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5831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831B1
KR100535831B1 KR10-2004-0029727A KR20040029727A KR100535831B1 KR 100535831 B1 KR100535831 B1 KR 100535831B1 KR 20040029727 A KR20040029727 A KR 20040029727A KR 100535831 B1 KR100535831 B1 KR 100535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movable member
refrigerator
locking
ope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5342A (ko
Inventor
이선근
황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9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831B1/ko
Publication of KR20050105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83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린 서랍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 자동닫힘구조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내부에 식품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는 서랍, 상기 서랍이 일정 거리 이하로 열릴 경우 상기 서랍과 함께 이동하고 상기 서랍이 일정 거리 이상 열릴 경우 상기 서랍과 분리되어 위치 고정되는 가동부재, 일단은 상기 가동부재에 타단은 상기 저장실 벽에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린 서랍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 자동닫힘구조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이 수행되어 생성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식품을 냉동 또는 냉장 상태로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형태의 본체와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한편, 저장공간 내에는 식품 보관용 서랍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선반은 냉장고의 내부벽에 일정한 크기의 홈이나, 가이드레일등을 설치하고, 상기 홈이나 가이드레일에 선반을 끼워 선반이 홈이나 가이드레일 상에서 이동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선반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선반을 잡아 당겨 사용하였고, 사용을 끝마친 뒤에는 다시 수동으로 선반을 밀어 넣어 선반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동식 선반은 사용자가 사용과정에서 수동으로 선반을 잡아 당기거나 밀어넣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하였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열린 서랍이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하여 닫히도록 한 자동닫힘구조를 채용한 선반이 개발되어 왔다.
냉장고의 서랍에 채용되는 자동닫힘구조의 예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1996-0009960에 개시되어 있다. 이 자동닫힘구조는 일단은 냉장고 벽에 타단은 선반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지지체를 이용하여 선반을 열 때의 탄성에너지를 이용하여 선반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닫힘구조는 서랍을 여는 거리가 길어질수록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서랍을 끝까지 여는 데 상당한 힘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랍을 연 후 물건을 꺼내기 위해서는 서랍이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도록 한손으로는 서랍을 잡고, 나머지 한손으로는 물건을 꺼내야만 하므로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만 물건을 꺼낼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랍을 여는 거리에 따라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단속적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서랍을 여는 데 큰 힘이 들지 않으면서도 서랍이 확실하게 닫히도록 하며, 서랍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탄성력이 작용되지 않아 물건을 꺼낼 때 서랍을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한 자동닫힘구조를 가진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내부에 식품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는 서랍, 상기 서랍이 일정 거리 이하로 열릴 경우 상기 서랍과 함께 이동하고 상기 서랍이 일정 거리 이상 열릴 경우 상기 서랍과 분리되어 위치 고정되는 가동부재, 일단은 상기 가동부재에 타단은 상기 저장실 벽에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가 일정한 궤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며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가동부재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안내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안내공을 따라 일정한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공의 전방 단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서랍이 일정 거리 이상 열릴 경우,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서랍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랍의 측면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걸림부재와 걸림과 분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이며, 상기 서랍의 내부에는 상기 냉장실 내부와 다른 조건으로 별도로 제어되는 특선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냉장고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에 냉동실(5), 우측에 냉장실(2)이 형성되는 캐비닛 형태의 본체(1)를 구비한다. 본체(1)의 전면에는 냉동실(5) 측에 냉동실도어(6)가 냉장실(2) 측에 냉장실도어(3)가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냉장실(2)의 내부에는 하측에 서랍(10)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을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랍(10)의 하측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부인 자동닫힘구조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서랍(10) 하측의 좌우측면에는 걸림부재(11)가 고정설치된다. 걸림부재(11)는 서랍(10)의 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다시 후술하는 하우징(30) 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되는 금속판으로 제조되며 서랍(10)이 열리고 닫힘에 따라 서랍(10)과 함께 수평하게 이동한다.
또한, 상기한 걸림부재(11)와 대응되는 위치의 서랍(10)이 설치되는 냉장실(2)의 측벽에는 걸림부재(11)와 함께 수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가동부재(20)와 가동부재(20)가 일정한 궤적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하우징(30)이 설치된다.
하우징(3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부가 빈 합성수재재질로 마련되며, 가동부재(20)가 수평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수직길이보다 수평길이가 더 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30)의 외면에는 안내공(31)이 형성된다. 안내공(31)은 가동부재(20)가 안내공(31)에 맞물려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하우징(30)의 측면을 따라 직선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공(31)의 서랍(10) 전면 측 단부는 하방으로 수직하게 꺾여 걸림부(33)를 이루게 된다. 서랍(10)이 열리고 닫힘에 따라 가동부재(20)가 걸림부(33)에 걸림과 해제를 반복하게 되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그리고 하우징(30) 내부에는 탄성부재(35)가 설치되는데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35)의 일단(35b)은 하우징(30)의 후측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35a)은 가동부재(20)에 고정된다. 따라서 서랍(10)이 열려 걸림부재(11)와 가동부재(20)가 함께 전방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 탄성부재(35)가 신장되면서 가동부재(20)에 후방으로 탄성력이 작용된다.
한편, 가동부재(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걸림부재(1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상측에 걸림부재(11)와 걸림과 해제가 가능한 걸림홈(21)이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부재(11)가 걸림홈(21)에 결합된 경우에는 가동부재(20)와 걸림부재(11)가 함께 수평이동하게 되고 걸림부재(11)가 걸림홈(21)에서 이탈되는 경우에는 가동부재(20)와 걸림부재(11)는 체결이 해제되어 서로 분리되어 운동한다.
그리고, 가동부재(20)의 측면에는 안내공(31)의 내부에 위치하여 안내공(31)을 따라 미끄럼운동하는 제1미끄럼부(23)와 제2미끄럼부(24)가 형성된다. 제1미끄럼부(23)와 제2미끄럼부(24)는 도 3에서 도시한 가동부재(20)의 좌측과 우측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안내공(31) 내부에서 작은 마찰력을 받고 이동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원통의 지름은 안내공(31)의 높이와 대략 같거나 다소 작게 함으로써 가동부재(20)가 운동할 때 흔들림없이 안내공(31)을 따라 일정한 궤도를 따라갈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가동부재(20)의 하우징(30) 내부측 단부에는 이탈방지부(26)가 형성된다. 이탈방지부(26)는 제1미끄럼부(23) 및 제2미끄럼부(24)를 사이에 두고 가동부재(20)의 몸체(22)와 대칭되게 마련되며, 가동부재(20)를 이루는 몸체(22) 및 미끄럼부(23, 24)와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30) 내부의 빈 공간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탈방지부(26)는 수직 길이가 안내공(31)의 수직 길이보다 크므로 하우징(30)의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탈방지부(26)와 제1미끄럼부(23)와 제2미끄럼부(24)를 통해 결합되는 가동부재(20)의 몸체(22)도 하우징(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일정한 궤도를 따라 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닫힘구조를 이루는 걸림부재(11)와 가동부재(20)는 서랍(10)의 위치에 따라 결합되거나 해제되는데 이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A-A를 따른 단면도로 하우징(30)의 내부에서 바깥쪽을 바라 본 자동닫힘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좌측은 선반의 후측이고, 우측은 선반의 전방측으로 선반을 열 경우에는 걸림부재(11)가 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선반을 닫을 경우에는 걸림부재(11)가 C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제1미끄럼부(23) 와 제2미끄럼부(24) 가 모두 안내공(31)에 위치하며 걸림부재(11)가 걸림홈(21)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서랍(10)을 열어 걸림부재(11)가 B측으로 이동할 경우, 걸림부재(11)와 결합된 가동부재(20)가 하우징(30) 우측의 걸림부(33)를 향해 수평하게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부재(35)의 일단(35a)이 가동부재(20)를 따라 이동하므로 탄성부재(35)가 신장된다.
도 4는 서랍(10)이 열리면서 걸림부재(11)와 가동부재(20)가 걸림부(33) 측으로 이동하여 제1미끄럼부(23)가 안내공(31)의 단부에 위치하게 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걸림부재(11)와 가동부재(20)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재(11)와 가동부재(20)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걸림부재(11)로부터 가동부재(20)를 우측 방향으로 밀도록 힘이 작용하며 제1미끄럼부(23)가 점차 걸림부(33) 내부로 이동하게 되어 수평하게 위치하던 제1미끄럼부(23)와 제2미끄럼부(24) 사이에 약간의 높이 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2미끄럼부(24)는 B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미끄럼부(23)와 제2미끄럼부(24) 사이에 고정된 스프링에서는 C측으로 하향으로 경사지게 힘이 작용하므로 가동부재(20)에는 시계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1미끄럼부(23)는 안내공(31)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걸림부(33)의 내부를 향해 점차 미끄러져 들어가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5는 서랍(10)이 더욱 열려 제1미끄럼부(23)가 걸림부(33) 내부로 완전히 미끄러져 들어간 상태를 보인 것이다. 제1미끄럼부(23)가 걸림부(33) 내부로 완전히 미끄러져 들어가므로 가동부재(20)가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서 걸림홈(21)의 위치가 점차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걸림홈(21) 내부에 위치하던 걸림부재(11)가 걸림홈(21)으로부터 이탈되어 걸림부재(11)와 가동부재(20)의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랍(10)을 더욱 열어 걸림부재(11)가 B측으로 더 이동하더라도 가동부재(20)는 더 이상 B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즉, 서랍(10)을 더 열더라도 걸림부재(11)가 가동부재(20)로부터 분리되므로 서랍(10)을 열 때 작용되었던 탄성부재(35)에 의한 C방향으로의 탄성력이 더 이상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제1미끄럼부(23)가 걸림부(33) 하부로 완전히 들어가게 되고 가동부재(20)에 걸리는 힘과 모멘트가 평형을 이루게 된다. 그에 따라 탄성부재(35)가 최대로 신장된 상태에서 가동부재(20)가 걸림부(33)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그리고, 다시 서랍(10)을 닫을 경우에는 걸림부재(11)가 C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서랍(10)이 최대로 열린 상태에서는 걸림부재(11)와 가동부재(20)가 최대거리로 이격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식품을 꺼낸 후 다시 서랍(10)을 닫을 때는 걸림부재(11)가 점점 걸림부(33)에 고정된 가동부재(2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일정한 거리 이상 걸림부재(11)가 이동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과 모멘트가 평형을 이뤄 위치고정된 가동부재(20)의 상부를 걸림부재(11)가 치게 되고 그에 따라 모멘트의 평형이 깨져 가동부재(20)가 시계반대방향의 모멘트를 받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가동부재(2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홈(21)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가동부재(20)와 걸림부재(11)가 다시 결합된다.
가동부재(20)와 걸림부(33)의 고정이 해제됨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부재(20)가 C측으로 힘을 받게 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부재(20)와 결합된 걸림부재(11) 및 서랍(10)도 함께 C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서랍(10)이 완전히 닫히게 된다.
따라서 자동닫힘구조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서랍(10)을 여는 데 들어가는 힘은 증가하게 되지만, 서랍(10)을 닫을 때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랍(10) 내부에 특별한 냉각조건이 형성되는 특선실의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로 서랍(10)을 완전히 닫지 못하면 외기가 침입하게 되어 특선실에 한정되어 적용하는 냉각조건이 교란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자동닫힘구조를 적용한다면 사용자가 서랍(10)을 완전히 닫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완전히 닫히게 되므로 특선실이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랍을 여는 거리에 따라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단속적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서랍을 여는 데 큰 힘이 들지 않으면서도 서랍이 확실하게 닫히도록 하며, 서랍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탄성력이 작용되지 않아 물건을 꺼낼 때 서랍을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자동닫힘구조를 특선실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특선실 서랍을 완전히 닫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완전하게 닫히게 되므로 외기가 특선실로 들어오지 않아 특선실의 냉각조건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 하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자동닫힘구조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10: 서랍,
11: 걸림부재, 20: 가동부재,
21: 걸림홈, 23: 제1미끄럼부,
24: 제2미끄럼부, 30: 하우징,
31: 안내공, 33: 걸림부,
35: 탄성부재.

Claims (6)

  1.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내부에 식품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는 서랍;
    상기 서랍이 일정 거리 이하로 열릴 경우 상기 서랍과 함께 이동하고 상기 서랍이 일정 거리 이상 열릴 경우 상기 서랍과 분리되어 위치 고정되는 가동부재;
    일단은 상기 가동부재에 타단은 상기 저장실 벽에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가 일정한 궤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며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가동부재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안내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안내공을 따라 일정한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의 전방 단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서랍이 일정 거리 이상 열릴 경우,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서랍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의 측면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걸림부재와 걸림과 분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이며,
    상기 서랍의 내부에는 상기 냉장실 내부와 다른 조건으로 별도로 제어되는 특선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4-0029727A 2004-04-28 2004-04-28 냉장고 Expired - Fee Related KR100535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727A KR100535831B1 (ko) 2004-04-28 2004-04-2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727A KR100535831B1 (ko) 2004-04-28 2004-04-28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342A KR20050105342A (ko) 2005-11-04
KR100535831B1 true KR100535831B1 (ko) 2005-12-12

Family

ID=3728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7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5831B1 (ko) 2004-04-28 2004-04-2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8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128B1 (ko) 2015-10-02 2022-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63790B1 (ko) * 2016-06-07 202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677519B2 (en) 2015-10-02 2020-06-0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491227B1 (ko) * 2016-04-01 2023-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장치
KR102607011B1 (ko) * 2018-10-01 2023-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13566485B (zh) * 2021-09-06 2025-02-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抽屉组件及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342A (ko) 200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4392C1 (ru) Холодильник
KR100857605B1 (ko) 냉장고
KR101618129B1 (ko) 냉장고
US9217602B2 (en) Refrigerator
US20110095670A1 (en)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of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196314B1 (ko) 냉장고
KR102388156B1 (ko) 도어가드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70052410A (ko) 냉장고
KR20110009437A (ko) 냉장고
KR100535831B1 (ko) 냉장고
JPH06257935A (ja) 貯蔵庫
KR101869556B1 (ko) 냉장고
KR102614492B1 (ko) 냉장고
KR100836844B1 (ko) 반자동 덮개가 형성된 서랍식 저장실을 포함하는김치저장고
KR102491969B1 (ko) 냉장고
KR102143016B1 (ko) 냉장고 바스켓
KR200202232Y1 (ko) 김치냉장고
KR20210037913A (ko) 높이 조절 냉장고 선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JP2008039295A (ja) 冷凍冷蔵庫
KR200333789Y1 (ko) 슬라이딩 레일의 스토퍼
KR20050017603A (ko) 슬라이딩 레일의 스토퍼
KR101662942B1 (ko) 냉장고
KR20110117333A (ko) 냉장고
KR100229192B1 (ko) 냉장고
KR200340653Y1 (ko) 양문 개폐형 냉장고의 홈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