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649B1 - Pier structure by precast assembly structure - Google Patents
Pier structure by precast assembly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9649B1 KR100549649B1 KR1020020074667A KR20020074667A KR100549649B1 KR 100549649 B1 KR100549649 B1 KR 100549649B1 KR 1020020074667 A KR1020020074667 A KR 1020020074667A KR 20020074667 A KR20020074667 A KR 20020074667A KR 100549649 B1 KR100549649 B1 KR 1005496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ed concrete
- steel wire
- pier
- precast reinforced
- brid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는 교각 구조물에 있어서,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부 주위를 따라 상하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선통과공이 형성되며, 중공부의 표면측 입구 주위를 결합돌기가 돌출되고 중공부의 이면측 입구 주위를 결합홈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 및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의 최상부에 결합되며, 강선통과공에 대응하여 강선 정착부가 형성된 판형의 덮개판을 포함하며,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의 다수개가 적층되고 최상부에 덮개판이 덮여진 상태에서 강선통과공으로 강선이 삽입된 후 긴장되어 강선 정착부에 정착됨으로써, 적층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에 압축력이 도입됨과 동시에 적층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이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프리캐스트 조립구조의 교각 구조물이 개시된다. In the bridge structure supporting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a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t least one steel wire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the periphery of the hollow portion, and the engaging protrusion protrudes around the surface side inlet of the hollow portion and the back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ridge pier unit grooves formed around the side inlet; And a plate cover plate coupled to the top of the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ier unit and formed with a steel wire fix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steel wire passing hole, wherein a plurality of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ier units are stacked and the cover plate is covered on the top. After the steel wire is inserted into the steel wire through hole, the steel wire is tensioned and settled in the steel wire fixing unit, so that the compressiv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laminate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ier unit and the laminate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ier unit is integrally combined. Pier structures are disclosed.
교각, 프리캐스트, 강선, 긴장력, 콘크리트, 조립Pier, Precast, Steel Wire, Tension, Concrete, Assembly
Description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조립식 교각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으로서, 두 개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이 조립되어 있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two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ridge units are assembled as a process of constructing a precast prefabricated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상기 도 1a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FIG. 1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A.
도 2는 공지된 연결정착구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a known connection fitting.
도 3은 필요한 개수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이 적층 조립되어 소정 높이의 교각 구조물을 이룬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ape in which a required number of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s are stacked and assembled to form a bridge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도 4a는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을 소정 개수만큼 적층한 후 강선을 삽입 정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4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steel wires are inserted and fixed after stack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s,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추가적인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이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4B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dditional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ridge units are stacked subsequent to the state shown in FIG. 4A;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추가적인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이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4C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dditional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ridge units are stacked subsequent to the state shown in FIG. 4B.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엇 도 1b에서의 B위치에 대한 부분상세 도이다. FIG. 5 is a partial detailed view of the B position in FIG. 1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의 내부에 수직철근이 배근된 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시공되어 있는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in which concrete is poured after vertical reinforcement is disposed inside a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교각 구조물 2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유닛 1 Pier
21 강선통과공 22 연결정착구 21 Steel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는 교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운송 가능한 중량 및 높이를 가진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유닛을 현장에서 조립한 후 강선에 의한 긴장력을 도입하여 보강한 조립구조를 가진 프리캐스트 조립구조에 의한 교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er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of a bridge, and specifically, a precast reinforced concrete unit having a transportable weight and height is assembled in the field, and then an assembly structure reinforced by introducing a tension force by steel wire It relates to a pier structure by an excitation precast assembly structure.
교량을 지지하는 교각은 압축부재로서 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된다. 최근 들어 교량 건설에 환경친화적인 개념이 도입되면서 종전에는 산악지형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로를 건설하던 것을 고소 교량 형식으로 건설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The bridge supporting the bridge is a compression member and is mainly constructed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Recently, with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cepts in the construction of bridges, it has been increasing that the construction of roads by cutting off part of the mountainous terrain in the form of high-altitude bridges.
산악지형에 교량을 건설함에 있어서 고소 교량을 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교량의 상부구조가 지표면으로부터 비교적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위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교각이 장대화되어 고소 교각 구조물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In the construction of a bridge on a mountainous terrain, in order to maintain the height of the bridge,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s often locat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from the ground surface, and for this purpose, the bridge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s enlarged so that the height of the bridge structure It will be in the form of.
이러한 고소 교각 구조물과 같은 교각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식으로는 주로 강재의 슬립폼으로 이루어진 거푸집을 설치하고 내부에 철근을 배근한 후 지표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간격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슬립폼을 상부로 이동시켜 점차 교각의 높이를 높여 가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The construction of bridge structures such as pier bridge structures is carried out by installing formwork consisting mainly of steel slip foam, reinforcing steel bars inside, placing concrete at predetermined height intervals from the ground surface, and moving the slip foam upwards. Gradually, the height of the piers was adopted.
그런데, 이와 같이 슬립폼을 상부로 이동시켜가면서 콘크리트를 현장에 타설하는 종래의 방식에서는 슬립폼을 설치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다. 또한, 소정 높이로 타설된 하부의 콘크리트가 일정 정도 이상으로 양생되어야만 그 상부의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므로 교각의 건설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결국 이는 전체 교량의 시공기간을 늘리는 원인이 되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placing concrete on the site while moving the slip foam as described above, it was expensive to install the slip foam. In addition, since the concrete of the lower portion cast to a certain height must be cured to a certain degree or more, the concrete of the upper portion can be poured, and thus,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takes a lot of time, which in turn causes an increase in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entire bridge.
그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하여 양생시켜야 하므로, 그만큼 시공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다. Not only that, the concrete had to be cast and cured on site, so construction errors were high.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종래의 시공방법에 의하여 교각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현장에서 슬립폼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교각의 시공에 소요되는 공기를 단축시키고, 교각 시 공시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교각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ccurring when constructing a pier structure by a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slip foam in the field, shorten the air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i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er structure of a new structure that can minimize the error of the disclosure at the time of pi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교각 구조물을 운송 가능한 중량 및 높이를 가진 소정 높이의 다수개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 유닛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이를 현장으로 이송하여 조립하고, 각 교각 유닛에 삽입된 강선에 의한 긴장력을 도입하여 조립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 유닛들을 보강하므로써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조립구조를 가진 교각 구조물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ier unit of a predetermined height having a weight and height capable of transporting the pier structure in the factory, it is transported and assembled to the site, each pier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idge structure having a precast assembly structure, which is manufactured by reinforcing the assemble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s by introducing tension by an inserted steel wi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강선"은 강연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긴장되어 구조물에 긴장력을 도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반적인 긴장재를 총괄하는 지칭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eel wire" is not limited to the strand, and refers to the general tension material used to introduce tension into the structure by being tension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교각 구조물은, 고소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는 교각 구조물으로서, 벽체에 하나 이상의 강선통과공이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이 적층되어 조립되며; 상기 적층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의 최상부에는 강선 정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판형의 덮개판이 덮여지고, 상기 적층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의 상기 연통되어 있는 강선통과공으로 강선이 삽입된 후 긴장되어 정착되므로써, 상기 적층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에 압축력이 도입됨과 동시에 상기 적층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이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pecifically, the pi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idg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of the high-rise bridge, at least one steel wire through hol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wall, a plurality of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ier unit having a hollow portion in the center Are stacked and assembled; The uppermost part of the laminate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ier unit is covered with a plate-shaped cover plate in which a steel wire fixing unit is formed, and after the steel wire is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ng steel wire passing hole of the laminate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ier unit, it is tensioned and fixed. As a result, a compressiv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laminate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ier unit and the laminate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ier unit is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교각 구조물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운송 가능할 정도의 크기와 중량을 가지도록 사전 제작된 교각유닛을 조립하게 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공기를 줄일 수 있으며, 슬립폼 등의 설치를 피할 수 있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pier unit is assembled to have the size and weight of the pier structure to be transportable in a precast manner, thus reducing the air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avoid the installation of slip foam or the like. You can save construction costs.
본 발명의 교각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상부와 하부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의 조립면에 상부 및 하부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의 내부면을 서로 관통하도록 강봉을 더 설치하여 고정하므로써 상부 및 하부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의 연결을 더 보강할 수 있다. In the pi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steel bar to further penetrate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ier unit to the assembly surface of the laminated upper and lower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ier unit And it can further reinforce the connection of the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ridge pier unit.
한편, 본 발명에서는 교각 구조물의 또다른 실시형태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의 상기 중공부 내에 수직철근이 배근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조립구조에 의한 고소교각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종래의 수직철근에 의한 콘크리트 교각을 시공할 수 있으며 프리캐스트 조립구조에 의한 구조와 종래의 수직철근에 의한 콘크리트 교각이 가지고 있던 장점들을 모두 발휘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ier structure, the pier is provided by the precast assembl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reinforcement concrete is cast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ridge piers unit do.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concrete pier by a conventional vertical rebar without using a formwork, and to exhibit all the advantages of the structure by the precast assembly structure and the concrete pier by the conventional vertical rebar. do.
삭제delet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조립식 교각 구조물(1)을 시공하는 과정으로서, 두 개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이 조립되어 있는 형상이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b에는 상기 도 1a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1A is a process of constructing a precast prefabricat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조립식 교각 구조물(1)은 운반이 가능한 소정의 높이와 중량을 가진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조립으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은 소정 두께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중앙은 비어 있는 형상을 갖는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중앙의 비어 있는 중공부(11)가 1개인 1셀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교량 상부구조의 폭에 따라서는 교축 직각방향으로 충분한 교각의 폭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앙의 비어 있는 부분이 2개 이상 인 다중 셀 구조를 갖도록 교각 단면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그 외형도 박스 형태가 아닌,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cast prefabricated
본 발명에 따른 교각 구조물(1)은 상기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이 차례로 적층되어 조립되므로써 형성되는데, 상기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상하면에는, 하부 또는 상부에 적층될 또다른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과의 조립시 조립위치가 잘 맞추어 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중공부(11)의 표면측 입구 주위를 결합돌기(13)가 돌출되고 중공부(11)의 이면측 입구 주위를 결합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하부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조립이 완료되면, 그 조립면에는 밀봉재를 도포하여 조립면을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교축 직각방향 측벽에는 수직하게 연통되어 있는 다수개의 강선통과공(21)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층되어 있는 다수개의 상기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강선통과공(21)을 모두 관통하도록 강선(20)이 삽입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teel wire through
교각은 교량의 상부 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압축력을 지지하는 압축부재이나, 교량을 지나가는 교통하중 등에 의하여 교축방향으로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교각에도 교축방향으로 휨모멘트가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휨모멘트를 강선(20)의 긴장력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강선통과공(21)은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교축직각방향 측면에 형성된다. 보강을 위해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교축방향 측면에도 강선통과공을 형성하고 강선을 삽입하여 긴장력을 도입할 수도 있다. The bridge is a compression member for supporting the compressive force transmitted from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the shear force acts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due to the traffic load passing through the bridge, the bending moment is also applied to the bridge. In order to support the bending moment by the tension force of the
상기 강선통과공(21)에 삽입된 강선(20)은 긴장되어 교각 구조물(1)에 압축력을 가하게 되므로써, 적층되어 조립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을 일체와 함과 동시에, 휨모멘트에 의하여 교각 구조물(1)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상쇄시키게 된다. The
상기 강선의 일단부는 교각 기초(100)에 정착되는데, 강선의 일단부를 교각 기초(100)에 정착시킨 후에 강선의 타단부가 각각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강선통과공(21)에 삽입되도록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을 적층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통하여 강선을 정착한다. One end of the steel wire is fixed to the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정착용 강선(20')의 일단부를 교각 기초(100)에 정착시킨 후 그 타단부를 교각 기초(100) 위에 노출시킨다. 이후에 소정 갯수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을 적층한 후, 상부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강선통과공(21)을 통하여 강선(20)을 삽입한다. 상부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으로부터 삽입된 강선(20)의 단부를 공지의 연결정착구(22)에 의하여 상기 정착용 강선(20')의 노출 단부와 연결시킨다. 일측에서는 강선을 긴장하여 정착시키고 그 단부를 다른 강선과 연결하는 상기한 연결정착구(22)는 공지된 것으로서, 도 2에는 공지의 연결정착구 형상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B, one end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부로부터 삽입된 강선(20)의 단부와 교각 기초(100)에 미리 정착시켜놓은 정착용 강선(20')의 단부를 공지의 연결정착구(22) 에 의하여 연결시키므로써 전체 강선(20, 20')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이를 위하여 최하단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하단 벽체에는 강선통과공(21)의 말단부에, 상기 연결정착구(22)를 설치하고 강선(20, 20')의 연결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되는 정착구 설치부(14)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가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중앙을 통하여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내부에 들어가 상기 정착구 설치부(14)에서 연결정착구(22)를 이용하여 강선(20, 20')을 연결시키게 된다. To this end, the lower wall of the precast reinforced
도 3에는 필요한 개수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이 적층 조립되어 소정 높이의 교각 구조물(1)을 이룬 형상이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최상부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이 적층된 후에는 그 상부에 판형의 철근콘크리트 덮개판(15)이 설치된다. 최상부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을 통하여 강선(20)을 삽입한 후 작업자가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 중앙의 구멍을 통하여 최하부로 내려가 강선(20)의 일단부와 정착용 강선(20')의 단부를 연결시킨다.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required number of precast reinforced
강선(20)의 연결이 완료되면 덮개판(15)을 설치하고 강선(20)을 긴장하여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에 프리스트레스트에 의한 압축력을 도입한다. 긴장된 강선(20)의 단부는 상기 덮개판(15)의 정착부(16)에 각각 정착된다. 상기 덮개판(15)의 정착부(16)에 강선(20)의 단부가 정착된 후에 정착부(16)는 그라우팅시킨다. 이후 덮개판(15)에는 슈우 등 교량 받침장치가 설치되고 그 위로 교량의 상판이 설치된다. When the connection of the
그런데,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을 모두 적층한 후에 강선(20)을 최상부에서 삽입하는 것이 적절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강선(20)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강선(20)을 나누어 정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a에는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을 소정 개수만큼 적층한 후 강선(20)을 삽입 정착한 상태가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도 4a에 후속하여 추가적인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이 적층된 상태가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c에는 도 4b에 후속하여 추가적인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이 적층된 상태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By the way, when it is not appropriate to insert the
우선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을 소정 개수만큼 적층한 후에 강선(20)을 삽입하여 긴장한 후 정착한다. 이를 위해서는 강선(20)이 정착될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상부에는 오목한 강선정착부(17)를 형성하여 둔다. First, as shown in FIG. 4A, the precast reinforced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에 소정 개수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을 다시 적층한 후 강선(20″)을 삽입하여, 새로이 삽입된 강선(20″)을 이미 정착되어 있던 상기 강선(20)과 공지의 연결정착구(22)에 의하여 연결시킨다. 연결된 강선(20″)을 긴장하여 상부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에 정착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강선을 연결/정착시킨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인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과 덮개판(15)을 설치하여 긴장된 강선을 정착시키게 된다. As shown in FIG. 4B, a predetermined number of precast reinforced
그런데, 위와 같이 강선을 중간에 정착하고 연결하는 경우, 강선(20, 20″)의 연결위치는 이웃하는 강선의 연결위치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나의 강선(20)을 최하단으로부터 3개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에 삽입한 후 정착/연결하였다면, 이웃하는 강선(20″′)은 최하단으로부터 4개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에 정착/연결하고, 또 그 이웃하는 강선(20″″)은 다시 최하단으로부터 3개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에 정착/연결하는 방식으로 이웃하는 강선의 연결이 서로 교호적인 배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in the case of fixing and connecting the steel wire in the middle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teel wire (20, 20 ") is preferably different from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neighboring steel wire. That is, as shown in FIG. 4C, for example, if one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강선(20)의 정착에 의하여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을 일체로 결합하는 것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연결구조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결합을 더 보강할 수 도 있다. 도 5에는 위와 같은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결합을 더 보강한 구조를 가진 실시예의 결합부가 상세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 1b에서 B부분에 해당하는 곳이 부분 상세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하부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조립면을 강봉(30)에 의하여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상하부 조립면의 내측벽에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32)를 각각 형성하고, 그 돌출부(32)에 강봉삽입구(31)를 형성한 후, 상기 강봉삽입구(31)에 강봉(30)을 삽입하여 강봉(30)의 단부를 너트 등의 고정수단(33)으로 고정시키므로써 상하부의 프리캐스 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coupling the precast reinforced
위에서는 본 발명의 교각 구조물(1)을 이루는 모든 교각유닛(10)이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일부 교각유닛(10)을 현장 타설에 의하여 시공하여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과 병용하여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above, all the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또다른 형태의 교각 구조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ier structure embodimen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각 구조물(101)의 시공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10)의 내부에 수직철근(111)이 배근된 콘크리트(112)가 타설되어 시공된다.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즉,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10)이 그 자체로서 교각을 형성하는 구조물로 기능함과 동시에 중앙의 내부 콘크리트(112)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으로서도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precast reinforced concrete
이 경우, 상기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10)의 내부면에는 중앙의 콘크리트(112)와의 전단연결을 위하여 내부 콘크리트(112)로 매입되는 전단연결재(113)가 설치되어 있다. In this case, the inner surface of the precast reinforced
그 외에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10)의 구성 및 조립과정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and assembling process of the precast reinforced
위와 같이 내부 콘크리트(112)가 시공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직철근(111)이 배근된 내부 콘크리트(112)가 교각으로서의 기능을 분담하게 되므로, 외부의 프 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110)의 두께 및 강선량, 그리고 강선의 긴장량 등을 비교적 줄일 수 있게 된다.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각 구조물은 공장에서 사전 제작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교각유닛의 조립에 의하여 시공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교각 시공을 위하여 슬립폼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슬립폼 설치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by the assembly of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ridge units pre-fabricated in the factory.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the slip foam for the pier construction compared to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slip foam installation.
특히, 종래의 기술에서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소정 강도 이상으로 양생될 때까지 기다린 후에 점차로 교각 시공부분을 높여갈 수 있으므로 교각 시공에 소요되는 공기가 길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교각유닛을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사전에 제작하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교각시공에 소요되는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교각유닛(10)이 공장에서 생산되므로, 그 품질관리가 용이하며 고품질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시공오차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prior art, after placing concrete in the field and waiting until the poured concrete is cured to a predetermined strength or more, the pier construction part may gradually increase, so the air required for the pier construction was long,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er unit Since it is manufactured in advance by the precast metho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air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ier compared to the prior art. In addition, since the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교각 구조물은 고소 교량을 위한 고소 교각에 특히 유리하다. The pi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bove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aerial bridges for aerial bridge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과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free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74667A KR100549649B1 (en) | 2002-11-28 | 2002-11-28 | Pier structure by precast assembly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74667A KR100549649B1 (en) | 2002-11-28 | 2002-11-28 | Pier structure by precast assembly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46673A KR20040046673A (en) | 2004-06-05 |
KR100549649B1 true KR100549649B1 (en) | 2006-02-08 |
Family
ID=3734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746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9649B1 (en) | 2002-11-28 | 2002-11-28 | Pier structure by precast assembly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49649B1 (en) |
Cited B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8999B1 (en) * | 2006-06-15 | 2007-07-25 | (주)대우건설 | Precast Concrete Segment with Assembly Structure Using Steel Duct and Its Connection Assembly Structure |
KR100787119B1 (en) * | 2006-06-15 | 2007-12-21 | 차진이 | Concrete bridge piers using precast concrete hollow tube formwork |
KR100819504B1 (en) * | 2006-07-05 | 2008-04-0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nnection method of concrete composite and supporting structure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
KR100905317B1 (en) | 2009-03-17 | 2009-07-02 | (주)유림이엔디 | Precast segment for structure a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KR100995667B1 (en) * | 2010-05-11 | 2010-11-19 | 이종석 | System-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1004747B1 (en) * | 2007-12-21 | 2011-01-04 | 송기용 | Vertical stacking method for large diameter columns and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1007028B1 (en) | 2010-02-22 | 2011-01-12 | 주식회사 케이씨산업개발 | Prefabricated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1043086B1 (en) * | 2006-12-20 | 2011-06-21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Precast formwork |
KR101078047B1 (en) * | 2008-02-01 | 2011-10-28 | (주)써포텍 | Precast concrete truss suppor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02409608A (en) * | 2011-11-30 | 2012-04-11 |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 | Prefabricated assembled concrete upright post bearing platform structure and assembling and positioning process thereof |
KR101164227B1 (en) | 2011-12-26 | 2012-07-10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Offshore wind turbine structure using steel pipe pile foundation and prefabricated structure |
KR200462544Y1 (en) | 2010-10-15 | 2012-09-14 | 허봉락 | Prefabricated building pillar structure |
KR101321818B1 (en) * | 2011-12-28 | 2013-10-23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Precast concrete column structure |
KR101327388B1 (en) | 2013-07-17 | 2013-11-08 | 정택동 | The pc wall for water-storage tank of assembly typ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
KR20150058748A (en) * | 2013-11-21 | 2015-05-29 | 전종환 | Self assembly pillar for pi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0777641A (en) * | 2019-11-07 | 2020-02-11 | 湘潭大学 | A kind of multi-stage energy-consuming bridge anti-seismic stopper which is easy to maintain and replace |
KR102385958B1 (en) * | 2021-11-15 | 2022-04-22 |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 Bridge pi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maintained concrete mol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3692B1 (en) * | 2005-08-17 | 2007-05-04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stressed connection type pier using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ing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0704874B1 (en) * | 2005-12-15 | 2007-04-09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Prefabricated concrete pier structure reinforced with shear by steel pipe |
KR100776774B1 (en) * | 2006-07-10 | 2007-11-16 | (주)대우건설 | Manufactur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pier segment with assembly structure using steel duct |
KR100804149B1 (en) * | 2006-11-24 | 2008-02-19 | 전영총 | Construction method of PC structure piers and PC structure piers |
KR100860591B1 (en) * | 2007-06-19 | 2008-09-26 | 삼성물산 주식회사 | Vertica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PC Block |
KR100860592B1 (en) * | 2007-06-20 | 2008-09-26 | 삼성물산 주식회사 | Temporary Structure for PC Block Lamination |
KR100971003B1 (en) * | 2009-04-09 | 2010-07-20 | (주)대우건설 | Formwork for match cast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piers using the same |
CN107386099B (en) * | 2017-07-06 | 2019-06-21 | 东南大学 | Self-resetting prefabricated piers with built-in prestressed FRP bars and their construction methods |
CN108179696A (en) * | 2018-01-31 | 2018-06-19 | 中交第二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 A kind of post-tensioned prestressing precast hollow formula bridge pier ro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2197689B1 (en) | 2019-04-23 | 2020-12-31 | 유병훈 | Vertical core structure horizontally assemble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CN110373994B (en) * | 2019-08-22 | 2020-11-24 | 台州佳沃科技有限公司 | Assembled pier with damping function |
CN110939107A (en) * | 2019-12-27 | 2020-03-31 | 中水北方勘测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doorway unit for roller compacted concrete d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doorway |
CN111877140A (en) * | 2020-01-10 | 2020-11-03 | 中国国家铁路集团有限公司 | Connecting structure for segment prefabricated assembled pier combin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
CN111827095B (en) * | 2020-06-29 | 2024-06-25 | 中国国家铁路集团有限公司 | Prefabricated assembled hollow pier with built-in rib plates and construction method |
CN111733692B (en) * | 2020-07-28 | 2024-12-31 | 东南大学 | A segmental pre-compressed assembled concrete pi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1809510A (en) * | 2020-08-13 | 2020-10-23 | 上海应用技术大学 | A bearing-socket-type prefabricated bridge pie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2853933B (en) * | 2021-02-24 | 2022-04-29 | 江南大学 | Segment prefabricated assembled concrete-filled steel tube pier with restorable function |
CN112854010B (en) * | 2021-03-17 | 2022-10-25 | 宁波万基建设有限公司 | Assembled jack-up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
KR102452240B1 (en) * | 2021-08-18 | 2022-10-11 |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 Precast concrete box structure for floating offshore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4808668A (en) * | 2022-04-14 | 2022-07-29 | 福建江夏学院 | A vertical tenon-and-mortise connection type prefabricated bent pier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N114922056B (en) * | 2022-06-24 | 2024-09-17 | 东南大学 | PBL plate-FRP rib connected concrete combined pier and construction method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54130A (en) * | 1973-09-08 | 1975-05-13 | ||
JPH01268920A (en) * | 1988-04-18 | 1989-10-26 | Ohbayashi Corp | Caisson construction work |
JPH06264410A (en) * | 1992-10-08 | 1994-09-20 | Keihan Concrete Kogyo Kk | Prefabrication method of bridge pier and bridge pier concrete block |
JPH06264412A (en) * | 1992-10-08 | 1994-09-20 | Keihan Concrete Kogyo Kk | Prefabrication method of bridge pier and bridge pier concrete block |
KR200201588Y1 (en) * | 2000-06-08 | 2000-11-01 | 주식회사한국건설관리공사 | Pier element for an integrated bridge |
JP2000352108A (en) * | 1999-06-10 | 2000-12-19 | Kajima Corp | Precast block method |
JP2001279614A (en) * | 2000-03-31 | 2001-10-10 | Ps Corp | Precast concrete block joining method |
KR200253327Y1 (en) * | 2001-07-27 | 2001-11-23 |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 Circlylic guard structure of construction basis |
KR20020011706A (en) * | 2000-08-04 | 2002-02-09 | 김희, 이방주 | Fabricated pier and Fabricated pier construction method |
JP2002242126A (en) * | 2001-02-22 | 2002-08-28 | Ps Corp | Column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2002
- 2002-11-28 KR KR1020020074667A patent/KR10054964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54130A (en) * | 1973-09-08 | 1975-05-13 | ||
JPH01268920A (en) * | 1988-04-18 | 1989-10-26 | Ohbayashi Corp | Caisson construction work |
JPH06264410A (en) * | 1992-10-08 | 1994-09-20 | Keihan Concrete Kogyo Kk | Prefabrication method of bridge pier and bridge pier concrete block |
JPH06264412A (en) * | 1992-10-08 | 1994-09-20 | Keihan Concrete Kogyo Kk | Prefabrication method of bridge pier and bridge pier concrete block |
JP2000352108A (en) * | 1999-06-10 | 2000-12-19 | Kajima Corp | Precast block method |
JP2001279614A (en) * | 2000-03-31 | 2001-10-10 | Ps Corp | Precast concrete block joining method |
KR200201588Y1 (en) * | 2000-06-08 | 2000-11-01 | 주식회사한국건설관리공사 | Pier element for an integrated bridge |
KR20020011706A (en) * | 2000-08-04 | 2002-02-09 | 김희, 이방주 | Fabricated pier and Fabricated pier construction method |
JP2002242126A (en) * | 2001-02-22 | 2002-08-28 | Ps Corp | Column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KR200253327Y1 (en) * | 2001-07-27 | 2001-11-23 |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 Circlylic guard structure of construction basis |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7119B1 (en) * | 2006-06-15 | 2007-12-21 | 차진이 | Concrete bridge piers using precast concrete hollow tube formwork |
KR100738999B1 (en) * | 2006-06-15 | 2007-07-25 | (주)대우건설 | Precast Concrete Segment with Assembly Structure Using Steel Duct and Its Connection Assembly Structure |
KR100819504B1 (en) * | 2006-07-05 | 2008-04-0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nnection method of concrete composite and supporting structure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
KR101043086B1 (en) * | 2006-12-20 | 2011-06-21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Precast formwork |
KR101004747B1 (en) * | 2007-12-21 | 2011-01-04 | 송기용 | Vertical stacking method for large diameter columns and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1078047B1 (en) * | 2008-02-01 | 2011-10-28 | (주)써포텍 | Precast concrete truss suppor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0905317B1 (en) | 2009-03-17 | 2009-07-02 | (주)유림이엔디 | Precast segment for structure a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KR101007028B1 (en) | 2010-02-22 | 2011-01-12 | 주식회사 케이씨산업개발 | Prefabricated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0995667B1 (en) * | 2010-05-11 | 2010-11-19 | 이종석 | System-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200462544Y1 (en) | 2010-10-15 | 2012-09-14 | 허봉락 | Prefabricated building pillar structure |
CN102409608A (en) * | 2011-11-30 | 2012-04-11 |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 | Prefabricated assembled concrete upright post bearing platform structure and assembling and positioning process thereof |
KR101164227B1 (en) | 2011-12-26 | 2012-07-10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Offshore wind turbine structure using steel pipe pile foundation and prefabricated structure |
KR101321818B1 (en) * | 2011-12-28 | 2013-10-23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Precast concrete column structure |
KR101327388B1 (en) | 2013-07-17 | 2013-11-08 | 정택동 | The pc wall for water-storage tank of assembly typ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
KR20150058748A (en) * | 2013-11-21 | 2015-05-29 | 전종환 | Self assembly pillar for pi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591983B1 (en) | 2013-11-21 | 2016-02-18 | 전종환 | Self assembly pillar for pi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0777641A (en) * | 2019-11-07 | 2020-02-11 | 湘潭大学 | A kind of multi-stage energy-consuming bridge anti-seismic stopper which is easy to maintain and replace |
KR102385958B1 (en) * | 2021-11-15 | 2022-04-22 |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 Bridge pi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maintained concrete mol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46673A (en) | 2004-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49649B1 (en) | Pier structure by precast assembly structure | |
KR101064731B1 (en) | Steel composite girders made of steel beams and concrete with parabolic webs and formwork flanges and their fabrication methods | |
KR101833373B1 (en) | Precast modula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478131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Pier | |
KR101401467B1 (en) | The bi-prestressed concrete U-type gird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582599B1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continuous point part of pier using copping for connecting girder | |
KR101693256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psc bridge | |
KR20090115481A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rch Girder Composite Girder | |
KR100540374B1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beam manufacturing method for straight and curved bridges | |
KR20100071413A (en) | Pier with precast cop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1229263B1 (en) | Slab-type box girder with a vertical connecting structure made by precast concrete and method constructing the bridge thereof | |
KR100727114B1 (en) | Precast Segment for Haro Bridge Fabrication and Haro Bridge Fabrication Method | |
KR20040006564A (en) | Composite Deck having Frame and Concrete | |
KR101013235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rainwater storage tank | |
KR102142633B1 (en) | Accelerated construction method of integral abutment bridge and chambered precast segment wall applied to the same | |
KR101705002B1 (en) | Prefabricated double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593664B1 (en) | Prestressed Composite Floorboard Construction Method | |
KR100990967B1 (en) | Assembled bridge and method for constucting an assembled bridge | |
KR100583671B1 (en) | Prestressed concrete beams made of steel anchors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and reinforcement materials installed on upper and lower flanges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m | |
KR101476411B1 (en) | Precast concrete frame for buildings using precast concrete beam continued by post tensioning | |
KR101639592B1 (en) | Prefabricated lightweight girder and 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181160B1 (en) | Prestressed precast concrete beam having efficient prestressing anchorage structure | |
KR101038714B1 (en) | Composite Girder Bridge with Tide Arch Shape Using Precast Slab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008555B1 (en) | Underground girder composite girder | |
KR102327700B1 (en) | Gird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ity of supporting portion of girder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508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2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5090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8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51101 Appeal identifier: 2005101005886 Request date: 20050901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9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4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0511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007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1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