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1471B1 - 에어컨 실내기 - Google Patents

에어컨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471B1
KR100541471B1 KR1020030060307A KR20030060307A KR100541471B1 KR 100541471 B1 KR100541471 B1 KR 100541471B1 KR 1020030060307 A KR1020030060307 A KR 1020030060307A KR 20030060307 A KR20030060307 A KR 20030060307A KR 100541471 B1 KR100541471 B1 KR 100541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case
air
evaporator
su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2680A (ko
Inventor
정문기
진심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0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471B1/ko
Priority to US10/836,273 priority patent/US7171823B2/en
Priority to DE602004010009T priority patent/DE602004010009T2/de
Priority to EP04291259A priority patent/EP1510762B1/en
Priority to JP2004151900A priority patent/JP3977823B2/ja
Priority to CNB2004100453845A priority patent/CN100404962C/zh
Publication of KR20050022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흡입구를 벽면에 위치되는 실내기의 배면 전체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배면 흡입구와 송풍팬 사이에 증발기를 설치하므로서, 실내기 배면에 형성된 흡입구로부터 증발기 및 송풍팬을 거쳐 실내기 전면(前面)의 토출구로까지 거의 일직선 형태를 이루는 공기의 유동경로를 통해 "U"자 형태나 "L"자 형태인 종래 실내기의 유동경로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흡입구를 실내기 배면에 배치함에 따른 실내기 설치의 자유도를 극대화시키며, 더욱이 흡입구의 흡입 면적 및 증발기 크기(면적) 증가로 인한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내기 배면에 흡입구를 형성함에 따른 실내기 전면(前面)에 로고나 무늬 등을 삽입하거나, 또는 실내기의 전면(前面) 외관을 깔끔하게 하기 위한 이색화된 마감재를 설치하는 등, 디자인적 차원에서 실내기 전면(前面)을 활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에어컨, 실내기, 배면 흡입구, 증발기

Description

에어컨 실내기{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도 1 은 일반적인 에어컨 실내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 는 종래 에어컨 실내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정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배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내기가 벽면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의 작동 상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내기가 고정장치를 통해 벽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된 상태에서의 작동 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다른 실시예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또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0. 에어컨 실내기 10, 110. 케이스
12, 112. 흡입구 14, 114. 송풍팬
16, 116. 증발기 18, 118. 토출구
111. 실내기 전면(前面) 경사 테두리부
A. 실내기 배면 중앙부
B, C, D, E. 실내기 배면 사각 테두리부
본 발명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구를 벽면에 위치되는 실내기의 배면 전체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배면 흡입구와 송풍팬 사이에 증발기를 설치하여 배면 흡입을 통한 실내공기가 증발기를 거쳐 송풍팬을 통해 실내기 전면 측의 토출구로 바로 토출되도록 하는 등의 유동경로를 갖도록 한 에어컨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Air-conditioner)은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는 냉동 사이클 장치가 내부에 장착되어 있어, 증발기에서 형성되는 냉기와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온기를 실내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내보내어 실내의 분위기를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는 기기이다.
상기 에어컨은 냉동 사이클 장치가 하나의 몸체내에 장착되어 창문 등에 설치되는 창문형 에어컨과, 실내기와 실외기를 분리하여 실내와 실외에 각각 설치하는 분리형 에어컨 등으로 구분되며, 특히 상기 분리형 에어컨의 경우 설치방법에 따라 벽걸이형, 상치형(패키지 에어컨 포함), 천정걸이형, 천정매립형 등으로 구분 되는데, 특히 벽걸이형이나 상치형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천정걸이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구조의 실내기를 컨버터블형 실내기라고 한다.
이 때, 실외기는 보통 소음발생이 많은 압축기, 응축기, 냉각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내기는 증발기와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1)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태의 케이스(10)와,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 전면(前面) 중앙에 형성된 흡입구(12)와, 상기 케이스(10) 내에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실내공기를 케이스 내로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14)과,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2)와 송풍팬(1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4)의 흡입작용을 통해 케이스(10) 내로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증발기(16)와, 상기 증발기(16)의 증발작용을 통해 형성된 냉기를 송풍팬(14)의 송풍작용을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케이스(10) 전면(前面) 테두리나, 또는 케이스(10) 상/하부에 형성된 토출구(18)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실내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외기(미도시)로부터 저온 저압의 액상상태로 팽창된 냉매가 실내기(1) 내의 증발기(16)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송풍팬(14)의 회전에 따른 실내공기가 실내기(1) 전면(前面) 중앙에 형성된 흡입구(12)를 통해 실내기(1) 내로 흡입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흡입된 실내공기는 증발기(16)의 관내를 통과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된 후, 상기 송풍팬(14)에 의해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2)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 토출구(18) 즉, 케이스(10) 전면 테두리에 형성된 토출구(18)나, 또는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상/하부에 형성된 토출구(18)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등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종래 에어컨 실내기(1)의 경우, 도 2의 (a), (b)와 같이, 실내공기의 유동경로가 실내가 전면(前面) 중앙에 형성된 흡입구(12)로부터 증발기(16) 및 송풍팬(14)을 거쳐 토출구(18)로까지 이어지는 "U"자 형태나, 또는 "L"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의 유동경로가 일직선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실내기(1)에 비해 공기의 유동저항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상기와 같이 공기의 유동저항 증가에 따른 실내기(1)에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흡입구(12) 및 토출구(18)가 도 2의 (a)와 같이, 실내기 전면(前面)의 동일 평면상에 형성될 경우, 상기 토출구(18)에 의한 흡입구(12)의 크기(면적)가 제한되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상기 흡입구(12) 크기(면적)의 제한에 따른 증발기(16) 역시 흡입구(12)와 동일 크기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흡입구(12) 보다 다소 작은 크기(면적)로 제한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한된 흡입구(12)의 크기(면적) 및 증발기(16)의 크기(면적)에 의해 실내기(1)로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가 열교환을 이루는 증발기(16)의 열교환 효율 역시 저하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상기 실내기(1)의 경우,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 흡입구(12)로부터 토출구(18)로 이어지는 "U"자 형태의 공기유로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상에만 설치할 수 있는 등, 상기 실내기(1)의 설치에 극히 제한적인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도 2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2) 및 토출구(18) 또는 상기 흡입구(12) 자체가 실내기(1)의 전면(前面)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고나 무늬 등을 삽입하거나, 또는 실내기(1)의 전면(前面) 외관을 깔끔하게 하기 위한 이색화된 마감재를 설치하는 등, 디자인적 차원에서 실내기(1) 전면(前面)을 활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흡입구를 벽면에 위치되는 실내기의 배면 전체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배면 흡입구와 송풍팬 사이에 증발기를 설치하므로서, 배면 흡입을 통한 실내공기가 증발기를 거쳐 송풍팬을 통해 실내기 전면 측의 토출구로 바로 토출되도록 하는 등 흡입구로부터 토출구까지의 유동경로가 거의 일직선 형태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이로 인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종래 실내기에 비해 크게 저하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내기의 흡입구를 실내기 전면에서 배면으로 배치하므로서, 이에 따른 실내기 설치의 자유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더욱이, 흡입구를 실내기의 배면 전체에 설치하므로서, 종래에 비해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면적이 크게 증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 면적 증가에 따른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 역시 향상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구를 벽면에 위치되는 실내기의 배면 전체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배면 흡입구와 송풍팬 사이에 증발기를 설치 구성한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정단면도 및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는, 전면(前面)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전면 흡입을 통한 실내공기가 증발기 및 송풍팬을 거쳐 다시 전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등 "U"형태의 유동경로를 갖도록 구성된 에어컨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112)를 벽면에 위치되는 실내기(100)의 배면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배면 흡입구(112)와 송풍팬(114) 사이에 증발기(116)를 설치하여 실내기(100)를 구성하고, 배면 흡입을 통한 많은 양의 실내공기가 증발기(116) 및 송풍팬(114)을 거쳐 토출구(118)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등 상기 흡입구(112)로부터 증발기(116), 송풍팬(114), 토출구(118)까지의 유동경로가 거의 일직선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는, 실내기(100) 배면에 형성된 흡입구(112)로부터 증발기(116) 및 송풍팬(114)을 거쳐 실내기(100) 전면(前面) 경사 테두리부(111)의 토출구(118)로까지 일직선 형태를 이루는 공기의 유동경로를 통해 "U"자 형태나 또는 "L"자 형태를 이루는 종래 실내기(1)의 유동경로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흡입구(112)를 실내기(100) 배면에 배치함에 따른 실내기(100) 설치의 자유도를 극대화시키며, 더욱이 상기 흡입구(112)의 흡입 면적 및 증발기(116)의 크기(면적) 증가로 인한 증발기(116)의 열교환 양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흡입구(112)를 벽면에 위치되는 실내기(100)의 배면 전체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배면 흡입구(112)와 송풍팬(114) 사이에 증발기(116)를 설치시킨 구성으로서, 이에 대한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된 에어컨 실내기와 전술한 종래 에어컨 실내기의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100)는, 도 1 에 도시된 종래 에어컨 실내기(1)의 구성요소 중 전면(前面)에 형성된 흡입구(12)를 실내기(100) 배면에 형성하므로서, 종래 실내기(1)의 흡입구(12) 보다 넓은 면적의 배면 흡입구(112)를 통해 많은 양의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와 같이 흡입된 많은 양의 실내공기를 이용해 증발기(116) 내의 냉매와 열교환시켜 많은 냉기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112)와 송풍팬(114) 사이에 증발기(116)를 설치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에어컨 실내기(100)를 일실시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에어컨 실내기(100)는,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한 바 와 같이, 케이스(110)와;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0) 배면 전체에 형성된 흡입구(112)와; 상기 케이스(110) 내에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실내공기가 케이스(110)의 배면으로부터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114)과; 상기 흡입구(112)와 송풍팬(11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14)의 흡입작용을 통해 케이스(110) 내로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증발기(116)와; 상기 증발기(116)의 증발작용을 통해 형성된 냉기를 송풍팬(114)의 송풍작용을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케이스(110) 전면(前面) 경사 테두리부(111)에 형성된 토출구(118)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실내기(100) 내로 흡입된 실내공기의 경우,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유동경로가 실내기(100) 배면에 형성된 흡입구(112)로부터 증발기(116) 및 송풍팬(114)을 거쳐 실내기(100) 전면(前面) 경사 테두리부(111)에 형성된 토출구(118)로까지 거의 일직선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U"자 형태나 "L"자 형태의 유동경로를 갖는 종래 실내기(1) 보다 흡입된 실내공기의 유동저항이 크게 저하되게 되는 특징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116)는 도 5의 (a)와 같이 송풍팬(114)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로 설치되거나, 또는 도 5의 (b)와 같이, 열교환 효율의 향상을 위한 실내공기와의 열교환 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팬(114) 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져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12)의 경우,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100) 배면 중앙부(A)와 배면 사각 테두리부(B)(C)(D)(E)에 흡입구(112)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100) 배면 전체에 흡입구(112)가 형성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배면 중앙부(A)에 형성된 흡입구(112)의 경우, 일정크기의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 사각 테두리부(B)(C)(D)(E)에 형성된 흡입구(112)의 경우, 상기 배면 중앙부(A)로부터 배면 사각 테두리부(B)(C)(D)(E) 끝단까지 일정각도로 경사진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18)의 경우,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팬(114)의 원주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냉기)가 바로 실내기(10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실내기(100) 전면(前面) 양측 경사 테두리부(111)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팬(114)의 외주면으로부터 토출구(118)까지에는 상기 송풍팬(114)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구(118) 이외의 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곡률의 가이드 부재(119)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실내기(100)의 경우, 벽면에 설치되는 상태에 따라 실내기(100) 배면 전체에 형성된 흡입구(112)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는 상기 실내기(100)가 벽면에 밀착시켜 설치한 경우와 상기 실내기(100)가 벽면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장치(130)를 통해 설치한 경우로서, 앞서 설명한 실내기(100)를 벽면에 밀착시켜 설치한 경우, 실내기(100) 배면 중앙부(A)에 형성된 흡입구(112)가 밀착된 벽면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상기 실내기(100)의 배면 사각 테두리부(B)(C)(D)(E)에 각각 형성된 흡입구(112)만을 통해 실내기(100) 내로 실내공기가 흡입되게 된다.
이와 반대로, 고정장치(130)를 통해 벽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실내기(100)의 경우, 벽면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른 배면 전체의 흡입구(112) 즉, 배 면 중앙부(A)와 배면 사각 테두리부(B)(C)(D)(E) 각각에 형성된 흡입구(112) 전체가 개방되면서 상기 실내기(100) 배면 전체의 흡입구(112)를 통해 실내기(100) 내로 실내공기가 흡입되게 된다.
이 때, 상기 고정장치(130)는 상기 실내기(10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브라켓(미도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경우, 벽면의 일정부위에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실내기를 고정시켜 보다 쾌적한 실내 냉방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에어컨 실내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본 발명의 실내기가 벽면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내기가 고정장치를 통해 벽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된 상태에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실내기(100)가 벽면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의 작동과정으로, 실외기(미도시)로부터 저온 저압의 액상상태로 팽창된 냉매가 실내기(100) 내의 증발기(116) 즉, 실내기(100) 배면에 형성된 흡입구(112)와 송풍팬(114)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증발기(116)로 유입되면서 상기 증발기(116) 내를 유동함과 동시에, 상기 송풍팬(114)의 회전에 따른 실내공기가 실내기(100) 배면에 형성된 흡입구(112)를 통해 실내기(100) 내로 흡입되게 되는데, 이 때 흡입구(112)의 경우, 도 6 에 도시된 흡입구(112) 중 벽면에 의해 차단된 실내기(100) 배면 중앙부(A)의 흡입구(112)를 제외한 상기 실내기(100)의 배면 사각 테두리부(B)(C)(D)(E)에 각각 형성된 흡입구(112)만을 통해 실내기(100) 내로 실내공기가 흡입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송풍팬(114)에 의해 실내기(100) 내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증발기(116)의 관내를 통과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냉각된 후,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114)의 토출방향에 따라 케이스(110) 전방 경사 테두리부(111)에 형성된 토출구(118)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면서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 다음으로, 고정장치(130)를 통해 벽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실내기(100)의 작동과정으로서, 전술한 과정과 같이 실외기(미도시)로부터 저온 저압의 액상상태로 팽창된 냉매가 실내기(100) 내의 증발기(116) 즉, 실내기(100) 배면에 형성된 흡입구(112)와 송풍팬(114)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증발기(116)로 유입되면서 상기 증발기(116) 내를 유동함과 동시에, 벽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른 실내기(100)의 배면 중앙부(A)와 배면 사각 테두리부(B)(C)(D)(E) 각각에 형성된 흡입구(112) 전체가 개방되면서 상기 실내기(100) 배면 전체의 흡입구(112)를 통해 실내공기가 실내기(100) 내로 흡입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송풍팬(114)에 의해 실내기(100) 내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증발기(116)의 관내를 통과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냉각된 후, 이 역시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114)의 토출방향에 따라 케이스(110) 전방 경사 테두리부(111)에 형성된 토출구(118)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면서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와;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0) 배면의 상/하 테두리부(B)(C)와 배면 중앙부(A)에 형성된 흡입구(112)와; 상기 케이스(110) 내에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실내공기가 케이스(110)의 배면으로부터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114)과; 상기 흡입구(112)와 송풍팬(11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14)의 흡입작용을 통해 케이스(110) 내로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증발기(116)와; 상기 증발기(116)의 증발작용을 통해 형성된 냉기를 송풍팬(114)의 송풍작용을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케이스(110) 전방 경사 테두리부(111)에 형성된 토출구(118)로 구성되어 있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와;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0) 배면의 좌/우 테두리부(D)(E)와 배면 중앙부(A)에 형성된 흡입구(112)와; 상기 케이스(110) 내에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실내공기가 케이스(110)의 배면으로부터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114)과; 상기 흡입구(112)와 송풍팬(11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14)의 흡입작용을 통해 케이스(110) 내로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증발기(116)와; 상기 증발기(116)의 증발작용을 통해 형성된 냉기를 송풍팬(114)의 송풍작용을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케이스(110) 전방 경사 테두리부(111)에 형성된 토출구(118)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와;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0) 배면의 상/하/좌/우 각 테두리부(B)(C)(D)(E)에 형성된 흡입구(112)와; 상기 케이스(110) 내에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실내공기가 케이스(110)의 배면으로부터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114)과; 상기 흡입구(112)와 송풍팬(11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14)의 흡입작용을 통해 케이스(110) 내로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증발기(116)와; 상기 증발기(116)의 증발작용을 통해 형성된 냉기를 송풍팬(114)의 송풍작용을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케이스(110) 전방 경사 테두리부(111)에 형성된 토출구(118)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도 3 내지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 실내기(100) 내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흡입력 및 송풍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실내기(100) 내에 1개 이상의 송풍팬(114) 즉, 모터의 양 회전축에 송풍팬(114)을 설치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100)는, 실내기(100) 배면에 형성된 흡입구(112)로부터 증발기(116) 및 송풍팬(114)을 거쳐 토출구로까지 거의 일직선 형태를 이루는 공기의 유동경로를 통해 "U"자 형태나 "L"자 형태인 종래 실내기(1)의 유동경로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흡입구(112)를 실내기 배면에 형성함에 따른 실내기(100) 설치의 자유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흡입 면적 증가로 인한 증발기(116)의 열교환 효율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는, 흡입구를 벽면에 위치되는 실내기의 배면 전체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배면 흡입구와 송풍팬 사이에 증발기를 설치하므로서, 배면 흡입을 통한 실내공기가 증발기를 거쳐 송풍팬을 통해 실내기 전면 측의 토출구로 바로 토출되도록 하는 등 흡입구로부터 토출구까지의 유동경로가 거의 일직선 형태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이로 인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종래 실내기에 비해 크게 저하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내기의 흡입구를 실내기 전면에서 배면으로 배치하므로서, 이에 따른 실내기 설치의 자유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그리고, 흡입구를 실내기의 배면 전체에 형성시키므로서, 종래에 비해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면적이 크게 증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 면적 증가에 따른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흡입구를 실내기 배면 전체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와 송풍팬 사이에 설치하므로서, 동일 평면상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같이 존재하는 종래 실내기에 설치되는 증발기의 크기(면적)가 제한되었던 것에 비해 크기가 증가된 상태로 증발기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의 크기(면적) 증가로 인한 열교환 양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내기 배면에 흡입구를 형성함에 따른 실내기 전면(前 面)에 로고나 무늬 등을 삽입하거나, 또는 실내기의 전면(前面) 외관을 깔끔하게 하기 위한 이색화된 마감재를 설치하는 등, 디자인적 차원에서 실내기 전면(前面)을 활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케이스와;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배면 전체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실내공기가 케이스의 배면으로부터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과;
    상기 흡입구와 숭풍팬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된 실내공기가 냉매의 열교환이 되도록 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가; 포함되고 상하 및/또는 좌우 및/또는 배면중앙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내기.
  3. 케이스와;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배면의 상/하 테두리부 및/또는 배면 중앙부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실내공기가 케이스의 배면으로 부터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과;
    상기 흡입구와 숭풍팬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된 실내공기가 냉매의 열교환이 되도록 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가 구비된 케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내기.
  4. 케이스와;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배면의 좌/우 테두리부와 배면 중앙부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실내공기가 케이스의 배면으로부터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과;
    상기 흡입구와 송풍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의 흡입작용을 통해 케이스 내로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증발작용을 통해 형성된 냉기를 송풍팬의 송풍작용을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내기.
  5. 케이스와;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배면의 상/하/좌/우 각 테두리부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실내공기가 케이스의 배면으로부터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과;
    상기 흡입구와 송풍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의 흡입작용을 통해 케이스 내로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증발작용을 통해 형성된 냉기를 송풍팬의 송풍작용을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내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를 벽면에 밀착,고정시 케이스의 배면 테두리부에 형성된 흡입구만을 통해 실내 공기가 흡입되고,
    또는, 상기 케이스를 벽면으로부터 이격시켜 고정시 배면 중앙부와 배면 사각테두리 각각에 형성된 흡입구 전체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내기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고정장치를 통해 벽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내기.
  9.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열교환 효율의 향상을 위한 실내공기와의 열교환 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팬 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져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내기.
  10.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기 내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흡입력 및 송풍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실내기 내에 1개 이상의 송풍팬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내기.
  11.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송풍팬의 원주방향과 연계되는 실내기 전면(前面) 양측 경사 테두리부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내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외주면으로부터 토출구까지에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구 이외의 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곡률의 가이드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내기.
KR1020030060307A 2003-08-29 2003-08-29 에어컨 실내기 KR100541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307A KR100541471B1 (ko) 2003-08-29 2003-08-29 에어컨 실내기
US10/836,273 US7171823B2 (en) 2003-08-29 2004-05-03 Air conditioner
DE602004010009T DE602004010009T2 (de) 2003-08-29 2004-05-17 Klimaanlage
EP04291259A EP1510762B1 (en) 2003-08-29 2004-05-17 Air conditioner
JP2004151900A JP3977823B2 (ja) 2003-08-29 2004-05-21 空気調和装置
CNB2004100453845A CN100404962C (zh) 2003-08-29 2004-05-21 空调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307A KR100541471B1 (ko) 2003-08-29 2003-08-29 에어컨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680A KR20050022680A (ko) 2005-03-08
KR100541471B1 true KR100541471B1 (ko) 2006-01-10

Family

ID=3410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307A KR100541471B1 (ko) 2003-08-29 2003-08-29 에어컨 실내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71823B2 (ko)
EP (1) EP1510762B1 (ko)
JP (1) JP3977823B2 (ko)
KR (1) KR100541471B1 (ko)
CN (1) CN100404962C (ko)
DE (1) DE60200401000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675B1 (ko) * 2003-09-04 2006-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081217B1 (ko) * 2004-03-04 2011-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베이스구조
KR100710352B1 (ko) 2004-11-23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냉매 바이패스 여과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67517B1 (ko) * 2005-01-27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 가변형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1868371B1 (ko) * 2011-10-21 2018-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KR101918225B1 (ko) * 2012-02-15 201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내기
CN103629739B (zh) * 2012-08-22 2017-03-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多出风口空调器室内机
CN103629740B (zh) * 2012-08-22 2017-04-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组合风道空调器室内机
KR102076668B1 (ko) * 2013-05-24 2020-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104165416A (zh) * 2014-08-19 2014-11-26 广州华凌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CN105387548B (zh) * 2015-12-17 2020-05-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设备
WO2017155637A1 (en) * 2016-03-11 2017-09-14 Illinois Tool Works Inc. Flap-cushioning pressure reflief assembly
CN107062387B (zh) * 2016-12-05 2023-03-21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进风面积大的挂机结构
CN106907812B (zh) * 2017-04-24 2023-10-31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机房空调
CN110260402B (zh) * 2019-05-24 2021-11-05 江门市宝士制冷电器有限公司 一种双出风的空调
CN110260413A (zh) * 2019-05-24 2019-09-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窗机空调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274A (en) * 1877-04-03 Improvement in rope-clamps
US2934324A (en) * 1957-02-07 1960-04-26 Gen Motors Corp Heat exchange and control therefor
US3018642A (en) * 1960-05-09 1962-01-30 American Air Filter Co Air conditioner
US4013120A (en) * 1974-01-21 1977-03-22 Martin Rheinheimer Air conditioner
AU542354B2 (en) * 1981-10-21 1985-02-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eiling mounted air conditioner
GB2155616B (en) 1981-10-21 1986-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conditioning device
JP3051420B2 (ja) * 1990-03-02 2000-06-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装置,その装置に用いられる室内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100225637B1 (ko) * 1997-05-23 1999-10-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온도제어장치
CN1178889A (zh) * 1997-09-24 1998-04-15 陈自力 图框式可堆叠相接的空调室内机
JP3061026B2 (ja) 1997-12-18 2000-07-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167907C (zh) * 2000-07-13 2004-09-22 海尔集团公司 空调器的壁挂室内机
CN2438040Y (zh) * 2000-08-02 2001-07-04 Tcl集团有限公司 分体挂壁式空调器
WO2002103252A2 (en) * 2001-06-19 2002-12-27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U2002314572A1 (en) 2001-06-19 2003-01-02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WO2002103250A2 (en) 2001-06-19 2002-12-27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JP3804537B2 (ja) * 2002-01-18 2006-08-0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0762B1 (en) 2007-11-14
CN100404962C (zh) 2008-07-23
US20050044877A1 (en) 2005-03-03
CN1590856A (zh) 2005-03-09
DE602004010009T2 (de) 2008-09-18
US7171823B2 (en) 2007-02-06
EP1510762A1 (en) 2005-03-02
JP2005077085A (ja) 2005-03-24
DE602004010009D1 (de) 2007-12-27
KR20050022680A (ko) 2005-03-08
JP3977823B2 (ja)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471B1 (ko) 에어컨 실내기
US9897335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EP249801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445160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EP3721143B1 (en) Air conditioner
CN110573805B (zh) 空调机
KR20160111687A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100765163B1 (ko) 공기조화기
KR10054768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784841B1 (ko) 투인원 초슬림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212869974U (zh) 空调器室内机
KR100579570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90000520U (ko) 공기조화기
KR100557597B1 (ko) 에어컨 실내기의 3면 균일 토출 유로
KR200191341Y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장치
KR10061351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50024798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8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653785B1 (ko) 공기조화기
KR100412415B1 (ko) 에어컨의 흡입구조
KR10055054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KR20080040194A (ko) 흡입량을 증가시킨 패키지 에어컨
KR200312143Y1 (ko) 룸에어컨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구조
KR20020061761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냉기토출 구조
KR20080065201A (ko) 다면 흡입 및 토출형 에어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