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8388B1 -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 Google Patents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388B1
KR100538388B1 KR10-1999-7002768A KR19997002768A KR100538388B1 KR 100538388 B1 KR100538388 B1 KR 100538388B1 KR 19997002768 A KR19997002768 A KR 19997002768A KR 100538388 B1 KR100538388 B1 KR 100538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nicotine
carrier
drug
anti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7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48780A (en
Inventor
필립 에이. 스와인
쥴리아 엘. 그린스테인
마아크 에이. 엑슬리
바아바라 에스. 폭스
스테펜 피. 파워스
말콤 엘. 게프터
Original Assignee
지노버 리서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노버 리서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지노버 리서치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1999-7002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388B1/en
Publication of KR20000048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7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388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13Therapeutic immunisation against small organic molecules, e.g. cocaine, nico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85Haptens or antigens, bound to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25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the peptide or protein in the drug conjugate being a receptor, e.g. CD4, a cell surface antigen, i.e. not a peptide ligand targeting the antigen, or a cell surface determinant, i.e. a part of the surface of a ce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31Proteins
    • A61K2039/6037Bacterial toxins, e.g. diphteria toxoid [DT], tetanus toxoid [T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내에서 항불완전항원(hapten) 항체를 유도할 수 있는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 및 상기 포합체와 치료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불완전항원(hapten)이 중독성 약물인 경우 항불완전항원(hapten) 항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은 약물중독의 치료에 특히 유용하다. 또한 상기 치료학적 조성물은 기타 기존의 약물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에 대하여 증강되는 항체를 이용한 수동면역에 관해서도 설명한 바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 capable of inducing anti-hapten antibody in vivo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conjugate and the therapeutic composition. If the incomplete antigen (hapten) is an addictive drug,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ing an antiincomplete antigen (hapten) antibody is particularly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rug addiction. In addition, the therapeutic composition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existing drugs. The present invention has also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passive immunization using antibodies that are enhanced against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s.

(구조식)(constitutional formula)

Description

약물남용 치료시에 사용되는 불완전항원-담체 포합체 및 상기 포합체의 제조방법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s used in the treatment of substance abuse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conjugates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본 발명은 약물남용의 치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체반응을 유도하는 약물/불완전항원(hapten)-담체의 포합체 및/또는 약물/ 불완전항원 (hapten)-담체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약물남용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reatment of drug abuse,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n antibody against a drug / hapten-carrier and / or an antibody against a drug / hapten-carrier that induces an antibody response. A method for treating drug abuse.

전세계적으로 약물의 사용과 그 남용문제는 특히 미국의 경우 전염병처럼 번지고 있다. 합법적이고 불법적인 약물의 남용문제는 사회적으로 모든 계층에 걸쳐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의료비 및 사회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일부 약물 사용자의 경우 극히 위험성이 높은 집단으로 빈곤과 불법적인 사회활동에 연루되어 있다. 또한, 다른 약물사용자들은 약물을 자신의 여과선용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들은 1) 탐닉성을 야기시키는 약물의 특성, 2) 상습 약물사용자가 될 수 있는 경향, 또는 3) 개인적 처지, 고난, 환경 및 취득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약물중독의 위험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다약제 남용을 위시하여 약물남용을 적절히 치료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이고 참신한 처치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Drug use and abuse around the world are spreading like epidemics, especially in the United States. The problem of legal and illegal drug abuse is becoming a serious social problem across all classes of society, and medical expenses and social burdens are increasing accordingly. Some drug users are extremely high risk groups and are involved in poverty and illegal social activities. In addition, other drug users may classify drugs for their filter line, which may include: 1) the nature of the drug causing addiction, 2) the tendency to be a habitual drug user, or 3) the personal situation, hardship, environment, and acquisition. Since it is easy to do, the risk of drug addiction can be said to be large. Innovative and innovative treatment programs must be developed to adequately treat drug abuse, including multiple drug abuse.

특히, 탐닉성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세가지 약물의 예를 들면 코카인, 헤로인 및 니코틴을 들 수 있다. 코카인은 코카식물 (Erythoxylon coca)의 잎에서 추출한 알카로이드 약물이다. 미국의 경우 상습적인 코카인 사용자는 5백만 명을 상회하고 있으며 그 중 적어도 60만 명은 심각한 중독자로 분류되고 있다 (참조: Miller et al. (1989) N.Y. State J. Med. pp.390-395; and Carrol et al. (1994) Pharm. News. 1:11-16). 상기 코카인 사용자중에서 상당수의 중독자는 적절한 치료법을 활발히 강구 중에 있다. 예를 들면, 1990년에 38만 명의 코카인 사용자가 약물탐닉에 대한 치료를 받고자 하였으며 매년 그 수는 증가하고 있다. 그 당시 매년 응급병실에 입원하고 있는 10만 명중에 코카인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코카인과 연루된 난폭한 범죄의 누적효과, 개인적 생산성의 저하, 질병 및 사망 등은 국제적인 문제로 비화되고 있다. In particular, examples of three drugs that are problematic for addiction include cocaine, heroin and nicotine. Cocaine is an alkaloid drug extracted from the leaves of coca plants (Erythoxylon coca). In the United States, there are more than 5 million habitual cocaine users, at least 600,000 of whom are classified as serious addicts (see Miller et al. (1989) NY State J. Med. Pp.390-395; and Carrol et al. (1994) Pharm. News. 1: 11-16). Many of the addicts among the cocaine users are actively seeking appropriate treatments. For example, in 1990, 380,000 cocaine users wanted to be treated for drug addiction, and the number is increasing every year. At that time, it is estimated that 100,000 cocaine users are admitted to emergency hospitals every year. The cumulative effects of violent crimes involving cocaine, a decline in personal productivity, illness and death are becoming international issues.

코카인 중독을 치료하기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으므로 이를 대처하기 위한 신규 접근방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성공적 치료방법이 없는 부수적인 요인으로는 코카인 중독의 유형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캐롤 등은 "1994년도 코카인 중독현상을 치료하는 화학적 접근방법"이라는 논문에서 1980년 중반이후 통상적인 투여경로로서 정맥 및 비강 투여함에 따라 염산염 (코크, 스노우 및 블로우)과 코카인 유리 염기 (crack)를 흡입함으로서 행복감과 정신운동성의 항진이 효과가 30-60분 정도 지속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Carroll et al. (1994) Pharm. News, Vol. 1, No. 2). 코카인은 기타 다른 탐닉성 약물과는 다르게 그 사용자에게 수시간에 걸쳐 흥분상태를 고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코카인 사용자의 행위는 탐닉성을 야기시키고 어떤 경우 중독증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Carroll et al. Pharm. News, supra.).Since there is no effective treatment for the treatment of cocaine addiction, the development of a new approach to cope with this is desired. A side effect of no successful treatment is the type of cocaine addiction that is changing over time. Carol et al., In the article "Chemical Approach to Treat Cocaine Poisoning in 1994," used hydrochloric acid (coke, snow and blow) and cocaine free base as intravenous and nasal administrations as usual routes of administration since the mid-1980s. Inhalation has been reported to increase the feeling of euphoria and psychomotor activity for 30 to 60 minutes (Carroll et al. (1994) Pharm. News, Vol. 1, No. 2). Cocaine, unlike other indulgence drugs, can induce excitement over the user for hours. This behavior of cocaine users causes addiction and in some cases addiction (Carroll et al. Pharm. News, supra.).

약물남용을 대처하기 위한 치료법은 극히 제한되어 있으며 코카인 중독에 대한 장기적으로 유효한 치료방법은 개발되고 있지 않다. 코카인 중독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아편 수용체에 대하여 길항물질로서 작용하는 약물이나 약물중독으로 인한 갈망을 감소시키는 약물을 투여하면서 카운셀링을 병행하고 있다. 코카인 중독을 치료하는 접근방법으로 해독작용을 들 수 있다. 일시적인 완화요법의 경우 수반되는 신체적, 사회적 및 심리학적인 개선과 더불어 연속적인 약물남용이나 점진적인 가속화 현상 및 그 관련된 의료적 비용이나 개인적 유대관계에 대하여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Wilson et al. in Harrison's Principle of Internal Medicine Vol. 2, 12th Ed., McGraw-Hill (1991) pp. 2157-8).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코카인 중독을 치료하기 위한 약리학적 접근 방법으로는 데시플라민 (desipramine)이나 플루오세틴 (fluoxetine)과 같은 항울제를 들 수 있는데 이들 약물들은 금단증상의 심리학적 단면을 처치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코카인의 물리학적 특성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는다 (Kleber (1995) Clinical Neuropharmacology 18:96-109). 또한, 이들 항우울제의 유효성은 광범위하게 다르다 (Brooke et al. (1992) Drug Alcohol Depend. 31:37-43). 임상시험에 따르면 데시플라민은 자가투여를 감소시켰다고 하였으나 (Tella (1994) College on Problem of Drug Dependence Meeting Abstract; Mello et al. (1990) J. Pharmacol. Exp. Ther. 254:926-939; and Kleven et al. (1990) Behavl. Pharmacol. 1:365-373), 치료에 따른 금단증상의 감소율은 70%를 넘지 않았다 (Kosten (1993) Problems of Drug Dependence, NIDA Res. Monogr. 85). 또한, 브로모크립틴과 같이 교감신경 흥분작용을 증강시키는 약물을 사용한 예가 있으나 상기 약물의 이점은 독성문제로 인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Taylor et al. (1990) West. J. Med. 152:573-577). 아편중독을 치료하기 위하여 메타돈 (methadone)을 대치하고자 브프레노르핀 (buprenorphine)과 같은 신약을 사용하여 교감신경계를 교차 간섭 (cross-inteference)시키고자 하였으나 실제적인 임상 적용 예는 제한되어 있다 (Fudula et al. (1991) NIDA Research Monograph, 105:587-588). 브프레노르핀은 코카인의 자가투여를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어 있다 (Carroll et al. (1991) Psychopharmacology 106:439-446; Mello et al. (1989) Science 245:859-862; and Mello et al. (1990) J. Pharmacol. Exp. Ther. 254: 926-939). 그러나, 치료에 따른 코카인 금단증상의 감소율은 50%를 넘지 않았다 (Gastfried et al. (1994) College on Problems of Drug Dependence Meeting Abstracts; and Schottenfeld et al. (1993) Problems on Drug Dependence, NIDA, 10 Res. Monogr. 311).Therapies to cope with drug abuse are extremely limited and no long-term effective treatments for cocaine poisoning have been developed. Cocaine addiction is treated by counseling while administering drugs that act as antagonists to opiate receptors or drugs that reduce cravings due to drug addiction. Detoxification is an approach to treating cocaine addiction. Temporary palliative therapy is desirable for the subsequent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improvements, as well as for continuous drug abuse, gradual acceleration, and associated medical costs or personal relationships (Wilson et al. In Harrison's Principle of Internal Medicine Vol. 2, 12th Ed., McGraw-Hill (1991) pp. 2157-8). More specifically, pharmacological approaches to treating cocaine addiction include antidepressants such as desipramine or fluoxetine, which can treat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withdrawal symptoms. In general, they are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caine (Kleber (1995) Clinical Neuropharmacology 18: 96-109).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these antidepressants varies widely (Brooke et al. (1992) Drug Alcohol Depend. 31: 37-43). Clinical trials have shown that deciflavin reduced self-administration (Tella (1994) College on Problem of Drug Dependence Meeting Abstract; Mello et al. (1990) J. Pharmacol. Exp. Ther. 254: 926-939; and Kleven et al. (1990) Behavl. Pharmacol. 1: 365-373), the rate of withdrawal withdrawal following treatment did not exceed 70% (Kosten (1993) Problems of Drug Dependence, NIDA Res. Monogr. 85). In addition, there is an example of using a drug that enhances sympathetic excitability, such as bromocriptine, but its use is limited due to toxicity (Taylor et al. (1990) West J. Med. 152 : 573-577). In order to replace opioid poisoning, a new drug such as buprenorphine has been used to replace methadone, but cross-inteference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is limited, but practical clinical applications are limited. et al. (1991) NIDA Research Monograph, 105: 587-588). Vprenorphine has been reported to reduce cocaine self-administration (Carroll et al. (1991) Psychopharmacology 106: 439-446; Mello et al. (1989) Science 245: 859-862; and Mello et al. 1990) J. Pharmacol.Exp. Ther. 254: 926-939). However, the rate of reduction of cocaine withdrawal following treatment did not exceed 50% (Gastfried et al. (1994) College on Problems of Drug Dependence Meeting Abstracts; and Schottenfeld et al. (1993) Problems on Drug Dependence, NIDA, 10 Res) Monogr. 311).

코카인 중독현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치료요법의 경우 4가지의 제한적 요소가 있으므로 고도의 상습성 (recidivism)을 야기시키게 된다. 첫 번째로, 아마 아주 기초적인 사항이기는 하지만 코카인의 남용과 탐닉에 따른 신경 화학적 추이는 복잡하다 (Carroll et al. (1994) supra.). 그 결과, 도파민 흡수억제와 같은 단일 작용에 의한 신경약리학적 접근방법은 약물의 탐닉성을 충분하게 극복하지 않는다고 간주되고 있다. 두 번째로, 코카인의 중독치료에서 사용되는 기존의 약물은 부작용이 현저하여 이들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세 번째로, 약물요법에 따른 환자의 순응도가 문제가 되고 있다. 기존의 치료요법에 따르면 의료관계종사자를 수시로 방문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약물중독환자의 탐닉성을 치료하기 위하여 약물을 자가 투여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약물의 대다수는 코카인의 투여에 따른 행복감을 억제하므로 약물치료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Carroll, et al. (1994) supra; Kosten et al. (1993) Problems of Drug Dependence, NIDA Res. Monogr. 132:311). 네 번째로, 약리학적 치료요법과 관련된 복잡한 화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사용중이나 임상실시 중에 있는 기존의 치료요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이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약물치료요법에 따른 임상시험은 약물의 순응도가 낮은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므로 코카인 의존성환자의 성공적 처치에 필요하다고 간주되는 순응도가 높은 외래환자나 기타 심리사회학적 치료와 연계되지 않고 있다.Existing therapies used to treat cocaine addiction have four limiting factors, causing high recidivism. First, although perhaps very basic, the neurochemical trends of cocaine abuse and addiction are complex (Carroll et al. (1994) supra .). As a result, neuropharmacological approaches by single action, such as dopamine uptake inhibition, are not considered to sufficiently overcome the addiction of drugs. Second, existing drugs used in the treatment of cocaine addiction have significant side effects and limit their use. Third, patient compliance with drug therapy is a problem. Existing therapies require frequent visits to medical workers and self-administration of drugs to treat addiction in patients with drug addiction. The majority of these drugs suppress euphoria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cocaine, resulting in a strong rejection of drug treatment (Carroll, et al. (1994) supra; Kosten et al. (1993) Problems of Drug Dependence, NIDA Res. Monogr. 132: 311). Fourth, due to the complex chemical properties associated with pharmacological therapy, it is inconsistent with existing therapies in use or in clinical practice. Finally, most pharmacotherapy-based clinical trials were conducted on outpatients with low drug compliance, and therefore were not associated with highly compliant outpatient or other psychosocial treatment deemed necessary for successful treatment of cocaine dependent patients. It is not.

헤로인은 양귀비에서 추출한 아편성 약물이다. 헤로인은 가장 중독성이 강한 아편성 약물이며 미국의 경우 시장에서 불법적인 구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중독자가 애용하는 헤로인의 품질은 순도에 있어 45~80%로 높으며 과거에 비하여 육체적 의존성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보다 강력한 헤로인의 투여는 담배나 흡입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통상적인 투여형태인 정맥주사를 기피하는 사용자들이 애용하게 된다. 헤로인 중독자의 사망율은 높은 편이다. 조기 사망의 경우 중증의 박테리아 감염 및 주사용 기구를 같이 사용함으로서 나타나는 인체면역바이러스 (HIV)의 감염과 같은 여러 가지 상황에 처하는 경우이다. 미국의 경우 다수의 헤로인 중독자가 있다는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과량복용에 따른 추정 사망자, 체포된 마약중독자 및 치료를 신청하는 사람들을 미루어 볼 때 750,000-1,000,000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Heroin is an opiate drug extracted from poppy. Heroin is the most addictive opiate drug in the United States, making illegal purchases easy on the market. The quality of heroin used by addicts is high at 45-80% in purity and the physical dependence is much higher than in the past. More powerful heroin is administered through tobacco or inhalation, which is favored by users who avoid intravenous injection, a common dosage form. The death rate of heroin addicts is high. Premature death can be caused by a variety of situations, such as severe bacterial infections and human immune virus (HIV) infections caused by the use of injection devices. There is no accurate record of a number of heroin addicts in the United States, but it is estimated that 750,000-1,000,000 people will be estimated from overdose of the estimated deaths, arrested addicts and those applying for treatment.

헤로인 용액을 주사함에 따라 흥분, 풍미감 및 극치감 (오르가니즘에 비교될 수 있는)은 물론 각종의 쾌락적 감각이 신속하게 나타난다. 헤로인은 신속하게 가수분해되어 6-모노아세틸 몰핀 (이하, "6-MAM")이 되며 이어서 몰핀으로 전환된다. 헤로인과 6-MAM은 고도의 지질 용해성을 갖고 있으며 몰핀에 비해 보다 신속하게 혈액뇌관문을 통과한다. 헤로인을 투여 시에 일차적으로 나타나는 행복감은 45초에서 수분동안 지속되며 용량에 따라 평온한 상태가 3-5시간에 걸쳐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종료되면 금단증상으로 헤로인 중독자는 신경과민이 되고 공격적 성향이 보이게 되며 "병적상태"에 빠지게 된다.Injecting the heroin solution quickly produces various sensations of excitement, flavor and extremes (as can be compared to organism). Heroin is rapidly hydrolyzed to 6-monoacetyl morphine (hereinafter "6-MAM") which is then converted to morphine. Heroin and 6-MAM are highly lipid soluble and cross the blood brain barrier faster than morphine. The primary euphoria that occurs when heroin is administered lasts from 45 seconds to several minutes, depending on the dose, calming occurs over 3-5 hours. When this condition is terminated, the withdrawal symptom causes heroin addicts to become nervous and aggressive, and to become "pathological."

일반적으로, 기존의 치료요법은 금단증상이나 그 증후군을 치료하는 약물학적 개입 (pharmacological intervention)을 시도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해독요법은 메타돈과 같은 작용시간이 긴 아편을 투여하게 된다. 또 다른 접근방법으로 클로니딘과 같은 항고혈압제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약물은 금단증상에 따른 많은 부작용을 완화시킬 수 있으나 마약에 대한 갈망과 전신 통증과 같은 특징적인 증상은 완화시킬 수 없다. 대다수의 탐닉성과 마찬가지로 고도의 상습성이 존재하게 된다. 헤로인 중독자에 대한 장기적인 처치와 메타돈의 투여에 따른 안정화는 이제까지 가장 성공적인 치료요법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마약 중독자에 대한 철저한 감시와 복약상태에 주의를 하여야 한다.In general, existing therapies have attempted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to treat withdrawal symptoms or the syndrome. Typically, detox therapy involves long-lived opiates such as methadone. Another approach is to use antihypertensives such as clonidine, which can alleviate many of the side effects of withdrawal symptoms, but not alleviate characteristic symptoms such as craving for drugs and systemic pain. Like most addictions, there is a high degree of habituality. Long-term treatment for heroin addicts and stabilization following methadone administration are known to be the most successful treatments to date, an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orough monitoring and medication status for drug addicts.

니코틴 (1-메틸-2-(3-피리딜)피롤리딘)은 담배잎에서 추출한 알카로이드 약물이다. 니코틴은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궐련, 엽궐련, 파이프 담배 및 무연기 (씹는) 담배와 같이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되어 합법적으로 시판되고 있다. 니코틴에 대한 탐닉성과 담배에 대한 위험성은 오랫동안 알려져 왔으나 (Slade et al. (1995) JAMA 274(3):225-233), 궐련의 경우 애연가 사이에 아직도 인기가 높다. 5천 1백만명의 미국인들이 담배를 피우고 있다고 추산되고 있으며 질병처치 및 예방센터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의 통계에 따르면, 매년 42만 명의 미국인들이 담배와 관련된 질병으로 사망하고 있다고 한다.Nicotine (1-methyl-2- (3-pyridyl) pyrrolidine) is an alkaloid drug extracted from tobacco leaves. Nicotine is widely used throughout the world and is manufactured and marketed in many forms, such as cigarettes, cigars, pipe tobacco and smokeless (chewing) tobacco. The addiction to nicotine and the dangers of tobacco have long been known (Slade et al. (1995) JAMA 274 (3): 225-233), but cigarettes are still popular among smokers. It is estimated that 51 million Americans smoke, and 420,000 Americans die each year from tobacco-related diseases,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가장 인기가 높은 니코틴 전달시스템은 궐련이다. 궐련은 6-10mg의 니코틴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중에서 흡연자는 통상적으로 1-3mg을 흡수하게 된다. 매일 한갑을 피는 흡연자는 1일 20-40mg의 니코틴을 흡수하며 혈장 밀리리터당 25-50ng의 농도에 도달하게 된다. 니코틴의 혈장 반감기는 약 2시간이며 주요 대사산물인 코티닌의 반감기는 19시간이다 (Henningfield (1995)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3(18):1196-1203).The most popular nicotine delivery system is cigarettes. Cigarettes contain 6-10 mg of nicotine, of which smokers typically absorb 1-3 mg. A pack of smokers every day absorbs 20-40 mg of nicotine per day and reaches a concentration of 25-50 ng per milliliter of plasma. The plasma half-life of nicotine is about 2 hours, and the half-life of cotinine, the major metabolite, is 19 hours (Henningfield (1995)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3 (18): 1196-1203).

니코틴은 합법적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으므로 코카인이나 헤로인과 달리 그 사용에 따른 압력이 비교적 적다. 상당수의 상습 흡연자들은 금연하고 싶다는 의사를 표시하게 되고 이를 실천하여 그중 2-3% 정도만이 매년 금연에 성공하게 된다 (Henningfield (1995) supra.). 금연하고자 하는 흡연자 사이에 나타나는 고도의 상습성은 니코틴 의존성의 강력한 영향을 내포하고 있다 (O'Brien et al. (1996) Lancet 347:237-240).Nicotine is legally widely used, so unlike cocaine and heroin, the pressure due to its use is relatively low. Many habitual smokers have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quit smoking, and in practice, only 2-3% of them succeed in quitting each year (Henningfield (1995) supra.). The high degree of habituality among smokers who want to quit smoking has a strong effect of nicotine dependence (O'Brien et al. (1996) Lancet 347: 237-240).

니코틴 중독은 만성적이고 재발성 질환이다. 니코틴은 emsolimbic reward system을 목표로 하며 궁극적으로 심리학적 의존성을 초래한다. 임상결과에 따르면, 니코틴은 중추 및 말초신경계에서 알파-니코틴아세틸콜린수용체에 결합하여 도파민의 방출을 항진하게 된다. 뇌에서 니코틴아세틸콜린 수용체가 증가되면 니코틴에 대한 심리적 의존성을 증가시킨다 (Balfour (1994) Addiction 89:1419-1423). 이와 같은 니코틴의 심리효과는 심리적 탐닉성을 강력하게 증가시키게 된다. 니코틴 사용자는 인식력이 증가되고 기분이 개선되나 이를 자제 시에 부정적 효과 (즉, 금단증상)을 느끼게 되므로 계속적으로 흡연하고 싶다는 강력한 동기를 부여한다.Nicotine addiction is a chronic and recurrent disease. Nicotine targets the emsolimbic reward system and ultimately results in psychological dependence. According to clinical results, nicotine binds to alpha-nicotinacetylcholine receptors in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 to enhance the release of dopamine. Increased nicotinacetylcholine receptors in the brain increase psychological dependence on nicotine (Balfour (1994) Addiction 89: 1419-1423). Nicotine's psychological effects strongly increase psychological addiction. Nicotine users have a strong incentive to continue smoking because they increase their cognition and feel better, but have negative effects (ie withdrawal symptoms) when refraining from it.

니코틴 의존성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요법이 없고 담배를 끊고자 하는 사람들에 있어 드문 성공율을 고려해 볼 때 새로운 치료요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현재 가장 인기가 높은 두 가지 치료요법으로 니코틴 폴라크리렉스 ("니코틴껌")과 경피용 흡수시스템 ("니코틴 패치)을 들 수 있다. 상기 "대치 약물요법"은 일정시간동안 사용자에게 낮은 용량의 니코틴을 투여하여 니코틴의 혈중농도를 서서히 줄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투여방법을 통하여 금단증상을 감소시키고 흡연자가 궐련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내게 한다 (예를 들면, 바람직한 정서상태와 집중력 유지) (Henningfield (1995) supra.). 그러나, 상기 투여방법은 동기가 결여된 금연자에게 낮은 니코틴 침투력과 상습성에 대한 대처방법이 없다는 점이 그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더구나, 니코틴껌을 사용하는 흡연자의 경우 구강자극, 턱근육의 통증, 소화불량증, 오심, 딸국질 및 감각이상과 같은 부작용을 호소하고 있다. 니코틴 패치제제를 적용시에 보고된 부작용은 피부반응 (가려움증이나 부종), 불면증, 위장관장애, 기면, 신경증, 현훈 및 발한 등이 있다 (Haxby (1995) Am. J. Health-Syst. Pharm.52:265-281).Given the lack of effective therapies for nicotine dependence and the rare success rate for those who want to quit smoking, the development of new therapies is desired. Two of the most popular therapies at present are the nicotine Polacrerex (“nicotine gum”) and the transdermal absorption system (“nicotine patch”). Nicotine is administered to reduce the blood levels of nicotine gradually, reducing the withdrawal symptoms and making the smoker no longer dependent on cigarettes (e.g. maintaining desirable emotional state and concentration). (Henningfield (1995) supra.) 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the method of administration does not have a low nicotine penetration and coping habits for non-motivated non-smokers. It has side effects such as oral irritation, pain in the jaw muscles, dyspepsia, nausea, hiccups and paresthesia. Side effects reported when applying patch preparations include skin reactions (itch and swelling), insomnia, gastrointestinal disorders, lethargy, neurosis, dizziness and sweating (Haxby (1995) Am. J. Health-Syst. Pharm. 52: 265-281).

약물중독을 치료하기 위한 실험실적 진단방법 및 치료요법의 경우 문헌에는 게재되었지만 아직 실시된 바 없다. 예를 들면, 접종 (vaccination)을 통하여 약물중독을 치료하고자 하는 방법은 원칙적으로 이미 제안된 바 있다. 보네즈 등은 붉은털원숭이 (rhesus monkey)에게 몰핀에 대한 면역을 지니게 한 후 헤로인을 자가투여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였다 (Bonese et al. (1974) Nature 252:708-710). 바스가스트라 등은 코카인-KLH 접종하여 약물중독을 억제하는 실험을 하였으나 (Immunopharmacol. (1992) 23:173-179), 명확한 결론이 나오지 않았으며 바스가스트라 등이 사용한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Gallacher (1994) Immunopharm. 27:79-81). 하나의 포합체가 약물요법으로서 유효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생체내에 순환되는 유리 코카인, 헤로인 또는 니코틴을 인식할 수 있는 항체를 증강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커니 (WO 92/03163)는 하나의 백신제제와 약물에 대한 면역혈청에 대하여 언급한 바 있다. 상기 백신은 항체를 생성하는 담체 단백질에 결합된 불완전항원(hapten)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는 약물에 대한 항체의 생성과 약물복용자의 해독과 관련하여 상기 항체의 사용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카렐라 등 (Nature 378:727-730 (1995)은 랫트에서 약물의 운동성 효과를 차단하는 항코카인 항체를 유도하기 위하여 코카인-KLH백신의 합성에 대하여 보고한 바 있다. 블린코는 데시프라민/이미프라민 (desipramine/imipramine) 약물군으로부터 하나의 불완전항원(hapten) 및 노르트립트린/아미트립트린 약물군으로부터 또 하나의 불완전항원(hapten)에 결합되는 담체 단백질로 구성된 백신에 대하여 보고한 바 있다 (참조: 미합중국 특허 제 5,256,409호). 리우 등은 면역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불완전항원(hapten)-폴리머 고체지지체 착물에 대한 사용을 보고한 바 있다 (참조: 미합중국 특허 제 5,283,066호).Laboratory diagnostics and therapies for the treatment of drug addiction have been published in the literature but have not yet been carried out. For example, methods for treating drug addiction through vaccination have already been proposed in principle. Bonez et al. Immunized rhesus monkeys with morphine and observed the change by self-administering heroin (Bonese et al. (1974) Nature 252: 708-710). Basgastra et al. Experimented to suppress drug addiction by inoculating cocaine-KLH (Immunopharmacol. (1992) 23: 173-179), but no clear conclusions were reached, and the method used by Basgastra et al. Still remains controversial. (Gallacher (1994) Immunopharm. 27: 79-81). It is clear that if one conjugate is considered effective as a pharmacotherapy, it should be able to enhance antibodies that can recognize free cocaine, heroin or nicotine circulating in vivo. Kerney (WO 92/03163) mentioned an immune serum for one vaccine and drug. The vaccine consists of incomplete antigens (hapten) bound to the carrier protein producing the antibody. He also mentions the use of such antibodies in connection with the production of antibodies to the drug and the translation of the drug users. Nature 378: 727-730 (1995) reported on the synthesis of cocaine-KLH vaccines to induce anticocaine antibodies that block the motility effects of drugs in rats. A vaccine has been reported consisting of a carrier protein bound to one incomplete antigen (hapten) from the desipramine / imipramine drug group and another incomplete antigen (hapten) from the nortriptrin / amitriptrin drug group ( See, US Pat. No. 5,256,409. Liu et al. Reported the use of incomplete antigen-polymer solid support complexes to induce an immune response (US Pat. No. 5,283,066).

약물남용을 치료하기 위하여 단클론성 항체를 수동 투여하는 방법은 이미 보고된 바 있다 (참조: Killian et al. (1978) Pharmacol. Biochem. Behavior 9:347-352; Pentel et al. (1991) Drug Met. Dispositions 19:24-28). 상기 방법은 특정 약물에 대하여 미리 형성된 항체를 동물에게 수동적으로 투여하는 것이다. 상기 데이타의 경우 약물중독치료에 있어 면역학적 접근방법의 타당성을 제시하고 있으나, 장기간에 걸쳐 인체에 대하여 수동면역을 시키는 방법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부각되고 있다. 첫 번째로, 수동적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항체가 인체가 아닌 다른 공급원이거나 단클론성 항체인 경우 관련 제제가 환자의 신체에서 이물단백질로 인식되어 이물항체에 대한 면역반응이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면역반응은 수동적으로 투여된 항체를 중성화시키고 그 유효성의 차단은 물론 결과적으로 항체의 보호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항체를 재투여하는 경우 과민성반응이 잠재적으로 유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상기 문제점들은 해당 백신으로 면역화된 인간공여자로부터 그 면역글로블린을 생성시키면 해결될 수 있다. 상기 접근방법은 하기 실시 예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두 번째로, 수동적으로 투여된 항체는 혈액순환 시에 비교적 신속하게 제거된다. 생체 내에서 특정 항체의 반감기는 동위원소에 따라 2.5-23일이다. 따라서, 항체를 수동적으로 투여시의 유효성은 면역으로 유도된 것보다 짧은 기간동안 지속될 수 있다.Manual administr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to treat drug abuse has already been reported (Killian et al. (1978) Pharmacol. Biochem. Behavior 9: 347-352; Pentel et al. (1991) Drug Met Dispositions 19: 24-28). The method is to passively administer to the animal a preformed antibody for a particular drug. The above data suggest the feasibility of immunological approaches in the treatment of drug addiction, but there are various problems in the method of passive immunization of the human body over a long period of time. First, if the antibody used for passive therapy is a source other than the human body or a monoclonal antibody, the related agent may be recognized as a foreign protein in the patient's body and the immune response to the foreign antibody can be rapidly achieved. This immune response can neutralize passively administered antibodies and block their effectiveness as well as shorten the protection time of the antibodies. It can also be pointed out that re-administration of the same antibody could potentially lead to hypersensitivity. The problems can be solved by producing the immunoglobulin from human donors immunized with the vaccine. This approach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examples. Secondly, passively administered antibodies are removed relatively quickly during blood circulation. The half-life of certain antibodies in vivo is 2.5-23 days depending on the isotope. Thus, the effectiveness of passive administration of the antibody may last for a shorter period of time than that induced by immunity.

약물중독치료를 위한 또 하나의 면역학적 접근방법은 환자 내에 있는 코카인 분자의 가수분해를 촉진할 수 있는 촉매성 항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Landry et al. (1993) Science 259:1899-1901). 촉매성 항체는 실험동물을 담체 단백질에 연계된 코카인의 일시적 상태에 유사체로 면역시킴으로서 생성된다. 이어서 바람직한 활성을 지니고 있는 단클론성 항체를 선정하는 것이다. 상기 접근방법은 이론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보이지만 몇 가지 심각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즉, 촉매성 항체를 수동적으로 투여하여야 하므로 수동적 항체요법에 따른 모든 부작용을 감수하여야 한다. 촉매성 항체를 생성하는 능동면역은 타당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일시적 상태의 유사체에 대하여 증강되는 항체의 경우 촉매성 활성은 드물게 나타나고 그 활성은 다클론성 제제에 있어 감지될 수 없다. 또한, 상기 촉매성 항체의 일반적 에스테라제 유사한 활성과 유전적으로 다양한 개인에 있어 활성 면역반응을 억제할 수 없으므로 특히 상기 항체가 인체 내에서 생성되는 경우 잠재적으로 독성분자가 된다.Another immunological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drug addiction is the use of catalytic antibodies that can promote the hydrolysis of cocaine molecules in the patient (Landry et al. (1993) Science 259: 1899-1901). Catalytic antibodies are produced by immunizing an experimental animal with analogs to the transient state of cocaine linked to a carrier protein. Then, a monoclonal antibody having desirable activity is selected. This approach appears to be theoretically valid but has some serious problems. In other words, since the catalytic antibody must be passively administered, all side effects of the passive antibody therapy should be taken. Active immunity to produce catalytic antibodies is not justified because for antibodies that are augmented against analogs in the transient state, catalytic activity is rare and its activity cannot be detected in polyclonal agents. In addition, the general esterase-like activity of the catalytic antibody and the ability to inhibit the active immune response in genetically diverse individuals are potentially toxic molecules, especially when the antibody is produced in the human body.

유가와 등은 혈액샘플에서 코카인이나 그 유도체의 감지를 위한 항체를 증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코카인 유도체를 함유하는 코카인-단백질 포합체의 사용을 제안한 바 있다 (유럽특허 0 613 899 A2). 또한, 시바 특허의 경우 면역검정법에 따라 코카인 항체를 증강시키기 위한 콘쥬케이트를 공개한 바 있는데 벤조일 ecgonine 및 코카인으로부터 유도된 디아조늄을 사용하여 BSA에 대한 포합체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에서는 담체를 접합시키는 코카인 및 노르코카인의 파라-이미노 에스테르 유도체를 사용하여 포합체를 제조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3,888,866, 4,123,431호 및 4,197,236호). 비오사이트는 아미드 결합을 도입하여 가수분해의 안정성을 증강시키는 각종 코카인 유도체의 페닐고리의 파라포지션 (paraposition)을 사용하는 코카인 포합체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WO 93/12111).스트라히레비츠 특허의 경우 관련질병의 치료를 위하여 내인성 물질 및 약물의 단백 포합체의 사용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상기 포합체는 면역검정, 면역투석 및 면역흡착시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신활성 불완전항원(hapten)에 대한 의존성을 억제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620,977호, 4,813,924호, 4,834,973호 및 5,037,645호).Yugawa et al. Have proposed the use of cocaine-protein conjugates containing cocaine derivatives as a method for enhancing antibodies for the detection of cocaine or derivatives thereof in blood samples (European Patent 0 613 899 A2). In addition, the Ciba patent has disclosed a conjugate for enhancing cocaine antibodies according to immunoassay, and mentions the conjugate to BSA using benzoyl ecgonine and diazonium derived from cocaine. In addition, the patent discloses conjugates using para-imino ester derivatives of cocaine and norcocaine to conjugate carriers (US Pat. Nos. 3,888,866, 4,123,431 and 4,197,236). Biocite refers to cocaine conjugates that utilize the phenyl ring paraposition of various cocaine derivatives to introduce amide bonds to enhance the stability of hydrolysis (WO 93/12111). The use of protein conjugates of endogenous substances and drugs for the treatment of related diseases is mentioned, which may be used in immunoassays, immunodialysis and immunosorbents, as well as in psychoactive incomplete antigens (hapten). Dependence (US Pat. Nos. 4,620,977, 4,813,924, 4,834,973 and 5,037,645).

브르케 등은 생리액에서 코티닌의 존재를 측정시에 사용하고자 니코틴 대사산물인 코티닌에 대한 항체를 증강시키기 위하여 폴리-L-리신에 공유결합된 코티닌 4'-카르복실산 포합체의 사용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1987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96:239-246). 또한, 아바드 등은 궐련의 연기 농출물에서 니코틴을 측정하는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 (ELISA)용으로 니코틴 항체에 BSA를 접합시킨 3'-(하이드록시메틸)니코틴 헤미석시네이트의 사용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니코틴-담체 포합체를 니코틴 중독치료용으로 사용했다는 지적하거나 암시한 문헌은 아직 없다 (1993 Anal. Chem. 65(22):3227-3231).Breck et al. Describe the use of cotinine 4'-carboxylic acid conjugates covalently bound to poly-L-lysine to enhance antibodies to nicotine metabolite, cotinine, for use in measuring the presence of cotinine in physiological fluids. (1987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96: 239-246). Abad et al. Also described the use of 3 ′-(hydroxymethyl) nicotine hemisuccinate in which BSA was conjugated to nicotine antibodies for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which measures nicotine in smoke extracts of cigarettes. It is mentioned. However, no literature indicates or suggests that nicotine-carrier conjugates have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nicotine addiction (1993 Anal. Chem. 65 (22): 3227-3231).

상기와 같이 약물중독, 특히 코카인, 헤로인 및 니코틴과 같은 약물중독에 대하여 유효한 치료요법은 개발되고 않고 있다. 따라서, 약물중독, 특히 코카인 및 니코틴 중독에 대하여 약물중독자가 전적으로 복약성이나 자가투여에 의존하지 않는 장기간의 걸친 치료요법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As mentioned above, effective therapies have not been developed for drug addiction, particularly drug addiction such as cocaine, heroin and nicotine.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long-term therapies for drug addiction, particularly cocaine and nicotine addiction, in which the drug addict does not rely entirely on medication or self-administration.

[발명의 요약][Summary of invention]

이에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남용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치료학적 조성물 특히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를 약물에 계속 노출된 중독자에게 접종하여 인체내에서 항불완전항원(hapten)성 항체의 형태로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기대되는 약물의 약리학적 효과는 소실되지는 않으나 그 효과는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피험자에게 약물/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를 접종하여 약물남용, 특히, 코카인, 헤로인 및 니코틴중독을 치료하는 약제를 제공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코카인-단백질, 헤로인-단백질 또는 니코틴-단백질 포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불완전항원(hapten)과 적어도 하나의 T 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하고 있는 담체로 구성되며,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를 형성하는 접합공정시에 항불완전항원(hapten) 항체의 생성을 자극할 수 있다. 상기 불완전항원(hapten)은 약물이나 약물유도체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코카인, 헤로인 또는 니코틴을 포함한다. 상기 약물/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을 약물중독자에게 투여하는 경우 약물에 특이적인 항불완전항원(hapten)성 항체가 유도된다. 치료학적 면역 약물요법은 현저히 높은 역가의 항불완전항원(hapten)성 항체를 유도하고 이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치료제의 유효기간동안 일련의 노출에 따라 항불완전항원(hapten)성 항체는 체내에서 충분한 양의 약물을 중성화시켜 약물의 약리학적 효과를 소실시키지 않으나 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포합체를 제조하는 신규한 발명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면역의 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를 공여자에 접종하여 생성된 항체로 피험자를 치료하게 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to provide a method for treating drug abuse.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therapeutic composition, in particular an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 which is inoculated to an addict who has been continuously exposed to the drug to induce an immune response in the form of an anticomplete antibody in the human body. The pharmacological effect is not lost but the effect is reduc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dicament for treating drug abuse, in particular cocaine, heroin and nicotine poisoning by inoculating a subject with a drug / hapten-carrier conjugate, and more particularly cocaine-protein, heroin- To provide a protein or nicotine-protein conjugate.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carrier containing at least one incomplete antigen (hapten) and at least one T cell epitope, the anti-incomplete antigen during the conjugation process to form an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 (hapten) can stimulate the production of antibodies. The incomplete antigen (hapten) can be a drug or drug derivative, in particular cocaine, heroin or nicotine. When a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ing the drug / hapten-carrier conjugate is administered to a drug addict, anti-hapten antibodies specific for the drug are induced. Therapeutic immune pharmacotherapy induces and maintains significantly high titers of anti-incomplete antigenic antibodies, resulting in a sufficient amount of drug in the body following a series of exposures during the lifetime of the therapeutic agent. Can be neutralized to reduce but not lose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the drug.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vel invention for producing the conjugat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assive immunity, thereby treating a subject with an antibody produced by inoculating a donor with an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타 특징, 특성 및 이점은 이하 도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보다 명확해지고 깊은 이해가 가능하다.The above objects and other features,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and understood in the follow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claims.

도 1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적절한 화합물과 포합체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식별한 많은 수의 가능하고, 무작위로 표시한 "분지상"을 나타내고 있으며;1A shows a large number of possible, randomly marked “branches” identifi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suitable compounds and conjugates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적절한 화합물과 포합체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식별한 많은 수의 가능하고, 무작위로 표시한 "분지상"의 물질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도 1b에서 Q'은 수식된 단백질 담체와 같은 담체를 함유하는 수식된 T-세포 에피토프이며;FIG. 1B shows a large number of possible, randomly marked “branched” materials identifi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appropriate compounds and conjugat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Q ′ in FIG. Modified T-cell epitopes containing carriers such as protein carriers;

도 2는 본 발명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5개의 시약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2 shows the structure of five reagents useful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포합 및 투여에 적절한 4개의 약물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3 shows four drug structures suitable for inclusion and administ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천연 콜레라독소-B (CTB, 단량체 및 5량체) 및 재조합 콜레라독소-B (rCTB, 단량체)의 비교 분자량을 표시하는 겔을 나타내고 있으며;4A shows a gel showing comparative molecular weights of native choleratoxin-B (CTB, monomers and pentamers) and recombinant choleratoxin-B (rCTB, monomers);

도 4b는 pH 3-9의 범위내에서 CTB 5량체의 안정성을 표시하는 겔을 나타내고 있으며;4B shows a gel showing the stability of CTB pentamer within the range of pH 3-9;

도 4c는 세포형질의 발현으로 CTB 5량체가 되는 rCTB #32 및 #32의 35 피크 분획에서 나타내는 웨스턴 블롯 겔 (Western Blot gel)의 도면이며;FIG. 4C is a diagram of Western Blot gel shown in the 35 peak fractions of rCTB # 32 and # 32 which become CTB pentamers by expression of cell traits; FIG.

도 5a는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 (ELISA)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항-CTB 항체가 rCTB 능을 감지하여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의 플레이트에서 강글리오사이드 GM1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FIG. 5A is a graph show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showing that anti-CTB antibodies bind to ganglioside GM1 on plates of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by detecting rCTB function; FIG.

도 5b는 유동 세포계산 결합정량분석을 나타내는 스캔 (scan)으로, rCTB는 강글리오사이드 GM1을 발현하는 진핵세포에 결합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5B is a scan showing flow cytometry binding quantitative analysis, showing that rCTB is bound to eukaryotic cells expressing ganglioside GM1;

도 6a는 니코틴 구조식의 개략도이며;6A is a schematic of nicotine structural formul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니코틴 포합체를 제조시에 다양한 부위를 나타내는 도형이다. 상기 다양한 부위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포합체를 용이하게 지정하기 위하여 무작위로 배정한 것이며 특정 부위를 지칭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다양한 부위는 도 7에서 언급하고 있으며;Figure 6b is a figure showing a variety of sites when producing a nicotine conju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ous sites are randomly assigned to facilitate assignment of compounds and conjugates of the invention and do not refer to specific sites. In addition, the various sites are mentioned in FIG. 7;

도 7은 본 발명의 니코틴 포합체와 중간체에 대한 니코틴 분자의 다양한 이탈 부위에서 "분지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니코틴 포합체는 Q가 담체를 함유하는 T-세포 에피토프인 것을 나타내며;Figure 7 shows the "branched" at various leaving sites of nicotine molecules for nicotine conjugates and intermediat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icotine conjugate of the invention indicates that Q is a T-cell epitope containing a carrier;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포합체를 제조 시에 유용한 니코틴 대사물을 나타낸 것이며;8 shows nicotine metabolites useful in making some conjugates of the invention;

도 9a-b는 PS-55 및 암탉 난자 라이소자임 단백질(HEL)의 포합체에 결합되는 항체에 대하여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 (ELISA)에 따라 마우스 혈청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9a의 경우 마우스를 니코틴-BSA 포합체에 의해 면역된 상태이며, 또한 도 9b의 경우 마우스를 니코틴-CTB 포합체에 의해 면역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9A-B show the results of mouse sera tested according to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for antibodies bound to conjugates of PS-55 and hen egg lysozyme protein (HEL). In FIG. 9A, the mouse is immunized with nicotine-BSA conjugate, and in FIG. 9B, the mouse is immunized with nicotine-CTB conjugate;

도 10은 다양한 농도의 유리 니코틴 및 니코틴 대사물 그리고 코티틴 및 노르니코틴을 첨가 시에 유리 니코틴에 대한 항혈청의 특이성에 대하여 경쟁적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에서 항니코틴 항혈청을 시험하는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항혈청은 니코틴 포합체 PS-55 BSA를 마우스에 주입하여 제조하였다. 니코틴 대사물의 존재가 전혀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항혈청내에서 항니코틴 항체는 니코틴에 특이적이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마취제인 리도카인을 음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항체의 대한 결합능에 아무런 경쟁을 하지 않았다. 또한, 니코틴 포합체 PS-55 HEL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항체에 대한 PS-55 HEL의 결합능은 유리 니코틴에 의하여 억제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FIG. 10 shows the results of testing antinicotine antisera in a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the specificity of antisera to free nicotine upon addition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free nicotine and nicotine metabolites and cortitin and nornicotine. The antiserum was prepared by injecting nicotine conjugate PS-55 BSA into mice. Since no presence of nicotine metabolites has been identified, it has been shown that antinicotine antibodies are specific to nicotine in the antiserum. Anesthetizing lidocaine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and there was no competition for binding of the antibody. In addition, nicotine conjugate PS-55 HEL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and the binding capacity of PS-55 HEL to the antibody was shown to be inhibited by free nicotine;

도 11a는 헤로인 구조식의 개략도이며;11A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eroin structural formula;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헤로인 포합체를 제조 시에 다양한 부위를 나타내는 도형이다. 상기 다양한 부위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포합체를 용이하게 지정하기 위하여 무작위로 배정한 것이며 반드시 부위를 지칭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다양한 부위는 도 12에서 언급하고 있으며;Figure 11b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sites in the preparation of the heroin conju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ous sites are randomly assigned to facilitate assignment of compounds and conjugates of the invention and do not necessarily refer to sites. In addition, these various sites are mentioned in FIG. 12;

도 12는 본 발명의 헤로인 포합체와 중간체에 대한 헤로인 분자의 다양한 이탈 부위에서 "분지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헤로인 포합체는 Q가 담체를 함유하는 T-세포 에피토프인 것을 나타낸다.Figure 12 shows the "branched" at various leaving sites of the heroin molecule for the heroin conjugates and intermediat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roin conju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that Q is a T-cell epitope containing a carrier.

본 발명에서 언급하고 있는 해당 특허 및 학술적 문헌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고 있는 자에게 이미 알려진 내용이다. 또한, 본 특허에서 인용한 공개된 미합중국 특허, PCT 간행물 및 기타 출판물은 이하 참고문헌으로 통칭한다.The patents and academic document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published US patents, PCT publications, and other publications cited in this patent are referred to below by reference.

본 발명은 약물중독자에게 약물/불완전항원-담체 포합체, 보다 상세하게는 헤로인-단백질 포합체나 니코틴-단백질 포합체를 접종함으로써 약물남용에 대한 약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불완전항원(hapten)과 적어도 하나의 T-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하고 있는 담체로 구성되며,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를 형성하는 접합 공정시에 항불완전 항원(hapten) 항체의 생성을 자극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T-세포 에피토프"는 T-세포 수용체에의해 인식되는 기본요소나 아주 작은 단위를 의미하며, 상기 에피토프는 수용체 인식에 필수적인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T-세포 에피토프의 아미노산을 모방하고 단백 알러지원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을 수식하는 아미노산서열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펩티도 모방성 (peptidomimetic)"은 천연분자를 모방한 생물활성적 펩티드에서 유래한 화학적 구조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불완전항원(hapten)은 약물이나 약물유도체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코카인, 헤로인 또는 니코틴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drug for drug abuse by injecting drug addicts with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s, more specifically, heroin-protein conjugates or nicotine-protein conjugates.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carrier containing at least one incomplete antigen (hapten) and at least one T-cell epitope, and anti-incomplete during the conjugation process to form an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 It can stimulate the production of antigen antibodies. As used herein, the term "T-cell epitope" refers to a basic element or a very small unit recognized by a T-cell receptor. The epitope is composed of amino acids essential for receptor recognition. Amino acid sequences that mimic the amino acids of the T-cell epitopes and modify allergic responses to protein allerge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eptidomimetic" can be defined as the chemical structure derived from bioactive peptides that mimic natural molecules. The incomplete antigen (hapten) can be a drug or drug derivative, in particular cocaine, heroin or nicotine.

상기 불완전항원(hapten)/약물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을 약물중독자에게 투여하는 경우 약물에 특이적인 항불완전항원 (hapten)성 항체가 유도된다. 치료학적 면역 약물요법은 현저히 높은 역가의 항불완전항원(hapten)성 항체를 유도하고 이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치료제의 유효기간동안 일련의 노출에 따라 항불완전항원(hapten)성 항체는 체내에서 충분한 양의 약물을 중성화시켜 약물의 약리학적 효과를 소실시키지 않으나 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치료학적 조성물이 헤로인-담체 포합체인 경우 이를 적용시에 항헤로인 항체 반응이 유도되어 피험자의 혈류내에서나 점막조직에서 헤로인의 양을 감소 또는 중화시킴으로서 약물에 대한 심리학적 탐닉성을 차단하게 된다.When a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ing the incomplete antigen (hapten) / drug (or a derivative thereof) is administered to a drug addict, an anti-haptic antibody specific for the drug is induced. Therapeutic immune pharmacotherapy induces and maintains significantly high titers of anti-incomplete antigenic antibodies, resulting in a sufficient amount of drug in the body following a series of exposures during the lifetime of the therapeutic agent. Can be neutralized to reduce but not lose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the drug. For example, if the therapeutic composition is a heroin-carrier conjugate, an anti-heroin antibody response upon application thereof may be induced to reduce or neutralize the amount of heroin in the bloodstream or mucosal tissues of the subject, thereby reducing psychological addiction to the drug. Will be blocked.

본 발명에 따르면, 남용된 약물의 양이 중추신경계에 도달하는 것이 지연되거나 감소되므로 약물중독자는 헤로인을 사용에 따른 만족감이 감소되거나 이를 전혀 느끼지 못하게 된다. 니코틴-담체 포합체를 투여시에 상기와 같은 작용기전에 따라 항니코틴 항체를 유도하여 니코틴의 사용에 따른 만족감이 감소되거나 이를 전혀 느끼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약제를 투여시에 나타난 부작용은 없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순간적 약물남용은 작고, 1가이며 항체와 교차결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면역착물의 형성과 그 관련된 병소학은 남용된 약물에 노출시에도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제는 현재와 향후 약리학적 치료요법과 조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효과적인 중성화 반응은 그 작용시간이 길게 지속된다. 예를 들면, 병소에 대한 중성화 항체반응은 수년동안 지속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을 사용시에 유도된 높은 여가의 항불완전항원(hapten)성 항체의 경우 그 작용시간이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1년동안 지속적으로 유효하다.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은 복약성의 감소와 더불어 그 작용시간이 오랫동안 지속되므로 기존의 치료요법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던 상습성을 감소시키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mount of drug abused is delayed or reduced in reach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e drug addict may experience a decrease in satisfaction or no feeling of using heroin. When administering nicotine-carrier conjugates, anti-nicotine antibodies are induced according to the above mechanism of action, thereby reducing satisfaction or no feeling at all in using nicotine.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no side effects when administering the medica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stant drug abuse is small, monovalent and incapable of crosslinking with antibodies. Thus, the formation of immunocomplexes and their associated pathology do not occur even upon exposure to abused drugs. It is anticipated that the ag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atible with current and future pharmacological therapies. In addition, an effective neutralization reaction lasts a long time. For example, neutralizing antibody responses to lesions are known to last for years. Therefore, the high leisure anti-hapten antibody, which is derived from the use of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long duration of action and remain effective for one year.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reduction of the medication, the action time lasts for a long time, thereby reducing the habituality that has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in the conventional therapy.

또한, 헤로인 중독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을 접종하는 방법은 현재 사용중이거나 임상시험중에 있는 다른 약물과 병용이 가능하다. 실제로 초기 임상단계에서 병용요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최적의 항체역가를 득하는데 필요한 것이다.In addition, the method of inoculating a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heroin poisoning can be combined with other drugs currently in use or in clinical trials. Indeed, combination therapy at an early clinical stage is desirable, which is necessary to obtain optimal antibody titers.

이와 유사하게, 헤로인 중독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을 접종하는 방법은 니코틴의 금단증상을 최소화시키는 다른 약물과 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니코틴-담체 포합체는 클로리딘, 부스피론 및 항우울제, 또는 진정제와 병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백신의 경우 기존의 대치 약물, 즉 껌과 패취제제와 병용할 수 있다. 항니코틴 항체는 그 생성에 있어 수주일이 소요되므로 니코틴 대치약물을 사용시에 약물갈망에 대한 일정한 수준의 통제가 이루워져야 한다.Similarly, the method of inoculating a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heroin poisoning can be combined with other drugs that minimize the withdrawal symptoms of nicotine. For example, the nicotine-carrier conjugat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hloridine, buspyrone and antidepressants, or sedatives. In the case of a vaccine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it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existing replacement drugs, ie, gum and patch. Since anti-nicotine antibodies take several weeks to produce, there must be some level of control over drug cravings when using nicotine replacement drugs.

본 발명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불완전항원"은 낮은 분자량을 가지고 있는 유기화합물로써 항체와 특이적으로 반응하며 그 자체로 면역반응을 야기시킬 수 없으나 불완전항원-담체 포합체를 형성하는 T-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한 담체에 부착 시에 면역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불완전항원은 불완전항원-담체 포합체의 특이성을 결정하는 부분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즉 유리상태에서 불완전항원에 특이적인 항체와 반응을 할 수 있다. 비면역된 약물피험자의 경우 상기 불완전항원에 대한 항체가 생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은 약물에 중독되어 이를 치료하고자 하는 약물중독자에게 접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완전항원이라는 용어는 보다 특이적인 약물/불완전항원이라는 개념으로 약물, 약물의 부분적 요소를 지니고 있는 유사체나 약물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치료학적 조성물이나 치료학적 항불완전항원 (hapten)성 백신은 이를 최초로 투여시에 "바람직하고 측정가능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처음 투여시에 바람직하고 측정가능한 결과는 높은 역가의 항불완전항원(hapten)성 항체가 생성된다는 것이다. 역가는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에 의해 최대 항체의 반이 감지되는데 필요한 혈청의 희석으로 정의한다 (titer is defined as the serum dilution required for half maximum antibody detection by ELISA). 그러나, 약물중독자에 적절한 용량을 선택함으로서 지속적으로 바람직한 치료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치료효과"는 남용된 유리 약물의 충분한 분획물이 중성화되는 것인데, 이는 약물에 대한 본 발명의 약제를 계속 노출시에 약물에 특이적인 항불완전항원(hapten)성 항체의 생성에 따라 치료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시간내에서 약물의 약리학적 효과를 감소 또는 제거시킬 수 있다. 특정 약물에 대하여 충분한 항체반응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시간과 항체반응을 얼마나 지속시킬 수 있는 가에 대하여 치료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시간은 피험자에 대한 면역생성의 특성, 중성화되는 남용된 약물이나 투여형태를 평가함으로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정한다.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정보와 기타 접종관련 임상실시계획서를 이용하여 항체의 생성에 따른 면역기간이나 그 항체반응이 수개월 내지 1년동안 지속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Terms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help understanding. "Incomplete antigen"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compound that specifically reacts with antibodies and cannot induce an immune response by itself, but forms a T-cell epitope that forms an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 Immunity is produced upon attachment to the carrier containing. In addition, the incomplete antigen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specificity of the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 that is, it can react with the antibody specific to the incomplete antigen in the free state. In the case of non-immunized drug subjects, no antibody against the incomplete antigen is produced.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oculated to drug addicts who are addicted to the drug and wish to treat 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incomplete antigen includes a drug, an analog or a derivative of a drug having a partial component of the drug in the concept of a more specific drug / incomplete antigen. Therapeutic compositions or therapeutic antihaptic vaccines will produce "desirable and measurable results" upon first administration. A desirable and measurable result at the first dose is the production of high titer antihapty antibodies. Titer is defined as the serum dilution required for half maximum antibody detection by ELISA. However, choosing an appropriate dose for a drug addict can result in a consistently desirable therapeutic effect. The "desirable therapeutic effect" is that a sufficient fraction of the abused free drug is neutralized, which is dependent on the production of anti-haptic antibodies specific for the drug upon continued exposure of the dru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drug. It can reduce or eliminate the pharmacological effect of the drug within an acceptable time. The time required to elicit sufficient antibody response to a particular drug, and the therapeutically acceptable time for how long the antibody response can be maintained, asse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munogenicity to the subject, the drug or dosage form being neutraliz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use the above information and other vaccination-related clinical protocols to know that the duration of immunity or antibody response following antibody production can last for months to one year.

또한, "수동면역"은 본 발명의 신규한 포합체를 사용하여 제조한 본래의 항불완전항원(hapten)성 항체, 다클론성 항체 또는 단클론성 항체 단편 (Fab, Fv, (Fab')2 또는 Fab')를 투여하거나 노출시키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헤로인이나 항니코틴 항체를 그대로 인체에 투여하는 수동면역은 능동면역보다 유용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수동면역은 최초의 병용투여나 보조적 약물요법 (예를 들면, 백신의 최초 투여기간이나 항체를 체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하기 이전기간), 또는 사망을 방지하기 위한 긴급한 상황 (예를 들면, 약물을 과량복용한 경우)에 유용하다. 특정한 상황, 즉 면역타협이나 신속한 치료를 요하는 환자가 발생한 경우에만 수동면역치료방법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passive immunity" refers to intact anti-hapten antibody, polyclonal antibody or monoclonal antibody fragments (Fab, Fv, (Fab ') 2 or prepared using the novel conjugates of the invention or Fab ') is defined as administering or exposing. As mentioned above, passive immunization of the anti-heroin or anti-nicotine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human body as it is may be less useful than active immunity. In particular, passive immunization may be the first combination or adjuvant drug therapy (e.g., the initial period of administration of the vaccine or a period prior to the production of antibodies in-house), or an urgent situation to prevent death (e.g., drugs In case of overdose). Passive immunotherapy is desirable only in certain situations, i.e., when a patient is in need of immunocompromise or prompt treatment.

또한,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을 포함한 본 발명의 약물-포합체는 예방약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약물-포합체 또는 그 조성물은 인체에 노출시키기 전에 항불완전항원(hapten)성 항체를 생성시키기 위하여 포유동물에 투여할 수 있다. 생성된 항불완전항원(hapten)성 항체는 포유동물에 존재하여 상기 포합체 또는 그 조성물의 투여에 따라 도입된 약물과 결합하게 되어 약물에 중독될 가능성을 최소화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ug-complex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rophylactic agent. That is, the drug-complex or composition thereof may be administered to a mammal to produce anti-haptic antibodies prior to exposure to the human body. The resulting anti-haptic antibodies may be present in mammals and combined with drugs introduced upon administration of the conjugates or compositions thereof to minimize or prevent the possibility of drug addiction.

본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 보다 상세하게 치료학적 항불완전항원(hapten)성 백신의 경우 약물/불완전항원(hapten)에 특이적인 충분히 높은 역가의 항체의 생성을 유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약물/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조성물로서, 이를 약물/불완전항원(hapten)에 노출시에 상기 항체는 약물의 탐닉성를 감소시킬 수 있다.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에 대한 기대되는 면역반응은 항불완전항원(hapten)성 및 항담체성 항체의 형성이다. 충분한 양의 항불완전항원(hapten)성 특이적 항체가 도입되는 경우에 치료학적 가능한 단계가 되어 접종후에 도입된 약물에 대한 중성화 공격을 개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치료학적 용량은 최초의 접종과 이를 활성화시킨 후에 충분한 항체의 생성시간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최적의 항불완전항원(hapten) 백신은 불완전항원(hapten)으로서의 약물과 담체를 적절하게 결합한 적어도 하나의 약물/불완전항원(hapten) 담체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항불완전항원(hapten) 항체가 생성되면 최적의 치료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즉, 상기 항체는 생체내에서 충분히 높은 역가로 잔류하게 되어 특정 약물에 인체가 수개월 계속 노출되어도 이를 중성화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항체의 역가가 충분히 높기 때문에 개인에 따라 약 2개월에서 1년이상, 보다 통상적으로는 적어도 3개월동안 약물에 노출시에 효과적인 반응을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최적의 조성물은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 부형제와 임의적으로 보강제를 함유할 수 있다.Therapeutic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particularly for therapeutic antihapta vaccines, at least one drug / incomplete that can induce the production of sufficiently high titers of antibodies specific for drug / hapten antigens. A composition containing an antigen-carrier conjugate, wherein upon exposure to a drug / hapten, the antibody can reduce the addiction of the drug. The expected immune response to the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 is the formation of anti-haptic and anti-carrier antibodies. When a sufficient amount of anti-haptic specific antibody is introduced, it is a therapeutically feasible step to initiate a neutralizing attack on the introduced drug after inoculation. Therapeutic doses of the invention confer sufficient production time for the initial inoculation and after activation. In addition, optimal antihap vaccines contain at least one drug / hapten carrier that suitably combines the drug as a hapten and a carrier. It can bring about optimal treatment effect. That is, the antibody may remain at a sufficiently high titer in vivo and may neutralize it even when the human body is exposed to a certain drug for several months. More specifically, since the titer of the antibody is high enough, it may bring about an effective response upon exposure to the drug for about 2 months to 1 year or more, and usually at least 3 month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The optimal composition may contain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s, excipients and optionally adjuvants.

본 발명은 헤로인 중독을 치료시에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를 정의하고 있는 바, 여기에서 불완전항원(hapten)은 헤로인이나 헤로인 유도체로서 포유동물, 특히 인간을 면역시킬 수 있으며, 유리 약물과 결합할 수 있는 항헤로인 항체를 유도하고 또한 뇌에서 약물이 보상시스템으로 이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탐닉성 약물행위를 억제한다. 코카인 및 니코틴에 대하여 논의한 바와 같이 항헤로인 항체는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는 헤로인의 분포를 제한하여 약물의 약리학적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n incomplete antigen (hapten) -carrier conjugate in the treatment of heroin poisoning, wherein the incomplete antigen (hapten) is a heroin or a heroin derivative that can immunize mammals, especially humans, and is a free drug Induces antiheroin antibodies that can bind to and inhibits intoxicant drug behavior by preventing the drug from entering the reward system in the brain. As discussed for cocaine and nicotine, antiheroin antibodies appear to reduce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the drug by limiting the distribution of heroin across the blood-brain barrier.

본 발명은 니코틴 중독을 치료시에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를 정의하고 있는 바, 여기에서 불완전항원(hapten)은 니코틴이나 니코틴 유도체로서 포유동물, 특히 인간을 면역시킬 수 있으며, 유리 약물과 결합할 수 있는 항니코틴 항체를 유도하고 또한 뇌에서 약물이 보상시스템으로 이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탐닉성 약물행위를 억제한다 (예를 들면, 흡연하는 행위). 니코틴은 뇌에서 니코틴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알파-서브유닛 (alpha-subunit)과 결합하여 도파민 방출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뇌에서 증가된 니코틴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니코틴의 심리학적 의존정을 항진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항니코틴 항체는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는 니코틴의 분포를 제한하여 약물의 약리학적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n incomplete antigen (hapten) -carrier conjugate when treating nicotine poisoning, wherein the incomplete antigen (hapten) is capable of immunizing mammals, especially humans, as nicotine or nicotine derivatives, and is a free drug. Induces antinicotine antibodies that can bind to and inhibits addiction drug activity (eg, smoking) by preventing the drug from entering the reward system in the brain. Nicotine is known to increase dopamine release by binding to the alpha-subunit of the nicotine acetylcholine receptor in the brain. In addition, the increased nicotine acetylcholine receptor in the brain seems to promote the psychological dependence of nicotine. As mentioned above, antinicotine antibodies appear to reduce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the drug by limiting the distribution of nicotine across the blood-brain barrier.

예를 들면, 니코틴 수송에 대한 일부 표준화 단계가 있다. 즉, 각각의 궐련은 평균적으로 9mg의 니코틴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중 1-3mg의 니코틴이 흡연시에 효과적으로 분산된다. 또한, 니코틴의 혈중최고농도는 25-50ng/ml로서 코카인 (0.3-1ug/ml)에 비하여 현저히 낮다. 따라서, 적절하게 친화도가 높은 항체가 이상적으로 관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For example, there are some standardization steps for nicotine transport. That is, each cigarette contains 9 mg of nicotine on average, of which 1-3 mg of nicotine is effectively dispersed during smoking. In addition, the highest blood concentration of nicotine is 25-50 ng / ml, which is significantly lower than cocaine (0.3-1 ug / ml). Thus, an appropriately high affinity antibody provides an opportunity for ideal involvement.

본 발명의 치료학적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 조성물을 최초로 접종하면 생체내에서 높은 역가의 불완전항원(hapten)특이성 항체를 생성한다. 주기적으로 접종한 피험자의 혈장을 검사하는 것은 개인별 유효용량을 측정하는데 유효하다. 역가수치는 주기적인 활성화를 통하여 상승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카운셀링을 포함하여 기존의 약물을 투여하는 재활훈련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은 단일 투여하거나 수종의 약물과 동시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투여가 가능하며 다른 약물과 병용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치료학적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은 전반적인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기존의 약리학적 접근방법과 앞에서 논의한 "단기간"의 수동면역방법과 병행하여 사용된다.The first inoculation of a therapeutically hapten-carrier conjugat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produces high titers of hapten-specific antibodies in vivo. Examining the plasma of subjects who have been periodically inoculated is effective to determine the effective dose for each individual. The titer value is kept rising through periodic activatio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in parallel with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existing drug, including counseling. In addition,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in a single dose or simultaneously or continuously with several drugs and may be co-administered with other drugs. For example, the therapeutic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preparation method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existing pharmacological approaches and the "short-term" passive immunity method discussed above to enhance the overall therapeutic effect. do.

본 발명의 치료학적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불완전항원(hapten)분자를 담체를 함유하는 T-세포 에피토프에 커플링하여 제조되는데, 상기에서 제조된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는 T 세포 (면역생성)를 자극할 수 있으므로 T 세포의 증가와 조절인자의 특징적 방출을 자극하므로 관련 B 세포를 활성화하여 특이적 항체생성을 자극하게 된다. 관심대상이 되는 항체는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 (또한, 불완전항원(hapten)-담체 착물이라고도 한다)의 불완전항원(hapten)부분에 특이적인 항체이다. 동일한 약물 (교차면역)이나 다제약물 (혼합면역)에대한 포합체 복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공개하였다. 상기 다제약물에 있어 포합체의 혼합물은 특히 다제약물에 의한 중독치료엥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Therapeutic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are prepared by coupling one or more incomplete antigen molecules to a T-cell epitope containing a carrier, wherein the incomplete antigen (hapten) -prepared above is prepared. Carrier conjugates can stimulate T cells (immunogenesis) and thus stimulate the increase of T cells and the characteristic release of regulators, thereby activating the relevant B cells to stimulate specific antibody production. The antibody of interest is an antibody specific for the incomplete antigen (hapten) portion of the incomplete antigen (carrier) -carrier complex (also called the incomplete antigen-carrier complex). A composition containing a conjugate complex for the same drug (crossimmune) or multidrug (mixed immunity) is disclosed. Mixtures of the conjugates in the multi-drug are particularly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addiction by the multi-drug.

본 발명에 따라 포합체에 적당한 약물을 선택함에 있어서, 당업계에 지식을 가진 자는 높은 항체역가를 유도할 수 있는 약물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선택된 분자가 약물중독자에 내인성인 분자와 유사한 경우에는 상기 분자에 대한 항체의 상승으로 체내에 있는 많은 분자와 교차반응을 초래하여 유해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불완전항원(hapten) (약물/불완전항원(hapten))으로 선택된 약물은 충분히 이물성을 띠고 충분한 크기를 지니고 있어 인체내에서 통상적으로 발견되는 분자에 항체가 유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치료학적 조성물에 대하여 상승된 항체는 높은 특이성을 지니고 있으며 충분한 양이 존재함으로 혈류나 점막 또는 양쪽모두에 있는 약물을 중성화시킨다. 본 발명의 내용을 제한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치료학적 조성물에 적합한 약물은 다음과 같다.In selecting a drug suitable for the conju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select a drug capable of inducing high antibody titers. However, if the selected molecule is similar to a molecule that is endogenous to the drug addict, an increase in the antibody to the molecule may cause cross-reaction with many molecules in the body, which may have a detrimental effect. Therefore, drugs selected as incomplete antigens (drugs / haptens) are sufficiently heterogeneous and of sufficient size to prevent the induction of antibodies to molecules commonly found in the human body. Antibodies elevated for therapeutic compositions have high specificity and are present in sufficient amounts to neutralize drugs in the bloodstream, mucosa or both. Drugs suitable for the therapeutic composi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환각제 (예를 들면, 메스카린 및 LSD);Hallucinogenic agents (eg, mescarin and LSD);

마리화나 (예를 들면, THC);Marijuana (eg, THC);

흥분제 (예를 들면, 암페타민, 코카인, 펜메트라진, 메틸페니데이트);Stimulants (eg, amphetamines, cocaine, penmetrazine, methylphenidate);

니코틴;nicotine;

우울제 (예를 들면, 비바르비트레이트류; 브로마이드류, 크로랄 수화물 (chloral hydrate 등), 메타콸론, 바르비트레이트, 디아제팜, 플루라제팜, 펜사이클리딘 및 플루오세틴);Depressants (eg, bibarbitrates; bromides, chloral hydrates, etc.), metacelons, barbitrates, diazepam, flulazepam, phencycline and fluorocetin;

아편 및 그 유도체 (예를 들면, 헤로인, 메타돈, 몰핀, 메페리딘, 코데인, 펜타조신 및 프로폭시펜; 그리고Opiates and derivatives thereof (eg, heroin, methadone, morphine, meperidine, codeine, pentazosin and propoxyphene; and

"환각"과 같은 "설계약물"."Designated drugs" such as "psychedelic".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라 포합에 적절한 4개의 약물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3 shows the structure for four drugs suitable for inclus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담체는 피험자의 T 세포를 자극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T-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하고 있는 분자로서 B 세포를 자극하여 불완전항원(hapten)부분을 포함하는 전체의 포합체 부분에 대하여 지속적인 항체생성을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면역을 생성하는 담체를 선택하므로 당양한 환자모집단에서 백신에 대한 강력한 면역반응이 기대되고 있다. 불완전항원(hapten)과 마찬가지로 담체는 충분한 이물성을 지니고 있어서 백신에 대한 강력한 면역반응을 유도하여야 한다. 약물에 대한 보수적이나 비필수적인 접근방법은 대부분의 환자에 노출시키지 않은 담체를 사용하여 담체가 유도하는 에피토프의 억제현상을 피하는데 있다. 그러나, 담체에 의해 유도되는 에피토프의 억제현상이 발생하지만 상기 억제현상은 CTB 사용 (Stok et al. (1994) Vaccine 12:521-526)을 위시하여 용량조절 (Dijohn et al. (1989) Lancet 1415-1418) 및 기타 임상시험계획서상의 수정(Etlinger et al. (1990) Science 249:423-425) 등을 통하여 극복될 수 있다. 담체단백질을 이미 면역상태에 있는 환자에게 이용한 백신은 현재 상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다량의 리신을 함유하고 있는 담체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콘쥬게이션에 특히 적절하다. 이용이 가능한 상당 수의 담체가 있으며 그 예는 다음과 같다.The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lecule containing at least one T-cell epitope capable of stimulating a T cell of a subject, thereby stimulating B cells to sustain antibodies against the entire conjugate part, including the incomplete antigen part. Keeps the creation Therefore, the selection of a carrier that produces immunity is expected to have a strong immune response to the vaccine in a patient population. As with incomplete antigens, the carrier must be sufficiently heterogeneous to induce a strong immune response to the vaccine. A conservative or non-essential approach to drugs is to avoid carrier-induced inhibition of epitopes using carriers that have not been exposed to most patients. However, carrier-induced epitope inhibition occurs, but the inhibition is controlled by CTB (Stok et al. (1994) Vaccine 12: 521-526). -1418) and other amendments to the protocol (Etlinger et al. (1990) Science 249: 423-425). Vaccines using carrier proteins in patients already in an immune state are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In addition, carriers containing large amounts of lysine are particularly suitable for conjugation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invention. There are a significant number of carriers available, for example:

박테리아 독소 또는 독소, 예를 들면 콜레라 독소 B-(CTB), 디프테리아 독소, 파상풍 독소, 백일해 독소 및 섬유상 적혈구응집소, 쉬가 독소, 슈도모나스 외독소;Bacterial toxins or toxins such as cholera toxin B- (CTB), diphtheria toxin, tetanus toxin, pertussis toxin and fibrous hemagglutinin, Shiga toxin, Pseudomonas exotoxin;

렉틴, 예를 들면, 리신 B 서브유닛, 아브린 및 감미강낭콩 렉틴;Lectins such as lysine B subunit, abrin and sweet kidney bean lectin;

서브 바이러스, 예를 들면, 레트로바이러스 핵단백 (retro NP), 광견병 라이보핵단백(rabies RNP), 식물바이러스 (e.g., TMV, 광저기 및 콜리플라워 모자이크 바이러스), 소포상 구내염 바이러스-뉴클레오캡시드 (VSA-N), 폭스바이러스 벡터 및 셈리키 산림 바이러스 벡터; 인공전파체, 예를 들면, 다항체성 펩티드 (MAP), 중심체;Subviruses such as retroviral nuclear protein (retro NP), rabies RNP, plant virus (eg, TMV, photosensitive and cauliflower mosaic virus), vesicular stomatitis virus-nucleocapsid (VSA) -N), poxvirus vectors and Semiki forest virus vectors; Prodrugs such as polyantibody peptides (MAPs), centrosomes;

효모 바이러스양입자 (VLPs);Yeast virus positive particles (VLPs);

말라리아 단백항원;Malaria protein antigen;

및 단백질 및 펩티드 외 수식제, 유도체, 또는 이들의 유사체 등.And protein and peptide modifiers, derivatives, or analogs thereof.

적절한 담체의 특징을 평가하기 위하여 소혈청알부민을 단백담체로서 사용하여 관련실험을 최초로 실시하였다. 소혈청알부민의 경우 그 가격이 저렴하고 포합 시에 다량의 리신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상당히 이상적인 담체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상기 소혈청알부민은 인체에 접종시에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항BSA 항체의 생성이 부작용을 야기시킬 잠재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실험결과에 따라 상기에서 언급한 기준을 다량의 후보담체에게 적용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에서 언급한 담체의 예는 본 발명의 실시에 적절한 것이다.In order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suitable carriers, the first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bovine serum albumin as a protein carrier. Bovine serum albumin was considered to be an ideal carrier because of its low cost and high concentration of lysine in the inclusion. However, the bovine serum albumin has been shown to be inadequate upon inoculation in humans because the production of anti-BSA antibodies has the potential to cause side effects. Therefore, the above-mentioned criteria were applied to a large number of candidate carrier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Accordingly, examples of the above-mentioned carriers are suitable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람직한 구현예을 위한 담체는 단백질이나 펩티트 (예를 들면, 다항체성 펩티드 (MAP)) 또는 단사슬 펩티드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적인 담체는 약물중독치료가 하고 있는 국가에서 통상적으로 접종에 사용되고 있지 않은 단백질이나 펩티드로서 "담체에 의해 유도되는 에피토프성 억제"의 가능성을 피하게 된다. 예를 들면, 미국의 경우 표준적 소아면역으로 디프테리아 및 파상풍을 들 수 있는데 파상풍 독소 및 디프테리아 독소는 미리 화학적 수식을 가하지 않는 한 적절한 독소로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담체단백은 인체에 순응성 (tolerant)을 지니고 있지 않아야 한다. 인체의 경우 화학적으로 수식되지 않은 인간혈청알부민은 제외한다. 또한, 대다수의 식품단백질은 담체로 사용하기 전에 세심한 검사가 이루워져야 한다. 인체의 경우 소혈청알부민은 대부분의 인간들이 그들의 일상음식에서 소고기를 섭취하기 때문에 담체로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담체가 유전성의 면역형성이나 보조성을 지니는 경우 아주 유익하다. 담체의 면역형성에 대한 요구사항과 항불완전항원(hapten)성 항체를 극대화시키는 요구사항에 세심한 균형이 이루워져야 한다. 또한, 바람직한 담체는 전신적 반응과 노출부위에서의 반응을 유도하여야 하며 이는 약물중독자의 점막을 통하여 흔히 투여되는 헤로인, 코카인 및 니코틴의 경우에 특히 요구된다. 반응속도는 코카인이나 헤로인이 흡인되는 환자의 경우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헤로인, 코카인 및 니코틴의 경우에 바람직한 담체는 전신적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뿐만 아니라 이전에 존재하는 점막성 항체반응도 유도하게 된다. 상기 점막성 반응은 헤로인, 코카인 및 니코틴과의 항체반응은 혈중에서 약물이 순환되기 전에 약물에 역작용을 충분히 초래할 정도고 신속하게 일어 난다.Carriers for preferred embodiments include proteins or peptides (eg, polyantibody peptides (MAP)) or short chain peptides. An ideal carrier is a protein or peptide that is not commonly used for vaccination in countries where drug addiction is being treated, thereby avoiding the possibility of "carrier-induced epitope inhibition." For example, in the United States, standard pediatric immunity includes diphtheria and tetanus, but tetanus toxin and diphtheria toxin are undesirable as appropriate toxins unless chemical modifications have been previously made. In addition, the carrier protein should not have a tolerant to the human body. The human body excludes human serum albumin, which is not chemically modified. In addition, most food proteins must be carefully examined before being used as a carrier. In the human body, bovine serum albumin is not a suitable carrier because most humans consume beef from their daily diet. It is also very beneficial when the carrier has inherited immunity or support. Careful balance must be made between the requirements for the immunization of the carrier and the requirements for maximizing anti-hapten antibodies. In addition, preferred carriers should induce a systemic response and a response at the site of exposure, which is particularly required in the case of heroin, cocaine and nicotine, which are commonly administered through the mucosa of drug addicts. Response rate is especially important in patients with cocaine or heroin aspiration. Thus, in the case of heroin, cocaine and nicotine, preferred carriers not only induce systemic responses but also induce previously existing mucosal antibody responses. The mucosal reaction occurs rapidly and rapidly enough that the antibody reaction with heroin, cocaine and nicotine causes sufficient adverse effects on the drug before the drug is circulated in the blood.

하나의 바람직한 담체의 예로서 콜레소 독소 B (CTB)를 들 수 있는데, 상기 독소는 전신적이고 점막성 항체반응를 강력하게 자극할 수 있는 고도의 면역형성 단백질이다 (Lycke (1992)J. Immunol. 150:4810-4821; Holmgren et al. (1994)Am.J. Trop.Med.Hyg. 50"42-54; Shilbart et al. (1988)J.Immun.Meth. 109:103-112; Katz et al. (1993)Infection Immun. 61:1964-1971). 이와 같이 결합된 IgA 및 IgG 항불완전항원(hapten) 반응은 경비 또는 흡입경로로 투여된 헤로인이나 코카인을 차단하고 입이나 폐를 통하여 흡수된 니코틴을 차단하는데 극히 바람직하다. 또한, CTB는 콜레라 백신에 대한 임상시험에서 이민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다 (Holmgren et al., supra; Jerborn et al.(1994) Vaccine 12:1078-1082; "The Jordan Report, Accelerated Development of Vaccines' 1993., NIAID, 1993).An example of one preferred carrier is Colesotoxin B (CTB), which is a highly immunogenic protein capable of strongly stimulating systemic and mucosal antibody responses (Lycke (1992) J. Immunol. 150 : 4810-4821; Holmgren et al. (1994) Am. J. Trop. Med. Hyg. 50 "42-54; Shilbart et al. (1988) J. Immun. Meth. 109: 103-112; Katz et al (1993) Infection Immun. 61: 1964-1971) This combined IgA and IgG anti-incomplete antigen response (hapten) blocks nicotine absorbed through the mouth or lungs by blocking heroin or cocaine administered by nasal or inhalation routes. In addition, CTB has immigration safety in clinical trials for cholera vaccines (Holmgren et al., Supra; Jerborn et al. (1994) Vaccine 12: 1078-1082; "The Jordan Report , Accelerated Development of Vaccines' 1993., NIAID, 1993).

기타 유용한 담체로서 점막성반응을 향상시키는 담체를 들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박테리아성 독소의 LTB 계열, 레트로바이러스 핵단백 (레트로 NP), 광견병 라이보단백 (광견병 RNP), 소포성 구내염 바이러스-뉴클레오캅시드 단백 (VSV-N) 및 재조합 천연두 바이러스 서브유닛 등을 들 수 있다.Other useful carriers include those that enhance mucosal reactions. Specific examples include LTB family of bacterial toxins, retroviral nucleoprotein (Retro NP), rabies riboprotein (rabies RNP), vesicular stomatitis virus-nucleo Capsid proteins (VSV-N), recombinant smallpox virus subunits, and the like.

또 하나의 구현예로서 알러젠의 각종단백 유도체, 펩티드 단편 또는 유사체 등이 담체로서 사용된다. 상기 담체들을 선택하는 이유는 이들이 항불완전항원 (hapten) 항체의 B 세포를 유발자극 (initiation)시킬 수 있는 T 세포의 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알러젠 단백질 및 펩티드을 제조하는 방법과 그 서열의 예는 1995년 10월 19일에 공개된 특허 (WO) 95/27786)에 수록되어 있다. 담체로서 특히 적절한 알러젠은 Cryptomeria japonica로서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재조합 Cry j 1인데 그 서열은 야간의 변형과 더불어 공개되어 있다. Cryptomeria japonica는 일본 이외의 국가에서 존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Cry j 1 알러젠은 일반적으로 적절한 담체의 기준에 적합한데 이는 피험자가 인전에 노출되지 않은 담체인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various protein derivatives, peptide fragments or analogs of allergens are used as carriers. The reason for selecting these carriers is that they induce a response of T cells that can induce B cells of anti-hapten antibodies. Examples of methods for making allergen proteins and peptides and sequences thereof are disclosed in patent (WO) 95/27786, published October 19, 1995. Particularly suitable allergens as carriers are Cryptomeria japonica, more specifically recombinant Cry j 1, the sequence of which is disclosed with nocturnal modifications. Cryptomeria japonica does not exist outside of Japan. Thus, Cry j 1 allergens generally meet the criteria of a suitable carrier, which is a carrier to which the subject has not been exposed to humans.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과 조성물,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그 사용기술은 이하 실시예에 설명되어 있으며 당업계에 지식을 가진 자는 선택한 약물/불완전항원(hapten)을 선택된 담체와 연계하여 본 발명의 불완전항원 (hapten)-담체 포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The preparation method an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the use technique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connection with the selected carrier / selected drug / incomplete antigen (hapten) incomplete antigen of the present invention (hapten) -carrier conjugates can be prepared.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치료학적 조성물에 의해 유도된 항체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물이 폐에서 심장을 통하여 뇌에 이행되는 시기에 작용한다. 이와 같은 항체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능력은 담체분자의 세심한 선택에 의해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ntibody induced by the therapeutic composition acts at a time when the drug is transferred from the lungs through the heart to the brain over a period of time. The ability to induce such an antibody reaction is possible by careful selection of carrier molecules.

콜레라 독소의 재조합 B 서브유닛을 생성Generate recombinant B subunit of cholera toxin

콜레라 독소는 비브리오 콜레라에 의해 생성되는 엔테로톡신 (enterotoxin)으로 5개의 확인된 B 서브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서브유닛은 분자량이 11.6 KDa (103개의 아미노산) 및 하나의 A 서브유닛으로서 그 분자량이 27.2 KDa (230개의 아미노산)이다 (Finkelstein (1988)(immunochem. Mol. Gen. Anal. Bac. Path. 85-102). 결합 서브유닛인 CTB는 세포의 표면에서 강글리오사이드 GM 1과 결합한다 (Sixma et al. (1991) Nature 351:371-375; Orlandi et al. (1993) J. Biol. Chem. 268:17038-17044). CTA는 효소성 서브유닛으로 세포에 들어가 G 단백의 ADP-리보실레이션 (ribosylation)을 촉매화시키고 본질적으로 아데닐레이트 시클라제를 활성화한다 (Finkelstein (1988) Immunochem. Mol. Gen. Anal. Bac. Path. pp.85-102). 상기 A 서브유닛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콜레라 독소는 독성을 가지지 않는다.Cholera toxin is an enterotoxin produced by Vibrio cholera and consists of five identified B subunits. Each subunit has a molecular weight of 11.6 KDa (103 amino acids) and one A subunit with a molecular weight of 27.2 KDa (230 amino acids) (Finkelstein (1988) (immunochem. Mol. Gen. Anal. Bac. Path. 85). CTB, a binding subunit, binds ganglioside GM 1 at the surface of cells (Sixma et al. (1991) Nature 351: 371-375; Orlandi et al. (1993) J. Biol. Chem. 268: CTA enters cells as an enzymatic subunit, catalyzes ADP-ribosylation of G protein and essentially activates adenylate cyclase (Finkelstein (1988) Immunochem. Mol. Gen. Anal.Bac.Path.pp. 85-102) The cholera toxin is not toxic if the A subunit is not present.

기타 문헌을 살펴보면 CTB 5량체에 있어 고도의 재조합 발현에 따른 제조방법이 수록되어 있다 (L'hoir et al. (1990) Gene 89:47-52; Slos et al. (1994) Protin Exp. Purif. 5:518-526). 천연의 CTB는 그 상용화가 가능하나 CTA와의 오염을 배제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재조합 CTB는 대장균에서 발현되고 이에 따라 그 특징화를 나타나게 한다. 콜레라게노이드 물질 (choleragenoid construct)는 미국형배양추출물회사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구입하였다 (미합중국 특허 제4,666,837호에 준함). 재조합 CTB는 오리지널 벡터 (pRIT10810)에서 클로닝하여 His5 표지를 함유하고 있는 N-말단 서열의 플라스미드 (pET11d, Novagen)으로 발현시켰으며 이를 대장균에서 발현하여 그 농도를 배양물의 25 mg/liter로 하였다. 상기 단백질은 표준기법을 사용하여 Ni2+ 컬럼에서 정제하였고 이를 SDS-PAGE (참조: 제 4a, 4b 및 4c도). 상기 재조합 CTB를 정량시에 단량체로서 연장된 N-말단으로 인하여 천연의 CTB 단량체보다 더 크기가 컸다. Other publications include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highly recombinant expression in CTB pentamers (L'hoir et al. (1990) Gene 89: 47-52; Slos et al. (1994) Protin Exp. Purif. 5: 518-526). Natural CTB can be commercialized, but it is difficult to rule out contamination with CTA. Thus, recombinant CTB is expressed in E. coli and thus manifests its characterization. A choleragenoid construct was purchased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ccording to US Pat. No. 4,666,837). Recombinant CTB was cloned in the original vector (pRIT10810) and expressed in the plasmid of the N-terminal sequence containing His5 label (pET11d, Novagen), which was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nd the concentration was 25 mg / liter of the culture. The protein was purified on a Ni2 + column using standard techniques and it was SDS-PAGE (see Figures 4a, 4b and 4c). The recombinant CTB was larger than the native CTB monomer due to the extended N-terminus as a monomer at the time of quantification.

5량체의 재조합 CTB는 Pel b 리더서열을 포함하기 위하여 PCR에 의해 수식된 cDNA를 사용하여 히스티딘 표지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두가지 형태로 제조하였다. C-말단 중지 코든을 삽입하여 히스티딘 표지를 제거하였다. 상기 두가지 물질을 pET22b 벡터 (Novagen)으르로부터 대장균 내에서 발현시켰다. 히스티딘으로 표지된 단백질은 상기와 같이 Ni2+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상에서 정제하였다 (13 mg/L). 비표지된 재조합 CTB는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강글리오사이드 GM1 컬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상에서 정제하였다 (Tayot et al. (1981) Eur. J. Biochem. 113:249-258). The pentameric recombinant CTB was prepared in two forms with or without histidine labeling using cDNA modified by PCR to include the Pel b leader sequence. The histidine label was removed by inserting a C-terminal stop code. Both materials were expressed in E. coli from the pET22b vector (Novagen). Histidine labeled proteins were purified on Ni2 + affinity chromatography as described above (13 mg / L). Unlabeled recombinant CTB was purified on ganglioside GM1 column affinity chromatography as mentioned above (Tayot et al. (1981) Eur. J. Biochem. 113: 249-258).

5량체의 재조합 CTB는 강글리오사이드 GM1과 결합시에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5량체는 해당 샘플들을 끓이지 않는한 SDS에 안정하며 5량체 중합반응은 SDS-PAGE 상에서 평가할 수 있다. 제 4a도는 천연의 CTB는 5량체이며 변성 단량체 CTB와 신속히 구별될 수 있다. 5량체의 구조는 pH에서 4~9에서 유지되며 (참조: 제 4b도) 이 조건에서 각종의 콘쥬게이션 화학반응을 촉진한다. 초기에 발현된 재조합 CTB는 단량체이다. 5량체의 CTB를 얻는 한가지 방법은 적절하게 겹친 5량체의 CTB를 발현시에 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세포질의 발현으로 보다 높은 수준의 단량체 CTB가 생성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동업계에 지식이 있는 자는 단량체의 CTB를 5량체의 CTB로 겹치게 하는 방법을 인식하고 있다 (참조: 예를 들면, L'hoir et al. (1190) Gene 89:47-52). 5량체의 CTB를 얻기 위하여 단량체의 CTB를 다시 겹치게 하는 대안은 세포형질의 발현인데 이는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에 의해 GM1-강글리오사이드와 결합할수 있는 5량체의 재조합 CTB를 생성시켰다. 제 5a 및 5b도는 상기 내용을 지지하는 데이타를 가르킨다. 동업계 지식이 있는 자는 5량체의 재조합 CTB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리더 (leader)에 따른 세포형질의 발현 (Slos et al., supra: Sandex et al. (1989) Proc. nat'l. Acad. Sci. 86-481-485; Lebens et al. (1993) BioTechnol. 11:1574-1578) 또는 번역후의 재겹침 (L'hoir et al., supra; Jobling et al. (1991) Mol. Microbiol. 5:1755-1767).A pentameric recombinant CTB may be preferred upon binding to ganglioside GM1. The pentamer is stable to SDS unless the samples are boiled and the pentamer polymerization can be evaluated on SDS-PAGE. 4A shows that native CTB is a pentamer and can be quickly distinguished from denatured monomer CTB. The structure of the pentamer is maintained at pH 4-9 (see Figure 4b) and under these conditions promotes various conjugation chemistries. Initially expressed recombinant CTB is a monomer. One way to obtain pentameric CTBs is to control the appropriate overlap of pentameric CTBs upon expression. It has been found that expression of the cytoplasm produces higher levels of monomeric CTB. One skilled in the art recognizes how to overlap a CTB of a monomer with a CT of a pentameric (for example, L'hoir et al. (1190) Gene 89: 47-52). An alternative to overlapping CTBs of monomers to obtain pentameric CTBs is the expression of cell morphology, which produced a pentameric recombinant CTB capable of binding GM1-gangliosides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5a and 5b point to data supporting the above cont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xpress cell traits according to the leader (Slos et al., Supra: Sandex et al. (1989) Proc. Nat'l. Acad. Sci) as a method for obtaining a pentameric recombinant CTB. 86-481-485; Lebens et al. (1993) BioTechnol. 11: 1574-1578) or post-translational overlap (L'hoir et al., Supra; Jobling et al. (1991) Mol. Microbiol. 5: 1755-1767).

또 하나의 유용한 담체는 CTB에 대하여 향상된 점막성 반응를 제공하는 콜레라 독소이다. 효소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A 서브유닛 보강제는 활성도를 향상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Liang et al. (1988) J. Immunol. 141:1495-1501; Wilson et al. (1993) Vaccine 11:113-118; Snider et al. (1994) J. Immunol. 153:647).Another useful carrier is cholera toxin, which provides an improved mucosal response to CTB. Enzymatically active A subunit adjuvants have been reported to enhance activity (Liang et al. (1988) J. Immunol. 141: 1495-1501; Wilson et al. (1993) Vaccine 11: 113-118; Snider et al. (1994) J. Immunol. 153: 647).

본 발명의 포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한가지 구현예는 불완전항원(hapten)을 화학적으로 수식하여 담체에 컨쥬게이션되거나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충분한 구조를 유지함으로써 이를 유리상태의 불완전항원(hapten)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유리 헤로인이나 유리 니코틴). 접종을 받은 개인마다 상기 유리 불완전항원(hapten) (헤로인이나 니코틴)을 인식하는 항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방사선면역측정법 및 경쟁적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법에 의한 실험예는 이하 실시예에서 자세히 언급하였으며 이들 실험법으로 유리 불완전항원(hapten)에 대한 항체역가를 측정할 수 있다. 관심대상이 되는 항체는 불완전항원(hapten)특이성 항체이며 일부 구현예의 경우에는 헤로인특이성 항체 또는 니코틴특이성 항체이다.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여러가지 원칙이나 방법은 본 발명에서 다루는 범위로부터 각종의 약물중독 및 독성반응의 치료에 유용한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의 넓은 범주까지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여야 한다.One embodiment in which the conjugat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are chemically modified incomplete antigens (hapten) so that they can be conjugated or bound to the carrier, and also maintain sufficient structure to maintain them in the free state of the incomplete antigens (hapten) (For example, free heroin or free nicotine). Each individual to be vaccinated should have an antibody that recognizes the free hapten (heroin or nicotine). Experimental examples by radioimmunoassay and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we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the antibody titers against free incomplete antigens (hapten) can be measured by these experiments. The antibody of interest is an incomplete antigen-specific antibody and in some embodiments is a heroin- or nicotine-specific antibody. Recognize that various principles or methods used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may rang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wide range of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rug addiction and toxic reactions. shall.

포합체Conjugate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니코틴-담체 포합체의 제조는 니코틴 및 니코틴 대사물에서 유래하고 있다 제 8도는 니코틴고 그 대사물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헤로인 포합체의 제조는 헤로인과 그 대사물에서 유래하고 있다. 제 11a 및 11b도는 헤로인 포합체의 제조를 위해서 헤로인 및 그 다양한 부위를 나타내고 있다.The preparation of the novel nicotine-carrier conjug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nicotine and nicotine metabolites. FIG. 8 shows nicotine and its metabolites. The preparation of the novel heroin conjug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derived from heroin and its metabolites. 11a and 11b show heroin and its various sites for the production of heroin conjugates.

불완전항원(hapten)-담체 결합의 길이와 성격을 살펴보면, 상기 합테의 경우 담체의 영역으로부터 충분한 거리까지 이탈되어 있어 불완전항원(hapten)에 대하여 초기에 증가된 항체가 이를 최적상태에서 불완전항원(hapten)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물의 길이는 -CH2- 기의 수를 다양화시킴으로서 최적화되는데 이는 이하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분지상" 내에 전략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본발명의 제 1a 및 1b도에 표시하였다.Looking at the length and nature of the incomplete antigen (hapten) -carrier binding, in the case of the hapte has been deviated by a sufficient distance from the carrier region, the initially increased antibody to the incomplete antigen (hapten) is incomplete optimal (hapten) ) To be recognized. The length of the bond is optimized by varying the number of —CH 2 — groups, which are strategically placed within the “branch phas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d are shown in FIGS. 1a and 1b of the present invention.

CJO QCJO Q

CJ1 (CH2)nQCJ1 (CH 2 ) nQ

CJ1.1 CO2QCJ1.1 CO 2 Q

CJ1.2 COQCJ1.2 COQ

CJ2 OCO(CH2)nQCJ2 OCO (CH 2 ) nQ

CJ2.1 OCOCH=QCJ2.1 OCOCH = Q

CJ2.2 OCOCH(O)CH2 CJ2.2 OCOCH (O) CH 2

CJ2.3 OCO(CH2)nCH(O)CH2 CJ2.3 OCO (CH 2 ) nCH (O) CH 2

CJ3 CO(CH2)nCOQCJ3 CO (CH 2 ) nCOQ

CJ3.1 CO(CH2)nCNQCJ3.1 CO (CH 2 ) n CNQ

CJ4 OCO(CH2)nCOQCJ4 OCO (CH 2 ) nCOQ

CJ4.1 OCO(CH2)nCNQCJ4.1 OCO (CH 2 ) n CNQ

CJ5 CH2OCO(CH2)nCOQCJ5 CH 2 OCO (CH 2 ) nCOQ

CJ5.1 CH2OCO(CH2)nCNQCJ5.1 CH 2 OCO (CH 2 ) n CNQ

CJ6 CONH(CH2)nQCJ6 CONH (CH 2 ) nQ

CJ7 Y(CH2)nQCJ7 Y (CH 2 ) nQ

CJ7.1 CH2Y(CH2)nQCJ7.1 CH 2 Y (CH 2 ) nQ

CJ8 OCOCH(OH)CH2OCJ8 OCOCH (OH) CH 2 O

CJ8.1 OCO(CH2)nCH(OH)CH2OCJ8.1 OCO (CH 2 ) nCH (OH) CH 2 O

CJ9 OCOC6H5 CJ9 OCOC 6 H 5

CJ10 제 2b도에 표시CJ10 shown in Figure 2b

CJ11 YCO(CH2)nCOQCJ11 YCO (CH 2 ) nCOQ

상기 분지상에서, n은 정수로서 약 1-20 범위중에서 바람직하게 선택되며 약 2~8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아주 바람직한 범위는 3-5이다;On the branch, n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range of about 1-20 as an integer,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2-8, with a very preferred range of 3-5;

Y는 S, O 및 NH에서 구성된 군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Y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 O and NH;

Q는 이하에서 구성된 군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select Q from the group comprised below.

(1) -H(1) -H

(2) -OH(2) -OH

(3) -CH2 (3) -CH 2

(4) -CH3 (4) -CH 3

(4a) -OCH3 (4a) -OCH 3

(5) -COOH(5) -COOH

(6) 할로겐(6) halogen

(7) 단백질 또는 펩티드 담체(7) protein or peptide carriers

(8) 화학적으로 수식된 단백질 또는 펩티드 담체(8) chemically modified protein or peptide carriers

(9) 2-니트로-5-설포페닐 에스테르 및 N-옥시썩시니미딜 에스테르와 같은 활성화 에스테르류(9) activated esters such as 2-nitro-5-sulfophenyl ester and N-oxyrotynimimidyl ester

(10) 혼합 무수물류, 아실할라이드류, 아실아자이드류, N-말레이미드류, 이미노 에스테르류,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티오네이트; 또는(10) mixed anhydrides, acyl halides, acyl azides, N-maleimides, imino esters, isocyanates, isothionates; or

(11) "CJ" 참조번호에 의해 식별되는 또 하나의 "분지상"(11) another "branch" identified by a "CJ" reference number

담체 (예를 들면, 단백질 또는 펩티드 담체)를 함유하는 T-세포 에피토프는 당업계에서 지식이 있는 자들에게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화학적으로 수식되어 불완전항원(hapten)에 대한 포합을 촉진한다 (예를 들면, thiolation). 예를 들면, 2-이미노티오란 (Traut's reagent) 또는 숙신화 반응 등. (CH2)Qi에 있어 Q=H인 경우 이를 (CH3), 메틸 또는 Me로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으나 제 1a 및 1b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분지상"으로 확인된 주제로 일치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T-cell epitopes containing carriers (eg protein or peptide carriers) are chemically modified by methods conventional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omote inclusion to incomplete antigens (eg Thiolation). For example, 2-iminothiolane (Traut's reagent) or succinate reaction. If Q = H for (CH 2 ) Qi, this can be simply defined as (CH 3 ), methyl or Me, but it is shown that the subject is identified as "branched" as shown in Figures 1a and 1b. Can be.

또한, 본 발명에서 상용화되어 구입할 수 있는 화학물의 약칭은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abbreviated chemicals that are commercially available and purcha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BSA = 소혈청알부빈BSA = bovine serum albumin

DCC =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 = dicyclohexylcarbodiimide

15DMF = N,N-디메틸포름아미드15DMF = N, N-dimethylformamide

EDC (또는 EDAC) = N~에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염산염EDC (or EDAC) = N-ethyl-N '-(3- (dimethylamino) propyl) carbodiimide hydrochloride

EDTA =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디소듐염 HATU = 0-(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EDTA =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disodium salt HATU = 0- (7-azabenzotriazol-1-yl) -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NMM = N-메틸모르포린NMM = N-methylmorpholine

HBTh =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HBTh = 2- (1H-benzotriazol-1-yl) -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TNTU = 2-(5-노르보르넨-2,3-디카복스이미도)-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TNTU = 2- (5-norbornene-2,3-dicarboximido) -1,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PyBroP(R) = 브로모-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PyBroP (R) = bromo-tris-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HOBt = N-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HOBt = N-hydroxybenzotriazole

또한, IUPAC의 명명법에 따른 화합물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types of compounds according to the nomenclature of IUPAC are as follows.

니코틴: 1-메틸-2-(3-피리딜)피롤리딘Nicotine: 1-methyl-2- (3-pyridyl) pyrrolidine

코티닌: N-메틸-2-(3-피리딜)-5-피롤리딘Cotinine: N-methyl-2- (3-pyridyl) -5-pyrrolidine

반응reaction

하나의 구체적인 실예로서, 포합체 PS54의 전구체는 2당량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의 존재하에서 라세믹 노르니코틴을 염화 메틸렌에 녹인 숙신산 무수물에 의해 아실화시켜서 합성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생성물을 HATU에 의해 담체단백의 리신 잔기에 커플링하여 포합체 PS54를 얻었다 (참조: 실시예 1, 방법 B).As one specific example, the precursor of conjugate PS54 was synthesized by acylating racemic nornicotine with succinic anhydride dissolved in methylene chloride in the presence of 2 equivalents of diisopropylethylamine. The reaction product was then coupled to the lysine residue of the carrier protein by HATU to give conjugate PS54 (see Example 1, Method B).

또 하나의 구현예로서, 포합체 PS-55, PS56, PS-57 및 PS-58의 전구체는 무수 메탄올에 녹인 (S)-(-)-니코틴의 피리딘 질소를 각각 에틸 3-브로모부틸레이트, 5-bromovaleric acid, 6-bromohexanoic acid 또는 8-bromooctanoic acid와 선택적으로 알킬화시켜서 합성하였다 (참조: 실시예 2, 바법 A, B, C 및 D). 이후, 상기 반응생성물을 HATU에 의해 담체단백에 컨쥬게이션시켜서 포합체 PS-55, PS56, PS-57 및 PS-58을 얻었다 (참조: 실시예 3, 방법 A).In another embodiment, the precursors of conjugates PS-55, PS56, PS-57 and PS-58 are each converted to pyridine nitrogen of (S)-(-)-nicotine dissolved in anhydrous methanol in ethyl 3-bromobutylate. It was synthesized by selective alkylation with, 5-bromovaleric acid, 6-bromohexanoic acid or 8-bromooctanoic acid (see Example 2, Method A, B, C and D). The reaction product was then conjugated to the carrier protein by HATU to obtain conjugates PS-55, PS56, PS-57 and PS-58 (see Example 3, Method A).

포합체Conjugate 당체단백Glycoprotein 불완전항원/ 모노머 Incomplete antigen / monomer 컨쥬게이션 방법       Conjugation Method PS-54PS-54 BSA    BSA 19.5    19.5 실시예 1, 방법 BExample 1, Method B PS-54PS-54 HEL    HEL 3.2    3.2 실시예 1, 방법 BExample 1, Method B PS-55PS-55 BSA    BSA 33.2    33.2 실시예 3, 방법 AExample 3, method A PS-55PS-55 HEL    HEL 1.09    1.09 실시예 3, 방법 AExample 3, method A PS-56PS-56 BSA    BSA 27    27 실시예 3, 방법 AExample 3, method A PS-56PS-56 HEL    HEL 2.2    2.2 실시예 3, 방법 AExample 3, method A PS-57PS-57 BSA    BSA 81    81 실시예 3, 방법 AExample 3, method A PS-57PS-57 HEL    HEL 8     8 실시예 3, 방법 AExample 3, method A PS-58PS-58 BSABSA 66.8    66.8 실시예 3, 방법 AExample 3, method A PS-58PS-58 HELHEL 7.4    7.4 실시예 3, 방법 AExample 3, method A

상기 1은 포합체의 비제한적 리스트이다. 기실시예 3, 방법 A 타 포합체는 T-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하는 담체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불완전항원(hapten)으로 제조되고 있다. 1~100개의 불완전항원(hapten)이 T-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하는 담체에 커플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70개의 불완전항원(hapten)이 T-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하는 담체에 커플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 is a non-limiting list of conjugates. Example 3, Method A Other conjugates are prepared with one or more incomplete antigens coupled to a carrier containing a T-cell epitope. It is preferred that 1-100 incomplete antigens are coupled to a carrier containing a T-cell epitope. It is also preferred that 1 to 70 incomplete antigens are coupled to a carrier containing T-cell epitopes.

PS-55, PS56, PS-57 및 PS-58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은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당업계에 지식이 있는 자는 활성화제를 사용하는 등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상기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Methods of synthesizing PS-55, PS56, PS-57 and PS-58 compounds are described in the Examples below.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synthesize the compounds according to known methods such as the use of activators.

단백질/펩티드의 가교결합을 촉진시키거나 유도된 분자 (예를 들면, 불완전항원(hapten) 등)에 단백질의 콘쥬게이션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다양한 화합물이 있다. 당업계에 지식이 있는 자들에 알려진 그 구체적인 화합물의 예로서 카르복실산에서 유래한 활성 에스테르류 (활성화된 화합물), 혼합 무수물류, 아실할라이드류, 아실아자이드류, 알킬할라이드류, N-말레이이미드류, 이미노 에스테르류, 이소시아네이트류 및 이소티시아네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백분자의 반응기와 공유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활성기에 따라 상기 반응기는 단백분자에서 리신 잔기의 아미노기이거나 담체담백에서 티올기이거나, 또는 화학적으로 수식된 담체단백분자로서 반응시에 아미드, 아민, 티오에스테르, 아미딘우레아 또는 티오우레아가 형성된다. 당업계에 지식이 있는 자들은 예를 들면 Chemistry of Protein Conjugation and Cross-linking (Wong(1991)CRC Press, Inc., Boca Raton, FL)과 같은 일반적 참고도서에서 적절한 활성기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콘쥬게이션의 경우 리신 측쇄가 있는 아미노기에서 실시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대부분의 시약들은 리신과 함께 우선적으로 반응한다. 특히 적절한 담체는 CTB로서 이 담체는 천연적 형태에서 단량체당 9개의 리신 잔기가 있다. 컨쥬게이트된 5량체 CTB가 그 구조 및 활성을 유지하고 있는 가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GM1 강글리오사이드 결합으로 평가할 수 있다.There are a variety of compounds that have been developed to facilitate cross-linking of proteins / peptides or to facilitate the conjugation of proteins to molecules derived (eg, incomplete antigens, etc.). Examples of the specific compound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clude active esters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activated compounds), mixed anhydrides, acyl halides, acyl azides, alkyl halides, N-maleimide Drew, imino ester, isocyanate, isocyanate, etc. are mentioned. These compounds can form covalent bonds with reactors of protein molecules. Depending on the active group, the reactor is either an amino group of lysine residues in a protein molecule or a thiol group in a carrier protein, or a amide, amine, thioester, amidineurea or thiourea upon reaction as a chemically modified carrier protein molecu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specifically identify appropriate activators in general reference books such as, for example, Chemistry of Protein Conjugation and Cross-linking (Wong (1991) CRC Press, Inc., Boca Raton, FL). For conjugation, it is ideal to carry out on amino groups with lysine side chains. Most reagents react preferentially with lysine. A particularly suitable carrier is CTB, which in its natural form has nine lysine residues per monomer.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conjugated pentameric CTB maintains its structure and activity, it can be evaluated by GM1 ganglioside binding.

본 발명자 등은 적정한 경우 대규모의 발효 배지에서 제조된 재조합 CTB를 발현시키고 정제한 바 있다. 상기 재조합 단백질을 발현시키고 정제하는 공정은 기존 방법에 보고되어 있다 (참조: USSN 07/807,529). 예를 들면, CTB는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Tayot et al. (1981) Eur. J. Biochem. 113:249-258)상에서 정제할 수 있으며, 이를 헤로인이나 니코틴 유도체에 콘쥬게이션시킨다. 이어서 상기 포합체는 한번 더 정제시킬 수 있다. 정제된 CTB와 생성된 포합체는 분석을 통하여 그 순도와 CTB의 5량체 구조가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그 분석기법의 예로서 SDS-PAGE, 천연 PAGE,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웨스턴 브롯팅 (Western blotting), 직접 및 GM1-포획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 그리고 비오틴화 CTB와 경쟁적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 등이 있다. 불완전항원(hapten)화에 따른 수치는 질량분석법, 역상 HPLC 및 불완전항원(hapten)의 존재로부터 나타나는 자외선 흡수의 증가를 분석함으로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포합체의 용해성과 안정성은 대규모 제법에 따른 제조에 의해 최적화된다. 상기 분석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한다.The inventors have expressed and purified recombinant CTB prepared in a large scale fermentation medium when appropriate. The process of expressing and purifying the recombinant protein has been reported in existing methods (USSN 07 / 807,529). For example, CTB can be purified on affinity chromatography (Tayot et al. (1981) Eur. J. Biochem. 113: 249-258) and conjugated to heroin or nicotine derivatives. The conjugate can then be purified once more. The purified CTB and the resulting conjugates were analyzed to confirm that the purity and the pentameric structure of CTB were maintained. Examples of the assay include SDS-PAGE, native PAGE,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Western blotting, direct and GM1-captur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and biotinylated CTB and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have. Levels following incomplete antigenization can b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increase in ultraviolet absorption resulting from mass spectrometry, reverse phase HPLC and the presence of incomplete antigens. The solubility and stability of the conjugates are optimized by preparation according to large scale preparation. Details of the assay are described in the Examples below.

본 발명에 따른 CTB의 5량체 구조는 바람직한 담체이고 GM1 결합은 CTB의 5량체 형태가 존재하는 것을 측정하기 위한 유효한 정량법이나 본 발명은 CTB의 5량체 형태에 따른 사용에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내용으로는 본 발명에서 사용시에 유도할 수 있는 기타 형태의 CTB (예를 들면, 단량체, 2량체 등)은 물론 기타 T-세포 에피토프 담체까지 포함하고 있다. CTB의 5량체 형태가 아닌 담체가 사용되는 경우 당업계에 지식이 있는 자들은 적절한 정량법을 사용하여 요구된 담체의 존재와 활성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TB의 5량체 형태가 존재하는 것을 측정하기 위하여 GM1 결합을 사용).The pentameric structure of the CT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ferred carrier and GM1 binding is an effective quantitative method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the pentameric form of CTB,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use according to the pentameric form of CTB. The conten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ther forms of CTB (e.g., monomers, dimers, etc.) that can be derived from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other T-cell epitope carriers. If carriers other than the pentameric form of CTB are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determine the presence and activity of the required carrier using appropriate assays (e.g., if a pentameric form of CTB is present Use GM1 binding to determine that).

불완전항원(hapten)화의 수치를 다르게 하기 위하여 접근방법을 다른 것으로 대체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담체는 다가 (multivalent)의 헤로인이나 니코틴 물질과 불완전항원(hapten)화시킨다. 이러한 개념은 다항체성 펩타이드 (MAP)에서 유래된 것이다 (Lu et al. Mol. Immunol., 28:623-630 (1991)). 상기 시스템하에서 다분지상 (multiple branched) 리신 잔기들을 이용하여 불완전항원(hapten)의 밀도와 원자가를 최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접근방법의 개념에 따르면, 면역반응의 경우 동일한 펩티드나 단백분자에 결합되는 많은 수의 불완전항원(hapten)이 존재하는 경우 향상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담체인 5량체 CTB 상에서 하나 또는 두개의 부위에서만 결합되어야 하는 다가의 불완전항원(hapten)을 본 발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상기 다항체 불완전항원(hapten)의 핵은 Tam이 제안한 바 있는 분지상의 폴리리신 핵이다 (Lu et al., supra). 화학적으로 반응하는 핸들 (handle)은 보호된 시스테인 잔기의 포접에 의해 보존된다. 가능한 모든 아미노기의 헤로인이나 니코틴 불완전항원(hapten)화가 이루어진 후, 시스테인의 설프히드릴기는 비마스크 (unmasked)화되어 단백질이 여러 종류의 이관능성 설프히드릴기/아미노 특이성 가료결합기와의 커플링이 가능해 진다 (Yoshitake et al. (1979) Eur. J. biochem. 101:395-399). 수많은 덴드리머성 구조 (dendrimeric structure)를 핵으로 이용하였다.Replace the approach with another in order to vary the value of the incomplete antigenization. In one embodiment the carrier is incomplete antigenized with multivalent heroin or nicotine material. This concept is derived from the polyantibody peptide (MAP) (Lu et al. Mol. Immunol., 28: 623-630 (1991)). Under this system, multiple branched lysine residues can be used to maximize the density and valency of the incomplete antigen.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is approach, the immune response is enhanced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incomplete antigens (hapten) that bind to the same peptide or protein molecule. Therefore, multivalent incomplete antigens (hapten) which should be bound only at one or two sites on the carrier pentomer CTB were prepared a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cleus of the polyantibody incomplete antigen (hapten) is a branched polylysine nucleus proposed by Tam (Lu et al., Supra). Chemically reactive handles are conserved by inclusion of protected cysteine residues. After all possible amino group heroin or nicotine incomplete antigenization (hapten) has been made, the cysteine sulfhydryl group is unmasked to allow the protein to be coupled to various difunctional sulfhydryl groups / amino specific chemical linkages. (Yoshitake et al. (1979) Eur. J. biochem. 101: 395-399). Numerous dendrimeric structures have been used as nuclei.

보강제Reinforcement

담체의 효과를 은폐하지 않는 보강제의 경우 본 발명의 헤로인 및 니코틴 중독치료를을 위한 백신에서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참조: Edelman (1980) Rev. Infect. dis. 2:370-373). 본 발명자들이 초기에 실시한 실험에서는 강력한 보강제 CFA를 사용하여 코카인 중독에 대한 치료학적 백신의 타당성을 입증하는데 그 주안점을 두었다. 그러나, CFA는 인체에 바람직하지 않다. 현재 인체사용을 위해 허가받은 유용한 보강제는 알루미늄 수산화물 (Spectrum Chem. Mtg. Corp., New Brunswick, NJ). 또는 알루미늄 인산염 (Spectrum)을 위시한 알루미늄이다. 전형적으로 상기 백신은 알루미늄에 흡착되므로 매우 제한된 용해성을 나타낸다. 쥐를 대상으로 한 예비자료에 따르면, 알루미늄은 강력한 항코카인 항체반응을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MF59 (Chiron, Emeryville, CA) 또는 RIBI 보강제도 적절한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Adjuvants that do not hide the effect of the carrier are considered useful in vaccines for the treatment of heroin and nicotine addi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e Edelman (1980) Rev. Infect. Dis. 2: 370-373). Initial experiments conducted by the inventors focused on validating the therapeutic vaccine against cocaine poisoning using the potent adjuvant CFA. However, CFA is undesirable for the human body. Useful adjuvant currently approved for human use is aluminum hydroxide (Spectrum Chem. Mtg. Corp., New Brunswick, NJ). Or aluminum with aluminum phosphate (Spectrum). Typically the vaccine is adsorbed on aluminum and therefore exhibits very limited solubility. Preliminary data from rats suggest that aluminum can induce potent anticocaine antibody responses and that MF59 (Chiron, Emeryville, CA) or RIBI adjuvant is also suitable.

CTB를 담체단백으로 사용하여 효과적인 면역이 나타나는 경우에 강력한 보강제는 필요하지 않다.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나타나듯이, 높은 역가의 항니코틴 항체반응은 보강제로서 알루미뉴늄을 사용하거나 보강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CTB-니코틴 포합체를 사용하면 면역이 유도된다. CTB를 제외한 담체의 경우에도 당업계에 지식이 있는 자는 필요시에 적절한 보강제를 결정할 수 있다.If CTB is used as a carrier protein, a potent adjuvant is not necessary when effective immunity is shown. As shown in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high titer antinicotine antibody responses are induced by using alumininium as adjuvants or by using CTB-nicotine conjugates without the addition of adjuvants. Even in the case of carriers other than CTB,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determine the appropriate adjuvant if necessary.

부형제 및 보조제Excipients and Supplements

치료학적 조성물은 임의적으로 하나이상의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 예를 들면 멸균수 및 염용액 (예를 들면, 생리식염수, 인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알콜, 아라비아껌, 식물유, 벤질알콜, 폴린에틸렌글리콜, 젤라틴, 만니톨, 탄수화물,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점성 파라핀, 지방산 에스테르, 히드록시메틸 셀루로스 및 완충액)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기타 적절한 부형제는 당업계에 지식이 있는 자들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다. 치료학적 조성물은 임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조제, 예를 들면 분산매체, 지질 및 리포솜과 같은 코팅제, 습윤제 및 유화제와 같은 계면활성제, 항생제 및 항진균제와 같은 방부제, 안정화제 및 업계에 지식이 있는 자에게 잘 알려진 기타 제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은 또 하나의 보강제, 보조제 및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불활성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약물의 치료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투여경로를 개발할 수 있다.Therapeutic compositions optionally comprise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uxiliaries such as sterile water and saline solutions (e.g. physiological saline, sodium phosphate, sodium chloride, alcohols, gum gum, vegetable oil, benzyl alcohol, polyethyleneethylene glycol, Gelatin, mannitol, carbohydrates, magnesium stearate, viscous paraffin, fatty acid esters, hydroxymethyl cellulose and buffers) and the like. Other suitable excipients can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apeutic compositions optionally contain at least one adjuvant, such as dispersion media, coatings such as lipids and liposomes, surfactants such as wetting agents and emulsifiers, preservatives such as antibiotics and antifungal agents, stabilizer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other known agents. In addition, the therapeutic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another adjuvant, adjuvant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inert excipients to enhance the therapeutic properties of the drug and to develop other routes of administration.

상기에서 제조된 고도로 정제된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는 인체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을 주사의 형태 (즉, 피하내주사)로 투여하는 경우 고도로 정제된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는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pH (즉, pH 4~9)에서 수용액에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조성물은 액체상이 되어 투여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고도로 정제된 상기 불완전항원(hapten)-담체 포합체는 수용액에서 현탁액으로 제조하여 이를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현택액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은 임의적으로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보강제 및 보조제 또는 보조적 활성화합물을 포함한다. 투여경로에 따라 임의적으로 추가되는 성분은 치료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나게 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적절한 유동성, 바람직하지 않은 미생물의 활성방지, 향상된 생체이용율 또는 장기간에 걸친 흡수 등이 있다.The highly purified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 prepared above can be formulated into a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uitable for human administration. When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the form of an injection (ie, subcutaneous injection), the highly purified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 is an aqueous solution at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H (ie, pH 4-9). It is preferable to dissolve in the composition, so that the composition becomes liquid and easy to administer. However, the highly purified hapten-carrier conjugate can be prepared as a suspension in aqueous solution and administered therein, and the suspension i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herapeutic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optionally includ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adjuvant and adjuvant or adjuvant active compound. Ingredients optionally added depending 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may result in the desired physical properties of the therapeutic composition, eg, proper fluidity, undesirable microbial activity, improved bioavailability or absorption over time.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은 제조, 저장, 유통 및 사용시에 항상 멸균상태와 안정성을 유지하여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은 그 통합성 (integrity)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조시에 바람직한 제형으로 포합체 및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동결건조 분말의 형태로 제조한 후, 사용시에 이를 부형제나 보조제, 예를 들면 멸균수를 다시 첨가한다. 멸균 주사용액의 제조를 위한 멸균분말의 경우, 상기 제제의 바람직한 수단은 진공건조, 동결건조 또는 이전의 멸균여과용액으로부터 기타 바람직한 보조성분을 포함한 활성성분이 함유된 분말을 제공할 수 있는 스핀건조 등이 있다.Therapeutic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always be sterile and stable at the time of manufacture, storage, distribution and us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fungi. Therapeutic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lyophilized powders by formulating with conjugates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in a preferred dosage form at the time of manufacture to maintain their integrity, and then at the time of use Add excipients or auxiliaries, for example sterile water again. In the case of sterile powders for the preparation of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the preferred means of the preparation is vacuum drying, lyophilization or spin drying, which can provide a powder containing the active ingredient from the previous sterile filtrate solution and the other preferred auxiliary components. There is this.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은 기존의 초근목피 제제법 (galenical pharmacy)에 따라 가공처리되어 환자들에게 투여하기 위하여 치료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그 투여대상은 인간을 위시한 포유동물을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에 바람직한 투여경로는 비강내투여, 기관내투여, 경구투여, 경피투여 및 비경구투여이다. 특히, 적절한 병용투여는 비강내투여와 함께 주사를 초기에 투여하는 것이다.The activ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cessed according to conventional galenical pharmacy to produce therapeutic compositions for administration to patients, the subjects of which are mammals, including humans. Preferred routes of administration for the therapeutic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are intranasal, intratracheal, oral, transdermal and parenteral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a suitable co-administration is to administer the injection initially with intranasal administration.

비경구투여의 경우 특히 적절한 형태은 주사제, 멸균용액, 특히 오일상이나 액상의 용액으로 현탁액, 유화액 또는 이식액과 좌제도 포함한다. 앰플은 편리한 단위용량이다. 장에 대한 적용시에 가장 적절한 투여형태는 정제, 당의정 (dragee), 액제, 현탁제, 점적제, 좌제 또는 캅셀로서 장용제도 포함할 수 있다. 시럽제, 엘릭사 등은 감미제가 사용되는 경우 적용할 수 있다.Particularly suitable form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emulsions or implants and suppositories in injections, sterile solutions, in particular oily or liquid solutions. Ampoules are a convenient unit dose. The most suitable dosage form for application to the intestine may include enteric agents as tablets, dragees, solutions, suspensions, drops, suppositories or capsules. Syrups, elixirs and the like can be applied when sweetening agents are used.

서방성 조성물은 리포솜과 같은 형태로 제제화 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캡슐제제, 다코팅제제 등과 같이 코팅의 분해속도가 다른 제형으로 하여 활성화합물 (포합체)를 보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학적 조성물은 동결건조하여 이 를 주사제제화한 후, 적용할 수 있다.Sustained release compositions can be formulated in liposome-like form and protect the active compound (conjugate) by using different dosage forms of the coating, such as microcapsules, multi-coatings, etc. In addition,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fter lyophilization to inject it.

국소적용의 경우 이에 적합한 담체를 함유하며 바람직하게 물보다 점성도가 높은 비분무성 형태, 점성에서 반고체 또는 고체형태로 사용한다. 적절한 투여형태의 예로서 용액, 현탁액, 유화액, 크림, 연고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한 경우 멸균시키거나 보조제와 혼합하여 사용한다. 적절한 국소적용의 형태는 분무성 에어로졸제제로서 적절한 부형제나 보조제를 혼합한 활성화합물을 압축용기나 압력 휘발성, 통상적으로 가스상태의 추진기가 장착된 혼합물에 넣어 포장한다. For topical application it is used in a non-spraying form, viscous to semisolid or solid form, containing a carrier suitable for this purpose and having a higher viscosity than water. Examples of suitable dosage forms include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creams, ointments and the like, if desired sterilized or used in admixture with adjuvants. Suitable forms of topical application are sprayed aerosols which are packaged in a mixture equipped with a suitable excipient or adjuvant in a compression vessel or a mixture equipped with a pressure volatile, usually gaseous propeller.

본 발명된 방법과 조성으로 배양한 항체의 분자량은 150KDa에서 1000KDa이다. 치료 성분에 적절한 포합체를 접종시킨 후 이 항체를 유리 헤로인 또는 니코틴에 노출시키면, 이러한 헤로인 및 니코틴은 헤로인 특이 또는 니코틴 특이 항체의 표적이 된다. 약물의 형태 및 구조 변화 없이 생체 내에서 약물을 인식하는 항체가 필요하다. 현재 발명에서는 어떠한 한계 없이, 접종된 개개 약물이 헤로인 또는 니코틴에 노출되면, 이러한 항-약물항체는 헤로인 및 니코틴의 작용을 차단할 것이다. 이러한 차단 작용에는 적어도 3가지의 작용 기전이 있다. 첫 번째는 항체는 혈액뇌관문(Blood-Brain Barrier)을 통과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헤로인 또는 니코틴이 항-헤로인 또는 항-니코틴 항체에 결합되었을 때는 BBB를 통과할 수 없으므로 각각 오피오이드 수용체에 대한 작용 및 도파민 수송자로서의 작용을 나타낼 수 없다. 두 번째는 어떠한 특정 가설에 제한되지 않고, 이러한 항체는 단순히 입체적인 차단에 의해서 약물과 수용체와의 결합을 차단한다. 이러한 작용 기전은 약물의 비중추신경계 작용(예를 들면 심독성)을 차단하거나 또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지 않는 다른 약물에 대해서도 항체 작용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 번째는 효소적 및 비효소학적 분해로 대사체를 불활성화 시키기 때문에 헤로인과 니코틴 모두 생체내에서 비교적 짧은 반감기를 가지고 있다. 특히 헤로인과 니코틴은 매우 적은 분자의 약물이기 때문에 항체와 결합되거나, 약물과 생리학적으로 중요한 면역 복합체를 형성하지 않는다. The molecular weight of the antibody cultured by the method an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50KDa to 1000KDa. When the antibody is exposed to free heroin or nicotine after inoculation with the appropriate conjugate to the therapeutic component, such heroin and nicotine are targeted for heroin specific or nicotine specific antibodies. There is a need for antibodies that recognize drugs in vivo without altering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drug.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ny limitation, once the inoculated individual drug is exposed to heroin or nicotine, such anti-drug antibodies will block the action of heroin and nicotine. There are at least three mechanisms of action for this blocking action. The first is that antibodies cannot cross the Blood-Brain Barrier. Therefore, when heroin or nicotine is bound to an anti-heroin or anti-nicotine antibody, it cannot pass through the BBB and thus cannot act as an opioid receptor and as a dopamine transporter, respectively. The second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hypothesis, and these antibodies simply block the binding of the drug to the receptor by steric blockade. This mechanism of action is expected to block the astral nervous system action (eg, cardiotoxicity) of the drug or to exert antibody action against other drugs that do not act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ird, both heroin and nicotine have relatively short half-lives in vivo because they inactivate metabolites by enzymatic and non-enzymatic degradation. Heroin and nicotine, in particular, are very small molecules of drug and therefore do not bind to antibodies or form physiologically important immune complexes with drugs.

이 발명은 점막 적용을 구체화함으로써 실제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 구형의 중합체를 점막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작은 생체분해 미세 구형은 캅셀화하여 포합체를 차단하고 점막면역체계에 의한 유발을 용이하게 한다. 대부분 경구용 면역화제로 널리 사용되지만 비강내 면역화제로서도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Walker(1994) Vaccine 12;387-399). 직경 1-10μm의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 (PLG)와 같은 불활성 중합체는 특히 이러한 관점에서 유용하다(Holmgren et al. (1994) Am. J. Trop. Med. Hyg. 50;42-54: Sevra (1994) Science 265:1522-1524).This invention can be used in practice by specifying mucosal applications. For example, microspherical polymers are used to elicit mucosal immune responses. These small biodegradable microspheres are encapsulated to block conjugates and facilitate induction by mucosal immune systems. Most have been widely used as oral immunization agents, but have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as intranasal immunization agents (Walker (1994) Vaccine 12; 387-399). Inert polymers such as poly (lactide-co-glycolide) (PLG) 1-10 μm in diameter are particularly useful in this respect (Holmgren et al. (1994) Am. J. Trop. Med. Hyg. 50; 42; -54: Sevra (1994) Science 265: 1522-1524).

또한 선호되는 포합체와 더불어 다른 포합체와 교차 면역화함으로써 항체 교차 활성을 최소화하였다. 마우스에 하나의 포합체를 1차 접종한 후 14일 후 다른 포합체를 같은 방법으로 2차 접종하였다. 헤로인과 니코틴 포합체를 모두 인식하는 항체-분비 B세포 만이 가장 촉진하였다. 2개의 포합체는 약물 분자와 접촉하는 부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인식 특이성이 증가한다. 혈청 중 야기된 특이성은 ELISA법에 의해 확인한다. In addition to the preferred conjugates, cross-immunization with other conjugates minimizes antibody cross-activity. Mice were first inoculated with one conjugate to 14 days after the other conjugate was inoculated in the same manner. Only antibody-secreting B cells that recognized both heroin and nicotine conjugates were most stimulated. The two conjugates have increased recognition specificity because of different sites of contact with the drug molecule. Specificity caused in serum is confirmed by ELISA method.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포합체를 포함하는 치료학적 조성물은 연속적인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폴리클로날항체를 촉진시킨다.Therapeutic compositions comprising one or more conjugates promote polyclonal antibodies that produce a continuous immune response.

용량Volume

병원체에 대한 중화항체반응은 계속적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적어도 1년간 유지되는 항-헤로인 및 항-니코틴 항체 반응을 나타낼 수 있다. 기존의 백신으로 얻어지는 것에 비추어 볼 때, 헤로인 및 니코틴의 혈장 농도를 중화하는데 필요한 특이 항체의 농도에 도달할 수 있다.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마우스에서의 약물동력학적 결과에서 생리학적으로 중화항체의 농도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헤로인에 중독되거나 흡연자인 모체의 태반을 통과하는 모체의 항체의 능력은 태자에서는 차단되므로 치료학적인 헤로인 및 니코틴의 접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많은 사람에게 효과적인 최적의 치료는 적절한 치료학적 용량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소를 이해하여 사용하는 기술에 따른다. 더 나아가 항체 반응은 검체와 다른 항체와의 특정 ELISA법에 의해 모니터할 수 있다. Neutralizing antibody responses to pathogens are known continuously and may exhibit anti-heroin and anti-nicotine antibody responses that persist for at least one year. In view of what is obtained with conventional vaccines, the concentration of specific antibodies required to neutralize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heroin and nicotine can be reached. Although not shown, pharmacokinetic results in mice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neutralizing antibodies was reached physiologically. Finally, the ability of the mother's antibody to penetrate the placenta of the mother, who is addicted to heroin or smoker, is blocked in the fetus, so the therapeutic effect of heroin and nicotine can be expected. The optimal treatment that is effective for many people depends on the technology used by understanding the various factors that determine the appropriate therapeutic dose. Furthermore, antibody reactions can be monitored by specific ELISA methods of specimens and other antibodies.

제거율에 있어서 유전학적 다양성,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배설 및 분포에 있어서 질병과 관련된 다양성 및 다른 요인과의 복합으로 인하여 같은 용량은 투여한 환자의 백신 반응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임상적인 여러 척도로 원하는 범위의 약물을 평가하며, 화학적인 측정법으로 치료 반응을 관찰하는지 않았다. 배설율, 반감기의 축적 및 혈장농도의 항상성은 예견하기 매우 어려우며, 항-약물-남용약물항체 생산의 측정으로 적정 용량을 결정하는데 사용한다. 본 발명의 포합체/담체/면역보조제 각각은 혈중에서 헤로인 및 니코틴과 최대한 결합하는 항체 반응을 일으키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Due to genetic diversity in clearance, interaction with other drugs, excretion and distribution, disease-related diversity and combination with other factors result in varying vaccine responses in patients administered the same dose. Various clinical measures assessed the desired range of drug and did not monitor treatment response with chemical measures. The excretion rate, accumulation of half-life, and homeostasis of plasma concentrations are very difficult to predict and are us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dose by measuring anti-drug-drug antibody production. Each of the conjugates / carriers / immunoadjuv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ssess the ability to produce an antibody response that binds to heroin and nicotine in the blood as much as possible.

항체반응을 유도하는 담체와 면역보조제의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예에서 다루었다. 특정 경우에 있어서 활성화합물의 적절한 양은 이용된 특정 포합체, 처방된 조성물 및 특정 부위와 기관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 들면 적절한 담체를 포함한 치료학적 조성물은 비경구적으로 점막으로 투여하였다. 본 발명에서 자세히 논의한 바와 같이 적절한 불완전항원(hapten)과 담체 복합체로 면역화하는 전신적인 IgG와 국소적인 IgA의 생성에 매우 효과적이다. Details of the effects of carriers and adjuvant inducing antibody responses are given in the examples. In certain cases, the appropriate amount of active compound will vary depending upon the particular conjugate employed, the composition prescribed and the particular site and organ. For example, therapeutic compositions comprising suitable carriers are administered parenterally parenterally. As discussed in detail herein, it is very effective for the generation of systemic IgG and local IgA that are immunized with suitable incomplete antigens and carrier complexes.

본 예에서 설정한 쥐과의 실험 동물은 니코틴 투여한 후에 항체 역가, 유리 니코틴 인식 능력, 니코틴과 결합 능력, 니코틴과의 친화력, 항체 특이 반응, 항체 동위체, 항체 조직 위치 및 항체의 생리적인 효과 등을 포함하여 항체 반응의 다른 특징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The murine experimental animals set up in this example have shown antibody titer, free nicotine recognition ability, binding ability with nicotine, affinity with nicotine, antibody specific reaction, antibody isotope, antibody tissue location,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nicotine after administration of nicotine. It is used to measure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ntibody response, including.

항체 역가Antibody titers

접종 후 포합체가 높은 역가의 항체 반응을 일으키는지 1차 검색하였다. 항체 역가는 이 영역에서 잘 알려진 방법인 ELISA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예를 들어 판은 니코틴-HEL포합체로 코팅한 후 광범위하게 세척하고 다양하게 희석한 시험 혈청으로 배양하였다. 판을 다시 세척하고 효소를 부착한 항-마우스 IgG2차 항체를 전개시켰다. 역가는 최대 반응의 50%는 나타내는 희석한 혈청의 역수로 하였다. After inoculation, the conjugates were first screened to produce high titer antibody responses. Antibody titers were determined using the ELISA method which is well known in this area. For example, plates were coated with nicotine-HEL conjugates and then incubated with extensively washed and variously diluted test serums. The plate was washed again and the enzyme attached anti-mouse IgG2 antibody developed. The titer was taken as the inverse of the diluted serum showing 50% of the maximum response.

항체 역가는 항체의 농도와 항체의 친화력에 따라 결정된다. 항체의 농도와 친화력 모두 필요한 항체의 역가를 설정하기 위해 고려되었다. Antibody titers are determined by the concentration of the antibody and the affinity of the antibody. Both the concentration and affinity of the antibody were considered to establish the titer of the antibody required.

항체 친화력은 결합되지 않은 항체와 결합되지 않은 약물과 평형을 이루는 항체-약물 복합체의 양을 반영한다. 따라서 :Antibody affinity reflects the amount of antibody-drug complex that is in equilibrium with a drug that is not bound to an antibody that is not bound. therefore :

Keq = [Ab+drug complex]/[Ab]×[drug]Keq = [Ab + drug complex] / [Ab] × [drug]

[Ab] = 항체 결합 부위에 결합되지 않은 분자 농도[Ab] = molecular concentration not bound to the antibody binding site

[drug] = 결합하지 않은 약물 농도[drug] = unbound drug concentration

[Ab+drug] = 항체-약물 복합체의 농도[Ab + drug] = concentration of antibody-drug complex

항체 반응 특이성Antibody Response Specificity

중독 약물의 작용을 차단하는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유발된 항체는 약물학적으로 약물의 불활성 대사체와 최소한의 친화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약물학적으로 약물의 불활성 대사체와 항체의 결합은 백신의 효력을 감소시킨다. 대사체를 위한 항혈청의 특이성은 ELISA법과 방사선 동위원소 표식 면역분석법에 따라 측정한다. 더 나아가 백신의 효과는 약물학적으로 활성인 대사체와 약물 유도체와 항체의 결합이 야기되어야만 증가된다. In order to obtain the maximum effect of blocking the action of addictive drugs, the antibodies raised should have minimal affinity with the drug's inactive metabolites. Pharmacologic binding of the drug with the inactive metabolite of the drug reduces the efficacy of the vaccine. Specificity of antisera for metabolites is determined according to ELISA and radioisotope labeled immunoassays. Furthermore, the effectiveness of the vaccine is increased only by the binding of the pharmacologically active metabolite with the drug derivative and the antibody.

추가적으로, 중독 치료 및 기타 약물치료에 사용되는 다른 약물로 생기는 항체와의 상호작용은 최소화되어야 한다. 특히, 헤로인과 여러 약물 남용자에게 처방되어지는 약물과의 상호 반응은 피해야 한다. Buprenorphine, desipramine, naloxone, haloperidol, chlorproazine, mazindol, bromocriptine 및 관련 약물들이 복합치료에 사용된다. In addition, interactions with antibodies from other drugs used in the treatment of addiction and other medications should be minimized. In particular, interactions between heroin and drugs prescribed to many drug abusers should be avoided. Buprenorphine, desipramine, naloxone, haloperidol, chlorproazine, mazindol, bromocriptine and related drugs are used in combination therapy.

헤로인 LDHeroin LD 5050 의 효과 Effect

높은 역가 특이 항체 반응을 포함하여 보다 효과적인 포합체와 면역화 프로토콜은 헤로인의 LD50를 상응시키는 능력을 평가한다. 이러한 실험에서는 헤로인-면역 및 조절 담체-면역 마우스에 LD50을 일으키는 용량의 헤로인을 IV하였다. 10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Cochran-Mantel-Haenzel Chi-squared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More effective conjugates and immunization protocols, including high titer specific antibody responses, evaluate the ability of heroin to match LD 50 . In these experiments, heroin at a dose that caused LD 50 in heroin-immune and regulatory carrier-immune mice was IV. Ten mice were used and analyzed using the Cochran-Mantel-Haenzel Chi-squared method.

또한 시간에 따른 약물 실패 모델을 헤로인에 의한 사망 시간 분석에 이용하였다. 이러한 모델로 사망에 이르게 하는 헤로인의 용량(a)과 사망에 이르는 시간(b) 모두 항-헤로인 항체 증가 정도로 유효율을 측정하였다. 이것은 항체의 생체내 유효율을 측정하는 신속하고 정확한 시험이다.A drug failure model over time was also used for the analysis of death time by heroin. With this model, the effective rate of both the dose of heroin leading to death (a) and the time to death (b) were measured to increase anti-heroin antibodies. This is a quick and accurate test to determine the in vivo effectiveness of an antibody.

사람에 대한 생리학적 효과 관찰Observing physiological effects on humans

헤로인 남용으로 의학적인 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은 얕은 호흡, 동공 축소, 빈맥, 체온 저하 및 외국 자극에 무반응을 나타낸다. 과용량에서는 청색증과 사망에 이르게 된다. 백신으로 능동 면역하였을 때와 항체를 투여하였을 때의 헤로인의 혈중 농도와 이러한 모든 요인들을 평가하고, 특징을 설정하였다. Persons in need of medical treatment for heroin abuse are unresponsive to shallow breathing, narrowing of the pupils, tachycardia, hypothermia and foreign stimuli. Overdose leads to cyanosis and death. The heroin blood concentrations at the time of active immunization with the vaccine and when the antibody was administered and all these factors were evaluated and characterized.

본 발명에 제한없이, 본 발명의 조성과 방법에 있어서 니코틴과 헤로인 및 특정 구체적 사항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을 나타내었다. Without limiting the invention, details regarding nicotine and heroin and certain specifics have been presented in th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 invention.

다음 예에 니코틴과 항니코틴 항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예들은 헤로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에 tritium을 표식한 니코틴을 주사한 후 여러 시간에 치사시키고 헤로인의 재분포(뇌에 최소량)를 추적할 수 있다. 헤로인 대사 및 배설에 대한 항-헤로인 항체의 효과는 3H-헤로인 주사한 마우스의 혈장 TLC 및 HPLC로 분석할 수 있다.The following examples show nicotine and antinicotine antibodies. However, these examples may also apply to heroin. For example, mice may be injected with tritium-labeled nicotine and killed at various times to track the redistribution of heroin (minimal amount in the brain). The effect of anti-heroin antibodies on heroin metabolism and excretion can be analyzed by plasma TLC and HPLC of 3H-heroin injected mice.

여기서 제시된 예와 구체적 사항은 단지 실제 예의 목적으로 이해되며, 숙련된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다양한 수정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의 수많은 예는 본 발명의 실제 예로서 안내역할을 제시한다. The examples and specific details set forth herein are understood for the purpose of practical examples only,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suggested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many of the following examples provide guidance as a practical example of the invention.

[실시예1] Example 1

니코틴 포합체 제조Nicotine conjugate preparation

방법A 노르니코틴 50mmol 염화메칠렌 용액에 트리에칠라민(75mmol)과 무수주석산 (100mmol)을 넣었다. 이 용액을 18시간 동안 환류하면서 가열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0%수화염소산,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 함수 및 물로 세척하였다. 황화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는 실리카겔 프레쉬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원하는 물질을 얻었다. Method A Triethylamine (75 mmol) and tin anhydride (100 mmol) were added to a solution of nornicotine 50 mmol methylene chloride. This solution was heated to reflux for 18 hours. The reaction mixture was washed with 10% hydrochloric acid, saturated sodium bicarbonate solution, brine and water. After drying over magnesium sulfide, the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 residue was purified using silica gel fresh chromatography to obtain the desired material.

방법B 주석산화노르니코틴을 도7과 같이 니코틴포합체 PS-54를 합성하는데 사용하였다. DMF (0.1ml), 디이소프로필에칠아민 (10um)에 주석산화노르니코틴 (5um), HATU(5.5um)를 넣었다. 10분 후에 미황색 용액을 pH8.8(0.9ml)의 0.1M 붕산나트륨완충액의 HEL 또는 BSA(500ug) 용액에 넣고 이 혼합물을 대기온도에서 18시간 교반하였다. 포합체 용액은 0.1M수화염소산으로 pH 7.0으로 맞추고 PBS에 대한 투석에 의해 정제하였다. 투석은 0.2um 여과지로 여과하고 불완전항원의 농도를 mass 및 UV 흡광도로 분석하였다. Method B Nornicotin oxide was used to synthesize nicotine conjugate PS-54 as shown in FIG. DMF (0.1 ml), diisopropylethylamine (10 um) was added nornicotin oxide (5 um) and HATU (5.5 um). After 10 minutes, the pale yellow solution was added to a HEL or BSA (500 ug) solution of 0.1 M sodium borate buffer at pH 8.8 (0.9 ml)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ambient temperature for 18 hours. The conjugate solution was adjusted to pH 7.0 with 0.1 M hydrochloric acid and purified by dialysis against PBS. Dialysis was filtered with 0.2um filter paper and the concentration of incomplete antigen was analyzed by mass and UV absorbance.

니코틴특이항체반응 유발Induced nicotine-specific antibody response

소분자 또는 니코틴같은 불완전항원으로 항체특이반응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단백 담체같은 T세포-epitope 포함 담체와 연결이 필요하다. 담체는 니코틴-특이 B세포에 의해 항체 생산의 유발 및 유지를 위해 필요한 T세포에 의해 인식된다. 예를 들어 BSA가 담체로 사용된다. 구조적으로 뚜렷한 니코틴-BSA포합체는 몇몇 다른 연결자와 니코틴 분자와 다른 부분을 통하여 연결되어 만들어진다 (도6b). 다른 포합체를 변화된 니코틴 분자를 시험하는데 사용하였다. 니코틴 분자는 유리 불완전항원 (니코틴)이나 담체 또는 다음에 사용되는 포합체 (니코틴으로는 인식되지 않음) 등을 인식하는 항체를 다양하게 유발한다.In order to induce antibody-specific reactions with incomplete antigens such as small molecules or nicotine, it is necessary to link with T cell-epitope-containing carriers such as protein carriers. Carriers are recognized by T cells necessary for induction and maintenance of antibody production by nicotine-specific B cells. For example, BSA is used as the carrier. Structurally distinct nicotine-BSA conjugates are made by linking several other linkers and nicotine molecules through different moieties (FIG. 6B). Another conjugate was used to test the altered nicotine molecules. Nicotine molecules induce a variety of antibodies that recognize free incomplete antigen (nicotine) or a carrier or a conjugate used next (not recognized as nicotine).

2-3개월된 4마리의 Balb/c 암컷 마우스에 니코틴-BSA포합체 50ug, PS-55-BSA 및 Freund면역보조제를 복강주사하여 면역시켰다. 본 연구 하에서 마우스는 항원에 재현성이 좋다. 21일에 PS-55-BSA를 2차 접종하고 35일에 치사하였다. 혈청은 ELISA법으로 PS-55와 암탉 난자 라이소자임 단백질(HEL) 포합체와 항체와의 결합을 시험하여 도9a에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니코틴-BSA포합체는 강한 항체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Four Balb / c female mice 2-3 months old were immunized with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50 ug of nicotine-BSA conjugate, PS-55-BSA and Freund's immune adjuvant. Mice under this study have good reproducibility to antigens. PS-55-BSA was inoculated on day 21 and lethal on day 35. Serum was shown in Figure 9a by testing the binding between the PS-55 and the hen egg lysozyme protein (HEL) conjugate and the antibody by ELIS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icotine-BSA conjugates can induce a strong antibody response.

2-3개월된 10마리의 Balb/cbyj 암컷 마우스에 항-니코틴항혈청을 제조하여 면역시켰다. 이 실험에서는 CTB를 담체로 사용하였다. 마우스에 알하이드로겔 PS-55-CTB 10ug을 근육주사하여 면역시키고 같은 방법으로 3회 실시하였다. 마우스를 치사시키고 혈청은 분리하였다. 각 실험동물의 혈청을 가지고 직접적인 니코틴 ELISA법으로 항-니코틴 항체를 측정하고, 유리니코틴을 인식할 수 있는 항체가 유도되었는지 측정하였다. Ten Balb / cbyj female mice, 2-3 months old, were immunized with anti-nicotine antiserum. In this experiment, CTB was used as a carrier. Mice were immunized with 10 ug of alhydrogel PS-55-CTB and immunized three times in the same manner. Mice were killed and serum isolated. Anti-nicotine antibodies were measured by direct nicotine ELISA with the serum of each experimental animal, and whether an antibody capable of recognizing free nicotine was induced.

각 실험동물의 혈청을 다음 방법으로 항체를 측정하기 위하여 항-니코틴 직접 ELISA법으로 시험하였다. Immulon 2 96 well ELISA 판은 4℃에서 2차 포합 니코틴 10ug/ml, HEL, PS-55-HEL, 희석한 1×PBS 50ul를 하루밤 코팅하였다. 판은 1시간 동안 실온에서 PBS 0.5% 젤라틴으로 막았다. 판은 0.05%트윈20 (PBS-T)를 포함하는 1×PBS로 3회 세척하였다. 혈청 검체는 PS-55-HEL로 코팅한 판을 1/300으로 희석한 판에 넣었다. 혈청은 3배 희석하고 2시간 동알 실온에서 판을 막은 상태로 배양하였다. 판은 PBS-T로 3회 세척하였다. 바이오틴레이티드 염소 항-마우스 IgG를 PBS-T로 1/10000 희석하고 100ul를 각 well에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스트렙타비딘-HRP를 1/10000 희석하고 30분 동안 well에 가한 다음 PBS-T로 세척하였다. 판은 PBS-T로 3회 세척하고 각 well에 TMB Substrate를 가하였다. 반응은 5분 후 1M 인산을 넣어 중단시켰다. 판은 450nm에서 ELISA 기록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직접 ELISA법에서 항-니코틴 항체를 생성한 혈청은 ELISA 경쟁법으로 시험하였다. Serum from each experimental animal was tested by anti-nicotine direct ELISA to measure antibodies in the following manner. The Immulon 2 96 well ELISA plate was coated with 10 μg / ml of secondary conjugated nicotine, HEL, PS-55-HEL, and 50 μl of diluted 1 × PBS at 4 ° C. overnight. Plates were blocked with PBS 0.5% gelatin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Plate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1 × PBS containing 0.05% Tween20 (PBS-T). Serum samples were placed in 1/300 diluted plates coated with PS-55-HEL. Serum was diluted three-fold and incubated with plate blocking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Plate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PBS-T. Biotinylated goat anti-mouse IgG was diluted 1/10000 with PBS-T and 100ul was added to each well and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Streptavidin-HRP was diluted 1/10000 and added to the wells for 30 minutes and washed with PBS-T. Plate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PBS-T and TMB Substrate was added to each well. The reaction was stopped after 5 minutes with 1M phosphoric acid. Plates were analyzed using an ELISA recorder at 450 nm. Serums that produced anti-nicotine antibodies by direct ELISA were tested by ELISA competition.

유리 니코틴의 인식Free Nicotine Recognition

유도된 항체가 유리 니코틴분자를 인식할 수 있는 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경쟁적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를 실시하였다. 상기 정량법에서 유리 니코틴은 혈청에 있는 항체와 결합하기 위하여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의 플레이트상에 코팅된 PS-55 HEL과 경쟁하기 시작한다. 니코틴에 대한 높은 친화성을 가지고 있는 항체가 PS-55 HEL에 대부분 결합되는 경우 낮은 농도에 있는 니코틴은 상기 항체결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duced antibodies could recognize free nicotine molecules. In this assay free nicotine begins to compete with PS-55 HEL coated on a plate of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binding to antibodies in serum. When an antibody having high affinity for nicotine is mostly bound to PS-55 HEL, nicotine at a low concentration can effectively inhibit the antibody binding.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4마리의 마우스중 3마리에게 PS-55 HEL를 주입한 결과, PS-55 HEL에 결합되는 항체는 유리 니코틴에 의해 억제되었다 (관련데이타 미첨부). 포합체에게만 특이적인 항체가 존재하면 항니코틴 항체의 작용을 간섭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주지하여야 한다. 이는 각각의 혈청에 존재하는 항체가 유리 니코틴을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니코틴의 주요 대사산물인 코티닌에 대해서도 경쟁적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를 실시하였다. 유도된 항체가 유리 니코틴분자를 인식할 수 있는 가를 입증하기 위하여 RIA를 사용하여 [3H]-니코틴에 특이적 결합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으로부터 면역혈청을 [3H]-니코틴과 단백-G-포합체 Sepharose 비드 (Gammabind-G Sepharose, Pharmacia)과 함께 배양하여 혈청샘플에 있는 IgG와 결합시킨다. 항체와 결합된 [3H]-니코틴을 비드의 원심분리하여 분리시키고 비드의 신틸레이션 계수에 의해 검사하였다. 유리 [3H]-니코틴은 4마리의 마우스중 3마리의 혈청에 현저히 결합되었다 (관련데이타 미첨부). 50배의 과량 미표지 니코틴과 함께 상기 혈청을 산전에 배양한 결과 상기 항체에 [3H]-니코틴의 결합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상기 데이타에 따르면, 합성된 니코틴-담체 포합체는 생체내에서 니코틴이 뇌에 분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니코틴 특이성 항체반응을 유도된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As mentioned above, when three of four mice were injected with PS-55 HEL, the antibody binding to PS-55 HEL was inhibited by free nicotine (without relevant data).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ce of antibodies specific to the conjugat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ction of the antinicotine antibodies. This suggests that the antibodies present in each serum recognize free nicotine. In addition, a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was also performed on cotinine, a major metabolite of nicotine. RIA was used to measure specific binding to [3 H] -nicotine to demonstrate whether the induced antibody can recognize free nicotine molecules. From this experiment, the immunoserum is incubated with [3H] -nicotine and protein-G-conjugated Sepharose beads (Gammabind-G Sepharose, Pharmacia) to bind to IgG in serum samples. [3H] -nicotine bound to the antibody was separated by centrifugation of the beads and examined by scintillation counting of the beads. Free [3H] -nicotine was significantly bound to three of four mice (without relevant data). The serum was prenatally cultured with 50-fold excess unlabeled nicotine to completely inhibit the binding of [3H] -nicotine to the antibody. The data demonstrate that the synthesized nicotine-carrier conjugates induce nicotine specific antibody responses that can prevent nicotine from being distributed to the brain in vivo.

PS-55-CTB를 사용하여 면역시킨 10마리의 제2군의 경우 PS-55 HEL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유리 니코틴에 의해 억제되었다 (제 10도). 사용된 희석혈청은 50% 포인트 역가를 나타내었다. 96웰의 임무론 (Immulon) 2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 플레이트를 4℃에서 1 X PBS에 녹인 10㎍/ml PS-N-3.2 HEL의 50㎕에 밤새도록 도포시켰다. 상기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시간동안 PBS에 녹인 0.5% 젤라틴으로 차단시키고 0.05% 트윈-20 (PBS-T)를 함유한 1 X PBS에 의해 3번 세척시켰다. 상기 플레이트를 니코틴 대사산물, 약물 및 관련 화합물은 물론 유리 니코틴의 각각의 농도하에서 2시간동안 실온에서 항혈청과 함께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플레이트를 PBS-T로 세번 세척하였다. 비오틴화된 염소 항마우스 IgG (로트번호: J194-N855B 또는 C)를 PBS-T를 사용하여 1/10,000로 희석시킨후, 100㎕ 용액을 각 웰에 첨가하여 1시간동안 실온에서 세척하였다. Streptavidin-HRP를 1/10,000로 희석시키고 PBS-T로 세척한 후, 각 웰에 첨가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PBS-T로 세번 세척한 후, 각 웰에 TMB 기질을 첨가하여 발현시켰다. 1M의 인산을 첨가한 후, 반응을 중단하였다. 그리고 나서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 계측기를 이용하여 O.D. 450 nm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계측하였다. 각 시험혈청에 대한 경쟁적 곡선을 제 10도에 나타내었다. 경쟁물질의 증가를 농도를 X-축에 나타내었고 450 nm에서의 흡수도를 Y-축에 나타내었다.For the ten second groups immunized with PS-55-CTB, binding of the antibody to PS-55 HEL was inhibited by free nicotine (FIG. 10). The diluted serum used showed a 50% point titer. 96 well Immunon 2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plates were applied overnight to 50 μl of 10 μg / ml PS-N-3.2 HEL dissolved in 1 × PBS at 4 ° C. The plates were blocked with 0.5% gelatin dissolved in PBS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and washed three times with 1 × PBS containing 0.05% Tween-20 (PBS-T). The plates were incubated with antiserum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under respective concentrations of nicotine metabolites, drugs and related compounds as well as free nicotine. The plates were then washed three times with PBS-T. Biotinylated goat antimouse IgG (lot #: J194-N855B or C) was diluted to 1 / 10,000 using PBS-T, and then 100 μl solution was added to each well and wash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Streptavidin-HRP was diluted to 1 / 10,000 and washed with PBS-T and then added to each well. The plate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PBS-T and then expressed by adding TMB substrate to each well. After addition of 1 M phosphoric acid, the reaction was stopped. Then, using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he O.D. The plate was measured at 450 nm. Competitive curves for each test serum are shown in FIG. The increase in competition was shown on the X-axis and the absorbance at 450 nm on the Y-axis.

제 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티닌이나 노르코티닌과 같은 니코틴의 대사산물에 대하여 항체의 인식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리도카인 마취제는 음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므로 항체에 결합에 대하여 경쟁할 수가 없었다. 또한, 포합체 그 자체를 경쟁자로 사용하였으므로 상기 항체와 경쟁할 수 있었다.As shown in FIG. 10, there was little recognition of the antibody with respect to metabolites of nicotine such as cotinine or norcotinine. Lidocaine anesthesia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and thus could not compete for binding to the antibody. In addition, since the conjugate itself was used as a competitor, it was able to compete with the antibody.

니코틴의 활성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유도된 항체의 경우 니코틴 대사산물에 대하여 최소한의 친화성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항체가 보다 안정적으로 대사산물에 결합되면 백신의 역가를 감소시킨다. 항혈청 검색시에 오로지 니코틴 만이 항체가 포합체로 결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에서 대산산물 (코티닌 및 노르코티닌) 및 마취제 (리도카인)에 대한 항체의 인식도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니코틴-CTB 포합체는 니코틴을 인식하는 항체를 유도하나 대사산물에 대해서는 항체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니코틴-CTB 포합체는 관련구조를 갖고 있는 화합물과 현재 니코틴중독을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약물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In order to block the activity of nicotine as effectively as possible, the induced antibody should have minimal affinity for nicotine metabolites. Binding of the antibody to the metabolite more stably reduces the titer of the vaccine. Only nicotine was able to inhibit the binding of the antibody to the conjugate at the time of antisera screening. In this experiment little recognition of the antibodies to the products (cotinine and norcotinine) and anesthetics (lidocaine) was observed. Thus, the nicotine-CTB conjugate induces an antibody that recognizes nicotine, but the antibody does not recognize metabolites. In addition, the nicotine-CTB conjugate does not recognize a compound having a related structure and a drug currently used to treat nicotine poisoning.

니코틴에 특이적인 항체의 특이성Specificity of Antibodies Specific to Nicotine

니코틴 백신에 의해서 유도된 항니코틴성 항체의 특이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니코틴-CTB 포합체에 의해 면역된 마우스의 혈청을 경쟁적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를 실시하였다. 일단의 니코틴 대사산물과 관련 분자들의 농도를 달리하여 시험하였다. 항체가 상기 대사산물에 대하여 높은 친화력을 갖는 경우 낮은 농도에서 상기 정량법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경쟁할 수 있다. 상대적 반응도를 LD50으로 나타내었는데 이는 50%까지 쟁적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의 시그널 (signal)을 감소시키는 억제제의 농도를 가르킨다. 하기의 대사산물에 대한 반응도를 실험하였다: 나코틴 글루쿠로니드, 코티닌, 코티닌 글루쿠로니드, 트랜스-3'-히드록시코티닌, 트랜스-3'-히드록시코티닌 글루쿠로니드, 니코틴 1'-N-옥사이드, 코티닌 N-옥사이드 및 노르코티닌.In order to investigate the specificity of anti-nicotinic antibodies induced by nicotine vaccines, sera from mice immunized with nicotine-CTB conjugates were subjected to a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icotine metabolites and related molecules were tested. If the antibody has a high affinity for the metabolite, it can effectively compete for the assay at low concentrations. Relative reactivity was expressed as LD50, which indicates the concentration of inhibitor that reduced the signal of the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by 50%. Reactivity to the following metabolites was tested: Nacotin glucuronide, cotinine, cotinine glucuronide, trans-3'-hydroxycotinine, trans-3'-hydroxycotinine glucuronide, nicotine 1 '-N-oxide, cotinine N-oxide and norcotinine.

니코틴 분포를 억제시에 니코틴에 특이적인 항체의 효과Effect of Nicotine-Specific Antibodies on Inhibiting Nicotine Distribution

뇌에 대한 니코틴 분포의 생체내 억제In vivo Inhibition of Nicotine Distribution to the Brain

니코틴에 특이적인 항체에 의해서 야기되는 니코틴 조직분포상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3H-니코틴의 분포도를 니코틴-CTB로 면역시킨 마우스에서 조사하여 이를 천연의 대조마우스 (비면역된)와 비교하였다. 면역 마우스 및 대조군 면역 마우스에 0.08 mg/kg 3H-니코틴을 정맥주사하고 주사후 10분이 지나서 치사시켰다. 혈액을 채취하여 EDTA를 함유한 튜브에 넣고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뇌와 플라스마 샘플을 세포균질기를 함유하는 신틸레이션 바이알에 넣었다. 샘플의 소화는 실온에서 3일에 걸쳐 발생하였다. 상기 샘플의 색상를 없애고 신틸레이션 칵테일을 각 샘플에 첨가하였다. 빙초산을 첨가하여 샘플을 투명하게 하였다. 샘플을 신틸레이션 계수기에서 측정한 후 해당 데이타를 세포의 ng/g 이나 ng/ml로 환산하였다. 3H-니코틴을 주입한 후에 니코틴-CTB로 면역시킨 마우스의 뇌조직에서 니코틴 농도는 천연 대조군 마우스의 뇌조직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To assess the changes in nicotine tissue distribution caused by nicotine specific antibodies, the distribution of 3H-nicotine was examined in mice immunized with nicotine-CTB and compared with natural control mice (non-immunized). Immune mice and control immune mice were injected intravenously with 0.08 mg / kg 3H-nicotine and killed 10 minutes after injection. Blood was collected and placed in a tube containing EDTA to prevent coagulation. Brain and plasma samples were placed in scintillation vials containing cell homogenizers. Digestion of the sample occurred over 3 days at room temperature. The sample was decolorized and a scintillation cocktail was added to each sample. Glacial acetic acid was added to make the sample clear. Samples were measured on a scintillation counter and then the data was converted to ng / g or ng / ml of cells. In the brain tissues of mice immunized with nicotine-CTB after 3H-nicotine injection, nicotin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atural control mice.

[실시예 2] Example 2

방법 A: (S)-니코틴의 N'-부티르산 첨가물Method A: N'-butyric acid additive of (S) -nicotine

무수 메탄올 (50㎖)에 있는 (S)-니코틴 (0.031 moles) 용액에 에틸-4-브로모부티르레이트 (0.0341 moles)를 얼음-물 온도 및 아르곤하에서 1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렇게하여 제조된 오렌지색 용액을 상온까지 승온하고 1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상기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여 브라운색의 잔유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헥산으로 침전시켜 원하는 에스테르의 분석용 순수 시료를 수득하였다.To a (S) -nicotine (0.031 moles) solution in anhydrous methanol (50 mL) was added ethyl-4-bromobutyrate (0.0341 moles) dropwise over 10 minutes under ice-water temperature and argon. The orange solution thus prepared was heated up to room temperature and stirred for 18 hours. The solvent was then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to give a brown residue which was precipitated with hexane to give a pure sample for analysis of the desired ester.

그런 다음, 에스테르 (36㎎)를 메탄올 (3㎖) 및 수산화나트륨 용액 (5㎖)에 용해하고, 상온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그리고 나서,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10% 염산에 용해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이어, 건조 (MgSO4)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원하는 화합물을 제조하였다.Then, the ester (36 mg) was dissolved in methanol (3 mL) and sodium hydroxide solution (5 mL)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8 hours. Then, the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 residue was dissolved in 10% hydrochloric acid, and then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Then dried (MgSO4) and the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to give the desired compound.

방법 B: (S)-니코틴의 N'-발레르산 첨가물Method B: N'- valeric acid additive of (S) -nicotine

무수 메탄올 (50㎖)에 있는 (S)-니코틴 (0.031 moles) 용액에 1-브로모발레르산 (0.0341 moles)을 얼음-물 온도 및 아르곤하에서 1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렇게하여 제조된 오렌지색 용액을 상온까지 승온하고 1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상기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여 브라운색의 잔유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헥산으로 침전시켜 원하는 에스테르의 분석용 순수 시료를 수득하였다.To a (S) -nicotine (0.031 moles) solution in anhydrous methanol (50 mL) was added dropwise 1-bromovaleric acid (0.0341 moles) over 10 minutes under ice-water temperature and argon. The orange solution thus prepared was heated up to room temperature and stirred for 18 hours. The solvent was then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to give a brown residue which was precipitated with hexane to give a pure sample for analysis of the desired ester.

방법 C: (S)-니코틴의 N'-헥사노산 첨가물Method C: N'-hexanoic acid additive of (S) -nicotine

무수 메탄올 (50㎖)에 있는 (S)-니코틴 (0.031 moles) 용액에 1-브로모헥사노산 (0.0341 moles)을 얼음-물 온도 및 아르곤하에서 1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렇게하여 제조된 오렌지색 용액을 상온까지 승온하고 1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상기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여 브라운색의 잔유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헥산으로 침전시켜 원하는 에스테르의 분석용 순수 시료를 수득하였다.To the (S) -nicotine (0.031 moles) solution in anhydrous methanol (50 mL) was added dropwise 1-bromohexanoic acid (0.0341 moles) over 10 minutes under ice-water temperature and argon. The orange solution thus prepared was heated up to room temperature and stirred for 18 hours. The solvent was then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to give a brown residue which was precipitated with hexane to give a pure sample for analysis of the desired ester.

방법 D: (S)-니코틴의 N'-옥타노산 첨가물Method D: N'-octanoic acid additive of (S) -nicotine

무수 메탄올 (50㎖)에 있는 (S)-니코틴 (0.031 moles) 용액에 1-브로모옥타노산 (0.0341 moles)을 얼음-물 온도 및 아르곤하에서 1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렇게하여 제조된 오렌지색 용액을 상온까지 승온하고 1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상기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여 브라운색의 잔유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헥산으로 침전시켜 원하는 에스테르의 분석용 순수 시료를 수득하였다.To a solution of (S) -nicotine (0.031 moles) in anhydrous methanol (50 mL) was added dropwise 1-bromooctanoic acid (0.0341 moles) over 10 minutes under ice-water temperature and argon. The orange solution thus prepared was heated up to room temperature and stirred for 18 hours. The solvent was then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to give a brown residue which was precipitated with hexane to give a pure sample for analysis of the desired ester.

[실시예 3] Example 3

방법 A: PS-55, PS-56, PS-57 및 PS-58의 일반적 제조Method A: General Preparation of PS-55, PS-56, PS-57, and PS-58

DMF (1.6㎖)에 있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니코틴의 적합한 N'-알카노산 유사체 (6.27×10-5 moles) 용액에 DIEA (1.25×10-4 moles) 및 HATU (7.53×10-5 moles)를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0분 경과한 다음, 옅은 황색의 용액을 0.1M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pH 8.3, 14.4㎖)내의 HEL 또는 BSA (16.5㎎)에 첨가하고, 1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접합 용액을 PBS 용액으로 4℃에서 하루밤동안 투석함으로써 정제하였다. 그런 다음, 햅텐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포합체를 레이저 탈착 매스 스펙트럼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To a suitable N'-alkanoic acid analog (6.27 × 10-5 moles) solution of nicotine obtained in Example 1 above in DMF (1.6 mL), DIEA (1.25 × 10-4 moles) and HATU (7.53 × 10-5) moles) were added. Afte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a pale yellow solution was added to HEL or BSA (16.5 mg) in 0.1 M sodium bicarbonate (pH 8.3, 14.4 mL) and stirred for 18 h. The conjugation solution was then purified by dialysis overnight at 4 ° C. with PBS solution. The conjugate was then analyzed using a laser desorption mass spectrum analyzer to determine the number of hapten.

방법 B: PS-55의 제조Method B: Preparation of PS-55

DMF (0.4㎖)에 있는 상기 실시예 2의 방법 A에서 수득한 니코틴의 N'-부티르산 첨가체 (39㎎, 1.56×10-4 moles) 용액에 DIEA (54㎖, 3.10×10-4 moles) 및 HATU (71㎎, 1.87×10-4 moles)를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0분 경과한 다음, 옅은 황색의 용액을 0.1M 소듐 보레이트 및 0.15M 염화나트륨 (pH 8.5)의 4㎖내의 rCTB (2㎎, 3.4×10-8 moles[라이신 15.6×10-6 moles])에 적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접합 용액을 PBS 용액으로 4℃에서 하루밤동안 투석함으로써 정제하였다. 그런 다음, 햅텐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포합체를 레이저 탈착 매스 스펙트럼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DIEA (54 mL, 3.10 × 10-4 moles) in a solution of the N'-butyric acid additive (39 mg, 1.56 × 10-4 moles) of nicotine obtained in Method A of Example 2 above in DMF (0.4 mL) And HATU (71 mg, 1.87 × 10-4 moles). Afte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the pale yellow solution was added rCTB (2 mg, 3.4 x 10-8 moles [lysine 15.6 x 10-6 moles]) in 4 ml of 0.1 M sodium borate and 0.15 M sodium chloride (pH 8.5). Was added dropwise and stirred for 1 hour. The conjugation solution was then purified by dialysis overnight at 4 ° C. with PBS solution. The conjugate was then analyzed using a laser desorption mass spectrum analyzer to determine the number of hapten.

방법 C: PS-56의 제조Method C: Preparation of PS-56

DMF (0.4㎖)에 있는 상기 실시예 2의 방법 B에서 수득한 니코틴의 N'-발레르산 첨가체 (2㎎) 용액에 DIEA (2㎖) 및 HATU (2㎎)를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0분 경과한 다음, 옅은 황색의 용액을 0.1M 소듐 보레이트 및 0.15M 염화나트륨 (pH 8.5)의 4㎖내의 rCTB (2㎎, 3.4×10-8 moles[라이신 15.6×10-6 moles])에 적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접합 용액을 PBS 용액으로 4℃에서 하루밤동안 투석함으로써 정제하였다. 그런 다음, 햅텐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포합체를 레이저 탈착 매스 스펙트럼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DIEA (2 mL) and HATU (2 mg) were added to the N'-valeric acid adduct (2 mg) solution of nicotine obtained in Method B of Example 2 above in DMF (0.4 mL). Afte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the pale yellow solution was added rCTB (2 mg, 3.4 x 10-8 moles [lysine 15.6 x 10-6 moles]) in 4 ml of 0.1 M sodium borate and 0.15 M sodium chloride (pH 8.5). Was added dropwise and stirred for 1 hour. The conjugation solution was then purified by dialysis overnight at 4 ° C. with PBS solution. The conjugate was then analyzed using a laser desorption mass spectrum analyzer to determine the number of hapten.

방법 D: PS-57의 제조Method D: Preparation of PS-57

DMF (0.4㎖)에 있는 상기 실시예 2의 방법 C에서 수득한 니코틴의 N'-헥사노산 첨가체 (2㎎) 용액에 DIEA (2㎖) 및 HATU (2㎎)를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0분 경과한 다음, 옅은 황색의 용액을 0.1M 소듐 보레이트 및 0.15M 염화나트륨 (pH 8.5)의 4㎖내의 rCTB (2㎎, 3.4×10-8 moles[라이신 15.6×10-6 moles])에 적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접합 용액을 PBS 용액으로 4℃에서 하루밤동안 투석함으로써 정제하였다. 그런 다음, 햅텐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포합체를 레이저 탈착 매스 스펙트럼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To the N'-hexanoic acid adduct (2 mg) solution of nicotine obtained in Method C of Example 2 above in DMF (0.4 mL) was added DIEA (2 mL) and HATU (2 mg). Afte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the pale yellow solution was added rCTB (2 mg, 3.4 x 10-8 moles [lysine 15.6 x 10-6 moles]) in 4 ml of 0.1 M sodium borate and 0.15 M sodium chloride (pH 8.5). Was added dropwise and stirred for 1 hour. The conjugation solution was then purified by dialysis overnight at 4 ° C. with PBS solution. The conjugate was then analyzed using a laser desorption mass spectrum analyzer to determine the number of hapten.

방법 E: PS-58의 제조Method E: Preparation of PS-58

DMF (0.4㎖)에 있는 상기 실시예 2의 방법 D에서 수득한 니코틴의 N'-옥타노산 첨가체 (2㎎) 용액에 DIEA (2㎖) 및 HATU (2㎎)를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0분 경과한 다음, 옅은 황색의 용액을 0.1M 소듐 보레이트 및 0.15M 염화나트륨 (pH 8.5)의 4㎖내의 rCTB (2㎎, 3.4×10-8 moles[라이신 15.6×10-6 moles])에 적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접합 용액을 PBS 용액으로 4℃에서 하루밤동안 투석함으로써 정제하였다. 그런 다음, 햅텐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포합체를 레이저 탈착 매스 스펙트럼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DIEA (2 mL) and HATU (2 mg) were added to the N'-octanoic acid adduct (2 mg) solution of nicotine obtained in Method D of Example 2 above in DMF (0.4 mL). Afte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the pale yellow solution was added rCTB (2 mg, 3.4 x 10-8 moles [lysine 15.6 x 10-6 moles]) in 4 ml of 0.1 M sodium borate and 0.15 M sodium chloride (pH 8.5). Was added dropwise and stirred for 1 hour. The conjugation solution was then purified by dialysis overnight at 4 ° C. with PBS solution. The conjugate was then analyzed using a laser desorption mass spectrum analyzer to determine the number of hapten.

방법 F: PS-60의 제조Method F: Preparation of PS-60

ⅰ) N-피롤리돈 첨가물의 제조Iii) preparation of N-pyrrolidone additives

메탄올내 노르니코틴 (10mmol) 용액에 에틸-5-브로모발레레이트 (10mmol)을 적가하였다. TLC로 확인되는 출발물질의 소모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잔유물을 실리카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N-피롤리돈 첨가물을 제조하였다.To a solution of nornicotine (10 mmol) in methanol was added dropwise ethyl-5-bromovaleric (10 mmol). After consumption of the starting material identified by TLC, the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 residue was purified using silica gel flash chromatography to prepare the desired N-pyrrolidone additive.

ⅱ) 접합물의 제조Ii) preparation of the conjugate

상기 에스테르를 5% 메탄올 수용액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 (15mmol)을 첨가하였다. TLC로 확인되는 출발물질의 소모후, pH를 1M 염산용액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2로 조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추출하였다. 이어, 건조 (MgSO4)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다음 잔유물을 실리카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자유산을 제조하였다.The ester was dissolved in 5% aqueous methanol solution and sodium hydroxide (15 mmol) was added. After consumption of the starting material identified by TLC, the pH was adjusted to 2 by carefully adding 1M hydrochloric acid solution, and extracted by adding ethyl acetate. The desired free acid was then prepared by drying (MgSO4), removing the solvent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n purifying the residue using silica gel flash chromatography.

DMF (0.4㎖)에 있는 상기 자유산 (1.55×10-4 mole) 용액에 DIEA (3.1×10-4 mole) 및 HATU (1.86×10-4 mole)를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0분 경과한 다음, 옅은 황색의 용액을 0.1M 소듐 보레이트 및 0.15M 염화나트륨 (pH 8.5)의 4㎖내의 rCTB (2㎎, 3.4×10-8 moles[라이신 15.6×10-6 moles])에 적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상기 혼합용액을 1시간동안 상온에서 정치하고, 중화한 다음 PBS 용액으로 4℃에서 하루밤동안 투석함으로써 PS-60을 수득하였다.To the solution of the free acid (1.55 × 10-4 mole) in DMF (0.4 mL) was added DIEA (3.1 × 10-4 mole) and HATU (1.86 × 10-4 mole). Afte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the pale yellow solution was added rCTB (2 mg, 3.4 x 10-8 moles [lysine 15.6 x 10-6 moles]) in 4 ml of 0.1 M sodium borate and 0.15 M sodium chloride (pH 8.5). Was added dropwise and stirred for 1 hour. Subsequently, the mixed solution was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neutralized, and then dialyzed overnight at 4 ° C. with PBS solution to obtain PS-60.

방법 G: PS-51의 제조Method G: Preparation of PS-51

ⅰ) 메틸 6-메틸니코티네이트의 제조Viii) preparation of methyl 6-methylnicotinate

메탄올 (250㎖)내 농축 황산 (25㎖)의 환류 용액에 6-메틸니코티네이트 (0.375mol)을 첨가하고, 3시간동안 환류하면서 교반하였다. 이어, 메탄올 (250㎖)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8시간동안 환류하면서 가열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슬러리를 제조한후, 이를 물 (450㎖)내의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80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기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흐릿한 결과물을 메틸렌 크로라이드로 추출한 다음, 건조하고 (MgSO4), 여과하였으며,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이어, 결과물을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To a reflux solution of concentrated sulfuric acid (25 mL) in methanol (250 mL) was added 6-methylnicotinate (0.375 mol) and stirred under reflux for 3 h. Methanol (250 mL) was then added and the mixture was heated to reflux for 18 h. The reaction mixture was then cool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make a slurry, which was then added to a solution of sodium bicarbonate (80 g) in water (450 mL). The mixture was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remove methanol. The blurry result was extracted with methylene chromide, then dried (MgSO 4), filter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he resultant was then distilled off under reduced pressure to purify the desired ester.

ⅱ) 6-메틸마이오스민의 제조Ii) Preparation of 6-methylmyosmine

디에틸 에테르 (500㎖)내 디이소프로필아민 (0.33mol) 용액에 n-부틸리튬 (헥산내 1.6M 용액의 0.247mol)을 아르곤하에서 -70℃에서 첨가하였다. 이어, N-(트리메틸시릴)피롤리돈 (0.265 mol)을 제조된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민 (LDA)에 첨가하고, -70℃에서 15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에 디에틸 에테르 (25㎖)내 메틸 6-메틸니코티네이트 (0.165mol)를 첨가하고 하루밤동안 상온까지 승온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혼합물을 아이스-욕에서 냉각하고, 물 (33㎖)을 첨가한 다음, 에테르층을 제거하였다. 추가 에테르를 첨가한 다음, 에테르층 제거 과정을 두 번 실시하였다. 수용액층에 농축 염산을 첨가하고, 결과 용액을 하루밤동안 환류하였다. 이어, 산성용액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한 다음, 얼음-욕에서 냉각하고 50% 수산화칼륨으로 염기화하였다. 수용액층을 디에틸 에테르 (3×150㎖)로 추출하고, 건조 (Na2SO4)시킨 다음,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6-메틸마이오스민을 제조하였다.To a solution of diisopropylamine (0.33 mol) in diethyl ether (500 mL) was added n-butyllithium (0.247 mol of 1.6M solution in hexanes) at -70 ° C under argon. N- (trimethylsilyl) pyrrolidone (0.265 mol) was then added to the prepared lithium diisopropylamine (LDA) and stirred at −70 ° C. for 15 minutes. To the solution was added methyl 6-methylnicotinate (0.165 mol) in diethyl ether (25 mL) and warmed to room temperature overnight. The mixture was then cooled in an ice-bath, water (33 mL) was added and then the ether layer was removed. Additional ether was added, followed by two ether layer removal procedures. Concentrated hydrochloric acid was added to the aqueous layer, and the resulting solution was refluxed overnight. The acidic solution was then washed with diethyl ether,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cooled in an ice-bath and basified with 50% potassium hydroxide. The aqueous layer was extracted with diethyl ether (3 × 150 mL), dried (Na 2 SO 4),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distilled under reduced pressure to afford the desired 6-methylmymine.

ⅲ) 6-메틸마이오스민의 에틸 발레레이트의 제조Iii) Preparation of ethyl valerate of 6-methylmyosmine

건조 톨루엔내 6-메틸마이오스민 (10mmol) 용액에 소듐아미드 (15mmol)를 첨가하였다. 10분이 경과한후, 에틸-5-브로모발레레이트 (20mmol)를 첨가하고, 출발물질이 소모 (TLC로 확인)될 때까지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이어, 혼합물을 얼음-욕에서 냉각하고, 건조 에탄올로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건조하였으며 (MgSO4), 여과한 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실리카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목적물을 수득하였다.To a solution of 6-methylmyosmine (10 mmol) in dry toluene was added sodium amide (15 mmol). After 10 minutes, ethyl-5-bromovalericate (20 mmol) was added and the mixture was stirred until the starting material was consumed (checked by TLC). The mixture was then cooled in an ice-bath, terminated with dry ethanol,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dried (MgSO 4), filter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Purification using silica gel flash chromatography gave the desired product.

ⅳ) 6-메틸노르니코틴의 발레르산 첨가물의 제조Viii) Preparation of valeric acid additive of 6-methylnornicotine

메탄올내에 있는 상기 (ⅲ)에서 얻은 첨가물 (10mmol)의 용액에 소듐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10mmol), 브로모크레졸 녹색 지시약의 소량 및 충분한 2N 염산/메탄올을 첨가하여 용액의 색깔을 청색에서 황색으로 변화시키고, 이를 유지하였다. 이어, 상기 용액을 7시간동안 교반하였고, 6N 염산용액을 첨가한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소듐바이카보네이트 용액으로 염기화한 다음, 디에틸 에테르 추출 및 건조 (MgSO4)시켰으며, 감압하에서 증류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목적물을 수득하였다.To the solution of the additive (10 mmol) obtained in (i) above in methanol, add sodium cyanoborohydride (10 mmol), a small amount of bromocresol green indicator and sufficient 2N hydrochloric acid / methanol to change the color of the solution from blue to yellow. Change and maintained. The solution was then stirred for 7 hours,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fter addition of 6N hydrochloric acid solution. After basification with sodium bicarbonate solution, diethyl ether extraction and drying (MgSO4) were carried out and purification using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fforded the desired target.

ⅴ) 6-메틸니코틴의 발레르산 첨가물의 제조Viii) Preparation of valeric acid additive of 6-methylnicotine

디에틸 에테르내 상기 (ⅳ)에서 수득한 노르니코틴 (10mmol) 용액에 요도메탄 (20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출발물질이 소모 (TLC로 확인)될 때까지 효과적인 콘덴서를 이용하여 아르곤하에서 환류하였다.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하였고, 잔류물은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화합물의 라세미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이성질체는 키랄 HPLC를 이용하여 분리하여 원하는 (S)-이성질체를 수득하였다.To the nornicotine (10 mmol) solution obtained in (iii) in diethyl ether was added iodomethane (20 mmol). The solution was refluxed under argon using an effective condenser until the starting material was consumed (identified by TLC). The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 residue was purified using flash chromatography to give a racemic mixture of the desired compounds. Isomers were separated using chiral HPLC to afford the desired (S) -isomer.

ⅵ) 포합체의 제조Iii) preparation of conjugates

DMF내에 있는 상기 (ⅴ)에서 수득한 6-메틸니코틴의 발레르산 유도체의 (S)-이성질체 (1.53×10-5 moles) 용액에 DIEA (3.06×10-5 moles) 및 HATU (1.86×10-5 moles2㎎)를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0분 경과한 다음, 옅은 황색의 용액을 0.1M 소듐 보레이트 및 0.15M 염화나트륨 (pH 8.5)의 4㎖내의 rCTB (2㎎, 3.4×10-8 moles[라이신 1.53×10-6 moles])에 첨가하였다. 1시간동안 상온에서 방치한 다음, PBS 용액으로 4℃에서 투석하였고, 햅텐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매스 스펙트럼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DIEA (3.06 × 10-5 moles) and HATU (1.86 × 10-) in a (S) -isomer (1.53 × 10-5 moles) solution of the valeric acid derivative of 6-methylnicotine obtained in (iii) in DMF 5 moles 2 mg) was added. Afte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the pale yellow solution was added rCTB (2 mg, 3.4 x 10-8 moles [lysine 1.53 x 10-6 moles]) in 4 ml of 0.1 M sodium borate and 0.15 M sodium chloride (pH 8.5). Was added. After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it was dialyzed at 4 ° C. with PBS solution, and analyzed using a mass spectrum analyzer to determine the number of hapten.

방법 H: PS-52의 제조Method H: Preparation of PS-52

ⅰ) 메틸 5-메틸니코티네이트의 제조Iii) Preparation of methyl 5-methylnicotinate

메탄올 (250㎖)내 농축 황산 (25㎖)의 환류 용액에 5-메틸니코티네이트 (0.375mol)을 첨가하고, 3시간동안 환류하면서 교반하였다. 이어, 메탄올 (250㎖)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8시간동안 환류하면서 가열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슬러리를 제조한후, 이를 물 (450㎖)내의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80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기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흐릿한 결과물을 메틸렌 크로라이드로 추출한 다음, 건조하고 (MgSO4), 여과하였으며,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이어, 결과물을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To a reflux solution of concentrated sulfuric acid (25 mL) in methanol (250 mL) was added 5-methylnicotinate (0.375 mol) and stirred under reflux for 3 hours. Methanol (250 mL) was then added and the mixture was heated to reflux for 18 h. The reaction mixture was then cool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make a slurry, which was then added to a solution of sodium bicarbonate (80 g) in water (450 mL). The mixture was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remove methanol. The blurry result was extracted with methylene chromide, then dried (MgSO 4), filter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he resultant was then distilled off under reduced pressure to purify the desired ester.

ⅱ) 5-메틸마이오스민의 제조Ii) Preparation of 5-methylmyosmine

디에틸 에테르 (500㎖)내 디이소프로필아민 (0.33mol) 용액에 n-부틸리튬 (헥산내 1.6M 용액의 0.247mol)을 아르곤하에서 -70℃에서 첨가하였다. 이어, N-(트리메틸시릴)피롤리돈 (0.265 mol)을 제조된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민 (LDA)에 첨가하고, -70℃에서 15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에 디에틸 에테르 (25㎖)내 메틸 6-메틸니코티네이트 (0.165mol)를 첨가하고 하루밤동안 상온까지 승온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혼합물을 아이스-욕에서 냉각하고, 물 (33㎖)을 첨가한 다음, 에테르층을 제거하였다. 추가 에테르를 첨가한 다음, 에테르층 제거 과정을 두 번 실시하였다. 수용액층에 농축 염산을 첨가하고, 결과 용액을 하루밤동안 환류하였다. 이어, 산성용액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한 다음, 얼음-욕에서 냉각하고 50% 수산화칼륨으로 염기화하였다. 수용액층을 디에틸 에테르 (3×150㎖)로 추출하고, 건조 (Na2SO4)시킨 다음,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5-메틸마이오스민을 제조하였다.To a solution of diisopropylamine (0.33 mol) in diethyl ether (500 mL) was added n-butyllithium (0.247 mol of 1.6M solution in hexanes) at -70 ° C under argon. N- (trimethylsilyl) pyrrolidone (0.265 mol) was then added to the prepared lithium diisopropylamine (LDA) and stirred at −70 ° C. for 15 minutes. To the solution was added methyl 6-methylnicotinate (0.165 mol) in diethyl ether (25 mL) and warmed to room temperature overnight. The mixture was then cooled in an ice-bath, water (33 mL) was added and then the ether layer was removed. Additional ether was added, followed by two ether layer removal procedures. Concentrated hydrochloric acid was added to the aqueous layer, and the resulting solution was refluxed overnight. The acidic solution was then washed with diethyl ether,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cooled in an ice-bath and basified with 50% potassium hydroxide. The aqueous layer was extracted with diethyl ether (3 × 150 mL), dried (Na 2 SO 4),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distilled under reduced pressure to afford the desired 5-methylmyosmine.

ⅲ) 5-메틸마이오스민의 에틸 발레레이트 첨가물의 제조Viii) preparation of ethyl valerate additive of 5-methylmyosmine

건조 톨루엔내 5-메틸마이오스민 (10mmol) 용액에 소듐아미드 (15mmol)를 첨가하였다. 10분이 경과한후, 에틸-5-브로모발레레이트 (20mmol)를 첨가하고, 출발물질이 소모 (TLC로 확인)될 때까지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이어, 혼합물을 얼음-욕에서 냉각하고, 건조 에탄올로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건조하였으며 (MgSO4), 여과한 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실리카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목적물을 수득하였다.To a solution of 5-methylmyosmine (10 mmol) in dry toluene was added sodium amide (15 mmol). After 10 minutes, ethyl-5-bromovalericate (20 mmol) was added and the mixture was stirred until the starting material was consumed (checked by TLC). The mixture was then cooled in an ice-bath, terminated with dry ethanol,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dried (MgSO 4), filter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Purification using silica gel flash chromatography gave the desired product.

ⅳ) 5-메틸노르니코틴의 발레르산 첨가물의 제조Iii) Preparation of valeric acid additive of 5-methylnornicotine

메탄올내에 있는 상기 (ⅲ)에서 얻은 첨가물 (10mmol)의 용액에 소듐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10mmol), 브로모크레졸 녹색 지시약의 소량 및 충분한 2N 염산/메탄올을 첨가하여 용액의 색깔을 청색에서 황색으로 변화시키고, 이를 유지하였다. 이어, 상기 용액을 여러시간동안 교반하였고, 6N 염산용액을 첨가한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소듐바이카보네이트 용액으로 염기화한 다음, 디에틸 에테르 추출 및 건조 (MgSO4)시켰으며, 감압하에서 증류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목적물을 수득하였다.To the solution of the additive (10 mmol) obtained in (i) above in methanol, add sodium cyanoborohydride (10 mmol), a small amount of bromocresol green indicator and sufficient 2N hydrochloric acid / methanol to change the color of the solution from blue to yellow. Change and maintained. The solution was then stirred for several hours,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fter addition of 6N hydrochloric acid solution. After basification with sodium bicarbonate solution, diethyl ether extraction and drying (MgSO4) were carried out and purification using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fforded the desired target.

ⅴ) 5-메틸니코틴의 발레르산 첨가물의 제조Iii) Preparation of valeric acid additive of 5-methylnicotine

디에틸 에테르내 상기 (ⅳ)에서 수득한 노르니코틴 (10mmol) 용액에 요도메탄 (20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출발물질이 소모 (TLC로 확인)될 때까지 효과적인 콘덴서를 이용하여 아르곤하에서 환류하였다.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하였고, 잔류물은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화합물의 라세미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이성질체는 키랄 HPLC를 이용하여 분리하여 원하는 (S)-이성질체를 수득하였다.To the nornicotine (10 mmol) solution obtained in (iii) in diethyl ether was added iodomethane (20 mmol). The solution was refluxed under argon using an effective condenser until the starting material was consumed (identified by TLC). The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 residue was purified using flash chromatography to give a racemic mixture of the desired compounds. Isomers were separated using chiral HPLC to afford the desired (S) -isomer.

ⅵ) 포합체의 제조Iii) preparation of conjugates

DMF내에 있는 상기 (ⅴ)에서 수득한 5-메틸니코틴의 발레르산 유도체의 (S)-이성질체 (1.53×10-5 moles) 용액에 DIEA (3.06×10-5 moles) 및 HATU (1.86×10-5 moles2㎎)를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0분 경과한 다음, 옅은 황색의 용액을 0.1M 소듐 보레이트 및 0.15M 염화나트륨 (pH 8.5)의 4㎖내의 rCTB (2㎎, 3.4×10-8 moles[라이신 1.53×10-6 moles])에 첨가하였다. 1시간동안 상온에서 방치한 다음, PBS 용액으로 4℃에서 투석하였고, 햅텐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매스 스펙트럼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DIEA (3.06 × 10-5 moles) and HATU (1.86 × 10-) in a (S) -isomer (1.53 × 10-5 moles) solution of the valeric acid derivative of 5-methylnicotine obtained in (iii) in DMF 5 moles 2 mg) was added. Afte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the pale yellow solution was added rCTB (2 mg, 3.4 x 10-8 moles [lysine 1.53 x 10-6 moles]) in 4 ml of 0.1 M sodium borate and 0.15 M sodium chloride (pH 8.5). Was added. After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it was dialyzed at 4 ° C. with PBS solution, and analyzed using a mass spectrum analyzer to determine the number of hapten.

방법 I: PS-53의 제조Method I: Preparation of PS-53

ⅰ) 메틸 4-메틸니코티네이트의 제조Viii) preparation of methyl 4-methylnicotinate

메탄올 (250㎖)내 농축 황산 (25㎖)의 환류 용액에 4-메틸니코티네이트 (0.375mol)을 첨가하고, 3시간동안 환류하면서 교반하였다. 이어, 메탄올 (250㎖)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8시간동안 환류하면서 가열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슬러리를 제조한후, 이를 물 (450㎖)내의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80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기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흐릿한 결과물을 메틸렌 크로라이드로 추출한 다음, 건조하고 (MgSO4), 여과하였으며,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이어, 결과물을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To a reflux solution of concentrated sulfuric acid (25 mL) in methanol (250 mL) was added 4-methylnicotinate (0.375 mol) and stirred with reflux for 3 h. Methanol (250 mL) was then added and the mixture was heated to reflux for 18 h. The reaction mixture was then cool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make a slurry, which was then added to a solution of sodium bicarbonate (80 g) in water (450 mL). The mixture was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remove methanol. The blurry result was extracted with methylene chromide, then dried (MgSO 4), filter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he resultant was then distilled off under reduced pressure to purify the desired ester.

ⅱ) 4-메틸마이오스민의 제조Ii) Preparation of 4-methylmyosmine

디에틸 에테르 (500㎖)내 디이소프로필아민 (0.33mol) 용액에 n-부틸리튬 (헥산내 1.6M 용액의 0.247mol)을 아르곤하에서 -70℃에서 첨가하였다. 이어, N-(트리메틸시릴)피롤리돈 (0.265 mol)을 제조된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민 (LDA)에 첨가하고, -70℃에서 15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에 디에틸 에테르 (25㎖)내 메틸 6-메틸니코티네이트 (0.165mol)를 첨가하고 하루밤동안 상온까지 승온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혼합물을 아이스-욕에서 냉각하고, 물 (33㎖)을 첨가한 다음, 에테르층을 제거하였다. 추가 에테르를 첨가한 다음, 에테르층 제거 과정을 두 번 실시하였다. 수용액층에 농축 염산을 첨가하고, 결과 용액을 하루밤동안 환류하였다. 이어, 산성용액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한 다음, 얼음-욕에서 냉각하고 50% 수산화칼륨으로 염기화하였다. 수용액층을 디에틸 에테르 (3×150㎖)로 추출하고, 건조 (Na2SO4)시킨 다음,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4-메틸마이오스민을 제조하였다.To a solution of diisopropylamine (0.33 mol) in diethyl ether (500 mL) was added n-butyllithium (0.247 mol of 1.6M solution in hexanes) at -70 ° C under argon. N- (trimethylsilyl) pyrrolidone (0.265 mol) was then added to the prepared lithium diisopropylamine (LDA) and stirred at −70 ° C. for 15 minutes. To the solution was added methyl 6-methylnicotinate (0.165 mol) in diethyl ether (25 mL) and warmed to room temperature overnight. The mixture was then cooled in an ice-bath, water (33 mL) was added and then the ether layer was removed. Additional ether was added, followed by two ether layer removal procedures. Concentrated hydrochloric acid was added to the aqueous layer, and the resulting solution was refluxed overnight. The acidic solution was then washed with diethyl ether,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cooled in an ice-bath and basified with 50% potassium hydroxide. The aqueous layer was extracted with diethyl ether (3 × 150 mL), dried (Na 2 SO 4),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distilled under reduced pressure to afford the desired 4-methylmymine.

[실시예 4] Example 4

헤로인 포합체의 제조Preparation of Heroin conjugates

PS-61의 제조Preparation of PS-61

ⅰ) 노르헤로인의 제조Iii) production of no heroin

물내에 있는 헤로인 (10mmol) 용액에 0℃에서 포타슘 퍼망간네이트 (12mmol)를 첨가하였다. 출발물질의 소모 (TLC로 확인)후 현탁액을 상온까지 승온하였다. 망간 이산화물을 여과로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원하는 화합물을 수득하였다.To a solution of heroin (10 mmol) in water was added potassium permanganate (12 mmol) at 0 ° C. After the consumption of starting material (confirmed by TLC), the suspension was warmed to room temperature. Manganese dioxide was removed by filtration and the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to afford the desired compound.

ⅱ) 포합체 전구체의 제조Ii) preparation of conjugate precursors

THF내에 있는 노르헤로인 (10mmol) 용액에 에틸-5-브로모발레이트 (20mmol)를 적가하였다. 출발물질의 소모 (TLC로 확인)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실리카겔상에서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노르헤로인 에스테르 첨가물을 수득하였다.Ethyl-5-bromovalate (20 mmol) was added dropwise to a solution of noheroin (10 mmol) in THF. The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after the consumption of starting material (confirmed by TLC). The residue was purified on silica gel using flash chromatography to give the desired noheroin ester additive.

ⅲ) 포합체의 제조Iii) preparation of conjugates

상기 에스테르 (15mmol)를 5% 메탄올 수용액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 (15mmol)을 첨가하였다. TLC로 확인되는 출발물질의 소모후, pH를 1M 염산용액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2로 조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추출하였다. 이어, 건조 (MgSO4)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다음 잔유물을 실리카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자유산을 제조하였다.The ester (15 mmol) was dissolved in 5% aqueous methanol solution and sodium hydroxide (15 mmol) was added. After consumption of the starting material identified by TLC, the pH was adjusted to 2 by carefully adding 1M hydrochloric acid solution, and extracted by adding ethyl acetate. The desired free acid was then prepared by drying (MgSO4), removing the solvent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n purifying the residue using silica gel flash chromatography.

DMF (0.4㎖)에 있는 상기 자유산 (1.55×10-4 mole) 용액에 DIEA (3.1×10-4 mole) 및 HATU (1.86×10-4 mole)를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0분 경과한 다음, 옅은 황색의 용액을 0.1M 소듐 보레이트 및 0.15M 염화나트륨 (pH 8.5)의 4㎖내의 rCTB (2㎎, 3.4×10-8 moles[라이신 15.6×10-6 moles])에 적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상기 혼합용액을 1시간동안 상온에서 정치하고, 중화한 다음 PBS 용액으로 4℃에서 하루밤동안 투석함으로써 PS-61을 수득하였다. 포합체는 불완전항원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레이저 탈착 매스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To the solution of the free acid (1.55 × 10-4 mole) in DMF (0.4 mL) was added DIEA (3.1 × 10-4 mole) and HATU (1.86 × 10-4 mole). Afte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the pale yellow solution was added rCTB (2 mg, 3.4 x 10-8 moles [lysine 15.6 x 10-6 moles]) in 4 ml of 0.1 M sodium borate and 0.15 M sodium chloride (pH 8.5). Was added dropwise and stirred for 1 hour. Subsequently, the mixed solution was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neutralized, and then dialyzed overnight at 4 ° C. with PBS solution to obtain PS-61. The conjugates were analyzed using laser desorption mass spectra to determine the number of incomplete antigens.

[실시예 5] Example 5

PS-62 및 PS-63의 제조Preparation of PS-62 and PS-63

ⅰ) 전구체의 제조Iii) preparation of precursors

THF내에 있는 헤로인 (10mmol) 용액에 0℃에서 n-부틸리튬 (헥산내 1.6M 용액의 1.5mmol)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2시간동안 방치한 다음, THF내 에틸-4-브로모브티레이트 (22mmol)을 1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어, 출발물질이 소모 (TLC로 확인)될 때까지 가열한 다음 0℃까지 냉각한 후 10% 염산 수용액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형성된 두 개의 층중 수용액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은 1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물 및 소금물의 순으로 세척하였다. 이어, 건조 (MgSO4)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다음 잔류물을 실리카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두 종의 생성물, 방향족 아세테이트기에 오르소 및 메타로 결합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To a solution of heroin (10 mmol) in THF was added dropwise n-butyllithium (1.5 mmol of 1.6M solution in hexane) at 0 ° C. The mixture was left at 0 [deg.] C. for 2 hours, then ethyl-4-bromobutyrate (22 mmol) in THF was added dropwise over 10 minutes. Then it was heated until the starting material was consumed (identified by TLC) and then cooled to 0 ° C. and then carefully added 10% aqueous hydrochloric acid solution. Then, the aqueous solution layer in the two layers formed was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The organic extract was washed with 1M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water and brine in that order. Then, dried (MgSO4), the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 residue was purified by silica gel flash chromatography to obtain two products, products bound with ortho and meta to an aromatic acetate group.

ⅱ) PS-62의 제조Ii) preparation of PS-62

오르소 첨가물의 에스테르 (5mmol)를 5% 메탄올 수용액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 (5mmol)을 첨가하였다. TLC로 확인되는 출발물질의 소모후, pH를 1M 염산용액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2로 조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추출하였다. 이어, 건조 (MgSO4)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다음 잔유물을 실리카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자유산을 제조하였다.An ester of ortho additive (5 mmol) was dissolved in 5% aqueous methanol solution and sodium hydroxide (5 mmol) was added. After consumption of the starting material identified by TLC, the pH was adjusted to 2 by carefully adding 1M hydrochloric acid solution, and extracted by adding ethyl acetate. The desired free acid was then prepared by drying (MgSO4), removing the solvent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n purifying the residue using silica gel flash chromatography.

DMF (0.4㎖)에 있는 상기 자유산 (1.55×10-4 mole) 용액에 DIEA (3.1×10-4 mole) 및 HATU (1.86×10-4 mole)를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0분 경과한 다음, 옅은 황색의 용액을 0.1M 소듐 보레이트 및 0.15M 염화나트륨 (pH 8.5)의 4㎖내의 rCTB (2㎎, 3.4×10-8 moles[라이신 15.5×10-6 moles])에 적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상기 혼합용액을 1시간동안 상온에서 정치하고, 중화한 다음 PBS 용액으로 4℃에서 하루밤동안 투석함으로써 PS-62을 수득하였다. 포합체는 불완전항원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레이저 탈착 매스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To the solution of the free acid (1.55 × 10-4 mole) in DMF (0.4 mL) was added DIEA (3.1 × 10-4 mole) and HATU (1.86 × 10-4 mole). Afte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the pale yellow solution was added rCTB (2 mg, 3.4 x 10-8 moles [lysine 15.5 x 10-6 moles]) in 4 ml of 0.1 M sodium borate and 0.15 M sodium chloride (pH 8.5). Was added dropwise and stirred for 1 hour. Subsequently, the mixed solution was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neutralized, and then dialyzed overnight at 4 ° C. with PBS solution to obtain PS-62. The conjugates were analyzed using laser desorption mass spectra to determine the number of incomplete antigens.

ⅲ) PS-63의 제조Iii) manufacture of PS-63

메타 첨가물의 에스테르 (5mmol)를 5% 메탄올 수용액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 (5mmol)을 첨가하였다. TLC로 확인되는 출발물질의 소모후, pH를 1M 염산용액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2로 조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추출하였다. 이어, 건조 (MgSO4)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다음 잔유물을 실리카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자유산을 제조하였다.The ester of meta additive (5 mmol) was dissolved in 5% aqueous methanol solution and sodium hydroxide (5 mmol) was added. After consumption of the starting material identified by TLC, the pH was adjusted to 2 by carefully adding 1M hydrochloric acid solution, and extracted by adding ethyl acetate. The desired free acid was then prepared by drying (MgSO4), removing the solvent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n purifying the residue using silica gel flash chromatography.

DMF (0.4㎖)에 있는 상기 자유산 (1.55×10-4 mole) 용액에 DIEA (3.1×10-4 mole) 및 HATU (1.86×10-4 mole)를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0분 경과한 다음, 옅은 황색의 용액을 0.1M 소듐 보레이트 및 0.15M 염화나트륨 (pH 8.5)의 4㎖내의 rCTB (2㎎, 3.4×10-8 moles[라이신 15.5×10-6 moles])에 적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상기 혼합용액을 1시간동안 상온에서 정치하고, 중화한 다음 PBS 용액으로 4℃에서 하루밤동안 투석함으로써 PS-63을 수득하였다. 포합체는 불완전항원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레이저 탈착 매스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To the solution of the free acid (1.55 × 10-4 mole) in DMF (0.4 mL) was added DIEA (3.1 × 10-4 mole) and HATU (1.86 × 10-4 mole). Afte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the pale yellow solution was added rCTB (2 mg, 3.4 x 10-8 moles [lysine 15.5 x 10-6 moles]) in 4 ml of 0.1 M sodium borate and 0.15 M sodium chloride (pH 8.5). Was added dropwise and stirred for 1 hour. Subsequently, the mixed solution was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neutralized, and then dialyzed overnight at 4 ° C. with PBS solution to obtain PS-63. The conjugates were analyzed using laser desorption mass spectra to determine the number of incomplete antigens.

[실시예 6] Example 6

PS-64의 제조Manufacture of PS-64

ⅰ) 아세틸화 코데인의 제조Iii) preparation of acetylated codeine

메틸렌클로라이드내 코데인 (10mmol)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2mmol)을 첨가한 다음, 무수 아세트산 (12mmol)을 첨가하였다. TLC로 확인되는 출발물질의 소모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다음 잔류물을 실리카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아세틸화 화합물을 제조하였다.Triethylamine (12 mmol) was added to a solution of codeine (10 mmol) in methylene chloride, followed by addition of acetic anhydride (12 mmol). After consumption of the starting material identified by TLC, the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n the residue was purified using silica gel flash chromatography to prepare the desired acetylated compound.

ⅱ) 아세틸화 코데인의 탈메칠기화Ii) Demethylation of Acetylated Codeine

메틸렌클로라이드내 아세틸화 화합물 (10mmol) 용액에 보론 트리브로마이드 (메틸렌클로라이드내 1.0M 용액의 12mmol)을 적가하였다. TLC로 확인되는 출발물질의 소모후, 무수 메탄올을 첨가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메탄올에 용해하고 감압하에서 재-농축한 다음 실리카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알코올을 제조하였다.Boron tribromide (12 mmol of a 1.0 M solution in methylene chloride) was added dropwise to a solution of acetylated compound (10 mmol) in methylene chloride. After consumption of the starting material identified by TLC, anhydrous methanol was add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he residue was dissolved in methanol, re-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purified using silica gel flash chromatography to prepare the desired alcohol.

ⅲ) 탈메칠기화된 아세틸화 코데인의 숙시닐화Viii) Succinylation of demethylated acetylated codeine

메틸렌클로라이드내 상기 알코올 (10mmol)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20mmol)을 첨가한 다음, 무수 숙신산 (20mmol)을 첨가하였다. 출발물질이 소모 (TLC로 확인)될 때 까지 환류하면서 가열하였다. 이어,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원하는 헤미숙시네이트를 제조하였다.Triethylamine (20 mmol) was added to the alcohol (10 mmol) solution in methylene chloride followed by succinic anhydride (20 mmol). Heated under reflux until starting material was consumed (identified by TLC). The solvent was then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 residue was purified using silica gel flash chromatography to prepare the desired hemisuccinate.

ⅳ) PS-64의 제조Iii) manufacture of PS-64

DMF (0.4㎖)에 있는 상기 헤미숙시네이트 (1.55×10-4 mole) 용액에 DIEA (3.1×10-4 mole) 및 HATU (1.86×10-4 mole)를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0분 경과한 다음, 옅은 황색의 용액을 0.1M 소듐 보레이트 및 0.15M 염화나트륨 (pH 8.5)의 4㎖내의 rCTB (2㎎, 3.4×10-8 moles[라이신 15.5×10-6 moles])에 적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상기 혼합용액을 1시간동안 상온에서 정치하고, 중화한 다음 PBS 용액으로 4℃에서 하루밤동안 투석함으로써 PS-63을 수득하였다. 포합체는 불완전항원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레이저 탈착 매스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To the hemisuccinate (1.55 × 10-4 mole) solution in DMF (0.4 mL) was added DIEA (3.1 × 10-4 mole) and HATU (1.86 × 10-4 mole). Afte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the pale yellow solution was added rCTB (2 mg, 3.4 x 10-8 moles [lysine 15.5 x 10-6 moles]) in 4 ml of 0.1 M sodium borate and 0.15 M sodium chloride (pH 8.5). Was added dropwise and stirred for 1 hour. Subsequently, the mixed solution was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neutralized, and then dialyzed overnight at 4 ° C. with PBS solution to obtain PS-63. The conjugates were analyzed using laser desorption mass spectra to determine the number of incomplete antigens.

[실시예 7] Example 7

CTB 기능활성의 감별 분석Differential analysis of CTB functional activity

CTB 기능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두가지 분석방법이 개발되었다. 첫째, 세포에 대한 CTB의 결합을 플로우 사이토메트리를 이용하여 특정하였다. 세포를 CTB로 항온처리한 다음, 시판용 항-CTB 고우트 항혈청 및 형광 이소티오시아네이트 (FITC)-표지 항-고우트 2차 항체을 처리하였다 (도 13). 세포에 결합한 자연 CTB 펜타머는 형광세기에 있어서 큰 변화를 야기한다. CTB 모노머는 상기 분석에 있어서 결합능을 갖지 않는다. 둘째, CTB의 강글리오시드 GM1에 대한 결합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ELISA 측정법을 이용하였다. ELISA 플레이트를 GM1-강글리오시드로 도포한 다음, 다양한 농도의 CTB로 항온처리하였다. 결합은 항-CTB 항체 (대조군으로 소금물), 이어 처리되는 효소-표지 2차 항체 및 기질에 의한 반응의 진행에 의해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방법은 CTB 펜타머의 GM1-강글리오시드에 대한 결합능력을 매우 정확하게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상기 분석방법은 생체내 실험에 앞서 불완전항원화된 CTB 포합체 및 재조합체의 활성을 조사하는데 이용된다. Two assays have been developed to investigate CTB functional activity. First, binding of CTB to cells was specified using flow cytometry. Cells were incubated with CTB and then treat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anti-CTB Gout antiserum and fluorescent isothiocyanate (FITC) -labeled anti-Gout secondary antibody (FIG. 13). Natural CTB pentamers bound to the cells cause large changes in fluorescence intensity. CTB monomers do not have binding capacity in this assay. Second, ELISA assay was used to measure the binding capacity of CTB to ganglioside GM1. ELISA plates were applied with GM1-gangliosides and then 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CTB. Binding was analyzed by progress of the reaction with anti-CTB antibodies (control brine), followed by enzyme-labeled secondary antibodies and substrates to be treated. The analytical method is a method capable of quantitatively measuring the binding capacity of CTB pentamers to GM1-gangliosides very accurately. The assay is used to investigate the activity of incompletely antigenized CTB conjugates and recombinants prior to in vivo experiments.

[실시예 8] Example 8

타 의약과의 동시처리 Simultaneous treatment with other medicines

헤로인 남용과 관련하여, 2차 의약에 의한 치료가 치료 백신의 활성을 증대하는지 여부에 대한 스크리닝을 수행하였다. 나록손 및 날트렉손과 같은 아편길항제, 나로르핀, 레발로한, 사이클라조신, 부프레노르핀 및 펜타조신과 같은 기타 길항제에 의한 치료는 헤로인 포합체에 의한 치료와 잘 조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 치료제 1종 이상은 면역반응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높은 항-헤로인 항체 반응의 유도를 억제한다. 이러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쥐를 치료 의약의 존재 또는 비존재하에서 헤로인-담체 포합체로 면역화하였고, 항체를 다양한 시간에서 측정하였다. 면역반응을 크게 억제하는 것으로 발견된 치료 의약은 비조화 치료로서 제거된다. 상기 스크리닝 시험은 동시-치료가 고려되는 모든 의약에 적용될 수 있다.In relation to heroin abuse, screening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reatment with secondary medications would increase the activity of the therapeutic vaccine. Treatment with opiate antagonists such as narroxone and naltrexone, naropin, levalohan, cyclazosine, buprenorphine and pentazosin, is expected to be well coordinated with treatment with heroin conjugates. One or more of the therapeutic agents may inhibit an immune response, thereby inhibiting the induction of a high anti-heroin antibody response. To confirm this possibility, mice were immunized with heroin-carrier conjugate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rapeutic medication and antibodies were measured at various times. Therapeutic medications found to significantly suppress the immune response are eliminated as a discordant treatment. The screening test can be applied to all medications for which co-treatment is considered.

만일 면역억제가 발견되지 않으면, 추가의 스크리닝을 수행하여 두 종의 접근이 상승효과를 발휘하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훈련, 면역화 및 시험을 거친후 쥐를 의약의 존재하에서 두 종의 모델로 평가한다. 쥐에게 다른 양의 헤로인을 투여하기 전에 의약을 투여한다. 대조군 담체-면역화 쥐를 가지고 한 초기 실험은 자기-접종 또는 의약 식별 시스템을 완전히 제거하지 하는 의약의 양을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데이타는 치료 백신의 작용이 공동-치료의 추가물이 될 수 있는 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평가된다.If no immunosuppression is found, additional screening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two approaches are synergistic. After training, immunization and testing, rats are evaluated in two models in the presence of medication. Medication is administered before rats receive other amounts of heroin. An initial experiment with control carrier-immunized mice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medication that would not completely eliminate the self-inoculation or drug identification system. The data is evalu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action of the therapeutic vaccine can be an addition to co-treatment.

[실험예 9] Experimental Example 9

점막 반응의 유도Induction of mucosal reactions

콜레라 독소의 B 서브유니트 (CTB)는 여러 시스템에서 완전 콜레라 독소의 활성, 즉 점막의 항체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담체는 항-헤로인 또는 항-니코틴 IgA 항체 반응을 강하게 유도하여야 한다. 또한, 구강 개시는 IgG 항체 반응을 강하게 유도하여야 한다.The B subunit of cholera toxin (CTB) is known to induce the activity of complete cholera toxin, ie, the mucosal antibody response, in several systems. Therefore, the carrier must strongly induce an anti-heroin or anti-nicotine IgA antibody response. In addition, oral initiation should strongly induce IgG antibody responses.

호흡기에서 연역반응을 촉발하는 효율적인 방법은 항원을 직접 상기 자리로 운반하는 것이다. 항원은 소금물내에서 아쥬방 역할을 하는 CTB와 함께 투여된다. 점막의 IgA 표면에서 접종에 의해 촉발하는 CTB의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초기 실험들을 담체만으로 수행하였다. 쥐를 CTB 또는 헤로인-CTB 또는 니코틴-CTB 50㎍으로 상기 경로 (구강, 비강 또는 기관내)로 촉발하였다. 구강 투여의 경우 헤로인-CTB 또는 니코틴-CTB 포합체 또는 CTB 단독의 250㎍을 장내 투여, 또는 23G 바늘을 이용하여 위로 직접투여한다. 촉발후 14일이 경과한 때에 상기 쥐를 같은 실험방법으로 부스팅한다. 비강 투여는 촉발의 간단하고 일반적인 경로이다. 항원은 가볍게 마취된 쥐의 노스트릴에 적용하고, 이는 쥐당 50㎕의 부피로 행해진다. 촉발후 14일이 경과한 때에, 쥐를 같은 실험방법으로 부스팅한다. 비강투여는 스프레이방식으로 사람에게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비강 백신화는 생인플루엔자 백신과 함께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Walker et al.(1994) Vaccine 12:387-399).An efficient way to trigger a deductive reaction in the respiratory tract is to carry the antigen directly to the site. The antigen is administered with CTB which acts as an adjuvant in brine. Initi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ly with a carrier to confirm the ability of CTB to trigger by inoculation at the IgA surface of the mucosa. Mice were triggered by this route (oral, nasal or intratracheal) with 50 μg of CTB or heroin-CTB or nicotine-CTB. For oral administration, 250 μg of heroin-CTB or nicotine-CTB conjugate or CTB alone is administered enterally, or directly up using a 23G needle. At 14 days after the trigger, the mice are boosted by the same experimental method. Nasal administration is a simple and common route of triggering. Antigen is applied to lightly anesthetized rat nostril, which is done at a volume of 50 μl per mouse. At 14 days after the trigger, the mice are boosted by the same experimental method. Nasal administra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humans by spraying. Nasal vaccination can be used successfully with live influenza vaccines (Walker et al. (1994) Vaccine 12: 387-399).

기관내 면역화는 직접 항원을 기관의 저부로 운반하는 것으로서, 폐에서 면역화를 강화한다. 쥐를 케타민 및 크실라진의 칵테일로 마취시킨다. 이어, 상기 쥐를 구강이 열리고 기관지가 노출되는 장치로 옮긴다. 기관지는 섬유광 프로브로 볼 수 있다. 23 게이지 바늘을 이용하여 용액 50㎕를 폐로 운반한다. 촉발후 14일이 경과한 다음, 쥐를 같은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부스팅한다.Endotracheal immunization carries direct antigens to the bottom of the organ, which enhances immunization in the lungs. Rats are anesthetized with a cocktail of ketamine and xylazine. The rat is then transferred to a device in which the oral cavity is opened and the bronchus is exposed. The bronchus can be seen with a fiber light probe. Transfer 50 μl of solution to the lung using a 23 gauge needle. After 14 days of triggering, the mice are boosted using the same experimental method.

상기 쥐를 부스팅후 여러 시간 (14, 21 또는 28일)에서 이산화탄소 질식사 시킨 다음, 비강 및 기관내 액을 수집하고 접종한 포합체에 대한 IgA를 조사한다. 비강 세척액은 Tamura et al.(1989) Vaccine 7:257-262에 기재된 바에 따라 1㎖ PBS로 4번 비강을 세척함으로써 수득된다. 기관내 액은 Nedrud et al(1987) J. Immunol. 139:3484-349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기관지를 노출시키고, 0.5㎖ PBS 용액을 폐로 삽입한 다음 3회 세척함으로써 얻는다. 세포를 제거하기 위한 원심분리가 끝난 후, IgA-특이성 2차 항체를 이용하는 ELISA에 의해 항원-특이성 IgA에 대한 시료를 분석한다. 헤로인-특이성 또는 니코틴-특이성 IgG를 비강 및 폐 세척물로 측정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IgG는 폐에서 감지되고, 중요한 항체이다 (Cahill et al.(1993) FEBS Microbiol. Lett. 107:211-216).The rats were suffocated with carbon dioxide several hours after boosting (14, 21 or 28 days), then the nasal and intratracheal fluids were collected and IgA examined for inoculated conjugates. Nasal washes are obtained by washing the nasal cavity 4 times with 1 ml PBS as described in Tamura et al. (1989) Vaccine 7: 257-262. Endotracheal fluids are described in Nedrud et al (1987) J. Immunol. Obtained by exposing the bronchus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139: 3484-3492 and inserting 0.5 ml PBS solution into the lungs followed by three washes. After centrifugation to remove cells, samples for antigen-specific IgA are analyzed by ELISA using IgA-specific secondary antibodies. Heroin-specific or nicotine-specific IgG is measured by nasal and lung lavage. As is known, IgG is detected in the lungs and is an important antibody (Cahill et al. (1993) FEBS Microbiol. Lett. 107: 211-216).

구강 면역화 경로는 장내 세척액에서 헤로인-특이성 또는 니코틴-특이성 IgA을 제조하는 능력을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헤로인 또는 니코틴에 대한 혈청 Ig를 생산하는 능력에 대한 다른 경로와 비교한다. 구강투여는 투여의 용이성 때문에 특히 사람에게 바람직하다. 비강내 및 기관내 투여는 폐 및 비강액에서 IgA 반응을 유도하는 능력을 직접적으로 비교한다. 가장 우수한 경로를 계속되는 실험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두 종의 경로가 효율적인 경우에는 비강 면역화가 용이성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oral immunization route is used to test the ability to produce heroin-specific or nicotine-specific IgA in intestinal lavage fluid and compares it with other routes for the ability to produce serum Ig for heroin or nicotine. Oral administration is particularly preferred for humans because of its ease of administration. Intranasal and intratracheal administrations directly compare the ability to induce IgA responses in pulmonary and nasal fluids. It is desirable to use the best route for subsequent experiments. If both routes are efficient, nasal immunization is preferred because of its ease.

헤로인 또는 니코틴에 대한 최대 보호를 위하여 체계적인 IgG 및 점막 IgA 반응 모두를 최대화한다. 따라서, 알럼내 (또는 다른 아쥬방) 헤로인-CTB 또는 니코틴-CTB 포합체의 체계적인 접종 및 포합체를 갖는 점막은 촉발하는데 있어 효율적이다. 3개의 군이 비교된다. 첫째, 쥐를 기관계적으로 촉발하고, 이어 14일동안 기관계적으로 면역화반응을 수행하였다. 둘째, 쥐를 점막적으로 촉발하고, 이어 14일동안 기관계적으로 면역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셋째, 쥐를 기관계 및 점막적으로 동시에 촉발하고 14일후 동일한 부스팅을 실시하였다. 대조군 쥐는 단지 점막적으로 촉발시키거나 기관계적으로 촉발시킨다. 각각의 경우, 부스팅의 효율은 IgG 및 IgA의 양으로 결정하였다. Maximize both systematic IgG and mucosal IgA responses for maximum protection against heroin or nicotine. Thus, mucosal membranes with systematic inoculation of conjugates in alum (or other adjuvants) heroin-CTB or nicotine-CTB conjugates and conjugates are effective in triggering. Three groups are compared. First, the mice were triggered by organ system, followed by 14 days of organ system immunization. Second, mucosa was triggered mucosally, followed by organ immunization for 14 days. Third, the mice were simultaneously triggered by the tracheal system and mucosa and the same boosting was performed 14 days later. Control mice are only triggered mucosally or organally. In each case, the efficiency of boosting wa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IgG and IgA.

점막 항-헤로인 또는 항-니코틴 항체의 생체내 효율의 초기 측정에 있어서, 약학동력학의 변화는 점막적으로 투여된 헤로인 또는 니코틴 각각에 대해 측정한다. In the initial measurement of in vivo efficiency of mucosal anti-heroin or anti-nicotine antibodies, changes in pharmacokinetics are measured for each mucosally administered heroin or nicotine.

[실시예 10] Example 10

쥐에서의 면역글로부린의 수동적 운반Passive Transport of Immunoglobulins in Mice

쥐를 실시예에서 기재된 최적 면역화 방법을 이용하여 헤로인 포합체로 면역화한다. 여러 시간에서 쥐로부터 피를 취하고, 항-헤로인 항체의 양을 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약 54,000 이상의 항체양을 갖는 쥐로부터 심장 천공법으로 혈액을 취하였다. 대조군 쥐를 담체 단백질로 면역화한다. 여러 쥐 (20마리 이상)로부터 수득한 혈청을 모으고, 황산 암모늄 침전법을 이용하여 IgG를 분리하였다. 황산암모늄을 제거하기 위한 투석을 수행한 다음, 수집된 면역글로불린에서의 코케인-특이성 항체의 양을 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면역글로불린의 여러 양을 i.p 또는 i.v 경로로 자연 쥐에게 투여한다. 24시간이 경과된 후, 수용 쥐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코케인-특이성 항체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혈청을 분석하였다.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일정양을 수득하기 위해 이전되어야 하는 항체의 양을 결정한다. 쥐의 여러 군에게 면역글로불린을 부여하고, 여러 시간에서 혈액을 채취함으로써 항원-특이성 항체의 제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쥐 군은 실시예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방사선표지 헤로인으로 실험을 하고, 뇌로 분포된 헤로인의 양을 측정한다. 대조군 쥐는 담체-면역화 쥐로부터 IgG를 받는다. 상기 실험들은 수동적으로 운반된 면역글로불린이 헤로인이 뇌로 진입하는 것을 방해한다는 것을 보여준다.Mice are immunized with heroin conjugates using the optimal immunization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Blood was taken from mice at various times and the amount of anti-heroin antibody was measured using ELISA. Blood was taken by cardiac puncture from mice with antibody amounts of at least about 54,000. Control mice are immunized with carrier protein. Serum obtained from several rats (20 or more) was pooled and IgG was isolated using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Dialysis to remove ammonium sulfate was performed and then the amount of cocaine-specific antibody in the collected immunoglobulins was measured using ELISA. Various amounts of immunoglobulins are administered to natural mice by the i.p or i.v route. After 24 hours, blood was collected from recipient mice and serum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cocaine-specific antibodies. Using this method, the amount of antibody to be transferred to determine a certain amount is determined. Immunoglobulins can be given to different groups of mice, and blood can be drawn at various times to determine the clearance of antigen-specific antibodies. Another group of mice is tested with radiolabeled heroin as described in the Examples, and measures the amount of heroin distributed to the brain. Control mice receive IgG from carrier-immunized mice. The experiments show that passively transported immunoglobulins prevent heroin from entering the brain.

[실시예 11] Example 11

사람에서의 면역글로불린의 수동적 운반Passive Transport of Immunoglobulins in Humans

사람 제공자의 한 무리를 실시예에 기재된 최적화 면역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포합체로 면역화한다. 여러 시간에서, 제공자로부터 베니펑크쳐에 의해 혈액을 수득하고 항-불완전항원 항체의 양을 ELISA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여러 제공자로부터 수득한 고면역반응 플라즈마를 모으고, IgG를 냉각된 알코올 분리법을 이용하여 분리한다. 침전된 항체를 완충용액으로 처리하고, 안정화시키고, 보관하고, 사람 용도에 적합하게 고면역반응 항체에 필요한 정도로 표준화한다. 항-불완전항원 항체의 양은 ELISA 및 다른 항체-이용 분석법을 이용하여 표준화한다.A herd of human donors is immunized with the conjugates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optimized immunization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At various times, blood is obtained by Bennypuncture from the donor and the amount of anti-incomplete antigen antibody is analyzed using ELISA. Hyperimmune plasmas obtained from different donors are pooled and IgG separated using cold alcohol separation. Precipitated antibodies are treated with buffer, stabilized, stored and normalized to the extent necessary for high immune antibodies for human use. The amount of anti-incomplete antigen antibody is normalized using ELISA and other antibody-using assays.

정제된 항체 적정 용량을 20명의 환자에게 불완전항원-CTB 백신 또는 백신 없이 근육 또는 정맥주사하였다. 적정 용량은 과면역항체 또는 헤로인이나 니코틴의 효과를 억제하는 다른 유효약물 투여 후 24시간 또는 적절한 시간이 경과된 후 환자의 혈청을 ELISA법 또는 다른 항체 분석법으로 분석하여 결정하였다. Purified antibody titers were administered to 20 patients intramuscularly or intravenously without incomplete antigen-CTB vaccine or vaccine. Appropriate doses were determined 24 hour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hyperimmune antibodies or other effective drugs that inhibit the effects of heroin or nicotine, or by analyzing the serum of the patient by ELISA or other antibody assays.

수동적으로 전달된 면역글로불린은 환자에게서 헤로인 또는 니코틴의 효과를 억제한다. 사람 공여자, 폴리클로날 항체 및 수많은 공여자의 사용은 환자에게 전달된 항체에 의한 면역 반응의 기회를 제한한다. Passively delivered immunoglobulins inhibit the effects of heroin or nicotine in the patient. The use of human donors, polyclonal antibodies and numerous donors limits the chance of immune response by antibodies delivered to the patient.

[실시예12] Example 12

rCTB의 제조 정제 Manufacture and purification of rCTB

pH 7.3의 0.22M 인산, 0.9% 식염 완충액에서의 SBL백신 AB로부터 공급된 콜레라의 rCTB는 pH6.5의 20mM 인산나트륨에 혼합하였다. 검체는 파마시아 SP 세파로스 수지 양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로 다음 용액으로 정제하였다. ; 완충액 A : pH6.5의 20mM 인산나트륨, 용출완충액 B : pH6.5의 20mM 인산나트륨, 1.0M 염화나트륨. 정제된 분획은 다이니치 실버 염색한 SDS-PAGE로 분석하였다. 정제 검체는 0.22micron 여과지를 통해 여과하여 4℃에서 멸균 저장하였다. The rCTB of cholera supplied from SBL vaccine AB in 0.22M phosphoric acid, pH 7.3 in 0.9% saline buffer was mixed with 20 mM sodium phosphate pH6.5. The sample was purified by the following solution by Pharmacia SP Sepharose resin cation exchange chromatography. ; Buffer A: 20 mM sodium phosphate at pH 6.5, elution buffer B: 20 mM sodium phosphate at pH 6.5, 1.0 M sodium chloride. The purified fractions were analyzed by Dainichi silver stained SDS-PAGE. Purified samples were filtered through 0.22micron filter paper and sterilized storage at 4 ℃.

[실시예13] Example 13

방법A(분석) 역상 HPLC (RP HPLC) 분석은 위한 검체는 다음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포합체 CTB-5.200 100ul는 에탄올 1.0ml를 추가하여 침전시켰으며 -80℃에서 동결시켰다. 포합체는 4℃, 14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에탄올을 제거하고 침전물을 건조하였다. 잔사는 0.1% 트리훌루오르초산(TFA)-20% 아세토니트릴 25ul에 현탁시키고 Pierce Micro BCA 분석법으로 단백농도를 측정하였다. Method A (analysis) Samples for reverse phase HPLC (RP HPLC) analysis were prepared by the following method. : 100 ul of conjugate CTB-5.200 was precipitated by adding 1.0 ml of ethanol and frozen at -80 ° C. The conjugate was centrifuged at 4 ° C. and 14000 rpm for 20 minutes to remove ethanol and dried the precipitate. The residue was suspended in 25ul of 0.1% trihuloacetic acid (TFA) -20% acetonitrile and the protein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Pierce Micro BCA assay.

포합체는 2.1×150mm의 C18역상 칼럼(Vydac No. 218TP5215 좁은 구멍)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입자도 5 U, 유속 200ul/min; 완충액A-100% 물, 0.1% TFA; 완충액B-80% 아세토니트릴, 0.08% TFA. 50분간 16%에서 시작하여 56%까지 농도를 변화시켰으며, 60분에는 80%로 증가하였고, 10분간 실시하였다.The conjugate was analyzed using a C18 reversed phase column (Vydac No. 218TP5215 narrow hole) of 2.1 × 150 mm. ; 5 U, particle rate 200 ul / min; Buffer A-100% water, 0.1% TFA; Buffer B-80% acetonitrile, 0.08% TFA. The concentration was varied from 50% for 50 minutes to 56%, increased to 80% for 60 minutes, and 10 minutes.

방법B(반-조제) 반-조제법에 대한 HPLC를 위해 검체는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2 바이알의 CTB-5.200 라이소필을 20%아세토니트릴-0.1% TFA로 재현탁하고, 멸균 여과한 후 Pierce Micro BCA로 정량한다. 10×50mm의 C18역상 칼럼을 사용한 반-조제 RP HPLC에 각각 1.24mg씩 2회 주입한다. ; 입자도 5 U, 유속 1.8ml/min; 완충액A-0.1% TFA-물; 완충액B-0.08% TFA-80% 아세토니트릴. 다음과 같이 농도 변화시켜 사용하였다. 10분간 20% B용액으로, 40분간 35% B용액으로, 5분간 55% B용액으로, 5분간 100% B용액으로 실시하였다. 피크를 모아 즉시 동결시켰다. Method B (Semi-Preparation) For HPLC on a semi-preparation sample is prepared as follows. Re-suspend 2 vials of CTB-5.200 lysophil with 20% acetonitrile-0.1% TFA, sterile filter and quantify with Pierce Micro BCA. Two injections of 1.24 mg each in semi-preparative RP HPLC using a 10 × 50 mm C18 reversed phase column. ; Particle size 5 U, flow rate 1.8 ml / min; Buffer A-0.1% TFA-water; Buffer B-0.08% TFA-80% Acetonitrile. The concentration was changed as follows. 20% B solution for 10 minutes, 35% B solution for 40 minutes, 55% B solution for 5 minutes, 100% B solution for 5 minutes. Peaks were collected and immediately frozen.

[실시예14] Example 14

불완전항원 대 면역성Incomplete Antigen vs. Immunity

포합체내에 불완전항원과 담체 단백질과의 비율은 불완전항원 특이성 항체 생산을 촉진시키는 포합체의 능력에따라 변화할 수 있다. 포합 반응은 몇몇의 다른 불완전항원의 농도에 따라 헤로인-CTB포합체 생성을 변화시킨다. 불완전항원의 정도는 포합체의 mass 흡광도 분석법에 따라 계산한다. 포합체는 면역성 실험에서 생리적인 활성을 검색하고 불완전항원의 정도는 포합체의 mass 흡광도 분석법으로 측정한다. 다른 불완전항원 비율을 사용하여 다른 방법에 따라 만들어진 포합체는 담체 단백질과 비교한다. 불완전항원과 면역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The ratio of incomplete antigen to carrier protein in the conjugate may vary depending on the ability of the conjugate to promote incomplete antigen specific antibody production. The inclusion reaction changes the production of heroin-CTB conjugate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some other incomplete antigen. The degree of incomplete antigen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mass absorbance analysis of the conjugate. The conjugates were screened for physiological activity in the immunoassay, and the degree of incomplete antigen was measured by mass absorbance analysis of the conjugates. Complexes made according to other methods using different incomplete antigen ratios are compared to carrier proteins. Incomplete antigen and immunity were compared.

동등한 방법Equivalent way

동 업계에 지식이 있는 자는 본 명세서 언급하고 있는 특정 물질 및 방법과 동등한 일반적인 시험법을 사용하여 확인하거나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동등한 방법은 본 발명의 범쥐에서 있다고 사료되며 하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이들을 포함하고 있다.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dentify or recognize using common test methods that are equivalent to the specific materials and methods mentioned herein. Such equivalent methods are believed to be present in the ra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 them in the claims below.

Claims (54)

니코틴으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하나의 불완전항원, 및 T-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담체를 포함하는 불완전항원-담체 포합체로서, 상기 불완전항원과 상기 담체가 하기로 이루어지는 CJ 참조번호에 의해 확인되는 화학적 일부분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완전항원-담체 포합체:An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 comprising at least one incomplete antigen derived from nicotine and at least one carrier containing a T-cell epitope, wherein the incomplete antigen and the carrier are identified by a CJ reference number consisting of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linked by a branch selected from the group of chemical moieties: 여기서, Q'는 변형 단백질이며Where Q 'is a modified protein 여기서, n은 정수이고, Q는 담체이며, Y는 S, 0 및 NH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Wherein n is an integer, Q is a carrier and Y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 0 and N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완전항원-담체 포합체.The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n is 2 to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하기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완전항원-담체 포합체: The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arri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단백질 또는 펩티드, 박테리아 독소 또는 산물, 서브바이러스, 렉틴, 알레르겐 및 알레르겐의 단편, 말라리아 단백질 항원, 인조 다-항원 펩티드, 및 이들의 변형체, 유사체 및 유도체.Proteins or peptides, bacterial toxins or products, subviruses, lectins, allergens and fragments of allergens, malaria protein antigens, artificial multi-antigenic peptides, and variants, analogs and derivatives thereof.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불완전항원이 상기 담체에 커플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완전항원-담체 포합체.The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 of claim 1 or 2, wherein at least one incomplete antigen is coupled to the carrier. 니코틴으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하나의 불완전항원, 및 T-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담체를 포함하는 불완전항원-담체 포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간의 약물 중독의 치료용 치료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불완전항원과 상기 담체가 하기로 이루어지는 CJ 참조번호에 의해 확인되는 화학적 일부분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약물 중독의 치료용 치료학적 조성물:A therapeutic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rug addiction in humans, comprising an incomplete antigen-carrier conjugate comprising at least one incomplete antigen derived from nicotine and at least one carrier containing a T-cell epitope, wherein the incomplete therapeutic composition A therapeutic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rug addiction in hum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gen is connected by a branch selected from the group of chemical moieties identified by the CJ reference number consisting of: 여기서, Q'는 변형 단백질이며Where Q 'is a modified protein 여기서, n은 정수이고, Q는 담체이며, Y는 S, 0 및 NH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Wherein n is an integer, Q is a carrier and Y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 0 and NH. 제 5 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치료학적 조성물.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claim 5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점막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공중합체 미세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치료학적 조성물.7.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claim 5 or 6, which may be administered to the mucosa and comprises copolymer microspher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미세구체는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 공중합체인 치료학적 조성물.8.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claim 7, wherein the copolymer microspheres are poly (lactide-co-glycolide) copolymers.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치료학적 조성물.7.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claim 5 or 6, which can be administered topicall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보다 더 큰 역학 점도를 가지는 치료학적 조성물.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claim 9, wherein the composition has a higher kinematic viscosity than water.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주입가능한 무균의 용액으로서 투여될 수 있는 치료학적 조성물.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claim 5 or 6, which may be administered as an injectable sterile solution.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면역보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치료학적 조성물.The therapeu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5 or 6, comprising an adjuvant. 하기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과 가교결합하므로써, 불완전항원 및 T-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하는 담체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에 따른 포합체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preparing a conjugate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the step of binding a carrier containing an incomplete antigen and a T-cell epitope by crosslinking with a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카르복실산 유래의 활성 에스테르, 혼합 무수물, 아실아자이드, 아실할라이드 및 이미노 에스테르.Active esters, mixed anhydrides, acyl azides, acyl halides and imino esters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1999-7002768A 1996-09-30 1997-09-30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05383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2768A KR100538388B1 (en) 1996-09-30 1997-09-30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20,487 1996-09-30
US08/720,487 1996-09-30
KR10-1999-7002768A KR100538388B1 (en) 1996-09-30 1997-09-30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780A KR20000048780A (en) 2000-07-25
KR100538388B1 true KR100538388B1 (en) 2005-12-22

Family

ID=3900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7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8388B1 (en) 1996-09-30 1997-09-30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38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3163A1 (en) * 1990-08-22 1992-03-05 Cerny Erich H Vaccine and immunoserum against drugs of abu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3163A1 (en) * 1990-08-22 1992-03-05 Cerny Erich H Vaccine and immunoserum against drugs of ab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780A (en)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4834B1 (en)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WO1998014216A9 (en)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US20060239997A1 (en)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US20060286094A1 (en)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US6054127A (en)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KR100538388B1 (en)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HK1110794A (en)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HK1027293B (en)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HK1106140B (en)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and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HK1103035A (en) Hapten-carrier conjugates for use in drug-abuse therapy (coca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9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09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