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336B1 - Air condition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3336B1 KR100543336B1 KR1020030084229A KR20030084229A KR100543336B1 KR 100543336 B1 KR100543336 B1 KR 100543336B1 KR 1020030084229 A KR1020030084229 A KR 1020030084229A KR 20030084229 A KR20030084229 A KR 20030084229A KR 100543336 B1 KR100543336 B1 KR 1005433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grill
- air
- high voltage
- voltage gener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8/19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by filtering using high volta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그릴 또는 토출그릴이 열릴 경우 팬 모터의 구동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with an air cleaning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driving of a fan motor when the suction grill or the discharge grill is opened, thereby ensuring user safety. An air conditioner with a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에 설치된 흡입그릴 또는 토출그릴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그릴 또는 토출그릴 중 적어도 하나의 그릴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된 것으로 판단되면 팬모터의 구동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whether the suction grill or discharge grill installed in the main body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grill of the suction grill or discharge grill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driving of the fan motor It includes a step.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with an air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with an air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n air conditioner to which an air cleaning function is a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code for the main functions of the drawings
30:공기청정기 32:제2흡입그릴 30: air cleaner 32: second suction grill
33:제2흡입구 34:제2토출구 33: second inlet 34: second outlet
35:송풍팬 36:집진장치 35: Blowing fan 36: Dust collector
37:제2토출그릴 38:고전압 발생기 37: 2nd discharge grille 38: High voltage generator
39:자석 40:리드 스위치 39: Magnet 40: Reed switch
42:팬모터 50:제어부 42: fan motor 50: control unit
51:전원부 53:입력전원 감지부 51: Power supply unit 53: Input power detection uni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기청정과정을 수행하는 중에 토출그릴 또는 흡입그릴이 열리면 자동으로 팬 모터의 구동을 방지하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with an air cleaning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erein the air cleaning function is added to prevent the driving of the fan motor automatically when the discharge grill or the suction grill is opened during the air cleaning process. A harmonic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는 여름철과 같은 더운 날씨에는 냉방기능을 주로 수행하고 냉방을 요하지 않는 시기에는 공기청정기능을 주로 수행하여 장치의 효율을 높이면서 편리함을 추구한 장치이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with an air cleaning function is a device that pursues convenience while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device by mainly performing the cooling function in hot weather, such as summer, and the air cleaning function when the cooling is not required.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통상 본체 상부의 공기조화부와 본체 하부의 공기청정부가 구획되어 설치되며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전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흡입구가 형성된다. Such an air conditioner is generally installed by partitioning the air conditioner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an inlet is formed i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front to respectively suck the indoor air.
그리고 냉각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본체의 측면 상부와 하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본체의 상부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화공기가 토출되도록 모터의 동력에 의해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과 송풍팬의 송풍에 의해서 흡입된 공기를 냉매의 증발작용에 의해 냉풍으로 변환시키는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Discharge ports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cool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blows the indoor air and generates a blowing force by the power of the motor to discharge the harmonic air; It is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r for converting the air sucked by the blowing fan blower into cold air by the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또한 본체의 하부에는 실내공기의 부유입자를 걸러내기 위한 집진장치, 집진장치에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발생기, 실내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or for filtering the suspended particles of the indoor air, a high voltage generator for su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dust collector, a blower fan for suctioning the indoor air into the main body and out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
종래의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는 통상 송풍팬이 회전하여 실내공기가 흡입구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고, 흡입된 공기에 함유된 먼지 및 냄새는 흡입구의 내측에 설치된 집진장치를 통과하면서 흡착 및 탈취된다. 그리고 집진장치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는 송풍팬의 송풍에 의해서 본체의 양측에 설치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In conventional air conditioners equipped with an air cleaning function, the blowing fan is rotated so that indoor air flows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inlet, and dust and odor contained in the sucked air pass through the dust collector installed inside the inlet. Adsorption and deodorization. And the air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o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by the blowing fan.
한편, 공기조화기의 동작중에 흡입그릴이 열릴 경우 고전압발생기에서 공급된 고전압(통상 수 kV정도임)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고전압 발생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ction grill is open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to automatically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high voltage generator in order to prevent an electric shock due to the high voltage (usually a few kV) supplied from the high voltage generator.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에서는 공기청정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공기청정부의 흡입그릴이나 토출그릴이 열릴 경우 기계적인 스위치와 연결된 고전압 발생기의 전원만 차단되고 팬은 회전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고속회전하는 팬에 의해 다칠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air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the suction grill or the discharge grill of the air cleaner is opened during the air cleaning function, only the power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connected to the mechanical switch is cut off and the fa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ser is injured by the fan to rotate at high speed to maintain the rotation stat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그릴 또는 토출그릴이 열릴 경우 팬 모터의 구동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driving of the fan motor when the suction grill or discharge grill is opened air conditioner with an air cleaning function that can ensure the safety of the user and The control method is provid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에 설치된 흡입그릴 또는 토출그릴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그릴 또는 토출그 릴 중 적어도 하나의 그릴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된 것으로 판단되면 팬모터의 구동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determined whether the suction grill or discharge grill installed in the main body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grill of the suction grill or discharge grill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preventing the drive of the fan motor.
또한 상기 흡입그릴 또는 토출그릴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는 상기 흡입그릴 또는 토출그릴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면 자동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고전압 발생기에 설정된 크기의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지 여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whether the suction grill or the discharge grill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ower of the size set in the high voltage generator is automatically applied when the suction grill or discharge grill is disconnected from the main body is cut off. It features.
또한 상기 고전압 발생기에 설정된 크기의 전원이 인가되고 있지 않는 경우 상기 흡입그릴 또는 토출그릴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when the power of the size set in the high voltage generator is not appli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suction grill or discharge grill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또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정화된 공기를 본체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팬를 구동하는 팬 모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그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릴이 열렸는지 판단하는 그릴개폐 감지부와, 상기 그릴개폐감지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릴이 열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팬 모터의 구동을 방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so, a fan motor for driving a main body, a fan motor for sucking air into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t least one grill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t least one grill is opened. And a grill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and a controller for preventing the fan motor from being driven when the grill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at least one grill is opened.
또한 상기 그릴개폐감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릴이 열리면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고전압 발생기에 설정된 크기의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입력전원 감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grill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power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power of the size set in the high voltage generator is cut off when the at least one grill is open power supply.
또한 상기 입력전원 감지부에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에 설정된 크기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있음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릴이 열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put power detector may determine that the at least one grill is open when the input power detector detects that power of the size set in the high voltage generator is not supplied.
또한 상기 고전압 발생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릴 중 일부만 열려도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high voltage gene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cut off even if only part of the at least one gril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의 상부와 하부가 구획되어 있으며, 본체(10)의 상부에는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조화기(10)를 설치하고, 본체의(10)의 하부는 공기를 청정하게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청정기(20)를 설치한다. As shown in FIG. 1,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a
본체(10)의 전면 상부에는 실내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제 1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개구부(21)에는 제 1 흡입그릴(22)이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제 1 흡입그릴(22)은 본체(10)로부터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서, 제 1 흡입그릴(22)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 1 개구부(21)와의 사이에는 일정한 폭을 가진 흡입구(23)가 형성되도록 하여 이 흡입구(23)를 통해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체(10)의 상부 양 측면에는 조화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제1토출구(24)가 마련되며 토출구(24)에 인접하여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팬(25)이 설치된다. A
제1흡입그릴(22)의 후방에는 열교환기(26)가 설치되는데 열교환기(26)는 좌우측면이 송풍팬(25)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그 횡단면이 "V"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단면적이 증대되어 열교환 성능이 증대되도록 함과 동시에, 흡입구(23) 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동저항 없이 각 송풍팬(25)을 향해 양분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송풍팬(25)들은 횡류팬으로 이루어지며, 본체(10)의 상부의 양 측면에 형성된 제 1 토출구(24)의 수직 길이에 대응하도록 세워져서 설치된다. 제 1 토출구(24)에는 냉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토출 블레이드(27)가 설치되도록 한다. Blowing
한편, 본체(10)의 양 측면 하부에는 측면 개구부(41)가 형성되며 측면 개구부(41)에는 제2토출그릴(37)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2토출그릴(37)에는 제2토출구(34)가 마련된다. 제2토출그릴(37)의 측단면 근처 일부분에는 자석(39)이 설치되며 제2토출그릴(37)이 측면 개구부(41)에 결합되었을 때 자석의 위치에 대응하는 본체(10) 부분에는 리드 스위치(40)가 마련된다. 여기에서 리드 스위치(40)는 전원부(도 2의 51)와 후술할 고전압 발생기(38) 사이에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또한, 본체의 전면 하부에는 실내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제 2 개구부(31)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2개구부(31)에는 제2흡입그릴(32)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흡입그릴(32)의 측단면 근처 일부분에는 자석(39)이 설치되며 제2흡입그릴(32)이 제2개구부(31)에 결합되었을 때 자석의 위치에 대응하는 본체 부분에는 리드 스위치(40)가 마련된다. 여기에서 리드 스위치(40)는 제2토출그릴의 경우처럼 전원부와 고전압 발생기(38) 사이에 설치된다. In addition, a
리드 스위치(40)는 외부에서 가해진 자계의 세기에 의해 일련의 스위치 작용을 하는 장치로 노멀 오픈형, 노멀 클로즈형, 트랜스퍼형 등이 있다. 따라서, 제2 토출그릴(37) 또는 제2흡입그릴(32)이 본체(10)에서 분리된 경우 자석(39)이 리드 스위치(40)에서 멀어져 리드 스위치(40)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의 세기도 약해지므로 리드 스위치(40)가 오프된다. 리드 스위치(40)가 오프되면 그에 따라 고전압 발생기(38)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반대로 제2토출그릴(37) 또는 제2흡입그릴(32)이 본체(10)에 결합되면 자석(39)이 리드 스위치(40)에 가까워져서 리드 스위치(40)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의 세기가 커지므로 리드 스위치(40)가 온 된다. 리드 스위치(40)가 온 되면 고전압 발생기(38)와 전원부(도 2의 51)가 연결되어 고전압 발생기(38)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처럼 각 그릴(32,37)이 본체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고전압 발생기(38)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차단된다. The
제 2 흡입그릴(32)의 후방에는 본체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의 먼지,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 집진장치(36)가 마련되고, 집진장치(36)의 후방에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본체내부로 유입하여 정화시킨 후 본체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35)이 설치된다. 집진장치(36)는 항균 및 살균, 탈취와 음이온 발생 기능 등을 갖춘 다기능 필터로서, 공기청정기(30)의 내부에 고정구조 없이 인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고정구조를 갖추어서 설치될 수도 있다. At the rear of the
송풍팬(35)은 다익형 원심팬으로 송풍팬(35)의 후방에 설치된 팬 모터(42)에 의해 회전하고, 그 전면이 제 2 흡입그릴(32)을 향해 배치된다. 송풍팬(32)의 주위에는 송풍팬(32)을 감싸고 있는 팬 케이싱(43)이 마련되며 팬 케이싱(43)은 그 전면에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송풍팬(35)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팬 케이싱(43)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유출구가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가 본체(10) 하부의 양 측면에 마련된 제 2 토출구(34)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The blowing
제 2 흡입그릴(32)도 제 1 흡입그릴(22)과 마찬가지로 본체(10)로부터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서 제 2 흡입그릴(51)의 가장자리와 본체(10)와의 사이에는 일정한 폭을 가진 흡입구(33)가 형성되어 이 흡입구(33)를 통해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Similarly to the
집진장치(36)의 하부에는 집진장치(36)에 고전압을 공급해 주기 위한 고전압 발생기(38)가 위치한다. 집진장치(36)에 공급되는 전압은 통상 수 kV정도의 크기를 가지므로 사람이 접촉할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The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는 집진장치(36)에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기(38)에 연결된 전원부(51)를 구비한다. 전원부(51)에서 고전압 발생기에 공급하는 전원은 약 12V이며 전원부(51)와 고전압 발생기(38) 사이에는 리드 스위치(40)가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2,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air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고전압 발생기(38)에는 전원부(51)와 연결된 단자 뿐만 아니라 후술할 제어부(50)와 연결되는 단자도 마련되는데 제어부(50)와 고전압 발생기(38) 사이에 인버터(52)와 리드 스위치(40)가 위치한다. 인버터(52)는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The
따라서, 제2토출그릴(37)과 제2흡입그릴(32)이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동작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50)는 하이 신호(통상 5V임)를 출력하고 하이 신호를 입력받은 인버터(52)는 로우 신호(통상 0V임)를 출력한다. 인버터(52)의 출력이 0V이고 전원부(51)에서 인가되는 전압이 12V이므로 결국 고전압 발생기(38)에는 12V 의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operation signal is applied while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능을 부가한 공기조화기는 고전압 발생기(38)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지를 감지하는 입력전원 감지부(53)를 구비한다. 입력전원 감지부(53)는 고전압 발생기(38)와 전원부(51) 사이 및 고전압 발생기(38)와 인버터(52) 사이에 연결되어 입력전압의 크기를 감지한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with an air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만약 입력전원 감지부(53)에서 설정된 크기의 전압(약 12V)을 감지하면 리드 스위치(40)가 온 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제2토출그릴(37) 또는 제2흡입그릴(32)이 본체(10)에 결합된 상태로 볼 수 있고 입력전원 감지부(53)에서 설정된 크기의 전압이 감지되지 않으면 리드 스위치(40)가 오프된 경우이므로 제2토출그릴(37) 또는 제2흡입그릴(32)이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If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팬(35)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42)와, 팬 모터(43)를 구동하는 팬모터 구동부(54)와,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56)와,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55)와,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with the air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with the air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공기청정기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고전압 발생기(38)에 전원을 인가한다(60). 또한, 팬모터 구동부(54)에 신호를 보내 팬모터(42)를 구동하도록 한다. First, when the air cleaner operation signal is input, the
팬모터(42)가 구동되면 회전하는 송풍팬(35)에 의해 실내공간의 공기가 제2 흡입구(33)를 통해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집진장치(36)를 거치면서 정화된다. 집진장치(36)를 지나면서 정화된 공기는 본체(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제2토출구(34)를 통해 실내로 다시 공급된다. When the
다음으로 입력전원 감지부(53)에서 고전압 발생기(38)에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감지한다(62). 입력전원 감지부(53)에서 감지된 결과는 제어부(50)로 전송되고 제어부(50)는 고전압 발생기(38)의 입력전압이 설정값과 같은 지를 판단한다(64). 설정값은 약 12 V정도로 설정하며 일정한 범위내의 값이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고전압 발생기에 입력되는 전압의 설정값을 11-12V의 범위로 할 수 있다. Next, the
만약 고전압 발생기에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가 설정값과 같으면 제2토출그릴(37) 또는 제2흡입그릴(32)이 닫힌 상태인 것으로 보아 입력전원 감지부(53)에서 고전압 발생기(38)의 입력전압을 감지하는 단계로 복귀한다. If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input to the high voltage generator is equal to the set value, it is assumed that the
그러나 고전압 발생기(38)의 입력전압이 설정값이 아닌 경우 제2토출그릴(37) 또는 제2흡입그릴(32)이 열린 상태인 것으로 보아 고전압 발생기(38)에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팬모터 구동부(54)에 신호를 보내 팬모터의 구동을 방지한다(66). However, when the input voltage of the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동작은 모두 종료된다. This complete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청정과정을 수행하는 중에 그릴이 열리면 고전압 발생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팬모터의 구동을 방지하여 회전하는 팬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uts the power supplied to the high voltage generator when the grill is opened during the air cleaning process, but also prevents the user from being injured by the rotating fan by automatically preventing the driving of the fan motor. can do.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4229A KR100543336B1 (en) | 2003-11-25 | 2003-11-25 | Air condition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4229A KR100543336B1 (en) | 2003-11-25 | 2003-11-25 | Air condition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0480A KR20050050480A (en) | 2005-05-31 |
KR100543336B1 true KR100543336B1 (en) | 2006-01-20 |
Family
ID=3866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84229A KR100543336B1 (en) | 2003-11-25 | 2003-11-25 | Air condition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43336B1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RE48619E1 (en) | 2018-12-21 | 2021-07-06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Personal air cooler |
WO2021242295A1 (en) * | 2020-05-29 | 2021-12-02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Evaporative air cooling tower |
WO2021252001A1 (en) * | 2020-06-10 | 2021-12-16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Evaporative personal air cooler with clip |
USD948009S1 (en) | 2020-05-29 | 2022-04-05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Evaporative air cooling tower |
USD948679S1 (en) | 2020-03-26 | 2022-04-12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Personal air cooler |
USD948680S1 (en) | 2020-05-29 | 2022-04-12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Evaporative air cooling tower |
USD963135S1 (en) | 2020-04-22 | 2022-09-06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Personal air cooler |
USD967363S1 (en) | 2021-04-05 | 2022-10-18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Personal air cooler |
US11774116B2 (en) | 2019-01-03 | 2023-10-03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Evaporative air cooling tower |
USD1007657S1 (en) | 2022-04-04 | 2023-12-12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Personal air cooling tower |
US11852373B2 (en) | 2019-01-03 | 2023-12-26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Evaporative air cooler having an ice pack |
US11953256B2 (en) | 2019-01-03 | 2024-04-09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Evaporative personal air cooler with clip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6652B1 (en) | 2008-01-21 | 2010-03-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2003
- 2003-11-25 KR KR1020030084229A patent/KR10054333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RE48619E1 (en) | 2018-12-21 | 2021-07-06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Personal air cooler |
US11953256B2 (en) | 2019-01-03 | 2024-04-09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Evaporative personal air cooler with clip |
US11852373B2 (en) | 2019-01-03 | 2023-12-26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Evaporative air cooler having an ice pack |
US11774116B2 (en) | 2019-01-03 | 2023-10-03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Evaporative air cooling tower |
USD948679S1 (en) | 2020-03-26 | 2022-04-12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Personal air cooler |
USD966475S1 (en) | 2020-04-22 | 2022-10-11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Personal air cooler |
USD963135S1 (en) | 2020-04-22 | 2022-09-06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Personal air cooler |
USD948009S1 (en) | 2020-05-29 | 2022-04-05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Evaporative air cooling tower |
USD948680S1 (en) | 2020-05-29 | 2022-04-12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Evaporative air cooling tower |
WO2021242295A1 (en) * | 2020-05-29 | 2021-12-02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Evaporative air cooling tower |
JP7614088B2 (en) | 2020-05-29 | 2025-01-15 | オンテル プロダクツ コーポレイション | Evaporative cooling tower |
WO2021252001A1 (en) * | 2020-06-10 | 2021-12-16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Evaporative personal air cooler with clip |
USD967363S1 (en) | 2021-04-05 | 2022-10-18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Personal air cooler |
USD978308S1 (en) | 2021-04-05 | 2023-02-14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Personal air cooler |
USD1007657S1 (en) | 2022-04-04 | 2023-12-12 | Ontel Products Corporation | Personal air cooling tow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0480A (en) | 2005-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43336B1 (en) | Air condition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 |
KR20040056151A (en) | Air purifier | |
KR100474045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50010346A (en) | Air conditioner | |
KR100502615B1 (en) | Air circulation system of window type | |
KR20000056583A (en) | Air-conditioner | |
JP2018151081A (en) | Air conditioner | |
KR100737448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50049948A (en) | Indoor unit of spilt type air-conditioner | |
KR100556313B1 (en) | Ventilation system | |
JP2001227813A (en) | Air conditioner | |
KR100324140B1 (en) | Suction grill opening detection device of air conditioner | |
KR100356568B1 (en) | method for alarm fire in air conditioner | |
CN109237605B (en) | Air conditioner | |
KR0136092Y1 (en) | Air conditioner | |
KR100531088B1 (en) | Air purifier | |
KR20060016003A (en) | Operation method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 |
KR100764733B1 (en) | Packaged air conditioner with independent air cleaning | |
KR100337291B1 (en) | Suction grill open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 |
KR100529905B1 (en) | Duct type of air conditioner | |
KR100239465B1 (en) | Air conditioner with air cleaner | |
KR20030035115A (en) | A filter's installing structure of the air-conditioner | |
KR100239533B1 (en) | Motor controller and method of air conditioner | |
KR101022218B1 (en) | Air Conditioner with Air Cleaner | |
KR100664503B1 (en) | Air Conditioner with Air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