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5967B1 - 트랙볼타입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트랙볼타입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967B1
KR100535967B1 KR10-2002-0085407A KR20020085407A KR100535967B1 KR 100535967 B1 KR100535967 B1 KR 100535967B1 KR 20020085407 A KR20020085407 A KR 20020085407A KR 100535967 B1 KR100535967 B1 KR 100535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camera
mobile communication
camera lens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5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8891A (ko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5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967B1/ko
Publication of KR20040058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96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모듈이 내장되고 전방에 카메라렌즈부가 형성되는 회전체와, 상기 카메라렌즈부를 외부로 돌출시키며 상기 회전체가 전후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볼타입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이 내장되고 카메라렌즈부가 형성되는 회전체와, 카메라렌즈부를 외부로 돌출시키며 회전체가 전후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바라보고 있을 때도 회전체를 회전시켜 좌우 및 상하방향의 촬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트랙볼타입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HAVING TRACK BALL TYPE CAMMERA}
본 발명은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사체 촬영이나 영상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폰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특허출원(출원번호:10-2000-0000915)된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가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가 닫힌 영상 통신 무선 단말기의 사시도를,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가 열린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의 사시도를,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메인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렌즈 하우징이 본체에 결합되는 상태의 일부 절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1, 도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은 본체(10)와, 폴더(20)와, 상기 본체(10)와 폴더(20)를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힌지장치(30)로 구성된다. 상기 폴더(20)는 힌지축(A)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본체(10)에서 개폐된다. 상기 본체(10)와 폴더(20)를 결합시키는 힌지장치는 다수개의 힌지 아암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장치(3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힌지장치(30)는 본체(10)에 구비된 제1,2사이드 힌지 아암(111,112)(side hinge arm), 상기 폴더(20)에 구비된 센터 힌지 아암(211)(center hinge arm) 및 상기 제1사이드 힌지 아암(111)에 힌지축(A)방향으로 결합되는 렌즈 하우징(401)(lens housing)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2사이드 힌지 아암(111,112)은 소정의 공간으로 이격되며, 상기 이격된 공간에 센터 힌지 아암(211)이 놓여 결합된다. 상기 제1,2사이드 힌지 아암(111,112)과, 센터 힌지 아암(211) 및 렌즈 하우징(401)은 힌지축(A)에 놓인다. 상기 제1,2사이드 힌지 아암(111,112)과, 센터 힌지 아암(211) 및 렌즈 하우징(401)은 동일한 직경크기를 갖는 원통형이며, 상기 센터 힌지 아암(211)이나 렌즈 하우징(401)의 축방향 길이가 다른 힌지 아암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렌즈 하우징(401)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0)를 실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0)는 렌즈 하우징(401)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01)는 센터 힌지 아암(211)에 구비될 수 있고, 별도의 힌지수단을 구비하여 폴더(20)쪽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다수개의 번호키와 기능키 등을 포함하는 키패드(101)와, 마이크장치(102)를 포함한다. 상기 폴더(20)는이어 피스(201)와 메인 디스플레이 유니트(202)를 포함한다. 미도시된 안테나 장치는 본체에 내장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어셈블리(40)는 렌즈 하우징(401)에 내장되었기 때문에 렌즈만이 렌즈 하우징(401)에서 외부환경에 노출된다.
도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본체(10)에 메인 보드(120)가 설치되고, 폴더(20)에 스피커(S)와 메인 디스플레이 유니트(202)가 설치된다. 도3에 보여진 카메라 어셈블리(40)는 렌즈와, 렌즈 홀더(405), 서브 보드(406) 및 서브 보드(406)에 설치된 씨씨디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보드(406) 상에 구비된 씨씨디 소자는 렌즈 홀더(405)에 의해 가려져서 도면에서 미도시된다.
상기 메인 보드(120)와 메인 디스플레이 유니트(202)는 제1연성 회로(115)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메인 보드(120)와 서브 보드(406)는 제2연성 회로(410)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연성 회로(115)의 부분은 센터 힌지 아암과 제2사이드 힌지 아암을 경유하여 본체에 구비된 콘넥터(122)에 접속된다. 상기 제2연성 회로(410)는 렌즈 하우징과 제1사이드 힌지 아암을 경유하여 본체의 콘넥터(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메인 보드(120)에 장착된 콘넥터(121,122)는 거리를 고려하여 모서리 부분이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도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렌즈 하우징(401)이 힌지장치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렌즈 하우징(401)은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여 제1사이드 힌지 아암(111)에 결합된다. 상기 수단은 마주보는 후크(403)가 적절하다. 상기 후크(403)가 제1사이드 힌지 아암(111)에 힌지축 방향으로 조립되면, 상기 렌즈 하우징(401)은 제1사이드 힌지 아암(111)에 힌지축 방향으로 구속되나,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렌즈 하우징(401)은 강제적인 외부힘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401)이 놓일 수 있는 슬롯(111a)을 구비한다. 상기 렌즈 하우징(401)에서 인출된 제2연성 회로(410)는 제1사이드 힌지 아암(111)을 향하고, 이어서 메인 보드의 콘넥터에 접속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401)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0)의 렌즈가 외부에 노출되게 구성되도록 개구(404)를 구비하며, 일단 방향으로 렌즈 하우징(401)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각도조절용 노브(402)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렌즈 하우징(401)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0)의 렌즈의 이동이 본체(10)를 중심으로 볼때 상하방향으로만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 유니트(202)를 바라보고 있을 때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0)의 렌즈의 이동에 따라 상하방향의 피사체는 촬영이 가능하나 좌우방향은 촬영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카메라모듈이 내장되고 카메라렌즈부가 형성되는 회전체와, 카메라렌즈부를 외부로 돌출시키며 회전체가 전후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바라보고 있을 때도 회전체를 회전시켜 좌우 및 상하방향의 촬영이 가능한 트랙볼타입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모듈이 내장되고, 전방에 카메라렌즈부가 형성되고 후반부에 상기 카메라모듈의 무선 송신부와 연결되는 송신도체가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송신도체에 연결되어 상기 무선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제공하는 수신접점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트랙볼타입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전방부를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형성되는 각도조절공과, 상기 각도조절공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가 전후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트랙볼타입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구형이고, 상기 각도조절공은 상기 회전체의 외측 반지름 보다 작은 반지름을 갖는 원형공으로 형성된다.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트랙볼타입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면부는 상기 회전체의 후방부가 접촉 및 회전 운동이 용이하도록 오목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의 중심에는 상기 송신도체에 접촉되어 상기 무선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단말기의 인쇄 회로 기판(PCB)에 연결하는 상기 수신접점부가 형성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트랙볼타입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공은 폴더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사시도를,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분해 사시도를,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결합 단면도를,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실시예1]
도5, 도6, 도7,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회전체(1300), 각도조절공(1210), 지지대(1110) 등을 갖는다.
도5, 도6, 도7, 도9를 참조하면, 회전체(1300)는 구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체(1300) 전방에는 카메라렌즈부(1310)가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표현되지 않았으나 회전체(1300) 내부에는 카메라렌즈부(1310)가 연결되는 카메라모듈(도면 미도시)이 내장된다. 또한, 회전체(1300)의 후방부는 카메라모듈의 RF송신부(도면 미도시)에 연결되는 송신도체(1320)로 형성되며, 여기서 송신도체(1329)의 표면적은 촬영을 위한 회전체(1300)의 회전시에 후술되는 오목구면(1110)의 수신접점부(1112)와 항상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다시 말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렌즈부(1310)가 회전체(13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최대한 멀어지는 각도까지 회전체(1300)의 회전이 이루어지더라도 송신도체(1329)와 수신접점부(1112)의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도5, 도6, 도7, 도9를 참조하면, 폴더(1200)의 내측면 상부에는 각도조절공(1210)이 형성된다. 각도조절공(1210)은 회전체(1300)의 전방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체(1300)의 외측 반지름 보다 작은 반지름을 갖는 원형공으로 형성된다.
삭제
도6, 도7, 도9를 참조하면, 지지대(1100)는 각도조절공(12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지지대(1100)의 상면부에는 오목구면(1110)이 형성된다. 오목구면(1110)은 회전체(1300)의 후방부를 지지하여 회전체(1300)가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6, 도7, 도9를 참조하면, 지지대(1100)의 오목구면(1110) 중심에는 송신도체(1320)에 접촉되어 상기 RF송신부(도면 미도시)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단말기의 메인PCB(도면 미도시)에 전달하는 수신접점부(1112)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 도7, 도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 유니트(도면부호 미부여)를 바라보면서 좌우측에 위치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면, 회전체(1300)를 좌우로 회전시켜 카메라렌즈부(1310)가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이때, 회전체(1300)는 전방부가 원형공인 각도조절공(1210)에 의해 지지되고, 후방부가 오목구면(1110)에 의해 지지되므로 회전체(1300)가 용이하게 회전하며, 여기서 회전체(1300) 후방의 송신도체는 회전체의 회전되는 정도에 관계없이 오목구면의 수신접점부와 항상 접촉되는 표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회전체(1300)가 임의 각도로 회전하여도 송신도체(1320)는 오목구면(1110)에 형성된 수신접점부(1112)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 유니트(도면부호 미부여)를 바라보는 상태에서도 회전체(1300)를 회전시킴으로써 좌우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1에서 각도조절공(1210)은 폴더(1200)의 내측면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각도조절공(1210)은 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등 기타의 곳에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2]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회전체(2300), 각도조절공(2210), 지지대(2110) 등을 갖는다.
실시예2는 회전체(2300) 및 오목구면(2110)을 제외하면 실시예1과 동일하다.
도8을 참조하면, 회전체(2300)는 구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체(2300) 전방에는 카메라렌즈부(2310)가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표현되지 않았으나 회전체(2300) 내부에는 카메라렌즈부(2310)가 연결되는 카메라모듈(도면 미도시)가 내장된다. 또한, 회전체(2300)의 후방부는 카메라모듈의 송신부(도면 미도시)에 연결되는 송신선(2322)이 안내되는 회전체안내공(2320)이 형성된다.
도8을 참조하면, 오목구면(2110)의 중심부에는 송신선(2322)을 단말기의 메인PCB(도면 미도시)에 안내하는 오목구면안내공(2112)이 형성된다. 오목구면안내공(2112)은 회전체(230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송신선(2322)이 용이하게 안내되도록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형성된다.
기타 각도조절공(2210), 지지대(2110) 등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1에 준하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이 내장되고 카메라렌즈부가 형성되는 회전체와, 카메라렌즈부를 외부로 돌출시키며 회전체가 전후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바라보고 있을 때도 회전체를 회전시켜 좌우 및 상하방향의 촬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에 오목구면을 형성하고, 각도조절공을 원형공으로 함으로써, 카메라모듈이 내장되는 회전체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가 닫힌 영상 통신 무선 단말기의 사시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가 열린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의 사시도.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메인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렌즈 하우징이 본체에 결합되는 상태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분해 사시도.
도7과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결합된 단면도 및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00, 2100: 지지대 1110, 2110: 오목구면
1112: 수신접점부 2112: 오목구면안내공
1200: 폴더 1210, 2210: 각도조절공
1300, 2300: 회전체 1310, 2310: 카메라렌즈부
1320: 송신도체 2320: 회전체안내공
2322: 송신선

Claims (6)

  1. 카메라모듈이 내장되고, 전방에 카메라렌즈부가 형성되고 후방부에 상기 카메라모듈의 무선 송신부와 연결되는 송신도체가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송신도체에 연결되어 상기 무선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제공하는 수신접점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전방부를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형성되는 각도조절공과,
    상기 각도조절공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가 전후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구형이고,
    상기 각도조절공은 상기 회전체의 외측 반지름 보다 작은 반지름을 갖는 원형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면부는 상기 회전체의 후방부가 접촉 및 회전 운동이 용이하도록 오목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구면의 중심에는 상기 송신도체에 접촉되어 상기 무선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단말기의 인쇄 회로 기판(PCB)에 연결하는 상기 수신접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삭제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공은 폴더의 내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2-0085407A 2002-12-27 2002-12-27 트랙볼타입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535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5407A KR100535967B1 (ko) 2002-12-27 2002-12-27 트랙볼타입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5407A KR100535967B1 (ko) 2002-12-27 2002-12-27 트랙볼타입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891A KR20040058891A (ko) 2004-07-05
KR100535967B1 true KR100535967B1 (ko) 2005-12-09

Family

ID=37350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540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5967B1 (ko) 2002-12-27 2002-12-27 트랙볼타입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9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891A (ko) 2004-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451B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EP1530346B1 (en)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EP1381207B1 (en) Mobile terminal with rotatably mounted camera lens module
KR100783039B1 (ko) 이동 통신 장치를 위한 이동형 기능 소자들
US2004022847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ry camera
US20040196403A1 (en) Camera lens unit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JP2004128982A (ja) 着脱式アンテナ装置
KR100535967B1 (ko) 트랙볼타입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JP3789416B2 (ja) 可動式アンテナ
EP1843589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s
KR100496962B1 (ko) 다방향촬영카메라가 구비된 휴대폰
CN210897601U (zh) 一种终端设备
CN110504525B (zh) 一种终端设备
KR200192881Y1 (ko) 플립형 휴대폰의 마이크로폰 연결 메카니즘
KR100430595B1 (ko)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JP2008124820A (ja) ヒンジユニット及び携帯端末
JP3704496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66348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40054332A (ko) 다방향촬영카메라 구비 휴대폰
KR100487600B1 (ko) 회전식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KR1005397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JP3584388B2 (ja) 携帯型情報通信機のアダプタ
KR100487599B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JP2008066763A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装置
KR100662303B1 (ko) 편심 스위블 힌지구조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12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20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