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8541B1 -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541B1
KR100538541B1 KR10-2004-0000982A KR20040000982A KR100538541B1 KR 100538541 B1 KR100538541 B1 KR 100538541B1 KR 20040000982 A KR20040000982 A KR 20040000982A KR 100538541 B1 KR100538541 B1 KR 100538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road
soundproof wall
support
sound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626A (ko
Inventor
이영제
한규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장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장영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Priority to KR10-2004-0000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54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2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이나 철로변에 설치되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나 철로에서 발생하는 차량소음 등의 흡수·차단효과를 유지함과 아울러 공해와 내건 및 내습력이 강한 식물이 방음벽면을 따라 생육하면서 조기녹화를 꾀할 수 있는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는, 옹벽의 하부로부터 도로쪽으로 소정 폭으로 형성되는 식생지와, 식생지와 도로의 경계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로쪽에 장식면을 포함하는 경계패널과, 식생지에 채워지는 개량토양 및, 지주에 고정되는 식물의 등반보조네트와 지지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개량토양은 마사토 또는 왕사로 형성되는 바닥층과, 바닥층의 상부로 적층되는 것으로서 양토, 보습제, 초탄(草炭), 토지개량제 및 밑거름이 혼합되어 수목과 하부의 식재기반층을 보호하는 중간층, 및 중간층의 상부로 포설되는 우드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Early Vine-Planting Structure of Sound Absorb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s}
본 발명은 도로변이나 철로변에 설치되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나 철로에서 발생하는 차량소음 등의 흡수·차단효과를 유지함과 아울러 공해와 내건 및 내습력이 강한 식물이 방음벽면을 따라 생육하면서 조기녹화를 꾀할 수 있는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차량소음이 발생하는 도로와 주거지 등의 사이에 벽을 두어 음파가 벽을 넘어 전달시키도록 함으로써 음파의 이동거리를 길게 하거나, 흡음기능을 하는 특수 재질의 방음판을 사용하여 소음을 더욱 줄이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에 설치된 방음벽은 보통 금속재 방음판, 콘크리트 방음판 등을 패널로 하여 H빔과 같은 지주에 고정되는 형태이었으므로(도 1 참조), 단조로움과 함께 딱딱한 인상을 주게 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주변의 경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주변환경의 부조화로 흉물스럽게 변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관을 개선시키고자 식생가능한 친환경적인 방음벽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예로서, 토사로 둑을 축조하고 수목을 식재하여 방음효과와 조경효과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방음둑 공법이 제시된 경우도 있으나, 너무 많은 부지가 소요되고 성토에 많은 토사가 필요하며, 식재되는 수목의 양도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철망과 부직포를 이용하여 만든 박스형 틀에 토사를 채우면서 소정의 높이만큼 쌓아올린 후 각단의 소단 및 측벽에 수목을 식재하는 플랜트박스 방음벽이 고안되었으나, 시공기간이 길고 공사가 복잡하며 방음벽이 차지하는 면적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시각효과를 고려하여 목재 방음벽도 개발되었으나 목재는 내구연한이 짧고, 오히려 방음벽을 위하여 많은 목재를 필요로 하므로 친환경정책에 역행할 소지가 있다.
그리고, 기존의 방음벽체에 간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식물의 등반 보조수단을 제시한 예도 있으나, 덩굴식물이 활착하기 쉽게 하는 것만으로는 열악한 도로변의 환경에서 조기에 안정적으로 생육가능하게 하는 기술수단의 개시가 부족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부지와 보조수단 및 토양조건을 통하여 식물이 자동차 등으로부터 나오는 매연과 먼지가 많은 열악한 도로변의 환경조건을 극복하고, 조기에 안정적으로 생육을 하도록 유도하며, 소음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와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는,
옹벽, 지주 및 방음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나 철로변의 방음벽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옹벽의 하부로부터 도로쪽으로 소정 폭으로 형성되는 식생지와, 식생지와 도로의 경계에 고정되며 도로쪽에 장식면을 포함하는 경계패널과, 식생지에 채워지는 개량토양 및, 방음벽면에 식물의 등반보조네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개량토양은 마사토 또는 왕사로 형성되는 바닥층과, 바닥층의 상부로 적층되며 양토, 보습제, 초탄(草炭), 토지개량제 및 밑거름이 혼합되어 수목과 하부의 식재기반층을 보호하는 중간층 및, 중간층의 상부로 포설되는 우드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등반보조네트는 격자형으로서 지지대에 고정되고, 지지대는 지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방법은,
옹벽과 지주 및 방음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나 철로변의 방음벽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주에 식물의 등반보조네트와 지지대를 고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옹벽의 하부로부터 도로쪽에 소정의 폭으로 식생지를 확보하는 제 2 단계와, 식생지와 도로의 경계에 경계패널을 고정하는 제 3 단계와, 식생지의 토양을 개량토양으로 교체, 소독 및 시비하는 제 4 단계 및, 조성된 식생지에 소정의 간격으로 내공해성 및 내건성이 강한 식물을 식재하고 식물을 등반보조네트에 고정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제 4 단계에서 식생지의 바닥면이 포장인 경우에는 배수판을 식생지를 따라 바닥면에 배열하고 배수판의 상부로 개량토양을 포설하고, 식생지의 바닥면이 비포장인 경우에는 식생지 바닥면의 흙을 일부 제거하고 개량토양을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의 사시도로서, 본 방음벽의 시공구조는 방음벽을 세우기 위하여 기초로 설치되는 옹벽(21)의 하부로 도로의 갓길을 따라 방음구간의 길이로 식생지(20)가 조성되고, 식생지(20)와 도로의 경계에는 다수의 경계패널(25)과 경계석(24)이 설치되며, 방음벽에는 등반보조네트(28)가 지지대(27)에 의하여 고정되고, 지지대(27)는 지지대고정구(29)에 의하여 지주(22)에 고정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특히, 식생지(20)의 폭(D)은 약 30㎝ 로서, 종래 방음벽이 설치된 구간에서 실시되는 경우 확보될 수 있는 식생지가 좁은 조건을 최대한 활용하고, 이와 같은 면적에서도 후술하는 예시된 식재 수종(樹種)이 생육가능하다는 점에서 적합하게 채택되는 것이나, 도로의 구조나 식재 수종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등반보조네트(28)와 지지대(27)는 덩굴식물과 같은 것이 쉽게 감고 오르거나 활착할 수 있도록 보조함과 동시에 차량 등의 소통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보조 수단으로서, 등반보조네트(28)는 수지 망이 권장되나 금속망도 가능하며, 지지대(27)도 수지 로프(rope) 또는 막대 재질도 가능하다.
또한, 등반보조네트(28)의 형상은 감고 오르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격자형이 채택된다.
경계패널(25)은, 개량토양이 도로의 노면보다 높게 식생지(20)에 채워지기 때문에 토사의 유출을 막기 위하여 경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재 바람직하게는 PVC재의 패널이 식생지(20)를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경계패널(25)은 성형이 용이하기 때문에 장식면(26)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착색이 수월하므로 다양한 색상의 연출이 가능하다. 특히 도로의 사정에 따른 별도의 노면표시나 교통표지의 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토사의 압력을 충분히 지지하고 도로의 안전을 위해서 경계패널(25)의 바깥으로 콘크리트 경계석(24)을 두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는 식생지가 포장인 경우와 비포장인 경우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며, 도 3과 도 4에서 구분하여 각각 도시하였다.
도 3에서는 도로의 갓길이 비포장인 곳(30)에 세워지는 방음벽(W)의 옹벽(31) 하부로 소정 폭으로 형성된 식생지에 도로와의 경계를 따라 설치된 경계패널(35)의 사이로 바닥층(G), 중간층(M) 및, 우드칩(U)으로 이루어지는 개량토양이 포설되어, 방음벽면을 따라 식물(P)이 생육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로변의 토양은 차량소통이라는 본래의 기능 위주로 되어 있어, 이에 내재하는 수분 및 양분의 부족과 차량에서 발생하는 독성물질을 극복하면서 식물이 자생하기에는 열악한 환경일 수밖에 없으므로, 개량토양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개량토양은, 식물이 안정적으로 조기생육가능하도록 조성되는 것으로서, 바닥층(G)에는 왕사나 마사토를 깔아 물빠짐이 용이하게 하고, 중간층(M)에는 양토(壤土), 보습제, 초탄(草炭), 토지개량제(perlite) 및 퇴비와 같은 밑거름이 혼합되어 식물과 하부의 식재기반층을 보호하고 식물의 뿌리가 쉽게 활착할 수 있게 하며, 중간층(M)의 상층에는 우드칩(U: wood chip)을 포설하여 잡초가 자라는 것을 억제하고 보습효과를 높인다.
도 4에서는 도로의 갓길이 포장인 곳(40)에 세워지는 방음벽(W)의 옹벽(41) 하부로 소정 폭으로 형성된 식생지에 도로와의 경계를 따라 설치된 경계패널(45)의 사이로 배수판(48)을 배치하고, 배수판(48)의 위로 바닥층(G), 중간층(M) 및, 우드칩(U)으로 이루어지는 개량토양이 포설되어, 방음벽면을 따라 식물(P)이 생육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다.
특히, 배수판(48)은 물빠짐이 좋지 않은 포장면의 위에 배치하여, 호우시 개량토양을 스며나오는 물이 배수판(48)에 의하여 확보되는 공간을 따라 하수구로 쉽게 배수되도록 유도한다.
한편, 경계패널(45)은 사이사이로 배치되는 지주(미도시)에 고정되는 것과 함께 바닥의 포장부분에 경계패널고정구(47)와 같은 수단을 통하여 하부를 고정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럭도로서,
지주에 식물의 등반보조네트와 지지대를 고정하는 제 1 단계,
옹벽의 하부로부터 도로쪽에 소정의 폭으로 식생지를 확보하는 제 2 단계,
상기 식생지와 도로의 경계에 경계패널을 고정하는 제 3 단계;
상기 식생지의 토양을 개량토양으로 교체, 소독 및 시비하는 제 4 단계;
조성된 상기 식생지에 소정의 간격으로 내공해성 및 내건성이 강한 식물을 식재하고 식물을 상기 등반보조네트에 고정하는 제 5 단계를 도시한다.
제 1 단계는 후술하는 제 2 단계 내지 제 5 단계의 과정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단계로서, 방음벽면에 지지대를 지주에 고정하고, 지지대에 등반보조네트를 펼쳐 고정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단계에서 식생지는 포장인 곳과 비포장인 곳 모두에 실시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포장인 곳을 철거하고 식생지를 확보할 수 있다.
제 3 단계에서는 확보된 식생지의 경계에 콘크리트 경계석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경계패널을 설치한다.
제 4 단계는 기존토양을 개량토양으로 교체하는 단계로서,
식생지의 바닥면이 포장인 경우에는 배수판을 식생지를 따라 바닥면에 배열하고 배수판의 상부로 개량토양을 포설하고, 식생지의 바닥면이 비포장인 경우에는 식생지 바닥면의 흙을 일부 제거하고 개량토양을 포설한다. 이에 사용되는 개량토양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개량토양에는 또한, 토양소독을 통하여 유해미생물을 억제하고, 성장촉진을 위하여 액비(液肥)를 살포할 수 있다.
제 5 단계에서는 조성된 식생지에 식물의 성장 부피와 소요 영역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30~50㎝ 간격으로 내공해성 및 내건성이 강한 식물을 식재한다.
식재는 왕사나 마사토의 바닥층을 포설한 후에 이루어지며 이후 중간층이 채워지고, 상부로 우드칩을 포설한다. 한편, 식물이 조기에 뿌리를 내릴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발근제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수목의 생육을 촉진하기 위하여 IAA유사 물질을 공급하는 Bacillus, Pseudomonas, 효모 등의 유효 미생물처리를 하고 비타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식재된 식물의 줄기를 등반보조네트에 군데군데로 고정하여 식물이 용이하게 타고 오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기녹화에 사용될 수 있는 식물들의 예시는 아래와 같다.
수종 생장 길이 내공해성 내조성(耐潮性)
1 담쟁이 10m 이상 강함
2 10m 이상 강함 좋음
3 등나무 10m 이상 강함 강함
4 능소화 10m 이상 강함 강함
5 줄사철 4~5m 강함 강함
6 송악 3~4m 좋음 좋음
7 인동덩굴 3~4m 강함 좋음
8 덩굴장미 3m 이상 강함
9 으름덩굴 4m 이상 좋음 좋음
10 다래 4~5m 좋음 좋음
이상의 수종은 덩굴식물로 조기생육하고, 공해에 강하며, 내건·내습이 강한 성향이 있고 녹음 이외에 꽃, 과일 등 기능성이 있는 식물이다. 따라서 녹화 외에도 미관이 개선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조기녹화 구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의하면,
적은 부지와 보조수단 및 내건·내습이 강한 덩굴식물을 채택하므로 도로의 갓길이 좁은 곳에서도 응용이 용이하다.
또한, 개량토양 및 내공해성이 강한 식물을 식재하므로, 식물이 열악한 도로환경에서 조기에 안정적으로 활착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에 사용되는 방음벽면 외에 식물의 줄기와 잎이 음파를 흡수하므로, 차량 등의 소음 차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수목을 방음벽에 응용하므로, 친환경적이면서도 도시의 미관을 개선하며,
시공과 구조가 간단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음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의 사시도
도 3은 도로의 비포장 갓길에 실시되는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도로의 포장 갓길에 실시되는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식생지 D: 식생지의 폭
22: 지주 27: 지지대
28: 등반보조네트 29: 지지대고정구
25: 경계패널 26: 장식면
G: 바닥층 M: 중간층
U: 우드칩 W: 방음벽
47: 경계패널고정구 48: 배수판

Claims (6)

  1. 옹벽, 지주 및 방음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나 철로변의 방음벽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옹벽의 하부로부터 도로쪽으로 소정 폭으로 형성되는 식생지;
    상기 식생지와 도로의 경계에 고정되며, 도로쪽에 장식면을 포함하는 경계패널;
    상기 식생지에 채워지는 개량토양; 및
    방음벽면에 식물의 등반보조네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량토양은 마사토 또는 왕사로 형성되는 바닥층;
    상기 바닥층의 상부로 적층되며,
    양토, 보습제, 초탄(草炭), 토지개량제 및 밑거름이 혼합되어 수목과 하부의 식재기반층을 보호하는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의 상부로 포설되는 우드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등반보조네트는 격자형으로서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4. 옹벽과 지주 및 방음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나 철로변의 방음벽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 식물의 등반보조네트와 지지대를 고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옹벽의 하부로부터 도로쪽에 소정의 폭으로 식생지를 확보하는 제 2 단계;
    상기 식생지와 도로의 경계에 경계패널을 고정하는 제 3 단계;
    상기 식생지의 토양을 개량토양으로 교체, 소독 및 시비하는 제 4 단계; 및
    조성된 상기 식생지에 소정의 간격으로 내공해성 및 내건성이 강한 식물을 식재하고 식물을 상기 등반보조네트에 고정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식생지의 바닥면이 포장인 경우에는, 배수판을 식생지를 따라 바닥면에 배열하고 상기 배수판의 상부로 상기 개량토양을 포설하고,
    상기 식생지의 바닥면이 비포장인 경우에는, 상기 식생지 바닥면의 흙을 일부 제거하고 상기 개량토양을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방법.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량토양은 마사토 또는 왕사로 형성되는 바닥층;
    상기 바닥층의 상부로 적층되며,
    양토, 보습제, 초탄(草炭), 토지개량제 및, 밑거름이 혼합되어 수목과 하부의 식재기반층을 보호하는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의 상부로 포설되는 우드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방법.
KR10-2004-0000982A 2004-01-07 2004-01-07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0538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982A KR100538541B1 (ko) 2004-01-07 2004-01-07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982A KR100538541B1 (ko) 2004-01-07 2004-01-07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626A KR20050072626A (ko) 2005-07-12
KR100538541B1 true KR100538541B1 (ko) 2005-12-23

Family

ID=37261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982A KR100538541B1 (ko) 2004-01-07 2004-01-07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5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884B1 (ko) 2010-11-30 2011-03-04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식조경수를 이용한 건축용 방음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397B1 (ko) * 2008-01-24 2011-03-25 박병훈 덩굴식물을 이용한 벽면 녹화조경물과 이를 설치하기 위한벽면구조
KR100941783B1 (ko) * 2009-07-10 2010-02-11 오준성 이동고정식 사계절녹화 방음벽
KR102644280B1 (ko) * 2023-10-27 2024-03-07 휴먼이엔티 주식회사 저영향개발기법을 적용한 생태 방음벽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884B1 (ko) 2010-11-30 2011-03-04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식조경수를 이용한 건축용 방음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626A (ko) 2005-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2805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enabling tree root growth beneath adjacent surfaces
KR100538541B1 (ko)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1116242B1 (ko) 벽면 속성 녹화 공법
JP4883673B2 (ja) 緑化用培地構造
JP2646507B2 (ja) グリーンベルト及びグリーンベルト用保水器具
KR200254952Y1 (ko) 수목의 수분 공급 장치
KR101057646B1 (ko) 인공구조물을 이용한 천연잔디 포장재
JPH09327239A (ja) 樹木根保護装置
CN211297871U (zh) 一种有机覆盖物防护装置
KR101279958B1 (ko) 식생층을 구비한 식생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CN114319297A (zh) 一种高寒区煤矿煤矸石地的土地修复方法
KR100872483B1 (ko) 암반사면의 녹화용 녹화분
KR20120034970A (ko) 게비온 블럭 및 게비온 블럭 제조 방법
KR100515503B1 (ko)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방호벽의 설치 구조
CN221283893U (zh) 一种适用于山区公路混凝土挡墙的立体绿化结构
KR200447817Y1 (ko) 계단식 옹벽의 친환경 화단
CN203912693U (zh) 一种植物屏风和植物墙
Papakos et al. Redeveloping brownfields with LID design
KR200291855Y1 (ko) 철망 블럭을 이용한 식생 방음벽
KR20100004397A (ko) 도로분리대 겸용 입체 조경 식생 상자
KR100457781B1 (ko)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
KR200366907Y1 (ko) 도로변의 비탈면 보호층
JP2000166386A (ja) 植物成長抑制マットと筒状体
DE10331632B4 (de) Baumquartier
JPH11313560A (ja) 植物保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