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8970B1 -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970B1
KR100548970B1 KR1020040061218A KR20040061218A KR100548970B1 KR 100548970 B1 KR100548970 B1 KR 100548970B1 KR 1020040061218 A KR1020040061218 A KR 1020040061218A KR 20040061218 A KR20040061218 A KR 20040061218A KR 100548970 B1 KR100548970 B1 KR 100548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blocking
irradiation chamber
frozen food
th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2505A (ko
Inventor
송신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피코
니혼하이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피코, 니혼하이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피코
Priority to KR1020040061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970B1/ko
Publication of KR20060012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4/00Preservation of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4/07Thawing subsequent to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4/00Preservation of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4/01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0Auxiliary devices for switching or interrupting
    • H01P1/15Auxiliary devices for switching or interrupting by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18Casings with provisions to reduce aperture leakages in walls, e.g. terminals, connectors,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58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optoelectron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컨베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냉동식품을 조사실에서 마이크로파로 해동시키는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사실(210)의 양측 입출구에 각각 연장 형성된 차단통로(310)에 구성되며,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냉동식품의 조사실(210) 출입시 분산되는 마이크로파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마이크로파 차단부(300)를 구성하되, 상기 마이크로파 차단부(300)는, 상기 조사실(210)과 차단통로(310)의 경계 구간에서 상측에 힌지 결합되어, 냉동식품의 이송시에만 진행방향으로 회동하게 함으로써 조사실(210)의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제 1 마이크로파 차단막(311); 및 상기 차단통로(310)의 말단에서 상측에 커튼 방식으로 다수의 조각이 횡방향 결합되어 상기 차단통로(310)에서 마이크로파 발생에 의한 누설 전파를 흡수하는 연성의 흡수체(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파관, 쵸크존, 마그네트론, 흡수체

Description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APPARATUS FOR MICROWAVE LEAKAGE PREVENTION OF THA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동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동기에서 마이크로파 차단막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동기에서 쵸크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동기에서 흡수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컨베어 구동 모터 120 : 이송용 컨베어 벨트
130 : 고정판 200 : 마이크로파 조사부
210 : 조사실 220 : 마이크로파 발생기
221 : 도파관 300 : 마이크로파 차단부
310 : 차단통로 311 : 제 1 마이크로파 차단막
312 : 제 2 마이크로파 차단막 313 : 흡수체
314 : 쵸크존 320 : 투입구
본 발명은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동식품의 해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해동기에서 냉동식품의 조사실 출입시 외부로 누설되는 인체 유해 마이크로파를 입출입구에 증설되는 다중의 차단 수단을 통해 차단해 기기 사용자의 마이크로파 노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외 현장에서 현재 해동 중의 품질, 생산성, 비용 등의 문제점 해소를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해동방법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은 실정이다.
현재까지의 재래식 해동방법은 외기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식품의 표면으로부터 먼저 온도가 상승하고 그 상승된 온도의 열전도로 냉동식품의 내부에까지 전달되어 전체적인 해동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마이크로파를 이용하게 되면 마이크로파가 침투되어 닿는 전체 부분에서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화되어 단 시간 내에 냉동식품의 내외부 전체를 동시에 가열하기 때문에 해동과정에서 드립의 발생이 없이 양호한 품질로 단시간에 해동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종전부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부분적이나마 현재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렌지로 소량의 냉동식품을 해동하고 있으나 전자렌지는 식품의 해동 전용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므로 식품의 사이즈가 크거나 처리량이 많을 경우에는 전자 렌지를 사용하여 해동하기엔 많은 제약이 따르고 또한 균일한 해동 결과를 얻기란 상당히 어렵다.
하지만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해동기를 사용하면 식품의 크기나 처리 용량에 관계없이 언제나 짧은 시간 내에 균일한 해동의 실현이 가능하고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량을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해동 중에 발생되는 드립과 드립으로 인한 중량의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서 원재료의 손실 감소와 품질의 향상 및 경비의 절감 등 큰 장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해동기는 이러한 많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 대량의 냉동식품을 해동시키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냉동식품의 투입 및 배출이 이루어져야만 하게 되는데, 냉동식품을 연속적으로 해동하기 위해서는 벨트 컨베어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마이크로파의 조사실에 냉동식품을 공급하여야 하며, 이때 냉동식품의 출입을 위한 입구와 해동 후의 배출구를 설치하여야만 한다.
그 때문에 이러한 입구와 배출구로 조사실 내의 마이크로파가 분산되고, 또한 작업을 진행할 때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누설되게 되고, 이러한 누설 마이크로파는 해당 기기를 작동하는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냉동식품의 해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파 해동기에서 냉동식품의 조사실 출입시 외부로 누설되는 인체 유해 마이크로파를 입출입구에 증설되는 다중의 차단 수단을 통해 차단해 기기 사용자의 마이크로파 노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는 컨베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냉동식품을 조사실에서 마이크로파로 해동시키는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사실(210)의 양측 입출구에 각각 연장 형성된 차단통로(310)에 구성되며,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냉동식품의 조사실(210) 출입시 분산되는 마이크로파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마이크로파 차단부(300)를 구성하되, 상기 마이크로파 차단부(300)는, 상기 조사실(210)과 차단통로(310)의 경계 구간에서 상측에 힌지 결합되어, 냉동식품의 이송시에만 진행방향으로 회동하게 함으로써 조사실(210)의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제 1 마이크로파 차단막(311); 및 상기 차단통로(310)의 말단에서 상측에 커튼 방식으로 다수의 조각이 횡방향 결합되어 상기 차단통로(310)에서 마이크로파 발생에 의한 누설 전파를 흡수하는 연성의 흡수체(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통로(310)는 내벽을 따라 상하부 및 양측면에 환형으로 다단의 쵸크를 구성시킨 쵸크존(314)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마이크로파 차단막(311)을 통과해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 마이크로파를 차단통로(310) 내에서 상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통로의 말단에서 상측에 힌지 결합되어, 냉동식품의 이송시에만 진행방향으로 회동하게 구성됨으로써 차단통로(310)내의 잔류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제 2 마이크로파 차단막(3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파 차단막(312)은 중간 부위가 분절되는 2중 힌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쵸크존(314)의 쵸크 크기(a)는 30mm이고, 쵸크간 간격 역시 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냉동식품의 해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파 해동기에서 냉동식품의 조사실 출입시 외부로 누설되는 인체 유해 마이크로파를 입출입구에 증설되는 다중의 차단 수단을 통해 차단해 기기 사용자의 마이크로파 노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동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동기에서 마이크로파 차단막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동기에서 쵸크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동기에서 흡수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게 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해동기는 프레임 상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냉동식품을 직선 이동시키는 이송용 컨베어 벨트(120), 상기 이송용 컨베어 벨트(120)를 따라 조사실(210)에서 이송되는 냉동식품에 마이크로파를 조사시키는 마이크로파 조사부(200),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부(200)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파가 조사실(210)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차단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이송용 컨베어 벨트(120), 마이크로파 조사부(200) 및 차단부(300)가 장착되게 되는 해동 장치의 구조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조사실(210)에는 마이크로파 발생 및 조사를 위한 마이크로파 발생기(220)가 상하로 각각 내설되게 되는데, 이러한 마이크로파 발생기(220)는 조사실(210) 내에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내설되는 소정 두께의 고정판(130)을 중심으로 상하측의 도파관(221)들이 마주하게 나열되어 설치됨으로써 조사 시 상하 대응하는 위치의 마이크로파 발생기(220)가 컨베어벨트(120)의 구동에 따라 도파관(221) 위치에 도달한 상기 고정판(130) 상의 냉동식품에 마이크로파를 조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조사실(210)은 냉동식품이 컨베어 벨트(120)에 의하여 이송되어지고 마이크로파 발생기(220)를 통해 직접 마이크로파를 식품에 조사하게 되는 구간으로서, 이러한 조사실(210)의 외벽은 마이크로파를 통과시키지 않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마이크로파 발생기가 동시에 턴온되지 않고 냉동식품이 도파관 조사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만 해당 마이크로파 발생기로부터 마이크로파가 조사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누설 방지 장치는 이러한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동작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조사실 내에서 냉동식품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경우이면 즉, 조사실 내에서 마이크로파가 발생하는 경우이면 해당 조사실의 입구 및 출구에 모두 적용이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컨베어 벨트(120)는 하부의 컨베어 구동 모터(11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게 궤도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조사실(210) 내에서는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베어 벨트(120)는 상기 조사실(210) 내에서 횡방향으로 고정된 고정판(130)의 상측에 밀착되어 지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고정판(130)은 해당 조사실(210) 외부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게 되며, 이렇게 연장 형성된 부분은 마이크로파의 외부 방출을 방지하기 위한 폐쇄구조의 차단통로(310)로서 선반 상에 각각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입배출구로서의 차단통로(310) 구간을 통해 사용자는 조사실(210) 내부로 투입되게 될 냉동식품을 정렬시키거나 해동 완료된 식품을 수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부(200)는 조사실(210) 내에 장착되는 복수의 마이크로파 발생기(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220)는 상기 조사실(2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용 컨베어 벨트(120)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냉동식품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생성 및 조사 수단으로서, 일반적인 전자 레인지에서 사용하는 2,450 MHz 의 마이크로파 발생용 마그네트론을 사용하여 도파관(221)을 통해 해당 냉동식품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입력전원 제어용의 고압 트랜스와 냉각용 공랭식 냉각 팬 그리고 노이즈 필터 등이 추가적으로 부착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해동 시스템에서 상기 조사실(210)의 입배출구에 마이크로파를 차단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셔터를 설치함으로써 외부로 방출되는 마이크로파를 차단시켰으나, 이러한 경우 냉동식품이 출입할 때 마다 셔터가 단속되어 연속적인 해동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결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이송용 컨베어 벨트(120)에 의해서 냉동식품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면서 마이크로파의 외부 방출을 막기 위해 상기 조사실(210)의 입구 및 배출구의 양측에 마이크로파 차단부(300)를 구성시키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파 차단부(300)는 상기 차단통로(310)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마이크로파 차단막(311, 312), 마이크로파 흡수체(313) 및 쵸크죤(3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도 5를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 1 마이크로파 차단막(311)은 상기 조사실(210)과 차단통로(310)의 경계 구간에 설치되어 조사실(210) 내부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가 차단통로(31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 1 마이크로파 차단막(311)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으로 형성되어 조사실(210)과 차단통로(310)의 경계 구간에서 상측에 힌지 결합되게 되어 냉동식품이 지나갈 때마다 회동하여 스윙 (swing)이 되도록 함으로써 냉동식품이 지나갈 때는 열려 그 진행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된다.
즉, 차단 통로(310)를 통해 해동용 냉동식품이 투입되어 이송되는 경우, 상기 제 1 마이크로파 차단막(311)은 상기 조사실(210)측으로 회동하여 해당 냉동식품의 조사실(210)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마이크로파 조사 후 상기 조사실(210)로부터 해당 냉동식품이 방출되는 경우, 상기 제 1 마이크로파 차단막(311)은 상기 차단통로(310)측으로 회동하여 해당 냉동식품이 차단통로(310)측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조사실(210) 내에서 타 냉동식품의 조사를 위해 존재하는 마이크로파는 상기 제 1 마이크로파 차단막(311)에 가로막혀 더이상 차단통로(310) 측으로 진행되지 않게 된다.
즉, 일차적으로 조사실(210) 내의 마이크로파는 상기 제 1 마이크로파 차단막(311)에 의해 상당 부분 감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마이크로파 차단막(312)은 상기 차단통로(310)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마이크로파 차단막(311)이 차단하지 못한 잔류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 2 마이크로파 차단막(312) 역시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으로 형성되어 차단통로(310)의 말단에서 상측에 힌지 결합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투입구를 통해 해동용 냉동식품을 투입하는 경우, 상기 제 2 마이크로파 차단막(312)은 상기 차단통로(310)측으로 회동하여 해당 냉동식품의 차단통로(310)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마이크로파 조사 후 상기 조사실(210) 로부터 해당 냉동식품이 방출되어 차단통로(31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 상기 제 2 마이크로파 차단막(312)은 상기 투입구측으로 회동하여 해당 냉동식품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차단통로(310) 내에서 잔류하는 마이크로파는 상기 제 2 마이크로파 차단막(312)에 가로막혀 더이상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마이크로파 차단막(311, 312)을 이중으로 설치함으로써 연속적으로 냉동식품이 투입 및 배출되는 경우에도 제 1 마이크로파 차단막(311) 및 제 2 마이크로파 차단막(312)이 동시에 열리지 않고 서로 교호적으로 열리게 됨으로써 외부로 유출되는 마이크로파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러한 마이크로파 차단막(311)의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위가 분절되는 2중 힌지 구조로 형성시켜 마이크로파 차단 효과를 극대화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마이크로파 차단막(311, 312)의 사이에 구성되는 차단통로(310)는 스테인레스 케이스로 구성된 폐쇄 구조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차단통로(310)의 내벽에는 누출된 마이크로파를 상쇄시키는 누설방지 회로인 쵸크존(314)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쵸크존(31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가 조사실(210) 외부로 누설되었을 경우 차단의 목적으로 쵸크를 설치한 구간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쵸크는 차단통로(310)의 상하부 및 양측면에 연결되어 구성되게 되며, 쵸크의 크기 a의 치수를 λ/4로 설정하면 이 부분으로부터의 반사파와 외부로 향하는 파동의 위 상차가 λ/2로 되어 차단통로(310) 내의 마이크로파를 상쇄시키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2,450MHz의 마이크로파의 파장은 120mm이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쵸크 크기(a)는 30mm로 하고 쵸크간 간격 역시 30mm로 하여 차단통로(310)의 상하부 및 양측면에 환형으로 쵸크를 형성시킨 쵸크존(314)을 구성함으로서 상기 조사실(210)에서 제 1 마이크로파 차단막(311)을 통과해 차단통로(310)를 진행하는 마이크로파를 상당부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단통로(310)의 말단 즉, 차단통로(310)의 입구 측에는 마이크로파 함수체에 의한 누설 전파를 흡수하여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흡수체(313)가 설치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통로(3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매달리게 되는 상기 흡수체(313)는 페라이트나 탄소 분말, 산화철 등을 주체로 하여 이것을 플라스틱이나 고무성분 등에 이겨서 굳혀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조각들을 커튼 방식으로 횡방향 연결함으로써 차단통로(310)를 지나는 냉동식품들의 진행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됨과 동시에 주기능인 마이크로파 발생에 의한 누설 전파를 흡수하여 외부 방출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수체(313)는 익스펜 전자의 가스켓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나타난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는 냉동식품의 해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파 해동기에서 냉동식품의 조사실 출입시 외부로 누설되는 인체 유해 마이크로파를 입출입구에 증설되는 다중의 차단 수단을 통해 차단함으로써 해동 동작 중 연속적인 냉동식품의 투입이 가능한 동시에 기기 사용자의 마이크로파 노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컨베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냉동식품을 조사실에서 마이크로파로 해동시키는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사실(210)의 양측 입출구에 각각 연장 형성된 차단통로(310)에 구성되며,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냉동식품의 조사실(210) 출입시 분산되는 마이크로파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마이크로파 차단부(300)를 구성하되,
    상기 마이크로파 차단부(300)는,
    상기 조사실(210)과 차단통로(310)의 경계 구간에서 상측에 힌지 결합되어, 냉동식품의 이송시에만 진행방향으로 회동하게 함으로써 조사실(210)의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제 1 마이크로파 차단막(311); 및
    상기 차단통로(310)의 말단에서 상측에 커튼 방식으로 다수의 조각이 횡방향 결합되어 상기 차단통로(310)에서 마이크로파 발생에 의한 누설 전파를 흡수하는 연성의 흡수체(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통로(310)는 내벽을 따라 상하부 및 양측면에 환형으로 다단의 쵸크를 구성시킨 쵸크존(314)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마이크로파 차단막(311)을 통 과해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 마이크로파를 차단통로(310) 내에서 상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통로의 말단에서 상측에 힌지 결합되어, 냉동식품의 이송시에만 진행방향으로 회동하게 구성됨으로써 차단통로(310)내의 잔류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제 2 마이크로파 차단막(3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차단막(312)은 중간 부위가 분절되는 2중 힌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존(314)의 쵸크 크기(a)는 30mm이고, 쵸크간 간격 역시 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
KR1020040061218A 2004-08-03 2004-08-03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 KR100548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218A KR100548970B1 (ko) 2004-08-03 2004-08-03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218A KR100548970B1 (ko) 2004-08-03 2004-08-03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199U Division KR200367473Y1 (ko) 2004-08-03 2004-08-03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505A KR20060012505A (ko) 2006-02-08
KR100548970B1 true KR100548970B1 (ko) 2006-02-10

Family

ID=3712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218A KR100548970B1 (ko) 2004-08-03 2004-08-03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9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672B1 (ko) * 2007-12-24 2010-05-31 한국전기연구원 도파관형 마이크로파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파처리장치
CN109043293A (zh) * 2018-08-22 2018-12-21 江苏麦克威微波技术有限公司 一种微波解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505A (ko) 200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65562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microwave treatment
US4570045A (en) Conveyorized microwave heating chamber with dielectric wall structure
CA1191908A (en) Conveyorized microwave oven with multiple lanes
US64558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microwave drying of ceramics
WO2014030625A1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および焼成設備
JP5723956B2 (ja) 調理装置
US8101893B2 (en) Vestibule apparatus
KR100548970B1 (ko)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
KR200367473Y1 (ko) 해동기의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 장치
US40370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distribution of microwave power in a microwave cavity
KR100586341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해동 시스템
JPH01260284A (ja) 紙管乾操装置及びその方法
KR20170061940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단열재 건조장치
US6717120B2 (en) Shielding system for protecting select portions of a food product during processing in a conveyorized microwave oven
KR100528652B1 (ko) 마이크로파 해동장치 및 해동방법
CN209877575U (zh) 一种高效多层传输微波烘干装置
KR20160105600A (ko) 해동기의 해동실
KR20110035227A (ko) 연속식 소성로
KR20160135868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기의 도파관
KR20160105603A (ko) 해동기의 도파관
KR101627618B1 (ko) 순환궤도를 구비하고 마이크로웨이브 및 열풍의 복합 열원을 이용한 쾌속 건조 장치
EP0853866B1 (en) Microwave shielding
WO2022004107A1 (ja) 乾燥機
CN109043293A (zh) 一种微波解冻装置
JPH09202634A (ja) フリット乾燥設備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