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27649B1 -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 Google Patents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649B1
KR100527649B1 KR10-2002-7001821A KR20027001821A KR100527649B1 KR 100527649 B1 KR100527649 B1 KR 100527649B1 KR 20027001821 A KR20027001821 A KR 20027001821A KR 100527649 B1 KR100527649 B1 KR 100527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medicine
storage chamber
dose
powder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7541A (ko
Inventor
마쯔기히데오
우에지마야스히데
도히마사히꼬
마끼노유지
Original Assignee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64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61M11/003Particle size control by passing the aerosol trough sieves o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5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 A61M15/0006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using rot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61M15/0046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 A61M15/004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the dosages being arranged in a plane, e.g. on disk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61M15/0046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 A61M15/00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the dosages being arranged on a cylindrical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6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dose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2Desicc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5Bulb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Fertilizing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다회투여 조작분의 분말약제를 저장할 수 있는 약제 저장실 (5a) 의 저면의 하부에 제공된 구멍 (5c) 이, 관 (2g, 2d) 을 통해 펌프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는 곳에 위치하고, 투여위치에서는, 약제수용실 (5b) 내의 분말 약제가 공기와 함께 관을 통하여 장치 외부로 분사되고, 구멍은 개구수단 (2f) 과 접촉하지 않는분말약제 다회투여기.

Description

분말약제 다회투여기{POWDER MEDICINE MULTIPLE DOSE ADMINISTRATION DEVICE}
본 발명은 분말체의 정량공급장치 및 방법, 특히 분말약제의 다회투여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본체장치내에 저장된 복수회투여 조작분의 분말약제를 미량의 단회투여 조작분의 분말약제로 정량성 좋게 분할칭량하여 분무할 수 있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회투여 조작분의 분말약제에 연속적으로 또한 정밀도 좋게 분할하여 비강, 구강, 기관, 기관지, 폐포 등의 체강내 또는 그 외의 환부에 분무 또는 흡입투여하기 위한 위생적이고, 휴대하기 편리하고 또한 사용시의 조작이 간편하며, 또 비교적 저렴한 분말약제 다회투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분말형 약제가 체강 예를 들어 비강, 구강, 기도 등에 분무 또는 흡입에 의해 투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코알레르기 환자에 대하여 분말형 약제가 비강내에 분무투여되고 있고, 천식 환자에 대해서는 흡입에 의해 기도에 투여되고 있다. 또, 구내염 환자에 대해서는 구강내에 분무투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비강, 폐 등의 점막을 통하여 약물을 전신혈류에 흡수시키는 약제 전달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고, 분말형 약제를 이들 점막으로 투여하는 것도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인슐린, 칼시토닌 등의 펩티드ㆍ단백질성 약물이나 편두통약 등의 즉효성을 필요로 하는 약물 등은 주사제를 대신하는 편리한 제제로서 분말형 경비제 또는 흡입제 등의 연구개발이 실시되어 경구제 등보다도 흡수성이 양호한 것이 다수 보고되어 있다.
이같은 분말약제의 투여에 있어서는 분말형 약제투여기가 사용되는데, 이같은 투여기는 분말약제의 수용방식으로부터 다음 두 가지로 크게 구별된다.
제 1 타입의 투여기는, 단회투여 조작분의 양의 분말약제를 하나의 단위로서 투여기 자체, 또는 캡슐 등의 적당한 용기에 수납하여 각 투여조작에 의해 단회조작분의 분말약제만을 투여할 수 있는, 소위 단회투여기라 불리는 것이다. 이 중에는 단회투여 조작시마다 폐기가능한 일회용인 것도 있다.
제 2 타입의 투여기는, 복수회 (다회) 의 투여조작분의 분말형 약제를 적당한 용기에 집합시켜 수납하고 있고, 그 용기로부터 단회조작분의 분말약제를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는, 다회투여기라 불리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분말약제의 단회투여 조작분의 양을 「단회투여량」이라, 또 복수회투여 조작분의 양을 「다회투여량」이라 한다.
분말약제의 단회투여기의 예로서는 비강내에 분무투여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34267 호 등에 공개되어 있다. 이들 투여기에서는 일반적으로 분말약제의 단회투여량이 캡슐 등의 용기에 수납되어 있고, 그 용기의 유지부, 그 용기를 천공하는 수단 및 그 용기로부터 분말약제를 환자의 비강내 등에 분무하기 위한 공기류의 도입수단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일회용 단회투여기의 예로서는 일본 특허공표공보 평2-500172 호에 미분말약제가 봉입되고, 또한 그 두부에는 약제의 분무 또는 흡입용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유지부와, 공기도입수단으로 이루어지고, 그 유지부의 저부가 약제불투과성의 통기성 격막을 통하여 공기도입수단과 연설되어 있는 투여기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WO 97/04826 호 명세서 중에는 이를 개량한 투여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 기도내에 흡입되는 분말약제의 단회투여기로서는 많은 것이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약학적으로 통상 사용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흡입용 투여기이다. 이 캡슐에는 흡입되야 할 단회투여량의 분말약제가 수용되어 있고, 각각의 투여기에 의해 이 캡슐을 천공하는 각각의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분말약제는 캡슐천공 후, 사용자에 의한 흡인작용에 의해 생기는 공기류에 의해 투여된다. 이 때, 흡입시의 공기류와 캡슐의 상태로 각각의 투여기에 특징이 있고, 미국특허 제 3,906,950 호 공보 및 동 제 4,013,075 호 공보에서는 캡슐의 양단을 천공하여 흡인시 그 캡슐이 정지한 상태가 되는 것, 또 동 제 3,807,400 호 공보에는 흡인시에 캡슐이 이동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다회투여기의 예로서는 분무투여가능한 것으로서 WO 94/26338 호 명세서가 공개되어 있다. 동 명세서에는 장치본체와, 그 장치본체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고 또한 약제의 다회투여량을 저장가능한 저장실과, 단회투여량분의 용량을 가진 수용실을 갖고, 충전위치에서 저장실과 수용실을 연통시켜 그 수용실의 약제를 투여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치본체에 가동하도록 장착된 약제분배수단과, 충전위치에서 그 수용실을 통하여 저장실로 공기를 분사하여 저장실내의 약제를 교반하는 펌프수단을 구비하고, 교반 후의 일정량의 분말약제를 펌프수단에 의한 흡인력 또는 중력에 의해 저장실로부터 수용실로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비강내용 투여기의 예로서는 유럽특허공개공보 제 0744188 호에 기재되어 있고, 분말약제를 분무하기 위한 공기류의 수동식 공급원과, 다회투여량의 분말약제의 저장실과, 분말약제의 유출관과, 다회투여량의 분말약제를 단회투여량으로 분배하기 위한 설비로 이루어지는 비강 어플리케이터인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 분말약제의 설비는 드럼형 분말약제 저장실과, 그 내측에 복수의 단회투여량의 약제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구비한 회전슬리브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기도내에 흡인투여되는 분말약제의 투여기로서는 유럽특허공개공보 제 0211595 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투여기에는 장치내부에 원반형 팩이 충전되도록 되어 있고, 이 팩에는 그 주위에 가까운 위치에서 일련의 기포가 서로 그리고 팩 중심으로부터 등거리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기포에는 일정량 (단회투여량) 의 분말형 약제가 수용된다. 이 팩은 그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자유로운 원형 트레이에 실린다. 이 트레이에는 이 기포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이 기포가 적당한 개봉장치에 의해 터지는 소정위치로 이동하면 분말형 약제가 꺼내어져 흡입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유럽특허공개 제 0069715 호 공보에는 다음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투여기는 일정량의 약제를 수용한 용기와, 그 용기내에 수용한 분말약제를 꺼내어 투약준비를 실시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꺼내어 투약준비를 실시할 수 있는 장치는 소정두께를 갖고, 소정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이 플레이트는 관통구멍의 일부가 용기로부터 꺼내진 분말약제로,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채워지는 위치로부터 약제가 채워진 구멍이 통로내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이 통로와 연통하는 흡입구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흡인 결과, 공기가 통로내로 들어와 관통구멍으로부터 분말약제를 꺼낸다. 스크레이퍼 장치도 설치하고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구멍내의 분말약제의 용기를 향하는 측을 고르게 한다. 이 명세서에 의하면, 이 스크레이퍼 장치에 의해 관통구멍의 완전한 충전이 이루어지고, 따라서 일정한 복용량을 보증할 수 있다. 이 명세서에는 이 스크레이퍼 장치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고 설명되어 있지만, 흡입투여기가 적정한 동작을 실시하려면 필수적인 것이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이 스크레이퍼가 없으면, 복용량은 극단적으로 다른 것이 되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사용하는 분말형 약제는 유동성이 부족한 것이 많고, 이 관통구멍이 분말약제에 의해 완전하게 채워지지 않는다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많은 투여장치가 고안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에는 과제가 확인된다.
예를 들어, 단회투여기와 다회투여기를 비교한 경우, 편리성, 시장성 등의 점에서 다회투여기가 요망되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단회투여기의 경우,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34267 호 등과 같은 장치에서는 단회투여량의 약제가 미리 봉입되어 있는 캡슐 등의 용기가 필요하고, 또 그 장치내에는 그 용기를 천공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각 투여기의 사용법에 준하여 분말약제가 들어 있는 용기를 장착하고, 또한 그것을 천공한다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있어 편리성이 좋다고는 할 수 없다. 또, 사용자는 투여에 대비하여 투여장치와 추가로 분말약제가 들어 있는 용기를 휴대할 필요가 있어 이도 또한 편리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 WO 97/04826 호 명세서에는 투여조작을 간소화한 것이 나타나 있지만, 이 경우 복수회 투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는 복수개의 단회투여량의 약제가 봉입된 투여기를 필요로 하여 휴대성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남아 있다.
한편, 다회투여기의 경우, 상술한 단회투여기의 결점인 편리성 등은 해결되어 있지만, 다른 중요한 과제가 존재한다. 즉, 다량이 집합된 분말약제로부터 단회의 투여조작에 필요한 분말약제를 연속적 또한 정량적으로 분할하여 투여하는 것은 집합된 분말약제의 밀도변화, 편중 등의 물성면에서 매우 곤란하다.
이 과제에 대하여, 지금까지 몇 가지의 고안이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어, 상술한 유럽특허공개 제 0069715 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소정용량의 관통구멍에 연속적으로 분말약제를 스크레이퍼 등으로 누르면서 채우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해서도 예를 들어 투여기 전체에 진동이 가해짐으로써, 분말약제의 부피밀도가 변화하고, 소정용량의 관통구멍에 충전되는 약제의 실질적인 양이 변화하여 그 결과 생체에 투여되는 약제량이 일정해지지 않게 된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유럽특허공개 제 0744188 호 공보에서도 약제를 정량적으로 분할하는 수단으로서 드럼형 분말약제 저장실과, 그 내측에 복수의 단회투여량의 약제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구비한 회전슬리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시하고 있지만, 비교적 복잡하고 또한 다수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성형의 난해성이나 그에 따른 비용상승 등이 문제시되고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8376 호에는 다량이 집합된 분말약제를 압축하여 그 결과 생긴 분말약제 압축체를 연속적으로 정량분할하여 껍질처럼 벗겨지는 다회투여기가 나타나 있다. 이 방법에서는 분말약제을 압축함으로써 분할되는 약제의 정량성을 확보하고자 하고 있지만, 이 방법에 있어서도 투여기 전체에 진동이 가해짐으로써, 분말약제 압축체의 부피밀도가 변화하여 그 결과 껍질처럼 벗겨지는 분말약제 압축체의 중량이 변화하여 그 결과 생체에 투여되는 약제량이 일정해지지 않게 된다는 결점이 있다. 또, 이들 분말약제를 균일하게 분할하기 위한 수단은 비교적 복잡하여 실제로 임상사용하기 위해서는 성형의 난해성이나 이에 따른 비용상승 등의 과제도 병발하고 있다.
또, WO 94/26338 호 명세서 등의 다회투여기는 각 분할조작 직전에 저장실내의 집합된 분말약제에 공기류를 통과시킴으로써, 집합된 약제를 저장실내 공간에서 이동시킴으로써 분말약제의 밀도변화를 방지하고, 단회투여량의 분말약제를 흡인력 및/또는 중력에 의해 분말약제의 수용실에 수용함으로써, 연속 또한 정량적으로 단회투여량의 약제를 분할 또한 투여할 수 있지만, 저장부, 단회투여량분의 약제수용실, 약제 정량분할수단, 펌프수단 등으로 구성되고, 또 분말약제를 밀도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복잡한 부품을 필요로 하고, 또한 형태에 불편한 큰 크기의 투여기가 되는 것을 과제로서 들 수 있다.
또, 분말투여약제에 있어서는 투여되는 약제가 투여기로부터 멀어졌을 때에 약제를 구성하는 분말 일차입자로 분산되어 투여부위에 침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입자에 따라서는 보존 중 응집을 일으켜 이차입자를 생성하여 일차입자와는 입도분포가 보다 큰 쪽으로 편중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분말약제가 투여기로부터 멀어질 때에는 아무리 투여기내에서 저장 중에 응집을 일으켜도 투여기의 구조상의 연구로 일차입자에까지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약제수용실에서 규정된 양으로 단회분의 약제를 분할하는 방식에서는 만일 분말약제의 부피밀도가 약제의 로트에 따라 다른 경우에는 분할되는 약제의 중량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약제의 부피밀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투여되는 약제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종래의 분말약제 투여기는 투여약제량의 정량성, 소형화에 의한 휴대성, 조작의 간편성, 조작의 신속성, 제조공정의 간이성, 구성부품의 단순성, 제조에 관한 저비용성, 분말약제입자의 분산성 등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고 있는 것은 없는 것이 현실이다.
도 1 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분말약제 다회투여기의 단면도.
도 2 는 본체 (1) 중, 약제저장부 (5) 의 단면도.
도 3 은 본체 (1) 중, 덮개부 (4) 의 단면도.
도 4 는 약제도출부 (2) 의 전체 단면도.
도 5 는 약제도출부 (2) 의 저부의 도면.
도 6 은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단면도.
도 7 은 펌프부 (3) 의 단면도.
도 8 은 본체커버 (9) 의 단면도.
도 9 는 필터 (6) 를 포함하는 약제수용실 (5b) 의 단면도.
도 10 은 필터 (6) 의 도면.
도 11 은 약제도출부 (2) 의 저면부근의 도면.
도 12 는 약제도출부 (2) 의 저면부근의 도면.
도 13 은 약제도출부 (2) 의 저면부근의 도면.
도 14 는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홈 (13d) 부근의 도면으로, 직경이 작은 원통 부분 (13b) 의 반대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15 는 실시예 1 과 비교예 2 를 비교한 실험데이터로서 분사횟수에 대한 투여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 은 실시예 1 과 비교예 2 를 비교한 실험데이터로서 분사횟수에 대한 CV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이하, 간단하게 「투여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는,
도 3 에 나타내는 덮개부 (4) 와 도 2 에 나타내는 약제저장부 (5) 로 이루어지는 본체 (1),
이 본체 (1) 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도 4 에 나타내는 약제도출부 (2),
이 약제도출부 (2) 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선단에 분무구 (2h) 를 갖는 도 6 에 나타내는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약제도출을 위한 수동의 압축공기원이 되는 그 벽부의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용기 내지 자루체로 구성된 도 7 에 나타내는 펌프부 (3),
상기 분무구 (2h) 를 수용하는 도 8 에 나타내는 본체커버 (9) 및,
약제수용실 (5b) 을 간막이하는 도 2 및 도 9, 도 10 에 나타내는 필터 (6)
로 이루어지고, 이하 (Ⅰ) 부터 (Ⅵ) 까지의 특징을 갖는다.
(Ⅰ) 본체 (1) 는 덮개부 (4) 와 약제저장부 (5) 로 구성되고, 이 덮개부 (4) 는 그 중앙에 약제도출부 (2) 를 본체 (1) 에 통하게 하기 위한 구멍 (11) 을 갖고, 덮개부 (4), 약제저장부 (5) 및 약제도출부 (2) 에 의해 약제저장실 (5a) 내의 밀폐성을 가능하게 한다.
(Ⅱ) 약제저장부 (5) 가 그 내부에 다회투여 조작가능한 양의 분말약제를 저장가능한 약제저장실 (5a) 과 이 약제저장실의 저면에 단회투여조작분의 분말약제의 용량을 가진 약제수용실 (5b) 을 갖고, 이 약제수용실 (5b) 저면에 공기를 유통시키지만, 분말약제는 유통시키지 않는 필터 (6) 가 장착되어 있고, 이 필터부분이 펌프부 (3) 에 연결을 가진 공기연락구가 되고, 약제도출시 이 펌프부 (3) 를 압축ㆍ이완함으로써 공기가 보내진다.
(Ⅲ) 분무구 (2h) 를 갖는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와 본체내 중심부에 위치하는 약제도출부 (2) 가 모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접속되고,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는 본체 (1) 의 약제수용실 (5b) 을 통하여 펌프부 (3) 로부터 보내지는 분말약제와 공기의 관 (2c) 을 중앙에 갖고, 용이하게 본체 (1) 및 약제도출부 (2) 로부터 빼낼 수 있어 세정이 가능하다.
(Ⅳ) 약제도출부 (2) 가 본체 (1) 의 약제수용실 (5b) 을 통하여 펌프부 (3) 로부터 보내지는 공기와, 분말약제의 관 (2d) 을 갖고, 또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이 약제저장부 (5) 의 내경 이하의 원반형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 저면 (2e) 은 약제저장실 (5a) 과, 약제수용실 (5b) 을 간막이하는 기능을 갖는다.
(Ⅴ)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의 일부분에는, 약제저장실 (5a) 과 약제수용실 (5b) 을 연결하기 위한 약제수용실 (5b) 보다도 구경이 큰 개구수단 (2f) 과, 약제수용실 (5b) 과 본체 (1) 의 약제수용실 (5b) 을 통하여 이 펌프부 (3) 로부터 보내지는 분말약제와 공기의 관 (2d) 을 연결하기 위한 관 (2g) 을 갖고 있다.
(Ⅵ) 약제도출부 (2) 를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에 연동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먼저 이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의 개구수단 (2f) 을 본체 (1) 의 약제수용실 (5b) 에 맞추고, 약제저장실 (5a) 과 약제수용실 (5b) 을 연결함으로써, 이 약제저장실 (5a) 내의 분말약제가 약제수용실 (5b) 에 충전되고, 이때 약제저장실 (5a) 저면의 구멍 (5c) 은 약제도출부 저면의 관 (2g) 에 합치되는 위치에 있고, 이어서 약제도출부 (2) 를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에 연동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이 이 약제수용실 (5b) 상의 분말약제를 일소함으로써, 이 약제수용실 (5b) 내의 분말약제가 일정량이 되고, 또한 이 약제도출부 (2) 를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에 연동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약제수용실 (5b), 관 (2g), 관 (2d) 및 분무구 (2h) 가 연결되어 이 펌프부 (3) 로부터 공기를 보냄으로써 일정량으로 계량된 약제분말이 이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분무구 (2h) 로부터 분무된다.
본 발명의 투여기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조립할 수 있다.
먼저, 필터 (6) 를 본체 (1) 의 저부외측에 설치된 약제수용실 (5b) 로 외부로부터 밀어넣어 설정위치에 설치한다. 설정위치는 본체 (1) 성형시에 약제수용실 (5b) 에 단차를 설치함으로써 규정된다. 이어서, 약제도출부 (2) 를 취하여, 예를 들어 약제수용실 (5b) 과 약제도출부 (2) 에 있는 약제수용실보다도 구경이 큰 개구수단 (2f) 이 일치하는 위치에서 약제저장부 (5) 내로 삽입하고,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의 중심구멍 (14) 을 본체내부 저면의 중심에 있는 돌기 (8) 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여기에서, 분말약제의 필요량을 본체 (1) 내 약제저장실 (5a) 에 장전한다. 이어서, 덮개 (4) 를 취하여 중심구멍 (11) 에 도출부 (2) 를 통하여 본체 (1) 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이어서, 분무구 (2h) 를 갖는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를 취하여 도출부 (2) 의 선단의 단면이 비원형의 축부 (2k) 를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도출부의 비원형 구멍 (13c) 에 끼워맞춤으로써 본체 (1) 에 고정한다. 축부 (2k) 및 비원형 구멍 (13c) 의 단면형상은 서로의 회전위치를 일의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평행한 2 변과, 이와 직각인 1 변과, 그 반대측의 2 변으로 이루어지는 홈베이스형 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립시 이 덮개부 (4) 에 있는 돌기 (4a) 는 이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저면에 있는 원호형 구멍 (13d) 의 일단에 삽입된다. 이어서, 펌프부 (3) 를 취하여 본체 (1) 하부에 접속하여 고정하고, 마지막으로 본체커버를 분무구 (2h) 를 덮도록 본체 (1) 에 접속하여 본 투여기를 완성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구성부품을 재료에 대하여 기재한다.
본체 (1), 약제도출부 (2),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덮개부 (4) 및 본체커버 (9) 는 통상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스티렌ㆍ아크릴로니트릴 폴리머 (AS), 아크릴로니트릴ㆍ부타디엔ㆍ스티렌 폴리머 (ABS), 폴리카보네이트,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및 고리형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폴리머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도, 약제도출부 (2) 와 본체 (1) 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약제도출부 (2) 는 아크릴로니트릴ㆍ부타디엔ㆍ스티렌 폴리머 (ABS), 폴리카보네이트,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및 고리형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폴리머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수용실 (5b) 의 일단에 설치되는 필터 (6) 로서는 분말약제를 구성하는 약물 및 부형제 (약물만인 경우도 있음) 의 입자크기에 따라 적당히 체용 망 및 멤브레인 필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강내 분무용이라면, 그물눈 개방도 0.5 ∼ 38 ㎛, 바람직하게는 1 ∼ 25 ㎛ 의 체용 망 또는 구멍직경 5 ∼ 75 ㎛, 바람직하게는 5 ∼ 25 ㎛ 의 멤브레인 필터가 사용되고, 기도내 분무용이라면 그물눈 개방도 1 ㎛ 이하의 멤브레인 필터가 사용된다. 체용 망으로서는 예를 들어 나일론, 스테인레스제품 등의 것이, 멤브레인 필터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코튼, 레이온, 유리섬유, 소결필터제품 등의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약제저장실 (5a) 저면의 구멍 (5c) 에도 필터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펌프부 (3) 는 분말약제를 투여 (분무 내지 흡입) 하기에 필요한 공기를 압축하기 위한 요소이지만, 이러한 펌프로서는 가요성재료 또는 벽부의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란, 가요성재료로 이루어진 부분을 압축ㆍ이완함으로써, 약제수용실 (5b) 에 수용된 분말약제를 분무, 흡입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펌프부 (3) 의 전체를 이러한 가요성재료로 구성하는 경우나, 또는 예를 들어 펌프부 (3) 중, 본체 (1) 와의 접합부 부근을 제외한 부분을 가요성재료로 구성하고, 그 이외는 비가요성재료로 구성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이같은 가요성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및 천연 또는 합성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말약제는 예를 들어 약물, 젖당, 전분,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폴리머 등 종래 공지의 부형제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약물 단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종래 공지의 안정제,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물을 적당히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약물로서는 폭넓게 각종 약물에 대하여 이용가능하다. 그 구체예로서는 소염스테로이드 또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약, 진통소염약, 진정제, 울병치료약, 진해거담약, 항히스타민약, 항알러지약, 제토약, 수면제, 비타민제, 성스테로이드호르몬약, 항종양약, 항부정맥약, 고혈압약, 항불안약, 향정신약, 항궤양약, 강심약, 진통약, 기관지확장약, 비만치료약, 혈소판 응집억제약, 당뇨병약, 근이완약, 편두통약 및 항류마치즘약 등의 비펩티드ㆍ단백질성 약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호르몬류, 사이토카인류, 항체류, 백신류 등의 펩티드ㆍ단백질성 약물이나 안티센스나 유전자 등의 헥산류 등도 그 구체예로서 들 수 있다.
비펩티드ㆍ단백질성 약물로서는 이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토제, 수면제, 비타민제, 성스테로이드호르몬약, 편두통약 및 진통약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것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이같은 비펩티드ㆍ단백질성 약물로서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히드로코르티존, 프레드니솔론, 트리암시놀론, 덱사메타존, 베타메타존, 베클로메타존, 플루티카손, 모메타손, 플루오코르틴, 부데소니드, 설부타몰, 살메테롤 등의 소염스테로이드 또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약 ; 아세트아미노펜, 페나세틴, 아스피린, 아미노필린, 설피린, 페닐부타존, 메페남산, 플루페남산, 이부페낙, 이부프로펜, 알클로페낙, 디클로페낙, 인도메타신 등의 진통소염약 ; 스코포라민 등의 진정제 ; 이미프라민 등의 울병치료약 ; 크로모글리크산나트륨, 인산코데인, 염산이소프로테레놀 등의 진해거담약 ; 디펜히드라민, 트리프로리딘, 이소티펜딜, 클로르페니라민 등의 항히스타민약 ; 암렉사녹스, 아젤라스틴, 오자그렐, 트라닐라스트, 케토티펜 등의 항알러지약 ; 온단세트론, 그라니세트론, 메토클로프라미드, 시사프리드, 돔페리돈 등의 제토약 ; 브로티졸람, 멜라토닌 등의 수면제; 시아노코발라민, 메코발라민 등의 비타민제 ;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리올, 프로게스테론, 테스토스테론 등의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약 ; 타목시펜, 테가푸르 등의 항종양약 ; 프로프라놀롤, 아테놀롤 등의 항부정맥약 ; 니카르디핀 등의 고혈압약 ; 디아제팜 등의 항불안약 ; 니트라제팜 등의 향정신약 ; 시메티딘, 라니티딘 등의 항궤양약 ; 도파민 등의 강심약 ; 모르히네, 부프레노핀 등의 진통약 ; 옥시트로피움, 오자그렐 등의 기관지확장약 ; 마진돌 등의 비만치료약 ; 베라프로스트, 카르바시클린 등의 혈소판 응집억제약 ; 아카르보스, 소르비닐 등의 당뇨병약 ; 피나벨륨, 이나페리존 등의 근이완약 ; 에르고타민, 이미그란, 알니디탄 등의 편두통약 ; 악타리트, 플라토닌 등의 항류마치즘약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비펩티드ㆍ단백질성 약물을 들 수 있다.
또, 펩티드ㆍ단백질성 약물로서는 예를 들어 황체형성호르몬 방출호르몬류, 성장호르몬 방출인자류, 소마토스타틴 유도체류, 바조프레신류, 옥시토신류, 히루딘 유도체류, 엔케팔린류,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유도체류, 브라디키닌 유도체류, 칼시토닌류, 인슐린류, 글루카곤 유도체류, 성장호르몬류, 성장호르몬 방출호르몬류, 황체형성호르몬류, 인슐린유사 성장인자류, 칼시토닌유전자 관련 펩티드류, 심방성나트륨 이뇨펩티드 유도체류, 부갑상선호르몬류, 부갑상선호르몬 방출호르몬, 프로락틴, 갑상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안기오텐신류, 인터페론류, 인터류킨류, 에리쓰로포이에틴, 과립구 콜로니형성 자극인자 및 마크로파지 형성자극인자 등의 호르몬류, 사이토카인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펩티드ㆍ단백질성 약물로서는 상기 구체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백신류로서는 백일해백신, 디프테리아백신, 파상풍백신, 인플루엔자백신 등을 들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구성부품의 치수 및 용적 등에 대하여 기재한다.
본 발명의 본체 (1) 의 내부공간인 약제저장부 (5) 의 용적은 조작성이 좋고 또한 가능한 한 최소가 되도록 설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약제저장부 (5) 의 내부저면상의 중심돌기 (8), 약제수용실 (5b) 의 개구부, 약제도출부 (2) 등의 크기, 접속되는 펌프부 (3) 의 크기와 그 접속방법,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조작부분 (손가락을 대고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분) 의 크기나 저장되는 약제의 양에 의해 규정된다.
본 발명의 투여기에 저장되는 약제의 양은 약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어 편비강에 1 회 15 ㎎ 의 분말약제를 양비강에 1 회씩 1 일 2 회 투여한다고 하였을 경우 (4 회/일), 2 주간분 저장하게 되면 분말약제량 (중량) 은 15 ×4 ×14 = 840 ㎎ 이 된다. 분말약제의 부피밀도를 0.6 으로 하면 용적은 1.4 ㎖ 가 된다. 따라서, 본체 (1) 의 내부를 깊이 25 ㎜, 직경 16 ㎜ 의 용적 (약 5 ㎖) 을 가지게 하면 내부에 수용되는 약제도출부 (2) 와 덮개부 (4) 의 접합부 (10) 를 고려해도 이 약제를 충분히 저장할 수 있게 되어 소형 투여기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이 본체 (1) 내부의 약제수용실 (5b) 의 용적은 각각 1 회 사용량의 분말약제의 체적 및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투여가능횟수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통상 사용되는 분말약제의 외견비중이 약 0.1 ∼ 3.0 이고, 또 분말약제의 1 회 사용량이 약 5 ∼ 200 ㎎ 인 것을 고려하면, 이 약제수용실 (5b) 의 체적은 약 2 ∼ 2000 ㎣ 이다.
약제수용실 (5b) 의 용적은 필터 (6) 에 길이 (용적) 가 다른 돌기 (6a) 를 설치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분말약제의 부피밀도에 따라 이 돌기 (6a) 의 길이 (용적) 를 조절함으로써 분말약제의 부피밀도의 변화에 따라 정량ㆍ분할되는 약제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돌기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원추나 원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펌프부 (3) 의 크기는 이 펌프부 (3) 를 1 ∼ 수회 내지 10 회 압축함으로써, 예를 들어 약제수용실 (5b) 에 수용되어 있는 분말약제를 거의 전부 배출할 수 있을 정도의 공기의 배출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를 기재한다.
본 발명의 투여기는 약제저장실 (5a) 내의 약제를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에 연동하여 약제도출부 (2) 를 회전시킴으로써, 약제수용실 (5b) 에 수납하고, 또한 이 약제도출부 (2) 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일소하여 단회투여분의 약제를 약제수용실 (5b) 내로 분리함으로써, 스크레이퍼 등의 특수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또 보존 중에 일어날 수 있는 분말약제의 부피밀도의 변화나 편중에 대해서는 공기를 유통시켜 밀도변화를 방지하는 등의 수단없이, 약제저장실 (5a) 내에 저장된 복수회 투여분의 분말약제로부터 단회투여분의 약제를 간단하게 또한 정확하게 분리ㆍ정량할 수 있다. 이 때,
(a) 덮개부 (4) 를 본체 (1) 에 장착함으로써 약제도출부 (2) 를 약제저장실 (5a) 에 밀착시켜 약제도출부 (2) 와 약제저장실 (5a) 의 간극으로부터의 약제의 누출을 없앤 것, 또 약제저장실 (5a) 내가 밀폐되기 때문에 약제분말의 물리적 성상이 변화하기 어려운 것,
(b) (a) 에서 설명한 밀착된 상태에서 약간의 저항을 가지고 약제도출부 (2) 를 회전시킴으로써 분말약제에 적당한 진동을 부여하여 분말약제의 밀도변화를 방지하고 있는 것,
(c)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에 설치된 약제저장실 (5a) 과 약제수용실 (5b) 을 연결하는 개구수단 (2f) 이 약제수용실 (5b) 보다도 구경을 크게 함으로써 약제의 약제수용실 (5b) 로의 수용을 보다 확실하게 한 것,
(d) 이 때, 약제저장부 (5) 의 저면에 설치된 구멍 (5c) 이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에 개구하는 관 (2g) 과 합치함으로써, 충전시에 이 펌프부 (3) 로부터 이 약제수용실 (5b) 에 가해지는 공기압이 대폭으로 감소하여 분말약제의 충전정밀도가 매우 높은 것,
(e) 이 약제도출부 (2) 의 이 약제저장실 (5a) 측의 면 (2i) 에 이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에 대하여 각도 (α) 를 가지게 하고, 이 약제도출부 (2) 가 회전하는 경우의 분말에 적당한 진동, 운동을 부여하여 유동성을 증가시켜 약제수용실 (5b) 로의 수용을 확실하게 한 것
등이 약제수용실 (5b) 에 수용되는 분말약제의 양의 균일성에 기여하고 있다.
본 발명의 투여기에 있어서, 부품수를 적게 한 것은 장치 전체의 최소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지만, 이 외에 예를 들어 관 (2d) 이 약제도출부 (2) 의 축중심에 설치되어 있는 것 등이 투여기 전체의 치수 (높이) 의 최소화에 기여하여 있어 휴대에도 적합한 크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투여기는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상기 직경이 큰 원통 부분의 저면에 상기 비원형 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 구멍 (13d) 을 갖고, 또한 덮개부 (4) 의 상면에 원호형 구멍 (13d) 에 삽입가능한 돌기 (4a) 를 갖고, 이에 의해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회전이 제어되고, 또한 구멍 (13d) 의 최단부로 돌기 (4a) 가 왔을 때에, 충전위치가 되어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의 개구수단 (2f) 과 이 본체 (1) 의 약제수용실 (5b) 이 겹쳐져 약제수용실 (5b) 에 분말약제가 충전되고, 또한 약제저장부 (5) 의 저면의 구멍 (5c) 과 약제도출부 (2) 의 관 (2g) 이 합치됨으로써, 펌프부 (3) 의 내부가 투여기의 외부와 연통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펌프부 (3) 로부터의 약제수용실 (5b) 로의 공기압이 경감되어 분말약제의 충전정밀도가 높아진다. 또, 원호형 구멍 (13d) 의 반대측의 최단부로 돌기 (4a) 가 왔을 때에 약제도출부 (2) 의 관 (2g) 과, 약제수용실 (5b) 이 연접하여 약제수용실 (5b) 내의 분말약제가 분무가능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조작하기 쉽다. 또한, 약제의 충전위치인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회전의 폭의 일단에, 충전위치, 타단에 분무위치 등이라고 표시함으로써 보다 조작하기 쉬워져 오조작을 방지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여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약제저장부 (5) 에 약제도출부 (2) 및 덮개부 (4) 를 조합함으로써, 약제저장실 (5a) 내는 밀폐상태로 할 수 있지만, 약제를 충전할 때에는 이 밀폐상태 때문에 약제저장실 (5a), 펌프부 (3) 및 투여기의 외부와의 사이에서 공기압에 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투여기는 약제저장실 (5a) 의 저면에 구멍 (5c) 을 설치하고 있고, 약제를 충전할 때에 이 구멍 (5c) 과 약제도출부 저면에 개구하는 관 (2g) 이 합치됨으로써, 약제저장실 (5a), 펌프부 (3) 및 투여기의 외부의 공기압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정량의 약제를 계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에 나타내는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에 설치된 개구수단 (2f) 의 중심과, 이 관 (2g) 의 중심의 각도 (x) 는 도 14 에 나타내는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원호형 구멍 (13d) 의 각도 (y) 와 동일하며 60 도 ∼ 180 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도 ∼ 120 도의 범위이다. 약제도출부 (2) 는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를 이 각도의 범위에서 회전하는 동안, 축방향으로 2 ∼ 3 개 설치한 베인 (21) 이 약제저장실 (5a) 내의 약제를 교반한다.
본 발명의 약제도출부 (2) 의 약제저장실 (5a) 측의 면 (2i) 은 이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에 대하여 15 도 ∼ 45 도의 범위의 각도 (α) 를 갖는 것이 약제정량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각도 (α)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도 내지 35 도의 범위이다. 또, 약제도출부 (2) 의 관 (2g) 은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에 대하여 20 도 ∼ 60 도의 범위의 각도 (β,γ) 를 갖는 것이 약제분산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각도 (β,γ) 모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도 ∼ 40 도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투여기에는 분말약제를 습기에 의한 부피밀도의 변화 등을 회피하거나 약제분무시의 분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통상 사용되는 건조제를 탑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여기는 일회용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투여기에 의해 분말약제를 투여하는 것이 가능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비강 또는 폐 등의 체강을 들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은 휴대에 편리하고, 사용시의 조작이 간편하고, 일정한 분량의 분말약제를 정확하게 분무ㆍ흡입투여가능하고, 또한 비교적 저렴한 분말약제 다회투여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1 회 사용량이 미량 분말약제의 복수회분의 양을 용기내에 수납한 투여기로서 적합하다.
발명의 개시
이상에 설명한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 및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분말약제 다회투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정량분무성, 소형화 (휴대성), 조작의 간편성ㆍ신속성, 제조공정의 간이성, 분말약제의 분산성, 부품의 최소화, 저비용화 등을 겸비한 분말약제 다회투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회투여 조작분의 분말약제를 저장가능한 약제저장실 (5a) 을 규정하는 수단과,
상기 약제저장실 (5a) 저면의 하부에 설치한 단회투여용 조작분의 분말약제를 수용가능한 약제수용실 (5b) 과,
상기 약제저장실 (5a) 저면과의 사이에서 접촉을 유지하면서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고, 충전위치에서 개구수단 (2f) 에 의해 상기 약제수용실 (5b) 을 상기 약제저장실 (5a) 에 대하여 개구하고, 투여위치에서 상기 약제수용실 (5b) 을 상기 약제저장실 (5a) 에 대하여 폐쇄함과 동시에, 관 (2g, 2d) 을 통하여 상기 약제수용실 (5b) 을 장치외부로 연통시키는 약제도출부 (2) 와,
상기 약제저장실 (5a) 저면의 하부에 설치한 구멍 (5c) 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약제도출부 (2) 를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13) 과,
상기 약제수용실 (5b) 저부에 설치한 필터 (6) 를 통하여 이 약제수용실 (5b) 로 공기를 보낼 수 있는 펌프부 (3) 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도출부 (2) 는 충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약제저장실 (5a) 내의 분말약제가 상기 개구수단을 통하여 상기 약제수용실 (5b) 내로 충전가능하게 하고, 이 때 상기 구멍 (5c) 은 상기 관 (2g, 2d) 을 통하여 펌프부 (3) 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소에 위치하고,
투여위치에서는 이 약제수용실 (5b) 내의 분말약제가 공기와 함께 상기 관 (2g, 2d) 을 통하여 장치외부로 분사되고, 이 때 상기 구멍 (5c) 을 상기 개구수단 (2f) 과는 접합하지 않고 폐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약제도출부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약제도출부가 충전위치에 있을 때, 약제저장실내의 분말약제가 약제도출부에 설치된 개구수단을 통하여 약제수용실내로 낙하하여 충전된다. 약제도출부를 충전위치로부터 투여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약제수용실내의 분말약제가 이 약제수용실의 용량에 상당하는 단회조작분의 분량으로 일소하여 계량된다. 그 후에는 약제수용실은 자체에 의해 폐쇄된다. 약제도출부가 또한 이동하여 투여위치로 오면, 약제도출부의 상기 관의 개구부가 약제수용실과 정합하는 위치가 된다. 여기서, 펌프부를 조작함으로써 약제수용실내로 공기가 압입되어 약제수용실내의 분말약제가 공기와 함께 상기 관를 통하여 장치외부로 분사된다.
상기 약제저장실과 약제수용실은 수지로 일체성형되어 장치본체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약제저장실과 약제수용실을 포함하는 장치본체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또한 제조가 용이한 것이 된다.
상기 약제도출부는 하부의 원반형 부분과, 이 원반형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된 기둥형 부분이 수지로 일체성형된 것으로, 상기 개구수단은 원반형 부분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관은 일단이 이 원반형 부분 하면에 개구함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기둥형 부분의 상단에서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약제도출부의 구조를 수지의 일체성형품으로 함으로써, 개구수단 및 관을 이 약제도출부 자체를 사용하여 분말약제의 충전 및 투여의 안내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본체는 대략 원형으로, 상기 약제도출부의 상기 원반형 부분은 상기 본체의 약제저장실의 내경 이하의 직경을 갖고, 이 약제도출부는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를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회전조작만으로 약제도출부를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의 전환이 가능해진다.
상기 본체는 상기 약제저장실의 상부에 덮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이 덮개부는 중앙에 상기 약제도출부의 기둥형 부분을 통하게 하기 위한 축구멍을 갖고, 이 덮개부, 상기 약제저장부 및 상기 약제도출부에 의해 약제저장실의 밀폐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약제저장실의 밀폐성이 확보되어 부주의한 분말약제의 누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약제도출부의 원반형 부분 저면이 약제저장실의 저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기둥형 부분에 상기 덮개부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설치한 접합부에 의해 상기 약제도출부의 상하위치가 규제됨과 동시에, 상기 약제도출부의 원반형 부분 저면이 약제저장실의 저면에 대하여 밀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약제도출부의 원반형 부분 저면과 약제저장실의 저면의 밀착이 유지되어, 분말약제의 정확한 계량과 확실한 동작이 확보된다.
상기 약제도출부는 기둥형 부분의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 상기 덮개부의 축구멍에 끼워맞추는 원형단면의 축부를 갖고, 추가로 그 상부에 단면이 비원형의 축부를 갖고, 약제도출부를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외부로부터 조작하는 상기 수단은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로서, 이 전환장치는 상기 약제도출부의 기둥형 부분의 상기 비원형단면의 축부에 끼워맞추는 비원형 구멍을 갖고, 상기 약제도출부는 이 전환장치의 회전조작에 연동하여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원형단면의 축부 및 이에 끼워맞추는 비원형 구멍의 단면형상은 홈베이스형 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를 장치외부로부터 회전시키는 것만의 조작으로 약제도출부를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에서 전환을 실시할 수 있어 용이한 조작이 보장된다.
상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는 직경이 큰 원통 부분과, 직경이 작은 원통 부분이 수지로 일체성형된 것으로, 직경이 큰 원통 부분의 외주가 회전조작부를 형성하고, 직경이 작은 원통 부분은 내부에 분말약제의 통과경로를 규정함과 동시에, 기부에 상기 비원형 구멍을 갖고, 선단은 분무구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환장치의 직경이 큰 원통부분에서 전환조작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고, 직경이 작은 원통부분은 분말약제의 통과경로의 일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분말약제를 장치의 최선단의 위치에 분무구까지 반송할 수 있어 분말약제를 환부 근처에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약제도출부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전환장치가 본체 및 약제도출부로부터, 즉 투여기 자체로부터 빼내어 세정 등을 실시할 수 있고, 또 용이하게 투여기 자체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약제도출부의 원반형 부분 저면의 중앙부에는 중심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약제저장실의 저면중앙에는 중심구멍에 끼워맞추는 축으로서의 돌기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약제도출부의 회전을 안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약제도출부의 회전을 안정되게 하고,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의 회전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는 상기 직경이 큰 원통 부분의 저면에 상기 비원형 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 홈을 갖고, 상기 덮개부는 상면에 이 원호형 홈에 삽입가능한 돌기를 갖고, 이 돌기에 의해 상기 약제도출부 및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의 회전이 규제되고, 이 돌기가 이 원호형 홈의 일단에 위치할 때, 분말약제의 충전위치를 규정하고, 타단에 위치할 때, 분말약제의 투여위치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호형 홈은 약제저장실내의 분말약제와는 격리된 부분에 위치하고, 또 분말약제 분무시에도 약제의 통로부터도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분말약제에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홈에 분말약제가 막히지 않기 때문에, 분말 막힘에 의해 덮개부의 돌기 (4a) 가 이 홈을 충분히 이동할 수 없게 됨으로써 분말약제의 정량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지 않는다.
또, 상기 덮개부와 상기 약제저장실은 고정되어 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해 상술한 이 돌기와 이 원호형 홈에 의한 분말약제의 충전위치 및 투여위치의 규정을 엄격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약제도출부의 원반형 부분 저면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수단 중심과, 상기 관의 개구부 중심의 각도 (x) 는 60 도 ∼ 180 도이다. 또, 상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상기 직경이 큰 원통 부분 (13a) 의 상면에 있는 상기 원호형 홈의 일단부터 타단까지의 각도 (y) 가 60 도 ∼ 180 도이다. 각도 (x) 와 각도 (y) 의 관계는 동일 또는 x 가 y 보다 조금 작다 (x ≤y).
상기 약제도출부의 원반형 부분의 약제저장실측의 각도는 이 원반형 부분 저면에 대하여 15 도 ∼ 45 도의 범위에서 각도 (α) 로 주변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제도출부에 설치된 상기 관은 이 약제도출부의 저면에 대하여 20 도 ∼ 70 도의 범위에서 각도 (β, γ) 로 상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펌프부를 조작하여 약제수용실내의 분말약제를 분사할 때, 분말약제는 관내를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상기 약제도출부의 상기 개구수단은 원반형 부분을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멍은 상기 원반형 부분 저면에 있어서의 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어 있고, 상기 약제저장실에 면하는 측에 있어서, 개구부의 크기가 상기 관쪽으로 커져 있고, 포켓형의 패임을 형성하고, 이 패임이 약제저장실내의 분말약제를 약제도출부의 충전ㆍ투여의 전환동작 중에 상기 약제수용실로 원활하게 운반되도록 보조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패임의 크기인데, 약제저장실측에 면하는 면적으로서는 상기 구멍의 원반형 부분 저면에 면하는 개구면적의 0.1 배 ∼ 2.5 배의 범위이고, 0.5 배 ∼ 1 배의 크기를 갖는 경우가, 약제를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의 작동시에 약제수용실로 원활하게 운반하는 것을 보조하는 효과가 높아 바람직하다. 또, 패임의 깊이는 상기 구멍의 약제수용실측의 개구직경을 바꾸지 않으면 얼마든지 깊어도 상관없지만, 실제로는 성형상의 난이도도 있어 상기 구멍 깊이의 10 ∼ 80 %,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 이다.
또, 패임은 약제도출부의 원반형 부분의 두께를 줄이는 의미도 겸지하며, 이 두께를 줄인다는 것은 성형시에 약제도출부의 열변화에 의한 수축이나 팽창의 방지에 기여하며 본 분말약제 다회투여기의 특징인 정밀도가 높은 분무제의 실현에 공헌하는 것이다.
상기 약제도출부의 상기 기둥형 부분의 외측에 1 장 또는 복수장의 베인을 갖고, 이 약제도출부가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약제저장실내의 분말약제를 교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약제도출부가 갖고 있는 베인은, 약제도출부와 동일한 재질로 단일부품으로 성형된 것이지만, 그 형상이나 두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일성형할 수 있는 범위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 베인과 도출부의 약제통로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는 평행, 즉 0 도 ∼ 수직, 즉 90 도의 어느 범위라도 상관없지만, 0 도 ∼ 45 도의 범위에 있는 것이 이 전환장치의 회전작동시의 약제의 약제저장실내의 교반효율이 높아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부는 내부에 공기실을 규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수지로 구성되고, 이 펌프부의 개구 부분이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이 펌프부를 압축ㆍ이완함으로써, 공기실 내부에 공기를 상기 필터를 통하여 상기 약제수용실에 분사하고, 상기 관을 통하여 분말약제를 장치외부에 분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터는 상기 약제수용실에 면한 측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갖고, 상기 약제수용실의 용적을 조절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필터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크기, 필터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약제수용실의 용적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단회투여분의 분말약제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이 약제도출부가 폴리카보네이트, ABS,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및 고리형 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고분자재료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장치의 일부에 건조제를 탑재하는 것, 이 분말약제 다회투여기를 일회용인 것으로 하는 것, 또 용도로서 체강내 투여용, 특히 비강내 투여용이나 폐내흡입 투여용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근거하는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 은 본 발명의 분말약제 다회투여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직경 3.5 ㎜, 깊이 3.3 ㎜ 의 약제수용실 (5b) 을 갖는 약제저장부 (5) 의 내경이 15 ㎜ 의 원통형 본체 (1) 를 고리형 올레핀 공중합체로 성형가공하여 제조하였다. 이 때, 약제저장부의 저면에는 약제수용실 (5b) 과 구멍 (5c) 을 각각 직경 3 ㎜, 2 ㎜ 가 되도록 열었다. 또, 분무구 (2h) 의 직경이 4 ㎜, 덮개부 (4) 와 본체 (1) 에 접속하는 내경 18 ㎜ 의 저부를 갖는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를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가공하여 제조하였다. 또, 저면이 직경 15 ㎜ 의 원반형이고,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에 접속되는 기둥형 부분의 높이가 27.5 ㎜ 인 약제도출부 (2) 를 고리형 올레핀 공중합체로 성형가공하며 제조하여 본체 (1) 에 장착하였다. 약제도출부 (2) 에서는 약제저장부 (5) 의 저면에 설치된 원호형 구멍 (5c) 의 각도 (y) 에 대응하여 개구수단 (2f) 과 관 (2g) 각각의 중심 사이의 각도 (x) 를 115 도로 하였다. 또, 경사면 (2i) 의 저면 (2e) 에 대한 각도 (α) 는 30 도, 관 (2g) 의 저면 (2e) 에 대한 각도는 외측 (β) 이 35 도, 내측 (γ) 이 40 도로 하였다. 또, 약제도출부 (2) 의 선단 (2j) 이 삽입되는 직경 5.0 ㎜ 의 구멍 (11) 을 갖는 도 3 에 나타내는 덮개부 (4) 를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가공하여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본체부 (1) 에 그물눈 개방도 5 ㎛ 의 폴리프로필렌제품의 멤브레인 필터 (6) 와 폴리에틸렌제품의 펌프부 (3) 를 장착하여 약제저장부 (5) 에 입자직경이 38 ∼ 150 ㎛ 의 분말약제를 1000 ㎎ 충전하고, 본체 (1) 에 덮개부 (4) 를 삽입한 후,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를 본체 (1) 에 장착하고, 마지막으로 분무구 (2h) 에 폴리프로필렌제품의 본체커버 (9) 를 덮어 (장치 전체로서의 높이는 약 85 ㎜, 직경은 약 24 ㎜) 본 발명의 투여기로 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서는 본체 (1) 와 약제도출부 (2) 를 고리형 올레핀 공중합체로 성형가공하였지만, 이들 2 종의 부품을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가공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비교예 1 로 하였다. 이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에 입도가 49 ∼ 150 미크론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99.8 %) 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2 %) 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분말체 (부피밀도 = 0.50) 를 1 g 취하여 약제저장부 (5) 에 넣었다.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을 충전위치 및 분무위치 사이를 서로 왕복시켜 분무위치에서 펌프를 압축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이 혼합분말체를 분무하고, 투여기의 전체 중량을 매회 측정함으로써, 단회투여분의 분무량을 기록하였다. 30 회에 걸쳐서 분무한 결과, 실시예 1 에서는 평균 16.7 ㎎ (CV = 2.2 %) 이라는 매우 안정되고 균일한 분무량이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왕복운동도 원활하여 문제는 없었다. 한편, 비교예 1 에서는 평균 16.0 ㎎ (CV = 2.8 %) 이라는 실시예 1 과 거의 동일한 정도의 분무균일성이었지만, 20 회째 부분부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왕복운동에 저항이 있었다. 30 회 분무가 종료된 상태에서 1 일 방치하자,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는 회전하지 않게 되었다. 또, 본체내부 저면과 약제도출부 (2) 사이에 혼합분말체가 확인되었다. 이들 사실은 비교예 1 의 본체와 약제도출부 (2) 의 치수에, 성형에 사용한 고분자재료에 근거하는 오차가 생겼기 때문이라고 추정되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 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약제저장부 (5) 의 저면의 구멍 (5c) 을 없앤 것을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비교예 2 로 하였다. 이들 실시예 1 및 비교예 2 에 상술한 [비교예 1] 과 동일한 입도가 49 ∼ 150 미크론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99.8 %) 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2 %) 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분말체 (부피밀도 = 0.50) 를 1 g 취하여 약제저장부 (5) 에 넣었다.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를 충전위치 및 분무위치 사이를 서로 왕복시켜 분무위치에서 펌프를 압축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이 혼합분말체를 분무하고, 투여기의 전체 중량을 매회 측정함으로써, 단회투여분의 분무량을 기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및 도 15, 도 16 에 나타낸다. 30 회에 걸쳐서 분무한 결과, 실시예 1 에서는 평균 16.7 ㎎ (CV = 2.2 %) 이라는 매우 안정되고 균일한 분무량이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왕복운동도 원활하여 문제는 없었다. 한편, 비교예 2 에서는 평균 15.8 ㎎ (CV = 2.8 %) 으로 실시예 1 에 비하여 분무균일성이 조금 저하하지만, 분무정밀도라는 점에서는 제제적으로 허용범위인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동일한 장치를 사용하여 동일한 분말을 각각 동일한 양 충전하여 재현성을 확인한 바, 실시예 1 에서는 16.5 ㎎ (CV = 1.9 %) 이라는 매우 안정되고 균일한 분무량이며, 또한 1 회째와의 차는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왕복운동도 원활하여 문제는 없었다. 한편, 비교예 2 에서는 평균 14.1 ㎎ (CV = 10.5 %) 으로 실시예 1 에 비하여 분무균일성은 저하하였다. 또한, 비교예 1 의 1 회째와 비교해도 평균분무량이 1 ㎎ 이상 저하하고, 또 CV 값도 커졌다.
표 1
실시예 1 과 비교예 2 의 비교 데이타
실시예 1 과 비교예 2 의 비교 데이타 (표 1 의 계속)
이로부터 약제저장부 (5) 의 저면의 구멍 (5c) 은 재현성이 있는 분무량의 균일성 달성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 4, 비교예 3
본체 (1) 와 약제도출부 (2) 를 각각 폴리카보네이트 (실시예 2), ABS (실시예 3) 및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실시예 4) 으로 성형가공하고, 그 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제조한 실시예 2 ∼ 4 및 본체 (1) 와 약제도출부 (2) 를 폴리에틸렌으로 성형가공하고, 그 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제조한 비교예 3 의 4 종에 대하여 비교예 1 의 항에 기재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비교예 2 에서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고, 실시예 2 ∼ 4 는 실시예 1 과 거의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5 ∼ 6, 비교예 4 ∼ 5
실시예 1 의 각도 (β, γ) 는 각각 35, 40 도로 유지한 채, 각도 (α) 를 0 도 ∼ 50 도까지 변화시킨 실시예 5 ∼ 6, 비교예 4 ∼ 5 에 대하여 (표 2 참조), 실시예 1 과 동일한 분무시험을 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각도 (α) 가 15 ∼ 45 도의 범위에서 양호한 분무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
각도 (α) 가 다른 약제도출부가 분말약제 분무성에 미치는 영향
대응도면 각도 α(°) 각도 β(°) 각도 γ(°) 평균분무량 (㎎) CV* (%) Max. Min.
실시예 1 도 11 30 35 40 16.7 2.2 17.1 14.8
실시예 5 도 11 15 35 40 16.9 2.8 17.4 14.7
실시예 6 도 11 45 35 40 16.8 2.5 17.5 15.0
비교예 4 도 13 0 35 40 15.8 8.7 17.5 11.3
비교예 5 도 11 50 35 40 14.9 7.5 18.0 10.3
CV* : 변동계수 = 표준편차/평균치
실시예 7 ∼ 9, 비교예 6 ∼ 8
실시예 1 의 각도 (α) 는 30 도로 유지한 채, 각도 (β, γ) 를 15 도부터 90 도까지 변화시킨 실시예 7 ∼ 9, 비교예 6 ∼ 8 (표 3 참조) 에 대하여, 단회로 분무되는 양 및 분무구 (2h) 로부터 나오는 분말약제의 입도분포를 레이저 회절식 입도분포 측정기로 측정하여 입자 직경 300 미크론 이상의 분획 (응집분) 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6, 8 에서는 분무량의 감소가, 비교예 7 에서는 입자의 분산성 악화가 확인된다.
표 3
각도 (β) 및 (γ) 가 다른 약제도출부가 분말약제 분산성에 미치는 영향
대응도면 각도 α(°) 각도 β(°) 각도 γ(°) 평균분무량 (㎎) 300 미크론 이상의분획 (%)
실시예 1 도 11 30 35 40 16.7 5.0
실시예 7 도 11 30 60 60 16.8 7.0
실시예 8 도 11 30 20 20 16.6 4.7
비교예 6 도 12 30 90 90 13.0 7.3
비교예 7 도 11 30 75 75 16.8 13.2
비교예 8 도 11 30 15 15 13.5 7.8
실시예 10 ∼ 13
필터 (6) 의 요철에 의한 단회분무량의 제어
표측 (볼록면) 의 용적이 0.00335 ㎤ 이고, 이면이 평탄 (요철없음) 한 필터 A 와, 표측 (볼록면) 의 용적이 0.00670 ㎤ 이고, 이면 (오목면) 의 용적이 0.00335 ㎤ 의 필터 B 를 약제수용실 (5b) 의 용적이 0.314 ㎤ 인 본 발명의 일례인 약제 다회투여기에 각각 표면, 이면에서 접착하고, 분말약제의 분무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필터 A 의 표면을 약제수용실 (5b) 을 향하여 장착한 경우 (실시예 10), 약제수용실의 용적은 0.0314 - 0.00335 = 0.02805 ㎤ 가 되고, 동일하게 필터 A 의 이면을 약제수용실 (5b) 을 향하여 장착한 경우 (실시예 11) 0.0314 ㎤, 필터 B 의 표면을 약제수용실 (5b) 을 향하여 장착한 경우 (실시예 12) 0.02470 ㎤, 필터 B 의 이면을 약제수용실 (5b) 을 향하여 장착한 경우 (실시예 13) 0.03475 ㎤ 가 된다.
이들의 경우에 분말약제 650 ㎎ 을 약제저장실에 충전하여 각 n = 6 에서 분무한 경우의 평균분무량 및 CV % 를 표 4 에 나타낸다.
표 4
필터 (6) 의 요철에 의한 평균분무량 및 CV %
분말체로트번호 88041 88042 88051 8A121 8A151 96281
성긴 부피밀도 0.456 0.441 0.493 0.441 0.525 0.442
조밀한 부피밀도 0.570 0.553 0.606 0.555 0.645 0.553
실시예 10 13.38(0.25 %) 12.60(1.34 %) 12.98(0.98 %) 12.94(2.72 %) 13.52(1.48 %) 10.56(1.91 %)
실시예 11 15.12(2.11 %) 14.72(0.92 %) 15.82(1.48 %) 14.92(1.86 %) 16.44(2.25 %) 13.56(1.72 %)
실시예 12 9.76(0.85 %) 9.82(1.43 %) 10.44(2.19 %) 10.26(3.12 %) 10.70(2.53 %) 8.16(1.83 %)
실시예 13 16.74(0.91 %) 16.26(1.88 %) 16.92(1.41 %) 16.70(2.36 %) 18.30(0.81 %) 15.42(1.92 %)

Claims (27)

  1. 다회투여 조작분의 분말약제를 저장가능한 약제저장실 (5a) 을 규정하는 수단과,
    상기 약제저장실 (5a) 저면의 하부에 설치한 단회투여용 조작분의 분말약제를 수용가능한 약제수용실 (5b) 과,
    상기 약제저장실 (5a) 저면과의 사이에서 접촉을 유지하면서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고, 충전위치에서 개구수단 (2f) 에 의해 상기 약제수용실 (5b) 을 상기 약제저장실 (5a) 에 대하여 개구하고, 투여위치에서 상기 약제수용실 (5b) 을 상기 약제저장실 (5a) 에 대하여 폐쇄함과 동시에, 관 (2g, 2d) 을 통하여 상기 약제수용실 (5b) 을 장치외부로 연통시키는 약제도출부 (2) 와,
    상기 약제저장실 (5a) 저면의 하부에 설치한 구멍 (5c) 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약제도출부 (2) 를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13) 과,
    상기 약제수용실 (5b) 저부에 설치한 필터 (6a) 를 통하여 이 약제수용실 (5b) 로 공기를 보낼 수 있는 펌프부 (3) 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도출부 (2) 는 충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약제저장실 (5a) 내의 분말약제가 상기 개구수단을 통하여 상기 약제수용실 (5b) 내로 충전가능하게 하고, 이 때 상기 구멍 (5c) 은 상기 관 (2g, 2d) 을 통하여 펌프부 (3) 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소에 위치하고,
    투여위치에서는, 이 약제수용실 (5b) 내의 분말약제가 공기와 함께 상기 관 (2g, 2d) 을 통하여 장치외부로 분사되고, 이 때 상기 구멍 (5c) 을 상기 개구수단 (2f) 과는 접촉하지 않고 폐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저장실 (5a) 과 상기 약제수용실 (5b) 은 수지로 일체성형되어 장치본체 (1) 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는 하부의 원반형 부분과, 이 원반형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된 기둥형 부분이 수지로 일체성형된 것으로, 상기 개구수단 (2f) 은 원반형 부분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관 (2g, 2d) 은 일단이 원반형 부분 하면 (2e) 에 개구함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기둥형 부분의 상단에서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1) 는 대략 원형으로,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상기 원반형 부분은 상기 본체의 약제저장실 (5a) 의 내경 이하의 직경을 갖고,
    이 약제도출부 (2) 는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를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1) 는 상기 약제저장실 (5a) 의 상부에 덮개부 (4) 를 추가로 구비하고, 이 덮개부는 중앙에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기둥형 부분을 통하게 하기 위한 축구멍 (11) 을 갖고, 이 덮개부, 상기 약제저장부 (5a) 및 상기 약제도출부 (2) 에 의해 약제저장실 (5a) 의 밀폐성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원반형 부분 저면 (2e) 이 약제저장실 (5a) 저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기둥형 부분에 상기 덮개부 (4) 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설치한 접합부 (10) 에 의해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상하위치가 규제됨과 동시에,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원반형 부분 저면 (2e) 이 약제저장실 (5a) 저면에 대하여 밀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는 기둥형 부분의 상기 접합부 (10) 의 상부에 상기 덮개부 (4) 의 축구멍에 끼워지는 원형단면의 축부 (2j) 를 갖고, 추가로 그 상부에 단면이 비원형의 축부 (2k) 를 갖고, 약제도출부 (2) 를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하여 장치외부로부터 조작하는 상기 수단은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로서, 이 전환장치 (13) 는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기둥형 부분의 상기 비원형단면의 축부 (2k) 가 끼워지는 비원형 구멍 (13c) 을 갖고,
    상기 약제도출부 (2) 는 전환장치 (13) 의 회전조작에 연동하여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형단면의 축부 (2k) 및 이에 끼워지는 비원형 구멍 (13c) 의 단면형상은 홈베이스형 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는 직경이 큰 원통 부분 (13a) 과, 직경이 작은 원통 부분 (13b) 이 수지로 일체성형된 것으로,
    직경이 큰 원통 부분의 외주가 회전조작부를 형성하고, 직경이 작은 원통 부분은 내부에 분말약제의 관 (2c) 을 규정함과 동시에, 기부에 상기 비원형 구멍 (13c) 을 갖고, 선단 (2h) 은 분무구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는 상기 본체 (1) 및 상기 약제도출부 (2) 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원반형 부분 저면 (2e) 의 중앙부에는 중심구멍 (14) 이 설치되고, 상기 약제저장실 (5a) 저면중앙에는 중심구멍 (14) 에 끼워지는 축으로서의 돌기 (8) 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회전을 안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2. 제 4 항에 있어서,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는 상기 직경이 큰 원통 부분 (13a) 의 상면에 상기 비원형 구멍 (13c) 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 홈 (13d) 을 갖고, 상기 덮개부 (4) 는 상면에 이 원호형 홈 (13d) 에 삽입가능한 돌기 (4a) 를 갖고, 이에 의해 상기 약제도출부 (2) 및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회전이 규제되고,
    상기 돌기 (4a) 가 원호형 홈 (13d) 의 일단에 위치할 때, 분말약제의 충전위치를 규정하고, 타단에 위치할 때, 분말약제의 투여위치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원반형 부분 저면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수단 (2f) 의 중심과, 상기 관 (2g) 의 개구부의 중심의 각도 (x) 는, 상기 회전식 분무계량 전환장치 (13) 의 상기 비원형 구멍 (13c) 의 중심과 상기 직경이 큰 원통 부분 (13a) 의 상면에 있는 원호형 홈 (13d) 의 일단부터 타단까지의 각도 (y) 와 동일 또는 그 보다 조금 작고 (x ≤y), 60 도 ∼ 180 도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원반형 부분의 약제저장실 (5a) 측의 각도는 원반형 부분 저면 (2e) 에 대하여 15 도 ∼ 45 도 범위의 각도 (α) 로 주변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에 설치된 상기 관 (2g) 은 약제도출부 (2) 의 저면 (2e) 에 대하여 20 도 ∼ 70 도의 범위에서 각도 (β, γ) 로 상방으로 경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상기 개구수단 (2f) 은 원반형 부분을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수단 (2f)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수단 (2f) 은 상기 원반형 부분 저면 (2e) 에 있어서의 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어 있고, 상기 약제저장실 (5a) 에 면하는 측에 있어서, 포켓형 패임 (2m) 을 형성하고, 이 패임 (2m) 이 약제저장실 (5a) 내의 분말약제를 약제도출부 (2) 의 충전ㆍ투여의 전환동작 중에 상기 약제수용실 (5b) 로 원활하게 운반되도록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도출부 (2) 의 상기 기둥형 부분의 외측에 1 개 또는 복수개의 베인 (21) 을 갖고, 이 약제도출부 (2) 가 충전위치와 투여위치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약제저장실 (5a) 내의 분말약제를 교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 (3) 는 내부에 공기실을 규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수지로 구성되고, 이 펌프부 (3) 의 개구 부분이 본체 (1) 의 하부에 결합되고, 이 펌프부 (3) 를 압축ㆍ이완함으로써, 공기실 내부에 공기를 상기 필터 (6) 를 통하여 상기 약제수용실 (5b) 에 분사하고, 상기 관 (2g, 2d, 2c) 을 통하여 분말약제를 장치외부로 분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필터 (6) 는 상기 약제수용실 (5b) 에 면한 측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갖고, 상기 약제수용실 (5b) 의 용적을 조절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약제도출부 (2) 가 폴리카보네이트, ABS,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및 고리형 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고분자재료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22. 제 1 항에 있어서, 장치의 일부에 건조제를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23. 제 1 항에 있어서, 일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24. 제 1 항에 있어서, 체강내 투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25. 제 1 항에 있어서, 비강내 투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26. 제 1 항에 있어서, 폐내흡입 투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27. 삭제
KR10-2002-7001821A 2000-06-12 2001-06-12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527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74996 2000-06-12
JP2000174996 2000-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541A KR20020027541A (ko) 2002-04-13
KR100527649B1 true KR100527649B1 (ko) 2005-11-09

Family

ID=1867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82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27649B1 (ko) 2000-06-12 2001-06-12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824080B2 (ko)
EP (1) EP1291031B1 (ko)
JP (1) JP3960916B2 (ko)
KR (1) KR100527649B1 (ko)
CN (1) CN100473430C (ko)
AT (1) ATE328628T1 (ko)
AU (1) AU765944B2 (ko)
BR (1) BR0106729B1 (ko)
CA (1) CA2391740C (ko)
DE (1) DE60120401T2 (ko)
DK (1) DK1291031T3 (ko)
ES (1) ES2266201T3 (ko)
HK (2) HK1052312A1 (ko)
IS (1) IS2330B (ko)
MX (1) MXPA02001436A (ko)
NZ (1) NZ517693A (ko)
PT (1) PT1291031E (ko)
TW (1) TW491717B (ko)
WO (1) WO2001095962A1 (ko)
ZA (1) ZA2002013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0738B2 (ja) * 2002-05-14 2007-08-01 株式会社 バイオアクティス 鼻腔用粉状薬剤施薬装置
CN1330390C (zh) 2002-07-16 2007-08-08 帝人株式会社 生产粉末状药剂多剂量给药装置的方法及其设备
US7638138B2 (en) * 2003-02-21 2009-12-29 Translational Research, Ltd. Compositions for nasal administration of pharmaceuticals
MXPA05010379A (es) 2003-03-27 2006-05-31 Bioactis Ltd Aparato para administrar una medicina en polvo en la cavidad intranasal.
EP1671667A4 (en) * 2003-10-09 2013-05-01 Shin Nippon Biomedical Lab Ltd NASAL PULVERULENT DRUG DELIVERY DEVICE
JP4922762B2 (ja) * 2004-08-10 2012-04-25 株式会社新日本科学 速効性でかつ高い吸収性を可能とする経鼻投与用組成物
JP2006087797A (ja) * 2004-09-27 2006-04-06 Hitachi Ltd 鼻腔用投薬器
JP4500280B2 (ja) 2005-06-08 2010-07-1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粉末薬剤投与器
EP2116264B1 (en) 2006-12-26 2017-09-27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Preparation for transnasal application
GB2448183A (en) * 2007-04-05 2008-10-08 Optinose As Nasal powder delivery device
EP2534957B1 (en) 2007-12-14 2015-05-27 AeroDesigns, Inc Delivering aerosolizable products
DE102008014025A1 (de) * 2008-03-13 2009-09-17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Inhalator und Sieb für einen Inhalator
JP4785987B2 (ja) * 2008-05-23 2011-10-05 大塚製薬株式会社 粉末吸入器
JP2012526726A (ja) * 2009-05-15 2012-11-01 株式会社新日本科学 薬物動態が改善された鼻腔内用薬学的組成物
WO2011013003A2 (en) 2009-07-31 2011-02-03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Intranasal granisetron and nasal applicator
KR20140003582A (ko) 2011-01-31 2014-01-09 신 니뽄 바이오메디칼 라보라토리즈, 엘티디. 비강내 전달 장치
JP5772030B2 (ja) * 2011-02-08 2015-09-02 ニプロ株式会社 粉体噴射装置
ES2770764T3 (es) 2011-07-13 2020-07-03 Pharmaxis Ltd Mejoras relacionadas con dispositivos de suministro
US10786637B2 (en) * 2011-07-13 2020-09-29 Pharmaxis Ltd. Delivery devices
KR101995603B1 (ko) 2011-07-13 2019-07-02 파맥시스 엘티디 전달 장치에 관한 개선
US9757529B2 (en) * 2012-12-20 2017-09-12 Otitopic Inc. Dry powder inhaler and methods of use
US9757395B2 (en) * 2012-12-20 2017-09-12 Otitopic Inc. Dry powder inhaler and methods of use
EP3056186A4 (en) * 2013-10-09 2017-06-21 Takazono Technology Incorporated Medicine filling device
FR3011830B1 (fr) 2013-10-15 2015-10-23 Albea Le Treport Systeme de distribution d’un produit sous pression
CN105854716A (zh) * 2015-01-19 2016-08-17 王义杰 一种中药面膜粉搅拌装置
CA3067788A1 (en) 2017-09-15 2019-03-21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Medicine storage cartridge with nozzle, sprayer therefor, and powder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for nasal cavity
US11744967B2 (en) 2017-09-26 2023-09-05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Intranasal delivery devices
KR20200125632A (ko) 2018-02-26 2020-11-04 신 니뽄 바이오메디칼 라보라토리즈, 엘티디. 분말 제제, 카트리지 및 디바이스
CN108578883A (zh) * 2018-03-15 2018-09-28 上海安集协康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经鼻腔给药的细胞移植管及其使用方法
JP7450550B2 (ja) 2018-11-19 2024-03-15 株式会社新日本科学 薬剤施薬装置とその製造方法
RU189757U1 (ru) * 2019-01-09 2019-06-0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48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Дисковый распылитель для получения полидисперсных аэрозолей из порошкообразных материалов
TWI751581B (zh) * 2020-06-11 2022-01-01 亞星健康科技有限公司 治療內腔室傷口之藥劑推進裝置
TWI736438B (zh) * 2020-10-05 2021-08-11 荷倈生醫股份有限公司 蓋體
KR102726961B1 (ko) * 2022-12-13 2024-11-06 주식회사 대웅제약 비강용 투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7920688U1 (it) * 1979-02-05 1980-08-05 Chiesi Paolo Inalatore per sostanze medicamentose pulverulente, con combinata funzione di dosatore
IT1230313B (it) 1989-07-07 1991-10-18 Somova Spa Inalatore per medicamenti in capsule.
JP2943958B2 (ja) * 1993-03-31 1999-08-30 フォルテ グロウ メディカル株式会社 鼻腔用粉体噴霧器
AU684779B2 (en) * 1993-05-12 1998-01-08 Teijin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powdered medicine in multiple doses
DE4415462C1 (de) * 1994-05-03 1995-08-31 Transcoject Marketing Gmbh Inhalator
JP3308425B2 (ja) * 1995-03-10 2002-07-29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鼻腔用投薬器
JP3317823B2 (ja) * 1995-08-11 2002-08-26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投薬器
JPH09262295A (ja) * 1996-03-29 1997-10-07 Maeda Sangyo Kk 粉末状薬剤吸入装置
JP3883653B2 (ja) 1997-07-16 2007-02-21 帝人株式会社 粉末薬剤マルチドーズ投与デバイス
NZ506767A (en) * 1999-01-14 2003-10-31 Teijin Ltd Device and method for feeding a constant amount of powder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66201T3 (es) 2007-03-01
CN100473430C (zh) 2009-04-01
HK1052144B (en) 2006-12-08
AU765944B2 (en) 2003-10-02
US20020158150A1 (en) 2002-10-31
KR20020027541A (ko) 2002-04-13
EP1291031A4 (en) 2004-12-15
AU6275401A (en) 2001-12-24
CA2391740C (en) 2007-03-13
ZA200201302B (en) 2002-08-27
PT1291031E (pt) 2006-10-31
DK1291031T3 (da) 2006-10-09
IS2330B (is) 2008-01-15
HK1052144A1 (en) 2003-09-05
DE60120401D1 (de) 2006-07-20
WO2001095962A1 (fr) 2001-12-20
EP1291031A1 (en) 2003-03-12
CN1388762A (zh) 2003-01-01
IS6261A (is) 2002-02-08
BR0106729B1 (pt) 2009-08-11
MXPA02001436A (es) 2002-07-02
ATE328628T1 (de) 2006-06-15
TW491717B (en) 2002-06-21
NZ517693A (en) 2003-09-26
DE60120401T2 (de) 2006-12-21
HK1052312A1 (zh) 2003-09-11
EP1291031B1 (en) 2006-06-07
BR0106729A (pt) 2002-04-16
JP3960916B2 (ja) 2007-08-15
CA2391740A1 (en) 2001-12-20
US6824080B2 (en) 2004-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649B1 (ko) 분말약제 다회투여기
KR100629126B1 (ko) 분말체의 정량 공급장치 및 방법
AU773205B2 (en) Storage system for medicaments in powder form and inhaler provided therewith
TW575441B (en) Pharmaceutical powder cartridge, and inhaler equipped with same
JP2003175103A (ja) 粉末薬剤多回投与器
ZA200606963B (en) Dry powder preparations for pre-metered DPI
JP3883653B2 (ja) 粉末薬剤マルチドーズ投与デバイス
JP2003175093A (ja) 粉末薬剤多回投与器
HK1033439B (en) Device for feeding a constant amount of powder body
HK1033439A1 (en) Device for feeding a constant amount of powder body
MXPA00008779A (en) Device and method for feeding a constant amount of powder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9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