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561B1 - Disposal machine of fine impurities in waste water - Google Patents
Disposal machine of fine impurities in waste 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37561B1 KR100537561B1 KR10-2004-0048645A KR20040048645A KR100537561B1 KR 100537561 B1 KR100537561 B1 KR 100537561B1 KR 20040048645 A KR20040048645 A KR 20040048645A KR 100537561 B1 KR100537561 B1 KR 1005375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filter
- bar
- wedge
- wedge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뇨, 하수, 축산 폐수 등 액상 폐기물에 함유된 미세 협잡물을 여과하여 탈수 처리하는 미세 협잡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contaminant treatment device for filtering and dehydrating the fine contaminants contained in liquid waste such as manure, sewage, livestock wastewater.
즉, 본 발명은 분뇨, 하수, 축산 폐수 등의 정화 처리 과정 중 주로 전처리 과정에서 일차 여과 처리한 처리수를 대상으로 이 속에 남아있는 미세한 협잡물 (1~5㎜ 정도의 크기)을 여과하여 탈수 처리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자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dehydration treatment by filtering the fine contaminants (about 1 ~ 5㎜ size) remaining in the target water treated primarily in the pre-treatment process of the purification process, such as manure, sewage, livestock wastewater, etc. It is to provide a device for doing so.
이의 구성을 설명하면, 수평에서 약간 기울어지게 설치된 원통형상의 드럼여과기의 내부에 대상액을 투입하고 여과 드럼을 저속으로 회전시켜 드럼의 주면에 형성된 여과망으로 미세한 협잡물을 여과하는 드럼 여과기에 있어, 쐐기 형상 단면의 웨지 바를 특수한 형상, 즉 이등변 삼각형 단면의 예각 부위에 마름모 꼴 비슷한 형상의 꼭지를 단 모양으로 하여 이를 일정 간격의 바 고정 테에 끼워 여과체를 형성하므로 써 바와 고정 테를 용접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여과 드럼의 유입측 원판을 동심원상에서 분리하여 분리 공간을 만들고 이 공간에 웨지 바의 선단이 위치하도록 하고 이 공간을 수 개로 분할된 연결 플랜지로 볼트 연결하였다가 사용 중 바의 변형으로 인한 흠결이 발생하면 흠결 부위의 연결 플랜지를 분해하여 문제된 웨지 바를 뽑아내고 새 것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한 구성이다. In the construction of the drum filter, a drum filter is provided in which a target liquid is introduced into a cylindrical drum filter installed at a slight inclina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lter drum is rotated at a low speed to filter fine contaminants with a filter network formed on the drum's main surface. The wedge bar of the cross section has a special shape, that is, a rhombic-like tap on the acute part of the isosceles triangular cross s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bar fixing frame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filter body so that the bar and the fixing frame can be assembled without welding. In addition, the inlet disc of the filtration drum is separated from the concentric circle to create a separation space, where the tip of the wedge bar is located, and the space is bolted to several divided connection flanges, If a fault occurs, disassemble the connecting flange of the fault and trouble the wedge. The configuration allows the bar to be pulled out and replaced easily with a new one.
위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드럼형 여과기의 통상적 형태인 다공판 여과 드럼에 비하여 여과공이 긴 직선형으로 되어 있어 눈 막힘 현상이 적으며 여과 속도가 빨라 소량의 세척수를 가지고도 높은 여과 효율과 우수한 여과 성능을 올릴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활성화 되지 못한 원인은, 웨지 바를 용접으로 고정해야 하는 제작상의 난점과 사용 중에 웨지 바가 변형되는 흠결이 발생하였을 경우 현장에서의 교체작업이 불가하여 드럼 전체를 공장으로 옮겨 수리해야하는 불편 등의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웨지 바의 단면 형상을 특수한 형태로 하여 용접 작업 없이 이를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제작상의 난점을 해결하고 또한 드럼의 유입측면의 원판을 분리하고 여기에 분할된 연결 플랜지를 활용하여 현장에서의 웨지 바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므로 써 우수한 여과 성능을 가진 드럼형 미세 여과기를 분뇨, 하수, 축산 폐수의 미세 협잡물 처리기로 폭 넓게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경제적인 효과와 실용적인 효과를 이루어낸 미세 협잡물 처리기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 long linear shape of the filtration holes as compared to the perforated plate filter drum, which is a conventional type of drum type filter. Although it is possible to raise the wedge bar, the reason why it has not been activated so far is that the production of the wedge bar has to be fixed by welding and the wedge bar is deformed during use. This is because there were difficulties such as inconvenience to repai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manufacturing difficulties by allowing the wedge bar to be assembled into a special shape without welding work, and also to solve the manufacturing difficulties and to separate the disc of the inflow side of the drum and to utilize the connection flange divided therein. It is easy to change the wedge bar so that the drum type micro filter with excellent filtration performance can be widely used as a fine contaminant treatment device for manure, sewage, and livestock wastewater. to be.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뇨, 하수, 축산 폐수 등 액상 폐기물에 함유된 미세 협잡물을 여과하여 탈수 처리하는 미세 협잡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contaminant treatment device for filtering and dehydrating the fine contaminants contained in liquid waste such as manure, sewage, livestock wastewater.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분뇨, 하수, 축산 폐수 등 액상 폐기물을 정화 처리하는 과정 중 본처리에 앞서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는 전처리(前處理) 단계에서 폐액중의 각종 협잡물을 일차로 제거한 처리수를 대상으로 하여 여기에 남아있는 미세한 협잡물 (통상1~5㎜)을 제거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In more detail, in the process of purifying liquid wastes such as manure, sewage, and livestock wastewater, the treated water from which various contaminants in the waste liquid are first removed from the pretreatment stage prior to the main treatmen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a fine contaminant (usually 1 to 5 mm) remaining therein.
분뇨 등 폐기액의 협잡물을 여과 처리하는 기술은 주로 5㎜ 이상 크기의 비교적 큰 협잡물을 제거하는 기술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으나 최근 수질오염으로 인한 하천과 호소의 부영양화, 남조류 현상, 해양의 적조 현상 등 수생태계의 환경이 날로 악화 되어가고 있는 현실에서 액상 폐기액에 대한 고도 처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전처리 단계에서부터 액상 폐기물에 함유된 협잡물을 미세한 것까지 완벽하게 제거 처리 하므로 써 본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하며, 특히 전처리를 완료한 분뇨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하수처리 공정에 보내어 하수와 병합 처리하는 이른바 하수 연계 처리 시스템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로 볼 때 이 미세 협잡물 처리 문제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할 것이다. Filtration treatment of sewage from waste liquids, such as manure, has been developed mainly to remove relatively large contaminants of 5mm or larger size, but recently, eutrophication of streams and lakes due to water pollution, cyanobacteria, and red tide of the ocean As the environment of aquatic ecosystems is deteriorating day by day, the necessity of advanced treatment for liquid waste liquid is increasing. For this purpose, the efficiency of this treatment is achieved by completely removing the fines contained in the liquid waste from the pretreatment stage. In this regard, the problem of treating fine contaminants is an urgent task, especially as the sewage-linked treatment system is spreading, which temporarily stores pretreated manure and sends it to the sewage treatment process. It will be rising.
이에 종래의 미세 협잡물 처리기술을 살펴보면, 다공 판으로 된 원통 내부에 대상 액을 유입시켜 저속 회전하여 여과하는 이른 바 다공 판 드럼 여과 방법과 고속 회전하는 원심 분리기(Screw decanter), 또는 이를 약간 변형한 장치를 활용하는 방법 등이 그 대표적인 것이라 하겠다. In the conventional fine contaminant treatment technology, the so-called perforated plate drum filtration method and the high-speed rotating screw decanter, or a slight modification thereof, in which the target liquid is introduced into the cylinder of the perforated plate and rotated at low speed for filtration. The typical method is to use the device.
위 종래의 활용 기술을 하나하나 살펴보면, Looking at each of the above conventional utilization techniques,
첫째, 다공 판 드럼 여과 방법은 원주면에 수많은 원형의 구멍을 타공하여 원통을 형성하고 이 원통 내부로 처리할 폐기액을 투입하여 원통을 저속 회전 (통상 20rpm이하) 시켜 구멍으로 액체 성분이 빠져나가게 하여 구멍의 직경보다 큰 고형상 협잡물을 여과하고 이 여과된 물질을 투입의 반대 방향으로 배출하여 스크류 프레스(Screw press)로 탈수 처리하는 방법인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일반적인 여과 기술이긴 하나 폐액의 특징인, 미세하고 다양한 부유 물질과 점성으로 인한 큰 표면장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여과면의 도포 효과(Coating effect)와 그로 인한 눈 막힘 현상을 피할 수 없는 큰 단점이 있기 때문에 대형의 협잡물을 처리하는 용도로는 활용할 수 있어도 여과공이 작아야 하는 미세한 협잡물을 처리하는 기술로서는 부적당한 방법인 것이다. 또한 센 수압의 세척수를 드럼의 외 표면에 다량 살수하여 이러한 폐쇄 현상을 예방한다 하더라도 여기에는 한계가 있어 실제로는 직경 6㎜ 이하 크기의 구멍으로는 눈 막힘 현상을 방지하기 어렵다고 보아야 하며 간혹 그 이하 크기의 구멍을 가진 다공판 드럼형 미세 처리기가 있다고는 하나 이 경우 세척수를 한계치까지 많이 사용해야 하며 (세척수를 과다하게 사용할 경우 오히려 드럼 내부로 물이 들어가는 결과가 되어 여과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세척수의 사용량은 한계가 있어 대개 120ℓ/min. 이하로 사용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처리량이 너무 적어 많은 양을 일시에 처리해야 하는 폐기액의 미세 협잡물 여과기로서는 실용성이 적다 할 것이다. First, the perforated plate drum filtration method forms a cylinder by drilling a large number of circular holes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njects a waste liquid to be processed into the cylinder to rotate the cylinder at a low speed (usually 20 rpm or less) so that the liquid component escapes into the hole. By filtering the solid contaminant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and the filtered material is dischar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put is a method of dewatering by a screw press (Screw press). However, this method is a general filtration technique, but the coating effect of the filter surface and the resulting clogging caused by the fine and diverse suspended solids and the large surface tension due to viscosity are inevitable. Because of the big disadvantage, even if it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large contaminants, it is an unsuitable method for treating the fine contaminants that must be small filter filtration. In addition, even if a large amount of washing water is spr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to prevent such closure, there is a limit here, and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prevent clogging with a hole having a diameter of 6 mm or less. Although there is a perforated drum-type microprocessor with a hole of, it is necessary to use a lot of washing water up to the limit. (In case of using too much washing water, water may get into the drum. Is usually less than 120 l / min.) Nevertheless, its throughput is so small that it is of little practical use as a fine contaminant filter of waste liquor that requires a large amount of processing at one time.
둘째, 원심 분리기를 활용하는 방법은, 고속 회전하는 수평형 원심 분리기(Screw decanter)를 이용하여 그 비중차에 의한 원심력의 차이를 극대화하여 액체속에서 고체를 분리하고 스크류의 추진력으로 탈수, 배출하여 고형분을 분리해 내는 기술이다. Second, the method using a centrifuge uses a horizontal rotating screw decanter to maximize the difference in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to separate solids in the liquid and dehydrate and discharge them with the driving force of the screw. It is a technique to separate solids.
이 원심 분리 방법은 분뇨, 하수 처리장 등의 본처리 공정 후단계에서 잉여 슬럿지를 탈수하는 용도로 오래전부터 활용해 온 방법으로 이를 전처리 단계에 원용한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이 원심 분리 방법은 탈수 성능은 우수한 반면 동력, 장치의 가격에 비하여 그 처리량이 너무 적기 때문에 대용량 처리를 요하는 폐기액의 여과 방법으로 역시 부적절하며 또한 가벼운 협잡물은 원심 분리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응집조제 등 약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2차 오염 발생과 경제적인 문제가 따르며 모래와 같은 큰 비중의 물질이 들어갈 경우 매우 큰 원심효과로 인한 과부하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도 있다. This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for dewatering excess sludge in the post-treatment stage of manure and sewage treatment plants. However, this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 is also inadequate as a filtration method for waste liquids requiring a large amount of processing because of its excellent dewatering performance but too low for power and equipment price, and a light contaminant is not easy to centrifuge. There is a problem of continuous use of chemicals, which leads to secondary pollution and economic problems, and when a large amount of material such as sand enters, there may be a problem of overload due to a very large centrifugal effect.
셋째, 원심 분리기를 약간 변형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위와 같이 미세협잡물을 원심 분리기로 처리할 경우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의 문제를 극복할 목적으로 그 형태를 약간 변형하여 활용하는 방법으로 그 가운데 하나는, 원심 분리기(스크류 데칸터)의 원통부 원주면을 다공판으로 바꾸거나 또는 사각 단면의 봉을 일정한 틈새를 두고 길이 방향으로 용접하여 여과면을 형성한 것이다. 이것은 고속회전에 따른 큰 원심력을 이용하여 여과 속도를 높이고 여과면에서 걸러진 협잡물을 스크류가 신속히 밀어내게 하여 단위 시간당 처리량을 증대하려는 의도로 활용하는 수단이라 하겠다. 그런데 이 방법은 스크류와 원통이 상호 일정한 회전차를 가지고 고속회전 하기 때문에 서로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스크류의 외면과 원통의 내면에 공차를 두어야 하므로 이 공차에 의한 간극(間隙)이 눈 막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즉 스크류가 저속 회전하는 통상의 스크류 컨베어는 스크류와 실린더 내주면 사이에 틈이 있어도 이 틈에 있는 물질이 물질 상호간에 작용하는 응집력으로 하여 함께 밀려가게 되므로 이 틈이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앞의 경우에는 고속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강한 원심력 (통상 지구 중력 가속도의 수백 내지 수천 배)으로 인하여 내부의 협잡물이, 협잡물 상호간에 작용하는 응집력보다 훨씬 큰 힘으로 원통 내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여과면과 스크류의 틈새에 있는 물질이 밀려나가지 못하고 남아 있게 되어 이것이 눈 막힘 현상의 원인이 되어 처리량을 증대하려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된다. Thirdly, the method of slightly modifying the centrifuge will be described as a method of slightly modifying the shape to overcome various problems in the case of treating the fine contaminants with the centrifuge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centrifuge (screw decanter) is changed to a perforated plate, or the rod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we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gap to form a filtration surface. This is a means to increase the filtration speed by using a large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high-speed rotation and to increase the throughput per unit time by causing the screw to quickly push out the contaminants filtered from the filtration surface. However, in this method, because the screw and the cylinder rotate at a high speed with a constant rotation difference, a tolerance must be plac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to avoid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e gap caused by this tolerance is the cause of clogging. It is becoming. In other words, in a conventional screw conveyor, in which the screw rotates at low speed, even if there is a gap between the screw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the material in this gap is pushed together due to the cohesive force acting on the materials, so this gap is not a problem. In the former case, however, due to the strong centrifugal force (usually hundreds to thousands of times the global gravitational acceleration) generated by the high-speed rotation, the internal contaminants are strongly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with a force far greater than the cohesive force between the contaminants. The material in the gap between the filtration surface and the screw remains unable to be pushed out, which causes clogging and fails to achieve the desired purpose of increasing throughput.
또 다른 하나는, 원심 분리기의 여과수 배출측 면에 미세한 구멍을 다량으로 형성시켜 여과면으로 삼고 여기서 여과된 물질을, 스크류 측면의 긁기 장치를 이용하여 원통의 내주면으로 보내어 이를 스크류의 작용으로 밀어내는 구조인 바 이 방법은 전자와 달리 원심력이 여과공과 직각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된 구조이기 때문에 여과물질이 여과면에 밀착되지 않고 오히려 여과면을 미끄러져 중심에서 먼 쪽으로 움직이는 힘이 작용하고 이에 긁기 장치의 도움까지 받게 되어 전자와 같은 눈 막힘 현상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 역시 그 처리량이 만족할 만한 수준까지는 되지 못하여 미세 협잡물 처리에 단독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할 것이다. The other is to form a large amount of fine holes in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side of the centrifuge as a filtration surface, where the filtered material is s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by using a scraping device on the side of the screw to push it under the action of the screw. Unlike the former, this method is designed so that the centrifugal force acts at right angles to the filtration hole. Therefore, the filtration material does not adhere to the filtration surface, but rather, the force that moves away from the center by sliding the filtration surface acts. You will be helped to avoid clogging such as electrons. However, this too, the throughput is not to a satisfactory level, it is difficult to use alone in the treatment of fine contaminants.
이상 종래의 기술을 정리해 보면 폐액의 전처리에 있어 1~5㎜ 크기의 미세한 협잡물을 처리하는 미세 협잡물 처리 기술은, 미세한 부유 물질과 점성 등으로 발생하는 여과공의 눈 막힘 현상으로 하여 여과공의 크기를 작게 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원형의 여과공을 활용한 미세 협잡물 처리 방법은 적절한 기술이 되지 못하며 또한 고속 회전에 의한 큰 원심력을 이용한 원심 분리기 및 이를 변형한 방법들 역시 그 처리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양을 연속 처리해야 하는 폐기액의 미세 처리 장치로 그 효용성이 떨어진다 할 것이다. In summary, the conventional technique for treating fine contaminants having a size of 1 to 5 mm in the pretreatment of the waste liquid is the size of the filter pores due to clogging of the filter pores generated by fine suspended matter and viscosity. Since there is a limit to reduce the size of the fine contaminants using a circular filter hole is not a proper technique, and the centrifuge and the modified method using a large centrifugal force by a high speed rotation can als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throughput. It would not be useful as a microtreatment device for waste liquid that must be continuously processed in large quantities.
본 발명은 분뇨, 하수 및 축산 폐수의 미세 협잡물을 처리하는 데 있어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여 효율적인 미세 협잡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즉, 분뇨, 하수, 축산 폐수에 함유된 1~5㎜ 크기의 미세한 협잡물을 처리함에 있어 막힘이 없는 여과 기술과 대량 처리 (전처리 공정에 설치될 경우 시스템의 연속 처리가 가능한 처리 속도로서 100㎥/hr.의 용적 속도) 기술을 동시에 만족하고 아울러 중요 부위의 현장 수리 교체가 가능한 경제적이고 실용성 있는 미세 협잡물 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treatment of fine contaminants of manure, sewage and livestock wastewater to provide an efficient fine contaminant treatment device, that is, 1 to 5 mm contained in the manure, sewage, livestock wastewater In the treatment of fine contaminants of size, it satisfies both the filtration technology without clogging and the mass processing (volume rate of 100㎥ / hr. As a processing speed that enables continuous processing of the system when installed in the pretreatment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conomical and practical fine contaminant handler capable of field repair replacement.
본 발명의 구성을 기술적 요소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technical elements.
본 발명의 핵심 장치인 여과 드럼(10)에 있어 우선 드럼 축(2)의 구성을 설명하면, 드럼 외부의 유입부 축은 중공축(中空軸) 즉 유입축관(2a)으로 구성하여 그 내부로 폐액이 유입될 수 있게 하고 드럼 내부로 들어와 있는 중공축 부위는 그 축관의 직경을 크게 한 확대축관(2b)으로 하여 그 주면에 다수개의 구멍(2c)을 만들어 유입된 폐액이 드럼 내부로 떨어져 들어가게 한다. 이때 구멍(2c)의 단면적의 합이 확대축관(2b)의 단면적보다 2배 정도 넓게 한다. 확대축관(2b) 후반부는 실축(2d)(관을 사용할 경우에는 그 선단을 막음)으로 하여 반대편의 배출측 측판(2g) 중심을 통과하여 드럼 외부로 이어지게 하며 드럼 축(2)의 드럼 외부 양측에는 베어링(2e)을 개재하여 프레임(Frame)(6)에 장착한다. 위 어느 한 베어링(2e) 옆에 스프로켓(Sprocket)(2f)을 축설하여 이에 연결된 롤러 체인(7a)을 통하여 전동기(기어드 모터)(7)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게 한다. 또한 유입축관(2a) 선단에는 로타리 조인트(Rotary joint)(8a)와 플렉시블(Flexible) 관(8b)을 달아 투입 펌프(8)의 배관(8c)과 연결되게 하며 펌프의 상단에는 투입 밸브(8d)를 부착한다. In the filtration drum 10, which is the co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drum shaft 2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 inlet shaft outside the drum is formed of a hollow shaft, that is, an inlet shaft tube 2a, and the waste liquid therein. The hollow shaft portion entering the drum is made into an enlarged shaft tube 2b having a larger diameter of the shaft tube, and a plurality of holes 2c are formed in the main surface thereof so that the introduced waste liquid falls into the drum. . At this time, the sum of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holes 2c is approximately twice as wide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nlarged shaft pipe 2b. The latter half of the enlarged shaft tube 2b is a solid shaft 2d (blocking its tip when the tube is used), and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discharge side side plate 2g on the opposite side to the outside of the drum. Is mounted on a frame 6 via a bearing 2e. Sprocket (2f) next to any one of the bearing (2e) above to build up and receive power from the electric motor (geared motor) (7) through the roller chain (7a) connected thereto. In addition, a rotary joint 8a and a flexible pipe 8b are attached to the tip of the inlet shaft 2a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pipe 8c of the inlet pump 8, and an inlet valve 8d at the top of the pump. Attach).
다음, 위의 드럼 축(2)과 일체화 되어 회전하게 한 여과 드럼(10)의 구성을 설명하면, 쐐기 형상의 단면을 가진 긴 봉(Wedge bar, 이하 웨지 바)(1)을 다수 개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 결합하여 이 집합된 웨지 바의 밑면(1b)이 원통의 내주면을 형성하고 이 내주면이 여과 면의 역할을 하게 한다. 그런데 여기서의 웨지 바(1)는 단순한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진 통상적인 웨지 바(1c)가 아닌 독특한 형태로서, 즉 쐐기의 뾰족한 부위에 쐐기의 기울기와 반대 되는 기울기를 가진 작은 턱을 붙인 형상이 된다. 그 단면 모양을 달리 표현하면 이등변 삼각형의 예각 부위 모서리에 마름모꼴과 유사한 형상의 꼭지(1a)가 달린 형태라 할 것이다. 이러한 형상의 웨지 바(1)는, 다수 개의 바 고정 테(11)에 끼워지게 되는데 이 바 고정 테(11)는 플랜지(Flange) 형상의 판으로서 그 내주면 전체에 일정한 간격의 홈(11a)이 톱니처럼 만들어진 구조이다. 이 홈(11a)은 그 형상과 크기를 상기 웨지 바(1)의 꼭지(1a)의 단면과 같게 하여 이 바 고정 테 홈(11a)으로 웨지 바의 꼭지(1a) 부위가 끼워지게 한 것이다. 이 바 고정 테(11)는 100~150㎜ 정도의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다. 이 테(11)에는 일정 간격의 구멍(11b)이 있어 이 구멍(11b)마다 여과 드럼(10)의 원통 길이보다 약간 긴 보강 봉(12)을 삽입한다. 이때 고정 테(11)와 테(11) 사이에 간격 유지용 관인 스페이서(Spacer)(13)가 일정 길이로 보강 봉(12)에 함께 끼워지게 한 구조로 조립된다. 이렇게 하여 여과 드럼(10)의 양 측면 판(2ab, 2g) 외부로 돌출되는 보강 봉(12)의 선단에서 나사(12a) 체결을 하므로써 바 고정 테(11)의 간격을 유지하며 움직임을 방지하고 드럼(10) 전체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한다. 그리고 여과 드럼(10)의 출구 측에는 다수개의 구멍(3a)을 가진 원통(3)을 붙여 여과된 협잡물이 그 구멍(3a)을 통하여 하부에 설치된 스크류 프레스(4)로 들어가게 한다. 스크류 프레스(4)에서는 여과 협잡물을 스크류로 압착 탈수하여 컨베어 등으로 이송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ration drum 10,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above drum shaft 2 and rotated, describes a plurality of long wedge bars having a wedge-shaped cross section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ssembling at regular intervals, the assembled bottom wedge bar 1b form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erves as a filtration surface. By the way, the wedge bar 1 here is not a typical wedge bar 1c having a simple isosceles triangular cross section, i.e., a shape having a small jaw attached to the pointed portion of the wedge with an inclination opposite to that of the wedge. Becomes If the cross-sectional shape is expressed differently, it will be referred to as a shape having a spigot 1a shaped like a rhombus at the corner of an isosceles triangle. The wedge bar 1 having such a shape is fitted to a plurality of bar fixing rims 11, and the bar fixing rims 11 are flange-shaped plates, and grooves 11a at regular intervals are formed on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t is a structure made like a sawtooth. The groove 11a has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a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nipple 1a of the wedge bar 1 so that the nipple portion of the wedge bar is fitted into the bar fixing rim 11a. This bar fixing frame 11 is arrange | positioned at regular intervals of about 100-150 mm. The frame 11 has holes 11b at regular intervals, and a reinforcing rod 12 slightly longer than the cylindrical length of the filtration drum 10 is inserted in each of the holes 11b. At this time, the spacer (13), which is a space keeping tube between the fixing frame (11) and the frame (11), is assembled in a structure that is fitted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rods 12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is way, by tightening the screw 12a at the tip of the reinforcing rod 12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both side plates (2ab, 2g) of the filtration drum 10 to maintain the interval of the bar fixing frame (11) and to prevent movement It serves to firmly fix the entire drum (10). A cylinder 3 having a plurality of holes 3a is attached to the outlet side of the filtration drum 10 so that the filtered contaminants enter the screw press 4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through the holes 3a. In the screw press 4, the filter contaminants are compressed and dewatered with a screw and conveyed to a conveyor or the like.
다음은 본 발명의 중요한 요소의 하나인 여과 드럼(10)의 유입측 측판의 구성을 설명하면, 이 유입측 측판을 중심측 판인 유입측 원판(2aa)과 외륜측에 있는 외륜판(2ab)으로 나누어 둘 사이에 일정 거리를 둔다. 이 거리 공간에 웨지 바(1)의 선단이 위치하도록 하며 유입측 원판(2aa)과 외륜판(2ab)에 수 개로 분할된 연결 플랜지(2ac)를 조립하여 이 둘(2aa, 2ab)을 연결되게 하므로 써 전체적으로 하나의 원판과 같은 형상이 된게 한다. 이 연결 플랜지(2ac)는 상대와 접촉될 면에 요입홈(2aca~2acb)을 동심원상에 만들어 이 홈의 내측 경계(2aca)와 유입측 원판(2aa)의 돌출부 경계(2aaa)가 맞물리게 한다 이 때 물론 홈과 돌출부의 경계부위가 같은 직경이 되게 하여 두 물체가 정확히 동심원상에서 결합되게 한다. 같은 요령으로 외륜판(2ab)의 돌출부 경계(2aba)와 연결 플랜지(2ac) 요입홈의 외측 경계(2acb)가 접촉하며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동심원상에서 합쳐지게 한다. 그리고 이 연결 플랜지(2ac)는 중심선을 분할선으로 하여 수 개로 등분 (도면에서는 4등분)한 것으로서 분할된 하나의 연결 플랜지(2ac)에 4개의 조립용 구멍을 마련하고 내외 측에 각각 두 개씩 상대(2aa, 2ab)와 볼트(2acc) 조립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inflow side plate of the filtration drum 10,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the inflow side plate 2aa which is the center side plate and the outer ring plate 2ab on the outer ring side. Divide and leave some distance between them. The distal end of the wedge bar 1 is positioned in this distance space, and the connecting flange 2ac divided into several parts of the inlet side plate 2aa and the outer ring plate 2ab is assembled to connect the two 2a and 2ab. Therefore, the overall shape is like a single disc. The connecting flange 2ac makes concave grooves 2aca to 2acb concentrically on the surface to be in contact with the partner so that the inner boundary 2aca of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boundary 2aaa of the inflow disc 2aa are engaged. In this case, of course, the boundary between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is the same diameter so that the two objects are exactly concentrically coupled. In the same manner, the projecting boundary 2aba of the outer ring plate 2ab and the outer boundary 2acb of the connecting flange 2ac indentation groov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be joined in a concentric circle as a whole. The connecting flange 2ac is divided into several parts (four equal parts in the drawing) with the center line as the dividing line, and four assembly holes are provided in the divided connecting flange 2ac, and each of the two is arranged inside and outside. Assemble bolts (2aa, 2ab) and bolts (2acc).
여기서 여과 드럼(10)은 유입 측을 약간 높게 기울여 설치하여 원통 내부 물질이 배출 측으로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게 한다. Here, the filtration drum 10 is installed at an inclined side slightly higher so that the inner material of the cylinder can proceed smoothly to the discharge side.
이렇게 구성된 여과 드럼(10)의 원통 상부에 약간의 거리를 두고 다수 개의 세척 노즐(5a)이 있는 세척 노즐 관(5b)을 수평 설치하여 이를 세척수 펌프(5)와 배관(5c) 연결하며 세척수 펌프(5)의 상단에는 세척수 밸브(5d)를 부착한다. 그리고 여과 드럼(10)의 상부와 양 측면 그리고 정, 후면에 덮개(9)를 설치하고 덮개의 상부와 정면에 각각 수리 점검문(9a), (9b)을 단다. 드럼의 하부에는 여과수를 모으는 호퍼(Hopper)(9c)를, 호퍼(9c)의 아래 부위에는 여과수를 다음 단계로 이송할 배출 배관(9d)이 있는 구성으로 한다. A horizontal installation of a washing nozzle tube (5b) having a plurality of washing nozzles (5a) at a distanc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of the filtration drum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pump (5) and the pipe (5c), the washing water pump At the top of (5), a washing water valve 5d is attached. And the cover (9) is installed on the top and both sides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filtration drum 10, and the repair check door (9a), (9b) is attached to the top and front of the cover, respectively. The lower part of the drum has a hopper (9c) for collecting the filtered wate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9c) has a discharge pipe (9d) for transferring the filtered water to the next step.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앞에서 말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특수한 형상의 웨지 바(1)와 분할된 연결 플랜지(2ac)를 이용한 웨지 바 여과기로서 이러한 기술 수단이 어떻게 실체화 되는가를 나타내는 하나의 실시 예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종래의 기술 가운데 하나인 다공판 여과법의 실시 예도 함께 제시하여 비교의 척도로 삼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wedge bar filter using a specially shaped wedge bar 1 and a divided connection flange 2ac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xample is given below. In this regard, an embodiment of a porous plate filtration method, which is one of the related arts, is also presented and used as a measure of comparison.
첫째, 본 발명의 한 실시 예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꼭지(1a)가 달린 형상의 웨지 바(1) (폭 3.6㎜)를 바(1)와 바(1) 사이의 틈새가 1㎜가 되게 하여 (피치; 4.6㎜), 478개의 웨지 바(1)를 조립하면 직경이 약 700㎜인 여과 드럼이 만들어 진다. 여기서 17개의 바 고정 테(11)를 125㎜ 피치로 바(1)와 결합하면 (칸 수는 16칸) 원통 길이가 약 2m인 여과 드럼이 형성된다. 이 여과 드럼을 유입측이 2웨 높게 경사지게 설치한다. 그리고 100㎥ /hr.의 유량을 가진 투입 펌프(8)와 최고 용량 120ℓ/min. 에 30m 양정을 가진 세척수 펌프(5) 및 6ton/hr.(유입 협잡물 기준)의 처리량을 가진 스크류 프레스(4)를 설치한다. First,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dge bar 1 (width 3.6 mm) having the shape of the tap 1a as described above is set so that the clearance between the bar 1 and the bar 1 is 1 mm. (Pitch; 4.6 mm) to assemble the 478 wedge bars 1 to form a filtration drum of about 700 mm in diameter. Here, when the 17 bar fixing rims 11 are combined with the bar 1 at a pitch of 125 mm (number of columns is 16), a filtration drum having a cylinder length of about 2 m is formed. This filtration drum is installed at an inflow side inclined two heights. And an input pump 8 with a flow rate of 100 m 3 / hr. And a maximum capacity of 120 l / min. The washing water pump 5 with a 30m lift and a screw press 4 with a throughput of 6 ton / hr.
둘째, 위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비교하기 위하여 여과 공의 직경을 4㎜로 하고 그 피치를 7㎜로 한 바둑판 배열의 다공판 여과 드럼 (판재의 두께는 3㎜)으로 된 다공판 여과기를 준비한다. 여과 드럼의 크기 (직경 700㎜ x 길이 2m)를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동일하게 하고 그 외의 모든 구성도 본 발명과 동일하게 한다. Second, in order to compare with the abo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ous plate filter made of a perforated plate filter drum (plate thickness is 3 mm) having a diameter of 4 mm and a pitch of 7 mm is prepared. do. The size of the filtration drum (diameter 700 mm x length 2 m) is the sam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효과에 관하여 위의 두 가지 실시 예의 비교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mparison of the above two embodiments.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하여 그 작동과 함께 작용 효과를 살펴본다. First,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oks at the effect and the operation.
전처리 과정에서 중, 대형 협잡물(5㎜ 이상)을 일차 제거한 분뇨, 하수, 축산 폐수 등의 폐기액이 투입 펌프(8)를 통하여, 플렉시블 관(8b), 로타리 조인트(8a)를 거쳐 유입축관(2a)으로 투입되면 여과 드럼(10) 내부의 확대축관(2b)의 구멍(2c)을 통하여 여과 드럼(10) 내주면으로 폐액이 들어온다. 이때 여과 드럼(10)은 전동기(기어드 모터)(7)로부터 롤러 체인(7a)을 통하여 스프로켓(2f)에 동력을 전달받아 16rpm의 속도로 회전하게 한다. 그런데 여과 드럼(10)은 배출 측이 약간 낮게 경사 설치되어 있으므로 여과 드럼(10) 내부의 물질은 여과 드럼(10)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회전 운동 (엄밀히는 1/4 회전 정도)을 하다 어느 정도의 높이에서 떨어지는 낙하 운동을 하게 된다. 이 회전과 낙하, 두 운동의 지속적인 반복 작용으로 여과 드럼(10) 내부의 물질이 배출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폐액에 있는 고형 성분 중 웨지 바(1)와 바(1) 사이의 틈새(1㎜)보다 작은 물질과 액체 성분은 틈새를 통과하여 하부의 호퍼(9c)로 내려가고 틈새보다 큰 고형분은 여과 드럼(10) 내부에서 여과되어 진행하다 결국 배출측 원통(3) 구멍(3a)을 빠져나가 스크류 프레스(4)로 낙하 유입되어 탈수 되고 탈수된 협잡물은 컨베어 등을 이용, 이송 처리된다. In the pretreatment process, waste liquids such as manure, sewage, and livestock wastewater from which large and large contaminants (5 mm or more) are first removed are introduced via an inlet pump (8) through a flexible pipe (8b) and a rotary joint (8a). 2a), the waste liquid enter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ration drum 10 through the hole 2c of the enlarged shaft tube 2b in the filtration drum 10. At this time, the filtration drum 10 receives power from the electric motor (geared motor) 7 through the roller chain 7a to the sprocket 2f to rotate at a speed of 16 rpm. By the way, since the discharge side of the filtration drum 10 is slightly inclined, the material inside the filtration drum 10 is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ration drum 10 to perform a rotational movement (strictly 1/4 turn). Will fall from the height of the falling. This rotation and drop, the continuous repetitive action of the two movements to move the material inside the filtration drum 10 to the discharge side. In this process, the material and liquid components smaller than the gap (1 mm) between the wedge bar (1) and the bar (1) among the solid components in the waste liquid pass through the gap to the lower hopper (9c) and have a larger solid content than the gap. The filtration proceeds by being filtered in the filtration drum 10 and finally exits the hole 3a of the discharge side cylinder 3, falls into the screw press 4, and is dewatered. The dehydrated contaminants are transferred using a conveyor or the like.
이상의 여과 과정에서 다수 개의 세척 노즐(5a)을 통하여 적절한 양의 세척수를 여과 드럼(10)의 외주면에 분사하여 여과 드럼(10)에서의 눈 막힘 현상을 방지한다. In the above filtration process, an appropriate amount of washing water is spray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ration drum 10 through the plurality of washing nozzles 5a to prevent clogging in the filtration drum 10.
다음은 비교를 위한 실시 예로서 다공판 여과기에 대하여 그 작동과 그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operation and the effect according to the porous plate filter as an embodiment for comparison as follows.
본 발명과 동일한 과정으로 위의 다공판 드럼의 내부에 유입된 폐기액은 역시 본 발명과 동일한 운동을 반복하며 진행과 여과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다만 한 가지 다른 점은 여과 목(틈새)의 크기에 따라, 전자가 1㎜ 크기의 협잡물을 여과할 수 있는 것에 비해 이 다공판 여과기는 4㎜보다 작은 협잡물은 여과가 곤란하며 그리고 더욱 주목할 만한 결과는 여과목이 큰 다공판 여과기가 여과목이 작은 본 발명에 비하여 오히려 눈 막힘 현상이 더 크게 나타나며 그 차이 또한 대단히 커다는 사실이다. The waste liquid introduced into the above perforated plate drum by the same process a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ceeds and is filtered while repeating the same movement as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y difference is tha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iltration neck, the perforated plate filter is difficult to filter for contaminants smaller than 4 mm, while electrons can filter 1 mm of contaminants. The result is that the perforated plate filter having a large filter tree has a larger clogging phenomenon tha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mall filter tree, and the difference is also very large.
이러한 현상을 포함하여 양자의 비교를 더욱 확실히 하여 그 효과를 대비하기 쉽도록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Including these phenomena,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is more sure, and it is shown in a table so as to easily prepare for the effect thereof, as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본 발명과 다공판 여과기의 실시 예에 있어 구성에 따른 효과의 비교 *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he configurations in the examples of the invention and porous plate filter
이상의 표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단위 여과면의 폭이 1㎜에 불과하며 여과면적율이 적은 본 발명이, 4㎜ 직경의 단위 여과 면을 가지고 전체 여과 면적율이 18% 나 더 큰 다공판 여과기보다 눈 막힘 현상이 오히려 적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액체의 표면장력과 관련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는 바 그것은, 여과 경계선에서 작용하는 액체의 표면장력이 액체의 여과면 통과를 방해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다공판 여과기의 경우 여과 경계선이 4㎜ 직경의 원주이므로 이 원주의 모든 방향에서 작용하는 표면장력이 서로 뭉쳐지게 되어 4㎜의 직경이 예컨데 3㎜의 직경 또는 2㎜의 직경과 같은 결과가 되어 여과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인 웨지 바 여과기는 여과 경계선이 긴 직선으로 되어 여과 경계선에서의 표면장력이 두 방향에서만 작용하게 되므로 표면장력으로 인한 여과 방해 작용을 적게 받게 되어 액체의 여과면 통과가 다공판보다 쉬울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As shown in the above tabl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nit filter surface having a width of only 1 mm and a small filter area rati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4 mm diameter unit filter surface and has a total filter area ratio of 18% or more. This is rather small.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is related to the surface tension of the liquid, which means that the surface tension of the liquid acting at the filtration boundary acts as a force to hinder the passage of the liquid through the filtration surface. Since the 4 mm diameter cylinder is used, the surface tensions acting in all directions of the cylinder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which results in a diameter of 4 mm, for example, a diameter of 3 mm or a diameter of 2 mm, which reduces the filtration efficiency. . On the other hand, the wedge ba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ng filtration boundary line, so that the surface tension at the filtration boundary acts only in two directions, so that the filtration barrier due to the surface tension is less likely to pass through the filtration surface of the liquid than the porous plate. Because of the view.
이와 같이 단위 여과 면이 구멍으로 된 다공판 여과기보다 긴 직선으로 된 바 여과기가 폐액의 미세 여과기로서 훨씬 나은 효과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바 형 여과기가 활성화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웨지 바 여과기의 제작의 어려움이라 할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이등변 삼각형 단면의 통상적인 웨지 바(1c)를 이용하여 여과 드럼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웨지 바 고정 테와 웨지 바의 접촉면 전체를 용접으로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는 대단히 힘든 작업이 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웨지 바 고정 테(11)의 피치를 125㎜로 하고 이등변 삼각형 단면의 통상적인 웨지 바(1c)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그 용접 개소가 무려 8,126개소(478 x 17)가 된다. 용접으로 인하여 바가 뒤틀리는 변형의 문제, 제 위치에서 벗어나는 문제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수천 개소를 용접해야 하는 작업으로 이는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작업이라 볼 수 있다. Although the bar filter having a straight line longer than the perforated perforated plate filter has a much better effect as a fine filter of the waste liquid, the biggest reason why the bar filter is not activated is the difficulty of manufacturing the wedge bar filter. Will be called. In detail, this is a very difficult task because it is necessary to fix the entire contact surface of the wedge bar fixing frame and the wedge bar by welding when forming the filtration drum using a conventional wedge bar 1c having an isosceles triangular cross section. In the above embodiment, assuming that the pitch of the wedge bar fixing frame 11 is 125 mm and the conventional wedge bar 1c having an isosceles triangular cross section is used, the welding point is 8,126 places (478 x 17). It is a very difficult task to weld thousands of places by avoiding the problem of deformation of the bar twisted out of the welding, and the problem of out of position.
본 발명은 이에 비해, 웨지 바(1)의 단면을 위 구성의 설명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등변 삼각형 예각 부위에 마름모꼴 비슷한 모양의 꼭지(1a)를 붙인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하여 이 꼭지(1a) 부위를 웨지 바 고정 테(11)의 홈(11a)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여 여과 드럼(10)을 형성하게 하였으므로 용접 작업을 전혀 하지 않고도 웨지 바(1)를 정확한 간격으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 목적하는 좁은 여과 간극 (실시 예에서는 1㎜)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성능을 가지면서도 제작상의 곤란으로 활성화되지 못한 웨지 바 형식의 미세 협잡물 여과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 그 발명의 효과가 크다 할 것이다. Compar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dge bar 1 has a cross section of the wedge bar 1, as sh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filter drum 10 is formed by inserting it into the groove 11a of the bar fixing frame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edge bar 1 can be easily fixed at precise intervals without any welding work, so that the desired narrow Since the filtration gap (1 mm in the embodiment) can be easily formed,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easily fabricating a wedge bar type fine contaminant filter having excellent performance but not being activated due to manufacturing difficulties. Would be great.
미세 협잡물 처리기로서 웨지 바 여과기가 활성화되지 못한 또 다른 이유를 살펴보면 미세 협잡물 처리기는, 단면적이 작은 웨지 바 즉 굵기가 가는 웨지 바를 사용하게 되므로 (실시 예에서는 3.6㎜의 폭) 굵은 바를 사용하는 중, 대형 협잡물 처리기에 비하여 사용 중 웨지 바가 휘어질 가능성이 아무래도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주로 단단한 고형물이 바와 바 사이의 틈새에 끼어 바를 휘어지게 하고 틈새를 벌려 여과 성능을 저하시키는 한 원인이 되는 것으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경우 웨지 바가 용접구조로 되어 있다면 현장에서의 수리가 불가하므로 여과 드럼을 따로 분해하여 제작공장으로 운반하여 수리하거나 여과 드럼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큰 불편이 따른다. 이와 같이 작은 한 부분의 문제로 하여 여과 드럼 전체를 움직여야하는 비능률과 비경제성의 문제가 활성화를 막는 또 다른 하나의 이유라 할 것이다. Another reason why the wedge bar filter was not activated as the fine confinement processor is that the fine confinement processor uses a wedge bar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that is, a wedge bar having a small thickness (3.6 mm width in the embodiment). The wedge bar is more likely to bend during use than a large contaminant handler. This is mainly caused by hard solids being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bars and bars to deflect the bar and widen the gap to reduce the filtration performance. If this occurs, the wedge bar is welded and cannot be repaired in the field. It is a big inconvenience to disassemble and transport it to the manufacturing factory for repair or to replace the whole filtration drum. The problem of inefficiency and inefficiency of moving the entire filtration drum in such a small part is another reason to prevent activation.
본 발명은 이러한 사용상의 문제까지 함께 해결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웨지 바를 교체할 수 있게 한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는바 이와 관련한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a technical means that can be easily replaced with the wedge bar in the field to solve this problem in use as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effect of the invention in this regard.
유입축관(2a)과 일체화되어 있는 유입측 측판을 유입측 원판(2aa)과 외륜판(2ab)으로 나누어 일정 거리를 두고 동심원상에서 분리되게 하고 이 거리 공간에 웨지 바(1)의 선단이 오도록 하여 이 둘(2aa, 2ab)을 별도의 연결 플랜지(2ac)를 개재시켜 볼트(2acc)로 결합하되 이 연결 플랜지(2ac)를 다수 개 (도면에서는 4개)로 분할하여 조립하는 구성으로 함은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The inlet side plate integrated with the inlet shaft tube 2a is divided into the inlet side plate 2aa and the outer ring plate 2ab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concentric circles at a certain distance so that the tip of the wedge bar 1 comes in this distance space. The two (2aa, 2ab) is coupled to the bolt (2acc) via a separate connection flange (2ac), but the connection flange (2ac) is divided into a plurality (4 in the figure) as a configuration to assemble the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configuration.
이러한 구성으로 된 분할된 연결 플랜지(2ac) 방법의 작동을 보면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장치의 사용 중 휘어지거나 손상된 웨지 바(1)가 발견되면 그 웨지 바(1)가 상부에 오도록 여과 드럼(10)을 고정하고 여과 드럼(10) 정면의 덮개(9) 상부에 있는 수리 점검문(9b)을 열고 손상된 웨지 바(1)가 있는 위치의 연결 플랜지 조립 볼트(2acc)를 풀어 분할된 연결 플랜지(2ac) 하나를 분리해 낸다. 그러면 웨지 바(1)의 선단부 단면들이 노출되기 때문에 문제가 된 웨지 바(1)를 찾아 그 끝을 집게 공구로 집어 빼내고 새것으로 교체하여 끼운 다음 역순으로 재조립하면 현장에서의 웨지 바(1) 수선작업을 쉽게 해낼 수 있다. 따라서 용접으로 된 웨지 바에서는 불가능한 현장 수선작업이 본 발명에서는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The operation of the split connection flange (2ac) method of this configuration shows that, as mentioned above, if a wedge bar (1) is bent or damaged during use of the device, the wedge bar (1) is placed on top of the filter drum (10). ), Open the repair door (9b) on the top of the cover (9) on the front of the filtration drum (10), loosen the connecting flange assembly bolt (2acc) in the position with the damaged wedge bar (1), and split the connecting flange ( 2ac) Remove one. The tip sections of the wedge bar (1) are then exposed, so locate the problematic wedge bar (1), pull out the tip with the tongs tool, replace it with a new one, insert it in the reverse order, and reassemble it in the reverse order. Repair work can be done easily. Therefore, the field repair work which is impossible in the wedge bar made by welding shows the effect which is easy in this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효과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분뇨, 하수, 축산 폐수 등은 미세한 부유 물질과 점액질 성분이 많아 점성과 표면장력이 일반 물보다 크다. 따라서 이를 여과할 경우 협잡물이 여과 면에 부착되는 도포(塗布)효과가 나타나며 특히 여과목이 작아야 하는 미세 협잡물 처리기는 도포효과로 인한 눈 막힘 현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눈 막힘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웨지 바 여과기를 활용하였는바 그 여과 효율과 성능은 위의 실시 예에서 본 것과 같이 매우 월등하여 1㎜ 크기의 협잡물을 100㎥/hr.의 용적 속도 (분뇨 수거차량 두 대를 동시 투입하여 처리할 수 있는 속도)로 처리 할 수 있는 기능을 확인할 수 있지만 반면 이 웨지 바 여과기는 그 제작에 있어 수 천개소의 어려운 용접 작업을 요하기 때문에 실용화하기 어려운 난제를 안고 있는 바, 이에 본 발명은 특수한 형상의 웨지 바(1)를 활용하여 용접 작업 없이 웨지 바(1)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구성 하므로 써 제작의 난제를 해결한 효과를 발휘하게 하였으며 여기에 더하여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웨지 바(1)의 변형 및 손상 문제를, 분할된 연결 플랜지(2ac)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즉각 교체하여 처리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써 사용상의 불편을 해결한 실용적 효과도 함께 발휘하고 있다 하겠다. In summary,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manure, sewage, livestock wastewater, and the like, which have a lot of fine suspended matter and mucous components, which have a higher viscosity and surface tension than ordinary water. Therefore, when the filter is applied, the coating effect of the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filtration surface appears, and in particular, the fine contaminant treatment device that needs to have a small filter tree has more severe clogging due to the coating effect.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wedge bar filter as a means of overcoming the clogging phenomenon, and its filtration efficiency and performance are very excellent as seen in the above embodiment, so that a 1 mm sized contaminant of 100 m 3 / hr. You can see the ability to handle at volumetric speeds (the speed at which two manure collection vehicles can be handled simultaneously) while the wedge bar filters require thousands of difficult welding operations to make them practical.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icult difficulty to do so, by using the wedge bar (1) of a special shap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asily assemble the wedge bar (1) without welding work to exhibit the effect of solving the difficulty of manufacturing In addition, the deformation and damage of the wedge bar (1) that may occur during use can be immediately replaced on-site using the split connection flange (2ac). Written so it configured such that it can process and will also exert with practical effect of resolving the inconvenience in use.
이상과 같이 분뇨, 하수, 축산 폐수 등의 미세 협잡물 처리기로서 매우 적절한 장치임에도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웨지 바 여과기를 적절한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여 그 제작상의 곤란과 사용상의 불편을 동시에 해결 하므로 써 이의 활용화를 가능하게 하여 실용성과 경제성을 확보하게 한 본 발명은, 축산 폐수의 처리와 분뇨의 하수 연계 처리에 도움을 주며 또한 폐기액 고도 처리의 근간이 되는 미세 협잡물 처리공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본 발명이 수처리에 이바지하는 효과는 적지 않을 것으로 본다. As mentioned above, the wedge bar filter, which is not a very suitable device for manure, sewage, livestock wastewater, etc., can not be activated, but by adopting appropriate technical means to solve the manufacturing difficulties and inconveniences of use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kes it possible to secure practica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helps the treatment of livestock wastewater and sewage-linked treatment of manure, and also assists in the treatment of fine contaminants that are the basis of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The effect to contribute is not expected to be small.
도1은 본 발명의 측면도 1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정면도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웨지 바 여과 드럼의 종단면도 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wedge bar filtration drum.
도4는 웨지 바 여과 드럼의 정면도 4 is a front view of the wedge bar filtration drum.
도5는 "A"부분 (바 고정 테의 조립 관계) 상세도 Fig. 5 is a detail view of the "A" part (assembly relationship of the bar fixing frame)
도6은 "B"부분 (연결 플랜지의 조립 관계) 상세도 Fig. 6 is a detail view of the portion “B” (assembly of the connecting flanges).
도7은 통상적인 웨지 바의 종단면 확대도 Figure 7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 of a conventional wedge bar.
도8은 본 발명의 웨지 바의 종단면 확대도 Figure 8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 of the wedge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바 고정 테와 웨지 바의 일부 결합 상태도 9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bar fixing frame and wedge bar combined
도10은 "도4"에서 연결 플랜지 한 개를 분해한 상태의 여과 드럼의 정면도 Fig. 10 is a front view of the filtration drum with one connecting flange disassembled in Fig. 4;
도11은 "C" 부분 (웨지 바 선단의 노출 상태) 상세도 11 is a detail view of the "C" part (exposed state of the wedge bar tip)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웨지 바 1a : 웨지 바 꼭지 1b : 웨지 바 밑면1: Wedge Bar 1a: Wedge Bar Faucet 1b: Wedge Bar Bottom
1c : 통상적 웨지 바 2 : 드럼 축 2a : 유입축관 2aa :유입측 원판 2aaa : 유입측 원판의 돌출부 경계 2ab : 외륜판 1c: Normal wedge bar 2: Drum shaft 2a: Inlet shaft tube 2aa: Inlet disk 2aaa: Protrusion boundary of inlet disk 2ab: Outer ring plate
2aba : 외륜판의 돌출부 경계 2ac : 연결 플랜지 2aba: boundary of the protrusion of the outer ring plate 2ac: connection flange
2aca : 연결 플랜지 요입홈 내측 경계 2acb : 연결 플랜지 요입홈 외측 경계 2acc : 연결 플랜지 조립 볼트 2b : 확대축관 2c : 확대축관의 구멍 2aca: Connecting flange recessed groove inner boundary 2acb: Connecting flange recessed groove outer boundary 2acc: Connecting flange assembling bolt 2b: Expansion shaft pipe 2c: Hole of the expansion shaft pipe
2d : 실축 2e : 베어링 2f : 스프로켓 2g : 배출측 측판 3 : 원통 2d: solid shaft 2e: bearing 2f: sprocket 2g: discharge side side plate 3: cylinder
3a : 원통의 구멍 4 : 스크류 프레스 5 :세척수 펌프 5a : 세척 노즐 5b : 세척 노즐 관 5c : 세척수 배관 5d : 세척수 밸브 6 : 프레임 3a: cylinder hole 4: screw press 5: washing water pump 5a: washing nozzle 5b: washing nozzle pipe 5c: washing water piping 5d: washing water valve 6: frame
7 : 드럼 전동기 (기어드 모터) 7a : 롤러 체인 8 : 투입 펌프 7: drum motor (geared motor) 7a: roller chain 8: dosing pump
8a : 로타리 조인트 8b : 플렉시블 관 8c : 투입 배관 8d : 투입 밸브8a: Rotary Joint 8b: Flexible Pipe 8c: Inlet Pipe 8d: Inlet Valve
9 : 덮개 9a : 상부 수리 점검문 9b : 정면 수리 점검문 9c : 호퍼9: Cover 9a: Top Repair Check 9b: Front Repair Check 9c: Hopper
9d : 배출 배관 10 : 웨지 바 여과 드럼 11 : 바 고정 테 9d: exhaust piping 10: wedge bar filtration drum 11: bar fixing frame
11a : 바 고정 테 홈 11b : 바 고정 테 구멍 12 : 보강 봉 11a: bar fixing frame groove 11b: bar fixing frame hole 12: reinforcing rod
12a : 보강 봉 체결 나사 13 : 스페이서12a: reinforcing rod fastening screw 13: spacer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8645A KR100537561B1 (en) | 2004-06-26 | 2004-06-26 | Disposal machine of fine impurities in waste 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8645A KR100537561B1 (en) | 2004-06-26 | 2004-06-26 | Disposal machine of fine impurities in waste wate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8147U Division KR200362856Y1 (en) | 2004-06-26 | 2004-06-26 | Disposal machine of fine impurities in waste wa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65197A KR20040065197A (en) | 2004-07-21 |
KR100537561B1 true KR100537561B1 (en) | 2005-12-19 |
Family
ID=37355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48645A Expired - Lifetime KR100537561B1 (en) | 2004-06-26 | 2004-06-26 | Disposal machine of fine impurities in waste w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3756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8124Y1 (en) * | 2007-12-26 | 2010-03-18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Screw press for dehydration of contaminants containing fats and oils |
KR101726218B1 (en) | 2015-09-14 | 2017-04-12 | 곽영미 | Bag with holding function for sunglasses |
CN108854249A (en) * | 2018-05-25 | 2018-11-23 | 张琛 | A kind of sewage treatment equipment for separating liquid from solid |
KR102082719B1 (en) * | 2019-11-01 | 2020-05-26 | 성도메카텍(주) | Waste disposal machine |
KR102099888B1 (en) * | 2019-11-01 | 2020-04-10 | 성도메카텍(주) | Apparatus by screw press |
KR102331030B1 (en) * | 2020-02-27 | 2021-11-25 | 원진기계 주식회사 | Centrifugal dehydrator with built-in mixture using centrifugal force |
-
2004
- 2004-06-26 KR KR10-2004-0048645A patent/KR10053756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65197A (en) | 2004-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7906C (en) | Reverse washing filter | |
EP1433511B1 (en) | Filter device | |
KR0121732B1 (en) | Solid-liquid separator | |
AU2014275092B8 (en) | Continuous belt screen | |
LT6730B (en) | Dispersion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 |
KR100537561B1 (en) | Disposal machine of fine impurities in waste water | |
CN106345165A (en) | Front-mounted anti-blocking filter box for treating chemical wastewater | |
CN114405151A (en) | Gravity rotary type sewage treatment device and sewage treatment method | |
KR200362856Y1 (en) | Disposal machine of fine impurities in waste water | |
CN113648713A (en) | Sewage treatment device for domestic sewage discharge | |
CN202289582U (en) | Peripheral driven sludge scraping and sucking machine for radial flow type secondary sedimentation tank | |
CN2066770U (en) | Nylon revolving screen for sewage treatment | |
CN111392832A (en) | Ash-water separating device | |
CN208260277U (en) | A kind of filter press for modified molecular screen | |
CN2721194Y (en) | Dynamic filter | |
KR100543079B1 (en) | Pretreatment method of manure, sewage, livestock wastewater | |
KR102478626B1 (en) | Rotary screen using speed difference of rotating scraper | |
KR100372502B1 (en) | Screw type dehydration apparatus | |
CN117699997B (en) | River water body treatment equipment | |
CN210238743U (en) | Integrated prefabricated pump station solid separation device | |
CN221372432U (en) | Micro-power back flushing device | |
CN222358085U (en) | A grille tube structure | |
CN215946912U (en) | Oil exploitation device with oil-water separation function | |
KR100245774B1 (en) | Filter and filtering method | |
RU185044U1 (en) | Fil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507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1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3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24122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