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7896B1 -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896B1
KR100537896B1 KR10-2003-0047028A KR20030047028A KR100537896B1 KR 100537896 B1 KR100537896 B1 KR 100537896B1 KR 20030047028 A KR20030047028 A KR 20030047028A KR 100537896 B1 KR100537896 B1 KR 100537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larm
opening
control device
clos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4796A (ko
Inventor
이장근
Original Assignee
이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근 filed Critical 이장근
Priority to KR10-2003-0047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896B1/ko
Publication of KR20030084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05C17/6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by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단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12)가 구비되고 하부에 다수의 고정부(13)가 구비되는 배면판(11)과, 중앙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의 가이드 홈(1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16) 일측에 인입구(16a)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16a)측 일단에 다수의 고정부(18)가 형성되고, 상기 배면판(11)의 양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부(18)측 상하부에 지지턱(19)이 형성되는 몸체(15)가 구비되는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내측창(27)에 고정 설치되어 이와 함께 이송되는 경보기(31)와, 상기 내측창(27)이 몸체(15)의 가이드홈(6)의 폭보다 더 열리면 상기 경보기(31)가 근접되면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외측 창(28)에 설치되는 마그네트(30)를 더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배면판(11)의 상하부에 한 쌍의 가이드(12)만 형성되어 있고 몸체(15)의 일 측 상하부에 지지 턱(1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면 판(11)에 몸체(15)를 결합시킬시 몸체(15)의 일단을 배면 판(11)의 우측 단부에 대향시킨 후 좌측으로 밀어 끼울 수 있을 뿐 아니라, 몸체(15)의 일단을 배면 판(11)의 좌측 단부에 대향시킨 후 우측으로 밀어 끼울 수 있으므로, 배면 판(11)에 대한 몸체(15)의 양방향 조립이 가능하여, 내측창(27)을 죄 측으로 밀 때 열리는 구조의 미닫이 창문 뿐 아니라, 내측창(27)을 우측으로 밀 때 열리는 구조의 미닫이 창문에도 적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되는 내측창(27) 및 외측창(28)에 경보기(31) 및 마그네트(30)가 설치되므로, 침입자가 창문(25)의 일부를 파손시키고 본 발명 개폐제어창치를 해제시킨 후 창문(25)을 열게 되면 경보기(31)가 작동되므로, 본 발명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를 보완하고 침입자의 침입을 방지시키게 된다.

Description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장치{an opening and shutting control device for sliding windows}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입자의 출입을 방지한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채광 및 환기, 그리고 실내의 온도를 적절히 조절을 하는 기능을 가지는 창문에는, 침입자의 출입을 방지하도록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창문을 완전히 닫은 후 실내에서 걸어 잠그는 구조이기 때문에 도난 방지를 위해서 종래 잠금장치로 창문을 걸어 잠그면, 실내의 채광, 환기 실내의 온도 조절은 불가능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입자의 출입을 방지시키면서, 채광, 환기, 온도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측창에는 배면판(1) 및 몸체(5)가 조립되고, 내측창에는 브라켓(8) 및 가이드편(9)이 결합되며, 내측창을 여닫을시 가이드편(9)이 몸체(5)의 가이드홈(6)을 따라 스라이드 이동되면서 내측창의 개폐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는, 배면판(1)이 일단에 걸림턱(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면판(1)에 몸체(5)를 결합시킬시 몸체(5)의 일단을 배면판(1)의 우측 단부에 대향시킨 후 좌측으로 밀어 끼워야 하는 구조이므로, 그 반대 방향의 조립이 불가능 하였으며, 이러한 개폐제어 장치는 좌측으로 밀때 열리고 우측으로 밀때 닫히는 구조의 미닫이 창문에만 적용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창을 좌측으로 밀때 열리는 미닫이 창문 구조와 내측창을 우측으로 밀때 열리는 미닫이 창문 구조에 적합하도록 한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는,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 하단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가 구비되고 하부에 다수의 고정부가 구비되는 배면판과, 중앙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 일측에 인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 측 일단에 다수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면판의 양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부측 상하부에 지지턱이 형성되는 몸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의 다른 특징은, 내측 창에 고정 설치되어 이와 함께 이송되는 경보기와, 상기 내측창이 몸체의 가이드 홈의 폭보다 더 열리면 상기 경보기가 근접되면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외측창에 설치되는 마그네트가 더 구비된다.
다라서, 배면판의 상하부에 한 쌍의 가이드만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일 측 상하부에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면판에 몸체를 결합시킬시 몸체의 일단을 배면판의 우측 단부에 대향시킨 후 죄측으로 밀어 끼울 수 있을 뿐 아니라, 몸체의 일단을 배면판의 좌측 단부에 대향시킨 후 우측으로 밀어 끼울 수 있으므로, 배면판에 대한 몸체의 양방향 조립이 가능하며, 내측창을 좌측으로 밀때 열리는 구조의 미닫이 창문 뿐 아니라 내측창을 우측으로 밀때 열리는 구조의 미닫이 창문에도 적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되는 창문 및 창문틀에 경보기 및 마그네트가 설치되므로, 침입자가 창문의 일부를 파손시키고 본 발명 개폐제어 장치를 해제시킨 후 창문을 열게 되면 경보기가 작동되므로 본 발명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를 보완하고 침입자의 침입을 방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로써, 이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개선된 배면판(11)과 몸체(15), 그리고 공지의 브라켓(20)과 가이드편(22)이 구비된다.
배면판(11)은, 상하단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12)가 구비되고, 하부에 다수의 고정부(13)가 구비되며, 양측단에는 별도의 걸림턱이나 지지수단이 구비되지 않아서, 후술 할 몸체(15)가 배면판(11)의 어느 방향에서든지 결합이 가능하다.
몸체(15)는 중앙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의 가이드홈(16)이 형성되고, 가이드홈(16) 일측에는 인입구(16a)가 형성되며, 인입구(16a)측의 몸체(15) 일단에는 다수의 고정부(1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입구(16a) 상하측 부위의 몸체(15)에는 배면판(11)의 양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지지턱(1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측창(27)의 문틀에는 공지의 부라켓(20)이 고정되며, 이 브라켓(20)의 지지부(21)에는 힌지핀(23)에 의해 공지의 가이드편(22)이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힌지핀(23)에는 비틀림스프링(24)이 더 결합되어서 가이드편(22)을 몸체(15)측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는, 배면판(11)의 상하부에 한쌍의 가이드(12)만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걸림턱이나 지지수단이 구비되지 않으며, 몸체(15)의 일측 상하부에는 지지턱(1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면판(11)에 대한 몸체(15)의 결합 방향이 자유롭다.
즉, 배면판(11)에 몸체(15)를 결합시킬 때에, 몸체(15)의 일단을 배면판(11)의 우측 단부에 대향시킨 후 좌측으로 밀어 끼우면 몸체(15)의 상하단이 배면판(11)의 가이드(12)를 따라 안내되면서 스라이드 결합되며,
몸체(15)를 계속 밀어 끼우면 몸체(15)의 지지턱(19)이 배면판(11)의 우측단부에 지지되면서 삽입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면판(11)의 고정(13)와 몸체(15)의 고정부(18)에 나사 등을 체결하여서 외측창(28)에 배면판(11)과 몸체(15)를 고정 지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공지의 방법과 같이 힌지핀(23)과 비틀림스프링(24)에 의해 브라켓(20)의 지지부(21)에 가이드편(22)을 탄성결합시키고, 내측창(27)에 브라켓(20)을 고정지지시켜서 도3과 같이 조립한다.
한편 내측창(27)과 외측창(28)이 도5와 같이 위치되어 사용될시 에는 몸체(15)의 설치 방향이 반대가 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5)를 180°회전시켜서 그 양단을 반대로 위치시킨 후, 몸체(15) 일단을 배면판(11)의 좌측 단부에 대향시킨 후 우측으로 밀어 끼우면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15)의 상하단이 배면판(11)의 가이드(12)를 따라 안내되면서 슬라이드 결합되며, 몸체(15)를 계속 밀어 끼우면 몸체(15)의 지지턱(19)이 배면판(11)의 좌측단부에 지지되면서 삽입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중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배면판(11)과 몸체(15)는, 배면판(11)에 대한 몸체(15)의 양방향 조립이 가능하여, 내측창(27)을 좌측으로 밀때 열리는 구조의 미닫이 창문 뿐 아니라, 내측창(27)을 우측으로 밀때 열리는 구조의 미닫이 창문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6은 본 발명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7 내지 도10은 경보기(31)를 보이는 개략도들 및 회로들로써, 내측창(27)에는 경보기(31)가 설치되어서 내측창(27)과 함께 이송되며, 외측창(28)에는 경보기(31)를 작동시키는 마그네트(30)가 설치된다.
이러한 경보기(31)의 일반적인 구성은 다수의 회로부품들이 접속된 회로기판(32)상에 온/오프스위치(33), 배터리(35), 마그네틱스위치(36) 그리고 스피커(39)가 하나의 회로를 구성하도록 접속된다.
여기서 마그네틱스위치(36)는, 탄력을 가지고 금속재인 가는 막대형상의 제1접속단자(37)와, 제1접속단자(37)가 마그네트(30)에 의해 당겨질시 이와 접속되도록 제1접속단자(37)둘레에 구비되는 제2접속단자(38)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경보기(31)는 도7과 같이 온/오프스위치(33)를 온 시킨 상태에서 침입자가 창문(25)의 일부를 파손시킨 후 몸체(15)로부터 가이드편(22)을 분리시킨 후 창문(25)을 열게 될시, 내측창(27)이 몸체(15)의 가이드홈(6)의 폭보다 더 열리게 되면, 경보기(31)가 마그네트(30) 측으로 이송되어 경보기(31)와 마그네트(30)가 동일선 상에 위치되고,
이때 마그네트(30)의 자력에 의해 마그네틱스위치(36)의 가는 막대 형상의 제1접속단자(37)가 그 둘레의 제2접속단자(38)에 접속되므로 배터리(35)의 전원이 회로기판(32) 및 스피커(39)에 전달되어 경보음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창치는 본 발명의 특징인 배면판(11) 및 몸체(15) 구조에 의해 이들의 결합이 자유로 와서, 내측창(27)을 좌측으로 밀때 열리는 구조의 미닫이 창문 뿐 아니라, 내측창(27)을 우측으로 밀때 열리는 구조의 미닫이 창문에도 적용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내측창(27)과 외측창(28)에 경보기(31)와 마그네트(30)가 설치되므로, 침입자가 몸체(15)와 가이드편(22)을 해체시켰다 하더라도 내측창(27)을 열때 경보기(31)에 의해 경보음이 발생되므로 침입자의 침입을 확실하게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마그네트(30)와 경보기(31)의 설치 위치는, 상술한 위치에 국한되지 않으며, 침입자가 창문(25)을 열면 경보기(31)가 작동되는 구조이면 경보기(31)와 마그네트(30)가 어느 위치에 설치되든지 그 설치위치는 무관하다.
도11은 경보기(31)의 온/오프스위치(33) 구조를 보이는 개략적 평면도로써, 이 온/오프스위치(33)가, 버튼(34)을 중앙에 위치시키면 경보기(31)가 오프(off)되고, 버튼(34)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항시 온(on) 상태를 유지하며, 버튼(34)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밤에만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포토셀스위치(photo cell switch)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에 의하면, 배면판(11)의 상하부에 한쌍의 가이드(12)만 형성되어 있고, 몸체(15)의 일측 상하부에 지지턱(1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면판(11)에 몸체(15)를 결합시킬시 몸체(15)의 일단을 배면판(11)의 우측 단부에 대향시킨 후 좌측으로 밀어 끼울 수 있을 뿐 아니라, 몸체(15)의 일단을 배면판(11)의 좌측 단부에 대향시킨 후 우측으로 밀어 끼울 수 있으므로, 배면판(11)에 대한 몸체(15)의 양방향 조립이 가능하여, 내측창(27)을 좌측으로 밀때 열리는 창문 뿐 아니라, 내측창(27)을 우측으로 밀때 열리는 구조의 미닫이 창문에도 적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되는 내측창(27) 및 외측창(28)에 경보기(31) 및 마그네트(30)가 설치되므로, 침입자가 창문(25)의 일부를 파손시키고 본 발명 개폐 제어장치를 해제시킨 후 창문(25)을 열게되면 경보기(31)가 작동되므로, 본 발명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를 보완하고 침입자의 침입을 방지하게 된다.
도1은 종래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장치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2 및 도4는 본 발명 미닫이 창문의 개페제어장치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들
도3 및 도5는 도2 및 도4의 결합 단면도
도6은 본 발명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7내지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보기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도들
도11은 경보기를 보이는 개락적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배면판 12: 가이드
13, 18: 고정부 15: 몸체
19: 지지턱 20; 부라켓
22: 가이드편

Claims (2)

  1. 내측창 문틀에 고정 지지되고 일측에 지지부가 구비되는 브라켓과, 일측이 상기 브라켓의 지지부에 삽입되는 가이드편과, 상기 부라켓의 지지부 및 이에 삽입된 가이드편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편이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편의 자유단을 몸체측으로 탄성지지 하는 비틀림스프링이 구비되는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하단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12)가 구비되고 하부에 다수의 고정부(13)가 구비되는 배면판(11)과:
    중앙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의 가이드홈(1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6) 일측에 인입구(16a)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16a)측 일단에 다수의 고정부(18)가 형성되고, 상기 배면판(11)의 양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부(18)측 상하부에 지지턱(19)이 형성되는 몸체(1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내측창(27)에 고정설치되어 이와 함께 이송되는 경보기(31)와:
    상기 내측창(27)이 몸체(15)의 가이드홈(6)의 폭보다 더 열리면 상기 경보기(31)가 근접되면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외측창(28)에 설치되는 마그네트(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KR10-2003-0047028A 2003-07-10 2003-07-10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장치 KR100537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028A KR100537896B1 (ko) 2003-07-10 2003-07-10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028A KR100537896B1 (ko) 2003-07-10 2003-07-10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636U Division KR200284039Y1 (ko) 2002-04-25 2002-04-25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796A KR20030084796A (ko) 2003-11-01
KR100537896B1 true KR100537896B1 (ko) 2005-12-21

Family

ID=32388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028A KR100537896B1 (ko) 2003-07-10 2003-07-10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86B1 (ko) 2011-03-15 2013-03-19 이장근 미닫이창문의 자동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202B1 (ko) * 2006-05-08 2007-03-19 이장근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KR100755514B1 (ko) * 2006-09-29 2007-09-05 이정인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86B1 (ko) 2011-03-15 2013-03-19 이장근 미닫이창문의 자동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796A (ko) 200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142657T3 (es) Dispositivo para abrir y cerrar puertas o similares, destinado especialmente a electrodomesticos o cualquier otro aparato similar.
KR100537896B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장치
KR200284039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US7197848B2 (en) Swing flap for the entry and exit of pets
US11851941B2 (en) Hold-open arrester arrangement having a hold-open function to hold a door open
KR100783420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EP1672150B1 (en) Compact, symmetrical electric door-opener
US6049276A (en) Burglar chain alarm
KR101042192B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KR200333141Y1 (ko) 방범용 창문커버
US3896316A (en) Entry control device
KR200337224Y1 (ko) 창문 자동 잠금 장치
KR200223470Y1 (ko) 전자 도어용 파워 트랜스퍼
KR100382127B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KR100720186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DK0976904T3 (da) Anordning til lukning af en vagabning
KR100379340B1 (ko) 양쪽 전후 여닫이식 문의 개폐장치
JP2561375Y2 (ja) 建築物用扉の鍵孔照光装置
KR200173305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KR100318820B1 (ko) 도어 열림 감지용 자기 리드 스위치
KR200373858Y1 (ko) 경첩
EP2613299B1 (en) Alarm system for windows and doors
US4855715A (en) Door mounted alarm assembly
WO2001048344A1 (ko) Opening and shutting control device for sliding windows
KR20000072466A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8 Dual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30710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