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221B1 - Antenna with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 Google Patents
Antenna with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23221B1 KR100523221B1 KR10-2002-0083083A KR20020083083A KR100523221B1 KR 100523221 B1 KR100523221 B1 KR 100523221B1 KR 20020083083 A KR20020083083 A KR 20020083083A KR 100523221 B1 KR100523221 B1 KR 1005232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enna device
- lens assembly
- camera lens
- main body
- antenn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외부로 돌출된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소정의 급전 수단에 의해 본체와 급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안테나 장치의 적소에는 외부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설치하여, 단말기상에 별도의 렌즈 어셈블리 장착공간이 필요치 않고 이로 인하여 단말기의 소형 경박화에 이바지 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가장 돌출된 부분에 렌즈 어셈블리가 설치되기 때문에 피사체의 원활한 촬영을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n antenna device protruding out of the terminal, the antenna device is provided so as to feed the main body by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means, in order to photograph an external subject in place of the antenna device By installing a camera lens assemb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 separate lens assembly mounting space is not required on the terminal, thereby contributing to miniaturization and thinning of the terminal, and the lens assembly is installed at the most protruding part of the terminal. The subject can be smoothly photograph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학 촬영 수단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camera lens assembly)를 상기 안테나 장치 적소에 내장함으로써 원활한 피사체 촬영을 도모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mera lens assembly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nfigured to facilitate photographing of a subject by incorporating a camera lens assembly, which is an optical photographing means, in the antenna device. It relates to an antenna device.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점차 보급되어감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상기 단말기들은 일반 바 타입에서부터 플립 타입, 플립 업 타입, 폴더 타입으로 발전해 오고 있으며, 최근들어, 상기 폴더 타입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는 폴더 타입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채택할 만큼 공간적인 여유가 충분하며, 반으로 접어서 휴대하기 때문에 휴대성 또한 타 단말기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 As portable wireless terminals become more and more popular, terminals with various functions and designs are being released. The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from a general bar type to a flip type, a flip up type, and a folder type, and recently, the folder type terminal has become mainstream. This is because the folder type terminal has enough space to adopt the wide LCD module as the display device, and because it is folded in half and portable, the portability is superior to other terminals.
또한, 최근들어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점점 경박 소형화 되어가면서 그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화음의 멜로디를 구현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수만 에서 수십만 화소의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와 같은 기능을 좀더 개발하기 위하여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industry, portable wireless terminals are becoming smaller and thinner, and their functions are diversifying. For example, a speaker device capable of realizing melody of various chords is being installed, and a color display device of tens of thousands to hundreds of thousands of pixels is being implemented, and the situation is racing to further develop such a function.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상술한 고화질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응한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출시되고 있는바, 예를 들어, 화상통신을 하거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또는 캠코더(camcoder)로써 사용하기 위한 광학 촬영 수단이 단말기에 구비된다. 상기 광학 촬영 수단으로는 일반적으로 소형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단말기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과도기적 방식에서 단말기 내부에 내장된 방식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내장형인 경우, 일반적으로 메인 바디인 본체와 서브 바디인 폴더를 기계적으로 연결시켜주는 힌지암상에 설치되며, 장착된 광학 촬영 장치는 힌지축에 대하여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학 촬영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로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고, 즉시 디스플레이 하거나 PC에 연결하여 촬영한 피사체에 대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Portable wireless terminals have been introduced with various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high-definition color display apparatuses, for example, optical imaging for video communication, digital cameras, or camcorders. Means are provided in the terminal. As the optical photographing means, a small camera lens assembly is generally used. The camera lens assembly is changing from a transitional method detachably mounted to a terminal to a method embedded in the terminal. When the camera lens assembly is a built-in type, it is generally installed on a hinge arm that mechanically connects a main body and a sub body folder, and the mounted optical imaging device may be installed to be rotated 360 degrees about the hinge axis. . Therefore, the user is configured to photograph a desired subject at a desired position at a desired time with a terminal equipped with an optic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o immediately display or download data on the photographed subject by connecting to a PC.
최근에는 단말기 폴더의 외부 적소에 다양한 부가 기능을 수반한 렌즈 어세블리를 내장한 단말기가 출시되어 폴더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도 한다.Recently, a terminal having a built-in lens assembly with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 an external location of a terminal folder has been released, and a subject may be photographed using the lens assembly without opening the folder.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암상에 렌즈 어셈블리를 장착하게 되면 폴더를 일정 각도를 개방시키기 위한 힌지 모듈이 설치되는 공간적 제약을 많이 받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폴더의 외부면에 렌즈 어셈블리를 내장하더라도, 폴더의 두께가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한다.As described above, however, when the lens assembly is mounted on the hinge arm,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hinge module is installed to open the folder at an angle. In other words, the thickness of the folder increase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 구성요소의 설치공간에 제약을 주지 않으면서 원활히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device having a camera lens assembly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is configured to shoot a subject smoothly without restricting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terminal component.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더를 개방시키지 않더라도 피사체를 원활히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device having a camera lens assembly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nfigured to smoothly photograph a subject without opening a folder.
본 바렴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소형 경박화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device having a camera lens assembly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is configured to contribute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외부로 돌출된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소정의 급전 수단에 의해 본체와 급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안테나 장치의 적소에는 외부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For the purpos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n antenna device protruding outside the terminal, the antenna device is provided so as to be fed to the main body by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means, the outside of the antenna device in pl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era lens assembl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shoot the subject.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테나 장치를 360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므로써 피사체를 소망하는 각도 및 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다. 그러나 본체에서 상기 안테나 장치가 360도 이상 회전하기 않도록 설치되므로써, 과도한 안테나 회전에 의한 단선 및 접지 불량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device can be rotatably installed by 360 degrees, so that the subject can be photographed at a desired angle and position. However, since the antenna device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so as to not rotate more than 360 degrees, the problem of disconnection and poor ground caused by excessive antenna rotation has been solved.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는 사용자가 소망하는 위치로 안테나 장치를 회전시켰을 때 그 위치가 가고정되도록 구성되므로써, 안테나 장치가 임의로 헛돌거나 유동하여 피사체의 불량 촬영 가능성을 배제시켰다.More preferably, the antenn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its position is temporarily fixed when the user rotates the antenna device to a desired position, so that the antenna device arbitrarily swings or moves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poor photographing of the subject.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안테나 장치에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를 설치하거나 소정의 착탈식 보호캡을 사용하였다.More preferably, in order to protect the camera lens assembly from foreign matter, the antenn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ransparent window or a predetermined removable protective cap.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는 메인 바디인 본체상에서 서브 바디인 폴더가 일정 각도로 개폐되거나, 개폐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로터리 회전하는 방식의 폴더 타입 단말기를 도시하고 이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단말기 외부로 돌출되는 방식, 일반적으로 헬리컬 안테나 방식(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음), 의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 여타 단말기, 예를 들어 일반 바 타입(bar type) 단말기,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플립 업 타입(flip-up type) 단말기, 각종 PDA 등 다양한 무선 통신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older-type terminal of a sub-body folder is opened or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rotat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is opened and closed. However, a method of protruding outside the terminal is described. Other terminals generally having a helical antenna type (but not limited to), antenna devices of, for example, general bar type terminals, flip type terminals, flip up type )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and various PDA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를 갖는 안테나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로써,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는 메인 바디인 본체(110)와, 서브 바디인 폴더(120) 및 상기 본체(110)상에서 폴더(120)를 도 1의 축 A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힌지 모듈(미도시 됨)로 구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n antenna device having a lens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is a main body A hinge module (not shown) installed to open the main body 110, the sub-folder 120 and the main body 110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axis A of FIG. It is composed.
상기 본체(110)상에는 다수의 키버튼으로 구성되는 키패드 어셈블리(130)가 설치된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30)는 하단에 다수의 숫자 키버튼과, 상단에 소정의 네비게이션 키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네비게이션 키버튼은 사용자가 단말기로의 통화외에 인터넷 검색, 디지탈 카메라 또는 캠코더 기능으로써 피사체의 촬영을 할 경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조작하는 등 다양한 기능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30)의 하측에는 통화시 상대방에게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송화부인 마이크로폰 장치(140)가 설치된다.The keypad assembly 130 compris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The keypad assembly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numeric key buttons at a lower end and a predetermined navigation key button at the upper end. The navigation key button may be used for various functions such as manipulating a camera lens assembly when a user photographs a subject as an internet search, a digital camera or a camcorder function in addition to a call to a terminal. Under the keypad assembly 130, a microphone device 140 that is a talker capable of transmitting a voice to a counterpart during a call is installed.
상기 폴더(12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50)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0)는 컬러 와이드 엘씨디 모듈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터치스크린 모듈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0)의 상부에는 통화시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수화부인 스피커폰 장치(160)가 설치된다.The display device 150 is installed in the folder 120. The display device 150 may be a color wide LCD module, preferably a touch screen modul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150, a speakerphone device 160 that is a receiver that can receive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is provided.
그후, 상기 본체(110)의 후면 상단에는 안테나 장치(10)가 설치된다. 상기 안테나 장치(10)는 원활한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본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테나 장치(10)는 인서트 몰딩에 의해 헬리컬 안테나를 사출물 내부에 내장시킨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후, 상기 안테나 장치(10)의 외주면 적소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를 설치한다. 다양한 위치 및 각도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10)는 도 2의 축 B에 대하여 360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 역시 상기 안테나 장치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폴더(120)를 개방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50)를 디스플레이 하는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 장치(10)를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로 맞춘후, 피사체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Thereafter, the antenna device 10 is installed at the upp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10. The antenna device 10 may be install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for sm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Preferably, the antenna device 10 may be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the helical antenna is embedded in the injection molding by insert molding. Thereafter, a camera lens assembly 20 capable of photographing a subject is installed at an appropriat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tenna device 10. In order to photograph subjects of various positions and angles, the antenna device 10 may be installed to be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axis B of FIG. 2, and the camera lens assembly 20 also rotates together with the antenna device.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photograph the subject after rotating the antenna device 10 to the desired angle while the folder 120 is opened to display the display device 15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10)는 폴더(120)가 회전축 A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인 축 X에 대하여 로터리 회전하는 방식에 적용할 때 더욱 유리하다. 즉, 폴더(120)를 180도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50)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위치시킨 후, 안테나 장치(10)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피사체를 촬영함으로써 폴더(120)를 개방시키지 않고도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구성은 상대방과의 화상통신에 적합하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ure 3, the antenna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lder 120 in the axis of rotation A It is more advantageous when applied to the method of rotary rotation about the axis X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That is, the folder 120 is rotated 180 degrees, the display device 150 is positioned outward as shown in FIG. 4, and the antenna device 10 is rotated at a desired angle to photograph the subject. You can do that without opening it. For example, such a configuration is suitable for video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안테나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본체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장치(10)는 소정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는 안테나 장치(10)의 하단부의 천공된 개구(12)에 긴밀히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소정의 전기적 연결 수단에 의해 본체의 인쇄회로기판(5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연결 수단으로는 세밀한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FP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테나 장치(10)의 개구(12)에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의 렌즈 부분을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투명 재질의 윈도우(21)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윈도우(21)의 외면을 상기 안테나 장치(10)의 외주면과 일치시키므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ntenna device to which a lens assembly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with the main body of the antenna device, the antenna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determined camera lens assembly 20. The camera lens assembly 20 may be tightly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opening 12 of the lower end of the antenna device 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0 of the main body by a predetermin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It is preferable to use a fine cable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as the electrical connection means. In addition, a window 21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may be installed in the opening 12 of the antenna device 10 to protect the lens portion of the camera lens assembly 20 from foreign matter. Preferably,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ow 21 may be match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tenna device 10 so that the appearance may be beautiful.
상기 안테나 장치(10)는 본체(110)상에 장착되면 360도로 회전할 수 있으나, 그 이상의 회전은 제한된다. 이는 안테나 장치(10)가 360도 이상 회전하게 되면, 전기적으로 본체(110)와 연결된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가 꼬여 단선 또는 접촉 불량의 상태가 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오동작, 또는 작동 불량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상기 안테나 장치(10)의 하측은 안테나 장치보다 직경이 크도록 단이 진 부분(13)으로 형성시켜 본체(110)에 형성된 안착부(112)상에 안착시키므로써 회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테나 장치(10)의 외주면 적소에는 소정의 돌출된 돌기(15)를 형성시키고, 상기 돌기(15)가 회전하는 회전 범위내의 본체(110)상에는 상기 돌기(15)가 걸릴 수 있는 돌출된 걸림편(111)을 형성시키므로써, 그 회전을 360도로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antenna device 1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the antenna device 10 may rotate 360 degrees, but further rotation is limited. When the antenna device 10 rotates more than 360 degrees, a cable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may be twisted and become a state of disconnection or poor contact. As a result, malfunction or malfunction of the terminal may occur. This is because it causes. The lower side of the antenna device 10 is formed in the end portion 13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antenna device to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2 formed in the main body 110 to prevent rotation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departure. can do.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protruding protrusion 15 is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tenna device 10, and the protrusion 15 may be caught on the main body 110 within a rotation range in which the protrusion 15 rotates. By forming the engaging piece 111, it is possible to limit the rotation to 360 degrees.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피사체 촬영시 안테나 장치(10)가 임의로 회전하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테나 장치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킨후 그 위치를 가고정시키도록 구성하므로써 양질의 촬영 결과물을 얻도록 하였다. 즉, 상기 안테나 장치(10)의 단이 진 부분(13)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부(14)를 형성시키고, 상기 본체(110)의 안착부(112)상에 상기 돌부(14)가 안착되는 다수의 요홈(113)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시켜, 안테나 장치(10)에 일정 회전력을 제공하지 않으면 자력으로 상기 요홈(113)에서 안테나 장치(10)의 돌기(14)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상기 요홈(113)의 간격에 따라 안테나 장치(10)의 단위 회전 각도(하나의 요홈에서 다음 요홈까지의 각도)가 더욱 세분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부(14)의 요홈(113)과 접하는 면을 곡형으로 형성시키므로써, 상기 안테나 장치(10)에 일정 회전력을 가하였을 때, 원활한 회전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device 10 is prevented from rotating or flowing arbitrarily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thereby rotating the antenna devic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emporarily fixing the position to obtain a high quality photographing result. That is, the protruding portion 14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in the end portion 13 of the antenna device 10, and the protruding portion 14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2 of the main body 110. A plurality of grooves 11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projections 14 of the antenna device 10 cannot be detached from the grooves 113 by magnetic force unless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is provided to the antenna device 10. According to the interval of the groove 113, the unit rotation angle (angle from one groove to the next groove) of the antenna device 10 may be further subdivided. Preferably, by forming a curv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ove 113 of the protrusion 14, when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antenna device 10, smooth rotation can be achiev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사출물에 헬리컬 안테나(11)가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으로 삽입된 형태의 안테나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헬리컬 안테나(11)는 소정의 급전 수단에 의해 본체(110)에 설치된 접지 단자(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급전 수단으로는 일단(31)이 상기 헬리컬 안테나(11)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32)이 상기 본체(110)의 인쇄회로기판(또는 RF보드)(50)에 설치된 접지 단자(51)에 연결되는 일정 길이의 금속성 급전핀(feeding pin)(30)을 사용한다. 상기 급전핀(30)은 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전핀(30)의 단부는 볼플런저로 구성하여 안테나 장치(10)가 회전하거나, 단말기(100)가 외부의 충격을 받더라도 원활한 급전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플런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지 단자(51)는 플레이트형 스프링으로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of the form in which the helical antenna 11 is inserted into insert molding in a predetermined injection molding is us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helical antenna 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51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by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means. As the power supply means, one end 3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helical antenna 11, and the other end 32 is a ground terminal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or RF board) 50 of the main body 110. A metal feeding pin 30 of constant length connected to 51 is used. The feed pin 30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110. Preferably, the end of the feed pin 30 is configured as a ball plunger is configured to perform a smooth feeding operation even if the antenna device 10 rotates, or the terminal 100 receives an external shock. More preferably, the ground terminal 51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ball plunger may be installed with a plate spring.
또한, 상기 헬리컬 안테나(11)와 급전핀(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은 적어도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가 설치되는 부분 보다 상부에 위치시키므로써, 상호 간섭을 피하여, 원활한 안테나 동작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의 원활한 피사체 촬영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portion where the helical antenna 11 and the power supply pin 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is located at least above the portion where the camera lens assembly 20 is installed, thereby avoiding mutual interference, and smooth antenna operation and camera. A smooth subject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lens assembly 20 is performed.
또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와 본체(110)의 인쇄회로기판(5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가요성 인쇄회로 또는 케이블은 상기 급전핀(33)을 적어도 한번 이상 권선시킨후 본체로 인입되므로써 안테나 장치(10)의 회전으로 인한 단선등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In additi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or cable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camera lens assembly 2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50 of the main body 110 is wound into the main body after winding the feed pin 33 at least once. The problem of disconnection and the lik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antenna device 10 has been solved.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구성도로써, 상기 안테나 장치(10)의 상부에는 착탈식 보호캡(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보호캡(60)을 안테나 장치(100에 장착시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캡(60)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시켜, 안테나 장치(1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의 동작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8 is a block diagram of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antenna device 1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removable protective cap (60).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camera lens assembly 20, the protective cap 60 may be mounted on the antenna device 100 to protect the camera lens assembly 20. More preferably, the protective cap ( 6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camera lens assembly 20 can be performed smoothly even when the antenna device 10 is mounted.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Apparently, there are many ways to modify these embodiments while remain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n other words, there may be many other way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설치되기 때문에 별도의 렌즈 어셈블리 장착공간이 필요치 않고 이로 인하여 단말기의 소형 경박화에 이바지 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가장 돌출된 부분에 렌즈 어셈블리가 설치되기 때문에 피사체의 원활한 촬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lens assembly mounting space because the camera lens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antenna device, which can contribute to miniaturization and thinning of the terminal, and because the lens assembly is installed at the most protruding portion of the terminal, It is effective to achieve smooth shoo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를 갖는 안테나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an antenna device having a lens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안테나 장치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ntenna device to which a lens assembly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본체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with a main body of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구성도.8 is a block diagram of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 안테나 장치 20: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 antenna unit 20: camera lens assembly
21: 윈도우 30: 급전핀21: Windows 30: Feed Pin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3083A KR100523221B1 (en) | 2002-12-24 | 2002-12-24 | Antenna with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3083A KR100523221B1 (en) | 2002-12-24 | 2002-12-24 | Antenna with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6581A KR20040056581A (en) | 2004-07-01 |
KR100523221B1 true KR100523221B1 (en) | 2005-10-24 |
Family
ID=37349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8308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23221B1 (en) | 2002-12-24 | 2002-12-24 | Antenna with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2322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3676B1 (en) * | 2006-02-09 | 2007-01-02 | 주식회사 엠씨넥스 | Dual Camera Module |
KR100694876B1 (en) * | 2006-02-09 | 2007-03-13 | 주식회사 엠씨넥스 | Camera module for both communication devices |
-
2002
- 2002-12-24 KR KR10-2002-0083083A patent/KR10052322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6581A (en) | 2004-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75273B1 (en) | Antenna with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radiotelephone | |
US6882726B2 (en) | Apparatus for mounting a rotational lens housing in a folder-type telephone | |
KR100604323B1 (en) | Built-in camera device and mobile phone with same | |
KR100556849B1 (en) | Camera module connection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JP3751197B2 (en) | Mobile phone | |
KR100523221B1 (en) | Antenna with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 |
KR101012370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ntegrated camera antenna | |
KR100529962B1 (en) | Integrated hinge module | |
KR200355888Y1 (en) |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ing camera | |
KR100474037B1 (en) | Mobile phone having rotary camera | |
KR100610560B1 (en) | FPC of portable terminal | |
KR100447628B1 (en) | Mobile phone having camera | |
KR200317847Y1 (en) | Rotary hinge module for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 |
KR100516562B1 (en) | Mobile phone having lighting device | |
KR100662303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ccentric swivel hinge structure | |
KR100703395B1 (en) | Camera rotation angle adjusting device of mobile terminal | |
JP2008066763A (en) | Folding portable terminal device | |
KR200306381Y1 (en) | Hinge module for portable radiotelephone | |
KR20040066515A (en) | Built-in camera assembly for portable radiotelephone | |
KR200323867Y1 (en) | Integrated hinge module | |
KR20040024657A (en) | External camera device for portable radiotelephone | |
KR200326829Y1 (en) | Integrated hinge module | |
KR20040054037A (en) | Hinge module for portable radiotelephone | |
KR20040066514A (en) | Portable radiotelephone witn grip | |
KR20060038558A (en) | Camera connection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9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