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217B1 - Distribution control system of separating failure of sections from distribution li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 Google Patents
Distribution control system of separating failure of sections from distribution li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37217B1 KR100537217B1 KR1020050088520A KR20050088520A KR100537217B1 KR 100537217 B1 KR100537217 B1 KR 100537217B1 KR 1020050088520 A KR1020050088520 A KR 1020050088520A KR 20050088520 A KR20050088520 A KR 20050088520A KR 100537217 B1 KR100537217 B1 KR 1005372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loser
- fault current
- switch
- distribution line
- break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02H7/261—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stations
- H02H7/262—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stations involving transmissions of switching or blocking ord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8—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involving the use of Internet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원격 감시 제어장치 및 차단기로 구성된 배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에 고장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배전선로에 위치한 차단기, 리클로저(Recloser), 및 개폐기가 각각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고장전류에 대한 감지정보를 송수신해야 하는 각 장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시스템 형상 테이블을 상기 원격 감시 제어장치가 유지하고, 상기 차단기, 리클로저(Recloser), 및 개폐기는 상기 원격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시스템 형상 테이블을 전송 받아 이를 참조하여 고장전류 감지정보를 각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배전선로의 고장전류 발생에 대응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배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control system consisting of a remote monitoring control device and a circuit breaker for controlling the flow of current in a distribution lin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fault current occurs in the distribution line, the breaker, recloser located in the distribution line (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ler maintains a system shape table in which information about each device that must transmit and receive the detection information for the fault current is recorded by the remote control and the switch, and the breaker and the recloser are maintained. ), And the switchgear receives the system configuration table from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and transmits fault current detection information to each device by referring to the system shape table, thereby more efficiently coping with occurrence of fault current in the distribution line. It is abou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원격 감시 제어장치 및 차단기로 구성된 배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에 고장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배전선로에 위치한 차단기, 리클로저(Recloser), 및 개폐기가 각각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고장전류에 대한 감지정보를 송수신해야 하는 각 장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시스템 형상 테이블을 상기 원격 감시 제어장치가 유지하고, 상기 차단기, 리클로저(Recloser), 및 개폐기는 상기 원격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시스템 형상 테이블을 전송 받아 이를 참조하여 고장전류 감지정보를 각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배전선로의 고장전류 발생에 대응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배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control system consisting of a remote monitoring control device and a circuit breaker for controlling the flow of current in a distribution lin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fault current occurs in the distribution line, the breaker, recloser located in the distribution line (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ler maintains a system shape table in which information about each device that must transmit and receive the detection information for the fault current is recorded by the remote control and the switch, and the breaker and the recloser are maintained. ), And the switchgear receives the system configuration table from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and transmits fault current detection information to each device by referring to the system shape table, thereby more efficiently coping with occurrence of fault current in the distribution line. It is about.
변전소로부터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선로는 송전선로와는 달리 수많은 수용가에 각각 전력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복잡한 간선 및 지선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배전선로 상에 지락(전선이 끊어져 땅에 붙어 접지되는 경우) 또는 단락(서로 다른 상(Phase)의 전선들이 붙는 경우) 사고가 발생하여 고장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한 고장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기가 무척 난해한 편이다. Unlike power transmission lines, power distribution lines that supply power from substations are composed of complex trunks and branch lines, because each has to supply power to numerous customers. Therefore, when a fault current occurs due to a ground fault (when the wire is broken and grounded) or a short circuit (when the wires of different phases are stuck) on the power distribution line, a fault current is generated. It is very difficult to pinpoint the location of the fault that caused the accident.
종래에는 배전선로에 고장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고장 전류가 발생한 고장점을 찾기 위하여 변전소 차단장치를 동작시켜 가면서 현장의 조작자와 변전소 관리자가 주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사고 지점에 관한 정보를 서로 교환함으로써 고장점을 찾는 것이 보편화된 방법이었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며 복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전 시간이 길어져, 소비자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Conventionally, when a fault current occurs in a distribution line, a substation breaker operates to find a fault point where a fault current has occurred, and the operator and the substation manager in the field mainly exchange information about the accident point using communication means. Finding faults has been a common practice. However, in the above case, a lot of time and manpower is consumed, and as the recovery time is long, the power failure time is long, which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s to consumers.
이에 따라, 배전선로에 차단기, 리클로저, 및 개폐기를 설치하고, 상기 배전선로로부터 고장전류가 감지되는 경우, 리클로저가 선로 재폐로(Reclose) 동작을 수행하여 자신이 고장점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한 리클로저라고 판단되면, 상기 배전선로를 자신이 개방(Open)함으로써 상기 고장전류 발생에 대응하고 있다.Accordingly, when a breaker, a recloser, and a switchgear are installed in a distribution line and a fault current is detected from the distribution line, the recloser performs a line reclose operation so that the recloser is located closest to the point of failure.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 recloser, the distribution line itself is opened to cope with the occurrence of the fault curr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 리클로저, 및 개폐기가 배전선로에 설치된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in which a circuit breaker, a recloser, and a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are installed in a distribution lin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전소(110)로부터 수용가(15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전선로에는 차단기(120), 리클로저(130), 및 개폐기(140)가 설치될 수 있다. 차단기 컨트롤러(121)는 차단기(120)의 동작을 제어하고, 리클로저 컨트롤러(131)는 리클로저(130)의 동작을 제어하며, 개폐기 컨트롤러(141)는 개폐기(140)의 동작을 제어한다.As shown in FIG. 1, a circuit breaker 120, a recloser 130, and a switch 140 may be installed in a distribution line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substation 110 to the customer 150. The breaker controller 12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reaker 120, the recloser controller 13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closer 130, and the switch controller 14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40.
도 1에서, 변전소(110)로부터 유입되는 배전선로의 처음 부분에는 차단기(120)가 위치할 수 있다. 차단기(120)가 배전선로를 개방하면, 도 1에 도시된 변전소(110)로부터 수용가(150)로 연결되는 모든 배전선로 구간에는 전력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In FIG. 1, a breaker 120 may be located at an initial portion of a distribution line flowing from a substation 110. When the breaker 120 opens the distribution line, the power supply may be stopped in all distribution line sections connected to the customer 150 from the substation 110 shown in FIG. 1.
상기 배전선로에서 차단기(120) 이후의 간선 구간에는 일반적으로 리클로저(13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간선 구간과 수용가(150)를 연결하는 상기 배전선로의 지선구간에는 개폐기(140)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기(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개폐기 컨트롤러(141)는 리클로저 컨트롤러(131)와 같이 선로 재폐로 동작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매커니즘이 탑재되어 있지 않고, 소정의 호스트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따라 선로의 개방 또는 폐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closer 130 may be generally located in the trunk line after the breaker 120 in the distribution line. Switchgear 140 may be installed in the branch line section of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ng the trunk line section and the customer 150. The switch controller 141,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40, is not equipped with a mechanism capable of performing a line reclosing operation by itself like the reclose controller 131, and receives a command from a predetermined host accordingly. Opening or closing of tracks can be performed.
도 1에서, 상기 배전선로의 수용가(150)와 근접한 구간에서 사고가 발생하여 고장전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차단기(120), 리클로저(130), 및 개폐기(140)는 각각 고장전류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차단기(120)와 리클로저(130)는 상기 고장전류가 감지되면, 스스로 배전선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장전류에 대해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FIG. 1, when an accident occurs in a section close to the customer 150 of the distribution line and a fault current occurs, the breaker 120, the recloser 130, and the switch 140 may detect the fault current, respectively. do. In this case, when the breaker 120 and the recloser 130 are sensed, the breaker 120 and the recloser 130 are programmed to block the distribution line by themselves, so that the breaker 120 and the recloser 130 may perform an appropriate operation on the fault current.
이 때, 차단기(120)는 리클로저(130)와 달리 선로의 재폐로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상기 고장전류가 감지되면 한번에 영구적으로 선로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고장전류는 수용가(150)와 근접한 위치에서 발생하였으나, 차단기(120)의 상기 선로 개방으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배전선로 전체 구간에 정전사태가 발생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breaker 120 does not perform the re-closing operation of the line unlike the recloser 130, when the fault current is sensed, the breaker 120 permanently opens the line at once. Therefore, the fault current is generat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customer 150, but due to the opening of the line of the breaker 120, a power failure occurs in the entire section of the distribution line shown in FIG.
이와 같이, 배전선로에 위치한 차단기(120), 리클로저(130), 및 개폐기(140)가 고장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각자의 동작만을 수행하여 선로를 개방시키므로, 고장점과 멀리 위치한 구간에서도 정전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As such, when the breaker 120, the recloser 130, and the switch 140 located in the power distribution line generate a fault current, only the respective operation is performed to open the line. This problem is steadily occurring.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따라, 배전선로에 위치한 차단기, 리클로저, 및 개폐기가 고장전류 발생에 대응하여 서로 정보를 주고 받아 선로의 정전구간을 최소화 하고, 상기 차단기, 리클로저, 및 개폐기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한 시스템 체계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지정할 수 있는 배전 제어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circuit breaker, recloser, and switchgear located in the distribution lin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the fault current to minimize the power failure section of the line, the breaker, the recloser, and the switch There is a demand for development of a distribution control system capable of comprehensively managing and designating a system system for operation and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전선로에 위치하는 차단기, 리클로저, 및 개폐기에 통신 모듈을 각각 탑재하여, 고장전류 발생시 서로 상기 고장전류에 대한 감지정보를 송수신하게 함으로써, 배전선로의 정전구간을 최소화하고 건전구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each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in the circuit breaker, recloser, and switchgear located in the distribution line, to transmit and receive the detection information on the fault current with each other when a fault current occurs By doing so,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tribution control system that minimizes an outage section of a distribution line and ensures a healthy section.
또한, 본 발명은 차단기, 리클로저, 및 개폐기 각각에 고장전류의 발생시 자신이 상기 고장전류에 대한 감지정보를 송수신하여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해야 할 대상(차단기, 리클로저, 또는 개폐기)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시스템 형상 테이블을 유지하고 이를 각 장치로 제공하는 원격 감시 제어장치를 통해 광범위한 배전선로에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차단기, 리클로저, 및 개폐기를 종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고장전류 발생에 대응하여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배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the object (breaker, recloser, or switchgear) to maintain a close cooperative relationship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on the fault current when each of the breaker, recloser, and switchgear occurs a fault current By maintaining the system shape table recorded with the system and providing it to each device, comprehensively managing breakers, reclosers, and switchgear that are complicated in a wide range of distribution lines through a remote monitoring control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distribution control system that can cope with promptly and efficiently.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배전선로 구간에 위치한 차단기, 하나 이상의 리클로저(Recloser) 및 개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전류 발생시, 상기 차단기와 고장전류 감지정보를 송수신하는 리클로저 정보 및 상기 각 리클로저와 고장전류 감지정보를 송수신하는 각 개폐기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형상 테이블이 기록된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는 원격 감시 제어장치; 및 상기 원격 감시 제어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리클로저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시스템 형상 테이블을 전송 받아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기록하며, 상기 배전선로로부터 고장전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 형상 테이블을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리클로저로 상기 고장전류의 감지 여부에 대한 감지정보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리클로저로부터 상기 고장전류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배전선로의 폐로(Close)를 유지하는 차단기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감시 제어장치는 상기 시스템 형상 테이블을 상기 차단기, 상기 하나 이상의 리클로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개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distribu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breaker, at least one recloser (recloser) and the switch located in the distribution line section, Remote monitoring control including memory means in which a system shape table including recloser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ault current detection information to and from the breaker and each switch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ault current detection information to and from each breaker is recorded. Devi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remote supervisory control device and the one or more reclosers, receiving the system shape table from the remote supervisory control device, recording the system shape table in a predetermined memory means, and detecting a fault current from the distribution line. Requesting transmission of detec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fault current is detected to at least one recloser with reference to a system shape table, and closing the distribution line when receiving the fault current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at least one recloser. And a circuit breaker to maintain the system, wherein the remote supervisory control device transmits the system shape table to the circuit breaker, the one or more reclosers, and the one or more switches.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주로 언급되는 배전선로에 설치될 수 있는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기본 동작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basic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line mainly mentioned herein will be described.
차단기(Circuit Breaker, CB)는 배전선로로부터 매우 큰 크기의 고장 전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전선로를 개방(Open) 또는 폐로(Close)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정상 전류가 흐르는 평소의 경우에도 상기 배전선로를 개방 또는 폐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차단기는 상기 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단기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한다.The circuit breaker (CB) may open or close the distribution line when a very large fault current is detected from the distribution line.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line may be opened or closed as needed, even in the case where the normal current flows normally. Breaker referred to herein mean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break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reaker.
개폐기(Load Break Switch, LBS)는 차단기와는 달리, 전류가 흐르지 않거나 정상 전류가 흐를 경우에만 선로 개폐가 가능하고, 고장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스스로 선로 개폐를 할 수 없는 장치를 의미한다. 개폐기에는 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개폐기 컨트롤러라는 일종의 제어부가 설치될 수 있다. 즉, 개폐기 컨트롤러는 개폐기의 기계 장치부와 연결되어 개폐기의 선로 개폐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단, 개폐기 컨트롤러는 개폐기를 통한 선로 개폐를 스스로 판단하여 매커니즘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고, 통신 기능을 통해 호스트(주제어장치)로부터 명령을 받아서 메커니즘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개폐기는 상기 개폐기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한다.Unlike breakers, Load Break Switch (LBS) means a device that can open and close a line only when no current flows or a normal current flows, and cannot open and close a line by itself when a fault current occurs. The switch may be provided with a kind of control unit called a switch controller which performs the operation control. That is, the switch controller is a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mechanical unit of the switch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ne of the switch. However, the switch controller does not control the mechanism by judg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ne through the switch, and can control the mechanism by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host (main contro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function. The switch referred to herein means a configuration including the switch controller.
리클로저(Recloser)는 선로의 재폐로를 수행하는 특수한 형태의 차단기이다. 배전선로로부터 고장 전류가 감지되고 일정 범위 이상 지속되면 리클로저는 선로를 개방하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선로를 다시 폐로한다. 선로 폐로 후에도 고장 전류가 계속 감지되면, 리클로저는 상기와 같은 선로의 재폐로 과정을 미리 설정된 회수만큼 반복하고, 그 후에도 고장 전류가 지속되면 선로를 완전히 개방시키고 더 이상 재폐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리클로저는 상기 리클로저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클로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한다.Recloser is a special type of breaker that recloses the track. If a fault current is detected from the power distribution line and continues for a certain range, the recloser opens the line and closes the line again after a predetermined time. If the fault current is still detected after the line is closed, the recloser repeats the above line reclose process by a preset number of times, and after that, if the fault current continues, the line is completely opened and no further reclose operation is performed. . Recloser referred to herein refers to a configuration including a recloser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clos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배전선로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배전 제어 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tire network configuration of a distributio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current flow in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변전소(210)로부터 수용가(270)까지의 배전선로 구간에는 차단기(230), 리클로저(240), 및 개폐기(250)가 설치될 수 있다. 리클로저(240) 및 개폐기(250)는 배전선로의 전주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it breaker 230, a recloser 240, and a switch 250 are installed in a distribution line section from the substation 210 to the customer 270. Can be. The recloser 240 and the switch 250 may be installed on the electric pole of the distribution line, respectively.
차단기(230)는 차단기 컨트롤러(2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리클로저(240)는 리클로저 컨트롤러(2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개폐기(250)는 개폐기 컨트롤러(251)를 포함하여 각각 구성될 수 있다.The breaker 2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breaker controller 231, the recloser 2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recloser controller 241, and the switch 250 may include the switch controller 251. Can be configured respectively.
차단기 컨트롤러(231), 리클로저 컨트롤러(241), 및 개폐기 컨트롤러 (251)는 각각 소정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차단기(230), 리클로저(240), 및 개폐기(250)는 서로 통신을 수행하여 고장전류 감지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통신망(260)을 통해 원격 감시 제어장치(220)과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The breaker controller 231, the recloser controller 241, and the switch controller 251 may each include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breaker 230, the recloser 240, and the switch 25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transmit and receive fault current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ler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60. And network connection.
상기 통신 모듈은 유선 전화 또는 광통신망 접속을 위한 소정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TRS(Trunked Radio System), CDMA, Air Media 등의 무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은 시리얼, 범용 직렬 버스(USB), 적외선(IR) 통신부, 블루투스 통신부, 또는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는 공중 교환 전화망(PSTN) 접속은 물론, 코드분할다중화접속방식(CDMA), WCDMA, ALL IP, GSM, GPRS 접속 방식, 및 현존하는 모든 이동통신 관련 접속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고, H.323, MGCP(Message Gateway Control Protocol),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또는 Megaco 등의 VoIP 호 연결을 위한 호 제어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predetermined wired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nnecting a wired telephone or a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include an interfa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Trunked Radio System (TRS), CDMA, and Air Media.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rial, a universal serial bus (USB), an infrared (IR) communication unit,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and 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The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may support PSTN connection, as well as one or more of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CDMA, ALL IP, GSM, GPRS, and all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related access methods. It may be implemented to support one or more protocols of a call control protocol for VoIP call connection such as H.323, Message Gateway Control Protocol (MGC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or Megaco.
통신망(260)은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망으로는 전화선 및 광통신망이 사용될 수 있고, 무선 통신망으로는 TRS(Trunked Radio System), CDMA, Air Media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망(260)으로 광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260 may include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a telephone line and a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used as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nd a trunked radio system (TRS), CDMA, or Air Media may be used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260.
상기 통신모듈을 통한 원격 감시 제어장치(220), 차단기(230), 리클로저(240), 및 개폐기(250) 간의 통신에 있어, 멀티캐스팅(Multicasting)이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 프로토콜로는 국제 표준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도 있고, 각 배전 자동화 전용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도 있다.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ler 220, the breaker 230, the recloser 240, and the switch 25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 communication protocol capable of multicasting may be used. As the communication protocol, an international standard protocol may be used, or a dedicated distribution automation protocol may be used.
상기 국제 표준 프로토콜로는 IEC 61850(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in Substation)라는 변전소 및 배전 관련 시스템에 적용되는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protocol, a communication network protocol applied to a substation and a distribution system related to IEC 61850 (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in Substation) may be used.
또한, 배전 자동화 전용 프로토콜로는 DNP(Distribution Network Protocol) 3.0이 사용될 수 있다. DNP 3.0 프로토콜은 전력회사, 오일, 가스, 수자원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중앙 집중형 원격감시장치인 SCADA시스템에서 RTU-중앙제어장치간 호완성 보장을 위하여 개발된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이다. 특히, 이 프로토콜은 특성상 안정성이 뛰어나고, 저급의 통신환경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어서 기존의 방식에 비해 SCADA환경에 잘 적용될 수 있으며, Open Standard 지향하기 때문에 특정 회사에 소속된 고유의 프로토콜이 아닌 공개된 프로토콜로서 모든 권한은 사용자 그룹이 소유할 수 있다. IEEE에서는 RTU - IED간 메시지교환의 표준으로 추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한전, 가스공사 등 관련기업에서 도입하였거나 준비 중이며 전세계적으로 각국에서 많은 Vendor들의 산업표준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어 본 발명에서도 바람직한 통신 프로토콜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DNP (Distribution Network Protocol) 3.0 may be used as a distribution automation dedicated protocol. The DNP 3.0 protocol is a standardized communication protocol developed to ensure compatibility between RTU-central controllers in the SCADA system, which is a centralized remote monitoring device used in the fields of power company, oil, gas and water resources. In particular, this protocol is excellent in stability and shows excellent performance in low-level communication environment, so it can be applied to SCADA environment better than the existing method, and because it is open standard, it is not a proprietary protocol belonging to a specific company. As a protocol, all privileges can be owned by user groups. IEEE recommends it as a standard for message exchange between RTU and IED, and it is introduced or prepared by related companies such as KEPCO and Gas Corporation in Korea, and it is becoming an industry standard of many vendors around the world. Can be used as
원격 감시 제어장치(220)는 배전선로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차단기(230), 리클로저(240), 및 개폐기(250)와 통신망(220)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원격 감시 제어장치(220)는 상기 배전선로와 원거리에 위치한 소정의 주제어장치(예를 들어, 한전 종합상황실의 서버)가 될 수도 있고, 변전소(210)에 위치하여 배전선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이 될 수도 있다.The remote monitoring controller 220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through one or more breakers 230, the reclosers 240, and the switch 25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220 positioned on the distribution line.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ler 220 may be a predetermined main control device (for example, a server of the KEPCO comprehensive situation room)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distribution line, and is located at the substation 210 to monitor and control the distribution line.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원격 감시 제어장치(220)는 배전선로의 고장전류 발생시, 차단기(230)가 통신을 수행해야 할 리클로저가 어떤 리클로저인지에 대한 정보, 리클로저(240)가 통신을 수행해야 할 차단기 및 개폐기가 어떤 차단기 및 개폐기인지에 대한 정보, 및 개폐기(250)가 통신을 수행해야 할 리클로저가 어떤 리클로저인지에 대한 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시스템 형상 테이블이 기록된 메모리 수단을 포함한다.When the fault current of the distribution line occurs,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ler 220 is information on which recloser the breaker 230 should communicate with, and the breaker and switchgear to which the recloser 240 should communicate. Is a memory means in which a system shape table is written, each of which contains information about which breaker and switchgear and which recloser the switchgear 250 should communicate with.
도 2에서는 하나의 변전소(210)와 하나의 수용가(270)를 연결하는 배전선로 구간에 1개의 차단기(230), 2개의 리클로저(240), 및 2개의 개폐기(250)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극단적인 일례일 뿐, 실제 배전선로 구간에는 수많은 차단기, 리클로저, 및 개폐기가 마치 그물망과 같이 얽힌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In FIG. 2, one breaker 230, two reclosers 240, and two switchgear 250 are installed in a distribution line section connecting one substation 210 and one customer 270. have. However, this is only an extreme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n actual distribution line sections, many breakers, reclosers, and switchgear are installed in a tangled form like a net.
따라서, 실제 배전선로에서 고장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차단기, 리클로저, 및 개폐기는 자신이 고장전류 감지정보를 송수신하여 선로 개방이나 폐로에 대한 제어를 받거나 행하여야 할 상대가 어떤 장치인지 스스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 fault current occurs in an actual distribution line, the breaker, the recloser, and the switchgear can easily identify themselves as a device to which the fault current det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 received to control or open the line or close the line. Can be.
상기 시스템 형상 테이블은 상기와 같이 배전선로에 그물망같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배전 관련장치들의 보고 체계를 규정한 일종의 지침서와 같은 데이터이다. 상기 시스템 형상 테이블은 당업자의 사전 조사 및 연구에 의하여, 각 배전선로 구간에 위치한 각각의 차단기, 리클로저, 및 개폐기가 고장전류 발생에 대응하여 어떠한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선로의 개폐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ystem shape table is data as a kind of guideline that defines a reporting system of power distribution related devices, which are complicatedly configured as a network on a power distribution line 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shape table may be connected to any circuit breaker, recloser, and switchgear located in each distribution line section to communicate with any device in response to occurrence of a fault current, according to prior investigation and research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t may include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whether.
또한, 상기 시스템 형상 테이블은 원격 감시 제어장치(220)가 차단기(230), 리클로저(240), 및 개폐기(25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매개변수나 각종 제어모드 설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시스템 형상 테이블은 각 배전선로 구간에 대한 보고 체계를 규정한 조직 관리도와 유사하게 작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configuration table may include information on parameters or various control mode settings for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ler 220 to remotely control the breaker 230, the recloser 240, and the switch 250. have. As such, the system configuration table may be prepared similarly to an organization management chart that defines a reporting system for each distribution line section.
원격 감시 제어장치(220)는 통신망(260)을 통해 상기 배전선로에 위치하는 모든 차단기(230), 리클로저(240), 및 개폐기(250)로 상기 시스템 형상 테이블을 전송한다. 상기 배전선로에 위치한 모든 차단기(230), 리클로저(240), 및 개폐기(250)는 원격 감시 제어장치(220)로부터 상기 시스템 형상 테이블을 수신하여 각각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한다.The remote monitoring controller 220 transmits the system configuration table to all the breakers 230, the reclosers 240, and the switches 250 located in the distribution lin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60. All breakers 230, reclosers 240, and switches 250 located in the distribution line receive the system shape table from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ler 220 and store them in the respective memory means.
상기 배전선로로부터 고장전류가 감지되는 경우, 차단기(230)는 상기 시스템 형상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배전선로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리클로저(240) 중 상기 고장전류의 감지 여부에 대한 감지정보 전송을 요청할 리클로저를 판독한다. 차단기(230)는 상기 시스템 형상 테이블로부터 판독된 하나 이상의 리클로저로 상기 고장전류 감지정보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리클로저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고장전류 감지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When a fault current is detected from the distribution line, the breaker 230 may request transmission of sensing information regarding whether the fault current is detected among one or more reclosers 240 located in the distribution line with reference to the system shape table. Read the closure. The breaker 230 may request transmission of the fault current detection information to at least one recloser read from the system shape table, and receive fault current det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from the at least one recloser.
리클로저(240) 및 개폐기(250) 또한 차단기(230)의 상기 동작과 같이, 원격 감시 제어장치(220)로부터 수신한 시스템 형상 테이블을 참조하여 고장전류 발생시, 자신과 통신을 수행하여야 할 배전 관련장치를 식별하고, 그 식별된 장치와 고장전류 감지정보를 송수신하여 선로를 개방하거나 폐로를 유지할 수 있다.The recloser 240 and the switch 250 also refer to the system shape table received from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220 as 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the breaker 230. The device may be identified and the fault current detec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identified device to open the line or maintain the closure.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배전선로의 고장전류 발생시, 고장전류가 발생한 고장점을 분리하기 위한 차단기, 리클로저, 및 개폐기의 선로 개폐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the lin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the recloser, and the switch for separating the fault point at which the fault current occurs when the fault current occurs in the distribution lin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클로저의 선로 재폐로 동작에 따라 측정되는 전류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3 is a graph showing a current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line reclose operation of the reclo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배전선로로부터 고장전류가 감지되는 경우, 리클로저는 선로의 개방(Open)과 폐로(Close)를 반복하는 재폐로(Reclose)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general, when a fault current is detected from the distribution line, the recloser may perform a reclose operation of repe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ne.
도 3에서, 배전선로에 정상 전류가 흐르다가 1구간에서와 같이 고장 전류 임계값을 상회하는 고장 전류가 감지되면, 리클로저는 1구간에 할당된 시간이 경과한 후 선로를 개방시킨다. In FIG. 3, when a normal current flows in the distribution line and a fault current that exceeds the fault current threshold value is detected as in section 1, the recloser opens the line after the time allotted in section 1 has elapsed.
리클로저가 선로를 개방시키면 선로의 그 구간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2구간에서와 같이 전류값이 측정되지 않는다. 2구간의 시간이 경과한 후, 리클로저는 다시 선로를 폐로한다. 다시 선로를 폐로한 후에도 3구간에서와 같이 계속 고장 전류가 감지되면, 리클로저는 3구간의 시간이 흐른 뒤 다시 선로를 개방한다. When the recloser opens the track, no current flows in that section of the track, so current values are not measured as in section 2. After two hours have passed, the recloser closes the track again. If the fault current is still detected as in section 3 after the track is closed again, the recloser opens the track again after three sections have passed.
리클로저는 이와 같은 선로의 재폐로 과정을 일정 회수만큼 반복하는데(도 1에서는 7번), 계속적으로 고장 전류가 감지된다면 7구간의 시간이 흐른 뒤 선로를 개방시키면서 더 이상 선로의 재폐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8구간 이후의 상태를 락아웃(Lockout) 상태라 한다. The recloser repeats this re-closing process a certain number of times (7 times in Fig. 1) .If the fault current is detected continuously, the reclosing operation is no longer performed while the line is opened after 7 sections of time. Do not perform. The state after these eight sections is called a lockout state.
상기 고장 전류 임계값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한 값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구간, 3구간, 5구간, 및 7구간의 선로 폐로 구간에 대한 시간은 당업자에 의해 널리 사용되는 소정의 시간-전류 커브(Time-Current Curve) 그래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 상기 2구간, 4구간, 및 6구간의 선로 개방 구간에 대한 시간은 상기 1구간, 3구간, 5구간, 및 7구간의 시간에 대응하여 당업자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fault current threshold may be variously set to an appropriate value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time for the track closing section of the 1 section, 3 sections, 5 sections, and 7 sections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current curve graph widely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time for the line opening section of the second section, the fourth section, and the six section can be appropriately se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correspondence with the times of the first section, the third section, the five sections, and the seven sections.
리클로저는 상기와 같이 선로의 개방 및 폐로를 일정 회수만큼 반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고장 전류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뭇가지 등이 배전선로를 건드리는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고장 전류가 발생했다가 곧 다시 정상 전류로 회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인 차단기는 고장 전류를 감지하여 선로를 바로 개방시키므로 영구 정전이 발생한다. 하지만, 리클로저는 상기와 같이 일정 회수만큼의 선로 재폐로 동작, 즉, 선로의 개방 후 폐로를 통해 정상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고장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The recloser can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fault current more accurately by repe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ne as many time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a branch or the like touches a distribution line, a fault current may be generated temporarily and then may be restored to a normal current. In this case, a typical breaker senses a fault current and immediately opens the line, resulting in a permanent power outage. However, the recloser can detect the fault current more accurately by detecting the normal current through the reclose operation after a certain number of times, that is, the opening of the line as described abov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리클로저의 입력 전류에 따른 폐로 상태 유지 시간을 도시한 시간-전류 커브(Time-Current Curve) 그래프이다.FIG. 4 is a time-current curve graph illustrating a closed state holding time according to an input current of a reclo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1,3,5, 및, 7 구간과 같이 폐로 상태에서 경과하는 시간은 도 4의 시간-전류 커브 그래프(이하, T-C 커브)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T-C 커브는 현재 입력 전류의 크기에 따른 폐로 상태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Referring to FIG. 3, time elapsed in a closed state such as sections 1, 3, 5, and 7 may be set by the time-current curve graph (hereinafter, T-C curve) of FIG. 4. The T-C curve is a graph showing the closing state tim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input current.
상기 1,3,5, 및, 7의 폐로 구간이 유지되는 시간은 상기 T-C 커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각 구간의 폐로 유지 시간은 각기 다른 T-C 커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time periods for maintaining the decommissioning sections of 1, 3, 5, and 7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C curve, and the decommissioning retention time of each sec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different T-C curves.
도 4에서는 A,B,C,D 네 종류의 T-C 커브에 대한 그래프가 명시되어 있다. 각각의 그래프에서 X축은 고장전류 임계값 대비 측정된 전류값을 나타내고, Y축은 그에 따른 폐로 유지 시간을 나타낸다.In FIG. 4, graphs for four types of T-C curves are specified. In each graph, the X axis represents the measured current value against the fault current threshold value, and the Y axis represents the closing time accordingly.
도 4에 표시된 네 가지 T-C 커브를 보면 같은 크기의 고장 전류에 대해 도출되는 시간값이 모두 다를 수 있다. 즉, 고장전류 임계값에 비해 200%의 전류가 감지되면, A 커브의 경우에는 80ms의 시간이 적용되고, C 커브의 경우에는 3s의 시간이 적용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four T-C curves shown in FIG. 4, all of the time values derived for the fault current of the same magnitude may be different. That is, when a current of 200% is detected compared to the fault current threshold value, a time of 80 ms may be applied in the case of the A curve, and a time of 3 s may be applied in the case of the C curve.
즉, A 커브가 적용된 구간에서 리클로저는 고장 전류를 감지했을 때 보다 빠르게 동작할 수 있고, C 커브가 적용된 구간에서는 보다 느리게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T-C 커브들을 크게 fast curve와 delayed curve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A, B, C, D 커브에서 A 커브는 fast curve이고, B, C, D 커브는 delayed curve일 수 있다.That is, the recloser may operate faster than when the fault current is detected in the section where the A curve is applied, and may operate slower when the C curve is applied. Therefore, the T-C curv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ast curves and delayed curves. For example, in the A, B, C, D curve, the A curve is a fast curve, B, C, D curve may be a delayed curve.
도 3에서 1, 3, 5, 7의 네 구간에 각각 다른 T-C 커브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F2D(2fast curve 2delayed curve)의 형태로 설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1구간과 3구간에는 도 4의 A 커브와 같은 패스트 커브(fast curve)를 적용하고, 5구간 및 7구간에는 C 커브와 같은 딜레이 커브(delayed curve)를 적용할 수 있다. In FIG. 3, different T-C curves may be applied to four sections 1, 3, 5, and 7, respectively. For example, it can be set in the form of 2F2D (2fast curve 2delayed curve), in this case, a fast curve such as curve A of FIG. 4 is applied to section 1 and section 3, and section 5 and section 7 You can apply a delayed curve, such as the C curve.
상기와 같은 경우, 1구간과 3구간에는 fast curve를 적용하여 고장전류가 감지되면 빠른 재폐로를 수행하여 상기 고장전류가 나뭇가지가 스치는 등의 일시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간이 지난 후에도 고장 전류가 계속 감지되면, 상기 고장전류가 영구적인 원인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5구간과 7구간에서는 delayed curve를 적용하여 고장 전류가 계속 지속되는지를 보다 오랫동안 감지할 수 있다.In the case described above, if a fault current is detected by applying a fast curve to sections 1 and 3, fast reclosing may b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fault current is caused by a temporary cause such as tree branch rubbing. However, if the fault current is still detected after the interval, the delayed curve is applied in the 5th and 7th sections to determine whether the faulty current is caused by a permanent cause. Can be.
리클로저는 delayed curve가 적용되는 5구간에서 을 통해 개폐기와의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즉, 5구간에서 리클로저는 시스템 형상 테이블에 의해 규정된 자신이 관리하는 주변 개폐기들과 통신하여 어떤 개폐기가 고장점에 가장 근접한 개폐기인지 판단하고, 6구간(자신이 다시 선로를 개방한 구간)에서 고장점에 가장 근접한 개폐기가 배전선로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리클로저는 배전선로를 다시 폐로하여 7구간에서는 고장전류가 아닌 정상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The recloser can initiate communication with the switch through 5 sections where a delayed curve is applied. That is, in section 5, the recloser communicates with the peripheral switches managed by the system shape table to determine which switch is the switch closest to the failure point, and section 6 (the section in which the user opens the track again). The switch closest to the failure point is controlled to open the distribution line. Thereafter, the recloser closes the distribution line again and detects a normal current instead of a fault current in the seven sections.
다시 말하여, fast curve가 적용된 구간에서 재폐로가 종료되고, delayed curve가 적용되는 구간에 진입하였을 때 고장점에 가장 근접한 개폐기를 인지하는 개폐기와의 통신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구간이 종료된 후, 선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고장전류를 감지한 개폐기에 대해 개방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개폐기가 선로를 개방한 것을 확인한 후에 자신은 다시 선로를 폐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reclosing ends in the section to which the fast curve is applied and enters the section to which the delayed curve is applied, the communication process is performed with the switch that recognizes the switch closest to the point of failure. After the end of the section, the open command is sent to the switchgear that detects a fault current in the open state, and after confirming that the switchgear has opened the line, he may close the line again.
예를 들어, T-C 커브가 2F2D 또는 1F3D 형태로 적용되었을 경우, 2F2D인 경우에는 5구간에서, 1F3D인 경우에는 3구간에서 개폐기와의 통신을 진행할 수 있고, 2F2D인 경우에는 6구간에서, 1F3D인 경우에는 4구간에서 개폐기 개방 명령을 전송하고,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C curve is applied in the form of 2F2D or 1F3D,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 the switch in 5 sections in 2F2D and 3 sections in 1F3D, and in 6 sections in 2F2D and 1F3D. In this case, the switch open command can be transmitted in four sections, and the result can be confirm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고장 전류가 발생한 경우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체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entire network configuration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 case where a fault current occu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따르면, 다수의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전류 소스(변전소)(510)가 배전선로의 일단에 위치하고, 제1 전류 소스(510)는 차단기(530)를 통해 상기 배전선로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5, a first current source (substation) 510 for supplying power to a plurality of consumers is located at one end of a distribution line, and the first current source 510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line through a breaker 530. Can supply current.
제1 전류 소스(510)와 차단기(530) 사이에는 원격 감시 제어장치(520)가 위치할 수 있는데, 원격 감시 제어장치(520)는 변전소(510)에 위치하는 SCADA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배전선로와는 원거리에 위치한 일종은 전력관리 주제어장치(예를 들어, 한국전력 주제어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에서, 상기 배전선로에 위치한 각 장치들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된다.The remote monitoring controller 52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current source 510 and the circuit breaker 530.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ler 520 may be implemented as a SCADA system located in the substation 510. A type located far from the distribution line may be implemented as a power management main control device (for example, Korea Electric Power main control server). In FIG. 5, each device located in the distribution line is networked throug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network.
배전선로 상에는 3개의 리클로저(541 내지 543) 및 9개의 개폐기(551 내지 559)가 위치하며, 배전선로의 다른 일단에는 제2 전류 소스(44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리클로저는 표기를 R/C로 하였으며, 개폐기는 가스(Gas) 스위치 방식으로 동작하는 개폐기가 사용된 경우이므로 그 표기를 G/S로 하였다. Three reclosers 541 to 543 and nine switches 551 to 559 are positioned on the distribution line, and a second current source 440 may be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distribution line. In the recloser shown in FIG. 4, the notation is R / C, and the switch is a case in which a switch operating in a gas (Gas) switch method is used, and the notation is G / S.
개폐기 3(553)과 개폐기 4(554) 사이의 배전선로 구간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고가 발생한 고장점(560)으로부터 제1 전류 소스(510) 사이에 위치한 차단기(530), 리클로저 1(541) 및 리클로저 2(542)는 고장 전류를 감지하게 된다. 즉, 고장점(560)과 제1 전류 소스(510) 사이에 있는 차단기 및 리클로저가 상기 고장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고장점(560)과 제1 전류 소스(510)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 리클로저 3(543)은 상기 고장 전류를 감지할 수 없는데, 이는 리클로저 3(543)이 고장점의 후비(부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이다.When an accident occurs in the distribution line section between the switch 3 (553) and the switch 4 (554), the breaker 530, the recloser located between the failure point 560 where the accident occurred and the first current source 510 1 541 and recloser 2 542 detect a fault current. That is, the breaker and the recloser between the fault point 560 and the first current source 510 can detect the fault current. However, recloser 3543, which is not located between fault point 560 and first current source 510, is unable to detect the fault current, which means that recloser 3543 is the pick of the fault point (the load side). Is located at).
상기 고장전류의 감지 이후, 리클로저 1(541) 및 리클로저 2(542)는 상기 고장전류의 감지정보를 시스템 형상 정보를 참조하여 차단기(530)로 전송한다. 리클로저 1(541) 및 리클로저 2(542)로부터 고장전류 감지정보를 수시한 차단기(530)는 상기 고장전류가 발생한 고장점이 최소한 리클로저 1(541) 이후의 구간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고장전류 발생에 대한 선로 개방은 각 리클로저에게 일임하고 자신은 상기 배전선로의 폐로를 유지한다.After the detection of the fault current, the recloser 1 541 and the recloser 2 542 transmit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fault current to the breaker 530 with reference to system shape information. The circuit breaker 530 that receives fault current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recloser 1 541 and the recloser 2 542 determines that the fault point at which the fault current occurs has occurred at least after the recloser 1 541. The line opening for fault current generation is assigned to each recloser and he keeps closing the power distribution line.
상기와 같은 경우, 만일 차단기(530)가 어떠한 리클로저로부터도 고장전류 감지정보를 수신하지 못한다면, 차단기(530)는 상기 고장점이 차단기(530)와 리클로저 1(541) 사이의 구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자신이 직접 상기 배전선로를 개방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breaker 530 does not receive the fault current detection information from any recloser, the breaker 530 is located in the interval between the breaker 530 and the recloser 1 (541). It is judged that it is possible to open the distribution line by yourself.
차단기(530)는 리클로저로부터 고장전류 감지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자신이 이미 상기 배전선로를 개방한 상태일 수도 있고, 폐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일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은 리클로저로부터의 고장전류 감지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배전선로를 다시 개방하거나 폐로할 수도 있다.When the breaker 530 receives the fault current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recloser, the breaker 530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distribution line is already open, or may be in a state of maintaining the closed line, and the fault current from the recloser as described above. The distribution line may be reopened or closed depending on whether the sensing information is received.
도 5에서, 상기 고장 전류를 감지한 리클로저 1(541) 및 리클로저 2(542)는 선로의 재폐로 동작을 수행하는데,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1 전류 소스(510)로부터 가장 원거리에 위치한 리클로저 2(542)가 리클로저 1(541)보다 먼저 선로를 개방시키도록 동작한다. 그 후, 리클로저 1(541)은 리클로저 2(542)가 선로를 개방시킴에 따라 다시 정상 전류가 감지될 것이므로, 선로 개폐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선로의 폐로를 계속 유지한다.In FIG. 5, the recloser 1 541 and the recloser 2 542 which sense the fault current perform a reclosing operation of a line, which is located farthest from the first current source 510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Recloser 2 542 operates to open the track before recloser 1 541. Thereafter, the recloser 1 541 maintains the closing of the track without performing the lin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since the normal current will be sensed again as the recloser 2 542 opens the track.
리클로저 2(542)는 상기에서 선로를 개방한 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선로를 폐로시킨다. 상기 선로의 폐로 이후에도 고장점(560)이 복구되지 않음에 따라 리클로저 2(542)는 고장 전류를 다시 감지하게 되므로, 결국 자신이 고장점(540)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한 리클로저라고 인식할 수 있다. The recloser 2 542 closes the track again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opening the track. Since the failure point 560 is not recovered even after the closing of the line, the recloser 2 542 detects a failure current again, and thus, may recognize that the recloser is located closest to the failure point 540. have.
상기와 같이, 리클로저 2(542)는 최소한의 회수의 선로 재폐로 동작을 수행하여 자신이 선로 고장 구간 분리를 수행해야 하는 리클로저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클로저는 보다 신속하게 고장 구간을 분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closer 2 542 may recognize that the recloser needs to perform the line failure section separation by performing the reclosing operation of the minimum number of times. Accordingly, the reclo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the failure section more quickly.
상기 인식 후, 리클로저 2(542)는 시스템 형상 테이블에 따라 배전선로 상에서 자신이 관리하는 개폐기 3(553), 개폐기 4(554), 개폐기 7(557), 및 개폐기 8(558)로부터 고장전류 감지정보를 각각 수신한다. 도 5에서는 고장점(560)이 개폐기 3(553)과 개폐기 4(557) 사이에 위치하므로, 리클로저 2(542)는 개폐기 3(553)으로부터 고장 전류를 감지하였다는 고장전류 감지정보를 수신한다. After the recognition, the recloser 2 (542) is a fault current from the switch 3 (553), switch 4 (554), switch 7 (557), and switch 8 (558) managed by the self according to the system shape table. Receive sensing information respectively. In FIG. 5, since the fault point 560 is located between the switch 3 553 and the switch 4 557, the recloser 2 542 receives the fault current detec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ault current is detected from the switch 3 553. do.
또한, 개폐기 4(554)로부터는 고장 전류를 감지하지 못하였다는 고장전류 감지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리클로저 3(543)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장 전류를 감지하지 못하는 이유와 동일하다. 상기 수신한 고장전류 감지정보의 판독 결과, 리클로저 2(542)는 개폐기 3(553)과 개폐기 4(554)의 선로 구간에 고장점(560)이 위치한다고 판단한다. In addition, the switch 4 554 may receive fault current detec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ault current has not been detected. This is the same reason why recloser 3543 does not sense a fault current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of reading the received fault current detection information, the recloser 2 542 determines that the fault point 560 is located in a line section between the switch 3 553 and the switch 4 554.
상기와 같이 고장점(560)의 위치를 판단한 후, 리클로저 2(542)는 개폐기 3(553) 및 개폐기 4(554)와 통신을 수행하여, 개폐기 3(553) 및 개폐기 4(554)가 선로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리클로저 2(542)는 개폐기 3(553) 및 개폐기 4(554)의 선로 개방을 통해 고장 구간의 분리가 성공하였음을 확인한 후, 자신은 선로의 폐로를 다시 유지함으로써 정전 구간을 최소화하고 건전 구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Afte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fault point 560 as described above, the recloser 2 (542) communicates with the switch 3 (553) and the switch 4 (554), so that the switch 3 (553) and the switch 4 (554) Control to open the track. In addition, after recloser 2 542 confirms that the separation of the failure section is successful through the opening of the switches 3 553 and 4 554, the recloser 2 542 minimizes the blackout section by maintaining the closing of the track again. The health section can be secured as much as possible.
또한, 개폐기 3(553) 및 개폐기 4(554)의 선로 개방에 따라 제1 전류 소스(510)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중단된 리클로저 3(543) 및 개폐기 9(559)의 배전선로 구간은 제2 전류 소스(570)로부터 다시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ribution line sections of the recloser 3543 and the switch 9 559 where power supply from the first current source 510 is interrup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of the lines of the switch 353 and the switch 4 554 2 may be powered again from the current source (570).
이 때, 개폐기 9(559)가 선로를 폐로시키면 제2 전류 소스(570)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이 중단된 구간은 전력을 다시 공급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개폐기 4(554)가 선로를 이미 개방시킨 다음이므로, 개폐기 9(559)가 선로를 폐로하여도 리클로저 3(543)으로는 고장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At this time, when the switch 9 559 closes the line, the section in which the power supply is stopped through the second current source 570 may be supplied with power again. In this case, since switch 4 554 has already opened the track, no fault current flows into recloser 354 3 even if switch 9 559 closes the track.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로개폐 장치는 배전 선로의 고장 전류 발생시, 정전 구간을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다. 즉, 리클로저 1(541)의 선로 개방 동작을 리클로저 2(542)의 선로 개방 동작보다 늦게 수행하게 함으로써, 리클로저 1(541)의 불필요한 선로 개방을 방지하여 고장과 관계없는 리클로저 1(541)과 리클로저 2(542) 사이의 구간에 정전이 발생하는 일을 예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in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power failure section and quickly recover when a fault current of the distribution line occurs. That is, by performing the line opening operation of the recloser 1 541 later than the line opening operation of the recloser 2 542, unnecessary closing of the line of the recloser 1 541 is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the recloser 1 (regardless of the failure). The occurrence of a power failure in the section between 541 and the recloser 2 542 can be prevented.
또한, 개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개폐기의 선로 개방을 제어하여, 리클로저 사이의 구간보다 협소한 개폐기 사이의 구간을 분리함으로써, 정전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리클로저 2(542)가 선로를 개방하는 것이 아니라 개폐기 3(543)이 선로를 개방하도록 하여, 고장 구간과 상관없는 개폐기 7(547) 및 개폐기 8(548)의 구간에 전력이 공급되지 못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witch and controlling the line opening of the switch, by separating the section between the switch narrower than the section between the reclose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blackout section. That is, in FIG. 5, the recloser 2 542 does not open the track, but the switch 3543 opens the track so that the sections of the switch 7 547 and the switch 8 548 irrelevant to the failure section are not included. This prevents the power supply from being lost.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본 발명의 배전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배전선로에 위치하는 차단기, 리클로저, 및 개폐기에 통신 모듈을 각각 탑재하여, 고장전류 발생시 서로 상기 고장전류에 대한 감지정보를 송수신하게 함으로써, 배전선로의 정전구간을 최소화하고 건전구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wer distribu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module is mounted in a circuit breaker, a recloser, and a switch located in a power distribution line, so that when a fault current occur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etection information on the fault current are perform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number of points and ensuring the maximum health section.
또한, 본 발명의 배전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차단기, 리클로저, 및 개폐기 각각에 고장전류의 발생시 자신이 상기 고장전류에 대한 감지정보를 송수신하여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해야 할 대상(차단기, 리클로저, 또는 개폐기)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시스템 형상 테이블을 유지하고 이를 각 장치로 제공하는 원격 감시 제어장치를 통해 광범위한 배전선로에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차단기, 리클로저, 및 개폐기를 종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고장전류 발생에 대응하여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wer distribu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ault current occurs in each of the breaker, the recloser, and the switchgear, the object to which the self-transmits and receives the sensed information on the fault current to maintain a close cooperative relationship (breaker, recloser, Or breakers, reclosers, and switchgears, which are complex in a wide range of distribution lines, by maintaining a system shape table in which information on the switchgear is recorded and providing them to each devic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can cope with current generation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 리클로저, 및 개폐기가 배전선로에 설치된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in which a circuit breaker, a recloser, and a switch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re installed in a distribution lin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배전선로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배전 제어 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tire network configuration of a distributio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current flow in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클로저의 선로 재폐로 동작에 따라 측정되는 전류값을 도시한 그래프.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current valu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line reclose of the reclo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리클로저의 입력 전류에 따른 폐로 상태 유지 시간을 도시한 시간-전류 커브(Time-Current Curve) 그래프.4 is a Time-Current Curve graph showing a closed state holding time according to an input current of a reclo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고장 전류가 발생한 경우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체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entire network configuration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 case where a fault current occurs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0 : 변전소(전류소스) 220 : 원격 감시 제어장치210: substation (current source) 220: remote monitoring control device
230 : 차단기 231 : 차단기 컨트롤러230: breaker 231: breaker controller
240 : 리클로저 241 : 리클로저 컨트롤러240: recloser 241: recloser controller
250 : 개폐기 251 : 개폐기 컨트롤러250: switch 251: switch controller
260 : 통신망 270 : 수용가260: communication network 270: customer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8520A KR100537217B1 (en) | 2005-09-23 | 2005-09-23 | Distribution control system of separating failure of sections from distribution li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8520A KR100537217B1 (en) | 2005-09-23 | 2005-09-23 | Distribution control system of separating failure of sections from distribution li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37217B1 true KR100537217B1 (en) | 2005-12-16 |
Family
ID=3730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885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7217B1 (en) | 2005-09-23 | 2005-09-23 | Distribution control system of separating failure of sections from distribution li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37217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0658B1 (en) * | 1999-02-12 | 2007-04-24 | 에너지라인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 Automated Re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Enhanced Protection |
KR100920945B1 (en) | 2007-05-28 | 2009-10-09 | 주식회사 세니온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failure of the distribution line |
KR101132015B1 (en) * | 2010-09-29 | 2012-04-02 | 한국전력공사 | Automatic distribution server for supporting error restoration of distribution line and automatic distribution method |
KR101284133B1 (en) | 2011-12-20 | 2013-07-10 | 이희준 | Electro magnetic force driving device with line test |
KR101760926B1 (en) * | 2016-03-30 | 2017-07-24 | 대성이엔에프(주) | Distribution control device system |
KR20220068650A (en) * | 2020-11-19 | 2022-05-26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of hybrid generation system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05485A (en) * | 1992-09-24 | 1994-04-15 | San'eisha Mfg Co Ltd | Power distribution line fault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 |
KR19990038467A (en) * | 1997-11-05 | 1999-06-05 | 임태현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load switch |
KR20010103442A (en) * | 2000-05-10 | 2001-11-23 | 이종훈 | Automatic Power Restoration System |
JP2003032914A (en) * | 2001-07-17 | 2003-01-31 | Hitachi Ltd |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and its monitoring method |
KR100380795B1 (en) * | 1999-05-19 | 2003-04-18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Distribution control system |
KR20050036325A (en) * | 2003-10-15 | 2005-04-20 | 김순 | Remote control circuit breaker of panel and method of control |
-
2005
- 2005-09-23 KR KR1020050088520A patent/KR10053721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05485A (en) * | 1992-09-24 | 1994-04-15 | San'eisha Mfg Co Ltd | Power distribution line fault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 |
KR19990038467A (en) * | 1997-11-05 | 1999-06-05 | 임태현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load switch |
KR100380795B1 (en) * | 1999-05-19 | 2003-04-18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Distribution control system |
KR20010103442A (en) * | 2000-05-10 | 2001-11-23 | 이종훈 | Automatic Power Restoration System |
JP2003032914A (en) * | 2001-07-17 | 2003-01-31 | Hitachi Ltd |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and its monitoring method |
KR20050036325A (en) * | 2003-10-15 | 2005-04-20 | 김순 | Remote control circuit breaker of panel and method of control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0658B1 (en) * | 1999-02-12 | 2007-04-24 | 에너지라인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 Automated Re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Enhanced Protection |
KR100920945B1 (en) | 2007-05-28 | 2009-10-09 | 주식회사 세니온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failure of the distribution line |
KR101132015B1 (en) * | 2010-09-29 | 2012-04-02 | 한국전력공사 | Automatic distribution server for supporting error restoration of distribution line and automatic distribution method |
KR101284133B1 (en) | 2011-12-20 | 2013-07-10 | 이희준 | Electro magnetic force driving device with line test |
KR101760926B1 (en) * | 2016-03-30 | 2017-07-24 | 대성이엔에프(주) | Distribution control device system |
KR20220068650A (en) * | 2020-11-19 | 2022-05-26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of hybrid generation system |
KR102465585B1 (en) * | 2020-11-19 | 2022-11-10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of hybrid generation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84738B2 (en) | Operating a substation automation system | |
US6907321B2 (en) | Fault control and restoration in a multi-feed power network | |
Nordman et al. | An agent concept for managing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 |
KR100951773B1 (en) | Goose messag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 |
KR102035351B1 (en) | Electric installation maintenance method and device | |
US8355234B2 (en) | Condition monitor for an electrical distribution device | |
US551306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electrical power | |
CN102273037B (en) | Hybrid distribution network power restoration control | |
CN105814761B (en) | The test of electric substation automation system | |
CN104716745A (en) | Topology generation method and topology generation system oriented to power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s | |
CN102195274A (en) | Distribution line fault detec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 |
US20080224546A1 (en) | Method to analyze system reconfiguration for automated isolation of disturbances to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 |
CN113746205A (en) | One-button programmed remote operation method based on network-side collaborative safety error-proof check | |
CN105629030A (en) | Capture of power quality information at the time a device fails | |
KR100537217B1 (en) | Distribution control system of separating failure of sections from distribution li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 |
KR100712957B1 (en) | Distribution automation device with automatic reset device | |
Apostolov | Efficient maintenance testing in digital substations based on IEC 61850 edition 2 | |
KR100755277B1 (en) | Auxiliary terminal device applied to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and fault location checking and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 |
WO201716714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distribution control circuit | |
CN107482777A (en) | Reboot devices and systems remotely | |
KR100524371B1 (en) | Recloser for separating failure section from distribution li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ecloser,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operating the method | |
CN118826296A (en) | A comprehensive measurement and control communication data unit adapted to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 |
KR20210154016A (en) | Power system fault data handl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ing bus protective relay | |
CN103532116B (en) | A kind of automation three-layer protection system of distribution | |
CN201656457U (en) | Distribution line troubleshooting control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P15-X000 | Request for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jec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5-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12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