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2291B1 - 휴대폰의 유실방지를 위한 경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유실방지를 위한 경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291B1
KR100532291B1 KR1019980028684A KR19980028684A KR100532291B1 KR 100532291 B1 KR100532291 B1 KR 100532291B1 KR 1019980028684 A KR1019980028684 A KR 1019980028684A KR 19980028684 A KR19980028684 A KR 19980028684A KR 100532291 B1 KR100532291 B1 KR 100532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device
main body
mobile phone
chain
chain fun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733A (ko
Inventor
조용인
마쓰모또 카쓰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28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291B1/ko
Publication of KR20000008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29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트장치를 갖는 휴대폰에서 휴대폰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방에 이통동신 전화기를 넣은후 열차나 지하철 탑승 시 선반에 가방을 놓고 내리게되거나 이동통신 전화기를 손에 들고 다니다가 특정장소에 잠시 내려놓았을 경우 부주의로 인해 이동통신 전화기를 분실하는 것을 방지한다.
휴대폰의 본체와 상기 리모트장치를 체인기능모드로 설정하고, 일정주기마다 상기 휴대폰의 본체와 리모트장치간에 채널을 형성하여 전계강도를 측정하며, 상기 전계강도 측정결과 설정된 레벨이하로 떨어질 시 상기 리모트장치에서 경보를 발생하여 휴대폰을 분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유실방지를 위한 경보방법
본 발명은 휴대폰의 유실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모트장치를 갖는 휴대폰에서 리모트와 본체가 일정거리 떨어져 수신전계강도가 일정레벨 이하일 시 경보를 발생하여 휴대폰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전화기는 기지국과 단독으로 RF신호를 송수신하면서 통화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 전화기는 내부에 송수신기 및 신호처리부등을 구비하며, 상기 기지국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면서 무선링크를 형성한 후 음성통화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전화기는 부피가 크므로 주머니에 넣고 다니기가 불편하므로 가방등에 넣고 다니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 전화기를 가방에 넣은 후 호가 발생되면 가방에서 이동통신 전화기를 꺼내어 통화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부피가 작은 리모트장치를 구비하여 주머니에 놓고 있다가 호출이 있을시 그 리모트장치를 통해 통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 전화기가 개발되었다. 그런데 가방에 이통동신 전화기를 넣은후 열차나 지하철 탑승 시 선반에 가방을 놓고 내리게되거나 이동통신 전화기를 손에 들고 다니다가 특정장소에 잠시 내려놓았을 경우 부주의로 인해 이동통신 전화기를 분실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와 리모트장치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전화기에서 본체와 리모트장치간에 무선통신을 하여 일정거리 떨어질 시 경보를 발생하여 분실이나 도난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전화기는 본체와 리모트장치를 포함하며, 본체는 상기 이동통신 전화기에서 기지국과 무선통신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고, 리모트장치는 상기 본체와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하면서 음성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전화기 본체의 블럭 구성도이다.
듀플렉서(duplexer) 313은 제1안테나 312와 연결되어 기지국으로 수신되는 신호 및 상기 기지국에 송신되는 신호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RF수신기 315는 상기 듀플렉서 313에서 출력되는 RF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제1 RF수신기 315는 상기 수신 RF신호를 증폭(low noise amplification), 주파수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sion) 및 복조(demodulation)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RF송신기 310은 송신 RF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듀플렉서 313에 출력한다. 상기 제1RF송신기 310은 송신 데이터를 입력하여 변조(modulation), 주파수 상승 변환(frquency up conversion) 및 증폭(power amplifier)한다. 주파수합성기 323은 수신되는 제어데이타에 따라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을 지정하기 위한 국부발진신호들을 각각 발생하여 상기 제1 RF수신기 315 및 제1 RF송신기 310에 인가한다. 상기 듀플렉서 313, 제1 RF수신기 315, 제1 RF송신기 310은 주파수합성기 323은 제1무선통신부 380에 대응된다.
수신처리기 314는 상기 제1 RF수신기 315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복호하며, 제어데이타를 제어부 311에 인가하고 수신 음성신호는 오디오회로 304 및 제1스위치 331에 출력한다. 제1 송신처리기 321은 오디오회로 304 또는 제2 스위치 349에서 출력되는 송신 음성신호 및 제어부 311에서 출력되는 송신 제어데이타를 부호화하여 상기 제1 RF송신기 310으로 출력한다. 상기 수신처리기 314 및 송신처리기 321은 디지털 신호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DSP)로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 311은 이동통신 전화기 본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 311은 이동통신 전화기 본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키입력부 301은 이동통신 전화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키 명령 및 다이알링을 위한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 311에 출력한다. 표시부 302는 상기 제어부311의 제어하에 상기 이동통신 전화기의 상태를 표시한다. 부저303은 상기 제어부 311의 제어하에 착신 상태를 표시하는 부저음을 발생한다. 오디오회로 304는 송화기 306 및 수화기 305와 연결되며, 상기 수신처리기 317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재생하여 상기 수화기 305에 출력하는 동시에서 상기 송화기 306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송신처리기321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 311은 수신처리기 314로부터 착신호 감지시 제1 제어신호 CTL1을 활성화하고 통화 시작데이타를 발생하며 응답 데이터 수신시 제2 제어신호 CTL2를 활성화시키고, 통화 종료 데이터 수신시 상기 제1 제어신호 CTL1 및 제2 제어신호 CTL2를 비활성화시킨다.
제1스위치 331은 상기 수신처리기 314에 연결되며, 제1 제어신호 CTL1 활성화시 온되어 상기 수신처리기 317와 변조기 333 간의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스위치 331은 리모트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본체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본체과 리모트장치간에 형성되는 제2무선 송신 경로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 311은 키입력부 301에서 리모트장치의 비사용 명령어 데이터 수신시 상기 제1 스위치 331을 오프시키기 위하여 제1 제어신호 CTL1을 활성화시키며, 이로인해 상기 제1 스위치 331이 오프되어 본체의 수신처리기 314와 제2 RF송신기 391 간의 연결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리모트장치의 사용 유무를 설정하지 않고 디폴트(default)로 리모트장치와 본체의 사용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스 제1 스위치 331은 제거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수신처리기 314의 출력이 변조기 333에 바로 입력되도록 구성한다.
PLL 351은 상기 제어부 311에서 출력되는 제어데이타를 입력하며, 상기 제어데이타에 의해 상기 리모트장치의 RF수신기의 수신 대역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발생하기 위한 PLL제어신호 및 RF송신기의 송신 대역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발생하기 위한 PLL제어신호를 발생한다. TxVCO 353은 상기 PLL 351의 출력에 의해 상기 리모트장치의 수신 대역 주파수를 발생한다. RxVCO 355는 상기 PLL351의 출력에 의해 상기 리모트장치의 송신 대역 주파수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PLL351 및 VCO353, 355를 사용하면, 본체는 상기 리모트장치와 채널 스캔(channel scan) 동작을 수행하여 RF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채널 주파수를 설정한다. 즉, 상기 본체는 휴지상태에서 상기 리모트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사용 가능한 채널들 중에서 가장 양호한 수신신호세기를 갖는 채널을 설정한다.
변조기 333은 상기 제1 스위치 331과 연결되며, 제1무선통신부 380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신호를 상기 TxVCO 353에서 출력되는 채널 주파수에 의해 상기 리모트장치의 수신 대역으로 상승 변환 출력한다. 상기 변조기333은 리모트장치와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ID발생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 311에서 상기 ID를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ID발생기를 구비하지 않는다. 송신증폭기 335는 상기 변조기 33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듀플렉서 337에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본체가 리모트장치에 무선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제2 RF송신기 391의 구성이 된다.
수신증폭기 341은 상기 듀플렉서 337을 통해 수신되는 리모트장치의 송신 신호를 증폭한다. 혼합기 343은 수신증폭기341의 출력과 상기 RxVCO 355에 출력되는 채널 주파수를 혼합하여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를 발생한다. IF검출기 345는 상기 혼합기 343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에서 하강 변환된 중간주파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복조기 347은 상기 IF검출기 345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복조기 347은 리모트장치의 ID를 판별하는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 311에서 ID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ID검출기를 구비하지 않는다. 제2 스위치 349는 상기 복조기 347과 송신처리기 321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 311의 제어하에 온/오프되어 상기 리모트장치의 송신 통로를 형성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본체가 상기 리모트장치의 무선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제2 RF수신기 392의 구성이 된다. 상기 구성에서 제2 RF송신기 391 및 제2 RF송신기 392는 제2무선통신부 390에 대응된다. 듀플렉서 337은 리모트장치와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분리한다. 안테나 339는 내장형 안테나로서 루프 패턴형(loop pattern) 안테나 등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안테나 411은 상기 본체의 안테나 339와 같은 내장형 안테나로서 루프 패턴형 안테나 등이 될 수 있다. 듀플렉서 413은 본체와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분리한다. 제어부 431은 본 발명의 리모트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 431은 본 발명의 따른 본체와 리모트장치 간의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상기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키입력부 439는 리모트장치의 각 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키 데이터들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 431에 출력한다. 부저부 441은 상기 제어부 431의 제어하에 착신 링이나 경보음을 발생한다. 진동부 443은 상기 제어부 431의 제어하에 착신시 모터를 구동하여 리모트장치를 진동시킨다. 표시부 445는 상기 제어부 431의 제어하에 리모트장치의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 445는 LCD 및 LED로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 439는 리모트장치의 기능에 따라 착신 전용 또는 착발신 겸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즉, 상기 리모트장치가 착신 전용인 경우, 키입력부 439는 착신응답키(SND), 통화종료키(END), 전원키(PWR) 등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리모트장치가 착발신 겸용인 경우, 상기 키입력부 439는 리모트장치의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 및 다이알링을 위한 숫자키들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런 경우 상기 키입력부 439는 상기 본체의 키입력부 301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제어부 431은 착신 전용 또는 착발신 겸용 기능에 따라 해당하는 키입력부 439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비하여야 한다.
PLL 433은 상기 제어부 431에서 출력되는 제어데이타를 입력하며, 상기 제어데이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제2 RF수신기의 수신 대역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발생하기 위한 PLL제어신호 및 제2 RF송신기의 송신 대역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발생하기 위한 PLL제어신호를 발생한다. RxVCO 437은 상기 PLL 433의 출력에 의해 상기 본체의 제2RF송신기의 송신 대역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발생한다. RXVCO437는 상기 PLL433의 출력에 의해 상기 리모트장치의 제2RF수신기의 수신 대역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PLL433 및 VCO435, 437을 사용하면, 상기 리모트장치는 휴지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채널 스캔 기능을 수행하며 양호한 RF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채널 주파수를 설정한다. 상기 리모트장치와 본체 간의 채널 스캔 동작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신증폭기415는 상기 듀플렉서413을 통해 수신되는 본체의 송신 신호를 증폭한다. 혼합기417은 상기 수신증폭기415의 출력과 상기 RXVCO435에서 출력되는 채널 주파수를 혼합하여 중간주파수를 발생한다. IF검출기419는 상기 혼합기417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에서 하강 변환된 중간주파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복조기421은 상기 IF검출기419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수신오디오증폭기423은 상기 복조기421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수화기201에 출력한다. 상기 복조기421은 상기 본체에서 출력되는 ID를 검출하는 ID검출기를 내장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어부431이 상기 ID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ID검출기를 내장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431이 상기 복조기421의 출력을 분석하여 ID를 검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리모트장치의 RF수신기491 구성이 된다.
송신오디오증폭기425는 송화기202에서 출력되는 송신 음성신호를 증폭 출력한다. 변조기427은 상기 수신 오디오증폭기425에서 출력되는 송신 음성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TXVCO437의 출력 주파수에 의해 리모트장치의 송신 대역으로 상승 변환 출력한다. 상기 변조기427은 본체와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ID발생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31이 상기 ID를 발생하여 상기 변조기427에 공급하는 경우에는 상기 ID발생기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변조기427이 ID발생기를 구비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송신증폭기429는 상기 변조기427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듀플렉서413에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리모트장치가 본체에 무선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RF송신기492의 구성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기능을 수행하기 이동통신 전화기 리모트장치의 제어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전화기 본체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기능 수행시 수신 전계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휴대폰의 본체와 리모트장치의 송수신 주기의 파형도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체인기능란 이동통신 전화기에서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대기상태에서 리모트장치와 본체간에 주기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리모트장치와 본체간에 일정거리 이격됨에 의해 리모트장치에서 수신전계강도가 설정된 레벨이하로 떨어지면 경보를 발생하는 기능이다.
먼저 본 발명의 체인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리모트장치의 제어동작을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체인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위해서는 리모트장치의 키입력부 439에 구비되어 있는 체인키를 누르게 된다. 이때 101단계에서 리모트장치의 제어부 431은 키입력부 439로부터 체인키가 눌러지는가 검사하여 체인키가 눌러지면 1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2단계에서 리모트장치의 제어부 431은 도 5의 A시점에서 리모트장치의 송수신파트에 전원을 공급하고 예를들어 2초후에 즉, D시점에서 체인기능 요구데이터를 본체로 전송한다. 그리고 103단계에서 리모트장치의 제어부 431은 도 5의 F시점에서 체인기능 모드를 설정하고 수신파트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그리고 리모트장치의 제어부 431은 도 5의 K시점에서 송신파트로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시킨다. 그런후 104단계에서 리모트장치의 제어부 431은 체인기능 수신주기가 되었는가 검사하여 체인기능 수신주기가 되었으면 1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5단계에서 리모트장치의 제어부 431은 키입력부 439로부터 체인키가 눌러지는가 검사하여 체인키가 눌러지면 1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6단계에서 리모트장치의 제어부 431은 체인기능을 해제하고 10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7단계에서 리모트장치의 제어부 431은 송신파트에 전원을 공급하여 체인기능 해제 요구 데이터를 본체로 송신한다. 그러나 상기 105단계에서 체인키가 눌러지지 않았으면 108단계로 진행하여 리모트장치의 제어부 431은 도 5의 G시점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를 한다. 그런후 109단계에서 리모트장치의 제어부 431은 수신파트에 전원이 공급하면 채널을 형성하며, 이때 전계강도가 설정된 레벨이하로 떨어지는가 검사한다. 상기 전계강도가 설정된 레벨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휴대폰의 본체와 리모트장기 일정거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1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0단계에서 리모트장치의 제어부 431은 부저부 441을 구동시켜 경보를 발생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109단계에서 전계강도다 설정된 레벨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면 111단계에서 리모트장치의 제어부 431은 정상동작 처리를 수행하고 1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2단계에서 리모트장치의 제어부 431은 도 5의 H시점에서 수신파트에 전원을 오프시키고 104단계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체인기능 수신주기는 체인기능 동작을 개시한 후 1.6Sec오프, 0.4Sec온타임을 반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체인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체의 제어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에서는 수신파트로 도 5의 B시점에서 전원을 공급하고 도 5의 C시점에서 송신파트에 전원을 공급한 후 201단계에서 본체의 제어부 311은 도 5의 E시점에서 체인기능요구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검사하여 체인기능 요구데이터가 수신되면 2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본체의 제어부 311은 도 5의 F시점에서 체인기능 모드로 설정하며, 송수신파트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그런후 203단계에서 본체의 제어부 311은 체인기능 송신주기가 되었는가 검사하여 체인기능 송신주기가 되었으면 2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4단계에서 본체의 제어부 311은 리모트장치로부터 체인기능 해제요구신호가 수신되는가 검사하여 체인기능 해제 요구 데이터가 수신되었으면 2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5단계에서 본체의 제어부 311은 체인기능을 해제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체인기능 해제 요구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206단계로 진행하여 본체의 제어부 311은 도 5의 I시점에서 송신파트에 전원을 공급하고 20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7단계에서 본체의 제어부 311은 리모트장치와 채널을 형성한다. 그런후 208단계에서 본체의 제어부 311은 도 5의 J시점에서 송신파트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203단계로 돌아가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체인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체인기능 송신주기는 1.8Sec 오프, 0.2Sec 온타임을 반복하도록 한다. 상술한 체인기능 송신주기와 수신주기의 온타임과 오프타임을 서로 다르게 한 것은 먼저 리모트장치를 온시켜 놓은후 채널이 형성될 시 전계강도를 수신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본체와 리모트장치를 항상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본체에서 약 30mA가 소모되고, 리모트장치에서 약 20mA가 소모된다. 이렇게 많은 전류가 흐르게되면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단축되므로 체인기능 송신주기는 온타임과 오프타임의 비율을 1:9로 하였고, 체인기능 수신주기는 온타임과 오프타임의 비율을 1:4로 하여 본체와 리모트를 송신주기와 수신주기에서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여 본체와 리모트장치에서 평균소모 전류는 5mA정도로 흐르게 되어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리모트장치를 갖는 휴대폰에서 리모트와 본체간에 설정된 주기마다 각각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여 본체로부터 수신된 전계강도가 일정레벨 이하일 시 일정거리 이격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하므로 휴대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전화기 본체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장치의 블럭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기능을 수행하기 이동통신 전화기 리모트장치의 제어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전화기 본체의 제어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기능 수행시 수신 전계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휴대폰의 본체와 리모트장치의 송수신 주기의 파형도

Claims (4)

  1. 리모트장치를 갖는 휴대폰에서 상기 휴대폰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경보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본체와 상기 리모트장치를 체인기능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폰의 본체와 리모트장치를 체인모드로 설정한 후 일정주기마다 상기 휴대폰의 본체와 리모트장치간에 채널을 형성하여 전계강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계강도 측정결과 설정된 레벨이하로 떨어질 시 상기 리모트장치에서 경보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유실방지를 위한 경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기능 모드설정과정은,
    상기 리모트장치에서 체인키가 눌러질 시 체인기능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체인기능 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휴대폰의 본체로 체인기능 요구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휴대폰의 본체를 체인기능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유실방지를 위한 경보방법.
  3. 리모트장치를 갖는 휴대폰에서 유실방지를 위한 경보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장치에서 체인키가 눌러질 시 체인기능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체인기능 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휴대폰의 본체로 체인기능 요구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휴대폰의 본체를 체인기능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폰의 본체와 리모트장치를 체인모드로 설정한 후 상기 휴대폰의 본체에서 체인기능 송신주기가 될 때마다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폰의 본체와 리모트장치를 체인모드로 설정한 후 상기 리모트장치에서 체인기능 수신주기가 될 때마다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폰의 본체와 상기 리모트장치에 각각 전원이 공급되어 채널을 형성할 시 상기 리모트장치에서 수신 전계강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전계강도 측정결과 설정된 레벨이하로 떨어질 시 상기 리모트장치에서 경보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유실방지를 위한 경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장치에서 체인기능 수신주기가 될 때마다 전원을 공급할 시 체인키가 눌러질 시 상기 리모트장치의 체인기능을 해제하고 상기 체인기능 해제요구 데이터를 상기 휴대폰의 본체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체인기능 송신주기내에서 상기 리모트장치로부터 체인기능 해제요구 데이터가 수신될 시 상기 휴대폰 본체의 체인기능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유실방지를 위한 경보방법.
KR1019980028684A 1998-07-15 1998-07-15 휴대폰의 유실방지를 위한 경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32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684A KR100532291B1 (ko) 1998-07-15 1998-07-15 휴대폰의 유실방지를 위한 경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684A KR100532291B1 (ko) 1998-07-15 1998-07-15 휴대폰의 유실방지를 위한 경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733A KR20000008733A (ko) 2000-02-15
KR100532291B1 true KR100532291B1 (ko) 2006-02-28

Family

ID=19544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68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2291B1 (ko) 1998-07-15 1998-07-15 휴대폰의 유실방지를 위한 경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5525B2 (ja) * 2001-01-16 2004-04-05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型電話機
KR100795953B1 (ko) * 2001-10-31 2008-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733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7199B1 (ko) 이동통신전화기장치및통화방법
KR100274274B1 (ko) 휴대전화장치와 그 통보장치
KR100281184B1 (ko) 입호출 시스템
JP3078286B1 (ja) バッテリ残量表示回路とこの回路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装置
KR920009334B1 (ko) 무선전화장치
JP2557408B2 (ja) 無線通信装置
KR100532291B1 (ko) 휴대폰의 유실방지를 위한 경보방법
JPH0621875A (ja) 携帯形移動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着信報知補助装置
JP2959523B2 (ja) 付属子機を有する携帯無線電話装置
KR100247838B1 (ko) 무선호출기 일체형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기에서 전원 절약방법
KR200205563Y1 (ko) 이동 전화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JPH07298351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JPH02265341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2524701Y2 (ja) 無線電話装置
KR200213402Y1 (ko) 핸드 프리 키트
JPH09107586A (ja) 携帯電話用の位置判定装置
JP2862683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電池状態表示装置
JPH11113063A (ja) 移動無線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375317B1 (ko) 핸드 프리 키트
JPH06140990A (ja) 移動体通信装置および周辺装置
JPH0837684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H0290842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H0360555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00001006A (ko) 이동전화기 분실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H04314216A (ja) 携帯型無線機の間欠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7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7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