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2718B1 - 모듈식 탱커 선박 - Google Patents

모듈식 탱커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718B1
KR100542718B1 KR1020000002568A KR20000002568A KR100542718B1 KR 100542718 B1 KR100542718 B1 KR 100542718B1 KR 1020000002568 A KR1020000002568 A KR 1020000002568A KR 20000002568 A KR20000002568 A KR 20000002568A KR 100542718 B1 KR100542718 B1 KR 100542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cket
recess
trouser
coupling mechanis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492A (ko
Inventor
카를로스 쿤츠 위릭
Original Assignee
카를로스 쿤츠 위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를로스 쿤츠 위릭 filed Critical 카를로스 쿤츠 위릭
Publication of KR20000076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71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665Floating propeller units, i.e. a motor and propeller unit mounted in a floating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63B3/08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with detachably-connec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arth Drill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andcart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의 견인유닛, 후방의 동력식 카부스(caboose)유닛 및 사이에 삽입된 일련의 모듈식 유닛들 또는 바지(barge)들로 구성된 모듈식 탱커선박을 제공하고, 유닛들 사이의 상대적으로 제한된 요우, 피치 및 롤운동을 허용하는 유니버어셜 커플링에 의해 유닛들이 직렬로 그리고 유연하게 상호연결되어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이 이루어진다.
선체 잠수부분이 원형을 이루고, 바지 유닛들이 전후에서 서로에 대해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선체단면에 의해 형성된 원형부분의 원중심에서 견인유닛 및 카부스유닛과 연결되어, 바지 유닛들이 서로에 대해 롤링운동할 때, 바지트레인의 선체연속성이 유지된다.
바지 유닛들을 서로에 대해 그리고 전방의 견인유닛 및 후방의 카부스유닛에 탈착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유니버어셜 커플링이 볼록부커플링축을 수용하기 위해 결합바지 유닛의 후방(또는 전방)에 장착된 오목부 소켓, 카르단 또는 후크조인트 또는 바지 유닛의 전방(또는 후방)에 장착된 볼소켓조인트의 볼과 같이 유니버어셜조인트로부터 연장구성된 볼록부커플링축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모듈식 탱커 선박{SEA GOING BARGE TRAI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항해용 바지 트레인(barge train)에 대한 분해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목부(female) 결합 바지 유닛 단부에 대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볼록부(male) 결합 바지 유닛 단부에 대한 사시도.
도 4 는 오목부 커플링(coupling) 기구에 대한 사시도.
도 5 는 도 4 의 오목부 커플링에 대한 분해도.
도 6 은 볼록부 커플링 기구에 대한 분해도.
도 7 내지 도 10 은 커플링 작업의 순서를 나타내는 볼록부 커프링 기구 및 오목부 커플링 기구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11 은 바지 유닛 사이에 구성된 범퍼(bumper)에 대한 측면 단면도.
* 부호 설명
10: 바지 트레인 12: 견인 유닛
14: 카부스(caboose) 유닛 16: 바지 유닛
18: 유니버어셜 커플링 20,32,36: 선체
22: 오목부 커플링 기구 24: 볼록부 커플링 기구
26: 오목부 소켓 28: 볼록부 커플링 축
30: 선수 34: 스크류 프로펠러
96: 범퍼 114: 카울링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항해용 바지트레인(barge train)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전방의 견인유닛, 후방의 동력식 카부스유닛(caboose unit) 및 중간에 삽입된 일련의 모듈유닛(modular unit) 또는 바지들로 구성되고, 유니버어셜 커플링(universal type coupling)에 의해 유닛들이 유연하게 상호연결되며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을 해상운송하기 위한 바지트레인 또는 모듈(module)식 탱커선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생산위치들로부터 정유시설 또는 멀리 떨어진 저장시설까지 원유의 해상운송이 탱커(tanker) 및 수퍼탱커(super-tanker)와 같이 해상용 특수선박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탱커들은 400,000톤에 이르는 원유를 운반하도록 설계된 대형선박이다. 상기 선박들의 크기에 기인하여, 상기 선박들은 상기 대형선박을 수용할 만큼 크기가 크고 깊이가 깊은 항구내에 입안가능하고 해협들을 통과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수퍼탱커들과 같은 대형 탱커들은 크기가 너무커서, 파나마(Panama)운하 또는 수에즈(Suez)운하와 같은 해상통로를 통과할 수 없고 그 결과 상기 인공통로들이 건설되고 설계되어 얻어지는 경제성을 이용할 수 없다. 그 결과, 상기 수퍼탱커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수퍼탱커들은 추가의 몇 천마일의 해상거리를 횡단해야만 한다.
현대적인 수퍼탱커를 건조하기 위해 상당부분의 건식도크(dock)설비 및 다른 특수설비가 요구되고, 지구상의 상대적으로 소수 조선소들이 건조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대형선박을 건조 및 운전하는데 소요되는 막대한 투자에 기인하여, 일반적으로 수퍼탱커들의 소유권은 초대형이고 부유한 다국적기업에 국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건조 및 운전비용이 덜들며 현재 필적하는 능력을 갖춘 탱커에 요구되는 건조용 건식도크설비의 크기보다 크기가 훨씬 더 작고, 현재 필적하는 능력을 갖춘 탱커를 수용하는데 해협 및 항구들보다 크기 및 깊이가 훨씬더 작은 해협 및 항구들에서 수용가능하며, 파나마운하 및 수에즈운하와 같은 인공통로를 통과가능하고 원유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을 위한 신규 탱커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의 견인유닛, 후방의 동력식 카부스유닛 및 사이에 삽입된 일련의 모듈식 유닛들 또는 바지(barge)들로 구성된 모듈식 탱커선박을 제공하고, 유닛들사이의 상대적으로 제한된 요우, 피치 및 롤운동을 허용하는 유니버어셜 커플링에 의해 유닛들이 직렬로 그리고 유연하게 상호연결되어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이 이루어진다.
선체잠수부분이 원형을 이루고, 바지 유닛들이 전후에서 서로에 대해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선체단면에 의해 형성된 원형부분의 원중심에서 견인유닛 및 카부스유닛과 연결되어, 바지 유닛들이 서로에 대해 롤링운동할 때, 바지트레인의 선체연속성이 유지된다.
바지 유닛들을 서로에 대해 그리고 전방의 견인유닛 및 후방의 카부스유닛에 탈착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유니버어셜 커플링이 볼록부커플링축을 수용하기 위해 결합바지 유닛의 후방(또는 전방)에 장착된 오목부 소켓, 카르단 또는 후크조인트 또는 바지 유닛의 전방(또는 후방)에 장착된 볼소켓조인트의 볼과 같이 유니버어셜조인트로부터 연장구성된 볼록부커플링축으로 구성된다. 선체 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원의 중심에 볼록부결합바지 유닛의 유니버어셜조인트가 장착되는 반면에, 선체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원의 중심에 오목부결합바지 유닛의 오목부소켓이 최종구속위치내에 장착된다. 연결되어야 하는 바지 유닛들사이에 부양력차이가 존재할 때, 연결작업시 볼록부결합바지 유닛의 볼록부커플링축과 오목부소켓이 수직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오목부결합바지 유닛상에서 수직운동을 위한 하우징에 의해 오목부소켓이 이용된다. 또한 추가로 커플링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오목부소켓의 최종구속위치를 선행하는 결합바지 유닛의 결합작용시 수직 및 수평축들주위에서 오목부소켓하우징에 의해 오목부소켓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연결작동 다음에, 바지선체 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원중심에 오목부소켓이 위치하도록 오목부소켓하우징을 재위치설정하고, 최종구속위치내에 오목부소켓을 구속하면, 결합하는 바지 유닛들에 구성된 각각의 선체들이 선체연속성을 위해 정렬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특징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에 본 발명에 따른 항해용 바지 트레인이 도시되고, 인용부호 10으로 표시된다. 바지 트레인(10)은 전방의 견인 유닛(12), 후방의 동력 카부스 유닛(14) 및 일련의 모듈러(modular) 유닛 또는 바지(16)로 구성된다. 각 바지 트레인(10)에 비교적 많은 수의 바지 유닛(16)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바지 유닛(16)은 연속적으로 함께 연결되며, 유니버어셜 커플링(universal type coupling)(18)에 의해 전방의 견인 유닛(12) 및 후방의 동력 카부스 유닛(14)에 연결된다. 유니버어셜 커플링(18)은 여러 유닛 사이의 상대적으로 제한된 좌우 운동, 상하 운동 및 회전 운동을 하도록 하고, 따라서 파도로 인해 바지 트레인에 발생되는 비틀림 응력 및 굽힘 응력을 감소시킨다.
각 바지 유닛(16)은 약 40 피트의 흘수(draft) 및 100 피트의 빔(beam)을 가지도록 설계되어, 상기 바지 유닛이 파나마 운하(폭이 110 피트인)를 통과하도록 하며, 대부분의 항구 및 운하에 적합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 에서 명확히 볼 수 있듯이, 바지 유닛(16)은 단면이 반원형인 선체(20)를 가지고, 선체의 침수 부분은 원형이며, 상기는 배수량 대 표면적의 비를 최소화하고, 따라서 선체(20)가 해수를 통과할 때 상기 선체(20)의 마찰 저항을 최소화한다. 도 2 는 바지 유닛(16)의 단부를 나타내고, 상기 단부에 커플링(18)의 오목부 커플링 기구(22)가 장착된다. 도 3 은 바지 유닛(16)의 단부를 나타내고, 상기 단부에 커플링(18)의 볼록부 커플링 기구(24)가 장착된다. 명확히 볼 수 있듯이, 오목부 커플링 기구(22)의 오목부 소켓(socket)(26) 및 볼록부 커플링 기구(24)의 볼록부 커플링 축(28)은, 선체(20)의 단면에 의해 구성된 원형 부분의 원 중심에 구성된다.
전방의 견인 유닛(12)는 종래 형상의 선수(bow)(30)를 가지고, 상기 선수(30)는 중간부 및 선미부에서 선체(32)와 연결되며, 상기 선체(32)는 견인된 바지 유닛(16)의 선체(20)에 대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 견인 유닛(12)의 후방 또는 선미 위치에서, 견인 유닛을 연속적으로 연결된 바지 유닛(16)의 제 1 바지 유닛에 연결시키기 위해, 적합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 커플링 기구(22 또는 24)가 구비된다. 바지 유닛(16)에서, 커플링 기구의 위치는 선체(32)의 단면에 의해 구성된 원형 부분의 원 중심에 구성된다. 바지 트레인(10) 추진용 스크류 프로펠러(screw propeller)(34)를 회전시키기 위해, 견인 유닛(12)는 추진 기계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내장한다.
후방의 동력 카부스 유닛(14)은 선체(36)를 가지고, 상기 선체(36)는 바지 유닛(16)의 선체(20)와 동일한 단면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상기 선체(36)는 유닛의 단부(38)에서 유선형으로 구성된다. 전방의 견인 유닛(1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바지 유닛(16)의 최종 바지 유닛을 연결시키기 위해, 카부스 유닛(14)의 정면부에 적합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 커플링 기구(22 또는 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 커플링 기구의 위치는 선체(36)의 단면에 의해 구성된 원형 부분의 원 중심에 구성된다. 카부스 유닛(14)은 추진 기계장치(propulsion mechanism)(도시되지 않음)를 내장하고, 필요할 때 바지 트레인(10)의 제동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동력 카부스 유닛(14)은 각 바지 유닛(16)을 항구로 또는 항구 외부로 수송하기 위한 예인선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대형 선박을 수용하기에 너무 작거나 또는 수심이 얕은 항구로 전체 바지 트레인(10)이 입항될 필요가 없어진다.
도 1 에 도시된 바지 트레인(10)의 수면 아래에 구성된 선체의 횡방향 부분(40)은, 선체 부분(40)의 유체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각 유닛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기 때문에, 항상 원형이다. 수면 아래에 구성된 선체의 횡방향 부분(40)에 대한 원형의 상기 유지는, 바지 트레인(10)의 각 유닛에 대한 선체(20,32,36)의 형상, 유니버어셜 커플링(18) 및 위치에 대한 직접적인 결과이다.
유니버어셜 커플링(18)은, 바지 유닛(16)의 오목부 결합 단부에 장착된 오목부 커플링 기구(22) 및 바지 유닛(16)의 볼록부 결합 단부에 장착된 볼록부 커플링 기구(24)로 구성된다. 보완적인 오목부 및 볼록부 커플링 기구(22,24)는 견인 유닛(12) 및 카부스 유닛(14)의 연결 단부에 장착된다. 도 4 및 도 5 에서 명확히 볼 수 있듯이, 오목부 커플링 기구는 오목부 소켓(26), 오목부 소켓 하우징(housing)(42), 이송대 하우징(44), 로크 칼라(lock collar)(46), 풀리(pulley)(48) 및 오목부 소켓 수직 안내부(50)를 포함한다. 오목부 소켓(26)은, 오목부 소켓(26) 및 축(28)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경사진 깔때기형 전방부(54)로 볼록부 커플링 기구(24)의 축을 수용하기 위해, 실린더형 배럴(barrel)부(52)를 가진다. 수직으로 연장구성된 베어링 축(56,58)은 배럴부(52)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연장구성되고, 오목부 소켓(26)을 고정시키고 오목부 소켓(26)이 수평면에서 선회 운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 오목부 소켓 하우징(42)의 상부 및 하부 베어링 소켓(60,62)과 연결된다. 한 쌍의 수평으로 연장구성된 대향 베어링 축(64)이 하우징(42)에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 축(64)은 이송대 하우징(44)의 대향 측벽(68)에 구성된 베어링 소켓(66)과 연결되며, 따라서 수직면에서 하우징(42) 및 오목부 소켓(26)이 선회 운동을 하도록 한다. 상기 배열은, 볼록부 커플링 축(28)과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오목부 소켓(26)의 만능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송대 하우징(44)은 측벽(68) 외에 상부벽(70), 중간벽(81) 및 하부벽(72)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대 하우징(44)에 수직 안내 레일(rail)(74)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 안내 레일(74)은 수직 안내부(50)의 수직 트랙(track)(76)에 수용된다. 수직 안내부(50)는 바지 유닛(16), 견인 유닛(12) 또는 카부스 유닛(14)의 오목부 결합 단부에 고정장착된다. 상기 구조는, 연결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오목부 소켓(26)의 수직 운동 및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재단기 형태의 로크 칼라(46)는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고, 연결 작업을 따르는 축(28)의 후퇴를 막기 위해 볼록부 커플링 기구(24)의 축(28)에 구성된 요홈(78)에 연결되도록 적용된다. 또한 로크 칼라(46)의 연결은, 오목부 소켓(26)의 수평면에서의 회전 및 수직면에서의 시계방향 회전을 제한한다. 수직면에서 오목부 소켓(26)의 회전에 대한 추가 제한은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세트 스크류(set screw)(80)에 의해 구비되고, 상기 세트 스크류(80)는 연결 작업을 따르는 소켓 하우징(92)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이송대 하우징(44)의 상부벽(70) 및 중간벽(81)에 구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안내된다. 풀리(48)는 케이블(cable)(82)을 안내하고, 상기 케이블(82)은 오목부 소켓(26)의 배럴부(52)를 통하여 이동되며, 연결 작업 중 볼록부 커플링 축(28)의 팁(tip)(84)에 부착된다. 케이블(82)은 윈치(winch)(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윈치는 바지 유닛(16)의 갑판에 장착되며, 축(28)을 오목부 소켓(26)의 배럴부(52)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볼록부 커플링 기구(24)를 내장하는 바지(16)를 오목부 커플링 기구(22)를 내장하는 바지(16)와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볼록부 커플링 기구(24)는 카르단(cardan) 만능 조인트 또는 후크(hook) 만능 조인트 또는 도 6 에 도시된 볼소켓(ball and socket) 조인트와 같은 만능 조인트를 포함한다. 도 6 에 도시된 볼록부 커플링 기구(24)는 볼(86) 및 소켓(88)을 포함하고, 상기 볼(86)로부터 축(28)이 연장구성되며, 상기 소켓(88)은 바지 유닛(16) 선체(20)의 단면에 의해 구성되는 원형 부분의 원 중심에서 바지 유닛(16)의 볼록부 결합 단부에 고정장착된다. 볼소켓을 형성하기 위해 볼(86)은 소켓(88)에 포착되고, 축(28)은 소켓(88)의 전방 단부에서 개구부(90)를 통하여 연장구성된다.
오목부 커플링 기구(22)와 볼록부 커플링 기구(24)의 연결이 도 7 내지 도 10 에 도시되고, 오목부 소켓(26)을 볼록부 커플링 기구(24)의 축(28)과 정렬시키기 위하여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상기 오목부 소켓(26)은 수평면 및 수직면에서 자유롭게 회전된다. 다음에 케이블(82)이 볼록부 커플링 축(28)에 부착되고, 오목부 소켓(26)의 수직 위치는 조절 스크류 또는 유압식 램(ram)과 같은 기구(92)에 의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조절되며, 상기 기구(92)는 이송대 하우징(44)이 오목부 소켓 수직 안내부(50)에서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 소켓(26)의 위치가 볼록부 커플링 기구(24)와 수평으로 정렬된다. 오목부 소켓(26)을 볼록부 커플링 기구(24)와 수평으로 정렬시킴으로써, 연결되는 바지 유닛 사이의 흘수에 차이가 허용된다. 이 때, 오목부 커플링 기구(22)와 결합된 윈치(도시되지 않음)는 케이블(82)을 감기 위해 작동되고,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 커플링 축(28)이 오목부 소켓(26)의 배럴부(52)내로 삽입될 때까지 볼록부 커플링 기구(24)가 장착된 바지 유닛(16)을 오목부 커플링 기구(22)가 장착된 바지 유닛(16)로 견인하기 위해 작동된다. 상기 위치에서, 볼록부 커플링 축(28)의 요홈(78)과 연결하고 상기 요홈(78)이 오목부 소켓(26)으로부터 후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로크 칼라(46)가 조절 스크류 또는 유압식 램과 같은 기구(94)에 의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도록, 두 바지 유닛이 종방향으로 정렬된다. 다음에, 이동가능한 세트 스크류(80)가, 오목부 소켓 하우징(42) 및 오목부 소켓(26)의 회전을 막기 위해, 오목부 소켓 하우징(42)의 상부에 접하도록 수직면에서 수직으로 조절된다. 도 10 에 도시된 연결 작업의 최종 단계에서, 바지 유닛(16) 선체(20)의 단면에 의해 구성되는 원형 부분의 원 중심에서 오목부 소켓(26)을 상기 오목부 소켓(26)의 최종 위치로 귀환시키기 위하여, 기구(92)는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이송대 하우징(44)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연결된 바지 유닛(16)의 각 선체(20)에 대한 단면에 의해 구성되는 원형 부분의 원 중심은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새롭게 연결된 바지 유닛이 비어있는 경우에, 상기 바지 유닛은 해수면에서 높이 정박되고, 바지 유닛이 이중 선체 구조를 가진다고 가정하면, 바지 트레인(10)의 다른 바지 유닛 및/또는 상기 바지 트레인(10)에 구성된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의 해수 밸러스트로부터 오일과 같은 화물을 전달함으로써 안정되어야 한다.
도 3 에서 명확히 볼 수 있듯이, 한 쌍의 범퍼(96)가 바지 유닛(16)의 한 단부(선호적으로 전방 단부)에 대한 측면 외부 변부에 구비되고, 결합되는 바지 유닛(16)에 미리 정해진 압력을 가한다. 범퍼(96)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네가지이다; 첫 번째, 연결 작업 중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두 번째, 바지 트레인(10)에 제한된 측면 강성을 제공하고, 특히 정지시 트레인에 자가 정렬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세 번째, 바지 트레인(10)의 회전 반경이 설계 반경의 하부 제한을 초과하는 경우에 인접한 바지 유닛(16)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네 번째, 파도 마루에 있을 때 종방향 압축을 받는 바지 트레인(10)에 대한 상하 운동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범퍼는 연결 작업 중 간섭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접힐 수 있어야 한다. 적합한 범퍼 설계가 도 11 에 도시되고, 범퍼 하우징(98)은 바지 유닛(16) 단부의 벽(100)에 장착되며, 범퍼(96)의 축(102)을 미끄러지게 수용하도록 적용된다. 범퍼 축(102)은 스프링(104)에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104)은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범퍼(96)에 충분한 편향(bias)을 제공한다. 물론, 유압 수단과 같은 다른 편향 수단이 스프링(104)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연결 작업 중 범퍼(96)의 접힘이 가능하도록, 캠(cam)(106) 및 캠 공이(cam follower)(108)가 스프링(104)에서 작동된다. 정상 위치에서, 스프링(104)을 연장구성시키기 위해 캠(106)의 고점 또는 로브(lobe)(110)가 공이(108)와 연결되고, 따라서 범퍼(96)가 상기 범퍼(96)의 완전히 연장구성된 위치에 구성된다. 범퍼(96)를 접고자 할 때, 캠(106)의 저점이 캠 공이(108)와 연결되고 범퍼(106)가 연결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양으로 접혀지도록, 캠(106)은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연속 바지 유닛(16) 사이의 작은 간격이 바지 트레인(10)에 바람직하지 않은 교란 항력을 발생시키는 경우에, 간격은 카울링(cowling)(104) 또는 가요성 충전재에 의해 근접될 수 있고, 상기 카울링(104)의 분해된 부분이 도 2 에 도시된다. 카울링(114)은 인접한 바지 유닛(16) 사이와 전방의 견인 유닛(12) 및 인접한 바지 유닛(16) 사이의 유체 연속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삭제
바지 트레인을 139,200 톤의 종래 탱커(tanker)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지 트레인에 대해 수행된 실행가능성 연구는, 전방의 견인유닛, 후방의 동력식 카부스유닛 및 사이에 삽입된 일련의 모듈식 유닛들 또는 바지(barge)들로 구성된 모듈식 탱커선박을 제공하고, 유닛들 사이의 상대적으로 제한된 요우, 피치 및 롤운동을 허용하는 유니버어셜 커플링에 의해 유닛들이 직렬로 그리고 유연하게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바지 트레인의 선체 강(steel)은 종래 탱커보다 46%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낸다. 이에따라 종래 탱커 비용보다 건조 비용이 매우 절약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이고, 하기되는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7)

  1. (a) 전방의 견인유닛,
    (b) 후방의 동력식 카부스유닛,
    (c) 상기 견인유닛 및 상기 후방의 카부스 유닛사이에 직렬로 배열된 복수개의 바지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바지 유닛이 선체잠수부분이 원형이고, 바지 유닛의 종방향축위에 놓이는 원중심을 가진 원형부분이 상기 선체의 단면에 의해 형성되도록, 상기 전방의 견인유닛이 반원형선체를 가지며,
    (d) 각각의 바지 유닛을 인접한 바지 유닛들과 탈착가능하게 연결하고 전방의 견인유닛을 인접한 바지 유닛과 연결가능하며, 바지 유닛선체의 단면적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부분의 중심에서 후방의 동력식 카부스유닛을 인접한 바지 유닛에 연결시키는 유니버어셜 커플링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유니버어셜 커플링시스템에 의해 연결된 유닛들사이의 상대적으로 제한된 요오, 피치 및 롤운동이 가능하고,
    연결된 유닛들이 서로에 대해 롤운동할 때, 모듈식 탱커선박에 형성된 선체의 수중횡방향단면은 원형으로 유지되어, 수압연속성이 유지되며,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유닛의 중간 및 전방부분에서, 상기 바지 유닛의 선체형상과 일치하는 선체와 일체화되는 선두가 상기 전방의 견인유닛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탱커선박.
  3. 제 2 항에 있어서, 전방의 상기 견인유닛을 구성하는 선체의 반원형단면으로 형성된 원형부분의 원중심에, 상기 전방의 견인유닛을 인접한 바지 유닛에 연결시키는 유니버어셜 커플링시스템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탱커선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 유닛들의 상기 선체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의 선체가 상기 후방의 동력성 카부스유닛에 구성되고, 상기 후방의 동력식 카부스유닛의 단부에서 상기 선체들의 형상이 유선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탱커선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의 동력식 카부스유닛을 구성하는 선체의 반원형단면으로 형성된 원형부분의 원중심에, 상기 후방의 동력식 카부스유닛을 인접한 바지 유닛에 연결시키는 유니버어셜 커플링시스템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탱커선박.
  6. 제 1 항에 있어서, 바지 유닛, 견인유닛과 카부스유닛의 볼록부결합단부상에 장착되는 볼록부커플링기구 및 바지 유닛, 견인유닛과 카부스유닛의 오목부결합단부상에 장착되는 오목부커플링기구가 상기 유니버어셜 커플링시스템에 포함되며, 유니버어셜조인트로부터 연장구성되는 볼록부커플링축을 가진 유니버어셜 조인트가 상기 볼록부커플링기구에 포함되고, 상기 볼록부커플링축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소켓이 상기 오목부커플링기구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탱커선박.
  7. 선체잠수부분이 원형이고 바지 유닛의 종방향축위에 놓인 원중심을 가진 원형부분이 상기 선체의 단면에 의해 형성되도록, 바지 유닛이 반원통형상의 선체에 구성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에 있어서,
    상기 바지 유닛에는,
    바지 유닛선체의 단면에 의해 형성된 원형부분의 원중심에 위치하는 상기 바지 유닛의 제 1 볼록부결합단부에서 볼록부커플링기구와, 바지 유닛선체에 단면에 의해 형성된 원형부분의 원중심에 위치하는 상기 바지 유닛의 제 2 오목부결합단부에서 오목부커플링기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커플링기구가 유니버어셜조인트를 포함하고, 유니버어셜조인트가 바지 유닛의 볼록부결합단부상에 장착되며, 상기 볼록부결합단부가 상기 유니버어셜노인트로부터 연장구성되는 볼록부커플링축을 가지며, 또 다른 바지 유닛의 결합된 볼록부커플링기국에 구성된 볼록부커플링축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소켓이 상기 오목부커플링기구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9. 제 7 항에 있어서, 연결된 볼록부커플링기구와 수평방향으로 정렬상태를 이루며 연결작업되는 동안 상기 오목부소켓을 수직방향으로 위치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오목부소켓을 수직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수직방향의 안내수단 및 상기 수직방향의 안내수단내에서 상기 오목부소켓을 수직방향으로 이동 및 위치설정하기 위한 수단이 상기 오목부커플링기구에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10. 전방의 견인유닛, 후방의 동력식 카부스유닛 및 복수개의 바지 유닛이 모듈식 탱커선박에 포함되고, 선체 잠수부분이 원형을 이루고, 유닛의 종방향축상에 놓인 원중심을 가진 원형부분이 상기 선체의 단면에 의해 형성되도록 상기 유닛들이 반원통형상의 선체들을 가지며, 바지 유닛, 견인유닛 및 카부스유닛의 볼록부결합단부상에 장착된 볼록부커플링시스템, 바지 유닛, 견인유닛 및 카부스유닛의 오목부결합단부상에 장착된 결합상태의 오목부커플링시스템이 상기 유니버어셜 커플링시스템에 포함되며 유니버어셜조인트로부터 연장구성되는 볼록부커플링축을 가진 유니버어셜조인트가 상기 조인트커플링시스템에 포함되고, 상기 오목부커플링기구가 상기 볼록부커플링축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소켓에 포함되고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의 유닛들을 탈착가능하게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유니버어셜 커플링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느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어셜 커플링시스템에 결합작동시 바지 유닛, 견인유닛 및 카부스유닛의 오목부결합단부에 구성된 상기 볼록부커플링기구와 상기 오목부소켓을 수평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수단이 상기 오목부커플링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어셜 커플링시스템에 연결상태의 볼록부커플링기구와 수평방향으로 정렬하는 결합작동시, 상기 오목부소켓을 수직방향으로 위치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방향안내수단내에서 상기 오목부소켓을 수직방향으로 안내하고 상기 오목부소켓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위치설정하기 위한 수직방향안내수단이 상기 오목부소켓을 연결상태의 상기 볼록부커플링기구와 수평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13. 전방의 견인유닛, 후방의 동력식 카부스유닛 및 복수개의 바지 유닛들이 상기 모듈식 탱커선박에 포함되고, 바지 유닛, 견인유닛 및 카부스유닛의 볼록부결합단부상에 장착된 볼록부커플링기구 및 바지 유닛, 견인유닛 및 카부스유닛의 오목부결합단부상에 장착된 연결상태의 오목부커플링기구가 포함되며, 상기 볼록부커플링기구가 유니버어셜조인트로부터 연장구성된 볼록부커플링축을 가진 유니버어셜조인트에 포함되며, 상기 볼록부커플링축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소켓이 상기 오목부커플링기구에 포함되며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의 유닛들을 탈착가능하게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유니버어셜 커플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14. 제 6, 8, 10 또는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커플링기구의 상기 유니버어셜조인트가 카르단 유니버어셜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15. 제 6, 8, 10 또는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커플링기구의 상기 유니버어셜조인트가 볼소켓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16. 제 6, 8, 10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연결후에 상기 오목부소켓으로부터 볼록부커플링축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볼록부커플링축을 제위치에 구속하기 위한 수단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17. 제 16 항에 있어서, 볼록부커플링축의 종방향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볼록부커플링축내부에서 오목부와 결합하고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속칼라(lock collar)가 상기 볼록부 커플링축을 제위치에 구속하기 위한 수단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18. 제 6, 10 또는 13 항에 있어서, 연결작동시 바지 유닛, 견인유닛 및 카부스유닛의 볼록부결합단부에 구성된 결합상태의 볼록부커플링기구와 상기 오목부소켓을 수평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수단이 추가로 상기 오목부커플링기구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19. 제 18 항에 있어서, 결합작업시 결합상태의 볼록부커플링기구와 수평방향정렬상태를 이루며 상기 오목부소켓을 수직방향으로 위치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방향안내수단내에서 상기 오목부소켓을 수직방향으로 이동 및 위치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오목부소켓을 수직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수직방향안내수단이 상기 오목부소켓을 상기 결합상태의 볼록부커플링기구와 수평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수단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20. 제 6, 8, 10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결합작동시 결합상태의 볼록부커플링시스템에 구성된 볼록부커플링축과 오목부소켓이 정렬되도록, 오목부커플링기구의 유니버어셜운동이 가능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소켓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이 추가로 상기 오목부커플링기구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오목부소켓에 장착되는 바지 유닛의 종방향축과 상기 오목부소켓이 정렬되도록, 결합후에, 상기 오목부소켓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소켓을 장착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a) 정해진 평면내에 피봇운동을 위한 상기 오목부소켓이 장착된 오목부소켓하우징,
    (b) 상기 오목부소켓의 정해진 운동평면과 수직을 이루는 정해진 평면내에 피봇운동을 위한 상기 오목부소켓이 장착된 캐리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23. 제 6, 8, 10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연결작업시 상기 볼록부커플링축을 상기 오목부소켓내부로 안내하기 위하여, 결합상태를 이루는 볼록부커플링기구의 상기 볼록부커플링축의 단부에 부착가능하고 오목부커플링기구의 상기 오목부소켓으로부터 연장가능하고 수축가능한 케이블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24. 제 1 항 또는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 유닛 및 인접한 바지 유닛사이의 간격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지 유닛의 단부로부터 연장구성되는 카플링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25. 제 1 항 또는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바지 유닛상에 정해진 편향압력을 가하기 위해 인접한 바지 유닛을 향해 연장구성되는 상기 바지 유닛의 단부상의 횡방향 외측변부들에 제공된 한쌍의 범퍼들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바지 유닛의 결합시 간섭을 방지할 정도로 상기 범퍼들이 수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27.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커플링기구가 추가로
    (a) 정해진 평면내에서 피봇운동을 위한 상기 오목부소켓이 장착되는 오목부소켓하우징,
    (b) 상기 오목부소켓의 정해진 운동평면에 대해 수직이고 정해진 평면내에서 피봇운동을 위한 상기 오목부소켓하우징이 장착되는 캐리지하우징,
    (c) 바지 유닛, 견인유닛, 및 카부스유닛의 오목부결합단부상에 장착된 오목부소켓의 수직방향안내부,
    (d) 상기 오목부소켓의 수직방향안내부를 따라 캐리지하우징을 수직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상기 캐리지하우징 및 상기 오목부소켓의 수직방향안내부와 결합된 안내수단,
    (e) 바지 유닛, 견인유닛 및 카부스유닛의 볼록부결합단부상에 장착된 결합상태의 볼록부커플링기구와 수평방향정렬상태를 이루는 연결작업동안 상기 오목부소켓을 수직방향으로 위치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캐리지하우징을 상기 오목부소켓의 수직방향안내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 및 위치설정하기 위한 수단,
    (f) 오목부소켓이 장착되는 바지 유닛의 종방향축과 상기 오목부소켓이 정렬되도록, 연결후에 상기 오목부소켓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또는 다른 건성 또는 액상재료와 같은 화물의 해상운송용 모듈식 탱커선박.
KR1020000002568A 1999-01-20 2000-01-20 모듈식 탱커 선박 Expired - Fee Related KR100542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234,247 1999-01-20
US09/234,247 US6182593B1 (en) 1999-01-20 1999-01-20 Sea going barge train
US09/234,247 1999-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492A KR20000076492A (ko) 2000-12-26
KR100542718B1 true KR100542718B1 (ko) 2006-01-20

Family

ID=2288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5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2718B1 (ko) 1999-01-20 2000-01-20 모듈식 탱커 선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82593B1 (ko)
EP (1) EP1022214B1 (ko)
JP (1) JP3878381B2 (ko)
KR (1) KR100542718B1 (ko)
AT (1) ATE324320T1 (ko)
CA (1) CA2296992A1 (ko)
DE (1) DE60027488T2 (ko)
DK (1) DK1022214T3 (ko)
ES (1) ES2263433T3 (ko)
TW (1) TW44811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471B1 (ko) * 2011-03-11 2013-04-19 이세형 화물 수송용 열선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2593B1 (en) * 1999-01-20 2001-02-06 Carlos Kountz Wierick Sea going barge train
DE10142447C2 (de) * 2001-08-31 2003-07-31 Erich Horn Frachtschiff
ES2333285B1 (es) * 2005-01-26 2011-03-16 F. Javier Porras Vila Nave de modulos.
WO2007097610A1 (en) * 2006-02-27 2007-08-30 Heerema Marine Contractors Nederland B.V. Semi-submersible vessel, method for operating a semi-submersible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submersible vessel
FI122506B (fi) * 2006-08-14 2012-02-29 Waertsilae Finland Oy Proomujärjestelmä, hinaajayksikkö, proomuyksikkö ja menetelmä proomujärjestelmän käyttämiseksi
US7685954B2 (en) * 2006-10-11 2010-03-30 Keck Technologies, Llc High speed, multi-unit, articulated surface effect ship
US7845297B2 (en) * 2007-04-03 2010-12-07 Keck Technologies, Llc Ship and associated methods of formation with vessels having connectable hulls
US20080115992A1 (en) * 2006-11-22 2008-05-22 Alion Science And Technology Corporation Surface effect sea train
US7490573B1 (en) * 2007-08-03 2009-02-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airing for articulated tow bodies
US7841284B2 (en) * 2008-02-20 2010-11-30 Trailer Bridge, Inc. Marine vessel and system for operating a marine vessel
US8069806B1 (en) * 2008-08-05 2011-12-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s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onnectorless sea train
DE102009003881A1 (de) * 2009-01-03 2010-11-25 Semen Sladkov Vorrichtung für Beförderung des Eisbergs durch Stößen
KR101019732B1 (ko) * 2009-01-21 2011-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형 저장용기가 구비된 원유 운반선
US9242523B2 (en) * 2010-03-30 2016-01-26 Aeplog, Inc. Autonomous maritime container system
KR101291260B1 (ko) 2010-08-30 2013-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US8327789B2 (en) * 2010-11-24 2012-12-11 Mid-America Foundation Supply Inc. Barge pusher
RU2488512C1 (ru) * 2012-03-11 2013-07-27 Александр Михайлович Брынцев Модульно-интегральный барже-буксирный состав
CN111086607B (zh) * 2019-12-31 2021-11-12 武汉理工大学 一种驳船组智能运输控制系统及方法
CN112744326B (zh) * 2021-02-24 2022-04-12 博雅工道(北京)机器人科技有限公司 牵拉组件及带有该组件的拼接平台
KR102528100B1 (ko) * 2021-08-18 2023-05-03 양동규 선박
CN114940239B (zh) * 2022-06-28 2024-07-19 江苏科技大学 拖曳装置及拖船
US12263924B1 (en) 2023-11-14 2025-04-01 Seatrain Technology, LLC Variable ballast propulsion shipping vessel, systems and methods
WO2025106061A1 (en) 2023-11-14 2025-05-22 Seatrain Technology, LLC Variable ballast propulsion shipping vessel,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7485A (en) * 1954-08-16 1955-12-20 Herbert M Combs Submarine type sea train
US3478711A (en) * 1968-07-30 1969-11-18 Herbert M Combs Submersible sea train
US3830186A (en) * 1972-04-15 1974-08-20 Weser Ag Device for coupling adjacent ends of two marine vessels
US4080921A (en) * 1975-08-22 1978-03-28 Sbt Development Corporation Universal coupling system
JPS5431694U (ko) * 1977-08-04 1979-03-01
US4335670A (en) * 1980-07-14 1982-06-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lexible side connector for floating and elevated platforms
JPS60261791A (ja) * 1984-06-08 1985-12-25 Masayuki Cho 連結式押船運航方式
US6182593B1 (en) * 1999-01-20 2001-02-06 Carlos Kountz Wierick Sea going barge train
KR100977936B1 (ko) * 2002-05-03 2010-08-24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시트 포장 재료의 사전절단 블랭크로부터 넘쳐흐를 수있는 식품의 밀봉된 포장을 제조하는 방법 및 포장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1039A (en) 1944-12-07 1947-11-18 William H Harrison Barge and barge coupling
DE977936C (de) * 1958-08-07 1973-07-05 Bundesrep Deutschland Sperrbrecher
US3809002A (en) * 1972-05-31 1974-05-07 J Nagy Automatic coupling mechanism for submarines dirigibles and other like buoyant vehicles
US3938461A (en) * 1973-09-21 1976-02-17 Marriner John E Flexible connection for articulating vessel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7485A (en) * 1954-08-16 1955-12-20 Herbert M Combs Submarine type sea train
US3478711A (en) * 1968-07-30 1969-11-18 Herbert M Combs Submersible sea train
US3830186A (en) * 1972-04-15 1974-08-20 Weser Ag Device for coupling adjacent ends of two marine vessels
US4080921A (en) * 1975-08-22 1978-03-28 Sbt Development Corporation Universal coupling system
JPS5431694U (ko) * 1977-08-04 1979-03-01
US4335670A (en) * 1980-07-14 1982-06-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lexible side connector for floating and elevated platforms
JPS60261791A (ja) * 1984-06-08 1985-12-25 Masayuki Cho 連結式押船運航方式
US6182593B1 (en) * 1999-01-20 2001-02-06 Carlos Kountz Wierick Sea going barge train
KR100977936B1 (ko) * 2002-05-03 2010-08-24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시트 포장 재료의 사전절단 블랭크로부터 넘쳐흐를 수있는 식품의 밀봉된 포장을 제조하는 방법 및 포장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471B1 (ko) * 2011-03-11 2013-04-19 이세형 화물 수송용 열선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63433T3 (es) 2006-12-16
TW448118B (en) 2001-08-01
EP1022214A3 (en) 2002-05-29
EP1022214A2 (en) 2000-07-26
DK1022214T3 (da) 2006-08-28
EP1022214B1 (en) 2006-04-26
KR20000076492A (ko) 2000-12-26
CA2296992A1 (en) 2000-07-20
ATE324320T1 (de) 2006-05-15
DE60027488T2 (de) 2007-05-10
JP2000211576A (ja) 2000-08-02
DE60027488D1 (de) 2006-06-01
JP3878381B2 (ja) 2007-02-07
US6182593B1 (en) 2001-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2718B1 (ko) 모듈식 탱커 선박
US3735722A (en) Rigid disconnectable coupling for waterborne vessels
US3934531A (en) Ocean going cargo transport system
US8673155B2 (en) Oil spill recovery method, vessel and apparatus
US3799100A (en) Flexible connection for articulating vessels
US8490567B2 (en) Apparatus for coupling a pushboat to a barge
US8844459B2 (en) Tug-barge offshore cargo transport
US20230135453A1 (en) Ship comprising a system for adapting a removable module and adapted removable module
US3557741A (en) Construction of ships
US3818854A (en) Flexible connection for articulating vessels
US3822667A (en) Flexible connection for articulating vessels
US20180319467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a watercraft
EP0037532A2 (en) Non-roll tug-and-barge linkage
GB2399320A (en) Semi-submersible jetty for transferring LNG from a production vessel to a transport vessel
US3651778A (en) Coupling apparatus for watercraft
CA2495936C (en) System for transferring liquid load to a tanker
EP0565815B1 (en) Streamlined tug-and-barge linkage
RU2183576C1 (ru) Катер буксирно-моторный
US12084152B2 (en) Maritime automated alignment and connection system
RU2734146C1 (ru) Самоходное вод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JP2002542990A (ja) 船舶を他の船舶もしくは構造体に結合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装置
RU2113376C1 (ru) Мореходный паром-лента
RU64584U1 (ru) Катер буксирный
RU2207287C2 (ru) Способ погрузки и доставки на плавсредстве из док-камеры одноотсечных блоков реакторных отсеков утилизированных атомны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к морскому транспортному средству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GB2073119A (en) Berth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1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