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2072B1 - 3차원 반도체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을 위한가시도 계산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반도체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을 위한가시도 계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072B1
KR100542072B1 KR1019980042649A KR19980042649A KR100542072B1 KR 100542072 B1 KR100542072 B1 KR 100542072B1 KR 1019980042649 A KR1019980042649 A KR 1019980042649A KR 19980042649 A KR19980042649 A KR 19980042649A KR 100542072 B1 KR100542072 B1 KR 100542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bility
etching process
calculating
mask
simul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2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3861A (ko
Inventor
권오섭
원태영
Original Assignee
권오섭
원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섭, 원태영 filed Critical 권오섭
Priority to KR1019980042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072B1/ko
Publication of KR20000023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07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5Plasma etching; Reactive-ion etch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10Analysis or design of chemical reactions, syntheses or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식각 공정을 위한 3차원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판 표면으로 입사하는 입자의 가시도(visibility)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계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반도체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시도 계산 방법은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때, 마스크 윈도우를 통과하여 기판으로 입사하는 입자의 분포를 계산하는 단계에 있어서, 가시도를 계산할 때 수행하는 그림자 테스트(shadow test)의 횟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은 가시도를 계산할 때, 그림자 테스트의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가 수행하는 계산의 횟수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Description

3차원 반도체 식각 공정을 위한 가시도 계산 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식각 공정에서 기판 표면의 3차원적 형상 변화에 대해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즈마 챔버 내부에서 발생한 식각제가 마스크 윈도우를 통과하여 기판 표면을 식각할 때, 기판 표면의 형상 변화를 3차원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단계에 있어서, 기판으로 입사하는 입자의 분포를 계산하기 위한 그림자 테스트의 횟수를 감소시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능동 소자 및 수동 소자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층의 금속 라인으로부터 하층의 금속 라인 또는 활성 반도체 층에 전기적으로 접속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비아 또는 콘택 홀 형성을 위한 식각 공정을 수행해야 한다. 한편, 반도체 기판 상의 단위 면적 당 트랜지스터의 개수가 증가하여 패킹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비아 또는 콘택 홀의 윈도우 크기가 감소할 뿐만아니라 깊이가 깊어지고 있다. 즉, 층간 절연막과, 도전성 물질 등으로 사용되는 금속 및 폴리실리콘 층은 점점 상하 높낮이가 커지고, 식각 깊이는 더욱 깊어져서, 높은 종횡비를 갖는 식각 공정의 요구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또한, 식각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식각이 진행됨에 따라 토포그래피(topography)를 비롯한 물리·화학적 제현상에 있어서 3차원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어, 마스크 윈도우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마스크의 코너 부근의 기하학적 모습(topology)은 반도체 공정 설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즉, 종래에 관측하였던 2차원 단면 뿐 아니라, 길이 방향의 모양을 포함한 3차원 기하학적 형상의 예측을 위한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차세대 반도체 공정 개발을 위해 증착 및 식각 공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공정 개발 비용을 절약하고 공정 개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계산 방법이 고려된 3차원 식각 공정을 위한 시뮬레이터의 개발로 상기 신 공정 개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뮬레이터의 개발을 위하여 세클러(E. W. Scheckler, "Algorithms for Three-Dimensional Simulation of Etching and Deposition Processes in Integrated Circuit Fabrication," Memo. No. UCB/ERL M91/99,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November 12, 1991.) 및 리트너(E. Leitner, W. Bohmayr, P. Fleischmann, E. Strasser, and S. Selberherr, "3-Dimensional Process Simulation(ed. J. Lorenz)," pp.136∼161,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1995.) 등은 스트링 모델(string model)과 셀 제거 모델(cell removal model)을 이용하여 식각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상기 개발된 시뮬레이터에서는 각 분포를 가지고 입사하는 입자의 분포를 계산하기 위한 가시도 계산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가시도를 계산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그림자 테스트 방법의 비효율성으로 인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에 있어서 많은 시간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정확하면서 효율적인 3차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시도 계산에 필요한 그림자 테스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가 수행해야 하는 계산의 부담을 감소시키면서 소요되는 막대한 계산 시간을 낮추는 가시도 계산 방법의 개발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입사하는 입자의 각 분포를 고려하는 가시도 계산 방법에 있어서, 반복적인 그림자 테스트를 수행하여 가시도를 계산하기 때문에 계산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첨부 도면 제1a도 내지 제1d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이 지니는 문제점을 상술하고자 한다.
즉, 반도체 제조 공정의 경우 비아, 콘택 홀, 트렌치를 형성하기 위해서 식각 공정은 마스크(20, 21)가 있는 구조에서 수행되는 것이 보통이며, 상기 마스크는 포토리지스트, 질화막, 산화막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의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에 있어서, 표면에서의 식각률을 계산하기 위해서 입사 입자의 분포를 계산한다. 각 분포를 가지고 입사하는 입자는 마스크의 형상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표면으로부터 마스크 상부까지 반복적인 그림자 테스트를 수행하여 가시도를 계산한다.
제1a도를 살펴보면, 식각률을 계산하고자하는 표면의 한 점(30)으로부터 마스크(20)를 벗어날 때까지 직선(40, 41)을 따라 위치를 이동하며, 이동하는 위치의 물질이 무엇인가를 판단하는 그림자 테스트를 수행한다. 가시도 계산은 마스크(20)의 윗 부분을 반구(50, 51, 52)로 가정하고, 제1b도 및 제1c도에서처럼 극각과 방위각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눈 수(80, 90) 만큼 각각의 조각(60, 61)만큼 수행한다. 각각의 조각(60, 61)에 대해서 가시도를 계산한 후에, 제1b도 및 제1c도에서 표면의 한 점(31, 32)으로부터 마스크 상부로 보이는 부분은 빗금으로 된 부분(70, 71)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3차원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의 수행 시에 가시도 계산은 반구를 나눈 모든 조각(80, 90)에 대해서 극각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눈 수(80)와 방위각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눈 수(90)의 곱만큼 수행하며, 각각의 조각(60, 61)에 대해서 직선(40, 41)을 일정한 간격마다 이동하며 그림자 테스트를 수행한다. 그러므로, 시뮬레이션이 수행되는 동안의 각 시간 간격마다 가시도 계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시간이 소요되며, 반구의 조각(60, 61)의 수가 증가하는 것에 비례하여 계산 시간이 소요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3차원 식각 공정 시뮬레이터의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효율적인 가시도 계산 방법을 제공하여, 시뮬레이션에 소요되는 막대한 계산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제1 목적에 부가하여, 가시도를 계산하면서 계산이 필요하지 않은 부분은 계산하지 않고, 계산이 필요한 부분만 계산하여 제1 목적에서와 같이 시뮬레이션에 소요되는 막대한 계산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림자 테스트의 반복적인 계산 횟수를 감소시켜 시뮬레이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는 단계, 가시도를 계산할 때, 계산이 필요한 부분만 계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가시도 계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첨부도면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의 구조는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이 끝난 후에 반도체 기판(100) 위에 마스크(120, 121)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의 트렌치 구조이다. 상기 구조는 비아 또는 콘택 홀 구조가 될 수 있다.
기존의 가시도 계산 방법으로는 반구의 조각(160, 161)에 대해서 반도체 기판 위의 점(130)으로부터 시작하는 직선(140, 141) 위를 이동하며, 그림자 테스트를 수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직선(140, 141)과 마스크의 상단면(180)이 만나는 점(100, 101)과 하단면(190)이 만나는 점(110, 111)에서만 그림자 테스트를 수행하여 가시도를 계산한다.
즉, 마스크의 상단면(180)과 만나는 점(100, 101)이 마스크의 상단면(180)의 내부에 속하고, 마스크의 하단면(190)과 만나는 점(110, 111)이 마스크의 하단면(190)의 내부에 속하는지를 계산함으로서 가시도를 계산한다. 제2도를 살펴보면 좌측의 조각(160)은 표면의 점(130)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조각이며, 우측의 조각(161)은 표면의 점(13)으로부터 보이는 조각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가시도를 계산하면 반구의 각 조각(160, 161) 마다 그림자 테스트를 2회만 실시하면 되므로 시뮬레이션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 방법은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으로서,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때 전술한 상기 가시도 계산 방법은 시뮬레이션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데 적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 개념과 실시 방법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도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 청구 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공정 시뮬레이션 방법의 가시도 계산 방법은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때, 마스크 윈도우를 통과하여 기판으로 입사하는 입자의 분포를 계산하는 단계에 있어서, 그림자 테스트의 계산 반복 횟수를 감소시켜 시뮬레이션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제1a도 내지 제1d도는 종래의 가시도 계산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가시도 계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반도체 기판
20, 21, 120, 121 : 마스크
30, 31, 32, 130 : 가시도를 계산하는 표면의 한 지점
40, 41, 140, 141 : 표면의 한 지점으로부터 반구의 조각까지의 직선
50, 51, 52 : 반구
60, 61, 160, 161 : 반구를 일정한 개수로 나눈 조각
70, 71 : 표면의 한 점으로부터 보이는 부분
80 : 반구를 극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나눈 개수
90 : 반구를 방위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나눈 개수
180 : 마스크의 상단 면
190 : 마스크의 하단 면
100, 101 : 직선과 마스크의 상단 면이 만나는 점
110, 111 : 직선과 마스크의 하단 면이 만나는 점

Claims (1)

  1. 기판 표면에 입사되는 입자의 플럭스를 계산하여 증착률 또는 식각률을 계산하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판 표면으로부터의 반구의 조각에 대해서 직선 위를 이동하며 상기 기판 표면으로부터의 직선과 마스크의 상단면과 만나는 점에 대해서 마스크 상단면 내부에 속하는지 그림자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표면으로부터의 직선과 마스크의 하단면과 만나는 점에 대해서 마스크 하단면 내부에 속하는지 그림자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도 계산 방법.
KR1019980042649A 1998-10-13 1998-10-13 3차원 반도체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을 위한가시도 계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42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649A KR100542072B1 (ko) 1998-10-13 1998-10-13 3차원 반도체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을 위한가시도 계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649A KR100542072B1 (ko) 1998-10-13 1998-10-13 3차원 반도체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을 위한가시도 계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861A KR20000023861A (ko) 2000-05-06
KR100542072B1 true KR100542072B1 (ko) 2006-05-03

Family

ID=1955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26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2072B1 (ko) 1998-10-13 1998-10-13 3차원 반도체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을 위한가시도 계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0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9298A (en) * 1991-02-28 1994-03-29 Hewlett-Packard Company Accelerated shadow testing method for three dimensional graphics rendering system
JPH06287253A (ja) * 1991-12-17 1994-10-11 Kuraray Co Ltd 制振材用樹脂
US6172679B1 (en) * 1991-06-28 2001-01-09 Hong Lip Lim Visibility calculations for 3D computer graphic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9298A (en) * 1991-02-28 1994-03-29 Hewlett-Packard Company Accelerated shadow testing method for three dimensional graphics rendering system
US6172679B1 (en) * 1991-06-28 2001-01-09 Hong Lip Lim Visibility calculations for 3D computer graphics
JPH06287253A (ja) * 1991-12-17 1994-10-11 Kuraray Co Ltd 制振材用樹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861A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4180B2 (ja) トランスモン・キュービット用の垂直超伝導コンデンサ
JP2022530310A (ja) プレーナ型量子デバイスにおけるシリコン貫通ビアの製作
EP0603104A1 (en) Large scale IC personalization method employing air dielectric structure for extended conductor
US20070184647A1 (en) Integrated Circuit Chip Utilizing Dielectric Layer Having Oriented Cylindrical Voids Formed from Carbon Nanotubes
CN105280263A (zh) 结构体、其制造方法和塔尔博干涉仪
CN109075121A (zh) 用于基于后端线(beol)间隔物的互连的利用光桶的消减性插塞和片图案化
CN109326596A (zh) 具有电容连接垫的半导体结构与电容连接垫的制作方法
CN110444971A (zh) 微同轴垂直互连结构及制备方法
KR100403616B1 (ko) 플라즈마 장치에 의한 플라즈마 처리 공정의 시뮬레이션방법
CN101026122B (zh) 半导体器件组件及其制造方法
KR100542072B1 (ko) 3차원 반도체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을 위한가시도 계산 방법
US6413847B1 (en) Method of forming dummy metal pattern
KR20030031046A (ko) 3차원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을 위한 가시도 계산 방법
KR20060064082A (ko) 반도체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을 위한 가시도 계산 방법
KR20060060846A (ko) 반도체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을 위한 가시도 계산 방법
CN100592507C (zh) 金属导线镶嵌结构及其制造方法
CN109411442A (zh) 一种金属导线复合层及其制备方法、以及半导体器件
CN108109966A (zh) 静态随机存取存储器及其制造方法
CN104637861A (zh) 硅通孔工艺方法
CN113380699B (zh) 半导体器件及其制备方法
KR20020085688A (ko) 반도체 식각 공정 모의 실험 해석기 및 해석 방법
CN113555503B (zh) 一种离子阱芯片的制备方法、离子阱芯片和量子计算机
CN208589409U (zh) 半导体掩膜层结构
CN105990103A (zh) 半导体结构的制造方法
KR100280555B1 (ko) 모디파이드 셀 모델을 이용한 식각 및 증착 모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13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21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7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0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