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412B1 - Cores for ink ribbon of thermal transfer magnetics, ink ribbon cassette - Google Patents
Cores for ink ribbon of thermal transfer magnetics, ink ribbon casset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5412B1 KR100545412B1 KR1020047010423A KR20047010423A KR100545412B1 KR 100545412 B1 KR100545412 B1 KR 100545412B1 KR 1020047010423 A KR1020047010423 A KR 1020047010423A KR 20047010423 A KR20047010423 A KR 20047010423A KR 100545412 B1 KR100545412 B1 KR 1005454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e
- ink ribbon
- cassette
- clutch
- thickn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54—Locking devices applied to print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1/00—Ink ribbons; Renovating or testing ink ribb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2/00—Ink-ribbon cart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3/00—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feeding ink ribbons or like character-size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33/1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 B41J33/52—Brak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통부(a)와, 통부(a)의 내부에 형성된 중심공(206)과, 통부(a)의 상단에 형성된 오목부(205)와, 오목부(205)에 돌설되고, 중심공(206)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마련되며, 테이퍼면을 구비하는 다수의 클러치부(207)로 이루어지는 잉크리본권장용 코어(202,203)이며, 클러치부(207)의 테이퍼면은 코어상단측에 있는 선단부의 두께를 상기 오목부측에 있는 기단부보다도 얇게 하고 코어중심측 부분의 두께를 코어외주측의 부분의 두께보다도 얇게함으로써 상기 오목부의 연직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The central hole 206 is protruded into the cylinder portion a, the central hole 206 formed inside the cylinder portion a, the recess 205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ylinder portion a, and the recess 205. The ink ribbon recommended cores 202 and 203 are provided radially from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lutch portions 207, each having a tapered surface. The tapered surface of the clutch portion 207 has a thickness of the tip portion at the upper end of the core. I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aid recessed part by making it thinner than the base end part in a side part, and making thickness of the core center side part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rt of a core outer peripheral 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전사 인자기에 사용되는 잉크리본권장용 코어 및 잉크리본카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ribbon recommended core and an ink ribbon cassette used in a thermal transfer printing machine.
삭제delete
일반적으로 배전반 등의 전기설비에 조립된 전선의 종류나 기능을 도시하기 위해 전선에는 문자나 기호가 표시되고 있다. 그 경우 전선에 직접적으로 인쇄할 수 없기 때문에 짧은 튜브에 문자나 기호를 인자해 두고 이 튜브에 전선을 삽통하여 표시하고 있다. 또 책이나 바인더의 앞뒤표지에 문자나 내용을 표시한 테이프를 점착하는 것이 시행되고 있지만 이 테이프도 표면에 제명 등의 문자를 인자한 것이다.In general, letters and symbols are marked on the wires to show the types and functions of the wires assembled in the electrical equipment such as switchboards. In this case, since it cannot be printed directly on the wire, the letter or symbol is printed on a short tube and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tube. In addition, although a tape showing letters or contents is attached to the front and back covers of books and binders, this tape also prints letters such as deductions on the surface.
어느 경우도 인자는 열전사 인자기에 의해 시행되는 것이지만 열전사 인자기는 튜브나 테이프를 플라텐롤러 등의 피인자재의 표면에 꽉 누르고, 그 위로부터 잉크리본과 인자헤드를 꽉 누르며, 인자헤드를 가열하여 잉크리본의 잉크를 녹여 서 문자나 기호를 튜브나 테이프에 열전사하는 것이다.In any case, the printing is performed by a thermal transfer printing machine, but the thermal transfer printing presses the tube or tape to the surface of the material such as the platen roller, presses the ink ribbon and the printing head from above, and heats the printing head. This is to melt the ink in the ink ribbon and thermally transfer the letters or symbols to the tube or tape.
잉크리본카세트를 인자기에 장착하기 전은 잉크리본의 인출코어와 권취코어는 프리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코어에 감겨진 리본의 감음이 느슨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이 상태에서 인자기에 셋트되면 문자의 인자에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또 잉크리본은 소모품이기 때문에 사용이 끝난 잉크리본은 분리하고, 새로운 것을 장전해야 하지만 종래는 잉크리본을 미리 카세트에 수납해 두고 카세트마다 인자기에 장전하는 카세트장전방식을 채용해 왔다.Before the ink ribbon cassette is attached to the printing machine, the take-out core and the winding core of the ink ribbon are in a free state, so the winding of the ribbon wound around the core may be loosened. There was a case. In addition, since the ink ribbon is a consumable item, the used ink ribbon must be removed and a new one loaded. However, in the past, a cassette loading method has been adopted in which the ink ribbon is stored in a cassette in advance and loaded into a printing machine for each cassette.
카세트방식의 장점은 얇은 잉크리본의 취급이 용이하며 장전성도 좋다. 그 반면 단점으로서는 잉크리본을 다 사용하면 카세트전부가 폐기되게 되어 환경을 손상시키는 외에 단가도 높다.The advantage of the cassette method is that the thin ink ribbon is easy to handle and has good load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drawback is that when the ink ribbon is used up, the entire cassette is discarded, which damages the environment and also increases the cost.
카세트방식에 대해 코어에 감겨 잉크리본만을 교환하는 코어를 감는 장전방식이 있다. 이는, 취급은 카세트방식과는 다르지만 단가도 싸고 폐기하는 부분이 적으므로 때문에 환경에 대한 부하도 작게 된다.In the cassette method, there is a loading method in which a core is wound around the core to replace only the ink ribbon. Although the handling is different from the cassette system, since the unit price is cheap and there are few parts to discard, the load on the environment is also reduced.
또 상기와 같은 잉크리본카세트를 열전사 인자기에 장착한 때는 잉크리본카세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보존되어 있어야만 한다. 그 때문에 종래는 합성수지제 부재의 탄성에 의해 잉크리본카세트를 압압하거나 결합하거나 하여 유지시키고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above-described ink ribbon cassette is mounted on the thermal transfer printing machine, the ink ribbon cassette must be stored so as not to move. For this reason, the ink ribbon cassette is conventionally pressed or held together by the elasticity of the synthetic resin member.
그러나 잉크리본카세트에는 비장착시에 내부의 잉크리본이 제멋대로 회전하지 않도록 카세트용기의 일부에 노치(notch)를 형성하여 잉크리본축에 결합시킴으로써 회전멈춤을 형성하는 것이 있다. 이런 종류의 회전멈춤을 구비한 카세트에 있어서는 인자기본체에 장착됨으로써 인자기본체에 마련된 테이프릴회전축이 상기 회전멈춤을 밀어올려 테이프릴의 결합을 해제하는 구성이 되고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해제시에 잉크리본카세트에 가해지는 밀어올리는 힘은 크므로 종래의 합성수지부재에 의한 보존기구로는 충분히 유지할 수 없다.Some ink ribbon cassettes, however, are formed by forming notches in a portion of the cassette container and engaging the ink ribbon shaft so that the internal ink ribbon does not rotate arbitrarily when unmounted. In a cassette provided with this kind of rotation stop, the tape reel rotation shaft provided on the printing base body is pushed up to the rotation stop to release the coupling of the tape reel. According to this method, since the pushing force applied to the ink ribbon cassette at the time of release is large, it cannot be sufficiently maintained by the conventional storage mechanism by the synthetic resin member.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 잉크리본의 비장착시의 느슨하게 감는 것을 최소부품수로 없앨 수 있으며 또한 카세트방식이나 코어권회방식에도 대응할 수 있는 열전사용 잉크리본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제 1과제로 한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thermal transfer ink ribbon cassette capable of eliminating the loose winding when the ink ribbon is not mounted with the minimum number of parts and also being capable of coping with the cassette method or the core winding method.
또 상기 열전사용 잉크리본카세트에 적합한 잉크리본권장용 코어를 제공하는 것을 제 2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ink ribbon recommended core suitable for the above-mentioned thermal transfer ink ribbon cassette.
상기 제 1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열전사용 잉크리본카세트는 잉크리본을 권장한 코어를 카세트본체에 수납한 열전사용 잉크리본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카세트본체의 상벽과 저벽 사이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배치하고, 상기 저벽에는 코어 중심공의 하단부를 열전사 인자기의 잉크리본용 회전축에 결합시키기 위한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상벽에는 상기 중심공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단축부와 상기 코어 중심공의 상단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클러치부에 결합가능한 결합클로를 구비한 플랩을 상하로 요동가능하도록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first problem, the thermal transfer ink ribbon casset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ermal transfer ink ribbon cassette in which a core for which ink ribbon is recommended is accommodated in a cassette body, wherein the core is rotated between an upper wall and a bottom wall of the cassette body. It is arranged so as to be free, the bottom wall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for coupling the lower end of the core center hole to the ink ribbon rotation axis of the thermal transfer printing machine, the upper wall and the short axis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er hole and the core center A flap having a coupling claw engageable with the clutch portion radially form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ball is provided so as to be swingable up and down.
삭제delete
또한 상기 플랩은 상기 카세트본체의 상벽에 노치(notch)를 넣음으로써 형성해도 된다.The flap may be formed by inserting a notch into the upper wall of the cassette body.
또 상기 카세트본체의 측벽에는 내부의 상기 코어를 삽입이탈가능한 개구부를 형성해도 된다.Moreover, you may provide the opening part which can insert and remove the said core in the side wall of the said cassette main body.
상기 제 2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잉크리본권장용 코어는 통부와, 상기 통부의 내부에 형성된 중심공과, 상기 통부의 상단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돌설되고, 상기 중심공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마련되며, 테이퍼면을 구비하는 다수의 클러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러치부의 테이퍼면이 코어상단측에 있는 선단부의 두께를 상기 오목부측에 있는 기단부보다도 얇게 하며, 코어중심측 부분의 두께를 코어외주측의 부분의 두께보다도 얇게함으로써 상기 오목부의 연직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second problem, the ink ribbon recommended 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portion, a center hol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tube portion, a recess formed in an upper end of the tube portion, and a protrusion formed in the recess. And a plurality of clutch portions provided radially from and having a tapered surface, wherein the tapered surface of the clutch portion is made thinner than the proximal portion on the recessed side, and the thickness of the core center side portion is made thinner. It is characterized by making it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said recessed part by making it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rt of a core outer peripheral side.
또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클러치부의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된 상기 제 1측면과, 상기 오목부에 대해 대략 연직인 면으로서 형성된 상기 제 2측면을 구비해도 된다.The clutch portion may have the first side surface formed as a tapered surface of the clutch portion and the second side surface formed as a surfac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recessed portion.
또 상기 통부가 내면의 길이방향에 형성된 돌출줄기를 구비해도 된다.Moreover, the said cylinder part may be provided with the protruding stem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inner surface.
또 상기 통부의 상하양면 각각에 플랜지가 마련되고 상기 통부의 외면에 소경부를 형성해도 된다.Moreover, a flange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ylinder portion, and a small diameter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또한 상기 제 2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술한 본 발명에 관한 잉크리본권장용코어의 특징을 각각 구비하는 제 1코어와 제 2코어를 조합하여 잉크리본권장용 코어세트로 해도 된다.Moreover, in order to solve the said 2nd subject, you may make it the ink ribbon recommended core set combining the 1st core and the 2nd core which respectivel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k ribbon recommended cor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mentioned above.
또한 상기 제 1코어와 상기 제 2코어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한 잉크리본권장용 코어로서의 상술한 특징은 공통으로 할 필요는 없으며 각각 다른 특징으로 구성시켜도 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features as the ink ribbon recommendation 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need not be common, and may be constituted by different features.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열전사인자기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top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the thermal transfer facto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도 2는 잉크리본카세트를 저면에서 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k ribbon cassette from the bottom.
도 3(a) 및 도 3(b)는 잉크리본카세트의 장착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3 (a) and 3 (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mounting mode of the ink ribbon cassette.
도 4는 제 1슬라이드부재와 제 2슬라이드부재의 슬라이드양태를 도시하는 확 대도.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lide aspect of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도 5는 제 1슬라이드부재와 제 2슬라이드부재의 슬라이드양태를 도시하는 확대도.Fig.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lide aspect of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도 6은 제 1슬라이드부재와 제 2슬라이드부재의 슬라이드양태를 도시하는 확대도.Fig.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lide aspect of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도 7은 잉크리본 교환시의 인자기본체의 평면도.Fig. 7 is a plan view of the printing base when ink ribbon is replaced.
도 8(a) 및 도 8(b)는 잉크리본카세트의 사시도.8 (a) and 8 (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ink ribbon cassette.
도 9는 저벽을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9 is a bottom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bottom wall is removed.
도10(a) 및 도10(b)는 각각 코어(권취코어)의 사시도 및 단면도.10 (a) and 10 (b)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ore (winding core), respectively.
도11은 잉크리본카세트의 요부의 단면도.Fig. 11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the ink ribbon cassette.
도12는 열전사 인자기의 회전축이 플랩을 밀어올린 상태의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rotation axis of the thermal transfer printing machine pushes up a flap.
도13은 다른 잉크리본카세트의 평면도.Fig. 13 is a plan view of another ink ribbon cassette.
도14는 다른 잉크리본카세트의 평면도.Fig. 14 is a plan view of another ink ribbon cassett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04: 제 1슬라이드부재 108: 잉크리본카세트104: first slide member 108: ink ribbon cassette
115: 제 2슬라이드부재 118,119: 결합부115:
202: 코어 203: 권취코어202: core 203: winding core
204: 카세트본체 209: 상벽204: cassette body 209: upper wall
215: 플랩 220: 단축부215: flap 220: shortening portion
221: 결합클로221: combined claw
처음에 도 1~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열전사 인자기의 구성에 관하여, 특히 잉크리본카세트를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7, the ink ribbon cassette is demonstrated especially regarding the structure of the thermal transfer printing machin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도 1에 있어서 부호 101은 열전사 인자기본체를 도시한다. 열전사 인자기 본체(101)에는 플라텐롤러(102)와 인자헤드(103)가 마련되어 있다. 플라텐롤러(102)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인자헤드(103)는 인자기본체에 수평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도록 마련되고,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플라텐롤러(102)로부터 이반하도록 작동되어 있다. 또 인자헤드(103)는 제 1슬라이드부재(104)의 기립편(105)에 결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슬라이드부재(104)가 슬라이드함으로써 인자헤드(103)는 플라텐롤러(102)에 대해 압압 또는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있다.In Fig. 1,
플라텐롤러(102)와 인자헤드(103)는 상대적으로 압압 또는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된다. 따라서 제 1슬라이드부재(104)에 플라텐롤러(102)를 연동시키고, 고정된 인자헤드(103)에 플라텐롤러(102)를 압압이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The
다음에 열전사 인자기 본체(101)에는 2개의 회전축(106)(107)이 마련되고, 이들의 회전축(106)(107)에는 잉크리본카세트(108)가 장착된다. 잉크리본카세트(108)내부에는 잉크리본(109)과 그 권취릴(110)이 수납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카세트(108) 저벽(111)의 근방에는 잉크리본(109)과 권취릴(110) 사이를 가로지르는 선(P)에 대응하는 양단부의 측벽은 절개되어 결합받이부(112)(113)가 형성되고 또 일단부에는 관통공(114)이 형성되어 있다.Next, two
또 잉크리본카세트(108)의 하부에는 판모양의 제 2슬라이드부재(115)가 배치되고 있다. 제 2슬라이드부재(115)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등의 강도가 높은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도 3(a)과 같이 그 일측의 양단에는 한쌍의 결합부(118)(119)가 형성되고 있다. 이들 결합부(118)(119)는 각각 기립한 기립편(116)과 기립편(116)의 선단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결합클로(117)로 이루어지고, 기립편(116)과 기립편(117)으로 역 L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클로(117)의 내측에는 기부로부터 선단에 걸쳐서 경사진 경사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슬라이드부재(115)는 인장스프링(121)에 의해 상시 제 1슬라이드부재(104)측으로 이동하도록 작동되어 있다.A plate-shaped
상기 잉크리본카세트(108)의 양단의 결합받이부(112)(113)는 장착시에 제 2슬라이드부재(115)의 결합부(118)(119)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또 제 2슬라이드부재(115)의 선단측에는 도 4와 같이 대략 삼각형의 구멍(122)이 형성되고, 이 삼각구멍(122)에는 제 1슬라이드부재(104)의 선단에 형성된 돌축(123)이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슬라이드부재(104)에 제 2슬라이드부재(115)가 일정한 범위에서 연동하여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슬라이드부재(104)의 슬라이드량은 제 2슬라이드부재(115)의 슬라이드양의 약 2배정도로 설정되어 있다.In addition, a substantially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잉크리본의 교환시에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제 1슬라이드부재(104)를 도면에서의 우측으로 슬라이드 시켜서 도 6 및 도 7과 같이 플라텐롤러(102)와 인자헤드(103)가 이반하도록 이동시킨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ink ribbon is replaced, the
이와 같이 제 1슬라이드부재(104)를 슬라이드시켰을 때 돌축(123)은 제 2슬라이드부재(115)의 삼각구멍(122)의 앞쪽 즉 제 1슬라이드부재(104)측에서 도 4에 도시하는 부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드양의 절반정도 슬라이드시킬 때 까지는 돌축(123)은 삼각구멍(122)의 내측을 이동할 뿐이기 때문에 제 2슬라이드부재(115)는 이동하지 않는다. 제 1슬라이드부재(104)가 슬라이드양의 절반을 넘으면 상기 돌축(123)은 도 5에 도시하는 삼각구멍(122) 안쪽 벽에 닿기 때문에 그 이상 이동하면 돌축(123)이 제 2슬라이드부재(115)를 밀어 인장스프링(121)의 스르링에 대항하여 제 2슬라이드부재(115)도 제 1슬라이드부재(104)에 연동하고, 도 6위치까지 이동한다.When the
다음에 플라텐롤러(102)와 인자헤드(103)사이에서 잉크리본(109)을 인출하고, 사용완료한 잉크리본카세트(108)를 분리하며 열전사 인자기 본체(101)의 회전축에 새로운 잉크리본카세트(108)를 통하여 장착한다. 이 때 도 3(a)과 같이 제 2슬라이드부재(115)의 한쪽 결합부(118)는 그 중간부까지 잉크리본카세트(108)의 저벽(111)의 관통공(114)을 지난다. 또한 인자헤드(103)와 플라텐롤러(102)사이에 피인자재(도시하지 않음)를 세트한 후 제 1슬라이드부재(104)를 역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인자헤드(103)를 플라텐롤러(102)에 압압시키도록 이동시킨다.Next, the
제 1슬라이드부재(104)를 슬라이드시켰을 때 도 6과 같이 돌축(123)은 제 2슬라이드부재(115)의 삼각구멍(122)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지만 도 1 및 도 3(b)와 같이 제 2슬라이드부재(115)는 인장스프링(121)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시 제 1슬라이드부재(104)측으로 이동하도록 작동되어 있으므로 제 1슬라이드부재(104)와 연동하여 제 2슬라이드부재(115)도 이동한다. 제 2슬라이드부재(115)가 스프링력에 의해 이동하면 그 결합부(118)(119)도 같은방향으로 이동하고 결합부(118)(119)의 결합클로(117)의 경사부(120)는 잉크리본카세트(108)의 저벽(111)의 결합받이부(112)(113)에 결합하지만 저벽(111)은 결합클로(117)의 경사부(120)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려지므로 잉크리본카세트(108)는 견고하게 보존된다.When the
이와같이 결합한 시점에서 제 2슬라이드부재(115)는 도 5의 위치에서 정지하고, 그 이상은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제 1슬라이드부재(104)는 다시 이동하므로 돌축(123)은 도 4와 같이 삼각구멍(122)의 앞쪽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인자헤드(103)는 플라텐롤러(102)에 대해 압압된다. 이에 따라 인자가 가능하게 된다.At this point of engagement, the
이상과 같이 제 1슬라이드부재(104)와 함께 제 2슬라이드부재(115)가 이동하여 잉크리본카세트(108)에 결합하므로 제 2슬라이드부재(115)를 금속 등의 고강도의 재료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잉크리본카세트(108)는 제 2슬라이드부재(115)에 확실하게 보존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리본카세트(108)를 인자기 본체에 장착했을 때 도 3(b)과 같이 인자기본체에 마련된 회전축(106)(107)으로 잉크리본카세트(108)의 회전멈춤(125)을 밀어올려 회전멈춤을 해제하는 경우에도 충분히 견고하게 잉크리본카세트(108)를 보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또 제 2슬라이드부재(115)의 스트로크의 전반에서 잉크리본카세트(108)의 보존을 완료하고, 그 후는 제 1슬라이드부재(104)와의 기계적 접촉이 차단되므로 잉크리본카세트(108)의 보존을 위해 제 2슬라이드부재(115)가 인자헤드(103)를 압압하지 않고 인자헤드(103)는 일정한 압력으로 플라텐롤러(102)에 압압되기 때문에 인자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없다.In addition, the preservation of the
또한 상술한 제 1슬라이드부재(104)와 제 2슬라이드부재(11)의 이동은 잉크리본카세트(108)뿐만 아니라 인자용 튜브나 테이프 등의 소모품을 교환할 때도 마찬가지로 시행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movement of the
또 잉크리본카세트의 결합부와 이 결합부에 결합하는 제 2슬라이드부재의 부위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the engaging portion of the ink ribbon cassette and the portion of the second slide member engaging with the engaging por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계속해서 도 8(a)~도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열전사 인자기의 구성에 관해 특히 잉크리본권장용 코어 및 잉크리본카세트를 설명한다.Subsequently,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14, the configuration of the thermal transfer prin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particular, an ink ribbon recommended core and an ink ribbon cassette.
도 8(a) 및 (b)는 잉크리본카셋의 사시도, 도 9는 저벽을 제외한 상태의 저면도이며 도 10(a) 및 (b)는 각각 코어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위 도면에 있어서 부호 A는 열전사용 잉크리본카세트를 도시한다. 이 잉크리본카세트(A)는 열전사용 잉크리본(201)을 권장한 코어(202)와 잉크리본(201)의 권취용의 코어(203)를 카세트본체(204)에 수납한 것으로 코어(202)와 권취코어(203)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중앙의 통부(a)의 상하양단에 플랜지(b)를 마련하며 통부(a)의 내부에 중심공(206)을 형성한 것으로 통부(a)의 상단에는 오목부(205)가 형성되며, 오목부(205)에는 상기 중심공(206)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의 돌편상의 클러치부(207)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통부(a)의 내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돌출줄기(208)가 형성되고 있다.8 (a) and 8 (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ink ribbon cassette, FIG. 9 is a bottom view of the state excluding the bottom wall, and FIGS. 10 (a) and 10 (b)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the core.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A denotes a thermal transfer ink ribbon cassette. The ink ribbon cassette A stores the
도10(a) 및 (b)에서는 특히 권취코어(203)의 경우를 예로서 코어를 도시하고 있다. 권취코어(203)에는 통부(a) 외면에는 소경부(261)가 마련되고 있으며 단차를 형성하고 있다. 인자헤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인자된 후의 잉크리본(201)은 인자되어 잉크가 소비된 개소의 영향에 의해 왜곡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권취코어(203)에 잉크리본(201)이 감겨질 때 잉크리본(201)의 길이방향의 외연부가 원활하게 잘 감겨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소경부(261)를 마련함으로써 코어(202)로부터 보내지고 인자헤드에 의해 인자된 후의 잉크리본(201)을 마지막까지 원활하게 감을 수 있게 된다.In Figs. 10A and 10B, the core is illustrated by taking the case of the winding
한편 도 9, 도13 및 도14와 같이 코어(202)에는 통부(a)의 소경부(261) 및 플랜지(b)를 마련할 필요는 없으며 평활한 통부(a)에 잉크리본(201)을 직접 감아도 된다. 통부(a)의 소경부(261) 및 플랜지(b)를 마련하지 않음으로써 카세트본체(204)의 내부에서 코어(202) 및 권취코어(203)를 더욱 근접시켜서 배치시키고 카세트본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9, 13 and 14, the
또 코어(202)와 권취코어(203)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도 9에 도시한 것과 역 배치로 해도 된다.In addition,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도10(a) 및 (b)와 같이 코어(202) 및 권취코어(203)의 클러치부(207)에는 오목부(205)의 연직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한 테이퍼면을 구비하고 있다. 도10(a)과 같이 이 클러치부(207)의 테이퍼면은 코어상단측에 만나는 선단부의 두께를 오목부(205)측의 기단부보다도 얇게하고 코어중심측 부분의 두께를 코어외주측 부분의 두께보다도 얇게함으로써 형성되고 있다. 또 클러치부(207)는 후술의 결합클로(221)와 결합하는 2개의 측면 중 한쪽 측면(제 1측면(207a))만을 테이퍼면으로 하고 있으며 다른쪽 측면(제 2측면(207b))은 오목부(205)에 대해 대략 연직인 면으로 하고 있다.
카세트본체(204)는 상벽(209)과 저벽(210)과 측벽(211)으로부터 케이스상으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코어(202)와 잉크리본(201)의 권취코어(203)를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수납하는 수납부(212)가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코어(202)로부터 인출된 잉크리본(201)을 권취코어(203)에 감는 도중에 잉크리본(201)을 노출시키기 위한 한쌍의 리본 소(小)플리(213)가 마련되어 있다. 수납부(212)는 저벽(210)상에 잉크리본코어(202)와 권취코어(203)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원호상의 돌연(突緣)(214)의 내측에 형성되고 있다. 리본 소플리(213)의 내측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는 열전사 인자기의 인자헤드(도시하지 않음)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잉크리본카세트(108)에서의 결합받이부(112)(113)와 같이 도 8(a)의 상하양단부의 측벽에 노치(notch)를 형성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한 잉크리본카세트(108)에서의 관통공(114)과 같이 카세트본체(204)의 저벽(210)에 관통공을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결합받이부 및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술한 잉크리본카세트 보존기구와 조합함으로써 열전사 인자기에 장착된 잉크리본카세트를 확실하게 보존할 수 있다.
카세트본체(204)의 상벽(209)에는 코어(202)와 권취코어(203)에 대응하는 위치에 2개의 플랩(215)이 형성되어 있다. 즉 플랩(215)은 상벽(209)에 장단(張短) 2개의 대략 U자형의 노치(217)(218)을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노치(217)(218)의 내측에 형성되고 2개의 노치(217)(218)사이에는 L자형의 연결부(219)가 형성되어 있다. 도11과 같이 상기 플랩(215)의 일단의, 상기 코어(202)와 권취코어(203)의 각 중심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단축부(220)가 형성되고 단축부(220)의 더욱 선단의 상기 코어(202) 및 권취코어(203)의 각 클러치부(207)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돌기상의 결합클로(claw)(22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플랩(215) 반대측의 단부는 외부로부터 압압가능한 압압부(222)가 형성되고 있다. 이 압압부(222)를 압압하면 플랩(215)은 상기 연결부(219)를 중심으로 상하로 시소모양으로 요동한다.As shown in FIGS. 10A and 10B, the
The
Note that notches may be formed on the sidewall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FIG. 8A as in the
On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카세트본체(204)내의 잉크리본코어(202)와 권취코어(203)의 중심공(206)의 상부에는 상기 카세트본체(204)의 플랩(215)의 단축부(220)가 삽입되므로 도11과 같이 잉크리본코어(202)와 권취코어(203)는 상기 단축부(220)를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또 잉크리본코어(202)와 권취코어(203)의 중심공(206)의 상단주위의 방사상 클러치부(207)에는 상기 플랩(215)의 결합클로(221)가 결합되므로 상기 코어(202)나 권취코어(203)도 록상태가 되어 회전시킬 수 없다. 따라서 열전사 인자기에 장전하지 않을 때는 마음대로 회전할 수 없다. 잉크리본(1)이 느슨해져 있을 때는 도12와 같이 플랩(215)의 압압부(222)를 밀어넣어 플랩(215)을 요동시키고, 그 결합클로(221)와 잉크리본코어(202) 또는 권취코어(203)의 클러치부(207)와의 결합을 해제한 후 저벽(210)의 관통공(216)(도 8참조)에 노출한 코어(202) 또는 권취코어(203)를 손가락이나 봉 등으로 돌리면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또한 플랩을 카셋의 상벽과는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카세트의 상벽과는 별도체로서 형성해도 된다.The flap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upper wall of the cassette without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wall of the cassette.
도12와 같이 상기 구성의 잉크리본카세트를 열전사 인자기에 장전할 때는 열전사 인자기에 마련된 회전축(226)을 상기 카세트본체(204)의 저벽(210)에 형성된 관통공(216)에 삽통시키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잉크리본카세트를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열전사 인자기의 소정위치에 끼워넣어서 고정할 때 회전축(226)의 상단이 플랩(215)의 단축부(220)를 밀어올리므로 플랩(215)이 요동하고, 결합클로(221)가 떠오르며 클러치부(207)와의 결합이 풀리며 록상태가 해제된다. 회전축(226)의 외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줄기(223)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226)이 잉크리본카세트(A)의 관통공(216)에서 잉크리본코어(202)와 권취코어(203)의 각 중심공(206)에 삽통되면 회전축(226)의 돌출줄기(223)와 중심공(206)의 돌출줄기(208)가 서로 결합되므로 회전축(226)이 회전하면 잉크리본코어(202)와 권취코어(203)도 회전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2, when the ink ribbon cassette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loaded into the thermal transfer printing machine, the
또 상술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클러치부(207)에 있어서 결합클로(221)와 결합하는 2개 측면 중 제 1측면(207a)만을 테이퍼면으로 하고 있으며 제 2측면(207b)은 오목부(205)에 대해 대략 연직인 면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코어(202) 및 권취코어(203)의 록상태에서의 회전에 대한 저항은 코어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클러치부(207)의 테이퍼면(제 1측면(207a))과 결합클로(221)가 결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클러치부(207)의 제 2측면(207b)과 결합클로(221)가 결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와 비교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잉크리본카세트가 열전사인자기에 장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잉크리본(201)이 느슨해졌을 때 사용자가 자체 권취코어(203)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그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는 상술과 같은 클러치부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것을 사용자에게 재촉하여 잉크리본(201)의 헐거움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When the
또한 도 8과 같이 권취코어(203)에 대응하는 관통공(216)의 가장자리는 경사면(216a)이 마련되고 있다. 이 경사면(216a)에 의해 잉크리본카세트가 열전사인자기에 장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권취코어(203)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카세트본체(204)의 저벽(21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권취코어(203)의 일부를 사용자의 손가락과 원활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잉크리본(201)이 이완되었을 때 용이하게 권취코어(203)를 회전시킬 수 있다.8, the
또 도 8에서는 경사면(216a)이 권취코어(203)에 대응하는 관통공(216)에만 마련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코어(202)에 대응하는 관통공(216)에 마련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FIG. 8 shows the example in which the
도13은 다른 잉크리본카세트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카세트본체(304)과 같이 카세트본체의 양측부에 있어서, 측벽(211)을 잘라내어 개구부(224)를 형성해도 된다. 이 개구부(224)는 내부의 잉크리본코어(202)와 권취코어(203)를 삽입이탈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잉크리본코어(202)와 권취코어(203)로 이루어지는 잉크리본 권장용 코어세트를 자유로이 착탈할 수 있다. 즉 잉크리본 권장용 코어세트를 부착할 때는 플랩(215)의 압압부(222)를 강하게 눌러서 단축부(220)를 위로 뜨게 해 두고, 잉크리본코어(202) 또는 권취코어(203)를 상기 개구부(224)로부터 삽입하여 수납부(212)에 수납하며, 플랩(215)의 단축부(220)를 내리면 된다. 이에 대해 내부의 잉크리본코어(202) 또는 권취코어(203)를 분리할 때도 마찬가지로 하여 플랩(215)의 압압부(222)를 강하게 눌러서 단축부(220)를 위로 뜨게 해 두며, 잉크리본코어(202) 또는 권취코어(203)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꺼내면 된다.Fig. 13 is a plan view of another ink ribbon cassette. Like the
도14는 또 다른 잉크리본카세트의 평면도이다. 도14에 도시되는 카세트본체(404)는 도13에 도시되는 카세트본체와 마찬가지로 개구부(224a)(224b)를 구비하지만 코어(202)가 삽입이탈되는 개구부(224a) 근방의 저벽상에 볼록조(225)가 형성된다. 볼록조(225)를 마련함으로써 코어를 삽입이탈할 때의 코어와 카세트본체의 저벽과의 사이의 접촉저항을 줄이고 잉크리본의 교환을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볼록조(225)를 제거하고 도14에 도시하는 카세트본체(404)는 도8~도13에 도시되는 카세트본체(204)(304)와 마찬가지이며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또한 도14에서는 볼록조(225)를 개구부(224a)측에만 3개 마련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볼록조의 형상, 배치 및 가닥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볼록조는 권취코어(203)측의 개구부(224b)의 저벽에 마련해도 된다.Fig. 14 is a plan view of another ink ribbon cassette. The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가지 개변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그것들의 개변된 것은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odified.
본 출원은 2002년 2월 28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일본국 특원 2002-54824) 및 2002년 2월 28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일본국 특원 2002-54825)을 기초로 한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넣어둔다.
This application is based on th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2-54824) of the February 28, 2002 application and th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2-54825) of the February 28, 2002 application. Put it here for reference.
상술과 같이 본 발명의 잉크리본권장용 코어 및 잉크리본카세트에 있어서는 잉크리본(201)은 카세트본체(204)에 장전되어 있으므로 열전사 인자기에 장전할 때는 열전사 인자기에 마련된 회전축(226)을 상기 카세트본체(204)의 저벽(210)에 형성된 관통공(216)에 삽통시키도록 하여 장전하면 된다. 따라서 잉크리본(201)의 취급이 용이하며 장전성도 좋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nk ribbon recommended core and the ink ribbon casset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 플랩은 카셋의 상벽과 일체로 형성할 때는 잉크리본의 비장착시에서의 느슨하게 감는 것을 최소부품수로 없앨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lap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wall of the cassette, the loosening of the ink ribbon when it is not attached can be eliminated with the minimum number of parts.
또한 카세트본체(204)의 측부에 개구부를 형성했을 때는 코어(202)에 감겨진 잉크리본(201)만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코어권회 장전방식으로서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취급이 간단함과 동시에 단가도 저렴하고 폐기하는 부분이 적으므로 환경에 대한 부하도 작아도 되는 동시에 카세트방식이나 코어권회방식에도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side of the cassette
삭제delete
Claims (1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054825A JP4378911B2 (en) | 2002-02-28 | 2002-02-28 | Ink ribbon cassette for thermal transfer |
JPJP-P-2002-00054824 | 2002-02-28 | ||
JPJP-P-2002-00054825 | 2002-02-28 | ||
JP2002054824A JP2003251902A (en) | 2002-02-28 | 2002-02-28 | Ink ribbon cassette holding mechanism of thermal transfer printer |
PCT/JP2003/002371 WO2003072366A1 (en) | 2002-02-28 | 2003-02-28 | Winding core for ink ribbon of thermal transfer printer, ink ribbon cassette, and ink ribbon cassette holding mechanism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4854A Division KR20050042202A (en) | 2002-02-28 | 2003-02-28 | Ink ribbon cassette holding mechanism of thermal transfer prin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87313A KR20040087313A (en) | 2004-10-13 |
KR100545412B1 true KR100545412B1 (en) | 2006-01-24 |
Family
ID=277672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4854A KR20050042202A (en) | 2002-02-28 | 2003-02-28 | Ink ribbon cassette holding mechanism of thermal transfer printer |
KR1020047010423A KR100545412B1 (en) | 2002-02-28 | 2003-02-28 | Cores for ink ribbon of thermal transfer magnetics, ink ribbon cassett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4854A KR20050042202A (en) | 2002-02-28 | 2003-02-28 | Ink ribbon cassette holding mechanism of thermal transfer printer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KR (2) | KR20050042202A (en) |
CN (1) | CN1323850C (en) |
AU (1) | AU2003211545A1 (en) |
TW (1) | TWI225830B (en) |
WO (1) | WO2003072366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734035B2 (en) | 2010-07-29 | 2014-05-27 | Brady Worldwide, Inc. | Media cartridge with shifting ribs |
US9108449B2 (en) | 2010-07-29 | 2015-08-18 | Brady Worldwide, Inc. | Cartridge assembly with edge protector |
US8395647B2 (en) | 2010-07-29 | 2013-03-12 | Brady Worldwide, Inc. | Printer with pivotable platen |
US9102180B2 (en) | 2010-07-29 | 2015-08-11 | Brady Worldwide, Inc. | Cartridge assembly with ribbon lock |
US8714471B2 (en) | 2010-07-29 | 2014-05-06 | Brady Worldwide, Inc. | Friction core brake |
JP5654504B2 (en) * | 2012-01-23 | 2015-01-14 |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 Printing device |
JP6297514B2 (en) * | 2015-03-19 | 2018-03-20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Tape cartridge |
GB201513537D0 (en) | 2015-07-31 | 2015-09-16 | Videojet Technologies Inc | Tape support arrangement |
USD930072S1 (en) * | 2020-11-17 | 2021-09-07 | Zhuhai Boyeezon Technology Co., Ltd | Label tape cassette |
JP1705408S (en) * | 2021-05-14 | 2022-01-19 | Ink ribbon cassette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06657B2 (en) * | 1984-05-15 | 1995-11-15 | 株式会社東芝 | Ribbon storage cassette |
JPS618160U (en) * | 1984-06-22 | 1986-01-18 | 株式会社 セコニツク | thermal line printer |
JPS61133356U (en) * | 1985-02-07 | 1986-08-20 | ||
JPS63163954U (en) * | 1987-04-14 | 1988-10-26 | ||
JPS63283971A (en) * | 1987-05-16 | 1988-11-21 | Hitachi Maxell Ltd | Cartridge for thermal transfer |
JP2577972B2 (en) * | 1988-09-26 | 1997-02-05 |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Ink ribbon cassette fixing mechanism |
JPH0362860U (en) * | 1989-10-25 | 1991-06-19 | ||
JP2884381B2 (en) * | 1993-02-05 | 1999-04-1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PRINTING TAPE CARTRIDGE, PRINTING TAPE REVERSE PREVENTION METHOD AND RELEASE METHOD |
US5595447A (en) * | 1992-10-13 | 1997-01-21 | Seiko Epson Corporation | Tape cartridge and printing device having print medium cartridge |
JPH0732713A (en) * | 1993-07-23 | 1995-02-03 | Fujicopian Co Ltd | Reversal preventing mechanism of rotary body |
JP3272632B2 (en) * | 1996-04-05 | 2002-04-08 | 長野日本無線株式会社 | Thermal transfer printer |
JPH11157192A (en) * | 1997-11-26 | 1999-06-15 | Alps Electric Co Ltd | Ribbon cassette for thermal transfer printer |
JP2000141799A (en) * | 1998-11-10 | 2000-05-23 | Max Co Ltd | Ribbon core |
-
2003
- 2003-02-27 TW TW092104471A patent/TWI225830B/en active
- 2003-02-28 CN CNB038019426A patent/CN1323850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2-28 KR KR1020057004854A patent/KR20050042202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2-28 WO PCT/JP2003/002371 patent/WO200307236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3-02-28 KR KR1020047010423A patent/KR10054541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2-28 AU AU2003211545A patent/AU2003211545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2202A (en) | 2005-05-04 |
CN1612811A (en) | 2005-05-04 |
TW200400124A (en) | 2004-01-01 |
KR20040087313A (en) | 2004-10-13 |
AU2003211545A1 (en) | 2003-09-09 |
CN1323850C (en) | 2007-07-04 |
TWI225830B (en) | 2005-01-01 |
WO2003072366A1 (en) | 2003-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45412B1 (en) | Cores for ink ribbon of thermal transfer magnetics, ink ribbon cassette | |
US7802750B2 (en) | Rolled sheet support mechanism and printer | |
US5865545A (en) | Ink ribbon cartridge for printer | |
KR100210463B1 (en) | Ribbon cartridge | |
US6504564B1 (en) | Ink ribbon cassette for thermal transfer printer | |
CN102295197A (en) | Tape drum and tape printing device | |
KR100771269B1 (en) | A winding shaft | |
US5419643A (en) | Attachment for ink ribbon replacement and ink ribbon cassette applicable thereto | |
JP2003251902A (en) | Ink ribbon cassette holding mechanism of thermal transfer printer | |
CN106132717B (en) | Tape printing apparatus and with print system | |
US7690594B2 (en) | Recording tape cartridge | |
US4990006A (en) | Holder of a ribbon for typewriters or similar machines | |
JP4475032B2 (en) | Printer | |
JP4378911B2 (en) | Ink ribbon cassette for thermal transfer | |
JP4857977B2 (en) | stamp | |
JP2000007197A (en) | Paper take-up device and printing device having the same | |
JP4736631B2 (en) | stamp | |
JP7087567B2 (en) | Winding equipment and printing equipment | |
CN112078257B (en) | Printing apparatus | |
JPH09254478A (en) | Ink ribbon cassette for printer | |
JPH0539961U (en) | Cassette | |
JPH11342654A (en) | Ink ribbon cartridge | |
JPH085239B2 (en) | Transfer paper and recording paper storage cartridge | |
JPH07149018A (en) | Ink ribbon cassette of printer | |
JP2007308171A (en) | Storage case and storage case assembly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406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409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4 |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05032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1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