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22081B1 - 접속용 정착구 및 긴장재 - Google Patents

접속용 정착구 및 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081B1
KR100522081B1 KR10-1999-0010974A KR19990010974A KR100522081B1 KR 100522081 B1 KR100522081 B1 KR 100522081B1 KR 19990010974 A KR19990010974 A KR 19990010974A KR 100522081 B1 KR100522081 B1 KR 100522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twisted
connecting member
coupling hole
ten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8398A (ko
Inventor
구로사와료헤이
구로사와시로
다나베게이조
Original Assignee
구로사와 겐세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로사와 겐세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로사와 겐세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78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08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5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profiled to ensure the anchorage, e.g. when provided with screw-thread, bulges, 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Flexible Shaf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서스펜션 구조물에 있어서의 케이블의 단부처리를 간단한 방법으로 할 수 있는 접속용 정착구 및 긴장재를 제공한다.
앵커헤드가 비틀려 박히는 결합구멍(4)를 구비한 커플러(2)와, 그 커플러(2)의 결합구멍(4)에 비틀려 박히는 접속부재(3)(13)으로 되며, 상기 접속부재(3)(13)이 록너트(10)으로 커플러(2)에 고정되며, 접속부재(3)(13)의 선단부에는 접속핀(7)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접속용 정착구 및 긴장재 {FOR CONNECTION FIXING TOOL AND TENSION MATERIAL}
본 발명은 접속용 정착구 및 긴장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각종의 서스펜션구조물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단부처리를 앵커헤드에 삽입한 긴장재의 단부를 쐐기로 고정하고, 이 고정한 부분을 캡으로 덮고 그 캡속에 용융한 금속을 흘려넣어서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서스펜션구조물에 있어서의 케이블의 단부처리 방법은 번잡하고 품이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워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서스펜션구조물에 있어서의 케이블의 단부처리를 간단한 방법으로 할 수 있는 접속용 정착구 및 긴장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청구항 1의 발명이 앵커헤드가 비틀려 박히는 결합구멍을 구비한 커플러와, 이 커플러의 결합구멍에 비틀려 박힌 접속부재로 이루워지며, 이 접속부재가 록너트로 상기 커플러에 고정되며, 접속부재의 선단부에는 접속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앵커헤드를 커플러의 결합구멍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접속용 정착구를 긴장재의 단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접속부재는 복수의 판이 나란히 돌출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접속부재를 두장의 판으로 대략 자형으로 형성하므로서, 핀 접합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결합구멍내에는, 록플레이트가 비틀려 박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록플레이트가 긴장재의 단부를 누르는 작용을 한다.
또, 청구항 4의 발명은 강재의 단부가 압착그립으로 앵커헤드에 고정되며, 그 앵커헤드가 커플러에 있어서의 결합구멍의 한쪽에 비틀려 박히며, 커플러에 있어서의 결합구멍의 다른 쪽에는, 접속핀을 구비한 접속부재가 비틀려 박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긴장재를 서스펜션구조물에 사용하는 경우에 접합단부를 핀으로 접합할 수 있으므로 긴장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가 록너트로 커플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록너트에 의하여 접속부재가 커플러에서 이동하지 않는다.
또,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복수의 판이 병행하여 돌출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접속부재를 두장의 판으로 대략 자 형태로 형성하므로서, 긴장재를 핀으로 접합할 수 있다.
또,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결합구멍내에 있어서의 PC강재의 선단과 접속부재와의 사이에는 록플레이트가 비틀려 박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록플레이트가 긴장재의 단부를 눌러서 접속부재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또,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4, 5, 6, 7에 있어서, 상기 앵커헤드 하면의 결합구멍내에는 스페이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스페이서에 의해서 긴장재의 이동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접속용 정착구 및 긴장재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접속용 정착구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다음에 긴장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접속용 정착구의 단면도, 도 2는 다른 접속용 정착구의 단면도이다.
접속용 정착구(1)은 PC강재의 단부에 설치하여 그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며, 커플러(2)와 접속부재(3)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플러(2)는 PC강재의 앵커헤드나 접속부재(3)을 끼워 결합하는 결합구멍(4)를 구비하고, 이 결합구멍(4)의 내면에 암나사(5)가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결합구멍(4)의 한쪽으로 접속부재(3)이 비틀려 박혀 있다.
접속부재(3)은 평행하는 두장의 판(6)이 자형으로 돌출형성되며, 선단부에 접속핀(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두장의 판(6)사이에 접속하는 상대측의 접속부재가 삽입되어 접속핀(7)로 고정된다.
이 접속핀(7)은 한쪽의 저지판(8)이 나사(9)로 떼어내기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나사(9)로 저지판(8)을 탈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접속핀(7)이 접속부재(3)으로부터 설치와 해제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접속핀(7)은 록너트(10)으로 커플러에 고정되어 있다.
또, 접속용 정착구(1)을 PC강재의 단부에 설치한 경우에, PC강재의 단부를 누르는 록플레이트(11)이 결합구멍(4)에 비틀려 박혀 있다.
도 2는 다른 접속용 정착구(12)를 나타낸 것으로서, 접속부재(13)이 한장의 판(14)로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는 상기 접속용 정착구(1)과 동일한 구성이다.
이 경우는 접속하는 상대측의 접속부재가 두장의 판으로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의 접속용 정착구를 설치한 긴장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접속용 정착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긴장재(15)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서스펜션구조물(16)에 사용하는 것이며, 간단한 핀 접합이 될수 있도록 PC강재(17)의 양쪽단부에 접속용 정착구(1)이 설치되어 있다.
커플러(2)의 결합구멍(4)의 한쪽, 즉 후단측에는 앵커헤드(18)이 비틀려 박혀서 접속용 정착구(1)이 PC강재(17)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커플러(2)의 결합구멍(4)의 다른 쪽에는 접속부재(3)이 비틀려 박히고, 록너트(10)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PC강재(17)은 피복(sheath)(19)로 복수의 꼬인 PC강선(20)이 다발로 묶여서 형성되며, 상기 꼬인 PC강선(20)이 앵커헤드(18)에 압착그립(21)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피복(19)의 단부는 커플러(2)의 결합구멍(4)에 삽입되며, 그 외면에 감겨진 방수재(22)가 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또 앵커헤드 하면과 상기 피복선단부의 사이에는 실리콘고무등의 스페이서(23)이 끼워져 있으며, 압착그립(21)의 앞쪽으로 비틀어 박은 록플레이트(11)과 함께 꼬인 PC강선(20)의 이동으로 인한 파송을 방지하고 있다.
즉, PC강선(17)을 메다는구조물(16)등에 설치하였을 경우, 그 서스펜션구조물(16)이 바람등으로 흔들리게 되면 꼬인 PC강선에 인장력이나 압축력이 작용하여 단부가 다소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록플레이트(11)로 압착그립(21)의 선단을 누름과 동시에 피복(19)의 선단부가 앵커헤드(18)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PC강선(17)은 꼬인 PC강선에 한정되지 않으며, PC강봉이라도 좋다.
도 4는 다른 긴장재(25)를 나타낸 것이며, 접속부재(13)이 한장의 판(14)로 형성된 것 이외에는 상기 긴장재(15)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도 5의 긴장재(26)은 한끝에 두장의 판(6)으로 되는 접속부재(3)을 구비한 접속용 정착구(1)을 설치하고, 다른 끝에 한장의 판(14)로 되는 접속부재(13)을 구비한 접속용 정착구(12)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개소에 따라서 접속부재(3),(13)의 형태는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가 있다.
앵커헤드를 커플러의 결합구멍에 비틀려 박음으로서, 접속용 정착구를 긴장재의 단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접속부재를 두장의 판으로 대략 자형으로 형성하므로서 핀 접합을 용이하게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록플레이트가 긴장재의 단부를 누르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긴장재를 메다는 구조물에 사용할 때에 접합단부가 핀 접합할 수 있으므로 긴장재의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록너트에 의하여 접속부재가 커플러에서 이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긴장재의 이동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한다.
도 1의 (1) 및 (2)는 접속용 정착구의 단면도.
도 2의 (1) 및 (2)는 다른 접속용 정착구의 단면도.
도 3은 일부를 커팅한 긴장재의 평면도.
도 4는 일부를 커팅한 긴장재의 평면도.
도 5는 일부를 커팅한 긴장재의 평면도.
도 6은 서스펜션 구조물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2 접속용 정착구
2 커플러(coupler)
3, 13 접속부재
4 결합구멍(끼워맞춤 구멍)
5 암나사
6 두장의 판
7 접속핀
8 저지판
9 나사못
10 록너트(lock nut)
11 록플레이트(lock plate)
14 한장의 판
15,25,26 긴장재
16 서스펜션 구조
17 PC 강재
18 앵커헤드(anchor head)
19 피복(sheath)
20 꼬인 PC강선
21 압착 그립(grip)
22 방수재
23 스페이서

Claims (8)

  1. 앵커헤드가 비틀려 박히는 결합구멍을 구비한 커플러와, 이 커플러의 결합구멍에 비틀려 박힌 접속부재로 되며, 이 접속부재가 록너트로 커플러에 고정되며, 접속부재의 선단부에는 접속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정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접속부재는 복수의 판이 병행하여 돌출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정착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결합구멍내에는 록플레이트가 비틀려 박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정착구.
  4. PC강재의 단부가 압착그립으로 앵커헤드에 고정되며, 그 앵커헤드가 커플러에 있어서의 결합구멍의 한쪽에 비틀려 박히고, 커플러에 있어서의 결합구멍의 다른쪽에는 접속핀을 구비한 접속부재가 비틀려 박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가 록너트로 커플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복수의 판이 병행하여 돌출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결합구멍내에 있어서의 PC강재의 선단과 접속부재와의 사이에는 록플레이트가 비틀려 박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8. 제4항, 5항, 6항, 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헤드 하면의 결합구멍내에는 스페이서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KR10-1999-0010974A 1998-03-30 1999-03-30 접속용 정착구 및 긴장재 Expired - Fee Related KR100522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83537A JP2945371B1 (ja) 1998-03-30 1998-03-30 接続用定着具および緊張材
JP10-83537 1998-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398A KR19990078398A (ko) 1999-10-25
KR100522081B1 true KR100522081B1 (ko) 2005-10-18

Family

ID=1380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9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22081B1 (ko) 1998-03-30 1999-03-30 접속용 정착구 및 긴장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45371B1 (ko)
KR (1) KR1005220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3426A (zh) * 2015-09-28 2015-12-02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扣索联结器及钢桁拱桥扣索联结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7138A (zh) * 2012-07-31 2012-11-07 江苏法尔胜缆索有限公司 悬索桥抗磨损、防水型吊索结构
CN111236038B (zh) * 2020-03-09 2021-04-16 东南大学 一种新型悬索桥中央扣装置
CN112145539B (zh) * 2020-10-19 2022-05-27 曲阜华成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可脱扣的封闭式挂环安装方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93383A (en) * 1917-07-20 1919-02-04 Warren S Eaton Cable-coupling.
US1418298A (en) * 1919-12-29 1922-06-06 Thomas J Gorman Longitudinal rod adjustment
US3604361A (en) * 1969-01-21 1971-09-14 Aerial Transit Systems Inc Aerial guideway system
JPS472324Y1 (ko) * 1967-06-24 1972-01-26
US4017198A (en) * 1974-06-27 1977-04-12 H. S. Mason Pty. Limited Pivotal connection
JPS5586140U (ko) * 1978-12-11 1980-06-13
US4428100A (en) * 1982-04-16 1984-01-31 Square D Company Flip top automatic deadend
JPS604119U (ja) * 1983-06-22 1985-01-12 黒沢建設株式会社 Pc鋼線接続具
US4845814A (en) * 1987-04-13 1989-07-11 Crosby Group, Inc. Wedge socket
JPH01129189U (ko) * 1988-02-29 1989-09-04
JPH06123335A (ja) * 1992-10-08 1994-05-06 Nippon Steel Corp テンション構造における鋼棒の定着機構及び定着方法
KR970042997U (ko) * 1995-12-18 1997-07-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블 길이 조정구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93383A (en) * 1917-07-20 1919-02-04 Warren S Eaton Cable-coupling.
US1418298A (en) * 1919-12-29 1922-06-06 Thomas J Gorman Longitudinal rod adjustment
JPS472324Y1 (ko) * 1967-06-24 1972-01-26
US3604361A (en) * 1969-01-21 1971-09-14 Aerial Transit Systems Inc Aerial guideway system
US4017198A (en) * 1974-06-27 1977-04-12 H. S. Mason Pty. Limited Pivotal connection
JPS5586140U (ko) * 1978-12-11 1980-06-13
US4428100A (en) * 1982-04-16 1984-01-31 Square D Company Flip top automatic deadend
JPS604119U (ja) * 1983-06-22 1985-01-12 黒沢建設株式会社 Pc鋼線接続具
US4845814A (en) * 1987-04-13 1989-07-11 Crosby Group, Inc. Wedge socket
JPH01129189U (ko) * 1988-02-29 1989-09-04
JPH06123335A (ja) * 1992-10-08 1994-05-06 Nippon Steel Corp テンション構造における鋼棒の定着機構及び定着方法
KR970042997U (ko) * 1995-12-18 1997-07-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블 길이 조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3426A (zh) * 2015-09-28 2015-12-02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扣索联结器及钢桁拱桥扣索联结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45371B1 (ja) 1999-09-06
KR19990078398A (ko) 1999-10-25
JPH11280851A (ja)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8239B2 (en) Low profile latchable tie
US5041012A (en) Insulation piercing electrical clamp connector
US4444449A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522081B1 (ko) 접속용 정착구 및 긴장재
US5254021A (en) Electrical terminal
US6676436B2 (en) Cable connector
KR100512311B1 (ko) 지중 저압용 케이블 접속 장치
US4114262A (en) Cable connector
JP3330107B2 (ja) Pc鋼材の定着部構造およびpc鋼材の定着部における緩衝材の注入方法
US3340351A (en) Dead-end connector
JP2931587B1 (ja) 吊り構造物用ケーブル
JP4051479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牽引具およびその組立方法
PT892472E (pt) Processo e dispositivo para a ligacao de um feixe composto por filamentos a um furo ou a um casquilho
JP2000345656A (ja) Pc鋼材の圧着グリップ
JP3418297B2 (ja) 光ケーブルの端末構造
JPH10126933A (ja) 電線引留クランプ
JP2001004887A (ja) 光ファイバ用プーリングアイ
JPH026609Y2 (ko)
JPS6153492B2 (ko)
JPS5840542Y2 (ja) ジヤクデンキキノ セツゾクキグ ニオケル コ−ドノ ヌケドメ ソウチ
JP3001773U (ja) ケーブルの接続具
JPS5847781Y2 (ja) ワイヤ−金具
KR100383429B1 (ko) 케이블 다발 견인장치
JPS6146488Y2 (ko)
JPS6177284A (ja) ケ−ブル接続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11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3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