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718B1 -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과 이를 이용한 유동상 생물막공법의 처리수 유출장치 - Google Patents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과 이를 이용한 유동상 생물막공법의 처리수 유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39718B1 KR100539718B1 KR10-2005-0014705A KR20050014705A KR100539718B1 KR 100539718 B1 KR100539718 B1 KR 100539718B1 KR 20050014705 A KR20050014705 A KR 20050014705A KR 100539718 B1 KR100539718 B1 KR 1005397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eated water
- pipe
- porous
- water outflow
- porous pip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7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7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01 oviduc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5 acidif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6 aerato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3 fluid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 C02F3/085—Fluidized be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7)
- 유동상 생물막공법의 폭기조 내에 설치되는 처리수 유출모듈에 있어서,상기 폭기조 내에 설치되며 소정 크기의 유동상 담체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다수의 관통공이 천공된 다공관과;상기 다공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서 유입되는 처리수를 폭기조의 처리수유출구를 통해 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다공관에 연통되게 설치된 소정 길이의 수평유출관과;상기 다공관과 수평유출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다공관의 수직 하부에는 상기 다공관의 외주부에 상향류의 순환흐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미세공기방울을 생성하는 순환용 산기장치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관의 내부로 세척용 공기방울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다공관의 하부에 설치된 세척용 에어노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관은 상단이 폐쇄된 원형, 삼각형 또는 각형 등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다공관은 상단이 폐쇄된 육면체 틀의 전후좌우면에 유동상 담체가 통과될 수 없는 크기의 그물눈을 갖는 망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다공관에는 유동상 담체가 통과될 수 없는 크기의 수평 또는 수직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관의 하단에는 상기 다공관의 외주부에 상향류의 순환흐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미세공기방울을 생성하는 링형 산기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
-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상기 다공관의 외주부에는 상기 순환용 산기장치에 의해 형성된 상향류의 순환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도넛 형상의 안내통로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안내관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안내관은 다공관과 동일축상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어 유동상 담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확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링형 산기장치는 상기 다공관의 하단에 설치되는 고리형 산기관과 공기공급관에 연결되는 호스와 상기 호스에 설치된 제어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
- 유동상 생물막공법의 폭기조로부터 처리수를 유출시키기 위한 처리수 유출장치에 있어서,상기 폭기조에 투입된 유동상 담체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다수의 관통공이 천공된 소정 크기의 다공관과, 상기 다공관의 관통공을 통해 유입된 처리수를 폭기조의 처리수유출구를 통해 유출시킬 수 있도록 다공관의 하부에 연통되게 설치된 소정 길이의 수평유출관으로 구성된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과;상기 폭기조 내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폭기조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의 수직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의 주변에 상향류의 순환흐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미세공기방울을 생성하는 순환용 산기장치와;상기 폭기조 내에 상향류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균등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산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을 이용한 처리수 유출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의 외주변에 상기 순환용 산기장치에 의해 형성된 상향류의 순환흐름을 안내하는 도넛 형상의 안내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다공관과 동일축상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원통형 안내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을 이용한 처리수 유출장치.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에는 다공관에 형성된 관통공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다공관의 하부에 세척용 에어노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을 이용한 처리수 유출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은 폭기조의 가운데에 설치되거나 적어도 상기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의 주변에 형성되는 상향류의 순환흐름이 방해받지 않을 정도로 폭기조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을 이용한 처리수 유출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은 폭기조 내에 균등하게 분포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을 이용한 처리수 유출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은 상기 폭기조 내에 수직하거나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을 이용한 처리수 유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4705A KR100539718B1 (ko) | 2005-02-22 | 2005-02-22 |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과 이를 이용한 유동상 생물막공법의 처리수 유출장치 |
CN2006100078529A CN1824613B (zh) | 2005-02-22 | 2006-02-21 | 多孔管式处理水流出组件及利用该组件的处理水流出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4705A KR100539718B1 (ko) | 2005-02-22 | 2005-02-22 |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과 이를 이용한 유동상 생물막공법의 처리수 유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32062A KR20050032062A (ko) | 2005-04-06 |
KR100539718B1 true KR100539718B1 (ko) | 2005-12-29 |
Family
ID=3693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4705A KR100539718B1 (ko) | 2005-02-22 | 2005-02-22 |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과 이를 이용한 유동상 생물막공법의 처리수 유출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539718B1 (ko) |
CN (1) | CN1824613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5139B1 (ko) * | 2020-07-27 | 2021-01-19 | 임명준 | 광생물 미세폭기 반응기에 의해 생성된 유용 미생물을 함유하는 미생물 탈취제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372338A (zh) * | 2011-09-28 | 2012-03-14 | 福建农林大学 | 污水自重力渗透处理装置及方法 |
CN105347629A (zh) * | 2015-12-11 | 2016-02-24 | 广西南宁绿泽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多级复合移动床生物膜反应器mc-mbbr |
DE102020101027A1 (de) * | 2020-01-17 | 2021-07-22 | Beresa GmbH & Co. KG | Tren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ennen von Feststoffen aus einem Feststoff-Flüssigkeits-Gemisch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77424A (en) * | 1995-05-23 | 2000-06-20 | Ebara Corporation | Method for aerobically treating wastewater and a treatment tank for such method |
CN1221478C (zh) * | 2002-10-28 | 2005-10-05 |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 使用膜离生物反应器的废水/水处理的方法 |
-
2005
- 2005-02-22 KR KR10-2005-0014705A patent/KR10053971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
- 2006-02-21 CN CN2006100078529A patent/CN182461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5139B1 (ko) * | 2020-07-27 | 2021-01-19 | 임명준 | 광생물 미세폭기 반응기에 의해 생성된 유용 미생물을 함유하는 미생물 탈취제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824613B (zh) | 2011-11-09 |
CN1824613A (zh) | 2006-08-30 |
KR20050032062A (ko) | 2005-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4448B1 (ko) |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 | |
CN104925939B (zh) | 一种移动床生物膜反应器 | |
AU2014277301B2 (en) | A container, series of containers and method for treating liquids | |
KR100539718B1 (ko) |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과 이를 이용한 유동상 생물막공법의 처리수 유출장치 | |
KR20050110734A (ko) |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 |
CN102659236B (zh) | 连续清洗多功能反应器 | |
EP0589896B1 (en) | Blowing a gas into a granular filter bed | |
KR20190022388A (ko) | 유동상 생물반응조에서 담체 순환 및 유실 방지를 위한 장치 | |
EP0112095A1 (en) | Aqueous liquid treatment process and apparatus | |
KR100523067B1 (ko) | 유동상 생물막공법의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 | |
KR102581775B1 (ko) | 부상여과조를 포함하는 하수고도처리장치 | |
KR100407871B1 (ko) | 폐타이어 담체를 이용한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 장치 | |
CN202508913U (zh) | 连续清洗多功能反应器 | |
JP2020501890A (ja) | 内部固体分離を備えた曝気反応器 | |
JPS6331280B2 (ko) | ||
KR200255025Y1 (ko) | 일체형 수처리기 | |
KR101562165B1 (ko) | 와류 정화장치 | |
KR200331021Y1 (ko) |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 | |
KR102497137B1 (ko) | 처리효율이 개선된 부상여과조를 포함하는 하수고도처리장치 | |
KR200469904Y1 (ko) | 굴절이 형성된 이류 이송관이 구비된 오폐수 처리탱크 | |
KR100757092B1 (ko) | 미생물 반응교반기 | |
JP2003260479A (ja) | 浄化槽および浄化槽の使用方法 | |
JP4819840B2 (ja) | 膜分離装置 | |
KR200319196Y1 (ko) | 폐수처리장치 | |
KR20030013920A (ko) | 일체형 수처리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504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