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0854B1 - 패류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패류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854B1
KR100530854B1 KR1020050060097A KR20050060097A KR100530854B1 KR 100530854 B1 KR100530854 B1 KR 100530854B1 KR 1020050060097 A KR1020050060097 A KR 1020050060097A KR 20050060097 A KR20050060097 A KR 20050060097A KR 100530854 B1 KR100530854 B1 KR 100530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fish
frame
collecting
rod
samp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기
Original Assignee
김봉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기 filed Critical 김봉기
Priority to KR1020050060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85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패류 채취장치는 양측에 미끄럼 플레이트가 각각 설치되며 전면에 견인을 위한 견인고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미끄럼 플레이트 사이의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부재에 상호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채취봉들을 구비한 채취유니트와, 상기 채취유니트의 후방 프레임 또는 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채취봉에 의해 채취된 패류를 통과시키며 뻘을 잘게 부수는 여과부재와, 상기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설치된 서브프레임에 의해 상기 채취 유니트로부터 채취된 패류가 담기는 수집망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패류 채취장치{Picking apparatus for a shellfish}
본 발명은 패류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키조개를 채취할 수 있는 패류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연 근해에서는 키조개, 피조개, 꼬막, 반지락 등이 많은 패류가 양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양식된 패류의 채취는 주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견인장치에 의해 견인되는 채취기가 이용된다.
특히, 수심 40-60m의 해저 갯벌에 밀립서식하고 있는 어패류 중에 채산성과 경제성이 매우 좋은 키조개는 깊은 수심에서의 잠수능력이 있는 잠수부들이 호미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일일이 채취하고 있는데, 깊은 수심의 갯벌은 모래와 찰흙, 기타불순물로 장시간 응집되어 점도가 매우 높으므로 넓은 갯벌을 전부 파헤치듯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잠수부가 잠수병을 얻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깊은 수심의 잠수능력을 가진 잠수부에 의존하여 패류를 채취는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고, 상대적으로 채취률이 저조하여 비 경제적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 소화 58-182,670호에는 어선 등에 의하여 해저에서 예인되는 몸체의 앞측에 고압 분사관이 회동되면서 공기가 분사되고, 이 분사력에 의해 해저표층으롭터 부상된 패류를 몸체 후측에 부착된 수집망통에서 수집하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공고 제 1983-000855호에 개시된 조립식 패류 채취장치는 전면이 단으로 된 하판 상부에 채취봉을 설치하고 후미에서 고정너트로서 나사 결합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패류 채취장치는 뻘에 채취봉이 박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채취봉이 뻘을 지속적으로 파고 들어가게 되는 견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 공고 제 1992-0007550호에는 키조개 채취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키조개 채취기는 슬라이드 판이 저면에 설치되며 양지간을 횡간으로 고정화한 몸체에 침봉을 고정한 고정봉과 연장축봉을 가진 유동체를 설치하여 선상단김장치에 의해 상하 연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채취장치는 선상당김장치를 이용하여 유동체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가지고 있는데, 이 키조개 채취기는 침봉에 의해 키조개 뿐만아니라 점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뻘이 채취되어 수납어망으로 유입되므로써 패류를 지속적으로 채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채취되는 패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채취유니트이 설정높이 이상 뻘속으로 박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패류 채취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채취유니트에 의해 뻘들을 분쇄하여 채집망에 뻘이 채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프레임이 들뜨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패류 채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패류 채취장치는,
양측에 미끄럼 플레이트가 각각 설치되며 전면에 견인을 위한 견인고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미끄럼 플레이트 사이의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부재에 상호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채취봉들을 구비한 채취유니트과,
상기 채취유니트의 후방 프레임 또는 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채취봉에 의해 채취된 패류를 통과시키며 뻘을 잘게 부수는 거름망부재와,
상기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설치된 지주에 의해 상기 채취 유니트로부터 채취된 패류가 담기는 수집망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플레이트가 상기 프레임보다 후방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채취유니트는 상기 각 채취봉들과 결합되어 이들의 간격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는 어선 등에 의해 견인되면서 해저로부터 패류를 채취하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패류 채취장치(10)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양측에 설치되는 미끄럼 플레이트(11)(12)와, 상기 미끄럼 플레이트(11)(12) 사이의 프레임(20)에 지지된 지지부재(31)에 상호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채취봉(32)들을 가지는 채취유니트(30)와,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상기 채취 유닛을 상부를 소정의 높이로 감싸는 써브 프레임(25)에 의해 지지되는 수집망(40)과, 상기 지지부재(3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채취봉(32)에 의해 채취된 패류를 통과시키며 뻘을 잘게 부수는 여과부재(50)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패류 채취장치(10)를 각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프레임(20)은 양측에 위치되는 미끄럼 플레이트(11)(12)가 설치되는 플레이트 고정부(21)와, 상기 플레이트 고정부(21)의 전면에 이들을 연결하며 중앙부에 견인고리(22a)가 형성된 견인부(22)를 구비한다. 상기 수집망(40)이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25)은 양측에 위치되는 서포트(25a)와 이들 서포트를 연결하는 연결바(25b)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20)과 서브프레임(25)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각각 채취 유니트의 견인 및 어망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20)의 플레이트 고정부(21)에는 미끄럼 플레이트(11)(12)가 결합수단(15)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미끄럼 플레이트(11)(12)의 전단부측이 후단부측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장착된다. 상기 결합수단(15)은 고정부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15a)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15a)에 설치된 지지봉(15b)과, 상기 지지봉(15b)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15a)에 대해 지지봉(15b)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너트(15c)들을 구비한다.
상기 플레이트 고정부(21)에 설치되는 미끄럼 플레이트(11)(12)의 후단부는 상기 플레이트 고정부(21)의 후단부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채취장치의 견인시 상기 프레임(20)이 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채취유니트(30)는 상기 플레이트 고정부(21)에 고정된 지지부재(31)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채취봉(32)들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해저면에 채취봉(32)이 박힌 상태로 이동하면서 패류인 키조개 등을 채취하게 된다. 이러한 채취유니트(30)의 채취봉(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경사 방향에 대해 내측으로 절곡되어 해저면의 뻘에 박히는 것을 방지하는 절곡부(33)를 구비한다. 이 절곡부(33)는 단부가 내측으로 만곡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밴딩되어 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채취봉(32)의 단부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채취봉(32)이 뻘에 박힌 상태로 이동할 때에 뻘에 박히는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컨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봉(32)의 단부에 형성된 절곡부(33)가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취봉(32)들은 이들의 간격을 유지하면 채취된 패류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60)을 더 구비한다. 이 결합수단(60)은 채취봉(32)의 하부측에 설치되며 관통공(61)이 형성된 보스부(62)와 상기 보스부(62)를 관통하여 삽입되어 채취봉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봉(63)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보스부(62)와 지지봉(63)은 용접되어 지지봉에 대해 상기 채취봉(32)의 위치고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취봉(32)에 대한 지지봉(63)의 결합은 채취봉(32)에 관통공을 직접 형성하고 이 관통공에 지지봉을 삽입한 상태에서 채취봉(32)과 지지봉(32)을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채취봉(32)들 사이의 지지봉(32)에는 채취된 패류를 수집망(40) 측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64)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가이드 롤러(64)는 상기 지지봉(32)에 삽입되는 관상부재 즉,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64)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수집된 폐류를 수집망(40) 측으로 가이드 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은 수집된 패류가 이동되는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채취봉(32)들의 상기에 가이드 롤러(64)들이 설치된 경우 상기 지지봉은 단순한 보스부에 삽입되고 그 단부들이 너트 결합될 수도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채취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채취봉(32)의 간격을 유지하는 결합수단은 채취봉(32)들의 단부에 지지봉이 설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봉(32)의 중앙부에 가이드 롤러를 가지는 하나의 결합수단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이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채취봉(32)들의 단부에만 절곡부(33)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여과부재(50)는 상기 지지부재(31) 또는 프레임(2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채취유니트(30)에 의해 포집된 패류는 통과시키고 뻘이 수집망(40)을 통과 할 수 있도록 상기 뻘을 잘게 부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1) 또는 프레임(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격자상의 회동골조(51)와, 상기 회동골조(51)에 지지되는 매쉬부(52)를 구비한다. 상기 회동골조(51)는 수집망(40)의 입구를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채취유니트(30)의 채취영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매쉬부(52)는 환봉 또는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회동골조(51)에 그 단부들이 지지된 격자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사상기 매쉬부(52)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뻘의 상태 또는 수집되는 패류의 크기 등에 따라 격자의 크기가 달라 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컨데, 매쉬부(52)를 이루는 환봉 또는 파이프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롤러(52a)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여과부재(50)는 서브 프레임(25)에 와이어(55)에 의해 고정되어 그 지지각도가 한정된 구조를 가지는데, 이 여과부재(50)는 로프에 의해 견인선박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는 범위 내에서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수집망(40)은 채취 유니트(30)에 의해 채집된 패류를 포집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31)와 서브 프레임(25)에 의해 구획된 공간이 입구를 이룰 수 있도록 수집망(40)의 입구 가장자리가 프레임(20)과 지지부재(31) 및 서브 프레임(25)에 지지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집망(40)의 하부측은 미그럼 플레이트(11)(12)기 설치되는 프레임(20)의 후단부 측에 고정되어 견인시 포집장치가 들뜨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집망의 눈의 크기는 상기 채취하고자하는 패류가 빠지지 않은 크기를 가지며 분쇠된 뻘은 쉽게 빠지는 조를 가져야 한다. 미설명부호 200은 견인선박이며, 210은 견인로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채취장치(10)를 이용하여 해저 양식장으로부터 키조개와 같은 패류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고리(22a)에 견인선박(200)에 연결된 견인로프(210)와 연결하고 이를 키조개 등과 같은 패류를 채취하고자 하는 해저면에 채취유니트(30)가 뻘 등이 해저면에 닿도록 내린다.
이 상태에서 상기 견인선박(200)을 이용하여 패류 채취장치(10)를 끌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미끄럼 플레이트(11)(12)는 해저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되고, 상기 채취유니트(30)의 채취봉(32)은 해저면의 뻘, 모래, 마사토에 일정한 깊이로 박힌 상태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채취봉(32)의 단부에는 굴곡부(3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채취봉(32)이 땅속으로 빅히려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즉 채취봉의 단부에는 굴곡부(33)는 일적한 깊이에서 전진방향으로 최 하단부 측과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져 땅에 박히려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채취유니트(30)가 뻘 또는 모래, 마사토 등에 박힌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이에 박힌 키조개 또는 패류를 채취봉(32)에 의해 채취하게 되고 이와 같이 채취된 패류는 채취봉(32)에 의해 빠지지 않고 채취유니트와 여과부재를 통하여 수집망(40)에 포집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채취유니트(30)의 채취봉(32)의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봉(63)에는 가이드롤(6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동되는 패류를 손상시키지 않고 수집망(4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채취유니트(30)에 의한 패류 채취과정에서 같이 이동되는 뻘은 채취유니트의 상부를 통하여 이동된 후 여과부재(50)로 이동되는데, 이 뻘은 여과부재(50)의 메쉬부(51)에 의해 잘게 부숴져 수집망(40)을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상기 미끄럼 플레이트(11)(12)의 단부는 프레임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집망이 무거워질수록 프레임이 들리려는 힘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채취장치는 양식장 또는 갯벌로부터 키조개, 대합, 새조개 꼬막 등 채취하고자하는 폐류의 크기에 따래 채취봉의 간격을 조정하여 패류를 채취할 수 있으며, 채취봉에 의해 채취된 벌이 수집망에 채워져 패류의 수집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채취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채취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패류 채취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취 유니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취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채취봉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채취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여과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Claims (4)

  1. 양측에 미끄럼 플레이트가 각각 설치되며 전면에 견인을 위한 고리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미끄럼 플레이트 사이의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부재에 상호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채취봉들을 구비한 채취유니트와,
    상기 채취유니트의 후방의 프레임 또는 지지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채취봉에 의해 채취된 패류를 통과시키며 뻘을 잘게 부수는 여과부재와,
    상기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설치된 지주에 의해 상기 채취 유니트로부터 채취된 패류가 담기는 수집망을 구비하고,
    상기 채취유니트는 상기 각 채취봉들과 결합되어 이들의 간격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봉과 상기 채취봉 사이의 지지봉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채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플레이트가 상기 프레임보다 후방으로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하는 패류 채취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격자상의 회동골조와, 상기 회동골조에 설치되는 매쉬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채취장치.
KR1020050060097A 2005-07-05 2005-07-05 패류 채취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30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097A KR100530854B1 (ko) 2005-07-05 2005-07-05 패류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097A KR100530854B1 (ko) 2005-07-05 2005-07-05 패류 채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0854B1 true KR100530854B1 (ko) 2005-11-23

Family

ID=3730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0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0854B1 (ko) 2005-07-05 2005-07-05 패류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8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402B1 (ko) 2009-09-09 2010-08-11 강중환 형망어구
WO2011031075A3 (ko) * 2009-09-09 2011-07-14 Kang Jung Hwan 형망어구
KR101777764B1 (ko) 2014-10-31 2017-09-12 박송범 흡입식 해삼 채취 장치
KR101971219B1 (ko) * 2017-11-14 2019-04-22 김덕순 꼬막 채취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402B1 (ko) 2009-09-09 2010-08-11 강중환 형망어구
WO2011031075A3 (ko) * 2009-09-09 2011-07-14 Kang Jung Hwan 형망어구
KR101777764B1 (ko) 2014-10-31 2017-09-12 박송범 흡입식 해삼 채취 장치
KR101971219B1 (ko) * 2017-11-14 2019-04-22 김덕순 꼬막 채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550B1 (ko) 착탈이 용이한 해양 부유생물 제거장치
EP1643830B1 (en) Trawl apparatus
DE60110583T2 (de) Vorrichtung zum ernten und verarbeiten von mollusken und zum reinigen von einer zugehörigen molluskenmaschine im wasser
CN101449671B (zh) 扇贝捕捞网具
DE2950922A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manganknollenabbau am meeresboden
KR101787888B1 (ko) 굴 수확장치
CA3014138A1 (en) Clam harvester
KR100975402B1 (ko) 형망어구
KR100530854B1 (ko) 패류 채취장치
US7748146B2 (en) Method for configuring a shellfish dredge
EP2348829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 dredge frame
JP3728560B2 (ja) ヒトデ駆除装置
US4425723A (en) Clam dredge
CN207550438U (zh) 湖河草类植物清理装置
KR101181975B1 (ko) 해파리 제거 장치
CN107878692A (zh) 湖河草类植物清理装置
EP1466523A2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harvesting shellfish
US4464851A (en) Underwater harvester for marine life
JP3148816U (ja) 水草除去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水草除去装置
KR101421968B1 (ko) 굴취작물의 공급과 수집 중 후퇴를 방지하는 땅속작물의 수집장치
US20110146113A1 (en) fishing dredge
JPS5937010Y2 (ja) 貝等の採取機における噴水部構造
JP2007143535A (ja) 水草除去具および水草集束具、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水草除去方法
CN215736485U (zh) 一种养殖鱼类分级起捕栅篮
KR200146001Y1 (ko) 패류 채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