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25375B1 - Ipm 보호회로 - Google Patents

Ipm 보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375B1
KR100525375B1 KR10-1999-0045605A KR19990045605A KR100525375B1 KR 100525375 B1 KR100525375 B1 KR 100525375B1 KR 19990045605 A KR19990045605 A KR 19990045605A KR 100525375 B1 KR100525375 B1 KR 100525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ipm
inverting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871A (ko
Inventor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5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375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37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 H02H7/122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responsive to internal faults, e.g. shoot-throug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mechanical injury, e.g. rupture of line, breakage of earth 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5Details with means for increasing reliability, e.g. redundanc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Abstract

IPM 회로를 보호하는 IPM 보호회로에 관한 것으로, 마이콤이 폭주하는 경우를 신속히 감지하여 IPM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IPM 회로의 과열여부를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과열감지부와, IPM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과다 여부를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감지부와, IPM 회로에 설치된 마이콤의 폭주여부를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폭주감지부, 그리고 과열감지부와 과전류감지부 및, 마이콤폭주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오류신호를 발생하여 IPM 회로를 정지시키는 오류신호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으로서, 종래의 IPM 보호회로와 달리 마이콤이 폭주한 상태를 자동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IPM 보호회로{Circuit for protecting IPM}
본 발명은 IPM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콤의 폭주를 감시하여 마이콤의 폭주로 인한 IPM 의 파손을 방지하는 IPM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IPM 회로는 일반적으로 전원소자(power device)부와, 제어부(gate drive), 그리고 보호회로부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IPM 보호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의 보호회로를 상세히 도시한 회로도이다.
전원소자부는 일반적으로 IGBT와 다이오드로 구성되는데, 전원소자부에 설치되는 IGBT와 다이오드의 규격은 IPM 회로의 사양 또는, IPM 회로가 사용될 시스템의 사양에 적합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일반적으로 고전압 집적회로(HVIC)로 구성된다.
이 때, IPM 회로에서 고전압 집적회로에 내장되지 않은 보호회로부는 과전류(over current) 감시부와, 전류출력부(current output), 과열(over temperature) 감시부와, 오류신호출력부(fault signal output), 그리고 오류검출보정부(fault latch & clear) 등으로 구성된다.
이 때, 과전류 감시부는 전원소자, 특히 IGBT의 사양에 적합하게 구성되고, 전류출력부는 소정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외부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작동한다. 전류출력부와 과전류 감시부는 과부하로 인한 고전류를 감지하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이다. 이러한 전류출력부는 직류전압 라인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소정의 증폭부, 특히 OP-Amp를 이용하여 증폭시켜 0 볼트 내지 5 볼트 사이의 전압값으로 출력한다. 과열감시부는 IPM 회로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면, 제어부(gate drive)의 동작을 중단시켜 전원소자를 보호한다.
오류신호출력부는 과전류 감시부 또는, 과열감시부가 동작할 때에 오류신호를 발생시키고, 오류검출보정부는 상기 오류신호출력부에서 발생된 오류신호의 원인이 제거되는 경우에 동작한다.
그런데, 종래의 IPM 회로를 보호하는 보호회로부는 과전류 감시부와 과열감시부 그리고, 전류출력부 등을 각각 보호하는 별도의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부분의 보호회로가 동작할 때에 오류신호를 발생하도록 동작한다. 특히, 종래의 IPM 회로는 이러한 오류신호가 마이콤의 포트로 전달되면, 마이콤이 소프트웨어적으로 IPM 회로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종래의 IPM 회로는 전기적인 잡음(noise) 등의 이유로 인하여 마이콤이 폭주한 경우에 제대로 IPM 회로를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이유는 마이콤은 내장된 감시기능(watchdog)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폭주여부를 검사하고 자체적으로 초기화(reset)하므로, 마이콤이 감시기능에 의해 폭주여부를 아직 검출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IPM을 보호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마이콤이 폭주여부를 검출하지 못한 상태, 즉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서 IPM이 지속적으로 동작하게 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IPM이 손상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IPM 회로에 마이콤의 폭주를 감시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마이콤이 폭주하는 경우를 신속히 감지하여 IPM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마이콤의 폭주여부를 감지하고, 마이콤의 폭주여부에 따라 자동적으로 오류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IPM 보호회로는 IPM 회로의 과열여부를 감지하는 과열감시부와, IPM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과다여부를 감지하는 과전류감시부와, IPM 회로에 설치된 마이콤의 폭주여부를 감지하는 마이콤폭주감시부, 그리고 상기 감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오류신호를 발생하는 오류신호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IPM 보호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IPM 보호회로를 상세히 도시한 회로도이다.
과열감시부(200)는 IPM 회로의 과열여부를 감지하여 과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과열감시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온도센서와, 기준전압을 인가받는 제 1 기준저항, 그리고 기준저항에 인가되는 전압과 온도센서에 인가되는 전압을 비교하는 제 1 비교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열감시부(200)는 종래의 IPM 보호회로에 설치된 것과 동일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과전류감시부(300)는 IPM 회로 내에 흐르는 전류의 과다여부를 감지하여 과전류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과전류감시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출력부에 연결되어 전류출력부에 흐르는 전압을 인가받는 제 2 기준저항과 소정의 기준전압을 인가받는 제 3 기준저항 및, 제 2 기준저항과 제 3 기준저항에 인가된 전압에 의한 전류를 각각 비교하는 제 2 비교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전류감시부(300)는 종래의 IPM 보호회로에 설치된 것과 동일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부인 마이콤폭주감시부(100)는 IPM 회로에 설치된 마이콤의 폭주여부를 감지하여 폭주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마이콤폭주감시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콤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반전시키는 제 1 반전부(M4)와, 제 1 반전부(M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시키는 제 2 반전부(M2)와, 마이콤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평활하여 반전시키는 제 3 반전부, 그리고 제 2 반전부(M2)와 제 3 반전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반전시키는 제 4 반전부(M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제 1 반전부(M4)와 제 2 반전부(M2), 및 제 4 반전부(M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달링톤 트랜지스터 어레이(Darlington transistor array)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 1 반전부(M4)와 제 2 반전부(M2) 및 제 4 반전부(M1)가 모두 달링톤 트랜지스터 어레이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IPM 보호회로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콤폭주감시부의 제 2 반전부(M2)는 입력단에 외부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인가받는 전원입력단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3 반전부는 마이콤에서 출력된 신호를 평활하는 평활 커패시터(C6)와, 평활 커패시터(C6)에서 평활된 신호를 반전시키는 반전장치(M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때, 반전장치는 상기 제 1 반전부(M4)와 제 2 반전부(M2), 그리고 제 4 반전부(M1)와 마찬가지로 달링톤 트랜지스터 어레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IPM 보호회로의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과열감시부(200)와 과전류감시부(300) 및, 마이콤폭주감시부(100)는 종래의 IPM 보호회로에 설치된 것과 동작이 거의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에서는 마이콤폭주감시부(100)와 오류신호발생부(4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마이콤은, 즉 폭주하지 않은 상태의 마이콤은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펄스를 출력한다. 이러한 펄스는 도 4의 A 지점에서 검출된다. 그리고, 마이콤에서 출력된 펄스는 제 1 반전부(M4)를 통과하면서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펄스로 반전된다.
이 때, 마이콤에서 출력된 펄스는 제 3 반전부를 통과하면서 제 3 반전부의 평활커패시터(C6)에 의해 로(low)신호로 변환되고, 제 3 반전부의 달링톤 트랜지스터 어레이(M3)에 의해 하이(high)신호로 반전된다.
그리고, 전원입력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일정 수준의 전압(Vcc)은 평활커패시터(C5)에 의해 로(low)신호로 변환되고, 이 신호는 제 2 반전부(M2)를 통과하면서 하이(high)신호로 반전된다.
제 2 반전부(M2)에 의해 하이(high)로 반전된 신호는 제 4 반전부(M1)를 통과하면서 로(low)신호로 다시 반전된다. 즉, 마이콤이 정상적인 펄스신호를 출력하면, 제 4 반전부(M1)의 입력단에는 항상 하이(high)신호를 입력받는다. 따라서, 마이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마이콤폭주감시부(100)는 항상 로(low)신호를 출력하므로, 오류신호발생부(400)가 오류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마이콤이 폭주하게 되면, 마이콤은 정상적인 펄스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정상적인 직류성분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직류성분의 신호는 도 4의 A지점에서 검출된다. 따라서, 그 직류성분의 신호는 제 1 반전부(M4)에 의해 반전되어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신호로 변환되어 제 2 반전부(M2)의 입력단에 인가된다.
만약, 폭주 상태의 마이콤이 하이(high)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출력하면, 제 3 반전부의 평활커패시터(C6)에 충전되어 제 3 반전부의 달링톤 트랜지스터 어레이(M3)는 로(low)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그 결과, 제 3 반전부는 하이(high)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제 4 반전부(M1)는 로(low)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마이콤에서 지속적으로 출력되는 하이(high)신호는 제 1 반전부(M4)에 의해 로(low)신호로 반전되어 전원입력단의 전압(Vcc)과 함께 제 2 반전부(M2)의 입력단에 인가되므로, 제 2 반전부(M2)는 로(low)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제 2 반전부(M2)에서 출력된 로(low)신호는 제 4 반전부(M1)에 의해 하이(high)신호로 반전되므로, 결국 마이콤폭주감시부(100)는 하이(high)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마이콤이 폭주하여 하이(high)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마이콤폭주감시부(100)는 하이(high)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오류신호발생부(400)가 오류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또한 마이콤이 폭주하여 로(low)레벨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출력하면, 제 3 반전부의 평활커패시터(C6)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제 3 반전부의 달링톤 트랜지스터 어레이(M3)에 인가된다. 그러면, 제 3 반전부의 달링톤 트랜지스터 어레이(M3)가 로 (low)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제 4 반전부(M1)가 하이(high)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마이콤이 폭주하여 로(low)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제 2 반전부(M2)에서 출력된 신호에 상관없이 제 3 반전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마이콤폭주감시부(100)가 하이(high)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 결과 오류신호발생부(400)가 오류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결국, 마이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마이콤폭주감시부(100)의 제 4 반전부(M1)는 항상 로(low)신호를 출력하지만, 마이콤이 폭주상태에 빠지면 마이콤폭주감시부(100)의 제 4 반전부(M1)는 제 2 반전부(M2) 또는, 제 3 반전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항상 하이(high)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IPM 보호회로는 마이콤이 폭주하더라도 마이콤의 동작여부에 관계없이 오류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IPM 보호회로는 종래의 IPM 보호회로와 달리 마이콤이 폭주한 상태를 자동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IPM 회로의 마이콤이 폭주하더라도 시스템의 동작을 신속히 중단시킬 수 있으므로, IPM 회로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키고 IPM 회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IPM 보호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은 종래의 IPM 보호회로를 상세히 도시한 회로도
도 3는 본 발명의 IPM 보호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IPM 보호회로를 상세히 도시한 회로도
도 5a와 도 6a는 마이콤이 정상상태일 때의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
도 5b와 도 6b는 마이콤이 폭주상태일 때의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설명
100 : 마이콤폭주감지부 200 : 과열감지부
300 : 과전류감지부 400 : 오류신호발생부

Claims (6)

  1. IPM 회로의 과열여부를 감지하여 과열신호를 출력하는 과열감시부,
    상기 IPM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과다 여부를 감지하여 과전류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감시부,
    상기 IPM 회로에 설치된 마이콤의 폭주여부를 감지하여 폭주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폭주감시부, 그리고
    상기 과열신호와 과전류신호, 및 폭주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출력되면 오류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IPM 회로를 정지시키는 오류신호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 보호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폭주감시부는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반전시키는 제 1 반전부,
    상기 제 1 반전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시키는 제 2 반전부,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평활하여 반전시키는 제 3 반전부, 그리고
    상기 제 2 반전부와 상기 제 3 반전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반전시키는 제 4 반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 보호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전부, 제 2 반전부, 그리고 제 4 반전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달링톤 트랜지스터 어레이(Darlington transistor array)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 보호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전부의 입력단에 외부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입력단이 부가적으로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 보호회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반전부는
    상기 마이콤에서 출력된 신호를 평활하는 평활커패시터,
    상기 평활커패시터에서 평활된 신호를 반전시키는 반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 보호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장치는 달링톤 트랜지스터 어레이(Darlington transistor array)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 보호회로.
KR10-1999-0045605A 1999-10-20 1999-10-20 Ipm 보호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525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605A KR100525375B1 (ko) 1999-10-20 1999-10-20 Ipm 보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605A KR100525375B1 (ko) 1999-10-20 1999-10-20 Ipm 보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871A KR20010037871A (ko) 2001-05-15
KR100525375B1 true KR100525375B1 (ko) 2005-11-02

Family

ID=19616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60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25375B1 (ko) 1999-10-20 1999-10-20 Ipm 보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3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2848A (zh) * 2016-01-21 2016-05-04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过热保护电路及电机控制装置
KR101946369B1 (ko) * 2016-11-03 2019-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N110412341B (zh) * 2019-08-09 2020-09-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Ipm过流检测电路
CN114123731B (zh) * 2021-11-12 2025-05-13 株洲变流技术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多并联ipm故障保护装置、系统以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871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2444B2 (ja) ファンの電源監視装置
JP5780145B2 (ja) スイッチング素子駆動回路及びそれを備える駆動装置
JPH1070832A (ja) 電力半導体装置のための過電流及び短絡保護制御装置
US7298601B2 (en) Over-voltage protection for voltage regulator modules of a parallel power system
US10312851B2 (en) Motor drive having function for preventing secondary damage
US5448441A (en) Fault protection circuit for power switching device
KR100628487B1 (ko) 전기모터 및 그 제어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과, 전기모터
KR100193949B1 (ko) 반도체복합소자 및 그 소자를 사용한 인버터장치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방법
JP2007336665A (ja) ゲート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力変換装置
KR100525375B1 (ko) Ipm 보호회로
JP6439597B2 (ja) 電力変換装置
JP5288165B2 (ja) 交流電動機の制御装置
KR20210088350A (ko) 단락전류 보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인버터용 smps
JP3171147U (ja) アラーム信号出力装置および負荷保護装置、並びにモータ制御装置
KR1004502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 회로
JP2015142452A (ja) モータ駆動装置
US7667428B2 (en) Fan system and power monitoring apparatus thereof
KR102111400B1 (ko) 출입문 장치의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문 장치
JP2001161078A (ja) 電力変換器制御装置
KR100625171B1 (ko) 과전류 방지 장치
KR930003181Y1 (ko) 전열기구의 오동작 방지 보호 회로
CN110797836B (zh) 用于电机驱动器中的开关电源的电路、操作方法和电机驱动电路系统
JP2001157460A (ja) 電流検出器の異常検出方法
KR200321222Y1 (ko) 과전류 방지 장치
KR0184564B1 (ko) 모터 보호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3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0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03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