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1159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159B1
KR100551159B1 KR1019980062784A KR19980062784A KR100551159B1 KR 100551159 B1 KR100551159 B1 KR 100551159B1 KR 1019980062784 A KR1019980062784 A KR 1019980062784A KR 19980062784 A KR19980062784 A KR 19980062784A KR 100551159 B1 KR100551159 B1 KR 100551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transmission rate
station
data
base s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6108A (ko
Inventor
길 련 남
구 훈 정
Original Assignee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19980062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159B1/ko
Publication of KR20000046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15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전송속도에 해당하는 전력제어 그룹에 대해서만 전력제어를 수행하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의 채널엘리먼트에서 4가지의 데이터 전송속도에 대해 모두 디모듈레이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데이터 전송속도에 대해서만 디모듈레이션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채널엘리먼트의 처리속도가 빨라져 효율이 향상되며, 또한 교환국의 콜컨트롤 프로세서에서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통해 전력제어를 수행해야 되는 전력제어 그룹을 선택한 후, 정보가 실려있지 않은 전력제어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그룹에 대해서만 전력제어를 수행하므로써, 제어국의 콜컨트롤 프로세서의 효율을 향상시켜 데이터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Link)의 폐쇄 루프(Loop) 전력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전송속도에 해당하는 전력제어 그룹에 대해서만 전력제어를 수행하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기존의 콜컨트롤 프로세서(Call Control Processor)는 이동국에서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 속도를 인지할 수 없었기 때문에, 어떤 데이터 속도(1200bps, 2400bps, 4800bps, 9600bps)로 데이터가 전송되어 오든지 무조건 모든 전력제어 그룹에 대해 전력제어를 수행하였다. 즉, 이동국으로 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의 전력제어 그룹중 정보가 없는 전력제어 그룹은 최소의 전력값으로 전송되어 오는데, 콜컨트롤 프로세서는 그 전력제어 그룹이 원래 정보가 없기 때문에 최소의 전력값으로 전송되는지, 아니면 열악한 전파환경에 의해 최소의 전력값으로 전송되는지 구분할 수 없었고, 이로인해 최소의 전력으로 전송되어 오는 전력제어 그룹에 대해 전력을 증가하라는 메시지를 이동국에 통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이동국은 정보가 없는 전력제어 그룹에 대해서는 이 메시지를 무시해 버림으로 전력제어 동작을 종료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으로는 4800bps의 속도로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의 경우에는 한 프레임의 1/2에 해당하는 비트가, 2400bps의 속도로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의 경우에는 한 프레임의 3/4에 해당하는 비트가, 1200bps의 속도로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의 경우에는 한 프레임의 7/8에 해당하는 비트가 실제 정보가 없는 비트이기 때문에 전력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콜컨트롤 프로세서에서 모든 전력제어 그룹에 대해 전력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콜컨트롤 프로세서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으로는 기지국의 채널엘리먼트에서 단말기로 부터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모르기 때문에 4가지 전송속도(1200bps, 2400bps, 4800bps, 9600bps)에 대해 모두 디모듈레이션을 한 후 그 가운데에서 심볼 에러 레이트(Symbol Error Rate)와 품질 지시자(Quallity Indicator)를 이용하여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또한 4가지의 전송속도를 모두 디모듈레이션(Demodulation) 해야하므로 시스템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의 채널엘리먼트와 교환국의 콜컨트롤 프로세서의 효율을 향상시켜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부하량을 줄이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은, 음성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에서 송신한 음성 데이터를 디모듈레이션하여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한 음성 데이터의 호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국으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상기 기지국의 채널엘리먼트로 전송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기지국의 채널엘리먼트가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수신받은 후, 데이터 전송속도를 인식하고, 제어국으로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어국의 콜컨트롤 프로세서가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입력받은 후 데이터 랜덤화를 통해 전력제어를 수행할 전력제어 그룹을 결정하고, 이후 해당 전력제어 그룹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신호를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이동국이 데이터 랜덤화를 통해 전력제어 그룹을 결정한 후 상기 제어국에서 전송한 전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기지국의 채널엘리먼트가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해당 데이터 전송속도에 대해서만 디모듈레이션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어국의 콜컨트롤 프로세서가 상기 기지국에서 디모듈레이션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호처리를 수행하는 제 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장치의 제어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장치는 이동국(100), 기지국(200) 및 제어국(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국(100)은 전송속도 정보신호와 데이터 랜덤화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20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전송속도 탐지부(101) 및 제 1 메시지 송/수신부(10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국(100)내에 장착된 전송속도 탐지부(101)는 상기 기지국(200)으로 전송할 음성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탐지한 후,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상기 제 1 메시지 송/수신부(103)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이동국(100)내에 장착된 제 1 메시지 송/수신부(103)는 상기 전송속도 탐지부(101)에서 전송한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기지국(200)으로 송신하고, 이후 모듈레이션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200)으로 송신하며, 상기 교환기(300)에서 전송한 전력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이동국(100)에서 송신한 전송속도 정보신호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모듈레이션을 수행한 후 상기 제어국(30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제 2 메시지 송/수신부(201) 및 채널엘리먼트(203)로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200)내에 장착된 제 2 메시지 송/수신부(201)는 상기 이동국(100)의 제 1 메시지 송/수신부(103)에서 송신한 전송속도 정보신호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엘리먼트(203)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국(300)에서 송신한 전력제어신호를 상기 이동국(10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기지국(200)내에 장착된 채널엘리먼트(203)는 상기 제 2 메시지 송/수신부(201)에서 출력한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입력한 후 전송될 음성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인식하고, 이후 상기에서 인식한 해당 전송속도에 대해서만 음성 데이터만의 디모듈레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200)내에 장착된 채널엘리먼트(203)는 상기 제 2 메시지 송/수신부(201)에서 출력한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다시 상기 제어국(30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어국(300)은 상기 채널엘리먼트(203)에서 출력한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통해 상기 이동국(100)의 데이터 송신시 전력을 제어하고, 음성 데이터를 입력한 후 호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제 3 메시지 송/수신부(301) 및 콜컨트롤 프로세서(30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국(300)내에 장착된 제 3 메시지 송/수신부(301)는 상기 채널엘리먼트(203)에서 출력한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콜컨트롤 프로세서(303)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어국(300)내에 장착된 콜컨트롤 프로세서(303)는 상기 제 3 메시지 송/수신부(301)에서 출력한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수신한 후 데이터 랜덤화를 통해 전력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전력제어 그룹을 파악하고, 이후 파악된 데이터 전력제어 그룹만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신호를 상기 이동국(10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플로우챠트로서, 여기서 S는 스텝(STEP)을 나타낸다.
먼저, 상기 이동국(100)내에 장착된 전송속도 탐지부(101)는 상기 기지국(200)으로 전송할 음성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탐지한 후,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상기 제 1 메시지 송/수신부(103)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국(100)내에 장착된 제 1 메시지 송/수신부(103)는 상기 전송속도 탐지부(101)에서 전송한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기지국(200)으로 송신한다(S1).
한편, 상기 기지국(200)내에 장착된 제 2 메시지 송/수신부(201)는 상기 이동국(100)의 제 1 메시지 송/수신부(103)에서 송신한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엘리먼트(203)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200)내에 장착된 채널엘리먼트(203)는 상기 제 2 메시지 송/수신부(201)에서 출력한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입력한 후 전송될 음성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인식하고, 이후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상기 제어국(300)으로 전송한다(S2).
그러면, 상기 제어국(300)내에 장착된 제 3 메시지 송/수신부(301)는 상기 채널엘리먼트(203)에서 출력한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콜컨트롤 프로세서(303)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국(300)내에 장착된 콜컨트롤 프로세서(303)는 상기 제 3 메시지 송/수신부(301)에서 출력한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수신한 후, 데이터 랜덤화를 통해 전력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전력제어 그룹을 파악하고, 이후 파악된 데이터 전력제어 그룹만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신호를 상기 이동국(100)으로 전송한다(S3).
한편, 데이타 랜덤화라는 것은 상기 이동국(100)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기 이전에 전력제어 그룹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콜컨트롤 프로세서(303)에서도 데이터 랜덤화 방법을 이용하여 전력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전력제어 그룹을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데이터 랜덤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이동국(100)은 송신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전단에 위치한 전력제어 그룹에서 마지막 두 번째 전력제어 그룹의 최종 14비트와 상기 전송속도탐지부(101)에서 출력한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랜덤화를 수행한다. 먼저, 상기 이동국(100)은 최종 14 비트(Bit)를 b0, b1, b2, b3, b4, b5, b6, b7, b8, b9, b10, b11, b12, b13로 표현하는데, 이때 b0는 가장 오래된 비트를 나타내고 b13는 가장 최근 비트를 나타낸다. 한편, 데이타 전송속도가 9600bps일 때 전송될 전력제어 그룹은 0,1,2,3,4,5,6,7,8,9,10,11,12,13,14,15로 표현하고,
데이타 전송속도가 4800bps일 때 전송될 전력제어 그룹은, b0, 2+b1, 4+b2, 6+b3, 8+b4, 10+b5, 12+b6 14+b7로 표현하며,
데이타 전송속도가 2400bps일 때 전송될 전력제어 그룹은, b8=0 일 때 b0 또는 b8=1 일 때 2+b1로, b9=0 일 때 4+b2 또는 b9=1 일 때 6+b3로, b10=0 일 때 8+b4 또는 b10=1 일 때 10+b5로, b11=0 일 때 12+b6 또는 b11=1 일 때 14+b7로 표현하고,
데이타 전송속도가 1200bps일 때 전송될 전력제어 그룹은 b8=0 이고 b12=0 이면 b0로, b8=1 이고 b12=0 이면 2+b1로, b9=0 이고 b12=0 이면 4+b2로, b9=1 이고 b12=1 이면 6+b3로, b10=0 이고 b13=0 이면 8+b4로, b10=1 이고 b13=0 이면 10+b5로, b11=0 이고 b13=0 이면 12+b6로, b11=1 이고 b13=1 이면 14+b7로 표현하여 데이터 랜덤화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 이동국(100)은 상기 제어국(300)의 콜컨트롤 프로세서(303)에서 출력한 전력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랜덤화를 통해 전력제어 그룹을 결정한 후 입력받은 전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기지국(200)으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한다(S4).
한편, 상기 기지국(200)내에 장착된 제 2 메시지 송/수신부(201)는 상기 이동국(100)에서 송신한 음성 데이터를 입력한 후 상기 채널엘리먼트(203)으로 출력하고, 상기 채널엘리먼트(203)는 상기 제 2 메시지 송/수신부(201)에서 출력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해당 데이터 전송속도에 대해서만 디모듈레이션 동작을 수행한다(S5).
또한, 상기 기지국(200)내에 장착된 채널엘리먼트(203)는 디모듈레이션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어국(3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국(300)의 제 3 메시지 송/수신부(301)는 상기 채널엘리먼트(203)에서 출력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콜컨트롤 프로세서(303)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국(300)내에 장착된 콜컨트롤 프로세서(303)는 상기 제 3 메시지 송/수신부(301)에서 출력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호처리를 수행하게 된다(S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의 채널엘리먼트에서 4가지의 데이터 전송속도에 대해 모두 디모듈레이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데이터 전송속도에 대해서만 디모듈레이션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채널엘리먼트의 처리속도가 빨라져 효율이 향상된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다른 효과는 교환국의 콜컨트롤 프로세서에서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통해 전력제어를 수행해야 되는 전력제어 그룹을 선택한 후, 정보가 실려있지 않은 전력제어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그룹에 대해서만 전력제어를 수행하므로써, 제어국의 콜컨트롤 프로세서의 효율을 향상시켜 데이터의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이로인해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 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장치를 나타낸 기능블 록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 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국 101 : 전송속도 탐지부
103 : 제 1 메시지 송/수신부 200 : 기지국
201 : 제 2 메시지 송/수신부 203 : 채널엘리먼트
300 : 제어국 301 : 제 3 메시지 송/수신부
303 : 콜컨트롤 프로세서

Claims (1)

  1. 음성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에서 송신한 음성 데이터를 디모듈레이션하여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한 음성 데이터의 호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국으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상기 기지국의 채널엘리먼트로 전송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기지국의 채널엘리먼트가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수신받은 후, 데이터 전송속도를 인식하고, 제어국으로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어국의 콜컨트롤 프로세서가 전송속도 정보신호를 입력받은 후 데이터 랜덤화를 통해 전력제어를 수행할 전력제어 그룹을 결정하고, 이후 해당 전력제어 그룹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신호를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이동국이 데이터 랜덤화를 통해 전력제어 그룹을 결정한 후 상기 제어국에서 전송한 전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기지국의 채널엘리먼트가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해당 데이터 전송속도에 대해서만 디모듈레이션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어국의 콜컨트롤 프로세서가 상기 기지국에서 디모듈레이션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호처리를 수행하는 제 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
KR1019980062784A 1998-12-31 1998-12-3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51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784A KR100551159B1 (ko) 1998-12-31 1998-12-3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784A KR100551159B1 (ko) 1998-12-31 1998-12-3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108A KR20000046108A (ko) 2000-07-25
KR100551159B1 true KR100551159B1 (ko) 2006-05-25

Family

ID=1956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78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1159B1 (ko) 1998-12-31 1998-12-3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5437B2 (ja) * 2001-05-10 2004-10-13 日本電気株式会社 指向性制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5125A (ko) * 1994-05-12 1995-12-30 고지 오보시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1098431A (ja) * 1996-09-20 1998-04-14 Nec Corp Cdmaセルラーシステム用閉ループ送信機電力制御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5125A (ko) * 1994-05-12 1995-12-30 고지 오보시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1098431A (ja) * 1996-09-20 1998-04-14 Nec Corp Cdmaセルラーシステム用閉ループ送信機電力制御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108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96392B2 (ja) データレート検出器
US49127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ror-free digital data transmission during cellular telephone handoff, etc.
KR100234582B1 (ko) 모빌 데이타 전화기
US6463042B1 (en) Mobile station having power saving mode for packet data
UA72442C2 (uk) Спосіб і пристрій для пейджерного виклику радіотерміналу у системі радіозв&#39;язку
CA22692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s in a cellular environment
BG62346B1 (bg) Метод и система за сигнализиране на селективно повикване скомбинирано персонално повикване с широк обхват на действие ивисокоскоростно предаване на данни чрез радиотелефонниприемопредавателни станции
KR20030080205A (ko)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데이터 흐름 제어
JP2001244879A (ja) 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CN100569019C (zh) 第一和第二快速寻呼信道码元的顺序解调
JP3252487B2 (ja) セルラ無線電話システム
JP2000261398A (ja) 通信装置
KR10055115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의 폐쇄 루프 전력제어 방법
US5710772A (en) TDM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473076B1 (ko) 수신기
US6188720B1 (en) Modulation and signaling converter
JP2000253187A (ja) 音声通信装置
AU730955B2 (en) A method of receiving signals, in particular signaling
CN101199178A (zh) 通信装置、通信系统以及调制方法
JPH11284569A (ja) 送信電力制御方式
JP2003134071A (ja) 電力移行に基づくブラインドトランスポートフォーマット検出の方法
JP2003520539A (ja) 迅速呼出チャンネルシンボルを使用する無線通信受信器
JP2001156707A (ja) 移動通信装置
JPH11164363A (ja) Codec1リンク制御方法及びcodec1リンク接続制御基地局
EP2858266A2 (en) Data sequence detection in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312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1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04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