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6617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617B1
KR100536617B1 KR10-2003-0013792A KR20030013792A KR100536617B1 KR 100536617 B1 KR100536617 B1 KR 100536617B1 KR 20030013792 A KR20030013792 A KR 20030013792A KR 100536617 B1 KR100536617 B1 KR 100536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ceptacle
plug
insula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511A (ko
Inventor
이카리히로하루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7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01R13/035Plated dielectr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상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플러그 단자(33)를 리셉터클 절연체(12) 안의 한 쌍의 리셉터클 단자(13)로 받는 커넥터로서, 리셉터클 단자(13)를 이 리셉터클 단자(13)에 접촉하는 플러그 단자(33)가 들어갔다 나오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절연체(12)로 압입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회로 기판상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판상에 장착되는 리셉터클(receptacle) 쪽의 커넥터는, 리셉터클 컨텍트(contact)를 절연체의 아랫면(기판 쪽) 또는 윗면(플러그를 삽입하는 쪽)에서 절연체의 안쪽으로 압입(壓入)하는 구조가 일반적이었다. 이것을 접속한 상태에서의 중앙 절반의 단면을 도 6(A),(B)에 나타냈다. 도 6(A)에 나타낸 종래의 기판 장착 커넥터는, 기판상에 장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61)와 이 리셉터클 커넥터(61)에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71)로 이루어진다. 리셉터클 커넥터(61)는, 절연체(62)에 형성된 리셉터클 수납 구멍(62a)으로, 아랫쪽에서부터 리셉터클 단자(63)가 압입된다. 도 7은 리셉터클 단자(63)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한 쪽의 플러그 커넥터(71)는, 플러그 절연체(72)에 형성된, 리셉터클 커넥터(61)의 절연체(62)에 맞닿는 면에 뚫린 플러그 수용구멍(72a) 안으로 플러그 단자(73)가 압입되어 있다.
여기서, 리셉터클 단자(63)는 절연체(62)에 아랫쪽에서, 즉 플러그 단자(73)가 들어갔다 나오는 방향에서 압입된다. 따라서, 플러그 단자(73)를 끼워 누르는 한 쌍의 접점부(63a)는 충분한 휘어짐을 확보하기 위해, 플러그 단자(73)를 넣어다 빼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 단자(63)의 높이를 억제할 수 없으며, 절연체(62)의 기판 상의 높이가 높아졌다. 또한, 이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 이른바 땜납 심지 현상(solder wicking)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납땜부(63c)와 접점부(63a)의 간격을 길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접점부(63a)와 납땜부(63c)를 연결하는 꼬리부(63d)가 플러그 단자(73)가 들어갔다 나오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어졌다.
본 발명은 종래 커넥터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판상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은 플러그 단자를 절연체 안의 리셉터클 단자로 받는 커넥터로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가 이 리셉터클 단자에 접촉하는 플러그 단자가 들어갔다 나오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절연체에 삽입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 단자를 받는 리셉터클 단자를, 플러그 단자의 플러그 단자가 들어갔다 나오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연체를 삽입하기 때문에, 기판상의 절연체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단자는 기판의 도체에 납땜되는 납땜부와, 이 납땜부에서 절연체의 측면을 따라 올라간 꼬리부, 이 꼬리부의 상단부에서 리셉터클 수용구멍의 천정부를 따라 연장된 지지부와, 이 지지부의 양쪽 가장자리부에서 기판 방향으로 굴곡한 굴곡 지지부에서 연장하여, 이 굴곡 지지부에 지지되어 탄성적으로 닿았다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며, 상기 플러그 단자를 끼워 누르는 한 쌍의 플러그 끼워누름 단자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꼬리부의 길이가 길고, 꼬리부에서 납땜부까지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땜납 심지 현상에 의한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단자에는 니켈을 도금하고, 더욱이 상기 납땜부 및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끼워누름 단자부에는 금 도금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땜납은 납땜부의 금도금 부분에서는 잘 이루어지지만, 니켈도금 부분에서는 땜납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땜납 심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의 납땜부에는 그 앞 끝 가장자리부로서, 상기 기판과 대향하는 쪽의 가장자리부에 코이닝(coining)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납땜부와 기판의 사이에 이른바 땜납 필릿(fillet)이 형성되어, 납땜부의 단면(端面)과 기판의 사이에 접합하기에 충분한 땜납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2핀용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이 리셉터클을 아랫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리셉터클 커넥터(11)는 플러그 커넥터(31)와 같이 1세트의 커넥터를 구성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1)는 절연재로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절연체(하우징(housing))(12)와 플러그 커넥터(31)의 착탈(着脫)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에서 절연체(12)로 압입한, 두 개의 리셉터클 단자(13)를 구비하고 있다. 각 리셉터클 단자(13)는 절연체(12)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바닥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략 바닥면 위치에 있어서 절연체(12)의 바깥쪽을 향하여 굴곡되어 납땜부(13e)를 구성하고 있다.
리셉터클 단자(13)가 압입된 절연체(12)의 리셉터클 수용구멍(12a)은 도 3(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체(12)의 측면(폭 단면)으로부터 길이방향, 즉 플러그 단자(33)가 들어갔다 나오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진 가로형 구멍이다. 한편, 플러그 단자(33)가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 받는 구멍(12b)은 절연체(12)의 윗면(기판 장착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기판 장착면에 관통된 세로형 구멍이다. 그리고 이 리셉터클 수용구멍(12a), 플러그 단자 받는 구멍(12b)은 절연체(12) 안에서 연결되어 통해 있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31)는 리셉터클 커넥터(11)에 대향하는 절연체(32)의 감합면에 형성된 플러그 단자 수용구멍(32a)에 압입한 플러그 단자(33)를 구비하고 있으며, 플러그 단자 수용구멍(32a)으로부터 돌출하는 이 플러그 단자(33)의 앞 끝 부분이 리셉터클 단자(13)와 접촉하여 도통(導通)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부호 41은 각 플러그 단자(33)에 연결된 케이블이다.
도 4에는 리셉터클(13)의 사시도를, 도 5에는 이 리셉터클 단자(13)에 플러그 단자(33)를 감합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리셉터클 단자(13)는 리셉터클 수용구멍(12a)에 압입될 때 리셉터클 수용구멍(12a)의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플러그 끼워누름 단자(13a)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플러그 끼워누름 단자(13a)는 리셉터클 수용구멍(12a)의 천정부를 따라 연장되는 지지부(13c)의 양쪽 가장자리부로부터 아랫쪽으로 굴곡된 굴곡 지지부(13b)에서 리셉터클 수용구멍(12a)의 측벽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플러그 끼워누름 단자(13a)는 이 굴곡 지지부(13b)로부터 플러그가 나왔다 들어가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굴곡 지지부(13b)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굴곡 지지부(13b) 및 플러그 끼워누름 단자(13a)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플러그 끼워누름 단자(13a)가 탄성적으로 닿았다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며, 선단부에서 플러그 단자(33)를 끼워누른다.
이 리셉터클 단자(13)는 플러그 끼워누름 단자(13a)의 선단부가 리셉터클 수용구멍(12a)에서부터 플러그 단자 받는 구멍(12b) 안으로 들어가는 위치까지, 리셉터클 수용구멍(12a)에 압입된다. 플러그 끼워누름 단자(13a)의 선단부는 이 플러그 단자 받는 구멍(12b)의 안에서, 자유롭게 닿았다 떨어질 수 있으며, 가장 접근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리셉터클 단자(13)의 지지부(13c)에는, 리셉터클 수용구멍(12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노출하는 부분이 절연체(12)의 바닥면 방향으로 굴곡하는 꼬리부(13d)와 이어지고, 더욱이 꼬리부(13d)가 절연체(12)의 바닥면과 일치하는 부분에서 절연체(12)의 바깥쪽으로 굴곡한 납땜부(13e)가 이어져 있다.
플러그 단자(33)는 이 한 쌍의 플러그 끼워누름 단자(13a) 사이에 삽입되며, 플러그 끼워누름 단자(13a), 굴곡지지부(13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통 상태에서 끼워눌려 유지된다.
이 구조에 의해 플러그 끼워누름 단자(13a)는 스프링 부분의 충분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 끼워누름 단자(13a)의 선단부의 휘어짐이 충분히 확보되며, 플러그 단자(33)를 안정된 압력으로 끼울 수 있다.
더욱이, 이 실시예에 의하면, 납땜부(13e)로부터 꼬리부(13d)를 기판에서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들어올려 꼬리부(13d)의 상단부에서부터 기판과 대략 평행하게 지지부(13c)를 연장하고 있어, 꼬리부(13d)가 높고, 길기 때문에, 땜납 심지 현상에 의한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리셉터클 단자(13)의 재료는 보통 인청동판이며, 이 인청동판에 니켈 도금을 하고 있다. 땜납 심지 현상을 더욱 확실히 제거하기 위하여, 꼬리부(13d)와 플러그 단자(13a)의 표면에는 금도금을 하고, 꼬리부(13d)와 플러그 끼워누름 단자(13a) 사이에는 니켈 도금을 노출시킨다. 이와 같이 니켈 도금을 노출시킴으로써, 니켈도금 부분에서는 땜납이 매우 어려워진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납땜부(13e)가 기판(51)과 접촉하는 면의 앞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홈 형상의 코이닝부(13f)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코이닝부(13f)를 설치하면, 기판(51)과의 사이에 이른다 땜납 필릿이 형성되어, 납땜부(13e)의 단면과 기판(51)과의 사이에서 접합에 충분한 땜납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2 개의 접점을 가지는 커넥터를 나타내었는데, 본 발명은 3 개 이상의 접점을 가지는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단자가 압입하는 방향은 플러그 컨텍트가 들어갔다 나오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면 좋고,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절연체(12)의 길이 방향의 면(정면)에서 압입하는 구조여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지듯이 본 발명은 기판 장착 컨텍트의 리셉터클 단자를 플러그 단자가 들어갔다 나오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절연체에 압입하기 때문에, 플러그가 들어갔다 나오는 방향의 길이, 즉 기판상의 리셉터클 컨텍트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커넥터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아랫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감합(嵌合) 상태를 중앙에서 반절을 종단하여 나타내었다. (A)가 정면도, (B)가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리셉터클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에 플러그 단자가 감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커넥터의 감합 상태를 중앙에서 반절을 종단하여 나타내었다. (A)가 정면도, (B)가 측면도이다.
도 7은 종래 코넥터의 리셉터클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1 리셉터클 커넥터 12 절연체
12a 리셉터클 수용구멍 12b 플러그 단자 받는구멍
13 리셉터클 단자 13a 플러그 끼워누름 단자
13b 굴곡 지지부 13c 지지부
13d 꼬리부 13e 납땜부
13f 코이닝부 31 플러그 커넥터
33 플러그 단자 33a 플러그 단자 수용구멍
51 기판

Claims (5)

  1. 플러그 단자를 절연체(insulator) 안의 리셉터클(receptacle) 단자로 받는 커넥터로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는 기판의 도체에 납땜되는 납땜부와, 이 납땜부로부터 절연체의 측면을 따라 올라간 꼬리부, 이 꼬리부의 상단부로부터 리셉터클 수용구멍의 천정부를 따라 연장된 지지부와, 이 지지부의 양쪽 가장자리부로부터 기판 방향으로 굴곡한 굴곡 지지부에서 연장하고, 이 굴곡 지지부에 지지되어 탄성적으로 닿았다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며, 상기 플러그 단자를 끼워누르는 한 쌍의 플러그 끼워누름 단자부를 구비하여,
    상기 리셉터클 단자가 이 리셉터클 단자에 접속하는 플러그 단자를 넣었다 뺐다하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 방향에서 절연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에는 니켈도금이 실시되고, 더욱이 상기 납땜부 및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끼워누름 단자부에는 금도금이 실시되어 있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납땜부에는, 그 앞 끝 가장자리부로서 상기 기판과 대향하는 쪽의 가장자리부에 코이닝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5. 삭제
KR10-2003-0013792A 2002-11-27 2003-03-05 커넥터 KR100536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43425 2002-11-27
JP2002343425A JP4097513B2 (ja) 2002-11-27 2002-11-27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511A KR20040047511A (ko) 2004-06-05
KR100536617B1 true KR100536617B1 (ko) 2005-12-14

Family

ID=3270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792A KR100536617B1 (ko) 2002-11-27 2003-03-05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097513B2 (ko)
KR (1) KR100536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9118B2 (ja) * 2007-06-07 2012-03-07 株式会社ヨコオ 電気コネクタ
JP2009181769A (ja) 2008-01-30 2009-08-13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プラグ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JP5351005B2 (ja) * 2009-12-22 2013-11-2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1166230B1 (ko) 2010-01-27 2012-07-18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5597030B2 (ja) * 2010-05-28 2014-10-0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785451B2 (ja) * 2011-07-01 2015-09-3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コネクタ
JP7042711B2 (ja) * 2018-07-03 2022-03-2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21157883A (ja) * 2020-03-25 2021-10-07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基板用コネクタ、及び端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97513B2 (ja) 2008-06-11
JP2004178960A (ja) 2004-06-24
KR20040047511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4566B2 (en) Circuit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7658636B2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7367816B2 (en) Board-to-board connectors
US7074085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0303413B1 (ko) 프린트기판용커넥터
US4808113A (en) Connector for flexible flat cable
US7794253B2 (en) Coaxial connector with a new type of contact
US748496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726979B2 (en) Low profile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tails arranged in middle of side wall
US7726992B2 (en) RF connector having contact terminal set with movable bridge
US686357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ock support
US20100184334A1 (en) Contact having increased resilience for use with electrical connector
US5695354A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KR20070119708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US6368156B1 (en) Audio jack conveniently and reliably mounted on a circuit board
US20100159740A1 (en) Cable assembly having hold-down arrangement
US6293805B1 (en) Board to board connector
KR970068028A (ko) 보강 래치를 갖춘 커넥터
JP3148413U (ja) コネクタ
US6827588B1 (en) Low profile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7261601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20051838A (ko) 전기 커넥터
US7090546B2 (en) Card connector
KR100536617B1 (ko) 커넥터
US6371802B1 (en) Header connector with stab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