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6535B1 - 실외 유닛 - Google Patents

실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535B1
KR100546535B1 KR1020030078514A KR20030078514A KR100546535B1 KR 100546535 B1 KR100546535 B1 KR 100546535B1 KR 1020030078514 A KR1020030078514 A KR 1020030078514A KR 20030078514 A KR20030078514 A KR 20030078514A KR 100546535 B1 KR100546535 B1 KR 100546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outdoor
outdoor heat
plat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905A (ko
Inventor
가네꼬요시아끼
나까지마겐이찌
구사마요시미
사또스스무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7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6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실외 열교환기의 핀을 변형시키는 일 없이, 풍량이 많은 부분에 외기 온도 검출 센서를 부착할 수 있는 실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송풍기 등을 배면측이 개방된 하우징 내에 수납하고, 이 개방된 배면측에 실외 열교환기를 배치하고, 이 실외 열교환기의 상면에 보강판을 배치하고, 이 보강판에 실외 열교환기(15)의 외면에 따라서 수직 하강하는 센서 케이스(43)를 부착하였다.
온도 검출 센서,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실외 송풍기, 센서 케이스

Description

실외 유닛 {OUTDOOR UNIT}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외 유닛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2는 실외 유닛의 정면도.
도3은 측판, 보강판, 지지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보강판과 지지 플레이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측판과 보강판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마찬가지로 상기 측판과 보강판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보강판과 센서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보강판과 센서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센서 케이스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0의 (a) 및 (b)는 각각 센서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외 유닛
3 : 바닥판
5 : 구획판
7 : 압축기
9 : 어큐뮬레이터
15 : 실외 열교환기
17 : 실외 송풍기
31 : 보강판
33 : 지지 플레이트
35 : 수직 상승부
41 : 오목부
43 : 센서 케이스
43A : 부착부
43B : 센서 홀더부
43C : 도어 부재
45 : 온도 센서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를 구성하는 실외 유닛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송풍기 등을 하우징 내에 수납한 실외 유닛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것에서는, 실외 유닛의 운전 중에 외기 온도를 검출하여 이 외기 온도에 따라서, 예를 들어 냉난방 자동 운전 모드의 절환 제어를 행하거나, 제상 운전으로 들어가는 타이밍을 검지하거나 하고 있다. 이 경우의 외기 온도 검출 센서는 실외 열교환기의 외면에 부착되지만, 외기 온도 의 검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외기 취입량이 많은 부분, 즉 풍량이 많은 부분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최근 실외 유닛의 하우징의 배면측을 개방하고, 이 개방된 배면측에 실외 열교환기를 배치하여 공기 취입량을 증대시킨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것에서는, 외기 온도 검출 센서를 실외 열교환기의 풍량이 많은 부분에 부착하게 되면, 그 부착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실외 열교환기의 핀 사이를 관통시켜 냉매관에 삽입하여 부착해야만 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325518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서는 실외 열교환기의 핀 사이를 관통시켜 냉매관에 삽입하여 외기 온도 검출 센서를 부착하므로, 이 실외 열교환기의 핀을 변형시키기 쉬워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과제를 해소하여 실외 열교환기의 핀을 변형시키는 일 없이, 풍량이 많은 부분에 외기 온도 검출 센서를 부착할 수 있는 실외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송풍기 등을 배면측이 개방된 하우징 내에 수납하고, 이 개방된 배면측에 실외 열교환기를 배치하고, 이 실외 열교환기의 상면에 보강판을 배치하고, 이 보강판에 실외 열교환기의 외면을 향해 수직 하강하는 외기 온도 검출용 온도 센서를 수용한 센서 케이스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의 상면에 상방으로 수직 상승하는 수직 상승부를 형성하고, 이 수직 상승부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에 상기 센서 케이스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센서 케이스가 보강판의 상면에의 부착부와, 실외 열교환기의 외면에 수직 하강되는 바구니형의 센서 홀더부를 갖고, 이 센서 홀더부는 실외 열교환기의 외면측이 개방되고, 이 개방부에는 온도 센서의 탈착시에 개폐되는 도어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있어서, 부호 1은 실외 유닛을 나타낸다. 이 실외 유닛(1)은 도시를 생략한 실내 유닛에 대해 냉매 배관으로 접속되고, 이에 의해 분리형 공기 조화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이 실외 유닛(1)은 강판제의 바닥판(3) 상에 상기 강판제의 구획판(5)이 세워 설치되고, 이 구획판(5)의 양측에 열교환실(A) 및 기계실(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계실(B)에는 냉동 사이클의 일부를 구성하는 압축기(7), 어큐뮬레이터(9), 냉매 배관(11), 또는 전장 상자(13) 등이 배치되고, 열교환실(A)에는 실외 열교환기(15), 실외 송풍기(17) 등이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실(A) 및 기계실(B)은 양 사이드가 한 쌍의 강판제인 측판(21)으로 덮 여지고, 바닥부가 바닥판(3)으로 덮여지고, 상부가 강판제의 천정판(23)으로 덮여지고, 전방부가 상기 강판제의 전방판(25)으로 덮여져 있다. 이 전방판(25)과 천정판(23)은 일체로 성형되어 대략 L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열교환실(A) 및 기계실(B)의 배면측은 개방되고, 이 개방된 배면측에는 실외 열교환기(15)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이 열교환실(A) 및 기계실(B)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실외 열교환기(15)의 상면에 보강판(31)이 배치되어 있다. 이 보강판(31)은 열교환실(A) 및 기계실(B)의 대략 전체 폭에 걸쳐서 설치되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열교환기(15)를 협입하는 갈고리부(31A)를 구비하고, 이 갈고리부(31A) 사이(도5 참조)에 실외 열교환기(15)의 상부를 협입하여 부착된다. 이 보강판(31)에는 한 쌍의 측판(21)과, 천정판(23)과, 실외 송풍기(17)의 모터(17A)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33)가 부착되어 있다.
이 지지 플레이트(33)의 상부(33A)는 보강판(31)측으로 절곡되고, 그곳에는 작은 개구(3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개구(33B)에는 보강판(31)에 설치된 돌기(31B)가 끼워 맞추어지고, 이들을 끼워 맞춘 후 지지 플레이트(33)의 상부(33A)와, 보강판(31)이 나사(37)를 거쳐서 결합된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지지 플레이트(33)의 하부(33C)는 상부(33A)와 반대측으로 절곡되고, 이 하부(33C)는 도시를 생략한 나사를 거쳐서 강판제의 바닥판(3)에 고정되어 있다.
도5는 측판(21)과 보강판(31)의 결합 순서를 도시한다. 이 보강판(31)의 상 면이며, 상기 보강판(31)의 배면측의 위치에는 절곡에 의해 상방으로 수직 상승하는 수직 상승부(35)가 일체 형성되고, 이 수직 상승부(35)에는 조립시에 천정판(23)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5A)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 상승부(35)의 양단부에는 측판(21)의 자물쇠형의 꺾임 부재(21A)를 걸어 상기 측판(21)을 가고정 가능하게 한 계지부(35B)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하우징의 조립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바닥판(3) 상에 실외 열교환기(15)를 포함하는 각종 기기류를 고정한 후, 이 실외 열교환기(15)의 상부에 보강판(31)을 끼워 넣는다. 그리고, 이 보강판(31)에 지지 플레이트(33)를 고정하여 이 지지 플레이트(33)에 실외 송풍기(17)를 부착한다. 다음에, 보강판(31)의 계지부(35B)에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된 한 쌍의 측판(21)의 꺾임 부재(1A)를 각각 걸어, 측판(21)이 쓰러지지 않도록 한 쌍의 측판(21)과 보강판(31)을 가고정한다.
이 가고정의 상태에서 도1을 참조하여 일체 성형된 전방판(25)과 천정판(23)을 한 쌍의 측판(21) 및 보강판(31)의 지지부(35A) 상에 싣고, 각 판의 자세를 하우징 형상으로 정리하면서 필요 부위를 나사 고정한다. 보강판(31)과 측판(21)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37)로 본고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판(31)의 수직 상승부(35)에 오목부(41)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41)에 외기 온도 검출용 온도 센서를 수용한 센서 케이스(43)가 부착되고, 이 센서 케이스(43)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위에 천정판(23)을 씌워 이 천정판(23)을 나사(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함으 로써 실외 열교환기(15)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다. 센서 케이스(43)는 임의의 위치에 부착 가능하고, 예를 들어 측판(21)으로부터의 거리(L), 또는 열교환기(15)의 상변으로부터의 거리(H)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센서 케이스(43)는 수지제이며, 수직 상승부(35)의 오목부(41)에의 부착부(43A)(도8 참조)와, 실외 열교환기(15)의 외면에 따라서 수직 하강되는 바구니형의 센서 홀더부(43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센서 홀더부(43B)는, 도10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열교환기(15)의 외면측이 개방되고, 이 개방부에는 온도 센서(45)의 탈착시에 개폐되는 도어 부재(43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온도 센서(45)는 리드선(45A)을 포함하고, 이 리드선(45A)은 리드선 압박부(43D)에 보유 지지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고, 부착부(43A)의 오목부(43E) 내로 유도된 후 보강판(31)에 따라서 배선되어 상기 전장 상자(13) 내의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판(31)의 길이 방향의 임의 위치에 오목부(41)를 형성함으로써, 그 길이 방향의 임의 위치에 센서 케이스(43)를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본래, 센서 케이스(43)는 외기 취입량(풍량)이 많은 위치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종에 의해 풍량이 많은 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풍량이 가장 많은 위치를 선택하여 그 위치에 맞추어, 예를 들어 측판(21)으로부터의 거리(L), 또는 열교환기(15)의 상변으로부터의 거리(H)를 변화시켜 센서 케이스(43)를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정밀도 로 외기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바구니형의 센서 홀더부(43B)에 온도 센서(45)를 수납하였으므로, 이 온도 센서(45)에 직접 손을 댈 수 없어 그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의 통과가 좋아져 외기 온도의 정확한 검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센서 홀더부(43B)에는 도어 부재(43C)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도어 부재(43C)를 개방함으로써 고장난 온도 센서(45) 등을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보강판(31)을 구비한 것에 의해 분리된 측판(21)의 가고정 및 본고정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보강판(31)을 구비함으로써, 하우징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실외 유닛(1)의 횡방향의 사이즈가 변화된 경우라도 실외 열교환기(15), 이에 대응한 보강판(31), 바닥판(3), 전방판(25), 천정판(23) 등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좋고, 한 쌍의 측판(21)은 공통화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실외 열교환기(15)에 대해 기기류 등을 직접 부착하는 일 없이 그들을 모두 보강판(31)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실외 열교환기(15)의 얇은 핀 등에 손상을 가하는 일이 적다.
또한, 이 하우징은 배면측이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된 배면측에 실외 열교환기(15)가 배치되므로, 공기 취득량이 증대되어 실외 열교환기(15)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일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실외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풍량이 많은 임의의 부분에 외기 온도 검출 센서를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Claims (3)

  1.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송풍기 등을 배면측이 개방된 하우징 내에 수납하고, 이 개방된 배면측에 실외 열교환기를 배치하고, 이 실외 열교환기의 상면에 보강판을 배치하고, 이 보강판에 실외 열교환기의 외면에 따라서 수직 하강하는 외기 온도 검출용 온도 센서를 수용한 센서 케이스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의 상면에 상방으로 수직 상승하는 수직 상승부를 형성하고, 이 수직 상승부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에 상기 센서 케이스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케이스가 보강판의 상면에의 부착부와, 실외 열교환기의 외면에 수직 하강되는 바구니형의 센서 홀더부를 갖고, 이 센서 홀더부는 실외 열교환기의 외면측이 개방되고, 이 개방부에는 온도 센서의 탈착시에 개폐되는 도어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유닛.
KR1020030078514A 2002-12-25 2003-11-07 실외 유닛 KR100546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74638A JP3831704B2 (ja) 2002-12-25 2002-12-25 室外ユニット
JPJP-P-2002-00374638 2002-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905A KR20040057905A (ko) 2004-07-02
KR100546535B1 true KR100546535B1 (ko) 2006-01-26

Family

ID=3281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514A KR100546535B1 (ko) 2002-12-25 2003-11-07 실외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831704B2 (ko)
KR (1) KR100546535B1 (ko)
CN (1) CN124477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8833B2 (ja) * 2004-12-24 2011-04-2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4876538B2 (ja) * 2005-11-07 2012-0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センサ固定装置
KR20100046386A (ko) * 2008-10-27 201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5213844B2 (ja) * 2009-12-28 2013-06-1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246325B2 (ja) * 2011-12-28 2013-07-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6464518B2 (ja) * 2014-03-07 2019-02-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農業用センサ
JPWO2022157979A1 (ko) * 2021-01-25 2022-07-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10345A (zh) 2004-07-07
JP2004205106A (ja) 2004-07-22
CN1244777C (zh) 2006-03-08
KR20040057905A (ko) 2004-07-02
JP3831704B2 (ja)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0305B2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EP3124888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20100193164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46535B1 (ko) 실외 유닛
EP2711641A1 (en) Outdoor unit for refrigeration device
KR20050019591A (ko) 응축기 케이싱을 구비한 일체형 공기조화기
CN1246601A (zh) 用于房间空调器的控制箱
KR101470537B1 (ko) 공기조화기
KR100776260B1 (ko) 공기조화기
KR100549145B1 (ko) 실외 유닛
CN208300157U (zh) 用于空调室内机的显示盒、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10148559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베이스
JP467883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4339496B2 (ja) 空気調和機
EP4206592A1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CN115966809A (zh) 一种机柜空调和集装箱组件
CN101432586A (zh) 线保持器
US20110226002A1 (en) Refrigerator
CN108413504B (zh) 空调室内机
CN111853958A (zh) 用于窗式空调器的机壳部件和窗式空调器
KR20060082582A (ko) 공기조화기의 온도센서 고정구조
CN222210670U (zh) 空调器
CN211345774U (zh) 空调器的前壳组件和空调器
KR101075231B1 (ko) 공기조화기
KR100600069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