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2676B1 -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676B1
KR100532676B1 KR20030055547A KR20030055547A KR100532676B1 KR 100532676 B1 KR100532676 B1 KR 100532676B1 KR 20030055547 A KR20030055547 A KR 20030055547A KR 20030055547 A KR20030055547 A KR 20030055547A KR 100532676 B1 KR100532676 B1 KR 100532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base station
specific
manag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5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7256A (ko
Inventor
박흥식
Original Assignee
(주) 기산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기산텔레콤 filed Critical (주) 기산텔레콤
Priority to KR2003005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676B1/ko
Publication of KR20050017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676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기지국과 무선 연결되어 있으며, 일정 범위의 통신 영역을 관할하는 소정의 커버리지 영역을 포함하고, 커버리지 영역의 임의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관할 기지국 정보를 추출하고, 기지국 정보를 통해 기지국과 동기화시키고, 커버리지 영역에 진입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액세스 채널에서 위치등록신호를 추출하고, 위치등록신호를 기초로 방문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여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와;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방문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기 가입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고, 확인된 단말기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특정 부가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관리하고,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데이터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관리장치와; 관리장치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방문을 허가하거나 등록된 단말기 정보 및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 요청시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송출하고, 특정 경로를 통해 입수된 특정 단말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특정 부류별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말기 정보 관리 DB와;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장치의 요청시 해당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고객 DB; 및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관리장치의 요청에 따라 특정 이동 단말기로 소정의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고, 단문 메시지의 전달 내역을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SMS 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관할 기지국과 동기화시킨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를 특정 지역에 설치하고, 해당 지역으로 진입되는 단말기에서 송출된 특정 신호(예컨대, 위치등록신호)를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로 수신하여 해당 지역을 방문한 단말기를 인지하고, 인지된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단말기 소지자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가 원하는 특정인에게 특정 부가 서비스(예컨대, SMS 서비스, 광고, 이벤트 설명 등)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Visitors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가 설치된 특정 지역에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방문할 때, 이동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위치등록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방문자의 방문사실을 인지하고, 방문자 정보를 파악하여 방문자 성향에 적합한 부가 서비스(예컨대, SMS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 통신 서비스가 널리 확산됨에 따라 거의 대부분의 사람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서비스는 기본적인 음성통화, 문자/음성 메시지 전송에 이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위치추적 서비스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는 홈위치 등록기(HLR)에 등록된 셀 위치를 이용하는 방법과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가 있는 셀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셀의 반경 정도, 즉 수 km 정도의 오차를 가지므로 정확한 위치추적이 어려우나, GPS, DGPS(Differnetial GPS) 시스템을 이용하면 수 m 내지 수십 m 정도의 오차를 가지는 비교적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퀄컴(Qualcomm)사의 CDMA 모뎀칩인 MSM 3300에 'gpsOne'이라는 GPS 측위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이를 장착한 단말기(예컨대, 이동 통신 단말기, 기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를 통해 기지국 또는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한 위치 확인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단말기 등에 부여된 GPS 기능은 단순한 위치 정보, 시각만을 자신이 확인할 수 있을 뿐, 이를 이용한 여러 서비스에 대해서는 아직 미진하다. 또한, 기존의 위치 추적 서비스는 특정 단말기의 위치를 알고자 하는 상대방에게 특정 정보(예컨대, 단말기 번호, 서비스 인증 등)를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개인 신상 정보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특정 장소에 방문하는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알기 위해서는 모든 단말기 소지자와 위치 추적 서비스에 대한 소정의 계약을 맺은 상태에서 각 단말기 소지자의 위치 정보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특정 지역에 진입되는 단말기 가입자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없었고, 이동 통신 사업자에 한하여 위치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호출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위치 추적 서비스는 기지국 단위의 가입자 위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기지국의 관할 지역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 진입되는 단말기 가입자의 정보를 확인하기가 상당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특정 지역의 방문자에게 소정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 소지자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가 없어 불특정 다수에게 무작위로 특정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특정 지역에 방문하지 않은 자에게 해당 서비스가 제공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할 기지국과 동기화시킨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를 특정 지역에 설치하고, 해당 지역으로 진입되는 단말기에서 송출된 특정 신호(예컨대, 위치등록신호)를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로 수신하여 해당 지역을 방문한 단말기를 인지하고, 인지된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는 방문자 인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문자 인지 시스템을 통해 확인된 단말기 소지자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가 원하는 특정인에게 특정 부가 서비스(예컨대, SMS 서비스, 광고, 이벤트 설명 등)를 제공하는 방문자 인지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정 커버리지 영역에 방문하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해당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는 방문자 인지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 및 기지국과 무선 연결되어 있으며, 일정 범위의 통신 영역을 관할하는 소정의 커버리지 영역을 포함하고, 커버리지 영역의 임의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관할 기지국 정보를 추출하고, 기지국 정보를 통해 기지국과 동기화시키고, 커버리지 영역에 진입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액세스 채널에서 위치등록신호를 추출하고, 위치등록신호를 기초로 방문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여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와;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방문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기 가입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고, 확인된 단말기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특정 부가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관리하고,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데이터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관리장치와; 관리장치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방문을 허가하거나 등록된 단말기 정보 및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 요청시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송출하고, 특정 경로를 통해 입수된 특정 단말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특정 부류별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말기 정보 관리 DB와;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장치의 요청시 해당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고객 DB; 및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관리장치의 요청에 따라 특정 이동 단말기로 소정의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고, 단문 메시지의 전달 내역을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SMS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커버리지 영역에 방문하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해당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여 특정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자 인지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 영역에 위치한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관할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과의 거리차에 기인한 전파전달 지연을 보상하여 상기 관할 기지국과 동기화시키고, 수신감도를 조절하여 상기 커버리지 영역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커버리지 영역에 방문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액세스 채널이 수신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액세스 채널이 수신되면, 해당 액세스 채널 중 위치등록신호를 추출 및 분석하고, 분석된 상기 위치등록신호를 기초로 방문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방문 단말기 정보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방문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방문 단말기 정보가 상기 단말기 정보 관리 DB에 등록된 정보인가를 판단하여 등록된 정보이면 해당 단말기 소지자를 등록된 가입자로 인지하고, 등록된 정보가 아니면 해당 단말기 소지자를 미등록된 가입자로 인지하는 단계와; 특정 경로를 통해 상기 방문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여 특정 방문 단말기로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부가 서비스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단계; 및 변경된 방문 단말기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단말기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도로서, 본 방문자 인지 시스템(100)은 이동 단말기(110), 기지국(120),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 관리장치(140), 단말기 정보 관리 DB(150), 통신망(160), 이동통신 고객DB(170) 및 SMS 서버(1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동 단말기(110)는 휴대 또는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대기시에는 주기적으로 위치등록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지국(120)은 이동 단말기와 무선 접속되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각 기지국(120)은 각자의 고유한 서비스 영역인 셀을 형성하고 있다.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는 이동 단말기(110) 및 기지국(120)과 무선 연결되어 있으며, 기지국(120)으로부터 송출되는 정보 채널 중 파일럿 채널을 검출하여 해당 기지국과 동기화시키고, 자신의 영역에 진입되는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위치등록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기의 방문 사실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는 단말기 방문을 인지하고자 하는 특정 지역(예컨대, 학원, 교회, 군대, 백화점 등)에 설치되며, 이동통신사(예컨대, 011, 016, 019 등)별로 각각 설치되어 해당 이동통신에 가입된 단말기의 방문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관리장치(140)는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로부터 인가되는 방문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특정 경로(예컨대, 자체 DB, 이동통신 고객 DB 등)를 통해 해당 단말기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특정 서비스(예컨대, SMS 서비스 등)를 수행하도록 관리하고,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데이터를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관리장치(140)는 일반 컴퓨터를 사용한다.
단말기 정보 관리 DB(150)는 관리장치(14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방문을 허가하거나 등록된 단말기 정보 및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 요청시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특정 경로(예컨대, 이동통신 고객 DB)를 통해 입수한 특정 단말기 정보(즉, 해당 지역에 방문한 단말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방문횟수, 성별, 관심분야별 등에 따른 부가 서비스(예컨대, SMS 서비스 등)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단말기 정보 관리 DB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데이터에는 단말기 고유번호(예컨대, 전자일련번호 또는 단말기 전화번호), 단말기 소지자 정보(예컨대, 개인신상정보, 취미, 관심분야 등), 방문시간 및 방문횟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통신 고객 DB(170)는 통신망(160)을 통해 관리장치(14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고객 정보(예컨대, 단말기 번호, 고객신상정보 등)를 저장하고, 관리장치(140)의 요청시 해당 정보를 통신망(160)을 통해 관리장치(14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관리장치(140)와 이동통신 고객 DB(170)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망(160)은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SMS 서버(180)는 통신망(160)을 통해 관리장치(140)에 연결되어 있으며, 관리장치(14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이동 단말기(110)로 소정의 단문 메시지(예컨대, 경고 메시지, 광고 메시지, 이벤트 설명 등)를 전달하고, 단문 메시지 수신 확인 결과를 관리장치(14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관리장치(140)와 SMS 서버(180)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망(160)은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을 도시한 서비스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의 커버리지 영역(130a)은 특정 기지국(120)의 커버리지 영역(120a)에 포함되고, 이동 단말기(110)는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의 커버리지 영역(130a)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기지국(120)과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를 동기화시키면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130)의 커버리지 영역(130a)에 진입되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송출되는 위치등록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110)의 방문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300)의 내부 구성도로서, 본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300)는 기지국 동기화부(310) 및 단말기 정보 수신부(320)로 구성되어 있고, 기지국 동기화부(310)는 기지국 정보 수신부(311), 기지국 동기신호 수신부(312), 기지국 정보채널 수신부(313), 수신모듈 보정부(314) 및 수신모듈 설정부(315)를 포함하고, 단말기 정보 수신부(320)는 위치등록신호 수신부(321) 및 위치등록신호 처리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 동기화부(310)의 기지국 정보 수신부(311)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의 DM(Diagnostic Monitor)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300)가 설치된 지역을 관할하는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300)는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기지국과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기지국은 물론 특정 이동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300)가 설치될 지역의 기지국과 이미 통신 가능 상태에 있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기지국과의 동기화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자 하는 기지국 정보는 이동 단말기의 DM 포트를 통해 전송받는다.
기지국 동기정보 수신부(312)는 기지국 정보 수신부(311)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지국 정보 수신부(311)에서 수신된 기지국 정보 중 파일럿 채널정보를 추출하여 임시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기지국 정보채널 수신부(313)는 기지국 정보 수신부(311)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지국 정보 수신부(311)에서 수신된 기지국 정보 중 정보채널을 검출하여 pn 코드(pn code), 롱 코드(long code), 쇼트 코드(short code) 및 주파수(frequence) 등의 각종 정보를 획득 및 임시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신모듈 보정부(314)는 거리차에 의한 전파전달 지연(propagation delay)을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와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간의 거리와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거리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 거리차에 의한 전파전달 지연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전파전달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 소정 간격(예컨대, 일정 칩)을 지연시킨다. 거리차에 의한 전파전달 지연에 따른 보상방식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사항이므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수신모듈 설정부(315)는 기지국 동기정보 수신부(312), 기지국 정보채널 수신부(313) 및 수신모듈 보정부(314)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지국 동기정보 수신부(312) 및 기지국 정보채널 수신부(313)에 보관된 파일럿 채널정보 및 각종 정보를 기초로 기지국의 액세스 채널과 동기화된 특정 액세스 채널을 설정하고, 전파전달 지연을 보상함과 동시에 기지국의 액세스 채널과 동일한 액세스 채널의 개수 등을 일치시켜 기지국과 동일한 통신 환경을 구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수신모듈 설정부(315)는 수신감도를 조절하여 특정 존의 범위를 설정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운용할 수 있다.
단말기 정보 수신부(320)의 위치등록신호 수신부(321)는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액세스 채널을 수신하고, 해당 액세스 채널을 분석하여 정상적인 위치등록신호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는 수신모듈 설정부(315)에 의해 기지국과 동기화되어 있으므로 위치등록신호 수신부(321)는 이동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액세스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위치등록신호 처리부(322)는 위치등록신호 수신부(3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위치등록신호 수신부(321)로부터 인가되는 위치등록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위치등록신호의 전송 주체인 단말기의 고유번호(예컨대, 전자일련번호 또는 단말기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치등록신호에는 전자일련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단말기 전화번호, 전원절약을 위한 SCI(Slot Cycle Index), 소프트웨어의 버전, RF부의 전력제어 등과 같은 각종 운용 파라미터들이 탑재되어 있으며, 위치등록신호 처리부(322)는 각종 운용 파라미터 중 특정 파라미터(예컨대, 전자일련번호 또는 단말기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위치등록신호를 송출하는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기초로 방문 단말기 정보(예컨대, 방문 시간, 방문 단말기 번호 등)를 추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동작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를 설치할 지역을 설정하고,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를 관리장치에 연결하였다고 가정한다. 또한,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는 일정 범위의 통신 영역을 관할하는 소정의 커버리지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본 방문자 인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부가 서비스는 방문을 허용하거나 등록된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기 위한 특정 지역(이하에서는, '특정 존'이라 칭함)(예컨대, 학교, 군부대 등의 특수 시설, 교회, 성당, 사찰, 학원 등) 또는 불특정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기 위한 불특정 지역(이하에서는, '불특정 존'이라 칭함)[예컨대, 대규모 상가(백화점, 쇼핑몰), 공연 장소, 대학로 등]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정 존에서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미리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여 등록시키는 단계가 필요하지만, 불특정 존에서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이러한 단계가 필요 없다. 특정 존에서의 서비스 제공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의 커버리지 영역으로의 방문을 허용하는 단말기 및 가입자 정보를 등록시켜 단말기 정보 관리 DB를 구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단말기 및 가입자 정보에는 특정 단말기의 고유번호(예컨대, 전자일련번호 또는 단말기 전화번호), 해당 단말기의 가입자(또는 소지자)에 대한 개인신상정보(예컨대, 단말기 가입자 성명, 나이, 성별, 이메일 등)가 포함된다.
먼저, 사용자는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를 임의의 이동 단말기의 DM 포트에 연결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로부터 특정 기지국 정보를 수신한다(S405).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는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기지국과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기지국은 물론 특정 이동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가 설치될 지역의 기지국과 이미 통신 가능 상태에 있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정보를 수신한다. 기지국 정보에는 파일럿 채널정보 및 정보채널이 포함되어 있으며, 파일럿 채널정보는 기지국 동기정보 수신부에 일시 보관되고, 정보채널은 기지국 정보채널 수신부에 일시 보관된다. 여기에서, 기지국 정보채널 수신부는 정보채널을 검출하여 pn 코드(pn code), 롱 코드(long code), 쇼트 코드(short code) 및 주파수(frequence) 등의 각종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정보를 임시 보관한다.
다음에, 수신모듈 설정부는 수신모듈 보정부에서 보상된 전파전달 지연을 기초로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를 관할 기지국과 동기화시킨다(S410). 수신모듈 설정부는 기지국 동기정보 수신부 및 기지국 정보채널 수신부에 보관된 파일럿 채널정보 및 각종 정보를 기초로 관할 기지국의 액세스 채널과 동기화된 특정 액세스 채널을 설정하고, 전파전달 지연을 보상함과 동시에 기지국의 액세스 채널과 동일한 액세스 채널의 개수 등을 일치시켜 기지국과 동일한 통신 환경을 구축한다. 또한, 수신모듈 설정부는 수신감도를 조절하여 특정 존의 범위를 설정한다. 따라서,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는 기지국과 동기화되어 있으므로 자신의 커버리지 영역에 방문하는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후,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는 자신의 커버리지 영역에 방문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액세스 채널이 수신되었는가를 판단(S415)하여 액세스 채널이 수신되지 않았으면 대기하고, 액세스 채널이 수신되었으면 해당 액세스 채널 중 위치등록신호를 추출 및 분석한다(S420). 분석된 위치등록신호를 기초로 방문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방문 단말기 정보를 지정된 통신방식(예컨대, TCP/IP)을 통해 관리장치로 전송한다(S425). 위치등록신호에는 전자일련번호(ESN), 단말기 전화번호, 전원절약을 위한 SCI, 소프트웨어의 버전, RF부의 전력제어 등과 같은 각종 운용 파라미터들이 탑재되어 있으며, 위치등록신호 처리부는 각종 운용 파라미터 중 특정 파라미터(예컨대, 전자일련번호 또는 단말기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위치등록신호를 송출하는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기초로 방문 단말기 정보(예컨대, 방문 시간, 방문 단말기 번호 등)를 추출한다.
관리장치는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된 방문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방문 단말기 정보의 단말기 고유번호가 단말기 정보 관리 DB에 등록된 정보인가를 판단(S430)하여 등록된 정보이면 해당 단말기 소지자를 등록된 가입자로 인지하고(S435), 등록된 정보가 아니면 해당 단말기 소지자를 미등록된 가입자로 인지한다(S440). 또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로부터 방문 단말기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방문 단말기는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의 커버리지 영역을 이탈하였다고 인지한다.
관리장치는 방문 단말기로 소정의 부가 서비스(예컨대, SMS 서비스) 제공을 원하는가를 판단(S445)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을 원하면, 단말기 정보 관리 DB 또는 이동통신 고객 DB를 통해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여 SMS 서버를 통해 해당 단말기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부가 서비스를 해당 단말기 소지자가 수신하였는가를 확인한다(S450). 특정 존에서의 단말기 정보는 기 구축된 단말기 정보 관리 DB를 통해 확인하고, 불특정 존에서의 단말기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고객 DB로 해당 단말기 정보를 요청하여 확인한다.
특정 존(예컨대, 학교, 군부대 등의 특수 시설, 교회, 성당, 사찰, 학원 등)에 방문한 단말기의 경우, 등록 여부에 따라 해당 단말기로 소정의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군부대 등의 특수 시설의 경우, 등록된 단말기가 커버리지 영역으로 진입하면 인사말 메시지(예컨대, "안녕하십니까? XXX님. 좋은 하루 보내십시오")를 전송하고, 등록되지 않은 단말기가 커버리지 영역으로 진입하면 경고 메시지(예컨대, "당신의 출입은 허가되지 않았습니다. 속히 현위치에서 이탈하시길 바랍니다.")를 전송한다. 또한, 교회의 경우, 등록된 단말기가 커버리지 영역으로 진입하면 인사말 메시지(예컨대, "할렐루야, 주님은 당신을 사랑하십니다")를 전송하고, 등록되지 않은 단말기가 커버리지 영역으로 진입하면 환영 메시지(예컨대, "할렐루야, 주님과의 만남을 축복 드립니다. 새신자는 예배 후, 새신자실로 모여주시기 바랍니다")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단문 메시지는 방문한 단말기의 등록 여부에 따라 일률적으로 전송되도록 구현할 수 있지만, 단말기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부류별(예컨대, 개인별, 성별, 나이별, 관심분야별)로 개별적인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불특정 존[예컨대, 대규모 상가(백화점, 쇼핑몰), 공연 장소, 대학로 등]에 방문한 단말기의 경우, 등록 여부에 상관없이 해당 단말기로 소정의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화점의 경우, 임의의 단말기가 커버리지 영역으로 진입하면 각종 정보 메시지(예컨대, 바겐세일 정보, 이벤트 정보, 광고 정보 등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문 메시지는 방문한 단말기에 따라 일률적으로 전송되도록 구현할 수 있지만, 단말기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부류별(예컨대, 개인별, 성별, 나이별, 관심분야별)로 개별적인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상기 단계(S445)에서 부가 서비스 제공을 원하지 않거나 상기 단계(S450) 이후에는 변경된 방문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여 단말기 정보 관리 DB를 갱신한다(S455). 따라서, 방문시간, 방문횟수 등의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추후의 부가 서비스 제공에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 정보의 방문시간 및 방문횟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특정 단문 메시지를 개별적으로 전송하도록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는 특정 이동 단말기로부터 위치등록신호가 수신되어 해당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영역에 진입되었음을 인지하고 난 뒤, 주기적으로 해당 이동 단말기로부터 위치등록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도 해당 이동 단말기로부터 위치등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영역을 이탈하였다고 인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은 특정 이동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제어(예컨대, 매너모드 절체 기능, 카메라폰 차단 기능 등)하고자 하는 경우, 특정 이동 단말기 소지자에 대한 감찰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특정 이동 단말기 소지자에 대한 출결 확인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다양하게 응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영화, 공연, 종교 활동(예컨대, 예배, 미사 등)시 특정 시간동안 이동 단말기를 매너 모드(즉, 진동 모드)로 자동 절체하거나 절체하도록 권유하는 단문 메시지를 송출하고자 하는 경우, 비밀 유지 또는 카메라 촬영이 금지되는 영역(예컨대, 목욕탕, 군사시설구역 등)에서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폰 기능에 대한 활성을 강제적으로 차단하거나 카메라폰 사용을 억제하도록 권유하는 단문 메시지를 송출하고자 하는 경우, 특정 이동 단말기 소지자(예컨대, 범죄자, 블랙리스트 등)에 대한 특정 지역(예컨대, 공항, 항만 등)으로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학원 또는 학교 강의에 대한 특정 이동 단말기 소지자의 출결 상황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이동 단말기 가입자와 해당 기능 수행에 따른 동의 여부를 설정하는 사전 계약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사전 동의 없이 특정 이동 단말기에 대한 특정 지역 방문 사실을 확인할 수 있도록 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특정 기능을 수행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특정 지역을 이탈한 경우에는 해당 사실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하면, 관할 기지국과 동기화시킨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를 특정 지역에 설치하고, 해당 지역으로 진입되는 단말기에서 송출된 특정 신호(예컨대, 위치등록신호)를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로 수신하여 해당 지역을 방문한 단말기를 인지하고, 인지된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문자 인지 시스템을 통해 확인된 단말기 소지자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가 원하는 특정인에게 특정 부가 서비스(예컨대, SMS 서비스, 광고, 이벤트 설명 등)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의 영역에 진입한 이동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위치등록신호를 수신하여 소정 시간 경과 후까지 해당 이동 단말기로부터 더 이상 위치등록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해당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영역을 이탈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을 도시한 서비스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방문자 인지 시스템 110: 이동 단말기
120: 기지국 130: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
140: 관리장치 150: 단말기 정보 관리 DB
160: 통신망 170: 이동통신 고객 DB
180: SMS 서버

Claims (5)

  1. 특정 커버리지 영역에 방문하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해당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는 방문자 인지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 및 기지국과 무선 연결되어 있으며, 일정 범위의 통신 영역을 관할하는 소정의 커버리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리지 영역의 임의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관할 기지국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기지국 정보를 통해 상기 기지국과 동기화시키고, 상기 커버리지 영역에 진입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액세스 채널에서 위치등록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위치등록신호를 기초로 방문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여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
    상기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방문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기 가입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고, 확인된 단말기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특정 부가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관리하고, 상기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데이터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관리장치;
    상기 관리장치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방문을 허가하거나 등록된 단말기 정보 및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 요청시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송출하고, 특정 경로를 통해 입수된 특정 단말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특정 부류별로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말기 정보 관리 DB;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장치의 요청시 해당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장치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고객 DB;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리장치의 요청에 따라 특정 이동 단말기로 소정의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달 내역을 상기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SMS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자 인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는
    상기 기지국과 동일한 환경에서 통신하도록 상기 기지국 액세스 채널과 동기화된 액세스 채널을 설정하는 기지국 동기화부; 및
    상기 기지국 동기화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지국 동기화부에서 설정된 액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커버리지 영역에 진입되는 특정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위치등록신호를 추출하여 방문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는 단말기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 동기화부는
    상기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의 커버리지 영역에 위치한 임의의 이동 단말기의 DM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신호 수신장치가 설치된 지역을 관할하는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기지국 정보 수신부,
    상기 기지국 정보 수신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지국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기지국 정보 중 파일럿 채널정보를 추출하여 보관하는 기지국 동기정보 수신부,
    기지국 정보 수신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지국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기지국 정보 중 정보채널을 검출하여 pn 코드(pn code), 롱 코드(long code), 쇼트 코드(short code) 및 주파수(frequence) 등의 각종 정보를 획득 및 보관하는 기지국 정보채널 수신부,
    거리차에 의한 전파전달 지연을 보정하는 수신모듈 보정부, 및
    상기 기지국 동기정보 수신부, 기지국 정보채널 수신부 및 수신모듈 보정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지국 동기정보 수신부 및 기지국 정보채널 수신부에 보관된 파일럿 채널정보 및 각종 정보를 기초로 기지국의 액세스 채널과 동기화된 특정 액세스 채널을 설정하고, 전파전달 지연을 보상함과 동시에 기지국의 액세스 채널과 동일한 액세스 채널의 개수 등을 일치시켜 기지국과 동일한 통신 환경을 구축하고, 수신감도를 조절하여 특정 존의 범위를 설정하는 수신모듈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액세스 채널을 수신하고, 해당 액세스 채널을 분석하여 정상적인 위치등록신호를 추출하는 위치등록신호 수신부, 및
    상기 위치등록신호 수신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등록신호 수신부로부터 인가되는 위치등록신호를 분석하여 방문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위치등록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자 인지 시스템.
  3. 특정 커버리지 영역에 방문하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해당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여 특정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자 인지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 영역에 위치한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관할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과의 거리차에 기인한 전파전달 지연을 보상하여 상기 관할 기지국과 동기화시키고, 수신감도를 조절하여 상기 커버리지 영역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커버리지 영역에 방문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액세스 채널이 수신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액세스 채널이 수신되면, 해당 액세스 채널 중 위치등록신호를 추출 및 분석하고, 분석된 상기 위치등록신호를 기초로 방문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방문 단말기 정보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방문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방문 단말기 정보가 상기 단말기 정보 관리 DB에 등록된 정보인가를 판단하여 등록된 정보이면 해당 단말기 소지자를 등록된 가입자로 인지하고, 등록된 정보가 아니면 해당 단말기 소지자를 미등록된 가입자로 인지하는 단계;
    특정 경로를 통해 상기 방문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여 특정 방문 단말기로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부가 서비스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단계; 및
    변경된 방문 단말기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단말기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자 인지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방문을 허용하거나 등록된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기 위한 특정 지역에서의 상기 단말기 정보는 기 구축된 단말기 정보 관리 DB를 통해 확인하고,
    불특정 단말기 소지자의 방문 사실을 확인하기 위한 불특정 지역에서의 상기 단말기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식 고객 DB를 통해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자 인지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등록된 가입자로 인지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등록신호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소정 시간 경과 후까지 상기 위치등록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커버리지 영역을 이탈하였다고 인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자 인지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KR20030055547A 2003-08-11 2003-08-11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KR100532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5547A KR100532676B1 (ko) 2003-08-11 2003-08-11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5547A KR100532676B1 (ko) 2003-08-11 2003-08-11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256A KR20050017256A (ko) 2005-02-22
KR100532676B1 true KR100532676B1 (ko) 2005-12-01

Family

ID=3722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55547A KR100532676B1 (ko) 2003-08-11 2003-08-11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725B1 (ko) * 2003-12-26 2006-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위치정책관리 방법 및위치정책 관리 장치
KR100645173B1 (ko) * 2005-07-25 2006-11-1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바일 상품권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689513B1 (ko) * 2005-09-30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정보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8097365A (ja) * 2006-10-12 2008-04-24 Ntt Docomo Inc サービス情報提供装置およびサービス情報提供方法
US8301112B2 (en) 2008-01-08 2012-10-30 Global Alert Network, Inc. Mobile alerting network
US8306503B2 (en) 2008-01-08 2012-11-06 Global Alert Network, Inc. Mobile alerting network
US8126479B2 (en) 2008-01-08 2012-02-28 Global Alert Network, Inc. Mobile alerting network
US8099113B2 (en) 2008-01-08 2012-01-17 Global Alert Network, Inc. Passive traffic alert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971679B1 (ko) * 2008-04-16 2010-07-22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휴대폰번호 모니터링을 이용한 주차 안내 서비스 시스템
WO2010080156A1 (en) * 2009-01-09 2010-07-15 Mobile Traffic Network, Inc. Mobile alerting network
KR101067326B1 (ko) * 2009-05-14 2011-09-23 이원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35012B1 (ko) * 2009-10-08 2013-11-2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등록 관리 서버,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영역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00745B1 (ko) 2011-05-04 2017-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간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256A (ko) 2005-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4241B2 (en) WLAN network information caching
US9374799B2 (en) Mobile device locating using long term evolution signals
KR100492970B1 (ko) 이동국의 위치 추적이 가능한 무선망 시스템 및 이동국의 위치 추적 방법
KR100532676B1 (ko)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CN101189891B (zh) 无线定位系统中基于定位的服务应用的高级触发信号
JP4202599B2 (ja) 移動加入者のサービスプロファイルの変更
ES2691236T3 (es) Método de acceso de red y terminal de comunicación móvil
US20040242240A1 (en) Location assisted communications mode switching
PT1119211E (pt) Metodo e sistema para proporcionar a assinantes de gsm/pcs servicos dependentes do local
US8929912B1 (en) Address validation for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s
CN103493456A (zh) 请求在蜂窝通信网络中注册静止用户设备的方法和支持节点
US1046260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a person
CN101170612A (zh) 用于转移对蜂窝电话的指定呼叫的方法和系统
KR20090112359A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24161222A (ja) 位置特定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られる情報送受信装置並びにサーバ装置及び情報送信方法並びに位置特定方法
US84523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nding ring setting reminders to mobile devices within a predetermined area
ES2354674A1 (es) Sistema y método para mercadotecnia local en el punto de venta.
KR101715928B1 (ko) 일시적 위치에 기반하는 광고 제공 방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광고 제공 서버
KR100784288B1 (ko)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20060134023A (ko) 위치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0297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presence information with regard to people visiting an area of interest
KR100532677B1 (ko)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방법
CN108076033A (zh) 公交信息查询方法及电子设备
KR20070073150A (ko) 단말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0735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코드를 이용한 위치등록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