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4834B1 - Projection television with mirror embedded on holographic screen - Google Patents

Projection television with mirror embedded on holographic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4834B1
KR100544834B1 KR1020007008339A KR20007008339A KR100544834B1 KR 100544834 B1 KR100544834 B1 KR 100544834B1 KR 1020007008339 A KR1020007008339 A KR 1020007008339A KR 20007008339 A KR20007008339 A KR 20007008339A KR 100544834 B1 KR100544834 B1 KR 100544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rojection
angle
image
ra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3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40483A (en
Inventor
홀이스틸돈쥬니어
파일웬디레인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10040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4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834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67Projection screens for colour proj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투사형 텔레비전(10)은 필름 기판(24) 위에 3차원 홀로그램(26)으로 된 스크린(22)을 구비하여 입사각의 전(全) 범위에서 빛을 수집하여 그 빛을 보다 전방으로 재지향시킨다. 수직 및 수평 홀로그램은 ±40°의 시야 범위에 걸쳐 가변 이득을 가지며, ±20°의 수직 시야 범위가 누적될 수 있다. 이미지 투사관(14, 16, 18)은, 상기 스크린에 직교하는 축에 대해 대략 0°내지 30°의 범위에 있는 투사각(φ)에 수렴하는 광경로를 따라 이미지를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울(20)에 이미지를 투사한다. 각각의 투사관(14, 16, 18)은 개별 거울을 구비할 수 있다. 홀로그램(26)은 반사된 이미지를, 스크린과 직교하는 축에 대해 0 내지 5°의 디스플레이 각도로 재지향시킨다. 홀로그램(26)은 또한, 축이탈 투사로 인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서 발생하는 컬러 이동을 최소화하기에 효과적인 간섭 패턴을 형성하여, 컬러 이동은 약 0°내지 30°의 입사각에 대해 2 내지 5가 된다.The projection televis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een 22 of three-dimensional holograms 26 on a film substrate 24 to collect light in the entire range of incident angles and redirect the light forward. . Vertical and horizontal holograms have variable gain over a viewing range of ± 40 °, and a vertical viewing range of ± 20 ° can be accumulated. The image projection tubes 14, 16, 18 may comprise at least one mirror reflecting an image along an optical path converging at a projection angle φ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0 ° to 30 ° with respect to an axis orthogonal to the screen ( 20) to project the image. Each projection tube 14, 16, 18 may have a separate mirror. The hologram 26 redirects the reflected image to a display angle of 0-5 ° with respect to the axis orthogonal to the screen. The hologram 26 also forms an interference pattern effective to minimize color shifts that occur in the displayed image due to off-axis projection, such that the color shifts are 2 to 5 for an angle of incidence of about 0 ° to 30 °.

Description

홀로그래픽 스크린상에 삽입된 거울을 구비한 투사형 텔레비전{PROJECTION TELEVISIONS WITH MIRRORS INCIDENT ON HOLOGRAPHIC SCREENS}Projection television with mirror embedded on holographic screen {PROJECTION TELEVISIONS WITH MIRRORS INCIDENT ON HOLOGRAPHIC SCREENS}

본 발명은 투사형 텔레비전 수상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빛을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후방으로 지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투사원이 거울 방향으로 지향된 수상기에 관한 것이다. 홀로그래픽 스크린은 입사각의 범위 상에서 빛을 수집해서, 수집된 빛을 스크린에 대하여 직교하는 축에 더 수평하게 재지향시킨다. 하나 이상의 거울과 함께 홀로그래픽 스크린은 상당히 감소된 컬러 이동(color shift), 향상된 휘도 및 상당히 감소된 캐비넷 깊이를 가능하게 한다.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eiver in which at least one projection source for directing light to the rear of the holographic screen is directed in the mirror direction. The holographic screen collects light over a range of angles of incidence, redirecting the collected light more horizontally to an axis orthogonal to the screen. Holographic screens with one or more mirrors allow for significantly reduced color shift, improved brightness and significantly reduced cabinet depth.

최대 휘도가 되는 수직의 시야 각도에서 행해진 실험으로 보아, 컬러 이동은 서로 다른 각도에서 수평 평면을 볼 때, 적색, 녹색 및 청색 투사관으로부터 투사된 이미지에 의하여 투사형 스크린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백색 이미지에 대한 적색/청색 또는 녹색/청색의 비율이 변화되는 정도로서 정의된다.In experiments conducted at a vertical viewing angle of maximum luminance, color shift is applied to a white imag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ojection screen by an image projected from red, green and blue projection tubes when viewing the horizontal plane at different angles. It is defined as the degree to which the ratio of red / blue or green / blue to.

각각의 서로 다른 컬러 이미지, 예컨대 적색, 청색 및 녹색의 이미지에 대해서 적어도 3개의 이미지 투사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컬러 이동의 문제가 발생된다. 투사형 스크린은 적어도 3개의 투사기로부터의 이미지를 제1면에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되는 모든 이미지의 광분산을 제어하여 상기 이미지를 제2면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상기 투사기 중에서 대개 투사기 배열상 중앙부에 있는 1개의 투사기로서, 대개는 녹색 투사기가 상기 스크린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1의 광경로를 구비하고 있다. 적어도 2개의 투사기로서 대개는 상기 배열상 중앙의 녹색 투사기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적색 및 청색 투사기 각각이 수직하지 않은 방향에서 제1의 광경로로 수렴하는 광경로를 갖게 되고, 이들 광경로는 입사각을 규정한다. 컬러 이동은 적색 및 청색의 투사기가 각각 상기 스크린과 녹색 투사기에 대하여 비수직 관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상기 컬러 이동으로 인하여 색조는 스크린상의 모든 위치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상기 색조의 차이가 큰 상태를 통상 불량한 백색 균일성(white uniformity)이라 부른다. 상기 컬러 이동이 작을수록 백색 균일성은 더욱 좋아진다.The problem of color shift arises because at least three image projectors are required for each different color image, such as red, blue and green. The projection screen receives images from at least three projectors on the first side and controls the light dispersion of all displayed images to display the images on the second side. One of the projectors, which is usually one in the center of the projector arrangement, usually has a first light path where the green projector 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screen. At least two projectors, usually red and blue projectors located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central green projector in the arrangement, have a light path that converges to the first light path in a non-vertical direction, these light paths Define the angle of incidence. The color shift is because the red and blue projectors have a non-vertical relationship with the screen and the green projector, respectively. Due to this color shift, the color tone appears different at every location on the screen. The state where the difference in color tone is large is usually referred to as poor white uniformity. The smaller the color shift, the better the white uniformity.

컬러 이동은 숫자 단위로 표시되는데, 숫자가 작을수록 컬러 이동이 적고 백색 균일성은 더 좋다는 것을 나타낸다. 통상의 방법에 따르면, 적색, 녹색 및 청색 휘도에 대한 값은 스크린의 중앙에서 다양한 수평 시야 각도, 통상 약 -40°내지 +40°이상의 각도로부터 약 -60°내지 +60°정도까지 5° 또는 10°씩 증가하면서 측정된다. 상기 양수와 음수의 각도는 각각 스크린 중앙의 오른쪽과 왼쪽에 상응하는 수평 시야 각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측정은 최대 수직 시야 각도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데이타는 0°에서 1로 정규화된다. 다음의 수학식 1과 수학식 2 중 어느 하나의 방정식, 또는 두 방정식 모두가 각각의 각도에서 계산된다.Color shifts are expressed in number units, with smaller numbers indicating fewer color shifts and better white uniformity.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he values for the red, green and blue luminances range from 5 ° or 10 ° to various horizontal viewing angles at the center of the screen, typically from about -40 ° to + 40 ° or more from about -60 ° to + 60 °. Measured in increments. The positive and negative angles represent horizontal viewing angles corresponding to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screen center, respectively. This measurement is made at the maximum vertical viewing angle. The red, green and blue data is normalized to 1 at 0 °. Equations of either of the following Equations 1 and 2, or both equations are calculated at each angle.

[수학식 1]

Figure 112005025498928-pct00001
[Equation 1]
Figure 112005025498928-pct00001

[수학식 2]

Figure 112005025498928-pct00002
[Equation 2]
Figure 112005025498928-pct00002

여기서, θ는 수평 시야 각도의 범위 내에 있는 임의의 각도이고, C( θ)는 각도 θ에서의 컬러 이동이고, red( θ)는 각도 θ에서의 적색 휘도 레벨이고, blue( θ)는 각도 θ에서의 청색 휘도 레벨이며, green( θ)는 각도 θ에서의 녹색 휘도 레벨이다. 이들 값 중 최대 값이 스크린의 컬러 이동이다.Where θ is any angle within the range of the horizontal viewing angle, C (θ) is the color shift at angle θ, red (θ) is the red luminance level at angle θ, and blue (θ) is angle θ Is the blue luminance level at, and green (θ) is the green luminance level at angle θ. The maximum of these values is the color shift of the screen.

일반적으로 컬러 이동은 5보다 크지 않아야 하며, 명목상으로는 상업적으로 허용 가능한 스크린의 제작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공학적인 면과 제작면에 있어서의 제한 사항들은 종종 5보다 다소 높은 컬러 이동을 요구하지만, 이와 같은 컬러 이동의 성능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대개는 백색 균일성이 좋지 않은 저급의 화상을 인식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In general, the color shift should not be greater than 5, nominally in the production of commercially acceptable screens. Restrictions on engineering and fabrication often require color shifts slightly higher than 5, but the performance of such color shifts is undesirable and usually results in lower quality images with poor white uniformity. Bring it.

투사형 텔레비전 수상기용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여러 유형의 로울러를 사용하는 압출 공정(extrusion process)에 의하여 제조되는데, 이러한 로울러는 열가소성 박판의 표면 형태를 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러한 형성 과정은 대개 렌티큘(lenticules) 및 컬러 렌즈리트(lenslets)라고 불리우는 렌티큘러(lenticular) 요소의 배열에 해당한다. 상기 렌티큘러 요소는 동일한 박판의 한면 또는 양면 위에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박판의 한면 위에만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서로 다른 박판들은 적층부로서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적층부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서로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많은 디자인에 있어서 스크린 표면 중 하나의 표면은 광분산을 제공하는 프레넬(Fresnel) 렌즈로 구성된다. 컬러 이동을 줄이고 백색 균일성을 향상시키고자하는 종래 기술은 상기 스크린의 2가지 측면에 전적으로 역점을 두어 왔다. 그 한가지는 상기 렌티큘러 요소의 형태와 배치의 측면이다. 다른 한가지 측면은 상기 스크린 재료 또는 그의 일부분이 광분산을 제어하는 광분산 입자로 어느 정도까지 도핑되느냐 하는 것이다. 다음의 특허 명세서들은 이러한 노력들을 예시하고 있다.Screens for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s are generally manufactured by an extrusion process using several types of rollers, which are used to shape the surface of thermoplastic foils. This formation process usually corresponds to an array of lenticular elements called lenticulars and color lenslets. The lenticular element may be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same sheet or only on one side of a different sheet, the different sheets being able to be permanently joined as a stack or otherwise functioning as a stack. It can b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In many designs, one of the screen surfaces consists of a Fresnel lens that provides light dispersion. The prior art to reduce color shift and improve white uniformity has focused entirely on two aspects of the screen. One is in terms of the shape and placement of the lenticular element. Another aspect is to what extent the screen material or portion thereof is doped with light dispersive particles that control light dispersion. The following patent specifications illustrate these efforts.

미국 특허 제4,432,010호와 제4,536,056호에서는 투사 스크린이 입사면과 출사면을 구비한 광투과 렌티큘러 박판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입사면은 수평으로 퍼져있는, 볼록하게 되어 있는 깊이(lenticulated depth) Xv 대 축에 근접한 부분의 곡률 반경 R1의 비율(Xv/R1)이 0.5 내지 1.8의 범위에 해당하는 렌즈의 형태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형태는 광축을 따라 연장되어 구형의 입사 렌티큘러 렌즈를 형성한다.In US Pat. Nos. 4,432,010 and 4,536,056, the projection screen includes a light transmissive lenticular sheet having an entrance face and an exit face. The incidence surface is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a lens spreading horizontally, the ratio of the radius of curvature R1 (Xv / R1) of the portion proximate to the axis of the lenticulated depth Xv is in the range of 0.5 to 1.8. do. This form extends along the optical axis to form a spherical incident lenticular lens.

통상 양면 렌티큘러 렌즈를 갖는 스크린을 사용한다. 이러한 스크린은 그 스크린의 입사면에 원통형 입사 렌티큘러 요소(cylindrical entrance lenticular elements)를 가지고 있으며, 스크린의 출사면에 형성된 원통형 렌티큘러 렌즈 요소와 상기 출사면 중 빛이 집속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된 광흡수층을 가지고 있다. 상기 입사 렌티큘러 렌즈 요소와 출사 렌티큘러 렌즈 요소는 각각 다음의 수학식 3에 의해 표현되는 원형, 타원형 또는 쌍곡선 모양의 형태를 띄고 있다.Usually a screen with a double sided lenticular lens is used. These screens have cylindrical entrance lenticular elements at the entrance face of the screen, and have a cylindrical lenticular lens element formed at the exit face of the screen and a light absorbing layer formed at a portion where light does not focus among the exit faces. have. The incident lenticular lens element and the exit lenticular lens element have a circular, elliptical or hyperbolic shape represented by Equation 3 below.

[수학식 3]

Figure 112005025498928-pct00003
[Equation 3]
Figure 112005025498928-pct00003

여기서, C는 주곡률이고, K는 원뿔 상수이다.Where C is the principal curvature and K is the cone constant.

또는 상기 렌티큘러 요소가 2차보다 높은 차수의 항이 부가된 곡선을 갖는다.Or the lenticular element has a curve added with a higher order term.

이와 같은 양면의 렌티큘러 렌즈를 사용하는 스크린에 있어서는 입사 렌즈와 출사 렌즈 사이, 또는 상기 렌즈들을 형성하는 렌티큘러 요소들 사이의 위치 관계를 지정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미국 특허 제4,443,814호에는 하나의 렌즈 표면이 다른 렌즈의 초점에 오게 하는 식으로 입사 렌즈와 출사 렌즈를 배치시킨다고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58-59436호에는 입사 렌즈의 편심율(eccentricity)이 렌티큘러 렌즈를 구성하는 재료에 대한 반사 지수의 역수와 거의 동일하다고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502,755호에서는 각 렌티큘러 렌즈의 광축 평면이 서로 직각이 되도록 2중면을 갖는 2개의 렌티큘러 렌즈 박판을 결합시키고, 입사 렌즈와 출사 렌즈가 어느 한 렌즈의 주위에서 광축에 대해 비대칭이 되도록 상기 2중면을 갖는 렌티큘러 렌즈를 형성한다고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953,948호에서는 입사 렌즈의 골부분에서만 빛이 수렴하는 위치가 출사 렌즈의 표면으로부터 시청하는 쪽을 향하여 오프셋되어야 광축의 정렬 불량에 대한 오차 허용도와 두께의 차이가 더 커질 수 있거나 컬러 이동이 보다 작아질 수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In a screen using such a double-sided lenticular lens,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t lens and the exit lens or between the lenticular elements forming the lenses is specified. For example, U. S. Patent No. 4,443, 814 states that the entrance and exit lenses are arranged in such a way that one lens surface is in focus of the other lens. Japanese Patent No. 58-59436 describes that the eccentricity of the incident lens is almost equal to the inverse of the reflection index with respect to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lenticular lens. U.S. Patent No. 4,502,755 combines two lenticular lens plates having double planes such that the optical axis planes of the respective lenticular lense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wherein the incident and exit lenses are a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around either lens. It is described to form a lenticular lens having a midplane. In US Pat. No. 4,953,948,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converges only in the valley of the entrance lens must be offset toward the viewing side from the surface of the exit lens, so that the difference in the tolerance and thickness for misalignment of the optical axis may be greater or the color shift may be It is said to be smaller.

컬러 이동 또는 백색 불균일성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이외에도 투사형 스크린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들은 화상을 밝게 만들고 수평 및 수직의 양쪽 방향에서 적당한 시야 범위를 보장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많은 방법들에 대한 요약이 미국 특허 제5,196,960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 특허는 입사 렌즈를 갖는 입사 렌즈층과 렌즈 표면이 상기 입사 렌즈의 빛이 수렴하는 위치 또는 상기 입사 렌즈가 있는 곳에 형성되는 출사 렌즈를 갖는 출사 렌즈층을 포함하는 2중의 렌티큘러 렌즈판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입사 렌즈층과 출사 렌즈층은 각각 거의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출사 렌즈층은 빛을 분산시키는 미세한 입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사 렌즈층과 출사 렌즈층간의 광분산 입자에 차이가 존재한다고 설명되어 있다. 복수 개의 입사 렌즈는 원통형 렌즈로 되어 있다. 상기 출사 렌즈는 복수 개의 출사 렌즈층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출사 렌즈는 상기 입사 렌즈층에 있는 각 렌즈의 빛이 수렴하는 위치 또는 상기 입사 렌즈가 있는 위치에 렌즈 표면을 구비하고 있다. 빛 흡수층 또한 상기 출사 렌즈층의 빛이 수렴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스크린의 제작은 압출 공정에 의한 제작의 용이성뿐만 아니라 컬러 이동의 감소와 더욱 밝아진 화상 및 충분한 수평 방향의 시야 범위 각도를 제공한다고 한다.In addition to various methods for reducing color shift or white non-uniformity, method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ion screen attempt to brighten the image and ensure proper viewing range i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 summary of many such methods is disclosed in US Pat. No. 5,196,960, which forms an incident lens layer having an incident lens and a lens surface where the light of the incident lens converges or where the incident lens is located. A dual lenticular lens plate comprising an exit lens layer having an exit lens is disclosed, wherein the entrance lens layer and the exit lens layer are each formed of a substantially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and at least the exit lens layer is fine particles for dispersing light. It is describ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ight scattering particles between the incident lens layer and the exit lens layer. The plurality of incident lenses is a cylindrical lens. The exit lens includes a plurality of exit lens layers, each exit lens having a lens surface at a location where the light of each lens in the entrance lens layer converges or where the entrance lens is located. The light absorbing layer is also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light of the exit lens layer does not converge. The fabrication of such screens is said to provide ease of fabrication by the extrusion process, as well as reduced color shifts and brighter images and sufficient horizontal viewing range angles.

수년에 걸쳐 투사형 텔레비전 제작 분야에 있어서 상당한 진전이 있었지만 향상된 점은 기껏해야 미미한 정도이다. 더욱이 어떠한 기준을 넘는 데에도 성공하지 못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도 α라고 언급되는 것으로서, 이미지 투사기의 기하 구조에 의해 정해지는 입사각이 일반적으로는 0°보다는 크고 10°또는 11°보다 작거나 같은 각도로 한정된다. 본질적으로 상기 이미지 투사기의 크기 및/또는 투사기 렌즈의 크기는 각도 α를 0°에 가깝게 만드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약 10° 또는 11°보다 작은 각도 α의 범위에서 가능한 최상의 컬러 이동 성능은 수학식 1과 수학식 2에 따라 결정되는 바와 같이 대략 5가 된다. 대략 10° 또는 11°보다 큰 각도의 범위에서 달성되는 최상의 컬러 이동 성능은 상업상 허용될 수 없는 것이다. 사실상 각도 α가 10° 또는 11°보다 큰 투사형 텔레비전 수상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Over the years, considerable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field of projection television production, but the improvements are minimal. Moreover, it did not succeed in exceeding any standard. As referred to herein as an angle α, the angle of incidence determined by the geometry of the image projector is generally limited to an angle greater than 0 ° and less than or equal to 10 ° or 11 °. In essence, the size of the image projector and / or the size of the projector lens makes it impossible to make the angle α close to 0 °. The best possible color shifting performance in the range of angle α of less than about 10 ° or 11 ° is approximately 5, as determined by Equations 1 and 2 below. The best color shifting performance achieved in an angle range greater than approximately 10 ° or 11 ° is not commercially acceptable. In fact, no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 with an angle α greater than 10 ° or 11 ° is known.

각도 α가 작으면 심각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 즉 투사형 텔레비전 수상기를 수용하는 데에 매우 큰 캐비넷 깊이가 필요하다. 상기 깊이를 크게하는 이유는 입사각(α)이 작은 광경로를 수용하는 데에 직접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주어진 크기의 이미지 투사기와 광학 소자에 대해서 입사각은 상기 이미지 투사기 또는 그의 렌즈와 상기 스크린 사이의 광경로를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서만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투사형 텔레비전 캐비넷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긴 광경로를 휘게 하는 거울에 달려 있다. 가능한 입사각의 범위에는 거울을 사용할지라도, 하한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노력에 의한 컬러 이동의 성공 여부도 제한된다.Small angles α have serious and undesirable consequences. In other words, very large cabinet depths are needed to accommodate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s. The reason for increasing the depth is that the incidence angle α is directly required to accommodate a small optical path. For an image projector and optical element of a given size, the angle of incidence can only be reduced by extending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 projector or its lens and the screen. Techniques for reducing the size of such projection television cabinets generally rely on mirrors that bend long paths of light. Although a mirror is used in the range of possible incidence angles, the lower limit exists so that the success of color shift by such an effort is limited.

폴라로이드사는 DMP-128

Figure 112003003037886-pct00004
로 표시된 광 폴리머(photo polymer)를 판매하여 왔는데, 이는 폴라로이드사의 독점적 공정 방법을 사용하여 3차원의 홀로그램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홀로그래픽 제조 방법은 미국 특허 제5,576,853호에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다. 홀로그래픽 광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코히어런트광(coherent light)을 조사용 빔(illumination beam)과 기준 빔(reference beam)으로 나눔으로써 사진 이미지를 기록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기 조사용 빔은 물체를 비춘다. 상기 물체로부터 반사된 빔과 상기 물체를 통과하는 기준 빔은 상기 광 폴리머 매질을 비추는데, 이 매질은 현상 가능한 광 감지식 사진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2가지 빔의 광파가 보강 및 상쇄 간섭을 일으킴으로써 국부적으로 상기 사진 구성을 나타내는 사인파형 피크와 국부적으로 그와 같은 구성을 드러내지 않는 널(null)의 정상파 패턴을 만든다. 상기 사진 매질이 현상될 때 상응하는 간섭 패턴이 상기 매질에 기록된다. 상기 매질에 코히어런트 기준 빔을 조사시킴으로써 물체의 상이 재생되고 분명한 각도의 범위에서 이를 볼 수 있다.Polaroid Corporation DMP-128
Figure 112003003037886-pct00004
Photopolymers have been sold, which can be manufactured in three-dimensional holograms using Polaroid's proprietary process method. The holographic manufacturing method is partially shown in US Pat. No. 5,576,853. Holographic photopolymers are generally useful for recording photographic images by dividing coherent light into an illumination beam and a reference beam. The irradiation beam illuminates the object. The beam reflected from the object and the reference beam passing through the object illuminate the photopolymer medium, which includes a developable photosensitive photo configuration. The light waves of the two beams cause constructive and destructive interference, creating sinusoidal peaks that locally represent the photographic composition and null standing wave patterns that do not locally exhibit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photographic medium is developed a corresponding interference pattern is recorded in the medium. By irradiating the medium with a coherent reference beam, an image of the object can be reproduced and seen in a range of apparent angles.

상기 물체 상에 조사된 모든 점들로부터의 빛이 상기 홀로그램 상의 모든 점에서 기준 빔과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에 특정의 사진상의 물체를 나타내는 기록된홀로그램의 간섭 패턴은 복잡하다. 무색 "물체"의 이미지를 기록함으로써 무색의 홀로그램을 만들 수 있으며, 이 무색의 홀로그램은 그 안에서 상기 간섭 패턴이 더욱 규칙적으로 된다. 그 경우 상기 간섭 패턴은 회절 격자 모양이 되지만 그 회절 격자의 간격 또는 분해능은 거대한 크기의 렌티큘러 요소가 구비된 투사형 스크린의 간격과 비교해볼 때 매우 우수한데, 상기 렌티큘러 요소는 투사관 후방에서부터 특정한 방향으로 빛을 휘게 하거나 굴절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interference pattern of the recorded hologram representing the object on a particular photograph is complicated because light from all the points irradiated on the object interferes with the reference beam at every point on the hologram. By recording an image of a colorless "object", a colorless hologram can be made, whereby the interference pattern becomes more regular therein. In that case, the interference pattern is shaped like a diffraction grating, but the spacing or resolution of the diffraction grating is very good compared to the spacing of the projection screen with a large sized lenticular element, which is in a particular direction from behind the projection tube. It is designed to bend or refract light.

투사형 텔레비전의 3차원 홀로그래픽 스크린은 폴라로이드사가 DMP-128

Figure 112003003037886-pct00005
광중합성 홀로그래픽 제품에 대한 시장을 개척하려고 노력하던 중에 만들어진 많은 제안 제품 중에 하나이다. 상기 제안은 폴라로이드사가 보다 큰 휘도와 분해능, 더욱 작은 제작 비용, 작은 중량 및 운송 도중 2개 부분으로 된 스크린이 받기 쉬운 마찰에 대한 저항성의 면에 있어서 기대했던 이점들에 기초하고 있다. 폴라로이드사는 그러한 홀로그래픽 투사형 텔레비전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는 거대 홀로그래픽 소자들에 대한 어떠한 특정의 홀로그래픽 구성도 제한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어떠한 유형 즉 홀로그래픽 또는 다른 유형의 투사형 텔레비전 스크린에 있어서 컬러 이동의 문제를 고려하지도 않았다.Three-dimensional holographic screen of projection TV is Polaroid DMP-128
Figure 112003003037886-pct00005
It is one of many proposals made while trying to open up the market for photopolymerizable holographic products. The proposal is based on the benefits Polaroid has anticipated in terms of greater brightness and resolution, smaller fabrication costs, lower weight and resistance to friction in two-part screens during transportation. Polaroid has not limited any specific holographic configuration for the large holographic elements that can make up such holographic projection television screens, and even for any type of holographic or other type of projection television screen, Nor did we consider the problem.

전체적으로 컬러 이동이 5보다 작고 심지어 5보다 훨씬 작은 스크린과 10°또는 11°보다 큰 각도 α에 대해서 컬러 이동이 5 정도가 되는 투사형 텔레비전을 제공하고자 하는 수년간의 집중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투사형 스크린에 있어서 렌즈 부분과 분산기의 형태 및 위치에 약간의 변화가 있음을 제외하고는 컬러 이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진전이 없었다. 더욱이 컬러의 이동과는 관계가 없다는 이유가 있지만 3차원의 홀로그램이 투사형 스크린에 유용하다는 제안에도 불구하고 3차원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구비한 투사형 텔레비전을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없었다. 초소형 캐비넷 속에 설치될 수 있으며, 컬러 이동의 성능이 상당히 향상된 투사형 텔레비전 수상기에 대한 오랜 기간의 요구는 충족되지 못하고 있다.Despite years of intensive development to provide projection televisions with color shifts of less than 5 and even screens much smaller than 5 and color shifts of about 5 for angles α greater than 10 ° or 11 °, the conventional projection type No progress has been made in solving the problem of color shifting except for slight changes in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lens portion and the disperser in the screen. Furthermore, there is no reason to relate to color shift, but despite the suggestion that three-dimensional holograms are useful for projection screens, no effort has been made to provide projection televisions with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screens. The long term demand for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s that can be installed in a compact cabinet and that significantly improves the performance of color shifting is not me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구성에 따른 투사형 텔레비전 수상기는 컬러 이동의 성능에 있어서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보여주며, 그 컬러 이동의 크기는 10°또는 11°의 범위에 있는 입사각 α를 갖는 투사형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달성될 수 있는 2 이하의 값이다. 또한 상기 컬러 이동의 성능이 상당히 우수해서 30°까지의 입사각을 갖는 상업적으로 허용 가능한 투사형 텔레비전 수상기를 보다 소형의 캐비넷 속에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거울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라 더 증가되어 광로의 길이를 확장한다. 위와 같이 큰 각도 α를 갖는 수상기에 대한 컬러 이동의 성능은, 예컨대 컬러 이동이 5이고 작은 각도 α를 갖는 종래의 수상기만큼 우수하고, 작은 각도 α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소형 캐비넷을 갖는 수상기에서와 같이 약 2 정도로 낮은 값에 근접하거나 도달할 수 있다고 기대될 수 있다.The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 according to the inventive arrangements disclosed herein show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erformance of the color shift, the magnitude of the color shift being achieved for a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 having an angle of incidence α in the range of 10 ° or 11 °. It can be 2 or less.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the color shift is so good that commercially acceptable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s having an angle of incidence of up to 30 ° can be provided in a smaller cabinet. These elements are further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one or more mirrors to extend the length of the light path. The performance of color shift for a receiver having a large angle α as above is as good as a conventional receiver having a color shift of 5 and a small angle α, as in a receiver having a small angle α and having a relatively small cabinet, for example. It can be expected that values as close to or as low as about two can be reached.

이러한 결과들은 상기 사출 성형된 렌즈 스크린의 기술을 모두 포기함으로써 달성된다. 그 대신에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투사형 텔레비전 수상기는 Mylar

Figure 112003003037886-pct00006
와 같은 폴리에틸렌 필름의 기판상에 형성된 3차원의 홀로그램에 의해 형성된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다.These results are achieved by giving up all of the technology of the injection molded lens screen. Instead, the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ylar.
Figure 112003003037886-pct00006
A screen formed by a three-dimensional hologram formed on a substrate of such a polyethylene film is provided.

이와 같은 3차원의 홀로그래픽 스크린은 원래 보다 큰 휘도와 분해능, 낮은 제작 비용, 작은 중량과 이동되는 도중 2부분의 스크린이 받기 쉬운 마찰에 대한 저항성 등의 면에서 예측되는 장점들을 위하여 발전되었다. 상기 3차원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컬러 이동 성능을 발견한 것은 상기 3차원 스크린의 광학적 성질이 적어도 종래의 스크린만큼 좋은가를 결정하는 시험을 했을 때이다. 상기 3차원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컬러 이동 성능은 수학식 1과 수학식 2에 의해 측정된 바에 의하면 놀랄만큼 예상외로 낮다. 종래 기술의 향상을 점진적인 단계로 한정하였던 장애물들이 모두 제거되었다. 또한, 보다 큰 입사각 α를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기하 구조를 갖는 보다 작은 캐비넷이 현재 개발될 수 있다. These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screens were originally developed for their predicted advantages in terms of greater brightness and resolution, lower fabrication costs, lower weight and resistance to friction between the two screens during movement. The color shifting performance of the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screen was discovered when a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three-dimensional screen are at least as good as a conventional screen. The color shifting performance of the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screen is surprisingly low as measured by Equations 1 and 2 below. All the obstacles that limited the improvement of the prior art to gradual steps have been eliminated. In addition, smaller cabinets with projection geometry, which is characterized by a larger angle of incidence α, can now be developed.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구성에 따르는 것으로서 3차원 홀로그래픽 스크린과 관련된 예기치 못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투사형 텔레비전은 서로 다른 컬러의 각 이미지에 대한 적어도 3개의 이미지 투사기와, 투사기로부터 이미지를 제1면상에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되는 모든 이미지의 광분산을 제어하며, 상기 이미지를 제2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으로서 기판상에 있는 3차원 홀로그램에 의해 형성된 투사형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각 이미지 투사기는 소정의 투사축을 가지며, 상기 이미지 투사기는 입사각 α를 정의하는 투사 수렴축을 갖는 2개의 인접한 이미지 투사기로 구성되며, 렌티큘러 요소의 3차원 배열을 나타내는 상기 3차원 홀로그램은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에 있어서 컬러 이동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0°보다 크고 약 30°보다 작거나 같은 범위의 모든 입사각에 대해서 상기 스크린의 컬러 이동이 약 5보다 작거나 같고, 그 최대 값은 전술한 수학식 1과 수학식 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얻어진다.
수학식 1

Figure 112003003037886-pct00039

수학식 2
Figure 112003003037886-pct00040
Projection-type televisions having unexpected properties associated with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screens,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ve arrangements disclosed herein, include at least three image projectors for each image of a different color, and receive images from the projector on a first surface. And a projection screen formed by a three-dimensional hologram on the substrate to control light dispersion of all displayed images, and to display the image on a second side, each image projector having a predetermined projection axis, The image projector consists of two adjacent image projectors having a projection convergence axis defining the angle of incidence α,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hologram representing the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of the lenticular elements has an effective configuration for reducing color shift in the displayed image. 0 ° It is and less than about 30 ° or for all angles of incidence in the same range or equal to the color shift of the screen is less than about 5, and the maximum value is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Equations (1) and (2).
Equation 1
Figure 112003003037886-pct00039

Equation 2
Figure 112003003037886-pct00040

여기서, θ는 수평 시야 각도의 범위 내에 있는 임의의 각도이고, C( θ)는 θ각도에서의 컬러 이동이며, red( θ)는 θ각도에서의 적색 휘도 레벨이고, blue( θ)는 θ각도에서의 청색 휘도 레벨이고, green( θ)는 θ각도에서의 녹색 휘도 레벨을 나타낸다. 상기 스크린의 컬러 이동은 5보다 작다, 또는 예를 들어 대략 4, 3 심지어는 2보다 작거나 같다고 기대될 수 있다. Where θ is any angle within the range of the horizontal viewing angle, C (θ) is the color shift at the θ angle, red (θ) is the red luminance level at the θ angle, and blue (θ) is the θ angle Is the blue luminance level in, and green (θ) denotes the green luminance level at the θ angle. The color shift of the screen can be expected to be less than 5, or for example less than or equal to approximately 4, 3 or even 2.

약 10° 또는 11°의 입사각에서 알려진 장애 사항의 면에서 보면 상기 스크린의 컬러 이동은 0°보다 크고 대략 10°보다 작거나 같은 입사각의 제1 종속 범위에 해당하는 모든 입사각에 대해 대략 2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스크린의 컬러 이동은 대략 10°보다 크고 30°보다 작거나 같은 입사각의 제2 종속 범위에 해당 하는 모든 입사각에 대해 대략 5보다 작거나 같다.In terms of known obstacles at an angle of incidence of about 10 ° or 11 °, the color shift of the screen is greater than 0 ° and less than about 2 for all angles of incidence that fall within the first dependent range of the angle of incidence. Or the same, and the color shift of the screen is less than or equal to about 5 for all angles of incidence corresponding to a second dependent range of angle of incidence that is greater than approximately 10 degrees and less than or equal to 30 degrees.

상기 스크린은 또한 두께가 대략 2 내지 4 mm 범위 내에 있는 층에 아크릴 재료로된 광투과 보강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판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terephthalate) 수지 필름과 같이 고도로 내구력이 강하고 투명한 방수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은 두께가 1 내지 10 mils의 범위에 있는 필름일 수도 있다. 대략 7 mils 정도의 두께가 상기 3차원 홀로그램에 대한 적절한 지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필름의 두께는 성능과는 무관하다. 상기 3차원 홀로그램의 두께는 대략 20 마이크론 이하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특성에 따라, 상기 투사형 텔레비전은 상기 스크린과 이미지 투사기 사이의 광경로를 따라 적어도 1개의 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투사기는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이들 각각의 이미지를 거울상으로 투사하여 상기 이미지들이 스크린의 제1면상으로 반사시키며, 각 이미지에 대하여 직각인 축에 대한 투사각을 정의한다. 투사형 스크린은 스크린의 제2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가 스크린과 수직한 축에 대한 디스플레이의 각을 지향하도록 된 거울에 의해 투사형 스크린 상에서 반사된 이미지를 수집하고 재지향시키며, 여기서, 디스플레이의 각도는 0°에서 5°에 이르는 범위를 갖는다. 홀로그래픽 스크린은 입사각의 범위를 초과한 입사광을 수집하여 직각의 축에 직교하는 선상에 더 가깝게 빛을 방출한다. The screen also includes a light transmissive reinforcement of acrylic material in a layer having a thickness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2-4 mm. The substrate includes a highly durable and transparent waterproof film, such a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film. The substrate may be a film having a thickness in the range of 1 to 10 mils. A thickness of about 7 mils is known to provide adequate support for the three dimensional hologram.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independent of performance. The thickness of the three-dimensional hologram is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20 microns or less.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ojection television may comprise at least one mirror along a light path between the screen and the image projector. The image projector individually or collectively projects each of these images in a mirror image so that the images reflect onto the first side of the screen and define a projection angle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each image. The projected screen collects and redirects the image reflected on the projected screen by a mirror such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side of the screen is oriented to the angle of the display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creen, wherein the angle of the display is 0 °. In the range from 5 °. The holographic screen collects incident light over a range of angles of incidence and emits light closer to the line orthogonal to the axis of the right angl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투사형 스크린의 컬러 이동 성능은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크린 요소의 적층 및/또는 상기 요소들의 조준에 의해 더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홀로그래픽 스크린은 수직 또는 수평 시야각의 범위에 걸쳐 광투과 특성에서 원하는 편차를 얻기 위하여 수직/수평 선형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뒤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또는 덧붙여 말하면, 시야각의 범위에 걸쳐 광투과 특성에 변화가 있는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크린 요소가 적층될 수 있다. 실질적인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2개의 홀로그래픽 요소가 적층되어 하나는 수직 범위에 걸쳐서 소정의 변화를 제공하며, 다른 하나는 수평 범위에 걸쳐서 소정의 변화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서, 실용적인 시야각의 범위에서 이미지의 밝기가 조정되어 이용 가능한 휘도를 모두 이용하도록 최적화된다. 또한, 선형 가변 요소는 원형 가변 요소보다 저가로 생산될 수 있기 때문에, 홀로그래픽 요소 및/또는 상기 요소의 조준이 다양한 성능 범위에서 경제적으로 비용으로 도모될 수 있다. 예컨대, 선형 가변 프레넬 소자는 원형 프레넬의 가격보다 25 % 정도 낮은 비용에서 엠보스(emboss) 또는 로울러 압출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선형 가변 홀로그래픽 마스터는 2차원에서의 변화를 정하는 원형 마스터보다 덜 복잡하고 저가이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color shifting performance of the projection screen can be further improv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holographic screen elements and / or aiming the elements. For example, the holographic screen can be placed behind a vertical / horizontal linear Fresnel lens to obtain the desired deviation in light transmission properties over a range of vertical or horizontal viewing angles. Alternatively or in addition, a plurality of holographic screen elements with varying light transmission properties over a range of viewing angles can be stacked. According to a practical embodiment, at least two holographic elements are stacked, one providing a predetermined change over the vertical range and the other providing a predetermined change over the horizontal range. In this method, the brightness of the image is adjusted in the range of practical viewing angles to optimize to use all of the available luminance. In addition, since the linear variable element can be produced at a lower cost than the circular variable element, the holographic element and / or aiming of the element can be economically cost effective in various performance ranges. For example, linear variable Fresnel elements can be embossed or roller extruded at a cost about 25% less than the cost of circular Fresnel. Similarly, linear variable holographic masters are less complex and less expensive than circular masters that define changes in two dimensio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소정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이 도시된다. 본 발명은 예제와 같이 개시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면에서, A drawing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s examples, and that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n the drawing,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구성에 따른 투사형 텔레비전의 개략적인 도면.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ojection television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ve arrangements disclosed herein.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투사형 텔레비전 구조를 간략화한 도면.2 is a simplified diagram of a projection television structure useful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보강된 투사형 스크린의 측방 입면도.3 is a side elevation view of a projection screen reinforced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ve arrangements.

도 4는 수평과 수직의 시야 각도 각각에 대해서 이득 변화를 갖는 2개의 부가된 홀로그램을 구비한 투사형 스크린의 선택적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4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 projection screen with two added holograms with gain variations for each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iewing angles.

도 5는 적층된 수직 변화성 홀로그래픽 요소를 구비한 경우와 구비하지 않은 경우의 수평 변화식 홀로그래픽 요소를 사용하여 수평 시야 각도로서 최대 백색 휘도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FIG. 5 is a graph showing the ratio of maximum white luminance as a horizontal viewing angle using horizontally variable holographic elements with and without stacked vertically variable holographic elements; FIG.

도 6은 적층의 홀로그래픽 및 조준 스크린층을 구비한 택일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도면.6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n alternative embodiment with a laminated holographic and aiming screen layer.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투사형 텔레비전 구조를 간략화한 또 다른 도면.7 is another simplified view of a projection television structure useful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10°, 20°와 30°의 수직 평면상의 스크린 중심부에 있는 점에서 투사각 φv에 대해 ±20°의 수직 시야 범위에 걸쳐 측정된 휘도를 최대 백색 휘도의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FIG. 8 is a graph showing luminance measured as a percentage of maximum white luminance over a vertical viewing range of ± 20 ° relative to the projection angle φ v at the point in the center of the screen on vertical planes of 10 °, 20 ° and 30 °.

도 9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투사형 텔레비전 구조를 간략화한 또 다른 도면.9 is another simplified view of a projection television structure useful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0°의 수평 평면에서 φh의 투사각에 대해 ±40°의 수평 시야 범위에 걸쳐서 측정된 적색/녹색과 적색/청색의 컬러 이동을 나타낸 그래프.10 is a graph showing the color shift of red / green and red / blue measured over a horizontal field of view of ± 40 ° for a projection angle of φ h in a horizontal plane of 0 °.

도 11은 0°의 수평 평면상의 스크린 중심부에 있는 점에서 투사각 φh 에 대해 ±40°의 수평 시야 범위에 걸쳐 측정된 스크린의 휘도를 최대 백색 휘도의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luminance of the screen as a percentage of the maximum white luminance measured over a horizontal field of view of ± 40 ° relative to the projection angle φ h at the point in the center of the screen on a horizontal plane of 0 °.

도 12는 15°의 수평 평면에서 φh의 투사각에 대해 ±40°의 수평 시야 범위에 걸쳐서 측정된 적색/녹색과 적색/청색의 컬러 이동을 나타낸 그래프.12 is a graph showing the color shift of red / green and red / blue measured over a horizontal field of view of ± 40 ° for a projection angle of φ h in a horizontal plane of 15 °.

도 13은 15°의 수평 평면상의 스크린 중심부에 있는 점에서 투사각 φh 에 대해 ±40°의 수평 시야 범위에 걸쳐 측정된 스크린의 휘도를 최대 백색 휘도의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FIG. 13 is a graph showing the luminance of the screen as a percentage of the maximum white luminance measured over a horizontal field of view of ± 40 ° relative to the projection angle φ h at the point in the center of the screen on a horizontal plane of 15 °.

도 14는 30°의 수평 평면에서 φh의 투사각에 대해 ±40°의 수평 시야 범위에 걸쳐서 측정된 적색/녹색과 적색/청색의 컬러 이동을 나타낸 그래프.FIG. 14 is a graph showing the color shift of red / green and red / blue measured over a horizontal field of view of ± 40 ° for a projection angle of φ h in a horizontal plane of 30 °.

도 15는 30°의 수평 평면상의 스크린 중심부에 있는 점에서 투사각 φh 에 대해 ±40°의 수평 시야 범위에 걸쳐 측정된 스크린의 휘도를 최대 백색 휘도의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FIG. 15 is a graph showing the luminance of the screen as a percentage of the maximum white luminance measured over a horizontal field of view of ± 40 ° relative to the projection angle φ h at the point in the center of the screen on a horizontal plane of 30 °.

도 16은 45°의 수평 평면에서 φh의 투사각에 대해 ±40°의 수평 시야 범위에 걸쳐서 측정된 적색/녹색 과 적색/청색의 컬러 이동을 나타낸 그래프.FIG. 16 is a graph showing the color shift of red / green and red / blue measured over a horizontal field of view of ± 40 ° for a projection angle of φ h in a horizontal plane of 45 °.

도 17은 45°의 수평 평면상의 스크린 중심부에 있는 점에서 투사각 φh 에 대해 ±40°의 수평 시야 범위에 걸쳐 측정된 스크린의 휘도를 최대 백색 휘도의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FIG. 17 is a graph showing the luminance of the screen as a percentage of the maximum white luminance measured over a horizontal field of view of ± 40 ° relative to the projection angle φ h at the point in the center of the screen on a horizontal plane of 45 °.

도 18은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투사형 텔레비전 구조를 간략화한 또 다른 도면.18 is another simplified view of a projection television structure useful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투사형 텔레비전 수상기(1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투사형 음극선관(14, 16, 18)의 세트(12)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이미지를 제공한다. 상기 음극선관에는 각각의 렌즈(15, 17, 19)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투사된 이미지는 거울(20)에 의하여 투사 스크린(22) 위로 반사된다. 특정한 광경로의 구조에 따라서 추가 거울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녹색의 음극선관(16)은 광경로(32)를 따라 녹색의 이미지를 투사시키는데, 이러한 예에서는 그 광경로가 스크린(22)에 그의 수직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광경로의 중심선이 스크린과 직각을 이룬다. 상기 적색과 청색의 음극선관은 각각의 광경로(34, 36)를 가지며, 이들 광경로는 직각이 아닌 방향에서 제1 광경로(32)를 향해 수렴되며 입사각 α를 정한다. 이러한 입사각은 컬러 이동의 문제를 일으킨다. 1 schematically shows a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 10. The set 12 of projected cathode ray tubes 14, 16, 18 provides an image of red, green and blue, respectively. The cathode ray tube is provided with respective lenses 15, 17, 19. The projected image is reflected onto the projection screen 22 by the mirror 20.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particular light path, additional mirrors may be used. The green cathode ray tube 16 projects a green image along the light path 32, which in this example is in its perpendicular direction to the screen 22. That is, the center line of the light path is perpendicular to the screen. The red and blue cathode ray tubes have respective optical paths 34 and 36, which converge toward the first optical path 32 in a direction other than at right angles to determine the incident angle α. This angle of incidence causes a problem of color shift.

상기 스크린(22)은 기판(24) 위에 배치된 3차원 홀로그램(26)을 포함한다. 홀로그램(26)은 회절 패턴을 주로 형성하는 마스터 홀로그램에 대한 프린트로서, 이 회절 패턴은 상기 3개의 투사기(14, 16, 18)로부터 나오는 빛 에너지의 분포를 조정하는 것이고 상기 홀로그램은 스크린의 폭 및/또는 높이에 대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은 입사각 범위로부터의 홀로그램상으로 입사광을 재지향시키게 하여 빛을 보다 직진 성향이 강하도록 하는 경향이 있는 "중심부 집중의" 홀로그램이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투사기로부터 제1의 입사면(28)에 이미지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되는 모든 이미지의 광분산을 제어하면서 상기 이미지를 제2의 출사면(30)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상기 기판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과 같이 고도로 내구력이 강하고 투명한 방수 필름인 것이 좋다. 그와 같은 필름은 Mylar

Figure 112003003037886-pct00009
라는 상표로 E.I. 듀퐁 데 네뮤어즈 앤 컴퍼니(E.I. du Pont de Nemours & Co.)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상기 필름판의 두께는 1 내지 10 mils의 범위에 있으며, 이는 대략 0.001 내지 0.01 인치 또는, 25.4 내지 254 마이크론과 같다. 두께가 약 7 mils이 되는 필름은 그 위에 배치된 3차원 홀로그램에 대한 적절한 지지대로 제공된다고 알려져 왔다. 상기 필름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스크린의 성능 또는 컬러 이동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서로 다른 두께의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홀로그램(26)의 두께는 대략 20 마이크론 이하이다.The screen 22 includes a three dimensional hologram 26 disposed on a substrate 24. Hologram 26 is a print on a master hologram that mainly forms a diffraction pattern, which adjusts the distribution of light energy from the three projectors 14, 16 and 18 and the hologram is used to determine the width of the screen and It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with respect to the height.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hologram is a "centralized" hologram that tends to redirect the incident light onto the hologram from the angle of incidence range, making the light more straightening. The screen receives the image from the projector on the first entrance face 28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second exit face 30 while controlling the light dispersion of all displayed images. The substrate is preferably a highly durable and transparent waterproof film such a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film. Such film is Mylar
Figure 112003003037886-pct00009
Under the trademark EI du Pont de Nemours & Co. The thickness of the film plate is in the range of 1 to 10 mils, which is approximately equal to 0.001 to 0.01 inches, or 25.4 to 254 microns. Films about 7 mils thick have been known to provide adequate support for three-dimensional holograms disposed thereon. The thickness of the film generally does not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screen or the color shifting performance, and films of different thicknesses may be used. The thickness of the three-dimensional hologram 26 is approximately 20 microns or less.

3차원 홀로그래픽 스크린은 적어도 2개의 공급처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폴라로이드사는 그의 DMP-128 광중합성 재료에 3차원 홀로그램을 형성하기 위해서 자사 소유의 습윤 화학 공정을 사용한다. 상기 공정은 산란성 홀로그래픽 패턴을 상기 광중합성 재료에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이 패턴은 수평 및/또는 수직 시야 각도의 범위에 걸쳐 스크린 이득에 있어서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홀로그램은 광중합성 홀로그래픽 매체를 간섭광에 노출시킴으로써 제작될 수 있는데, 상기 간섭광은 기준 빔과 평면상의 패턴으로부터 반사된 빔을 포함하고 이 평면상의 패턴은 원하는 이득 변화에 상응하는 밝은 것에서 어두운 것으로의 변화를 갖는다.Three-dimensional holographic screens are available from at least two sources. Polaroid uses its proprietary wet chemical process to form three-dimensional holograms on its DMP-128 photopolymerizable material. The process includes forming a scattering holographic pattern in the photopolymerizable material, which pattern may include a change in screen gain over a range of horizontal and / or vertical viewing angles. Master holograms can be fabricated by exposing a photopolymerizable holographic medium to interfering light, the interfering light comprising a beam reflected from a reference beam and a planar pattern, the pattern being planar from dark to dark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change in gain. It has a change.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고 청구하고 있는 투사형 텔레비전 수상기에 사용되는 3차원 홀로그래픽 스크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다음과 같은 실험 내역에 따라 폴라로이드사의 습윤 화학 공정에 의해 구성되었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screen used in the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 described and claimed herein was constructed by Polaroid's wet chemical process according to the following experimental details.

수평의 반시야 각도 : 38°±3°,Horizontal half-field angle: 38 ° ± 3 °,

수직의 반시야 각도 : 10°±1°,Vertical half-field angle: 10 ° ± 1 °,

스크린 이득 : ≥8,Screen gain: ≥8,

컬러 이동 : ≤3,Color shift: ≤3,

여기서, 수평 및 수직의 시야 각도는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되고 스크린의 이득은 상기 스크린에 수직하게 측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시청면의 뒷면으로 향하는 광도와 상기 시청면의 정면으로부터 시청자를 향하는 광도의 지수이고 컬러 이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다. 요약한 부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3차원 홀로그래픽 투사 스크린의 상당한 컬러 이동 성능은 완전히 예측치 못한 것이다.He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iewing angles a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gain of the screen is measured perpendicular to the screen, so that the luminance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back of the viewing surface and the luminance from the front of the viewing surface to the viewer are measured. Index and color shift are measured as described above. As explained in the summary, the significant color shifting performance of a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projection screen is completely unexpected.

도 2는 거울과 렌즈는 생략하고 컬러 이동의 성능을 설명하는 간략화한 투사형 텔레비전의 도면이다. 적색 및 청색 음극선관(14, 18)의 광축(34, 36)은 녹색 음극선관(16)의 광축에 대하여 α의 입사각으로 대칭 배열된다. 캐비넷의 최소 깊이 D는 상기 스크린(22)과 음극선관의 뒷쪽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에 의하여 정해진다. 입사각 α가 작아질수록 음극선관들은 서로 가깝게 놓여져야 한다는 사실 및/또는 상기 음극선관들에 대한 틈을 제공하기 위해서 음극선관들이 스크린으로부터 더욱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는 사실이 이해될 것이다. 충분히 작은 각도 α에서 이러한 장애 사항을 피할 수는 없다. 이것은 바람직스럽지 않게도 캐비넷의 최소 깊이 D를 증가시킨다. 반대로, 각도 α가 커질수록 상기 음극선관들은 상기 스크린(22)에 더 가까워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캐비넷의 최소 깊이 D가 줄어든다.2 is a diagram of a simplified projection television illustrating the performance of color shifting, omitting mirrors and lenses. The optical axes 34 and 36 of the red and blue cathode ray tubes 14 and 18 are symmetrically arranged at an angle of incidenc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of the green cathode ray tube 16. The minimum depth D of the cabinet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 22 and the rear edge of the cathode ray tub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smaller the angle of incidence a, the cathode ray tubes should be placed closer to each other and / or that the cathode ray tubes should be further away from the screen to provide a gap for the cathode ray tubes. At sufficiently small angles a, this obstacle cannot be avoided. This undesirably increases the minimum depth D of the cabinet. Conversely, the larger the angle α, the closer the cathode ray tubes can be to the screen 22, thereby reducing the minimum depth D of the cabinet.

상기 스크린(22)의 시청면 상에는 2개의 수평 반 시야 각도 -β와 +β가 표시되어 있다. 동시에 총 수평 시야 각도 2β가 정해진다. 상기 반 시야 각도는 ±40°에서 ±60°의 범위에 있는 것이 전형적이다. 복수의 특정 시야 각도 θ는 각각의 반 각도 내에 있으며, 그 각도 θ에서 컬러 이동은 전술한 수학식 1과 수학식 2에 따라 측정될 수 있고 결정될 수 있다.On the viewing surface of the screen 22, two horizontal half viewing angles -β and + β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e the total horizontal viewing angle 2β is determined. The half viewing angle is typically in the range of ± 40 ° to ± 60 °. The plurality of specific viewing angles θ are within each half angle, and the color shift at that angle θ can be measured and determined according to Equations 1 and 2 described above.

대략 10°또는 11°의 입사각에서 알려진 장애 사항의 면을 살펴보면, 상기 3차원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컬러 이동은 대략 2보다 작거나 같은데, 이는 0°보다 크고 대략 10°보다 작거나 같은 입사각에 대한 제1의 종속 범위에 있는 모든 입사각에 대해서 적용되는 것이고, 상기 스크린의 컬러 이동은 대략 5보다 작거나 같은데, 이는 대략 10°보다 크고 30°보다 작거나 같은 입사각에 대한 제2의 종속 범위에 있는 모든 입사각에 대해 적용되는 것이다. 제1의 종속 범위에서와 같이 대략 2보다 작거나 같은 컬러 이동은 보다 큰 입사각의 제2 종속 범위에서도 달성될 수 있다.Looking at the face of the known obstacle at an angle of incidence of approximately 10 ° or 11 °, the color shift of the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screen is less than or equal to approximately 2, which is greater than 0 ° and less than or equal to approximately 10 °. Applied for all angles of incidence in the subordinate range of 1, the color shift of the screen is less than or equal to approximately 5, which is all in the second subordinate range for incidence angles greater than approximately 10 ° and less than or equal to 30 °. This applies to the angle of incidence. As in the first subordinate range, color shifts less than or equal to approximately 2 can also be achieved in the second subordinate range of larger incidence angles.

도 3과 관련하여, 상기 기판(24)은 전술한 Mylar

Figure 112003003037886-pct00010
와 같은 투명 필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광중합성 재료가 상기 필름층(24) 위에 지지되어 있고, 그 광중합성 재료로로부터 3차원 홀로그램(26)이 형성된다. 적절한 광중합성 재료로서 DMP-128
Figure 112003003037886-pct00011
을 들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 3, the substrate 24 is Mylar described above.
Figure 112003003037886-pct00010
It contains a transparent film such as. The photopolymerizable material is supported on the film layer 24, and a three-dimensional hologram 26 is formed from the photopolymerizable material. DMP-128 as a suitable photopolymerizable material
Figure 112003003037886-pct00011
Can be mentioned.

예컨대, 상기 스크린(22)은 폴리메틸메탈아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아크릴성 재료로 된 광투과 보강재(3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38)는 현재 두께가 약 2 내지 4 mm의 범위에 있는 층이다. 상기 스크린(22)과 보강재(38)는 홀로그래픽층(26)과 보강재(38)의 상호 경계부(40)를 통해 서로 부착되어 있다. 점착성의 방사 및/또는 열적 결합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용층의 표면(42)은 염색과 번쩍임 방지 코팅과 긁힘 방지 코팅 중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creen 22 may further include a light transmitting reinforcement 38 of an acrylic material, such as polymethylmetalacrylate (PMMA). Polycarbonate materials may also be used. The reinforcement 38 is currently a layer having a thickness in the range of about 2 to 4 mm. The screen 22 and the reinforcement 38 are attached to each other via a mutual boundary 40 of the holographic layer 26 and the reinforcement 38. Adhesive spinning and / or thermal bonding techniques can be used. The surface 42 of the reinforcing layer can be treated by one or more methods of dyeing, anti-glare coating and anti-scratch coating.

상기 스크린 및/또는 그 스크린을 구성하는 층들의 다양한 표면에 다른 광학 렌즈들 또는 렌즈형 구성이 제공되는데, 이는 상기 3차원 홀로그래픽 투사 스크린의 향상된 컬러 이동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종래의 투사형 스크린에 대해서 알려진 바와 같은 컬러 이동 성능 이외의 성능 특성에 영향을 주는 투사형 스크린의 양상을 제어한다. 도 4는 그와 같은 제1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2개의 홀로그램이 겹쳐지거나 쌓이게 된다. 본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40°의 시야 범위에 걸쳐 수평 이득 변화를 갖는 제1의 홀로그램은 ±20°의 영역에 걸쳐 수직 이득 변화를 갖는 제2의 홀로그램과 겹쳐진다. 상기 이득 변화는 도면에서 음영으로 나타나 있지만 조사되지 않는 경우에 실제적인 홀로그래픽 요소들은 그들의 표면 위로 분산되는 것처럼 보인다. 수평 및 수직 이득 변화 홀로그램을 겹치게 한 결과는 중앙 집중식 홀로그램과 거의 동일하게 되지만 상기 휘도 레벨은 수평 범위와 수직 범위에 걸쳐서 다른 비율로 변화하는데, 이는 수평 범위가 수직 범위보다 실질적으로 더욱 크기 때문이다.Different optical lenses or lenticular configurations are provided on the various surfaces of the screen and / or the layers that make up the screen, which can be used in conventional projection screens without compromising the enhanced color shifting performance of the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projection screen. Control aspects of the projection screen that affec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ther than color shift performance as is known. 4 shows such a first variant, in which at least two holograms are stacked or stacked. A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ologram having a horizontal gain change over a viewing range of ± 40 ° is superimposed with a second hologram having a vertical gain change over an area of ± 20 °. The gain change is shaded in the figure but when not investigated the actual holographic elements appear to be dispersed over their surface. The result of overlapp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gain varying holograms is almost identical to the centralized hologram, but the brightness level varies at different rates over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anges, since the horizontal range is substantially larger than the vertical range.

도 5는 상기 스크린의 중심점에서 ±40°의 수평 시청 범위에 걸쳐 측정된 스크린 휘도를 최대 백색 휘도의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상에 있는 2개의 라인은 수평으로 변화하는 홀로그램만을 사용할 때의 휘도와 겹쳐진 수평 및 수직 변화 홀로그램을 사용할 때의 휘도를 나타낸다. 겹쳐진 홀로그램을 갖는 수평 휘도 변화는 수평 홀로그램만의 성능과 거의 같거나 약간 향상된다.5 is a graph showing screen brightness measured as a percentage of maximum white brightness over a horizontal viewing range of ± 40 °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The two lines on the graph represent the luminance when us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hanging holograms overlapped with the luminance when using only the horizontally changing holograms. The horizontal brightness change with overlapping holograms is almost equal to or slightly improved with the performance of the horizontal hologram alone.

다양한 성능 범위에 대한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제작하는 데 있어서, 원하는 성능 특성을 동시에 실현시키는 스크린을 만드는 것은 어렵다. 겹침의 단계는 서로 다른 요구 사항들, 예컨대 이득면에 있어서의 수직 및 수평 변화와 스크린의 화면비(높이보다는 폭)의 개별적인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2개의 겹쳐진 홀로그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스크린을 통한 광투과의 다른 특징을 제어하는 부가적인 겹침식 홀로그램에 적용된다. In producing holographic screens for various performance ranges, it is difficult to produce screens that simultaneously realize the desire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e step of overlap allows for individual adjustments of different requirements, such as vertical and horizontal variations in gain planes and aspect ratio (width rather than height) of the screen. This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wo overlapping holograms but applies to additional overlapping holograms that control other features of light transmission through the screen, for example.

도 6은 수평과 수직의 이득 변화를 갖는 중앙 집중 홀로그램이 선형 프레넬(29, 31)과 겹쳐져서 수평 및 회전된 수직의 조준 결과를 가져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선형의 프레넬이 원형의 프레넬과 비교해 볼 때 저렴하게 돋을 새김될 수 있거나 로울러가 돌출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비용 관계를 갖는다. 원형 프레넬은 종래 스크린 비용의 60%에 해당한다고 간주될 수 있다. 선형 프레넬은 원형 프레넬 비용의 25% 정도의 비용이 든다. 따라서 30%의 비용 감축이 가능하다{즉, (25%+25%)*60%=30%}. 전술한 수평 및 회전식 홀로그램의 경우에 있어서 선형 프레넬은 수평 및/또는 수직의 시청 범위에 걸쳐서 필요한만큼 변화될 수 있으며, 예컨대 수직 및 수평 범위에 무관하게 초점 길이를 변화시킨다. 상기 2개의 겹쳐진 선형 프레넬이 상기 홀로그래픽 요소 뒤에서 순서에 관계 없이 배치될 수 있다.FIG. 6 shows that a centralized hologram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gain changes overlaps the linear Fresnels 29 and 31 resulting in horizontal and vertically aimed results. This embodiment has a good cost relationship because linear fresnels can be embossed at low cost or rollers can protrude as compared to circular fresnels. Circular Fresnel can be considered to correspond to 60% of conventional screen cost. Linear Fresnel costs about 25% of the cost of a circular Fresnel. Therefore, the cost can be reduced by 30% (that is, (25% + 25%) * 60% = 30%).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and rotary holograms described above, the linear Fresnel can be varied as needed over the horizontal and / or vertical viewing range, eg changing the focal length regardless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ange. The two overlapping linear Fresnel can be arranged in any order behind the holographic ele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캐비넷의 두께가 충분히 감소된 후방 투사형 텔레비전을 제작하는 능력이다. 특히 본 발명의 후방 투사형 텔레비전은 복수 개의 이미지 투사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이미지 투사기 중 어떠한 것도 스크린의 수직축과 일치하는 투사축을 가지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의 견지에서 볼 때 상기 텔레비전 안에 있는 각 이미지 투사기가 스크린의 수직축에 대한 투사각(φ)을 결정하는 투사축을 구비하고 있는 후방 투사형 텔레비전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텔레비전은 투사각(φ)을 30°까지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상기 스크린의 수직축에 대하여 디스플레이의 각도로 조정될 것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각도는 0° 내지 5°의 범위에 이른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bility to produce a rear projection television with a sufficiently reduced thickness of the cabinet. In particular, the rear projection televi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image projectors, none of which image projectors have a projection axis coincident with the vertical axis of the screen. Rather,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ar projection type television in which each image projector in the television has a projection axis for determining the projection angle φ relative to the vertical axis of the screen. Since the televi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rrect the projection angle φ by 30 °,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will be adjusted to the angle of the displa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screen, and the angle of the display ranges from 0 ° to 5 °. Leads to

예컨대, 본 발명의 텔레비전 구성은 최대 윗쪽 각도를 포함하는 투사각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요구되는 캐비넷의 깊이를 충분히 감소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7은 수직 평면상에서 스크린(22)과 γv의 각도로 향해 있음으로써 투사형 음극선관(14, 16, 18)에 의해 거울(20)에 투사된 이미지가 수직 평면에서 최대 윗쪽 각도 φv를 포함하는 각도로 투사형 스크린(22)에 반사되도록 하는 거울(20)을 나타내고 있다. 스크린(22)은 그 위에 반사된 이미지를 재조정함으로써 스크린을 통해 투과된 이미지가 수직 평면상에서 0°내지 5°, 바람직하게는 3°와 5°사이의 디스플레이 각도 θv로 조정되는데, 상기 이미지들은 10°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5°내지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의 최대 윗쪽 각도 φv를 포함하는 투사각으로 스크린(22) 위에 반사된다.For example, the televisio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sufficiently reducing the depth of the cabinet required because it can accommodate a projection angle including a maximum upward angle. 7 shows that the image projected onto the mirror 20 by the projection cathode ray tubes 14, 16, 18 by being oriented at an angle of γ v with the screen 22 on the vertical plane includes a maximum upward angle φ v in the vertical plane. The mirror 20 is shown to be reflected on the projection screen 22 at an angle. The screen 22 readjusts the image reflected thereon so that the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screen is adjusted to a display angle θ v between 0 ° and 5 °, preferably between 3 ° and 5 °, on the vertical plane. Reflected on the screen 22 at a projection angle comprising a maximum upward angle φ v of 10 ° to 30 °, preferably 15 ° to 30 °, most preferably at least 15 °.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은 3개의 서로 다른 투사각 φv 즉, 10°, 20°, 30°에 대해서 시험이 행해진다. 특히 빛은 주어진 투사각 φv 로 스크린(22)의 후면 위로 반사되는 반면에, 측정은 서로 다른 시야 각도로 스크린(22)을 통해 투과되는 상기 빛의 강도에 대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험의 결과가 도 8에 그래프의 형식으로 나타나 있다. 특히 도 8은 상기 스크린의 중심 위치에서 ±20°의 수직 시야 범위에 대해 측정된 휘도를 최대 백색 휘도의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ested for three different projection angles φ v , 10 °, 20 °, and 30 °. In particular, light is reflected over the back of the screen 22 at a given projection angle φ v , while measurements are made on the intensity of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screen 22 at different viewing angles. The results of these tests are shown in graphical form in FIG. 8. In particular,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measured luminance as a percentage of the maximum white luminance over a vertical field of view of ± 20 °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scree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최대 측면 접근 각을 포함한 투사각을 용이하게 조작하는 거울(20)을 사용하는 능력이다. 도 9는 수평 평면상에서 스크린(22)과 γh의 각도로 향해 있는 거울(20)을 나타내고 있는데, 투사 음극선관(16)에 의해 거울(20)에 투사된 이미지가 수평 평면에서 최대 측면 접근 각 φh를 포함한 투사각으로 투사 스크린(22) 위에 반사된다. 스크린(22)은 그 위에 투사된 이미지를 재조정함으로써 스크린(22)을 통해 투과된 이미지가 0°내지 5°, 바람직하게는 3°와 5°사이의 디스플레이 각도 θh로 조정되는데, 상기 이미지는 10°에서 30°, 바람직하게는 15°에서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의 최대 측면 접근 각도 φh를 포함한 투사각로 스크린(22) 위로 반사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bility to use a mirror 20 to easily manipulate the projection angle including the maximum lateral approach angle. FIG. 9 shows a mirror 20 which is directed at an angle of γ h with the screen 22 on the horizontal plane, with the image projected onto the mirror 20 by the projection cathode ray tube 16 at the maximum lateral approach angle in the horizontal plane. Reflected on the projection screen 22 at a projection angle including φ h . The screen 22 adjusts the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screen 22 to a display angle θ h between 0 ° and 5 °, preferably between 3 ° and 5 ° by readjusting the image projected thereon, the image being Reflected onto the projection angle screen 22 with a maximum lateral approach angle φ h of 10 ° to 30 °, preferably 15 ° to 30 °, most preferably at least 15 °.

이러한 상기 발명의 측면은 4개의 서로 다른 최대 측면 접근 각도 φh 즉, 0°, 15°, 30°, 45°의 각도에 대해서 시험이 행해진다. 특히 빛은 주어진 투사각 φh 로 스크린(22)의 후면 위로 반사되는 반면에 측정은 수평 시야 각도의 함수로 스크린(22)을 통해 투과되는 빛의 강도와 적색/녹색 및 적색/청색 컬러 이동의 강도에 대해서 행해진다. 이들 시험의 결과는 도 10 내지 도 17에서 그래프의 형태로 나타나 있다. 특히, 도 10과 도 11은 각각 0°의 각도 φh 에 대해 스크린의 중심 위치에서 ±40°의 수평 시야 범위에 대해 측정된 적색/녹색 및 적색/청색 컬러 이동의 그래프와 ±40°의 수평 시야 범위에 대해 측정된 스크린 휘도를 최대 백색 휘도의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와 도 13은 각각 15°의 각도 φh 에 대해 스크린의 중심 위치에서 ±40°의 수평 시야 범위에 대해 측정된 적색/녹색 및 적색/청색 컬러 이동의 그래프와 ±40°의 수평 시야 범위에 대해 측정된 스크린 휘도를 최대 백색 휘도의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와 도 15는 각각 30°의 각도 φh 에 대해 스크린의 중심 위치에서 ±40°의 수평 시야 범위에 대해 측정된 적색/녹색 및 적색/청색 컬러 이동의 그래프와 ±40°의 수평 시야 범위에 대해 측정된 스크린 휘도를 최대 백색 휘도의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과 도 17은 각각 45°의 각도 φh 에 대해 스크린의 중심 위치에서 ±40°의 수평 시야 범위에 대해 측정된 적색/녹색 및 적색/청색 컬러 이동의 그래프와 ±40°의 수평 시야 범위에 대해 측정된 스크린 휘도를 최대 백색 휘도의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This aspect of the invention is tested for four different maximum lateral approach angles φ h, ie, angles of 0 °, 15 °, 30 °, 45 °. In particular, the light is reflected over the back of the screen 22 at a given throw angle φ h while the measurement is the intensity of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screen 22 as a function of the horizontal viewing angle and the intensity of the red / green and red / blue color shifts. Is done for. The results of these tests are shown in the form of graphs in FIGS. 10-17. In particular, FIGS. 10 and 11 are graphs of red / green and red / blue color shifts and ± 40 ° horizontal, respectively, for a horizontal field of view of ± 40 °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screen for an angle φ h of 0 °, respectively. It is a graph showing the screen brightness measured as a percentage of the maximum white brightness over the viewing range. 12 and 13 are graphs of the red / green and red / blue color shifts and ± 40 ° horizontal field of view measured for a horizontal field of view of ± 40 °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screen for an angle φ h of 15 °, respectively. Is a graph showing screen brightness measured as a percentage of maximum white brightness. 14 and 15 show graphs of the red / green and red / blue color shifts and the horizontal field of view of ± 40 ° measured for a horizontal field of view of ± 40 °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screen for an angle φ h of 30 °, respectively. Is a graph showing screen brightness measured as a percentage of maximum white brightness. 16 and 17 show graphs of the red / green and red / blue color shifts and the horizontal field of view of ± 40 ° measured for a horizontal field of view of ± 40 °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screen for an angle φ h of 45 °, respectively. Is a graph showing screen brightness measured as a percentage of maximum white brightness.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각각의 개별적인 투사 음극선관은 적어도 개별적인 하나의 거울과 협동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개별적인 거울은 그 거울에 의해 반사된 각각의 이미지가 상기 스크린의 후면 위의 동일한 지점에 공통적으로 집속되도록 지향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의 거울(20)이 거울(50, 55, 60)로 대체된다. 거울들(50, 55, 60)은 각각 스크린(22)의 중심에 집속되는 광축을 따라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이미지가 각각 투사 음극선관(14, 16, 18)에 의해 투사되도록 지향된다. 본 발명의 사상과 특히 상기 홀로그래픽 스크린은 거울들의 광축이 스크린(22)과 최대로 직각에 가까울 필요가 없는 거울들(50, 55, 60)을 허용한다는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함으로써 거울(50, 55, 60)에 의해 스크린(22) 위로 반사되는 이미지가 0°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5°내지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의 각도로 그 거울들 위로 입사된다.In another varia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individual projection cathode ray tube cooperates with at least one individual mirror, such that each image reflected by the mirror is placed on the back of the screen. It is directed to focus on the same point in common. Figure 18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ariant of the invention, in which the mirror 2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replaced by mirrors 50, 55, 60. The mirrors 50, 55, 60 are each directed such that the image is projected by the projection cathode ray tubes 14, 16, 18 by reflecting light along an optical axis focus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22, respectively. The idea of the invention and in particular the holographic screen is that the optical axis of the mirrors allows mirrors 50, 55, 60 which do not need to be at most perpendicular to the screen 22. Rather, the image reflected by the mirrors 50, 55, 60 onto the screen 22 by using the inventive concept is 0 ° to 30 °, preferably 15 ° to 30 °, and most preferably about 15 °. Is incident on the mirrors at an angle of.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을 본 당업자라면 가능하다고 여겨지는 캐비넷 크기보다 소형의 캐비넷 크기를 갖는 후방 투사형 스크린 텔레비전을 설계하고 생산할 수 있는 설비가 가능함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These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escription disclosed herein is capable of designing and producing rear projection screen televisions having a cabinet size smaller than the cabinet size deemed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전술한 전형적인 실시예들 및 부가적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했던 본 발명은 이제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하게 언급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독점적인 권리가 요구되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 이외에도 이에 첨부된 청구항도 적절하게 참고하여야 할 것이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and additional embodiments will now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ally mentioned embodiments, and therefore, in order to evaluate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ing exclusive rights,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appropriately referred to.

Claims (20)

투사형 텔레비전으로서,As a projection television, 서로 다른 컬러들의 개별적인 이미지들을 위한 복수 개의 이미지 투사기들(14, 16, 18)로서, 각 이미지 투사기는 투사축을 갖고, 임의의 인접한 2 개의 이미지 투사기들은 한쌍의 이미지 투사기로 규정되고, 이미지 투사기의 상기 각 쌍은 입사각을 규정하는 투사축들을 갖는 것인, 상기 복수의 이미지 투사기들(14, 16, 18)과,As a plurality of image projectors 14, 16, 18 for individual images of different colors, each image projector has a projection axis, and any adjacent two image projectors are defined as a pair of image projectors,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 projectors 14, 16, 18 having projection axes defining an angle of incidence,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 패널(38) 위에 중첩된 기판(24)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로그램(26)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투사기들로부터의 이미지들을 제1면 상에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의 광분산을 제어하여 상기 이미지들을 제2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투사 스크린(22)과,Formed by at least one hologram 26 disposed on a substrate 24 superimposed on at least one light transmissive panel 38, receiving images from the projectors on a first surface, and displaying the A projection screen 22 for controlling the light dispersion of the images to display the images on a second surface; 상기 이미지 투사기들(14, 16, 18)과 상기 투사 스크린(22) 사이의 광경로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투사기들로부터의 이미지들은 상기 제1면 상으로 반사시키도록 지향되고, 상기 스크린에 수직하는 축에 대하여 대략 ±30°의 범위 내에서 각 이미지에 대한 투사각(φh , φv )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울(20)을 포함하고, Disposed along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 projectors 14, 16, 18 and the projection screen 22, the images from the projectors being directed to reflect onto the first surface and perpendicular to the screen; At least one mirror 20 defining a projection angle φ h , φ v for each image within a range of approximately ± 30 ° with respect to the axis to be 상기 투사 스크린(22)은 그 위에 반사된 이미지를 재조정하여 상기 제2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이미지들이 상기 스크린에 수직하는 축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각도의 범위(
Figure 112005025498928-pct00035
β) 내에 있는 디스플레이의 각도( θ)로 지향되게 하고,
The projection screen 22 readjusts the image reflected thereon so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surface has a range of display angles relative to the axis perpendicular to the screen.
Figure 112005025498928-pct00035
to the angle (θ) of the display within β),
상기 투사 스크린(22)은 시야 범위에 걸쳐 수평 및 수직으로 변하는 광학적 특성을 갖는 간섭 배열을 형성하며, 상기 스크린의 컬러 이동(C)은 다음의 관계식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얻어지는 최대값에 의해 결정되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 범위 내에 있는 상기 모든 투사각들(φh , φv )에 대하여 대략 5 보다 작거나 같게 되는 것인,The projection screen 22 forms an interference arrangement with optical properties that var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ver the field of view, and the color shift C of the screen is determined by a maximum value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relations: Less than or equal to about 5 for all the projection angles φ h , φ v within the display angle range,
Figure 112005025498928-pct00050
Figure 112005025498928-pct00050
Figure 112005025498928-pct00051
Figure 112005025498928-pct00051
 ̄ 여기서, θ는 수평 시야 각도들의 상기 범위(
Figure 112005025498928-pct00052
β) 내에 있는 임의의 각도이고, C(θ)는 θ각도에서의 컬러 이동이고, red( θ)는 θ각도에서의 적색 휘도 레벨이고, blue(θ)는 θ각도에서의 청색 휘도 레벨이며, green(θ)는 θ각도에서의 녹색 휘도 레벨임  ̄ ,
Where θ is the above range of horizontal viewing angles
Figure 112005025498928-pct00052
any angle within β), C (θ) is the color shift at the θ angle, red (θ) is the red luminance level at the θ angle, blue (θ) is the blue luminance level at the θ angle, green (θ) is the green luminance level at θ angle  ̄,
투사형 텔레비전.Projection Televi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각들의 범위는 상기 스크린에 수직인 상기 축들에 대하여, 대략 15°내지 30°와, 대략 -15°내지 -30°인 것인 투사형 텔레비전.The projection television of claim 1, wherein the range of projection angles is approximately 15 ° to 30 ° and approximately −15 ° to −30 ° with respect to the axes perpendicular to the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각들의 범위는 상기 스크린에 수직인 상기 축에 대하여, 대략 15°보다 크거나 같고, 대략 -15°보다 작거나 같은 것인 투사형 텔레비전.The projection television of claim 1, wherein the range of projection angl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bout 15 ° and less than or equal to about −15 ° with respect to the axis perpendicular to the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울(20)은, 상기 투사축들이 상기 스크린에 의해 규정된 평면과 상기 이미지 투사기들의 상기 투사축들 중 어느 한 축 사이의 각도로 규정되는 대략 10°내지 30°범위에 있는 최대 상향 각도(extreme up angle)로 배치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이미지 투사기들(14, 16, 18)과 투사형 스크린(22) 사이로 지향되는 것인 투사형 텔레비젼.The at least one mirror (2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mirror (20) is about 10 degrees to which the projection axes are defined by an angle between a plane defined by the screen and one of the projection axes of the image projectors. A projection television dir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image projectors (14, 16, 18) and the projection screen (22) so as to be disposed at an extreme up angle in the 30 ° r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울(20)은, 상기 투사축이 상기 스크린에 의해 규정된 평면과 상기 이미지 투사기들의 상기 투사축들 중 어느 한 축 사이의 각도로서 규정되는 대략 10°내지 30°범위에 있는 최대 측면 각도(extreme side angle)로 배치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이미지 투사기들(14, 16, 18)과 투사 스크린(22) 사이로 지향되는 것인 투사형 텔레비젼.The at least one mirror (20)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mirror (20) is about 10 degrees to which the projection axis is defined as an angle between a plane defined by the screen and one of the projection axes of the image projectors. A projection television dir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image projectors (14, 16, 18) and a projection screen (22) so as to be disposed at an extreme side angle in the 30 ° r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울(20)은 상기 이미지 투사기들(14, 16, 18) 중 각각의 하나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별개의 거울을 포함하는 것인 투사형 텔레비전.A projection televis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mirror (20) comprises at least one separate mirror for each one of the image projectors (14, 16,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로그램은 2 개의 서로 다른 방향들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서 각각의 적색 및 청색 이미지의 상기 광분산을 제어하는 제1 홀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인 투사형 텔레비전.The projection television set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hologram comprises a first hologram that controls the light dispersion of each red and blue image in at least one of two different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22)은 서로 간에 적층된 제1 및 제2 홀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로그램은 2 개의 서로 다른 방향들 중 한 방향에서 상기 적색 및 청색 이미지 각각의 상기 광분산을 제어하며, 상기 제2 홀로그램은 상기 2 개의 서로 다른 방향들 중 나머지 방향에서 상기 적색 및 청색 이미지 각각의 상기 광분산을 제어하는 것인 투사형 텔레비젼.The light source of claim 1, wherein the screen 22 comprises first and second holograms stacked on each other, the first hologram having the light of each of the red and blue images in one of two different directions. And control the dispersion, wherein the second hologram controls the light dispersion of each of the red and blue images in the remaining one of the two different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22)은 다음과 같은 사양,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creen 22 has the following specifications, 수평 반시야 각도 : 38°±3°Horizontal half view angle: 38 ° ± 3 ° 수직 반시야 각도 : 10°±1°Vertical half-field angle: 10 ° ± 1 ° 스크린 이득 : ≥8Screen gain: ≥8 컬러 이동 : ≤3Color shift: ≤3 을 갖는 것인 투사형 텔레비전.Having a projection televis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07008339A 1998-01-29 1998-01-29 Projection television with mirror embedded on holographic screen Expired - Fee Related KR10054483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8/001737 WO1999039514A1 (en) 1998-01-29 1998-01-29 Projection televisions with mirrors incident on holographic scre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483A KR20010040483A (en) 2001-05-15
KR100544834B1 true KR100544834B1 (en) 2006-01-24

Family

ID=2226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339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4834B1 (en) 1998-01-29 1998-01-29 Projection television with mirror embedded on holographic screen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051860A1 (en)
JP (1) JP3897980B2 (en)
KR (1) KR100544834B1 (en)
CN (1) CN1183773C (en)
AU (1) AU6137698A (en)
WO (1) WO199903951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2202A (en) * 2018-04-27 2018-10-19 伍伟权 A kind of literal arts line holographic projections teaching equipment
CN109031243A (en) * 2018-08-15 2018-12-18 北京大汉正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laser radar launcher and launching technique
CN109814082B (en) * 2019-01-21 2021-10-22 上海禾赛科技有限公司 Light receiving module and laser radar system
CA3095177A1 (en) 2020-10-02 2022-04-02 Mtt Innovation Incorporated Optical projection with combined bea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195A (en) * 1991-08-22 1993-03-05 Fujitsu General Ltd Projector device
JPH0973132A (en) * 1995-09-05 1997-03-18 Casio Comput Co Ltd Transmissive screen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6793A (en) * 1989-05-26 1991-09-10 Litton Systems, Inc. Chromatically corrected directional diffusing screen
CA2044932C (en) * 1990-06-29 1996-03-26 Masayuki Kato Display unit
JP3388780B2 (en) * 1992-06-19 2003-03-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Rear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JP3340766B2 (en) * 1992-09-03 2002-11-05 株式会社リコー Transmission projection screen
WO1995004303A1 (en) * 1993-07-27 1995-02-09 Physical Optics Corporation High-brightness directional viewing screen
JPH09505416A (en) * 1994-09-06 1997-05-27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ネ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Rear projection screen
JP3525584B2 (en) * 1995-10-24 2004-05-10 株式会社デンソー Hologram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195A (en) * 1991-08-22 1993-03-05 Fujitsu General Ltd Projector device
JPH0973132A (en) * 1995-09-05 1997-03-18 Casio Comput Co Ltd Transmissive screen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97980B2 (en) 2007-03-28
KR20010040483A (en) 2001-05-15
AU6137698A (en) 1999-08-16
WO1999039514A1 (en) 1999-08-05
JP2002502200A (en) 2002-01-22
CN1183773C (en) 2005-01-05
CN1284239A (en) 2001-02-14
EP1051860A1 (en)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4713B1 (en) Projection television with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screen
KR100517427B1 (en) Projection televisions with holographic screens having center to edge variations
KR100544834B1 (en) Projection television with mirror embedded on holographic screen
KR100525622B1 (en) Holographic screen projection televisions with optical correction
KR100644170B1 (en) Projection Television with Holographic Screen
KR20010040480A (en) Projection television with holographic screen and partly occluded projection lens
US6621530B1 (en) Projection televisions with mirrors incident on holographic screens
KR20010040481A (en) Projection televisions with holographic screens having stacked elements
JP3901740B2 (en) Projection television using holographic screens
EP1051859B1 (en) Direct projection television with three dimensional holographic screen
KR100565137B1 (en) Projection-type television with a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screen and a blue cathode ray tube centered for cathode ray tube drive equilibrium
KR20010040479A (en) Projection televisions with holographic screens for high off axis exclusion
CN1697524A (en) Projection television with holographic screen including stacked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