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0571B1 - 일체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571B1
KR100550571B1 KR1020040044109A KR20040044109A KR100550571B1 KR 100550571 B1 KR100550571 B1 KR 100550571B1 KR 1020040044109 A KR1020040044109 A KR 1020040044109A KR 20040044109 A KR20040044109 A KR 20040044109A KR 100550571 B1 KR100550571 B1 KR 100550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sucked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8946A (ko
Inventor
백상균
정용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4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571B1/ko
Priority to US11/150,237 priority patent/US20060005559A1/en
Publication of KR20050118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9Ax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가 프레임의 좌측 공기 흡입구와 우측 공기 흡입구를 통해 프레임의 옆인 좌,우에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좌측 열교환기와 우측 열교환기의 각각을 통과하면서 냉각/가열되며, 냉각/가열된 공기가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되어 합쳐진 후 전방으로 송풍되므로, 냉/난방 효율이 높고, 토출된 공기의 역류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일체형 공기조화기, 프레임, 좌측 공기 흡입구, 우측 공기 흡입구, 송풍팬, 좌측 열교환기, 우측 열교환기

Description

일체형 공기조화기{Window type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베이스 팬 53,: 우측 공기 흡입구
54: 좌측 공기 흡입구 55: 프레임
56: 오리피스 57: 유로 가이드
58: 공기 토출구 59: 프론트 패널
60: 베리어 61: 우측 공기 흡입구
62: 상측 공기 흡입구 63: 좌측 공기 흡입구
64: 캐비닛 67: 전방 회전축
68: 후방 회전축 70: 양축모터
72: 실내 송풍팬 73: 허브
74: 블레이드 76: 실외 송풍팬
77: 허브 78: 블레이드
80: 실내 열교환기 81: 우측 열교환부
83: 좌측 열교환부 81a,83a: 냉매 유입배관
81b,83b: 냉매 유출배관 86; 쉬라우드
88: 오리피스 90: 실외 열교환기
94: 압축기 96: 캐필러리 튜브
본 발명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 공기가 양측면으로 흡입되어 열교환된 후 전방으로 토출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쾌적한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흡입공기를 처리하여 건물 또는 방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크게 분리형(seperate type 또는 split type)과 일체형(window type)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각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한편,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고, 가옥의 벽이나 창에 장착하여 실내의 공기를 직접 흡입한 후 토출하거나 실외에 장착하여 실내와 연결되는 덕트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 후 토출한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팬(2)과, 상기 베이스 팬(2)의 상측에 배치되는 캐비닛(4)과, 상기 베이스 팬(2)과 캐비닛(4)의 사이를 실내측 공간(I)과 실외측 공간(O)으로 구획하는 에어 가이드(6)와, 상기 캐비닛(4)의 실내측 전면에 배치되어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전면패널(9)과,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변화시키는 압축기(12)와, 상기 실외측 공간(O)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12)에서 나온 냉매가 실외측 공간(O) 내의 공기로 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되는 응축기(14)와, 상기 응축기(14)에서 응축된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를 저온 저압의 2상 냉매(액체와 기체의 혼합) 상태로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미도시)와, 상기 실내측 공간(I)에 배치되어 상기 팽창 밸브를 통과한 2상 냉매가 실내측 공간(I) 내의 공기의 열을 흡수하면서 기체 상태로 증발되는 증발기(16)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4)은 실외측 측면 및 상면에 실외의 공기가 흡입되는 실외 흡입구(5)가 형성되고, 그 배면은 실외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개방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6)는 상기 베이스 팬(2) 위에 배치된 로우어 가이드(7)와, 상기 로우어 가이드(32)의 상부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터보팬(24)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를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11)로 안내하는 어퍼 가이드(8)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 패널(9)은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실내 공기 흡입구(10)가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10)의 상측 또는 옆에 실내측 공간(I)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실내 공기 토출구(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에어 가이드(6)에 고정되어 실내측 공간과 실외측 공간으로 전방 샤프트(20a)와 후방 샤프트(20b)가 각각 돌출되는 양축모터(20)와, 상기 증발기(16)로 실내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도록 상기 양축모터(20)의 전방 샤프트(20a)에 연결된 터보팬(24)과, 상기 터보팬(24)의 흡입측에 위치되어 풍속을 빠르게 하는 오리피스(26)와, 상기 응축기(14)로 실외 공기를 강제 통과시키도록 상기 양축모터(20)의 후방 샤프트(20b)에 연결된 프로펠러 팬(28)과, 상기 프로펠러 팬(26)의 회전에 의해 흡입된 실외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쉬라우드(30)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압축기(12), 응축기(14), 팽창기구(미도시), 증발기(16)로 구성된 냉동 사이클에는 냉매가 순환되게 되고, 상기 양축 모터(20)는 구동되어 터보팬(24)과 프로펠러 팬(28)을 회전시킨다.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방측 실내 공기는 상기 터보팬(24)의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흡입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9)의 공기 흡입구(10)를 통과하고, 상기 증발기(16)를 통하면서 저온으로 변화된 후 상기 오리피스(26)와 로우어 가이드(7)와 어퍼 가이드(8)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유동 방향이 전방으로 꺽이며, 상기 프론트 패널(9)의 공기 토출구(11)를 통과하여 성가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방측으로 다시 토출된다.
그리고, 실외의 공기는 상기 프로펠러 팬(28)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캐비닛(4)의 흡입구(5)로 흡입되어 상기 쉬라우드(30)를 통과하고 상기 응축기(14)를 통하면서 냉매의 열을 빼앗은 후 실외로 토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 흡입구(10)와 실내 공기 토출구(11)가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면에 같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토출된 공기 중 상당량이 곧바로 다시 흡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내의 공기가 터보팬(24)의 전방에서 흡입되어 상측방향으로 꺽인 후, 상기 어퍼 가이드(8)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꺽이므로, 유동 손실이 크고 소음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교환기가 좌,우 배치되고 실내 공기가 좌,우 측면을 통해 흡입되어 열교환된 후 전면을 통해 토출되므로, 냉/난방 효율이 높고, 토출된 공기의 역류가 최소화되며, 소비 전력이 최소화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우측면에 우측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좌측면에 우측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실내 공기가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와 좌측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어 전방으로 송풍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된 송풍팬과;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와 송풍팬의 사이에 배치된 우측 열교환기와;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와 송풍팬의 사이에 배치된 좌측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팬은 송풍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된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좌측 열교환기와 우측 열교환기의 각각에 연결된 냉매배관이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 전방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가 형성된 유로 가이드와, 상기 프레임의 배면측을 막도록 배치된 베리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측 열교환기와 우측 열교환기는 상기 베리어의 전면과 상기 유로 가이드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기(A)가 양측면으로 흡입되어 열교환된 후 전면을 통해 토출된다.
그리고, 실외 공기(B)가 양측면 또는 상면으로 흡입되어 열교환된 후 배면을 통해 토출된다.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팬(52)의 전방부 상측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53,54)가 형성된 프레임(55)이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55)은 우측면부에 우측 공기 흡입구(53)가 형성되고, 좌측면부에 좌측 공기 흡입구(54)가 형성되어, 좌,우 2면을 통해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 프레임이다.
상기 프레임(55)에는 후술하는 실내 송풍팬(72)에 의해 전방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56)가 형성된 유로 가이드(57)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55)의 전면에는 상기 실내 송풍팬(72)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58)가 형성된 전면 패널(59)이 배치된다.
상기 전면 패널(59)은 상기 실내 송풍팬(72)의 전방에 상기 공기 토출구(58)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58)에는 상기 공기 토출구(58) 내측을 보호하기 위한 토출 그릴(59a)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55)의 배면에는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실내측 공간(I)과 실외측 공간(O)으로 구획하는 베리어(60)가 장착된다.
상기 베리어(60)는 상기 프레임(55)의 배면측을 막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팬(52)의 후방부 상측에는 실외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61,62,63)가 형성된 캐비닛(64)이 장착된다.
상기 캐비닛(64)은 우측면부에 우측 공기 흡입구(61)가 형성되고, 상면부에 상측 공기 흡입구(62)가 형성되며, 좌측면부에 좌측 공기 흡입구(63)가 형성되고, 배면이 개방되어, 3면을 통해 실외 공기가 흡입되고, 배면을 통해 실외에서 흡입되었던 공기를 토출한다.
한편, 상기 베리어(60)에는 상기 베리어(60)의 전방을 향해 전방 회전축(67)이 돌출되고 상기 베리어(60)의 후방을 향해 후방 회전축(68)이 돌출되는 송풍모터인 양축모터(70)가 장착된다.
상기 양축 모터(70)의 전방 회전축(67)에는 상기 프레임(55)의 좌,우 공기 흡입구(53,54)로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송풍시키는 실내 송풍팬(72)이 상기 프 레임(55)의 내측에 위치되게 연결되고, 상기 양축 모터(70)의 후방 회전축(68)에는 상기 캐비닛(64)의 공기 흡입구(60,61,62)로 공기를 흡입하여 후방으로 송풍시키는 실외 송풍팬(76)이 상기 캐비닛(64)의 내측에 위치되게 연결된다.
상기 실내 송풍팬(72)은 후방 또는 둘레의 공기를 흡인하여 전방으로 송풍하는 것으로서, 상기 양축 모터(70)의 전방 회전축(67)에 고정된 허브(73)와, 상기 허브(73)의 외둘레를 따라 나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74)로 구성되고, 카이팬 또는 엑스팬이라 칭한다.
상기 실외 송풍팬(76)은 전방 또는 둘레의 공기를 흡인하여 후방으로 송풍하는 것으로서, 상기 양축 모터(70)의 후방 회전축(68)에 고정된 허브(77)와, 상기 허브(77)의 외둘레를 따라 나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78)로 구성되고, 카이팬 또는 엑스팬이라 칭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55)의 내측에는 상기 실내 송풍팬(72)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실내 열교환기(80)가 배치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80)는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53)와 실내 송풍팬(72)의 사이에는 배치되어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53)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우측 열교환기(81)와,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54)와 송풍팬(7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54)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좌측 열교환기(83)로 구성되어, 우측 열교환기(81)와 좌측 열교환기(82)의 각각이 실내에서 흡입된 공기를 냉각/가열시킨다.
상기 우측 열교환기(81)와 좌측 열교환기(83)의 각각은 냉매가 통과하는 냉 매배관과, 상기 냉매배관을 통과하는 냉매의 열전달을 촉진시키도록 상기 냉매배관에 장착된 복수개의 핀 또는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상기 우측 열교환기(81)와 좌측 열교환기(83)는 그 각각의 냉매 배관 입구측에 연결된 냉매 유입배관(81a,83a)이 병렬로 연결되고, 그 각각의 냉매 배관 출구측에 연결되는 냉매 유출배관(81b,83b)이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우측 열교환기(81)와 좌측 열교환기(83)는 상기 베리어(60)의 전면과 상기 유로 가이드(57)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우측 열교환기(81) 또는 좌측 열교환기(83)는 상기 프레임(55)의 우측면부와 및 좌측면부와 나란하게 전후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프레임(55)의 우측면부와 좌측면에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우측 열교환기(81) 또는 좌측 열교환기(83)는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전후 방향으로 배치될 때보다 열전달 면적이 크게 되고, 옆에서 흡입되어 전방으로 꺽이는 공기 유동 방향과 직교하게 되어, 유로 저항이 최소화되고 열전달 효율이 높게 된다.
한편, 상기 캐비닛(64)의 내측에는 상기 실외 송풍팬(76)에 의해 흡입된 실외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쉬라우드(86)가 배치된다.
상기 쉬라우드(86)에는 상기 실외 송풍팬(76)이 내측에 위치되는 오리피스(88)가 형성된다.
상기 쉬라우드(86)의 내측 또는 후방에는 상기 실외 송풍팬(76)에 의해 후방으로 송풍되는 공기로 냉매의 열을 방출하는 실외 열교환기(90)가 배치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90)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배관과, 상기 냉매배관을 통과하는 냉매의 열전달을 촉진시키도록 상기 냉매배관에 장착된 복수개의 핀 또는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90)는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배면측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다.
참조 부호 94는 상기 실외측 공간(O)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팬(52)에 장착된 압축기이다.
참조 부호 96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90)에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된 후 상기 실내 열교화기(8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실외 열교환기(90)와 실내 열교환기(80) 사이에 배치된 팽창기구인 캐필러리 튜브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압축기(94)는 구동되어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하고,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90)를 통과하면서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면서 응축되며, 응축된 냉매는 상기 캐필러리 튜브(96)를 통과하면서 감압되어 2상 냉매로 변한다.
감압된 냉매는 상기 냉매 상기 냉매 유입배관(81a,83a)으로 분산되어 상기 실내 열교환기(80)의 우측 열교환기(81)와 좌측 열교환기(83)로 유입되고, 우측 열교환기(81)와 좌측 열교환기(83)를 통과하면서 주변의 열을 빼앗아 증발되며, 상기 냉매 유출배관(81b,83b)을 지나 합쳐져서 상기 압축기(94)로 순환된다.
한편,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압축기(94)의 구동시 상기 양축 모터(70)를 구동시킨다.
상기 양축 모터(70)가 구동되면, 상기 실내 송풍팬(72)은 회전되어 둘레 또는 후방에 부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프레임(55)의 옆의 공기(A)는 상기 프레임(55)의 우측 공기 흡입구(53)와 좌측 공기 흡입구(54)를 통과하여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측 전방인 실내측 공간(I)으로 흡입된다.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53)와 좌측 공기 흡입구(54)의 각각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80)의 좌측 열교환부(81)와 우측 열교환부(83)의 각각을 통과하면서 냉매로 열을 빼앗겨 냉각되고, 상기 실내 송풍팬(72)으로 흡인된 후 합쳐져서 상기 실내 송풍팬(72)의 전방으로 송풍된다.
송풍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56)와 상기 프론트 패널(59)의 공기 토출구(58)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양축 모터(70)의 구동시 상기 실외 송풍팬(76)은 회전되어 둘레 또는 전방에 부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캐비닛(64)의 옆과 상측의 공기(B)는 상기 캐비닛(64)의 우측 공기 흡입구(61)와 상측 공기 흡입구(62)와 좌측 공기 흡입구(63)를 통과하여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측 중 후방인 실외측 공간(I)으로 흡입된다.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61)와 상측 공기 흡입구(62)와 좌측 공기 흡입구(63)의 각각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실외 송풍팬(76)으로 흡인되어 후방으로 송풍되고, 상기 쉬라우드(86)의 오리피스(88)를 통과한 후 상기 실외 열교환기(90)를 통과하면서 냉매의 열을 빼앗아 가열되며, 상기 캐비닛(64)의 배면을 통해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후방으로 토출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55)과 캐비닛(64)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가 프레임의 좌측 공기 흡입구와 우측 공기 흡입구를 통해 프레임의 옆인 좌,우에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좌측 열교환기와 우측 열교환기의 각각을 통과하면서 냉각/가열되며, 냉각/가열된 공기가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되어 합쳐진 후 전방으로 송풍되므로, 냉/난방 효율이 높고, 토출된 공기의 역류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가 프레임의 좌,우 2 방향에서 흡입되어, 송풍팬 전방의 1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때 보다, 송풍팬의 공기 흡입 면적이 넓게 되므로, 다량의 실내 공기가 신속하게 흡입 및 열교환될 수 있고, 송풍팬의 부하 및 소비 전력이 최소화고, 유동 손실 및 소음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 전방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가 구비되고, 베리어가 상기 프레임의 배면측을 막으므로, 실내에서 흡입된 공기가 전방으로 신속하게 송풍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좌측 열교환기와 우측 열교환기가 상 기 베리어의 전면과 상기 유로 가이드의 배면 사이에 배치되므로, 충분한 열전달 면적을 갖고,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후 또는 좌우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전방으로 직진 토출되므로, 송풍된 공기의 유로가 꺽일 때 발생될 수 있는 난류 및 소음이 최소화되고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신속하게 토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우측면에 우측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좌측면에 우측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실내 공기가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와 좌측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어 전방으로 송풍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된 송풍팬과;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와 송풍팬의 사이에 배치된 우측 열교환기와;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와 송풍팬의 사이에 배치된 좌측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송풍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된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좌측 열교환기와 우측 열교환기의 각각에 연결된 냉매배관이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 전방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가 형성된 유로 가이드와,
    상기 프레임의 배면측을 막도록 배치된 베리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열교환기와 우측 열교환기는 상기 베리어의 전면과 상기 유로 가이드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0040044109A 2004-06-14 2004-06-15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50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109A KR100550571B1 (ko) 2004-06-15 2004-06-15 일체형 공기조화기
US11/150,237 US20060005559A1 (en) 2004-06-14 2005-06-13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109A KR100550571B1 (ko) 2004-06-15 2004-06-15 일체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946A KR20050118946A (ko) 2005-12-20
KR100550571B1 true KR100550571B1 (ko) 2006-02-10

Family

ID=3729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109A KR100550571B1 (ko) 2004-06-14 2004-06-15 일체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5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857B1 (ko) * 2016-10-26 2018-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998B1 (ko) * 2018-09-04 2020-03-10 콤마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396084B1 (ko) * 2019-05-24 2022-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공기조화기
WO2021145483A1 (ko) * 2020-01-16 2021-07-22 콤마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857B1 (ko) * 2016-10-26 2018-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946A (ko) 2005-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57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US11067298B2 (en) Air conditioner
KR102519931B1 (ko) 공기조화기
KR20170043908A (ko) 공기 조화기
US10718533B2 (en) Fan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055057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61351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60005196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79570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50118948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79572B1 (ko) 공기조화기
CN215909203U (zh) 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KR10061351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471438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응축기 냉각구조
KR200321115Y1 (ko) 공기 조화기
US20060005559A1 (en) Air conditioner
CN109891101B (zh) 螺旋桨风扇、室外机和制冷循环装置
KR20050118947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CN216281728U (zh) 一种室内空调器
KR20030084358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KR20060017012A (ko) 공기조화기
KR101351857B1 (ko) 난방장치의 열교환기 배치구조
KR10055054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KR20060017011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60022442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