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23076B1 - 무선 중계 단말 장치와 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중계 단말 장치와 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076B1
KR100523076B1 KR10-2002-0008334A KR20020008334A KR100523076B1 KR 100523076 B1 KR100523076 B1 KR 100523076B1 KR 20020008334 A KR20020008334 A KR 20020008334A KR 100523076 B1 KR100523076 B1 KR 100523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relay terminal
terminal device
data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737A (ko
Inventor
유재희
Original Assignee
유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희 filed Critical 유재희
Priority to KR10-2002-0008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076B1/ko
Publication of KR20030068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84Bus arbi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무선 중계 단말 장치(PABS : Personal Area Wireless Network Broadcasting System)와 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먼 거리에 있는 무선 터미널끼리의 통신을 별도의 무선 터미널의 변경 없이 단일의 유선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용 터미널의 통신 거리 최소화를 통한 소모전력을 극소화시켜 필요한 배터리의 용량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각 무선 터미널에서 데이터를 받아 휴대용 기기에서 어려운 여러 가지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총체적으로 휴대용에 적합한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케 하고, 다수 무선 터미널 존재 지역의 혼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중계 단말 장치와 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유선 및 무선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중계 단말 장치에 있어서, 자신의 서비스 지역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인 무선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를 HCC(Host Control Commands) 패킷으로 제공받아 PCC(PABS Control Commands) 패킷인 유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유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인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부터 받은 유선 데이터를 PCC(PABS Control Commands) 패킷으로 제공받아 HCC(Host Control Commands) 패킷인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자신의 서비스 지역에 연결된 무선 단말기로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중계 제어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에 응용됨.

Description

무선 중계 단말 장치와 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Wireless broadcasting terminal apparatus and associated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ologies}
본 발명은 무선 중계 단말 장치(Personal Area Wireless Network Broadcasting System: 이하 "PABS"라 약칭함)와 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무선 중계 단말 장치간은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원거리의 무선 단말기에의 데이터 전송뿐만 아니라 인접 지역의 여러 무선 단말기의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저비용으로 구현 가능한 무선 중계 단말 장치와 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무선 랜(LAN)에서는 데스크 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또는 고정된 랜 터미널(LAN Terminal)을 바탕으로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블루투스(Bluetooth), IEEE802.11b 등과 같은 무선 PAN(Personal Area Network)에서는 휴대용 이어야하며 경량, 소형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배터리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아야 하며, 기능 및 통신 거리에 많은 제한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는 인증(license) 없이 다수의 기기가 할당된 주파수를 사용하게 되어, 국부적으로 많은 잡음, 혼잡(congestion)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먼거리에 있는 무선 터미널끼리의 통신을 별도의 터미널 변경없이 높은 주파수의 RF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 후 디지털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저비용의 기존 단일 유선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용 터미널의 통신 거리 최소화를 통한 소모전력을 극소화시켜 필요한 배터리의 용량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총체적으로 휴대용에 적합한 경량화, 소형화가 가능케 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중계 단말 장치와 그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무선 중계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유선을 통한 무선 중계 단말 장치간의 망을 구현함으로써, 여러 무선 중계 단말 장치간에 안정된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무선 중계 단말 장치는 원거리의 무선 랜 단말기로의 데이터를 전송할 뿐만 아니라, 무선 중계 단말 장치의 인접 지역의 여러 무선 랜 단말기의 부가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중계 단말 장치와 그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유선 및 무선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중계 단말 장치(PABS)에 있어서, 자신의 서비스 지역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인 무선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를 HCC(Host Control Commands) 패킷으로 제공받아 PCC(PABS Control Commands) 패킷인 유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유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인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부터 받은 유선 데이터를 PCC(PABS Control Commands) 패킷으로 제공받아 HCC(Host Control Commands) 패킷인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자신의 서비스 지역에 연결된 무선 단말기로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중계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라운드 로빈에 의해 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데이지 체인을 통한 중재로 버스를 조정하고, 각각 자신의 서비스 지역에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의 정보를 수집하여 유선을 통해 다른 지역의 중계 단말기로 브로드케스팅하여 전달하고, 상기 다른 지역의 무선 연결된 무선 단말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중계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중계 단말 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자신의 단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다른 지역의 단말 정보를 통해 통신을 요구하기 위한 복수개의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 중계 단말 장치(PABS)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지 체인을 사용하여 버스 중재(Arbitration)를 수행하는 한편, 주기적인 질의(Inquiry)를 통해 무선 중계 단말 장치 주변의 무선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무선 단말기 정보를 버스 네트워크의 PCC(PABS Control Commands)를 통해 교환 및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교환 및 저장된 무선 단말기의 정보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순환 질의 및 페이지 스캔을 수행하며, 이를 바탕으로 상기 주변 무선 단말기로부터 연결 요청시 페이지에 의해 인식하여 PCC 연결 요청 신호를 데이지 체인을 거쳐 유선 연결된 다른 해당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PCC 연결 요청 신호에 의해 연결된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부터 PCC 연결 수락을 받아, 이후 PCC를 통해, 상기 제 2 단계에서 연결을 요청한 상기 무선 중계 단말장치 주변의 무선 단말기와 다른 해당 무선 중계 단말 장치의 주변의 무선 단말기 사이의 전송을 중계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연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여 통신이 종료되면 데이지 체인상의 토큰을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 버스 네트워크의 사용을 넘겨주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을 위해,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중계 단말 장치(PABS)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중계 장치의 데이지 체인 방법을 사용하여 버스 중재(Arbitration)를 수행하는 한편, 주기적인 질의(Inquiry)를 통해 무선 중계 단말 장치 주변의 무선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무선 단말기 정보를 버스 네트워크의 PCC(PABS Control Commands)를 통해 교환 및 저장하는 제 1 기능; 상기 교환 및 저장된 무선 단말기의 정보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순환 질의 및 페이지 스캔을 수행하며, 이를 바탕으로 상기 주변 무선 단말기로부터 연결 요청시 페이지에 의해 인식하여 PCC 연결 요청 신호를 데이지 체인을 거쳐 유선 연결된 다른 해당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기능; 상기 PCC 연결 요청 신호에 의해 연결된 다른 해당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부터 PCC 연결 수락을 받아 이후 PCC를 통해 상기 제 2 기능에서 연결을 요청한 상기 무선 중계 단말장치 주변의 무선 단말기와 다른 해당 무선 중계 단말 장치의 주변의 무선 단말기 사이의 전송을 중계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3 기능에서 연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여 통신이 종료되면 데이지 체인상의 토큰을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 버스 네트워크의 사용을 넘겨주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PABS)와 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PABS)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 및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는 유선을 통해 통신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는 무선 랜 A 단말기(101) 및 무선 랜 B 단말기(102)와 무선을 통해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는 무선 랜 C 단말기(201) 및 무선 랜 D 단말기(202)와 무선을 통해 통신 연결되며, 상기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는 무선 랜 E 단말기(131)와 무선을 통해 통신 연결된다. 이때, 서로 다른 지역의 무선 랜 단말기는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통하여 연결된다.
여기서, 각각의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는 자신 주변 영역에 있는 무선 랜 단말기인 무선 랜 A 단말기(101)와 블루투스(Bluetooth), IEEE802.11b, HomeRF 등을 포함하는, 무선 랜을 통해 통신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 및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간의 통신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유선은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전화선(Phone line), UTP 케이블, 동축 케이블, 전력선(power line)등을 사용하거나, 새로운 유선을 설치하여, RS232, RS485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저비용으로 구현 가능하다. 특히, 전화 라인(Phone line)의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거나 컴퓨터용 랜(LAN)망을 구성하고 있는 UTP cable중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는 라인(Line) 또는 케이블 TV용 케이블의 미사용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면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위한 새로운 망설치 없이 기존의 망을 그대로 사용하여 무선 중계 단말 장치의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다수개 사용하여 망을 구현할 수 있는데, 그 예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부가 기능 수행에 대한 다른 일실시예 구성도로, 2001.6.15에 특허 출원된 "적외선 송수신 장치"(출원번호 01-2001-0034010)와 무선 중계 단말 장치의 상호 운용 관계를 도시하였다.
즉, 현재 무선 팬(PAN)의 보급, 대중성은 적외선 송수신 장치에 비하여 낮고, 가격도 상대적으로 비싸며, TV, VTR 등의 많은 가전제품은, IRDA를 규격으로 하는 적외선 송수신 방식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향후 이 분야는 보다 넓은 응용 분야를 갖게 되는 RF(Radio Frequency)무선 PAN으로 대체 및 공존할 것이다.
따라서, 무선 중계 단말 장치는 상기에서 서술된 서로 원격지에 떨어져 있는, 무선 랜 단말기간의 통신 거리확장 뿐 아니라, 무선 중계 단말 장치의 주위에 있는 적외선 송수신 장치와도 적외선 통신이 동시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허 출원된 적외선 송수신 장치의, line of sight가 필요로 하지 않는 신규의 장치를 사용할 경우 멀리서 적외선 또는 무선으로 적외선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랜 A 단말기(150) 또는 적외선 A 단말기(160)에서 송신된 정보는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를 통하여 다른 지역에 있는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로 전송된다. 이후,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내의 부가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하여, 적외선 송,수신 데이터로 전환되어 상기 특허에 의한 적외선 송수신 장치(360)에 의하여 적외선 C 단말기(370)로 전송된다.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프로토콜상의 OBEX(OBject EXchnage) 또는, 베이스밴드 HCI(Host Controller Interface) 수준에서 적외선 통신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하에서 설명에서 무선 랜 단말기와 무선 중계 단말 장치간의 통신은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고자 블루투스,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RS485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중계를 통한 데이터 통신은 모든 RF(Radio Frequency) 무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랜 및 각종 인터페이스에 적용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중계 단말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는 PABS 콘트롤 모듈(110),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130), UART 인터페이스 모듈(150), 무선 송수신 모듈(170)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80)을 포함한다.
상기 PABS 콘트롤 모듈(110)은 무선 중계 단말 장치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모듈로서, 무선 송수신 모듈(170)로부터의 무선 데이터를 HCC(Host Control Commands)에 의해 제공받아 유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PCC(PABS Control Commands)에 의해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통해 다른 지역의 무선 중계 단말 장치들로 보내거나, 상기 다른 지역의 무선 중계 단말 장치들로부터의 유선 데이터를 PCC(PABS Control Commands)에 의해 제공받아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HCC(Host Control Commands)에 의해 UART 인터페이스 모듈(150)을 통해 무선 송수신 모듈(170)로 보낸다.
여기서, 상기 PCC(PABS Control Commands)는 PABS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버스 제어, 무선 중계 단말 장치간 제어 명령 전달,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패킷 형태의 커맨드이다. 그리고, HCC(Host Control Commands)는 무선 송수신 모듈(170)과의 제어 명령 전달,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패킷 형태의 커맨드이다.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170)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상기 PABS 콘트롤 모듈(110)로부터 HCC(Host Control Commands)를 받아 무선 랜 단말기에게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HCC(Host Control Commands)를 사용하여 PABS 콘트롤 모듈(110)에게 보내준다.
상기 UART 인터페이스 모듈(150)은 PABS 콘트롤 모듈(100)과 무선 송수신 모듈(170)간 HCC(Host Control Commands)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이다.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130)은 유선망으로 연결된 다수의 무선 중계 단말 장치간 유선 선로 통신을 위한 모듈로, RS232, RS485, UART 등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170)을 통한 송수신 데이터를 PCC(PABS Control Command)를 통하여 유선통신 선로로 송, 수신하지 않고, PABS 콘트롤 모듈(110)에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80)을 통하여, 자기 지역의 무선 단말기에 여러가지 부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단말기는 소비 전력의 최소화,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어야 하므로, 무선 데이터를 바탕으로 처리하는 연산 능력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상기 연산 능력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상기 무선 단말기가 데이터를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 인터페이스 모듈(127)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80)에 의하여 연산 처리 후 그 결과를 다시 PABS 콘트롤 모듈(110), UART 인터페이스 모듈(150) 및 무선 송수신 모듈(170)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무선 랜 단말기는 처리 능력의 제한을 해소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PABS 콘트롤 모듈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콘트롤 로직부(111), PCC 롬(112), HCC 롬(113), 에스램(114), HCC-PCC 파라메터 컨버터(115), PCC 파라메터 먹스(116), HCC 파라메터 먹스(117), PCC 파라메터 디먹스(118), HCC 파라메터 디먹스(119), PCC 패킷 레지스터(120), HCC 패킷 레지스터(121), PCC 패킷 처리부(122), HCC 패킷 처리부(123), HCC 패킷 처리부(124), HCC UART 콘트롤러(125), PCM 드라이브(126)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 인터페이스(127)를 포함한다.
상기 콘트롤 로직부(111)는 PABS 콘트롤 모듈의 모든 내부 블록을 제어하고, 외부로부터 받은 HCC와 PCC를 해석하여 무선 중계 단말 장치의 상태(State)별 동작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콘트롤 로직부(111)는 HCC와 PCC의 오피코드(opcode)와 파라메터를 생성하기 위한 롬 어드레스(ROM Address)와 파라메터(Parameter) 정보를 읽거나, 쓰기 위한 에스램 어드레스(SRAM Address)를 발생시킨다.
상기 PCC 롬(112)은 PCC를 생성하기 위한 오피코드(Opcode)와 파라메터 테이블(Parameter table)을 저장하며, 상기 콘트롤 로직부(111)로부터 어드레스(Address)를 받아 PCC의 오피코드(Opcode)를 PCC 패킷 레지스터(120)로, 파라메터를 PCC 파라메터 먹스(116)에게 각각 전달한다.
상기 HCC 롬(113)은 HCC를 생성하기 위한 오피코드(Opcode)와 파라메터 테이블(Parameter table)을 저장하며, 상기 콘트롤 로직부(111)로부터 어드레스(Address)를 받아 HCC의 오피코드(Opcode)를 HCC 패킷 레지스터(121)로, 파라메터를 HCC 파라메터 먹스(117)에게 각각 전달한다.
상기 에스램(114)은 HCC-PCC 파라메터 컨버터(115)로부터 받은 디바이스 정보(Device Information)가 포함된 파라메터(Parameter)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콘트롤 로직부(111)로부터 어드레스(Address)를 받아 기 저장된 파라메터 정보를 PCC 파라메터 먹스(116) 및 HCC 파라메터 먹스(117)로 각각 보낸다.
상기 HCC-PCC 파라메터 컨버터(115)는 HCC를 PCC로 또는 PCC를 HCC로 변환해서 전달하거나 에스램(114)에 저장하기 위해 파라메터 변환을 위한 블록이다. 즉, 상기 PCC 파라메터 디먹스(118)로부터 전달받은 PCC 파라메터를 HCC 파라메터로 변환하여 HCC 파라메터 먹스(117)로 전달하며, HCC 파라메터 디먹스(119)로부터 전달받은 HCC 파라메터를 PCC 파라메터로 변환하여 PCC 파라메터 먹스(116)로 전달한다.
상기 PCC 파라메터 먹스(116)는 HCC 파라메터 디먹스(119)로부터 ACL/SCO 데이터 및 상기 HCC-PCC 파라메터 컨버터(115)로부터 입력된 파라메터 그리고 에스램(114)과 PCC 롬(112)으로부터 각각 저장된 파라메터를 제공받고, 상기 콘트롤 로직부(111)의 제어에 의해 현재 필요한 하나의 데이터만을 선택하여 PCC 패킷 레지스터(120)에 제공한다.
상기 HCC 파라메터 먹스(117)는 PCC 파라메터 디먹스(118)로부터 ACL/SCO 데이터 및 상기 HCC-PCC 파라메터 컨버터(115)로부터 온 파라메터 그리고 에스램(114)과 HCC 롬(113)으로부터 각각 저장된 파라메터를 제공받고, 상기 콘트롤 로직부(111)의 제어에 의해 현재 필요한 하나의 데이터만을 선택하여 HCC 패킷 레지스터(121)에 제공한다.
상기 PCC 파라메터 디먹스(118)는 상기 콘트롤 로직부(11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PCC 패킷 레지스터(120)에서 HCC-PCC 파라메터 컨버터(115)에게 보낼 PCC 커멘드 파라메터와 상기 HCC 파라메터 먹스(117)로 보낼 ACL/SCO 데이터중 한가지를 선택한다.
상기 HCC 파라메터 디먹스(119)는 상기 콘트롤 로직부(11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HCC 패킷 레지스터(121)에서 HCC-PCC 파라메터 컨버터(115)에게 보낼 HCC 커멘드 파라메터와 상기 PCC 파라메터 먹스(116)로 보낼 ACL/SCO 데이터중 한가지를 선택한다.
상기 PCC 패킷 레지스터(120)는 PCC 롬(112)으로부터 받은 PCC 커맨드 오피코드(opcode)와 상기 PCC 파라메터 먹스(116)로부터 받은 PCC 파라메터를 한 개의 PCC 패킷 형태로 저장한 후, 상기 저장한 PCC 패킷을 PCC 패킷 처리부(122)로 전달하거나 상기 PCC 패킷 처리부(122)로부터 전달받은 PCC 패킷을 임시 저장하여 오피코드(opcode)를 콘트롤 로직부(111)에, 파라메터를 PCC 파라메터 디먹스(118)에게 각각 보낸다.
상기 HCC 패킷 레지스터(121)는 HCC 롬(113)으로부터 받은 HCC 커맨드 오피코드(opcode)와 상기 HCC 파라메터 먹스(117)로부터 받은 HCC 파라메터를 한 개의 HCC 패킷 형태로 저장한 후, 상기 저장한 HCC 패킷을 HCC 패킷 처리부(123)로 전달하거나 상기 HCC 패킷 처리부(123)로부터 전달받은 HCC 패킷을 임시 저장하여 오피코드(opcode)를 콘트롤 로직부(111)에, 파라메터를 HCC 파라메터 디먹스(119)에게 각각 보낸다.
상기 PCC 패킷 처리부(122)는 PCC 패킷 레지스터(120)로부터 PCC 패킷을,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170)과 연결된 PCM 드라이버(126)로부터 PCM 데이터를 받아 멀티 플렉싱한 후 프리엠블 헤더(preamble Header)를 붙여 PCC UART 콘트롤러(124)를 통해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130)로 넘겨주거나, 상기 PCC UART 콘트롤러(124)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프리엠블을 사용하여 동기화 및 디멀티 플렉싱(Demultiplexing)을 한 후 상기 PCM 데이터를 PCM 드라이버(126)로, PCC 패킷을 PCC 패킷 레지스터(120)에게 각각 넘겨준다. 또한, 버스중재를 위한 데이지 체인(Daisy Chain)을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HCC 패킷 처리부(123)는 HCC 패킷 레지스터(121)로부터 HCC 패킷을 받아 패킷 타입 표시 헤더(Packet Type Indication header)를 붙여 동기화 시켜 HCC UART 콘트롤러(125)를 통해 UART 인터페이스 모듈(150)로 넘겨주거나, 그 역 과정을 수행하며, 내부의 패킷 버퍼를 통해 정적인 흐름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HCC 패킷 처리부(123)는 PCC 패킷 처리부(122)와 비교하여 동기화, 멀티 플렉싱 및 디멀티 플렉싱을 하지 않으나 패킷 타입 표시 블록(Packet Type Indication block)이 있음이 차이점이다.
상기 PCC UART 콘트롤러(124)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으로,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130)측 UART 송수신 모듈(미 도시)을 구동한다. 따라서, PCC는 PCC UART 콘트롤러(124)와 외부 UART 송수신 모듈을 거쳐 유선 인터페이스 드라이버(RS485)와 유선을 통해 다른 지역의 무선 중계 단말 장치에게 전송된다.
상기 HCC UART 콘트롤러(125)는 무선 송수신 모듈(170)과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무선 송수신 모듈(170)의 UART 포트와 통신한다.
상기 PCM 드라이버(126)는 무선 송수신 모듈(170)의 PCM 포트를 통해 PCM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드라이버이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인터페이스(127)는 여러 가지 무선 랜 단말기에서 수행하기 용이하지 않은,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UART 포트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블록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20을 토대로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을 도 5에 도시된 구성간의 동작에 의해 자세히 살펴본다.
첫 번째로,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HID(Hardware Identification Number)의 순서에 따라 토큰(Token)을 넘겨주어 버스를 사용하게 하는 데이지 체인(Daisy Chain)을 통해 버스 중재(Arbitration)를 한다. 초기에는 상기 데이지 체인(Daisy Chain)을 통해 버스 중재된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만 버스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지 체인은 헤더(header)를 사용하여 구현하며,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는 PABS PCC 패킷 처리부(122)에서 데이지 체인을 위한 헤더(Header)와 동기화를 위한 프리엠블 헤더(preamble header)를 생성한다.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가 버스를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 PCC UART 콘트롤러(124) 및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통해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에게 토큰(Token)을 전달한다. 이때,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는 토큰(Token) 받아 들인후, 자신의 HID와 비교, 토큰(Token)의 수락 여부를 파악하며, 이 과정은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PCC를 전달받은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 및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는 앞서의 역과정으로 PCC 패킷 처리부(122)까지 PCC를 가져온 후 PCC 오피코드(opcode)와 HID 필드를 컨트롤 로직부를 통해 토큰(Token) 인증 여부를 판단한 후 다시 버스 중재(Bus Arbitration)를 수행한다. 위 과정은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 및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가 통신을 하지 않는 동안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두 번째로, 각각의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 및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는 주기적인 질의(Inquiry)를 통해 주변의 무선 랜 단말기의 정보를 수집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는 무선 랜 A 단말기(101) 및 무선 랜 B 단말기(102)와 무선 통신을 통해 질의(inquiry) 및 이후 디바이스 로컬 네임(Device Local Name)을 요청하여 해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는 무선 랜 C 단말기(201) 및 무선 랜 D 단말기(202)와 무선 통신을 통해 질의(inquiry) 및 이후 디바이스 로컬 네임(Device Local Name)을 요청하여 해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는 무선 랜 E 단말기(301)와 무선 통신을 통해 질의(inquiry) 및 이후 디바이스 로컬 네임(Device Local Name)을 요청하여 해당 정보를 수신한다.
즉, 각 무선 중계 단말 장치는 질의(Inquiry)가 끝난 후 수집된 디바이스에게 다시 HCC 원격 이름 요청(HCC_Remote_Name_Request) 정보를 보내어 디바이스 로컬 네임(Device local Name)을 수집 저장한다.
여기서, 주변의 무선 랜 단말기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있어, 상기 컨트롤 로직부(111)에서 HCC 질의(HCC_Inquiry)의 오피코드(opcode)와 파라메터가 저장된 롬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HCC 롬(113)에게 전달하면, HCC 롬(113)이 오피코드(opcode)를 직접, 파라메터를 HCC 파라메터 먹스(117)를 거쳐 HCC 패킷 레지스터(121)에게 넘겨준다. 그러면, 상기 HCC 패킷 레지스터(121)는 오피코드(opcode)와 파라메터를 HCC 패킷 형태로 HCC 패킷 처리부(123)에게 넘겨준다. 상기 HCC 패킷 처리부(123)는 이를 받아 내부의 제어에 의해 패킷 버퍼에 잠시 저장한 후 다시 패킷 타입 표시 헤더(Packet Type Indication Header)를 붙여 HCC UART 콘트롤러(125) 및 UART 인터페이스 모듈(150)을 통해 무선 송수신 모듈(170)에 전달한다.
한편, 질의(Inquiry)를 통해 수집된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 장치(100)의 주변 무선 랜 단말기의 정보 즉, 무선 랜 A 단말기(101) 및 무선 랜 B 단말기(102)의 정보는 일단 HCC 질의 결과 이벤트(HCC_Inquiry_result_Event)로 앞서의 역 과정을 통해 무선 송수신 모듈(170)로부터 HCC 패킷 처리부(123)까지 올라오면, 오피코드(opcode)를 콘트롤 로직부(111)로 전달하며, 상기 콘트롤 로직부(111)는 전달된 오피코드(Opcode)를 통해 HCC가 단말기 정보를 갖고 있음을 판단하고, HCC 패킷 레지스터(121)를 통해 HCC 파라메터 디먹스(119)로 입력된 파라메터를 HCC-PCC 파라메터 컨버터(115)에서 파라메터 필드 포맷을 바꾼 후 에스램(114)에 단말기 정보로 저장한다.
이때, 콘트롤 로직부(111)는 단말기 정보가 저장된 어드레스 영역을 BD_ADDR을 인덱스로 하여 다시 에스램(114)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에스램(114)에 저장함은 이후 후술되는 순환 질의(Rotational Inquiry)에서 다시 사용하기 위함이다. 한편, 로컬 디바이스 네임(Local Device Name) 역시 질의(Inquiry)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정보를 받아서 저장한다.
세 번째로, 상기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는 질의를 통해 얻은 무선 랜 단말기(101,102)들의 정보(BD_ADDR, Device Class, Device Name, Page scan mode)를 버스 네트워크의 PCC를 통해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 및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와 교환, 저장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의 에스램(114)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 랜 A 단말기(101) 및 무선 랜 B 단말기(102)의 디바이스 정보는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가 버스 중재(Arbitration)를 통해 승인(Grant)되었을 때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 및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에게 전달된다.
이때, 도 5의 상기 콘트롤 로직부(111)는 PCC 롬(112)에게 어드레스를 넘겨주면 PCC 롬(112)은 PCC 패킷 레지스터(120)에게 오피코드(opcode)를 전달하고, 단말기의 디바이스 정보는 에스램(114)에서 PCC 파라메터 먹스(116)를 거쳐 PCC 패킷 레지스터(120)에게 전달되고, 앞서 오피코드(opcode)와 함께 PCC 패킷으로 만들어 PCC 패킷 처리부(122)에게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PCC 패킷 처리부(122)는 전달받은 PCC 패킷에 동기화를 위한 프리엠블 헤더(preamble header)를 붙인 후 PCC UART 콘트롤러(124)에게 전달하여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통해 다른 지역의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 및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에게 전달하며, 전달받는 과정은 앞서의 역 과정과 동일하다.
네 번째로,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 및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는 각각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순환(Rotation) 시키면서 질의/페이지 스캔(Inquiry/Page Scan)을 수행하며,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 및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중 임의의 무선 중계 단말 장치가 무선 랜 단말기로부터 페이지 신호를 받을 때까지 동작을 반복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순환 질의/페이지 스캔과정(Rotational Inquiry/Page Scan)으로 칭한다.
여기서,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를 토대로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의 컨트롤 로직부(111)는 에스램(114)에 저장된 다른 지역에 위치한 디바이스들(무선 랜 C 단말기(201), 무선 랜 D 단말기(202) 및 무선 랜 E 단말기(301))의 BD_ADDR을 통하여 순환 질의/페이지 스캔(Rotational Inquiry/Page Scan)을 실행한다. 이때, 오피코드(opcode)는 콘트롤 로직부(111)에서 HCC 롬(113)에게 전달된 어드레스에 의해 순서대로 반복되며, 각각의 HCC 커맨드 파라메터는 에스램(114)에 저장된 해당 디바이스 정보를 사용하여 역시 디바이스의 BD_ADDR이 바뀔 때마다 매번 바뀌게된다.
다섯 번째로,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의 순환 질의/페이지 스캔(Rotational Inquiry/Page Scan) 동작에 의해 하나의 실시예로써, 무선 랜 A 단말기(10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를 다른 지역의 무선 랜 단말기로 인식하게 된다.
여섯 번째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랜 A 단말기(101)의 사용자는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를 통해 수집된 디바이스 정보(무선 랜 C 단말기(201), 무선 랜 D 단말기(202) 및 무선 랜 E 단말기(301))를 주변의 무선 랜 B 단말기(102)의 정보와 동일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중 연결할 무선 랜 단말기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일곱 번째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1)는 사용자가 하나의 실시예로써 선택한 무선 랜 C 단말기(201)의 정보를 실어 페이지(Page)를 한다. 이때 페이지는 연결 요청 명령에 의해 일정시간 여러번 반복된다.
여덟 번째 과정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는 순환 질의/페이지 스캔(Rotational Inquiry/Page Scan) 동작 중 무선 랜 A 단말기(101)가 연결(Connection)을 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스캔 동작을 수행할 때 무선 랜 A 단말기(101)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지 신호(Page signal)를 인식한다.
아홉 번째 과정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에서 페이지 신호를 인식하면, 데이지 체인 동작 중 기다리다가 중재(Arbitration)에 의해 버스가 승인(Granted) 되면 무선 랜 C 단말기(201)의 BD_ADDR 정보를 가진 제 1 무선 중계 단말장치(100)에서 발생된, PCC 연결 요청(PCC Connection Request)신호를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 및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로 보낸다.
즉, HCC 연결 요청 이벤트(HCC Connection_Request_Event)는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의 무선 송수신 모듈(170)에서 HCC 패킷을, UART 인터페이스 모듈(150)을 지나 HCC 패킷 처리부(123)로 전달하고, 상기 HCC 패킷 처리부(123)는 헤더를 제거한 HCC 패킷을 HCC 패킷 레지스터(121)로 전달한다. 그러면, HCC 패킷 레지스터(121)는 HCC 오피코드(opcode)를 콘트롤 로직부(111)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콘트롤 로직부(111)는 HCC 패킷 레지스터(121)에게서 받은 오피코드(opcode)로 HCC 연결 요청 이벤트(HCC_Connection_Request_Event)임을 판단하고, PCC 연결 요청(PCC_Connection_Request)을 위한 어드레스를 PCC 롬(112)에게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PCC 롬(112)에 저장된 PCC 연결 요청(PCC_Connection_Request)의 오피코드(opcode)는 PCC 패킷 레지스터(120)에 전달되고, 상기 콘트롤 로직부(111)의 제어에 의해 현재의 순환 질의/페이지 스캔(Rotational Inquiry/Page Scan) 구간에 해당하는 디바이스의 BD_ADDR과 디바이스 정보를 에스램(114)에서 PCC 파라메터 먹스(116)를 거쳐 PCC 패킷 레지스터(12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PCC 패킷 레지스터(120)는 PCC 롬(112)으로부터 전달받은 오피코드(opcode)와 PCC 파라메터 먹스(116)로부터 전달받은 파라메터를 사용하여 PCC 연결 요청 명령 패킷(PCC_Connection_Request command Packet)을 조립한 후. 상기 조립된 PCC 연결 요청 명령 패킷을 PCC 패킷 처리부(122), PCC UART 콘트롤러(124) 및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버스 중재(Arbitration)를 거쳐, 승인(Granted)이 된 이후,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 및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로 전송한다.
열 번째 과정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을 통해 PCC 연결 요청 패킷(PCC_Connection request command Packet)을 전달받은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 및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는 각각 해당 무선 랜 단말기에 해당하는 BD_ADDR에 대한 연결 요청(Connection Request)을 실행한다.
즉, 상기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로부터 PCC 연결 요청(PCC_Connection_Request)을 전달받은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 및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는 각 HCC-PCC 파라메터 컨버터를 통해 BD_ADDR 필드를 확인한 후 자신의 지역에 위치한 무선 랜 단말기들의 BD_ADDR과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을 경우 이를 무시하고 동일할 경우 HCC 연결(HCC_Connection)을 위한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HCC 롬으로 보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을 요청한 무선 랜 C 단말기(201)가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의 HCC 롬은 HCC 연결(HCC_Connection)의 오피코드(opcode)를 생성하고, HCC-PCC 파라메터 컨버터는 전달받은 디바이스 파라메터를 HCC 연결(HCC_Connection)의 필드 포맷으로 변환한 후 HCC 파라메터 먹스를 거쳐 HCC 패킷 레지스터에게 보낸다. 이후 과정은 앞서 기술된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의 두 번째 과정과 동일하게 상기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는 HCC를 생성하여 UART 인터페이스 모듈을 무선 송수신 모듈로 전송한다.
열 한 번째의 과정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가 연결하고자 하는 무선 랜 C 단말기(201)와 연결이 완료되면, 이때 연결된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는 슬레이브(Slave)로 버스 네트워크를 사용할 권한이 부여된다. 한편, 연결이 되지 않은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는 불 승인(Not Granted) 상태가 되어서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PCC를 받기만 하고 PCC를 보내지는 않는다.
따라서, 앞에서 기술한 열 번째 과정에서 무선 송수신 모듈로 전송된 HCC 연결(HCC_Connection)명령에 의해 해당 무선 랜 C 단말기(201)와의 연결이 순조롭게 완료되면, HCC 연결 완료 이벤트(HCC_Connection_Complete Event)가 UART 인터페이스 모듈을 HCC 패킷 처리부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의 콘트롤 로직부(111)가 오피코드(opcode)를 통해 이를 확인하면, 이를 PCC 패킷 처리부(122)를 통해 우선 자신의 버스 데이지 체인(Daisy Chain)상태를 슬레이브로 권한 부여(Slave authorized)시킨 후 PCC 연결 수락(PCC_Connection_Accept)을 생성하여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마스터로 버스가 승인된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에게 전송한다. 이때 PCC를 만드는 과정은 앞서 기술된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의 세 번째 과정과 동일하다.
열 두 번째 과정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랜 A 단말기(101)와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 그리고,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와 무선 랜 C 단말기(201)의 연결이 완료되면,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를 통해 무선 랜 A 단말기(101)와 무선 랜 C 단말기(201)는 제 1과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를 거쳐 통신을 하게 된다.
즉,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슬레이브로 권한 부여된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로부터 PCC 연결 수락(PCC_Connection_accept)을 전달받은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는 이후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와 Half Duplexing 방식으로 PCC 패킷을 통해 통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와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가 연결 이후 데이터 패킷은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의 HCC 패킷 처리부(123)에서 PCC 패킷 처리부(122)로,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PCC 패킷 처리부(122)에서 HCC 패킷 처리부(123)로 직접 전달된다.
ACL 데이터 패킷은 UART 인터페이스 모듈(130), HCC 패킷 처리부(123), HCC 패킷 레지스터(121), PCC 파라메터 먹스(116) 및 PCC 패킷 레지스터(120)로 전달되어 PCC 패킷으로 조립된 후,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통해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로 전송된다.
그리고, SCO 데이터 패킷의 경우에는 PCM 신호를 PCM 드라이버(126)를 통해 받은 후 PCC 패킷 처리부(122)에서,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통해 전송된다. 이렇게 전송된 데이터 패킷은 다시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130)과 PCC UART 콘트롤러(124)를 거쳐 PCC 패킷 처리부(122)에서 디멀티 플렉싱된 후 PCM 드라이버(126) 또는 PCC 패킷 레지스터(120), HCC 파라메터 먹스(117), HCC 패킷 레지스터(121), HCC 패킷 처리부(123) 및 UART 인터페이스 모듈(150)을 통해 무선 송수신 모듈(170)로 전송된다.
열 세 번째 과정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랜 A 단말기(101)와 무선 랜 C 단말기(201)의 연결이 완료되면, 버스 승인된(Bus granted)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와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만이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버스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그리고, 불승인(Not Granted)된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는 승인(Granted)된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와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가 주고받는 PCC를 받기는 하나 버스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못한다.
대신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로부터 PCC 연결 수락(PCC_Connection_accept)을 받은 후부터 연결이 계속되는 동안 불승인 된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는 주기적인 질의(Periodic Inquiry)를 수행하며 현재 자신이 위치한 지역의 연결된 무선 랜 단말기들의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때, 주기적인 질의(Periodic Inquiry)와 무선 랜 단말기들의 정보 업데이트는 앞서 기술된 두 번째 과정과 동일하다.
열 네 번째 과정은,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의 흐름 제어로, 무선 중계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에서 무선 구간은 링크 매니저(Link Manager)가 유선 구간은 PABS가 담당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는 버퍼 크기와 데이터 처리 속도 비율(Baud rate)을 조정하여 정적으로 신호의 흐름을 조절하며, 무선 송수신 모듈(170)과 PABS 콘트롤 모듈(110)의 사이 HCC와 UART,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간은 RTS/CTS 비트를 제어하여 동적으로 흐름을 제어한다.
열 다섯 번째 과정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중계 단말 장치간에 연결 중에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를 통해 통신중인 무선 랜 A 단말기(101)가 연결 모드(Connection Mode)를 파크 모드(Park mode)나 홀드 모드(Hold mode)로 변경하면 무선 중계 단말 장치 시스템 전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 및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는 유선을 통하여 연결을 계속 유지하여, 이로 인해 다른 무선 랜 단말기 즉, 무선 랜 C 단말기(201)는 무선 중계 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연결에 참여하고 있는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는 모드 변환(Mode Change) 이후 일정시간이내에 탈출 모드(Exit Mode)가 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연결을 종료하게 된다.
즉, PABS 콘트롤 모듈(110)에서는 연결중에 모드 변환 이벤트를 PCC 패킷 처리부(122) 또는 HCC 패킷 처리부(123)를 통해 전달받거나, HCC 패킷 처리부의 HCC 수신 버퍼(미 도시)에서 카운트되고 있는 저장 패킷의 개수가 증가하지 않는 상태(connection lost 상태)를 상기 콘트롤 로직부(111)에서 내부의 카운터를 사용하여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파악하여 자동적으로 HCC 연결 종료(HCC_Disconnection)를 위한 HCC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이후 동작은 앞서 기술된 두 번째 과정에서 언급한 HCC 명령어 생성 및 전달 과정과 동일하다.
열 여섯 번째 과정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중 무선 랜 C 단말기(210)로부터 연결종료 이벤트(Disconnection EVENT)가 발생하면, 상기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는 PCC 연결 종료 커맨드를 유선을 통해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 및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로 전달하고, 현재의 무선 랜 C 단말기(201)의 연결을 종료한다.
이때, 승인된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는 PCC 연결 종료(PCC_Disconnection)를 현재 연결 중이던 슬레이브로 승인된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에게 전달하여 동시에 연결을 종료하게 한다.
따라서, PCC 연결종료 커맨드를 확인한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 및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는 모두 버스 중재에 있어서, 불승인(Not Granted)이 되며, 마스터였던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는 다시 다음 차례의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 및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로 데이지 체인상의 토큰(Token)을 넘겨준다.
여기서, 상기 연결 종료 이벤트(Disconnection EVENT)는 여러 가지의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무선 랜 단말기들에 의해 HCC 커맨드와 PCC 커맨드의 전달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또한, 무선 랜 단말기가 통신 거리를 넘거나, 파크 모드(Park Mode), 홀드 모드(Hold Mode), 스니프 모드(Sniff Mode)와 같은 타임 아웃에 의한 연결 로스트(Connection lost)에 의해 무선 중계 단말 장치의 내부에서 자동적으로 종료가 가능하다.
그리고, 불승인 상태로 되어 있는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는 업데이트 된 무선 랜 단말기의 정보를 자신이 버스 승인이 되었을 때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 즉,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 및 제 2 무선 중계 단말 장치(200)에게 각각 전송한다. 이때, 제 3 무선 중계 단말 장치(300)의 동작은 앞서 기술한 열 세 번째 과정과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은 유선 UART 인터페이스 모듈 그리고 무선 송수신 모듈을 각각 단일 구성으로 그 동작을 설명하고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복수개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그 실시예로 2개의 구성을 토대로 한 기술적인 동작을 도 21a 내지 도 21d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4를 참조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2개의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PABS 콘트롤 모듈(110)에 병렬 연결하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2개의 무선 송수신 모듈은 각각의 UART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PABS 콘트롤 모듈에 병렬 연결한다. 이때, 상기 PABS 콘트롤 모듈은 콘트롤 유닛 내부에서 상기의 병렬의 장치들을 동시에 컨트롤 한다.
여기서, 상기 PABS가 다수의 무선 랜 단말기를 중계하기 위해서는 순환적인 질의 및 페이지 스캔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PABS가 중계대상인 무선 랜 단말기 정보로 바꿀 때마다 리셋 타임이 필요하다.
도 21a는 하나의 모듈을 통해 구현될 때, 순환적인 질의 및 페이지 스캔 타임마다 매번 시간적으로 빈 간격이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하나의 실시예로써, 순환적인 질의 및 페이지 스캔 타임에 소요되는 시간이 2.56 초이고, Warm Reset으로 인한 빈 간격이 1 초 정도 소요된다.
따라서, 두 개의 모듈을 사용하여 순환적인 질의 및 페이지 스캔 시간 중 빈 간격이 겹치지 않게 하려면 도 21b와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의 모듈의 빈 간격 시간에도 다른 쪽 모듈이 순환적인 질의 및 페이지 스캔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여 리셋으로 인한 빈 시간을 없앨 수 있다. 즉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무선 전송 모듈을 사용하면 전체적인 순환적인 질의 및 페이지 스캔 타임을 줄일 수 있는데,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무선 랜 단말기가 주변지역에 존재할 때 순환적인 질의 및 페이지 스캔을 한다하면 단일의 모듈에서는 14.24 초가 소요되지만 2개의 무선 송수신 모듈을 사용한다면 도 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8.9초로 60% 정도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즉, 결론적으로 2개 이상의 모듈을 사용할 경우 더 많은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이 이루어진 후 한 모듈을 사용하여 연결을 유지하는 동안 다른 모듈을 사용하여 주변 기기를 탐색하면 연결 중이더라도 PABS 주변 무선 랜 단말기의 변동 사항을 빠르게 업 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두 모듈을 동시에 접속(Connection)하면 제 1 무선 중계 단말 장치(100)와 무선 랜 단말기(101,102)는 두 개의 통신 채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분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N개의 무선 송수신 모듈 별 N개의 채널의 개수로 나누어 보내면 채널의 개수배(N) 만큼 전송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때, 데이터의 분할은 HCC 패킷 단위로 끊어 HCC 패킷으로 보내거나 받게 되며 분할과 조립은 HCC 패킷 처리부(123)가 콘트롤 로직부(111)의 제어에 따라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무선 랜 단말기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는 속도에 관계없이 사용자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응용분야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HCC 패킷 처리부(123)에서 HCC 패킷을 만들 때 데이터 패킷의 연결 핸들 비트(Connection Handle bit)를 번갈아 가며 HCC 패킷을 버퍼(D3)로 보내고, 상기 버퍼(D3)에 임시 저장된 패킷은 먹스(D1)를 통해 제 1 UART 콘트롤러(125A)와 제 2 UART 콘트롤러(125b)로 순서대로 번갈아가며 보내어 진다.
그리고, 상기 디먹스(D2)를 통해 번갈아 가며 패킷을 받기도 하는데, 이 모든 동작은 UART 인터페이스 모듈(150)의 속도(9600-234 kbps), PABS 콘트롤 모듈(110)의 처리속도(13M-20MHz)나 무선 랜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 처리(13M-20MHz) 속도가 무선 통신 채널의 데이터 전송속도(1M bps)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에 충분히 구현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PABS)와 그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먼거리에 있는 터미널끼리의 통신을 유선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용 터미널의 통신 거리 최소화를 통한 소모전력을 극소화시켜 필요한 배터리의 용량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소형, 소출력의 파워 앰프로 구현 가능하게 함으로써 총체적으로 휴대용에 적합한 경량화, 소형화가 가능케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무선 중계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유선을 통한 무선 중계 단말 장치간의 망을 구현함으로써, 여러 무선 중계 단말 장치간에 안정된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무선 중계 단말 장치는 원거리의 무선 랜 단말기로의 데이터를 전송할 뿐만 아니라, 무선 중계 단말 장치의 인접 지역의 여러 무선 랜 단말기의 부가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기의 부가기능수단으로써 RF 무선랜 통신을 통하여 적외선 통신을 중계하며, 복수개의 무선송수신 모듈을 통한 고속 데이터 전송 및 중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무선 중계 단말 장치간의 망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대한 다른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중계 단말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블록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콘트롤 모듈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블록 구성도.
도 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21a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에서 데이터 통신 속도를 향상 방법을 보여주는 일실시예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무선 중계 단말 장치(PABS : Personal Area Wireless Network Broadcasting System)
110 : PABS 콘트롤 모듈 130 :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
150 : UART 인터페이스 모듈 170 : 무선 송수신 모듈

Claims (3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무선 통신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라운드 로빈에 의해 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데이지 체인을 통한 중재로 버스를 조정하고, 각각 자신의 서비스 지역에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의 정보를 수집하여 유선을 통해 다른 지역의 중계 단말 장치로 브로드케스팅하여 전달하고, 상기 다른 지역의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중계 단말 장치; 및
    상기 무선 중계 단말 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자신의 단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다른 지역의 단말 정보를 통해 통신을 요구하기 위한 복수개의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선 중계 단말 장치는,
    자신의 서비스 지역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인 무선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를 패킷으로 제공받아 유선 송신에 적합한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유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인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부터 받은 유선상의 데이터 패킷을 무선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자신의 서비스 지역에 연결된 무선 단말기로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중계 제어 수단; 및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무선 데이터를 상기 중계 제어 수단을 통해 전송받아 연산 제어 처리 후, 상기 연산 처리 결과를 상기 중계 제어 수단을 통해 자기 서비스 지역에 접속된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은,
    공중 전화망, UTP 케이블, 동축 케이블 및 전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제어 수단은,
    병렬로 적어도 두 개인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 다수개의 무선 단말기 중 하나의 무선 단말기와 하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서비스 지역 내의 하나의 디바이스 어드레스에 의한 순환적인 질의 및 페이지 스캔 동작 중에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다른 무선 단말기와는 다른 디바이스 어드레스에 의한 질의 및 페이지 스캔 동작으로 전환하기 전 리셋 동작을 수행토록 제어하거나 동시에 병렬적으로 서비스지역의 무선 단말기 정보를 업데이트 교환하거나, 접속된 다수개의 무선 단말기와 데이터를 분할 송수신 후 통합 중계를 통해 무선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며, 통신 및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단은,
    무선 데이터 중계를 통한 적외선 송수신 장치와의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적외선 송수신 장치가 라인 오브 사이트(line of sight)의 제약없이 원격에서 적외선 및 무선으로 적외선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제어 수단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무선 데이터 패킷 및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유선 데이터 패킷을 해석하여 수행되어야할 동작과 새로운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기 위한 동작을 판단하여, 제어 및 명령어를 생성하며, 상기 해석된 무선 데이터 및 유선 데이터 정보의 저장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로직부;
    상기 콘트롤 로직부의 제어에 의해 유선 데이터 패킷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정보에 의해 만들어지는 유선 동기/비동기 데이터를 멀티플렉싱하여 패킷 형태의 유선 데이터를 생성시키고, 패킷 데이터 형태로 처리하여 유선 인터페이스로 전달하고,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프리엠블을 사용하여 동기화 하여 디멀티플렉싱 한 후 추출된 유선 동기/비동기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PCC(PABS Control Commands) 패킷 처리부;
    상기 콘트롤 로직부의 제어에 의해 무선 데이터 패킷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정보에 의해 만들어지는 무선 동기/비동기 데이터를 패킷 타입 표시 헤더를 붙여 동기화시켜 무선 인터페이스로 전달하고, 그 역 과정을 수행하는 HCC(Host Control Commands) 패킷 처리부;
    입력된 유/무선 데이터 패킷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콘트롤 로직부의 제어에 의해 생성된 유선으로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콘트롤 로직부로부터 어드레스를 받아 순차적으로 PCC 패킷 처리부로 제공하는 PCC 롬;
    상기 PCC 패킷 처리부로부터 유선 데이터의 오피코드를 전달받은 상기 콘트롤 로직부의 제어에 의해 유선 동기/비동기 데이터 및 유선 데이터 파라메터를 제공받아 현재 필요한 하나의 데이터만을 선택하는 PCC 파라메터 먹스;
    상기 콘트롤 로직부의 제어에 의해 유선 데이터 파라미터와 유선 동기/비동기 데이터중 하나를 선택하는 PCC 파라메터 디먹스;
    유선 데이터 오피코드와 파라메터를 한 개의 유선 데이터 패킷 형태로 저장하여 PCC 패킷 처리부로 전달하고, PCC 패킷 처리부로부터의 유선 데이터 패킷에서 오피코드와 파라메터를 각각 보내는 PCC 패킷 레지스터;
    입력된 유/무선 데이터 패킷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콘트롤 로직부의 제어에 의해 생성된 무선으로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상기 콘트롤 로직부로부터 어드레스를 받아 순차적으로 HCC 패킷 처리부로 제공하는 HCC 롬;
    상기 HCC 패킷 처리부로부터 무선 데이터의 오피코드를 전달받은 상기 콘트롤 로직부의 제어에 의해 무선 동기/비동기 데이터 및 무선 데이터 파라메터를 제공받아 현재 필요한 하나의 데이터만을 선택하는 HCC 파라메터 먹스;
    상기 콘트롤 로직부의 제어에 의해 무선 데이터 파라메터와 무선 동기/비동기 데이터중 하나를 선택하는 HCC 파라메터 디먹스;
    무선 데이터 오피코드와 파라메터를 한 개의 무선 데이터 패킷 형태로 저장하여 HCC 패킷 처리부로 전달하고, HCC 패킷 처리부로부터의 무선 데이터 패킷에서 오피코드와 파라메터를 각각 보내는 HCC 패킷 레지스터;
    상기 PCC 파라메터 디먹스로부터 전달받은 유선 데이터 파라메터를 무선 데이터 파라메터로 변환하여 HCC 파라메터 먹스로 전달하고, HCC 파라메터 디먹스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데이터 파라메터를 유선 데이터 파라메터로 변환하여 PCC 파라메터 먹스로 전달하는 HCC-PCC 파라메터 컨버터; 및
    상기 HCC-PCC 파라메터 컨버터로부터 변환된 파라메터 정보를 저장하고, 유선 데이터 패킷 및 무선 데이터 패킷 구성을 위한 무선 데이터 파라메터 처리 및 유선 데이터 파라메터 처리를 위해 상기 콘트롤 로직부로부터 어드레스를 받아 기 저장한 파라메터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파라메터 정보 저장부
    를 포함하는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지 체인을 사용하여 버스 중재(Arbitration)를 수행하는 한편, 주기적인 질의(Inquiry)를 통해 무선 중계 단말 장치 주변의 무선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무선 단말기 정보를 유선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 및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교환 및 저장된 무선 단말기의 정보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디바이스 어드레스에 의한 순환 질의 및 페이지 스캔을 수행하며, 이를 바탕으로 상기 주변 무선 단말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페이지에 의해 인식하여 유선 연결 요청 신호를 유선 연결된 다른 해당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유선 연결 요청 신호에 의해 연결된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부터 유선 연결 수락 신호를 받아, 이후 유선을 통해 상기 제 2 단계에서 연결을 요청한 상기 무선 중계 단말 장치 주변의 무선 단말기와 다른 해당 무선 중계 단말 장치의 주변의 무선 단말기 사이의 전송을 중계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연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여 통신이 종료되면 데이지 체인상의 토큰을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 버스 네트워크의 사용을 넘겨주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HID(Hardware Identification Number)의 순서에 따라 토큰을 넘겨주어 버스를 사용토록 하는 데이지 체인을 통해 버스 중재(Arbitration)를 하는 제 5 단계;
    주기적인 질의(Inquiry)를 통해 주변의 무선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고, 질의(Inquiry)가 종료된 후 수집된 무선 단말기에게 무선 원격 네임 요청(HCC_Remote_Name_Request)을 전송하여 로컬 디바이스 네임(Local Device Name)을 받아서 저장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무선 단말기의 정보를 유선 데이터 패킷을 변환하여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버스 사용 승인된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와의 교환 및 저장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저장된 무선 단말기의 정보를 주변의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페이지 신호를 받을 때까지 무선 단말기와의 통신에 의해 무선 중계 단말 장치에 저장된 다른 지역 무선 단말기의 디바이스 어드레스에 의해 순환에 의한 질의 및 페이지 스캔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연결 요청한 정보를 페이지 스캔에 의해 인식하고 연결 요청 이벤트를 발생시키며 데이지 체인 동작 중에 기다리다가 중재(Arbitration)에 의해 버스 사용이 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버스 사용 승인이 확인될 경우, 연결할 무선 단말기의 디바이스 어드레스 정보를 기초로 하는 유선 제어 명령에 의해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서비스 지역의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유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유선 연결 요청 신호에 의해 연결된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부터 유선 연결 수락 신호를 유선을 통해 전달받아 무선 중계 연결을 완료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완료된 무선 중계 연결에 의해 버스 사용이 승인된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중계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데이터의 송수신의 중계 중에 외부로부터 연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제 5 단계;
    연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발생 경로에 따라 현재 연결 중이던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에 유선 연결 종료 신호를 전달하고 무선 단말기의 중계 연결을 종료하는 제 6 단계; 및
    데이지 체인상의 토큰을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전달하고, 해당 다른 무선 중계 단말장치는, 버스 사용이 미 승인 상태에서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브로드 캐스팅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25. 제 20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종료 이벤트는,
    무선 단말기에 의한 정상적인 경우에는 무선 데이터 패킷 명령과 유선 데이터 패킷 명령의 전달에 의해 종료되며, 파크 모드(Park Mode) 및 홀드 모드(Hold Mode)로 변환된 경우에는 일정시간이 경과 후 타임아웃을 통하여 종료시키고, 이 경우는 무선 수신 버퍼에서 카운터 되고 있는 저장 패킷 개수가 증가하지 않는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을 타임아웃 시켜서 연결을 스스로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26.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중계 장치의 데이지 체인을 사용하여 버스 중재(Arbitration)를 수행하는 한편, 주기적인 질의(Inquiry)를 통해 무선 중계 단말 장치 주변의 무선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무선 단말기 정보를 유선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 및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교환 및 저장된 무선 단말기의 정보를 사용하여 디바이스 어드레스에 의한 순환 질의 및 페이지 스캔을 수행하며, 이를 바탕으로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의 주변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연결 요청시 페이지에 의해 인식하여 무선 연결 요청 신호를 주변의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 연결 요청 신호에 의해 연결된 주변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 연결 수락 신호를 무선을 통해 전달받고, 상기 제 2 단계에서 연결을 요청한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의 주변 무선 단말기와 자신의 주변 무선 단말기로 전송사이의 데이터 중계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연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여 통신이 종료되면 데이지 체인상의 토큰을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 버스 네트워크의 사용을 넘겨주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HID(Hardware Identification Number)의 순서에 따라 토큰을 넘겨주어 버스를 사용토록 데이지 체인을 통해 버스 중재(Arbitration)를 하는 제 5 단계;
    주기적인 질의(Inquiry)를 통해 주변의 무선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고, 질의(Inquiry)가 종료된 후 수집된 무선 단말기에게 무선 원격 네임 요청(HCC_Remote_Name_Request) 명령을 전송하여 지역의 무선 단말기의 로컬 디바이스 네임(Local Device Name)을 받아서 저장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무선 단말기의 정보를 유선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버스 사용이 승인된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와의 교환 및 저장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저장된 무선 단말기의 정보를 주변의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페이지 신호를 받을 때까지 무선 단말기와의 통신에 의해 무선 중계 단말 장치에 저장된 다른 지역 무선 단말기의 디바이스 어드레스에 의해 순환에 의한 질의(Inquiry) 및 페이지 스캔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유선을 통해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부터 유선 연결 요청 신호를 전달받아 페이지를 시작하여 자신의 주변 무선 단말기와의 연결을 확인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유선 연결을 요청한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유선 연결 수락 신호를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전달한 유선 연결 수락 신호에 의해 버스 사용이 승인된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통해 브로드캐스팅에 의한 데이터를 수신 및 전달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자신 서비스 주변에 연결된 무선 단말기 및 연결을 요청한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부터 연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제 5 단계
    연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발생 경로에 따라 현재 연결 중이던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에 유선 연결 종료 정보를 전달하고 무선 단말기의 중계 연결을 종료하는 제 6 단계; 및
    데이지 체인상의 토큰을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전달하고,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는 버스 사용이 미 승인 상태에서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브로드 캐스팅되는 유선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분석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중계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31. 데이터 통신을 위해,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중계 단말 장치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지 체인을 사용하여 버스 중재(Arbitration)를 수행하는 한편, 주기적인 질의(Inquiry)를 통해 무선 중계 단말 장치 주변의 무선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무선 단말기 정보를 유선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 및 저장하는 제 1 기능;
    상기 교환 및 저장된 무선 단말기의 정보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디바이스 어드레스에 의한 순환 질의 및 페이지 스캔을 수행하며, 이를 바탕으로 상기 주변 무선 단말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페이지에 의해 인식하여 유선 연결 요청 신호를 유선 연결된 다른 해당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기능;
    상기 유선 연결 요청 신호에 의해 연결된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부터 유선 연결 수락 신호를 받아, 이후 유선을 통해 상기 제 2 기능에서 연결을 요청한 상기 무선 중계 단말 장치 주변의 무선 단말기와 다른 해당 무선 중계 단말 장치의 주변의 무선 단말기 사이의 전송을 중계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3 기능에서 연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여 통신이 종료되면 데이지 체인상의 토큰을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 버스 네트워크의 사용을 넘겨주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2. 데이터 통신을 위해,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중계 단말 장치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중계 장치의 데이지 체인을 사용하여 버스 중재(Arbitration)를 수행하는 한편, 주기적인 질의(Inquiry)를 통해 무선 중계 단말 장치 주변의 무선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무선 단말기 정보를 유선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 및 저장하는 제 1 기능;
    상기 교환 및 저장된 무선 단말기의 정보를 사용하여 디바이스 어드레스에 의한 순환 질의 및 페이지 스캔을 수행하며, 이를 바탕으로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의 주변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연결 요청시 페이지에 의해 인식하여 무선 연결 요청 신호를 주변의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기능;
    상기 무선 연결 요청 신호에 의해 연결된 주변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 연결 수락 신호를 무선을 통해 전달받고, 상기 제 2 기능에서 연결을 요청한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의 주변 무선 단말기와 자신의 주변 무선 단말기로 전송사이의 데이터 중계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3 기능에서 연결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여 통신이 종료되면 데이지 체인상의 토큰을 다른 무선 중계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 버스 네트워크의 사용을 넘겨주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2-0008334A 2002-02-16 2002-02-16 무선 중계 단말 장치와 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523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334A KR100523076B1 (ko) 2002-02-16 2002-02-16 무선 중계 단말 장치와 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334A KR100523076B1 (ko) 2002-02-16 2002-02-16 무선 중계 단말 장치와 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737A KR20030068737A (ko) 2003-08-25
KR100523076B1 true KR100523076B1 (ko) 2005-10-24

Family

ID=3222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334A KR100523076B1 (ko) 2002-02-16 2002-02-16 무선 중계 단말 장치와 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076B1 (ko) * 2007-07-25 2008-10-24 주식회사 윈어텍 휴대용 중계기 겸용 무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045B1 (ko) 2007-09-18 2010-02-05 주식회사 라온테크놀로지 디지털 멀티미디어 근거리 무선 송수신 시스템과 이를이용한 무선전송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394A (ko) * 1994-07-29 1996-02-23 윌리암 티.엘리스 네트워크내의 통신을 위한 노드 및 방법
JPH08223172A (ja) * 1995-02-15 1996-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JPH10210101A (ja) * 1997-01-21 1998-08-07 Japan Radio Co Ltd 移動体通信用無線基地局の有線通信経路選択方式
JP2000307660A (ja) * 1999-04-15 2000-11-02 Ntt Docomo Inc 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20010004628A (ko) * 1999-06-29 2001-01-15 이형도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
KR20010056501A (ko) * 1999-12-15 2001-07-04 이계철 사설 무선 근거리 종합 통신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394A (ko) * 1994-07-29 1996-02-23 윌리암 티.엘리스 네트워크내의 통신을 위한 노드 및 방법
US5901362A (en) * 1994-07-29 1999-05-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wireless LAN to a wired LAN
JPH08223172A (ja) * 1995-02-15 1996-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JPH10210101A (ja) * 1997-01-21 1998-08-07 Japan Radio Co Ltd 移動体通信用無線基地局の有線通信経路選択方式
JP2000307660A (ja) * 1999-04-15 2000-11-02 Ntt Docomo Inc 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20010004628A (ko) * 1999-06-29 2001-01-15 이형도 유선 및 무선랜을 이용한 이중 네트워크 절환장치
KR20010056501A (ko) * 1999-12-15 2001-07-04 이계철 사설 무선 근거리 종합 통신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076B1 (ko) * 2007-07-25 2008-10-24 주식회사 윈어텍 휴대용 중계기 겸용 무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737A (ko) 200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84074B2 (en) Dual mode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KR101241905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KR10058432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거리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967392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0694298B1 (ko) 무선 유에스비 접속을 위한 무선 근거리 통신망 콤보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장치에서의소프트웨어 계층 구조
US7545826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and computer program
CN100505730C (zh) 在无线区域网络中省电的方法和系统
CN102624414B (zh) 无线通信装置
US754276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JP372439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8553657B2 (en) System and method to enable WUSB application in a distributed UWB MAC
JP2003309572A (ja) 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060017A2 (en) Method for managing the power in the wireless network
KR20110018941A (ko) 미디어 액세스 시스템의 마스터-슬레이브 핸드오버용 단말 장치 및 방법
JPH09154166A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
JPH1075278A (ja) ワイアレスネットワーク接続用アダプタ装置
US20070218948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for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40100701A (ko)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US20070288680A1 (en) Device and connection control method
CN101821967B (zh) 用于在通信系统中共享无线信道资源的方法
US20120311164A1 (en) Method of controlling connection establishment in a wireless network
US200601148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hannel among coordinator-based wireless networks
CA2442147A1 (en) Communication adapter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rf devices and infra red devices
US6728231B1 (en) Radio transmission method and radio transmission
KR100654465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8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7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50915

Appeal identifier: 2005101004961

Request date: 20050728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7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10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509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83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