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553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0553B1 KR100550553B1 KR1020030070332A KR20030070332A KR100550553B1 KR 100550553 B1 KR100550553 B1 KR 100550553B1 KR 1020030070332 A KR1020030070332 A KR 1020030070332A KR 20030070332 A KR20030070332 A KR 20030070332A KR 100550553 B1 KR100550553 B1 KR 1005505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 dispenser
- door
- chute
- refriger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가 홈 바를 겸하도록 하여 냉동실과 냉장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효 내용적을 크게 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물을 제빙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을 수용하는 아이스 뱅크와; 상기 아이스 뱅크의 얼음을 낙하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아이스 슈트와; 상기 아이스 슈트에 안내된 얼음이 담겨지는 용기 또는 피냉동물이 올려질 수 있도록 냉동실 도어에 형성된 디스펜서와; 상기 디스펜서를 개폐하도록 상기 냉동실 도어에 장착된 디스펜서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capable of increasing the effective content of at least one of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by allowing the dispenser to serve as a home bar, comprising: an ice maker for generating ice by ice-making water; An ice bank containing the ice produced in the ice maker; An ice chute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ice of the ice bank is dropped; A dispenser formed in a freezer compartment door so that a container containing ice guided by the ice chute or a frozen animal is placed thereon; And a dispenser door mount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to open and close the dispenser.
냉장고, 냉동실, 냉장실, 디스펜서, 홈바, 디스펜서 도어, 제빙기Refrigerator, Freezer, Refrigerator, Dispenser, Home Bar, Dispenser Door, Ice Maker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 도어 및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개략도,2 is a schematic view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opened;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 도어 및 디스펜서가 도시된 개략 측면도,3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freezer compartment door and a dispense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 도어 및 홈 바가 도시된 개략 측면도,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freezer compartment door and a home ba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의 냉동실 도어 및 냉장실 도어가 열린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의 냉동실이 도시된 측단면도,7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freezer compart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의 냉장실이 도시된 측단면도,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refrigerating chamber of a first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의 제빙기 및 아이스 뱅크가 도시된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 maker and an ice bank of a first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의 제빙기 및 아이스 뱅크가 도 시된 정단면도,10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ice maker and an ice bank of a first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의 디스펜서가 개방된 정면도,11 is a front view in which the dispens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의 디스펜서가 개방된 개략 측면도,1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dispense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opened;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의 디스펜서가 밀폐된 개략 측면도,1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ealed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2 실시예의 디스펜서가 개방된 개략 측면도,1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dispenser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ned;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3 실시예의 디스펜서에 얼음을 담기 위한 용기와 물을 담기 위한 용기가 올려진 정면도,15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tainer for holding ice and a container for holding water in a dispenser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3 실시예의 디스펜서에 얼음을 담기 위한 용기와 피냉동물이 올려진 정면도,16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tainer for holding ice and a frozen animal in the dispenser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4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4 실시예의 냉장실 도어 및 냉장실 도어가 열린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4 실시예의 디스펜서가 개방된 정면도,19 is a front view in which the dispenser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4 실시예의 디스펜서가 개방된 개략 측면도,20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dispenser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ned;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4 실시예의 디스펜서가 밀폐된 개략 측면도,2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ealed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5 실시예의 디스펜서가 개방된 개략 측면도,2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dispenser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ned;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6 실시예의 디스펜서에 얼음을 담기 위한 용기와 물을 담기 위한 용기가 올려진 정면도,23 is a front view of a container for holding ice and a container for holding water in a dispenser of a sixth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thereon;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6 실시예의 디스펜서에 얼음을 담기 위한 용기와 피냉동물이 올려진 정면도이다.24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tainer for holding ice and a frozen animal in the dispenser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본체 52: 베리어50: main body 52: barrier
54: 냉동실 도어 56: 냉장실 도어54: freezer door 56: cold storage door
60: 제빙기 61: 컵60: ice maker 61: cup
62: 제빙기 몰드 63: 히터62: ice maker mold 63: heater
64: 이젝터 64a: 축64:
64b: 핀 65: 모터64b: pin 65: motor
66: 슬라이더 67: 만빙 감지 레버66: slider 67: ice detection lever
68: 제빙 제어부 69a: 온도 센서68: ice
69b: 제어 패널 69c: 마그네트69b: control panel 69c: magnet
69d: 홀 센서 70: 아이스 뱅크69d: Hall sensor 70: ice bank
71: 얼음 취출구 72: 셔터71: ice outlet 72: shutter
74: 오거 75: 모터74: auger 75: motor
76: 분쇄기 76a: 회전 블레이드76:
76b: 고정 블레이드 80: 아이스 슈트76b: fixed blade 80: ice chute
81: 통로 82: 통로의 상단81: passage 82: top of passage
83: 통로의 하단 84: 냉동실 슈트83: bottom of passage 84: freezer chute
85: 냉장실 슈트 86: 연결 슈트85: fridge chute 86: connection chute
90: 디스펜서 97: 통얼음 취출 버튼90: dispenser 97: ice cube extraction button
98: 분쇄얼음 취출 버튼 99: 급수 호스98: crushed ice extraction button 99: water supply hose
99a: 물 급수 버튼 99b: 용기99a:
100: 디스펜서 도어 110: 스토퍼100: dispenser door 110: stopper
122: 증발기 124: 냉각팬122: evaporator 124: cooling fan
132: 압축기 134: 응축기132: compressor 134: condenser
136: 팽창기 F: 냉동실136: Inflator F: Freezer
R: 냉장실 C: 냉각 챔버R: cold storage chamber C: cooling chamber
m: 피냉동물 w: 피냉장물m: frozen animal w: frozen material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홈 바와 디스펜서가 일체로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home bar and a dispenser are integrally provided.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의 냉동 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 실을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장치이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maintaining a freezing compartment or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t a low temperature by using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of a refrigeran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 도어 및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개략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의 냉장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장고는 냉동실(F) 또는 냉장실(R)이 베리어(1)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냉동실(F) 및 냉장실(R)을 저온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냉동 사이클 장치가 장착된 본체(2)와, 상기 냉동실(F)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2)에 연결된 냉동실 도어(4)와, 상기 냉장실(R)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2)에 연결된 냉장실 도어(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has a freezer compartment F or a refrigerator compartment R partitioned by the
상기 본체(2)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싱(3)과,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냉동실(R)을 형성하고 피냉동물의 출입을 위해 전면이 개방된 냉동실 이너 케이싱과, 상기 아우터 케이싱(3)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냉장실을 형성하고 피냉장물의 출입을 위해 전면이 개방된 냉장실 이너 케이싱과, 상기 냉동실(F) 및 냉장실(R)의 단열을 위해 상기 아우터 케이싱(3)과 냉동실 이너 케이싱 및 냉장실 이너 케이싱의 사이에 채움된 단열재로 구성된다.The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는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외부 공기로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감압되는 팽창기와, 상기 팽창기에서 팽창된 냉매가 냉동실(F) 또는 냉장실(R)로부터 열을 빼앗아 증발되는 증발기로 구성된다. Th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 low-temperature low-pressure gas refrigerant, a condenser in which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is radiated to outside air to condense, an expander for reducing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er, and the expander The refrigerant expanded in the evaporator is configured to evaporate by taking heat from the freezing chamber (F)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R).
상기와 같은 냉장고는 냉각 방식에 따라 구분하면, 상기 증발기가 상기 냉동 실 이너 케이싱 및 냉장실 이너 케이싱에 밀착되어 냉동실(F) 및 냉장실(R)을 전도 및 자연대류에 의해 냉각하는 직냉식 냉장고와, 상기 냉동실(F) 및 냉장실(R)의 내부 공기가 냉각팬에 의해 상기 증발기로 순환되면서 냉동실(F) 및 냉장실(R)을 강제 대류에 의해 냉각하는 간냉식 냉장고로 구분된다.The refrigerator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a cooling method, and the evaporator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eezing compartment inner casing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nner casing to cool the freezing compartment F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 by conduction and natural convection, and the The internal air of the freezing compartment F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 is circulated to the evaporator by a cooling fan, and is divided into an intercooled refrigerator that cools the freezing compartment F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 by forced convection.
한편, 최근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F) 내의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제빙한 후 이빙하는 자동 제빙장치(12)가 상기 냉동실(F)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자동 제빙장치(12)에서 이빙된 얼음을 상기 냉동실 도어(4)의 열림없이 취출할 수 있도록 아이스 슈트(16) 및 디스펜서(18)가 상기 냉동실 도어(4)에 장착되는 추세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an
상기 자동 제빙장치(12)는 급수된 물이 담겨져 제빙되고 제빙된 얼음이 취출되는 이젝터가 구비된 제빙기(13)와, 상기 제빙기(13)에서 취출된 얼음이 담겨지고 얼음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가 구비된 아이스 뱅크(14)로 구성된다.The automatic ice making
상기 아이스 슈트(16)는 상기 냉동실 도어(4)의 배면에 장착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14)에서 취출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18)로 낙하시키는 통로(16a)가 형성된다.The
상기 디스펜서(18)는 상기 냉동실 도어(4)에 후방을 향해 움푹 패이는 모양으로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6)를 열지 않고 피냉장물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냉장실 도어(6)에 홈 바(20)가 장착되는 추세이다.In addition, the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 도어 및 디스펜서가 도시된 개략 측면도이다.3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a freezer compartment door and a dispense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펜서(18)는 상기 냉동실 도어(4)에 후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이고, 얼음이 담겨지는 용기(19)가 올려질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며, 배면과 좌우면 및 하면이 막힘된다.As shown in FIG. 3, the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 도어 및 홈 바가 도시된 개략 측면도이다.Figure 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freezer compartment door and a home ba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 도어(6)에는 피냉장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홀(6a)이 형성되고, 상기 냉장실 도어(6)의 배면에는 홈 바 버킷(22)이 장착되며, 상기 홈 바 버킷(22)의 상측에는 홈 바 커버(24)가 장착된다. As shown in FIG. 4, the refrigerating
상기 홈 바 커버(24)는 상기 홈 바 버킷과의 사이에 상기 냉장실(R)과 별도의 수용 공간(V)을 형성하고, 상기 홈 바 버킷(22)과의 사이에 냉기 출입구가 형성되거나 별도의 냉기 출입홀이 형성된다.The home bar cover 24 forms a separate accommodation space V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R between the home bar bucket and a cold air inlet or outlet between the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6)에는 상기 개구홀(6a)를 개폐하기 위한 홈 바 도어(26)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냉장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of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상기 압축기가 구동되면, 상기 압축기에서는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토출되고,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는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응축기 주변의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어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응축되며, 상기 팽창기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팽창된다. 상기 팽창기에서 팽창된 냉매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주변을 냉각시키고, 상기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F) 및 냉장실(R)을 저온 냉동/냉장된다.First, when the compressor is drive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as refrigerant is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and the discharged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as refrigerant is heat-exchanged with outside air around the condenser while condensing into a liquid refrigerant of medium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s it passes through the expander, it expands into a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liquid refrigerant. The refrigerant expanded in the expander cools the surroundings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and the cold air cooled by the evaporator freezes / freezes the freezing compartment F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
한편, 상기 냉동실(F) 내의 냉기는 상기 제빙기(13)를 냉각시켜 제빙기(13)로 급수된 물을 제빙시키고, 제빙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14)에 담겨진다.Meanwhile, the cold air in the freezer compartment F cools the
사용자가 상기 아이스 뱅크(14)에 담겨진 얼음을 취출하기 위해 상기 아이스 슈트(16)의 통로(16a) 하측에 용기를 위치시키거나 상기 디스펜서(18)의 저면 위로 용기(19)를 올리고, 얼음 취출용 버튼을 누름 조작하거나 레버를 조작하면, 상기 아이스 뱅크(14)에 담겨있던 얼음은 아이스 슈트(16)의 통로(16a)를 통해 낙하된 후 상기 용기(19)에 담겨지게 된다.A user places a container under the
그리고, 상기 냉장실(R) 내의 냉기는 일부가 상기 홈 바(20)의 수용 공간(V)으로 출입되어 상기 홈 바(20)에 담겨진 피냉장물을 저온으로 유지시킨다.In addition, a part of the cold air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R) enters the accommodation space (V) of the
사용자가 상기 홈 바(20)에 수용된 피냉장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홈 바 도어(26)를 열면 상기 홈 바(20)의 수용공간(V)은 그 전방이 개방되고,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 도어(6)를 열지 않고, 홈 바(20) 내의 피냉장물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user opens the
그런 다음, 상기 홈 바 도어(26)를 닫으면, 상기 홈 바(20)의 수용공간(V)은 그 전방이 밀폐되고, 홈 바(20) 내의 피냉장물을 저온 냉장된다.Then, when th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냉동실 도어(4)에 디스펜서(18)가 장착되고, 상기 냉장실 도어(6)에 홈 바(20)가 장착되므로, 상기 냉동실(F) 및 냉장실(R)의 공간 활용이 낮고 유효 내용적이 작게 되고, 냉동실 도어(4) 및 냉장실 도어(6)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펜서가 홈 바를 겸하도록 하여 냉동실과 냉장실 중 어느 하나의 유효 내용적을 크게 할 수 있고,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dispenser also serves as a home bar to increase the effective content of any one of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 structure of any one of the freezer door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be simplifie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물을 제빙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을 수용하는 아이스 뱅크와; 상기 아이스 뱅크의 얼음을 낙하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아이스 슈트와; 상기 아이스 슈트에 안내된 얼음이 담겨지는 용기 또는 피냉동물이 올려질 수 있도록 냉동실 도어에 형성된 디스펜서와; 상기 디스펜서를 개폐함과 아울러 홈 바를 겸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냉동실 도어에 힌지수단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디스펜서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n ice maker for generating ice by ice-making; An ice bank containing the ice produced in the ice maker; An ice chute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ice of the ice bank is dropped; A dispenser formed in a freezer compartment door so that a container containing ice guided by the ice chute or a frozen animal is placed thereon; And a dispenser door having a low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by a hinge means so as to open and close the dispen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물을 제빙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을 수용하는 아이스 뱅크와; 상기 아이스 뱅크의 얼음을 낙하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냉동실 도어의 배면에 장착된 냉동실 슈트와; 상기 냉장실 도어의 배면에 장착된 냉장실 슈트와; 상기 냉동실 슈트와 냉장실 슈트를 연결하도록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베리어에 관통되게 형성된 연결 슈트와; 상기 냉장실 슈트에 안내된 얼음이 담겨지는 용기 또는 피냉장물이 올려질 수 있도록 냉장실 도어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디스펜서와; 상기 디스펜서를 개폐함과 아울러 홈 바를 겸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냉장실 도어에 힌지수단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디스펜서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ce maker for generating ice by making ice; An ice bank containing the ice produced in the ice maker; A freezer compartment chute mounted to a rear surface of a freezer compartment door to form a passage for dropping ice of the ice bank; A refrigerator compartment chute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 connection chute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barrier that partitions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o connect the freezer compartment chute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chute; A dispenser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so that the container or the object to be stored in which the ice guided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chute is placed; And a dispenser door having a low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by a hinge means to open and close the dispenser and serve as a home bar.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의 냉동실 도어 및 냉장실 도어가 열린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0)의 내부에 냉동실(F)과 냉장실(R)이 베리어(52)에 의해 구획 형성되고, 상기 냉동실(F)을 개폐하기 위한 냉동실 도어(54)가 상기 본체(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냉장실(R)을 개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56)가 상기 본체(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5 and 6,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eezer compartment (F)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R) is partitioned by the
상기 냉동실 도어(56)에는 물을 제빙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60)와, 상기 제빙기(60)에서 제조된 얼음을 수용하는 아이스 뱅크(70)와, 상기 아이스 뱅크(70) 내의 얼음을 낙하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아이스 슈트(80)와, 상기 아이스 슈트(80)에 안내된 얼음이 담겨지는 용기 또는 피냉동물이 올려지는 디스펜서(90)와, 상기 디스펜서(90)를 개폐하는 디스펜서 도어(100)가 장착된다.In the
상기 제빙기(60)는 상기 냉동실 도어(54)의 배면에 장착된다.The
상기 아이스 뱅크(70)는 상기 제빙기(6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냉동실 도어(54)의 배면에 장착된다.The
상기 아이스 슈트(80)는 상기 아이스 뱅크(7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냉 동실 도어(54)의 배면에 장착된다.The
상기 디스펜서(90)는 상기 냉동실 도어(54)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받침판이다.The
상기 디스펜서(90)는 상기 냉동실(F)의 냉기가 상기 디스펜서(90) 위에 올려진 피냉동물을 냉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냉동실(F)과 통한다.The
즉, 상기 디스펜서(90)는 전면이 개방되고, 좌우면 및 배면이 개방된다.That is, the
상기 디스펜서(90)는 상기 냉동실 도어(54)의 개폐시 용기 또는 피냉동물이 낙하됨을 방지토록 수평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는 일단이 상기 냉동실 도어(5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One end of the
미설명 부호 92는 상기 디스펜서의 양단 및 후단에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피냉동물 낙하 방지용 수직벽이다. Reference numeral 92 is a vertical wall for preventing the frozen animal falling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on both ends and the rear end of the dispenser.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의 냉동실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7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freezer compart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체(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싱(112)과, 상기 아우터 케이싱(112)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냉동실(F)을 형성하고 피냉동물의 출입을 위해 전면이 개방된 냉동실 이너 케이싱(114)과, 상기 냉동실 이너 케이싱(114) 외면을 에워싸는 단열재(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상기 냉동실 이너 케이싱(114) 내부에는 상기 냉동실(F) 또는 냉장실 내의 냉기가 순환되도록 냉기 토출홀(120a)과 냉기 리턴홀(120b)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 케이싱(114)의 배면부와의 사이에 냉각 챔버(C)를 형성하는 냉각 챔버 패널(120)이 배치된다.A cold
상기 냉각 챔버(C)에는 저온 저압의 냉매가 통과하면서 증발되는 증발기(122)가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122)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냉동실(F) 및 냉장실(R)로 송풍시키는 냉각팬(124)이 배치된다.An
상기 냉각팬(124)은 상기 냉각 챔버(C) 내에 장착된 모터(125)에 축설된다.The cooling
또한, 상기 냉각 챔버 패널(120)의 전방에는 상기 냉각팬(124)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냉동실(F)로 공급되도록 냉기 토출홀(126a)이 형성되고, 상기 냉동실(F)의 냉기가 복귀되는 냉기 리턴홀(126b)이 형성된 냉동실 배면 패널(126)이 이격되게 배치된다.In addition, a col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의 냉장실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refrigerator compart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체(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터 케이싱(112)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냉장실(R)을 형성하고 피냉장물의 출입을 위해 전면이 개방된 냉장실 이너 케이싱(118)과, 상기 냉동실 이너 케이싱(114) 외면을 에워싸는 단열재(11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하부에는 기계실(M)이 마련된다.As shown in FIG. 8, the
또한, 상기 본체(50)는 상기 기계실(M)에 장착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32)와, 상기 기계실(M)의 내부 또는 상기 아우터 케이싱(112)의 배면에 장착되어 상기 압축기(82)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 매가 외부 공기로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134)와, 상기 응축기(84)에서 응축된 냉매가 증발이 용이하도록 감압되는 팽창기(1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냉장실(R)은 상기 베리어(52)의 상부에 상기 증발기(122)에 의해 냉각된 냉기가 상기 냉장실(R) 내부로 공급되도록 냉기 토출덕트(137)가 형성되고, 상기 베리어(52)의 하부에 상기 냉장실(R)을 냉장시킨 냉기가 상기 냉각 챔버로 복귀되도록 냉기 리턴덕트(138)가 형성된다.The refrigerator compartment R has a cold
상기 냉기 토출덕트(137)와 상기 냉기 리턴 덕트(138)의 각각은 일단이 상기 냉장실(R)과 통하고, 타단이 상기 냉각 챔버 패널과 냉동실 배면 패널의 사이 또는 상기 냉각 챔버로 통한다.Each of the col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의 제빙기 및 아이스 뱅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의 제빙기 및 아이스 뱅크가 도시된 정단면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 maker and an ice bank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ice maker and ice bank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빙기(6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호스(미도시)를 통해 공급된 물이 담겨지는 컵(61)과, 상기 컵(61)으로 급수된 물이 옮겨져서 냉동실 내의 냉기에 의해 제빙되는 제빙기 몰드(62)와, 상기 제빙기 몰드(62)에 장착되어 얼음 취출시 제빙기 몰드(62)와 얼음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빙기 몰드(62)를 가열하는 히터(63)와, 상기 제빙기 몰드(62)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빙된 얼음을 퍼올리는 이젝터(64)와, 상기 이젝터(64)를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65)와, 상기 이젝터(64)에 의해 퍼올려진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70)의 내부로 안내되는 슬라이더(66)와, 상기 아이스 뱅크(70)의 만빙을 감지 하는 만빙 감지 레버(67)와, 상기 제빙기 몰드(62)의 온도와 상기 아이스 뱅크(70)의 만빙 여부에 따라 상기 히터(63) 및 모터(65)를 제어하고, 상기 컵(61)으로 공급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제빙 제어부(68)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상기 제빙기 몰드(62)에는 물이 결빙되는 제빙 공간이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빙 공간에는 복수개의 얼음이 분리 생성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구획 돌기(62a)가 소정 간격만큼 이격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제빙기 몰드(62)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의 배면에 고정되기 위한 연결부(62b)가 전면측 상부 좌,우에 돌출 형성되다.In addition, the
상기 히터(63)는 상기 제빙기 몰드(62)의 저면에 ' ⊃'모양으로 배치된다.The
상기 이젝터(64)는 상기 모터(65)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축(64a)이 상기 제빙 공간의 상측을 가로지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축(64a)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핀(64b)이 상기 구획 돌기(62a)에 의해 복수개로 구획된 제빙 공간의 개수만큼 형성된다.The
상기 이젝터(64)는 일단이 상기 컵(6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빙 제어부(68)의 내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모터(65)의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종동 기어(64c)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The
상기 모터(65)는 상기 제빙 제어부(68) 내측에 장착되고, 그 회전축에는 상기 종동 기어(64c)에 치합되는 구동 기어(65a)가 축설된다.The
상기 제빙 제어부(68)에는 상기 제빙기 몰드(62)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69a)와, 상기 만빙 감지 레버(66)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아이스 뱅크(70)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 감지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 센서(69a)에서 감지된 온도와 상기 만빙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만빙 여부에 따라 상기 히터(63) 및 모터(65)와 급수 밸브를 온/오프시키는 제어 패널(69b)이 장착된다. The ice
상기 만빙 감지 센서는 상기 만빙 감지 레버(67)에 연동되어 회동되는 마그네트(69c)와, 상기 제어 패널(69b)에 고정되어 상기 마그네트(69c) 이동시의 자장 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69d)로 구성된다. The ice detection sensor is a magnet 69c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상기 아이스 뱅크(7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기(60)에서 이빙된 얼음이 담겨지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 일측에 담겨진 얼음이 취출되도록 얼음 취출구(71)가 형성된다.9 and 10,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아이스 뱅크(70)는 상기 얼음 취출구(71) 중 전방부를 여닫는 셔터(72)와, 담겨진 얼음을 상기 얼음 취출구(71) 중 전방부로 수평 이송시키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오거(74)와, 상기 오거(74)를 회동시키는 모터(75)와, 상기 얼음 취출구(71)의 상측에 장착된 얼음 분쇄기(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셔터(72)는 상기 얼음 취출구(71)의 전방부를 개방할 경우 상기 오거(74)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분쇄없이 상기 얼음 취출구(71)의 전방부 아래로 낙하되게 하고, 상기 얼음 취출구(71)의 전방부를 막을 경우, 상기 오거(74)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올려져서 상기 분쇄기(76)에 의해 분쇄된 후 상기 얼음 취출구(71)의 후방부로 낙하되도록 한다.Here, the
한편, 상기 셔터(72)에는 올려진 얼음이 상기 분쇄기(76)의 분쇄 작업을 도 울수 있도록 보조 블레이드(72a)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상기 얼음 분쇄기(76)는 상기 오거(74)의 회전축에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오거(74)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 블레이드(76a)와, 상기 아이스 뱅크(70)에 내측에 형성된 고정 블레이드(76b)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의 디스펜서가 개방된 정면도이다.11 is a front view of the dispens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n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슈트(80)는 상기 통로(81)의 상단(82)이 상기 아이스 뱅크의 통 얼음 취출구 및 분쇄 얼음 취출구의 하측에 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로(81)의 하단(83)이 상기 디스펜서(90)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어느 일측을 향한다.As shown in FIG. 11, the
즉, 상기 디스펜서(90)는 그 좌측부와 우측부 중 일측에 얼음이 담겨지는 용기(91)가 놓이게 되고, 상기 디스펜서(90)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타측에 피냉동물(m)이 놓이게 된다.That is, the
미설명 부호 97은 통 얼음 취출을 위해 조작되는 통 얼음 취출 버튼이고, 미설명 부호 98은 분쇄 얼음 취출을 위해 조작되는 분쇄 얼음 취출 버튼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의 디스펜서가 개방된 개략 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1 실시예의 디스펜서가 밀폐된 개략 측면도이다. Fig. 1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dispens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ing opened, and Fig. 1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dispens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aled.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는 상기 냉동실 도어(5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는 하단이 상기 냉동실 도어(54)의 전면측에 경첩이나 힌지봉 등의 힌지수단으로 연결된다.The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는 회동각을 설정각 이내로 제한하는 스토퍼(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스토퍼(110)는 상기 냉동실 도어(54)와 디스펜서 도어(100)의 양측면 간을 각각 연결하는 절첩아암이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상기 압축기(132)가 구동되면, 상기 압축기(132)에서는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토출되고,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는 상기 응축기(134)를 통과하면서 응축기(134) 주변의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어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응축되며, 상기 팽창기(136)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팽창된다. 상기 팽창기(136)에서 팽창된 냉매는 상기 증발기(122)를 통과하면서 주변 공기를 냉각시킨다.First, when the
그리고, 상기 냉각팬(124)이 구동되면, 상기 증발기(122)에 의해 냉각된 냉기는 상기 냉각 챔버(C)와 상기 냉동실(F) 및 냉장실(R)을 순환되면서 상기 냉동실(F) 및 냉장실(R)을 저온으로 유지시킨다.When the cooling
상기 냉동실(F)로 순환된 냉기는 일부가 상기 냉동실 도어(54)의 배면측에서 상기 제빙기(60)를 냉각시켜 상기 제빙기(60)로 급수된 물을 제빙시키고, 제빙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70)에 담겨진다.The cold air circulat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F partially cools the
이하, 상기 제빙기의 제빙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ice making process of the ice maker in more detail as follows.
상기 제빙기(60)의 컵(61)으로 물이 급수되면, 급수된 물은 상기 제빙기 몰드(62)의 제빙 공간에 담겨지고, 냉동실 도어(54)의 배면측 냉기에 의해 제빙된다.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상기 온도 센서(69a)는 상기 제빙기 몰드(62)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빙 제어부(68)의 제어 패널(69b)에 온도 값에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 패널(69b)은 감지 온도와 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감지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으면, 제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히터(63)를 온 시킨다.The
상기 히터(63)의 온에 의해 상기 제빙기 몰드(62)의 온도는 상승되고 제빙된 얼음은 상기 제빙기 몰드(62)와 접촉된 부위부터 녹기 시작하면서 상기 제빙기 몰드(62)와 분리된다.The temperature of the
상기 제어 패널(69b)은 상기 히터(63)가 온된 이후에 제빙기 몰드(62)의 감지 온도와 제 2 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감지 온도가 제 2 설정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이젝터(64)가 정회전된 후 역회전되도록 상기 모터(65)를 구동시킨다.The
상기 이젝터(64)의 정회전 구동시 상기 이젝터(64)는 상기 축(64a)이 정회전되면서 복수개의 핀(64b)이 얼음을 퍼올리고, 얼음은 상기 슬라이더(66)에 안내된 후 상기 아이스 뱅크(70)에 담겨진다.When the
한편, 상기 이젝터(64)의 역회전 구동시 상기 이젝터(64)는 상기 축(64a)이 역회전되면서 상기 복수개의 핀(64b)이 슬라이더(66)의 하측인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다음 제빙 행정을 준비한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reverse rotation driving of the
이후, 상기 제빙기(60)는 상기 만빙 감지 레버(67)와 만빙 감지 센서(69c,69d)가 상기 아이스 뱅크(70)의 만빙을 감지하여 상기 제빙 제어부(68)의 제어 패널(69b)에 만빙여부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빙 제어부(68)의 제어 패널(69b)은 상기 아이스 뱅크(70)의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와 같은 급수와 제빙과 히팅과 이빙을 반복하게 하고, 상기 아이스 뱅크(70)의 만빙으로 판단되면 상기와 같은 급수와 제빙과 히팅과 이빙을 정지한다.Afterwards, the
한편, 사용자가 상기 아이스 뱅크(70)에 담겨진 얼음을 취출하기 위해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를 열고, 제빙된 얼음을 담기 위한 용기(91)를 상기 아이스 슈트(80)의 통로(81) 하단(83) 아래에 위치되게 상기 디스펜서(90) 위에 올린 다음, 상기 통 얼음 취출 버튼(97) 또는 분쇄 얼음 취출 버튼(98)을 조작하면, 상기 아이스 뱅크(70)에 담겨진 얼음은 상기 얼음 취출구(71)를 통해 상기 아이스 슈트(80)의 통로(81)로 낙하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opens the
이하, 상기 아이스 뱅크의 얼음 취출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ice extraction process of the ice bank in more detail as follows.
상기 통 얼음 취출 버튼(97)의 조작시 상기 셔터(72)는 상기 얼음 취출구(71)의 후방부를 개방시키고, 상기 아이스 뱅크(70)의 모터(75)는 구동되어 상기 오거(74)를 회전시키며, 상기 오거(74)는 상기 아이스 뱅크(70)에 담겨진 얼음은 상기 얼음 취출구(71)의 전방부 상측으로 수평 이송시키며,When the barrel
상기 오거(74)에 의해 이송되는 얼음은 상기 통 얼음 취출구(71)의 전방부를 통해 상기 아이스 슈트(80)의 통로(81)로 취출된다.The ice conveyed by the
반면에, 사용자가 상기 분쇄 얼음 취출 버튼(98)을 조작하면, 상기 셔터(72) 는 상기 얼음 취출구(71) 전방부 상측을 막고, 상기 아이스 뱅크(70)의 모터(75)는 상기 오거(74)를 회전시키고, 상기 오거(74)는 상기 아이스 뱅크(70)에 담겨진 얼음을 수평 이송시켜 상기 얼음 취출구(71)의 후방부 상측으로 이송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crushed
상기 오거(74)에 의해 이송되는 얼음은 상기 셔터(72)의 위에 올려지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76a)와 고정 블레이드(76b)와 보조 블레이드(72a)에 의해 분쇄된 후 상기 얼음 취출구(71)의 후방부를 통해 낙하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80)의 통로(81)로 취출된다.The ice conveyed by the
한편, 상기 아이스 슈트(80)의 통로(81)로 취출된 얼음은, 상기 통로(81)를 통과하여 상기 디스펜서(90)를 향해 낙하되고, 상기 용기(91) 위에 담겨진다.On the other hand, the ice taken out into the
그런 다음, 사용자가 상기 용기(91)를 상기 냉동실 도어(54)의 전방으로 인출한 후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를 닫으면, 상기 디스펜서(90)는 그 전면측이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에 의해 밀폐되고, 사용자는 상기 냉동실 도어(54)를 열지 않고, 얼음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Then, when the user pulls out the
또한, 상기 냉동실(F)로 순환된 냉기는 일부가 상기 디스펜서(90)에 올려진 피냉동물(m)을 냉동시킨다.In addition, the cold air circulated to the freezing chamber F freezes the frozen animal m partially loaded on the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90)에 올려진 피냉동물(m)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를 열면, 상기 디스펜서(90)는 그 전면이 냉동실 도어(54)의 전방측에서 개방되고, 사용자는 상기 냉동실 도어(54)를 열지 않고, 상기 디스펜서(90)에 올려진 피냉동물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user opens the
그런 다음, 상기 디스펜서(90)에 피냉동물(m)을 올리고,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를 닫으면, 상기 디스펜서(90)는 그 전면측이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디스펜서(90)에 올려진 피냉동물은 상기 냉동실(F) 내의 냉기에 의해 냉동된다.Then, when the animal (m) is placed in the dispenser (90) and the dispenser door (100) is closed, the dispenser (90) has its front side sealed by the dispenser door (100), and the dispenser The frozen animal placed on the 90 is frozen by cold air in the freezing chamber F.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2 실시예의 디스펜서가 개방된 개략 측면도이다.Fig. 1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dispenser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 2 실시예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스 슈트(80) 통로(81)의 하단(83)이 상기 디스펜서(90)의 전방부와 후방부 중 어느 일측을 향하고, 상기 아이스 슈트(80)의 통로 이외의 기타 구성은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4, the
즉, 상기 디스펜서(90)는 상기 아이스 슈트(80)의 통로 하단(83) 하측에 용기(91)가 올려지고, 상기 아이스 슈트(80)의 통로 하단(83) 하측 이외의 공간에 피냉동물(m)이 올려지며, 상기 용기(91)와 피냉동물(m)은 상기 디스펜서(90) 위에 전후 위치되게 올려진다.That is, the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3 실시예의 디스펜서에 얼음을 담기 위한 용기와 물을 담기 위한 용기가 올려진 정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3 실시예의 디스펜서에 얼음을 담기 위한 용기와 피냉동물이 올려진 정면도이다.15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tainer for holding ice in a dispenser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ainer for holding water, and FIG. 16 is a container for holding ice in a dispenser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he front view of the animal.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90)를 향해 물을 공급하도록 배치된 급수호스(9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 고, 상기 급수호스(99)를 제외한 아이스 슈트(80)와 디스펜서(90)과 디스펜서 도어(100) 등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5 and 16, th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
상기 아이스 슈트(80)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통로(81)의 하단(83)이 디스펜서(90)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일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The
상기 급수 호스(99)는 상기 디스펜서(90)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타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The
상기 급수 호스(99)는 상기 아이스 슈트(80)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아이스 슈트(80)의 측단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미설명 부호 99a는 상기 급수 호스(99)를 통한 물의 급수를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물 급수 버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를 열고, 상기 디스펜서(90)의 상측에 얼음을 담기 위한 용기(91)와 물을 담기 위한 용기(99b)를 좌우 위치되게 올리거나 얼음을 담기 위한 용기(91)와 피냉동물(m)을 올릴 수 있다.As shown in FIGS. 15 and 16,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open the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4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4 실시예의 냉장실 도어 및 냉장실 도어가 열린 사시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 도 어(56)에 제빙기(60)와, 상기 아이스 뱅크(70)가 장착되고, 냉장실 도어에 디스펜서(90)와 디스펜서 도어(100)가 장착되며, 아이스 슈트(80)가 상기 아이스 뱅크의 하측과 디스펜서의 상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아이스 슈트(80)와 디스펜서(90)와 디스펜서 도어(100) 이외의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7 and 18, an
상기 아이스 슈트(80)는 상기 냉동실 도어(54)의 배면에 장착되는 냉동실 슈트(84)와, 상기 냉장실 도어(56)의 배면에 장착되는 냉장실 슈트(85)와, 상기 냉동실 슈트(64)와 냉장실 슈트(85)를 연결하는 연결 슈트(86)로 구성된다.The
상기 냉동실 슈트(84)와 연결 슈트(86)와 냉장실 슈트(85)는 얼음이 차례로 통하는 통로가 각각 형성된다.The freezing
즉, 상기 연결 슈트(86)는 그 통로의 일단이 상기 냉동실 슈트(84)의 통로와 통하고, 그 통로의 타단이 상기 냉장실 슈트(85)의 통로와 통하며, 상기 베리어(52)를 관통하여 배치된다.That is, the
상기 디스펜서(90)는 상기 냉장실 도어(56)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받침판이다. The
상기 디스펜서(90)는 상기 냉장실(R)의 냉기가 상기 디스펜서(190) 위에 올려진 피냉장물(w)을 냉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냉장실(R)과 통한다.The
상기 디스펜서(90)는 전면이 개방되고, 좌우면 및 배면이 개방된다.The
상기 디스펜서 도어(90)는 일단이 상기 냉장실 도어(5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One end of the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4 실시예의 디스펜서가 개방된 정면도이다.19 is a front view in which the dispenser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슈트(80) 중에서 상기 냉장실 슈트(85)의 통로 하단(83)은 상기 디스펜서(90)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어느 일측을 향한다.As shown in FIG. 19, the passage
즉, 상기 디스펜서(90)는 그 좌측부와 우측부 중 일측에 얼음이 담겨지는 용기(91)가 놓이게 되고, 상기 디스펜서(90)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타측에 피냉동물(m)이 놓이게 된다.That is, the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4 실시예의 디스펜서가 개방된 개략 측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4 실시예의 디스펜서가 밀폐된 개략 측면도이다. 20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dispenser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ing opened, and FIG. 2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dispenser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aled.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는 상기 냉장실 도어(5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는 하단이 상기 냉장실 도어(56)의 전면측에 경첩이나 힌지봉 등의 힌지수단으로 연결된다.The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는 회동각을 설정각 이내로 제한하는 스토퍼(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스토퍼(110)는 상기 냉장실 도어(56)와 디스펜서 도어(100)의 양측면 간을 각각 연결하는 절첩아암이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실(F) 내의 냉기 중 일부가 상기 냉동실 도어(54)의 배면측에서 상기 제빙기(60)를 냉각시켜 상기 제빙기(60)로 급수된 물을 제빙시키고, 제빙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70)에 담겨진다.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art of the cold air in the freezing compartment F cools the
사용자가 상기 아이스 뱅크(70)에 담겨진 얼음을 취출하기 위해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를 열고, 제빙된 얼음을 담기 위한 용기(91)를 상기 아이스 슈트(80)의 통로 하단(83) 아래에 위치되게 상기 디스펜서(90) 위에 올린 다음, 통 얼음 취출 버튼(97) 또는 분쇄 얼음 취출 버튼(98)을 조작하면, 상기 아이스 뱅크(70)에 담겨진 얼음은 상기 아이스 슈트(80)로 취출된다.The user opens the
상기 아이스 슈트(80)로 취출된 얼음은 상기 냉동실 슈트(85)와 연결 슈트(86)와 냉장실 슈트(85)의 통로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냉장실 도어(56)의 배면 후방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냉장실 슈트(85)의 하단(83)을 통해 낙하되어 상기 디스펜서(90)에 올려진 용기(91)에 담겨지게 된다.The ice taken out by the
그런 다음, 사용자가 상기 용기(91)를 상기 냉장실 도어(56)의 전방으로 인출한 후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를 닫으면, 상기 디스펜서(90)는 그 전면측이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에 의해 밀폐되고, 사용자는 상기 냉동실 도어(54) 및 냉장실 도어(56)를 열지 않고, 얼음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Then, when the user pulls out the
한편, 상기 냉장실(F) 내의 냉기는 일부가 상기 디스펜서(90)에 올려진 피냉장물(w)을 냉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cold air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F freezes the object to be cooled w partially loaded on the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90)에 올려진 피냉장물(w)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를 열면, 상기 디스펜서(90)는 그 전면이 냉장실 도어(56)의 전방 측에서 개방되고,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 도어(56)를 열지 않고, 상기 디스펜서(90)에 올려진 피냉장물(w)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user opens the
그런 다음, 상기 디스펜서(90)에 피냉장물(w)을 올리고,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를 닫으면, 상기 디스펜서(90)는 그 전면측이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디스펜서(90)에 올려진 피냉장물(w)은 상기 냉장실(F) 내의 냉기에 의해 냉장된다.Then, when the object to be cooled (w) is placed on the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5 실시예의 디스펜서가 개방된 개략 측면도이다.Fig. 2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dispenser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 5 실시예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스 슈트 중에서 냉장실 슈트(85)의 통로 하단(83)이 상기 디스펜서(90)의 전방부와 후방부 중 어느 일측을 향하고, 상기 냉장실 슈트(85)의 통로 이외의 기타 구성은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2, the
즉, 상기 디스펜서(90)는 상기 냉장실 슈트(85)의 통로 하단(83) 하측에 용기(91)가 올려지고, 상기 냉장실 슈트(85)의 통로 하단(83) 하측 이외의 공간에 피냉장물(w)이 올려지며, 상기 용기(91)와 피냉장물(w)은 상기 디스펜서(90) 위에 전후 위치되게 올려진다.That is, the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6 실시예의 디스펜서에 얼음을 담기 위한 용기와 물을 담기 위한 용기가 올려진 정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 6 실시예의 디스펜서에 얼음을 담기 위한 용기와 피냉동물이 올려진 정면도이다.FIG. 23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tainer for holding ice in a dispenser of a sixth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ainer for holding water, and FIG. 24 is a container for holding ice in a dispenser of a sixth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he front view of the animal.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90)를 향해 물을 공급하도록 배치된 급수호스(9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급수호스(99)를 제외한 아이스 슈트(80)와 디스펜서(90)과 디스펜서 도어(100) 등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23 and 24,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상기 아이스 슈트(80)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와 같이 상기 냉장실 슈트(85)의 통로 하단(83)이 디스펜서(90)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일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The
상기 급수 호스(99)는 상기 디스펜서(90)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타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The
미설명 부호 99a는 상기 급수 호스(99)를 통한 물의 급수를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물 급수 버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펜서 도어(100)를 열고, 상기 디스펜서(90)의 상측에 얼음을 담기 위한 용기(91)와 물을 담기 위한 용기(99b)를 좌우 위치되게 올리거나 얼음을 담기 위한 용기(91)와 피냉장물(w)을 올릴 수 있다.As shown in FIGS. 23 and 24,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pens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실 도어에 얼음이 담겨지는 용기 또는 피냉동물이 올려질 수 있도록 디스펜서가 형성되고, 냉동실 도어에 상기 디스펜서를 개폐하도록 디스펜서 도어가 장착되어, 디스펜서가 홈 바를 겸할 수 있으므로, 냉장실의 유효 내용적을 크게 할 수 있고, 냉장실 도어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dispenser formed so that a container containing ice or a frozen animal can be placed on a freezer compartment door, and a dispenser door is mounted to open and close the dispenser on a freezer compartment door. Since it can also serve as a ba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ffective contents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can be increased, and the struc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can be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 도어에 얼음이 담겨지는 용기 또는 피냉장물이 올려질 수 있도록 디스펜서가 형성되고, 냉장실 도어에 상기 디스펜서를 개폐하도록 디스펜서 도어가 장착되어, 디스펜서가 홈 바를 겸할 수 있으므로, 냉동실의 유효 내용적을 크게 할 수 있고, 냉동실 도어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penser is formed so that the container or the object to be stored in ice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the dispenser door is mounted to open and close the dispenser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the dispenser may serve as a home bar. Therefore, the effective contents of the freezer compartment can be increased, and the struc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can be simplified.
또한, 제빙기는 상기 냉동실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어, 냉동실 유효 내용적을 크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ce maker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thereby increasing the freezer compartment effective capacity.
또한, 아이스 뱅크는 상기 냉동실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어, 냉동실 유효 내용적을 크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ce bank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thereby increasing the freezer compartment effective capacity.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0332A KR100550553B1 (en) | 2003-10-09 | 2003-10-09 |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0332A KR100550553B1 (en) | 2003-10-09 | 2003-10-09 | Refriger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34422A KR20050034422A (en) | 2005-04-14 |
KR100550553B1 true KR100550553B1 (en) | 2006-02-10 |
Family
ID=3723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703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0553B1 (en) | 2003-10-09 | 2003-10-09 | Refrig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5055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3748B1 (en) | 2005-11-16 | 2007-07-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Maker Installa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Door |
EP2024697A4 (en) * | 2006-06-05 | 2013-12-18 | Lg Electronics Inc | FRIDG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9402B1 (en) * | 2005-06-01 | 2007-04-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e-icing system of the ice-making room equipp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
KR100766062B1 (en) * | 2006-07-12 | 2007-10-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EP2052196B1 (en) * | 2006-08-17 | 2018-12-26 | LG Electronics Inc. | Ice-making assembly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
KR101551167B1 (en) | 2008-11-27 | 2015-09-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RU2519991C1 (en) * | 2010-06-22 | 2014-06-20 |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 Refrigerator and method of its manufacturing |
ES2893956T3 (en) | 2015-08-31 | 2022-02-10 | Lg Electronics Inc | Fridge |
-
2003
- 2003-10-09 KR KR1020030070332A patent/KR10055055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3748B1 (en) | 2005-11-16 | 2007-07-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Maker Installa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Door |
EP2024697A4 (en) * | 2006-06-05 | 2013-12-18 | Lg Electronics Inc | FRID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34422A (en) | 2005-04-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65496B1 (en) | Rapid deicing control method for ice makers for refrigerators | |
KR100565497B1 (en) | Ice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 |
JP4593934B2 (en) | Refrigerator with ice maker | |
KR101980540B1 (en) | Refrigerator | |
KR100644824B1 (en) | The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 |
KR100611489B1 (en) | Rotary Ice Maker | |
KR20120124324A (en) |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100584271B1 (en) | De-icing cold air flow path structure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 |
KR100550553B1 (en) | Refrigerator | |
KR100758325B1 (en) | Refrigerator | |
KR20100113207A (en) | A refrigerator | |
KR100565498B1 (en) | Refrigerator ice maker and control method | |
KR100547342B1 (en) | Refrigerator | |
KR100519304B1 (en) | Refrigerator | |
KR100600724B1 (en) | Ice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 |
KR100565502B1 (en) | Ice bank in refrigerator | |
KR100408573B1 (en) | How to control the dispenser of the refrigerator | |
KR101596502B1 (en) | Refrigerator | |
KR20050041753A (en) | Ice sensing apparatus for ice maker | |
KR100600725B1 (en) | Refrigerator ice maker | |
KR100761108B1 (en) | Refrigerator ice maker | |
KR100512000B1 (en) | Refrigerator | |
KR100600726B1 (en) | Ice maker in refrigerator | |
KR20100097933A (en) | Refrigerator | |
KR20000009995U (en) | Ice Extractor of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