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0030B1 -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030B1
KR100550030B1 KR1020050064811A KR20050064811A KR100550030B1 KR 100550030 B1 KR100550030 B1 KR 100550030B1 KR 1020050064811 A KR1020050064811 A KR 1020050064811A KR 20050064811 A KR20050064811 A KR 20050064811A KR 100550030 B1 KR100550030 B1 KR 100550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outer mold
pieces
jig
cen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인환
Original Assignee
한성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한성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1020050064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03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2Die constructions enabling assembly of the die parts in different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형철근의 연결단부에 나사산을 가공하기 위해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원형으로 성형하는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받침대(10)에 고정된 고정지그(11)의 중공구멍(13)에 외부금형(20)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외부금형(20)의 내부에 내부금형(30)이 장착되고, 상기 외부금형(20)의 타단이 유압 실린더(45)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지그(40)의 중공구멍(41)에 끼워지고, 상기 외부금형(20)이 다수개의 조각들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금형(20)의 조각들이 스프링(28)에 의해 원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내부금형(30)이 4의 조각들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금형(20)이 센터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외부금형(20)의 중심반경이 단부의 반경보다 큰 테이퍼 형상을 가짐으로서, 유압 실린더(45)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지그(40)가 외부금형(20)의 타단에서 외부금형(20)의 중심으로 외부금형(20)의 외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부금형(20) 및 내부금형(30)이 가운데로 모아지면서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가압하여 원형으로 압축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Machine for forming a connecting end of a deformed bar}
도 1은 종래의 스웨이징 장치로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성형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내부금형과 외부금형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외부금형의 어느 한 조각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내부금형의 어느 한 조각이 장착된 외부금형의 어느 한 조각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내부금형의 어느 한 조각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의 작동 설명도
본 발명은 이형철근의 연결단부에 나사산을 가공하기 위해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원형으로 성형하는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직접적으로 가압하는 내부금형이 4조각으로 구 성되고, 상기 내부금형이 장착되는 외부금형이 다수개의 조각이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고, 중심반경이 최외각 단부의 반경보다 큰 테이퍼 형상을 가짐으로서, 유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원형 지그가 외부금형의 최외각 단부에서 중심으로 외부금형의 외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부금형 및 내부금형이 가운데로 모아지면서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원형으로 압축성형하는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웨이징 장치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2개의 금형(3, 5)이 원형으로 합쳐지면서 화살표(7, 9)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이형철근의 연결단부(1)를 원형으로 압축성형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스웨이징 장치는 유압 실린더의 유압력이 이형철근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직접 가해지기 때문에, 유압 실린더의 높은 압력이 요구되고, 2개의 금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압축성형과정에서 이형철근의 연결단부가 타원형으로 성형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직접적으로 가압하는 내부금형이 4조각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금형이 장착되는 외부금형이 다수개의 조각이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고, 중심반경이 최외각 단부의 반경보다 큰 테이퍼 형상을 가짐으로서, 유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원형 지그가 외부금형의 최외각 단부에서 중심으로 외부금형의 외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부금형 및 내부금형이 가운데로 모아지면서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원형으로 압축성형함으로서, 유압실린 더의 작동압력을 낮출 수 있고,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원형으로 성형할 수 있는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는 받침대(10)에 고정된 고정지그(11)의 중공구멍(13)에 외부금형(20)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외부금형(20)의 내부에 내부금형(30)이 장착되고, 상기 외부금형(20)의 타단이 유압 실린더(45)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지그(40)의 중공구멍(41)에 끼워지고, 상기 외부금형(20)이 다수개의 조각들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금형(20)의 조각들이 스프링(28)에 의해 원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내부금형(30)이 4의 조각들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금형(20)이 센터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외부금형(20)의 중심반경이 단부의 반경보다 큰 테이퍼 형상을 가짐으로서, 유압 실린더(45)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지그(40)가 외부금형(20)의 타단에서 외부금형(20)의 중심으로 외부금형(20)의 외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부금형(20) 및 내부금형(30)이 가운데로 모아지면서 이형철근(도 7 참조)의 연결단부를 가압하여 원형으로 압축성형한다.
상기 고정지그(10)의 중공구멍(13)은 작동지그(40)의 중공구멍(41)의 직경과 같은 직경을 갖는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금형(20)은 일반적으로 4~8개의 조각으 로 구성되고, 특히 내부금형이 4조각으로 구성될 때 8조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금형(20)의 조각들은 센터(21)를 중심으로 양단부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센터(21)에서 단부로 갈수록 내부면(22)과 외부면(23) 사이의 높이(h)가 낮아지도록 외부면(23)이 테이퍼져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면(22)에 내부금형(30)의 고정봉(35)이 끼워지는 장착홈(24)이 형성되고, 앞면(25)에 탭구멍(26)이 장착홈(24)까지 형성되고, 상기 탭구멍(26)에 체결되는 스크류(27)에 의해 상기 장착홈(24)에 끼워진 내부금형(30)의 고정봉(35)이 고정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금형(30)은 위에서 4개로 언급되어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3 ~ 8개의 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금형(30)의 조각은 외측 원호면(31)의 원호 길이가 내측 원호면(32)의 원호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외측 원호면(31)의 중앙에 고정봉(35)이 장착된다. 또한, 내부금형의 조각은 외측 원호면(31)과 내측 원호면(32) 사이의 두께(t)가 성형하고자 하는 이형철근의 직경에 따라 다르게 선택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작동지그(40)는 2개의 리미트 스위치(51, 53)에 의해 작동거리가 한정된다. 즉, 작동지그(40)에 장착된 터치부(55)가 제 1 리미트 스위치(51)를 터치하면, 고정지그(11)를 향해 전진하던 작동지그(40)가 이동이 정지되고, 작동지그(40)가 후퇴하는 과정에서 터치부(55)가 제 2 리미트 스위치(53)를 터치하면, 작동지그(40)의 후퇴가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의 작동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유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지그(40)가 고정지그(11)를 향해 전진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조각들로 구성된 외부금형(20)과 내부금형(30)이 가운데로 모아지면서 이형철근(60)의 연결단부(61)를 가압하여 원형으로 압축성형한다. 이때, 고정지그911)의 내경과 작동지그의 내경이 같고, 외부금형(20)이 센터에서 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져있어, 작동지그(40)가 외부금형(20)의 단부에서 센터로 이동될 때, 작동지그(40)가 이동한 거리(n)만큼 외부금형(20)이 고정지그(11)로 이동되고, 작동지그(40)가 외부금형(20)에 가하는 힘과 같은 힘으로 고정지그(11)가 외부금형(20)을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지그(40)가 한 일W2는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직접 가압한 일W1과 같기 때문에, 아래 식과 같이 연결단부(61)를 직접 가압하는 힘보다 작은 힘으로 작동지그(40)를 작동시킬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W1 = W2
F1*S1 = F2*S2
F1*S1 = F2*S1/sinθ
F2 = F1*sinθ
여기서, F1은 이형철근(60)의 연결단부(61)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고, F2는 작동지그(40)가 외부금형에 가하는 힘이며, θ는 도 7의 삼각함수에서 직각이 아닌 밑각이다.
위에서 예를들어, 이형철근(60)의 연결단부(61)가 F1=500kgf의 힘에 의해 변형된다고 가정하면, θ가 18°일 때, F2=500*0.309=154.5kgf가 되어, F2는 156.25kgf 만으로도 충분히 이형철근(60)의 연결단부(61)를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동지그를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의 작동압력을 줄일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는 유압실린더의 작동압력을 낮출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한 번에 원형으로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받침대(10)에 고정된 고정지그(11)의 중공구멍(13)에 외부금형(20)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외부금형(20)의 내부에 내부금형(30)이 장착되고, 상기 외부금형(20)의 타단이 유압 실린더(45)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지그(40)의 중공구멍(41)에 끼워지고, 상기 외부금형(20)이 다수개의 조각들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금형(20)의 조각들이 스프링(28)에 의해 원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내부금형(30)이 4의 조각들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금형(20)이 센터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외부금형(20)의 중심반경이 단부의 반경보다 큰 테이퍼 형상을 가짐으로서, 유압 실린더(45)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지그(40)가 외부금형(20)의 타단에서 외부금형(20)의 중심으로 외부금형(20)의 외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부금형(20) 및 내부금형(30)이 가운데로 모아지면서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가압하여 원형으로 압축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10)의 중공구멍(13)은 작동지그(40)의 중공구멍(41)의 직경과 같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금형(20)은 일반적으로 4~8개의 조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금형(20)은 내부금형이 4조각으로 구성될 때 8조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금형(20)의 조각들은 센터(21)를 중심으로 양단부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센터(21)에서 단부로 갈수록 내부면(22)과 외부면(23) 사이의 높이(h)가 낮아지도록 외부면(23)이 테이퍼져 있고, 내부면(22)에 내부금형(30)의 고정봉(35)이 끼워지는 장착홈(24)이 형성되고, 앞면(25)에 탭구멍(26)이 장착홈(24)까지 형성되고, 상기 탭구멍(26)에 체결되는 스크류(27)에 의해 상기 장착홈(24)에 끼워진 내부금형(30)의 고정봉(35)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금형(30)은 3 ~ 8개의 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금형(30)의 조각은 외측 원호면(31)의 원호 길이가 내측 원호면(32)의 원호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외측 원호면(31)의 중앙에 고정봉(35)이 장착되고, 외측 원호면(31)과 내측 원호면(32) 사이의 두께(t)가 성형하고자 하는 이형철근의 직경에 따라 다르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지그(40)는 2개의 리미트 스위치(51, 53)에 의해 작동거리가 한정된다. 즉, 작동지그(40)에 장착된 터치부(55)가 제 1 리미트 스위치(51)를 터치하면, 고정지그(11)를 향해 전진하던 작동지그(40)가 이동이 정지되고, 작동지그(40)가 후퇴하는 과정에서 터치부(55)가 제 2 리미트 스위치(53)를 터치하면, 작동지그(40)의 후퇴가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KR1020050064811A 2005-07-18 2005-07-18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50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811A KR100550030B1 (ko) 2005-07-18 2005-07-18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811A KR100550030B1 (ko) 2005-07-18 2005-07-18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0030B1 true KR100550030B1 (ko) 2006-02-09

Family

ID=3717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81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0030B1 (ko) 2005-07-18 2005-07-18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0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859B1 (ko) * 2009-12-21 2012-06-14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철근단부 성형금형
CN104858266A (zh) * 2015-04-10 2015-08-26 惠东县吉邦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锁咀工装
KR101857218B1 (ko) * 2017-12-29 2018-05-11 한성정밀공업(주)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CN111715734A (zh) * 2020-07-02 2020-09-29 江西云泰铜业有限公司 一种铜棒加工生产调直装置
KR102686410B1 (ko) * 2023-01-26 2024-07-19 김재현 봉형 강재 그리핑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859B1 (ko) * 2009-12-21 2012-06-14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철근단부 성형금형
CN104858266A (zh) * 2015-04-10 2015-08-26 惠东县吉邦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锁咀工装
KR101857218B1 (ko) * 2017-12-29 2018-05-11 한성정밀공업(주)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CN111715734A (zh) * 2020-07-02 2020-09-29 江西云泰铜业有限公司 一种铜棒加工生产调直装置
KR102686410B1 (ko) * 2023-01-26 2024-07-19 김재현 봉형 강재 그리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16604B (zh) 一种伸缩式压板装置
CN210061697U (zh) 一种模具的固定结构
KR200253528Y1 (ko) 진공청소기의 신축흡입관
KR100550030B1 (ko)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US5843496A (en) Mold clamping mechanism of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WO2017031797A1 (zh) 强力自锁液压夹紧器
KR100869404B1 (ko) 프레스 조인트 결합을 만들기 위한 방법 및 공구
KR101993889B1 (ko) 공작기계용 지그 어셈블리
CN108213215A (zh) 一种压力冲头的限位装置
KR101857218B1 (ko)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성형장치
CN107031109B (zh) 一种模具固定装置
JP4834585B2 (ja) 樹脂成形金型
JP2007054840A (ja) 中空段付軸の成形装置
CN210256876U (zh) 一种液压快速夹模装置
CN201833296U (zh) 伸缩式压板装置
US7553145B2 (en) Powder press
KR200142349Y1 (ko) 프레스 금형장치
CN211360371U (zh) 一种爪型三通扩口整形装置
JP2012245698A (ja) チューブタイヤのチューブ成型機
CN216398742U (zh) 一种管件内孔夹持加长机构
CN206297102U (zh) 抽芯结构以及模具
CN222429267U (zh) 一种磁粉粉末成型压机上的压粉组件
CN209886685U (zh) 粉末冶金整形上模
KR101150859B1 (ko) 철근단부 성형금형
KR200214077Y1 (ko) 이동 가능한 위치 결정 부재를 갖춘 몰드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