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8172B1 - 콘크리트구조물용 다기능성혼화제 - Google Patents

콘크리트구조물용 다기능성혼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172B1
KR100548172B1 KR1020030032047A KR20030032047A KR100548172B1 KR 100548172 B1 KR100548172 B1 KR 100548172B1 KR 1020030032047 A KR1020030032047 A KR 1020030032047A KR 20030032047 A KR20030032047 A KR 20030032047A KR 100548172 B1 KR100548172 B1 KR 100548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ncrete
admixture
silica
concrete structur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913A (ko
Inventor
김준현
Original Assignee
김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현 filed Critical 김준현
Priority to KR102003003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172B1/ko
Publication of KR20040099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17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40Compounds containing silicon, titanium or zirconium or other organo-metallic compounds; Organo-clays; Organo-inorganic comple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or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6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8Fats; Fatty oils; Ester 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04B2103/408Dispers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다기능성 혼화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목구조물, 건축구조물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감수성, 유동성, 내수성 및 내화학성을 동시에 부여하여 콘크리트의 물성향상 및 품질개선을 달성할 수 있는 다기능성 혼화제에 관한 것이며, 이는 분산제 40 내지 65중량%, 지방산염 5 내지 20중량%, 실리카 15 내지 35중량%, 촉진제 5 내지 10중량%, 가소제 1 내지 5중량% 및 계면활성제 0.2 내지 1중량%를 포함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혼화제를 소량 첨가함으로써 콘크리트 내구성향상 등의 품질개선효과 및 방수성, 내화학성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콘크리트, 혼화제, 방수성, 분산제

Description

콘크리트구조물용 다기능성혼화제{A multi-functional admixture for a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다기능성 혼화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목구조물, 건축구조물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감수성, 유동성, 내수성 및 내화학성을 동시에 부여하여 콘크리트의 물성향상 및 품질개선을 달성할 수 있는 다기능성 혼화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콘크리트는 일정량의 모래와 자갈에 시멘트와 물을 혼합하여 교반한 후, 이를 타설하여 건축물 등의 구조물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콘크리트구조물은 건조되어 단단하게 굳음으로써 일정 강도를 유지하게 되나, 이를 구성하는 자갈과 모래 등으로 인해 형성된 무수한 공극들 내로 빗물 또는 공기 중의 습기가 새어들어가 콘크리트 자체의 강도를 약하게 할뿐만 아니라, 온도에 따른 공극내 수분의 부피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공동현상 및 경화수축시 발생되는 소석회의 유출 등으로 인해 내벽의 곰팡이 및 백화현상 등이 발생하여 그 수명이 단축되고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콘크리트 내에 포함된 철근에 부식이 발생하여 그에 따른 팽창으로 콘크리트가 철근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도 발 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콘크리트 조직을 치밀하게 하거나, 또는 방수처리가 요구되는 토목건축물 또는 건축구조물에 별도의 방수제를 도포하여 침투시키는 방법으로 방수효과를 얻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무기질도포침투형방수제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 후 구조체에 무기질분말을 도포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내의 시멘트성분과 가용성의 수산화칼슘, 도포 후 침투한 방수제성분 등이 반응하여 형성된 불용성결정체가 구조체 내의 공극을 충진하는 방법으로 방수작용을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콘크리트의 방수효과를 충분히 달성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시공 후 부족한 기능이나 물성을 보완하는 조치로 표면처리 또는 침투제 등 다수의 부가물을 침투시키는 추가적인 대책이 부득이하여 원가상승의 주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그러한 부가물들과의 조성적 불균형으로 인하여 오히려 콘크리트 열화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감수제, 유동화제 및 기타 배합제들을 일괄하여 한꺼번에 투여하는 혼합제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또한 배합물들간 조성비의 명확한 기준없이 제조됨으로써 각 성분들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각 첨가제들의 효과가 상쇄되어 소정 목적을 충족시키지 못하거나 예기치못한 콘크리트의 물성저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콘크리트에 여러 첨가제들을 각각 투여한 경우 또는 일괄투여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상기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콘크리트의 품질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지방산염, 분산제, 계면활성제, 실리카, 촉진제, 가소제를 특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각 성분들의 효과가 상쇄되지 않도록 하여 감수성, 유동성, 내수성, 방청성 및 내화학성 등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콘크리트구조물용 다기능성 혼화제를 제공한다.
하나의 혼합제로 다기능성을 발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산제 40 내지 65중량%, 지방산염 5 내지 20중량%, 실리카 15 내지 35중량%, 촉진제 5 내지 10중량%, 가소제 1 내지 5중량% 및 계면활성제 0.2 내지 1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들은 각 성분들의 효과를 상쇄시키지 않고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비율들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산제는, 시멘트 입자에 흡착된 분자가 시멘트입자에 정전기적으로 작용하여 시멘트입자를 분산시키는 원리로 작용하는 계면활성제 성분으로서, 기포, 습윤, 분산, 유화 및 가용화의 특성이 있어 콘크리트 내에서 시멘트입자분산, 유동성부여, 균일한 시멘트 수화반응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공지의 분산제 중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말단기에 술폰산기(-SO3), 카르복실기(-COO), 수산화기(-OH) 등의 친수기를 수반하며, 대표적인 것으로 리그닌(lignin), 나프탈렌(naphthalene), 멜라민(melamin) 또는 폴리카본산계들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그닌술폰산염, 폴리카본산염, 옥시카본산염, 폴리올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유도체, 알킬알릴술폰산포르말린축합물, 멜라민술폰산염포르말린축합물, 폴리카본산계 고분자화합물들로, 예컨대 리그닌술폰산칼슘, 리그닌술폰산소다, 나프탈렌술폰산소다포르말린축합물, 폴리카본산공중합체 또는 멜라민술폰산소다포르말린축합물 등이 이에 속한다. 이러한 분산제들을 사용한 경우, 콘크리트 제조시 물의 함량을 20~30%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유동성을 높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양생된 콘크리트의 강도를 화강암 수준까지 높일 수 있어 고층빌딩, 도로, 교량 또는 교각 등의 강도를 요하는 특수구조물에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산제의 조성비율은 40 내지 65중량%로 한다. 이는 이하 설명되는 지방산염 등의 조성비에 따라 결정된 비율로, 100중량%를 기준으로 이하 타성분들의 조성제한비율을 제외한 잔여비율이다.
그 다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방산염은 지방산금속염 또는 지방산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지방산에스테르의 경우 시멘트 수화반응에 장애를 일으키거나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지방산금속염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지방산금속염으로는, 올레인산아연, 올레인산칼슘, 올레인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아연, 스테아린산칼슘 또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고급지방산염이 바람직하다. 지방산금속염 또는 지방산에스테르를 콘크리트 내에 투여하는 방법으로는, 시멘트몰탈 또는 콘크리트에 직접투여하여 공극내에 존치시키는 방법과 콘크리트내에 투입하여 시멘트 중의 금속과 반응시켜 불용성지방산금속염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어느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방산은 혼화제 총중량의 약 5 내지 20중량%로 혼합된다. 이는 상기 지방산이 방수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최소 5중량%을 함유하여야 하지만, 함유량이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범위내에서도 최적의 방수효과 및 최적의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10 내지 15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지방산금속염의 경우, 그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발휘되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5㎛이하의 입자경을 가진 분말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성분인 실리카는, 시멘트 수화반응시 수산화칼슘과 반응하여 규산칼슘으로 전환하여 미세한 콘크리트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비정질무정형 또는 초미립형의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혼화제에 상기 실리카를 혼합함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의 감소, 골재간의 결합력, 응집력 및 접착력을 향상시키며, 알칼리골재반응억제, 내수성향상, 염화물에 대한 내성 및 강도증진의 효과도 발휘하게 된다. 또한, 감수작용에 의해 공극내 수분을 최소화로 하고 입자상호간 인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유동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실리카는 흄실리카, 실리카졸, 실리카콜로이드, 실리카슬러리 또는 제올라이트실리카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이들 주성분은 모두 SiO2로 시멘트 성분인 Ca(OH)₂와 반응하여 C-S-H결합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다량의 규산칼슘 C-S-H겔은 콘크리트의 공극에 조밀하게 충진되어 방수효과 및 내화학성을 증진시켜 염화물의 침투억제효과를 발휘하므로 철구조물에 대한 우수한 방청성을 갖게 된다. 특히 이것들 중, 흄실리카는 90 내지 96%의 SiO2함유량을 가지며 그 입자크기가 0.1 내지 0.15㎛정도로 미세한 분말상이기 때문에 담배연기와 같은 정도의 초미립분말을 형성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콘크리트구조물용 혼합제에 상기 실리카 성분이 많이 함유될수록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증가되는 장점은 있으나, 이를 지나치게 과량첨가하는 경우 점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혼화제 총 중량의 10 내지 25% 범위 내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 범위내에서도 최적의 강도 및 점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15 내지 20중량%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진제는 콘크리트의 경화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온도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응결시간을 단축시켜주고 붕괴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촉진제로서는, 예컨대 염화칼슘, 염화나트륨, 탄산염과 같은 무기염류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염, 규산칼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화제에서 촉진제의 함량은 콘크리트 응결시간 및 타성분과의 비율을 고려하여 5 내지 10중량%으로 함유되도록 한다.
삭제
가소제는 콘크리트의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소량 혼합하는 재료로서, 본 발명에서는 글루콘산소다가 사용되게 된다. 이는 콘크리트 표면건조를 감소시키고, 보습성을 유지시키고 시멘트응결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플라스틱응축을 억제하여 미세균열을 예방하는 효과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이는 알칼리토금속류인 Ca2+, Mg2+, Al3+와 착화합물을 형성하여 금속염을 용해시키거나 분산시키므로 수화율을 높이고 감수성, 블리딩, 발열억제 등의 작용으로 균열 또는 수축을 억제하고 가소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도 발휘하게 된다. 다만, 이것을 과량첨가하는 경우 조성물의 응결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최대 5중량% 이내로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는 지방산염과 같이 물에 잘 혼합되지 않는 성분이 물에 잘 용해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와 같이 용해력을 보조해주는 성분으로 극소량, 바람직하게는 1%이하로 사용한다.
상기의 성분들로 혼합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혼화제는 고압분산기를 사용하여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조성물의 입자가 매우 미세한 상태로 고압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상기 조성물이 덜 혼합된 덩어리 상태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조물과의 접착력 및 치밀도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이 때 압력이 너무 강한 경우 상기 조성물 중합체들의 결합구조가 깨질 수 있기 때문에 분사압력은 약 250 내지 300bar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콘크리트구조물용 혼화제는, 분산제에 의해 감수성, 유동성 기능을 발휘하고 그러한 시멘트분산력에 의해 실리카의 포졸란수화반응을 촉진하여 겔형태의 규산칼슘을 형성하며, 이러한 규산칼슘이 공극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방수효과 및 내화학성을 현저하게 증진시켜 염화물의 침투억제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지방산금속염이 수화반응물의 공극내에 균일하게 충진되어 우수한 내수성과 치밀한 공극형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산, 알칼리에 의해 침식되지 않아 쉽게 부식되지 않는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상기와 같이 다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 혼화제의 각 성분들의 조성비율을 특정비율로 한정함으로써 각 성분들의 효과가 상쇄되지 않아 각 성분들의 효능이 제기능을 발휘될 수 있으면서도 콘크리트의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조성비를 한정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성비는 본 발명자에 의해 실시된 각종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조성비를 특정한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에서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화제는 염화물을 함유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으며, 혼화제 중 콘크리트의 물성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각 성분들의 조성비를 제한함으로써 혼화제를 과량사용한 경우에도 콘크리트의 물성저하를 유발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이며, 이것에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분산제로서 리그닌술폰산염 또는 나프탈렌술폰산염포르말린축합물, 폴리카본산공중합물, 멜라민술폰산염포르말린축합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1:1 또는 1:3의 비율로 하여 조성물 총량의 40 내지 65중량%로 하고, 계면활성제로서 8 내지 20몰의 노닐페놀 0.3 내지 1중량%를 가하여 약 60 내지 80℃에서 30분간 교반한다. 여기에 고급지방산금속염으로서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아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올레인산칼슘, 올레인산아연, 올레인산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혼합하여 5 내지 15중량%을 가하여 400 내지 600RPM으로 40 내지 60분간 교반한다. 여기서 상기 스테아린산금속염의 입자는 되도록 미세할수록 우수한 방수효과를 나타내므로 바람직하게는 5㎛이하로 미립자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실리카졸, 실리카슬러리 또는 실리카흄 15 내지 35중량%를 가하여 40 내지 60℃로 유지하면서 250 내지 400RPM으로 감속하여 50 내지 80분간 교반한다. 여기에 가소제로서 10 내지 30중량%수용액의 글루콘산소다 1 내지 5중량% 및 촉진제로서 트리에탄올아민 5 내지 10중량%를 상기 혼합물에 가하여 40 내지 60분간 정속으로 교반한다. 그 후, 40 내지 60℃에서 3시간동안 정치한 후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250 내지 300bar의 압력으로 분사한다.
실시예 2
이하에서는, 콘크리트에 본 발명의 혼합제를 배합하여 사용한 경우에 압축강도, 투수비 및 휨강도 등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을 하였다.
[예 1]
나프탈렌술폰산포름알데히드축합물인 분산제로서 유효성분이 40%인 수용액과 폴리카본산으로서 유효성분이 40%인 것이 3:1비율인 혼합물 60중량%에 10몰의 노닐페놀 0.6중량%를 가하여 70℃로 온도를 높여 30분간 교반한다. 여기에 올레인산칼슘 6중량%를 400RPM으로 60분간 교반한 후 액온을 60℃로 낮추고, 입자직경이 20 내지 50㎚인 고형분30%의 실리카졸 18중량%를 가하여 40분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글루콘산소다 3.4중량%, 트리에탄올아민 3중량% 및 물 8중량%의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하여 상기 혼합물에 투입하고 40분간 정속교반한 후 액온을 40℃로 유지하면서 5시간동안 숙성시킨다. 이것을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300bar의 압력으로 분산시킨다.
[예 2]
멜라민술폰산포르말린축합물 38%수용액 및 폴리카본산소다 40%를 혼합비 3:1로 한 혼합물 55.5중량%에 10몰의 노닐페닐 0.6중량%를 가하여 70℃로 온도를 높여 30분간 교반하고, 여기에 스테아린산칼슘 8중량%를 넣고 30분간 분산시킨다. 그 다음, 액온을 40℃로 낮추고 입자직경이 20 내지 50㎚인 30%의 실리카졸을 18중량% 가하여 40분간 교반한다. 그 다음, 글루콘산소다 4.4중량%, 트리에탄올아민 3중량% 및 물 10중량%를 상기 혼합물에 가하여 40분간 정속교반한다. 이것을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250bar압력으로 분산시킨다.
[예 3]
40%의 폴리카본산소다 65중량%를 70℃로 가온한 후, 여기에 10몰의 노닐페놀 0.5중량%, 글루콘소다 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9.5중량% 및 물 10중량%를 40℃에서 20분간 교반한 것을 가하여 35분간 교반한다. 여기에 스테아린산칼슘 10중량%를 넣고 50분간 분산시킨 후 액온을 40℃로 유지한다. 이것을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300bar의 압력으로 분산시킨다.
[예 4]
38%의 멜라민술폰산염포르말린축합물 65중량%를 80℃로 가열하고, 여기에 10몰의 노닐페놀 0.6중량%를 가하여 20분간 교반한 후, 트리에탄올아민 4중량%를 가하여 20분간 교반한다. 그 다음, 스테아린산칼슘 12중량%를 가하여 40분간 교반한 후 액온을 40℃로 낮춘다. 여기에 입자직경이 20 내지 50㎚인 30%의 실리카졸 18중량%를 가하여 다시 40분간 교반한다. 이것을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300bar의 압력으로 분산시킨다.
상기 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혼화제를 콘크리트에 대하여 1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압축강도, 투수비 및 휨강도 등을 시험하였다. 아래 표에서 표준은 본 발명의 혼화제를 배합하지 않은 일반 콘크리트만으로 시험한 결과이고, 예 1 내지 4는 상기의 예 1 내지 4로부터 제조된 본 발명의 혼화제를 배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아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화제는, 분산제에 의해 감수성, 유동성 기능을 발휘하고 그러한 시멘트분산력에 의해 실리카의 포졸란수화반응을 촉진하여 겔형태의 규산칼슘을 형성하며, 이러한 규산칼슘이 공극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방수효과를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또한, 지방산금속염이 수화반응물의 공극내에 균일하게 충진되어 우수한 내수성과 치밀한 공극형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높은 강도를 유지하며, 기포발생율을 낮추어서 주형제품의 물성개량제로 적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표 2 및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화제를 배합하여 사용한 경우가 혼화제를 배합하지 않고 사용한 경우보다 슬럼프, 압축강도, 투수비, 휨강도 등에서 모두 월등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그 중에서도 예 2의 경우가 가장 뛰어난 기능적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분 W/C(%) S/A(%) 굵은골재(㎜) 배합(㎏/㎥)
W C S H SP
표준 37 68 25 180 485 676 992 -
37 68 25 180 485 676 992 C x 1%
구분 공기량 (%) 슬럼프 (㎝) 압축강도(㎏/㎠) 투수비
3일 7일 28일
표준 1.82 4.3 280 323 428 -
1 1.62 22 332 428 464 0.32
2 1.7 23.2 358 462 512 0.28
3 1.64 22.8 350 440 506 0.42
4 1.72 23 352 456 504 0.30
단위시멘트(㎏/㎥) W/C S/A 슬럼프 (㎝) 휨강도 (㎏/㎠)
첨가량 (C x 1%)
500 0 37 34 6.1 67.4
1 32.6 33.4 7.4 86.8
2 31.6 33.3 6.9 90.2
3 32.3 34.2 7.5 89.2
4 32 32.6 7.2 89.6
본 발명은 여러 성분의 혼화제 기능을 하나로 묶어 다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성 혼화제로서, 혼화제의 각 성분들의 조성비를 특정비율로 한정하여 각 성분들의 효과가 상쇄되지 않고 각 성분들의 효능이 제 기능을 발휘될 수 있도록 조성비를 한정함으로써 토목구조물, 건축구조물 등에 사용하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물성개선 및 감수성, 유동성, 방수성 및 내화학성 등을 동시에 부여하여 고도의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내균열성, 동결융해안정성 및 공극충진성 등도 뛰어나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진시키는 한편 산, 알칼리에 의해 침식되는 것으로부터 방지하는 것과 함께 재료관리, 시공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상기 혼화제는 염화물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환경오염 또는 콘크리트 타설 후 2차공정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아 과량사용한 경우에도 콘크리트의 물성저하를 유발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콘크리트구조물용 혼화제에 있어서, 분산제 40 내지 65중량%, 지방산금속염 5 내지 20중량%, 실리카 15 내지 35중량%, 촉진제 5 내지 10중량%, 가소제 1 내지 5중량% 및 계면활성제 0.2 내지 1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용 혼화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금속염은 올레인산아연, 올레인산칼슘, 올레인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아연, 스테아린산칼슘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그 입도가 5㎛이하 분말상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용 혼화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는 흄실리카 또는 실리카슬러리로서 0.1 내지 0.15㎛m의 입도를 가진것이거나, 실리카졸, 실리카콜로이드 및 제올라이트실리카로서 20 내지 50㎚의 입도를 가진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용 혼화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용 혼화제는 고압분산기를 사용하여 250 내지 300bar의 압력으로 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용 혼화제.
  9. 삭제
KR1020030032047A 2003-05-20 2003-05-20 콘크리트구조물용 다기능성혼화제 Expired - Lifetime KR100548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047A KR100548172B1 (ko) 2003-05-20 2003-05-20 콘크리트구조물용 다기능성혼화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047A KR100548172B1 (ko) 2003-05-20 2003-05-20 콘크리트구조물용 다기능성혼화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913A KR20040099913A (ko) 2004-12-02
KR100548172B1 true KR100548172B1 (ko) 2006-02-02

Family

ID=3737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047A Expired - Lifetime KR100548172B1 (ko) 2003-05-20 2003-05-20 콘크리트구조물용 다기능성혼화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1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1784A (zh) * 2018-06-19 2018-11-06 武汉源锦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预拌透水混凝土专用增强剂及其制备方法
KR102531866B1 (ko) * 2022-08-30 2023-05-15 (주)리빌텍이엔씨 초속경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357B1 (ko) * 2005-08-30 2006-10-11 (주)삼창그린텍 토사 및 폐콘크리트의 안정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안정화된 토사 또는 폐콘크리트 고화체
KR100709669B1 (ko) * 2006-09-01 2007-04-19 김준식 콘크리트 혼화제 및 이를 이용한 무독성 콘크리트
KR100944238B1 (ko) * 2009-07-08 2010-02-24 주식회사트라이포드 카르복실계 복합조성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용 친환경 유동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MX2010007937A (es) * 2010-07-20 2012-01-20 Nestor De Buen Unna Composicion de aditivo para la fabricacion de concretos de alta resistencia para prefabricados asi como para concretos permeables y concretos resultantes.
KR101037983B1 (ko) * 2010-12-22 2011-05-30 (주)승산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용 조형패널
CN102101759B (zh) * 2010-12-30 2012-08-22 广东水电二局股份有限公司 一种混凝土复合外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550220B1 (ko) * 2015-04-16 2015-09-04 (주)피엠씨 분말 구체방수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30734B1 (ko) * 2018-09-05 2021-03-22 (주)에스엠테크 비소성 시멘트 콘크리트용 반응 촉진제 및 이를 포함하는 비소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KR102030105B1 (ko) * 2018-12-17 2019-10-08 티알피건설(주) 분말형 무기질 도포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1784A (zh) * 2018-06-19 2018-11-06 武汉源锦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预拌透水混凝土专用增强剂及其制备方法
KR102531866B1 (ko) * 2022-08-30 2023-05-15 (주)리빌텍이엔씨 초속경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913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1584B2 (en) Providing freezing and thawing resistance to cementitious compositions
KR100894934B1 (ko) 미세하게 미립으로 덮힌 표면의 미립자
CN105777040B (zh) 瓷砖粘结剂及其制备方法
EP1286930B1 (en) Admixture for cementitious compositions
US8871021B2 (en) Concrete mixtures including carbon encapsulating admixture
KR100943308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셀프레벨링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JPH03103346A (ja) コンクリート混合材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031980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속경성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2662384B1 (ko) 작업성 및 재료분리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저수축 중유동 콘크리트 조성물
KR101343803B1 (ko)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48172B1 (ko) 콘크리트구조물용 다기능성혼화제
KR101610146B1 (ko) 혼화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초조강 모르타르, 콘크리트 조성물
JP2019151517A (ja) コンクリート組成物及びコンクリート硬化体
KR101963579B1 (ko) 조기강도 발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37983B1 (ko)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용 조형패널
KR102619818B1 (ko) 일액형 혼화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무다짐 콘크리트 조성물
KR100500151B1 (ko) 콘크리트의 방수 및 방식처리용 구체방수재의 제조방법 및이에 의해 제조된 구체방수재
EP1095913B1 (en) Technological additive for agglomerating projectable building materials and utilization of the additive in projected mortars and concretes
JPH0632643A (ja) 水硬性無機質組成物
KR102011335B1 (ko) 유무기 복합 수축저감 혼화재의 제조방법
JP5153987B2 (ja) 懸濁型地盤改良材の調製法
KR20050032358A (ko) 조강형 수중불분리 단면복구 시멘트 조성물
KR20050103010A (ko) 고 유동도 건조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38952A (ko) 콘크리트 분말형 구체 방수재의 제조방법
KR100662075B1 (ko) 건조수축 저감형 유동화제 및 그것이 함유된 레미콘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4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1120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