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21768B1 -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768B1
KR100521768B1 KR10-2003-0033356A KR20030033356A KR100521768B1 KR 100521768 B1 KR100521768 B1 KR 100521768B1 KR 20030033356 A KR20030033356 A KR 20030033356A KR 100521768 B1 KR100521768 B1 KR 100521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ning
skin
resveratrol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1665A (ko
Inventor
김효정
정성원
김혁
김석재
이주동
유희창
권애영
조미라
Original Assignee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프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3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768B1/ko
Priority to JP2006532062A priority patent/JP2006528239A/ja
Priority to CN2004800145838A priority patent/CN1794967B/zh
Priority to PCT/KR2004/001247 priority patent/WO2004103265A2/en
Priority to EP04773825A priority patent/EP1626702A2/en
Priority to US10/558,348 priority patent/US20070009455A1/en
Publication of KR20040101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76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1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liquid gases or supercritical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9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스베라트롤 또는 그와 병행하여 수용성 혼합 미백 조성물과 같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소량으로도 월등히 우수한 미백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 중에 또는 제품의 보관 중에 있을 수 있는 경시변화 등의 문제를 극복하고 피부에 자극이 없는 효과가 있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for a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거나 그와 병행하여 수용성 혼합 미백조성물을 더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하면서 인체를 보호하며 생화학적이고 물리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아주 중요한 조직이다. 이 조직은 크게 3가지 부분 즉,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으로 나누어진다. 사람의 피부색은 주로 피부세포 속에 함유되어 있는 멜라닌을 함유하는 멜라노좀의 숫자, 크기, 종류 및 분포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멜라노좀은 멜라닌세포에 의해 생성되며, 멜라닌은 표피에서 생성되는 검은 색소이고 멜라노사이트라는 세포에서 생산된다.
멜라닌은, 햇빛 중 자외선의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자외선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더 깊숙이 있는 세포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적게 생산되면 백반증과 같은 피부병변이 유발되고, 반대로 자외선 등에 의한 멜라닌의 과도한 합성은 피부에 손상을 줄 뿐만 아니라, 기미 및 주근깨를 형성하고 이와 같은 병변으로부터 나아가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은 나자식물 및 쌍자엽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식물체 중에서 유리상태로 존재하기도 하나, 대부분 당류와 결합된 배당체의 형태로 존재한다(Gorham, J., Prog.Phytochem.,6:203-209, 1980). 그리고 레스베라트롤은 시스형과 트랜스형이 있으며, 자연계에서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안정한 트랜스 이성질체로 존재한다(Trela, B.C. & Waterhouse, A,L.,J.Agric. Food Chem.,44(5): 1253-1257, 1996).
즉, 포도 및 특히 포도 껍질, 씨, 줄기 및 포도 잎, 특히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비티스 로툰디폴리아(rotundifolia) 및 비티스 라브루스카(labrusca) 포도, 및 두드러지게는 이들 포도로부터 얻은 포도주 및 상기 언급한 천연 산물의 추출물 및 분말에서 발견되며, 또한 다수의 폴리고눔(Polygonum)종 (폴리고나세아(Polygonaceae)과), 예를 들어 폴리고눔 쿠스피다툼(cuspidatum) 및 폴리고눔 물티플로룸(multiflorum)의 뿌리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레스베라트롤'이 의미하는 것은 트랜스-3,4,5-트리하이드록시시스틸벤(즉, 적합한 레스베라트롤) 및 시스 이성질체, 각각의 글리코사이드, 및 임의의 적합한 식물종으로부터 수득된 레스베라트롤 함유 추출물 및 분말을 나타낸다.
트랜스-레스베라트롤은 항암 (Jang M., et al., Sci., 275: 218-220, 1997) 뿐만 아니라 항혈전(Chung, M.L.et al., Planta Med., 58:274-276, 1992;Frankel, E.N.et al.,Lancet,341:1103-1104, 1993;Bertrilli,A.A.E.et al., Int.J.Tissue React., 17: 1-3, 1995;Pae-Asciak, C.R.et al., Clin. Chim. Acta., 235:207-219, 1995), 항염증(Kimura, Y.et al.,Biochim. Biophys. Acta., 834: 275-278, 1985) 및 고지혈증(Arichi, H., et al, chem.. Pharm. Bull., 30(5):1766-1770, 1982)에 예방효과가 있는 생리활성 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 트랜스-레스베라트롤은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에 대한 유사작용이 밝혀지면서, 피토에스트로겐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Gehm, B.D. et al., Proc.Nasl.Acad.Sci.,94:14138-14143, 1997). 또한 일본특허등록번호 제06336421호, 미합중국특허 제5683683호, 제5439672호, 및 제5171577호는 포도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제 조성물을 게재하고 있으며, 또한, PCT국제출원 제PCT/EP98/04223호는 레스베라트롤을 사용한 화장료를 게재하고 있으며, 이는 각질세포 증식을 억제하거나, 각질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거나, 또는 알파-하이드록시산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자극을 조절하는 화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발명들은 피부 미백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교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한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더욱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레스베라트롤 또는 그와 병행하여 수용성 혼합 미백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소량으로도 월등히 우수한 미백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 중에 또는 제품의 보관 중에 있을 수 있는 경시변화 등의 문제를 극복하고 피부에 자극이 없는 효과가 있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레스베라트롤이 0.00001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혼합 미백 조성물로서, 시트러스운스유 필 추출물, 아미노에틸포스피닉산, 왈더리안인디카잎추출물, 구아바페논, 가수분해효모수용액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시트러스운스유 필 추출물; 아미노에틸포스피닉산; 왈더리안인디카잎추출물 또는 구아바페논; 가수분해 효모수용액의 배합비가 5 : 1 : 0.3 : 2 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혼합 미백 조성물이 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0.00001 내지 2.0 중량%의 양의 레스베라트롤 또는 그와 병행하여 수용성 혼합 미백조성물(화이트제닉, 특허출원번호 10-2002-0009503호) 0.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조성물은 기존에 상용되고 있는 알부틴이나 코직산등 보다도 월등히 우수한 미백효과를 제공하며 소량으로도 월등히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레스베라트롤 단독으로 사용시 제조과정 중에 또는 제품의 보관중 있을 수 있는 경시변화 등의 문제를 극복하고 피부에 자극이 없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항산화등의 우수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화장료로 적용하기 어려웠던 레스베라트롤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수용성 혼합 미백조성물(화이트제닉)은 배합비가 5:1:0.3:2 인 시트러스운스유 필 추출물(화이트제닉 1), 아미노에틸포스피닉산(화이트제닉 2), 왈더리안인디카잎추출물(화이트제닉 3) 또는 구아바페논 중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가수분해효모수용액(화이트제닉 4)의 수용성 혼합조성물을 뜻한다.
레스베라트롤과 상기 수용성 혼합 미백조성물(화이트제닉)을 병행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레스베라트롤을 단독으로 제품 적용시보다 피부 안전성 및 제품 상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 우수한 미백효과를 제공하며, 기존의 상용되고 있는 아스코르빈산(특개평 4-9320), 하이드로퀴논(특개평 6-192062), 코직산(특개 56-7710), 알부틴(특개평 4-9315)및 일부의 추출물 보다 실제 생체 레벨과 유사한 멜라노마 B16의 멜라닌생성실험 등에서 그 효과가 기존의 미백제보다 탁월하였다.
이에 기존에 사용하기 어려웠던 레스베라트롤을 제품내 용이하게 사용함으로써 자극등의 부작용이 없는 미백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레스베라트롤 또는 그와 병행하여 수용성 혼합 미백조성물(화이트제닉)의 미백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은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먼저 멜라닌형성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티로시나제효소의 활성도 억제능과 라티칼 소거능력을 측정하여 미백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생체레벨과 유사한 멜라노마 세포 배양에 의한 저해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실제적인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레스베라트롤 단독으로 사용시 보다 수용성 혼합 미백조성물(화이트제닉)을 병행하여 사용시 발생되는 피부 안전성 확인은 피부자극성실험을 통해 성인 정상인의 피부를 대상으로 패치실험을 수행하였고 제품내 상안정성은 40℃, 4℃ 및 일광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색상변화 및 석출여부등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레스베라트롤 또는 그와 병행하여 수용성 혼합 미백조성물(화이트제닉) 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에 상업적으로 사용되어온 미백제인 알부틴, 코직산등과 비교하여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지면서 제품내 상안정성 및 피부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미백화장료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 시험
멜라닌 합성 주요 단계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 효소에 대한 저해력을 측정하여 미백능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멜라닌 합성의 주요단계에 기질로 사용되는 티로신과 머쉬룸 티로시나제 또는 멜라닌 세포로부터 분리한 티로시나제 분획을 첨가하였고 일정시간 반응시킨 후 반응생성물인 도파크롬의 흡수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원료 및 제품의 미백능력을 평가하였다.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도(%) = 100 - ((ODexp. - ODcon.)/ODstd. X 100)
ODexp.: 샘플실험값, 티로시나제 함유시 측정값
ODcon.: 샘플실험값, 티로시나제 비함유시 측정값,
ODstd.: 샘플이 없는 경우, 티로시나제 함유시 측정값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도 실험결과
샘플명 IC50 (ug/ml)
레스베라트롤 2
코직산 5
유용성 감초 추출물 > 50
상백피 파우더 > 50
비타민C > 100
알부틴 > 100
㈜수용성 혼합 미백물(화이트제닉) > 100
상백피 추출물 > 1000
포도씨 추출물 > 1000
#IC50: 티로시나제 활성을 50% 정도로 억제하는 농도(IC50 값이 작을수록 티로시나제 저해효과가 큼)
㈜ 화이트제닉1 (Sederma, France):화이트제닉2 (Exymol, Monaco):화이트제닉3 (Sero, France) 또는 구아바페논: 10% 수용액:화이트제닉4 (Sapporo, Japan) = 5:1:0.3:2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레스베라트롤 및 코직산이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에 있어서 우수한 성분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프리라디칼 소거력 테스트 시험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기위해 다음과 같이 프리라디칼 소거력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메탄올에 용해되면서 생성된 비교적 안정한 청남색 DPPH(1,1-diphenyl-2-hydrzyl) 라디칼을 소거시키면 맑은 용액으로 변하게 되고 파장 516nm에서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프리라디칼 소거력(%) = 100 - ((ODexp. - ODcon.)/ODstd. X 100
ODexp.: 샘플실험값, DPPH 함유시 측정값
ODcon.: 샘플실험값, DPPH 비함유시 측정값,
ODstd.: 샘플이 없는 경우, DPPH 함유시 측정값
프리라디칼 소거력 실험결과
샘플명 IC50 (ug/ml)
비타민C 3
레스베라트롤 10
알부틴 > 50
상백피 파우더 > 100
코직산 > 200
유용성 감초 추출물 > 250
포도씨 추출물 > 250
㈜ 수용성 혼합 미백제(화이트제닉) > 250
상백피 추출물 > 1000
#IC50: 프리라디칼이 50% 정도로 소거되는 농도(IC50 값이 작을수록 프리라디칼 소거력이 큼)
㈜ 화이트제닉1 (Sederma, France):화이트제닉2 (Exymol, Monaco):화이트제닉3 (Sero, France) 또는 구아바페논: 10% Water Soln's:화이트제닉4 (Sapporo, Japan) = 5 ;1 ;0.3 ;2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비타민C 및 레스베라트롤이 프리라디칼 소거력에 있어서 우수한 성분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 멜라닌 세포 배양을 이용한 미백 효력 시험
레스베라트롤등을 정상사람 멜라닌 형성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테스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피부 멜라닌 세포 배양을 이용한 미백 효력 시험은 하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1. 사람에서 유래된 피부 멜라닌 세포를 MGM(Melanocyte Growth Media, Clonetics사) 배지로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 유지하였다.
2. 실험을 위하여 일정한 수의 세포(2X106개)를 75T 배양 플라스크에 배양하여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후 세포 배양액에 일정한 농도의 시험 물질을 가하여 2 내지 3일 동안 배양하였다.
3. 배양액을 제거한 후 인산염완충용액(PBS)으로 세척하고 트립신 (Trypsin) 용액을 가하여 세포를 수확하였다.
4. 원심분리를 하여 세포의 펠렛(Pellet)을 얻은 후 색깔을 관찰하고 1N NaOH에 녹여 475nm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5. 멜라닌 표준물질(melanin standard)로부터 구한 흡광도를 이용하여 멜라닌 양을 계산하고 멜라닌세포의 전체 단백질양으로 값을 보정하여 단백질당 멜라닌 양으로 표시한다.
멜라노마생성 저해율(%) = [(A-B)/A] X 100
A: 대조군의 멜라닌 양 / 단백질 양
(대조군: 원료를 처리하지 않고 배양 배지에서 정상적으로 자란 멜라노 세포)
B: 각 시료를 처리한 멜라닌 양 / 단백질 양
개별적인 미백물질의 멜라닌저해율 실험결과(샘플농도:0.02%)
샘플명 멜라닌 저해율(%)
레스베라트롤 53.17
㈜ 수용성 혼합 미백제(화이트제닉) 35.00
코직산 22.62
비타민C 19.72
유용성 감초 추출물 13.20
상백피 파우더 5.1
알부틴 2.00
상백피 추출물 1.80
포도씨 추출물 1.52
㈜ 화이트제닉1 (Sederma, France):화이트제닉2 (Exymol, Monaco):화이트제닉3 (Sero, France) 또는 구아바페논: 10% 수용액:화이트제닉4 (Sapporo, Japan) = 5 ;1;0.3;2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레스베라트롤 및 수용성 혼합 미백제(화이트제닉)이 멜라닌 저해율에 있어서 우수한 성분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들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레스베라트롤의 미백효과를 안전하게 유지 및 상승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피부안전성을 보다 부드럽게, 제품 상안정성을 보다 우수하게 하면서 피부 미백효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지를 동일한 피부 멜라닌세포배양을 이용한 미백효력 실험을 실험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 화장수의 제조
하기 표 4에 나타낸 조성비로 1 내지 4항의 수상파트와 5 내지 9항의 알코올 파트를 각각 실온에서 충분히 아지믹서로 용해한 후, 알코올 파트를 서서히 수상 파트에 투입하면서 가용화 시켰다. 가용화 후 10 내지 12항의 첨가파트를 서서히 투입하여 10 내지 20분 정도 더 혼합하여 준 다음 화장수의 제조를 완성하였다.
구분 원 료 명 실시예 (중량%) 비교예 (중량%)
1 2 3 1 2 3
수상파트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수용성 혼합 미백 조성물 5.0 20.0 50.0 - - 20.0
3. 알부틴 - - - - 2.0 2.0
4. pH 조정제 0.10 0.10 0.10 0.10 0.10 0.10
알코올파트 5. 에탄올 6.0 10.0 12.0 10.0 10.0 10.0
6. 하이드록시캐스터오일POE(60) 0.5 0.8 1.5 0.8 0.8 0.8
7. 향 0.08 0.08 0.08 0.08 0.08 0.08
8. 방부제 0.10 0.10 0.10 0.10 0.10 0.10
9. 디메친콘 오일 0.2 0.3 0.2 0.3 0.2 0.2
첨가파트 10. 에탄올 2.0 5.0 20.0 5.0 - -
11. 1,3-BG 1.0 5.0 10.0 5.0 - -
12. 레스베라트롤 0.02 0.50 2.0 0.50 - -
[실시예 4 내지 5 및 비교예 4 내지 5] 에멀젼의 제조
하기 표 5에 나타낸 조성비로 1 내지 5항의 수상파트와 6 내지 10항의 유상파트를 각각 75 내지 80℃까지 가열하여 완전 용해 시킨 후, 수상 파트에 유상 파트를 서서히 투입하여 75 내지 80 ℃ 에서 호모믹서 3000 rpm으로 5분간 유화시켰다.
유화 도중 제11항인 중화제를 투입하여 중화 시켰다. 1차 유화가 끝난 후 냉각하였고, 50 내지 55 ℃ 에서 제 12 내지 16항인 향 및 첨가제 1 및 2를 투입한 뒤 호모믹서 3000 rpm으로 3분간 2차 유화한 후 냉각하여 27 내지 30 ℃에서 종료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구 분 원 료 명 실시예 비교예
4 5 4 5
수상 파트 1. 정 제 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알부틴 - - - 2.0
3. 방부제 0.20 0.20 0.20 0.20
4. 카보머 0.40 0.40 0.40 0.40
5. 잔탄검 0.10 0.10 0.10 0.10
유상파트 6.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2 2.0 2.0 2.0
7.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0 2.0 2.0 2.0
8. 하이드록시캐스터오일POE(60) 1.0 1.5 1.5 1.5
9. 세틸옥타노에이트 5.0 5.0 5.0 5.0
10. 사이크로메치콘 3.0 3.0 3.0 3.0
중화제 11. 트리에탄올아민 0.4 0.4 0.4 0.4
첨가제1 12. 향 0.12 0.12 0.12 0.12
13. 수용성 혼합 미백조성물 2.0 10.0 - -
첨가제2 14. 에탄올 1.0 5.0 5.0 5.0
15. 1,3 BG 1.0 5.0 5.0 5.0
16. 레스베라트롤 0.001 1.0 1.0 -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조성물에 대한 효능.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4] 피부 자극성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혼합 미백 조성물의 피부 자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정상인의 피부를 이용한 첩포시험(Patch test)를 수행하였다.
피부 자극 실험 결과 (Closed Patch Test(24 Hours, 20명))
시 료 자극 지수 자극도
실시예1 1.3 최소 자극
실시예2 1.0 최소 자극
실시예3 1.8 최소 자극
실시예4 0.5 최소 자극
실시예5 1.2 최소 자극
비교예1 3.5 보통 자극
비교예2 3.0 보통 자극
비교예3 2.1 온화한 자극
비교예4 2.7 온화한 자극
비교예5 3.2 보통 자극
( 자극지수 = Σ(평가기준수치 * 해당 평가수치의 인원수) X 100 )
총 피험자 * 최고평가기준수치
자극판정도 1.9 이하: 최소자극, 2.0 내지 2.9: 온화한 자극,
3.0 내지 3.9 : 보통자극, 4.0이상: 심한자극
상기 표 6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레스베라트롤과 그와 병행하여 보조제로서 수용성 혼합 미백조성물(화이트제닉)을 병행사용 할 경우 피부내 자극이 완화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상안정성 실험
본 발명에 따른 레스베라트롤 또는 그와 병행하여 수용성 혼합 미백조성물 (화이트제닉)의 상안정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상온, 40℃, 4℃ 및 일광에서의 변화를 다음의 표 7 에서 관찰하였다.
상안정성 실험
구 분 1일 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실시예2 상온
40℃
4℃
일광
실시예5 상온
40℃
4℃
일광
비교예1 상온
40℃
4℃
일광
비교예2 상온
40℃
4℃
일광
비교예4 상온
40℃
4℃
일광
비교예5 상온
40℃
4℃
일광
(◎: 변화없음, ○: 약한변색, ▲: 많이변색, 분리조짐 또는 현탁 ★: 완전변색, 분리 또는 석출)
상기 표 7에서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는 각 조건에서 빠르게 변색 또는 석출현상이 발생하는데 반하여 수용성 혼합 미백조성물(화이트제닉)이 함유된 실시예의 경우는 제품 상안정성이 유지되었다.
미백효능을 테스트하기위해 정상사람 멜라닌 형성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테스트한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6] 피부 멜라닌 세포 배양을 이용한 미백 효력 시험
미백효능을 테스트하기위해 정상사람 멜라닌 형성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하여 테스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수용성 미백물질의 배합비에 따른 멜라닌저해율
샘플명 Melanin저해율(%), 샘플농도 0.5%
실시예2 75.05
비교예1 45.26
비교예2 11.20
비교예3 26.58
[실험예 7] 인체에 대한 미백효과 임상결과
실험방법: 15명의 건강한 18세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1개월간 하루 2번씩 얼굴 안면에 도포하여 피부의 흑백정도를 색차계(미놀타 CR2002)를 사용하여 효과를 판정하였다. 색을 표시하는 데에는 L*, a*, b* 표색계를 쓰며 본실험에서는 주로 L*값(명도)을 지표로 하였다. L*값은 검정색(L*=0)으로부터 흰색(L*=100) 까지를 나타내며 시료를 도포시 L*0으로부터 한달 후 L*28의 차이로부터 ΔL*를 구하여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구분 △L*
실시예 5 15.53
비교예 5 3.35
상기 표 9에 나타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의 경우는 비교예 5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훨씬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소량으로도 월등히 우수한 미백효과를 제공할 뿐아니라 레스베라트롤 단독으로 제품 적용시 발생될 수 있는 제조과정중에 또는 제품의 보관중 있을 수 있는 경시변화등의 문제를 극복하고 피부에 자극이 없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레스베라트롤; 및
    시트러스운스유 필 추출물, 아미노에틸포스피닉산, 왈더리안인디카잎추출물, 구아바페논, 가수분해효모수용액,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이상 선택되는 수용성 혼합 미백 조성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스베라트롤이 0.00001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러스운스유 필 추출물; 아미노에틸포스피닉산; 왈더리안인디카잎 추출물 또는 구아바페논; 가수분해 효모수용액의 배합비가 5 : 1 : 0.3 :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혼합 미백 조성물이 0.1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3-0033356A 2003-05-26 2003-05-26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Expired - Lifetime KR100521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356A KR100521768B1 (ko) 2003-05-26 2003-05-26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06532062A JP2006528239A (ja) 2003-05-26 2004-05-27 レスベラトロルを含有する、美白及び抗酸化作用を有する化粧料組成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
CN2004800145838A CN1794967B (zh) 2003-05-26 2004-05-27 含有白藜芦醇的美白抗氧化化妆合成物及其制备方法
PCT/KR2004/001247 WO2004103265A2 (en) 2003-05-26 2004-05-27 Whitening and antioxidativ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resveratro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04773825A EP1626702A2 (en) 2003-05-26 2004-05-27 Whitening and antioxidativ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resveratro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0/558,348 US20070009455A1 (en) 2003-05-26 2004-05-27 Whitening and antionxidativ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resveratro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356A KR100521768B1 (ko) 2003-05-26 2003-05-26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665A KR20040101665A (ko) 2004-12-03
KR100521768B1 true KR100521768B1 (ko) 2005-10-17

Family

ID=3680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356A Expired - Lifetime KR100521768B1 (ko) 2003-05-26 2003-05-26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21768B1 (ko)
CN (1) CN179496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939B1 (ko) 2021-03-09 2021-11-17 주식회사 스마트셀랩 중간엽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4763A (zh) * 2009-04-29 2010-11-03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一种白藜芦醇柔性脂质体及其制备方法
CN102210632A (zh) * 2010-08-03 2011-10-12 江苏隆力奇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效果的护肤化妆品组合物
CN102342903B (zh) * 2011-10-18 2013-02-27 浙江康恩贝健康产品有限公司 一种护肤组合物及其在预防和延缓皮肤衰老的用途与方法
KR101480600B1 (ko) * 2013-01-22 2015-01-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스베라트롤 유도체의 피부미백 용도
CN103767884B (zh) * 2014-01-02 2016-08-17 北京桑普生物化学技术有限公司 一种天然植物防腐剂组合物
CN104644475A (zh) * 2015-03-05 2015-05-27 临沂大学 一种含有白藜芦醇、苹果多酚和植物多糖的美白膏剂
EP3851093B1 (en) 2015-08-10 2024-05-22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CN107118259B (zh) * 2017-03-28 2020-08-18 温州千瑞生物科技有限公司 活性肽以及包含其的美白霜
CN108186407B (zh) * 2018-02-24 2019-09-20 珀莱雅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抗老功效的固体分散体的制备方法
CN111035573A (zh) * 2019-12-12 2020-04-21 上海百雀羚日用化学有限公司 一种含有白藜芦醇的稳定混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6172929A (zh) * 2023-03-23 2023-05-30 植物医生(广东)生物科技有限公司 美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0780B1 (en) * 1997-07-25 2001-08-07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resveratrol
US6358517B1 (en) * 1999-10-22 2002-03-19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resveratrol and retinoids
CN1183899C (zh) * 2001-02-21 2005-01-12 杜琳 一种护肤去斑霜制剂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939B1 (ko) 2021-03-09 2021-11-17 주식회사 스마트셀랩 중간엽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665A (ko) 2004-12-03
CN1794967A (zh) 2006-06-28
CN1794967B (zh)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09455A1 (en) Whitening and antionxidativ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resveratro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2288B1 (ko) 용암해수와 탄산수, 또는 암반수를 이용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521768B1 (ko)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4770B1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617152B1 (ko) 붉나무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956557A (zh) 具有美白淡斑功效的组合物、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350083B1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H0812561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KR101149711B1 (ko) 저분자 후코이단,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가 함유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987164A (ja) 皮膚外用剤
KR101854766B1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101295336B1 (ko)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522196B1 (ko) 홍화씨유 가수분해물과 삼백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710657B1 (ko) 디하이드로퀘세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471009B1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42446B1 (ko) 매생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1986A (ko)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86933A (ko) 잘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987135A (ja) 皮膚外用剤
CN116712370B (zh) 一种温和的具有美白保湿功效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90105492A (ko)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조성물
KR20070079390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20044194A (ko) 어성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티로시나제 저해제 및 이를함유하는 미백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0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112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