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2146B1 - 도킹-형태의 중간 커넥터 - Google Patents

도킹-형태의 중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146B1
KR100532146B1 KR10-1999-7008394A KR19997008394A KR100532146B1 KR 100532146 B1 KR100532146 B1 KR 100532146B1 KR 19997008394 A KR19997008394 A KR 19997008394A KR 100532146 B1 KR100532146 B1 KR 100532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ircuit board
surface mount
engagement
termina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293A (ko
Inventor
히사토 다카세
요시카주 이토
마사노리 야기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2045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029198B2/ja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7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14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47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with a fastener through a screw hole in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표면 장착 커넥터와 케이블 커넥터를 맞물리기 위한 중간 커넥터가 도전성 단자(17)를 본체 부분(16)내에 포함한다. 상기 본체 부분은 상기 커넥터 단자의 대향 단부에 부착된 별개의 분리된 단자 접촉 지지부(14, 15)에 의해 공동으로 한정된다. 상기 지지부는 다른 방향에서 상기 커넥터 단자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것은 복잡한 형상의 커넥터 하우징이 필요하지 않게 한다. 상기 지지부와 상기 단자는 서로 고정되고, 고정 장치(66)에 의해 서로 정렬되며, 상기 커넥터의 단자 사이의 원하는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서 스페이서(spacer)(65)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도킹-형태의 중간 커넥터{DOCKING-STYLE INTERMEDIATE CONNECT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회로판에 장착되는 도킹 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히는 회로판의 에지부분을 따라서 회로판 상의 회로에 입력/출력("I/O") 커넥터와 같은 다중-전선(multi-wire) 케이블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전체적인 도킹 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의 일부로 사용되는 중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킹 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는 컴퓨터 회로판의 회로들과, 프린터,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주변 기기 사이의 연결을 제공할 목적으로 컴퓨터 응용분야에 사용된다. 회로판 상의 회로에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서, 종래 기술의 표면 장착 커넥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표면 장착 커넥터들은 커넥터 하우징 내에 설치된 복수의 도전성 단자들을 구비한 전기적으로 절연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땜납 테일(solder tail)은 상기 단자 상에 형성되며, 회로판 상에 배열된 도전성 패드에 납땜될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밖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착(reflow) 또는 땜납 디핑(dipping) 기법에 의해 표면 장착 커넥터 단자가 회로판에 형성된 관통 구멍(throughhole)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는 곳에서 상기 땜납 테일이 회로판의 표면에 납땜된다. 장착하는데 관통 구멍 방법이 사용되었는데, 회로판의 반대편 상에 있는 이 관통 구멍은 다른 용도로 쓰일 경우 회로나 구성 요소를 수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회로판의 중요 공간을 점유하게 된다.
이러한 표면 장착 커넥터들은 다른 커넥터들과 결합이 가능하다. 표면 장착 커넥터들은 보통 이들 커넥터의 맞물림 부분과 같은 방향으로 배향되는데, 위쪽으로 향하도록 방향이 설정되는 직선-타입 맞물림, 또는 회로판에 평행하게 방향이 설정되는 직각-타입의 맞물림이 있다. 단자의 수가 증가하고 커넥터의 크기가 동일하게 유지될 때, 단자의 피치(pitch)는 따라서 감소되어야 된다. 표면 납땜은 상기와 같은 적용에 흔히 이용되며, 커넥터의 땜납 테일은 커넥터 하우징의 두 대향 측면 상에 배열된다.
이와 같은 타입의 구조에서,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의 직각-타입의 맞물림 부분은 상기 커넥터의 후면(rear side)으로부터 밖으로 연장되어 있는 단자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단자들은 상기 커넥터의 전면 상에 배열된 단자들과 비교했을 때 더 긴 길이를 가져야 하며, 이로써 상기 커넥터의 전면으로부터 밖으로 연장되어 있는 땜납 테일의 기설정 피치를 유지하는 데 곤란을 야기한다.
더욱이, 상기 땜납 테일의 단부는 대응하는 케이블 커넥터의 맞물림 단부 주위에 노출되는데, 이것은 잠재적으로 전선 측의 케이블 커넥터를 맞물려지도록 하는데 곤란을 야기할 수 있거나,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이 예기치 않게 땜납 테일 단부에 충격을 주고 손상을 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케이블 커넥터를 표면 장착 커넥터에 결합하는 것은 맞물려지는 동안 상기 땜납 테일 부분의 납땜된 단부에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힘들은 상기 납땜된 부분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관통 구멍 표면 장착 커넥터들이 사용될 때, 회로판에 형성된 관통 구멍들은 표면 장착,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커넥터들이 회로판의 반대편 상에 사용되지 못하게 한다. 그래서, 이러한 타입의 배열은 회로판 상의 공간을 낭비하게 하며, 따라서 노트북이나 랩탑 컴퓨터에서 발견될 수 있는 도킹 타입의 적용에 이용하는데 알맞지 않다.
도킹 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들은 컴퓨터의 하우징을 통해서 밖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한 셋트의 단자 접촉부가 회로판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표면 장착 커넥터와 맞물려지고 원하는 방향으로 돌출해 있는 맞물림 부분을 구비하는 중간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이행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커넥터의 단자들은 표면 장착 커넥터의 단자들과 접촉하고, 또한 중간 커넥터의 반대편 단부 상에서 대응하는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부려지거나 일정 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들은 우선 한 셋트의 단자들을 원하는 형상으로 구부리고, 그리고 나서 상기 단자들을 기형성된(pre-formed) 커넥터 하우징 내의 개구부로 삽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의 두 단부 사이에서 단자들이 취하는 경로가 다른 방향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커넥터 하우징을 형성하고 성형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든다. 상기 개구부를 만드는 것은 복잡하고 섬세한 과정이며 상기와 같은 중간 커넥터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중간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한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로, I/O 타입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중간 커넥터를 회로판 상에 장착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면 장착 커넥터의 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면 장착 커넥터의 평면도.
도 4는 대향 쌍으로 배열된, 도 1과 도 2의 표면 장착 커넥터에 사용되는 한 쌍의 단자의 사시도.
도 5는 회로판에 고정된 대응 표면 장착 커넥터와 맞물려진, 도 1의 중간 커넥터의 횡단면도.
도 6은 도 5의 중간 커넥터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중간 커넥터에 사용되는 단자의 단자 접촉부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도 5의 중간 커넥터의 돌출 부분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도 1의 커넥터 조립체에 사용되는 외부, 케이블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5의 중간 커넥터와 함께 사용되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고정 부재가 온전하게 형성된 상태의, 도 9와 동일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11-11 선을 따라서 절취된, 고정 부재의 단면도.
도 12는 회로판의 양 측면 상에 장착된 한 쌍의 중간 커넥터를 통하여, 도 1의 12-12 선을 따라서 절취한 횡단면도.
도 13은 도 5의 중간 커넥터의 하단 평면도.
도 14는 도 5의 중간 커넥터의 전면 단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5의 중간 커넥터의 후면 단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명료함을 위해 단자들을 제거한 상태에서, 도 5의 중간 커넥터에 사용되는 단자 제 2 접촉 지지부의 사시도.
본 발명은 앞서 언급된 단점들을 극복하는 구조를 갖는 중간 커넥터를 위한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포괄적인 목적은 도킹 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사용되고, 복수의 분리된 부품으로부터 중간 커넥터 하우징이 형성되는 회로판의 에지 근처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잡하게 성형된 커넥터 하우징의 필요성이 제거되는 중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회로판의 에지 상에 장착하기 위한 향상된 도킹 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조립체는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에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는 직각의 중간(intermediate) 커넥터를 구비하는데, 상기 중간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들을 둘러싸는 내부 공동부(cavity)를 갖는 커넥터 본체 부분을 구비하는데, 각각의 단자는 대향 단부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 본체는 공동으로 커넥터 본체 부분을 형성하며 각각 단자의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지지하는 분리된 별개의 단자 지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또 하나의 목적은 회로판의 에지 근처에서 회로판에 장착하기 위한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회로판의 위로 회로판의 에지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직각의 본체 부분을 구비하는데, 상기 직각의 본체 부분은 이 본체 부분의 일 단부에서 지지되며, 대응하는 도킹 형태의 커넥터와 맞물려지도록 상기 회로판의 에지를 지나서 상기 회로판으로부터 멀리 위치되어 있는 제 1 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단자들은 상기 본체 부분의 다른 단부에서 지지되며 회로판의 위에서 회로판을 향해있는 제 2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부분은 중간 커넥터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는 내부 중공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회로판에 장착된 표면 장착 커넥터와 대응하는 케이블 커넥터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서 도킹 형태의 응용분야에 사용되는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중간 커넥터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 본체의 두 접촉 단부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도전성 단자들을 수용하는 커넥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 단부 중 하나는 중간 커넥터 단자의 복수의 제 1 접촉부를 지지하며, 대응하는 케이블 커넥터와 맞물려질 수 있도록 위치시키는 2열 리프(dual leaf)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단부 중 다른 하나는 회로판에 장착된 리셉터클(receptacle) 타입의 대응하는 표면 장착 커넥터와 맞물려지는 위치에서 상기 중간 커넥터의 복수의 제 2 접촉부를 지지하는 플러그 형태의 커넥터 부분을 포함한다.
이들 목적과 다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하나의 주된 관점에서, 본 발명은 회로판의 에지부분 근처에서 표면 장착 커넥터와 맞물려지도록 하고, 상기 회로판의 에지를 벗어난 위치에서 다중-전선 케이블과 맞물려지기 위한 중간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중간 커넥터는 상기 회로판의 에지를 지나서 연장되어 있고 케이블 커넥터의 대응하는 단자들과 맞물려지는 위치에서 복수의 도전성 단자 제 1 접촉부를 지지하는, 2열 리프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회로판에 장착된 표면 장착 커넥터와 맞물려지는 2열 리프 커넥터(leaf connector)부분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있고. 다른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플러그 형태의 커넥터 부분을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플러그 형태의 커넥터 부분은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의 대응 단자들과 맞물려지는 위치에서 복수의 도전성 단자 제 2 접촉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주된 관점에서, 상기 중간 커넥터 하우징은 복수의 커넥터 하우징 요소들에 의해 공동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2열 리프 커넥터 부분과 플러그 형태의 커넥터 부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분리된 부분들은 각 분리된 부분이 다양한 방향에서 단자 제 1 및 제 2 접촉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단자 수용 개구부를 포함한다. 이것은 복잡하고, 성형된 커넥터 하우징의 필요성을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된 관점에서, 상기 중간 커넥터 하우징 부분은 고정 부재(retention member)에 의해서 함께 고정되며, 이 고정 부재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브래킷(bracket)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분리 부분을 정렬하는 것을 보조하며, 대응 케이블 커넥터를 중간 커넥터와 맞물려지도록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중간 커넥터의 가이드 핀을 또한 지지한다.
중간 커넥터는 회로판과 중간 커넥터를 모두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연장되어 있는 장착용 나사에 의해서 회로판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표면 장착 커넥터는 상기 회로판의 대향 전면 및 후면(상단 및 하단) 상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중간 커넥터는 각각 이러한 표면 장착 커넥터와 맞물려지고, 또한 상기 회로판에 고정될 수 있다.
중간 커넥터가 이들 나사에 의해서 회로판에 직접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 커넥터가 중간 커넥터에 맞물려지는 동안 발생하는 힘들은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 또는,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가 상기 회로판에 부착된 것을 파손시킬 수 있는,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의 땜납 테일로 전달하지 않고 상기 회로판으로 직접 전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요한 관점에서, 중간 커넥터는 대응하는 도킹 형태의 커넥터와 맞물려지는 배향 설정 상태로 복수의 도전성 단자들을 둘러싸고 지지하는 2열 리프 커넥터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부는 다중-전선 커넥터와 같은, 도킹 형태의 커넥터와 맞물려질 수 있도록 회로판의 위로 상기 회로판의 에지를 벗어나서 위치된다. 이 2열 리프 커넥터 단부 및 그 단자들은 회로판의 에지를 지나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들과 다른 목적들, 특징 및 이점들은 수반되는 도면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될 것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 기술되는 동안, 첨부된 도면이 참조될 것이며 유사한 도면 번호는 유사한 부분임을 나타낸다.
도 1은 일반적으로 (1)로 표시된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는 회로판(2) 상에 배치된 회로들과, 케이블(3) 내에 둘러싸여 있고 도시된 I/O 형태의 커넥터(4)와 같은 전선 커넥터로 끝 부분이 이루어진 일련의 전선들 사이의 연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개재하는 중간 커넥터(6)가 표면 장착 커넥터(5)를 상기 케이블 커넥터(4)에 연결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표면 커넥터 조립체(1)를 프린트된 회로판(2)에 장착하는 방법과, 전선 케이블(3)의 일 단부에 연결된 케이블 커넥터(4)를 표면 커넥터 조립체(1)에 맞물리도록 하는 방법의 2가지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한 가지 방법에 있어서, 도 1의 우측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표면 장착 커넥터(5)가 회로판(2)에 장착되어 있으며, 그래서 하나의 중간 커넥터(6)와 맞물려질 것이다. 다른 한가지 방법에 있어서, 도 1의 상단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표면 장착 커넥터(5)가 상기 회로판(2)의 양 표면에 부착되며, 두 개의 중간 커넥터(6)가 여기에 맞물려진다. 각각의 중간 커넥터(6)는 대응하는 케이블 커넥터(4)와 맞물려질 수 있으며, 케이블 커넥터(4)로의 연결점을 제공하기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직각 커넥터, 또는 회로판(2)의 에지를 벗어나서 위치된, 다른 형태의 도킹 커넥터의 역할을 한다.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1)는 인쇄된 회로판(2)의 표면에 장착된 표면 장착 커넥터(5)와, 상기 표면 커넥터(5)의 상부 부분과 맞물려지는, 맞물림 중간 커넥터(6)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5)는 전기적 절연 재료로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7) 및 기설정된 피치(P)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7)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도전성 단자(8)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커넥터 하우징(7)은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7)의 상단 표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한 쌍의 슬롯(9)을 포함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으로 도시된다.
상기 단자(8)들은 상기 슬롯(9)의 대향 측상의 서로 마주하는 단자의 접촉부(10)에 대해서 기설정 피치(P)로 종방향으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7)의 내부에 장착된다(도 2). 상기 단자(8)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된 단자들을 갖는 2개의 열로 배열된다. 두 개의 단자(8) 셋트가 각각의 슬롯(9)에 두개의 구분된 열(64a, 65a 및 64b, 65b)로 장착된 것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자(8) 각각은 땜납 테일 부분이 실질적으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바닥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놓이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7)의 바닥 벽을 따라서 돌출해 있는 땜납 테일 부분(11)을 구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나의 슬롯(9)에 배열된 단자(8)의 2열의 땜납 테일 부분(11)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반면, 다른 슬롯(9)의 단자(8) 열의 땜납 테일 부분(11)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7)의 다른, 맞은편 측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이와 같은 관계에서, 접촉부(10a)가 2개의 접속 슬롯 중 제 1 슬롯(9a)을 따라 일렬로 세워진 단자(8a)의 땜납 테일(11a)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7)의 한 측면(도 2에서 보았을 때 좌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반면, 접촉부(10b)가 2개의 접속 슬롯 중 나머지 슬롯을 따라 일렬로 세워진 단자(8b)의 땜납 테일(11b)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7)의 다른, 맞은편 측면(도 2에서 보았을 때 우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제 도 4로 넘어가면, 상기 커넥터(5)의 마주하는 한 쌍의 단자가 상기 슬롯(9) 각각의 내부의 2열을 취하는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상기 단자는 단자 몸체 부분(12), 한 쌍의 접촉부(13a, 13b), 및 결합된 땜납 테일 부분(11)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땜납 테일(11)이 위에 기술된 방법으로 위치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각 단자(8)의 땜납 테일(11)은 해당되는 반대편 단자 몸체 부분(12)의 폭의 거의 1/2의 폭을 가지며, 그래서 하나의 슬롯(9)에 있는 1열의 단자(8)의 땜납(11)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7)으로부터 밖으로 연장되지만, 상기 동일한 슬롯(9)내에 배치된 단자의 다른 열의 각각의 단자(8)의 단자 몸체 부분(12)의 아래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통과는 단자 몸체 부분(12)의 최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리세스, 또는 공동부(62)에 의해서 용이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땜납 테일(11)의 피치는 상기 단자 피치(P)의 반, 즉 1/2·P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자(8)의 접촉부(10)는 특이한 형태로 형성되며, 이들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서로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두 개의 분할된 접촉부(12a, 12b)를 포함한다. 상기 분할된 접촉부의 하나(12a)는 상기 두 개의 분할된 접촉부(12b)의 다른 하나보다 더 길며, 그래서 상기 각각의 분할된 접촉부(12a, 12b)의 최종 단부(distal end)에 제공되어 있는 호 모양의 접촉부(13a, 13b)가 상기 접촉부(10)의 종방향을 따라, 즉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러한 접촉부(13a, 13b)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 맞물림 슬롯(9)으로 근소하게 돌출하게 된다.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1)를 상기 프린트된 회로판(2)의 에지부분에 조립하는데 있어서,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5)가 우선 상기 회로판(2)의 표면에, 도 1의 가까운 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판(2)의 에지부분(70)의 근처에 장착된다. 상기 커넥터(5)의 땜납 테일 부분(11)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7)의 측면들을 따라서(도 1을 볼 때 전방 및 후방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7)으로부터 바깥으로 돌출하게 된다. 상기 땜납 테일 부분(11)은 상기 회로판(2)의 표면상에 형성된 도전성 패드(미도시)에 반대 방향으로 정렬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커넥터(5)를 상기 회로판(2)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땜납 테일 부분(11)과 도전성 패드가 전착 납땜과 같은 바람직한 방법의 납땜에 의해서 표면 납땜된다. 상기 땜납 테일 부분(11)의 피치는 상기 단자 접촉부(10)의 피치(P)의 1/2과 같으며, 이로써 상기 커넥터(5)와 이 커넥터의 땜납 테일 부분(11)이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킨다. 그래서, 회로판의 감소된 공간을 이용하면서 회로판(2)에 고밀도 접속이 성취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5)는 단순한 구조이며, 이것은 커넥터 하우징(7)과 복수의 도전성 단자(8)를 포함한다. 상기 땜납 테일(11)도 역시 이 땜납 테일들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7)의 외부의 상기 커넥터 하우징(7)의 바닥 벽을 따라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단순한 외부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땜납 테일 부분(11)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단자(8)의 땜납 테일 부분(11)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기설정된 피치(P)에 해당하는 상기 땜납 테일(11)의 배열 피치를 유지하는 것이 또한 용이하며, 보통의 전착 납땜 방법에 의해 땜납 테일 부분(11)을 회로판(2)에 표면 납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제 도 1로 다시 돌아가면, 표면 장착 커넥터(5)와, 입력/출력("I/O") 형태의 커넥터의 경우와 같은, 단부를 이루는 복수의 전선들을 둘러싸는 대응 케이블 커넥터 사이에, 중간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서 전체적인 표면 장착 조립체(1)의 일부분으로써 중간 커넥터가 제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중간 커넥터(6)는 두 개의 다른 맞물림 부분(14, 15)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한 셋트의 도전성 단자(17)를 위한 내부 경로를 제공하는 커넥터 본체 부분(16)을 포함하며, 이로써 상기 커넥터(6)로 하여금 표면 장착 커넥터(5)와 케이블 커넥터 사이의 필요한 연결을 제공하도록 허용한다. 상기 커넥터 본체 부분(16)은 이 커넥터 본체 부분의 비용과 조립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일련의 별개의 부분(14, 15, 65 및 66)에 의해 공동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부분은 그 위에서 상기 단자(17) 및, 특히 제 1 접촉부(19)를 지지하는 2열 리프 커넥터 하우징(15)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접촉부(19)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케이블 커넥터(4)의 대응 접촉부(35)와 맞물려질 수 있다. 제 1 커넥터 하우징(15)은 상기 단자(17) 및, 회로판(2)의 평면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회로판(2)의 에지(70)를 지나서 배향되어 있는 상기 단자의 제 1 접촉부를 지지한다. 상기 2열 리프 커넥터 부분(15)은 상기 단자(17)를 별개의 두 셋트의 단자(도 5에서 상부 및 하부로 도시)로 배열하며 지지하는데, 각각의 셋트는 단자(17)의 두 대향 열을 갖는다.
상기 중간 커넥터(6)의 다른 맞물림 단부에, 제 2 맞물림 부분, 또는 하우징(14)이 제공된다. 이 제 2 하우징(14)은, 상기 커넥터(6) 내의 단자(17)를 또한 지지하는데, 특히 상기 커넥터의 대향 단부 및 제 2 접촉부(18)를 지지한다. 상기 단자(1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커넥터로부터 기대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도록 구부러져 있다. 상기 제 2 맞물림 부분(14)은 표면 장착 커넥터(5)의 상부 부분과 맞물려지며, 그래서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5)의 커넥터 하우징(7) 전체를 실질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된 내부 공동부(cavity)(61)내에 위치된 한 쌍의 플러그 부분(60)(도 13)을 포함한다. 상기 두 플러그 부분(60)은 표면 장착 커넥터(5)의 접촉부(13)의 2열의 쌍과 맞물려지는 접촉부(18)의 2열의 쌍으로 상기 단자 제 2 접촉부(18)를 지지한다. 상기 제 2 접촉부(18)는 단자(17)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맞물림 부분(14) 및 그 공동부(61)로 돌출될 수 있도록 충분한 거리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 2 접촉부(18)는 플러그 부분(60)을 따라서 돌출해 있으며, 표면 장착 커넥터(5)의 리셉터클(9) 내에 배열된 표면 장착 커넥터 단자(8)의 대응 접촉부(10)와 맞물려지는 중간 커넥터(6)의 플러그 단부 전체를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공부(61)는 도 5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커넥터 본체 부분(16)의 바닥 표면(16a)이 회로판(2)과 실질적으로 인접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크기가 정해진다. 상기 중간 커넥터(6)의 단자(17)는 표면 장착 커넥터 단자(8)의 접촉부(10)와 동일한 배열 피치(P)로 장착되며, 또한 표면 장착 커넥터(5)의 두 맞물림 슬롯(9) 내의 2열의 단자(8)에 상응하는 두 셋트의 단자들이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기 중간 커넥터(6)의 하우징 본체(16)는 도 1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하우징 본체의 대향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단부 블록(20)을 포함하며, 회로판(2)에 상기 중간 커넥터(6)를 장착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단부 블록(20) 각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지나가는 나사 구멍(21)을 포함한다. 각각의 단부 블록은 커넥터 하우징(16)의 전면과 마주하는 커넥터 가이드 핀(22)을 구비한다. 이러한 가이드 핀들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6)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하며, 반대편 케이블 커넥터(4)를 상기 중간 커넥터(6)로 맞물려지도록 가이드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핀(22)들은, 도 5, 6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는 목 부분(25)을 통해서 원통형 샤프트(24)의 최종 플러그 단부(26)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단부(26)는 크기가 다를 수 있는데, 케이블 커넥터(4)가 중간 커넥터(6)에 대해서 적절한 배향을 보장하도록 분극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플러그 단부(26b)가 다른 플러그 단부(26a)보다 크게 되며, 또한 상기 플러그 단부는 그들의 축 크기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크게 된다.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1)를 완성하기 위해서, 상기 중간 커넥터(6)는 우선 이 커넥터를 표면 장착 커넥터(5)의 상부 부분과 맞물려지도록 함으로써 회로판(2) 상에 고정된다. 이러한 중간 커넥터(6)들을 표면 장착 커넥터(5)들과, 회로판에 고정시키는 한 가지 방법이 도 1의 가운데 부분에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5)의 커넥터 하우징(7) 전체가 중간 커넥터 하우징(16)의 제 1 맞물림 부분 내에 수용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중간 커넥터(6)는 두 개의 상응하는 표면 장착 커넥터(5)와 맞물려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땜납 테일 부분(11)의 상기 땜납 부분은 제 1 맞물림 부분(14)의 공동부(61)에 의해서 또한 둘러싸여지며, 그래서 표면 장착 커넥터 하우징(7) 및 땜납 테일 부분(11)의 단부(즉, 납땜되는 부분) 모두는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16)에 의해 덮어 가리게 된다.
상기 중간 커넥터(6)의 이러한 맞물림은 상기 단자(17)의 제 2 접촉부(18)로 하여금 각각 표면 장착 커넥터 단자(8)의 대응 접촉부(10)와 맞물리게 한다. 맞물림이 이루어지면, 표면 장착 커넥터(5)의 접촉부(10)에 구비되어 있는 두 접촉부(13a, 13b) 중 하나의 접촉부(13a)가 중간 커넥터 접촉부(18)의 표면을 쓸어내게 되며, 이로써 얼룩이나 다른 종류의 표면 오염물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10)의 피치와 상기 제 2 접촉부(18)의 피치는 표면 장착 커넥터(5)의 땜납 테일 부분(11)의 피치의 두배에 해당하며, 그래서 인접하는 접촉부(10, 18) 사이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넓게된다. 그래서 이와 같은 단자 구조는 커넥터내의 인접하는 단자 구조가 단락될 수 있는 가능성을 피할 수 있게 된다.
표면 장착 커넥터(5)와 맞물려지는 중간 커넥터(6)는 커넥터 하우징(16)의 대향 단부들에 형성되어 있는 단부 블록(20)들의 나사 구멍(21)및, 프린트된 회로판에 형성된 개구부(27)를 관통하는 나사(28)를 통해서 회로판(2)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커넥터(6)를 회로판(2)에 직접 고정시킴으로써, 이 중간 커넥터에 케이블 커넥터(4) 맞물려질 때 이 중간 커넥터(6)에 작용하는 임의의 외력은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5)에 전달되지 않고 직접 회로판(2)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구조는 표면 커넥터(5)의 땜납 테일 부분(11)의 납땜 단부에 힘들이 작용하는 것을 피하게된다. 케이블 커넥터(4)는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회로판(2)의 에지(70)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고 장착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4)가 중간 커넥터(6)에 맞물려질 때, 상기 커넥터(4)로부터 중간 커넥터(6)에 작용하는 힘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회로판(2)의 일 측면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땜납 테일 부분(11)의 납땜 단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작용력은 표면 장착 커넥터(5)로 작용하지 않는다. 상기 중계(relay) 커넥터(6)의 단자(17)의 접촉부(18)가 서로 일(1)대일(1) 관계로 상호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중간 커넥터(6)를 표면 커넥터(5)와 맞물려지도록 함으로써, 회로판(2)의 도전성 패드(미도시)는 전기적 도체 상태로 상기 중간 커넥터(6)의 2열 리프 맞물림 부분(15)내에 위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커넥터(4)는 상기 중간 커넥터 2열 리프 맞물림 부분(15)과 상호 맞물려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케이블 커넥터(4)는 복수의 단자(33)가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하우징(32)을 포함한다. 이 커넥터 하우징(32)은 외부 상부 측면과 하부 측면상의 금속 쉴딩 커버(shielding cover)(34)에 의해서 덮여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32)은 일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금속 커버(34)로부터 돌출해 있는 맞물림 부분(30)을 포함한다. 금속 쉘(31)이 상기 맞물림 부분(30)의 둘레에 끼워 맞춰지며 이 맞물림 부분의 외부로 돌출해 있다.
케이블 커넥터(4)의 단자(33)는 표면 장착 커넥터(5)의 단자(8)의 피치(P)와 동일한 피치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32)의 내부에서 병렬 배열 형태로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33)는 상기 맞물림 부분(30)의 상부 및 하부 측면에 위치된 접촉부(35)를 포함하며, 상기 2열 리프 맞물림 부분(15)내에 위치한 중간 커넥터(6)의 2셋트의 접촉부(19)와 각각 맞물려진다. 절연 제거 접촉부(36)가 상기 단자(33)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 하우징(32)의 내부에 설치된다. 해당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금속 커버(34)내에 놓여있는 케이블(3)의 절연 전선(37)들은 이 전선들을 단자(33)에 대해서 눌러 밀착시킴으로써 종래의 방법으로 단자(33)에 끝 부분이 연결된다. 케이블 커넥터(4)는 상기 중간 커넥터(6)에서 돌출해 있는 가이드 핀(22)을 유도하는 가이드 홀(미도시)을 포함한다.
케이블 커넥터(4)를 중간 커넥터(6)와 맞물려지도록 함으로써, 중간 커넥터 단자(17)의 접촉부(19)와 케이블 커넥터 단자의 접촉부(35)가 서로 맞물려진다. 레버(44)를 포함하는 맞물림 해제 수단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중간 커넥터(6)로부터 케이블 커넥터(4)를 수월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도록 케이블 커넥터(4)의 외부 상에 제공된다.
도 1은 회로판(2)의 양 표면에 장착된 표면 장착 커넥터(5)와, 중간 커넥터(6)가 표면 장착 커넥터(5)와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다. 표면 장착 커넥터(5)의 대향 표면에 제공된 중간 커넥터(6)는 일반 나사(28)에 의해서 회로판(2) 상에 고정된다. 두 개의 이와 같은 커넥터 조립체(1)를 회로판(2)의 양 표면상에 장착함으로써, 회로판(2)의 양 표면의 효율적인 이용이 이루어진다. 표면 커넥터(5)가 회로판(2)의 한 표면에만 장착되고 하나의 해당 중간 커넥터(6)와 맞물려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중간 커넥터(6)를 회로판(2) 상에 고정시키는 것 역시 장착용 나사(28)와 같은 수단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중간 커넥터 하우징 본체(16)에 제공되어 있는 고정용 펙(peg)과 같은 다른 고정 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사(28)의 사용에 의해, 중간 커넥터(6)를 표면 장착 커넥터(5)에 고정시키고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는데 수월한데, 이것은 교체와 수리에 있어서 편리하다. 도 1에서 사용된 나사(28)는 회로판(2)의 양 표면상에 장착되어 있는 두 개의 중간 커넥터(6)가 하나의 공통 나사(28)에 의해서 동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맞은편 중간 커넥터(6)에 형성된 개구부와 맞물려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본체(16)는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단자(17)의 상단 열(row) 부분을 수용하는 일련의 슬롯(80)을 갖는 스페이서(spacer) 부재(65)를 또한 포함한다. (도 5) 이렇게 세 개의 분리된 하우징 부분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16)을 관통하며 상기 커넥터(6)의 상단 및 바닥 표면과 연결되어 있는 내부 통로(82)에 의해 단순 커넥터 하우징(16)이 구성된다. 제 1 맞물림 부분(15)은 제 1 접촉부(19)에서 상기 단자(17)로 끼워 맞춰질 수 있는 반면, 제 2 맞물림 부분(14)은 제 2 접촉부(18)에서 다른 방향에서 상기 단자(17)의 다른 단부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65)는 상기 단자(17)가 그들의 적절한 정렬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다중-부분 구조에 의해서, 복잡한 내부 통로를 가지는 일-부분(one piece) 커넥터 하우징을 고가로 성형할 필요가 없으며, 이러한 커넥터의 비용이 감소된다.
상기 커넥터 본체의 부분을 함께 유지하기 위해서, 고정 장치(retainer)(66)가 제공된다. 이 고정 장치는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6)로 삽입되는 동안, 스탬핑(stamping)되고 형성되는 금속 클립(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66)는 거의 상기 커넥터(6)의 폭 만큼 연장되어 있는 베이스(91)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91)는 그 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레그(leg)(92)를 구비한다. 이러한 레그(92)들은 장착용 나사(28)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93)를 포함한다. 상기 레그들은 일정 각도 구부러진 부분(95)에 있고, 상기 커넥터 본체(16)의 내부 안에 수용되고 나사산을 가진 제 2 개구부(94)를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나사산을 가진 개구부(94)는 상기 가이드 핀(22)의 나사산을 가진 단부와 맞물려진다. 그래서, 상기 고정 장치(65)는 상기 가이드 핀(22)을 상기 커넥터(6)의 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또한 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 장치(65)의 베이스(91)는 상기 레그 부분(92)의 단부(95)에 평행한 방향으로 또한 구부러져 있다. 조립 과정동안 상기 베이스가 구부러질 때, 상기 베이스(91)에 형성된 구멍(98)들은 제 2 맞물림 부분(14)에 의해서 형성된 정렬 스터드(stud), 또는 포스트(99)를 수용하게 되며 이와 맞물려진다. 이 제 2 맞물림 부분(14)이 도 16에 도시되어 있으며, 양 측면에 연장되어 있는 두 개의 탭(101)을 구비하는 베이스(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탭(101)들은 상기 장착용 나사(28)를 수용하는 개구부(102)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100)는 단자(17), 특히 제 2 접촉부(18)를 수용할 수 있는 두 개의 다른 층(103, 104)을 가진 "계단부(stepped)"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각각의 이러한 층은 단부(17)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된 복수의 슬롯(105, 106)을 구비한다. 제 2 맞물림 부분(14)의 상기 계단부 형상은 상기 단자(17)가 상기 커넥터 본체(16) 내에 포함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레그 부분(92)이 우선 형성되고, 제 1 맞물림 부분(15)의 일부로서 형성된 커넥터(6)의 전방 벽(106)과 접할 수 있는 커넥터 본체로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베이스(91)는 제 2 맞물림 부분(14)의 후방 벽(109)위로 구부러지며, 그래서 정렬 포스트가 상기 고정 장치(65)의 개구부 내로 수용될 것이다. 그리고 나서 상기 고정 장치(56) 및 다른 부분들이 서로 틀이 잡혀지는 공정의 일부분으로 상단 플랜지(110)가 형성된다.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변경이나 변형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로판 상의 공간을 낭비하지 않아, 노트북이나 랩탑 컴퓨터에서 발견될 수 있는 도킹 타입에 적용된다.

Claims (18)

  1. 프린트된 회로판에 결합된 표면 장착 커넥터와 대응하는 도킹 형태의 커넥터 사이에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중간 커넥터로서,
    커넥터 본체로서,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성 단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의 다른 표면상에 서로 일정 각을 이루며 배치된 제 1 및 제 2 커넥터 맞물림 부분을 구비하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분에 각각 배치된 별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자들은 상기 단자의 대향 단부에 각각 배치된 제 1 및 제 1 접촉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맞물림 부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맞물림 부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분은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와 상기 대응 커넥터 사이에 직각 연결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들을 다른 방향으로 배향되게 하는, 중간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대응하는 도킹 형태의 커넥터가 상기 중간 커넥터와 맞물려지고 분리되는 동안 발생하는 힘에 저항하기 위해서 상기 중간 커넥터를 상기 회로판에 직접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직접 고정 수단은 최소한 한개의 장착 나사 및 관통하는 장착 나사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최소한 한개의 장착 구멍을 구비하는데, 상기 장착 구멍은 상기 회로판으로부터 오프-셋 각을 가진 배향을 이루는, 중간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 장착 구멍은 상기 중간 커넥터가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와 맞물려질 때 상기 회로판에 형성된 해당하는 대응 장착 구멍과 일렬로 정렬되는, 중간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려지는 분리된 스페이서(spacer)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중간 커넥터의 상단 표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맞물림 부분은 상기 중간 커넥터의 하단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중간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제 2 맞물림 부분의 일부와 인접하여 놓여지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본체 내에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와 상기 제 2 맞물림 부분을 함께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중간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분을 함께 상기 커넥터 본체 내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중간 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부분은 상기 단자 제 1 접촉부를 수평 평면으로 지지하며, 상기 제 2 맞물림 부분은 상기 단자 제 2 접촉부를 수직 평면으로 지지하는, 중간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커넥터를 상기 중간 커넥터와 맞물려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제 1 맞물림 부분의 대향 측면 상에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분을 함께 상기 커넥터 본체 내에서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retainer)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분을 상기 커넥터 본체 내에서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고정 장치와 맞물려지는, 중간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들의 일부를 서로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고정 장치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 본체 내에서 제 위치에 고정되는, 중간 커넥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제 1 맞물림 부분의 대향 측면 상의 상기 고정 장치와 나사 결합으로 맞물려지는, 중간 커넥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맞물림 부분은 상기 중간 커넥터의 플러그 단부를 한정하며, 상기 제 1 맞물림 부분은 상기 중간 커넥터의 2열 리프 리셉터클 단부(dual leaf receptacle end)를 한정하는, 중간 커넥터.
  12. 표면 장착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는 회로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판의 에지 근처에 위치하며,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는 내부에 커넥터의 일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그 내부에 형성된 최소한 한개의 개구부를 갖는 리셉터클(receptacle)형태의 커넥터이며, 상기 대응 커넥터는 2열 리프 형태의 커넥터인, 표면 장착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회로판에 수직하게 연장된 제 1 맞물림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와 맞물려질 수 있는 최소한 한개의 플러그 부분을 구비하는 커넥터 본체로, 상기 회로판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플러그 부분에 일정 각을 이루는 제 2 맞물림 단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 2 맞물림 단부는 상기 회로판의 위로 연장되고 상기 회로판 에지를 벗어나서 밖으로 돌출해 있는 2열 리프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 본체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 본체 제 1 및 제 2 맞물림 단부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되, 상기 단자들은, 상기 단자의 대향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 본체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분에 의해서 각각 지지되는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 본체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분은 상기 단자의 대향 단부에 부착되는 두 개의 분리된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커넥터 본체 내에서 개방된, 내부 통로를 한정하는, 표면 장착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2열 리프 커넥터 부분은 상기 회로판 에지를 완전히 벗어나서 상기 회로판의 위에서 상기 단자 제 2 접촉부를 지지하는, 표면 장착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분을 상기 커넥터 본체내의 제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표면 장착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 제 2 맞물림 부분과 맞물려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제 2 맞물림 부분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는, 표면 장착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 제 2 맞물림 부분과 맞물려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제 2 맞물림 부분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분을 함께 상기 커넥터 본체 내에서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분을 상기 커넥터 본체 내에서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고정 장치와 나사 결합에 의해 맞물려지는, 표면 장착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
  17. 회로판의 에지 근처에서 프린트된 회로판에 장착하기 위한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회로판 에지를 벗어난 위치에서 대응하는 커넥터에 맞물려지도록 하기 위해 기설정 거리만큼 상기 회로판 에지를 부분적으로 벗어나 연장되어 있는 표면 장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회로판의 에지 근처에서 상기 회로판의 표면에 장착하기 위한 표면 장착 커넥터로서,
    상기 대응하는 커넥터와 맞물려질 수 있고 상기 회로판의 위로 배치되고, 상기 회로판 에지를 벗어나서 연장된 길이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의 맞물림 부분을 제공하기 위해서, 표면 장착 커넥터와 맞물려질 수 있는 중간 커넥터와,
    상기 대응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조립체와 맞물려지고 분리되는 동안 발생하는 힘이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 땜납 테일 부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중간 커넥터를 상기 회로판에 직접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중간 커넥터의 대향 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장착 구멍과, 상기 커넥터 조립체가 회로판에 장착될 때 상기 장착 구멍의 내부 및 상기 회로판에 형성된 장착 구멍 내부로 수용되는 한 쌍의 장착 나사를 포함하는, 상기 중간 커넥터를 상기 회로판에 직접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는 그 위에 배열된 복수의 도전성 단자들을 갖는 가늘고 긴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 단자들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 표면을 따라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따라서 상기 회로판에 납땜되어질 수 있는 결합된 땜납 테일 부분을 구비하되,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 단자들은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리셉터클의 대향 측면들을 일렬로 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커넥터는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 리셉터클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 부분을 갖는 제 1 맞물림 단부를 구비하는 가늘고 긴 중간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는데, 상기 중간 커넥터 본체는 상기 회로판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표면 장착 커넥터 리셉터클에 일정 각을 이루는 제 2 맞물림 단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 2 맞물림 단부는 상기 회로판의 위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회로판 에지를 지나서 바깥쪽으로 돌출해 있는 2열 리프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며, 복수의 단자들이 상기 중간 커넥터 제 1 및 제 2 맞물림 단부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커넥터 단자들은 상기 중간 커넥터의 상기 제 1 및 제 2 맞물림 단부에 각각 배치된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회로판 에지를 완전히 벗어난 상기 회로판의 위에서 상기 2열 리프 커넥터 부분에 의해서 지지되는,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
KR10-1999-7008394A 1998-01-16 1999-01-15 도킹-형태의 중간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532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045898A JP4029198B2 (ja) 1998-01-16 1998-01-16 表面実装コネクタ装置
JP10/20458 1998-01-16
JP10/26227 1998-09-11
JP2622798 1998-09-11
PCT/US1999/000186 WO1999036995A1 (en) 1998-01-16 1999-01-15 Docking-style intermediate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293A KR20000076293A (ko) 2000-12-26
KR100532146B1 true KR100532146B1 (ko) 2005-11-29

Family

ID=2635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39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2146B1 (ko) 1998-01-16 1999-01-15 도킹-형태의 중간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968546A4 (ko)
KR (1) KR100532146B1 (ko)
CN (1) CN1127179C (ko)
WO (1) WO19990369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1107B1 (en) 1998-01-16 2001-07-17 Molex Incorporated Surface mount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 structure
TWI499140B (zh) * 2014-05-21 2015-09-01 Wistron Corp 具有導孔結構之連接器機構、具有導柱結構之連接器機構及其相關電子裝置組合
KR101665784B1 (ko) * 2014-05-23 2016-10-12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금속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5069A (en) * 1990-06-08 1991-10-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US5133679A (en) * 1990-06-08 1992-07-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US5044975A (en) * 1990-11-05 1991-09-03 Ncr Corporation Cable connector locking arrangement
US5452975A (en) * 1993-07-19 1995-09-26 Grant; Jerry A. Connector device, and connection assembly comprising same
US5453016A (en) * 1993-11-15 1995-09-26 Berg Technology, Inc. Right angle electrical connector and insertion tool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68546A1 (en) 2000-01-05
KR20000076293A (ko) 2000-12-26
CN1256017A (zh) 2000-06-07
WO1999036995A1 (en) 1999-07-22
EP0968546A4 (en) 2002-09-18
CN1127179C (zh) 200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851A (en) Connector for a cable for high frequency signals
US5697799A (en) Board-mountabl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3551874A (en) Multiple coaxial connector
US710855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member
JP2538137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4780807B2 (ja) 基板実装用及びケーブル取付け用コネクタファミリー
US6171149B1 (en) High speed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517254B2 (en) Modular jack assembly having improved base element
US20190131748A1 (en) Electrical connectors with reinforced structure
US6290540B1 (en) Electrical connector
JPH04286885A (ja) 同軸コネクタモジュール
US6358067B1 (en) Docking-style intermediate connector
JPH06314580A (ja) 二基板接続用同軸コネクタ
US20050186813A1 (en) Electrical connector
US6527564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rinted circuit board
US6261107B1 (en) Surface mount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 structure
US4717344A (en)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KR100840161B1 (ko) 인쇄 회로 기판용 전도체 접속 모듈
JP3354866B2 (ja) ドッキングコネクタ
JPH09245861A (ja) 電気コネクタ
JP2006528828A5 (ko)
KR100532146B1 (ko) 도킹-형태의 중간 커넥터
KR100532561B1 (ko) 개선된 단자 구조를 갖는 표면 장착 커넥터
KR100531727B1 (ko) 도킹-형태의 커넥터 적용에 사용되는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
US7338325B2 (en) Electrical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211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1124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