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3817B1 - 비틀림 잠금식 고압 퀵 커넥터 - Google Patents

비틀림 잠금식 고압 퀵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817B1
KR100533817B1 KR10-2003-7008665A KR20037008665A KR100533817B1 KR 100533817 B1 KR100533817 B1 KR 100533817B1 KR 20037008665 A KR20037008665 A KR 20037008665A KR 100533817 B1 KR100533817 B1 KR 100533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clip
channel
quick connector
spo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7727A (ko
Inventor
워커다니엘에이치
Original Assignee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6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81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5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60T17/043Brake line couplings, air hoses and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퀵 커넥터는 유체 도관에 고정 장착되는 스풀 형태의 수형 구성 요소와, 이 수형 구성 요소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일단부가 개방된 보어를 갖는 하우징 형태의 암형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스풀 상에는 래치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채널에 대한 제1 장착 위치와, 래치를 하우징 내에 래칭시키도록 래치가 채널의 대향 노치와 맞물리는 제2 래칭 위치 사이에서 암형 구성 요소의 횡방향 채널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래치 상에 적어도 하나의 래치 클립이 장착되어 본체에 있는 채널의 가장자리와 맞물릴 수 있어 래칭 위치로부터의 래치의 회전을 저지한다. 선택적인 제2 래치 클립이 래치 클립, 래치 및 채널의 대향 측부 가장자리와 맞물릴 수 있어 래칭 위치로부터의 래치의 회전을 추가로 저지한다.

Description

비틀림 잠금식 고압 퀵 커넥터{TWIST LOCK HIGH PRESSURE QUICK CONNECTOR}
본 발명은 차량의 브레이크 라인과 같은 유체 도관 시스템에 사용되는 고압 퀵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스냅식 끼워맞춤 커넥터나 퀵 커넥터는 광범위한 용례에 유용하다고 판명되었다. 특히, 퀵 커넥터는 자동차 용례 및 산업 용례에서 유체 운반 도관을 결합하는 데 흔히 사용된다. 그러한 퀵 커넥터는 통상 자동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의 단축 운동으로 폐쇄될 수 있고, 제조하는 데 비교적 값이 저렴한 간단한 구성을 수반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용 가능하다고 판명되었다.
퀵 커넥터의 다른 장점으로는 가솔린과 같은 휘발성 유체나 유해한 유체를 취급하는 효과적인 시일을 제공하는 동시에, 호스트 시스템의 정비 동안에 분해 및 재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유해한 물질이 퀵 커넥터를 통해 흐르는 용례, 예컨대 자동차 브레이크 라인에서는, 퀵 커넥터가 예기치 않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주요 관심사이다. 따라서, 축선 방향의 인발 강도 사양이 비교적 크게 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삽입력이 작은 것이 요구된다.
현재, 브레이크 라인과 같은 많은 고압 용례에서는, 연결 수단으로서 나사식 연결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나사식 연결구는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으면, 나사선이 엇갈릴 수가 있다. 또한, 토크가 과도하게 인가되면, 오버 스레딩(over threading)이 발생할 수도 있다. 나사선 엇갈림이나 오버 스레딩의 결과로서, 나사선이 제거되면 커넥터를 폐기하거나 교체해야 한다.
현재의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차량의 조립 공정 중에 브레이크 라인이 브레이크 매니폴드나 정션(junction)에 연결된다. 종래 기술의 나사식 연결부들은 함께 밀접하게 배치되어 조립 시간 및 노동력 뿐만 아니라 에러 가능성이 증가된다.
고압 용례에 나사식 연결부를 사용하는 퀵 커넥터와 관련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러한 커넥터는 통상 긴 관이나 도관의 단부 상에 연결되는 수형 연결구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수형 연결구 본체에는 암형 구성 요소 하우징의 대응하는 보어 내에 수형 연결구 본체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게 하는 압축 위치와 수형 연결구 본체를 보어 내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리테이터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환형 오목부가 있다. 수형 연결구 본체가 대응하는 암형 구성 요소 하우징 내에 안착되는 것에 응답하여 잠금 부재가 리테이너를 해제 위치에 유지한다. 수형 연결구 본체가 암형 구성 요소 하우징의 보어 내에 안착될 때까지 리테이너를 압축 위치에 유지하도록 팝 상부가 수형 연결구 본체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린다.
본 발명에서는, 공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방식으로 퀵 커넥터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는 고압 유체 용례, 특히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용 퀵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선 방향 인발 강도가 크고 삽입력이 작은 그러한 퀵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빈번한 나사선 엇갈림이나 오버 스레딩의 결과에 따른 폐기를 감소시키도록 나사식 연결부를 제거한 퀵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콤팩트한 구성을 갖고 있어 복수 개의 퀵 커넥터가 하나의 유체 매니폴드 내에 쉽게 장착될 수 있는 고압 퀵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퀵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로 도시된 도 1의 퀵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로 도시된 도 1 및 도 2의 퀵 커넥터의 부분 분해 종단면도.
도 4는 암형 구성 요소 하우징 내에 초기 장착 위치에서 관, 스풀, 래치 및 래치 클립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암형 구성 요소 하우징 내에서 90°회전된 위치에 있는 래치를 도시하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와 유사하지만, 도 5에 도시된 주요 래치 및 클립 위에 제2 래치가 장착되어 있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립 상태의 퀵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퀵 커넥터의 매니폴드 조립체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매니폴드 조립체와 퀵 커넥터의 종단면도.
본 발명은 고압 유체 용례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퀵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한 가지 양태에 있어서, 퀵 커넥터는, 제1 단부가 있는 도관과, 이 도관의 제1 단부에 고정 연결된 스풀을 포함하고 상기 도관이 장착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와;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보어가 있는 본체와, 관통 보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과, 이 채널의 양측부 상에 형성된 대향 오목부를 포함하는 암형 커넥터 또는 암형 구성 요소와; 도관 위로 장착 가능한 구멍과, 래치가 제1 치수 배향 위치에서 채널 내에 삽입되어 대향 측부 가장자리가 본체의 오목부와 맞물리는 제2 치수 배향 래칭 위치로 회전되게 하는 큰 치수와 작은 치수의 주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래치와; 래치와 맞물릴 수 있어 제2 래칭 위치로부터의 래치의 회전을 저지하는 래치 클립을 구비한다.
상기 래치는 이 래치로부터 연장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래치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 탭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핑거 탭이 래치로부터 연장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래치의 양방향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의 주변 가장자리는 길이가 긴 대향된 측부 가장자리와 길이가 짧은 대향된 측부 가장자리가 있는 거의 장방형을 형성한다.
래치 클립은, 거의 U자형의 외측 링을 갖는 본체와, 상기 외측 링의 양단부로부터 직립되어 있는 말단 포스트와, 상기 외측 링의 내측에 구비되어 래치 클립을 스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시키도록 스풀과 맞물릴 수 있는 소정 간격을 두고 있는 한쌍의 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 링의 말단 포스트는 본체에 있는 채널의 대향 가장자리와 맞물릴 수 있어 본체에 대한 래치 클립과 래치의 회전을 저지한다.
본 발명의 퀵 커넥터는 래치 클립 및 래치와 맞물릴 수 있어 래치의 제2 래칭 위치로부터의 래치 클립과 래치의 회전을 추가로 저지하는 제2 래치 클립을 필요에 따라 포함한다. 상기 제2 래치 클립은, 유체 도관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는 중앙 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어 래치 상의 핑거 탭 및 래치 클립 상의 말단 포스트와 맞물릴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채널 내에 비회전식으로 안착될 수 있어, 본체 및 이 본체의 구멍이 래치 상의 핑거 탭과 래치 클립 상의 말단 포스트와 협동하여 제2 래칭 위치로부터의 래치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을 보조한다.
본 발명의 특유한 퀵 커넥터는 고압 용례에 사용하는 데 적합하며, 비틀림 래칭 운동을 활용하여 퀵 커넥터의 수형 구성 요소를 암형 구성 요소 하우징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퀵 커넥터는 작은 콤팩트 형상을 갖고 있지만, 래치 부재에 대한 용이한 접근성을 래치 부재의 래칭 및 언래칭 회전에 제공한다. 수형 구성 요소가 암형 구성 요소로부터 예기치 않게 분리될 수 있는 래칭 위치로부터의 래치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래치 클립이 제공된다. 선택적인 제2 또는 여분의 래치 클립이 또한 제공되어 퀵 커넥터의 암형 구성 요소에 수형 구성 요소를 확고하게 래칭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이점 및 기타 용도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참고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10)는 복수 개의 구성 요소들, 즉 하우징(12)과, O-링(14) 형태의 시일 요소 및 상부 모자부(16)를 포함하는 암형 커넥터 구성 요소와, 유체 도관 또는 관(20)이 구비된 스풀(18), 래치(22), 래치 클립(24) 및 선택적인 제2 래치 또는 여분의 래치(26)를 포함하는 수형 커넥터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하우징(12)은 매니폴드, 밸브 본체, 액츄에이터 등에 일체화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하우징, 밸브 본체, 액츄에이터, 매니폴드 등과 유체 연통하도록 부착 가능한 별개의 본체 형태일 수도 있다. 자립체 또는 단일체에 통합되는 하우징(12)의 중요한 특징은 도 3에 도면 부호 28로 전체적으로 나타낸 관통 보어와, 하우징(12)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양쪽에 노치 또는 오목부가 있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30)이다.
상기 관통 보어(2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보어(28)의 양단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있는 원하는 위치에 상부 모자부(16)와 O-링 시일(14)을 수용하여 고정 유지하는 단차식 다직경 단면 형태이다. 관통 보어(28)의 단부 또는 말단 구멍 부분(32)은 하우징(12)의 본체 상에 단순히 일례로만 도시되어 있는 긴 스템(34) 내에 대체로 형성되어 있다. 일체식 하우징, 밸브 본체, 액츄에이터, 매니폴드 등에 관통 보어(28)를 형성하는 것에는 일반적으로 긴 스템(34)이 포함되지 않는다.
채널(30)은 관통 보어(28)의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본체의 제1 단부(36)에 형성된다. 채널(30)에는 치수가 확장된 노치(38)가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 노치는 양쪽 가장자리(41)에 형성된 치수가 작은 단부 슬롯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소정 간격을 두고 있다. 상기 슬롯(40)은 본체(12)의 제1 단부(36)을 통해 개방되어 있다. 노치(38)는 관통 보어(28)의 일단부에서 내벽(39)을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요소는 도 1과 도 3에 보다 바람직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1개 또는 복수 개의 O-링이거나, 하우징(12)에 있는 단차식 관통 보어(28)의 적절한 치수 부분에 장착되는 이중 로브 O-링을 포함할 수도 있는 O-링(14)의 형태이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O-링(14)이 관통 보어(28)에서 원하는 위치에 안착된다. 상부 모자부(16)는 이 상부 모자부(16)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관통 보어(28)의 중간 부분을 따라 하우징(12) 내에 형성된 얕은 오목부 내에 스냅 체결되는 외향 연장형 탭(42)에 의해 관통 보어(28) 내에 고정 장착된다. O-링(14)과 상부 모자부(16)에는 모두 중앙 보어가 있는데, 이 중앙 보어의 크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18)의 적절한 크기의 단차부를 수용하도록 정해진다.
스풀 또는 연결구(18)는 양단부를 통해 연장되는 관통 보어(50)가 있는 고형 부재의 형태이다. 상기 스풀(18)에는, 예컨대 일정 직경의 제1 단부(52)와, 직경이 약간 큰 중간부(54)와, 평탄한 단부면(58)에서 종결되고 직경이 약간 더 큰 제2 단부(56)가 형성되어 있다. 관형 슬리브(59)는 단부면(58)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내부에 외측으로 개방된 환형 홈(5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풀(18)의 관통 보어(50)는 유체 도관 또는 관(20)을 편안하게 수용한다. 도관(20)의 단부(60)는 단일벽이거나 접혀진 이중벽 형태일 수 있고, 그 각각의 단부 형상은 도 3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을 향해 벌어져 있다. 스풀(18)의 외측 단부(62)는 도관(20)을 스풀(18) 내에 고정 유지하도록 도관(20)의 단부(60) 위에 끼워맞춰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18)이 하우징(12) 내에 장착되는 경우, 관(20)에 있는 관통 보어의 단부는 하우징(12)의 스템(34)에 있는 단부 보어(32)와 거의 축선 방향 정렬 상태로 배치되어 도관(20)을 적어도 하우징(12)에 있는 관통 보어(28)의 단부와 유체 흐름이 연통하도록 배치한다.
래치(22)는 바람직하게는 강과 같은 적절한 강도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스탬핑에 의해 형성된다. 래치(22)는 관(20) 둘레에 장착하기 위한 중앙 구멍(70)이 있는 거의 평면형의 베이스(68)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조의 형태에서, 베이스(68)는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68)는 길이가 긴 큰 치수의 2개의 측부 가장자리(72, 74)와, 길이가 짧은 작은 치수의 2개의 측부 가장자리(76, 78)로 구성되는 거의 장방형 또는 사각형이 아닌 다각형 형태를 갖는다.
한쌍의 핑거 탭(80)이 적절한 수단, 예컨대 용접 등에 의해 베이스(68)에 고정 부착되는 개별 부재로서 또는 베이스(68)와 일체인 만곡부로서 베이스(68)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핑거 탭(80)은 베이스(68)의 평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베이스(68)에 대해 거의 수직하게 돌출된다. 각 핑거 탭(80)은 포스트(82)와, 이 포스트(82)로부터 경사지게, 바람직하게는 수직하게 돌출되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래치(22)의 회전 운동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외측의 사용자 결합용 탭(84)으로 구성된다.
클립 또는 래치 클립(24)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래치(22)가 하우징(12)의 래칭 위치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클립(24)은 바람직하게는 스탬핑된 강으로 형성되며, 얇은 아치형 링 형태의 U자형 외측 링(88)을 포함하는데, 이 링은 링(88)의 각 불연속 단부에 있는 확장된 말단 포스트(90)에서 종결된다. 2개의 아암(92)이 U자형 외측 링(88) 내에 일체로 설치되어, 외측 링(88)의 중앙부로부터 말단 포스트(90) 사이에 있는 링(88)의 개방 단부를 향해 돌출된다. 각 아암(92)에는 스풀(18)의 관형 슬리브(59)에 있는 환형 홈(57) 둘레에 스냅 체결되도록 형성된 아치형 단부가 있다. 이 스냅 결합은 스풀(18) 상에 클립(24)을 고정시키는 한편, 보다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클립(24)이 스풀(18)의 길이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한다.
이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퀵 커넥터(10)의 조립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부재(14)와 상부 모자부(16)가 하우징(12)의 관통 보어(28) 내에 먼저 고정 배치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관(20)이 스풀(18)의 제1 단부(60)에 고정 장착된다.
다음에, 래치(22)의 베이스(68)에 있는 중앙 구멍(70)을 스풀(18)의 관형 슬리브(59) 둘레에 배치하고 관(20) 둘레의 슬리브(59)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래치(22)가 스풀(18)의 관형 슬리브(59) 둘레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18)의 관형 슬리브(59)에 있는 홈(57)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아암(92) 사이의 스냅 결합에 의해 클립(24)이 스풀(1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조립된 구조에서, 클립(24) 상의 핑거 탭(80) 중 하나는 클립(24)의 U자형 외측 링(88)의 중앙 바로 가까이에 있는 클립(24) 상의 아암(92)의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클립(24)과 래치(22)가 스풀(18)의 길이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스풀(18)에 고정된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것처럼 그들의 조립 위치에 장착된 스풀(18), 유체 도관 또는 관(20), 래치(22) 및 클립(24)에 의해, 스풀(18)의 단부는 래치(22)의 베이스(68)가 하우징(12)에 있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30)의 평탄한 내벽(39) 상에 안착할 때까지 하우징(12)의 관통 보어(28) 내로 삽입된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30)의 슬롯(40)의 폭이 좁기 때문에, 래치(22)는 큰 치수의 측부(72, 74)가 슬롯(40)의 양쪽 벽(41)과 정렬될 때에만 채널(30)의 슬롯(40)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22)가 채널(30)의 내벽면(39) 상에 안착되는 경우에, 클립(24)의 말단 포스트(90)가 하우징(12)에 있는 슬롯(40)의 내벽(41)과 근접하거나 거의 결합 상태로 배치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력이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핑거 탭(80)에 인가되어 래치(22)를 도 4에 도시된 제1 장착 위치로부터 도 5와 도 7에 도시된 제2 래칭 위치로 회전시킨다.
그러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래치(22)의 회전 중에, 작은 측부 가장자리(76, 78)는 하우징(12)에 있는 채널(30)의 노치(38) 내로 활주되고, 큰 측부 가장자리(72, 74)는 한쌍의 노치(38) 사이에서 가로로 연장된다.
또한, 그러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래치(22)의 회전 중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24)의 일단부는 말단 포스트(90) 중 하나가 하우징(12)에 있는 슬롯(40)의 내벽(41)을 따라 활주 이동하기 때문에 만곡 작용을 받는다. 이 만곡 작용은 이동하는 말단 포스트(9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40)의 내벽(41)에 맞닿는 고정 위치에 놓일 때까지 클립(24)의 외측 링(88)의 단부 레그의 만곡을 발생시킨다. 클립(24)의 이 위치에서, 대향하는 말단 포스트(90)는 또한 슬리브(40)의 동일 내벽(41)과 근접 상태로 배치된다. 이 위치에서 말단 포스트(90)는 하우징(12)에 있는 채널(30)의 슬롯(40)의 인접한 내벽(41)과 협동 관계로 배치되어 상당히 큰 힘이 핑거 탭(80)에 인가되지 않는 한 클립(24)과 래치(22)의 추가 회전을 저지한다.
따라서, 클립(24)은 관(20)을 비롯한 수형 구성 요소가 암형 구성 요소 하우징(12)으로부터 예기치 않게 분리될 수 있는 래치(22)의 회전 또는 비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클립(24)은 또한 하우징(12)의 노치(38) 내에 완전히 안착되는 래치(24)의 베이스(68)의 단부에 의해 래치(22)가 완전히 래칭된 제2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관(20)을 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말단 포스트(90)에 인가된 압착력에 의해 클립(24)의 외측 링(88)의 단부들을 서로를 향해 압착하거나 가압한다. 동시에, 핑거 탭(80)을 잡아 도 5에 도시된 배향에서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2에 도시된 제1 위치로 다시 래치(22)의 베이스(68)를 회전시킨다. 제1 위치에서, 관(20), 스풀(18), 래치(22) 및 클립(24)은 손의 압력에 의해서만 하우징(12)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래치(22)가 제2 래칭 위치로부터 예기치 않게 회전되지 않는 것을 추가로 보장하는 제2 래치 클립(26)이 필요에 따라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래치 클립(26)은 Dupont 408L 또는 등가물과 같이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원피스 본체 형태이다. 제2 래치 클립(26)에는 평탄한 벽(100)이 있으며, 이 벽으로부터 절두 원추형 부분(102)이 돌출된다. 상기 절두 원추형 부분(102)의 단부에는 제2 클립(26)을 관(20) 둘레에 장착하기 위한 구멍(10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두 원추형 부분(102)의 측벽에는 벽(100)을 통해 슬롯(106)이 형성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치(22)에 의해 관(20)이 하우징(12)에 장착된 후에 제2 클립(26)이 관(20) 둘레에 장착될 수 있게 한다.
제2 래치(26)의 벽(100)은 이 벽(100)의 양단부에 대향 슬롯(108, 110) 쌍의 형태인 래치면을 포함한다. 슬롯(108) 중 하나와 슬롯(110) 중 하나의 크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래치 클립(24) 상의 말단 포스트(90)의 하나의 레그와 로킹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정해진다.
제2 래치 클립(26)의 벽(100)에는 또한 각 아암(112)과 절두 원추형 부분(102) 사이에 노치(114)를 형성한다. 상기 아암(112) 및 대응하는 노치(11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 탭(80)의 포스트(82)를 수용하여 그 포스트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미리 조립된 퀵 커넥터(10)의 수형 구성 요소와 암형 구성 요소에 제2 래치 클립(26)을 장착할 때에, 제2 래치 클립(26)은 서로 정합하는 제1 래치 클립(24) 상의 말단 포스트(90)와 절두 원추형 부분(102)을 관(20) 둘레로 이끄는 핑거 탭(80) 상의 포스트(82)를 중심으로 여러 슬롯(108, 110)과 아암(112)을 활주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12)의 크기에 비해 길이가 상당히 긴 관(20)에 계속해서 관(20)의 둘레에 제2 래치 클립(26)이 미리 조립된 퀵 커넥터(10)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장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래칭 위치에서 외측 단부벽(132, 134)이 하우징(12)에 있는 슬롯(40)의 대향 벽(41)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래치 클립(26), 제1 래치 클립(24) 및 래치(22)의 회전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퀵 커넥터(10)의 수형 구성 요소를 암형 구성 요소로부터 분리하는 데에는 제2 래치 클립(26)을 제1 래치 클립(24)과 래치(22)로부터 비틀어 느슨하게 하는 것과 같은 초기 분리가 필요하게 된다. 제2 래치 클립(26)이 일단 분리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핑거 탭(80)을 잡아 래치(22)를 제2 래칭 위치로부터 다시 제1 언래칭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전술한 퀵 커넥터(10)는 작은 콤팩트 크기를 갖고 있지만, 래치(22)의 용이한 비틀림 회전을 제공하여 수형 구성 요소가 암형 구성 요소(12)에 쉽게 장착되고 쉽게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콤팩트 크기와 래치(22)의 용이한 회전 접근성으로 인해 동일한 구조의 복수 개의 퀵 커넥터(10)가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매니폴드(120) 내에 병렬 배열로, 거의 축선 라인에 장착될 수 있다.
매니폴드(120)는 본체(12)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지만, 복수 개의 퀵 커넥터(10)를 수용하도록 전장이 보다 길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매니폴드(120)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채널(122)이 내부에 형성된 긴 원피스 본체로 형성된다. 채널(122)에는 내벽(124)과, 대향 노치(126)와, 이 노치(126)의 단부벽 사이의 폭보다 폭이 작은 내측 가장자리(128)가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120)에는 본체(12)의 보어(28)와 각각의 형태가 거의 동일한 복수 개의 보어(130)가 단일 라인, 인접한 열 등과 같은 임의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매니폴드(120) 내의 각각의 보어(130) 내에 퀵 커넥터(10)의 구조, 삽입, 래칭, 언래칭 및 분리는 단일 커넥터(10)에 대해 전술하고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퀵 커넥터(10)의 융통성은 일례로 서로에 대해 180°편향 상태에서 래치(22)가 매니폴드(120) 내에 장착되는 매니폴드(120)의 가장 좌측의 2개의 퀵 커넥터(10)에 의해 증명된다. 이에 의해, 가장 좌측에 있는 한쌍의 퀵 커넥터(10)의 각 래치(22) 상에서 핑거 탭(80)의 양방향 비틀림 회전이 반대 방향으로 발생된다.
도 8의 매니폴드(120)의 좌측단으로부터 제3 퀵 커넥터(10)는 본 발명의 퀵 커넥터의 특징 및 조립을 명백하게 이해하도록 제2 래치 클립(26)이 없는 부분 조립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3 퀵 커넥터(10)는 래치(22)의 작은 측부 가장자리가 채널(122)의 노치(126)와 맞물림 상태로 회전되어 있는 제2 래칭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는 제2 래칭 위치로 회전되기 전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언래칭 위치에 도시되어 있는 매니폴드(120)의 가장 우측단의 퀵 커넥터(10)의 위치와 대비된다.
요약하면, 비틀림 래칭 운동을 활용하여 퀵 커넥터의 수형 구성 요소를 암형 구성 요소 또는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압 용례에 적합한 특유한 퀵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퀵 커넥터는 작은 콤팩트 형상을 갖고 있지만, 래치 부재에 대한 용이한 접근성을 래치 부재의 래칭 및 언래칭 회전에 제공한다. 수형 구성 요소가 암형 구성 요소로부터 예기치 않게 분리될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래치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래치 클립이 제공된다. 선택적인 제2 또는 여분의 래치 클립이 또한 제공되어 본 발명의 퀵 커넥터의 암형 구성 요소에 수형 구성 요소를 완벽하게 래칭하는 것을 보장한다.

Claims (9)

  1. 제1 단부가 있는 도관과, 이 도관의 제1 단부에 고정 연결된 스풀을 포함하고, 상기 도관이 장착되어 있는 수형 구성 요소와,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보어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보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대향 측벽이 있는 채널과, 이 채널의 대향 측벽 상에 형성되고 상기 측벽으로부터 내벽을 향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대향 노치를 포함하는 암형 구성 요소와,
    도관 위로 장착 가능한 구멍이 있는 베이스와, 래치가 제1 장착 위치에서 채널 내에 안착되어 베이스의 대향된 주변 측부 가장자리가 본체의 노치와 맞물리는 제2 래칭 위치로 회전되게 하는 주변 측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래치와,
    래치 및 채널의 측벽과 맞물릴 수 있어 제2 래칭 위치로부터의 래치의 회전을 저지하는 래치 클립
    을 구비하는 것인 퀵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서의 래치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핑거 탭을 더 구비하는 것인 퀵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서의 래치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2개의 핑거 탭을 더 구비하는 것인 퀵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주변 측부 가장자리는 대향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있는 큰 치수의 측부 가장자리와 대향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있는 작은 치수의 측부 가장자리가 있는 거의 장방형을 형성하는 것인 퀵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보어 내에 장착되어 스풀을 본체에 밀봉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시일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인 퀵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클립은 제2 래칭 위치에서 래치와 채널의 측벽 사이에 결합되는 것인 퀵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클립은,
    불연속 부분이 소정 간격을 두고 있는 단부를 형성하는 거의 U자형의 외측 링을 갖는 본체와,
    상기 외측 링의 단부로부터 직립되어 있는 말단 포스트와,
    상기 외측 링의 내측에 구비되어 래치 클립을 스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시키도록 스풀과 맞물릴 수 있고, 래치 상의 핑거 탭 중 하나를 포위하여 래치 클립을 래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소정 간격을 두고 있는 한쌍의 아암
    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링의 말단 포스트는 본체에 있는 채널의 대향 측벽과 맞물릴 수 있어 본체에 대한 래치 클립과 래치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인 퀵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클립, 래치 및 채널의 측부와 맞물릴 수 있어 래치의 제2 래칭 위치로부터의 래치 클립과 래치의 회전을 저지하는 여분의 래치 클립을 더 구비하는 것인 퀵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래치 클립은,
    도관을 둘러싸는 중앙 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어 래치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핑거 탭 및 래치 클립과 맞물릴 수 있는 구멍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채널 내에 비회전식으로 안착될 수 있어, 본체 및 이 본체의 구멍이 래치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핑거 탭, 래치 클립 및 채널의 측벽과 협동하여 제2 래칭 위치로부터의 래치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인 퀵 커넥터.
KR10-2003-7008665A 2000-12-27 2001-12-03 비틀림 잠금식 고압 퀵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533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48,892 2000-12-27
US09/748,892 US6557903B2 (en) 2000-12-27 2000-12-27 Twist lock high pressure quick connector
PCT/US2001/046386 WO2002052185A2 (en) 2000-12-27 2001-12-03 Twist lock high pressure quick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727A KR20030067727A (ko) 2003-08-14
KR100533817B1 true KR100533817B1 (ko) 2005-12-07

Family

ID=2501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66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3817B1 (ko) 2000-12-27 2001-12-03 비틀림 잠금식 고압 퀵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57903B2 (ko)
EP (1) EP1348088B1 (ko)
KR (1) KR100533817B1 (ko)
CN (1) CN1735766A (ko)
AU (1) AU2002225904A1 (ko)
DE (1) DE60119577T2 (ko)
WO (1) WO200205218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2805A (zh) * 2013-11-06 2015-11-25 利富高(韩国)股份有限公司 快速连接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1725B2 (en) * 2001-11-20 2005-02-08 Cooper Technology Services, Llc Secondary retention clip for fluid tube connection
JP4055004B2 (ja) * 2002-09-30 2008-03-0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回り止め具
NO20051920L (no) * 2005-04-20 2006-10-23 Kongsberg Automotive As Utloserklips.
FR2935167A1 (fr) 2008-08-20 2010-02-26 Legris Sa Raccord en deux parties reliees par baionette, partie de corps d'un tel raccord et procede de renforcement de la liaison de parties de corps d'un tel raccord
US8764068B2 (en) 2012-05-10 2014-07-01 Moen Incorporated Quick connect coupling with retention feature
FR3017687B1 (fr) * 2014-02-14 2016-09-09 Sartorius Stedim Fmt Sas Connecteur fluidique avec bague de verrouillage.
CN111805142B (zh) * 2020-07-14 2021-11-23 南京佩尔哲汽车内饰系统有限公司 一种可快速更换压头结构的压紧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216A (en) * 1896-11-10 Automatic pipe-coupling device
US4610468A (en) * 1984-08-14 1986-09-09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Quick connect/disconnect coupling
US5028080A (en) * 1989-09-18 1991-07-02 Handy & Harman Automotive Group, Inc. Quick connect coupling
US5538297A (en) * 1991-09-10 1996-07-23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 tubing connector
US5374089A (en) 1992-09-29 1994-12-20 Itt Industries Inc. High pressure quick connector
US5342095A (en) 1992-09-29 1994-08-30 Itt Corporation High pressure quick connector
US5425558A (en) 1993-08-17 1995-06-20 Handy & Harman Automotive Group, Inc. Quick-connect coupling
US5794984A (en) * 1993-11-16 1998-08-18 Proprietary Technology, Inc. Quick connector
US5533761A (en) * 1994-10-26 1996-07-09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release member
US5542716A (en) 1994-11-04 1996-08-06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snap-on retainer
US5730481A (en) 1994-11-04 1998-03-24 Itt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retainer
US5551732A (en) * 1995-02-14 1996-09-03 Proprietary Technology, Inc. Quick connector
US5951063A (en) 1995-06-07 1999-09-1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retainer having enhanced engagement
US5711549A (en) 1995-06-07 1998-01-27 Itt Automotive, Inc. High pressure quick connect for use in automotive brake system application
US5782502A (en) 1995-12-29 1998-07-21 Itt Automotive, Inc. Radial-release quick connector
US6170886B1 (en) * 1996-05-14 2001-01-09 Proprietary Technology, Inc. Quick connector
US5882049A (en) 1996-12-18 1999-03-16 Itt Automotive, Inc. High pressure quick connect with reduced volumetric displacement and piloted snap ring
US5863077A (en) 1996-12-20 1999-01-26 Itt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frangible retainer
US6113151A (en) * 1998-01-27 2000-09-0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High pressure quick connect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US6293596B1 (en) * 1999-01-06 2001-09-2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Quick connector with after incident indicator cli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2805A (zh) * 2013-11-06 2015-11-25 利富高(韩国)股份有限公司 快速连接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727A (ko) 2003-08-14
EP1348088B1 (en) 2006-05-10
US6557903B2 (en) 2003-05-06
DE60119577D1 (de) 2006-06-14
US20020079698A1 (en) 2002-06-27
WO2002052185A2 (en) 2002-07-04
AU2002225904A1 (en) 2002-07-08
CN1735766A (zh) 2006-02-15
EP1348088A2 (en) 2003-10-01
DE60119577T2 (de) 2006-09-14
WO2002052185A3 (en)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3432A (en) Snap in cable connector
US6335488B1 (en) Snap in cable connector
US6929032B2 (en) Manifold
JP5008318B2 (ja) 回転止めクイックコネクタ
US5480193A (en) Clamp for push-on couplings
EP1554516B1 (en) Low profile fluid quick connector
US6682100B2 (en) Connection block with clip
US6905143B2 (en) Fluid conduit quick connector and stuffer pack
KR100533817B1 (ko) 비틀림 잠금식 고압 퀵 커넥터
HU224608B1 (hu) Csőcsatlakozó szerkezet
KR20050054866A (ko) 파이프 조인트
EP0946841A1 (en) Push-to-release quick connector
JP2007278508A (ja) ハイブリッド急速継手
EP1318339B1 (en) Manifold for solenoid-operated valve
US12181090B2 (en) Elastic plug-in connector
TW499554B (en) Plug connection device for conduits
US6318765B1 (en) Serviceable mounting device for conduit
US6318762B2 (en) Piping structure
CN112393023B (zh) 一种管夹
KR100434375B1 (ko) 배관 연결 장치
US20220268373A1 (en) Quick connector with bracket retainer
JP3534282B2 (ja) ホースコネクタ
JP2000218821A (ja) 流体カップリング及び取り付け構造体
JP3401671B2 (ja) 管状体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6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