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398B1 - Speaker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Speaker device of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8398B1 KR100548398B1 KR1020030053209A KR20030053209A KR100548398B1 KR 100548398 B1 KR100548398 B1 KR 100548398B1 KR 1020030053209 A KR1020030053209 A KR 1020030053209A KR 20030053209 A KR20030053209 A KR 20030053209A KR 100548398 B1 KR100548398 B1 KR 1005483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eaker
- portable terminal
- casing
- speaker device
- soun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454 tympanic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회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음파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를 안착시키고 상기 스피커의 음파 전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스피커 케이싱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통화 대기 상태에서 스피커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로의 음파가 원활히 전달됨과 동시에 통화 상태에서 상대방의 음성이 왜곡되지 않고 잘 들리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the speaker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speaker for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a circui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outputting sound waves, wherein the speaker is seated and the sound wave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speaker is adjusted. The speaker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rotatable speaker casing to be adjusted so that sound waves from the speaker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moothly transmitted in a call waiting state and the other party's voice can be heard without distortion in the call state. To provide.
휴대용 단말기, 스피커, 음파 전달 방향, 스피커 케이싱, 회전 감지 센서Portable Terminals, Speakers, Sound Wave Direction, Speaker Casing, Rotation Sensor
Description
도1 내지 도4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1 to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2는 도1의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도3은 도2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요부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III-III of FIG.
도4는 도1의 스피커 장치에 의한 음파 진행 경로를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showing a sound wave propagation path by the speaker device of FIG.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5 to 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eaker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요부 단면 정면도5 is a sectional front view of main part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도5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요부 단면도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s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VI-VI of FIG. 5; FIG.
도7은 도5의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Figure 5
도8은 도5의 스피커 장치의 음량 조절 흐름도8 is a flow chart of volume control of the speaker device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22: 폴더부 케이싱 129: 회전 안내홈122: folder casing 129: rotation guide groove
130: 스피커 장치 131: 스피커 케이싱130: speaker unit 131: speaker casing
132: 스피커 133: 음파 전달공132: speaker 133: sound wave transmission hole
137: 음량 키움 버튼 139: 회전 원통137: Volume up button 139: Rotating cylinder
139a: 회전 돌기139a: spinnere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로 음파를 전달하는 경우에 주위의 장애물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음파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in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peaker, when transmitting sound waves from the speaker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sound waves are not disturbed by surrounding obstacl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보다 개선된 높은 음질을 갖는 벨소리를 찾는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고,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른 멀티미디어 등의 서비스에 대응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음질을 개선한 스피커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has been used for wireless voice communication, but the portable terminal meets the needs of consumers seeking a ringtone having a higher sound quality with improved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and services such as multimedia as the functional area is diversified. In order to cope with the problem, a speaker device having improved sound quality has recently been used in portable terminals.
최근에는 높은 음질을 효과적으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수화부에 장착된 음성 통신 기능용 스피커와 높은 음질을 갖는 음악용 스피커로 나뉘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여기서, 음악용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수신 벨소리로 활용되고 있다. Recently,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released that are divided into a speaker for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speaker for music having high sound quality so that a user can effectively use high sound quality. Here, the music speaker is used as a ringtone or a multimedia service.
휴대용 단말기는 바(bar)형, 플립형, 폴더형 및 슬라이드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하에서는 최근 가장 널리 보급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 기로 한다. As a portable terminal, a bar type, a flip type, a folding type, and a slide type are used. Hereinafter, the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most widely used folding type portable terminal.
도1 내지 도4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4는 도1의 스피커 장치에 의한 음파 진행 경로를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1 to 4 show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cut line III-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showing a sound wave propagation path by the speaker device of Fig. 1.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부(10)와, 그 일측에 힌지 기구(30)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폴더부(2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portable terminal is composed of a
상기 본체부(10)는 그 상면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11)와,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 제어 등을 위하여 형성된 회로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 케이싱(12)과, 본체 케이싱(12)의 하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충방전되는 배터리(13)와, 통화시 음성을 송신하는 송화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상기 폴더부(20)는 키패드(11)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거나 메시지 수신 내용이 숫자나 문자 등으로 표시되는 액정 화면(21)과, 액정 화면(21)을 감싸도록 형성된 폴더부 케이싱(22)과, 폴더부(20) 전면에 형성된 보조 액정 화면(24)과, 통화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부터 변환하여 음성용 스피커(30)를 통해 수신하는 수화부(23)를 구비한다. The
여기서, 폴더부(20)의 폴더부 케이싱(22) 내에 내장된 스피커(30)로부터의 음파가 외부로 원활히 전달되기 위하여 스피커(30)로부터 외부에 이르는 음파 전달 경로상에 위치한 폴더부 케이싱(22)에는 각각 음파 전달공(31)이 형성되어, 스피커(30)로부터의 음파가 외부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Here, the
종래의 스피커 장치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는 폴더부 케이싱(22)에 음파 전달공(31)을 구비하여 폴더부 케이싱(22)에 내장된 스피커(3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에까지 원활히 음파가 전달되어 벨소리 인식에 유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스피커(30)가 폴더부(20)의 전면을 향하도록 위치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닫혀있는 상태나 열린 상태에 관계없이 도면번호 40에 표시된 음파 경로를 따라 항상 한 방향으로만 음파가 진행되므로, 폴더부(20)를 연 상태에서의 통화시 스피커(30)가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상대방의 음성이 작게 들리고 음의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speaker device includes a soun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스피커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로의 음파가 원활히 전달됨과 동시에 통화시 상대방의 음성이 왜곡되지 않고 잘 들리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peaker, the sound wave from the speaker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smoothly transmitted and at the same time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does not distort well during the cal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eaker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회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음파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를 안착시키고 상기 스피커의 음파 전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스피커 케이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eaker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waves by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a circuit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seating the speaker and the sound wave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speaker It provides a speaker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rotatable speaker casing to adjust.
이는 통화 대기 상태에서는 스피커가 외부를 향하도록 두어 벨소리를 사용자 가 원활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통화시에는 휴대 단말기의 개방 상태에서 상대방의 음성이 왜곡되지 않고 잘 들리도록 스피커의 음파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allows the user to detect ringtones smoothly by leaving the speaker facing outwards while in a call waiting state, and at the same time, adjust the sound wave direction of the speaker so that the other party's voice can be heard without distortion in the ope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To make it work.
또한, 상기 스피커가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을 향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피커로부터의 음은 큰 음량으로 출력되며, 상기 스피커가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을 향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피커로부터의 음은 작은 음량으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speaker faces the front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sound from the speaker is output at a high volume, and when the speaker faces the rear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sound from the speaker is preferably output at a small volume. .
이는 사용자가 스피커를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을 향한 상태에서 습관적으로 수화부에 귀를 가까히 하여 사용자의 고막이 파열되는 등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damage such as rupture of the user's eardrum by habitually bringing the speaker closer to the earpiece while the speaker is facing the rear of the portable terminal.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에 형성된 스피커 케이싱용 회전 안내홈과; 상기 회전 안내홈과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스피커 케이싱의 외주 측면에 형성된 회전 원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And, the rotating guide groove for the speaker casing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A rotating cylinde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speaker casing to be rotatably fixed in engagement with the rotating guide groove; It is effective to include more.
또한, 상기 회전 원통은 스피커 연결 도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otating cylinder is preferably formed in a hollow shape so that the speaker connection lead can pass.
그리고, 상기 스피커가 전면을 향하는지 후면을 향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회전 감지 센서 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And, it is effective to further comprise a rotation sensor device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the speaker is facing the front or rear.
이 때, 상기 회전 감지 센서 기구는 스피커 케이싱 측에 장착된 자석과,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상기 자석으로부터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sensor mechanism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gnet mounted on the speaker casing side, and a magnetic sensor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for detecting a magnetic field from the magnet.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identally,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are given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요부 단면 정면도, 도6은 도5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7은 도5의 사시도, 도8은 도5의 스피커 장치의 음량 조절 흐름도이다.5 to 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eaker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ectional front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Figure 5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5 and Fig. 8 is a flowchart of volume control of the speaker device of Fig. 5 according to the cutting line VI-VI of Fig. 7.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130)는 폴더부 케이싱(122)에 내장되어 전기적 신호를 높은 음질을 갖는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132)와, 스피커(132)를 안착시키고 회전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 원통 형상의 스피커 케이싱(131)과, 회로부로부터 스피커(132)에 음성 신호등을 공급하는 배선(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스피커(132)는 음파를 발생시키도록 진동판을 포함하는 진동막부(132c)와, 진동판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코일부(132b)와, 스피커 케이싱(131)에 고정하기 위하여 스피커(132)의 양측단에 돌출된 고정부(132a)를 구비하며, 스피커(132)에 전원을 공급하고 각종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배선(135)이 휴대용 단말기의 회로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부(132a)는 스피커 케이싱(131)에 형성된 스피커 고정용 구멍(139b)에 삽입되어 스피커(132)를 스피커 케이싱(131)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The
상기 스피커 케이싱(131)은 안착된 스피커(132)로부터 음파가 그 전달 경로상에서 방해되지 않도록 스피커(132)의 전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음파 전달공(133)과, 배선(135)을 스피커(132)와 회로부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스피커 케이싱(131)의 외주측면으로부터 중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 원통(139)과, 폴더부 케이싱(12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폴더부 케이싱(122)에 형성된 회전 안내홈(129)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원통(139)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회전 돌기(139a)를 구비한다. The
이 때, 배선(135)은 중공 형상인 회전 원통(139)의 빈 중앙부를 통하여 회로부와 스피커(132)와 연결되며, 배선(135)의 꼬임을 감안하여 스피커 장치(130)가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부(20)에 설치된 이후에 시계방향으로 180도,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정도로만 회전 될수 있도록 제한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At this time, the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10은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부이며, 112는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부 케이싱이고, 123은 전화 통화시 사용자의 귀를 대어 사용하는 음성 수신부이다.In the figure,
한편, 배선(135)의 꼬임에 따른 회전 범위의 제한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스냅링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거나 회전 가능한 핀(pin)형 단자를 사용하여 전기적 신호와 전원을 공급함으로서 회전 범위의 제한을 제거할 수도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move the limitation of the rotational range due to the twisting of the
또 한편, 스피커 케이싱(131)의 회전 원통(139)의 선단면에는 소형 자석(136)이 부착되어 스피커 케이싱(13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소형 자석과 일정 간격이 이격되어 폴더부 케이싱(122)에 자기 감지 센서(138)가 장착됨으 로서, 스피커(132)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때마다 자기 감지 센서(138)는 소형 자석(136)으로부터 형성되는 자기장을 감지하여 스피커(132)의 방향을 감지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a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130)는 통화대기 상태에서는 스피커(132)는 폴더부(20)의 전면부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통화대기중에 벨소리가 울리면 폴더부(20)의 전면부로 음파가 전달되어 사용자가 벨소리를 감지하기 유리한 상태가 된다. When the
그리고, 통화 연결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폴더부(20)를 본체부(10)에 대하여 개방된 상태로 통화를 하게 되며, 사용자는 음성의 왜곡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피커(132)를 폴더부(20)의 후면을 바라보도록 한다. 특히, 3G 폰과 같은 화상 통신에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에는 스피커 폰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n, when the call is connected, the user makes a call with the
한편, 사용자는 수신된 통화 상태가 화상 통화인지 일반 통화인지 알지 못하며, 통상 사용자의 귀를 스피커에 가까히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스피커(132)가 폴더부(20)의 후면을 바라볼 경우에는 스피커(132)의 큰 음량으로 인하여 고막이 파열되는 등 사용자의 피해가 우려되므로, 도8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자기 감지 센서(138)에 의하여 스피커(132)가 폴더부 후면을 바라본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일단 스피커(132)의 음량을 줄이도록 지령한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does not know whether the received call state is a video call or a general call, the user is usually close to the user's ear, the
그리고나서, 통화 상태가 일반 통화인 경우에는 줄여진 음량에 따라 사용자는 귀를 수화부에 대고 통화를 하면 된다. 또한, 통화 상태가 화상 통화인 경우에 는 사용자는 폴더부(20)를 열고 카메라(150)가 자신을 향하도록 하고 동시에 사용자가 액정 화면(21)을 바라보면서 통화를 하여야 하므로, 사용자는 수화부에 귀를 댈 필요가 없으며 스피커(132)는 스피커폰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 음량을 키우는 음량 키움 버튼(137)을 누름으로서 음량을 키워 큰 음량으로 통화할 수 있게 된다. Then, if the call state is a normal call, the user may call the ear to the receiver according to the reduced volume. In addition, when the call state is a video call, the user needs to ope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 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Whil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회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음파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를 안착시키고 상기 스피커의 음파 전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스피커 케이싱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통화 대기 상태에서 스피커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로의 음파가 원활히 전달됨과 동시에 통화 상태에서 상대방의 음성이 왜곡되지 않고 잘 들리도록 사용자가 스피커의 방향을 직접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aker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waves by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circuit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speaker to rotate so as to adjust the sound wave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speaker By further comprising a speaker casing possible, the user can directly adjust the direction of the speaker so that the sound wave from the speaker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smoothly transferred in the call waiting state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party's voice can be heard without distortion. Provided is a speaker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3209A KR100548398B1 (en) | 2003-07-31 | 2003-07-31 | Speaker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CNB2004100317253A CN100423522C (en) | 2003-07-31 | 2004-03-24 | Loudspeaker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3209A KR100548398B1 (en) | 2003-07-31 | 2003-07-31 | Speaker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4550A KR20050014550A (en) | 2005-02-07 |
KR100548398B1 true KR100548398B1 (en) | 2006-02-02 |
Family
ID=3458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53209A KR100548398B1 (en) | 2003-07-31 | 2003-07-31 | Speaker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548398B1 (en) |
CN (1) | CN100423522C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826184A (en) * | 2014-02-28 | 2014-05-28 |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 Mobile terminal with rotatable loudspeak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983578T1 (en) * | 1998-09-25 | 2001-10-18 | Ericsson Inc | Mobile phone with swiveling antenna |
JP3576900B2 (en) * | 1999-11-16 | 2004-10-13 |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 Mobile phone |
JP2002325127A (en) * | 2001-04-26 | 2002-11-08 | Sharp Corp | Mobile phone |
-
2003
- 2003-07-31 KR KR1020030053209A patent/KR10054839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
- 2004-03-24 CN CNB2004100317253A patent/CN100423522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581886A (en) | 2005-02-16 |
CN100423522C (en) | 2008-10-01 |
KR20050014550A (en) | 2005-0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212754A1 (en) | Flip-Typ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ingle Output Audio Transducer | |
JPH06292195A (en) | Portable radio type tv telephone | |
WO2003105450A1 (en) | Collapsible mobile telephone | |
JP3266132B2 (en) | Foldable mobile phone | |
JP2003125047A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KR100630127B1 (en) | Folder type wireless terminal with auxiliary display and driving method | |
KR100548398B1 (en) | Speaker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JP2003018267A (en) | Mobile telephone set | |
KR20020014143A (en) | Mobile communication phone attachable and detachable of accessory | |
JP4393750B2 (en) | Openable mobile terminal device | |
KR100575749B1 (en) | Rotating speaker and camera integration device for portable terminals | |
KR100692773B1 (en) | Receiver - Dual loudspeaker with integrated loudspeak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t | |
JP4269019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3303409B2 (en) | Portable wireless TV phone | |
KR100608720B1 (en) | Duplex speaker unit of clamshell mobile terminal | |
JPH1117609A (en) | Composite wireless portable terminal device | |
KR20010056429A (en) | Folder type mobile station | |
JP3204264B2 (en) | Portable wireless devices | |
KR20030068664A (en) | Folder type mobile phone possible telephone conversation at close state | |
JP2007282292A (en) | Opening/closing mobile terminal device | |
JP2003289265A (en) | Wireless mobile terminal device | |
JP3204262B2 (en) | Portable wireless devices | |
JP3204263B2 (en) | Portable wireless devices | |
KR200275000Y1 (en) | Folder type mobile phone possible telephone conversation at close state | |
KR200193178Y1 (en) | The hands-free which make use of audi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