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24478B1 - Anti-jam automobile door lock device - Google Patents

Anti-jam automobile door lock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478B1
KR100524478B1 KR10-2004-0024008A KR20040024008A KR100524478B1 KR 100524478 B1 KR100524478 B1 KR 100524478B1 KR 20040024008 A KR20040024008 A KR 20040024008A KR 100524478 B1 KR100524478 B1 KR 100524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ressing end
control lever
jam
loc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0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99060A (en
Inventor
이명현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4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478B1/en
Publication of KR20050099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0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478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20Line length or depth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잼방지형 차량용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록킹상태의 해제와 도어 핸들의 조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발생되는 이른바 잼현상을 방지한 차량용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m-proof vehicle door lock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door lock device that prevents the so-called jam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 release of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and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at the same time.

본 발명에 의한 잼방지형 차량용 도어록장치에 있어서는, 커넥션 레버의 누름단 측벽과 간섭을 일으키는 콘트롤 레버의 누름단의 외측면이 내측을 향해 경사진 만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도어핸들의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록킹용 레버의 언록킹 위치로의 절환이 시도될 경우, 상기 콘트롤 레버의 누름단 외측면이 커넥션 레버의 가압단의 내측벽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어 콘트롤 레버가 원복되고 록킹용 레버의 언록킹 위치로의 절환이 완료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jam-proof vehicl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end of the control lever causing interference with the pressing end side wall of the connection lever has a curved shape inclined inward,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is prevented.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lever is switched to the unlocking position, the outer end of the pressing end of the control lever is sli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pressing end of the connection lever, thereby restoring the control lever and unlocking the locking lever. And the switching to the locking position is completed.

Description

잼방지형 차량용 도어록장치{ANTI-JAM AUTOMOBILE DOOR LOCK DEVICE}Jam-proof vehicle door lock device {ANTI-JAM AUTOMOBILE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잼방지형 차량용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록킹상태의 해제와 도어 핸들의 조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발생되는 이른바 잼현상을 방지한 차량용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m-proof vehicle door lock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door lock device that prevents the so-called jam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 release of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and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at the same time.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리모콘이나 록킹 노브 등을 통해 록킹을 해제함과 동시에 다른 사용자가 도어를 열기 위해 도어 핸들을 당길 경우, 표면적으로는 언록킹을 설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래치의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도어를 열 수 없고,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리모콘이나 록킹 노브 등을 작동시켜 다시 도어를 록킹상태로 한 다음, 재차 록킹을 해제한 후에야 도어 핸들을 당겨 도어를 열 수 있는 이른바 이른바 잼(JAM) 현상이 발생된다.When the user releases the lock by using the remote control or the locking knob to open the door of the vehicle, and another user pulls the door handle to open the door, the latch is released even though the surface is set to unlock. The door cannot be opened because it is not made. To open the door, operate the remote control or the locking knob to lock the door again, and then release the lock again to open the door by pulling the door handle. ) Phenomenon occurs.

이러한 현상은,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구속 또는 해제하는 래치의 구속/해제를 주관하는 파울을 제어하는 커넥션 레버와, 도어 핸들에 가해진 작용력을 상기 커넥션 레버에 전달하는 콘트롤 레버간의 간섭에 의해, 록킹용 레버의 언록상태로의 설정이 불완전해지고 콘트롤 레버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phenomenon is caused by interference between a connection lever for controlling a foul that controls restraint / release of a latch that restrains or releases a striker fixed to a vehicle body, and a control lever that transmits an action force applied to a door handle to the connection lever. This occurs because the setting of the lock lever to the unlocked state is incomplete and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lever is not performed smoothly. This phenomen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언록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종래 차량용 도어록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잼상태에 이른 종래 차량용 도어록장치에 있어서의 콘트롤 레버와 커넥션 레버간의 간섭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ehicle door lock device that is set to an unlocked state, and FIG. 2 shows an interference state between a control lever and a connection lever in a conventional vehicle door lock device that has reached a jam state.

종래의 차량용 도어록장치(1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동가능한 구조로 설치된 록킹용 레버(120)의 일측단(A)에 액츄에이터(actuator, 150)가 링크(151)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록킹용 레버(120)의 중앙단(B)에는 안내장공(132)을 가진 콘트롤 레버(130)가 결속되어 있다.In the conventional vehicle door lock device 100, as shown in FIG. 1, an actuator 150 is connected to one end A of the locking lever 120 installed in the rotatable structure on the base plate 110. The control lever 130 having a guide hole 132 is coupled to the central end B of the locking lever 120.

그리고 상기 콘트롤 레버(130)의 일편에는 누름단(131)이 형성되어 있어, 콘트롤 레버(130)의 하강시에 상기 누름단(131)이 커넥션 레버(140)의 가압단(141)을 눌러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션 레버(140)는 차체에 부설된 스트라이커를 구속 및 해제하는 래치모듈(미도시)의 파울(미도시)을 연동시키는 제어수단이다.In addition, a pressing end 13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trol lever 130 so that the pressing end 131 presses the pressing end 141 of the connection lever 140 when the control lever 130 descends. Consists of. Here, the connection lever 140 is a control means for interlocking a foul (not shown) of the latch module (not shown) for restraining and releasing the striker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또한 상기 록킹용 레버(120)의 일단(A)에 링크(151) 구조로 연결된 액츄에이터(150)는, 리모콘 등에 의한 조작신호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록킹용 레버(120)를 소정각도로 선회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actuator 150 connected to one end A of the locking lever 120 in a link 151 structure is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an operation signal by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thereby rotating the locking lever 120 at a predetermined angle. Wheeled into.

이러한 록킹용 레버(120)의 선회에 의해, 록킹용 레버(120)의 중앙단(B)과 결속된 콘트롤 레버(130) 하단의 위치는 좌우로 변위되고, 그에 따라 핸들 조작시의 커넥션 레버(140)의 이송 궤적이 달라져 콘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을 통한 가압단(141)에의 작용력 인가 여부가 제어되고, 결과적으로는 래치모듈(미도시)의 작동이 제어된다.By the rotation of the locking lever 120,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lever 130, which is engaged with the center end B of the locking lever 120, is displaced left and right, and thus the connection lever (when operating the handle) ( The transfer trajectory of the 140 is changed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force is applied to the pressing end 141 through the pressing end 131 of the control lever 130, and as a result, the operation of the latch module (not shown) is controlled.

즉,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언록(unlock)상태에서, 액츄에이터(150)를 작동시켜 록킹용 레버(120)를 도면의 좌측, 즉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 록킹상태로 하면, 록킹용 레버(120)에 결속된 콘트롤 레버(130)도 회동하면서 누름단(131)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도어핸들(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콘트롤 레버(130)가 하강하더라도 누름단(131)의 이송 궤적이 커넥션 레버(140)의 가압단(141)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어 도어 핸들(미도시)의 조작에 의한 래치모듈(미도시)의 해제는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unlocked state as shown in FIG. 1, when the actuator 150 is operated to turn the locking lever 120 to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that is, counterclockwise to the locked state, the locking lever 120 ) And the pressing end 131 is moved to the left side while the control lever 130 is also bound to the left side, and eventually the transfer of the pressing end 131 even if the control lever 130 is lowered by the operation of a door handle (not shown). Since the trajectory is out of the position capable of pressing the pressing end 141 of the connection lever 140, the release of the latch module (not shown) by the manipulation of the door handle (not shown) is impossible.

그런데, 리모콘 등을 조작하여 액츄에이터(150)를 구동시켜 상기 록킹용 레버(120)를 회동시키고 있는 사이에 사용자가 도어의 핸들을 당겨 도어를 열고자 하는 경우, 즉 상기 록킹용 레버(120)의 회동이 미처 이루어지기 전에 래치모듈(미도시)의 스트라이커(미도시)의 구속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도어 핸들을 당겨 콘트롤 레버(130)를 하강시키게 되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의 외측면(O)이 커넥션 레버(140)의 돌출된 가압단(141)의 내측면과 간섭되는 현상, 즉 잼(JAM)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잼이 발생하면, 콘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이 커넥션 레버(140)의 가압단(141)을 눌러 커넥션 레버(130)를 회동시킬 수도 없고, 원위치로 복원할 수도 없기 때문에 래치모듈(미도시)의 해제(unlatch)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록킹용 레버(120)는 완전히 언록위치로 설정되지도 못한 상태이기고 더 이상 선회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록킹용 레버(120)를 다시 록킹위치로 되돌린 다음, 재차 액츄에이터(150)를 구동시켜 언록상태를 설정하여야 콘트롤 레버(130)의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However, 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of the door to open the door while operating the actuator 150 b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to rotate the locking lever 120, that is, of the locking lever 120 When the control lever 130 is pulled down by pulling the door handle to release the restrained state of the striker (not shown) of the latch module (not shown), the control lever 130 is shown in FIG. 2. A phenomenon in which the outer surface O of the pressing end 131 of the interferenc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ressing end 141 of the connection lever 140, that is, a jam phenomenon occurs. When such a jam occurs, the pressing end 131 of the control lever 130 cannot press the pressing end 141 of the connection lever 140 to rotate the connection lever 130 or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It is impossible to unlatch the module (not shown). In addition, since the locking lever 120 is not completely set to the unlocked position and can no longer be turned, the locking lever 120 is returned to the locked position, and then the actuator 150 is driven again.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control lever 130 only by setting the unlock state.

그런데, 이러한 잼(JAM)현상은, 콘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 형상에 의해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종래 도어록 장치(100)에 구비된 콘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넥션 레버(140)의 가압단(141)을 가압하기 위하여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가지형태로 갈라져 돌출시킨 형태를 취하며, 자연히 누름단(131)의 외측면(O)은 분지된 지점에서 외측으로 경사져서 하단측으로 돌출되어진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By the way, it can be said that such a jam phenomenon is caused by the shape of the pressing end 131 of the control lever 130. That is, the pressing end 131 of the control lever 130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door lock device 100, as shown in FIG. 2, is moved outward from the main body to press the pressing end 141 of the connection lever 140. It took a form divided into protrusions, and naturally the outer surface O of the pressing end 131 was inclined outward from the branched point to protrude to the lower side.

따라서, 잼현상이 발생되면 록킹용 레버(120)의 회동력에 의해 콘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은 하강된 상태에서 고착되고, 그에 따라 록킹용 레버(120)의 회동을 절환시키지 않고서는 잼현상의 해소가 불가능하였다.Therefore, when the jam occurs, the pressing end 131 of the control lever 130 is fixed in the lowered state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ocking lever 120, thereby switching the rotation of the locking lever 120 accordingly. Without it, jams could not be eliminated.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콘트롤 레버(130)에 잼 발생시 자체적으로 회동하는 별도의 안티잼 레버를 회동구조로 축설치한 형태로 잼방지형 도어록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나,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품수가 증가하여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henomenon, a jam-proof door lock device has been developed in a form in which a separate anti-jam lever that rotates itself when the jam occurs in the control lever 130 is pivotally installed, but the structure becomes complicated and parts The number increased, causing the cost increas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도어래치에서 잼(JAM)현상을 실질적으로 유발시키는 컨트롤 레버의 누름단의 형상을 개선하여, 컨트롤 레버의 누름단이 커넥션 레버의 측부에 간섭되더라도 자체 복원력과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간섭구간을 자연스럽게 벗어나며 상향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잼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 간단한 구조의 차량용 도어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improve the shape of the pressing end of the control lever that substantially causes jam (JAM) phenomenon in the door latch for a vehicle, so that the pressing end of the control lever is the side of the connection lever By interfering with the self restoring force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even if the interference is to be naturally transported upward and upward, thereby providing 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simple structure configured so that jams are not substantially generated.

본 발명에 의한 잼방지형 차량용 도어록장치는,Jam-proof vehicl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설치되어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해제하는 래치모듈과;A latch module installed on the base plate to restrain / release the striker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돌출 형성된 가압단에의 가압/해제에 의해 회동하는 구조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축 설치되어, 상기 회동에 의해 상기 래치모듈의 구속/해제 상태를 제어하는 커넥션 레버;A connection lever axially mounted to the base plate in a structure that rotates by pressing / releasing to a protruding pressing end, and controlling a restraint / release state of the latch module by the rotation;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가능 구조로 축 설치되어, 액츄에이터의 구동 또는 다른 록킹수단에 의해 록킹/언록킹 상태로 위치 절환되는 록킹용 레버; 및A locking lever axially mounted to the base plate, the locking lever being positioned to be locked / unlocked by an actuator or other locking means; And

일단부가 상기 록킹용 레버에 회동 및 이송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고, 타단부는 도어 핸들의 작동력에 의해 회동하는 구조로 결속되며, 상기 도어 핸들의 작동시 상기 록킹용 레버의 위치에 따라 이송 궤적을 달리 형성하면서 이송됨으로써 상기 도어 핸들의 작동력이 커넥션 레버의 가압단에 전달 또는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가압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누름단을 구비한 콘트롤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도어록장치에 있어서,One end is bound to the locking lever and the structure can be rotated, the other end is bound to the structure by the operating force of the door handle,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locking lev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locking lever In the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control lever having a pressing end protruding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end so that the operating force of the door handle is not transmitted or transmitted to the pressing end of the connection lever by being conveyed while forming,

상기 콘트롤 레버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누름단의 외측면이 내측을 향해 경사진 만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도어핸들의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록킹용 레버의 언록킹 위치로의 절환이 시도될 경우, 상기 콘트롤 레버의 누름단 외측면이 커넥션 레버의 가압단의 내측벽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어 콘트롤 레버가 원복되고 록킹용 레버의 언록킹 위치로의 절환이 완료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end protruding toward one side of the control lever has a curved shape inclined inward, when the switch to the unlocking position of the locking lever is attempted while the door handle is operated, The pusher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lever is slidingly mov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pressure end of the connection lever so that the control lever is rolled back and the switching to the unlocking position of the locking lever is configured to be comple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 레버의 누름단과 커넥션 레버의 가압단의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표면이 내마모성 재질로 코팅처리되어, 마찰에 의한 마멸현상이 억제되도록 구성한다..Preferably, the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pressing end of the control lever and the pressing end of the connection lever is coated with a wear-resistant material, so that wear of the friction is suppress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잼방지형 차량용 도어래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jam-proof vehicle door l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잼방지형 차량용 도어록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잼방지형 차량용 도어록장치에 있어서의 잼 해소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 5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잼방지형 차량용 도어록장치에 있어서의 잼 해소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jam-proof vehicl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b) and (C) is jam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Jam removal process in the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type is shown in sequence, Figure 5 (a), (b) and (C) is a jam elimination in the jam-proof vehicl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is shown sequentially.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잼방지형 차량 도어록장치(1)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상에 설치되어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미도시)를 구속 또는 해제하는 래치모듈(미도시)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동구조로 축(142) 설치되어 상기 래치모듈의 구속/해제 상태를 제어하며, 일측은 연장되어 말단에는 돌출 형성된 가압단(141)을 갖는 커넥션 레버(14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동가능 구조로 탄성지지되어 축(미도시) 설치되며, 액츄에이터(150)의 구동에 의해 록킹/언록킹 상태로 위치 절환되는 록킹용 레버(120); 및 일단부에 상기 록킹용 레버와 결속되는 아치형의 안내장공(132)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도어 핸들(미도시)의 작동력을 전달하는 핸들로드(미도시) 또는 링크(160)에 회동구조로 결속되며, 상기 록킹용 레버(120)의 위치선택에 따라, 이송 궤적이 변경되어 상기 상기 커넥션 레버(140)의 가압단(141)을 누르거나 누르지 못하여 도어 핸들의 작동력이 커넥션 레버(140)에 전달 또는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커넥션 레버(140)의 가압단(141)에 대응하여 돌출된 누름단(131)이 형성된 콘트롤 레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ure 3, the jam-proof vehicle door lock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tch module (not shown)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10 to restrain or release a striker (not shown)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and; A connection lever (140)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10) in a rotational structure to control the restraint / release state of the latch module, one side of which has a pressing end (141) protruding from the end thereof; A locking lever 120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to the base plate 110 by a rotatable structure and is installed in a shaft (not shown) and is switched into a locking / unlocking state by driving an actuator 150; And an arcuate guide hole 132 that is engaged with the locking lever at one end thereof,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pivoted to a handle rod (not shown) or a link 160 that transmits an operating force of a door handle (not shown). And the feeding trajector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selection of the locking lever 120 so that the pressing force 141 of the connection lever 140 cannot be pressed or pressed, so that the operating force of the door handl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ever 14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lever 130 is formed with a pressing end 131 protruding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end 141 of the connection lever 140 so as not to be transmitted or transmitted to.

여기서 상기 콘트롤 레버(130)는, 일측이 분지되어 누름단(131)이 형성된 전체적으로 긴 바(BAR) 형태로서, 도어핸들(미도시)에 가해진 외부작용력이 핸들로드 또는 연결된 링크(160) 구조를 통해 전달되면 하강되도록 일단이 상기 핸들로드 또는 링크(160)에 회동축(133)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또 외부작용력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항상 상승된 위치에 있도록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결착된 코일 스프링(161)에 의해 상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lever 130, as one side is branched in the form of a generally long bar (BAR) formed with a pressing end 131, the external load applied to the handle (not shown) handle handle or link 160 structur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andle rod or link 160 in a rotation shaft 133 structure so as to be lowered when it is transmitted. In addition, one end is elastically supported upward by the coil spring 161 fastened to the base plate 110 so that the external action force is always in a raised position.

한편, 상기 콘트롤 레버(130)의 타단에는 아치형 안내장공(132)이 형성되며, 이 안내장공(132)에는 록킹용 레버(120)의 중앙단(B)이 결속되어, 핸들조작에 의한 콘트롤 레버(130)의 하강시 안내장공(132)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control lever 130 is formed an arc-shaped guide hole 132, the central end (B) of the locking lever 120 is coupled to the guide hole 132, the control lever by the handle operation When the descending of the 130 is to slide along the guide hole 132.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150)의 구동에 의해 록킹용 레버(120)가 좌우로 선회하여 록킹/언록킹 위치로 절환됨에 따라, 록킹용 레버(120)의 중앙단(B)에 결속된 콘트롤 레버(130)의 승강시의 이송 궤적이 달리 형성되기 때문에, 콘트롤 레버(130)의 하강시에 일측에 형성된 누름단(131)이 커넥션 레버(140)의 가압단(141)을 눌러주게 되기도 하고 가압단(141)과는 이격되어 하강하기도 한다.Here, as the locking lever 120 is swung left and right by the driving of the actuator 150 and is switched to the locking / unlocking position, the control lever (b) attached to the center end (B) of the locking lever (120) Since the conveyance trajectory at the time of lifting the 130 is formed differently, the pressing end 131 formed at one side when the control lever 130 descends presses the pressing end 141 of the connection lever 140 and the pressing end. 141 may be spaced apart and descended.

상기 구성에 의한 이러한 록킹용 레버의 록킹/언록킹 위치의 설정, 도어핸들의 조작에 따른 콘트롤 레버(130)와 커넥션 레버(140) 등의 기본적인 작동 및 작용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또한, 상기 록킹용 레버(120)의 절환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외에도, 예컨대 록킹용 노브와 같은 다른 잠금장치에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상기 안내장공이외에도 다른 이송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The basic operation and action of the control lever 130 and the connection lever 140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locking / unlocking position of the locking lever and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by the above configuration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related art. In addition, the switching of the locking lever 120 may be made by being connected to another locking device such as a locking knob, in addition to being made by driving the actuato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other conveying means may be adopted in addition to the guide hole.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콘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이 커넥션 레버(140)의 가압단(141)에 간섭되더라도, 간섭구간을 자연스럽게 벗어나면서 상향 이송됨으로써, 잼현상이 해소될 수 있도록 상기 콘트롤 레버(130)의 일측에 분지되어 형성된 누름단(131)의 형상을 개선하고 있다. 즉, 상기 콘트롤 레버(130)의 일측으로 돌출된 누름단(130)의 외측면(O)은 콘트롤 레버(130)의 이송 궤적에 상응하여 만곡되어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pressing end 131 of the control lever 130 interferes with the pressing end 141 of the connection lever 140, by moving upward while naturally leaving the interference interval, the jam phenomenon can be solved. The shape of the pressing end 131 branched to one side of the control lever 130 is improved. That is, the outer surface O of the pressing end 130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control lever 130 is curv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ransfer trajectory of the control lever 130 to have a naturally inclined shape.

이러한 형상으로 콘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을 제작/설치하게 되면,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이 하강한 상태에서 록킹용 레버(120)의 절환이 시도되어 콘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 측벽이 커넥션 레버(140)의 가압단(141)의 내측벽에 간섭되더라도,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 레버(130)는 코일스프링(161)의 복원 수축력과 록킹용 레버(120)의 회동력에 의해 점차적으로 가압단(141)의 내측벽을 타고 슬라이딩 되어 상향 이송될 수 있다. When the pressing end 131 of the control lever 130 is manufactured / installed in such a shape, as shown in FIG. 4A, the locking end 131 of the control lever 130 is locked in a lowered state. Although the side wall of the pressing end 131 of the control lever 130 interferes with the inner wall of the pressing end 141 of the connection lever 140,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lever 130 may gradually slide on the inner wall of the pressing end 141 by the restoring contraction force of the coil spring 161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ocking lever 120 to be conveyed upward.

그리하여 상기 콘트롤 레버(130)는, 도 4의 (c)에서와 같이 커넥션 레버(140)의 가압단(141)과의 간섭상태가 완전히 해소되고 록킹용 레버(120)는 언록킹상태로 절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us, as shown in (c) of FIG. 4, the control lever 130 completely eliminates the interference with the pressing end 141 of the connection lever 140 and the locking lever 120 is switched to the unlocked state. State is maintain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과 간섭되는 커넥션 레버(140)의 가압단(141)의 형상을 종전과 같이 수직으로 형성하지 않고, 누름단의 외측면(O)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단의 가압지점을 기점으로 내측을 향해 약간 경사지게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shape of the pressing end 141 of the connection lever 140 that interferes with the pressing end 131 of the control lever 130 is not vertically formed as befo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 of the pressing end, it is configured to be slightly inclined inward from the pressing point of the upper end.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상기 콘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이 경사진 커넥션 레버(140)의 가압단(141)의 내벽을 따라 보다 원활히 상향 이송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pressing end 131 of the control lever 130 may be smoothly upwardly mov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pressing end 141 of the inclined connection lever 140.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 레버(130)에 상향 이송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161)을 종래의 것보다 복원력이 큰 것을 사용하는 것도, 콘트롤 레버(130)의 상향 이송력을 증대시켜 보다 원활한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use of a coil spring 161 providing an upward conveying force to the control lever 130 with a larger restoring force than the conventional one also increases the upward conveying force of the control lever 130. To make the transfer more smooth.

한편, 상기한 구조를 기존 차량용 도어록장치에 적용할 경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이 간섭구간을 통과시, 이와 간섭된 커넥션 레버(140)가 소정각 회동되었다가 간섭상태가 해제되면 원복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bove structure is applied to the existing vehicle door lock device, 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pressing end 131 of the control lever 130 passes through the interference interval, the connection lever 140 interfered with this is predetermined When the interference state is released after each rotation, a case may be restored.

이러한 현상이 심화된다면, 커넥션 레버(140)가 파울을 연동시켜 도어가 개방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디 잼현상은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려는 시점에서 발생되는 현상이므로, 그다지 큰 문제점은 되지 않는다.If this phenomenon is intensified, a phenomenon may occur in which the door is opened by the connection lever 140 interlocking the foul. However, the jam jam is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 user tries to open the door, so it is not a big problem.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도 5에서 도시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콘트롤 레버(130)의 안내장공(132)에 수용되는 록킹용 레버(120)의 중앙단(B)이 종래보다 길게 연장되게 제작되어 있다.However, in order to prevent such a phenomenon from occurring, in another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5, the center end B of the locking lever 120 accommodated in the guide hole 132 of the control lever 130 is longer than in the prior art. It is made to extend.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5의 (a), (b),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트롤 레버(130)의 이송시 선회각이 보다 크게 형성되고, 따라서 컨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이 커넥션 레버(140)의 가압단(141)에 간섭되는 구간이 적어지거나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커넥션 레버(140)가 소정각 회동하는 현상이 완화 내지 방지될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a), (b), and (c) of FIG. 5, the turning angle is increased when the control lever 130 is transferred, and thus the pressing end 131 of the control lever 130 is formed. ) Is less or does not exist in the section that interferes with the pressing end 141 of the connection lever 140. Accordingly, the phenomenon in which the connection lever 140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may be alleviated or prevented.

다른 한편,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의 형상을 개선하여 잼현상을 해결하게 되면, 상기 콘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과 커넥션 레버(140)의 가압단(141) 간의 물리적인 마찰에 의해 접단하는 부위에 마멸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장치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solving the jam phenomenon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pressing end 131 of the control lever 130, pressing the pressing end 131 and the connection lever 140 of the control lever 130. Abrasion may occur at the site of contact due to the physical friction between the stages 141, thereby shortening the life of the device.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잼 발생시 상호 간섭되는 콘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과 커넥션 레버(140)의 가압단(141)의 표면에 내마모성 재질의 코팅막(C)을 더 형성하고 있다. 내마모성 코팅막(C)을 형성하는 기술은 특별히 제한받지 않으며, 다양한 재질의 내마모성 코팅물질과 코팅방법이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view of this problem,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a wear-resistant material is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pressing end 131 of the control lever 130 and the pressing end 141 of the connection lever 140 that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jam occurs. The coating film C is further formed. The technology for forming the wear resistant coating film (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ear resistant coating material and the coating method of various materials are known.

이와 같이 상기 콘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과 커넥션 레버(140) 가압단(141)의 표면에 내마모성 재질의 코팅막(C)을 더 형성하게 되면, 상기 커넥션 레버(141)의 가압단(141)과 컨트롤 레버(130)의 누름단(131)의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상기한 마멸로 인한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coating layer C of the wear-resistant material is further formed on the pressing end 131 of the control lever 130 and the pressing end 141 of the connection lever 140, the pressing end of the connection lever 141 is formed. 141 and the durability of the pressing end 131 of the control lever 130 is improv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ortened life due to the wear.

본 발명에 의한 잼방지형 차량용 도어록장치는, 잼(JAM)현상을 실질적으로 유발시키는 콘트롤 레버의 누름단의 형상을 개선하여, 컨트롤 레버의 누름단이 커넥션 레버의 돌출단 측벽에 간섭되더라도, 컨트롤 레버의 누름단이 간섭구간을 자연스럽게 통과하여 상향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잼현상이 자연히 해결되도록 하고 있다.The jam-proof vehicl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hape of the push end of the control lever which substantially causes a jam, so that even if the push end of the control lever interferes with the side wall of the protruding end of the connection lever, The push end of the lever naturally passes upward through the interference section, so that the jam phenomenon is naturally solved.

따라서, 별다른 구조적 변형이나 부대적 추가 비용없이 종전에 생산되고 있는 도어록장치 바로 적용이 가능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pply the door lock device bar that has been previously produced without any structural change or additional cost.

도 1의 (a)는 종래 차량용 도어록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Figure 1 (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ehicle door lock device,

도 2는 종래 도어록장치에 있어서의 콘트롤 레버의 누름단과 커넥션 레버의 가압단간의 간섭에 의해 잼이 발생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jam is generated by interference between the pressing end of the control lever and the pressing end of the connection lever in the conventional door lock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잼방지형 차량용 도어록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jam-proof vehicl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잼방지형 차량용 도어록장치에 있어서 잼이 해소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4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eliminating the jam in the jam-proof vehicl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잼방지형 차량용 도어록장치에 있어서 잼이 해소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eliminating the jam in the jam-proof vehicl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 100. 차량용 도어록장치 110. 베이스 플레이트1, 100. Vehicle door lock device 110. Base plate

120. 록킹용 레버 121. 중앙단120. Locking lever 121. Center end

130. 콘트롤 레버 131. 누름단130. Control lever 131. Push stage

132. 안내장공 140. 커넥션 레버132.Operator 140.Connection lever

141. 가압단141.Pressure stage

150. 액츄에이터 151. 링크150. Actuator 151. Link

160. 링크 161. 코일 스프링160.Link 161. Coil Spring

A. 좌측단 B. 중앙단 A. Left B. Center

O. 외측면 C. 코팅막O. Outer side C. Coating film

Claims (2)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설치되어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해제하는 래치모듈과;A latch module installed on the base plate to restrain / release the striker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돌출 형성된 가압단에 대한 가압/해제에 의해 회동하는 구조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축 설치되어, 상기 회동에 의해 상기 래치모듈의 구속/해제 상태를 제어하는 커넥션 레버;A connection lever axially installed on the base plate in a structure that rotates by pressing / release of a protruding pressing end, and controlling a restraint / release state of the latch module by the rotation;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가능 구조로 축 설치되어, 액츄에이터의 구동 또는 다른 록킹수단에 의해 록킹/언록킹 상태로 위치 절환되는 록킹용 레버; 및A locking lever axially mounted to the base plate, the locking lever being positioned to be locked / unlocked by an actuator or other locking means; And 일단부가 상기 록킹용 레버에 회동 및 이송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고, 타단부는 도어 핸들의 작동력에 의해 회동하는 구조로 결속되며, 상기 도어 핸들의 작동시 상기 록킹용 레버의 위치에 따라 이송 궤적을 달리 형성하면서 이송됨으로써 상기 도어 핸들의 작동력이 커넥션 레버의 가압단에 전달 또는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가압단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누름단을 구비한 콘트롤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도어록장치에 있어서,One end is bound to the locking lever and the structure can be rotated, the other end is bound to the structure by the operating force of the door handle,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locking lev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locking lever In the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control lever having a pressing end protruding to correspond to the pressing end so that the operating force of the door handle is not transmitted or transmitted to the pressing end of the connection lever by being conveyed while forming, 상기 콘트롤 레버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누름단의 외측면이 내측을 향해 경사진 만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도어핸들의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록킹용 레버의 언록킹 위치로의 절환이 시도될 경우, 상기 콘트롤 레버의 누름단 외측면이 커넥션 레버의 가압단의 내측벽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어 콘트롤 레버가 원복되고 록킹용 레버의 언록킹 위치로의 절환이 완료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잼방지형 차량용 도어록장치.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end protruding toward one side of the control lever has a curved shape inclined inward, when the switch to the unlocking position of the locking lever is attempted while the door handle is operated, A jam-proof vehicle door lock, wherein the push end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lever is slid and mov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press end of the connection lever so that the control lever is rolled back and the switching to the unlocking position of the locking lever is completed.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레버의 누름단과 커넥션 레버의 가압단의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표면이 내마모성 재질로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잼방지형 차량 도어래치.The jam-proof vehicle door latch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rfaces of the pressing end of the control lever and the pressing end of the connection lever are coated with a wear resistant material.
KR10-2004-0024008A 2004-04-08 2004-04-08 Anti-jam automobile door lock device Expired - Fee Related KR1005244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008A KR100524478B1 (en) 2004-04-08 2004-04-08 Anti-jam automobile door lock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008A KR100524478B1 (en) 2004-04-08 2004-04-08 Anti-jam automobile door lock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060A KR20050099060A (en) 2005-10-13
KR100524478B1 true KR100524478B1 (en) 2005-10-27

Family

ID=3727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008A Expired - Fee Related KR100524478B1 (en) 2004-04-08 2004-04-08 Anti-jam automobile door lock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47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060A (en) 200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1170B2 (en) Vehicle trunk locking device
US4986579A (en) Door closing device
KR100373242B1 (en) Locking controller of a sliding door
JPH04265381A (en) Electromechanical door lock
CN102057119A (en) Door lock device
JP2022027426A (en) Tailgate switchgear
US5996381A (en) Automotive door lock device
KR100524478B1 (en) Anti-jam automobile door lock device
EP1522663A2 (en) A vehicle door latch with an actuator
KR20050121061A (en) Door latch for automobile
EP3870782B1 (en) A locking device
KR100767969B1 (en) Latch structure installed in tail gate or trunk
WO2004099484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EP1149967B1 (en) A lock mechanism
GB2040528A (en) Key-operated actuator
WO2004067882A2 (en) Door locking system
US2791459A (en) Door lock
KR100786541B1 (en) Wheel Lever Vehicle Tail Gate Latch
KR100841552B1 (en) Side door latch with two motion override
KR100862571B1 (en) Vehicle door lock with jam reduction structure
KR100866172B1 (en) Anti-locking device of door lock provided in vehicle door
KR100841555B1 (en) Vehicle side latch with deadlock function
KR100561766B1 (en) Locking device for car doors
EP0117560A2 (en) Door lock system
US20250027347A1 (en) Motor vehicle lo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