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8869B1 -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869B1
KR100518869B1 KR10-2002-0088107A KR20020088107A KR100518869B1 KR 100518869 B1 KR100518869 B1 KR 100518869B1 KR 20020088107 A KR20020088107 A KR 20020088107A KR 100518869 B1 KR100518869 B1 KR 100518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guide
fixed
lcd projector
bent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8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1807A (ko
Inventor
김준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8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8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61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86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73Polarisers in the lamp hou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46Positional adjustment of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는 개구부에 편광판이 고정되는 편광판 고정부와, 상기 편광판 고정부 상측의 절곡된 부위에 형성되는 장홀이 형성되는 절곡부가 포함되는 편광판 고정 플레이트와; 광학 엔진의 상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장홀과 정렬되는 조임홀이 가공되는 마운팅 가이드와; 상기 편광판의 위치가 조정된 뒤에 상기 조임홀에 삽입되어 상기 편광판 고정 플레이트 고정되는 조임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엘씨디 프로젝터에서 최고의 콘트라스트 비를 구현하여 보다 좋은 화질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Position adjusting apparatus of polarizing panel in LCD projector}
본 발명은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의 위치를 조정하여 투사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엘씨디 프로젝터에서 액정층의 전후에 형성되는 편광판이 정확하게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프로젝터에 의해서 스크린에 입사되는 광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편광판의 위치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씨디 프로젝터는 컴퓨터, 캠코더, 디브이디(DVD) 및 브이티알(VTR) 등으로 부터 화상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대화면의 스크린에 투사시켜 각종 프리젠테이션이나 멀티미디어 교육을 할 수 있는 첨단 시청각용 영상기기이다. 또한, 프로젝터 자체가 기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프로젝션 텔레비젼으로 동작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엘씨디 프로젝터의 광학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엘씨디 프로젝터의 광학계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엘씨디 프로젝터의 광학계(100)는 백색광이 생성되는 램프(10)와, 상기 램프(10)에 의해 생성된 백색광을 모아서 일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20)과, 상기 반사경(20)을 통해 반사된 백색광의 조명면적을 엘씨디 패널(80a)(80b)(80c)의 크기에 맞추며 빛의 세기를 고르게 하는 FEL(Fly Eye Lens : 파리눈 렌즈) 렌즈(30)와, 상기 FEL 렌즈(30)에서 조정된 백색광을 반사시키는 전반사 미러(40a)(40b)(40c)(40d)와, 빛의 직진성이 보정되는 집광렌즈(50)와, 일정 색상의 빛은 통과시키고 그 외 빛은 모두 반사시키는 색 필터(60a)(60b)와, 상기 색 필터(60a)(60b)를 통과한 일정색의 빛이 다시 한번 필터링 되는 다이크로익 렌즈(70a)(70b)(70c)와, 상기 다이크로익 렌즈(70a~70c)를 통과한 일정색의 빛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엘씨디 패널(80a~80c)과, 상기 엘씨디 패널(80a~80c)에 생성된 일정색의 화상이 조합되어 완전한 화상으로 변환되는 다이크로익 프리즘(90)과, 상기 다이크로익 프리즘(90)에서 조합되어진 화상을 확대하여 스크린에 투사시키는 투사렌즈(9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다이크로익 렌즈(70a~70c)의 전면에 부착되는 제 1 편광판(71a)(71b)(71c)와, 엘씨디 패널(80a~80c)과 다이크로익 프리즘(9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편광판(81a)(81b)(81c)이 포함된다. 상기 편광판(71a~71c)(81a~81c)은 엘씨디 패널(80a~80c)에 형성되는 화상이 정확하게 투과되거나 차단되기 위하여 편광축이 상호간에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프로젝터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이 세 개의 엘씨디 패널(80a~80c)에 생성되어 있는 빨간색, 녹색, 파란색 삼색의 화상을 투과한 뒤에, 다이크로익 프리즘(90)에 의해 조합되어 완전한 화상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조합된 화상은 투사렌즈(95)를 통해 스크린에 확대된 이미지로 구현되어 사용자에게 선명하고 생동감있는 대형화면의 영상을 제공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엘씨디 프로젝터에서는 엘씨디 프로젝터의 성능지표라고 할 수 있는 휘도(면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색 대비)를 최적의 상태로 나타내주기 위해서, 조명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광학부품, 특히 한 쌍의 편광판이 수직의 얼라인(Align)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빛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엘씨디 패널(80)의 뒷쪽에 형성되는 제 2 편광판(81)은 다이크로익 프리즘(90)에 미리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엘씨디 패널(80)의 앞쪽에 형성되는 제 1 편광판(71)의 안정된 위치 고정은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다시 말하면, 제 1 편광판(71)이 제 2 편광판(81)의 편광축에 대해서 완전히 직교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편광판이 부착된 다이크로익 렌즈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다이크로익 렌즈(70)에는 일축으로의 빛만 통과시키고 나머지는 흡수하기 위하여 부착되는 제 1 편광판(71)과, 다이크로익 렌즈(70)가 광학엔진 측면의 거치 부재(1)에서 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다이크로익 렌즈(70)의 하부면을 수평하게 절단한 컷팅면(72)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거치부재(1)는 상기 다이크로익 렌즈(70)를 취부하기 위하여 바닥면에서 일정높이로 형성된 장착부(2)와, 상기 장착부(2)의 좌우측 수직면에 상기 다이크로익 렌즈(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슬라이드 홈(2a)과, 상기 다이크로익 렌즈(70)의 컷팅면(72)이 안착될 수 있는 거치부(2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편광판(71)은, 투광 방향이 제 2 편광판(81)과 직교를 유지하는 편광 방향이 렌즈의 컷팅면(72)과 일치되도록 하여 다이크로익 렌즈(70)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크로익 렌즈(70)의 하부면에 형성된 컷팅면(72)을 형성한 것은 편광판(71)의 편광방향이 다이크로익 렌즈(70)의 회전이나 요동에 의해서 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다이크로익 렌즈(70)의 하부면과 상기 다이크로익 렌즈(70)가 삽입 고정되는 거치 부재(1)의 장착부(2) 바닥면을 수평하게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거치부재(1) 내에 삽입 고정된 다이크로익 렌즈(70)의 움직임을 잡아주기 위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편광판(71)이 다이크로익 렌즈(70)의 컷팅면(72)과 평행하게 부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편광판(71)의 편광방향이 틀어지게 되어, 엘씨디 패널(80)에 제대로 빛을 투광시키지 못해 기기의 성능이 저하되어 빛의 밝기를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 즉, 콘트라스트가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편광판(71)을 제대로 붙이더라도 다이크로익 렌즈(70)의 컷팅면(72)과 맞닿는 거치부재(1)에 형성한 거치부(2b)가 수평으로 정확히 가공되지 못하면 편광방향이 제대로 얼라인(Align)되지 않는 등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씨디 패널을 중심으로 전후에 있는 각 편광판의 편광 방향이 정확히 직교를 유지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스크린에 형성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에 형성되는 화상을 관찰하며, 한 쌍의 편광판에 대한 직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편광판의 위치 조정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편광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는, 개구부에 편광판이 고정되는 편광판 고정부와, 상기 편광판 고정부 상측의 절곡된 부위에 형성되는 장홀이 형성되는 절곡부가 포함되는 편광판 고정 플레이트와; 광학 엔진의 상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장홀과 정렬되는 조임홀이 가공되는 마운팅 가이드와; 상기 편광판의 위치가 조정된 뒤에 상기 조임홀에 삽입되어 상기 편광판 고정 플레이트 고정되는 조임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에 의해서, 정확하게 편광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조정된 편광판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빛의 진행방향을 기준하여 엘씨디 패널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 2 편광판의 위치가 일정 정도 틀어진다고 할 지라도, 제 1 편광판의 위치를 일정 정도 이상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쌍의 편광판이 상호간에 보다 정확하게 수직을 이루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시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바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는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위치 조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는 빛의 진행 방향에서 엘씨디 패널의 전방에 있는 제 1 편광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데, 본 발명의 주된 구성은 편광판이 지지되는 편광판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편광판 고정플레이트가 광학엔진에 놓이기 위한 가이드부로 구성된다.
상세하게, 편광판 고정 플레이트(130)는 편광판(151)이 부착되는 소정의 렌즈(150)와, 상기 렌즈(150)가 고정되는 편광판 고정부(131)와, 상기 편광판 고정부(131)의 대략 중앙부에 개구되어 상기 렌즈(150)가 놓이는 개구부(132)와, 상기 개구부(132)의 테두리에 다수 형성되는 전면돌기(133) 및 후면돌기(134)와, 상기 편광판 고정부(131)의 상측에서 절곡되는 절곡부(135)의 연장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장홀(136)과, 상기 장홀(136)의 후방에 더 형성되는 위치 가이드(137)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장홀(136)의 내부에 삽입되어 편광판 고정플레이트(1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조임부재(140)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장홀(136) 및 위치 가이드(137)가 형성되는 절곡부(135)는 상하로 완만하게 휘어져 소정의 곡률을 이룬다.
상세하게, 상기 가이드부(110)는 광학엔진의 상면(115)에 융기되어 형성되는 마운팅 가이드(116)와, 상기 마운팅 가이드(116)의 상면에 대략 앞쪽에 형성되는 조임홀(117)과, 상기 조임홀(117)의 뒷쪽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 가이드(137)에 삽입되어 놓이는 가이드 돌기(118)가 포함된다. 그리고, 광학엔진의 측면(120)에는 상기 편광판 고정 플레이트(130)의 하단 양측이 전후로는 움직이지 않고, 좌우로만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측 가이드(122) 및 하측 삽입홀(12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광학엔진의 상면(115)은 광학엔진부의 위를 덮는 상측 케이스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렌즈(150)는 조명계에 적용되는 다이크로익 렌즈가 아닌 별도의 편광판(151) 부착용 투명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다이크로익 렌즈가 사용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광축의 신뢰성또는 제작의 편의를 위하여 별도의 렌즈가 사용된다. 또한, 열을 흡수하는 편광판(151)의 성질에 기인한 냉각을 위해서도 별도의 렌즈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면 돌기(133)는 상기 렌즈(150)의 앞쪽 면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측에 한개와 하측에 두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돌기(134)는 상측 및 하측에 각 두개와, 양측면에 각 하나씩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렌즈(150)의 개구부(132) 전후에서 빠지지 않으면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렌즈(150)가 전면돌기(133) 및 후면돌기(134)에 위치 고정된 뒤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133)(134)에 본딩액이 주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일단 고정된 렌즈(150)는 요동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본딩액이 주입되는 돌기는 상측에 형성되는 전면 돌기(133)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편광판 고정부(131)의 하단 양측은 모따기되어 상기 하측 삽입홀(122)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편광판 고정플레이트(130)가 좌우로 일정한 각도(20도의 범위)로 움직이는데 장애로 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장홀(136)의 내부에는, 적어도 장홀(136)의 폭보다는 직경이 큰 머리부가 포함되는 조임부재(140)가 삽입된다.
상기 마운팅 가이드(116)은 그 상면이 완만하게 휘어져 일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하여 편광판 고정플레이트(130)의 절곡된 부위와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편광판 고정플레이트(130)가 상기 마운팅 가이드(116)를 따라서 좌우로 원활히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홀(117)은 상기 조임부재(140)가 삽입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임부재(140)가 삽입된 뒤에 조임부재(140)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운팅 가이드(116)의 상면에 관통될 뿐만 아니라, 관통된 하측에 일정의 보스가 형성되어 조임부재(140)의 삽입된 외주가 전부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118)에 있어서는 폭은 상기 위치 가이드(137)의 폭과 일치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하고, 길이는 폭에 비하여 약간 정도 길게 함으로써, 가이드 돌기(118)가 상기 위치 가이드(137)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설명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편광판(151)은 렌즈(150)에 부착된 뒤에, 전면돌기(133) 및 후면돌기(134)에 의해서 그 전후면이 가이드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돌기(133)(134)에는 본딩액이 주입되어 렌즈(150)가 요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렌즈(150)가 고정된 상기 편광판 고정플레이트(130)는 상기 가이드부(110)에 장착되는데, 상세하게 상기 편광판 고정플레이트(130)가 장착되는 중에, 상기 가이드 돌기(118)는 상기 위치 가이드(137)에 삽입 형성되고, 상기 조임홀(117) 및 상기 장홀(136)은 일렬로 정렬되어 정렬된 조임홀(117) 및 장홀(136)에 조임부재(14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편광판 고정부(131)의 하단 양측은 상기 하측 삽입홀(121)에 놓여진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상기 편광판 고정플레이트(130)가 가이드부(110)에 놓여지게 됨으로써, 편광판 위치 고정 장치가 형성된다.
도 4에서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은 고정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부(110)에 편광판 고정플레이트(130)가 놓여 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편광판 고정플레이트(130)가 가이드부(110)에 놓인 뒤에는, 화면을 관찰하면서 편광판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프로젝터를 일정한 시간 동안 동작시키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위치 조정 장치의 동작을 보이고 있다.
도 5는 제 1 편광판이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보이고 있는 도면으로서, 이러한 경우는 엘씨디 패널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 2 편광판의 형성 방향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엘씨디 패널의 전방에 있는 제 1 편광판 또한 반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편광판의 편광축이 정확하게 수직관계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제 1 편광판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있는 도면으로서, 이러한 경우는 엘씨디 패널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 1 편광판의 형성 방향 또한 시계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 1 편광판이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은, 마운팅 가이드(116)가 상하로 소정의 곡률로 휘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장홀(136)이 형성되는 절곡부(135)가 소정의 곡률로 휘어져 있기 때문이며, 상기 곡률이 조정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개선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편광판(151)의 위치를 조정하는 동작은, 프로젝터를 동작시킨 상태에서 스크린에 투사되는 화상을 보면서 조정하게 되는데, 엘씨디 패널을 투과한 빛이 블랙으로 되어야 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콘트라스트 비가 가장 크게 되는 상태, 즉 가장 어두운 상태로 제 1 편광판(151)을 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고정되도록 한다.
제 1 편광판(151)을 회전시키는 중에 비교적 밝게 나오는 블랙의 경우는, 제 1 편광판(151) 및 제 2 편광판의 편광축이 완전하게 직교를 이루지 않은 경우로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 1 편광판(151)을 회전하면서, 정확하게 직교를 이루게 되는 편광축으로 제 1 편광판(151)을 회전하여 직교상태를 찾게 된다.
한편, 상기 하측 가이드(122)는 제 1 편광판(151)을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정하는 중에, 렌즈(150)가 앞쪽이나 뒷쪽(지면 아래쪽이나 뒷쪽)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 1 편광판(151)의 정렬상태가 앞뒤로 흐트러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가이드 돌기(118)와 위치 가이드(137)는, 조임부재(140)가 이탈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편광판 고정플레이트(130)가 좌우로만 움직이도록 하여 작업자가 편광판의 위치를 조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편의를 증진시킨다.
또한, 제 1 편광판(151)의 각도가 맞추어진 뒤에는, 조임 부재(140)를 조임홀(117)에 삽입하여 편광판 고정플레이트(1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세하게, 조임부재(140)의 몸체는 상기 조임홀(117)의 내부로 삽입되고, 머리부는 상기 장홀(136)의 상측면에 걸리게 함으로써, 조임부재(140)에 의해서 편광판 고정플레이트(130)가 강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제 1 편광판(151)의 각도 조정이 완전히 이루어져 조임부재(140)가 삽입 고정된 뒤에는, 상기 조임부재(140)의 인접 위치에 본딩액을 주입하고, 고착시킴으로써 계속되어 가해지는 약한 진동 등에 의해서 편광판(151)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가 적녹청 삼색의 엘씨디 패널의 전방에 각각 형성되어, 각 색에 대한 콘트라스트 비를 최적의 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엘씨디 패널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 2 편광판의 설치 각도가 작업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설치되어, 일정 정도 회전되어 놓여지는 경우에도, 기기를 해체할 필요 없이, 엘씨디 패널의 전방에 형성되는 본 발명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를 조정함으로써, 최적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엘씨디 프로젝터에서 최고의 콘트라스트 비를 구현하여 보다 좋은 화질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의 진행 과정에서 엘씨디 패널의 전후에 형성되는 두개의 편광판을 작업의 최종 과정에서 다시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제작 과정 중에 작업자의 수고를 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씨디 프로젝터의 광학계통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종래 편광판이 부착된 다이크로익 렌즈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의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위치 조정 장치의 동작을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가이드부 115 : 광학엔진의 상면 116 : 마운팅 가이드
117 : 조임홀 118 : 가이드 돌기 120 : 광학엔진의 측면
121 : 하측 삽입홀 122 : 하측 가이드
130 : 편광판 고정 플레이트 131 : 편광판 고정부
132 : 개구부 133 : 전면돌기 134 : 후면돌기
135 : 절곡부 136 : 장홀 137 : 위치 가이드
140 : 조임부재 150 : 렌즈 151 : 편광판

Claims (8)

  1. 편광판이 고정되는 편광판 고정부와, 상기 편광판 고정부 상측의 절곡된 부위에 장홀이 형성되는 절곡부가 포함되는 편광판 고정 플레이트와;
    광학 엔진의 상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장홀과 정렬되는 조임홀이 가공되는 마운팅 가이드와;
    상기 편광판의 위치가 조정된 뒤에 상기 조임홀에 삽입되어 상기 편광판 고정 플레이트 고정되는 조임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가이드 및 상기 절곡부는 소정의 곡률로 상하로 휘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개구부 외주의 돌기에 의해서 위치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기에 본딩액이 주입되어 견고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가이드는 상기 광학엔진의 상면으로부터 융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가이드의 상면에서 더 융기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와 정렬되어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절곡부에 더 형성되는 위치 가이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서 길게 형성되는 위치 가이드와,
    상기 마운팅 가이드의 상면에서 융기되어 상기 위치 가이드와 폭은 일치하거나 작고, 길이는 폭에 비하여 더 큰 가이드 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의 인접 위치에는 상기 편광판의 위치가 조정된 뒤에, 본딩액이 주입되어 강하게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
  8. 개구부에 편광판이 고정되는 편광판 고정부와, 상기 편광판 고정부 상측의 절곡된 부위에 형성되는 위치 가이드가 형성되는 절곡부가 포함되는 편광판 고정 플레이트와;
    광학 엔진의 상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 가이드와 정렬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마운팅 가이드와;
    상기 마운팅 가이드와 접하는 절곡부가 움직여, 편광판 고정플레이트의 각도가 조정된 뒤에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마운팅 가이드에 조임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홀에 체결되는 조임부재에 편광판 고정 플레이트의 장홀이 개재되는 고정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
KR10-2002-0088107A 2002-12-31 2002-12-31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18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107A KR100518869B1 (ko) 2002-12-31 2002-12-31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107A KR100518869B1 (ko) 2002-12-31 2002-12-31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807A KR20040061807A (ko) 2004-07-07
KR100518869B1 true KR100518869B1 (ko) 2005-10-04

Family

ID=3735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810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8869B1 (ko) 2002-12-31 2002-12-31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8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1938B2 (ja) * 2003-11-10 2008-08-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KR100677964B1 (ko) * 2005-08-05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시스템의 엘코스 패널 어셈블리 및 그 어셈블리의화면정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807A (ko)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7353A (en) Pixel compensated electro-optical display system
EP1505840A2 (en) Lens shift mechanism and projection type video display
US5706062A (en) Projector system including keystone correction
JP2945863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US7055970B2 (en) Optical apparatus and projector
EP1424858A2 (en) Color wheel fixing
KR100518869B1 (ko) 엘씨디 프로젝터의 편광판 위치 조정 장치
US5758941A (en) Pixel compensated electro-optical display system
US72379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jection type display
JPH06180444A (ja) 透過型液晶パネル、レンズアレイ及び投写形液晶表示装置
US20120229771A1 (en) Projector and image display system
US6494583B2 (en) Mirror adjustment mechanism for liquid crystal projector
KR100373934B1 (ko) 액정 빔 프로젝터용 액정 얼라인 장치
JP3288691B1 (ja) 遮光マスク
KR100842957B1 (ko) Lcd 프로젝터의 다이크로익 렌즈 고정구조
KR100813733B1 (ko) 프로젝션 시스템의 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위치 조정 방법
KR100426699B1 (ko) Lcd 프로젝터 광학엔진의 fel 위치 조정 장치
KR100443614B1 (ko) 화면정합을 위한 프로젝터의 합성계부 결합구조
JP3225243B1 (ja) 遮光マスク
JP3177365B2 (ja) 液晶プロジェクタの液晶パネルの調整機構
CN1632692A (zh) 液晶投影仪的偏光板位置调整装置
KR100662134B1 (ko) 투사형 영상 표시장치의 광 필터 고정장치
KR100587325B1 (ko) Lcd 프로젝터의 광학엔진
US7862180B2 (en) Optical system for image projection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3070180B2 (ja) 液晶表示パネルの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