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8117B1 - Multi-phase steel sheet excellent in hole expand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ulti-phase steel sheet excellent in hole expand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117B1
KR100548117B1 KR1020047001015A KR20047001015A KR100548117B1 KR 100548117 B1 KR100548117 B1 KR 100548117B1 KR 1020047001015 A KR1020047001015 A KR 1020047001015A KR 20047001015 A KR20047001015 A KR 20047001015A KR 100548117 B1 KR100548117 B1 KR 100548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less
mass
hole expandability
composi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0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13156A (en
Inventor
가와노오사무
호시노다께히로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3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1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117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와 신장 사이의 밸런스 및 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밸런스가 모두 우수한 강판, 다시 말해 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우수한 밸런스를 갖는 복합 조직 강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학 성분으로서 질량으로,C : 0.03 내지 0.15%, P : 0.010% 이하, S : 0.003 % 이하, Si와 Al 중 1종류 또는 2종류를 합계량으로 0.5 내지 4 %를 포함하고, Mn, Ni, Cr, Mo 및 Cu 중 1종류 이상을 합계량으로 0.5 내지 4 % 포함하고, 나머지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며, 상기 강판의 단면의 미크로 조직은 잔류 오스테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 중 1종류 또는 2종류를 합계 면적 비율로 3 내지 30 %, 나머지부가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 중 1종류 또는 2종류로 이루어지고, 미크로 조직의 결정 입자의 최대 길이가 10 미크론 이하이고, 강판의 단면에서 크기가 20 미크론 이상인 개재물의 개수가 제곱 밀리미터 당 0.3 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sheet having a good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elongation and a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hole expandability, that is, a composite tissue steel sheet having a good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hole expand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s a chemical component, 0.5 to 4% by mass of C: 0.03 to 0.15%, P: 0.010% or less, S: 0.003% or less, and one or two of Si and Al in total amounts, Mn, A steel sheet containing 0.5 to 4% of Ni, Cr, Mo, and Cu in a total amount of 0.5 to 4% in total, and the remainder is Fe and an unavoidable impurity, and the microstructur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sheet is one of residual austenite and martensite, or Two types are 3 to 30% by the total area ratio, and the remaining part consists of one type or two types of ferrite and bainite, the maximum length of the microcrystalline grains is 10 microns or less, and the size is 20 micron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sheet. The composite steel sheet excellent in the hole expandability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number of inclusions being 0.3 or less per square millimeter.

Description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MULTI-PHASE STEEL SHEET EXCELLENT IN HOLE EXPAND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MULTI-PHASE STEEL SHEET EXCELLENT IN HOLE EXPAND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승용차 및 트럭 등의 자동차 및 산업용 기계 등에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tissue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for the purpose of use in automobiles and industrial machines such as passenger cars and truck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최근에, 주로 자동차 차체의 경량화와 충돌시의 승객의 안전의 확보에 대한 증가하는 요구 때문에 고강도 강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인장 강도가 TS 590 ㎫ 급(60 ㎏f/㎟ 급)의 강의 적용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high strength steel sheet is increasing mainly due to the weight reduction of the automobile body and the increasing demand for securing the safety of the passenger in the event of a crash.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of steel of TS 590 MPa class (60 kgf / mm 2 class) in tensile strength is rapidly expanding.

이러한 용도를 위해 사용되는 강판으로서, 잔류 오스테나이트 및/또는 마르텐사이트을 포함하는 복합 조직 강판이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104947호는 강도와 신장(elongation) 사이의 우수한 밸런스(인장 강도가 60 내지 69 ㎏f/㎟ 일 때 전체 신장이 33.8 내지 40.5 %)를 갖는 강판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 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밸런스(balance)에 대한 기술은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고, 특히 아주 낮은 P, 개재물 및 미크로 조직의 최대 길이의 제어와 미크로 조직의 경도의 제어에 대한 기술 요건이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강판의 특성은 열등하며(구멍 확장율 d/d0는 1.46 내지 1.68, 즉 인장 강도가 60 내지 69 ㎏f/㎟ 인 경우 순 구멍 확장율(net hole expansion rate)로 46 내지 68 %), 그 적용 용도가 한정되어 있다.As the steel sheet used for this purpose, a composite tissue steel sheet containing residual austenite and / or martensite is widely know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9-104947 discloses a steel sheet having a good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elongation (33.8 to 40.5% of total elongation when the tensile strength is 60 to 69 kgf / mm 2). Doing. However, in this technique, the description of the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hole expandability has not been fully considered, especially the control of the maximum length of very low P, inclusions and microstructures and the control of the hardness of microstructures. The requirement was not considered at all. Therefore, the properties of the steel sheet are inferior (the hole expansion rate d / d0 is 1.46 to 1.68, that is, 46 to 68% at the net hole expansion rate when the tensile strength is 60 to 69 kgf / mm 2), Its application is limited.

한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3-180426호는 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밸런스가 우수한 베이나이트 강판(전체 신장비 d/d0가 1.72 내지 2.02, 즉 인장 강도가 60 내지 67 ㎏f/㎟ 인 경우 순 구멍 확장율이 72 내지 102 %)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순 구멍 신장율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합 조직 구조가 아닌 구조의 균등화를 제공하기 때문에, 강도와 신장 사이의 밸런스가 다수 불충분하고(인장 강도가 60 내지 67 ㎏f/㎟일 때, 전체 신장은 27 내지 30 %), 적용 용도가 한정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3-180426 discloses a bainite steel sheet having a good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hole expandability (when the total elongation ratio d / d0 is 1.72 to 2.02, that is, the tensile strength is 60 to 67 kgf / mm2. Hole expansion rate is 72 to 102%). However, since this technique provides equalization of the structure rather than the complex tissue structure as a means to improve the net hole elongation, the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elongation is largely insufficient (when tensile strength is 60 to 67 kgf / mm 2). , Total elongation is 27 to 30%), and the application is limited.

즉, 자동차 부품의 프레스 가공에서 강도와 신장 사이의 밸런스에 의해 대표되는 펀치 신장 성형성(punch stretch formability) 및 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밸런스에 의해 표시되는 신장 플랜지 성형성은 성형의 2개의 중요한 요소이지만, 2개의 요소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이러한 기술은 없으며 2개의 요소에서의 우수성은 적용 용도 확대의 열쇠였다.That is, the stretch flange formability represented by the punch stretch formability represented by the balance between the strength and the elongation and the balance between the strength and the hole expandability in the press working of the automotive parts are two important factors of molding. However, there is no such technology that satisfies both factors simultaneously, and excellence in both factors was the key to expanding the application.

최근, 지구 환경 문제 때문에 고강도 강판으로의 전환이 가속적으로 진행되는 한, 높은 성형 난이도를 갖는 부품으로의 이들의 적용이 고려됨에 따라, 강도와 신장의 밸런스 및 강도와 구멍 확장성의 밸런스 모두가 우수한 강판, 다시 말해 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밸런스가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이 요구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long as the transition to high strength steel sheet is accelerated due to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their application to components having high molding difficulty is considered, so that both the balance of strength and elongation and the balance of strength and hole expandability are excellent. There is a need for a steel sheet, that is, a composite steel sheet having a good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hole expandability.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강판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우수한 밸런스(인장 강도를 순 구멍 확장율에 곱해서 얻은 값으로 35,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46,000 ㎫%) 및 강도와 신장 사이의 우수한 밸런스(인장 강도를 전체 신장에 곱해서 얻은 값으로 18,5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00 ㎫% 이상)를 모두 갖는 강판, 즉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teel sheet, thereby achieving an excellent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hole expandability (at least 35,000 MPa, preferably 46,000 MPa, obtained by multiplying tensile strength by net hole expansion rate) and strength and To provide a steel sheet having all excellent balance between elongation (18,500 MPa or more, preferably 20,000 MPa or more as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ensile strength by the total elongation), that is, a composite tissue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ill be.

강도와 구멍 확장성(㎫ㆍ%) 사이의 밸런스 및 강도와 신장(㎫ㆍ%) 사이의 밸런스는 모두 프레스 가공성의 지수이다. 만일 이 값이 크면, 결과적인 제품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밸런스는 인장 시험에 의해 얻은 강도(㎫)의 값과 구멍 확장성 시험에 의해 얻은 구멍 확장율(%)의 값의 곱으로 표시된다. 더욱이, 강도와 신장 사이의 밸런스는 인장 시험에 의해 얻어진 강도(㎫)의 값과 인장 시험에 의해 얻어진 전체 신장의 값의 곱으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강에서, 만일 인장 강도가 증가하면, 구멍 확장율과 신장은 모두 감소하여, 그 결과 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밸런스(㎫ㆍ%)와, 강도와 신장 사이의 밸런스(㎫ㆍ%)는 모두 낮은 값을 나타낸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구멍 확장율과 신장 모두의 값을 낮추는 것은 억제될 수 있고, 높은 값의 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밸런스(㎫ㆍ%) 및 강도와 신장 사이의 밸런스(㎫ㆍ%)의 값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The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hole expandability (MPa ·%) and the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elongation (MPa ·%) are all indexes of press workability. If this value is large, the resulting product exhibits excellent properties. The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hole expandability is expressed as the product of the value of the strength (MPa) obtained by the tensile test and the value of the percentage of the hole expansion (%) obtained by the hole expandability test. Moreover, the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elongation is expressed as the product of the value of the strength (MPa) obtained by the tensile test and the value of the total elongation obtained by the tensile test. In commonly used steels, if the tensile strength increases, both the hole expansion ratio and the elongation decrease, and as a result, the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hole expandability (MPa ·%) and the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elongation (MPa · %) All show low value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wering the values of both the hole expansion ratio and the elongation can be suppressed, and the balance between the high value of the strength and the hole expandability (MPa ·%) and the balance between the strength and the elongation (MPa ·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value of%).

본 발명자들은 제강으로부터 열간 압연의 일체 제조의 관점으로부터 열심히 연구하여,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발명하였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The present inventors earnestly researched from the viewpoint of the integral manufacture of hot rolling from steelmaking, and invented the composite structure steel plate excellent in hole expansion propert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의 요점은 다음과 같다.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1)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이며,(1) It is a composite tissue steel plate with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As mass% of chemical component,

C : 0.03 내지 0.15%,C: 0.03 to 0.15%,

P : 0.010% 이하,P: 0.010% or less,

S : 0.003 % 이하,S: 0.003% or less,

Si와 Al 중 1종류 또는 2종류를 합계량으로 0.5 내지 4 %를 포함하고,It contains 0.5 to 4% of one or two types out of Si and Al in total amount,

Mn, Ni, Cr, Mo 및 Cu 중 1종류 이상을 합계량으로 0.5 내지 4 % 포함하고,0.5 to 4% of Mn, Ni, Cr, Mo, and Cu are contained in a total amount of

나머지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며,The remainder is a steel plate composed of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상기 강판의 단면의 미크로 조직(microstructure)은 잔류 오스테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 중 1종류 또는 2종류를 합계 면적 비율로 3 내지 30 %, 나머지부가 페라이트(ferrite) 및 베이나이트(bainite) 중 1종류 또는 2종류로 이루어지고,The microstructur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sheet is one to two kinds of retained austenite and martensite in a total area ratio of 3 to 30%, and the remainder is one or two of ferrite and bainite. Kind of

미크로 조직의 결정 입자의 최대 길이가 10 미크론(micron) 이하이고,The maximum length of the crystal grains in the microstructure is 10 microns or less,

강판의 단면에서 크기가 20 미크론 이상인 개재물의 개수가 제곱 밀리미터 당 0.3 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 A composite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inclusions having a size of 20 microns or mor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sheet is 0.3 or less per square millimeter.

(2)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2) as mass% of a chemical component,

C : 0.03 내지 0.15 %,C: 0.03 to 0.15%,

P : 0.010% 이하,P: 0.010% or less,

S : 0.003 % 이하,S: 0.003% or less,

Si와 Al 중 1종류 또는 2종류를 합계량으로 0.5 내지 4 %를 포함하고,It contains 0.5 to 4% of one or two types out of Si and Al in total amount,

Mn, Ni, Cr, Mo 및 Cu 중 1종류 이상을 합계량으로 0.5 내지 4 %를 포함하 고,0.5 to 4% of Mn, Ni, Cr, Mo, and Cu in a total amount of one or more,

나머지부가 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며,The remainder is steel plate made of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상기 강판의 단면의 미크로 조직은 잔류 오스테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 중 1종류 또는 2종류를 합계 면적 비율로 3 내지 30 %, 펄라이트를 면적 비율로 0% 초과 3% 이하, 나머지부가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 중 1종류 또는 2종류로 이루어지고,The microstructur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sheet is one to two kinds of the retained austenite and martensite, 3 to 30% in the total area ratio, more than 0% in the pearlite area ratio 3% or less, the remaining part 1 in ferrite and bainite Kind or two kinds,

미크로 조직의 결정 입자의 최대 길이가 10 미크론 이하이고,The maximum length of the crystal grains of the microstructure is 10 microns or less,

강판의 단면에서 크기가 20 미크론 이상인 개재물의 개수가 제곱 밀리미터당 0.3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A composite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inclusions having a size of 20 microns or mor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sheet is 0.3 or less per square millimeter.

(3) 항목 (1) 또는 (2)에 있어서, 베이나이트의 미크로 비커스 경도는 24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3) The composite tissue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according to item (1) or (2), wherein the micro-Vickers hardness of bainite is less than 240.

(4) 항목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 Nb, V, Ti 중 1종류 이상을 합계량으로 0.3 % 이하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4) The hole expansion according to any one of ite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kind of Nb, V, and Ti in a total amount of 0.3% or less as the mass% of the chemical component. Composite tissue steel plate with excellent properties.

(5) 항목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 B를 0.01 % 이하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5) The composite tissue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according to any one of items (1) to (4), further comprising B as 0.01% or less as the mass% of the chemical component.

(6) 항목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 0.01 %이하의 Ca와 0.05% 이하의 REM 중 1종류 또는 2종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6) The item according to any one of items (1) to (5), further comprising one or two kinds of Ca of 0.01% or less and REM of 0.05% or less as the mass% of the chemical component. Composite tissue steel plate with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7)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7) As mass% of chemical component,

C : 0.03 내지 0.15 %,C: 0.03 to 0.15%,

P : 0.010 % 이하,P: 0.010% or less,

S : 0.003 % 이하,S: 0.003% or less,

Si와 Al 중 1종류 또는 2종류를 합계량으로 0.5 내지 4 % 포함하고,0.5 to 4% of one kind or two kinds of Si and Al are included in the total amount,

Mn, Ni, Cr, Mo 및 Cu 중 1 종류이상을 합계량으로 0.5 내지 4 % 포함하고,0.5 to 4% of Mn, Ni, Cr, Mo, and Cu are contained in a total amount of

나머지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의 제조 방법이며,The remainder is a method for producing a steel sheet composed of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상기 성분을 갖는 용강을 정련할 때, 용강의 탈류 시에 탈류용 플럭스가 첨가된 후에 용강을 1.5회이상 환류시키고,When refining molten steel having the above components, the molten steel is refluxed at least 1.5 times after the deflux flux is added during the deflowing of the molten steel,

강판이 상기 용강을 주조 후에 얻어진 슬래브를 열연 압연함에 의해 제조될 때, 마무리 압연 입구측 온도를 950 ℃ 이상, 마무리 압연 출구측 온도를 780 ℃ 내지 920 ℃의 범위 내로 제어함으로써 마무리 압연을 실시하고,When the steel sheet is produced by hot rolling the slab obtained after casting the molten steel, finish rolling i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finish rolling inlet side temperature to be at least 950 ° C. and the finish rolling outlet side temperature in the range of 780 ° C. to 920 ° C.,

이렇게 얻어진 강판을 500 ℃ 이하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구조 강판의 제조 방법.The steel sheet thus obtained is wound at a temperature of 500 ° C. or less, where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structural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8) 항목 (7)에 있어서, 강판은,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 Nb, V, Ti 중 1종류 이상을 합계량으로 0.3 %이하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구조 강판의 제조 방법.(8) In the item (7), the steel sheet further contains one or more of Nb, V, and Ti in a total amount of 0.3% or less as a mass% of the chemical component, and has a good hole expandability. Method of manufacturing steel sheet.

(9) 항목 (7) 또는 (8)에 있어서, 강판은,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 B를 0.01 % 이하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구조 강판의 제조 방법.(9) The method according to item (7) or (8), wherein the steel sheet further contains B as 0.01% or less as the mass% of the chemical component.

(10) 항목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강판은,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 0.01 %이하의 Ca와 0.05 %이하의 REM 중 1종류 또는 2종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구조 강판의 제조 방법.(10) The item according to any one of items (7) to (9), wherein the steel sheet further includes one or two types of 0.01% or less of Ca and 0.05% or less of REM as the mass% of the chemical component.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structural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도1은 순 구멍 확장율에 대한 화학 성분 P의 영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1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chemical component P on the net pore expansion rate.

도2는 순 구멍 확장율에 대한 미크로 조직(microstructure)의 최대 길이의 영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FIG. 2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maximum length of microstructure on net hole expansion rate.

도3은 순 구멍 확장율에 미치는 개재물의 개수의 영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3 is a graph showing the influence of the number of inclusions on the net hole expansion rate.

도4는 RH가 이용되는 경우의 용강(molten steel)의 정련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fining of molten steel when RH is used.

도5는 개재물 개수에 미치는 탈류(desulfurization)용 플럭스 첨가 후 용강의 용강 환류(reflux of molten steel)의 회수의 영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FIG. 5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recovery of reflux of molten steel after addition of flux for desulfurization on the number of inclusions.

도6은 미크로 조직의 최대 길이에 대한 열연 압연의 마무리 압연기에서 마무리 입구측 및 출구측 온도의 영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the influence of finish inlet and outlet temperatures in a finish mill of hot rolled rolling on the maximum length of the microstructure.

본 발명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우선, 화학 성분이 설명된다.First, the chemical composition is explained.

C는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고 복합 조직 구조를 얻기 위해 중요한 원소이고, 오스테나이트를 얻기 위하여 그리고 잔류 오스테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 중 1 종류 또는 2종류를 합계 면적 비율로 3% 이상을 얻기 위하여 C가 0.03 질량% 이상 첨가된다. 그러나, 용접성의 열화 및 순 구멍 확장율의 악영향을 피하기 위해 C 함량의 상한은 0.15 질량%이하, 바람직하게는 0.11 질량% 이하로 설정된다.C is an important element for stabilizing austenite and obtaining a composite tissue structure, and C is 0.03 mass in order to obtain austenite and to obtain at least 3% of one or two of the retained austenite and martensite by the total area ratio. % Or more is added. However, the upper limit of the C content is set at 0.15 mass% or less, preferably 0.11 mass% or less in order to avoid deterioration of weldability and adverse effects of the net hole expansion ratio.

P는 본 발명의 첨가 원소들 중에서 중요한 원소이다. P의 효과는 도1에 도시된다. 도1은 표1의 강 번호 1의 화학 성분을 갖는 강판을 이용하여, 강판의 순 확장율과 P 함량 사이의 관계의 연구 결과를 도시한다.P is an important element among the additional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P is shown in FIG. FIG. 1 shows the results of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t expansion rate and the P content of a steel sheet using the steel sheet hav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teel number 1 of Table 1. FIG.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1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1

순 구멍 확장율은 일본 철강 연맹 규격 JFS T 1001-1996호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도1로부터, 순 구멍 확장율은 P 함량을 0.010 질량% 이하로 제어함에 의해서 지수함수적으로 현저히 개선되고, 종래의 개념의 범위 내에서는 예상하지 못했던, 순 구멍 확장율에 대한 이의 효과가 인정되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레스 균열이 회피될 수 있다. 이유는 완전하게 분명하지는 않지만, P 함량의 감소가 펀칭된 구멍의 에지(edge)의 특성(예를 들면, 파단면의 면 크기의 최소화, 거칠기의 감소, 미소 균열의 감소; 전단면의 미크로 조직의 가공성의 열화의 억제 등)을 개선하여, 순 구멍 확장율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추측된다.The net hole expansion rate is calculated based on Japanese Steel Federation Standard JFS T 1001-1996. From Fig. 1, the net hole expansion rate is significantly improved exponentially by controlling the P content to 0.010 mass% or less, and its effect on the net hole expansion rate, which was not expected within the scope of the conventional concept, was recognized. . By doing this, press cracking can be avoided. The reason is not completely clear, but the decrease in the P content is characteriz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ges of the punched holes (e.g. minimization of the face size of the fracture surface, reduction of roughness, reduction of microcracks; microstructure of the shear surface). Suppression of deterioration of workability, etc.), and the net hole expansion ratio.

S 함량은 황화물계 개재물에 의해 유발되는 용접성 및 순 구멍 확장율의 열화의 방지의 관점에서 0.003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1 질량% 이하로 설정된다. S content is set to 0.003 mass% or less, Preferably it is 0.001 mass% or less from a viewpoint of the prevention of the weldability and deterioration of a net hole expansion rate which are caused by sulfide type interference | inclusion.                 

Si 및 Al은 복합 조직을 얻기 위해 유용한 원소이다. 이들은 페라이트의 형성을 촉진하고 탄화물의 형성을 억제하여, 또한 페라이트를 강화함에 의해서 페라이트와 경질 조직(베이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와 같은) 사이의 경도차를 감소시키고 구조의 균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함으로써, 합계 면적 비율로 3 % 이상에 해당하는 잔류 오스테나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중 1 종류 또는 2 종류를 만들어 순 구멍 확장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이들은 탈산 원소로서 작용을 한다. 전술한 관점으로부터, Si 및 Al 중 1종류 또는 2종류의 합계 첨가량은 0.5 질량% 이상이어야 한다. 비용과 효과 사이의 균형을 고려하면, 전체 첨가량의 상한은 4 질량% 이하로 정해진다.Si and Al are useful elements for obtaining a composite structure. They promote the formation of ferrite and inhibit the formation of carbides, and also by strengthening ferrite, thereby reducing the hardness difference between ferrite and hard tissues (such as bainite and martensite) and contributing to increasing the uniformity of the structure, It functions to improve the net hole expandability by making one or two kinds of residual austenite and martensite corresponding to 3% or more in the total area ratio. In addition, they function as deoxidation elements. From the above point of view, the total amount of one or two of Si and Al should be 0.5% by mass or more. In consideration of the balance between cost and effect, the upper limit of the total amount of addition is set at 4 mass% or less.

Si과 Al의 각각의 첨가량에 대해, 다음이 고려될 수도 있다.For each addition amount of Si and Al, the following may be considered.

특히 우수한 표면 품질이 요구되는 경우, Si 함량을 0.1 질량% 이하로,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하로 제어함에 의해서 Si 스케일(scale)을 피하는 방법 및 Si 함량을 1.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 질량% 이상으로 제어함에 의해서 Si 스케일을 무해하게 만드는 방법(표면 전체에 걸쳐 스케일을 형성함에 의해서 스케일이 눈에 띄지 않게 만드는 방법) 중 하나가 채택될 수도 있다.When particularly good surface quality is required, the method of avoiding the Si scale by controlling the Si content to 0.1 mass% or less, preferably 0.01 mass% or less, and the Si content to 1.0 mass% or more, preferably 1.2 One of the methods of making the Si scale harmless by controlling to mass% or more (the method of making the scale inconspicuous by forming the scale over the entire surface) may be adopted.

재료 특성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Si와 Al 사이의 폐라이트 강화 기능의 차이를 이용하여 인장 강도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Al의 첨가량을 증가시키고 Si의 첨가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s of material properties,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addition amount of Al and reduce the addition amount of Si, for example, if it is desirable to lower the tensile strength by using the difference in the wastelite reinforcement function between Si and Al. Do.

Al은 내화 재료의 부식, 노즐의 막힘 등과 같은 제강 시의 단점과 재료 특성을 고려할 때 0.2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하로 제한될 수도 있 다.Al may be limited to 0.2% by mass or less, preferably 0.1% by mass or less, considering the disadvantages of steelmaking and material properties such as corrosion of the refractory material, clogging of the nozzle, and the like.

Mn, Ni, Cr, Mo 및 Cu는 복합 조직을 얻는 데 유용한 원소이고, 또한 페라이트를 강화시키는 원소이다. 전술된 관점에서, 이들의 1종류 이상의 합계 첨가량의 하한은 0.5 질량% 이상이어야 한다. 그러나, 비용과 효과 사이의 균형을 고려하면, 합계 첨가량의 상한은 4 질량% 이하로 설정된다.Mn, Ni, Cr, Mo, and Cu are elements useful for obtaining a composite structure, and also elements for strengthening ferrite. In view of the foregoing, the lower limit of the total amount of one or more of these additions should be 0.5% by mass or more. However, considering the balance between cost and effect, the upper limit of the total amount of addition is set to 4 mass% or less.

게다가, Nb, V, Ti, B, Ca 및 REM 중 1종류 이상이 선택 원자로서 첨가될 수도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of Nb, V, Ti, B, Ca and REM may be added as the selection atom.

Nb, V 및 Ti는 더 높은 강도를 얻는데 효과적인 원소이다. 그러나, 비용과 효과 사이의 균형을 고려하면, 이들 원소 중 1종류 이상의 합계 첨가량은 0.3 질량% 이하로 설정된다.Nb, V and Ti are effective elements in obtaining higher strength. However, considering the balance between cost and effect, the total amount of one or more of these elements added is set to 0.3% by mass or less.

B는 강화 원소로서의 작용을 가지며, 0.01 질량% 이하로 첨가될 수도 있다. 게다가, B는 P의 역효과를 완화시키는 효과도 갖는다.B has a function as a reinforcing element, and may be added at 0.01% by mass or less. In addition, B also has the effect of alleviating the adverse effects of P.

Ca는 Ca가 황화물계 개재물의 형상을 제어함에 의해서 순 구멍 확장율을 더욱 개선시키기 때문에 0.01 질량% 이하로 첨가될 수도 있다.Ca may be added at 0.01% by mass or less because Ca further improves the net pore expansion ratio by controlling the shape of the sulfide inclusions.

(타원체화) (Ellipsification)

또한, REM은 또한 동일한 이유로 0.05 질량%이하로 첨가될 수도 있다.In addition, REM may also be added at 0.05 mass% or less for the same reason.

게다가, N은 필요에 따라 강판의 강화와 오스테나이트의 안정화를 목표로 0.02 질량% 이하로 첨가될 수도 있다.In addition, N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02% by mass or less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steel sheet and stabilizing austenite, if necessary.

다음으로, 미크로 조직이 이하에서 설명된다.Next, the microstructure is described below.

우수한 구멍 확장성을 얻기 위해서, 극저 P화에 의해 개선된, 펀칭된 구멍의 에지 특성들 중 하나인 파단면 크기의 균일성 등을 열화시키지 않는 관점에서, 미크로 조직 내의 결정 입자의 최대 길이의 제어와 개재물의 양 및 크기의 제어가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그것이 먼저 설명된다.Control of the maximum length of the crystal grains in the microstructure in terms of not deteriorating the uniformity of the fracture surface size, which is one of the edge characteristics of the punched holes, improved by the extremely low P, in order to obtain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Of particular importance is the control of the amount and size of the and inclusions. Therefore, it is explained first.

미크로 조직의 결정 입자 크기가 펀칭 구멍의 에지에서의 파단면 크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는 순 구멍 확장율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미크로 조직 내의 결정 입자의 평균 크기가 미세한 경우에도, 만일 최대 입자 크기가 크다면, 이는 순 구멍 확장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미크로 조직이 많은 결정 입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순 구멍 확장율은 평균 입자 크기에 의해 지배되지 않는다. 큰 결정 입자가 많은 결정 입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이는 평균 입자 크기가 미세한 경우에도 순 구멍 확장율에 악영향을 미친다. 여기서, 결정 입자의 크기에 대하여, 순 확장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감소된 원의 직경이 아니라 이의 최대 길이이다.Since the grain size of the microstructure affects the size of the fracture surface at the edge of the punching hole, this greatly affects the net hole expansion rate. Even if the average size of the crystal grains in the microstructure is fine, if the maximum particle size is large, this adversely affects net pore expandability. Since the microstructure contains many crystal grains, the net pore expansion rate is not dominated by the average particle size. If large crystal grains are present between many crystal grains, this adversely affects the net pore expansion ratio even when the average particle size is fine. Here, with respect to the size of the crystal grains, it is not the diameter of the reduced circle but its maximum length that affects the net expansion rate.

도2는 표1의 강 번호 2의 화학 성분을 갖는 강판을 이용하여, 강판의 순 구멍 확장율 및 강판의 미크로 조직의 최대 길이 사이의 관계에 관한 연구의 결과를 도시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 구멍 확장율은 미크로 조직의 최대 길이가 10 미크론 이하인 경우 지수 함수적으로 현저하게 개선되고, 종래의 개념의 범위 내에서는 예상되지 못했던 순 구멍 확장율에 대한 이의 영향이 인식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레스 균열이 회피될 수 있다.FIG. 2 shows the results o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t hole expansion rate of the steel sheet and the maximum length of the microstructure of the steel sheet using the steel sheet hav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teel number 2 of Table 1. FIG. As shown in Figure 2, the net hole expansion rate is significantly improved exponentially when the maximum length of the microstructure is 10 microns or less, and its effect on the net hole expansion rate that was not expected within the scope of the conventional concept. Is recognized. By doing this, press cracking can be avoided.

여기서, 미크로 조직의 최대 길이는, 니트랄 시약(nitral reagent)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소59-219473호에 개시된 시약으로 강판의 압연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에칭한 후 400 배로 취한 광학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단면 전 체를 평균하여 산출된다.Here, the maximum length of the microstructure is taken from an optical micrograph taken 400 times after etch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with a nitral reagent and the reagent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9-219473. It is calculated by averaging the whole cross s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더욱이, 개재물 제어에 대하여, 순 구멍 확장율은 거친 개재물(coarse inclusion)의 개수를 감소시킴에 의해서 개선될 수 있다. 거친 개재물의 수는 현미경(400 배)으로 강판 표면의 압연 방향을 따라 연마 마무리된 단면을 관찰하여 최대 길이가 20 미크론 이상인 거친 개재물의 수를 적산함에 의해서 구해질 수 있다. 도3은 표1의 강 번호 2의 화학 성분을 갖는 강판을 이용하여 순 구멍 확장율과 강판의 거친 개재물(최대 길이가 20 미크론 이상)의 개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조사의 결과를 도시한다. 거친 개재물(최대 길이가 20 미크론 이상)의 개수가 특정 수(제곱 밀리미터 당 0.3 개)이하인 경우, 순 구멍 확장율은 크게 개선될 수 있고 프레스 균열은 회피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Moreover, for inclusion control, the net hole expansion rate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number of coarse inclusions. The number of coarse inclusions can b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number of coarse inclusions having a maximum length of 20 microns or more by observing a cross section polished along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surface under a microscope (400 times). FIG. 3 shows the results of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t hole expansion rate and the number of coarse inclusions (maximum length of 20 microns or more) using the steel sheet hav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teel number 2 of Table 1. FIG.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the number of coarse inclusions (maximum length 20 microns or more) is below a certain number (0.3 per square millimeter), the net hole expansion rate can be greatly improved and press cracks can be avoided.

게다가, 베이나이트의 미크로 비커스 경도를 240 미만으로 제어하는 것은 구멍 확장성의 개선에 바람직하게 작용한다. 베어나이트의 경도의 저하는 페라이트와 베어나이트 사이의 경도 차이를 낮추어서, 구조의 균일성의 개선에 기여한다. 그러나, 만일 미크로 비커스 경도가 240을 넘으면,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 사이의 경도 차이는 구멍 확장성에 대해 요구되는 범위를 벗어나고, 또한 구멍 확장성의 열화는 베어나이트의 가공성의 열화에 의해 더욱 유발된다. P의 저하(0.01 % 이하)는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고, 세부 사항은 알려져 있지 않다.In addition, controlling the micro-Vickers hardness of bainite to less than 240 preferably serves to improve hole expandability. The reduction in the hardness of the bare knight lowers the hardness difference between the ferrite and the bare knight,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uniformity of the structure. However, if the micro-Vickers hardness exceeds 240, the hardness difference between ferrite and bainite is beyond the range required for hole expandability, and the degradation of hole expandability is further caused by the degradation of workability of bare knight. The decrease of P (0.01% or less) greatly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effect, and details are unknown.

여기서, 베이나이트의 미크로 비커스 경도(micro Vickers hardness)는 일본 특허출원 공개공보 소59-219473호에 개시된 시약으로 강판의 압연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에칭하여 베이나이트를 확인하고 1 내지 10 gr의 하중 하에서 5지점에서 측 정된 값을 평균함(7지점에서 측정된 값 중에서 최대 및 최소 값을 제외한 값들을 평균함)에 의해서 구해진다.Here, the micro Vickers hardness of bainite is a reagent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9-219473, etching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to check bainite, and loading of 1 to 10 gr. This is obtained by averaging the values measured at point 5 (averaging the values excluding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measured at point 7).

더욱이, 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우수한 밸런스 뿐만 아니라 강도와 신장 사이의 우수한 밸런스를 얻기 위하여, 복합 조직의 종류 및 면적 비율을 제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Moreover, in order to obtain a good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elongation as well as a good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elongation, it is essential to control the type and area ratio of the composite tissue.

강도와 신장 사이의 우수한 밸런스(인장 강도에 전체 신장을 곱함으로써 얻은 값으로 18,500 ㎫% 이상) 및 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우수한 밸런스(인장 강도에 순 구멍 확장율을 곱함으로써 얻어진 값으로 35,000 ㎫% 이상)가 잔류 오스테나이트 및 마르텐사이트의 1종류 또는 2종류의 합계 면적 비율을 3 내지 30 %로 제어함에 의해서 얻어진다.Excellent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elongation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ensile strength by total elongation at least 18,500 MPa%) and excellent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hole expandability (35,000 MPa by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ensile strength by net hole expansion ratio % Or more) is obtained by controlling one or two total area ratios of residual austenite and martensite to 3 to 30%.

잔류 오스테나이트 및 마르텐사이트의 1종류 또는 2종류의 합계 면적 비율이 3 %미만인 경우, 잔류 오스테나이트 및 마르텐사이트에 의해 얻어지는 강도와 신장 사이의 밸런스를 개선하는 안정한 효과를 얻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이의 하한은 3 %로 설정된다.When one or two total area ratios of residual austenite and martensite are less than 3%, it becomes impossible to obtain a stable effect of improving the balance between the strength and elongation obtained by the residual austenite and martensite. Therefore, its lower limit is set to 3%.

잔류 오스테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의 1종류 또는 2종류의 합계 면적 비율이 30 %를 초과하면, 강도와 신장 사이의 밸런스를 개선하는 효과는 포화되고 순 구멍 확장율 등의 열화가 유발된다. 따라서, 프레스 성형성의 관점으로부터, 합계 면적 비율의 상한은 30 %로 설정된다.When the ratio of one or two total areas of retained austenite and martensite exceeds 30%, the effect of improving the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elongation is saturated and deterioration such as net pore expansion ratio is caused.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press formability, the upper limit of the total area ratio is set to 30%.

여기서, 펄라이트는 강도와 신장 사이의 밸런스 및 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밸런스를 저해하기 때문에 강판에는 함유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펄라이트의 면적 비율은 최대 3 % 이하,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earlite is preferably not contained in the steel sheet because it inhibits the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elongation and the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hole expandability. Therefore, the area ratio of pearlite is at most 3% or less, preferably 1% or less.

상기 제한에 부가하여 다음의 제한을 부가하는 것은 보다 양호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 limitation, it is better to add the following limitation.

강도와 신장 사이의 특히 우수한 밸런스(20,000 ㎫% 이상)가 요구되는 경우,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면적 비율은 3 %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a particularly good balance (20,000 MPa or more) between strength and elongation is required, the area ratio of retained austenite is preferably set to 3% or more.

더욱이, 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특히 우수한 밸런스(인장 강도에 순 구멍 확장율을 곱함으로써 얻은 값으로 46,000 ㎫% 이상)가 요구되는 경우, 마르텐사이트의 면적 비율이 3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when a particularly good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hole expandability (46,000 MPa or more by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ensile strength by the net hole expansion rate) is desired, the area ratio of martensite is preferably set to 3% or less. Do.

한편, 낮은 항복율(항복 응력을 인장 강도로 나누고, 나눠진 값에 100을 곱해서 얻은 값인 항복율(YR)로 70 %이하)이 형상 고정성의 측면에서 요구되는 경우, 마르텐사이트의 면적 비율은 3 % 이상으로 설정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low yield rate (yield stress is divided by tensile strength and the yield value (YR), which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divided value by 100) is required in terms of shape fixability, the area ratio of martensite is 3%. The above is set.

바람직하게는, 잔류 오스테나이트 및/또는 마르텐사이트의 미크로 조직의 최대 길이를 2 미크론 이하로 제어함에 의해서, 효과는 더욱 증가한다.Preferably, the effect is further increased by controlling the maximum length of the microstructure of residual austenite and / or martensite to 2 microns or less.

미크로 조직의 나머지 조직은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 중 1종류 또는 2종류로 구성되고,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합계 면적 비율을 80 % 이상으로 제어함에 의해서, 페라이트 및 베인나이트 이외의 경질 조직이 망상으로 서로 결합함에 의해서 유발되는 프레스 성형성의 열화가 억제될 수 있다.The remaining tissue of the microstructure is composed of one or two types of ferrite and bainite, and by controlling the total area ratio of ferrite and bainite to 80% or more, hard tissues other than ferrite and bainite are joined together in a reticular form. Deterioration of the press formability caused by the use can be suppressed.

전술한 효과에 기인하여, 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우수한 밸런스(인장 강도에 순 구멍 확장율을 곱해서 얻은 값으로 35,0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46,000 ㎫% 이상) 및 강도와 신장 사이의 우수한 밸런스(인장 강도에 전체 신장을 곱해서 얻은 값으로 18,5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00 ㎫%이상) 모두가 동시에 얻어질 수 있고, 프레스 성형성은 크게 개선될 수 있다.Due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 good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hole expandability (35,000 MPa or more, preferably 46,000 MPa or more by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ensile strength by the net hole expansion ratio) and a good balance between the strength and the elongation (18,500 MPa or more, preferably 20,000 MPa or more by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ensile strength by the total elongation), all can be obtained simultaneously, and press form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여기서, 미크로 조직의 구성의 확인, 면적 비율의 측정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 및/또는 마르텐사이트의 최대 길이의 측정은 강판의 압연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니트랄 시약(nitral reagent)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59-219473호에 개시된 시약에 의해 에칭한 후에 취한 1,000의 배율로 광학 현미경 사진 및 X-ray 분석을 통해 실시되었다.Here, confirm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microstructure, the measurement of the area ratio and the measurement of the maximum length of the retained austenite and / or martensite have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It was carried out via optical micrographs and X-ray analysis at a magnification of 1,000 taken after etching with the reagents disclosed in 59-219473.

다음으로, 제조 방법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용강이 제강 공정에서 정련되는 경우, 용강이 RH와 같은 제2 정련 장치를 이용하여 탈류될 때 탈류용 플럭스의 첨가 후에 용강을 1.5 회이상 환류(순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용강의 환류(reflux)는 단위 시간당 RH와 같은 제2 정련 장치의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용강의 양에 의해 표시되고, 산출을 위한 다양한 공식이 있다. 예를 들면, "대량 생산 규모에서 불순물 원소의 정련 한계"(일본철강협회, 고온 정련 공정 섹션의 포럼, 일본학술진흥회, 19차 제강 위원회, 반응 공정 연구회, 1996년 3월, 페이지 184 내지 187)에 개시된 것과 같이, 다음의 식1에 의해 표시되는 환류된 용강의 양(Q)은 1회의 환류된 양으로 정의된다.First, when molten steel is refined in the steelmaking process, it is important to reflux (circulate) the molten steel after the addition of the deflux flux when the molten steel is degassed using a second refining apparatus such as RH. Here, reflux of the molten steel is represented by the amount of molten steel circulating inside the second refining apparatus, such as RH per unit time, and there are various formulas for calculation. For example, "Refining Limits of Impurity Elements on Mass Production Scale" (Japan Iron and Steel Association, Forum of the High Temperature Refining Process Section, Japan Academic Society, 19th Steelmaking Committee, Reaction Process Research Group, March 1996, pages 184-187) As disclosed in, the amount of refluxed molten steel (Q) represented by Equation 1 below is defined as one refluxed amount.

환류량 Q = 11.4 ×V1/3 ×D4/3 ×{ln(P1/P0)}1/3 ×k .... (식1)Reflux Q = 11.4 × V 1/3 × D 4/3 × {ln (P1 / P0)} 1/3 × k ... (Equation 1)

여기서,here,

Q : 용강의 환류량(t/min.), Q: reflux of molten steel (t / min.),                 

V : 환류 가스의 유량 (N1/min.),V: flow rate of reflux gas (N1 / min.),

D : 스노클(snorkel)의 내경 (m),D: inner diameter of snorkel (m),

P0 : 진공 챔버 내의 압력(㎩),P0: pressure in the vacuum chamber,

P1 : 환류 가스의 취입구의 압력(㎩),P1: pressure at the inlet of the reflux gas,

k : 상수 (제2 정련 장치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수, 이 경우에 4).k: constant (constant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second refining apparatus, in this case 4).

RH를 이용하여 용강의 정련의 개략적인 그림이 도4에 도시된다. 가스제거 챔버(2)의 2개의 스노클(3)은 용강 레이들(1) 내부로 침지되고, 가스가 이들 스노클 중 하나의 하부에서 송풍되고(이 경우, Ar이 취입 랜스(4)를 통해 스노클 중 하나의 하부로부터 송풍됨), 그런 후 용강 레이들(1) 내의 용강은 상승하여 가스제거 챔버(2) 내로 들어가고, 가스제거 공정 후, 용강은 하강하여 다른 스노클(3)로부터 용강 레이들로 복귀한다. 여기서, RH를 채용하는 제2 정련 장치가 이용되는 예가 도시되지만, 다른 장치(예를 들면, DH)가 이용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A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refining of molten steel using RH is shown in FIG. The two snorkels 3 of the degassing chamber 2 are immersed inside the molten steel ladle 1, the gas is blown underneath one of these snorkels (in this case Ar is snorkeled through the blown lance 4). Blown from the bottom of one of them), and then the molten steel in the molten steel ladle 1 rises and enters the degassing chamber 2, and after the degassing process, the molten steel descends to the molten steel ladle from the other snorkel 3. To return. Here, although an example in which a second refining apparatus employing RH is used is shown, it is obvious that other apparatus (for example, DH) may be used.

도5는 표1의 강 번호2의 성분을 갖는 용강이 정련될 경우 탈류용 플럭스가 첨가된 후의 용강의 환류의 회수와 용강으로부터의 슬래브 캐스트를 열연 압연함에 의해서 얻은 강판의 단면에서 제곱 ㎜당 크기가 20 미크론 이상인 개재물의 수 사이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강의 환류의 회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탈류 플럭스 시스템 개재물의 서페이싱(surfacing)은 크게 촉진되고, 거친 개재물(20 미크론 이상)의 개수가 전술된 수(제곱 ㎜ 당 0.3 개 이하) 이하까지 감소될 수 있고, 순 구멍 확장율은 개선되어, 프레스 균열이 회피된다.5 is the size per square mm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sheet obtained by recovering the reflux of the molten steel after the addition of the deflux flux and hot rolling the slab cast from the molten steel when the molten steel having the steel number 2 component of Table 1 is refined. The result i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inclusions greater than 20 microns. As shown in Figure 5, by increasing the recovery of reflux of the molten steel, the surfacing of the deflux flux system inclusions is greatly facilitated, and the number of coarse inclusions (20 microns or more) is increased to the above-mentioned number (0.3 per square mm). Up to), and the net hole expansion rate is improved, so that press cracking is avoid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열연 압연 강판이 제조될 때 열연 압연 공정에서 마무리 압연에서의 온도의 조건이 검토된다. 도6은 표1의 강 번호 2의 성분을 갖는 슬래브가 열연 압연될 때 마무리 압연 입구측 및 출구측 온도, 얻어진 강판의 단면의 미크로 조직의 결정 입자의 최대 길이 사이의 관계를 요약한 결과를 도시한다.Next, when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the conditions of the temperature in finish rolling in the hot rolled rolling process are examined. FIG. 6 shows the result summar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ish rolling inlet and outlet temperatures and the maximum length of the microstructured crystal grain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obtained steel sheet when the slab having the steel number 2 component of Table 1 is hot rolled; do.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무리 압연 입구측 온도를 960 ℃ 이상으로, 마무리 압연 출구측 온도를 780 ℃이상으로 조절함에 의해서, 미크로 조직의 최대 길이가 10 미크론 이하로 확실하게 제어되고, 따라서 순 구멍 확장율은 개선될 수 있고 프레스 균열은 회피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학 성분에 따라 마무리 압연 입구측 온도, 마무리 압연 속도 및 마무리 압연 출구측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6, by controlling the finish rolling inlet side temperature to 960 ° C or higher and the finish rolling exit side temperature to 780 ° C or higher, the maximum length of the microstructure is reliably controlled to 10 microns or less, and thus the net The hole expansion rate can be improved and press cracks can be avoided.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finish rolling inlet side temperature, the finish rolling speed, and the finish rolling outlet side temperature according to a chemical component.

여기서, 만일 마무리 압연 출구측 온도가 920 ℃를 초과하면, 전체 미크로 조직은 거칠어지고, 프레스 성형성의 열화 및 스케일 결점의 발생과 같은 단점은 현저하게 나타나고, 따라서 이 온도가 상한으로 정해진다.Here, if the finish rolling exit temperature exceeds 920 ° C., the whole microstructure becomes rough, and disadvantages such as deterioration of press formability and occurrence of scale defects appear remarkably, and thus this temperature is set as an upper limit.

마무리 압연 후의 냉각 테이블에 대한 조건인 특히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냉각 속도의 다단계 제어(급속 냉각, 느린 냉각 및 등온 유지의 조합) 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마무리 압연 출구측에서의 순간 급속 냉각(immediate quenching)이, 미크로 조직의 면적 비율의 제어 및 미크로 조직의 미세화의 촉진 및 복합 조직의 형성을 목적으로 하여, 채용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particularly defined, the conditions for the cooling table after finish rolling, multistage control of the cooling rate (combination of rapid cooling, slow cooling and isothermal holding) or commonly known as immediate quenching at the finish rolling exit side are microstructures. May be employed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area ratio of and promoting micronization of the microstructure and formation of the composite tissue.

권취 온도의 상한은 잔류 오스테나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중 1종류 또는 2종류의 합계 면적 비율이 3 % 이상이 되도록 500 ℃로 설정된다. 만일 권취 온도가 500 ℃를 초과하면, 3 % 이상의 전체 면적 비율은 확보될 수 없고 따라서 강도와 신장 사이의 우수한 밸런스(전체 신장에 의해 곱해진 인장 강도)는 얻어질 수 없다.The upper limit of the coiling temperature is set to 500 ° C so that the total area ratio of one or two of the retained austenite and martensite is 3% or more. If the coiling temperature exceeds 500 ° C., a total area ratio of 3% or more cannot be secured and thus a good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elongation (tensile strength multiplied by total elongation) cannot be obtained.

여기서, 공기 냉각(air cooling) 또는 가압 냉각(forced cooling) 중 하나가 권취된 후에 강판의 냉각을 위해 채용될 수도 있다.Here, air cooling or forced cooling may be employed for cooling the steel sheet after it is wound up.

또한, 슬래브는 일단 냉각되고 재가열된 후에 압연될 수도 있고, HCR 또는 HDR에 의해 압연될 수도 있다. 또한, 슬래브는 소위 얇은 슬래브 연속 주조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The slab may also be rolled once it has been cooled and reheated, or may be rolled by HCR or HDR. Slabs may also be produced by so-called thin slab continuous casting.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내부식성을 개선하기 위해 Zn 등으로 도금될 수도 있고, 또는 프레스 성형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윤활제 등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Moreover, th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lated with Zn or the like to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or may be coated with a lubricant or the like to further improve the press formability.

Yes

시험에 사용될 강의 Fe 이외의 화학 성분이 표2에 도시된다.The chemical components other than Fe of the steel to be used for the test are shown in Table 2.

시험에 사용될 강의 제강 및 열연 압연의 제조 조건이 표3에 도시된다. 구해진 열연 압연 강판의 미크로 조직 및 재료 특성은 표4 및 표5에 도시된다. Table 3 shows the conditions for making steel and hot rolled steel for the test. The micro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hot rolled steel sheets are shown in Tables 4 and 5.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2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2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3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3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4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4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5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5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6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6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7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7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8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8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9
Figure 112004002511704-pct00009

Figure 112004002511704-pct00010
Figure 112004002511704-pct00010

Figure 112004002511704-pct00011
Figure 112004002511704-pct00011

여기서, 특성 및 미크로 조직의 평가가 다음의 방법에 의해 수행되었다.Here,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and microstructures was performed by the following method.

인장 시험은 JIS No. 5 시편으로 수행되어, 인장 강도(TS), 항복 강도(YS), 항복비(YR = YS/TS ×100), 전체 신장(T.EL) 및 강도와 신장 사이의 밸런스(TS ×T.EL)가 구해졌다.Tensile test is JIS No. 5 specimens were used to provide tensile strength (TS), yield strength (YS), yield ratio (YR = YS / TS x 100), total elongation (T.EL) and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elongation (TS x T.EL ) Was saved.

순 구멍 확장율은 일본 철강 연맹 표준 JFS T1001-1996에 기초하여 산출되었다.Net hole expansion rat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Japan Steel Federation standard JFS T1001-1996.

미크로 조직의 결정 입자의 최대 길이는 강판의 압연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니트랄 시약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59-219473호에 개시된 시약으로 에칭한 후 취한 400 배율의 광학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산출되었다.The maximum length of the crystal grains of the microstructure was calculated from an optical micrograph of 400 magnification taken after etch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with a nitral reagent and the reagent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9-219473.

강판의 거친 개재물의 개수는 현미경(400 배율)으로 강판의 압연 방향으로 직각인 연마 마무리된 단면을 관찰하여, 최대 길이가 20 미크론 이상인 거친 입자의 수를 적산하여 구해졌다.The number of coarse inclusions of a steel plate was calculated | required by observing the polished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rolling direction of a steel plate with a microscope (400 magnification), and integrating the number of coarse grains whose maximum length is 20 microns or more.

미크로 조직의 구성의 확인, 면적 비율의 측정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 및/또는 마르텐사이트의 최대 길이의 측정은 강판의 압연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니트랄 시약,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59-219473호에 개시된 시약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5-163590호에 개시된 시약으로 에칭한 후 취한 1,000의 배율의 광학 현미경 사진과 X-레이 분석으로 수행되었다.Confirm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microstructure, the measurement of the area ratio and the measurement of the maximum length of the retained austenite and / or martensite are disclosed in Nitral reagen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9-219473, with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It was performed by optical micrograph and X-ray analysis of 1,000 magnification taken after etching with the reagent and the reagent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5-163590.

잔류 오스테나이트(Fγ : %)의 면적 비율은 X-레이 분석에서 Mo-Kγ에 기초하여 다음의 방정식에 따라 산출되었다.The area ratio of retained austenite (Fγ:%)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based on Mo-Kγ in the X-ray analysis.

Fγ(%) = (2/3){100/(0.7 ×α(211)/γ(220) +1)} + (1/3){100/(0.78 ×α(211)/γ(311) +1)},Fγ (%) = (2/3) {100 / (0.7 × α (211) / γ (220) +1)} + (1/3) {100 / (0.78 × α (211) / γ (311) +1)},

여기서, α(211), γ(220), α(211) 및 γ(311)은 개별 평면에서의 세기(intensity)를 나타낸다.Here, α 211, γ 220, α 211 and γ 311 represent the intensity in the individual planes.

표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번호 1, 2, 6, 8, 10, 14, 15, 20)에서, 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우수한 밸런스(인장 강도에 순 구멍 확장율을 곱해서 구한 값으로 35,000 ㎫% 이상) 및 강도와 신장 사이의 우수한 밸런스(인장 강도에 전체 신장을 곱해서 구한 값으로 18,500 ㎫% 이상)를 모두 갖춘,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압연 강판이 얻어진다.As shown in Table 5, in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numbers 1, 2, 6, 8, 10, 14, 15, 20), there is a good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hole expandability (net hole expansion ratio in tensile strength). A high-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press formability is obtained, having both a multiplied value of 35,000 MPa or more) and an excellent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elongation (18,500 MPa or more by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ensile strength by total elongation).

한편, 비교예(번호. 3 내지 5, 7, 9, 11 내지 13, 16 내지 19)에서, 일부 조건이 표1 내지 표3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범위 외이기 때문에, 불량한 기계적인 특성(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밸런스 및 강도와 신장 사이의 밸런스의 불량한 특성)을 갖는 강판이 반드시 얻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s (No. 3 to 5, 7, 9, 11 to 13, 16 to 19), since some conditions are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ables 1 to 3, poor mechanical properties (strength Steel sheet having a balance between the hole expansion property and the balance between the strength and the elongation).

본 발명은 강도와 구멍 확장성 사이의 우수한 밸런스 및 강도와 신장 사이의 우수한 밸런스를 모두 갖춘,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안정적이고 적은 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결과적으로 적용 분야 및 서비스 조건의 범위가 현저하게 확대되고 본 발명의 공업적 및 경제적 효과는 현저하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 composite tissue steel sheet excellent in press formabili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have both an excellent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hole expandability and an excellent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elongation, and resultantly, and consequently, This significantly extends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service conditions and the industrial and econom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markable.

Claims (10)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As mass% of chemical component, C : 0.03 내지 0.15%,C: 0.03 to 0.15%, P : 0.010% 이하,P: 0.010% or less, S : 0.003 % 이하,S: 0.003% or less, Si와 Al 중 1종류 또는 2종류를 합계량으로 0.5 내지 4 %를 포함하고,It contains 0.5 to 4% of one or two types out of Si and Al in total amount, Mn, Ni, Cr, Mo 및 Cu 중 1종류 이상을 합계량으로 0.5 내지 4 % 포함하고,0.5 to 4% of Mn, Ni, Cr, Mo, and Cu are contained in a total amount of 나머지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며,The remainder is a steel plate composed of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상기 강판의 단면의 미크로 조직은 잔류 오스테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 중 1종류 또는 2종류를 합계 면적 비율로 3 내지 30 %, 나머지부가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 중 1종류 또는 2종류로 이루어지고,The microstructur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sheet is one to two kinds of the retained austenite and martensite in a total area ratio of 3 to 30%, the remaining part is made of one or two of ferrite and bainite, 미크로 조직의 결정 입자의 최대 길이가 10 미크론 이하이고,The maximum length of the crystal grains of the microstructure is 10 microns or less, 강판의 단면에서 크기가 20 미크론 이상인 개재물의 개수가 제곱 밀리미터 당 0.3 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A composite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inclusions having a size of 20 microns or mor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sheet is 0.3 or less per square millimeter.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As mass% of chemical component, C : 0.03 내지 0.15 %,C: 0.03 to 0.15%, P : 0.010% 이하,P: 0.010% or less, S : 0.003 % 이하,S: 0.003% or less, Si와 Al 중 1종류 또는 2종류를 합계량으로 0.5 내지 4 %를 포함하고,It contains 0.5 to 4% of one or two types out of Si and Al in total amount, Mn, Ni, Cr, Mo 및 Cu 중 1종류 이상을 합계량으로 0.5 내지 4 %를 포함하고,0.5 to 4% of the total amount of one or more of Mn, Ni, Cr, Mo, and Cu, 나머지부가 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이며,The remainder is steel plate made of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상기 강판의 단면의 미크로 조직은 잔류 오스테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 중 1종류 또는 2종류를 합계 면적 비율로 3 내지 30 %, 펄라이트를 면적 비율로 0% 초과 3% 이하, 나머지부가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 중 1종류 또는 2종류로 이루어지고,The microstructur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sheet is one to two kinds of the retained austenite and martensite, 3 to 30% in the total area ratio, more than 0% in the pearlite area ratio 3% or less, the remaining part 1 in ferrite and bainite Kind or two kinds, 미크로 조직의 결정 입자의 최대 길이가 10 미크론 이하이고,The maximum length of the crystal grains of the microstructure is 10 microns or less, 강판의 단면에서 크기가 20 미크론 이상인 개재물의 개수가 제곱 밀리미터당 0.3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A composite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inclusions having a size of 20 microns or mor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sheet is 0.3 or less per square millimet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베이나이트의 미크로 비커스 경도는 24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The composite tissue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pore expandability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icro-Vickers hardness of bainite is less than 24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 Nb, V, Ti 중 1종류 이상을 합계량으로 0.3 % 이하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The composite structur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pore expandability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0.3% or less of Nb, V, and Ti in a total amount of at least one of Nb, V, and Ti as the mass% of the chemical compone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 B를 0.01 % 이하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The composite-structur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pore expandability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B as 0.01% or less as the mass% of the chemical compone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 0.01 %이하의 Ca와 0.05% 이하의 REM 중 1종류 또는 2종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조직 강판.The composite tissue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pore expandability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one or two of Ca of 0.01% or less and REM of 0.05% or less as the mass% of the chemical component. .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As mass% of chemical component, C : 0.03 내지 0.15 %,C: 0.03 to 0.15%, P : 0.010 % 이하,P: 0.010% or less, S : 0.003 % 이하,S: 0.003% or less, Si와 Al 중 1종류 또는 2종류를 합계량으로 0.5 내지 4 % 포함하고,0.5 to 4% of one kind or two kinds of Si and Al are included in the total amount, Mn, Ni, Cr, Mo 및 Cu 중 1 종류이상을 합계량으로 0.5 내지 4 % 포함하고,0.5 to 4% of Mn, Ni, Cr, Mo, and Cu are contained in a total amount of 나머지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판의 제조 방법이며,The remainder is a method for producing a steel sheet composed of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상기 성분을 갖는 용강을 정련할 때, 용강의 탈류 시에 탈류용 플럭스가 첨가된 후에 용강을 1.5회이상 환류시키고,When refining molten steel having the above components, the molten steel is refluxed at least 1.5 times after the deflux flux is added during the deflowing of the molten steel, 강판이 상기 용강을 주조 후에 얻어진 슬래브를 열연 압연함에 의해 제조될 때, 마무리 압연 입구측 온도를 950 ℃ 이상, 마무리 압연 출구측 온도를 780 ℃ 내지 920 ℃의 범위 내로 제어함으로써 마무리 압연을 실시하고,When the steel sheet is produced by hot rolling the slab obtained after casting the molten steel, finish rolling i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finish rolling inlet side temperature to be at least 950 ° C. and the finish rolling outlet side temperature in the range of 780 ° C. to 920 ° C., 이렇게 얻어진 강판을 500 ℃ 이하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구조 강판의 제조 방법.The steel sheet thus obtained is wound at a temperature of 500 ° C. or less, where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structural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제7항에 있어서, 강판은,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 Nb, V, Ti 중 1종류 이상을 합계량으로 0.3 %이하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구조 강판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structural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according to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sheet further contains, as mass% of the chemical component, one or more of Nb, V, and Ti in a total amount of 0.3% or less.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강판은,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 B를 0.01 % 이하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구조 강판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structural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steel sheet further contains B as 0.01% or less as the mass% of the chemical component.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강판은, 화학 성분의 질량%로서, 0.01 %이하의 Ca와 0.05 %이하의 REM 중 1종류 또는 2종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복합 구조 강판의 제조 방법.The steel sheet further comprises one or two kinds of 0.01% or less of Ca and 0.05% or less of REM as the mass% of the chemical component, wherein the steel sheet further has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structural steel sheets.
KR1020047001015A 2001-07-25 2002-07-25 Multi-phase steel sheet excellent in hole expand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054811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24750 2001-07-25
JP2001224750 2001-07-25
PCT/JP2002/007568 WO2003010351A1 (en) 2001-07-25 2002-07-25 Multi-phase steel sheet excellent in hole expand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156A KR20040013156A (en) 2004-02-11
KR100548117B1 true KR100548117B1 (en) 2006-02-02

Family

ID=1905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01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8117B1 (en) 2001-07-25 2002-07-25 Multi-phase steel sheet excellent in hole expand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412548B1 (en)
JP (1) JP4181036B2 (en)
KR (1) KR100548117B1 (en)
CN (1) CN1243844C (en)
DE (1) DE60206771T2 (en)
TW (1) TW567231B (en)
WO (1) WO200301035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95965B1 (en) * 2002-12-26 2008-10-22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 strength thin steel sheet excellent in hole expansibility, ductility and chemical treatment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4235030B2 (en) * 2003-05-21 2009-03-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high-strength surface-tre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local formability and a tensile strength of 780 MPa or more with suppressed increase in hardness of the weld
DE102004025717B9 (en) * 2004-05-26 2011-05-26 Voestalpine Stahl Gmbh High-strength multiphase steel with improved properties
EP2351867A1 (en) 2005-03-28 2011-08-03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bore expanding workability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4819489B2 (en) 2005-11-25 2011-11-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High strength steel plate with excellent uniform elong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998756B2 (en) * 2009-02-25 2012-08-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High-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883216B2 (en) * 2010-01-22 2012-02-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High-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spot weld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2553132B1 (en) * 2010-03-29 2015-05-06 Arcelormittal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L Steel product with improved weathering characteristics in saline environment
PL2610357T3 (en) * 2010-08-23 2020-05-18 Nippon Steel Corporation Cold-rolled steel shee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A112771C2 (en) * 2011-05-10 2016-10-25 Арселормітталь Інвестігасьон І Десароло Сл STEEL SHEET WITH HIGH MECHANICAL STRENGTH, PLASTICITY AND FORM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ND APPLICATION OF SUCH SHEETS
KR101443447B1 (en) * 2012-07-30 2014-09-19 현대제철 주식회사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3074548B (en) * 2013-01-24 2016-02-2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A kind of high corrosion resistant type high strength is containing Al weather-resistant steel plat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CN103510008B (en) * 2013-09-18 2016-04-06 济钢集团有限公司 A kind of hot-rolled ferrite-bainite High Strength Steel Plat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CN103627953B (en) * 2013-12-12 2016-04-27 首钢总公司 A kind of insensitive containing aluminium Multiphase Stee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to isothermal time
KR20210047366A (en) * 2014-02-05 2021-04-29 아르셀러미탈 Hot formable, air hardenable, weldable, steel sheet
JP7059010B2 (en) * 2015-04-10 2022-04-25 ザ・ナノスティール・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Improved edge forming ability in metal alloys
US10465260B2 (en) 2015-04-10 2019-11-05 The Nanosteel Company, Inc. Edge formability in metallic alloys
KR102109272B1 (en) * 2018-10-01 2020-05-11 주식회사 포스코 A hot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blanking properties and uniformin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1125386A1 (en) * 2019-12-18 2021-06-24 주식회사 포스코 Hot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blanking properties and uniformin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680679B2 (en) * 2021-01-12 2025-05-21 日本製鉄株式会社 hot rolled steel pla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169A (en) * 1998-03-12 2001-03-15 구마모토 마사히로 Hot Rolled High 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Form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3762B2 (en) * 1991-05-30 1999-02-0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High yield ratio type hot rolled high 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formability or formability and spot weldability
US5470529A (en) * 1994-03-08 1995-11-28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High tensile strength steel sheet having improved formability
JPH07252592A (en) * 1994-03-15 1995-10-03 Nippon Steel Corp Hot rolled high 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formability,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fatigue characteristics
JPH1060593A (en) * 1996-06-10 1998-03-03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elongation-flanging formability, and its production
JP3790357B2 (en) * 1998-03-31 2006-06-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Hot-rolled steel sheet for machining excellent in fatigue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890748B2 (en) * 1998-06-19 2007-03-0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High strength steel plate with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delayed fracture resistance
JP3678018B2 (en) * 1998-09-11 2005-08-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high workability high tensile hot 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material uniformity
JP3870627B2 (en) * 1999-10-05 2007-01-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high phosphorus extra low carbon steel
DE60018940D1 (en) * 2000-04-21 2005-04-28 Nippon Steel Corp STEEL PLATE WITH EXCELLENT FREE SHIPPING AT THE SAME TEMPERATURE OF HIGH TEMPERA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169A (en) * 1998-03-12 2001-03-15 구마모토 마사히로 Hot Rolled High 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Form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36965A (en) 2004-12-09
DE60206771T2 (en) 2006-07-20
JP4181036B2 (en) 2008-11-12
KR20040013156A (en) 2004-02-11
EP1412548B1 (en) 2005-10-19
TW567231B (en) 2003-12-21
EP1412548A1 (en) 2004-04-28
WO2003010351A1 (en) 2003-02-06
DE60206771D1 (en) 2006-03-02
CN1243844C (en) 2006-03-01
CN1535323A (en)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8117B1 (en) Multi-phase steel sheet excellent in hole expand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080202645A1 (en) Multi-phase steel sheet excellent in hole expand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8828154B2 (en) Hot-rolled steel sheet,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worked body of hot-rolled steel sheet
EP1889935B1 (en) High-strength steel sheet plated with zinc by hot dipping with excellent formabili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044693B1 (en)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steel sheet
KR101192650B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high 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high strength hot-dip galvannealed steel sheet
CN104114731A (en) Steel sheet, plated steel sheet, method for producing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plated steel sheet
JP7682145B2 (en) Hot stamped products
CN100590217C (en) Hot-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hot-rolled steel sheet formed body
KR20220119639A (en) Low silicon, low carbon equivalent gigapascal grade composite structure steel sheet/steel stri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22550329A (en) Double phase steel with high hole expand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11473159B2 (en) Hot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3793490B2 (en)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for processing excellent in strength-hole expansion ratio balance and shape freezing proper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756114B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high strength thin steel sheet excellent in hole expansibility, ductility and chemical treatment characteristics
KR20240075880A (en) Cold rolled heat treat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30052290A (en) Cold-rolled and coated steel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7513916B2 (en) Hot rolled steel plate
JP7705065B2 (en) hot rolled steel plate
KR20240090672A (en) Cold rolled heat treat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4201098A1 (en) Cold rolled and heat treated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WO2024209234A1 (en) Cold rolled and heat treated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Grajcar Heat treatment and mechanical stability behaviour of medium-carbon TRIP-aided bainitic steel
WO2024121608A1 (en) Cold rolled and coated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