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27062B1 - 동력전달 벨트의 사행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동력전달 벨트의 사행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062B1
KR100527062B1 KR10-2000-0062893A KR20000062893A KR100527062B1 KR 100527062 B1 KR100527062 B1 KR 100527062B1 KR 20000062893 A KR20000062893 A KR 20000062893A KR 100527062 B1 KR100527062 B1 KR 100527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eandering
hood
duct
p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2033A (ko
Inventor
권유학
황준영
임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62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062B1/ko
Publication of KR20020032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2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06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 driving or driven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76Control or adjustment of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08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with diagnostic check cycles; Monitoring of fail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부의 동력을 종동부로 전달하는 벨트가 사행됨을 감지함은 물론 그 사행된 풀리의 하부를 흡입공기로 당겨 사행을 교정할 수 있는 동력전달 벨트의 사행 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력발생원인 구동부(1)의 구동풀리(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부(3)의 종동풀리(4)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5)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기 위하여 종동풀리의 상부 양측에 센서(6)가 마련되고,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는 센서의 신호를 받아 그 신호에 맞게 작동하는 작동기(10)가 마련되며, 상기 작동기에 따라 이동되며 저부에는 흡입팬(21)이 마련된 덕트(20)가 설치되고, 상기 덕트의 상단에는 후드(31)가 설치된 벨트사행 조정기(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력전달 벨트의 사행 교정장치{Meandering Adjustment Apparatus of Power Delivery Belt}
본 발명은 동력전달 벨트의 사행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부의 구동풀리와 종동부의 종동풀리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의 사행을 검출하고 그 사행된 방향의 벨트 하부를 흡입하여 벨트의 원주길이가 길어지도록 하여 벨트의 사행을 교정할 수 있는 동력전달 벨트의 사행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원료를 적정한 크기로 파쇄할 때에는 크러셔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크러셔는 구동부의 구동풀리와 종동부의 종동풀리 사이에 연결된 벨트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크러셔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는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가 정확히 결합되어 있어야 하지만 상기 벨트는 가죽, 플라스틱, 나이론, 천 등의 재료가 다층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사행이 발생할 경우에는 벨트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이 저하되었다.
또한 상기 사행이 장시간 지속될 경우에는 플라스틱 층에서 균열 및 박리현상이 발생되고 그 박리현상이 심화되면 벨트가 파손되어 벨트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됨은 물론 파손된 벨트의 교환작업을 하는 동안에는 크러셔가 정지된 상태이므로 설비의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부의 동력을 종동부로 전달하는 벨트가 사행됨을 감지함은 물론 그 사행된 풀리의 하부를 흡입공기로 당겨 사행을 교정할 수 있는 동력전달 벨트의 사행 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벨트 커버 개폐장치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동력발생원인 구동부의 구동풀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부의 종동풀리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기 위하여 종동풀리의 상부 양측에 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는 센서의 신호를 받아 그 신호에 맞게 작동하는 작동기가 마련되며, 상기 작동기에 따라 이동되며 저부에는 흡입팬이 마련된 덕트가 설치되고, 상기 덕트의 상단에는 후드가 설치된 벨트사행 조정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종동풀리의 양측에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도록 마련된 센서는 적어도 2개이상을 한조로 상기 벨트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벨트사행 조정기에 마련된 후드의 내부에는 그 후드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후드의 내부를 분할하여 흡입공기의 흡입방향을 조절하는 댐퍼가 마련되고 상기 댐퍼가 설치된 후드의 상단에는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된 승강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후드의 양측면에는 승강부재의 하강정도를 검출하는 로드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작동기는 센서의 신호에 의해서 정/역회전하는 모터가 마련되고 그 모터에는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된 회전축이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에 나사결합되는 이동관은 상기 덕트의 외측면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행 교정장치가 크러셔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행 교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동력이 발생되는 구동부(1)에는 구동풀리(2)가 마련되고 상기 구동부(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종동부(3)인 크러셔에는 종동풀리(4)가 마련되며 상기 구동풀리(2)와 종동풀리(4)는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5)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종동풀리(4)의 상부 양측에는 벨트(5)의 좌/우측 에지부를 센싱하여 그 벨트(5)의 사행을 감지하는 센서(6)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각 센서(6)는 벨트(5)의 사행 정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일측에 적어도 2개이상을 한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벨트(5)의 하부 일측에는 센서(6)의 신호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작동되는 작동기(10)가 마련되고 그 작동기(10)는 실린더 또는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모터(11)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위치조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모터(1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11)에는 나선홈(12)을 갖는 회전축(13)이 마련되어 있고 그 회전축(13)에는 이동관(14)이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관(14)의 선단은 이후에 설명할 덕트(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덕트(20)는 저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21)이 마련된 고정덕트(22)와 그 고정덕트(22)에 선단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덕트(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덕트(23)의 저면에는 이동부재(24)가 마련되며 그 이동부재(24)는 상기 작동기(10)가 작동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관(14)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덕트(23)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5)이 마련된다.
상기 이동덕트(23)의 상단에는 벨트사행 조정기(30)가 마련되고 그 벨트사행 조정기(30)에는 상기 이동덕트(23)와 내부가 통하여지는 후드(31)가 마련되고 그 후드(31)의 내측에는 상기 후드(31)의 내부를 분할하여 흡입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발생시키는 댐퍼(32)가 후드(31)의 중앙에 관통 삽입된 회전축(33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후드(31)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33a)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축(33a)과 댐퍼(32)를 회동시키기 위한 실린더(3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드(31)의 상단에는 승강부재(34)가 스프링(35)으로 탄력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34)의 둘레면에는 후드(31)와 승강부재(34)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판(36)이 마련되며 상기 승강부재(34)의 전/후방(벨트가 진행하는 방향)에는 벨트(5)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37)이 각각 마련된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34)의 좌/우측 선단에는 지지판(38)이 마련되고 그 지지판(38)의 저면에는 접촉부재(39)가 마련되며 상기 후드(31)의 좌/우측면에는 접촉부재(39)의 하강됨 정도를 검출하는 로드셀(40)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부(1)가 작동되어 그 구동부(1)에 마련된 구동풀리(2)에 회전력이 발생되면 그 회전력은 상기 구동풀리(2)에 연결된 벨트(5)를 통해서 종동풀리(4)로 전달되어 상기 종동풀리(4)가 회전하게 되므로 그 회전력을 전달받은 종동풀리(4)와 연결된 종동부(3)인 크러셔가 작동되어 상기 종동부(3)로 공급되는 원료를 적정한 크기로 파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벨트(5)에 발생된 사행을 종동풀리(4)의 상부 양측에 마련된 센서(6)에서 검출되면 그 검출된 신호는 작동기(10)를 작동시키게 되며 상기 작동기(10)의 작동방향은 벨트(5)의 사행을 검출한 센서(6)의 방향으로 작동된다.
즉 상기 벨트(5)가 우측(종동부의 외측)으로 사행되면 좌측(종동부의 내측)에 마련된 센서(6)가 벨트(5)의 사행을 검출하고 그 센서(6)의 신호를 전달받은 작동기(10)는 정방향으로 작동되는 것이며 상기 작동기(10)가 정방향으로 작동되면 그 작동기(10)인 모터(11)에 마련된 회전축(13)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그 회전축(13)에 기어결합된 이동관(14)과 그 이동관(14)이 결합된 이동덕트(23)가 당기게 된다.
상기 이동덕트(23)가 이동됨에 따라 그 이동덕트(23)의 상단에 마련된 후드(31)가 함께 이동되며 상기 후드(31)의 이동량은 센서(6)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서 작동기(10)의 작동시간이 제어되므로 후드(31)는 벨트(5)의 직하방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후드(31)가 벨트(5)의 사행된 거리만큼 이동되어 그 벨트(5)의 직하방에 위치되면 실린더(33)가 작동되어 상기 후드(31)의 내부에 설치된 댐퍼(32)를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시켜 후드(31)의 좌측은 차단하고 우측을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덕트(22)에 마련된 흡입팬(21)이 작동되어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벨트(5)는 사행된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회전하게 되며 사행이 발생된 벨트(5)의 우측은 원주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텐션력이 증가되고 반대방향인 좌측은 텐션력이 감소되므로 벨트(5)는 텐션력이 강한 방향에서 약한 방향으로 폭 방향 이동하면서 사행이 교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벨트(5)가 우측으로 사행됨을 센서(6)가 감지하면 작동기(10)는 역방향으로 작동되어 후드(31)를 벨트(5)가 사행된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실린더(33)가 작동되어 상기 후드(31)의 내부에 마련된 댐퍼(32)를 도 3b와 같이 회동시켜 후드(31)의 우측은 차단하고 좌측은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흡입팬(21)이 작동되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서 벨트(5)가 경사진 상태로 회전되면 그 벨트(5)의 좌/우측 텐션력에 차이가 발생되므로 벨트(5)는 폭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사행이 교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벨트(5)의 사행이 교정되지 않을 경우에는 그 벨트(5)가 사행방향으로 더욱 사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벨트(5)의 사행을 검출하도록 종동풀리(4)의 상측에 마련된 2개이상의 센서를 한조로 이루어진 센서(6)중 가장 내측(종동풀리의 중앙부)의 센서에 벨트(5)의 사행을 검출되면 상기 벨트(5)는 경사각도가 커지게 되므로 후드(31)의 상부에 마련된 승강부재(34)의 일측을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34)의 일측이 하부로 이동되면 그 승강부재(34)의 일측 상단의 지지판(38) 하부에 마련된 접촉부재(39)가 로드셀(40)을 가압하게 되며 상기 로드셀(40)에서 일정량이상의 압력이 측정되면 구동부(1)를 정시시켜 벨트(5)의 사행을 작업자가 교정하여 벨트(5)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철소에서 원료를 파쇄하는 장치로 사용되는 크러셔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의 사행을 검출함과 동시에 상기 벨트를 사행이 발생된 방향으로 흡입하여 사행을 교정함은 물론 사행이 과다하게 발생할 경우에는 구동부의 동력을 차단시켜 벨트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행 교정장치가 크러셔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행 교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사행 교정장치로 벨트의 사행을 교정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부 2 : 구동풀리
3 : 종동부 4 : 종동풀리
5 : 벨트 6 : 센서
10 : 작동기 11 : 모터
13 : 회전축 14 : 이동관
20 : 덕트 21 : 흡입팬
30 : 벨트사행 조정기 31 : 후드
32 : 댐퍼 34 : 승강부재
35 : 스프링 40 : 로드셀

Claims (4)

  1. 동력발생원인 구동부(1)의 구동풀리(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부(3)의 종동풀리(4)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5)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기 위하여 종동풀리의 상부 양측에 센서(6)가 마련되고,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는 센서의 신호를 받아 그 신호에 맞게 작동하는 작동기(10)가 마련되며, 상기 작동기에 따라 이동되며 저부에는 흡입팬(21)이 마련된 덕트(20)가 설치되고, 상기 덕트의 상단에는 후드(31)가 설치된 벨트사행 조정기(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벨트의 사행 교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풀리의 양측에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도록 마련된 센서는 적어도 2개이상을 한조로 상기 벨트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벨트의 사행 교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사행 조정기에 마련된 후드의 내부에는 그 후드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후드의 내부를 분할하여 흡입공기의 흡입방향을 조절하는 댐퍼(32)가 마련되고 상기 댐퍼가 설치된 후드(31)의 상단에는 스프링(35)으로 탄력 설치된 승강부재(34)가 마련되며 상기 후드의 양측면에는 승강부재의 하강정도를 검출하는 로드셀(4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벨트의 사행 교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센서의 신호에 의해서 정/역회전하는 모터(11)가 마련되고 그 모터에는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된 회전축(13)이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에 나사결합되는 이동관(14)은 상기 덕트의 외측면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벨트의 사행 교정장치.
KR10-2000-0062893A 2000-10-25 2000-10-25 동력전달 벨트의 사행 교정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27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893A KR100527062B1 (ko) 2000-10-25 2000-10-25 동력전달 벨트의 사행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893A KR100527062B1 (ko) 2000-10-25 2000-10-25 동력전달 벨트의 사행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033A KR20020032033A (ko) 2002-05-03
KR100527062B1 true KR100527062B1 (ko) 2005-11-09

Family

ID=1969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8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27062B1 (ko) 2000-10-25 2000-10-25 동력전달 벨트의 사행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256B1 (ko) * 2017-08-08 2018-01-3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해양 소수력 수차 구동벨트의 이탈방지 자동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7916A (ja) * 1991-11-18 1993-06-01 Fuji Electric Co Ltd 汚泥脱水機の濾布ベルト蛇行修正装置
JPH08145128A (ja) * 1994-11-22 1996-06-04 Nec Toyama Ltd 平ベルトのトラッキ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7916A (ja) * 1991-11-18 1993-06-01 Fuji Electric Co Ltd 汚泥脱水機の濾布ベルト蛇行修正装置
JPH08145128A (ja) * 1994-11-22 1996-06-04 Nec Toyama Ltd 平ベルトのトラッキン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256B1 (ko) * 2017-08-08 2018-01-3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해양 소수력 수차 구동벨트의 이탈방지 자동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033A (ko) 200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32722A (ko) 무선조정 청소기
KR100527062B1 (ko) 동력전달 벨트의 사행 교정장치
US20030106454A1 (en) Device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means of transport
US5050857A (en) Device for orienting a sheet
CN118850637B (zh) 一种免注油的重型板式给料机
CN210593955U (zh) 一种输送带托辊纠偏装置
KR101258224B1 (ko)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CN221420047U (zh) 一种高速裱纸机上送纸调整机构
CA2129062A1 (en) Impact Roll Crusher Assembly
CN211141082U (zh) 一种折页机纸张折叠装置
JP3343174B2 (ja) シュレッダの給紙装置
KR920016182A (ko) 분쇄멤버를 위한 자동덧대기 용접장치
KR200286263Y1 (ko) 합성수지용 열풍용착기의 롤러구동용 체인의장력조절구조
CN112660700A (zh) 矿用皮带输送机自动纠偏装置
US12338895B1 (en) Belt tensioning apparatus for drive mechanisms
JP2005015209A (ja) バランス調整機能付き搬送用ローラ押圧機構
CN213679014U (zh) 一种防油纸印刷机的纠偏装置
CN112938558B (zh) 基于扫描的图像自动纠正系统
CN220055129U (zh) 一种皮带输送机防跑偏装置
CN217756120U (zh) 一种印刷机张力控制机构
KR100300519B1 (ko)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
KR200231668Y1 (ko) 먹 연마기의 벨트장력 조절장치
GB2190363A (en) Semi automatic paper cassette
CN117137728B (zh) 一种卫生巾产品的护翼折叠设备
JP3477613B2 (ja) パン生地押さえ装置及びパン生地押さえコンベアの蛇行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1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10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