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28881B1 - 메뉴간 바로가기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영상장치 및 그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메뉴간 바로가기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영상장치 및 그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881B1
KR100528881B1 KR10-2003-0063846A KR20030063846A KR100528881B1 KR 100528881 B1 KR100528881 B1 KR 100528881B1 KR 20030063846 A KR20030063846 A KR 20030063846A KR 100528881 B1 KR100528881 B1 KR 10052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user interface
mode
analog
interface wind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7560A (ko
Inventor
석동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3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881B1/ko
Publication of KR20050027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88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지털 영상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지털 영상 장치는, 아날로그 모드메뉴키 신호가 입력되면, 아날로그 방송 상태 및 옵션 기능을 변경설정할 수 있는 아날로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생성하는 마이컴, 디지털 모드메뉴키 신호가 수신되면, 디지털 방송 상태 및 옵션 기능을 변경설정할 수 있는 디지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생성하는 셋탑 모듈, 및 디지털 모드메뉴키 신호 및 아날로그 모드메뉴키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셋탑 모듈 및 마이컴에서 생성된 유저 인터페이스 창 중 대응되는 창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마이컴은 다른 모드메뉴키 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창으로 화면상에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출력부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간단한 키조작으로 디지털 모드 및 아날로그 모드 메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메뉴간 바로가기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영상장치 및 그 변환 방법 {Digital TV for short-cu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일체형 디지털 영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모드 메뉴를 실행하여 옵션을 설정하는 중에, 아날로그 모드 메뉴로 바로가기 기능을 지원하는 셋탑 모듈(set-top module)을 내장한 일체형 디지털 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장치, 예컨대, 디지털 TV는 방송국 측에서 고도의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 및 음향 정보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0과 1로 구성된 디지털 신호로 변환, 압축하여 전송하면, 수신자 측에서 이러한 디지털 신호를 다시 원래의 비디오 및 오디오로 변환한 후, 화면상에 출력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디지털 TV는 일반적인 아날로그 TV와 같이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신호로 변환한후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술로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동작도 가능케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 출력하는 상태를 아날로그 모드라 하고, 디지털 신호를 수신, 출력하는 상태를 디지털 모드라 한다.
한편, 디지털 TV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하기 위해서는 셋탑 박스(set-top box)라는 수신기가 필요하다. 셋탑 박스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증폭하거나 잡음을 제거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채널에 맞추어 해당 영상신호를 TV에 송출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즉, 케이블(cable) 방송 또는 위성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장치로,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증폭하거나 잡음을 제거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채널에 맞추어 해당 영상신호를 TV에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셋탑 박스가 별도로 내장되지 않고, 외부 장치로 부가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TV를 분리형 디지털 TV라고 하고, 셋탑 박스가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TV를 일체형 디지털 TV라고 한다.
셋탑 박스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system interface), 수신된 신호를 영상, 음성 및 데이터(Video, Audio, Data: VAD) 세개의 병렬 신호로 역다중화하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영상 및 음성에 대한 MPEG2 압축 데이터를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 및 음성 디코더(decoder),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or), 디지탈로 처리된 영상신호를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NTSC 엔코더(encoder) 및 자체 제어부로 구성되어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처리하여 TV에 입력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TV는 사용자가 각종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는 TV 본체 및 리모콘에 있는 메뉴 키(menu key)를 눌러서 채널 탐색, 채널 저장, 영상 조정, 음향 조정, 날짜 및 시간 입력등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지털 TV에 있어서는, 종래의 아날로그 TV에서 지원되는 아날로그 모드 메뉴 이외에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모드에서만 활용되는 디지털 모드 메뉴 기능까지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가 디지털 모드 메뉴 키를 입력하면, 셋탑 박스의 영상 음성 처리부는 디지털 TV 자체의 제어부와 교신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옵션에 맞는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디지털 TV 사용자는 디지털 방송 모드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옵션을 디지털 모드 메뉴에서 설정하여 활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디지털 모드 메뉴에서 설정할 수 없는 옵션이 아날로그 모드 메뉴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지털 방송 모드라도 아날로그 모드 메뉴를 이용하여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음향 및 영상등과 같은 아날로그 데이터를 조정하기 위해서 아날로그 모드 메뉴를 활용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TV에서 디지털 모드 메뉴를 이용하다가 아날로그 모드 메뉴로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리모콘등에 구비된 디지털 모드 메뉴키를 입력하여 화면(10)상에 디지털 모드 메뉴(20)를 불러와서, 옵션을 설정한다(도 1의 a). 이때, 아날로그 모드 메뉴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일단 디지털 모드 메뉴 OFF키를 입력하여 디지털 모드 메뉴(20)를 화면상에서 사라지게 한 후(도 1의 b), 다시 아날로그 모드 메뉴 키를 입력하여 아날로그 모드 메뉴(30)를 화면상에 불러 오게 된다(도 1의 c). 지금까지의 디지털 TV에서는, 디지털 모드 메뉴를 OFF시키지 않고 아날로그 모드 메뉴 키를 입력하게 되면, 아무런 작동을 하지 않았다.
한편, 도 2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의 작용에 대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로부터 아날로그 모드 메뉴키가 입력되면(S 51), 현 상태에서 디지털 모드 메뉴(20)가 화면상에 띄워져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 52). 본 흐름도를 살피면, 만일 디지털 모드 메뉴(20)가 활용되지 않는 상태라면 아날로그 모드 메뉴(30)를 화면상에 띄우지만, 디지털 모드 메뉴가 활용되고 있는 상태라면 아무런 동작도 수행하지 않게 된다(S 53).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TV에 따르면, 사용자 메뉴 간의 변환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전 메뉴를 OFF시키고 다시 메뉴키를 입력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주 메뉴에 부속되어 있는 하위 메뉴까지 활용하던 상태에서 잠시 아날로그 모드 메뉴를 이용하여야 할 경우, 디지털 모드 메뉴를 OFF시키고 아날로그 모드 메뉴를 이용한 후, 다시 디지털 모드 메뉴를 ON시키고, 하위 메뉴까지 들어가야 하므로, 수차례의 키 입력을 반복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모드 메뉴 및 아날로그 모드 메뉴 간에 한번의 키입력으로 바로가기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영상 장치 및 그 지원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장치는, 아날로그 모드메뉴키 신호가 입력되면, 아날로그 방송 상태 및 옵션 기능을 변경설정할 수 있는 아날로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생성하는 마이컴, 디지털 모드메뉴키 신호가 수신되면, 디지털 방송 상태 및 옵션 기능을 변경설정할 수 있는 디지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생성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전송하는 셋탑 모듈, 및 상기 디지털 모드메뉴키 신호 및 아날로그 모드메뉴키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셋탑 모듈 및 상기 마이컴에서 생성된 유저 인터페이스 창 중 대응되는 창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마이컴은, 상기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창 표시 중에 다른 모드메뉴키 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창으로 화면상에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디지털 모드메뉴키 신호 및 아날로그 모드메뉴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전송하는 리모콘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컴은 상기 디지털 모드메뉴키 및 상기 아날로그 모드메뉴키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실행중이던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자동 OFF시키고, 입력된 모드메뉴키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장치에서의 메뉴간 바로가기 기능 지원 방법은, (a) 디지털 모드 메뉴키 신호 및 아날로그 모드 메뉴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b) 디지털 모드메뉴키 신호가 수신되면,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기능을 변경할 수 있는 디지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생성하는 단계, (c) 아날로그 모드메뉴키 신호가 수신되면, 아날로그 방송 신호 처리 기능을 변경할 수 있는 아날로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생성하는 단계, (d) 수신된 모드메뉴키 신호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e)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창 표시 중에 상반되는 모드메뉴키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상에서 이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창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e)단계는, 상기 디지털 모드메뉴키 및 상기 아날로그 모드메뉴키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입력된 모드메뉴키에 상반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창이 실행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반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창이 실행중이면 이를 OFF시키고, 입력된 상기 모드메뉴키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시청 모드에서, 디지털 모드에 관한 메뉴를 실행하던 중에 아날로그 모드에 관한 메뉴를 바로 불러와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구성을 간단한 블럭도로 나타낸다. 도면에 따르면, 본 디지털 TV는 안테나부(310), 신호 처리부(320), 마이컴(MICOM: 330), 셋탑 모듈(Set top module: 340), 리모콘 신호 처리부(350) 및 출력부(360)를 포함한다. 기타 세부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핵심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기재 및 설명을 생략한다.
안테나부(310)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된 외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 방송 신호에는 기존의 아날로그 신호뿐 아니라, 디지털 방송 신호까지 포함된다.
안테나부(310)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는 신호 처리부(320)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컴(330)의 제어에 따라 출력부(360)를 통해 화면상에 출력되는 것이 일반적인 아날로그 신호의 처리 방식이다.
하지만, 디지털 신호의 경우는, 일단 수신되면 셋탑 모듈(340)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분리형 디지털 TV의 경우, 별도로 장착된 셋탑 박스에서 이러한 작용을 한다. 디지털 방송 신호는 영상, 음성, 데이터(video, audio, data : VAD)신호를 포함하는데, 영상 및 음성은 MPEG2-TS 포맷으로, 데이터는 DSM-CC 표준에 맞도록 보내진다. 셋탑 모듈(340)은 수신된 VAD 신호를 각각의 포맷에 맞게 다시 복호화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는 신호 처리부(320)로 입력되어, 출력가능한 형태로 변환된 후, 화면상에 표시된다.
한편, 셋탑 모듈(340)은, 마이컴(330)과 통신하여 디지털 모드에서의 화면 상태 및 옵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는 디지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창을 생성한다. 사용자는 디지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이 화면상에 표시되면, 이를 보면서 별도의 입력장치(예로써, 리모콘)의 숫자 버튼, 방향 버튼, 확인 버튼 등을 이용하여 화면 상태 및 기타 기능을 변경설정할 수 있게 된다. 셋탑 모듈(340)은 통신 포트를 통해 연결된 마이컴(330)으로 생성된 디지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의 표시 유/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출력부(360)를 통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한다.
출력부(360)는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그 화면상에 이러한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띄워 사용자가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리모콘 신호 처리부(350)는, 외부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컴(330)으로 입력시켜주는 작용을 한다. 특히, 외부로부터 모드 메뉴 키가 입력된 경우, 대응되는 모드 메뉴를 화면상에 표시하라는 신호를 마이컴(330)으로 입력하게 된다.
마이컴(330)은 리모콘 신호 처리부(350)로부터 모드 메뉴 키가 입력되면, 그에 대응되는 모드 메뉴를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디지털 TV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게 된다. 즉,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모드에서, 디지털 모드 메뉴 키가 입력되면, 셋탑 모듈(340)에서 생성한 디지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 때, 마이컴(330) 및 셋탑 모듈(340)간에 상태 정보 프로토콜(protocol)의 상호 교환이 필요한데,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마이컴(330) 및 셋탑 모듈(340)은 송수신 포트로 연결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유아트 I/O 포트(UART input/output port)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아날로그 화면 상태 및 기능 변경을 위해서는 아날로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이 필요한데, 마이컴(330) 자체에서 이러한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생성하여 출력부(360)를 통해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송수신 포트를 통해 마이컴(330)으로부터 메뉴 설정 정보가 입력되면, 셋탑 모듈(340)의 자체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가 설정한 상황에 대응되는 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디지털 모드 메뉴를 활용하던 중에, 아날로그 모드 메뉴를 활용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모드 메뉴키를 입력한 경우, 마이컴(330)은 현재 표시된 디지털 모드 메뉴 상태를 화면상에서 OFF시키고, 아날로그 모드 메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 후에 디지털 모드 메뉴 키가 재입력되면, 아날로그 모드 메뉴를 화면상에서 OFF시키고, 다시 디지털 모드 메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한편, 도 4는 이러한 마이컴(3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먼저, 아날로그 모드 메뉴 키가 수신되면(S410), 현재 디지털 모드 메뉴가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420). 디지털 모드 메뉴를 설정하는 상태가 아니라면, 기존의 디지털 TV처럼 바로 아날로그 모드 메뉴를 불러 오게 된다(S430).
디지털 모드 메뉴를 설정하고 있던 상태라면, 이를 자동적으로 OFF시킨 뒤(S440), 아날로그 모드 메뉴를 표시하게 된다(S430). 따라서, 사용자가 키 조작을 한번만 한 경우라도, 아날로그 모드 메뉴를 바로 화면상에 표시하게 된다.
도 5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모드에서 디지털 모드 메뉴 및 아날로그 모드 메뉴간 바로가기가 실행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a)와 같이 화면(100)상에 디지털 모드 메뉴(110)가 표시된 상태에서, 아날로그 모드 메뉴 키가 입력되면, 도 5의 (b)와 같이 아날로그 모드 메뉴(120)를 바로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아날로그 모드 메뉴(120) 표시 중에 디지털 모드 메뉴 키가 입력된 경우에는 도 5의 (a)와 같이 디지털 모드 메뉴(110)로 바로 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모드 메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던 상태에서 디지털 TV 옵션을 설정하기 위해 디지털 모드 메뉴를 화면상에 불러 놓은 경우, 한 두번의 키조작만으로 아날로그 모드 메뉴를 바로 불러 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아날로그 상태의 조정까지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영상장치에 있어서 메뉴 변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디지털 영상장치의 메뉴 변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메뉴간 바로가기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영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장치의 메뉴간 바로가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장치에 있어서 메뉴 변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0: 안테나부 320: 신호처리부
330: 마이컴 340: 셋탑 모듈
350: 리모콘 신호 처리부 360: 출력부

Claims (5)

  1. 아날로그 방송 상태 및 옵션 기능을 변경설정할 수 있는 아날로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생성하는 마이컴;
    디지털 방송 상태 및 옵션 기능을 변경설정할 수 있는 디지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생성하는 셋탑 모듈; 및
    상기 아날로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 및 상기 디지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 중 어느 하나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컴은, 상기 아날로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 및 상기 디지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 중 하나가 화면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타 모드에 대한 메뉴키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메뉴키 신호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창을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모드메뉴키 신호 및 아날로그 모드메뉴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전송하는 리모콘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아날로그 모드메뉴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아날로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며, 상기 디지털 모드메뉴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을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셋탑 모듈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장치.
  4. 아날로그 방송 상태와 옵션 기능을 변경설정할 수 있는 아날로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 및 디지털 방송 상태와 옵션 기능을 변경 설정할 수 있는 디지털 모드 유저 인터페이스 창 중 하나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타 모드에 대한 메뉴키 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화면상에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창을 오프시키고 상기 입력된 메뉴키 신호에 대응되는 모드의 유저 인터페이스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장치에서의 메뉴간 바로 가기 기능 지원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키 신호는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장치에서의 메뉴간 바로 가기 기능 지원 방법.
KR10-2003-0063846A 2003-09-15 2003-09-15 메뉴간 바로가기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영상장치 및 그변환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2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846A KR100528881B1 (ko) 2003-09-15 2003-09-15 메뉴간 바로가기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영상장치 및 그변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846A KR100528881B1 (ko) 2003-09-15 2003-09-15 메뉴간 바로가기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영상장치 및 그변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560A KR20050027560A (ko) 2005-03-21
KR100528881B1 true KR100528881B1 (ko) 2005-11-16

Family

ID=37384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84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28881B1 (ko) 2003-09-15 2003-09-15 메뉴간 바로가기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영상장치 및 그변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2082A (ko) * 2006-04-13 2007-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090B1 (ko) * 2005-05-26 2012-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부가기능 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US20120086653A1 (en) * 2010-10-07 2012-04-12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Navigational opera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2082A (ko) * 2006-04-13 2007-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560A (ko) 200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231B1 (ko) Tv카드가 장착된 컴퓨터시스템
JP4143102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20020008034A (ko) 쌍방향 통신 시스템, 표시 장치, 베이스 장치 및 쌍방향통신 방법
EP2001149B1 (en) Broadcast receiver
KR100528881B1 (ko) 메뉴간 바로가기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영상장치 및 그변환 방법
JP200828370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4187179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20030214604A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5229495A (ja) 浴室テレビ等の制御装置
JP2001145040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パソコンと、それらを連結する連結装置並びに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パソコンを制御する制御方法
KR20040036466A (ko) 휴대용 전화기의 멀티비젼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531374B1 (ko) 무선 영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8301049A (ja) リモコン装置およびリモコン操作コード学習方法
KR100283936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텔레비전방송신호변환장치
KR101079596B1 (ko) 원격조정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원격제어방법
JP2007129331A (ja) デジタルテレビ装置及びそのリモコン装置
KR100771611B1 (ko) 무선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079594B1 (ko)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tv 및 이를 포함하는디지털 tv 시스템
KR101164794B1 (ko) 멀티 디코딩을 지원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의디코더 칩 간 통신방법
US20130093954A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tion of program contents
KR100318611B1 (ko)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는 셋탑박스
KR200176784Y1 (ko) 전화선을 이용한 텔레비젼과 컴퓨터 연결 장치
JP3111406U (ja) テレビ受信装置
KR10057952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003959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11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111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