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27567B1 - 포인팅장치 - Google Patents

포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567B1
KR100527567B1 KR10-2001-0085645A KR20010085645A KR100527567B1 KR 100527567 B1 KR100527567 B1 KR 100527567B1 KR 20010085645 A KR20010085645 A KR 20010085645A KR 100527567 B1 KR100527567 B1 KR 100527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ubstrate
bottom plate
resin
inner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8284A (ko
Inventor
미요시토시하루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8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56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8Sliders, in which the moving part moves in a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01H2025/004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the operating member being depressable perpendicular to the other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트콘트롤, 게임기, 휴대전화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있어서, 슬라이드조작에 의해 X-Y방향의 신호입력을 행하는 포인팅장치를 커넥터를 사용하지않고 외부기판에 간단하게 장착하는것을 목적으로한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케이스(10)을,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상부케이스(10a)와, 수지로 이루어진 하부케이스(10b)에 의해서 구성한다. 조작체(20)의 슬라이드조작에 따라서 X-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1조의 이동체(30A) 및 (30B)의 아래쪽에 내부기판(40)을 배치하고, 이내부기판(40)을, 수지로 이루어진 하부케이스(10b)의 바닥판부분(14)에 삽입성형한다. 단자부재(70)의 한쪽끝부분을 내부기판(40)에 접촉시켜서, 내부기판(40)과 함께 하부케이스(10b)의 바닥판부분(14)에 삽입성형한다. 단자부재(70)의 다른끝부분을 외부기판과의 접속단자로서 하부케이스(10b)의 외부로 돌출시키는것을 특징으로한것이다.

Description

포인팅장치{POINTING UNIT}
본 발명은, 리모트콘트롤, 게임기, 휴대전화등의 각종전자기기에 있어서, X-Y방향의 신호입력을 위하여 사용되는 포인팅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외부의 장착기판의 판면을 따라서 조작체를 슬라이드조작하는 슬라이드조작식의 포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X-Y방향의 신호입력장치로서 슬라이드조작식의 포인팅장치가 있다. 이 포인팅장치는, 일반적으로, 외부의 장착기판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X-Y방향의 신호입력을 위하여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기판의 표면을 따라서 주위전체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는 슬라이드식의 조작체와, 조작체의 슬라이드조작에 따라서 케이스내부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1쌍의 이동체와, 1쌍의 이동체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기판을 구비하고있다.
내부기판은, 통상적으로 가요성기판으로 이루어지고, 1쌍의 이동체에 장착된 접촉자가 슬라이딩접하는 1쌍의 저항회로를 가지고있다. 1쌍의 저항회로는, 1쌍의 접촉자와 함께 1쌍의 볼륨을 구성하고 있고, 1쌍의 이동체와 X-Y방향의 이동위치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이와같은 포인팅장치에서는, 볼륨의 전원전압을 외부회로로부터 공급할필요가있다. 또, X-Y방향의 전기신호를 외부회로에 부여할필요가있다. 이들때문에, 내부기판이 외부의 장착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이 접속형태의 하나로서, 내부기판의 단자부분을 케이스의 밖으로 인출해서, 이것을, 외부의 장착기판에 실장된 커넥터에 삽입하는것이 행하여지고있다.
이와같은 내부기판과 외부기판의 접속형태에 의하면, 내부기판이 커넥터를 개재해서 외부기판과 확실하게 접속된다. 그러나, 포인팅장치를 사용하는 기기의 조립에 있어서는, 포인팅장치를 외부기판에 실장하는 작업 이외에, 외부기판상에 커넥터를 실장하기위한 납땜작업과, 그 커넥터에 내부기판의 단자부를 삽입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이들 2개의 여분의 작업이 기기의 조립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된다.
또, 커넥터를 사용함에 따른 실장면적의 증대나 부품코스트의 증대도 문제로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에 비추어서 창안된것이며, 내부기판을 외부기판에 간단한 작업으로 확실히 접속할수있고, 또한, 실장면적의 저감 및 부품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수있는 포인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하고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포인팅장치는, 적어도 바닥판부분이 수지로 이루어지고, 이 바닥판부분이 표면에 배선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기판 위에 얹어놓이는 케이스와, X-Y방향의 신호입력을 위하여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기판의 표면을 따라서 주위 전체방향으로 슬라이드조작되는 슬라이드식의 조작체와, 조작제의 슬라이드조작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내부를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1쌍의 이동체와, 1쌍의 이동체의 아래쪽에 위치해서 상기 케이스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그 케이스의 바닥판부분에 삽입형성된 내부기판과, 이 내부기판에 한끝부분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이 한끝부분이 상기 내부기판과 함께 상기 케이스의 바닥판부분에 삽입성형되고, 다른끝부분이 상기 외부기판과의 접속단자로서 케이스 밖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가 상기 외부기판에 얹어놓인 상태에서 상기 외부기판의 배선패턴에 접촉해서 땜납접속되는 단자부재를 구비하고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인팅장치에 있어서는,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는 단자부재를 외부기판에 접속하면, 즉, 당해 포인팅장치를 외부기판에 실장하면, 내부기판이 외부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커넥터를 외부기판위에 실장하는 작업도, 그 커넥터에 내부기판을 삽입하는 조작도 불필요하게되고, 커넥터자체도 불필요하게된다. 또, 내부기판 및 단자부재는, 케이스의 바닥판부분에 삽입성형되므로, 그들 케이스에의 장착이 용이하며, 장치의 박형화도 도모된다.
상기 케이스를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상부케이사와 수지제의 하부케이스를 짜맞춤한 2피스구조로 하고, 상기 내부기판 및 단자부재를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판부분에 삽입 성형하면, 장치의 높이가 한층 더 억제된다.
상기 이동체를, 이동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형상의 금속부분과, 이 금속부분의 양끝부분에 장착되어서 상기 금속부분을 상기 케이스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유지하는 1쌍의 슬라이드로서의 수지부분에 의해 구성하면, 장치높이가 한층더억제된다.
또,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한쪽의 수지부분이, 상기 내부기판의 표면에 슬라이드접촉하는 접촉자의 유지부재를 겸하고, 다른쪽의 수지부분이, 원점복귀용 스프링의 유지부재를 겸하는 구성으로 하면, 즉, 접촉자와 원점복귀용스프링을 양쪽에 배분 배치하여, 조작체의 중심에 대해서 케이스를 대칭인 형상으로 설계할수있고, 시메트리컬인 기기설계가 용이하게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인팅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동 포인팅장치의 투시평면도. 도 3은 동포인팅장치의 종단정면도. 도 4는 동포인팅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동포인팅장치에 사용되는 내부기판의 배선패턴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인팅장치는, 도 1∼도 4에 표시한 바와같이, 외부의 장착기판위에 고정되는 케이스(10)과, X-Y방향의 신호입력을 위하여 케이스(10)에 장착된 슬라이드식의 조작체(20)과, 조작체(20)의 슬라이드조작에 따라서 케이스(10)의내부를 X-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상하 1조의 이동체(30A),(30B)와 X-Y방향의 볼륨부분 및 X-Y방향으로 직각인 Z방향의 밀어내리기스위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케이스(10)내부에 수용된 내부기판(40)과, X-Y방향의 불륨부분을 구성하기 위하여 이동체(30A),(30B)에 장착된 1조의 접촉자(50A),(50B)와 이동체(30A),(30B)에 유지된 1조의 원점복귀용스프링(60A),(60B)와, 내부기판(40)을 외부의 장착기판과 접속하기위하여 케이스(10)에 유지된 복수의 단자부재(70),(70)‥을 구비하고있다.
여기서, X-Y방향의 볼륨부분은 케이스(10)의 직교하는 2변부분에 형성되어있다. 또, 상단의 이동체(40A) 및 접촉자(50A)는, Y방향의 신호입력을 행하고, 하단의 이동체(40B) 및 접촉자(50B)는 X방향으로 신호입력을 행한다.
케이스(10)은, 청정부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10a)에, 바닥판부분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10b)를 짜맞춤한2피스구조이다.
상부케이스(10a)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커버이며, 그 대략 정4각형의 천정부분(11)에는, 조작체(20)의 일부를 위쪽으로 돌출시키기 위하여, 원형의 개구부(12)가 중심부에 위치해서 형성되어있다. 천정부(11)의 4변부에는, 각 가장자리부분을 아래쪽으로 직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 고정부(13)이 형성되어있다. 고정부(13)은, 후술하는 하부케이스(10b)의 측면벽부분의 바깥면에 형성된 멈춤쇠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상부케이스(10a)를 하부케이스(10b)에 고정시킨다.
케이스(10b)는, 대략 정4각형의 바닥판부분(14)와, 바닥판부분(14)의 4변부분에서부터 위쪽으로 일어선 4개의 측면벽부분(15)로 이루어진 납작한 얕은바닥의 박스(각형용기)이며, 수지제품이다. 각 측면벽부분(15)의 바깥면에는, 상부케이스(10a)의 고정부(13)이 걸어맞춤하는 멈춤쇠(16)이 형성되어있다.
조작체(20)은, 하부케이스(10b)의 바닥판부분(14)에 대해서 대략수직인 둥근막대모양의 축부분(21)과, 축부분(21)에 장착된 이탈방지부재(22)와, 이탈방지부재(22)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3)을 가지고있다. 축부분(21)의 대략 상반부는, 상부케이스(10a)의 천정판(11)에 형성된 개방된 구멍부분을 지나서 천정판부분(11)의 위쪽에 돌출하고있고, 그 돌출부에는, 도시생략의 원반형상의 조작부가 장착된다. 즉, 조작체(20)은, 조작부를 별도피스로한 세퍼레이트구조를 채용하고있다.
축부분(21)의 대략 하반부는 케이스(10)내부에 삽입되고있다. 이탈방지부재(22)는 이 삽입부분에 장착된 금속판이며, 조작체(20)의 Z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그 위쪽으로의 빠짐을 저지한다. 고정부재(23)은, 축부분(22)의 하부에 끼워맞춤하는 링이며, 축부분(21)의 상반부와의 사이에 이탈방지부재(22)를 고정하는 동시에, 축부분(22)의 하부와 공동으로 해서, 이동체(30A),(30B)를 동작시키는 동작부를 형성하고있다.
상하 1조의 이동체(30A),(30B)중의, 상단의 이동체(30A)는 Y방향의 신호입력을 행하고, Y방향에만 이동가능하다. 하단의 이동체(30B)는 X방향의 신호입력을 행하고, X방향에만 이동가능하다, 양자는 직각으로 짜맞춤되어있으나, 개개의 실질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이 구성을, 도 3에 상세히 표시된 상단의 이동체(30A)에 대해,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단의 이동체(30A)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금속부분(31A)와 금속부분(31A)의 양끝부분에 장착된 1쌍의 수지부분(32A),(33A)로 이루어진다. 금속부분(31A)는 이동방향(Y방향)에 직각인 X방향으로 연장하는 대체로 평판이다. 금속부분(31A)에는, 조작체(20)의 축부분(21)이 관통하는 4각형의 긴구멍(34A)가 형성되어있다. 긴구멍(34A)는, 조작체(20)의 X방향의 상대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X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있다. 이 금속부분(31A)는, 양끝의 수지부분(32A),(33A)는 삽입 성형됨으로써 수지부분(32A),(33A)와 결합되어있다.
1쌍의 수지부분(32A),(33A)는, 케이스(10)내에 금속부(31A)를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슬라이더이고, 케이스(10)의 상부케이스(10a)와 하부케이스(10b)의 사이, 보다 정확히는 하부케이스(10b)의 바닥판부분(14)위에 배치된 내부기판(40)의 위를, 평행한 2변부분을 따라서 Y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한쪽의 수지부(32A)는 볼륨의 구성부재를 겸하고, 다른쪽의 수지부(33A)는 원점복귀기구의 구성부재를 겸하고있다.
즉, 한쪽의 수지부분(32A)의 아래면에는, 접촉자(50A)를 수용하는 제 1수용부(35A)가 형성되어있다. 이 수용부(35A)내부에 하향으로 정착된 접촉자(50A)는, 아래쪽의 내부기판(40)의 표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또, 다른쪽의 수지부(33A)에는 스프링(60A)를 압축상태로 수용하는 제 2수용부(36A)가 형성되어있다. 제 2수용부(36A)내부에 수용된 스프링(60A)는, 그 양끝쪽에 위치해서 하부케이스(10b)에 형성된 1쌍의 제지(制止)부분(17A)에 의해 양끝쪽에서 구속되도록되어있다.
또한, 하단의 이동체(30B)는, 상술한 상단의 이동체(30A)에 대해서 직각으로 배치되어있는 점을 제외하고, 상단의 이동체(3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숫자의 부호(단 첨자는 B)를 부여해서 설명한다.
내부기판(40)은, 하부케이스(10b)와 마찬가지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하부케이스(10b)의 바닥판부분(14)의 표면쪽에 삽입성형됨으로써, 바닥판부분(14)에 고정되어있다. 내부기판(40)의 표면에는, 도 5(a)에 표시한 바와같이, 볼륨회로를 구성하는 2조의 저항회로(41A),(41B)가 직교하는 2변부분을 따라서 형성되어있다. 또, 표면의 중심부에는, 밀어내리기 스위치를 구성하는 1조의 스위치회로(42)가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스냅플레어트라 호칭되는 돔형상의 탄성접편(45)가 테이프에 의해 고정되어있다.
2조의 저항회로(41A),(41B)에는, 1조의 접촉자(50A),(50B)가 위쪽에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탄성접편(45)는, 조작체(20)을 위쪽으로 힘붙임하는 한편, 아래쪽으로 변형함으로써 아래쪽의 스위치회로(42)를 단락시킨다.
한편, 내부기판(40)의 뒷면에는, 도 5(b),(c)에 표시한 바와같이, 단자부재(70)이 접촉하는 복수의 접점부분(43)이, 옆가장자리부분의 근처에 위치해서 형성되어있다. 복수의 접점부분(43)은, 표면쪽의 저항회로(41A),(41B) 및 스위치회로(42)에 대응하고있고, 대응하는 회로와는 관통구멍(44)를 개재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있다.
또한, 도 5(a)∼(c) 모두 평면도이고, (d)는 표면쪽의 배선패턴을 표시하고, (b)는 뒷면쪽의 배선패턴을 투시해서 표시한다. 또, (c)는 (a)와 (b)의 합성도면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46)은 내부기판(40)에 형성된 위치결정용의 개방된 구멍부분이다.
복수의 단자부재(70)은, 작은 직4각형의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케이스(10b)의 4변부분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있다. 각 단자부재(70)은, 한끝부분이 하부케이스(10b)의 바닥판부분(14)와 그위의 내부기판(40)사이에 끼이고, 내부기판(40)의 뒷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접점부(43)에 접촉한 상태에서, 내부기판(40)과 함께 하부케이스(10b)에 삽입성형되어있다.
각 단자부재(70)의 다른끝부분은, 외부의 장착기판과의 접속단자로서 하부케이스(10b)의 밖으로 수평으로 돌출하고있고, 하부케이스(10b)를 장착기판위에 얹어놓았을때에, 그 장착기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하부케이스(10b)의 바닥면과 대체로 동일평면내에 위치하고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인팅장치의 사용방법 및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당해 포인팅장치를 외부의 장착기판위에 얹어놓고, 복수의 단자부재(70)의 각 다른끝부분을, 장착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배선패턴과 납땜에 의해 접속한다. 이에의해, 케이스(10)이 장착기판위에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케이스(10)내부의 내부기판(40)이, 복수의 단자부재(70)을 개재해서 외부의 장착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인팅장치의 경우는, 내부기판(40)의 단자부분을 장착기판위의 커넥터에 삽입하는 작업도, 또 그 커넥터를 장착기판위에 실장하는 납땜작업도 행하지 않고, 케이스(10)을 장착기판에 실장한다고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내부기판(40)을 외부의 장착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할수있다. 따라서, 당해 포인팅장치를 사용하는 기기의 조립작업이 간략화된다.
또, 커넥터는 단자부재(70)보다 고가이므로, 커넥터가 생략됨으로써, 부품코스트가 저감되고, 나아가서는 실장면적도 저감한다.
장착기판위에 실장된 포인팅장치에 있어서, 조작체(20)에 X-Y방향의 외부의 힘을 가하지않는때는, 스프링(60A),(60B)에 의해 이동체(30A),(30B)가 원점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그 결과, 조작체(20)도 원점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또, 탄성접편(42)에 의한 힘붙임에 의해, 조작체(20)이 상한위치(이탈방지부재(22)가 상부케이스(10a)의 천정부분(11)에 아래쪽에서부터 맞닿는 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조작체(20)을 X방향으로 조작하면, 하단의 이동체(30B)가 X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따라서, 접촉자(50B)가 내부기판(40)위의 대응하는 저항회로(41B)위를 슬라이딩한다. 그 결과, X방향의 이동량에 대응한 전기신호가 출력되고, 당해장치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입력된다. 또, 이동체(30B)의 이동에 따라서 그 제 2수용부(36B)내부에 수용된 스프링(60B)가 축방향으로 이동할려고하나, 하부케이스(10b)에 형성된 제지부(17B),(17B)의 한쪽에서 그 이동이 저지되기때문에, 스프링(60B)가 축방향으로 압압되어서 압축된다. 이때문에, 조작체(20)에 부가되고있는 외부의 힘을 제거하면, 이동체(30B)가 원점위치로 자동복귀하고, 이에의해서 조작체(20)도 원점위치로 자동복귀한다.
조작체(20)을 Y방향으로 조작하면, 상단의 이동체(30A)가 Y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따라서, 접촉자(50A)가 내부기판(40)위의 대응하는 저항회로(41A)위를 슬라이딩한다. 그 결과, 이동량에 대응한 전기신호가 출력되고, 당해장치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입력된다. 또, 이동체(30A)의 이동에 따라서 스프링(60A)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나, 하부케이스(10b)에 형성된 제지부(17A),(17A)의 한쪽에서 그 이동이 저지되기때문에, 스프링(60A)가 축방향으로 압압되어서 압축된다. 이때문에, 조작체(20)에 부가되고있는 외부의 힘을 제거하면, 이동체(30A)가 원점위치로 자동복귀하고, 이에의해서 조작체(20)도 원점위치로 자동복귀한다.
이들의 조작의 짜맞춤에 의해, 조작체(20)의 X-Y방향의 이동방향 및 이동량에 따른 전기신호가, 당해포인팅장치를 사용하는 기기에 입력된다.
또, 탄성접편(45)에 의한 힘붙임에 대항해서 조작체(20)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탄성접편(45)가 변형하고, 아래쪽의 내부기판(40)의 윗면에 형성된 스위치회로(42)를 단락시킨다. 이에의해, 눌러서 밑으로 내리는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얻게된다.
신호출력수단으로서의 불륨부분은, 케이스(10)의 직교하는 2변부분 내부에 내장되어있다. 이때문에, 외부부착의 볼륨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부품점수가 저감된다. 또, 내부기판(40)이 불륨부분과 눌러서 밑으로 내리는 스위치의 양쪽에 사용되고있음으로, 이런점에서 부품점수가 저감된다.
이동체(30A),(30B)에 대해서는, 한쪽의 수지부(22A),(22B) 가 슬라이더 및 볼륨부분의 구성부재를 겸하고, 다른쪽의 수지부(23A),(23B)가, 슬라이더 및 원점복귀기구의 구성부재를 겸한다. 즉, 볼륨을 구성하는 접촉자(50A),(50B)와 원점복귀용의 스프링(60A),(60B)가, 금속부분(51A),(51B)의 양끝쪽에 배분되어 배치되어있다. 이때문에, 케이스(10)은, 직교하는 2변부분에 불륨을 내장하는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조작체(20)의 중심에 대해서 시메트리컬(대칭)한 거의 정4각형으로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케이스(10)내부에 볼륨부분이 내부기판(40)과 함께 수용되고, 또한, 눌러서 밑으로 내리는 스위치가 결합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동체(30A),(30B)가 판형상의 금속부분(32A),(32B)를 사용하고, 상부케이스(10a)가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어있기때문에, 장치높이가 낮게 억제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인팅장치는, 다기능임에도 불구하고, 박형이다.
또, 조작체(20)이, 조작부를 별도피스로한 세퍼레이트구조로 되어있기때문에, 조작부의 형상을 간단하게 변경할수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작부가 일체화된 조작체(20)의 사용이 가능한것은 말할것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관한 포인팅장치는, 케이스의 적어도 바닥판부분을 수지제로해서, 여기에 내부기판 및 단자부재를 삽입 성형함으로, 케이스를 외부기판 위에 실장하는것만으로, 케이스내부의 내부기판을 외부기판과 접속할수있다. 이에의해, 내부기판의 단자부분을 외부기판 위의 커넥터에 삽입하는 작업도, 또 그 커넥터를 외부기판위에 실장하는 납땜작업도 불필요하게 되어, 내부기판을 외부기판에 접속하는 작업이 현저하게 간략화된다. 따라서, 당해 포인팅장치를 사용하는 기기의 조립작업이 간단하게된다. 또, 커넥터가 불필요하게됨으로써, 실장면적의 저감 및 부품코스트의 저감이 도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인팅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동포인팅장치의 투시평면도.
도 3은, 동포인팅장치의 종단정면도.
도 4는, 동포인팅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동포인팅장치에 사용된 내부기판의 배선패턴도면.
<도면의 주요주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0a: 상부케이스
10b: 하부케이스 11: 천정판부분
14: 바닥판 20: 조작체
30A,30B: 이동체 31A,31B: 금속부분
32A,32B,33A,33B: 수지부분(슬라이더) 34A,34B: 개방된구멍
40: 내부기판 41A,41B: 저항회로
42: 스위치회로 43: 접점부
44: 관통구멍 45: 탄성접편
50A,50B: 접촉자 60A,60B: 스프링
70: 단자부재

Claims (4)

  1. 적어도 바닥판부분이 수지로 이루어지고, 이 바닥판부분이 표면에 배선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기판위에 얹어놓이는 케이스와, X-Y방향의 신호입력을 위하여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기판의 표면을 따라서 주위전체방향으로 슬라이드조작되는 슬라이드식의 조작체와, 조작체의 슬라이드조작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내부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1쌍의 이동체와, 1쌍의 이동체의 아래쪽에 위치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그 케이스의 바닥판부분에 삽입 성형된 내부기판과, 이 내부기판에 한끝부분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한끝부분이 상기 내부기판과 함께 상기 케이스의 바닥판부분에 삽입성형되고, 다른끝부분이 상기 외부기판과의 접속단자로서 케이스 밖으로 돌출되는 단자부재를 구비한것을 특징으로하는 포인팅장치로서,
    상기 이동체는 이동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판형상부와, 이 판형상부의 양끝부분에 장착되어서 상기 판형상부를 상기 케이스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유지하는 1쌍의 슬라이더로서의 수지부를 가지고, 이 수지부 중의 한쪽은 상기 내부기판의 표면에 슬라이드접촉하는 접촉자의 유지부재를 겸하고, 다른쪽은 원점복귀용스프링의 유지부재를 겸하고 있으며,
    상기 단자부재는 상기 케이스가 상기 외부기판에 얹어놓인 상태에서 상기 외부기판의 배선패턴에 접촉해서 땜납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상부케이스와 수지제의 하부케이스를 짜맞춤한 2피스구조이고, 상기 내부기판 및 단자부재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판부분에 삽입성형되어있는 포인팅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01-0085645A 2000-12-28 2001-12-27 포인팅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27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401481A JP3923253B2 (ja) 2000-12-28 2000-12-28 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JP-P-2000-00401481 2000-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284A KR20030038284A (ko) 2003-05-16
KR100527567B1 true KR100527567B1 (ko) 2005-11-09

Family

ID=18865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64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27567B1 (ko) 2000-12-28 2001-12-27 포인팅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53848B2 (ko)
EP (1) EP1221672A3 (ko)
JP (1) JP3923253B2 (ko)
KR (1) KR100527567B1 (ko)
CN (1) CN1241222C (ko)
HK (1) HK1045907B (ko)
TW (1) TW5265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8072B1 (fr) * 2003-07-23 2005-09-16 Eric Delattre Peripherique d'entree pour ordinateur ou similaire
US7429976B2 (en) * 2003-11-24 2008-09-30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Compact pointing device
US7570247B2 (en) * 2003-11-24 2009-08-04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Modular assembly for a self-indexing computer pointing device
JP3814279B2 (ja) 2004-04-23 2006-08-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US7978173B2 (en) * 2005-01-14 2011-07-12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Pointing device including a moveable puck with mechanical detents
FR2881238B1 (fr) * 2005-01-21 2007-04-06 Eric Delattre Perfectionnements aux peripheriques d'entree pour ordinateur ou similaire
US7586480B2 (en) 2005-02-28 2009-09-08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Hybrid pointing device
JP4446925B2 (ja) * 2005-04-28 2010-04-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JP4566088B2 (ja) * 2005-08-05 2010-10-20 任天堂株式会社 操作部材の原点復帰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入力装置
US7701440B2 (en) * 2005-12-19 2010-04-20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Pointing device adapted for small handheld devices having two display modes
US20070247446A1 (en) * 2006-04-25 2007-10-25 Timothy James Orsley Linear positioning input device
KR100789725B1 (ko) * 2006-05-15 2008-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입력장치
US7889176B2 (en) * 2006-07-18 2011-02-15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Capacitive sensing in displacement type pointing devices
US20080024441A1 (en) * 2006-07-25 2008-01-31 Jonah Harley Displacement type pointing device and method
US9141230B2 (en) * 2006-08-30 2015-09-22 Avao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Optical sensing in displacement type input apparatus and methods
US7639234B2 (en) * 2007-01-04 2009-12-29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Capacitive sensing and absolute position mapping in displacement type pointing devices
CN101312102B (zh) * 2007-05-25 2012-08-2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键盘组件及装设有该键盘组件的便携式电子装置
US20090058802A1 (en) * 2007-08-27 2009-03-05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Input device
US8232963B2 (en) * 2007-08-27 2012-07-31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Control and data entry apparatus
US7978175B2 (en) * 2007-11-23 2011-07-12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Magnetic re-centering mechanism for a capacitive input device
US20090135157A1 (en) * 2007-11-27 2009-05-28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Capacitive Sensing Input Device with Reduced Sensitivity to Humidity and Condensation
KR101099030B1 (ko) * 2008-03-19 2012-01-16 주식회사 자코드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TWI402719B (zh) * 2009-11-05 2013-07-21 Wistron Corp 指向裝置
CN102053725B (zh) * 2009-11-11 2013-02-27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指向装置
KR101106766B1 (ko) * 2010-07-20 2012-01-18 주식회사 자코드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US9354720B1 (en) * 2014-12-23 2016-05-31 Synaptics Incorporated Low-profile capacitive pointing stick
US9898095B2 (en) * 2015-06-29 2018-02-20 Synaptics Incorporated Low-profile capacitive pointing stick
CN113871242B (zh) * 2021-09-27 2024-04-12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摇杆开关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9303B1 (ko) * 1971-02-03 1976-12-25
JPS52106456A (en) * 1976-03-02 1977-09-07 Murata Manufacturing Co Variable resistor
US5019677A (en) * 1990-07-11 1991-05-28 Microslate Corp. Computer input device
DE4034166A1 (de) * 1990-10-26 1992-04-30 Cherry Mikroschalter Gmbh Cursorvorrichtung mit nullpunktrueckstellung
US5293158A (en) * 1992-05-05 1994-03-08 Alps Electric Co., Ltd. X-Y direction input device
US5790098A (en) * 1995-07-10 1998-08-04 Sysgration Ltd. Computer mouse structure
US6323844B1 (en) * 1997-08-11 2001-11-27 Fu-Kuo Yeh Cursor controlling device and the method of the same
JP3752389B2 (ja) * 1998-10-05 2006-03-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US6188389B1 (en) * 1998-12-10 2001-02-13 Chic Technology Corp. Third axis input device for a computer mouse
US6331849B1 (en) * 1999-02-25 2001-12-18 Cts Corporation Integrated surface-mount pointing device
US6445379B1 (en) * 2000-04-03 2002-09-03 Hsien-Cheng Liu Structure of cordless mous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62715A (zh) 2002-08-07
CN1241222C (zh) 2006-02-08
US20020084979A1 (en) 2002-07-04
EP1221672A2 (en) 2002-07-10
JP3923253B2 (ja) 2007-05-30
TW526505B (en) 2003-04-01
HK1045907A1 (en) 2002-12-13
KR20030038284A (ko) 2003-05-16
HK1045907B (zh) 2006-09-15
US6753848B2 (en) 2004-06-22
EP1221672A3 (en) 2004-03-24
JP2002202851A (ja) 200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567B1 (ko) 포인팅장치
JP3732380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KR100491682B1 (ko) 스위치가 붙은 동축 커넥터
KR100715069B1 (ko) 푸시온 스위치, 그것을 장착한 전자기기 및 그 장착 방법
KR100403266B1 (ko) 포인팅장치
US20130010406A1 (en) Device having snaps with soldered snap members
US20080217156A1 (en) Switch device
US6816044B2 (en) Electrical switching element
JP3929946B2 (ja) コネクタ
JP2007305384A (ja) 電子部品
US9373462B2 (en) Push switch
JP3810134B2 (ja) コンタクト及びこのコンタクトを備えたicソケット
JP3910361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US20080102658A1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having a multitude of terminals
JP3174941U (ja) スイッチモジュール
KR100357926B1 (ko) 푸시 버튼 스위치와 그 제조방법
JP2014053273A (ja) 接触部材
JP5429315B2 (ja) 接触部材
KR200259751Y1 (ko) 접속유지장치
JPH05166436A (ja) スイッチ
JP2019194973A (ja) スイッチ載置装置とこのスイッチ載置装置を備えた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3026204A (ja) 接触部材
JP2021022435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5267907A (ja) 接点装置
KR20030030615A (ko) 접속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7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7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51007

Appeal identifier: 2005101004939

Request date: 20050728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8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11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510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909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