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0639B1 -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과 탄소나노선재제조용 촉매 - Google Patents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과 탄소나노선재제조용 촉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639B1
KR100540639B1 KR1020030069331A KR20030069331A KR100540639B1 KR 100540639 B1 KR100540639 B1 KR 100540639B1 KR 1020030069331 A KR1020030069331 A KR 1020030069331A KR 20030069331 A KR20030069331 A KR 20030069331A KR 100540639 B1 KR100540639 B1 KR 100540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transition metal
producing
oxide
carbon nanowir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3338A (ko
Inventor
정원섭
정성실
강흥원
이대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본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본나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본나노텍
Priority to KR102003006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639B1/ko
Priority to US10/595,284 priority patent/US20080153691A1/en
Priority to CNA2004800289834A priority patent/CN1863593A/zh
Priority to PCT/KR2004/002546 priority patent/WO2005032711A1/en
Priority to JP2006532092A priority patent/JP2007507341A/ja
Priority to EP04774775A priority patent/EP1680217A1/en
Publication of KR20050033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63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27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thermal decomposition of hydrocarbon gases or vapours or other carbon-containing compounds in the form of gas or vapour, e.g. carbon monoxide, alcoh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24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45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55Nick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 B01J23/8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with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85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4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dimensions, e.g. grain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01J37/0027Pow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8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Preparation
    • C01B32/162Preparation characterised by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Catalyst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과 그 촉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이금속의 산소화합물을 산화성분위기에서 800℃ 내지 150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괴상의 전이금속 산화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괴상의 전이금속 산화물을 분쇄하여 미립의 전이금속 산화물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의 습식법(침전법/공침법)에 비해 매우 간단하고 생산성이 높으므로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를 저가로 대량생산 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과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Method of Making Catalyst for Carbon Nanotubes and Carbon Nanofibers and Catalyst for Carbon Nanotubes and Nanofibers thereof}
본 발명은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섬유와 같은 탄소나노선재는 전기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다방면으로 활용가능성이 높은 신소재이다. 일반적으로 탄소나노선재의 제조방법은 전기방전법, 레이저증착법, 기상합성법 및 전기분해법 등이 있다. 기상합성법은 기판을 사용하는 방법과 기판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 있으며, 반응로 안에 반응가스와 기판 없이 촉매를 직접 공급하여 합성하는 방법이 탄소나노선재를 대량으로 합성하기에 유리한 방법이다.
탄소나노선재의 기상합성에 사용되는 촉매는 (1)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ammonium bicarbonate)에 의한 여러 금속염으로부터 산화물류의 제조 및 환원(침전법/공침법)(P.E.Anderson et.al., J. Mater. Res., 14(7) 2912 (1999), M.S.KIM et.al., J. Kor. Ceram. Soc., 36(5) 504 (1999)), (2) 환원분위기에서의 메탈로센(metallocene)의 증발/증착, (3) 용매에 분산된 순수 금속의 분 무/건조, (4) 알루미나나 실리카로 만들어진 기판상에 전이금속 미립자의 진공 증착 등에 의해서 얻어지고 있다. 이중 (2), (3)의 경우에는 전구체의 단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고, (1)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직접 촉매를 제조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공해를 야기하는 물질이 중간에 생성될 뿐 아니라 제조된 촉매가 다시 산화되기 쉬워 장기간 보관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4)와 같은 방법은 촉매 생성 비용이 높고 대량생산에 불리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전이금속의 산소화합물을 산화성분위기에서 800℃ 내지 150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괴상의 전이금속 산화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괴상의 전이금속 산화물을 분쇄하여 미립의 전이금속 산화물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이금속은 니켈(Ni), 코발트(Co), 철(Fe), 몰리브덴(Mo) 및 크롬(C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이금속의 산소화합물은 전이금속의 산화물, 수산화물, 탄산화물 및 질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단계에서 상기 미립의 전이금속 산화물의 평균 입자크기가 500㎛이하가 되도록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단계에서 구리의 산소화합물을 더 추가하여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리 산화물의 사용량은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 100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5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단계의 온도는 800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단계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의 산소화합물은 실리카, 알루미나, 및 마그네시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단계의 온도는 1000 내지 1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은 평균입자크기가 500㎛이하이며 전이금속의 산화물과 구리의 산화물이 소결되어 있는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은 평균입자크기가 500㎛이하이며 전이금속의 산화물과 실리카, 알루미나, 및 마그네시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지체가 소결되어 있는 탄소나노선재 제조용에 의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이금속은 니켈(Ni), 코발트(Co), 철(Fe), 몰리브덴(Mo) 및 크롬(C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지지체를 포함하여 제조한 촉매는 주로 탄소나노튜브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반면, 지지체를 포함하지 않고 또한 특히 구리의 산소화합물을 포함 하여 제조한 촉매는 주로 탄소나노섬유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탄소나노튜브용 촉매와 탄소나노섬유용 촉매를 나누어 설명하겠다.
먼저, 탄소나노튜브용 촉매를 살펴보면, 이 촉매의 제조는 다음과 같은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제 1 단계 : 1종 이상의 전이금속의 산소화합물 분말과 실리카, 알루미나 및 마그네시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지지체(support material) 분말을 준비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제 2 단계 : 상기 혼합물을 산화성 분위기에서 가열하는 단계. 제 3 단계 : 가열되어 괴상이 된 혼합물을 냉각한 후 미크론 스케일로 분쇄하는 단계.
기상합성법에 의해서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할 때, 탄소소스가스 이외에 수소가스를 캐리어가스로 함께 사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촉매는 환원 및 탄소 증착 반응이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미리 금속 산화물을 대기에서 불안정한 금속으로 환원시킬 필요가 없다. 이는 탄소나노섬유의 제조 시에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준비 단계에서, 사용하는 분말은 입도에 규제는 없으나 입도가 크면 반응성, 균일 혼합성 및 열전달성에서 불리하기 때문에 미크론 스케일이 바람직하다. 전이금속의 산소화합물은 니켈, 코발트, 철, 몰리브덴 및 크롬의 산소화합물 즉, 산화물, 질산화물, 탄산화물, 황산화물, 및 수산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지지체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마그네시아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촉매성분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전이금속의 산소화합물과 지지체를 드럼믹서 등에서 충분히 혼합한다.
상기 가열 단계에서는 위의 혼합물을 브리케팅(괴상화)하거나 도가니에 넣은 상태로 전기로 등에 투입한 후 산화성 분위기에서 800-150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한다. 산화성 분위기로는 대기중인 것을 포함한다. 이때 1000-1400℃의 온도범위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200-1300℃의 온도범위가 좋다. 가열로 인하여 혼합물은 하소/소성되면서 전이금속의 산소화합물이 전이금속 산화물로 전환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이금속 산화물과 지지체가 소결되면서 전이금속 산화물과 지지체가 조직적으로 혼합되어 조직의 계면이 증착상태를 이루게 된다. 800℃ 이하에서 가열하면 하소/소성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거나 치밀한 혼합 조직을 얻기 어렵고 1500℃이상에서 가열하면 연화 융착하거나 조직이 조대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가열시간은 전기로에 투입하는 혼합물의 양과 관계가 있으며 혼합물 전체의 조직이 균일하게 될 때까지 충분히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이금속 산화물의 함량은 전체 혼합물 중량의 넓은 분율에서 촉매성능을 나타내나 5%-95% 이내가 바람직하다. 5% 이하거나 95%이상일 경우 수율이 극히 낮아 경제성이 없기 때문이다. 이 공정을 거친 혼합물은 소결되어 괴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상기 분쇄 단계에서는 괴상의 혼합물을 미크론 크기로 분쇄한다. 분쇄는 괴상의 혼합물이 냉각한 후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탄소나노섬유용 촉매를 살펴보면, 이 촉매의 제조 역시 탄소나노튜브용 촉매와 같이 다음의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제 1 단계 : 1종 이상의 전이금속 산소화합물을 준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구 리의 산소화합물을 더 준비하며, 준비된 전이금속 산소화합물과 혼합한다. 제 2 단계 : 상기 혼합물을 산화성 분위기에서 가열한다. 제 3 단계 : 가열되어 괴상이 된 혼합물을 냉각한 후 미크론 스케일로 분쇄시킨다.
탄소나노튜브제조용 촉매와의 차이는 지지체를 포함하지 않으며, 대신 구리의 산소화합물이나 타종의 전이금속의 산화물과 소결되어 조직적으로 혼합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 단계에서의 온도범위는 800 내지 1000℃가 바람직하다. 가열시간은 혼합물의 양에 관계가 있으며 혼합물 전체의 조직이 균일하게 될 때까지 충분히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단계를 거친 후 혼합물은 하소/소성되어서 전이금속과 구리의 산소화합물이 산화물로 전환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이금속 산화물과 구리의 산화물이 소결되면서 전이금속 산화물과 구리의 산화물이 조직적으로 혼합되어 조직의 계면이 증착 상태를 이루게 된다. 구리의 산소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구리 산화물의 함량은 넓은 함량범위에서 촉매성질을 나타내나 전이금속 산화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공정에서 얻어진 촉매 분말을 이용하여 탄소 증착 시험을 수행한 결과,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Fe2O3-Al2O3 촉매의 제조
헤마타이트(Fe2O3)분말과 알루미나(Al2O3) 분말을 중량비 1:1로 섞어 드럼 믹 서에 넣고 3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혼합된 분말 10g을 알루미나 용기에 담아 상자형 전기로에서 대기중에서 1300℃에서 2시간 유지하고 노냉시켰다. 괴상의 혼합물을 전기로에서 꺼내어 분쇄기로 분쇄하여 입도 100 미크론미터 이하의 분말을 얻었다. 이 분말 0.3g을 알루미나 보트에 넣고 직경 60 mm의 석영튜브가 장착된 관형상의 로에서 650℃까지 질소로 승온하고 수소 1 l/min 및 에틸렌 0.1 l/min의 혼합가스로 치환한 후 40분간 환원 및 탄소증착반응을 시킨 후 질소로 치환하여 상온까지 냉각하였다. 냉각 후 탄소가 증착된 것으로 보이는 검은 물질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평균직경 10-50 nm의 속이 빈 대롱모양의 탄소나노튜브임을 확인하였다.
이 외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Fe2O3-MgO를 1:1로 사용한 경우, Fe2O3-MgO를 1:1로 사용한 경우, Fe2O3-SiO2를 1:1로 사용한 경우, Fe2O3SiO2-MgO를 1:0.5:0.5로 사용한 경우, Fe2O3-SiO2 MgO-Al2O3를 1:0.5:0.5:0.5로 사용한 경우, NiO-MgO를 1:1로 사용한 경우, CoO-SiO2를 1:1로 사용한 경우, Fe2O3-NiOAl 2O3 를 1:1:1로 사용한 경우, 그리고 Fe2O3-NiO-CoO-Al2O3SiO2 -MgO를 1:1:1:1:1:1로 사용한 경우의 촉매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탄소증착반응을 시킨 결과 실시예 1과 같이 평균직경 10-50 nm의 속이 빈 대롱모양의 탄소나노튜브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 Fe2O3-NiO 촉매의 제조
헤마타이트(Fe2O3)분말과 산화니켈(NiO)분말을 중량비 1:1로 섞어 드럼 믹서에 넣고 3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혼합된 분말 10g을 알루미나 용기에 담아 상자형 전기로에서 대기 중에서 90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노냉시켰다. 소결된 혼합물을 전기로에서 꺼내어 분쇄기로 파쇄하여 평균입도 100 미크론미터의 분말을 얻었다.
이 분말 0.3g을 알루미나 보트에 넣고 직경 60 mm의 석영튜브가 장착된 관상로에서 550℃까지 질소로 승온하고 수소 1 l/min 및 아세틸렌 0.2 l/min의 혼합가스로 치환한 후 40분간 환원 및 탄소증착반응을 시킨 후 질소로 치환하여 상온까지 냉각하였다. 냉각 후 탄소가 증착된 것으로 보이는 검은 물질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평균직경 200 nm의 속이 찬 섬유 모양의 탄소나노섬유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 NiO-CuO 촉매의 제조
산화니켈 (Fe2O3)분말과 산화구리 (CuO) 분말을 중량비 7:3으로 섞어 드럼 믹서에 넣고 3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혼합된 분말 10g을 알루미나 용기에 담아 상자형 전기로에서 대기중에서 1000℃에서 2시간 유지하고 노냉시켰다. 소결된 혼합물을 전기로에서 꺼내어 분쇄기로 파쇄하여 평균입도 100 미크론미터의 분말을 얻었다.
이 분말 0.3g을 알루미나 보트에 넣고 직경 60mm의 석영튜브가 장착된 관상로에서 550℃까지 질소로 승온하고 수소 1 l/min 및 아세틸렌 0.2 l/min의 혼합가 스로 치환한 후 40분간 환원 및 탄소증착반응을 시킨 후 질소로 치환하여 상온까지 냉각하였다. 냉각 후 탄소가 증착된 것으로 보이는 검은 물질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평균직경 200 nm의 속이 찬 섬유 모양의 탄소나노섬유임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 Fe2O3 와 Al2O3 를 사용한 촉매
헤마타이트 분말과 알루미나(Al2O3) 분말을 중량비 1:1로 섞어 드럼 믹서에 넣고 3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혼합물 분말 0.3g을 알루미나 보트에 넣고 직경 60 mm의 석영튜브가 장착된 관형상의 로에서 650℃까지 질소로 승온하고 수소 1 l/min 및 에틸렌 0.1 l/min의 혼합가스로 치환한 후 40분간 환원 및 탄소증착반응을 시킨 후 질소로 치환하여 상온까지 냉각하였다. 로에서 탄소나노튜브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전이금속과 지지체가 산화성분위기에서의 가열과정을 거치지 않아 조직적으로 혼합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이다.
[비교예 2] : Ni 과 CuO 를 사용한 촉매
니켈 분말과 산화구리 (CuO) 분말을 중량비 7:3으로 섞어 드럼 믹서에 넣고 3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이 분말 0.3g을 알루미나 보트에 넣고 직경 60mm의 석영튜브가 장착된 관상로에서 550℃까지 질소로 승온하고 수소 1 l/min 및 아세틸렌 0.2 l/min의 혼합가스로 치환한 후 40분간 환원 및 탄소증착반응을 시킨 후 질소로 치환하여 상온까지 냉각하였다. 로에서 탄소나노섬유나 탄소나노튜브는 관찰되지 않 았다. 이는 두 촉매물질이 산화성분위기에서의 가열과정을 거치지 않아 조직적으로 혼합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소나노선재의 대량 및 저가생산에 적합한 촉매를 기존의 습식법(침전법/공침법)에 비해 매우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2)

  1.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전이금속의 산소화합물을 산화성분위기에서 800℃ 내지 150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괴상의 전이금속 산화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괴상의 전이금속 산화물을 평균 입자크기가 500㎛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여 미립의 전이금속 산화물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은 니켈(Ni), 코발트(Co), 철(Fe), 몰리브덴(Mo) 및 크롬(C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의 산소화합물은 전이금속의 산화물, 수산화물, 탄산화물, 황산화물 및 질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에서 구리의 산소화합물을 더 추가하여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의 산화물이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 100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5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의 온도는 800 내지 1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의 산소화합물은 실리카, 알루미나, 및 마그네시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의 온도는 1000 내지 1400℃의 온도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
  10.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에 있어서
    평균입자크기가 500㎛이하이며 전이금속의 산화물과 구리의 산화물이 소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구리의 산화물은 10 내지 5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
  11.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에 있어서,
    평균입자크기가 500㎛이하이며 전이금속의 산화물과 실리카, 알루미나, 및 마그네시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지체가 소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이금속의 산화물의 함량은 5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은 니켈(Ni), 코발트(Co), 철(Fe), 몰리브덴(Mo) 및 크롬(C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
KR1020030069331A 2003-10-06 2003-10-06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과 탄소나노선재제조용 촉매 Expired - Fee Related KR100540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331A KR100540639B1 (ko) 2003-10-06 2003-10-06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과 탄소나노선재제조용 촉매
US10/595,284 US20080153691A1 (en) 2003-10-06 2004-10-05 Method of Making Catalyst For Carbon Nanotubes and Carbon Nanofibers and Catalyst For Carbon Nanotubes and Nanofibers Thereof
CNA2004800289834A CN1863593A (zh) 2003-10-06 2004-10-05 用于碳纳米管和纳米纤维的催化剂及其制造方法
PCT/KR2004/002546 WO2005032711A1 (en) 2003-10-06 2004-10-05 Method of making catalyst for carbon nanotubes and carbon nanofibers and catalyst for carbon nanotubes and nanofibers thereof
JP2006532092A JP2007507341A (ja) 2003-10-06 2004-10-05 カーボンナノワイヤ製造用触媒の製造方法とカーボンナノワイヤ製造用触媒
EP04774775A EP1680217A1 (en) 2003-10-06 2004-10-05 Method of making catalyst for carbon nanotubes and carbon nanofibers and catalyst for carbon nanotubes and nanofiber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331A KR100540639B1 (ko) 2003-10-06 2003-10-06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과 탄소나노선재제조용 촉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338A KR20050033338A (ko) 2005-04-12
KR100540639B1 true KR100540639B1 (ko) 2006-01-10

Family

ID=36581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3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0639B1 (ko) 2003-10-06 2003-10-06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과 탄소나노선재제조용 촉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153691A1 (ko)
EP (1) EP1680217A1 (ko)
JP (1) JP2007507341A (ko)
KR (1) KR100540639B1 (ko)
CN (1) CN1863593A (ko)
WO (1) WO2005032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174B1 (ko) * 2009-02-13 2010-08-16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얇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제조용 촉매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2443060A2 (en) * 2009-06-18 2012-04-25 Tata Steel Nederland Technology B.V. A process of direct growth of carbon nanotubes (CNT) and fibers (CNF) on a steel strip
KR101018660B1 (ko) * 2009-12-22 2011-03-04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제조용 촉매조성물
US20120060984A1 (en) * 2010-07-16 2012-03-15 Drexel University Carbon Nanotubes Containing Confined Copper Azide
CN102351166A (zh) * 2011-06-30 2012-02-15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一种直接在碳纤维表面生长碳纳米管的方法
FR2983741A1 (fr) * 2011-12-09 2013-06-14 Arkema France Catalyseur de type metal de transition supporte par un substrat,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on utilisation pour la fabrication de nanotubes de carbone.
EP2700740A3 (en) * 2012-08-24 2014-03-19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Carbon fibers and catalyst for production of carbon fibers
CN103922310B (zh) * 2014-04-09 2016-01-13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低温气相宏量生长高质量、平直碳纳米管的方法及装置
CN107469825B (zh) * 2017-08-25 2022-12-20 湘潭大学 一种氧化改性的碳纳米管负载双金属铜镁共掺杂的镍基多金属催化剂的制备方法及应用
CN112533868B (zh) * 2018-07-31 2023-11-03 株式会社大阪曹達 碳纳米管的制造方法
CN112850688A (zh) * 2021-02-03 2021-05-28 成都市丽睿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级碳材料的制备方法
CN114855305A (zh) * 2022-04-25 2022-08-05 延边大学 一种碳纳米纤维材料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9535A (en) * 1972-04-13 1974-06-25 Diamond Shamrock Corp Catalyst for oxidation of hydrocarbons and carbon monoxide
US3870658A (en) * 1973-03-02 1975-03-11 Corning Glass Works Copper chromite-alumina catalysts having high-temperature stability
US4058485A (en) * 1974-12-26 1977-11-15 Union Carbide Corporation Porous metal-alumina composite
US4360454A (en) * 1979-12-13 1982-11-23 Texaco Inc. Catalyst for steam dehydrocyclization
AU4695985A (en) * 1984-09-04 1986-03-13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reforming methanol
CA1321863C (en) * 1986-06-06 1993-09-07 Howard G. Tennent Carbon fibril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CA2364075A1 (en) * 1992-05-22 1993-12-09 Hyperion Catalysis International, Inc. Improved methods and catalysts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brils
KR0166465B1 (ko) * 1995-11-03 1999-01-15 한승준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의 제조방법
US5883041A (en) * 1996-07-08 1999-03-16 Connolly International Ltd. Composite catalyst for purifying exhaust gases from carbon monoxide and organic compounds
JP3042601B2 (ja) * 1996-10-31 2000-05-15 ファイラック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流体燃料の改質用セラミックス触媒を用いた内燃機関及 びこれを使用した交通輸送用又は発電用手段
JP3363759B2 (ja) * 1997-11-07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84275B2 (en) * 1998-09-23 2002-05-07 Lg Chem, Ltd. Method of producing acrylic acid using a catalyst for acrolein oxidation
JP2000189800A (ja) * 1998-12-25 2000-07-11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炭化水素接触分解用触媒およびそれを用いた水素と炭素の製造方法
KR100407805B1 (ko) * 2001-07-20 2003-11-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탄소나노섬유 또는 탄소나노튜브 제조용 금속촉매 및 그의제조 방법
JP4109952B2 (ja) * 2001-10-04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ナノカーボン材料の製造方法
US6686308B2 (en) * 2001-12-03 2004-02-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pported nanoparticle cataly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63593A (zh) 2006-11-15
US20080153691A1 (en) 2008-06-26
JP2007507341A (ja) 2007-03-29
KR20050033338A (ko) 2005-04-12
EP1680217A1 (en) 2006-07-19
WO2005032711A1 (en)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639B1 (ko) 탄소나노선재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과 탄소나노선재제조용 촉매
KR101303061B1 (ko)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제조용 촉매조성물
US2007011188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carbon substances
KR101476905B1 (ko) 기상 공정에 의해 합성된 요크­쉘 구조의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1786729A1 (en) Metal carbide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101018660B1 (ko)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제조용 촉매조성물
JP4847164B2 (ja) 微細炭素繊維構造体
Chandramouli et al. PVA aided microwave synthesis: A novel route for the production of nanocrystalline thoria powder
JP2015150515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合成用触媒
JP2007254886A (ja) 複合材料
JP3469186B2 (ja) カーボンナノファイバーの製造方法
JP6531560B2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合成用触媒
Ravi et al. Microwave assisted preparation and sintering of Al 2 O 3, ZrO 2 and their composites from metalorganics
CN102421723B (zh) 熔凝金属陶瓷产品
JP2001122675A (ja) ジルコン酸カルシウム/マグネシア系複合多孔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7040562A2 (en) Process to retain nano-structure of catalyst particles before carbonaceous nano-materials synthesis
Rossetti Jr et al. Characterization of Mixed Cobalt‐Molybdenum Oxides Prepared by Evaporative Decomposition of Solutions
KR101280574B1 (ko) NiO-MgO 고용체 나노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704773A (zh) 一种添加硅微粉原位制备SiC/B4C复合陶瓷粉的方法
CN119259058B (zh) 催化剂及制备方法、碳纳米管及制备方法
JPH0772084B2 (ja) 新規含炭素組成物
KR100980654B1 (ko) 탄소나노튜브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
KR20240094630A (ko) 탄소나노튜브 수율이 증가된 탄소나노튜브용 촉매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한 탄소나노튜브
KR20090110664A (ko) 탄소나노선재 합성방법
WO2025005195A1 (ja) リチウム-ランタン-ジルコニウム複合酸化物粉末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ランタン-ジルコニウム複合酸化物粉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