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920B1 -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0920B1 KR100540920B1 KR1020030041652A KR20030041652A KR100540920B1 KR 100540920 B1 KR100540920 B1 KR 100540920B1 KR 1020030041652 A KR1020030041652 A KR 1020030041652A KR 20030041652 A KR20030041652 A KR 20030041652A KR 100540920 B1 KR100540920 B1 KR 1005409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air
- water
- mist
- convey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00889 atomis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64 ad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76 p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발생한 미스트를 효율적으로 실내로 확산시켜, 실내 공기 및 실내 벽면 등의 부착물의 탈취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The generated mist can be efficiently diffused into the room, and deodorization of deposits such as indoor air and the interior wall surface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흡입구(1)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필터(2)에서 정화하여 토출구(3)로부터 토출 시키는 송풍부(4)를 구비한 공기청정기(A)에, 물 고임부(5)와, 물 고임부(5)의 물을 물 고임부(5)의 외부에 위치한 선단 쪽으로 반송하는 반송부(6)와, 반송부(6)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전극(7)과, 반송부(6)와 전극(7)과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8)를 구비하여, 반송부(6)와 전극(7)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반송부(6)의 물이 무화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정전무화장치(9)를 설치한다. 반송부(6) 및 전극(7)을, 필터(2)의 하류 쪽에 설치한다.In the air purifier (A) having a blower (4)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1) by the filter (2) an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3), the water pool 5 and the water pool ( The conveyance part 6 which conveys the water of 5) toward the front end located in the exterior of the water holding part 5, the electrode 7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conveyance part 6 may be opposed, the conveyance part 6, and the electrode ( And a voltage applying section 8 for applying a high voltage between the transfer section 7 and a high voltage applied between the transfer section 6 and the electrode 7 to atomize the water in the transfer section 6 to generate mist. The electrostatic atomizer 9 is installed. The conveyance part 6 and the electrode 7 are provided downstream of the filter 2.
미스트, 물 고임부, 필터, 반송부, 전극, 전압인가부, 정전무화장치Mist, water pool, filter, conveying unit, electrode, voltage applying unit, electrostatic atomizer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의 측단면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공기정화기의 정단면도이다.FIG.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air purifier of FIG. 1.
도3은, 도1의 공기정화기에 설치된 정전무화장치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static atomizer installed in the air purifier of FIG.
도4는, 도3의 정전무화장치의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the electrostatic atomizer of FIG.
도5는, 도3의 정전무화장치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static atomizer of FIG.
도6은, 정전무화에 의하여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원리를 설명하는 원리도이다.6 is a principle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generating nano-sized mist by electrostatic atomization.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단면도이다.7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구성도이다.8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구성도이다.9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구성도이다.10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구성도이다.1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구성도이다.1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반송부와 전극과의 사이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특성(特性)이 마이너스 직류인 예에 대한 설명도이다.Fig. 1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xample in which the characteristic of the high voltage applied between the carrying section and the electrod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gative direct current.
도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반송부와 전극과의 사이에 인가되는 고 전압의 특성이 20~100kHz인 마이너스 직류 구형파(矩形波)인 예에 대한 설명도이다.1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xample of a negative DC square wave having a characteristic of high voltage applied between the carrier and the electrod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20 to 100 kHz.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A 공기청정기, 1 흡입구,A air cleaner, 1 inlet,
2 필터, 3 토출구,2 filters, 3 outlets,
4 송풍부, 5 물 고임부,4 blowers, 5 water pubes,
6 반송부, 7 전극,6 carriers, 7 electrodes,
8 전압인가부, 9 정전무화장치,8 voltage application section, 9 electrostatic atomizer,
10 풍로.10 furnace.
본 발명은, 실내 공기의 탈취나 실내 벽면 등의 부착물의 탈취를 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무화(靜電霧化)의 기술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먼지나 띠끌 등을 포착하는 필터나 냄새 분자(分子)를 흡착하는 활성탄 등의 필터를 구비한 것이 다수 제공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일본 특개소53-141167호 공보)이나 특허문헌 2(일본 특개2001-286546호 공보) 등과 같이 정전무화의 기술을 이용하여 탈취를 행하는 것도 제공되고 있다. 여기에서, 정전무화란, 물 등의 액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해(電解) 중에 액체를 노출시키면 물이 안개화(霧化)되는 현상을 말한다.Many conventional air cleaners are provided with a filter such as a filter for trapping dust and dirt in the air, and a filter such as activated carbon for adsorbing odor molecules. Further, deodorization is also provided using a technique of electrostatic atomization, such as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3-141167) and 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286546). Here, the electrostatic atomizati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water is misted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a liquid such as water and the liquid is exposed during electrolysis.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은, 공기청정기 내로 흡입된 공기에 정전무화부에서 발생한 미스트(mist)를 접촉시킨 후에 기액(氣液)접촉부에 오염된 미스트를 포착시키도록 한 것이며,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것은, 액체로 된 소취제(消臭劑)를 정전무화부에서 무화하여 미스트를 발생시켜 공기 중에 분무하는 것이다.Disclosed in the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예에 있어서는, 오염된 공기가 항상 정전무화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먼지나 띠끌 등이 정전무화부에 부착되어 버리므로, 고전압을 걸어도 정전무화가 발생하기 어렵게 될 염려가 있었다. 이 때문에, 정전무화부의 청소를 빈번하게 행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는, 공기청정기 내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것에 불과하여 실내 벽면 등의 부착물은 탈취할 수 없었다.In the prior art disclosed in
한편,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종래예에 있어서는, 정전무화부를 공기청정기에 내장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을 뿐, 구체적으로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지는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정전무화부에서 발생한 미스트를 분무한다고는 기재되어 있지만, 공기청정기와의 조합에 있어서, 어떻게 공기 중으로 확산시키면 좋을지에 대한 기재가 없어, 현재로는 실용화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example disclosed in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발생한 미스트를 효율 적으로 실내로 확산시켜, 실내 공기 및 실내 벽면 등의 부착물의 탈취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is poin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leaner that can efficiently diffuse generated mist into a room and effectively deodorize deposits such as indoor air and an interior wall surfa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흡입구(1)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필터(2)에서 정화하여 토출구(3)로부터 토출시키는 송풍부(送風部;4)를 구비한 공기청정기(A)에, 물 고임부(5)와, 상기 물 고임부(5)의 물을 물 고임부(5) 외부에 위치한 선단(先端) 쪽으로 반송하는 반송부(6)와, 반송부(6)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전극(電極;7)과, 반송부(6)와 전극(7)과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8)를 구비하여, 반송부(6)와 전극(7)과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반송부(6)의 물을 무화(霧化)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정전무화(靜電霧化)(9)를 설치하고, 상기 반송부(6) 및 전극(7)을 필터(2)의 하류 측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er having a blower (4)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1) in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함으로써, 반송부(6)와 전극(7)과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 함에 의하여 반송부(6)의 물을 무화하여 발생한 미스트가, 필터(2)에서 정화된 공기와 함께 공기청정기(A) 밖의 분위기 중으로 확산되게 되어, 실내 공기 중의 탈취나 실내 벽면 등의 부착물에 대한 탈취를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mist generated by atomizing the water in the
또한, 흡입구(1)로부터 토출구(3)에 이르는 풍로(10) 내에, 반송부(6) 및 전극(7)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함으로써, 정화된 공기가 흐르는 풍로(10) 내에서 정전무화가 행하여지게 되어, 무화량(霧化量)이 증대되고, 또한 풍로(10) 내에 반송부(6) 및 전극(7)을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반송부(6) 및 전극(7)은 필터(2)에서 정화된 공기에 노출되게 되므로, 반송부(6) 및 전극(7)에 먼지나 띠끌이 부착되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이 때문에 먼지나 띠끌이 부착됨에 의해서 고전압을 걸어도 정전무화가 발생하기 어렵게 되는 것과 같은 현상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By this structure, electrostatic atomization is performed in the
또한, 토출구(3)의 외부에 반송부(6) 및 전극(7)을 설치함과 동시에, 발생한 미스트가 상기 토출구(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 흐름에 의해 유인(誘引)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반송부(6) 및 전극(7)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반송부(6)와 전극(7)과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 하여 반송부(6)의 물을 무화해서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미스트 발생부가 토출구(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 흐름에 직접 노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토출구(3)로부터 토출 되는 공기 흐름에 직접 영향받는 일 없이, 토출구(3)의 외부위치에서 정전무화에 의한 미세한 미스트의 발생을 효율좋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토출구(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 흐름에 영향받지 않고 효율좋고 정확하게 발생시킨 미스트를 토출구(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 흐름에 의해 유인하여 필터(2)에서 정화된 공기와 함께 공기청정기(A) 밖의 분위기 중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With such a configuration, a mist generating section for generating a mist by atomizing water in the
또한, 흡입구(1)로부터 토출구(3)에 이르는 풍로(10)의 외측에 반송부(6) 및 전극(7)을 설치함과 동시에, 발생한 미스트가 상기 풍로(10)를 흐르는 공기 흐름에 의해 유인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반송부(6) 및 전극(7)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반송부(6)와 전극(7)과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 하여 반송부(6)의 물을 무화해서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미스트 발생부가 흡입구(1)로부터 토출구(3)에 이르는 풍로(10)를 흐르는 공기 흐름에 직접 노출되지 않고, 따라서 상기 풍로(10) 내를 흐르는 공기 흐름에 직접 영향을 받는 일 없이 , 풍로(10)의 외측위치에서 정전무화에 의해 미세한 미스트의 발생을 효율좋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풍로(10) 내를 흐르는 공기 흐름에 영향받는 일 없이 효율좋고 정확하게 발생시킨 미스트를 풍로(10) 내를 흐르는 공기 흐름에 의해 풍로(10) 내로 유인하여 필터(2)에서 정화된 공기와 함께 공기청정기(A) 밖의 분위기 중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With such a configuration, a mist generating section for generating a mist by atomizing water in the
[발명의 실시예][Examples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the Example shown to an accompanying drawing.
도1, 도2에는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A)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공기청정기(A)는 본체 케이스(11) 내에 공기청정부(12) 및 정전무화장치(9)을 내장한 것이다.1 and 2 show an example of the air cleaner 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leaner A includes the
공기청정부(12)는 종래의 공기청정기와 마찬가지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와, 여과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3)와, 흡입구(1)로부터 토출구(3)에 이르는 풍로(10) 내에 설치된 부직포나 활성탄 등의 필터(2)와, 팬(4a)을 구비한 송풍부(4)를 갖춘 것으로서, 실내 공기를 흡입구(1)로부터 공기청정부(12) 내로 흡입하고, 필터(2)에 의해 여과해서 공기를 청정화하고, 청정화된 공기를 토출구(3)로부터 다시 실내로 토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며, 소위 필터(2)에서 여과하는 방식(필터레이션 방식)에 의해 실내에 부유하고 있는 냄새를 제거하 도록 되어 있다.The
본체 케이스(11) 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청정부(12) 이외에 정전무화장치(9)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 정전무화장치(9)는 도6에 도시된 원리도와 같이, 물(W)이 주입되는 물 고임부(5)와, 물 고임부(5)로부터 물(W)을 반송하는 반송부(6)와, 반송부(6)에 의한 물(W)의 반송 방향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전극(7)과, 반송부(6)와 전극(7)과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8)를 구비하고 있다.Although the
여기서,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A)에 있어서는, 적어도 정전무화장치(9)의 반송부(6) 및 전극(7)은 필터(2)의 하류 쪽에 설치되어 있다. 반송부(6)와 전극(7)과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함에 의해 반송부(6) 선단의 물(W)이 대전되어 무화하여 나노(nano) 사이즈의 미스트(M)가 발생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송부(6)와 전극(7)이 필터(2)의 하류 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반송부(6)와 전극(7)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생한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M)는 필터(2)에서 정화된 공기와 함께 공기청정기(A) 밖의 분위기 중으로 확산되어, 실내 공기 중의 탈취나 실내 벽면 등의 부착물의 탈취를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오염된 공기와 함께 분위기 중에 확산시켰을 경우, 곧바로 오염된 공기와 미스트가 접촉해 버리기 때문에, 냄새 분자 등을 포함하는 미스트의 비율이 높아지게 되어, 실내 공기 및 실내 벽면 등의 부착물에 대한 탈취 효과가 저하해버리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필터(2)에서 정화된 공기와 함께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M)가 분위기 중으로 확산되므로, 실내 공기 및 실내 벽면 등 의 부착물에 대한 탈취 효과를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Here, in the air cleaner A of this invention, the
도3 내지 도5에는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구비된 정전무화장치(9)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정전무화장치(9)는 물 고임부(5)를 구성하는 물 탱크(5a)를 하부에 구비한 것으로, 원통 모양으로 또한 주면(周面)에 통풍구멍(13)이 개구된 홀더(14)와, 상기 홀더(14)의 상부에 배치된 전극(7)(실시예에서는 대향전극이므로 이하 대향전극(7)이라 한다)과, 홀더(14)의 하부에 끼워 넣어져서 물(W)에 대한 전압인가를 담당하는 인가(印加)전극(15)과, 이 인가전극(15)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반송부(6)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봉 모양 흡수체(6a)와, 역시 인가전극(15)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이온화 침(針)(1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물 탱크(5a)는, 그 상단 개구 테두리 외면의 돌기(35)가 상기 홀더(14)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인가전극(15)의 외주 플랜지부(17)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 오목부(18)에 바이요네트(bayonet) 결합함으로써 부착되어 있다.3 to 5 show an example of the
대향전극(7)과 인가전극(15)은 공히 카본과 같은 도전재료를 혼입한 합성 수지나 스테인레스(SUS)와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홀더(14)의 상부에 씌워지는 대향전극(7)은 그 외주면에 형성된 접속용 돌출부(19)의 외면에 접촉하는 접지용 접촉판(20)을 통해서 접지된다. 홀더(14)의 하부 내로 끼워 넣어져 고정되어 홀더(14) 내면의 리브(21)에 눌려 고정되어 있는 인가전극(15)도 역시 외주면에 형성된 접속용 돌출부(26)의 외면에 접촉하는 접촉판(22)을 통하여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8)에 접속된다.The
상기 봉 모양 흡수체(6a)는, 예컨대 다공질 세라믹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이 침 모양으로 뾰족한 것으로서, 복수개, 도시된 예에서는 6개의 흡수체(6a)가 인가전극(15)에 부착되어 있다. 이들 흡수체(6a)는 인가전극(15)의 중앙에 배치된 이온화 침(16)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원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상부가 인가전극(15)보다도 윗쪽으로 돌출되고, 하부는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물 탱크(5a) 내로 주입되는 물(W)과 접촉한다.The rod-shaped
도면 중에 23은 인가전극(15)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원통 모양의 스커트(skirt)로서, 상기 복수개의 흡수체(6a)의 외측을 둘러쌈과 동시에, 그 하단은 흡수체(6a)의 하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며, 하단 개구에는 격자(格子) 모양의 격자상 보호 커버(24)가 씌워져 있다. 인가전극(15)에 있어서의 상기 스커트(23)는, 물 탱크(5a) 내로 주입되는 물(W)과 접촉함으로써 물(W)에 고전압을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격자상 보호커버(24)와 함께 세라믹으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체(6a)의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figure,
여기에서, 인가전극(15)은, 물 탱크(5a)가 연결되었을 때, 물 탱크(5a)의 상면 개구를 거의 밀폐하므로, 기울어졌을 때에도 물 탱크(5a) 내의 물(W)이 누출됨이 없도록 되어 있으며, 이 관계에서 상기 스커트(23)의 둘레방향 일부에는 스커트(23)의 상하 방향 전장에 걸친 슬릿(29)을 형성하고, 물(W)이 주입된 물 탱크(5a)의 장착 시에 상기 슬릿(29)에 의해 스커트(23)로 둘러싸여진 공간 내의 공기를 뽑아서 스커트(23) 내로의 물(W)의 유입을 허용하도록 하고 있다.Here, since the
홀더(14)의 상면 개구를 닫도록 하여 장착된 대향전극(7)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개구부(25)을 갖는 동시에, 이 개구부(25)의 테두리는 윗쪽으로 부터 보았을 때, 상기 복수개의 흡수체(6a) 상단의 침 모양부를 중심으로 하는 복수의 동일 직경의 원호(R)가 다른 원호(r)로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되어 있다. 대향 전극(7)을 접지하고, 인가전극(15)에 고전압 발생원을 접속하는 동시에, 흡수체(6a)가 모세관현상으로 물(W)를 빨아 올릴 때, 흡수체(6a) 상단의 침 모양부가 인가전극(15) 측의 실질적인 전극으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대향전극(7)의 상기 원호(R)가 실질적인 전극으로서 기능하여, 물(W)을 반송하는 반송부(6)를 구성하는 봉 모양 흡수체(6a)의 선단과 대향전극(7)과의 사이에 고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또, 상기 개구부(25)에는 격자상 보호커버(39)를 씌움으로써, 개구부(25)를 통해서 이온화 침(16)이나 흡수체(6a)에 손가락 등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The
지금, 물(W)을 넣은 물 탱크(5a)를 장착하고, 인가전극(15)의 스커트(23)에 물(W)을 접촉시킴과 동시에, 흡수체(6a)에 모세관현상으로 물(W)를 빨아 올리게 하며, 또 대향전극(7)을 접지함과 동시에 인가전극(15)에 고전압 발생원을 접속하고, 인가전극(15)에 마이너스의 전압을 인가하면, 반송부(6)를 구성하는 봉 모양 흡수체(6a)의 선단과 대향전극(7)과의 사이에 고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이 전압이 물(W)에 레이리 분열을 일으키게 할 수 있는 고전압이라면, 흡수체(6a) 상단의 침 모양부에 도달한 물(W)은 여기에서 레이리 분열을 일으켜서 나노미터 사이즈 입자 지름의 미스트(M)가 되는 무화를 발생키는 정전무화가 이루어진다.Now, the
또한, 이 정전무화장치(9)에서는 이온화 침(16)에도 높은 부(負)전압이 동시에 인가되어, 대향전극과의 사이에서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음(陰)이온의 발생도 이루어진다. 이 때, 전극간의 거리가 같다면 음이온 발생을 위하여 필요한 전압보 다도 정전무화에 필요한 전압 쪽이 높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흡수체(6a) 상단의 침 모양부에서 대향전극(7)까지의 거리(L1)보다, 이온화 침(16)에서 대향전극(7)까지의 거리(L2)를 상당히 길게 함으로써 정전무화 쪽이 일어나기 쉽게 하고 있다. 다만, 물 탱크(5a) 내의 물(W)이 없어짐과 동시에 흡수체(6a)에 유지되어 있는 물(W)도 무화되지 않게 된다면, 상기 음이온의 발생만이 계속해서 행하여진다.In this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전무화장치(9)의 반송부(6) 및 전극(7)을 필터(2)의 하류 쪽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는데, 도1,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반송부(6) 및 전극(7)을 구비한 정전무화장치(9)를 흡입구(1)로부터 토출구(3)에 이르는 풍로(10) 내에 설치하고 있다. 즉, 송풍부(4)는 모터(4b)에 의해 구동되는 팬(4a)과 풍동(風洞;4c)으로 이루어지고, 팬(4a)을 구동함으로써 송풍부(4)로부터 흡인된 실내 공기를 필터(2)에 의해 여과한 후, 청정화한 공기를 토출구(3)로부터 다시 실내로 토출하는 것이며, 이 공기청정기(A)에 있어서의 풍로(10) 중, 상기 송풍부(4)에서의 풍동(4c) 내에 또한 토출구의 근방 위치에 상기 정전무화장치(9)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veying
정전무화로 생긴 나노미터 사이즈의 입자 지름의 미스트인 나노 사이즈 미스트는 확산성이 원래 높지만, 정화된 공기가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 흐름를 타고 퍼지기 때문에 더욱 확산성이 양호해지게 되고, 또한 정화된 공기의 흐름을 타고 퍼지므로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가 오염된 공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멀리까지 정화된 공기를 타고 확산되기 때문에, 나노 사이즈 미스트가 가지고 있는 활성종에 의한 실내 공기 중의 악취성분이나 실내 벽면에의 부착물에 대한 탈취 기능 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광범위하게 탈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도1,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풍동(4c)의 일부에 설치된 수납 오목부(27) 내에 정전무화장치(9)를 배치하였을 때, 접촉판(20, 22)과 상기 접속용 돌출부(19, 26)와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수납 오목부(27)의 벽면으로 열려진 개구부(28)와 정전무화장치(9)의 홀더(14)에 있는 통풍구멍(13)을 통하여, 정전무화장치(9)의 내부로 일부의 바람이 유입되기 때문에, 무화가 촉진되어 무화량이 증대함과 동시에 미스트(M)가 바람을 타고 비산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Nano-size mist, a nanometer-sized particle diameter mist produced by electrostatic atomization, has a high diffusivity, but it is more diffused because purified air spreads through an air stream blown by a blower, and also purified air Since the nano-sized mist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polluted air because it spreads through the flow of air, it spreads through the purified air to the far sid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eodorize a wide range by effectively utilizing the deodorizing function for the attachments of.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when the
또한, 풍동(4c) 내에 정전무화장치(9)가 배치되어 있지만, 정전무화장치(9) 부근을 통과하는 공기는 필터(2)에서 여과된 청정한 공기이며, 이 때문에 정전무화장치(9)가 오염되지 않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일부의 바람이 정전무화장치(9) 내로 유입되지만, 오염에 기인하여 정전무화가 발생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Moreover, although the
도7, 도8에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1,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전무화장치(9)의 반송부(6) 및 전극(7)을 필터(2)의 하류 쪽에 설치함에 있어서, 흡입구(1)로부터 토출구(3)에 이르는 풍로(10) 내에 반송부(6) 및 전극(7)을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도7,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스트 발생부가 되는 반송부(6) 및 전극(7)을, 송풍부(4)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 흐름이 직접 닿지 않는 위치 (즉, 송풍부(4)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 흐름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또한 발생하는 미스트(M)가 송풍부(4)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 흐름으로 유인되는 위치에 설치하여도 좋다.7 and 8 show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when the
도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토출구(3) 외부에 반송부(6) 및 전극(7)을 설치함과 동시에, 발생한 미스트(M)가 상기 토출구(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 흐름에 의해 유인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반송부(6) 및 전극(7)을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케이스(11) 내의 상기 풍로(10) 외측에 설치한 수납 오목부(27)에 정전무화장치(9)을 수납하여 설치하였는바, 정전무화장치(9)를 수납 오목부(27)에 수납한 상태에서 미스트(M)의 외부로의 출구(42)가 되는 수납 오목부(27)의 개구부가 토출구(3) 외부로 열려져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반송부(6) 및 전극(7)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생한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M)는 토출구(3)로부터 토출된 공기 흐름에 의해 상기 출구(42)로부터 정전무화장치(9) 밖으로 나가 토출구(3)로부터 공기청정기(A) 밖의 분위기 중으로 정화된 공기와 함께 확산되어, 실내 공기 중의 탈취나 실내 벽면 등의 부착물의 탈취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반송부(6)와 전극(7)과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반송부(6)의 물을 무화해서 미스트(M)를 발생시키는 미스트 발생부가 토출구(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 흐름에 직접 노출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토출구(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 흐름에 직접 영향받는 일 없이 토출구(3)의 외부위치에서 정전무화를 할 수 있고, 정전무화에 의한 미세한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M) 발생을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the
또한, 도8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흡입구(1)로부터 토출구(3)에 이르는 풍로(10)의 외측에 반송부(6) 및 전극(7)을 설치함과 동시에, 발생한 미스트가 상기 풍로(10)를 흐르는 공기 흐름에 의해 풍로(10)의 도중으로 유인될 수 있는 위 치에 상기 반송부(6) 및 전극(7)을 설치한 예이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while the
즉, 도8에서는 본체 케이스(11) 내에 있어서, 풍로(1) 외부에 정전무화장치(9)를 배치하고, 풍로(10)의 일부를 구성하는 풍동(4c)의 도중에 정전 무화장치(9)에서 발생한 나노 사이즈 미스트(M)의 출구(42)를 연통시키고 있다. 따라서, 풍로(10)의 외부에 배치한 정전무화장치(A)의 반송부(6) 및 전극(7)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생한 나노 사이즈 미스트(M)는 풍로(10)를 흐르는 공기 흐름에 유인되어 풍로(10)의 도중과 연통된 출구(42)로부터 풍로(10) 내로 들어 가서, 풍로(10)를 흐르는 정화된 공기와 함께 토출구(3)로부터 공기청정기(A) 밖의 분위기 중으로 토출되어 정화된 공기와 함께 확산되므로, 실내 공기 중의 탈취나 실내 벽면 등의 부착물의 탈취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송부(6)와 전극(7)과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반송부(6)의 물을 무화해서 미스트(M)를 발생시키는 미스트 발생부가 흡입구(1)로부터 토출구(3)에 이르는 풍로(10)를 흐르는 공기 흐름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풍로(10) 내를 흐르는 공기 흐름에 직접 영향받는 일 없이 풍로(10)의 외부위치에서 정전무화에 의해 미세한 나노 사이즈 미스트(M)의 발생을 효율좋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FIG. 8, in the
한편, 본발명의 공기청정기(A)는 공기청정부(12)와 정전무화장치(9)를 동시에 운전하여도 좋으며, 정전무화장치(9)의 운전을 정지하고 공기청정부(12)만을 운전하거나, 혹은 공기청정부(12)의 운전을 정지하고 정전무화장치(9)만을 운전하거나 할 수 있으며, 그 운전형태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cleaner 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the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물을 반송하는 흡수성을 가지는 반송부(6)를 다공질 세라믹으로 형성한 예로 설명했지만, 물 고임부(5)로부터 물을 반송하는 반송부(6)를 펠트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이렇게 펠트에 의해 반송부(6)를 형성하면 염가로 반송부(6)를 형성할 수 있고, 염가로 활성종을 함유하는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M)를 무화하여 실내로 송출할 수 있어, 실내 벽면등에 부착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반송부(6)를 펠트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펠트 전극(7)과 대향하는 선단부를 뾰족하지게 되도록 한다. 이렇게 전극(7)과 대향하는 펠트의 선단부를 뾰족하게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압인가부(8)에 의해 반송부(6)와 전극(7)과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전계(電界)가 펠트 선단의 뾰족한 부분에 집중되어, 효율적으로 다량의 활성종을 함유하는 나노 사이즈 미스트(M)를 무화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여 효율적으로 다량의 활성종을 함유하는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M)를 무화하여 실내로 송출할 수 있으므로, 실내 벽면등에 부착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By the way, in the said Example, although the carrying
상기한 바와 같이, 반송부(6)를 펠트에 의해 형성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펠트로서 친수성이 약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친수성이 약한 펠트를 사용하면, 전압인가부(8)에 의해 반송부(6)와 전극(7)과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고전압에 의해 반송부(6) 선단의 물을 무화할 때, 펠트로부터 물(W)이 떨어지기 쉬워져서 효율적으로 또한 다량의 활성종을 함유하는 나노 사이즈 미스트( M)를 무화할 있고, 이것을 실내로 송출함으로써 실내벽 등에 부착된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in forming the
또, 반송부(6)를 펠트에 의해 형성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펠트가 탈(脫)계면활성제 처리된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도, 전압인가부(8)에 의해 반송부(6)와 전극(7)과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고전압에 의해 반송부(6) 선단의 물(W)을 무화할 때, 펠트로부터 물(W)이 떨어지기 쉬워져서 효율적으로 또한 다량의 활성종을 함유하는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M)를 무화할 수 있고, 이것을 실내로 송출함으로써, 실내벽 등에 부착된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forming the
또한, 사용하는 펠트로서 기공율이 높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기공율이 약 75%인 것은 물(W)의 반송량이 많아져서 바람직하지만, 예컨대, 기공율이 약 50%이하인 것은 물의 반송량이 적어서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렇게 기공율이 높은 펠트를 사용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물의 반송량이 많아져서, 효율좋게 또한 다량의 활성종을 함유하는 나노 사이즈 미스트(M)를 무화할 수 있고, 이것을 실내로 송출함에 의하여 실내벽 등에 부착된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hing with high porosity as a felt to use. For example, the porosity of about 75% is preferable because the conveyance amount of water (W) increases, but, for example, the porosity of about 50% or less is not so preferable because of the small amount of water conveyance. When the felt having high porosity is used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transport of water increases, so that the nano-size mist (M)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active species can be efficiently atomized, and it is attached to the interior wall or the like by sending it to the room. The smell can be removed efficiently.
또한, 사용하는 펠트로서 펠트나 섬유 지름이 굵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섬유 지름이 약 20d인 것은 물(W)의 반송량이 많아져서 바람직하지만, 예컨대 섬유 지름이 약 3d 이하인 것은 물(W)의 반송량이 적어져서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렇게 펠트나 섬유 지름이 굵은 것을 사용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물(W)의 반송량이 많아져서, 효율적으로 또한 다량의 활성종을 함유하는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M)을 무화할 수 있고, 이것을 실내로 송출함으로써 실내벽 등에 부착된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felt or a thing with a large fiber diameter as a felt to be used. For example, a fiber diameter of about 20 d is preferable because the amount of conveyance of water W increases, but, for example, a fiber diameter of about 3 d or less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amount of conveyance of water W decreas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elt or the fiber having a large diameter is used, the amount of transport of water (W) increases, so that the nano-sized mist (M)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active species can be efficiently atomized. By sending it out, the odor attached to the interior wall or the like can be efficiently removed.
다음에, 도9에 나타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 구성은 상술한 각 실시예와 같으므로, 다른 점에 대해서 도9에 나타낸 개략구성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공기청정기(A)에 있어서 필터(2)를 구비한 공기청정부(12)의 하류 쪽에 반송부(6) 및 전극(7)을 구비한 정전무화장치(9)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물 고임부(5)의 물(W)을 가압하는 가압수단(31)을 설치하고 있다. 물 고임부(5)의 물(W)을 가압하는 가압수단(31)으로서는 예컨대, 펌프를 채용할 수 있다. 이렇게 물 고임부(5)의 물(W)을 가압하는 가압수단(31)을 설치함으로써, 물(W)의 반송량이 많아져서, 효율적으로 또한 다량의 활성종을 함유하는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M)를 무화할 수 있고, 이것을 실내로 송출함으로써 실내벽 등에 부착된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Nex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will be described.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ifferent poi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n in FIG. In the air cleaner A, the
다음에, 도10에 나타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 구성은 상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다른 점에 대해서 도10에 나타낸 개략구성도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공기청정기(A)에 있어서 필터(2)를 구비한 공기청정부(12)의 하류 쪽에 반송부(6) 및 전극(7)을 구비한 정전무화장치(9)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물 고임부(5)의 물(W)을 가열하는 가열수단(32)을 설치하고 있다. 가열수단(32)으로서는 예컨대, 히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효율적으로 또한 다량의 활성종을 함유하는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M)를 무화할 수 있고, 이것을 실내로 송출함으로써 실내벽 등에 부착된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Nex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will be described.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ifferent poi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n in FIG. In the air cleaner A, the
다음에, 도11에 나타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 구성 은 상술한 각 실시예와 같으므로, 다른 점에 대해서 도11에 나타낸 개략구성도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공기청정기(A)에 있어서 필터(2)를 구비한 공기청정부(12)의 하류 쪽에 반송부(6) 및 전극(7)을 구비한 정전무화장치(9)를설치한 것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물 고임부(5)의 물(W)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수단(33)을 설치하고 있다. 물 고임부(5)의 물에 진동을 주는 진동수단(33)으로서는 예컨대, 초음파소자를 채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물(W)의 반송량이 많아지게 되어, 효율적으로 또한 다량의 활성종을 함유하는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M)를 무화할 수 있고, 이것을 실내로 송출함으로써 실내벽 등에 부착된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Nex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will be described.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ifferent poi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n in FIG. In the air cleaner A, the
다음에, 도12에 나타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 구성은 상술한 각 실시예와 같으므로, 다른 점에 대해서 도12에 나타낸 개략구성도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공기청정기(A)에 있어서 필터(2)를 구비한 공기청정부(12)의 하류 쪽에 반송부(6) 및 전극(7)을 구비한 정전무화장치(9)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송부(6)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수단(34)을 설치하고 있다. 반송부(6)에 진동을 주는 진동수단(34)으로서는 피에조소자를 채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는, 물(W)의 반송량이 많아지게 되어, 효율적으로 또한 다량의 활성종을 함유하는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M)를 무화할 수 있고, 이것을 실내로 송출함으로써 실내벽 등에 부착된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Nex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2 will be described.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ifferent poi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n in FIG. In the air cleaner A, the
다음에, 도13에 나타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구성은 상술한 각 실시예와 같으므로, 다른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전무화장치(9)의 인가전극(15)에 마이너스의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지만, 이렇게 인가전극(15)에 마이너스의 전압을 인가함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부(6)와 전극(7)의 사이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특성이 마이너스의 직류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는, 물(W)의 반송량이 많아지게 되어, 효율적으로 또한 다량의 활성종을 함유하는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M)를 무화할 수 있고, 이것을 실내로 송출함으로써 실내벽 등에 부착된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음이온도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이것을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Nex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will be described.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ifferent points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applying
다음에, 도14에 나타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구성은 상술한 각 실시예와 같으므로, 다른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부(6)와 전극(7)의 사이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특성이 20-100kHz의 마이너스의 직류 구형파(矩形波)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W)의 반송량이 많아지게 되어, 효율적으로 또한 다량의 활성종을 함유하는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M)를 무화할 수 있고, 이것을 실내로 송출함으로써 실내벽 등에 부착된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음이온도 동시에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이것을 실내에 공급할 수 있다.Nex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4 will be described.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ifferent points will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the characteristic of the high voltage applied between the
또, 상기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기청정기(A)의 본체 케이스(11)의 상면에 토출구(3)를 설치하고, 필터(2)에서 정화한 공기와 함께 정전무화장치(9)에서 발생시킨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M)를 실내로 송출하도록 하고 있지만, 공기청정기(A)의 본체 케이스(11) 전면(前面)에 토출구(3)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에 의해, 무화한 미스트(M)의 송출 방향이 공기청정기(A)의 전면방향이 되어, 활성종을 함유하는 나노 사이즈의 미스트(M)를 효율적으로 실내로 확산 송출하여 실내벽면 등에 부착된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송부와 전극과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반송부의 물이 무화해서 발생한 미스트가, 필터에서 정화된 공기와 함께 공기청정기(A) 밖의 분위기 중으로 확산되게 되어, 실내 공기 중의 탈취나 실내 벽면 등의 부착 물건의 탈취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high voltage between the conveying part and the electrode, mist generated by atomization of water in the conveying part is diffused into the atmosphere outside the air cleaner A together with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This can effectively deodorize indoor air or deodorize attached objects such as indoor walls.
Claims (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2-00184990 | 2002-06-25 | ||
JP2002184990 | 2002-06-25 | ||
JPJP-P-2003-00159998 | 2003-06-04 | ||
JP2003159998A JP4004437B2 (en) | 2002-06-25 | 2003-06-04 | Air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02708A KR20040002708A (en) | 2004-01-07 |
KR100540920B1 true KR100540920B1 (en) | 2006-01-10 |
Family
ID=3044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416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0920B1 (en) | 2002-06-25 | 2003-06-25 | Air cleaner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004437B2 (en) |
KR (1) | KR100540920B1 (en) |
CN (1) | CN1292799C (en) |
TW (1) | TW572789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49846B2 (en) * | 2004-02-24 | 2011-03-16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Electrostatic atomizer and air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
JP4670250B2 (en) * | 2004-03-31 | 2011-04-13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JP4625267B2 (en) * | 2004-04-08 | 2011-02-02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Electrostatic atomizer |
JP2005300111A (en) * | 2004-04-15 | 2005-10-27 | Daikin Ind Ltd | Air purification unit,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system |
JP4645111B2 (en) * | 2004-05-26 | 2011-03-09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Electrostatic atomize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
JP4552514B2 (en) * | 2004-05-26 | 2010-09-2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Hot water cleaning toilet seat with electrostatic atomizer |
JP4258436B2 (en) * | 2004-05-26 | 2009-04-30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Water repellent treatment method |
JP4196127B2 (en) * | 2004-07-22 | 2008-12-17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refrigerator |
JP2008051493A (en) * | 2004-07-22 | 2008-03-0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refrigerator |
JP4710270B2 (en) * | 2004-07-22 | 2011-06-2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Ozone water generator, ozone mist generator, and ozone gas generator |
JP4349240B2 (en) * | 2004-08-26 | 2009-10-21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Clothes storage with electrostatic atomizer |
JP4517776B2 (en) * | 2004-08-26 | 2010-08-04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Food storage |
JP4669248B2 (en) * | 2004-08-26 | 2011-04-13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Toilet equipment with electrostatic atomizer |
JP2006061407A (en) * | 2004-08-26 | 2006-03-09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Wash cabinet with electrostatic atomizer |
JP4645121B2 (en) * | 2004-09-27 | 2011-03-09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Electrostatic atomizer |
KR100707845B1 (en) * | 2004-09-27 | 2007-04-13 |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Electrostatic atomizing hairdryer |
JP4687081B2 (en) * | 2004-11-25 | 2011-05-2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JP4742892B2 (en) * | 2005-02-07 | 2011-08-10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refrigerator |
JP4701746B2 (en) * | 2005-02-23 | 2011-06-15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
JP4609145B2 (en) * | 2005-03-28 | 2011-01-12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Electrostatic atomizer |
JP4462089B2 (en) * | 2005-03-28 | 2010-05-12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Electrostatic atomizer for toilet |
JP4778276B2 (en) * | 2005-07-15 | 2011-09-21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JP4551288B2 (en) * | 2005-07-15 | 2010-09-2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JP2007040681A (en) * | 2005-08-05 | 2007-02-1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Ozone mist generator and refrigerator |
JP4581954B2 (en) * | 2005-10-03 | 2010-11-17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refrigerator |
JP4645501B2 (en) | 2006-03-29 | 2011-03-09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Electrostatic atomizer |
JP4821437B2 (en) * | 2006-05-26 | 2011-11-24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Electrostatic atomizer |
JP4864753B2 (en) * | 2007-02-07 | 2012-02-01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JP5054402B2 (en) * | 2007-03-27 | 2012-10-24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Closed space dehumidification system |
JP2009005782A (en) * | 2007-06-26 | 2009-01-15 |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 Air purifying apparatus |
JP5127347B2 (en) * | 2007-07-31 | 2013-01-2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JP5301798B2 (en) * | 2007-07-31 | 2013-09-2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JP4900207B2 (en) * | 2007-11-27 | 2012-03-21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Electrostatic atomizer |
JP4687740B2 (en) * | 2008-04-03 | 2011-05-2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JP4915961B2 (en) | 2008-05-27 | 2012-04-1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Air cleaner |
JP2009274069A (en) * | 2009-07-13 | 2009-11-26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Electrostatic atomizing device |
JP4925368B2 (en) * | 2009-08-06 | 2012-04-2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Electrostatic atomizer |
JP4936200B2 (en) * | 2009-08-06 | 2012-05-2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Electrostatic atomizer and air cleaner equipped with electrostatic atomizer |
JP5302829B2 (en) * | 2009-09-16 | 2013-10-0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Toilet equipment with electrostatic atomizer |
JP4877376B2 (en) * | 2009-09-30 | 2012-02-15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Electrostatic atomizer |
JP4985815B2 (en) * | 2010-05-06 | 2012-07-2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air purifier |
CN102151610B (en) * | 2010-11-30 | 2014-05-28 | 王浦林 | Method for generating charge moisture, discharge device and static dustproof system |
CN106288056A (en) * | 2015-05-21 | 2017-01-04 |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 The apparatus of air conditioning |
CN104848429B (en) * | 2015-05-23 | 2018-01-19 | 重庆潼玮商贸有限公司 | A kind of indoor air purification equipment |
CN105650814A (en) * | 2016-01-13 | 2016-06-08 | 东莞市利发爱尔空气净化系统有限公司 | Windowing detec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air purifier |
CN107588326A (en) * | 2017-05-22 | 2018-01-16 | 河南工程学院 | The protection device of petrochemical pier monitoring system |
CN112452915A (en) * | 2019-09-09 | 2021-03-09 | 上海钉点智能科技有限公司 | Clean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2232A (en) * | 1987-09-20 | 1989-04-05 | 梁康儒 |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machine |
CN2103341U (en) * | 1991-08-15 | 1992-05-06 | 高嵩 | Multifunctional health machine for air sterilization |
CN2137340Y (en) * | 1992-10-08 | 1993-06-30 | 李长明 | Indoor air cleaner |
CN2153361Y (en) * | 1993-01-06 | 1994-01-19 | 李海峰 | Multifunctional sterilizing health-care device |
JP2001286546A (en) * | 2000-04-07 | 2001-10-16 | Ricoh Elemex Corp | Deodorant sprayer |
CN2420001Y (en) * | 2000-04-20 | 2001-02-21 | 廖新生 | Indoor air cleaner |
-
2003
- 2003-06-04 JP JP2003159998A patent/JP400443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6-17 TW TW092116359A patent/TW572789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6-23 CN CNB031492835A patent/CN1292799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6-25 KR KR1020030041652A patent/KR10054092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572789B (en) | 2004-01-21 |
CN1292799C (en) | 2007-01-03 |
CN1470291A (en) | 2004-01-28 |
JP4004437B2 (en) | 2007-11-07 |
JP2004085185A (en) | 2004-03-18 |
TW200400084A (en) | 2004-01-01 |
KR20040002708A (en) | 2004-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40920B1 (en) | Air cleaner | |
JP5149473B2 (en) | Deodorization device | |
KR100716639B1 (en) | Electrostatic atomizer and air purifier using the same | |
JP4325730B2 (en) | Electrostatic atomizer and air cleaner using the same | |
JP4269932B2 (en) | Air cleaner | |
JP4003835B2 (en) | Air cleaner | |
JP4186718B2 (en) | Electrostatic atomizer with negative ion generation function and air purifier equipped with the same | |
JP4300918B2 (en) | Electrostatic atomize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 |
JP4432631B2 (en) | Air cleaner | |
JP4325729B2 (en) | Electrostatic atomizer and air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 |
JP4069806B2 (en) | Electrostatic atomizer and air cleaner using the same | |
WO2004105959A1 (en) | Electrostatic atomizer and air cleaner using same | |
JP4915963B2 (en) | Electrostatic atomizer | |
JP4114549B2 (en) | Electrostatic atomizer and air cleaner equipped with the same | |
JP4649846B2 (en) | Electrostatic atomizer and air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 |
JP4195990B2 (en) | Electrostatic atomizer and air cleaner using the same | |
JP4977188B2 (en) | Air cleaner | |
JP4877290B2 (en) | Electrostatic atomizer with negative ion generation function and air cleaner equipped with the same | |
JP2011078833A (en) | Deodorizing method and deodorizing apparatus by electrostatic atomization mist | |
JP4349468B2 (en) | Electrostatic atomizer | |
JP2005177684A (en) | Electrostatic atomizer and air cleaner equipped with electrostatic atomizer | |
JP2004358361A (en) | Electrostatic atomization apparatus and air cleaner equipped with the same | |
JP2011218181A (en) | Anti-virus device and air cleaner equipped with the anti-virus device | |
JP5899467B2 (en) | Indoor deodorizing method and equipment having indoor deodorizing function | |
JP2004361008A (en) | Air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