시킬 수 없다는 점에서도 적용된다. 또한, 슬롯과 렛지가 먼지, 치약 잔여물, 및 박테리아가 쌓일 수 있는 다수의 틈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러한 칫솔은 위생적인 측면에서도 불리하다.A very stable and durable connection between the brush part and the head is shown in the known toothbrush (DE 41 04 314 A1), where two mutual V-shaped ridges on the back of the support, across the entire support length Is formed. They are open outwardly in a V-shape on the head and engage in slots through the entire length of its longitudinal axis. The ledges must be deformed inwards towards each other so that they can pass through the narrowest cross section of the V-shaped slot during insertion and then expand within the slot. In this way, the elastically deformed portion of the locking engagement portion is placed in the replacement portion, where material fatigue is less important. The deformation force on the ledge needed to create or break the lock engagement is large enough that the brush portion can be pressed or tipped open by a specially adapted tool. The need for this special tool not only imposes a correspondingly high system cost on the consumer, but also prejudice when selling the system in the market. This also applies in that the need for injury prevention, i.e., does not meet the soft shape of the back of the brush. In addition, these toothbrushes are also disadvantageous in terms of hygiene because the slots and ledges form a large number of gaps where dirt, toothpaste residues and bacteria can accumulate.
후자의 단점은 렛지의 위치에 긴 핀이 제공되고, 이 핀이 케이싱 밑면에 바깥쪽으로 원뿔형으로 넓어지는 구멍에 끼워지는, 다른 공지된 구조 (US 4 543 679)에서는 다소 감소한다. The latter disadvantage is somewhat reduced in other known constructions (US 4 543 679), in which a long pin is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ledge, which fits into a concave widening hole outwardly on the underside of the casing.
도 1 은 칫솔 후면의 부분 평면도.1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back of a toothbrush.
도 2 는 도 3을 II-II을 따라 절단한 도면.FIG. 2 is a view of FIG. 3 taken along II-II. FIG.
도 3 은 강모면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bristle surface;
도 4 는 도 3을 IV-IV을 따라 절단한 도면.4 is a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3;
도 5 는 브러시 부분이 없는 다른 실시예의 칫솔 헤드를 나타낸 종단면도.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toothbrush head without a brush portion.
도 6 은 헤드의 저면도.6 is a bottom view of the head.
도 7 은 다른 실시예의 도 5 에 대응하는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5 of another embodiment.
도 8 은 도 7 에 따른 브러시 헤드의 저면도.8 is a bottom view of the brush head according to FIG. 7.
도 9 는 다른 실시예에서 브러시 헤드의 종단면도.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brush head in another embodiment.
도 10 은 도 9 에 따른 헤드의 저면도.10 is a bottom view of the head according to FIG. 9;
도 11 은 다른 구조를 가진 헤드의 종단면도.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head having another structure.
도 12 는 도 11 에 따른 헤드의 저면도.12 is a bottom view of the head according to FIG. 11;
도 13 은 변형된 구조를 가진 브러시 헤드의 종단면도.1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brush head with the modified structure.
도 14 는 도 13 에 따른 헤드의 저면도.14 is a bottom view of the head according to FIG. 13;
도 15에서 22 까지는 다른 구조의 케이싱과 브러시 부분 지지대를 가진 도 4 에 따른 브러시 헤드의 횡단면도.15 to 22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brush head according to FIG. 4 with casings and brush partial supports of different constructions.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위생상의 요구가 충족되고 사용 특성이 개선되는, 전술한 형태의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of the type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in which hygiene requirements are met and the use properties are improved.
본 발명에 따라서, 케이싱의 치크와 지지대 주변의 서로 연결되어 있는 표면이 완전히 매끄러운 벽으로된 밀봉표면으로 구성되고, 잠금 장치가, 밀봉표면에 대해 안쪽으로 옮겨져 위치하며 케이싱 바닥 및 이를 향하는 지지대의 후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탄력성있는 멈춤쇠를 가짐으로써 상기의 문제는 해결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heeks of the casing and the interconnected surfaces around the support consist of a completely smooth walled sealing surface, the locking device being positioned inwardly positioned relative to the sealing surface and the back of the casing bottom and the support facing it. The above problem is solved by having a resilient detent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본 발명의 중요한 이점은 "밀봉"과 "잠금" 기능이 구조적으로 분리된다는 것이다. 지지대 상의 매끄러운 주변부와 치크의 매끄러운 접촉표면은 이들을 서로 완전히 만족스럽게 밀봉 결합시키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이러한 표면들이 약간의 원뿔형의 구조를 가지면 이러한 결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밀봉 표면외측의 탄력성있는 멈춤쇠와 같은 잠금 장치 구조의 결과로서, 케이싱 치크는 잠금력과 지지력에 대한 요구가 없으며 결과적으로 콜드 플로우(cold flow)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오랜동안 밀봉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치약 잔여물 등이 쌓이거나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바람직한 방식으로, 사용 후에 칫솔이 신속히 건조되어 결과적으로 박테리아의 축적이 방지되도록 공동, 간극 등이 없어지게 된다. 탄력성있는 멈춤쇠는 기능적으로 신뢰성있는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서도 교체를 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An important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ealing" and "locking" functions are structurally separated. The smooth periphery on the support and the smooth contact surface of the cheeks are essential for sealing them completely satisfactorily to each other. If these surfaces have a slightly conical structure, this may help with this coupling. As a result of locking mechanisms such as resilient detents outside the sealing surface, the casing cheeks do not require locking and bearing forces, and consequently cold flow does not occur, thus ensuring a long sealing performance. Will be. While preventing toothpaste residues and the like from accumulating or penetrating, in a preferred manner, the toothbrush dries quickly after use, resulting in voids, voids, and the like,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bacteria. Resilient detents allow functionally reliable locking while making replacement easier.
다른 구조적인 상황에 따라 그 치수가 제한되지 않는 영역에 탄력성있는 멈춤쇠가 배치되면서도 위치잠금 장치가 지지대의 밑면과 후면사이의 케이싱 내부에만 위치해있기 때문에, 헤드부근의 칫솔의 외부 윤곽은 올바른 사용을 위한 최적의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둥글고 부드러운 윤곽이 가능하며, 이로써 구강 위생을 관리하는 동안에 구강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조작상의 신뢰성이 장기간 유지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얇은 두께의 전체 케이싱 치크는 장력을 받지 않게 된다. 잠금 장치 및 분리를 위한 누름면의 배치로 인해서, 강모 부분이 원하지 않는 때에 분리되지 않게 되는데, 왜냐하면, 사용 중에 강모에 가해지는 압력은 잠금 시스템을 해제시키지 못하며 이를 위해서는 헤드의 후면에 의도적이면서도 제한적인 압력을 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브러시 부분의 쉬운 교체가능성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며, 특히 다른 경도 특성 및 배치를 가진 강모를 부착한 브러시 부분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The outer contour of the toothbrush near the head ensures correct use, since the position lock is located only inside the casing between the base and the rear of the support, while the elastic detent is placed in an area where dimensions are not limited by other structural situations. Can be adjusted in an optimal manner, for example, rounded and soft contours are possible, thereby preventing the oral cavity from being damaged while administering oral hygiene. Therefore, it can be designed such that operational reliability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e thin entire casing cheek is not tensioned. Due to the placement of the locking device and the pressing surface for the release, the bristles are not released when they are not desired because the pressure on the bristles during use does not release the locking system, which is intentional and limited to the rear of the head for this purpose. This is because pressure must be applied. The ease of replacement of brush parts allows users to use such a system, especially since brush parts with bristles with different hardness characteristics and placements can be used.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탄력성있는 멈춤쇠는 케이싱 밑면 상에서 안쪽으로 돌출한 형태이며, 지지대 후면의 함몰부와 결합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esilient detent protrudes inwardly on the bottom of the casing and engages with the depression in the back of the support.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브러시 헤드의 후면을 형성하는 케이싱 밑면에 관통 개구가 있으며, 그 개구의 벽은 탄력성있는 멈춤쇠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지지대는 상기 관통 개구에 결합되는 핀을 구비하며 상기 핀의 정면은 브러시 부분을 누르기 위한 노출된 누름면을 이루거나 케이싱위의 누름면과 함께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advantageous embodiment, there is a through opening in the bottom of the casing forming the back of the brush head, the wall of the opening extending at least partially i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resilient detent, and the support having a pin coupled to the through opening.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pin forms an exposed pressing surface for pressing the brush portion or acts together with the pressing surface on the casing.
이 실시예에서, 슬리브 형태의 벽을 가진 관통 개구는 여러 기능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로 지지대 상의 핀을 안내할 수 있으며, 두 번째로 그 벽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대를 위치시키고 고정시키기 위한 탄력성있는 멈춤쇠를 구성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통 개구는 헤드의 후면에 누름면을 만들 수 있게 한다. 누름면은 관통 개구를 통과해 지나가는 핀에 의해 즉, 핀의 노출된 정면에 의해 직접 형성되거나, 헤드의 후면의 상기 관통 개구를 밀폐하는 케이싱 부분으로 구성되어 누름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케이싱을 경유하여 핀에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hrough opening with the wall in the form of a sleeve has several functions. Firstly, the pins on the support can be guided, and secondly, at least a portion of the wall can be used to construct an elastic detent for positioning and securing the support. Finally, the through opening makes it possible to create a pressing surface on the back of the head. The pressing face is formed either directly by a pin passing through the through opening, ie by the exposed front side of the pin, or by a casing portion which seals the through opening at the rear of the head so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ing face is passed through the casing. May be configured to act on the pin.
핀이 관통 개구의 벽 상에서 안내되면, 핀의 둘레에는 외측으로부터 케이싱의 멈춤쇠가 걸리는 함몰부가 제공된다.When the pin is guided on the wall of the through opening, the perimeter of the pin is provided with a depression in which the casing is detented from the outside.
핀의 노출된 정면이 누름면을 형성하면, 이 누름면은 그 기능을 표시하고 잠금 시스템을 풀기 위한 압력이 어려움 없이 가해질 수 있도록, 헤드의 후면 상의 케이싱의 윤곽위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If the exposed front of the pin forms a pressing surface, the pressing surface projects slightly over the contour of the casing on the back of the head so that the function can be indicated and pressure to release the locking system can be applied without difficulty.
사용상의 이점과는 별도로, 전술한 실시예는 칫솔이 두 개의 구성요소, 즉, 케이싱을 형성하는 헤드를 가진 손잡이와, 지지대와 강모를 가진 브러시 부분만을 포함한다는 이점을 갖는다.Apart from the advantages of use,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the toothbrush comprises only two components, a handle with a head forming a casing, and a brush portion with a support and bristles.
제조면에서 다소 더 복잡해지지만 같은 사용상의 이점을 가진 실시예로서, 핀이 관통 개구의 벽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관통 개구 내에 위치하며 지지대는 탄력성있는 멈춤쇠와 외부에서 결합하는 함몰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예가 있다. Although somewhat more complicated in manufacturing, the same use-benefi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 is located in the through opening at a distance from the wall of the through opening, and the support has an elastic detent and an outwardly engaging depression. There is an embodiment.
바람직하게는, 헤드의 후면의 관통 개구는 핀의 정면이 내부에 끼워지며, 누름면을 형성하는 누름판에 의해 밀폐되는 것이 좋다. Preferably, the through opening at the rear of the head is preferably sealed by a pressing plate having the front face of the pin fitted therein and forming a pressing surface.
이러한 구조는 칫솔 헤드의 후면이 완전히 밀폐된다는 이점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단점이 될 수 있는 밀봉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This structure has the advantage that the back of the toothbrush head is completely sealed, so that there is no sealing problem that results in a disadvantage.
이 실시예에서, 누름면을 형성하는 누름판은 고무와 같은 재료, 예를 들면,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관통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에 삽입되어, 예를 들면, 개구의 벽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되거나, 인-몰드(in-mould) 과정에서 개구 상에 사출성형될 수 있다. 누름판은 누름판 위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지지대를 분리시키기 위해 필요한 간격이 확보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 그러므로, 핀 상의 누름판에 압력이 가해지고, 이로써 지지대가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멈춤쇠가 풀리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pressing plate forming the pressing surface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for example elastomer, and inserted into the opening edge of the through opening, for example, fixed by being fitted to the wall of the opening. Or may be injection molded on the opening in an in-mould process. The pressure plate is at least partially elastically deformable so that the necessary space for separating the support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on the pressure plate is secured. Therefore, pressure is applied to the pressing plate on the pin, which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is pressed and releases the detent.
이에 대신하여, 누름판이 헤드와 일체로 제조되어 이 영역에서 헤드의 얇은 두께에 의해 탄력성있는 방식으로 나머지 케이싱에 연결되거나, 또는, 유연한 벽 부분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ressure plate may be made integral with the head and connected to the remaining casing in a resilient manner by the thin thickness of the head in this region, or by a flexible wall portion.
누름판이 헤드의 탄력성있는 일부분이면, 멈춤쇠는 케이싱 밑면 상에서 누름판의 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누름면을 누름으로써 멈춤쇠는 누름판과 멈춤쇠사이에 지지대가 고정되어 있는 잠금 위치로부터 벌어져서 지지대를 분리할 수 있다.If the pressing plate is an elastic part of the head, the detent may be formed on the underside of the casing to the side of the pressing plate, and by pressing the pressing surface the detent can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position in which the support is held between the pressing plate and the detent, to release the support. have.
멈춤쇠의 탄성 특성은 멈춤쇠의 길이에 따라 사실상 임의의 플라스틱 재료로도 얻어질 수 있는 반면, 케이싱은 치수가 안정적이다. 또한, 탄성 특성은 케이싱의 일부를 형성하는 누름면을 제한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헤드의 후면 상의의 얇은 벽 부분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대가 잠금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어 아래로 떨어지도록 누름면 위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멈춤쇠의 이동과 확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탄력성있는 벽 부분은 케이싱 상에 있는 멈춤쇠의 시작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elastic properties of the detent can be obtained with virtually any plastic material,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detent, while the casing is dimensionally stable. In addition, the elastic properties can be obtained by a thin wall portion on the back side of the head so that the pressing surface forming part of the casing can be limitedly moved. In addition, such a resilient wall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beginning of the detent on the casing, in order to generate the movement and expansion of the detent by applying pressure on the pressing surface so that the support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system and falls down. have.
치크는 표면적으로 지지대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하는데, 지지대와 치크의 외부면이 같은 높이로 연결되는 결합은 모서리나 함몰부 등이 생기지 않아 유리하다. The cheeks are coupled to the support in whole or in part on the surface, and the coupling where the suppor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heeks are connected at the same height is advantageous because no edges or depressions are generated.
이에 대신하여, 지지대는 치크의 정면과 결합하여 치크의 외측과 같은 높이가 될 수 있다. 이것은 부가적인 밀봉표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도 또한 먼지가 앉을 수 있는 우묵한 곳이나 단 (step)을 형성하지 않게 된다.Alternatively, the support can be flush with the outside of the cheek in combination with the front of the cheek. This forms an additional sealing surface. This structure also does not form recesses or steps where dust can sit.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대는 강모면의 반대측면 상에 주변 테두리부를 가지며, 이 주변 테두리부에 의해 지지대는 외부에서 치크와 결합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support has a peripheral edg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ristle face, by which the support engages the cheeks externally.
이 실시예는 지지대가 강모면의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헤드의 측면 상에서도 밀폐된 표면을 형성한다는 이점이 있다. This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that the support forms a sealed surface not only in the area of the bristle face but also on the side of the head.
칫솔을 사용할 때 잇몸과 접촉하는 것은 주로 헤드의 측면 영역이므로, 이 영역을 매끄럽게 함으로써 잇몸 손상의 위험이 방지된다. 또한, 강모면에 근접한 영역은 강모면에 도포되는 치약으로 인해 먼지가 달라붙을 가능성이 특히 많으며, 또한 박테리아가 축적될 수 있다. 지지대 및 치크와 결합되는 지지대의 테두리부의 틈이나 우묵한 곳이 없는 매끄러운 구조로 인하여, 상기의 문제점들이 방지된다.Contact with the gums when using a toothbrush is primarily the side area of the head, so smoothing this area prevents the risk of gum damage. In addition, the area adjacent to the bristle surface is particularly likely to stick to dust due to the toothpaste applied to the bristle surface, and bacteria may also accumulate. The above problems are avoided due to the smooth structure without gaps or recesses in the edges of the support, which are combined with the support and the cheek.
전술한 실시예들은 둘 다 주어진 헤드의 윤곽에 있어서 지지대 상에 최대한의 강모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Bot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have the advantage of providing maximum bristles on the support in the contour of a given head.
본 발명의 케이싱 구조에 의해 지지대가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지지대가 치크에 대해 밀봉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밀봉에는 밀봉용 립(lip)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케이싱 구조는 치크가 탄성중합체의 지지대를 틀과 같은 방식으로 조여주고 압박하도록 한다. 밀봉면 영역에서는 부가적인 마찰력의 증가가 발생하여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지지대에 위치된 강모의 단부는 탄성적으로 지지된다.By the cas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ay be made of elastomer, and the support may be sealed against the cheek, and a sealing lip may be used for such sealing. The cas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heek to tighten and squeeze the support of the elastomer in a frame-like manner. In the sealing surface area, an additional increase in frictional force occurs to reliably prevent the occurrence of gaps. The ends of the bristles positioned on the supports are elastically supported.
마지막으로, 누름면의 기능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누름면은 표면 디자인에 의해 나머지 케이싱 부분과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각적인 구별은 윤곽을 다르게 하거나, 다른 재료를 사용하거나, 색칠을 다르게 하는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inally, the push face may be visually distinguished from the rest of the casing by the surface design so that the user knows the function of the push face. This visual distinction can be made by different contours, using different materials, different colorings, and the like.
적어도 치크의 영역에서, 케이싱은 점막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외부에 부드럽고 탄성적인 덮개를 구비할 수 있다. 이것은 부가적으로 치크의 정면을 덮을 수 있고, 그 내부 가장자리가 지지대의 주변면과 밀봉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At least in the region of the cheeks, the casing may have a soft and elastic cover on its exterior to protect the mucosa. It can additionally cover the front of the cheek and its inner edge can seal sealingly with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본 발명의 구조의 경우에는, 더이상 케이싱 치크 상에 잠금 장치가 위치하지 않게 되며, 대신에 케이싱 치크는 안내와 밀봉 기능만을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조는 종래의 구조보다 더 얇게 만들어질 수 있다. 반대로, 지지대 표면과 결과적으로 강모 또는 강모묶음의 수는 증가되거나 확장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of the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invention can be made thinner than the conventional structure, since the locking device is no longer located on the casing cheek, but instead the casing cheek only serves as a guide and seal. Conversely, the support surface and consequently the number of bristles or bristles can be increased or expand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The invention is explained in more detail hereinaft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칫솔은 일부가 잘려져서 도시된 긴 손잡이 (1)와, 헤드(2) 및, 개별적인 강모 묶음 (6)의 강모면(5)을 가진 지지대(4)를 구비하는 교체가능한 브러시 부분(3)을 포함한다. 칫솔의 헤드(2)는 지지대(4)를 가진 브러시 부분(3)이 교체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케이싱(7)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toothbrush shown in FIGS. 1 to 3 has a long handle 1, partly cut off, and a support 4 having a head 2 and a bristle face 5 of an individual bristle bundle 6. A replaceable brush part 3. The head 2 of the toothbrush consists of a casing 7 in which a brush part 3 with a support 4 is inserted in a replaceable manner.
모든 실시예에서 케이싱(7)은 손잡이(1)쪽으로 벽(9)에 의해 밀폐되어 있는, 주변 측면판 또는 치크(8)를 측면 경계에 가지고 있다(도 2 및 4). 벽(9)과 함께, 주변 치크(8)는 단단함 프레임형태를 형성하며, 이 프레임은 후면(10)과 함께 지지대를 수용하기 위하여 아래쪽으로 개방된 공동을 형성한다. In all embodiments the casing 7 has a peripheral side plate or cheek 8 at the side boundary, which is sealed by the wall 9 towards the handle 1 (FIGS. 2 and 4). Together with the wall 9, the peripheral cheek 8 forms a rigid frame shape which, together with the rear face 10, forms a cavity which opens downward to accommodate the support.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케이싱은 또한 관통 개구(11)를 갖는데, 이 관통 개구의 벽은 적어도 일부가 공동으로 돌출해 있는 탄력성있는 멈춤쇠로 형성된다. 강모면(5)의 측면의 평면 지지대(4)는 치크(8)와 벽(9)의 내부에 형성되는 윤곽과 일치하는 윤곽을 가진 판모양의 부분(13)과, 상기 관통 개구(11)를 지나가서 내부로 안내되는 핀(14)을 포함한다. 핀(14)은 케이싱(7)의 후면(10)위로 약간 돌출해 있는 노출된 정면을 가지며, 이 노출된 정면은 누름면(15)을 형성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누름면은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고, 선택에 따라 표면 윤곽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1 to 4, the casing also has a through opening 11, the wall of which is formed of an elastic detent, at least part of which protrudes into the cavity. The planar support 4 on the side of the bristle surface 5 has a plate-shaped portion 13 with a contour that matches the contour formed inside the cheek 8 and the wall 9, and the through opening 11. It includes a pin 14 that is guided through the interior. The pin 14 has an exposed front face that slightly protrudes over the back side 10 of the casing 7, which forms the pressing face 15. As shown in FIG. 1, these pressing faces can be visually distinguished and can optionally vary the surface contour.
관통 개구(11)의 영역에 있는 탄력성있는 멈춤쇠(12)는 상응하도록 형성된 지지대(4)위의 함몰부(16)와 결합되며, 이 실시예에서 이 함몰부는 판모양의 부분 (13)으로 전이되는 영역에서 안쪽으로 이동되어 핀(14)의 주변에 위치되어 있다.An elastic detent 12 in the region of the through opening 11 is engaged with the depression 16 on the correspondingly formed support 4, in this embodiment the depression into plate-shaped portion 13. It is moved inward in the transition region and is located around the pin 14.
도 2 및 4 에 도시된 사용 위치로부터 브러시 부분(3)은, 손가락을 이용하여 강모면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을 누름면(15)에 가하여 탄력성있는 멈춤쇠(12)가 바깥으로 물러나도록 하여 브러시 부분(3)이 아래로 떨어지게 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브러시 부분으로 쉽게 교체될 수 있다.From the use position shown in Figs. 2 and 4, the brush part 3 applies a pressure to the pressing surface 15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bristle surface using a finger so that the elastic detent 12 retreats outward. In such a way that the brush part 3 falls down, it can be easily replaced with a new brush part.
브러시 부분(3)의 강모 묶음(6)은 여러 다른 방식으로 지지대(4)에 고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미리 만들어진 구멍에 부착 장치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대에 결합하거나, 두꺼운 부분(17)이 제공되어 지지대에 성형될 수도 있다. The bristle bundle 6 of the brush part 3 can be secured to the support 4 in several different ways, for example in a pre-made hole by means of an attachment device or adhesive, which can be joined to the support or A thick portion 17 may be provided and molded to the support.
도 5 및 6의 실시예에서, 관통 개구(11)는 비대칭적인 타원형이며 케이싱(7)의 공동 내의 벽은 주변고리를 형성하는 탄력성있는 멈춤쇠(12)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7 및 8의 실시예는 관통 개구(11)와 탄력성있는 멈춤쇠(12)가 원형이라는 점에서만 도 5 및 6 의 실시예와 다르다. In the embodiment of FIGS. 5 and 6, the through opening 11 is asymmetrical elliptical and the wall in the cavity of the casing 7 extends towards the elastic detent 12 forming a peripheral ring. The embodiments of FIGS. 7 and 8 differ from the embodiments of FIGS. 5 and 6 only in that the through opening 11 and the resilient detent 12 are circular.
도 9에서 14까지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관통 개구(11)의 벽의 일부만이 탄력성있는 멈춤쇠(12)를 형성하기 위하여 공동쪽으로 돌출해 있다. 즉, 도 9 및 10에는 U-형태를 가진 멈춤쇠(12)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 및 12에 따른 실시예에서 마주보고 있는 좁은 측면위의 관통 개구(11)에는 아치형의 두 개의 탄력성있는 멈춤쇠(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13 및 14에서 길이방향측에 있는 관통개구의 벽은 마주보는 멈춤쇠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9-14, only a portion of the wall of the through opening 11 protrudes towards the cavity to form an elastic detent 12. 9 and 10, a detent 12 having a U-shape is shown, an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11 and 12, the through opening 11 on the narrow side facing each other has an arcuate two resilient opening. A detent 12 is formed, and the walls of the through opening on the longitudinal side in Figs. 13 and 14 extend toward the opposing detent.
도 15에서 22까지는 다른 구조의 케이싱과 지지대 및 잠금 장치를 도시한다.도 15의 실시예에서, 지지대(4)는 도 4 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헤드를 형성하는 케이싱은 물론, 판모양의 부분(13)과 핀(14)을 갖는다. 도 4 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지지대(4)의 판모양의 부분(13)은 헤드의 하부 말단을 형성하며 치크(8)의 정면(18)은 지지대(4)의 판모양의 부분(13)의 상부에 대한 받침부를 형성한다. 반면에, 지지대(4)는 둘레에 있어서 치크(8)의 외측과 같은 높이에서 끝난다. 15 to 22 show casings and supports and locking devices of different constructions. In the embodiment of FIG. 15, the support 4 is the plate-shaped part as well as the casing forming the head, as in the embodiment of FIG. 13 and pin 14.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4, the plate-shaped portion 13 of the support 4 forms the lower end of the head and the front face 18 of the cheek 8 is the plate-shaped portion 13 of the support 4. To form a support for the top of the).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4 ends at the same height as the outside of the cheek 8 in its circumference.
도 16 의 실시예에서, 지지대(4)의 판모양의 부분(13)은 그의 상부에 안쪽으로 계단모양의 단을 가지며 치크(8)의 정면(18)이 이 단과 결합한다. 판모양의 부분(13)의 들어간 부분이 치크(8)의 안쪽에서 안내된다. 이 실시예에서, 탄성중합체의 덮개(28)가 치크(8)의 외측에 삽입되어 점막을 보호한다. 이 덮개(28)는 치크 (8)의 정면을 넘어 돌출할 수 있으며, 판모양의 부분(13)의 주변 상에 밀봉적으로 결합된다. In the embodiment of FIG. 16, the plate-shaped portion 13 of the support 4 has a stepped inward step on its top and the front face 18 of the cheek 8 engages with this end. The recessed part of the plate-shaped part 13 is guided inside the cheek 8. In this embodiment, a cover 28 of elastomer is inserted outside the cheek 8 to protect the mucosa. This cover 28 can protrude beyond the front of the cheek 8 and is sealingly engaged on the periphery of the plate-shaped portion 13.
도 16 과는 다르게, 도 17 은 헤드 치크(8)의 내측의 단(19)에 설치되어 안내되는, 판모양의 부분(13)을 가진 지지대(4)를 도시하고 있다. Unlike FIG. 16, FIG. 17 shows a support 4 having a plate-shaped portion 13, which is installed and guided at the inner end 19 of the head cheek 8.
도 18 에 따른 실시예에서, 지지대(4)는 판모양의 부분(13) 상에 위로 향해있는 테두리부(20)를 구비하며, 치크(8)는 상응하는 단을 구비하여 이 테두리부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다. 도 19에는 외부의 단이 없는 치크(8)가 지지대(4)의 위로 향한 테두리부(20) 뒤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8, the support 4 has an upwardly rim 20 on the plate-shaped portion 13, with the cheek 8 having a corresponding end within the rim. Are combined. 19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endless cheek 8 is coupled behind the upside edge 20 of the support 4.
도 20 에 따른 실시예에서, 탄력성있는 멈춤쇠(12)는 바깥쪽으로 향해 있으며, 지지대(4)에는 잠금용 함몰부(16)를 형성하는 위로 돌출된 스터드(stud; 21)가 제공되어 있고, 이 함몰부는 멈춤쇠(12)와 바깥쪽으로 결합한다. 이 실시예에서, 핀(14)은 벽으로부터 더 넓은 간격을 두고 관통 개구(11)를 지나간다. 관통 개구(11)는 누름면(15)을 형성하는 누름판(22)에 의해 상부가 닫혀지고, 이 누름판은 도면의 (23)에서 관통 개구(11)의 벽에 고정되거나 성형된다. 누름판(22)은 고무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누름판(22)의 밑면은 핀(14)의 정면과 결합해 있다. 누름판 (22)에 압력이 가해지면, 핀(14)은 아래로 움직인다. 지지대 상에 고정된 스터드 (21)는 탄력성있는 멈춤쇠(12)를 안쪽으로 이동시켜서, 강모묶음을 가진 지지대 (4)를 자유롭게 한다.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20, the resilient detent 12 is facing outwards and the support 4 is provided with an upwardly protruding stud 21 which forms a locking depression 16. This depression engages outwardly with the detent 12. In this embodiment, the pin 14 passes through the through opening 11 at a wider distance from the wall. The through opening 11 is closed at its top by a pressing plate 22 which forms the pressing surface 15, which is fixed or shaped to the wall of the through opening 11 in (23) of the drawing. The pressing plate 22 has a rubbery structure.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22 is engag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pin 14.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pressure plate 22, the pin 14 moves down. The stud 21 fixed on the support moves the resilient detent 12 inwards to free the support 4 with the bristle bundles.
도 21에 따른 실시예에서, 지지대(4)는 판모양의 부분(13)과 이전의 실시예에서 보다 더 짧은 핀(24)을 구비하며, 핀의 둘레에는 탄력성있는 멈춤쇠(12)에 대한 잠금용 함몰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7)의 중앙에는 누름판(25)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누름판은 얇은 두께의 탄력성있는 벽 부분(26)에 의하여 케이싱에 연결된다. 벽 부분(26)의 바로 아래에는 탄력성있는 멈춤쇠가 형성되어 있고, 이 탄력성있는 멈춤쇠는 다시 탄력성있는 벽 부분(27)에 의해 케이싱(7)의 치크(8)에 연결되어 있다. 누름판(25)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 멈춤쇠(12)는 탄력성있는 벽 부분(26, 27)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려져서(도 22 참조), 강모 묶음(6)을 가진 지지대(4)가 자유롭게 되어 아래로 떨어진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21, the support 4 has a plate-shaped portion 13 and a shorter pin 24 than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circumference of the pin for the elastic detent 12. The locking depression 16 is formed. The pressing plate 25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asing 7. This press plate is connected to the casing by a thin wall of resilient wall portion 26. A resilient detent is formed just below the wall portion 26, which in turn is connected to the cheek 8 of the casing 7 by the resilient wall portion 27. In the case of applying pressure to the pressure plate 25, the detent 12 is spread outwards by the resilient wall portions 26, 27 (see FIG. 22), so that the support 4 with the bristle bundle 6 is provided. Free and fall down.
도면들을 종합하여, 모든 실시예에서, 치크(8)의 결합하는 안쪽과 지지대(13)의 주변면은 매끄럽고 약간 안쪽으로 원뿔형으로 가늘어지며, 탄력성있는 멈춤쇠(12)와 잠금용 함몰부(16)로 구성된 잠금 장치는 치크와 지지대에 대해 안쪽으로 이동되어 위치하고 있다. Combining the figures, in all embodiments, the joining interior of the cheek 8 a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13 are smooth and slightly conical tapered inwards, the elastic detent 12 and the locking depression 16. The locking device consisting of) is moved inward with respect to the cheek and the support.
본 발명에 따라서, 칫솔의 강모가 마손된 경우에 교체되어야 하는 플라스틱 부분은 최소가 되며, 칫솔의 사용 중에 잠금장치가 풀리지 않고, 브러시의 교체가 쉬우며, 교체 부분과 칫솔 헤드사이의 틈이 최소로 되어 이 틈에 치약 잔여물이나 먼지 등의 침투가 적다는 이점이 있으므로, 산업 폐기물의 양을 줄일 수 있고, 구상 위생상 좋은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plastic part to be replaced is minimal when the bristles of the toothbrush are worn out, the locking mechanism is not released during use of the toothbrush, the brush is easy to replace, and the gap between the replacement part and the toothbrush head is minimal This has the advantage of less penetration of toothpaste residues and dust into the gaps, so that the amount of industrial waste can be reduced, and a good toothbrush can be provided for design hygiene.
Claims (2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710345A KR100551626B1 (en) | 1996-06-22 | 1997-06-19 | Toothbrush with a replaceable brush pa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9624962.7 | 1996-06-22 | ||
KR1019980710345A KR100551626B1 (en) | 1996-06-22 | 1997-06-19 | Toothbrush with a replaceable brush par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6738A KR20000016738A (en) | 2000-03-25 |
KR100551626B1 true KR100551626B1 (en) | 2006-09-12 |
Family
ID=4174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71034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1626B1 (en) | 1996-06-22 | 1997-06-19 | Toothbrush with a replaceable brush par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5162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9518475U (en) * | 2018-04-09 | 2019-10-22 |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 Work head assembly and burnisher for burnisher |
CN109907852B (en) * | 2019-04-11 | 2024-02-02 | 稻津电机(珠海)有限公司 | Toothbrush head quick detach structure and electric toothbrush |
-
1997
- 1997-06-19 KR KR1019980710345A patent/KR10055162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6738A (en) | 2000-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171085C2 (en) | Toothbrush with replaceable cleaning part | |
KR100596253B1 (en) | Toothbrush including replaceable part | |
US4890349A (en) | Tooth care atricle such as a toothbrush with replaceable insert | |
EP1229811B1 (en) | Toothbrush | |
UA68354C2 (en) | Toothbrush having a head with peel-resistant joint | |
KR100551626B1 (en) | Toothbrush with a replaceable brush part | |
KR100496068B1 (en) | Dental care device with replaceable care part | |
CA2257502C (en) | Dental hygiene device with replaceable cleaning part | |
KR19990017624U (en) | silicon toothbrush | |
US7431530B1 (en) | Toothbrush methods and apparatus | |
KR200171064Y1 (en) | Tooth brush having a detachable head portion | |
MXPA98010570A (en) | Device of dental hygiene with part of dental hygiene replacement | |
MXPA98010579A (en) | Brush for teeth with a part of brush replacement | |
MXPA00012240A (en) | Toothbrush with an exchangeable part | |
KR20110006326A (en) | Toothbrush including replaceable pa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812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5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2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