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8434B1 -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434B1
KR100518434B1 KR10-2002-0068076A KR20020068076A KR100518434B1 KR 100518434 B1 KR100518434 B1 KR 100518434B1 KR 20020068076 A KR20020068076 A KR 20020068076A KR 100518434 B1 KR100518434 B1 KR 100518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downlink control
transmitting
antenna
transmit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9849A (ko
Inventor
심동희
김봉회
서동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434B1/ko
Publication of KR20040039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43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각각의 데이터가 서로 다른 제어 신호를 가지면서 전송될 때, 각 송신 안테나에 대한 상기 제어 신호가 하나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MIMO 시스템에서 각 송신 안테나마다 변조 방식 및 OVSF 코드에 대한 정보가 다를 경우 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효율적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기존의 HSDPA에서 사용하는 제어 채널과 유사하게 함으로써 기존 기술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각 안테나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하나의 패킷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나 여러 개의 패킷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나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transmission method of downlink control signal for MIMO system}
본 발명은 다수의 안테나를 송신단과 수신단에서 공히 사용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 분야에서는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이 단일 안테나 시스템, 즉 단일 안테나 대 단일 안테나 또는 단일 안테나 대 다수 안테나 시스템에 비해 크게 개선된 능력을 달성할 수 있다고 잘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개선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풍부한 산란 환경이 존재하여 다수의 수신 안테나에 도달하는 여러 신호들이 별반 상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신호들이 어느 정도 상관을 가짐에도 그러한 상관이 무시되는 경우에는 그 성능이 저하되고 능력이 감소된다. 이하 종래의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MIMO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의 종래 기술의 하나인 Vertical Bell Laboratories Layered Space Time (V-BLAST)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의 종래 기술의 하나인 Vertical Bell Laboratories Layered Space Time (V-BLAST)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V-BLAST 도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기술인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일종이므로, 송신단에서 M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며, 수신단에서 N개의 안테나를 사용한다. 단 이 경우 때 N ≥ M 이라는 제한이 전제된다.
상기 송신단에서는 송신될 데이터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각 송신 안테나에서 각각 따로 전송하기 위하여 송신 데이터(11)들에 대해 Vector Encoder(10)를 거치며 (즉 Vector Encoder는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각 안테나에서 병렬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Serial-to-Parallel 회로를 거치는 것이다) 각 안테나에서 다른 신호들이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안테나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변조(modulation) 방식 및 채널화 코드의 수는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채널화 코드는 OVSF 코드와 같이 직교 특성을 갖는 코드를 말한다.
이것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12)를 사용하는 경우에 별도의 신호 처리나 Space-Time Code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다른 안테나에서 각각 다른 신호가 송신되도록 하는 것으로, 다시 말하면 송신단에서는 송신 품질 향상을 위해서 별도의 신호처리를 거치지 않는 것이 된다.
즉, 송신단에서는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각각 다른 안테나에서 다른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고 수신단에서 별도의 알고리즘을 사용해 송신단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단에서 여러 안테나로 수신하여 송신단의 각각 다른 안테나에서 다르게 전송된 신호를 적절히 검출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수신단의 V-BLAST 수신단의 신호처리기(18)는 바로 M개의 안테나에서 각각 다르게 송신된 신호를 수신단에서 검출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V-BLAST 시스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V-BLAST 시스템의 송신단에서는 송신 각 안테나에서 별도의 신호 처리나 Space-Time Code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다른 안테나에서 각각 다른 신호가 송신되도록 한다.
이 때, 각 안테나마다 변조 또는 OVSF 코드와 같은 채널화 코드의 수 등은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송신단 안테나에서 전송되는 하향 링크(down link)의 채널 상태를 알고 있다면, 채널 상태가 좋은 안테나에 대해서는 QAM 변조방식과 높은 코딩율(coding rate)의 데이터를 보내기 위하여 많은 OVSF 코드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반해 채널 상태가 좋지 않다면, QPSK 변조방식과 낮은 코딩율의 데이터를 적은 수의 OVSF 코드를 사용하여 전송하게 된다.
결국, 상기 송신단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순히 각각 다른 안테나에서 각각의 다른 신호가 각각의 변조 또는 OVSF 코드 수를 다르게 하여 전송되도록 처리 하며, 수신단에서 각각 송신 안테나에서 다르게 전송된 신호를 적절한 신호처리를 통해 검출한다.
또한, 상기 수신단에서의 적절한 신호처리를 설명하면, 특정 송신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검출할 때 다른 송신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간섭 신호로 취급하여 수신단의 수신 어레이 안테나의 웨이트 벡터를 각 송신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 각각에 대해서 계산함과 동시에 먼저 검출된 신호의 수신단에서의 영향을 제거하는 벙법을 사용한다. 이와 아울러 각 송신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들 중 신호 대 간섭 잡음비가 큰 순서대로 검출하도록 하는 방법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각 송신 안테나마다 변조 및 코딩율, OVSF 수가 다를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정보를 하향 링크를 통해서 단말기에 전송해야 한다.
기존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시스템에서는 HS-SCCH(HSDPA-Shared Control Channel)를 통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HSDPA의 경우, MIMO시스템과 같이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 시스템 구성을 가정하지 않기 때문에 안테나 하나에 대한 정보만 HS-SCCH를 통하여 전송하면 된다.
이에 반해 MIMO시스템의 경우에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마다 변조, 코딩율, OVSF 코드 수 등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안테나에 대한 제어 신호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각 송신 안테나마다 변조 방식 및 OVSF 코드에 대한 정보가 다를 경우 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효율적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각각의 데이터가 서로 다른 제어 신호를 가지면서 전송될 때, 각 송신 안테나에 대한 상기 제어 신호가 하나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는 각 송신 안테나에서의 서로 다른 변조 방식 및/ 또는 채널화 코드 수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채널화 코드는 OVSF 코드와 같이 직교 특성을 갖는 코드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은 상기 송신 안테나의 수만큼 구간이 나뉘어 있으며, 상기 구간마다 각 송신 안테나의 제어정보가 할당되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의 각 구간은 각 송신 안테나의 변조 방식에 대한 비트가 할당되는 필드 및 채널화 코드에 대한 비트가 할당되는 필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조방식이 수가 X인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제어신호로 log2X 값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중 최소값에 대한 비트수가 할당되며, 상기 채널화 코드에 대한 비트는 채널화 코드 트리에서 채널화 코드가 할당되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나타내는 비트가 할당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특정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특정 송신 안테나의 채널화 코드 정보에 대한 비트가 할당됨에 있어 송, 수신단에서 약속한 임의의 값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각각의 데이터가 서로 다른 제어 신호를 가지면서 전송될 때, 각 송신 안테나에 대한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다수의 송신 안테나 수에 해당하는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들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는 각 송신 안테나에서의 서로 다른 변조 방식 및/ 또는 채널화 코드 수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채널화 코드는 OVSF 코드와 같이 직교 특성을 갖는 코드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들은 각 송신 안테나의 제어정보가 각각 할당되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은 각 송신 안테나의 변조 방식에 대한 비트가 할당되는 필드 및 채널화 코드에 대한 비트가 할당되는 필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조방식이 수가 X인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제어신호로 log2X 값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중 최소값에 대한 비트수가 할당되며, 상기 채널화 코드에 대한 비트는 채널화 코드 트리에서 채널화 코드가 할당되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나타내는 비트가 할당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특정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특정 송신 안테나의 채널화 코드 정보에 대한 비트가 할당됨에 있어 송, 수신단에서 약속한 임의의 값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의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이하 'HSDPA')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채널 구조를 살펴보도록 한다.상기 HSDPA는, 차세대 비동식 이동통신 시스템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이하 'UMTS')통신시스템에서 순방향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순방향 데이터 채널인 HSDPA 하향 공유 채널(HSDPA-Downlink Shared Channel : 이하 'HS-DSCH')과 이와 관련된 제어 채널 즉, HSDPA 공유 제어 채널(HSDPA-Shared Control Channel : 이하 'HS-SCCH')들을 포함한 데이터 전송방식을 총칭한다.
이러한 상기 HSDPA는 기존의 패킷 데이터(packet data) 서비스를 빠르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음성을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으로 변경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도 빠르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여러 기능 즉, 적응적 변조방식 및 코딩(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 이하 'AMC'), 혼합 자동 재전송 요구(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 이하 'HARQ') 등이 요구되는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AMC는 이동국에서 수신된 신호특성(Signal Quality)과 채널 조건(Channel Condition) 등에 따라 전송되는 신호의 변조(modulation)와 코딩율(coding rate)을 변경하는 방법이다. 즉, 기지국과 가까운 이동국에 대해서는 보다 높은 변조 및 코딩율을 할당하고, 기지국과 거리가 먼 이동국에 대해서는 보다 낮은 변조 및 코딩율을 할당하는 방법이다. 이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양과 무선 환경에 따라 송신측에서 데이터의 변조와 코딩 방식을 변화하는 방식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변조방식은 4, 16 QAM이다.
또한, 상기 HARQ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하나는 Chase combining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IR(Incremental Redundancy) 방식이다. 이는 수신 데이터에 오류가 있을 경우 재전송하는 ARQ 기능에 FEC(Forward Error Correction) 기능을 포함한 방식으로 HSDPA에서 고려하고 있는 ARQ 방식은 IR 방식이다.
상기 이러한 기술들을 적용하기 위하여 HSDPA 시스템은 HS-DSCH 채널 외에 추가적으로 제어 채널(Control Channel)들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채널 들로는 HSDPA의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채널 즉, HS-SCCH 채널을 포함하여야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HSDPA 시스템의 채널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21은 순방향 공통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 이하 'DSCH')의 타임 슬롯 포맷(time slot format)에서 한 타임 슬롯을 나타낸다.
일반적인 HSDPA 시스템의 채널구조는 HSDPA 하향 공유 채널인 HS-DSCH(22)과 이와 관련된 제어 채널 즉, HSDPA 공유 제어 채널인 HS-SCCH(23)로 구성된다. 이러한 순방향 채널 HS-DSCH(22)와 HS-SCCH(23)는 slot boundary가 맞추어진 상태로 전송되지 않고, 상기 HS-SCCH(23)는 항상 HS-DSCH(22)와 1 slot 만 겹쳐서 전송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HS-SCCH(23) 3 slot 중 뒤의 1 slot과 상기 HS-DSCH(22) 3 slot 중 앞의 1 slot 만이 중첩되어 전송되는 것이며, 결국 항상 HS-SCCH(23)가 HS-DSCH(22)보다 먼저 전송된다.
또한, 상기 HS-DSCH(22)는 현재 비동기 부호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DSCH가 그대로, 또는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HSDPA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채널이다. 상기 HS-DSCH(22)을 통해서는 순수한 데이터들만 전송되며 반면에 상기 HS-SCCH(23)는 상기 HS-DSCH(22)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이다.
결국, 상기와 같은 HSDPA 시스템에서는 상기 AMC 방식 적용에 의해 결정되는 변조 및 코딩율에 대한 정보를 HS-SCCH(23) 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HSDPA의 경우, MIMO시스템과 같이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 시스템 구성을 가정하지 않기 때문에 안테나 하나에 대한 정보만 HS-SCCH(23)를 통하여 전송하면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다수의 안테나를 송신단과 수신단에서 공히 사용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 즉, MIMO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송신 안테나에서 각각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해 개별적을 적용되는 변조 및 코딩율 등의 제어정보를 하나 또는 다수개의 채널로 송부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해서 상기 HSDPA의 하향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HS-SCCH와 유사하게 전송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우선 M개의 송신 안테나, N개의 수신 안테나(단, M≤N)를 가진 MIMO 시스템을 가정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가정하는 시스템은 신호를 송신단에서 전송하는데 있어서 각 안테나마다 전송되는 패킷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붙여서 각각 전송되거나, 하나의 CRC가 있는 패킷이 여러 개의 안테나로 나뉘어 전송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여기서, CRC는 데이터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하기 위하여 순환 2진 부호를 사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본 발명에 의한 MIMO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MIMO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으며, 종래의 MIMO 시스템과 구별되는 점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마다 변조방식, 코딩율(coding rate), OVSF 코드 수 등의 제어신호를 다르게 설정하여 전송하는 경우 이를 위해 특정한 제어 채널을 이용한다는 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MIMO시스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MIMO 시스템에 있어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M개의 송신 안테나와, N개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송신단에서는 송신될 데이터 즉,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각 송신 안테나에서 각각 따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들에 대해 Vector Encoder를 거쳐 M개의 데이터로 나누며 이를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안테나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변조(modulation) 및 채널화 코드의 수는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채널화 코드는 OVSF 코드와 같이 직교 특성을 갖는 코드를 말한다.
또한, 상기 송신 안테나마다 변조방식 및 OVSF 코드 수는 기지국의 스케줄러에서 결정되고, 상기 각 송신 안테나는 서로 다른 변조 방식 및 OVSF 코드 수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변조방식 및 OVSF 코드 수와 같은 제어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HSDPA의 하향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HS-SCCH와 유사하게 전송하며, 이는 도 3에 도시된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30)과 같이 M개의 제어정보를 상기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30)을 통해 전송한다. 단, 이 때 상기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30)은 하나만 형성되어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각 송신 안테나마다 결정된 변조 방식 및 OVSF 코드 수를 상기 하나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30)을 통해 전송하는 것은, 상기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30)에 대해 상기 송신 안테나의 수만큼 그 구간(31)을 정하고 그 각각의 구간(31)마다 각 송신 안테나의 변조 방식 및 OVSF 코드 수 등의 제어정보를 할당하여 전송함으로써 각 안테나의 상기 제어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변조 방식이 QPSK 또는 16QAM으로만 구분할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제어신호로 1비트를 할당하며, 또한 OVSF 코드 수는 그 확산인자(spreading factor)가 16일 때, 최대 15개 까지 할당 가능하므로 OVSF 코드 트리(tree)에서 OVSF 코드가 할당되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나타낼 수 있도록 비트를 할당하여 전송함으로써 각 안테나의 상기 제어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30)의 각 구간은 변조 방식에 대한 비트가 할당되는 필드(field)(A)와, OVSF 코드에 대한 비트가 할당되는 필드(field)(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변조방식이 수가 X인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제어신호는 log2X 값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중 최소값에 대한 비트수를 할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MIMO시스템에서 각 송신 안테나마다 변조 방식 및 OVSF 코드 수가 다를 수 있으므로 어떤 안테나에는 채널 상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이를 나타내기 위해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을 통해 현재 어느 안테나에서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단말기에 알려줄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이에 대한 정보는 별도로 특별히 비트를 할당하지 않고 OVSF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필드(B)에 '00..00'과 같이 사전에 송, 수신단에서 약속된 비트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로 전송되는 제어정보의 양을 증가시키지 않고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MIMO시스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도 3과 비교하여 볼 때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을 통해 각각의 송신 안테나에서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점에서 동일하나,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이 하나가 아닌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이 때, 상기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들(40)은 상기 송신 안테나의 수에 해당하는 수 만큼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각 송신 안테나에서의 서로 다른 변조 방식 및 OVSF 코드 수에 대한 제어정보가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각 송신 안테나마다 결정된 변조 방식 및 OVSF 코드 수를 상기 송신 안테나의 수와 같은 수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40)을 통해 전송하는 것은, 상기 각각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40)에 대해 각 송신 안테나의 변조 방식 및 OVSF 코드 수 등의 제어정보를 할당하여 전송함으로써 각 안테나의 상기 제어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각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각 송신안테나에 있어서 그 변조 방식이 QPSK 또는 16QAM으로만 구분할 경우에 이에 대한 제어신호로 1비트를 할당하며, 또한 OVSF 코드 수는 그 확산인자(spreading factor)가 16일 때, 최대 15개 까지 할당 가능하므로 OVSF 코드 트리(tree)에서 OVSF 코드가 할당되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나타낼 수 있도록 비트를 할당하여 전송한다.
즉, 상기 각각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은 변조 방식에 대한 비트가 할당되는 필드(field)(A)와, OVSF 코드에 대한 비트가 할당되는 필드(field)(B)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변조방식이 수가 X인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제어신호는 log2X 값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중 최소값에 대한 비트수를 할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MIMO시스템에서 각 송신 안테나마다 변조 방식 및 OVSF 코드 수가 다를 수 있으므로 어떤 안테나에는 채널 상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이를 나타내기 위해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40)을 통해 현재 어느 안테나에서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단말기에 알려줄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지 않는 특정 송신 안테나에 대한 특정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에 있어서, 이에 대한 정보는 별도로 특별히 비트를 할당하지 않고 OVSF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필드에 '00..00' 과 같이 사전에 송, 수신단에서 약속된 비트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로 전송되는 제어정보의 양을 증가시키지 않고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채용된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단에서 전송하는데 있어서 각 안테나마다 전송되는 데이터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붙여서 각각 전송되거나, 하나의 CRC가 있는 데이터가 여러 개의 안테나로 나뉘어 전송되는 경우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에 의하면, MIMO 시스템에서 각 송신 안테나마다 변조 방식 및 OVSF 코드에 대한 정보가 다를 경우 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효율적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기존의 HSDPA에서 사용하는 제어 채널과 유사하게 함으로써 기존 기술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각 안테나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하나의 패킷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나 여러 개의 패킷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나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의 종래 기술의 하나인 Vertical Bell Laboratories Layered Space Time (V-BLAST)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HSDPA 시스템의 채널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MIMO시스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MIMO시스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HS-DSCH 23 : HS-SSCH
30, 40 :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
31 : 각 송신안테나에 대응하는 구간

Claims (12)

  1. 다수의 송신 안테나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각각의 데이터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서로 다른 다수의 제어신호가 하나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은 다수 구간으로 나뉘어 지며, 상기 구간마다 각 송신 안테나의 제어정보가 할당되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각 송신 안테나에서의 서로 다른 변조 방식 및/ 또는 채널화 코드 수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화 코드는 OVSF 코드와 같이 직교 특성을 갖는 코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의 각 구간은 각 송신 안테나의 변조 방식에 대한 비트가 할당되는 필드 및 채널화 코드에 대한 비트가 할당되는 필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방식이 수가 X인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제어신호로 log2X 값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중 최소값에 대한 비트수가 할당되며, 상기 채널화 코드에 대한 비트는 채널화 코드 트리에서 채널화 코드가 할당되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나타내는 비트가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특정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특정 송신 안테나의 채널화 코드 정보에 대한 비트가 할당됨에 있어 송, 수신단에서 약속한 임의의 값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
  7. 다수의 송신 안테나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각각의 데이터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서로 다른 다수의 제어신호가 상기 다수의 송신 안테나 수에 해당하는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들을 통해 전송되는 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들에는 각 송신 안테나의 제어정보가 각각 할당되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각 송신 안테나에서의 서로 다른 변조 방식 및/ 또는 채널화 코드 수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화 코드는 OVSF 코드와 같이 직교 특성을 갖는 코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 채널은 각 송신 안테나의 변조 방식에 대한 비트가 할당되는 필드 및 채널화 코드에 대한 비트가 할당되는 필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방식이 수가 X인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제어신호로 log2X 값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중 최소값에 대한 비트수가 할당되며, 상기 채널화 코드에 대한 비트는 채널화 코드 트리에서 채널화 코드가 할당되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나타내는 비트가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특정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특정 송신 안테나의 채널화 코드 정보에 대한 비트가 할당됨에 있어 송, 수신단에서 약속한 임의의 값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출력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 전송방법.
KR10-2002-0068076A 2002-11-05 2002-11-05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전송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18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076A KR100518434B1 (ko) 2002-11-05 2002-11-05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076A KR100518434B1 (ko) 2002-11-05 2002-11-05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849A KR20040039849A (ko) 2004-05-12
KR100518434B1 true KR100518434B1 (ko) 2005-09-29

Family

ID=3733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0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8434B1 (ko) 2002-11-05 2002-11-05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4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858B1 (ko) * 2002-12-04 2006-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신호송수신방법
KR100909539B1 (ko) * 2004-11-09 2009-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다양한 다중안테나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9096730A1 (en) * 2008-01-30 2009-08-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962A (ko) * 1999-02-11 2000-09-15 서평원 이티에스아이 시스템의 적응 빔 형성 방법
JP2001036442A (ja) * 1999-07-15 2001-02-09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送信装置および無線受信装置
WO2001071928A2 (en) * 2000-03-22 2001-09-27 Qualcomm Incorporated High efficiency,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s system employing multi-carrier modulation
KR20020079881A (ko) * 2000-12-21 2002-10-1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기지국 장치, 통신 단말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040035505A (ko) * 2002-10-22 2004-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에스/시디엠에이 미모 안테나 시스템에서 보다 나은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한 전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962A (ko) * 1999-02-11 2000-09-15 서평원 이티에스아이 시스템의 적응 빔 형성 방법
JP2001036442A (ja) * 1999-07-15 2001-02-09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送信装置および無線受信装置
WO2001071928A2 (en) * 2000-03-22 2001-09-27 Qualcomm Incorporated High efficiency,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s system employing multi-carrier modulation
KR20020079881A (ko) * 2000-12-21 2002-10-1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기지국 장치, 통신 단말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040035505A (ko) * 2002-10-22 2004-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에스/시디엠에이 미모 안테나 시스템에서 보다 나은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한 전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849A (ko)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8613B2 (en) Primary and secondary stations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494251B1 (ko) Arq 송신기, arq 수신기 및 arq 방법
EP1788742B1 (en)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control system and retransmission method in mimo-ofdm system
KR10094264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전송 방법 및 장치
US9294959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493135B2 (en) Transmission method for downlink control signal in MIMO system
EP1467509B1 (en) Radio transmitting apparatus, radio receiving apparatus and radio transmitting method
EP148266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using a multiple antenna diversity schem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693140B2 (en) CDMA transmitting apparatus and CDMA receiving apparatus
WO2007108473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送信装置、および再送方法
WO2009118595A2 (en) Soft buffer memory configu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4243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브-패킷 적응
EP1658687B1 (en) Transmission method of downlink control signal for mimo system
AU2004306541A1 (en) Redundancy strategy selection scheme
US7764711B2 (en) CDMA transmission apparatus and CDMA transmission method
KR100518434B1 (ko)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제어신호전송방법
US772004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ignal in MIMO system
EP1668791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ignal in mimo system
KR100551858B1 (ko)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신호송수신방법
JPWO2007004285A1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受信装置
JP2006101555A (ja) Cdma送信装置およびcdma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9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04