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1281B1 - 로터리 압축기 - Google Patents

로터리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281B1
KR100531281B1 KR10-2003-0030308A KR20030030308A KR100531281B1 KR 100531281 B1 KR100531281 B1 KR 100531281B1 KR 20030030308 A KR20030030308 A KR 20030030308A KR 100531281 B1 KR100531281 B1 KR 100531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suction port
rotary valve
valve
rot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7822A (ko
Inventor
배지영
노철기
김종봉
박경준
장창용
고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0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1281B1/ko
Priority to US10/556,315 priority patent/US7988432B2/en
Priority to PCT/KR2004/000956 priority patent/WO2004101999A1/en
Publication of KR20040097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28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1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 F04C28/14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using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04C18/356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04C18/356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the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member, forming the working space, being surfaces of rev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04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reversibl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50/00Geometry
    • F04C2250/10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250/101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of the in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38Rotary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압축 용량을 위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각 압축 용량별 각종 구성 부품의 정확한 위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압축 공간과 흡입 공간을 구획하도록 베인을 가지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부의 내측 공간을 밀폐하여 압축실을 형성하는 상부 베어링 및 하부 베어링;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상부 베어링 및 하부 베어링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둘레면에는 편심부를 가지는 크랭크축; 상기 압축실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포트;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압축실 내부의 서로 다른 두 위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냉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포트를 가지며, 상기 각 흡입포트로 냉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매유동부를 가지는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로터리 압축기{rotary compressor}
본 발명은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압축 용량을 위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각 압축 용량별 각종 구성 부품의 정확한 위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로터리 압축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전기모터나 터빈 등의 동력 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나 냉매 또는 그 밖의 특수 가스에 압축일을 가함으로써, 작동유체의 압력을 높여주는 기계이다. 이러한 압축기는 공기조화기 분야나 냉장고 분야 등의 일반적인 가전제품에서부터 플랜트 산업에까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압축기는 압축을 이루는 방식에 따라 용적형 압축기(positive displacement compressor)와 터보형 압축기(dynamic compressor or turbo compressor)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도, 산업 현장에 널리 쓰이는 것은 용적형 압축기으로서, 체적의 감소를 통해 압력을 증가시키는 압축방식을 갖는다. 상기 용적용 압축기는 다시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와 로터리 압축기(rotary compressor)로 분류된다.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는 실린더 내부를 직선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기계요소로 높은 압축효율을 생산하는 장점이 있다. 그 반면에,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는 피스톤의 관성으로 인해 회전속도에 한계가 있으며, 관성력으로 인해 상당한 진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로터리 압축기는 실린더 내부를 편심된 채로 공전하는 롤러에 의해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것으로서,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에 비해 저속으로 높은 압축효율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리 압축기는 진동과 소음이 적게 발생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로터리 압축기는 전술한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상기 롤러가 양 방향으로 공전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즉, 종래 로터리 압축기는 실린더와 통하는 흡입포트와 토출포트가 각각 하나씩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는 흡입구측에서 토출구측으로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작동유체(예컨대, 냉매)를 압축한다. 따라서, 상기 롤러가 반대방향으로(토출구측에서 흡입구측으로) 구름 운동할 경우, 작동유체의 압축이 불가능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 로터리 압축기는 전술한 구조로 인해 압축용량을 가변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최근에, 공기조화기 등의 다양한 운전조건에 대응하기 위해 압축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압축기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로터리 압축기는 하나의 압축용량을 가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그 적용폭이 상당히 좁을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서로 다른 냉매 압축비를 얻기 위한 운전이 가능한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실 내부로의 오일 유입을 미연에 차단하여 상기 오일로 인한 압축 효율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압축이 이루어지는 공간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영역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로하는 압축 효율을 정확히 얻을 수 있도록 한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압축 공간과 흡입 공간을 구획하도록 베인을 가지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부의 내측 공간을 밀폐하여 압축실을 형성하는 상부 베어링 및 하부 베어링;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상부 베어링 및 하부 베어링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둘레면에는 편심부를 가지는 크랭크축; 상기 압축실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포트;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압축실 내부의 서로 다른 두 위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냉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포트를 가지며, 상기 각 흡입포트로 냉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매유동부를 가지는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로터리 압축기를 제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하나의 압축기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용량의 냉매 압축비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특히 밸브 어셈블리 자체에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여 선택적인 위치로의 냉매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시한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각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도시한 도 1의 사시도와 같이 크게 실린더부(100)와, 상부 베어링(210) 및 하부 베어링(220)과, 크랭크축(300)과, 롤러(400)와, 토출포트와, 밸브 어셈블리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부(1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베인(110)이 내향 돌출 가능하게 탄력 설치된다.
이 때, 상기 베인(110)은 항상 롤러(400)의 외주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실린더부(100)의 내부 공간이 냉매가 압축되는 공간과 상기 냉매가 흡입되는 공간으로 서로 구획되도록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베어링(210) 및 하부 베어링(220)은 상기 실린더부(100)의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부(100)의 내측 공간을 밀폐하여 압축실(101) 형성함과 더불어 크랭크축(300)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포트는 제1토출포트(610) 및 제2토출포트(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린더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베어링(2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각 토출포트(610,620)는 상기 실린더부(100)의 각 부위 중 베인(110)의 양측 공간상에 상기 베인(110)과는 인접되어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각 토출포트(610,620)에는 압축된 냉매의 선택적인 배출이 수행될 수 있도록 밸브(611,621)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크랭크축(3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압축실 내부에서 압축되는 냉매의 압축량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도록 동작된다.
여기서,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상부 베어링(210)과 상기 실린더부(100) 사이에 제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하부 베어링(220)과 상기 실린더부(100) 사이에도 제공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 어셈블리가 상기 하부 베어링(220)과 상기 실린더부(100) 사이에 제공됨을 제시한다.
특히, 상기한 밸브 어셈블리는 크게 중공의 고정 밸브(810)와, 크랭크축(300)이 관통되도록 관통공(829)을 가지는 회전 밸브(820)가 포함된다.
이러한 밸브 어셈블리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상기 고정 밸브(810)는 상기 하부 베어링(220)과 상기 실린더부(100) 사이의 외곽측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 밸브(820)는 상기 고정 밸브(81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때, 상기 회전 밸브(820)의 회전은 롤러(400)의 구름 운동에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전 밸브(820)의 상면에 위치된 롤러(400)가 압축실(101) 내에서 실린더부(100)의 내벽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수행할 경우 상기 롤러(400)의 저면과 상기 회전 밸브(820)의 상면 사이에 존재하는 오일이 상기 롤러(400)의 구름방향을 따라 유동됨과 더불어 이 오일의 점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 밸브(820)가 롤러(40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고정 밸브(810) 및 회전 밸브(820)는 대략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고정 밸브(810) 및 회전 밸브(820)는 압축실(101) 내부의 서로 다른 두 위치를 통해 상기 압축실(101) 내부로 선택적인 냉매의 공급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포트를 가지며, 외부로부터 냉매를 유입하여 필요한 위치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매유동부를 가진다.
상기에서 흡입포트는 상기 회전 밸브(820)에 형성되는 제1흡입포트(710) 및 제2흡입포트(720)와 상기 고정 밸브(810)에 형성되는 제3흡입포트(730)가 포함된다.
이 때, 상기 제1흡입포트(710) 및 제2흡입포트(720)는 상기 회전 밸브(820)의 외주면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며, 서로 임의의 거리를 가지면서 이격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3흡입포트(730)는 상기 고정 밸브(810)의 내주면에 요입 형성된다.
상기 제1흡입포트(710) 및 제2흡입포트(720)간 이격 거리는 해당 압축기의 사용 용도 즉, 필요로 하는 용량의 압축비를 얻기 위해 냉매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한 해당 흡입포트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대용량의 냉매 압축에 따른 압축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베인(110)에 가장 근접된 위치로부터 상기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져야함을 고려한다면, 대용량의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시 제1흡입포트(710)는 상기 베인(110)의 어느 한 측편에서 상기 베인(110)과는 가장 근접되도록 위치되고, 제2흡입포트(720)는 상대적으로 소용량의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시 상기 베인(110)의 다른 한 측편에서 상기 베인과는 근접되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각 흡입포트(710,720)간 이격 거리는 크랭크축(3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 밸브(820)가 회전 되었을 경우 전술한 각 위치에 각각의 해당 흡입포트(710,720)가 위치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다.
또한, 상기 제3흡입포트(730)는 베인(110)의 장착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베인(110)의 어느 한 측편의 인접 부위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흡입포트(730)는 실린더부(100)에 형성된 제1연통공(102)을 통해 외부 예컨대, 어큐뮬레이트 등으로부터 냉매를 제공받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 밸브(810)의 내주면 저부측 적소에는 상기 고정 밸브(810)의 두께보다는 얇으면서 내향 돌출된 걸림턱(81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밸브(820)의 둘레측에는 상기 회전 밸브(8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턱(811)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는 고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을 위해 상기 회전 밸브(820)가 회전될 경우 상기 고정 밸브(810)의 걸림턱(811)에 걸리는 제1스토퍼(821)와, 저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을 위해 상기 회전 밸브(820)가 회전될 경우 상기 고정 밸브(810)의 걸림턱(811)에 걸리는 제2스토퍼(822)가 포함된다.
이 때, 상기 제1스토퍼(821)는 그 양측에 제1흡입포트(710) 및 제2흡입포트(720)가 각각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토퍼(822)는 상기 제1스토퍼(821)와는 임의의 원주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 어셈블리가 가지는 냉매유동부는 저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을 위해 회전 밸브(820)가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 밸브(810)의 제3흡입포트(730)와 상기 회전 밸브(820)의 제1흡입포트(710)를 연통시키는 제1냉매유동부(823)와, 상기 회전 밸브(820)의 제2스토퍼(822)의 일단으로부터 제2흡입포트(720)까지를 연통시키는 제2냉매유동부(824)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각 냉매유동부(823,824)는 회전 밸브(820)의 둘레측 저면 가장자리를 소정 두께만큼 요입한 요입홈으로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각 흡입포트(710,720)와 대향되는 어느 한 베어링(210,220)의 대향면 중 저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을 위해 회전 밸브(82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밸브(820)의 제2스토퍼(822)가 위치되는 부위에 제3냉매유동부(221)가 더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3냉매유동부(221)는 상기 저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시 고정 밸브(810)의 제3흡입포트(730)와 회전 밸브(820)의 제2흡입포트(720)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 2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이 때,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고용량의 냉매 압축을 수행하는 운전 모드와, 저용량의 냉매 압축을 수행하는 운전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운전 모드별 동작 과정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로터리 압축기가 고용량의 냉매 압축을 위해 사용된다면 밸브 어셈블리는 도시한 도 2a 및 도 2b와 같은 상태가 되고, 이의 상태에서 크랭크축(3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용량의 냉매 압축이 수행된다.
이 때, 상기 압축기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는 실린더부(100)의 제1연통공(102)을 통해 제3흡입포트(730)로 제공되며, 상기 크랭크축(300)의 편심부(310) 둘레에 장착된 롤러(400)는 도 4a와 같은 최초 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상기 크랭크축(30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상태로 회전된다.
이의 경우, 상기 롤러(4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롤러(400)의 저면과 회전 밸브(820) 사이의 오일이 상기 롤러(400)의 회전 방향(반시계방향)을 따라 유동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되는 오일의 점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 밸브(820) 역시 상기 롤러(400)의 회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밸브(820)가 고정 밸브(81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 밸브(820)의 제1스토퍼(821)가 상기 고정 밸브(810)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811)에 걸린다면 상기 회전 밸브(820)의 회전은 정지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8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경우 고정 밸브(810)의 제3흡입포트(730)가 위치된 부위에 회전 밸브(820)의 제1흡입포트(710)가 위치되어 상호간이 연통된다.
이로 인해, 실린더부(100)의 제1연통공(102)을 통해 상기 제3흡입포트(730)로 공급된 냉매는 곧장 상기 회전 밸브(820)에 형성된 제1흡입포트(710)로 제공된다.
이 때, 상기 회전 밸브(820)에 형성된 제2흡입포트(720)는 비록 압축실(101) 내부에 위치되지만 냉매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1흡입포트(710)로 제공되는 냉매는 압축실(101) 내부와의 압력 차이로 인해 상기 제1흡입포트(710)를 통해 상기 압축실(101) 내부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롤러(400)가 크랭크축(300) 및 편심부(310)의 회전과 함께 편심회전되면서 도시한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상기 유입된 냉매를 점차 압축하게 된다.
이의 과정에서, 도 3c와 같이 상기 냉매의 압축이 완전히 이루어진다면 도면상 베인(110)의 우측편에 위치된 제2토출포트(620)의 개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압축된 냉매가 압축실(101) 외부로 토출된다. 이 때, 상기 베인(110)의 좌측편에 위치된 제1토출포트(610)는 계속적으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전술한 일련의 과정은 압축기의 동작이 정지되거나 크랭크축(300)의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만일, 전술한 고용량의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 모드로 운전되는 도중 혹은, 정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나 별도의 제어에 의해 저용량의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 모드로 운전된다면 밸브 어셈블리는 도시한 도 5a 및 도 5b와 같은 상태가 되고, 이의 상태에서 크랭크축(30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롤러(400)는 상기 크랭크축(300)의 회전에 의해 도시한 도 7a와 같은 최초 상태에서 도 7b와 같이 압축실(101) 내벽면을 따라 구르면서 상기 롤러(400)의 저면과 상기 회전 밸브(820) 사이에 존재하는 오일이 상기 롤러(400)의 회전 방향(시계방향)을 향해 유동되고, 이의 과정에서 상기 오일과의 점성력으로 인해 회전 밸브(820) 역시 상기 롤러(400)의 회전 방향(시계방향)을 향해 회전된다.
상기한 과정은 단지 롤러(400)의 회전 방향 그리고, 오일의 유동 방향만 다를 뿐 그 원리는 전술한 고용량의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 모드시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유동되는 오일의 점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 밸브(820) 역시 상기 롤러(400)의 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밸브(820)가 고정 밸브(810)의 내주면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 밸브(820)의 제2스토퍼(821)가 상기 고정 밸브(810)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811)에 걸린다면 상기 회전 밸브(820)의 회전은 정지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820)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경우 냉매가 흡입되는 공간은 베인(110)을 기준으로 우측 공간이 되며, 냉매가 압축되는 공간은 상기 베인(110)을 기준으로 좌측 공간이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회전 밸브(820)의 제2흡입포트(720)는 상기 베인(110)의 우측 공간상에서 상기 베인(110)과는 인접된 상태를 이루면서 위치되고, 상기 회전 밸브(820)의 제1흡입포트(710)는 도 5a 및 도 6a와 같이 대략 상기 고정 밸브(810)의 걸림턱(811)이 형성된 부위에 위치된다.
이 때, 상기 제2흡입포트(720)는 제1냉매유동부(823)에 의해 고정 밸브(810)의 제3흡입포트(730)와 연통되고, 상기 제1흡입포트(710)는 제2냉매유동부(824) 및 하부 베어링(220)에 형성된 제3냉매유동부(221)에 의해 상기 고정 밸브(810)의 제3흡입포트(730)와 연통된다.
따라서, 실린더부(100)의 제1연통공(102)을 통해 상기 제3흡입포트(730)로 공급된 냉매는 상기 회전 밸브(820)에 형성된 제1냉매유동부(823)를 통해 상기 제2흡입포트(720)로 제공되어 압축실(101) 내부로 유입됨과 더불어 제2냉매유동부(824) 및 제3냉매유동부(221)를 통해 제1흡입포트(710)로 제공되어 압축실(101)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실(101) 내부를 편심 회전되면서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롤러(400)가 상기 제1흡입포트(720)를 지나는 시점에서부터 상기 압축실(101) 내부로 유입된 냉매의 실질적인 압축이 시작됨과 더불어 도시한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상기 유입된 냉매를 점차 압축하게 된다.
이 때, 제2흡입포트(720)를 통해 압축실(101) 내부로 공급되는 냉매는 상기 롤러(400)가 상기 베인(110)이 위치된 부위의 실린더부(100) 내벽면을 통과할 때부터 제1흡입포트(710)가 연통된 위치에 도달되기 전까지 상기 베인(110)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1흡입포트(710)의 위치 사이의 압축실(101) 내부 공간이 진공됨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소음 및 압축 효율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의 과정에서, 도 6c와 같이 상기 냉매의 압축이 완전히 이루어진다면 도면상 베인(110)의 좌측편에 위치된 제1토출포트(610)의 개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압축된 냉매가 압축실(101) 외부로 토출된다. 이 때, 상기 베인(110)의 우측편에 위치된 제2토출포트(620)는 계속적으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전술한 일련의 과정은 압축기의 동작이 정지되거나 크랭크축(300)의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일련의 각 과정 중 고용량의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 모드로 운전되는 과정에서 회전 밸브(820)의 제2흡입포트(720)는 압축실(101)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냉매 압축에 따른 사영역을 이루게 된다.
특히, 상기 제2흡입포트(720)는 제1냉매유동부(823)와 연통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제2흡입포트(720)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냉매유동부(823) 역시 사영역을 이룸으로써 상기 제2흡입포트(720) 및 제1냉매유동부(823)가 가지는 공간만큼 압축 효율이 저하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도출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고용량의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모드로의 운전시 상기 제2흡입포트(720)가 상기 압축실(101) 외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밸브 어셈블리 중심을 크랭크축(300)의 중심으로부터 어느 한 측으로 편심되게 장착하여서 된 것이 제시되며, 이러한 구성은 도 8 내지 도 12b와 같다.
이 때, 상기 밸브 어셈블리를 이루는 회전 밸브(820) 및 고정 밸브(810)의 구조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다.
즉, 상기 회전 밸브(820)에는 제1흡입포트(710)와, 제2흡입포트(720)와, 제1스토퍼(821)와, 제2스토퍼(822)와, 제1냉매유동부(823)와, 제2냉매유동부(824)와, 관통공(829)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 밸브(810)에는 제3흡입포트(730)와, 걸림턱(811)이 각각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회전 밸브(820)의 관통공(829)은 크랭크축(300)의 직경에 비해 대략 밸브 어셈블리의 편심 거리만큼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크랭크축(300)의 원활한 회전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밸브 어셈블리의 편심 거리는 고용량의 냉매 압축을 위한 모드로 운전될 경우 회전 밸브(820)의 제2흡입포트(720)가 압축실(101) 외측에 위치됨과 동시에 저용량 냉매 압축을 위한 모드로 운전될 경우 상기 제2흡입포트(720)가 압축실(101) 내측에 위치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로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하부 베어링(2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3냉매유동부(221)는 상기 밸브 어셈블리의 편심 거리만큼 이동된 상태로 형성되어 저용량 냉매 압축을 위한 압축기의 운전시 고정 밸브(810)의 제3흡입포트(730)와 회전 밸브(820)의 제2냉매유동부(824)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 제2실시예의 구성을 이용한 고용량의 냉매 압축을 수행하는 운전 모드와, 저용량의 냉매 압축을 수행하는 운전 모드에 대한 동작 과정을 상기 각 운전 모드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제2실시예가 적용된 로터리 압축기가 고용량의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 모드로 운전되는 과정은 도시한 도 9a 내지 도 10b와 같다.
즉, 상기 고용량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 모드시 크랭크축(30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크랭크축(300)과 연동되는 롤러(400)는 압축실(101) 내에서 상기 크랭크축(3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공전된다.
이 때, 상기 압축기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는 실린더부(100)의 제1연통공(102)을 통해 제3흡입포트(730)로 제공되며, 상기 크랭크축(300)의 편심부(310) 둘레에 장착된 롤러(400)는 도 10a와 같은 최초 상태에서 도 10b와 같이 상기 크랭크축(30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상태로 회전된다.
이의 경우, 상기 롤러(4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롤러(400)의 저면과 회전 밸브(820) 사이의 오일이 상기 롤러(400)의 회전 방향(반시계방향)을 따라 유동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되는 오일의 점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 밸브(820) 역시 상기 롤러(400)의 회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밸브(820)가 고정 밸브(81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 밸브(820)의 제1스토퍼(821)가 상기 고정 밸브(810)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811)에 걸린다면 상기 회전 밸브(820)의 회전은 정지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8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경우 고정 밸브(810)의 제3흡입포트(730)가 위치된 부위에 회전 밸브(820)의 제1흡입포트(710)가 위치되어 상호간이 연통된다.
이로 인해, 실린더부(100)의 제1연통공(102)을 통해 상기 제3흡입포트(730)로 공급된 냉매는 곧장 상기 회전 밸브(820)에 형성된 제1흡입포트(710)로 제공된다.
하지만, 상기 밸브 어셈블리가 크랭크축(300)의 중심 즉, 압축실(101) 내부의 중심으로부터 임의 방향으로 임의 거리만큼 편심지게 장착되어 있음을 고려한다면 상기 회전 밸브(820)에 형성된 제2흡입포트(720)는 상기 압축실 외부에 위치된 상태로써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제1흡입포트(710)로 제공되는 냉매는 압축실(101) 내부와의 압력 차이로 인해 상기 제1흡입포트(710)를 통해 상기 압축실(101) 내부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롤러(400)가 크랭크축(300) 및 편심부(310)의 회전과 함께 편심회전되면서 도시한 도 9a 및 도 9b와 같이 상기 유입된 냉매를 점차 압축하게 된다.
이의 과정에서, 도 9c와 같이 상기 냉매의 압축이 완전히 이루어진다면 도면상 베인(110)의 우측편에 위치된 제2토출포트(620)의 개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압축된 냉매가 압축실(101) 외부로 토출된다. 이 때, 상기 베인(110)의 좌측편에 위치된 제1토출포트(610)는 계속적으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전술한 일련의 과정은 압축기의 동작이 정지되거나 크랭크축(300)의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만일, 전술한 고용량의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 모드로 운전되는 도중 혹은, 정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나 별도의 제어에 의해 저용량의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 모드로 운전된다면 크랭크축(300)은 도시한 도 12a와 같은 최초 상태에서 도 12b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롤러(400)가 회전되면서 상기 롤러의 저면과 상기 회전 밸브(820) 사이에 존재하는 오일이 상기 롤러(400)의 회전 방향(시계방향)을 향해 유동되고, 이의 과정에서 상기 오일과의 점성력으로 인해 회전 밸브(820) 역시 상기 롤러(400)의 회전 방향(시계방향)을 향해 회전된다.
상기한 과정은 단지 롤러(400)의 회전 방향 그리고, 오일의 유동 방향만 다를 뿐 그 원리는 전술한 고용량의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 모드시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유동되는 오일의 점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 밸브(820) 역시 상기 롤러(400)의 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밸브(820)가 고정 밸브(810)의 내주면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 밸브(820)의 제2스토퍼(821)가 상기 고정 밸브(8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811)에 걸린다면 상기 회전 밸브(820)의 회전은 정지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820)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경우 냉매가 흡입되는 공간은 베인(110)을 기준으로 우측 공간이 되며, 냉매가 압축되는 공간은 상기 베인(110)을 기준으로 좌측 공간이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회전 밸브(820)의 제2흡입포트(720)는 상기 베인(110)의 우측 공간상에서 상기 베인(110)과는 인접된 상태를 이루면서 위치되고, 상기 회전 밸브(820)의 제1흡입포트(710)는 도면상 대략 상기 고정 밸브(810)의 걸림턱(811)이 형성된 부위에 위치된다.
이 때, 상기 제2흡입포트(720)는 제1냉매유동부(823)에 의해 고정 밸브(810)의 제3흡입포트(720)와 연통되고, 상기 제1흡입포트(710)는 제2냉매유동부(824) 및 하부 베어링(220)에 형성된 제3냉매유동부(221)에 의해 상기 고정 밸브(810)의 제3흡입포트(730)와 연통된다.
따라서, 실린더부(100)의 제1연통공(102)을 통해 상기 제3흡입포트(730)로 공급된 냉매는 상기 회전 밸브(820)에 형성된 제1냉매유동부(823)를 통해 상기 제2흡입포트(720)로 제공되어 압축실(101) 내부로 유입됨과 더불어 제2냉매유동부(824) 및 제3냉매유동부(22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흡입포트(710)로 제공됨으로써 압축실(101)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실(101) 내부를 편심 회전되면서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롤러(400)가 상기 제1흡입포트(720)를 지나는 시점에서부터 상기 압축실(101) 내부로 유입된 냉매의 실질적인 압축이 시작됨과 더불어 도시한 도 11a 및 도 11b와 같이 상기 유입된 냉매를 점차 압축하게 된다.
이 때, 제2흡입포트(720)를 통해 압축실(101) 내부로 공급되는 냉매는 상기 롤러(400)가 상기 베인(110)이 위치된 부위의 실린더부(100) 내벽면을 통과할 때부터 제1흡입포트(710)가 연통된 위치에 도달되기 전까지 상기 베인(110)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1흡입포트(710)의 위치 사이의 압축실(101) 내부 공간이 진공됨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소음 및 압축 효율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의 과정에서, 도 11c와 같이 상기 냉매의 압축이 완전히 이루어진다면 도면상 베인(110)의 좌측편에 위치된 제1토출포트(610)의 개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압축된 냉매가 압축실(101) 외부로 토출된다. 이 때, 상기 베인(110)의 우측편에 위치된 제2토출포트(620)는 계속적으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전술한 일련의 과정은 압축기의 동작이 정지되거나 크랭크축(300)의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압축되는 냉매에는 오일이 포함되지 않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어큐물레이트 등에서 상기 실린더부(100) 내로 제공되는 냉매에 소정량의 오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상기 오일로 인한 압축 효율의 저하가 야기된다.
특히, 고용량의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 모드로 운전될 경우 회전 밸브(820)의 제1흡입포트(710)는 제3흡입포트(730)와 곧장 연통되기 때문에 상기 오일이 미처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고, 상기 압축실(101) 내부로 토출될 수 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3흡입포트(730)로 공급되는 냉매는 어큐물레이터 등의 불규칙적인 토출 압력에 따라 그 양이 가변되기 때문에 제1흡입포트(710)를 통해 압축실(101) 내부로 제공되는 냉매의 양 역시 불규칙적일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정확한 압축 효율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도시한 도 13 내지 도 14b와 같이 외부로부터 냉매를 제공받아 상기 냉매를 저장하도록 임의의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로 상기 저장된 냉매를 공급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냉매 저장부(500)를 하부 베어링(220)의 저부에 더 구비함을 제시한다.
이 때, 상기 밸브 어셈블리를 이루는 회전 밸브(820) 및 고정 밸브(810)의 구조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여기서, 냉매 저장부(500)에는 어큐물레이터 등으로부터 냉매를 제공받는 냉매관(11)이 연결되며, 하부 베어링(220)의 면상에는 상기 냉매 저장부(5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연통공(2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연통공(222)은 고정 밸브(810)의 제3흡입포트(730)와 대향되는 부위에 형성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시 상기 회전 밸브(820)의 제1흡입포트(710)가 위치되는 부위 즉, 상기 제3흡입포트(730)와의 대향되는 부위에 어느 하나의 연통공을 형성하고, 저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시 상기 회전 밸브(820)의 제1흡입포트(710)가 위치되는 부위에 또 다른 하나의 연통공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의해 외부(예컨대, 어큐물레이터)로부터 유입된 냉매는 냉매관(11)을 통해 냉매 저장부(500)의 내부 공간상에 제공된 후 제2연통공(222)을 통해 고정 밸브(810)의 제3흡입포트(730)로 제공되고, 계속해서 상기 냉매는 제2냉매유동부(824) 혹은, 곧장 회전 밸브(820)의 제1흡입포트(710)로 제공됨과 더불어 제1냉매유동부(823)에 의해 제2흡입포트(720)를 통과하여 압축실(101) 내부로 제공된다.
이 때, 상기 냉매 저장부(500) 내로 유입된 냉매에는 소정량의 오일이 함유되어 있지만, 상기 냉매와 상기 오일 상호간의 무게 차이에 의해 상기 냉매 저장부(500) 내에서 서로간이 분리된다. 이로 인해 상기 오일은 상기 냉매 저장부(500) 내의 저면에 고이고, 상기 냉매는 상기 냉매 저장부(500)의 상부 공간을 유동하면서 상기 제3흡입포트(730)로 배출된다.
따라서, 압축실(101) 내부로 제공되는 냉매에는 오일의 함유가 극소화될 수 있기 때문에 원활한 압축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어큐물레이터 등으로부터 냉매의 양이 불규칙적으로 제공된다 하더라도 상기 냉매 저장부(500)에 일시적으로 보관된 상태에서 제3흡입포트(730)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제3흡입포트(730)로는 항상 규칙적인 냉매의 양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보다 원활한 압축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어큐물레이터의 가장 큰 기능이 냉매로부터 오일을 분리함임을 고려한다면 전술한 냉매 저장부(500)가 상기 어큐물레이터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어큐물레이터를 압축기의 구성에서 제거되어도 상관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여기서, 도 14a는 전술한 제3실시예의 구성에 의한 고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시 압축기 내부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4b는 전술한 제3실시예의 구성에 의한 저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시 압축기 내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전술한 제3실시예의 구성에서 압축 냉매의 균일한 공급 및 오일 제거를 위한 냉매 저장부(500)는 밸브 어셈블리가 압축실(101) 내부 공간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구성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도시한 도 15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구성에 상기 냉매 저장부(500)를 적용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와 같은 구조로 그 실시가 가능하다.
물론, 이의 경우 밸브 어셈블리가 압축실(101) 내부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지 않았기 때문에 압축기가 고용량의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될 경우 상기 밸브 어셈블리를 이루는 회전 밸브(820)의 제2흡입포트(720)가 사영역을 형성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지만 제1실시예에 비해 보다 안정적인 냉매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음과 더불어 오일 유입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는 전술한 각 실시예와 같이 실린더부(100)와 하부 베어링(220) 사이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실린더부(100)와 상부 베어링(210) 사이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는, 전술한 각 실시예의 구성을 이용한다면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후술하는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해당 압축기가 적용되는 장비 혹은, 해당 압축기의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냉매 압축 용량을 얻도록 구동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즉, 크랭크축의 회전 방향만 달리하는 제어에 의해 상대적으로 고용량의 냉매 압축을 수행하거나 혹은, 상대적으로 저용량의 냉매 압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의해 압축실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사영역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게 되어 필요로하는 압축 효율에 최대한 근접된 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셋째, 압축실 내로 공급되는 냉매의 양이 항상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원활한 압축 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넷째, 압축실 내로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오일을 최대한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오일로 인한 압축 효율 저하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압축이 이루어지는 압축부에 대한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a 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고용량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시의 밸브 어셈블리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b 는 도 2a의 밸브 어셈블리를 이루는 고정 밸브와 회전 밸브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고용량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시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4a 는 도 3a의 Ⅰ-Ⅰ단면도
도 4b 는 도 3c의 Ⅱ-Ⅱ단면도
도 5a 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저용량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시의 밸브 어셈블리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b 는 도 5a의 밸브 어셈블리를 이루는 고정 밸브와 회전 밸브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저용량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시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7a 는 도 6a의 Ⅲ-Ⅲ단면도
도 7b 는 도 6c의 Ⅳ-Ⅳ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압축이 이루어지는 압축부에 대한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고용량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시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0a 는 도 9a의 Ⅴ-Ⅴ단면도
도 10b 는 도 9c의 Ⅵ-Ⅵ단면도
도 11a 내지 도 11c 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저용량 냉매 압축을 위한 운전시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2a 는 도 11a의 Ⅶ-Ⅶ단면도
도 12b 는 도 11c의 Ⅷ-Ⅷ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압축이 이루어지는 압축부에 대한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a 및 도 14b 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각 모드별 운전시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 제4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압축이 이루어지는 압축부에 대한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실린더부 101. 압축실
102. 제1연통공 110. 베인
210. 상부 베어링 220. 하부 베어링
221. 제3냉매유동부 222. 제2연통공
300. 크랭크축 310. 편심부
400. 롤러 500. 냉매 저장부
610. 제1토출포트 620. 제2토출포트
710. 제1흡입포트 720. 제2흡입포트
730. 제3흡입포트 810. 고정 밸브
811. 걸림턱 820. 회전 밸브
821. 제1스토퍼 822. 제2스토퍼
823. 제1냉매유동부 824. 제2냉매유동부
829. 관통공

Claims (56)

  1. 압축 공간과 흡입 공간을 구획하도록 베인을 가지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부의 내측 공간을 밀폐하여 압축실을 형성하는 상부 베어링 및 하부 베어링;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상부 베어링 및 하부 베어링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둘레면에는 편심부를 가지는 크랭크축;
    상기 압축실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포트;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압축실 내부의 서로 다른 두 위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냉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포트를 가지며, 상기 각 흡입포트로 냉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매유동부를 가지는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로터리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하부 베어링과 상기 실린더부 사이의 외곽측에 제공되어 고정되는 고정 밸브와,
    상기 고정 밸브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밸브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는 그 내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 밸브가 회전되도록 대략 소정 두께를 가지는 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밸브는 대략 상기 고정 밸브와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면서 그 내측에 크랭크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밸브에는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제공받아 필요로하는 압축 용량에 따라 상기 유입된 냉매를 선택적으로 압축실 내부에 제공하는 제1흡입포트 및 제2흡입포트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포트 및 제2흡입포트는 상기 회전 밸브의 외주면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흡입포트는 서로 임의의 거리를 가지면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흡입포트간 이격 거리는 저용량의 냉매 압축비로 운전될 경우 상기 제1흡입포트의 위치가 해당 냉매 압축비에 필요한 냉매량을 제공하는 위치임과 동시에 제2흡입포트는 베인에 인접된 부위 중 압축 방향을 기준으로 냉매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공간측편에 위치가 될 수 있는 거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의 내주면 적소에는 내향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밸브의 둘레측에는 상기 회전 밸브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밸브의 스토퍼는
    고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을 위해 상기 회전 밸브가 회전될 경우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제1스토퍼와,
    저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을 위해 상기 회전 밸브가 회전될 경우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제2스토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는 회전 밸브의 제1흡입포트 및 제2흡입포트가 양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와는 임의의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고정 밸브에는 외부로부터 냉매를 제공받아 상기 회전 밸브의 제1흡입포트 혹은, 제2흡입포트로 상기 냉매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3흡입포트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흡입포트는 상기 고정 밸브의 내주면에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흡입포트는 베인의 장착 위치를 기준으로 어느 한 측편의 인접된 부위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실린더부에는 상기 제3흡입포트와 연통된 상태로 외부의 냉매를 전달하는 연통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냉매유동부는 저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을 위해 회전 밸브가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 밸브의 제3흡입포트와 상기 회전 밸브의 제2흡입포트를 연통시키는 제1냉매유동부와, 상기 회전 밸브의 제2스토퍼의 일단으로부터 제1흡입포트까지를 연통시키는 제2냉매유동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냉매유동부는 회전 밸브의 둘레측 저면 가장자리를 소정 두께만큼 요입한 요입홈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흡입포트와 대향되는 어느 한 베어링의 대향면 중 저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을 위해 회전 밸브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밸브의 제2스토퍼가 위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고정 밸브의 제3흡입포트와 상기 회전 밸브의 제1흡입포트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제3냉매유동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그 중심이 크랭크축의 중심으로부터 어느 한 측으로 임의 거리만큼 편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하부 베어링과 상기 실린더부 사이의 외곽측에 제공되어 고정되는 고정 밸브와,
    상기 고정 밸브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밸브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는 그 내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 밸브가 회전되도록 대략 소정 두께를 가지는 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밸브는 대략 상기 고정 밸브와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면서 그 내측에 크랭크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를 이루는 회전 밸브에는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제공받아 필요로하는 압축 용량에 따라 상기 유입된 냉매를 선택적으로 압축실 내부에 제공하는 제1흡입포트 및 제2흡입포트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포트 및 제2흡입포트는 상기 회전 밸브의 외주면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흡입포트는 서로 임의의 거리를 가지면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흡입포트간 이격 거리는 저용량의 냉매 압축비로 운전될 경우 상기 제1흡입포트의 위치가 해당 냉매 압축비에 필요한 냉매량을 제공하는 위치임과 동시에 제2흡입포트는 베인에 인접된 부위 중 압축 방향을 기준으로 냉매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공간측편에 위치가 될 수 있는 거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의 내주면 적소에는 내향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밸브의 둘레측에는 상기 회전 밸브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밸브의 스토퍼는
    고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을 위해 상기 회전 밸브가 회전될 경우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제1스토퍼와,
    저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을 위해 상기 회전 밸브가 회전될 경우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제2스토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는 회전 밸브의 제1흡입포트 및 제2흡입포트가 양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와는 임의의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고정 밸브에는 외부로부터 냉매를 제공받아 상기 회전 밸브의 제1흡입포트 혹은, 제2흡입포트로 상기 냉매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3흡입포트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흡입포트는 상기 고정 밸브의 내주면에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흡입포트는 베인의 장착 위치를 기준으로 어느 한 측편의 인접된 부위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31. 제 28 항에 있어서,
    실린더부에는 상기 제3흡입포트와 연통된 상태로 외부의 냉매를 전달하는 연통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32. 제 28 항에 있어서,
    냉매유동부는 저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을 위해 회전 밸브가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 밸브의 제3흡입포트와 상기 회전 밸브의 제2흡입포트를 연통시키는 제1냉매유동부와, 상기 회전 밸브의 제2스토퍼의 일단으로부터 제1흡입포트까지를 연통시키는 제2냉매유동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냉매유동부는 회전 밸브의 둘레측 저면 가장자리를 소정 두께만큼 요입한 요입홈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흡입포트와 대향되는 어느 한 베어링의 대향면 중 저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을 위해 회전 밸브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밸브의 제2스토퍼가 위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고정 밸브의 제3흡입포트와 상기 회전 밸브의 제1흡입포트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제3냉매유동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35. 제 28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냉매를 제공받아 저장하도록 임의의 공간을 가지며, 밸브 어셈블리로 상기 저장된 냉매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냉매 저장부가 상기 하부 베어링의 저부 둘레를 따라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저장부는 그 상면에 개구된 상태로 상기 하부 베어링의 저부 둘레를 감싸도록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저장부의 장착위치와 대향되는 하부 베어링의 면상에는 상기 냉매 저장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은 고정 밸브의 제3흡입포트가 위치되는 부위와 연통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39. 제 21 항에 있어서,
    밸브 어셈블리의 편심 거리는 고용량 냉매 압축을 위한 모드로 운전될 경우 상기 제2흡입포트가 압축실 외측에 위치됨과 동시에 저용량 냉매 압축을 위한 모드로 운전될 경우 상기 제2흡입포트가 압축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을 정도의 거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40.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냉매를 제공받아 저장하도록 임의의 공간을 가지며, 밸브 어셈블리로 상기 저장된 냉매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냉매 저장부가 상기 하부 베어링의 저부 둘레를 따라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하부 베어링과 상기 실린더부 사이의 외곽측에 제공되어 고정되는 고정 밸브와,
    상기 고정 밸브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밸브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는 그 내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 밸브가 회전되도록 대략 소정 두께를 가지는 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밸브는 대략 상기 고정 밸브와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면서 그 내측에 크랭크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43. 제 42 항에 있어서,
    냉매 유동부를 갖는 밸브 어셈블리의 회전 밸브에는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제공받아 필요로하는 압축 용량에 따라 상기 유입된 냉매를 선택적으로 압축실 내부에 제공하는 제1흡입포트 및 제2흡입포트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의 내주면에는 외부로부터 냉매를 제공받아 상기 회전 밸브의 제1흡입포트 혹은, 제2흡입포트로 상기 냉매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3흡입포트가 요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의 내주면 적소에는 내향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밸브의 둘레측에는 상기 회전 밸브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밸브의 스토퍼는
    고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을 위해 상기 회전 밸브가 회전될 경우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제1스토퍼와,
    저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을 위해 상기 회전 밸브가 회전될 경우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제2스토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는 회전 밸브의 제1흡입포트 및 제2흡입포트가 양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와는 임의의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48. 제 46 항에 있어서,
    냉매유동부는 저용량 냉매 압축비로의 운전을 위해 회전 밸브가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 밸브의 제3흡입포트와 상기 회전 밸브의 제2흡입포트를 연통시키는 제1냉매유동부와, 상기 회전 밸브의 제2스토퍼의 일단으로부터 제1흡입포트까지를 연통시키는 제2냉매유동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냉매유동부는 회전 밸브의 둘레측 저면 가장자리를 소정 두께만큼 요입한 요입홈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50.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저장부는 그 상면에 개구된 상태로 상기 하부 베어링의 저부 둘레를 감싸도록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저장부의 장착위치와 대향되는 하부 베어링의 면상에는 상기 냉매 저장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은 고정 밸브의 제3흡입포트가 위치되는 부위와 연통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5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상부 베어링과 상기 실린더부 사이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5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포트는 제1토출포트 및 제2토출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토출포트는 실린더부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토출포트는 상기 실린더부의 각 부위 중 베인의 양측 공간상에 상기 베인과는 인접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KR10-2003-0030308A 2003-05-13 2003-05-13 로터리 압축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531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308A KR100531281B1 (ko) 2003-05-13 2003-05-13 로터리 압축기
US10/556,315 US7988432B2 (en) 2003-05-13 2004-04-26 Rotary compressor for changing compression capacity
PCT/KR2004/000956 WO2004101999A1 (en) 2003-05-13 2004-04-26 Rotary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308A KR100531281B1 (ko) 2003-05-13 2003-05-13 로터리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822A KR20040097822A (ko) 2004-11-18
KR100531281B1 true KR100531281B1 (ko) 2005-11-28

Family

ID=3344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308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1281B1 (ko) 2003-05-13 2003-05-13 로터리 압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88432B2 (ko)
KR (1) KR100531281B1 (ko)
WO (1) WO20041019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1847B4 (de) * 2007-10-30 2014-07-17 Forschungszentrum Jülich GmbH Vorrichtung zur Stimulation von Neuronen mit einer krankhaft synchronen und oszillatorischen neuronalen Aktivität
CN101676563B (zh) * 2008-09-20 2011-07-2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真空泵
CN102812208A (zh) * 2009-09-10 2012-12-05 查特赛科技术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和方法
US9267503B2 (en) * 2009-09-10 2016-02-23 Caire Inc. Rotary systems lubricated by fluid being processed
KR101637446B1 (ko) * 2009-12-11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US20150159919A1 (en) * 2010-02-25 2015-06-11 Mayekawa Mfg. Co., Ltd. Heat pump unit
DE102011005051B4 (de) * 2011-03-03 2013-04-25 Osram Gmbh Lampe mit mindestens einer LED und zwei relativ zueinander bewegbaren Gehäuseteilen
CN106837790B (zh) * 2017-01-05 2020-01-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旋转压缩机、制冷系统及调温设备
CN107975475B (zh) * 2017-11-30 2024-04-16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流体机械及具有其的换热设备
CN108730181B (zh) * 2018-05-18 2020-06-19 珠海凌达压缩机有限公司 泵体结构及具有其的压缩机
KR102750451B1 (ko) * 2019-09-04 2025-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2979A (en) * 1972-03-02 1973-07-03 G Woodling Rotary valv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controlled working passages
US4598559A (en) * 1985-05-31 1986-07-08 Carrier Corporation Reversible fixed vane rotary compressor having a reversing disk which carries the suction port
JPS62126290A (ja) * 1985-11-25 1987-06-08 Toshiba Corp 可逆回転式圧縮機
JPS6332192A (ja) * 1986-07-23 1988-02-10 Toshiba Corp 可逆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88432B2 (en) 2011-08-02
WO2004101999A1 (en) 2004-11-25
KR20040097822A (ko) 2004-11-18
US20080107556A1 (en)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1281B1 (ko) 로터리 압축기
US7588427B2 (en) Variable capacity rotary compressor
KR100531287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539561B1 (ko) 이중용량 로터리 압축기
KR100531288B1 (ko) 로터리 압축기
US7597547B2 (en) Variable capacity rotary compressor
EP1805419B1 (en) Rotary compressor
KR100565647B1 (ko) 이중용량 로터리 압축기
KR100493318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493320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493319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1008626B1 (ko) 이중용량 로터리 압축기
KR100493316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493315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493317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531279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531282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531283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531286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2284366B1 (ko) 압축기
KR100531280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531284B1 (ko) 로터리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